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개 의과대학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팀바탕학습 인식도 조사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1의학교육실, 2흉부외과학교실

박귀화1, 최창휴2, 전양빈2, 박국양2, 박철현2




서론


팀바탕학습(team-based learning, TBL)은 문제바탕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과 달리 경영학에서 시작된 교육방법이지만, 국내외 의과대학에서 점차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교육방법 중 하나이다[1]. TBL은 PBL과 마찬가지로 소그룹 학습을 근간으로 학습자 주도의 적극적 학습 참여가 가능한 교육방법이면서[2], PBL과 달리 대규모 강의실에서 개별 교수가 소그룹 학습을 이끌어 갈 수 있다는 점에서 PBL에 비해 큰 장점이 있다.


의학교육에서 TBL을 주제로 한 기존 연구는 주로 특정 과목에서 TBL을 운영한 후 학생 들의 TBL에 대한 만족도나 인식도를 조사하거나[3,4,5], 학업성취도의 변화[3,5,6,7]를 알아보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서 TBL은 팀워크를 강화하고[4], 학습 내용의 이해와 장기 기억에 도움이 되며[8], 문제해결능력과 임상추론능력을 향상시키며[4],전문직업성 개발[3]에 유용한 교육방법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TBL은 전통적인 교육방법에 비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며[5,7], 이는 의사국가시험에서도 의미 있는 좋은 결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7]. 


그러나 모든 교육 방법에 장단점이 있듯이 모든 학습자들이 TBL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그 과정에서 긍정적인 학습경험을 하는 것은 아니다[9]. TBL을 긍정적인 학습경험으로 인식하고 효과적이고 우수한 수행을 보이는 팀도 있지만[10], 그렇지 않은 팀들도 존재한다[11].


또한 TBL은 팀 활동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팀 활동 과정을 구성하는 요인인 대인관계 이해도와 팀 과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 태도가 TBL을 긍정적인 학습경험으로 인식하는 데 영향을 줄 수 있다[14]. 


정의적 특성 이외에도 학업능력과 같은 지적 수준에 따라 TBL을 인식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다. 간호대학생의 경우 학업능력에 따라 TBL 인식에 차이가 없었으며[10], 의과대학생이나 치과대학생의 경우 학업능력이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들에 비해 TBL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거나[7], 학업능력 상위 집단은 팀바탕학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고 보고한

바 있다[6].


대상 및 방법

1. 대상

2. 연구 도구

1) TBL에 대한 인식도 조사

학생들의 TBL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기 위해 관련 문헌 고찰을 토대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요인 분석 결과에 따라 3개 요인으로 구성된 총 12개 문항을 구성하였다. TBL 인식도는 팀 스킬 향상(I, 5문항), 학습능력 향상(II, 4문항), 팀 학습 향상(III, 3문항)의 3개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전체 변량의 66.01%를 설명하였다.


2) 학업능력

학업능력이란 학과 공부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어휘적, 수리적 능력 및 논리적 사고력과 노력의 지속성 등을 총괄하는 학문적 경쟁력(academic competitiveness)을 말한다.


3) 팀 효능감

학생들의 팀 효능감은 Marshall [15]의 연구에서 사용된 8문항을 Kwon [14]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팀 효능감을 측정하는 설문 문항으로는 “나는 우리 팀이 팀 과제와 팀시험을 훌륭하게 해낼 수 있다고 자신한다,” “나는 우리 팀이 팀 안에서 활동하는 방법에 관한 지식을 갖고 있다고 확신한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4) 대인관계의 이해

대인관계 이해는 Marshall [15]의 연구에서 사용된 대인관계의 이해 11문항을 Kwon [14]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대인관계의 이해를 측정하는 설문 문항으로는 “나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팀원들 모두와 팀 활동을 잘한다”와 “나는 우리 팀원들의 생각과 의견을 존중한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5) 문제해결에서의 적극성

문제해결에서의 적극성은 Marshall [15]의 연구에서 사용된 문제해결에서의 적극성 8문항을 Kwon [14]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문제해결에서의 적극성을 측정하는 설문 문항으로는 “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을 적극적으로 제시한다”와 “나는 팀 과제 수행 중에 문제가 발생하면 적극적으로 대안을 찾으려고 한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과

1. 성별에 따른 TBL 인식도 차이

2. 학업능력에 따른 TBL 인식도 차이

3. 팀 효능감 수준에 따른 TBL 인식도 차이

4. 대인관계 이해도 수준에 따른 TBL 인식도 차이

5. 문제해결의 적극성 수준에 따른 TBL 인식도 차이

6. TBL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고찰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TBL 효과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TBL에서 팀을 구성하고 TBL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인구학적 특성 중 성별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TBL이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학업능력 상위집단의 학생들이 하위집단 학생들보다 TBL이 학습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이는 학업능력이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들에 비해 TBL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한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7]. 또한 한 연구에 의하면 학업능력에 따른 수업만족도에서 TBL은 성취도 상위집단에서, 강의방법은 하위집단에서 만족도가 높았다고 보고하였는데[8], 이는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해 주는 결과이다.


TBL에서 어떠한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팀 구성이 학습 효과의 극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느냐가 관심이 되는데, 그 요인 중에 하나가 팀 효능감이다. 본 연구에서는 팀 효능감 상위집단의 학생들이 하위집단 학생들 보다 TBL이 팀 스킬 향상에 도움이 되었고, 팀으로 학습하는 것이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 효능감이 높을수록 팀 학습에 적극참여하게 되고[19], 이는 TBL을 긍정적인 학습경험으로 인식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효능감을 증진시키는 원동력에는 구체적인 성공경험이나 긍정적인 피드백 제공이 있다.


대인관계 이해도와 문제해결의 적극성 상위집단의 학생들이 하위집단 학생들 보다 TBL이 팀 스킬 향상에 도움이 되며, TBL을 긍정적인 학습경험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문제해결에 적극성을 보이며, 팀 효능감이 높을수록 TBL을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러 요인 중에서도 이 두 요인이 TBL 인식도를 유의미하게 설명해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Students' Perceptions of Team-Based Learning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a Medical School
Kwi Hwa Park,1 Chang-Hyu Choi,2 Yang-Bin Jeon,2 Kook-Yang Park,2 and Chul-Hyun Park2
1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Gach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cheon, Korea.
2Department of Cardiothoracic Surgery, Gach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cheon, Korea.

Corresponding Author: Chul-Hyun Park. Department of Cardiothoracic Surgery, Gach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38 Dokjeom-ro 3beon-gil, Namdong-gu, Incheon 405-835, Korea. Tel: +82.70.7120.7902, Fax: +82.32.464.4004, Email: cdgpch@gilhospital.com 
Received December 13, 2012; Revised February 15, 2013; Accepted February 25, 2013.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dical students' perceptions of team-based learning (TBL)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gender, team efficacy, interpersonal understanding,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academic ability.

Methods

Thirty-eight second-year medical students who took an integrated cardiology cour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28 were male and 10 were female. A questionnaire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 questionnaire on the perception of TBL were administered, and the score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grouped into three: high, middle, and low.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TBL efficacy perception scale consisted of 3 factors: team skill, learning ability, and team learning. The group of male students and the group of students with high academic ability recognized the effect of TBL on improvements in learning ability more than females and those with low academic ability. The group of students with high team efficacy reported that TBL was effective with regard to team skill improvement. The group of students with high scores on interpersonal understanding and high proactive problem solving tended to perceive the TBL's effect on team skill improvement. Team efficacy and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TBL.

Conclusion

Medical students'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TBL differ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s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of team learning, such as TBL, to have a positive impact and stronger effects.

Keywords: Team efficacyInterpersonal understanding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Academic ability,Team-based learnin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