"낯설게 만들기": 의학교육에서 인문학의 역할(Acad Med, 2014)

“Making Strange”: A Role for the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Arno K. Kumagai, MD, and Delese Wear, PhD




왜 예술인가? 의사 교육에 관한 이야기, 영화, 드라마 및 예술의 사용이 점차 대중화됨에 비추어 이러한 것들에 대한 이론적 근거가 의문시되고 있습니다.

Why art? In light of the increasingly popular use of stories, film, drama, and art in the education of doctors, the rationale for these offerings has been called into question.


인문학 관련 분야의 중요성은 공감을 강화하고, 다양한 관점을 받아들이고, 다른 관점에 대한 개방성, 자기, 타인, 세계에 대한 성찰 촉진 등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 분야에서 예술의 또 다른 중요한 기능을 조사합니다: 예술 사용하여 "낯설게" 만드는 것, 즉 자신과 타인, 그리고 세계를 새롭게 보기 위해 자신의 가정, 전망, 존재 방식을 trouble시키는 것이다.

an important role has been proposed for humanities related disciplines to enhance empathy, perspective-taking, and openness to different viewpoints, and to prompt reflection on self, others, and the world.2,4 This article investigates another crucial function of the arts in this context: the use of art to “make strange”—that is, to trouble one’s assumptions, perspectives, and ways of being in order to view anew the self, others, and the world.


Enstrangement : 소개

Enstrangement: An Introduction


문학 구조에서의 defamiliarization 의 이론적 개념은 1920 년대에 처음으로 러시아의 형식주의 비평가 Viktor Shklovsky에 의해 밝혀졌다. Shklovsky에 따르면, 모든 인간의 인식은 익숙한 사물, 사람 및 장소에 대한 필연적인 habituation을 포함합니다. 점차적으로, 친숙한 것은 "사라져" 의식에 접근 할 수 없게됩니다. 지각은 자동화됩니다.

the theoretical concept of defamiliarization in literature was first articulated in the 1920s by the Russian formalist critic Viktor Shklovsky,8 who described its use in the structure of narrative. According to Shklovsky, all human perception involves an inevitable habituation to familiar objects, people, and places. Gradually, that which is familiar “fades away” and becomes inaccessible to consciousness. Perception becomes automatic:


지각의 일반적인 법칙을 살펴보면, 습관이 되어가면서 자동화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결국 우리의 모든 기술과 경험은 자동적으로 무의식적으로 기능합니다. ... 그리고 아무런 책임도지지 않습니다. 인생은 무의미합니다. 자동화 작업은 물건, 옷, 가구, 아내, 전쟁에 대한 두려움에서 벗어납니다 .8 (p5)

If we examine the general laws of perception, we see that as it becomes habitual it also becomes automatic. So eventually, all of our skills and experiences function unconsciously—automatically.… And so, held accountable for nothing, life fades into nothingness. Automatization eats away at things, at clothes, at furniture, at our wives and at our fear of war.8(p5)



따라서 문학과 예술 전반의 주요 기능인 Shklovsky에 따르면, 그가 "enstrangement"(ostranenie)라고 부르는 과정을 통해 익숙한 것들을 새로운 눈으로 바라 보도록 강요합니다.

Thus, according to Shklovsky, a major function of literature—and of art in general—is to force us to look at the familiar with new eyes through a process that he calls “enstrangement” (ostranenie):


Shklovsky의 영향을받은 독일의 극작가 인 Bertolt Brecht9는 서사시 이론에 대한 그의 이론에서 '낯설게하기'의 개념을 더 상세히 설명하고 명확하게 사회 정치적 변화를주었습니다. 브레히트 (Brecht)에 따르면, 세계를 있는 그대로 바라 보는 우리의 능력을 둔하게 만드는 것은 인식 자체가 아닙니다. 그 대신에, 사회의 superstructures 와 권력의 불균형 (역사의 특정 사회 질서와 단계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마치 불의와 불평등이 자연 상태의 일부인 것처럼 보이게 만든다.

Influenced by Shklovsky, the German playwright Bertolt Brecht9 further elaborated the notion of enstrangement in his theories of epic theater and gave it a decidedly sociopolitical turn. According to Brecht, it is not perception per se that dulls our ability to see the world as it is. Instead, it is the societal superstructures and disparities in power—all rooted in a specific social order and stage in history—that make injustices and inequalities appear to be part of the natural state of affairs.


Brecht는 Shklovsky의 발자취를 따라 가면서, 현대 연극과 예술의 중요한 기능은 관객을 actors and drama로부터 거리를 두게 만드는 것이라고 하며, Brecht는 "소외alienation"또는 "A- 효과"라고 ​​불렀습니다.

Following closely in the footsteps of Shklovsky, Brecht maintains that a critical function of the modern theater and art in general is to distance the spectator from the actors and drama, a phenomenon that Brecht calls “alienation” or the “A-effect”:


작가의 목표는 관객에게 이상하게 보이도록, 심지어 놀라게 만드는 것입니다. 그는 자신과 그의 일을 이상하게 보이게끔 만들어서 성취합니다. 결과적으로 그에게 앞으로 나아갈 모든 것이 놀라움의 손길을 끕니다. 일상의 일들은 명백하고 자동적 단계보다 더 raised above됩니다 .12 (p91)

The artist’s object is to appear strange and even surprising to the audience. He achieves this by looking strangely at himself and his work. As a result everything put forward by him has a touch of the amazing. Everyday things are thereby raised above the level of the obvious and automatic.12(p91)


관객은 인물이 성장하고 이야기가 일어나는 상황에 놀라야합니다 .13 브레히트 (Brecht)에 따르면,이 태도는 비판적인 시선을 채택하고 "자연스러운"것으로 여겨지는 모든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합니다.

the audience should be astonished at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the characters develop and the story occurs.13 This attitude, according to Brecht, leads to the adoption of a critical gaze and questioning of all that is considered “natural.”


브레히트 (Brecht)에 따르면 이 모든 예술적 노력의 요점은 사회 구조의 무관심한 해부가 아니라, 사회적 변화를위한 자극이라는 점입니다. 맑스의 초창기에 브레히트 (Brecht)는...

The point in all of this artistic effort, according to Brecht, isn’t a disinterested dissection of societal structures, but is a stimulus towards action for social change. In a spin on early Marx,14 Brecht proposes,


극장은 철학자의 일이되었지만 세상을 설명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을 바꾸기를 바랐던 철학자들에게도 해당되었다.

The theatre became an affair of philosophers, but only for such philosophers as wished not just to explain the world but also to change it.15




낯설게하기의 활용: 의학교육에 적용

Uses of Enstrangement: Applications in Medical Education


의학 교육은 지나치게 단순화 된 역량으로 축소되어서는 안되며, 다음의 것들을 육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비판적 의식/ 자신, 타인 및 세계에 대한 이해를 비판적으로 성찰/ 불평등과 건강 관리의 불공정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겠다는 약속.

medical education should not be reduced to static, overly simplified competencies but should aspire to fostering a critical consciousness, an orientation toward a critically reflective understanding of oneself, others, and the world, as well as a commitment to identify and address issues of inequity and injustice in health care.16–22


이 오리엔테이션의 필수적인 부분은 비판적 질문으로서, 이를 통해서 당연하다고 여겼던 가정, 무의식적 인 편향, 의료에서 관계와 상호 작용을 왜곡하고 비인간적으로 만들어온 unquestioned attitude 등에 의문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비판적 질문을 자극하기 위해 문학, 영화, 예술 및 대화 형 극장을 사용하여 학생들과 교수진을 성찰 탐사 , 토론에 참여 시켰으며 중요한 교육학 도구, 즉 인지적 불균형 상태를 유발하는 도구를 사용했습니다. 인지적 불균형이란 사람과 만났을 때 느끼는 불쾌감, 경험 또는 익숙하지 않은 시각입니다. 이러한 불안과 불편함의 상태를 통해 개인은 가치관, 신념, 관점, 삶의 경험을 성찰하고, 이로서 이 새로운 실체를 기존의 이해에 통합하는 시도를 하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서 성찰은 자신의 세계관을 넓히고 풍성하게합니다.

An integral part of this orientation is the critical questioning of taken-for-granted assumptions, unconscious biases, and unquestioned attitudes that may distort and dehumanize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in medical care. To stimulate this type of critical questioning, we have used literature, movies,23 art,5 and interactive theater24 to engage students and faculty in reflective exploration and discussions and have made use of a key pedagogical tool, that of provoking a state of cognitive disequilibrium—that is, the sense of discomfort one may feel when encountering a person, an experience, or a perspective which is unfamiliar.17,24,25 Through this state of disquiet and discomfort, one is prompted to reflect on personal values, beliefs, perspectives, and life experiences in an attempt to incorporate this new entity into one’s understanding, and in doing so, reflection broadens and enriches one’s worldview.


이것은 다음의 것들과 부합하는 개념이다.

  • Dewey의 "갈림길"원칙,

  • 숀 (Schön)의 "reflection-in-action"

  • 하버마스의 "가설적인 태도"28

  • Freire의 "세계를 읽는 것", 29 또는

  • Mezirow의 "disorienting dilemmas"에서.

It is a concept that finds resonance in 

  • Dewey’s principle of the “forked road,”26 in 

  • Schön’s “reflection-in-action,”27 in 

  • Habermas’s “hypothesizing attitude,”28 in 

  • Freire’s “reading the world,”29 or in 

  • Mezirow’s “disorienting dilemmas.”30 


이것들의 공통점은 '알려지지 않은 사람들과의 대립이 성찰와 행동을 촉발시키는 불쾌감의 상태'이다. 이 상태는 도발적인 질문, 역설, 대조, 모순을 통해 달성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대화를 통해 새로운 방식으로보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비판적 성찰의 목표는 문학과 예술을 사용하여 "낯설게"만듦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즉, "자연스러운" 관계를 비정상적으로 보이게하거나 심지어 기괴하게 보이게하고 또 다른 하나를 다시 보게함으로써 자신의 비전과 가정을 trouble한다.

All have in common a state of discomfort in which confrontation with the unknown prompts reflection and action. This state may be achieved through the posing of provocative questions, paradoxes, contrasts, and contradictions17; and through dialogue, one may arrive at new ways of seeing and understanding. This goal of critical reflection may also be achieved through the use of literature and art to “make strange”—that is, to trouble one’s vision and assumptions by making “natural” relationships appear unusual or even bizarre and by forcing one to look on them anew.




문학과 비평에서의 낯설게 하기

Enstrangement in Literature and Criticism


"이상한 것"이라는 가장 훌륭한 문학적 사례 중 하나에서 프란츠 카프카 (Franz Kafka's36) Metamorphosis가 있다. 이것은 거대한 바퀴벌레로 바뀌 었다는 것을 깨우는 주역 Gregor Samsa의 실현으로 시작됩니다. 1912 년에 쓰여진이 소설은 카프카가 체코 어를 사용하는 프라하에서 독일인으로서의 소외감과 심오한 반유대주의 시대에 살고 있던 유태인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이 이야기는 질병의 고립과 소외에 대한 개인의 감정과, 그가 무력감 때문에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비인도적 관행에 대한 비범한 조명으로서 해석, 논의될 수도 있다.

In one of the most brilliant literary examples of “making strange,” Franz Kafka’s36 Metamorphosis begins with the protagonist Gregor Samsa’s realization upon waking that he had been turned into a gigantic cockroach. Written in 1912, the novella is often interpreted as Kafka’s portrayal of his alienation as a Germanspeaker in Czech-speaking Prague and as a Jew living during a period of profound anti-Semitism. Yet the story may be read and discussed as an extraordinary illumination of an individual’s feelings of isolation and alienation in illness, and the dehumanizing practices he routinely experiences because of his helplessness.


무력하거나 몸이 아픈 몸에서 잃어버린 인간성의 우화로 읽 혔던 이야기는 우리에게 “the illusive truth of illness.”를 상기시켜줍니다.

Read as an allegory of humanness lost in a helpless or ill body, the story reminds us of “the illusive truth of illness.”37


비디오와 필름에서의 낯설게하기

Enstrangement in Video and Film


"In My Language "는 반례로 간주 될 수 있습니다 (겉으로보기에는 혼란스럽고 무의미한 행동은 근본적인 의미의 시연을 통해 "익숙 함"입니다). 그러나 이 비디오는 자폐증에 대한 평범한 가정 (및 편견)을 방해하고 반성과 재검토를 강요하기위한 의미있는 내용이기도합니다. 여기에서의 '낯설게하기'는 자폐증과 같은 장애인에 관한 기존의 견해를 깨뜨리는 역할을하며, 세계에서 보는 또 다른 방법을 엿볼 수 있습니다.

In My Language may be seen as a counterexample (seemingly chaotic, nonsensical behaviors are “familiarized” through a demonstration of their underlying meaning); however, the video is also and significantly meant to disturb commonplace assumptions (and biases) regarding autism and to force reflection and reconsideration. estrangement here serves the function of breaking apart conventional views about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uch as autism, and allows a glimpse at alternate ways of seeing and being in the world.


시각예술에서의 낯설게하기

Enstrangement in the Visual Arts


관객으로하여금 유명한 그림, 알몸, 조용한 저녁, 도시 거리 등의 일에 대한 불편 함을 느끼게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것들은 습관화된 "일상성"에 대한 인식에 삼켜버릴 것이다.

They leave the viewer with a pronounced sense of discomfort about things—a famous painting, a naked body, a quiet evening, or a city street—that may otherwise be swallowed up in the habituating perceptions of “everydayness.”


두 가지 특별한 예가 질병과 의사에 직접 적용될 수 있습니다. 

  • 프란시스 베이컨의 Figure With Meat (1954)은 쇠고기의 두 가지 날카 롭고 살벌한 매달린면 사이에 왜소하게 앉아있는 남자의 흐린 초상화를 보여줍니다 (그의 연구 후 벨라스케스에서 가져온 것). 고기는 섬세하게 해부학 적이며 건재한 해부학 실험실이나 수술대의 비인간 화 된 "고기"인 힘줄과 근육을 염두에 두어야합니다. 초상화의 남자는 골격이고 비명을 지르고 치매와 통제력을 잃어 버린다. 

  • Frida Kahlo의 Broken Column (1944)은 18 세의 버스 사고로 중상을 입은 만성 장애와 고통으로 예술가가 겪었던 고통에 대한 자기 묘사이다. Kahlo의 몸통이 열려서 깨진 무너져가는 대리석 기둥이 드러난다. 머리가 불안정하게 자리 잡고있다. 그녀의 열린 가슴은 좁은 밴드에 의해 간신히 묶여있다.

Two particular examples may apply directly to illness and doctoring. 

  • Francis Bacon’s Figure With Meat (1954) shows the blurred portrait of a man (taken from his Study After Velásquez) sitting dwarfed between two raw, bloody, hanging sides of beef. The meat is eerily anatomical and calls to mind the stringy tendons and oozing muscle—the depersonalized “meat”—of the gross anatomy lab or the operating table; the man in the portrait is skeletal and screaming and radiates dementia and loss of control. 

  • Frida Kahlo’s Broken Column (1944) is a searing self-depiction of the artist’s struggles with chronic disability and pain after serious injury in a bus accident at age 18. It shows Kahlo’s torso flayed open to reveal a cracked and crumbling marble column on which her head is precariously perched; her open chest in turn is barely held together by constrictive bands. 


이것을 교육적 맥락에서 사용하면, 도발적인 질문 (예 : "이 그림은 왜 당신을 너무 불편하게합니까?", "Kahlo는 그녀의 문이 열린 가슴으로 무엇을 의미합니까?")과 같은 반응을 불러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작품들은 건강과 질병이라는 맥락에서 성찰, 대화, 정체성 참구, 고통, 객관화. 건강과 질병의 맥락에서의 권력 등의 논의를 촉발시키는 데 사용될 수있다.

Used in an educational context and prompted by provocative questions (e.g., “Why does this painting make you feel so uncomfortable?” “What does Kahlo mean by her flayedopen chest?”), these works may be used to spark reflection, dialogue, and exploration of identity, suffering, objectification, and power in the context of health and illness.



결론

Concluding Remarks


사회적 관련성이있는 의학분야에서, 이러한 사고와 행동 패턴의 자동성은, 진정성있게 환자 중심의 인본주의 임상 진료를 제공하는 능력을 훼손 할 수 있습니다. 사람은 일을 가정하고 결론을 빨리 이끌어냅니다. Shklovsky의 관점에서 볼 때, 지식은 시야에 의해 인도되는 대신 인식에 의해 주어진다. 이러한 습관화가 인식의 자동성 (Shklovsky) 때문에 피할 수 없는 것이든, 낙인, 편견, 억압을 창출하는 사회 세력의 압도적인 힘 때문에 생기는 것이든, 이러한 유형의 자동 인식 및 사고는 환자를 사물things로 축소시킬 위험이 있습니다.

in areas of social relevance in medicine the automaticity of these very patterns of thinking and acting may undermine one’s ability to provide truly patient-centered, humanistic clinical care. One assumes things and quickly draws conclusions; in the view of Shklovsky,8(p6) instead of one’s knowledge being guided by sight, it is given by recognition. Whether this habituation is due to the inevitable march of perception towards automaticity (Shklovsky8) or to the overwhelming power of social forces in creating stigma, prejudice, and oppression (Brecht15), this type of automatic perceiving and thinking threatens to reduce patients to things:



비록 효율적이더라도, 개인을 인구 통계 카테고리 또는 "위험 프로파일"에 배치하는 이러한 관행은, 모든 individuality와 독창성과 변화를 위한 capacity를 박탈 할 위험이 있습니다. Enstrangement는 이러한 경향에 맞서 싸웁니다. 지각을 "힘들게"함으로써 혼란을 막고 선입관을 향한 인지적 비약을 방해한다. 그것은 우리를 최초의 인상으로 되돌리고 우리의 결정적 시선과 탐구 감각을 새롭게합니다. "성찰에 수갑을 채우는 선입관"과 같은 하이데거의 말로부터 우리를 자유롭게 한다. 우리는 다른 개인이 어떤 동기로 그러했는가 뿐만 아니라 아니라 우리 자신이 가진 가정에 대해서도 "왜"를 물어보게 한다. 환자를 "noncompliant"또는 "difficult"이라고 부르는 것이 누구의 이익 때문인지를 물어 보는 것입니다. 이 모든 혼란은 생각과 행동 사이에 일시적인 멈춤을 일으킵니다. 이 pause는 마음을 mindful and reflective practice를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Although efficient, this practice of putting individuals into demographic categories or “risk profiles” threatens to deprive them of all individuality and the capacity for uniqueness and change. Enstrangement fights against this trend. By making perception “laborious,”8 it disrupts automaticity and hinders cognitive leaps to preconceived conclusions. It forces us back to our original impressions and renews our critical gaze and sense of inquiry. It frees us from, in Heidegger’s39(p30) words, “the preconceptions [that] shackle reflection.” It prompts us to ask “why,” not only about another individual’s motivations but also about our own assumptions. It provokes us to ask in whose interest it is to call a patient “noncompliant” or “difficult.” In all, this disruption causes a momentary pause between thought and action—a pause that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mindful, reflective practice.27,40


예술을 통한 enstrangement는 의료 학생 또는 의사가 개개인의 개인성, 오류 가능성 및 강도면에서 개인 간 상호 작용으로서 의료 관계를 재검토 할 수있게합니다. 어쩌면 예술의 가장 위대한 선물은 의료전문직에게 탐험 할 수있는 "열린 공간"을 제공하고, witness를 bear하게 하고, 다른 개인들과 engage하게 해주는 것이다


Enstrangement through art allows the medical student or physician to reexamine relationships in health care as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qua human beings—in all their individuality, fallibility, and strength.41 This ability of art to provide health care professionals an “open space” to explore, bear witness, and engage with other individuals who are in the midst of becoming is perhaps art’s greatest gift of all.


의사들이 증거 중심의 프로토콜과 경험적 추론에 의존하기는 하지만, 딜레마에 직면 할 때 핵심적 전문성이란 "자동화된 사고"가 아니라 접근 방식, 증거, 해석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하게 만드는 것이다. 즉, 의사의 일상적인 가정을 "낯설게"만드는 것입니다.

Although physicians often rely on evidence-driven protocols and heuristic reasoning, an essential part of expertise when confronting a dilemma is to shift from more “automatic thinking” to a critical questioning of approaches, evidence, and interpretations27—that is, to “make strange” one’s usual assumptions in practice.






 2014 Jul;89(7):973-7. doi: 10.1097/ACM.0000000000000269.

"Making strange": a role for the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r. Kumagai is professor of internal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and director, Family Centered Experience and Longitudinal Case Studies Programs,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Ann Arbor, Michigan. Dr. Wear is professor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Northeast Ohio Medical University, Rootstown, Ohio.

Abstract

Stories, film, drama, and art have been used in medical education to enhance empathy, perspective-taking, and openness to "otherness," and to stimulate reflection on self, others, and the world. Yet another, equally important function of the humanities and arts in the education of physicians is that of "making strange"-that is, portraying daily events, habits, practices, and people through literature and the arts in a way that disturbs and disrupts one's assumptions, perspectives, and ways of acting so that one sees the self, others, and the world anew. Tracing the development of this concept from Viktor Shklovsky's "enstrangement" (ostranenie) through Bertolt Brecht's "alienation effect," this essay describes the use of this technique to disrupt the "automaticity of thinking" in order to discover new ways of perceiving and being in the world.Enstrangement may be used in medical education in order to stimulate critical reflection and dialogue on assumptions, biases, and taken-for-granted societal conditions that may hinder the realization of a truly humanistic clinical practice. In addition to its ability to enhance one's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cine, the technique of "making strange" does something else: By disrupting fixed beliefs, this approach may allow a reexamination of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s in terms of human interactions and provide health care professionals an opportunity-an "open space"-to bear witness and engage with other individuals during challenging times.

PMID:
 
24751976
 
DOI:
 
10.1097/ACM.000000000000026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