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생의 경청 능력 키우기(Med Teach, 2009)

Preparing medical students to become attentive listeners

J. DONALD BOUDREAU1, ERIC CASSELL2 & ABRAHAM FUKS1

1McGill University, 2Cornell University




도입

Introduction


이 에세이는 의료 학생들이 조심스럽고 세심하고 사려 깊은 의사가 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시리즈 중 두 번째입니다. 첫 번째 시각적 관찰에 중점을 둡니다. 이제 우리는 경청으로 주의를 돌립니다.

This essay is the second in a series on preparing medical students to become observant, attentive and thoughtful physicians. The first focused on the teaching of visual observation. We now turn our attention to listening.


의사와의 만남에 대해 환자가 겪고있는 주요 불만은 의사가 듣지 않는다는 것인데, 증거는 매우 많다 (Golman 1991; Chisholm 외 2006, Boudreau 2008). 불행히도, 환자들은 듣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지만, 그러한 외침이 청취 기술 숙달에 대한 커리큘럼 강조 또는 의사의 교육 목표로서의 인식으로 이어지지 못했습니다. not being listened and not being heard 경험은 환자 불만의 주된 원인이며, 의사 소통 실패는 환자가 소송을 하는 근본 동기로 종종 인용됩니다 (Vincent et al., 1994; Levinson et al. 1997).

The major complaint that patients have about their encounters with physicians is that doctors do not listen – the evidence is legion (Golman 1991; Chisholm et al. 2006; Boudreau 2008). Unfortunately, the importance that patients attribute to listening has not led to a curricular emphasis on proficiency in listening skills, nor to its recognition as a personal education goal amongst physicians. The experience of not being listened to and hence, not being heard, is a major source of patient dissatisfaction and failures in communication are often cited as an underlying motive by patients for lawsuits (Vincent et al. 1994; Levinson et al. 1997).


의사 소통 기술을 핵심 교육과정의 특징으로 만드는 필요성에 대한 의학교육자의 인정은 유익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사 및 학습자 매뉴얼은 듣기 기술에 대한 언급이 부족합니다.

The acceptance by medical educators of the need to make communication skills a feature of core curriculum has been salutary. However, most of the teacher and learner manuals make scant mention of the skill of listening.


듣기는 일상 생활의 일부이자 소소한 복잡한 현상입니다. 또한 여러 분야에서 음악, 언어학, 커뮤니케이션 연구, 사회학, 교육, 철학, 비즈니스 등에서도 다루어집니다. 이러한 분야는 듣기가 중시되는 여러 상황 (예 : 갈등 해결, 기호학, 담화 분석, 언어 개발 및 수사)을 다양한 각도로 탐구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인상적인 접근 방식을 이끌어 냈으며 각각 선호하는 잠재 고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예 : 

  • 적극적 경청 (보건 전문직에서); 

  • 효과적 경청 (비즈니스 및 경영); 

  • 분석적 경청 (음악); 

  • 공감적 경청 (심리 요법에서); 

  • 대화적 경청 (언어학). 

Listening is a complex phenomenon that is part and parcel of day to day life. It is also addressed by many disciplines, the most obvious being music, but also linguistics, communication studies, sociology, education, philosophy and business, to name a few. These disciplines will, to varying degrees, explore many situations where listening is considered significant (e.g. conflict resolution, semiotics, discourse analysis, language development and rhetoric). This situation has led to an impressive array of approaches, each with its favored audience. Examples include: 

  • active listening (in the health professions); 

  • effective listening (in business and management); 

  • analytic listening (in music); 

  • empathic listening (in psychotherapy); and 

  • dialogic listening (in linguistics). 


따라서 청취의 정의와 범위는 매우 맥락적일 수있다.

The definition and scope of listening are therefore likely to be highly contextual.




배경과 맥락

Background and context


2005 년에 우리의 의과 대학은 의사 자격을 부여하는 새로운 커리큘럼 구성 요소를 도입했습니다 (Boudreau 2007). Physicianship은 일반적인 용어가 아니며, 정의가 필요하다. 그것은 명사이며, '우정'이라는 단어와 마찬가지로 의사의 기능과 직무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소유하고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In 2005, our Faculty of Medicine introduced a new curricular component entitled physicianship (Boudreau 2007). Physicianship is not a term in common usage and merits definition; it is a noun, and like the word ‘friendship’, refers to a state wherein one possesses the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for the function and office of physicians.


경청에 관한 모듈을 개발할 때, 우리는 주로 이 논문의 저자 인 Eric Cassell의 이전 연구에서 이끌어 냈습니다. 1970 년대 초, 그는 800 명의 환자 - 의사 대화방 내에서 일어난 대화를 청각 적으로 녹음했으며, 그 중 많은 사람들이 재발 방문을 통해 대화를 녹음했습니다. 전사 된 대화를 분석하여 언어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임상 환경에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이끌어 냈습니다 (Cassell, 1985).

In developing the modules on listening we were guided primarily by the previous work of one of the authors of this paper, Eric Cassell. In the early 1970s, he audiotaped conversations that took place within 800 patient-doctor dyads, many of them over recurrent visits. The transcribed conversations were analyzed and resulted in an enriched understanding of how language works and how it can be used in the clinical setting (Cassell 1985).


과목 개발: 원칙

Course development: guiding principles


(1) 교육과정 청사진은 임상 방법의 각 요소 (예 : 청취)가 근본적이며 필요한 핵심 임상 기술임을 인정해야합니다. 결과적으로 모든 학생들이 관련 활동에 참여할 것을 요구하면서 핵심 교과 과정에 통합되어야합니다.

(1) A curricular blueprint must accept that each element of the clinical method (e.g. listening) is a fundamental and necessary core clinical skill. Consequently, it must be integrated in core curricula, with the requirement that all students will participate in related activities.


(2) 특정 학습 목표를 명확히 명시해야합니다.

(2) Specific learning objectives must be clearly specified. 


(3) 교수 전략은 일반적으로 받아 들여지는 기술 교육의 규범을 존중해야하며, 반복적 연습의 필요성이 중요하다. 또한 형성 적 및 총괄적인 의도로 성과 평가가 이루어져야합니다. 퍼포먼스에 대한 자세하고 즉각적인 피드백 (이 경우 듣기 수행능력)은 매우 중요합니다.

(3) The teaching strategies employed should respect the generally accepted norms for skills teaching, an important aspect of which is the need for repetitive practice. There must also be performance assessments, with both formative and summative intents. Detailed and prompt feedback on performance (in this instance, listening performance), is critically important.


(4) 의학 교육자는 그들이 의학을 가르치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 이 경우에는 언어학이 아니라 듣기 및 언어 사용에 초점을 맞춥니다. 따라서 우리는 학습이, 이상적으로는,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맥락에서 이루어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4) Medical educators must not lose sight of the fact that they are teaching medicine; in this instance, the focus in on listening and language use, not linguistics. In this spirit, we consider that learning should, in the ideal situation, take place in clinically meaningful contexts.


임상에서 경청의 핵심 원리

Core principles of listening in the clinical context


우리는 '적극적' 경청의 8 가지 핵심 원칙을 확인했습니다.

We have identified eight core principles in what we have labeled ‘attentive’ listening.


(1) 세심한 청취는 지각 적,인지 적, 사회적 행동입니다.

(1) Attentive listening is a perceptual, cognitive and social act.


(2) 세심한 청취는 능동적 인 과정이다.

(2) Attentive listening is an active process.


(3) 주의 깊은 청취는 화자, 발화, 청취자로 구성된다.

(3) Attentive listening is triadic: the speaker, the utterance, and the listener.


(4) 주의 깊은 청취를 위해서는 단어 선택, 준언어, 비언어적 신호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4) Listening attentively involves focusing on word choice, paralanguage and non-verbal cues and signs.


(5) 주의 깊은 청취는 다음을 필요로한다 : 수용성, 말한 언어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이해, 열린 마음과 추론 사이를 오갈 수있는 능력.

(5) Listening attentively requires: receptiveness; an understanding of how spoken language works; and an ability to move between open-mindedness and an awareness of inference.


(6) 세심한 듣기는 다음을 성취 할 수있다 : 연사 (즉, 환자)의 인격과 관심사를 드러낸다. 진단 관련 데이터를 생산한다. 치유를 돕는다.

(6) Attentive listening can accomplish the following: reveal the personhood and concerns of the speaker (i.e. the patient); produce diagnostically relevant data; assist in healing.


(7) 세심한 청취는 중립적 인 행위가 아니며 환자, 의사 및 그 관계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7) Attentive listening is not a neutral act – it can have positive and negative impact on the patient, physician and their relationship.


(8) 세심한 청취는 새로운 습관의 형성을 필요로한다.

(8) Attentive listening necessitates the formation of new habits.




적극적 경청은 지각적, 인지적, 사회적 행위이다.

Attentive listening is a perceptual, cognitive and social act


듣기를 경청과 혼동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적절한 신경 감각 경로를 활성화시키는 듣는 능력은 경청에 필수적이지만 불충분하다. 청취는 해석을 포함하는 지각 및 인지 행동입니다. (단계 나 요소가 무의식중에 이뤄지더라도) 청취자는 청취 내용을 처리하고 생각합니다. 해부학적 생리적 상관 관계가 있습니다. 피질은 단지 수동적으로 감각 입력을 받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능동적으로 변조한다. 피질은 주어진 순간에 관심이 있거나 관련이있는 것을 듣거나 보거나 느낄 수 있습니다.

There is a tendency to confuse listening with hearing. The ability to hear, to activate appropriate neurosensory pathways, is a necessary but insufficient requirement for listening. Listening is a perceptual and cognitive act that includes interpretation. A listener processes and thinks about what is heard – even if steps or elements occur below awareness. There is an anatomico-physiological correlate to this. the cortex does not simply passively receive sensory input but that it actively modulates it. The cortex may hear/see/feel what is of interest or relevant at a given moment.


'Hear/Listen'의 이중성은 의학 현상학에 관한 흥미로운 논문에서 제기됩니다. Baron은 환자의 흉부를 청진 (aicult)하는 환자의 만남을 설명함으로써 기사를 시작합니다. 환자가 질문을하기 시작하면 의사의 응답은 '조용히 하세요. 내가 listen하는 중에는 당신을 hear할 수 없어요'라고 답한다.

The duality of ‘hear/listen’ is raised in an intriguing paper on medical phenomenology. Baron begins the article by describing a patient encounter where he is ausculting (sic) a patient’s thorax. When the patient starts to ask a question, the physician’s response is, ‘Quiet, I can’t hear you while I’m listening.’


적극적 경청은 능동적 프로세스이다.

Attentive listening is an active process


듣는 것은 일을 의미합니다. 그것은 수동적 현상이 아닙니다. 목표 지향 상호 작용이 규칙인 환자-의사 세팅에서 청취자는 종종 동시에 수행되는 많은 작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Listening implies work; it is not a passive phenomenon. In the patient-doctor setting, where goal-oriented interaction is the rule, the listener is engaged in many tasks, often attended to concurrently.




적극적 경청의 3요소: 화자, 발화, 청자

Attentive listening is triadic: the speaker, the utterance, and the listener


듣는 사람은 발화을 듣고 이해할 것입니다. 발화는 말의 기본 단위입니다. 그것은 언어의 존재가있는 곳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발화는 중립적이거나 불활성적이지 않습니다. ‘bare unadulterated facts’가 아니다. 그들은 의미에 물들어 있으며, 그들이 가지고있는 의미는 항상 사람에게 속한다. 그들은 발언하고 듣는 사람들에게 달려 있습니다. 따라서 듣기는 삼중적 과정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을 기술하기 위해 비슷한 틀을 사용했다. '연설에서 세 가지 요소, 즉 연설자, 주제, 청중이며, 연설의 끝과 목표를 결정하는 것은 마지막, 즉 듣는 사람이다.'(Aristotle 1959).


A listener will hear and apprehend an utterance. The utterance is the basic unit of spoken language. It is where the being of language resides. But, these utterances are not neutral or inert – the equivalent of ‘bare unadulterated facts’. They are imbued with meanings and the meanings they carry always belong to persons. They will depend on the persons who are uttering them and hearing them. Listening is thus a triadic process. Aristotle used a similar framework to describe rhetoric: ‘For of the three elements in speech making – speaker, subject, and person addressed – it is the last one, the hearer, that determines the speech’s end and object.’ (Aristotle 1959).




주의 깊은 청취를 위해서는 단어 선택, 준언어, 비언어적 신호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Listening attentively involves focusing on word choice, paralanguage and non-verbal cues and signs


환자가 단어를 선택하는 방법과 단어를 선택하는 방법은 두 가지를 나타냅니다.

    • (1) 연사가 청취자에게 말하는 내용 또는 청취자에게 말하려는 것

    • (2) 연설자 자신을 묘사한다.

바흐틴 (Bakhtin)은 '소설의 담화'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The choices that patients make in selecting words, and the way they put them together, reveal two things: (

1) they describe what the speaker is referring to or trying to tell the listener and 

(2) they describe the speaker himself or herself. 

Bakhtin, ‘Discourse in the novel’, says:


[언어로] ... '중립적 인'단어와 형태는 없습니다. 단어와 형식은 '누구에게도' 속할 수 없는 것이다. 언어는 의도와 악센트로 발화된 순간 완전히 넘어가는 것이다.. 모든 단어는 직업, 장르, 경향, 파티, 특정 작업, 특정 사람, 세대, 연령 그룹, 요일 및 시간의 '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 단어는 사회적으로 과분한 삶을 살아온 문맥과 맥락을 맛 본다. 모든 단어는 의도intentions로 채워진다 (Bakhtin 1981).

[in language], ...there are no ‘neutral’ words and forms – words and forms that can belong to ‘no one’; language has been completely taken over, shot through with intentions and accents. ... All words have the ‘taste’ of the profession, a genre, a tendency, a party, a particular work, a particular person, a generation, an age group, the day and hour. Each word tastes of the context and contexts in which it has lived its socially charged life; all words are populated by intentions (Bakhtin 1981).



단어 자체 이외에도 paralanguage라고하는 음성 언어의 비 단어 기능이 있습니다. Paralanguage는 음성 품질, 음량, 연설 률, 리듬, 일시 중지와 같은 측면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음성prosodic 품질과 음향 적 모양을 포함합니다. 이 데이터는 연사의 emotional and affective 상태에 관하여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임상 환경에서 특히 중요합니다.

In addition to the words themselves are the non-word features of spoken language, referred to as paralanguage. Paralanguage includes the prosodic quality and acoustic shape of human speech and includes aspects such as voice quality, volume, speech rate, rhythm and pauses. These data provide important clues on the emotional and affective states of the speaker and are particularly crucial in the clinical setting.



한편, 비언어적 의사 소통은 시각적 관찰 영역에있다. 관찰 의사는 눈과 입술, 얼굴 표정, 몸의 자세와 자세, 자발적인 움직임 (특히 손)뿐만 아니라 틱이나 떨림과 같은 임의의 비자발적 움직임에 세심한주의를 기울여야합니다.

Non-verbal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resides in the domain of visual observation; the observant physician needs to pay close attention to movements of the eyes and lips, facial expressions, body position and stance, voluntary movements (especially of the hands) as well as any involuntary movements, for example, tics or tremors.


독자는 개인의 '듣기 스타일'을 파악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 학자가 성격 프로필을 위해 개발 된 것과 유사한 설문지 기반 인벤토리를 설계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The reader might be interested in knowing that communication scholars have designed questionnaire-based inventories, similar to those developed for personality profiles, to identify the ‘listening styles’ of individuals.


또한 어떤 커뮤니테이션 전문가들은 훈련을 통해 청취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부인했습니다 (Petrie 1964). 우리는 정중하게 그들과 동의하지 않습니다.

It must also be noted that certain experts in communication studies have denied that listening abilities can be improved through training (Petrie 1964). We respectfully disagree with them.



주의 깊은 청취는 다음을 필요로한다 : 

  • 수용성, 

  • 말한 언어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이해, 

  • 열린 마음과 추론 사이를 오갈 수 있는 능력.

Listening attentively requires: 

  • receptiveness, 

  • an understanding of how spoken language works, and 

  • an ability to move between open-mindedness and an awareness of inference


Receptiveness란 청자가 특정 시간, 특정 장소 및 상황에서, 그리고 특정 연사가 있을 때 자신을 발견하는 ‘being-ness’의 품질을 의미합니다. 그것은 '마음의 틀a frame of mind'이라는 용어로 요약 될 수 있습니다. 

    • 흥미로운 점은 영어로 '듣다to listen'라는 말은 능동적 과정이고, 동사이다. 즉 뭔가 하는 것입니다

    • 대조적으로, 동등한 표현을 불어로 표현하면 '듣는 상태에있는 것'으로 번역할 수 있다.

이 언어 적 구별은 임상 양상에서 두 가지 측면 모두가 효과적이어야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 수용적이어야하며, 실제 퍼포먼스에 engage하고 있어야한다.

Receptiveness refers to the quality of ‘being-ness’ in which the listener finds himself or herself at a particular time, in a particular place and context, and in the presence of a particular speaker. It can be encapsulated with the term ‘a frame of mind’. It is interesting that in English, the phrase ‘to listen’ is an active process, a verb – a doing of something. In contrast, in French, the equivalent expression is ‘eˆtre a` l’eˆcoute’ – this is best translated as ‘being in a state of listening’. This linguistic distinction underlines that both aspects should be operative in clinical settings: being receptive and being engaged in an actual performance.


언어가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하려면 현실을 창출하는 데 있어 언어의 중요성을 인식해야합니다. 인간은 언어를 통하지 않고는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다고 종종 말합니다. Cassell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우리는 언어를 통해 현실을 묘사 할뿐만 아니라, 실제로 그것을 도용appropriate 합니다. 즉, '우리는 우리에게 그것을 현실로 만듭니다'. 이 도용appropriation 은 고도로 개인적인 것일 수있다. (Cassell, 1985). 바크 틴 (Bakhtin)은 연설의 행위를 '문학적 - 언어적 퍼포먼스'로 묘사했다 (Bakhtin 1981).

To understand how language works one must appreciate its importance in creating reality. It is often said that humans do not understand meaning except through language. Cassell states, ‘By means of language we not only describe reality, we actually appropriate it, that is ‘we make it real’ to ourselves. This appropriation may be – and usually is – highly individual’ (Cassell 1985). Bakhtin has described the act of speech as a ‘literary-verbal performance’ (Bakhtin 1981).


훈련이 안 되어있는 청취자는, 대화 시에 겉으로 보기에 관계없는 발화에 직면했을 때 화자를 nonsensical하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으며, 따라서 화자를 비논리적이며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우리는 모든 비-정신병적 인간의 대화는 논리적이라고 믿습니다. 논리의 단순한 정의(결론에 도달하는 일련의 전제를 연결하는 것)를 따르지 않는다는 것이, 화자에게 근본적인 신념 체계 또는 설명 적 모델이 결여되어 있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그들은 세심한 청취자가 발견 할 수있는 것입니다.

The untrained listener may, when faced with a series of seemingly unrelated utterances in a conversation, conclude that the speaker is nonsensical and therefore dismiss the speaker as illogical and not to be heeded. We believe, however, that all non-psychotic human conversations are logical. Not conforming to a simple definition of logic, that is, connecting a series of premises to arrive at a conclusion, does not mean that the speaker lacks an underlying belief system or explanatory model – they are for the attentive listener to discover.


오픈 마인드의 개념은 청자가 자기자신의 지각적, 인지적, 감정적 필터를 가져오려는 시도를 인지함을 의미합니다. 그것은 분명히 어렵고 확률 적으로 성취 불가능한 시도로서, 화자의 발언이 unedited and untarnished 방식으로 들리고 이해 될 수있는 기회를 창출하기위한 시도입니다.

The concept of open-mindedness implies that the listener is attempting to bring to awareness, his or her own perceptual, cognitive and emotional filters. It is an attempt, admittedly difficult and likely unachievable in full, to create an opportunity whereby the speaker’s utterances can be heard and apprehended in an unedited and untarnished manner.


이 조정과정accommodation은 주의 깊은 청취의 중요한 부분으로, [정보의 수용자와 온전히 대화에 참여하는 상대방] 사이에서의 조정이다. 청자에게서 형성되는 생각 및 감정은 '내면의 목소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심한 청자는 외적 목소리(즉, 화자)에서 내면의 목소리 사이를 오갈 수 있어야합니다(한 극에서 다른 극으로)(Jackson 1992).

This accommodation, between being a recipient of information and a fully engaged dialogic partner, is a crucial aspect of attentive listening. The thoughts and emotions that are formed in the listener may be referred to as the ‘inner voice’. The attentive listener must be able to swing from the external voice (i.e. speaker) to that inner voice – from one pole to the other (Jackson 1992).


이 균형을 이루는데 필요한 장치를 설명하면서, 정신 분석 학자 인 테오도르 레이크 (Theodor Reik)는 Neitzsche의 '제 3의 귀'에 대한 개념, 즉 환자로부터 재귀적으로recursive 반복되는, 그 들리지 않는 것들을 받을 수있는 귀를 언급하였다. 바깥 쪽outer에서 내면inner 목소리로 적절히 움직이는 것을 강조하는 것도 중요하며, 이것은 각각의 '방송 시간'을 똑같이 주는 것(각각 턴을 갖는것) 만큼이나 간단하지 않습니다. 

In describing the apparatus necessary to accomplish this the balancing act, psychoanalyst Theodor Reik borrowed Neitzsche’s concept of the ‘third ear’ – the ear that can receive those inaudible things that are recursive to and from patients. It is also important to underline that to move appropriately from outer to inner voice is not as simple as giving each equal ‘air time’, viz. each taking a turn.


해석이 없는 경청은 없다. 반대로, 우리는 학생이 '성찰적 유추'를 이해하도록 인도되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청취의 필수적인 측면으로 'self-aware interpretation'을 포함시키는 것은 '듣고hear 듣고listen 인식하고recognize 해석하는interpret 과정'으로 정의되어왔다 (Toussaint 1960 ). 그러나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Interpretation cannot be purged from listening; on the contrary, we consider that the student must be guided to understand ‘reflective inference’. The inclusion of ‘self-aware interpretation’ as an essential aspect of listening has been captured with the term ‘auding’ – it has been defined as ‘the process of hearing, listening to, recognizing, and interpreting the spoken language’ (Toussaint 1960). The term is, however, not commonly used. 



세심한 듣기는 다음을 성취 할 수있다 : 

  • 연사 (즉, 환자)의 인격과 관심사를 드러낸다. 

  • 진단 관련 데이터를 생산한다. 

  • 치유를 돕는다.

Attentive listening can accomplish the following: 

  • reveal the personhood and concerns of the speaker(i.e. patient); 

  • produce diagnostically relevant data; 

  • assist in healing 


듣기는 관련 임상 정보를 이끌어 낼 수있는 능력에서 무엇과도 비교될 수 없는unmatched 기술입니다. 세심한 의사는 환자의 이야기나 서사의 관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며, 무엇이 환자를 괴롭히는지에 관한 가설을 세웁니다. 그들의 공동 해석은 미래의 행동으로 향할 것입니다. 경청는 환자의 성격personhood을 드러내는 데 효과적 일 수 있습니다. 특히 청취자가 말의 선택과 언어에 주의를 기울이는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이 특정 임상 기술은 환자의 건강 및 질병 개념을 이해할 수있게합니다. 특정 병에 대한 자신의 설명; 가치, 희망 및 두려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많은 환자들이 듣는 것이 치유 과정의 일부라고 선언했습니다.


Listening is a skill unmatched in the capacity to elicit relevant clinical information. The attentive physician can better decipher and understand the point of the patient’s story or narrative and thence, generate tentative hypotheses regarding what ails the patient. Their joint interpretation will point the way to future action. Listening can be effective in revealing the personhood of the patient, particularly if the listener is attentive to word choice and paralanguage. This specific clinical skill can lead to an understanding of a patient’s concept of health and illness; his or her explanations for a particular sickness; and his or her priorities, values, hopes and fears.Many patients have declared that being listened to is part of the healing process. 


세심한 청취는 중립적 인 행위가 아니며 환자, 의사 및 그 관계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Attentive listening is not a neutral act – it can have positive and negative impact on the patient, the physician and their relationship


제대로 수행되지 않으면 결과가 위해할 수 있고 상처만 줄 수 있습니다. 

    • "Half-listening"은 환자를 disenfranchise할 수 있습니다. 

    • 'Distracted listening'는 의사에게 잘못된 리드를 유발할 수 있으며, 환자의 우려 사항에 침투하지 못한다는 것을 반영 할 수 있습니다. 적어도 환자는 그렇게 해석 할 수 있습니다. 

    • 'Selective listening'는 환자를 어린애 취급하거나 좌절시킬 수 있습니다.


If done poorly,  the consequences can be pernicious and result in wounding.

    • ‘Half-listening’ can disenfranchise the patient. 

    • ‘Distracted listening’ can result in false leads for the physician and can reflect an imperviousness to patient concerns, at least, it may be so interpreted by the patient. 

    • ‘Selective listening’ can infantilize or frustrate the patient. 


세심한 청취에는 새로운 습관이 필요합니다.

Attentive listening requires the formation of new habits



일반적으로 대화에서 listening을 자동으로 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naive'한 듣기에서 사람들은 말한 것을 듣고, 곧바로 자신의 발화에 의미를 투영합니다. 주의 깊은 듣기에 대한 저항이 많기 때문에 의학 선생님은 종종 "'Active listening'는 무엇을 했느냐보다 무엇을 하지 않았느냐로 특징지어진다"라고 코멘트하곤 한다'( Robertson 2005). 즉, 훈련에서 초보자는 나쁜 습관을 인식하고 그것을 극복하려고 시도해야합니다

  • 중간에 말 끊기,

  • 성급한 reassurance와 premature한 조언

  • 개방형 질문의 불충분 한 사용

  • 침묵 또는 긴 멈춤을 불편해함


In normal conversation there is a tendency to consider listening as automatic. In ‘naı¨ve’ listening, people hear what is spoken and immediately project on the utterance their own meanings. This is a common ‘road block’ to attentive listening. Since there is much resistance to attentive listening, medical teachers often comment that, ‘it [active listening] is characterized more by what is not done than by what is done’(Robertson 2005). That is, in training, the novice must become aware of and attempt to overcome bad habits; these include things such as 

  • interruptions, 

  • hasty reassurances and premature advising, 

  • insufficient use of open-ended questions, and 

  • discomfort with silence or long pauses. 



원칙 묘사하기

Illustrating the principles


paralanguage를 가르치는 것과 관련하여 우리는 학생들에게 기술적 용어의 용어집과 기본 틀을 갖추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그것의 간단한 버전이 표 1에 나와 있습니다. 우리는 paralanguage의 특징들, 즉 말하기 비율의 일시 중지 및 볼륨의 가변성을 학생들이 그래픽으로 볼 수 있도록 실험했습니다.우리는 오디오 편집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Sound Forge 9, Professional Digital Audio Production, Sony)을 사용하여 음성 파형을 생성했으며 효과적인 교습 도구임을 확인했습니다. 예가 그림 1에 나와 있습니다. 그것은 임상 적 우울증 환자의 말소리의 음향 형태 변화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With respect to teaching paralanguage we have found it useful to equip students with a framework and a glossary of descriptive terms. A simplified version of it is presented in Table 1. We have experimented with making selected features of paralanguage, namely pause to speech ratio and variability in volume, graphically visible to students. We created speech waveforms using an audio editing software program (Sound Forge 9, Professional Digital Audio Production, Sony) and have found these be effective teaching aids. An example is presented in Figure 1; it demonstrates the variation in the evolution in the acoustic shape of the speech of a patient with clinical depression.







학생들은 premise를 식별하고 환자의 논리 흐름이 나타나도록 premise들을 다시 배열해야합니다. 명백한 혼란을 줄이기 위해 (종종 훈련받지 않은 청취자가 'nuttiness'라고 해석하는), 우리는 이야기를 이해하고 환자를 존경하는 마음을 갖습니다. 위 작업에 대한 우리의 반응은 그림 2에 나와 있습니다.

Students are asked to identify the premises and rearrange them so the patient’s flow of logic emerges. In diminishing the apparent chaos, (often interpreted as ‘nuttiness’ by the untrained listener), we help understand the story and bolster a sense of respect for the patient. Our response to the above task is presented in Figure 2.



결론

Conclusion


예리한 관찰자뿐만 아니라 세심한 청취자가 되는 의대생의 준비는 두 가지 보완적인 목표에 의해 동기 부여되었습니다.

  • 첫 번째는 학생들에게 physicianship의 기본 목표를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것으로 간주되는 임상 방법의 기술, 즉 의사가 질병에서 아픈 사람으로 시선을 옮기는 기술을 갖추게 하려는 욕망입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밀접하고 분별력있게보고 완전하고 진실되게 듣는 능력을 습득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두 번째는 의대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transformation에 기여하는 것입니다. 변형 과정에 대한 비판적인 교육에서 많은 부분이 쓰여졌다.

The preparation of medical students to be attentive listeners, as well as keen observers, has been motivated by two complementary aims. 

  • The first is a desire to equip students with the skills of a clinical method deemed to be suitable in advancing the basic goal of physicianship, that is, redirection of the physician’s gaze from disease to the sick person. Acquiring an ability to see closely and discerningly and to listen fully and authentically, is a requisite in achieving this objective. 

  • The second is to contribute to the transformation which students experience in medical school. Much has been written in critical pedagogies about the transformative processes.

최근에 실시 된 미국 성직자 교육에 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이 교육의 중심에는 formation이라는 아이디어가 있습니다. 교수와 학습은 사실이나 인지 도구를 전달하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습니다. formative라는 의미에서 배움이란 학생이 특정 방식으로 사고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존재가 되는 니다. '(Foster et al., 2006).

A recently conducted study on the education of American clergy states: ‘At the center of this pedagogy is the idea of formation: the recognition that teaching and learning are about much more than transferring facts or even cognitive tools. Learning in the formative sense is a process by which the student becomes a certain kind of thinking, feeling and acting being’ (Foster et al. 2006). 


이 묘사는 의학에 전적으로 적용되며, 우리는 다음과 같이 그것을 적용합니다 : 'Formative한 의미에서 배우는 것은 학생이 특정 방식으로 생각하고, 느끼고, 보고, 듣고, 행동하는 존재가 되는 것이다.'그것은 우리에게 분명 해졌다. 이러한 원칙과 실례를 개발할 때 임상 영역에서 주의 깊게 듣는 것은 '임상 청취'라는 특정 용어를 정당화 할 수있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있다.

This description is entirely applicable to medicine, and we adapt it as follows: ‘Learning in the formative sense is a process by which the student becomes a certain kind of thinking, feeling, seeing, listening and acting being.’ It became evident to us, in developing these principles and examples, that attentive listening in the clinical domain has such unique features that it may warrant the specific term, ‘clinical listening’.



일부 학생들은 의학적 인터뷰와 의사 소통 기술에 대한 특정 기술을 가르친 후에 듣기를 가르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임상 교육자들은 (비록 어떤 경우에는 그렇지 않음에도) 기술 교육이 특정 순서를 따라야하고, 복잡한 기술보다 단순한 기술을 먼저 습득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우리가 듣는 법을 배우는 것이 환자와 완전한 의학적 인터뷰를 수행하는 것을 배우는 것보다 쉬울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그 반대 일 수 있습니다. 임상 로테이션 중에 보완적인 접근법을 통해 이러한 기술을 강화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의료 인터뷰를 관찰하여 청취 오류를 식별 한 다음 학생의 오류를 탐구해야합니다.


Some students have argued that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teach listening after they have been taught the medical interview and specific techniques in communication skills. generally Clinical educators believe (even if erroneously so in certain instances) that skills teaching must follow a certain order and that the acquisition of simple skills should precede the complex. While we assumed that learning how to listen would be easier than learning to conduct a complete medical interview with patients, it may actually be the reverse. We may need to reinforce these skills, with a complementary approach later during clinical rotations, by identifying errors in listening during observed medical interviews and then exploring these errors with the students.





 2009 Jan;31(1):22-9. doi: 10.1080/01421590802350776.

Preparing medical students to become attentive listeners.

Author information

1
Office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Physicianship Program, McIntyre Medical Sciences Building, McGill University, Montreal, QC, Canada. donald.boudreau@mcgill.ca

Abstract

BACKGROUND:

The ability to listen is critically important to many human endeavors and is the object of scholarly inquiry by a large variety of disciplines.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active listening skills in clinical practice have been elucidated previously, a cohesive set of principles to frame the teaching of these skills at the undergraduate medical level has not been described.

AI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inciples that underlie the teaching of listening to medical students. We term this capacity, attentive listening.

METHODS:

The authors relied extensively on prior work that clarified how language works in encounters between patients and physicians. They also conducted a review of the applicable medical literature and consulted with experts in applied linguistics and narrative theory.

RESULTS:

They developed a set of eight core principles of attentive listening. These were then used to design specific teaching modules in the context of curriculum renewal at the Faculty of Medicine, McGill University.

CONCLUSIONS:

Principles that are pragmatic in nature and applicable to medical education have been developed and successfully deployed in an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um.

PMID:
 
19140065
 
DOI:
 
10.1080/0142159080235077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