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의 유용성: 연구와 학문을 위한 분류학(Perspect Med Educ, 2019)
The utility of failure: a taxonomy for research and scholarship
Meredith Young
아마도 인류의 오류의 역사는, 모든 것을 고려했을 때, 그들의 발견의 역사보다 더 가치 있고 흥미로울 것이다. 진실은 균일하고, 좁다[. . ] 그러나 오류는 끝없이 다양하다1. (벤자민 프랭클린)
Perhaps the history of the errors of mankind, all things considered, is more valuable and interesting than that of their discoveries. Truth is uniform, and narrow[. . . ] But error is endlessly diversified1. (Benjamin Franklin)
우리 모두는 [위대한 학자 또는 과학자]에 대한 친밀한 전형들을 가지고 있다.
We all have our own closely-held archetypes of a great scholar or scientist
우리는 훌륭하고 성공적인 스칼라십이란 어떤 모습인지에 대해 조심스럽게 단면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1].
We have a carefully crafted one-sided view of what good and successful scholarship looks like [1].
학자 공동체로서 우리는 또한 연구비 확보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알고 있다(내 맥락에서 성공률 16–47%) [2, 3], 그리고 특정 저널에 게재되는 논문의 낮은 비율(상위 HPE(Health Professions Education) 저널에 대한 수용률)이 약 13–30%를 맴돌고 있다[4].
As a scholarly community we are also aware of how challenging it is to secure funding (success rates in my context range from 16–47%) [2, 3], and the low percentages of papers that see publication in a given journal (acceptance rates for top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journals hover around 13–30%) [4].
이러한 지표는 이종 학자들의 공동체를 위한 총체적인 성공 척도로, 프로젝트가 자금을 지원받지 못하거나 출판되지 못하는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다[4–11].
Those metrics are aggregate measures of success for a heterogeneous community of scholars, and a project may not receive funding or be accepted for publication for a variety of reasons[4–11]—
'피칭', 즉 프로젝트를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때, 우리는
문헌의 gap을 식별하지 못할 수도 있고
우리의 목표를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거나, 일관된 이론 또는 개념 체계를 설명하지 못할 수도 있고
데이터 수집 또는 분석에 대한 접근 방식을 효과적으로 설명하지 못할 수도 있고
이 연구가 HPE 커뮤니티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설명하지 못할 수도 있다.
In ‘pitching’ or describing a project we may have failed to identify the gap in the literature [12], failed to clearly articulate our objectives, failed to describe a coherent theoretical or conceptual framework [13, 14], failed to describe our approach to data collection or analysis effectively, or failed to articulate the impact of this piece of scholarship on the HPE community.
여기서, 나는 분명히 잘 적응하고, 잘 설계되고, 심사숙고하며, 잘 실행되지 않는 학문적 프로젝트에 초점을 맞추고 싶다. 간단히 말해 [기대되는 연구결과를 생성하지 못했거나] [가정이나 이론을 뒷받침하지 못하거나 완전히 놀랍고 종종 곤혹스러운 결과를 낳은] '좋은 연구' 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즉, 기대했던 결과나 지식, 영향을 일으키지 못한 이러한 수준 높은 연구 노력을 탐구하고, 학술 프로젝트의 건전한 실패는 사실 HPE에서의 성공적인 학술활동의 중요한 요소라고 주장하고 싶다.
Here, I would like to focus explicitly on the well-situated, well-designed, well-considered, and well-executed scholarly project that fails—
the ‘good study’ that simply
fails to generate the expected learning outcomes,
fails to support an assumption or theory, or generates entirely surprising and often puzzling results.
In other words, I wish to explore these high-quality research endeavours that have failed to generate the findings, knowledge, or impact that were anticipated, and argue that the failure of a sound scholarly project is actually a critical component of successful scholarship in HPE.
실패는 성공의 결여로 정의될 수 있지만, 또한 '기대, 요구 또는 예상된 무언가의 비발생'으로 정의될 수 있다[16]. 연구, 프로젝트 또는 일련의 탐구 실패가 모든 과학 또는 학술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1, 17, 18]. 실패가 없다면 발견도, 새로운 이론도, 사상에서의 새로운 혁명도 있을 수 없다[17]. 가설과 이론의 반증falsification은 현재의 과학적 관행[18–20]의 특징이며, 이러한 관행은 언제 특정 아이디어가 실패하는지를 발견하는 데 의존한다. 변칙적이거나 예상치 못한 발견의 축적은 현상에 대한 [현재의 사고방식의 실패]의 표시로, 쿤은 이것이 종종 패러다임 변화의 시작을 의미한다고 제안한다[17].
Failure can be defined as a lack of success, but also as a ‘nonoccurrence of something due, required or expected’ [16]. The failure of a study, project, or line of inquiry to generate expected findings has had a critical role in every domain of science or scholarship [1, 17, 18]. Without failure there can be no discovery, no new theories, no new revolutions in thought [17]. Falsification of hypotheses, and theories have been a hallmark of current scientific practices [18–20], and these practices rest on discovering when an idea fails. The accumulation of anomalous or unexpected findings is a marker of the failure of a current way of thinking about a phenomenon, and Kuhn suggests that this often marks the beginning of a paradigm shift [17].
실패는 학술연구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우리의 사고가 진보하도록 돕기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과학 공동체가 크게 쓰이면서, 우리는 실패의 빈도, 실패의 이익, 실패의 직접적인 결과로 가능한 성장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했다[1]. 우리는 일반 대중에게 연구에는 일정 빈도의 실패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았으며, 대신에 마치 작업한 프로그램을 의도적으로 논리적이고 선형적이며 실패가 없는 것으로 정교하게 큐레이션하고 홍보하는 것을 선택했다[1]. 우리의 실패를 조용히 정리함으로써 우리는 중요한 무의미하거나 예상치 못한 발견을 집단적으로 놓쳐왔으며, 그 결과 연습생, 동료, 그리고 종종 우리 자신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숨기거나 최소화하게 되었다.
Failure is one important component of scholarship, and is necessary to help our thinking progress. But, as a scientific community writ large, we have done a poor job of communicating the frequency of failure, the benefits of failure, and the growth that is possible as a direct result of failure [1]. We have failed to admit the frequency of failure necessary in scholarship to the general public, instead choosing to promote our carefully curated programs of work as intentionally logical, linear, and failure-free [1]. By quietly filing away our failures we are collectively missing out on important null or unexpected findings and hiding or minimizing important opportunities for learning from our trainees, peers, and often ourselves.
실패의 형태 분류법 생성
Generation of the taxonomy of forms of failure
스튜어트 파이어스타인의 저서 '실패:과학이 그렇게 성공적인 이유'[1].
Stuart Firestein’s book ‘Failure:Why Science is So Successful’ [1].
이 책에서 저자는 두 개의 인용구, 즉 에디슨과 아인슈타인의 분류법 내에서 내가 그렸던 인용구들을 그리고 있는데, 이 두 인용구들을 대조한 그의 작품은 내가 학문적인 실패의 유형에 대해 생각하는 데 기초를 두었다.
In this book, the author draws on two quotes—the ones I have drawn on as examples within the taxonomy from Edison and Einstein—and his work contrasting these two quotes laid the foundations in my thinking about the types of scholarly failure.
표1
Tab. 1.
실패의 형태
Forms of failure
혁신 지향적 실패
Innovation-oriented failure
HPE는 깊은 이론과 완전히 실용적인 분야를 연결하는 분야다. Albert는 HPE연구를 [생산자(즉, 연구자 및 학자)를 위해 생산한 작업]과 [사용자(즉, 교육자 및 교사)를 위해 생산한 작업]의 스펙트럼으로 설명했으며[37], [서비스 지향 연구]와 [발견 지향 연구] 사이의 긴장을 논의하였다[38]. HPE 연구에 존재하는 스펙트럼을 존중하는 한편, 이 분야는 최대한의 환자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최선의 교육을 보장한다는 실용적 목표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묘사되어 왔다. 즉, '의학교육의 1차 목표는 환자진료를 개선하는 것이다' [39, 페이지 6].
HPE is a field that bridges the deeply theoretical and the entirely pragmatic. Albert describes HPE scholarship on a spectrum of work produced for producers (i.e. researchers and scholars) to work produced for users (i.e. educators and teachers) [37], and has discussed the tension between service-oriented research and discovery-oriented research [38]. While respecting the spectrum of work present in HPE scholarship, the field has been described as centring on the pragmatic goal of ensuring the best education to support the best possible patient care. In other words, ‘The primary goal of medical education is to improve patient care’ [39, p. 6].
우리의 첫 번째 실패는 혁신적 사고방식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 종종 혁신은 어떤 것을 '이렇게 해야 한다' 또는 '이렇게 되어야 한다'는 생각, 즉 커리큘럼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 콘텐츠가 어떻게 전달되어야 하는지, 또는 역량에 대한 추론이나 판단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에서 시작된다. 현상을 유지하는 것에서 '해야 하는 방식'으로 바꾸려는 시도가 이루어지며, 어떤 일을 하는 새로운 방식을 혁신하고 구현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진다. 때로는 효과가 있고, 때로는 효과가 없다.
Our first kind of failure is strongly associated with an innovation mindset. Often innovations begin with an idea of how something ‘should be’ or ‘should be done’—a particular way a curriculum should be structured, how content should be delivered, or how inferences or judgments of competence should be made. Attempts are made to change from a status quo to what ‘should be’—attempts are made to innovate and implement a new way of doing something. Sometimes it works, and sometimes it doesn’t.
토마스 에디슨의 것으로 유명한 '나는 실패한 적이 없다, 단지 그것이 작동하지 않는 10,000가지 방법을 발견했다'는 인용문은 혁신 지향적인 실패의 본질을 포착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실패는 체계적이고 진보적이며 목표 지향적인 실패다. 왜 혁신이 실패했는지에 대한 세심한 고찰과 함께 당신이 생각해야만 하는 것을 향한 느린 진군이다. 왜 기술혁신이 의도한 목표에 도달하지 못했는지에 대한 세심한 분석을 통해, 다시 한 번 시도를 할 때 기술혁신의 [프로세스나 내용을 수정]하도록 만든다. - 어떤 것을 '해야 하는' 방법에 더 가까이 다가가도록 한다.
The quote ‘I have never failed, just found 10,000 ways it doesn’t work2’, famously attributed to Thomas Edison, captures the essence of innovation-oriented failure. This kind of failure is systematic, progressive, goal-oriented failure. The slow march towards what you think should be, with careful consideration for why an innovation may have failed. Careful analysis of why an innovation failed to reach its intended goal leads to modification of process or content of the innovation often in order to try it again—to try to get closer to how things ‘should be’.
혁신지향적 실패는 가고 싶은 곳을 알 때 일어나지만, 거듭되는 시도와 실패는 어떻게 가야 하는지 알아내는 데 도움이 된다.
Innovation-oriented failure occurs when you know where you want to go, but repeated attempts and failures help you figure out how to get there.
발견 지향적 실패
Discovery-oriented failure
과학적인 사고가 어떻게 변해왔는가를 논할 때, 우리는 종종 물리학의 역사를 그린다. 중요한 예는 우리가 태양계의 중심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포기했는가 하는 것이다. 이것들은 패러다임 변화의 전형적인 예로서, 우리의 '전형적인' 이해방식이 새로운 이론, 새로운 가정, 그리고 세계의 새로운 이해로 대체될 때 나타난다. 새로운 발견, 새로운 이론, 사상에서의 새로운 혁명은 현상에 대한 현재의 이해가 실패하는 것에 달려 있다.
When discussing how scientific thought has changed, we often draw on the history of physics—a key example being how we abandoned the notion of the earth being the centre of the solar system. These are classic examples of paradigm shifts [17]—when our ‘typical’ way of understanding something is replaced by a new theory, new set of assumptions, and new understandings of the world. New discovery, new theories, new revolutions in thought are dependent on the failure of our current understanding in the face of phenomena.
우리의 두 번째 유형의 실패는 발견 지향적인 실패다. 이러한 종류의 실패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또는 우리가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40]의 경계에서 발생한다—이러한 종류의 실패는 우리가 이론을 개발하거나 시험하고 있을 때, 가설을 반증하려고 시도하거나, 어떤 사상의 일반성 또는 새로운 맥락으로의 전달 가능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때 일어난다[13, 41]. 발견지향적 실패의 전형은 아인슈타인의 '실패는 진행중인 성공이다3'라는 말로 대변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실패는 이론, 아이디어, 가설을 깨질 때까지 밀어붙이는 큰 규모의 실패다. 그것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혹은 언제 그것을 포기해야 하는지를 알기 위해서 그것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그것이 실패할 때까지 밀어붙이는 것이다. 발견 지향적인 실패는 통념에 도전하고, 사고의 변화 가능성을 열어두고, 낡은 문제나 현상에 대한 새로운 설명을 탐구하며, 우리가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의 한계를 시험하는 것이다.
Our second type of failure is discovery-oriented failure. This kind of failure occurs at the periphery of what we know (or think we know)[40]—this kind of failure happens when we are developing or testing a theory [32], attempting to falsify a hypothesis, or critically examine the generalizability or transferability of an idea to a new context [13, 41]. Our archetype of discovery-oriented failure is none other than Einstein for whom ‘Failure is success in progress3’. This kind of failure is purposeful failing on a grand scale—pushing a theory, an idea, a hypothesis until it breaks. Pushing it until it fails in order to understand it better in order to improve it, or to know when to abandon it. Discovery-oriented failure is what challenges conventional wisdom, opens up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thought, explores new explanations for old problems or phenomena, and tests the limits of what we think we know.
어떻게 보면 발견 중심의 실패는 엔지니어링 및 제조에서 파괴 시험의 원리와 유사하다. 파괴 시험에서 물체, 물질 또는 최종 제품은 세밀한 감시 하에 다양한 조건(예: 압력, 온도, 진동)을 받는다. 그 물체는 실패할 때까지 점점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 그 실패는 면밀하게 분석된다. 어떤 조건에서 실패했는가? 어떻게 실패했지? 그리고 때때로 파괴적인 테스트는 치명적인 결함을 제거하고 그 대상, 물질 또는 제품은 재설계, 재설계 및 재시험된다.
In a way, discovery-oriented failure is analogous to the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principle of destructive testing. In destructive testing, an object, material, or final product is subjected to a variety of conditions (e.g. pressure, temperature, vibration) under close monitoring. The object is subjected to increasing stress until it fails. The failure is analyzed closely—under what conditions did it fail? How did it fail? And occasionally, destructive testing uncovers a fatal flaw and that object, material, or product is re-engineered, re-designed, and re-tested.
발견 지향적 실패와 파괴 실험은 아이디어나 물체가 강하게 남아 있는 상황과 실패하는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기대한 한계를 뛰어넘는다. 이런 종류의 실패는 덜 빈번하고 덜 자주 출판된다.
Discovery-oriented failure and destructive testing both push beyond anticipated limi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an idea or object remains strong, and where it fails. this kind of failure is a less frequent, less frequently published,
우연적 실패
Serendipitous failure
그리고 때때로 그저 일이 계획대로 되지 않는다. 우리는 기술혁신이나 연구를 설계하는 것은 건전한 교육 및 연구 실천에 의존하고 이론 및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세심하게 만들고 연구나 개입을 시작하기 전에 가용한 작업을 도출하는 것이라는 것을 배우고 싶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될 것 같은지, 우리가 기여하고자 하는 문헌의 어떤 이론과 토론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감각을 가지고 있으며, 어쩌면 특정한 가설을 의도적으로 시험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And sometimes things just don’t go as planned. We are taught (and hopefully role model) that crafting an innovation or designing a study are dependent on engaging sound educational and research practices, carefully crafting theoretical and conceptual frameworks [13, 14], and drawing on available work prior to launching a study or intervention. We (generally) have a sense of how the study is likely going to progress, what theories and discussions in the literature we are intending to contribute to, and perhaps are even purposefully testing a specific hypothesis.
하지만, 어떤 때는 계획대로 되지 않는다. 아이작 아시모프가 말했다.'과학에서 들을 수 있는 가장 흥미진진한 구절, 새로운 발견을 예고하는 구절은 "유레카!"가 아니라 "그것 참 재미있군" ...'4이다. 이러한 우연한 실패는 연구와 학술활동의 실패에서 더 흔한 유형 중 하나일 수 있다.
But, some-times things don’t go as planned. Isaac Asimov said‘The most exciting phrase to hear in science, the one that heralds new discoveries, is not “Eureka!” (I found it!) but “That’s funny” ...’4. This serendipitous failure may be one of more common types of failure in research and scholarship—
이러한 기회주의적 실패는 발견의 패턴 뒤에 숨겨진 '왜'를 이해하기 위해 예상치 못한 발견과 연관시키고 추적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42].
This opportunistic failure focuses on engaging with and chasing the unexpected finding to try to understand the ‘why’ behind the pattern of findings [42].
일반적으로 과학철학의 핵심 사상가로 여겨지지는 않지만, 우리의 우연한 실패의 전형은 '실수라는 것은 없다. 그저 행복한 작은 사고들만 있을 뿐이다'이라고 말한 미국의 공공 화가 밥 로스다. 아시모프와 로스 둘 다 예상치 못한 사건의 가치를 인식하고, 실패를 전통적인 관념으로 보기보다는, [새로운 이해를 창조하거나 발견하기 위한 기회를 수용하기 위한 기회로 인식 전환을 가능캐해주는 통찰력과 진보]로 바라본다. 이러한 종류의 실패는 반직관적인 발견, 전형적인 접근법이나 틀에 대한 질문, 그리고 전통적인 사고방식에 대한 생산적인 조사방식의 발견을 가능하게 한다. 이런 종류의 실패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우연한 발견과 예기치 못한 발견 뒤에 있는 메커니즘을 탐구하는 데 열려 있어야 한다.
While not typically considered a key thinker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our archetype for serendipitous failure is American public painter Bob Ross, who said ‘there are no mistakes, just happy little accidents’. Asimov and Ross both recognize the value of unexpected events—and suggest the insights and progress possible in shifting perception from traditional notions of failure to opportunities to embrace the unexpected to create, or uncover, new understanding. This kind of failure allows for the circumstantial discovery of counter-intuitive findings, of questioning typical approaches or frames, and of productive lines of inquiry counter to traditional pathways of thinking. In order to harness the benefits of this kind of failure, we must be open to exploring the mechanisms behind our serendipitous and unexpected findings.
고찰
Discussion
첫째, 실패가 의도성이 있는지, 혁신 지향적이었는지, 발견 지향적이었는지, 예상치 못한 뜻밖의 실패였는지는 연구와 학술활동의의 필수적인 요소라는 것이다. '과학은 어리둥절한 어리둥절함, 회의론, 실험의 난해함 속에서 성장한다'[1,p.59], 우리는 일반적으로 의미 있는 실패 뒤에 행해진 종종 어리둥절하고, 예상치 못한, 도전적인 작업을 감추고, 따라서 다소 정리된 형태의 학문적 과정을 영속시켜 왔다[1]. 우리는 실패의 가치를 과소평가해왔고, 이것은 좋은 연구가 선형적이라는 편견, 성공 중심성에 대한 편향된 관점을 형성하게 기여했을 가능성이 높다[1]. 우리가 현대 과학을 논리적이고 선형적인 방법으로 서서히 증거를 축적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포퍼는 성공 가능성이 높은 작고 안전한 가설들이 지식을 쌓는 데 기여하지만, 이해를 진전시키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제안했다. 오히려, 앞으로 나아가는 위대한 발걸음은 크고 위험한 아이디어에서 나온다. 실패 가능성이 높은 아이디어는 우리의 사고 진전에 도움을 주는 아이디어들이다[18].
The first is that failure is an integral component of research and scholarship—whether that failure was purposeful and innovation-oriented, discovery-oriented, or unanticipated serendipitous failure. ‘Science grows in the mulch of puzzled bewilderment, scepticism, and experiment’ [1,p.59],and we have typically hidden the often puzzling, unanticipated, and challenging work done following a meaningful failure, and so have perpetuated a rather tidiedup version of the scholarly process [1]. We have underrepresented the value of failure, and this has likely contributed to a skewed perspective of the linearity and success-focused nature of good scholarship [1]. While we tend to think of modern science as slowly accumulating evidence in a logical, linear way, Popper has suggested that small, safe hypotheses with a high likelihood of success contribute to building knowledge, but don’t help advance understanding. Rather, great steps forward come from big, risky ideas—ideas that have a high likelihood of failure are the ones that help our thinking progress [18].
두 가지 결과가 있을 수 있다:
만약 결과가 가설이 옳았다면, 당신은 측정을 한 것이다.
만약 결과가 가설에 반하는 것으로 나왔다면, 당신은 발견을 한 것이다.5
There are two possible outcomes: if the result confirms the hypothesis, you’ve made a measurement. If the result is contrary to the hypothesis, then you’ve made a discovery.5
과학에서 실패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우리는 실패가 제공하는 기회를 의도적으로 이용해야 한다(표 2의 특정 권고사항). 이 작품 전체에 걸쳐 짜여진 암묵적인 주장은 실패한 프로젝트가 실패한 연구는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왜 특정한 혁신이 실패했는지 또는 왜 실패한 프로젝트를 성공적인 장학금으로 바꾸기 위해 특정한 결과의 패턴이 생성되었는지 이해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Acknowledging that failure has an important role to play in science is an important first step, we must also purposefully engage with the opportunities that failure provide (specific recommendations in Tab. 2). An implicit argument woven throughout this piece is that a failed project is not failed scholarship. However, hard work is needed to understand why a particular innovation failed, or why a particular pattern of results were generated in order to turn a failed project into a successful piece of scholarship.
실패를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
engage with the failure in order to learn from it.
왜 혁신이나 개입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는지,
왜 어떤 특정한 조건에서 이론이 실패하는지,
왜 깨끗하게 설계된 연구가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진행되었는지.
why an innovation or intervention failed to solve a problem,
why a theory fails under certain conditions, or
why a cleanly designed study went in an unanticipated direction.
그러나, 이러한 목적적 참여는 시간이 걸리고, 종종 후속 연구를 위한 자원이 필요하며, 때때로 새로운 이론적 렌즈를 배우고 채택하는 것을 포함하며, 때로는 주어진 장학금 전체에 내재된 자신의 가정을 비판적으로 재고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패한 프로젝트를 제쳐놓거나 서랍 바닥에 집어넣어버리는 것이 더 쉬울 수 있지만, 실패에 관여하지 않는 것을 선택하는 것은 학문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기회를 놓치는 것이다
But, this purposeful engagement takes time, often requires resources for follow-up studies, occasionally involves learning and adopting a new theoretical lens, and sometimes involves critically reconsidering your own assumptions embedded throughout a given piece of scholarship. It may be easier to put a failed project aside, or tuck it into the bottom of a file drawer, but choosing not to engage with a failure is a missed opportunity for scholarly growth.
의도적으로 실패에 관여하는 것은 연구팀에 유익할 수 있지만, 연구란 근본적으로 사회적 노력이다. 우리 공동체는 사회적으로 배운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일을 통해 배운다. 생산적 실패가 제공하는 기회를 공동체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개적으로 실패와 협력해야 한다. 공개적으로 실패를 공유하는 것은 쉽지 않다.
While purposefully engaging with failure can be informative to a research team, scholarship is a fundamentally social endeavour. Our community learns socially—we learn from the work of others. In order to capitalize as a community on the opportunities provided by productive failure, we must publically engage with failure. Sharing failure publically is not easy.
과학은 외부인들이 상상하는 직설적인 논리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대신에 한 발 앞으로 (그리고 때로는 뒤로) 가는 경우는 종종 매우 인간적인 사건이다.
Science seldom proceeds in the straightforward logical manner imagined by outsiders. Instead its steps forwards (and sometimes backward) are often very human events6.
실패에 대한 공개와 실패한 프로젝트를 이해함으로써 도출된 중요한 통찰력은 우리의 건강직업 교육(HPE) 학계 커뮤니티에서 가치 있는 것으로 볼 필요가 있다.
Public disclosure of failure, and important insights drawn from understanding a failed project, need to be seen as valuable by ou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scholarly community.
공동체로서, 우리는 우리의 집단적 지식 기반을 키우기 위해 생산적인 실패와 그것으로부터 비롯되는 우리의 통찰에 대해 더 편안하게 토론할 필요가 있다. 다른 것이 아니라면, 실패한 프로젝트에 대한 고의적인 공개 토론은 제한된 연구와 교육 자원을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만약 우리가 누군가가 시도하고 실패했다는 것을 안다면, 우리는 같은 것을 다시 시도함으로써 이득을 얻을 것 같지 않다.
As a community, we need to become more comfortable discussing productive failures and our insights that have resulted from them in order to grow our collective knowledge base. If nothing else, deliberate public discussion of failed projects could lead to more effective use of limited research and educational resources—if we know that someone has tried and failed, we are unlikely to benefit from trying the same thing again.
실패에 의도적으로 관여하고, 실패한 일을 공개적으로 논하는 것은 적절한 학술 자원 관리 및 성공적인 혁신의 더 나은 translation에 기여할 수 있다[45]. 또한, 의도적으로 실패에 관여하는 것은 커뮤니티 전체의 성장형 마음가짐을 가져올 수 있다[46]. 여기서 우리는 실패에 관여하는 것을 학문적 공동체로서 성장과 발전의 기회로 평가할 것이다.
Purposefully engaging with failure, publicly discussing failed work, could contribute to appropriate scholarship resource stewardship and better translation of successful innovations (if we know why/how they have failed) [45]. Further, purposefully engaging with failure could embed a community wide growth mindset [46]—where we would value engaging with failures as opportunities for growth and development as a scholarly community.
커뮤니티 전체의 성장 사고방식의 가능성 외에도, 광범위한 교육 문헌에서의 연구는 생산적 실패의 이점을 문서화했다[47].
In addition to the possibility of a community-wide growth mindset, work in the broader educational literature has documented the benefits of productive failure [47].
집단으로 일하는 학생들이 능력 밖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그렇게 하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이러한 '생산적인 실패'의 효과는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문제를 풀어나갈 때 나타난다.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실패하도록 설계된 그룹에서 작업한 사람들은 후속 작업에 더 잘 수행한다. 그들은 잘 정의되지 않은 문제와 잘 정의되지 않은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후유증은 나중에 문제를 더 잘 풀 수 있다는 것이다.
For the students who work in groups to solve problems outside of their abilities, they engage creatively trying to solve the problem, but rarely, if ever, do. But the effects of this ‘productive failure’ are seen when the students go on to solve problems individually. Those who worked in groups designed to fail to solve the problem perform better on the subsequent tasks—they are better able to solve both well- and ill-defined problems. The aftereffects of struggling to solve an unsolvable problem are that you are better able to later solve problems.
생산적 실패의 현상은 고등교육의 맥락[48]에 적용되었고, 계속 다듬고 토론되고 있지지만, 기초적인 개념은 연구와 학술활동에서 실패의 가치에 대한 논의에 여전히 도움이 된다. 실패한 학문적 프로젝트에 관여하는 것 자체가 통찰력이나 해결책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우리의 다음 문제나 프로젝트에 더 효과적으로 관여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한 프로젝트에 실패하는 것을 감수하는 것은 다음 학문적 프로젝트에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phenomena of productive failure has been applied in higher education contexts [48], and continues to be refined [49] and debated, however the underlying notion remains helpful for a discussion of the value of failure in research and scholarship. While engaging with our failed scholarly projects may not in itself lead to insight or solution, it may nevertheless facilitate engaging with our next problem or project more effectively—engaging with the failure on this project may support our next scholarly project.
마지막으로, 과학의 실패를 성찰하는 것은 실패의 배후에 있는 과학자, 학자, 연구원들에 대한 인정을 필요로 한다. 공동체로서 실패를 인정하고, 받아들이고, 실패로부터 배우는 것은 실패한 프로젝트의 경험을 인간화하고 정상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즉, 우리 모두는 실패하고, 모두 실패하고, 그리고 계속 실패할 것이다. 만약 우리가 실패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우리의 분야를 발전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18]. 결론적으로, 나는 Neil Gaiman7에 동의한다. "가서, 흥미로운 실수를 하십시오. 영광스럽고 환상적인 실수를 하십시오." 그런 다음 그것들을 공유하십시오.
Finally, reflecting on failure in science necessitates an acknowledgement of the scientists, scholars, and researchers behind the failures. Acknowledging, engaging with, and learning from failures as a community may help to humanize and normalize the experience of a failed project—we all fail, have all failed, and will continue to fail. If we aren’t failing, we aren’t helping our field move forward [18]. In conclusion, I echo Neil Gaiman7 and encourage us to “Go, and make interesting mistakes, make glorious and fantastic mistakes”. And then be sure to share them.
42. Young M, LaDonna K, Varpio L, Balmer D. Focal length fluidity: research questions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scholarship. Acad Med. 2019;94(11S):S1–S4.
The Utility of Failure: A Taxonomy for Research and Scholarship
- PMID: 31820400
- PMCID: PMC6904373
- DOI: 10.1007/s40037-019-00551-6
Abstract
Introductio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research and scholarship utilizes a range of methodologies, traditions, and disciplines. Many conducting scholarship in HPE may not have had the opportunity to consider the value of a well-designed but failed scholarly project, benefitted from role-modelling of the value of failure, nor have engaged with the common nature of failure in research and scholarship.
Methods: Drawing on key concepts from philosophy of science, this piece describes the necessity and benefit of failure in research and scholarship, presents a taxonomy of failure relevant to HPE research, and applies this taxonomy to works published in the Perspectives on Medical Education failures/surprises series.
Results: I propose three forms of failure relevant to HPE scholarship: innovation-driven, discovery-oriented, and serendipitous failure. Innovation-driven failure was the most commonly represented type of failure in the failures/surprises section, and discovery-oriented the least common.
Conclusions: Considering failure in research and scholarship, four conclusions are drawn. First, failure is integral to research and scholarship-it is how theories are refined, discoveries are made, and innovations are developed. Second, we must purposefully engage with the opportunities that failure provide-understanding why a particular well-designed project failed is an opportunity for further insight. Third, we must engage publicly with failure in order to better communicate and role model the complexities of executing scholarship or innovating in HPE. Fourth, in order to make failure truly an opportunity for growth, we must, as a community, humanize and normalize failure as part of a productive scholarly approach.
Keywords: Failure; Research; Scholarship; Surprises.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의학교육연구(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적연구에서 양적정보의 보고: 저자와 리뷰어를 위한 가이드(Addiction, 2014) (0) | 2020.04.21 |
---|---|
신뢰, 논리, 감정에 어필하여 설득력을 높이기 위하여 레토릭을 사용하기(Perspect Med Educ, 2018) (0) | 2020.04.19 |
근거이론(When I say…) (Med Educ, 2014) (0) | 2020.04.17 |
질적연구 실행가이드 파트3. 샘플링, 데이터수집, 분석(Eur J Gen Pract, 2018) (0) | 2020.04.17 |
질적연구 실행가이드 파트2. 맥락, 연구질문, 설계(Eur J Gen Pract, 2017) (0) | 2020.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