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교육연구: 서비스와 사이언스의 균형(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07)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Balancing Service and Science*
MATHIEU ALBERT1,2,*, BRIAN HODGES1,2 and GLENN REGEHR1,3
1Wilson Centre for Research in Education, Toronto General Hospital, University of Toronto Faculty of Medicine, 200 Elizabeth Street, Eaton-South 1-581, Toronto, ON M5G 2C4, Canada; 2Department of Psychiatry,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3Department of Surgery,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author for correspondence, phone: +1-416-340-4800 ext. 6106; fax: +1-416-340-3792; e-mail: Mathieu.albert@utoronto.ca)
도입
Introduction
1990 년대 후반 이후, 영어권 의학 교육 연구 공동체는 우선순위를 두어야 하는 연구 유형에 관한 토론에 참여해왔다 (Albert, 2004).
Since the latter part of the 1990’s, the English speaking medical education research community has been engaged in a debate regarding the types of research that should take precedence (Albert, 2004).
이 논쟁의 핵심은 세 가지 질문입니다.
Three questions are at the heart of this debate:
1. 의학 교육에 대한 연구가 응용 지향적(의학 분야의 요구에 부응)이어야 하는가 아니면 이론 지향적 이어야 하는가?
2. 연구의 audience는 누가 되어야 하는가?: 임상가 교육자, 대학 행정가, 전반적 대학 연구자 커뮤니티
3. 질적 연구 방법과 같이 자주 사용되지 않는 연구방법도 양적 방법만큼이나 정당한 결과를 산출 할 수 있습니까?
1. Must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maintain a heavily applied orientation (responding to the needs of faculties of medicine in the education of doctors) or should it be more open to theoretical questions?
2. To what audience should researchers target their work: clinician educators, university administrators, or the community of university researchers at large?
3. Could other, less frequently used methods such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produce results that are as legitimate as quantitative methods?
이 논쟁은 영어권 의학 교육 연구 세계가 엄청난 성장을 경험하는 순간에 발생합니다 (Bordages, 2000). 의학교육이 성장하면서 다양한 분야 (심리학, 커뮤니케이션, 운동 과학, 교육 등)의 연구자가 유입되고 있으며, 이들은 자신들이 속한 분야에서의 연구 모델과 관행뿐만 아니라 연구의 '성공'에 대한 정의도 가지고 들어온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개인들의 유입으로 인해 의학 교육 공동체가 확대되면서, 결과적으로 토론에 새로운 목소리와 전망이 추가되었습니다.
This debate comes at a moment when the English-speaking world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is experiencing tremendous growth (Bordages, 2000). With this growth, an increasing number of researchers from diverse disciplines (psychology, communication, kinesiology, education, etc) are entering the field and are bringing with them the research models and practices as well as definitions of ‘‘success’’ that are current in their own disciplines. Thus, the expansion and resulting inclusion of these diverse individuals into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has added new voices and perspectives to the debate.
이론적 프레임워크
Theoretical Framework
이론적 수준에서, 우리의 연구는 사회 학자 인 Pierre Bourdieu (1991, 1993a, 2004)가 개발 한 "분야field"개념에 중점을 둡니다. Bourdieu에게있어서, '분야'란 물질적 재화 나 상징물의 생산, 유통, 배분을 포함하는 "공간"이며, 여기에 참여하는 사람들player 사이의 관계를 포괄한다. 과학 분야에서 게임은 정당한 과학 ( '좋은'과학)의 정의입니다.
At a theoretical level, our study draws on the concept of ‘‘field’’ developed by sociologist Pierre Bourdieu (1991; 1993a; 2004). For Bourdieu, a field is a ‘‘space’’ encompassing both the production, circulation and appropriation of material goods or symbols (as for example in the fields of literature, art, science, or economy), as well as the power relations between players (individuals, institutions or social groups). In the scientific field, the game is the definition of legitimate science (of ‘‘good’’ science).
다양한 사회 분야가 bipolar한 형태로 구성됩니다. 과학 분야와 관련하여, 최근의 연구 (Albert, 2003, 2004)는 구조가 한쪽 끝에는 생산자를 위한 생산의 극 (PP 극), 그림 1 참조)과 다른 쪽에서는 사용자를위한 생산 극 (PU 극)이있다.
Various social fields are structured in a bipolar fashion. With regard to the scientific field, recent studies (Albert, 2003, 2004) have shown that the structure consists of, at one end, a ‘‘pole of production for producers’’ (PP pole; see Figure 1) and at the other, a ‘‘pole of production for users’’ (PU pole).
PP 극을 중심으로 한 연구자들은
과학적 생산이 지식의 발전을 우선적 목표로 하고, 연구는 우수성에 대한 엄격한 학문적 기준에 부응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자들은 과학계가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요구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자율성을 개발하고 유지하는 것을보고 싶어합니다.
토론에 참여할 권리는 전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과학적 능력에 달려 있으며 경제적, 정치적, 행정적 또는 기타 권한에 근거하여 영향력을 행사하고자하는 사람들은 제외됩니다.
The researchers that are concentrated around the PP pole argue that
scientific production should, first and foremost, aim for the advancement of knowledge and respond to strict academic criteria of excellence.
these researchers would like to see the scientific field develop and maintain its own autonomy in the face of demands arising from external sources.
More concretely,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debates depend exclusively on the scientific competence of those wishing to participate, and excludes those who would wish to exercise influence on the basis of economic, political, administrative or other power.
연속체의 다른 극단에는 관련성과 유용성을 근거로, 연구분야가 외부 영향을 수용해야 한다고 보는 연구자들이 있다(PU극).
이 연구원은 지식 사용자의 문제와 필요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하는 연구의 생산을 지원합니다.
이 극에 있는 현장 구성원의 경우 과학자 공동체 외부의 문제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과학자 자신의 공동체와 관련이 있는 것 만큼이나) 정당한 것이다.
또한 PP극의 연구자들과는 달리, 동료의 평가가 과학적 정당성을 획득 할 수있는 유일한 수단이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연구의 유용성, 현실 세계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내는 능력, 혁신으로의 전환 가능성도 마찬가지로 탁월한 연구의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At the other extreme of the continuum(the PUpole) are found researchers who, for reasons of relevance and utility, would like to see the field receptive to external influences.
These researchers support the production of research that aims to address the problems and needs of the users of knowledge.
For members of the field at this pole, studies targeted at issues from outside the community of scientists have a legitimacy equal to or greater than those that are immediately relevant only to the community of scientists themselves.
In addition, in contrast to their colleagues at the PP pole, these researchers argue that evaluation by peers does not constitute the only means by which work can acquire scientific legitimacy. The utility of the research, its capacity to identify solutions to a real world problem, and its potential conversion into an innovation can equally constitute criteria of excellence.
지역 사회의 구성원은이 두 극 사이의 연속체를 따라 분배됩니다.
members of the community are distributed along a continuum between these 2 poles.
방법론
Methodology
Purposeive sampling을 이용하여 참가자를 선정 하였다 (Kuzel, 1999). 포함의 주요 기준은이 참가자들이 의학 교육 연구 분야에서 "영향력있는 인물"인가 였다.
Purposive sampling was utilized to select participants (Kuzel, 1999). The primary criterion for inclusion was that these participants be ‘‘influential figures’’ 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인터뷰 가이드는 3 가지 주요 주제를 다뤘습니다.
The interview guide addressed 3 principal themes:
1. 의학 교육의 강점과 약점.
2. 의학 교육에서의 연구의 역할.
3. 의학 교육에서 지식의 발전과 관련된 이론의 유용성.
1.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2. The role of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3. The usefulness of theory in relationship to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in medical education.
인터뷰 분석은 2 단계로 수행되었습니다. 영향력있는 인물에 대한 인식 및 판단의 범주를 확인하기 위해 각 인터뷰에 대한 수직적 인 분석이 먼저 수행되었습니다. 모든 인터뷰에서 반복적 인 견해와 의견을 식별하기 위해 횡단 분석이 뒤따른 것입니다.
The analysis of interviews was undertaken in 2 stages. Vertical analysis was first undertaken for each of the interviews in order to identify categories of perceptions and judgments of the influential figures. A transverse analysis followed in order to identify the recurrent views and opinions across all interviews as well as any discordant opinions
결과
Results
의학교육연구에 대한 견해
Opinions on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인터뷰 분석 결과, 대다수의 영향력있는 인물들은 지난 20 년간 진행된 진전에도 불구하고 의학 교육에 대한 연구가 불충분 한 품질로 남아 있다고 생각합니다. 네 가지 주요 이유가 주어졌다.
The analysis of interviews reveals that a large majority of influential figures feel that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remains of insufficient quality despite progress realized over the course of the last 2 decades. Four major reasons were given
1. 연구는 종종 반복적입니다. 그리고 의학 교육에서의 문헌에 대한 contextualization이 불충분하다.
2. 이론 영역에 대한 연구자의 지식이 제한적이다.
3. 연구가 기회주의적이다.
4. 과학 연구자, 특히 사회 과학 분야의 연구에 대한 교육을 받지 못한다.
1. Studies are often repetitive; and insufficiently contextualized with regard to the literature in medical education;
2. The knowledge of researchers in the area of theory is limited;
3. The works are opportunistic;
4. The education of researchers in science, and more specifically in social science has gaps.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연구들
The repetitive character of studies
연구자가 자신의 분야에서 문헌에 대한 지식을 제한적으로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불충분한 연구의 퀄리티를 부분적으로 설명해준다. 이것은 두 가지 중요한 결과를 가져옵니다.
첫째, 연구자들은 이미 실행된 유사한 주제에 대해 연구를 반복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둘째, 특정 연구자는 자신의 연구의 독창성을 정당화하고 지식의 발전에 기여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the insufficient quality of work is explained in part by the fact that researchers have a limited knowledge of the literature in their own field. This has two important consequences:
first, researchers have a tendency to repeat studies that have already been undertaken on similar subjects, and
second, certain researchers have difficulties in justifying the originality of their work and showing how it contributes to the advancement of knowledge.
수행 된 많은 연구 프로젝트의 한계 중 하나는 연구를 어떤 맥락에 두지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연구를 situate할 수 있는 분석이 없으며 이를 주제에 대한 기존 연구와 관련시킬 수있는 문헌에 대한 검토가 없습니다. 몇몇 연구자들은 마치 블랙 박스 안에서 연구하는 듯한 인상을줍니다.
One of the limits of many research projects undertaken is the fact that they do not locate themselves in any context: there is no analysis which allows one to situate the study and there is no review of the literature which makes it possible to relate it to existing knowledge on the subject. Several researchers give the impression of working in a black box.
이론적 지식과의 격차
Gaps in theoretical knowledge
두 번째 판단은 의학 교육의 많은 연구가 이론적 격차를 포함한다는 관찰이다. 이러한 격차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요 이유로 연구 개발에 간섭한다.
하나는 중요한 문제와 관련된 통합 된 지식 체계의 생성을 방해하고,
다른 하나는 관찰 된 현상의 원인과 원인에 대한 이해를 제한한다.
A second judgment is the observation that a number of studies in medical education contain gaps in theory. these gaps interfere with development of research for 2 main reasons:
on one hand they interfere with the creation of an integrated body of knowledge related to important problems, and
on the other hand they limit the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and causes underlying observed phenomena.
이러한 관찰과 관련하여 비록 의학 교육의 연구가 실용적 차원을 가져야한다고 할지라도, 지금의 연구 의제는 현재 교육자와 행정가의 요구에 너무 강하게 종속되어있다. 이는보다 근본적인 문제를 목표로 하는 연구에 큰 걸림돌로 작용합니다.
Related to this observation, although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should have a utilitarian dimension, the research agenda is currently too strongly subordinated to the demands of educators and administrators. This acts as a brake on the development of works that target more fundamental questions.
근본적인 과정을 이해할 수있는 이론이 없다면 과연 중재의 효과성을 예측하고 통제하는 것이 가능할까? 의학 교육에 대한 연구가 계속해서 의과 대학을 위한 무료 서비스일 뿐이라면, 이것은 진정한 지적 활동이 아닌 기능적 활동일 뿐이다.
if there is no theory permitting the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processes, howis it possible to predict and control for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If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continues to be only a free service for medical schools it risks becoming a functional activity as opposed to a true intellectual activity.
기회주의적 연구
Opportunistic works
참가자가 표현한 의학 교육 연구의 특징 중 세 번째는 의학 교육에서 많은 연구들이 본질적으로 기회주의적이고 임의의 상황이나 상황에서 발생한다는 관찰이었다.
A third concerning characteristic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that was expressed by participants was the observation that a certain number of works in medical education are essentially opportunistic, that they arise from random situations or circumstances.
단순히 연구할 수 있는 학생이 있기 때문에 연구 프로젝트에 착수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닙니다.
It is not unusual for researchers to undertake a research project only because there is a group of students available
장기간에 걸친 지식 습득 노력에 대한 방향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유형의 연구는 소규모로 유지되고, 그 연구가 이뤄지는 기관의 관심사가 되는 질문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연구들은 모든 의학 분야에 일반화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다른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근거로 활용하기에는 가치가 의심스럽다.
With little orientation toward longer-term knowledge building efforts, this type of research tends to remain on a small scale and focus on questions that are of greatest interest to the institution where they take place. these studies are difficult to generalize to all faculties of medicine and therefore are of questionable value as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other training programs.
연구 훈련의 부족
Gaps in research training
어떤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연구에 대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사회 과학 연구에 관해서 그러하다. 연구자는 사회 과학 영역에서도 임상 연구에서 사용하는 방법(특히 무작위 시험)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나, 이런 transfer의 함의에 대해서 생각해보지 않는다. 이러한 관행은 특히 질적 연구의 질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인 방법론적 역량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임상 연구의 연구방법을 의학 교육 연구에 이전하는 경향은 연구자 자신이 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일 수 있다.
certain researchers have gaps in their own education regarding research generally, and more specifically regarding research in the social sciences. certain researchers tend to use methods taken from clinical research, and in particular randomized trials, in the domain of social sciences, without questioning the implications of such a transfer. This practice has detrimental effects on the quality of research, in particular on qualitative research; which requires specific methodological competencies. The participants attributed this tendency to transpose methodologies from clinical research into medical education research to a lack of education of the researchers themselves.
연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FACTORS INFLUENCING RESEARCH PRACTICES
세 가지 주요 요소가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요소는
연구자의 근무 환경,
의학 교육 연구의 예산 제약
의료 환경에서의 연구에 대한 지배적인 개념
...과 관련됩니다.
Three principal factors were identified . These factors relate to
the conditions of the researchers’ working environment,
budgetary constraints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the dominant conception of research in the medical environment.
근무 조건의 측면에서 볼 때 중요한 문제는 연구자들이 흔히 의과대학에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우선 순위가 부여된다는 사실을 암시하는 것입니다. 우리 연구에 참여한 사람에 따르면, 의학교육연구센터들의 주된 역할은 현재 교육훈련에 관한 의대의 요구에 부응하고, 교육 개선에 기여하며, 교육 연구 활동을 수행하려는 임상의를 지원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역할은 장기적인 이론적 연구의 발전에 장애가 된다. 의학교육연구센터에서 주로 수행되는 연구는 (소속 기관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거나,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며, 이론적인 연구를 수행할 여지는 거의 없다.
In terms of working conditions, it was suggested that a key problem involves the fact that research units give priority to providing consultation service to their faculties of medicine. According to participants to our study, the primary role of these centers currently involves responding to the needs of medical schools in areas of medical training,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supporting clinicians who wish to undertake research activities in education. This mandate constitutes an obstacle to the development of long-termtheoretical work. The research undertaken in these units aims primarily to find solutions to problems or to evaluate the effects of an intervention, leaving little place for more theoretical work.
또한, 참가자들은 의학계 자체가 이론적 성격의 연구에 대해 수용력이 적은 것처럼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 개인들에 따르면 임상-교육자들은 주로 실용주의적이며, 과학 연구의 이론적 또는 근본적인 차원에 관심은 적다. 이러한 무관심은 의학 교육 연구의 다양 화에 장애가된다.
Further, participants argued that the medical community itself seems less receptive to works of a theoretical nature. According to these individuals, clinician educators have a vision of research that is primarily utilitarian and have a limited interest in the theoretical or fundamental dimension of scientific research. This disinterest also becomes an obstacle to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의사들은 power나 influence에 대한 이론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분명히 예외가 있지만 대부분이 그렇다. 그들이 알고싶어하는 것은 어떻게하면 더 효과적이고 비용이 적게 드는가하는 것입니다. 그들은 연구의 복잡성을 이해하는데에는 관심이 없으며, 그들이 원하는 것은 단지 결과입니다.
Doctors are not interested in listening to your theory of power or of influence for example. Certainly there are exceptions but for most part this is the reality. What they want to know is how they can make something more effective and cost less. They are not interested in understating the complexities of research, what they want are results.
두 번째 요소는 의학 교육 연구에 대한 재정 지원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의학 교육 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기관agency나 연구비 프로그램은 거의 없다.
The second factor arising from the interviews to explain the gaps in theory and the opportunistic nature of the work is the lack of financial support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 there are almost no granting agencies or programs of grants dedicated to support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이렇게 (외부) 연구비가 부족하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기관의 내부 자원에 의지해야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비는 일반적으로 제한적이고 불규칙하기 때문에 소규모 프로젝트 외의 다른 연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This absence requires researchers to rely on internal resources at their institution in order to undertake their research projects. Because these sources are generally limited and irregular, it is difficult for them to elaborate research programs rather than small-scale projects.
세 번째로 확인 된 요인은 의학 교육 연구가 출판 된 의료 환경에서 지배적 인 연구 개념에서 비롯됩니다. 이 지배적 인 개념은 연구의 유형과 이론적 질문의 개발 및 토론과 양립 할 수없는 출판 형식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생의학 모델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
A third identified factor arises from the dominant conception of research in the medical environment in which medical education research is published. this dominant conception is strongly inspired by a biomedical model of sciences which gives priority to a type of research practice and to publication formats that seem to be incompatible with the development and discussion of theoretical questions.
논문는 항상 매우 짧고 체계적이며 예측 가능합니다. 방법론과 결과가 중요하며, 배경, 토론, 결론은 그 다음이다.
Articles are always very short, extremely structured and predictable. What counts is methodology and results. The background, the discussion and the conclusion have a secondary importance.
의학교육연구를 발전시키기 위한 두 가지 수단
Two means to improve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마지막으로, 이러한 문제와 그 원인을 인식하고, 참가자들은 의학 교육 연구를 향상시키는 두 가지 주요 방법을 확인했습니다.
Finally, recognizing these problems and their sources, our participants identified two principal means to improve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첫 번째는 각 그룹의 역량이 상호 보완 적이라는 가정하에, PhD와 임상의 사이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MD는 연구 할 핵심적인 실질적인 질문을 던질 수 있으며, Ph.D는 이론적인 관점에서 실제적인 질문을 풍부하게 하고, 관련 연구 프로젝트의 개발 및 시행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The first relates to intensifying the collaboration between holders of PhD’s and clinicians, given that the competencies of each group are complementary. While MD’s, are best placed to identify key practical questions to study, the PhD’s, have the required competencies to enrich those practical questions with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contribute effectively to the development and enactment of the associated research projects.
두 번째는 이 영역에서 연구에 참여하는 분야를 더욱 다양 화하는 것이었다. 몇몇 응답자들은 사회 과학에 더 큰 장소를 제공하는 의학 교육 연구에 대한 접근 방식을 시도하겠다고 답했다. 한 참가자는 의학 교육 연구에서 "사회 학자, 인류 학자, 경제학자 및 역사가 등이 혁신적인 관점을 통해 의사 훈련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해야한다"고 강조했다.
The second means involved further diversifying the disciplines engaged in research in this area . Several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y would value an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research that gives a larger place to the social sciences. One participant stressed that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need sociologists, anthropologists, economics, and historians, etc. to study the problems related to the training of physicians through innovative angles.’’
고찰/결론
Discussion/Conclusion
우리가 이 결과를 그림 1에서 설명한 과학 분야의 양극성 모델에 비추어 해석하면, 의학교육연구의 대가들은 대부분은 생산자를 위한 생산으로 특징 지어지는 과학적 관행으로의 변화의 관점에서 의학 교육 연구의 개선을 생각하는 경향이있다 (PP 극). 이런 의미에서, 이 대가들의 대부분은 의학 교육 연구 분야에서 더 큰 자율성 (또는 자기 결정력)을 원하며 해당 영역에서 연구의 방향을 정할 때, 의학계의 요구에 의해 영향을 받는 영역이 축소되기를 원하는 것으로 보인다.
If we interpret these results in light of the bipolar model of the scientific fieldas described in Figure 1, most of the influential figures tend to think of the improvement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in terms of a movement toward the scientific practices characterized by the production for producers pole (PP Pole). In this sense, this majority subset of influential figures appears to desire greater autonomy (or self determination) for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hence, a reduction in the sphere of influence exerted by the needs of faculties of medicine in orienting research questions in the field.
연구를 PU 극에서 PP 극으로 진화하려는 욕망은 의학교육 분야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것은 대부분의 과학 분야에서 자율성을 확립하고 증가시키는 과정과 관련된 현상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그것은 사회학적 regularity이다.
This apparent desire to see research evolve from the PU Pole to the PP Pole is not unique to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Rather, it is a phenomenon associated with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increasing autonomy in most scientific fields. In this sense it is a sociological regularity.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가들은 연구자가 연구 대상의 선택과 접근에있어서 자유가 커짐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고, 동시에 교수진과의 협조가 의과대학의 요구에 보다 잘 대응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따라서 아마도 대가들의 입장은 연구에 대한 진정한 자율성을 달성하는 것이라기보다는 PP극과 PU극 사이의 균형이 잘 이루어질 수 있기를 바라는 것이라 해석해야 할 것이다.
Nevertheless, the influential figures seem to wish that researchers could benefit from a growing freedom in terms of the choice and approach of objects of research and, at the same time, underscore the collaboration with clinicians in order to better respond to the needs of the faculties of medicine. Thus, perhaps a better interpretation of the position of these influential figures might be a desire for a better equilibriumbetween the PP and PUpoles than to achieve a true autonomy for the field.
두 극의 각각과 관련된 연구 관행과 새로운 학문 분야의 도입 간의 균형이 연구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상상할 수 있습니다. 응용 영역(범죄학, 사회 봉사, 공학, 법률 등)이 강한 다른 연구 분야와 마찬가지로, 의학 교육 연구 분야는 결코 완전히 자율적인 분야가 될 수 없고, 즉 PP극의 규칙에 따라서만 작동할 수 없다..
It is possible to imagine, that a better balance between the practices of research associated with each of the two poles and the introduction of new disciplines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research. It may be that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like other research domains with a strong applied dimension (criminology, social service, engineering, law, etc), could never become a completely autonomous field (functioning primarily according to the rules of the PP Pole).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balancing service and science.
Author information
- 1
- Wilson Centre for Research in Education, Toronto General Hospital, University of Toronto Faculty of Medicine, 200 Elizabeth Street, Eaton-South 1-581, Toronto, ON, M5G 2C4, Canada. Mathieu.albert@utoronto.ca
Abstract
- PMID:
- 17033879
- PMCID:
- PMC2779425
- DOI:
- 10.1007/s10459-006-9026-2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의학교육연구(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교육연구 향상시키기 (Teach Learn Med. 2007) (0) | 2017.08.14 |
---|---|
질적연구 수행 및 보고 (Clin Teach. 2016) (0) | 2017.08.11 |
의학교육에서 성과 연구에 대한 요구(Acad Med, 2004) (0) | 2017.08.11 |
진화하는 의학교육연구(Biochem Mol Biol Educ. 2010) (0) | 2017.08.11 |
의학교육연구에서 혼합방법연구: 연구자를 위한 가이드라인 (Med Educ, 2009) (0) | 2017.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