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거이론(When I say…) (Med Educ, 2014)
When I say… grounded theory
Lorelei Lingard
84세의 어머니는 심장마비와 뇌졸중으로 지난 봄에 병원에 입원하셨다.
My 84-year-old mother was hospitalised this past spring following a heart attack and stroke.
내가 '근거 이론'이라고 말할 때, 나는 [설명 이론을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 [사회 현상에 대한 조사]를 의미한다.
내가 '이론'이라는 말을 쓰는 것은, 소문자 t를 의미한다. 뇌졸중 재활치료실에서의 진료전달 관행에서 '평범한' 역할과 같은 중간의 설명을 의미한다. 나는 인간의 인식에서 패턴 인식의 역할과 같은 웅대한 설명, 대문자 'T'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내가 '근거'라고 말할 때, 나는 [경험적 자료로부터 귀납적으로 파생된 것]을 의미하지만, 사전 지식으로 도색되지 않은 발견의 과정을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내가 '구성주의자'라고 말할 때, 나는 밝혀지기를 기다리고 있는 세상에 이미 '저기 어디 존재하는' 이론보다는, 오리엔테이션을 가진 사람들(나의 경우 의학교육 연구원과 연약한 노인 환자의 딸)이 만들어 내는 [이론 형성의 해석적 성격]을 인정할 생각이다.
When I say ‘grounded theory’, I mean inquiry into a social phenomenon with the goal of developing an explanatory theory.
By ‘theory’, I mean small ‘t’, middle-range explanations, such as the role of ‘the usual’ in care delivery practices on a stroke rehabilitation unit. I do not mean capital ‘T’, grand explanations, such as the role of pattern recognition in human cognition.
When I say ‘grounded’, I mean inductively derived from empirical data, but I don’t intend to imply a process of discovery untainted by prior knowledge.
Therefore, when I say ‘constructivist’, I intend to acknowledge the interpretive nature of theory generation,1 which is created by people with orientations (in my case, those of a medical education researcher and the daughter of a frail elderly patient), rather than a theory that is already ‘out there’ in the world waiting to be revealed.
근거이론은 반복, 지속적인 비교, 이론적 샘플링의 세 가지 상호 지지적 특징으로 다른 질적 접근법과 구별할 수 있다.2
Grounded theory is distinguishable from other qualitative approaches by three mutually supportive features:
iteration;
constant comparison, and
theoretical sampling.2
반복은 [후속 데이터 수집을 세분화하기 위해 수집되는 즉시 새로운 데이터를 분석에 종속시키는 관행]이다. 반복하려면 연구를 사전에 설계하고 재진입re-entry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 한다.
Iteration is the practice of subjecting new data to analysis as soon as they are collected in order to refine subsequent data collection. Iteration requires a study to be proactively designed and its setting to accommodate re-entry.
나는 의대생들의 새로운 전문가간 협업 스테이션 경험에 대한 기초 이론 연구를 객관적인 구조 임상 시험에서 수행할 수 없었다. 왜냐하면 연구 타임프레임상 반복할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I could not conduct a grounded theory study of medical students’ experiences of a new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station in an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because the study timeframe would not afford iteration.
근거 이론 분석의 중심은 '끊임없는 비교'이다. 진술은 진술, 스토리와 이야기, 참여자와 참여자, 주제와 함께 주제와 비교된다. 지속적인 비교과정의 중심은 유도적 추론과 연역적 추론의 균형이다. 이 추론은 기초 이론 연구자가 데이터의 새로운 패턴에 대한 추측을 형성하고, 이러한 추측들을 들어오는 데이터로부터 체계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이를 조정하고 정교하게 한다.
The backbone of grounded theory analysis is ‘constant comparison’: statement is compared with statement, story with story, participant with participant, theme with theme.1 Central to the constant comparative process is the balance of inductive and deductive reasoning, in which the grounded theory researcher formulates conjectures regarding emerging patterns in the data, and refines and elaborates these conjectures by systematically checking them against incoming data.
'평범한'에 대한 나의 연구에서는, 끊임없이 비교하는 것은 새로운 패턴과 불일치를 파악하고 예비적인 추측을 형성하기 위해, 내가 이전 방문visit에서 보고 들은 것을 고려하여 매일의 관찰과 대화를 고려하는considering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my study of ‘the usual’, constant comparison might involve considering each day’s observations and conversations in light of what I’ve seen and heard on previous visits, in order to identify emerging patterns and discrepancies and to formulate preliminary conjectures.
후속 데이터 수집을 통해 이러한 추측을 탐구하고 구체화하기 위해, 나는 간호원 중 한 명에게, 간호원들의 업무의 많은 부분을 명시적인 프로토콜을 참조하는 것처럼 보이는, 그들이 어떻게 나의 어머니를 돌보는 데 이러한 표준 프로토콜을 적용하는지에 대해 물어볼 수도 있다.
In order to explore and refine this conjecture through subsequent data collection, I might ask one of the student nurses, who appear to reference explicit protocols for much of their work, how they apply these standard protocols in their care of my mother.
이론적 샘플링에서 데이터 수집 절차는 분석에서 나타나는 주요 주제에 점점 더 날카롭게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진화한다. 이는 병동에서 다른 활동, 면접 참가자에게서 추구되는 특정 특성 또는 인터뷰 프로토콜에 추가된 새로운 프로브가 모두 포화 주장을 뒷받침하기에 충분한 핵심 차원에 대한 이해 또는 핵심 주제의 철저한 이해를 목적으로 관찰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In theoretical sampling, data collection procedures evolve to allow an increasingly sharp focus on key themes emerging in the analysis. This may mean that different activities are observed on the ward, specific characteristics sought in interview participants, or new probes added to the interview protocol, all with the aim of achieving an understanding of key dimensions sufficient to support a claim of saturation – or thorough understanding – of key themes.
물론 표본 추출 전략에 대한 모든 refinement는 연구자의 주의를 select하기도 하고 deflect하기도 한다. 이는 이론적 표본 추출이 조사의 범위를 좁히고, 통찰의 일부 영역을 잘라내기도 하고, 다른 영역을 무심코 닫는 과정임을 의미한다. [연역적 추측]과 [이론적 샘플링]의 보다 미세한 지점은 근거이론에서 논쟁의 원천이다; 이러한 절차는 이론을 특정 방향으로 '강제'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다루어야 한다.3
Of course, every refinement to the sampling strategy both selects and deflects the researcher’s attention, meaning that theoretical sampling is a process of narrowing the line of inquiry, rounding out some areas of insight and inadvertently closing off others. The finer points of deductive conjecturing and theoretical sampling are a source of debate in grounded theory circles; these procedures need to be handled with care to avoid ‘forcing’ the theory prematurely in a particular direction.3
When I Say…grounded Theory
- PMID: 25039730
- DOI: 10.1111/medu.12394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의학교육연구(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뢰, 논리, 감정에 어필하여 설득력을 높이기 위하여 레토릭을 사용하기(Perspect Med Educ, 2018) (0) | 2020.04.19 |
---|---|
실패의 유용성: 연구와 학문을 위한 분류학(Perspect Med Educ, 2019) (0) | 2020.04.17 |
질적연구 실행가이드 파트3. 샘플링, 데이터수집, 분석(Eur J Gen Pract, 2018) (0) | 2020.04.17 |
질적연구 실행가이드 파트2. 맥락, 연구질문, 설계(Eur J Gen Pract, 2017) (0) | 2020.04.15 |
질적연구 실행가이드 파트1. 인트로덕션(Eur J Gen Pract, 2017) (0) | 2020.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