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제 개인생활이 있잖아요": 디지털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관점(Med Teach, 2013)
‘‘I have the right to a private life’’: Medical students’ views about professionalism in a digital world
SHELLEY ROSS, KRISTA LAI, JENNIFER M. WALTON, PAUL KIRWAN & JONATHAN S. WHITE
University of Alberta, Canada
도입
Introduction
페이스 북은 캐나다에 1 억 850 만 명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에 1 억 6 천 8 백만 명이 있습니다(SocialBakers 2012). 즉, 양국 인구의 50 % 이상이 Facebook 계정을 개설했습니다.
Facebook has 18.5 million users in Canada, 168 million in the United States (SocialBakers 2012) – which means that over 50% of the populations of those two countries have set up a Facebook account.
페이스북의 보편성에 대해 의학 교육자들의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가르치고있는 학생들은 자신의 삶에서 모든 것을 공유하는 데 익숙하지만 프라이버시, 기밀성, 전문적 경계에 대한 존중이 필수적인 직업에 뛰어 들고 있습니다. 최근의 문헌에 따르면 페이스은 의대생들 사이에서 매우 널리 퍼져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미국의 의대생의 60 % 이상과 영국의 의대생의 70 % 이상이 Facebook의 active user입니다 (Gray 외. 2010).
The ubiquity of Facebook is an increasing concern for medical educators. The students we are educating are used to sharing everything in their lives, yet are entering a profession where respect for privacy, confidentiality and professional boundaries are essential. Facebook use is highly prevalent among medical students, according to recent literature. According to a recent study, at least 60% of medical students in the US and over 70% of medical students in the UK are active users of Facebook (Gray et al. 2010).
갓 의대에 입학한 학생들은 자신이 전체공개로 작성한 내용들이 자신의 프로페셔널리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할 수도있다 (Thompson et al., 2008). 의과대학 입학 전 상황에서 학생들이 어떤 활동을 했는지는 일반적으로 그들의 학문적 정체성과 구별됩니다. 그러나 보건 전문 분야에 들어가면, 학생들은 이전에 개인으로 간주되었던 활동이 프로페셔널리즘 맥락에서 관련될 수도 있는 직업적 정체성을 가져야합니다.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 (Thompson 외. 2008)의 높은 접근가능성과 포괄적 특성은 [개인적인 것]과 [의료 전문가로서의 학생을 바라보는 대중의 인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 사이의 경계를 더욱 흐리게 만듭니다.
Medical students in the early stages may not understand that their publicly available content directly affects their professionalism (Thompson et al. 2008). In the undergraduate, pre-medical context,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partake are generally considered distinct from their academic identities. Once entering a health profession, however, students must assume a professional identity, where activities previously considered personal may become relevant in a professional context. The widely accessible and comprehensive nature of social networking sites (Thompson et al. 2008) further blur the line between what is personal and what can impact the public’s perception of the student as a medical professional.
개인과 대중 사이의 경계선이 희미 해지는 것은 의학에서 비교적 새로운 문제입니다. 환자들은 점점 인터넷에서 자신의 의사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며 (Gorrindo & Groves 2008) 사진, 댓글, 상태 업데이트 및 Facebook과 같은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의 거의 모든 활동은 전세계 웹에 영구적 인 항목으로 기록됩니다. 자신을 진료해주는 의사의 전문성 (또는 능력)에 대한 환자의 인식은 그 의사가 게시 한 부적절하거나 의심스러운 콘텐츠를 발견할 경우 악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Collier 2012).
The blurring of the line between personal and public is a relatively new problem for medicine. Patients increasingly search the internet for information about their doctors (Gorrindo & Groves 2008), and photos, comments, status updates and almost any other activity on social networking sites such as Facebook are often permanent entries on the worldwide web. A patient’s perception of the professionalism (or even competence) of the physician caring for them could be adversely affected by the discovery of inappropriate or questionable content posted by or about their physician (Collier 2012).
흥미롭게도 전문성에 관한 가장 최근의 간행물조차도 소셜 미디어 (예 : Donoff paper CFP 2012)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Interestingly, even the most recent publications about the elements of professionalism fail to mention social media (e.g. Donoff paper CFP 2012).
방법
Methods
The data from this article were collected as part of a larger multimethod study addressing student perceptions about, and use of, social media sites. All medical students in all years (682) at a mid-sized Canadian medical school were invited to complete an on-line survey.
결과
Results
응답자의 93 %가 활성화된 Facebook 계정을 가지고있었습니다.
93 % 중 84 %는 하루에 두 번 이상 계정을 확인합니다.
또한 Facebook 계정 사용자 중 91 %는 Facebook 계정에 액세스 할 때마다 Facebook에서 10 분 이하의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보고했습니다.
Ninety-three percent of respondents had active Facebook accounts.
Of that 93%, 84% check their account two or more times/day.
In addition, 91% of those with Facebook accounts reported that they spend 10 minutes or less on Facebook each time they access their account.
프로페셔널리즘 (일반)
Professionalism (general)
응답자의 99 %는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며, 전문가로서 기대되는 것이 무엇인지도 잘 안다고 응답했다.
94 %는 프로페셔널리즘이 요구되는 것에 동의합니다.
93 %는 높은 수준의 프로페셔널리즘이 의과대학생때부터 기대되어야 한다고 느꼈다.
그러나 74 %는 프로페셔널 프로그램의 초창기에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에 대해 약간의 관대함이 있어야한다고 생각했다.
Ninety-nine percent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and what is expected of them as professionals.
Ninety-four percent agree with the expectations of professionalism.
Ninety-three percent felt that a high level of professionalism should be expected of healthcare students from the beginning of their time as a student;
however, 74% felt that there should be some leniency regarding small incidents of unprofessional conduct in the early years of a professional program.
프로페셔널리즘의 맥락에서 100 %의 학생들이 진료실이나 병원에서 항상 프로페셔널하게 행동해야한다고 생각했습니다.
학생의 78 %는 대학에서도 프로페셔널하게 행동해야한다고 생각했다.
일반인의 자유 시간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43 %만이 "항상at all times" 전문적으로 행동해야한다고 느꼈습니다.
In terms of context of professionalism, 100% felt that students should act professionally at all times in the clinic or hospital.
Seventy-eight percent felt that students should act professionally at the University.
In terms of their free time in view of the public, only 43% felt they needed to act professionally at all times.
주제 1과 관련하여 응답자들은 자기만의 시간을 가질 때에는, 더 이상 전문인이 아니므로 다른 상황에서의 전문적 행동 지침에 상관없이 그들이 선택한대로 행동 할 수 있어야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많은 의견은 사적private인 삶이 사적인 것임을 강조했다. 그리고 직장에서와 동일한 기대에 의해 통제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했다. 이 주제에 해당하는 의견은 임상적 환경 밖에서까지 프로페셔널리즘을 기대하는 것이 비현실적이라고 보았다.
In regards to Theme 1, respondents felt that when on their own time, students were no longer professionals, and so should be able to behave as they choose, without regard to guidelines for professional conduct in other contexts. Many comments stressed that private life is that – private – and should not be governed by the same expectations for professionalism as in the workplace. Comments that corresponded to this theme defended why it was unrealistic to expect professionalism outside the clinical setting.
주제 2는 의견이 분석 될 때 떠오르는 예상치 못한 주제였습니다. 이 주제에서 응답자는 이전 질문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을 이해한다고 주장했지만, 이 부분에서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설명은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기대에 대해 학생들의 오해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학생들은은 전문성을 논의 할 때 타인과의 딱딱하고 비현실적인 상호 작용을 언급했습니다.
Theme 2 was an unexpected theme that emerged as the comments were analyzed. In this theme, comments reflected that while respondents had claimed to understand professionalism in an earlier question, the statements made about professionalism in this section indicated that there may be a misunderstanding among students about the expectations of professionalism. Multiple comments referred to rigid, unrealistic interactions with others when discussing professionalism.
주제 3은 단순히 책임감있게 삶을 살아야한다는 생각으로,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보다 현실적인 견해였다. 이 주제는 최소한 3 가지 주요 주제 중 가장 적게 등장했습니다.
Theme 3 emerged as a more realistic view of professionalism as the idea of simply living life responsibly. This theme emerged least often of the three main identified themes.
프로페셔널리즘(온라인)
Professionalism (online)
응답자는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온라인 전문성에 대한 질문에 대한 응답에서 동일하지 않았습니다.
Respondents were not homogeneous in their responses to questions about online professionalism, as seen in Table 2.
페이스 북에 프로페셔널하지 않은 자료를 게시 한 동료를 알고 있는지 묻는 질문에 51 %의 학생들이 '예'라고 말했고 60 명의 학생들은 텍스트 예시를 제공했습니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올리지 말았어야 할 소셜 미디어 웹 사이트에 대한 게시물이나 댓글을 올린 적이 있습니까? ''라고 답한 사람은 24 %이고 '예'라고 답한 사람이 33 명이며 예를 든 사람이 있습니다.
When asked if they were aware of a colleague posting unprofessional material on Facebook, 51% of students said ‘‘Yes’’ and 60 students gave free text examples. When asked ‘‘Have you yourself ever made a post or comment on social media websites that, in hindsight, you probably shouldn’t have’’, 24% said ‘‘Yes’’ and 33 students gave examples.
또한 응답자는 온라인상에서 프로페셔널답지 않은 행동을 구성요소에 대해 이견이 있었다. 온라인에 게시 된 내용이 프로페셔널하지 않았는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는 부적절성에 대한 다양한 응답을 보였습니다. 대부분의 응답자 (90 % 이상)는 게시물에 환자에 대한 사진이나 기타 식별 정보가 있는 것을 부적절하다고 생각하는 반면 42 %만이 환자와의 만남을 설명하는 게시물(식별 정보가 없더라도)을 전문적이지 않다고 느꼈습니다. 모든 응답자 중 절반이 과정 자료, 프로그램, 교수 또는 대학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을 표명하는 것이 전문가가 아닌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Respondents also did not always agree about what constituted unprofessional behaviour online. When asked to indicate whether something posted online was unprofessional, respondents showed varying responses in terms of what they felt was inappropriate. While most respondents (over 90%) felt that photos or other identifying information about a patient in a post was inappropriate, only 42% felt that a post describing an encounter with a patient (with identifying information removed) was unprofessional. Half of all respondents did not think it unprofessional to make critical comments about course material, the program, the faculty or the university.
응답자들은 또한 '다른 전문직에 비해서 의사들의 온라인 프로페셔널리즘이 더 중요합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의견이 분분했습니다. 응답자의 46 %는 의사/의대생의 온라인 프로페셔널리즘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54 %는 이 문제가 모든 보건 전문가들에게 똑같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Respondents were also divided about the question ‘‘Is online professionalism more or less important in other professions than your own?’’ Forty-six percent of respondents felt that online professionalism was more important for those in an MD program; 54% felt the issue is equally important across all health professions.
Discussion
학생들은 프로페셔널리즘의 개념을 잘 이해한다고 주장하지만,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와 [프로페셔널로서 자신의 행동 - 특히 온라인 - 이 다른사람들에게 비춰지는지에 대한 인식] 사이에는 큰 간극이 있다.
While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is something that students claim to understand well, there is a disconnect between students’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and their awareness of how their own behaviour – especially online – may reflect upon how others would view them as a professional.
우리의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8 %는 온라인 프로페셔널리즘이 실제 세계에서 전문성만큼이나 중요하다고 동의했지만, 응답자들은 일반적으로 온라인 행동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느끼지 않았습니다. 응답자들은 페이스 북과 같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받아 들일 수있는 것에 대해 더 관대 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 정보를 공개하는 것과 같은 명백한 전문성 위반은 분명히 용납 될 수 없지만, 과목이나 교수에 대해서 비판적인 코멘트를 남기거나 논쟁의 여지가있는 문제에 대한 논평을 하는 등의 것들은 수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In our results, we discovered that while 88% of respondents agreed that online professionalism is just as important as professionalism in the real world, respondents generally did not feel that there needed to be checks on online behaviour. Respondents also appeared to be more lenient about what was acceptable in online communities such as Facebook. While obvious professionalism violations such as disclosing patient information were clearly unacceptable, some issues such as making critical comments about courses or faculty or making opinionated comments about controversial issues, were seen by many respondents as being acceptable.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어떤 의과대학생이 real life에서 수행하는 경우 수용가능하지 않다고 보일 수도 있습니다.
These behaviours would likely be seen as unacceptable if carried out in real life by an individual identified as being a part of a medical school
학생들은 real life에서 목격되길 바라지 않는 행동은 온라인에서도 하면 안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students need to understand that if you would not want someone to witness you do or say something in real life, do not do it online.
직접 받아 들여질 수있는 것과 온라인에서 받아 들여질 수있는 것 사이의 뚜렷한 간극은 일부 의대생이 온라인 행동에 곤란을 겪는 이유의 일부일 수 있습니다.
Thompson et al.의 연구 (2008)는 플로리다 대학 800 명 이상의 의과 대학생 및 거주자의 Facebook 프로필을 조사했습니다. 그들은 모든 trainee 중 47 %가 페이스 북 계정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으며 그 중 대다수는 연구 분야 및 사진과 같은 개인 정보를 포함합니다. 계정의 3 분의 1만이 프라이버시 설정이 정보의 공개 액세스를 막을 정도로 충분히 높게 설정되었습니다.
뉴질랜드의 유사한 연구 (MacDonald 외. 2010)는 한 의과 대학에서 최근 졸업생 (2006-2007)의 Facebook 프로필을 조사했습니다. 확인 된 의사 338 명 중 65 %가 Facebook 계정을 보유하고있었습니다. 37 %는 적절한 개인 정보 설정을 해두지 않았다. 개인의 정보 및 사진 외에도, 일부 계정에는 불쾌감을 줄 수있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리버풀 대학 (University of Liverpool)의 의과 대학생들은 의학자 연수생들 사이에서 Facebook이 자기보고 한 사용을 결정하는 설문 조사에서 응답자의 96 %가 Facebook 계정을 갖고 있으며, 거의 모든 사람들이 실명을 사용중이라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 응답자의 52 %는 Facebook에 부적절한 사진이 있다는 것을 나타 냈습니다. 또한 응답자의 54 %는 Facebook에서 프로페셔널하지 못하거나 부적절한 온라인 행동을 본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The apparent disconnect between what is acceptable in person and what is acceptable online may be part of the reason that some medical students find themselves in trouble for online behaviour.
A study by Thompson et al. (2008) looked at the Facebook profiles of over 800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the University of Florida. They found that 47% of all trainees had Facebook accounts, the majority of which contained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field of study and photographs. Only one-third of the accounts had privacy settings set sufficiently high to prevent public access of the information.
A similar study in New Zealand (MacDonald et al. 2010) examined the Facebook profiles of recent graduates (2006–2007) from one medical school. Of the 338 doctors identified, 65% had Facebook accounts; 37% of accounts did not have adequate privacy settings. In addition to personal information and photographs, some accounts contained information that could be seen as offensive.
Similarly, in a survey to determine self-reported use of Facebook among medical school trainees (Garner & O’Sullivan 2010), researchers at the University of Liverpool found that 96% of respondents had Facebook accounts, and almost all were under their real names. Fifty-two percent of the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re were inappropriate photos of themselves on Facebook. In addition, 54%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d seen unprofessional or inappropriate online behaviour on Facebook.
리버풀의 연구에서, 훈련생의 78 %는 용인 할 수없는 행동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이해 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용 불가능한 행동을 이해하는 것]과 [수용 불가능하다고 인식될 행동에 참여하는 것]사이에 overlap이 있다고 밝혔다.
In the Liverpool study, 78% of trainees indicated that they understood what constitutes unacceptable behaviour, yet there was an overlap between understanding what was unacceptable and participating in what would be perceived as unacceptable behaviour online.
이 연구의 한 가지 뚜렷한 발견은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기대가 직장 내외에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었습니다. 응답자들은 의과대학생 및 레지던트가 직장에서 항상 프로페셔널해야한다는 데 동의했지만, 자유 시간에도 프로페셔널리즘을 지켜야 하는가에 대해 의견 차이가있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유 시간은 내 시간'이라는 표현으로 extensive comment를 쓴 것으로 보아, 이들은 이 주제에 대해 충분히 강하게 느끼고 있었으며, 학생들은 진료실이나 병원을 떠난 후에는 그들의 profession과 connection이 없는 private이라고 말했다. 여러 학생이 항상 높은 수준의 프로페셔널리즘을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고된 프로그램에서 downtime이 필요함을 옹호했다.
One distinct finding from this study was students’ perception of how expectations of professionalism apply in and out of the workplace. While respondents all agreed that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must be professional at all times in the workplace, there were differences of opinion regarding what is acceptable in one’s free time. Many respondents (20%) felt strongly enough about this topic for taking the time to write extensive comments, expressing ‘‘free time is my time’’, and respondents felt that once they left the clinic or hospital, they were private individuals with no connection to their profession. Many comments mentioned how impossible it is to be held to a high standard of professionalism at all times and defended the need for downtime in a demanding program.
마지막으로 놀라운 것은 학생들의 프로페셔널리즘 개념에 대한 이해였다. 여러 학생들은 프로페셔널리즘을 거의 인간이 아니라 로봇의 행동으로 생각했다 : 유머가없고, levity도 없고, 개성이 자리할 공간도 없다. 이 의견은 응답자가 프로페셔널리즘의 개념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 발견은 더 깊이 탐구되어야하며 커리큘럼 디자인에 잠재적 인 영향을 미칩니다.
Finally, a surprising finding was students’ apparent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as a concept. Many of the comments alluded to professionalism as almost inhuman, robotic behaviour: no humour, no levity and no accommodation for personality. These comments suggest that respondents may not fully understand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This finding needs to be explored further and has potential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sign.
한계와 연구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여러 기관에서 비슷한 결과가 나오는지
Another area for future research is to replicate the survey across multiple institutions to determine if similar findings arise.
결론
Conclusion
프로페셔널리즘은 학생들에게 어려운 개념입니다. 전문가가 되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한다고 profess하면서도, 프로페셔널한 행동은 어떤 것인지에 대한 응답자의 설명은 비현실적이었습니다. 커리큘럼에는 프로페셔널리즘이 무엇인지에 대한 보다 명확한 정의와 설명이 포함되어야합니다. 프로페셔널하게 행동한다고 해서 자신의 정체성과 성격을 완전히 잃는 것은 아니며, 프로페셔널리즘 교육 과정에서 명시 적으로 가르쳐야합니다.
Professionalism is a difficult concept for students. Even when they profess to understand what it is to be a professional, our respondents’ explanations of what professional behaviour looks like was unrealistic. Curriculum needs to include more clear definitions and descriptions of what it is to be a professional. Acting in a professional manner does not need to mean completely losing one’s own identity and personality, and this needs to be explicitly taught in professionalism curricula.
- 제한된 시스템 내에서 공개 또는 반 공개 프로필을 작성한다.
- 연결을 공유하는 다른 사용자의 목록이 분명하다
- 시스템 내에서 자신 및 다른 사용자가 작성한 연결 목록을 볼 수 있으며, traverse할 수 있다.
- construct a public or semi-public profile within a bounded system;
- articulate a list of other users with whom they share a connection; and
- view and traverse their list of connections and those made by others within the system.
"I have the right to a private life": medical students' views about professionalism in a digitalworld.
Author information
- 1
- University of Alberta , Canada.
Abstract
BACKGROUND:
AIMS:
METHODS:
RESULTS:
CONCLUSIONS:
- PMID:
- 23826730
- DOI:
- 10.3109/0142159X.2013.802301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페셔널리즘 평가를 위한 블루프린트: 체계적 문헌고찰(Acad Med, 2009) (0) | 2017.12.11 |
---|---|
의과대학생들의 프로페셔널리즘 실수의 이해를 위한 프레임워크: TPB를 FTP에 적용하기(Acad Med, 2016) (0) | 2017.12.09 |
온라인 의료 프로페셔널리즘: 환자와 공중관계성 ACP-FSMB 정책강령(Ann Intern Med, 2013) (0) | 2017.12.06 |
독립변수이자 종속변수로서의 동기: 문헌 고찰(Med Teach, 2011) (0) | 2017.12.04 |
의과대학생의 경청 능력 키우기(Med Teach, 2009) (0) | 2017.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