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페셔널리즘: 의학교육의 가이드 프레임워크(Med Educ, 2014)
Professionalism: a framework to guide medical education
Howard Brody1,2 & David Doukas3
도입
INTRODUCTION
3 학년의 의대생이 우리 중 한 사람에게 과제를 제출했다 "내가 "프로페셔널리즘"이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나의 첫 반응은"Yuk! "이었습니다.
A Year 3 medical student turned in to one of us (HB) a required essay that began ‘When I hear the word “professionalism”, my first reaction is “Yuk!”’
학생들은 커리큘럼에서 제시된 '프로페셔널리즘'이 그들 자신에게 단순히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이 무엇인지 가르쳤다는 인상을 받았다.
They had somehow gotten the impression that ‘professionalism’ as presented in their curriculumhad taught themmerely prohibitions of behaviour.
의학 교육자들은 학생과 레지던트들에게 너무나 종종 반사회적이고 기계적인 프로페셔널리즘을 전달합니다. 이러한 우려는 Coulehan1에 의해 표명되었으며 이후에 실증적 연구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2-6이러한 교육의 한 가지 결함은 프로페셔널리즘의 개념과 실천이 윤리학이나 인문학에 충분히 근거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교육은 "행동"을 (체크리스트를 가지고) 외모와 행동거지만으로 피상적으로 평가하는 "하지 말 것"들의 리스트로 축소시켜버린다.
medical educators too often transmit to students and residents an unreflective, mechanical view of professionalism. This concern was voiced by Coulehan1 and subsequently supported by empirical studies.2–6 One possible flaw in this teaching is that the concept and practice of professionalism may not be sufficiently grounded in either ethics or humanities. Such teaching can be a reduction of behaviours into a list of ‘Do Nots’ based on superficial appearance and comportment, evaluated by checklists.
결과적으로 많은 학생들의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치료자로서 필요한 윤리적 역할에서 분리 된 것처럼 보이는) 규칙 목록을 암기하도록 요청 받았다는 인상에서 유래합니다 .4,4,6,7 대신에 우리는 프로페셔널리즘이란 학습자의 윤리적 열망에 더 긍정적으로 공명하고, 더 깊은 성찰을 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8
The resultant negativ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in many students stems from their impression that they are being asked to memorise a list of rules that seems detached from their intended ethical role as a healer.2,4,6,7 Instead, we assert that professionalism ought to resonate positively with the ethical aspirations of learners and prompt them to reflect more deeply.8
일부 교육자들은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는 방법'의 문제는 '프로페셔널리즘의 정의'에 대한 학술적 공감대가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Some educators attribute the problem of how to ‘teach professionalism’ to the lack of scholarly consensus over the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그러나 우리는 이것(definition)이 교육 문제의 원인이라는 것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현재, 교육을 목적으로 했을 때 가장 중요한 핵심 사상들에 대해 충분한 합의를 이루고 있다고 믿습니다.
We disagree that this is where the pedagogic problem lies. We believe that, at present, we possess for teaching purposes sufficient consensus on the most important core ideas that ground professionalism.
행동을 측정하는 것은 가치가 있지만, 프로페셔널리즘이 단순히 행동 그 이상의 것이라면, 현재 우리가 가진 모든 평가 도구는 충분치 못하다. 우리는 학습 이론이 암시하듯, [명시적인 인지 기반에 대한 교육]과 [authentic 맥락에서의 학습 기회 제공] 사이에 균형을 맞추어야한다.
As valuable as it may be to measure behaviour, if professionalism is more than behaviour, all such assessment tools will fall short. We concur with the observation of Cruess and Cruess: ‘As situated learning theory suggests, a balance must be struck between teaching the cognitive base explicitly and providing opportunities where learning can occur in an authentic context.’18
'신뢰를 창출하는 약속으로서의 전문성', '실천에 대한 미덕의 적용으로서의 전문성'.
‘Professionalism as a trust-generating promise’, and ‘Professionalism as application of virtue to practice’.
신뢰형성의 약속으로서 프로페셔널리즘
PROFESSIONALISM AS A TRUST-GENERATING PROMISE
첫 번째 set은 이상적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이란 공공의 신뢰를 쌓기 위한 약속이며, 달성하기 매우 어렵다는 아이디어이다.
The first set of precepts leads to the idea that professionalism entails making a promise that ideally builds public trust and can be very challenging to fulfil.
환자의 이익에 대한 헌신으로서 프로페셔널리즘
Professionalism as a commitment to the interests of the patient
대부분의 정의는 프로페셔널한 상호 작용의 목표가 환자의 이익이며, 의사의 이익은 부차적이라는 데 동의합니다. (비록이 속성에 대한 전문 용어가 '자기자제self-abnegation'이지만, 덜 정교한 용어인 '이타주의'를 더 널리 사용하게 될 것이다 .21) 그러한 주장은 자명 한 것처럼 보이지만 여기에는 실제로는 학생과 레지던트가 토론해야 할 중요한 문제가 있습니다.
Most definitions agree that the goal of the professional interaction is the benefit of the patient and only secondarily the benefit of the physician. (Although a technical term for this attribute is ‘selfabnegation’, we will use the more widely understood, if less precise, term ‘altruism’.21) Such a claim may seem both self-evident and vacuous, but it is actually quite pregnant with important issues that students and residents need to discuss.
예를 들어
언제 전문가 자신의 이익을 환자 치료에서 합법적으로 주장할 수 있는가?
환자에게 이익을 주기 위해 전문가는 얼마나 희생해야 하는가?
다른 사람과 관련된 일상적 이슈와 도덕적 의무가 환자에 대한 의무를 초월할 수 있는 상황은 언제인가?
At what point do the professional’s own interests have a legitimate claim in patient care?
How much is the professional expected to sacrifice to benefit the patient?
When do lifestyle issues or moral commitments owed to other individuals supersede one’s obligations to the patient?
환자의 이익을 최우선에 두는데에는 여러 행동들이 관여한다.
Placing the patient’s interests first entails a list of related behaviours
학습자는 실제로 프로페셔널리즘이 환자의 최선의 이익에 의해 이끌어 져야한다는 것을 이해할 때, 그들은 이 선의에 기반한 의무가 진정으로 작동하려면, 의사가 기술적으로 유능해야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환자 이익을 우선한다는 것은 기밀성, 진실성 및 의사 결정 공유와 같은 다른 프로페셔널한 행동을 갖추었음을 의미합니다.
when learners understand that professionalism in practice must be guided by the patient’s best interest, they readily see that this beneficence-based duty requires the physician to be technically competent in order to truly be able to serve. Similarly, the priority of the patient’s interests implies other professional behaviours, such as respecting confidentiality, truthfulness and shared decision making.
'프로페셔널리즘'이 행동의 목록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으로 제시 될 때 학생들은 프로페셔널리즘의 학습을 그러한 목록의 암기와 동일시합니다. 이는 그 목록을 기계적으로 컨설팅하여 프로페셔널함 또는 프로페셔널하지 않음이 결정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학생들에게 프로페셔널리즘이 무엇인지 핵심을 주입시키고, 그 core가 어떻게 논리적으로 행동목록을 생성 하는지를 알도록 돕는 것이 좋습니다.
When ‘professionalism’ is presented as a laundry list of behaviours (whether positive or negative), students equate the learning of professionalism with the memorising of such a list, which implies that whether a behaviour is professional or unprofessional can be determined by mechanically consulting the list.1,2,4,6,7 We suggest instilling in students the core of what professionalism is and then helping them to see how the core logically generates the list.
프로페셔널리즘은 의료가 단순히 비지니스가 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Professionalism means that health care can never be merely a business
모든 인간 관계가 사업적 합의로 재편되는 경향이있는 세계에서, (비록 이것이 첫 번째 표현의 단순한 재 작성 일지라도), 이 교훈을 명시적으로 진술하는 것이 가치가있다.
In a world in which all human relationships tend to be recast as business arrangements, it is worth stating this key precept explicitly, even if it is merely a restatement of the first.24
오늘날의 헬스케어는 실제로 비지니스이다. 그러나 헬스케어를 단순하게 또는 주로 사업으로 보지 않아야합니다. 의학의 상업화와 상품화는 오늘날의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가장 중요한 위협 중 하나이며, 학생들은 인간의 삶의 모든면을 시장에서 발생하는 것처럼 바라보는 세상에 빠져 있습니다 .26)
Health care in today’s world is indeed a business: However, health care should never be viewed merely or primarily as a business. The commercialisation and commodification of medicine are among the most important threats to professionalism today,25 and students are immersed in a world that views every aspect of human life as occurring in a marketplace.26,27
프로페셔널리즘은 '공언하다'라는 동사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약속한다'를 의미한다.
Professionalism is derived from the verb ‘to profess’, which means ‘to promise’
펠레그리노 (Pellegrino)는 동사 형태가 명사 (nomoun)보다 유익하다는 것을 언급했다 .28이 교훈은 다른 교훈들을 [대중의 신뢰]라는 중요한 목표와 관련시킨다. 의학은 [개별 의사에 대한 환자의 신뢰]를 포용하는 개념인 public trust를 필요로합니다.
Pellegrino stated that the verb form was more informative than the noun.28 This key precept relates the other precepts to the important goal of public trust. Medicine requires public trust, a concept that embraces the patient’s trust in the individual practitioner.
이러한 신뢰가 없으면 환자는 정직하고 철저하게 병력을 제공하지 않게 되고, 신체 검사 및 검사를 허용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 정보가 없으면 의사는 진료를 완수할 수 없다.
without this trust, Patients will not give an honest, exhaustive medical history, or allow their bodies to be examined and probed, but without the information , practitioners will be helpless to complete their tasks.
왜 환자는 한 번도 본 적이 의사를 신뢰해야합니까? 이 교훈에서 얻을 수 있는 답은 [보건 전문가들이 지역 사회 전체가 환자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한다고 약속]했기 때문이다.
Why should patients trust practitioners, including those they have never previously encountered? The answer this key precept offers is that health professionals have promised the community at large to place the interests of the patient foremost.
'공언한다'라는 말은 공공적인 약속과 집단적인 약속의 개념을 모두 포괄한다.
The promise suggested by ‘to profess’ is both a public and a collective promise
왜 환자들은이 약속을 강하게 느껴야합니까? 결국 전문가의 실제 행동이 신뢰성을 확립 할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환자들은 개업의를 적어도 잠정적으로는 신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뢰는 의사들이 지역 사회에 약속 한 것이 공공적이고 집단적인 것이라는 의미에서 비롯됩니다.
Why should patients find this promise compelling? In the end, professionals’ actual behaviour will establish their trustworthiness. Yet most patients are nevertheless willing at least provisionally to trust practitioners. This trust is driven by the sense that the promise made by practitioners to the community is both public and collective.
의과대학생들은 졸업식에서 의사 서약 의식을 떠올릴 때 이 핵심 교훈을 가장 잘 이해합니다.
첫째로, 의식은 공공적이다; 이 맹세를 암송할 때 닫힌 문 뒤에 숨어서 하지 않는다.
둘째, 선서를 맹세하는 것은 전체 학습의 집단 행동이다. 그것은 대중에 대한 약속이면서 서로에 대한 약속이다.
Medical students best grasp this key precept when they consider the ceremony at which a physician’s oath is sworn upon graduation.
Firstly, the ceremony is public; the class does not retreat behind closed doors to recite the oath.
Secondly, swearing the oath is a collective action of the entire class; it is a promise to the public and to each other.
개별 학생에게 맹세를 암송할지 여부 또는 자신의 버전을 만들기 위해 문구를 변경하고 싶은지 여부를 묻지 않습니다. 모든 학생들이 [같은 맹세]를 [동시에 맹세]하지 않으면 의식은 의미가 없습니다.
Individual students are not asked whether or not they wish to recite the oath, or whether they would like to alter the wording to create their own versions. the ceremony will lack meaning unless all students swear the same oath at the same time.
학생들은 처음에는 [개별적으로 협상하지 않은 집단적 약속에 매여있다]는 생각에 저항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공공적이면서 집단적인 맹세가 아니라면 환자는 어쩌다 응급실에서 근무중이어서 만나게 된 생전 처음 보는 의사를 신뢰할만한 근거가 거의 없다. [집단적 약속]이라는 교훈과 [개인주의]를 훌륭하게 연결시키는 한 가지 교육 기술은 학생들에게 자신의 맹세 또는 규범을 쓰게하는 것이다.29
Students may initially resist the idea that they are bound by a collective promise that they did not individually negotiate. Reflection, however, will show them that if the promise is not both public and collective, patients will have little reason to trust a physician who happens to be on dut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nd whom the patient has never previously met. One pedagogic technique that nicely bridges individualism with the precept of the collective promise involves having students write their own oaths or codes.29
프로페셔널리즘은, 제대로 이해한다면, 매우 어려운 것이다.
Professionalism, properly understood, is hard work
성찰이 결여된 평가도구, 즉 "프로페셔널리즘"이 관찰 가능한 행동 목록을 가지고 교수가 체크하는 것과 동일시시 하는 것, 의 또 다른 문제점은 최소 임계값 충족이 쉬워서, 심각한 윤리적 결함이있는 학습자만 프로페셔널리즘이 부족하다는 인상을 남기는 것이다. 이는 최고의 의사조차도 프로페셔널리즘 달성을 목표로 삼고 엄청나게 노력하고 있다는 중요한 메시지를 훼손합니다.
A further problem with unreflective assessment tools, in which ‘professionalism’ is equated with the checking by faculty staff of boxes that refer to observable behaviours, is that they create the impression that meeting the minimum threshold is easy and that only learners with serious ethical flaws will be deficient in professionalism. This undermines the important message that professionalism is an aspirational goal which even the best physicians must struggle to attain.
인간은 아마도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신체적 위협을 받을 때 이타적으로 행동하도록 프로그램되어있을 것입니다. 대조적으로 피곤하거나 협박을 당할 때 다른 사람의 관심사를 우리 자신보다 우선하게 만드는 것은 어렵습니다. 우리가 natural identity를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 심지어는 적대감을 느낄 수있는 사람들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것이 더욱 어렵습니다. 그러나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약속은 그런 모든 상황에 처한 모든 환자가 환자의 이익과 대중의 신뢰를 향한 우리의 직접적인 노력을 전제로 최선의 치료를받을 것을 요구합니다 .30
Humans are probably programmed to be altruistic on occasions when, for example, those with whom they feel close ties of kinship are threatened by physical danger. By contrast, it is difficult to put someone’s interests ahead of our own when we feel tired or threatened. It is even harder to prioritise the interests of those with whom we feel no natural identity, and towards whom we may even feel animosity. Yet the promise of professionalism requires that all such patients, in all such circumstances, receive our best care, predicated on our directed efforts towards the patient’s benefit, and our public trust.30
라르슨 (Larson)과 야오 (Yao)는 공감에 관해서도 비슷한 점을 지적하고, 깊은 내면의 태도를 표면적 행동과 합치시키는 것은 상당한 정서적 노동을 필요로한다고 지적한다.
Larson and Yao make a similar point about empathy and point out that bringing one’s deeper attitudes into congruence with surface behaviours requires considerable emotional labour.31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약속을 지키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인정한다면 세 가지 중요한 교육적 과제를 남긴다.
첫째, 프로페셔널리즘 교과 과정의 중요성을 확립하고, 여기에 투여되는 시간과 에너지를 정당화합니다.
둘째, 교수들을 대좌pedestal에서 내려오게 하고, 학생들과 진정한 대화를 하여, 모든 사람이 프로페셔널한 행동에 예측가능한 도전을 다루는 방법을 성찰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을 이해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이해한다면, 프로페셔널리즘을 virtue로 규정하는 다음 주요 교훈 세트로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Admitting that keeping the promise of professionalism is difficult accomplishes three critical pedagogic tasks.
Firstly, it establishes the importance of a professionalism curriculum and justifies time and energy devoted to the topic.
Secondly, it takes the faculty member off the pedestal and opens up real dialogue with students as all reflect together upon ways to deal with predictable challenges to professional behaviour.
Finally, understanding how hard professionalism is leads naturally to the next set of key precepts that identify professionalism with virtue.
프로페셔널리즘은 사회와 전문직간의 계약을 의미한다.
Professionalism as an implied contract between society and the profession
프로페셔널리즘은 사회와 의료계 간의 (상호 이익을 위한) 묵시적인 계약으로 간주 될 수 있으며, 조건이 바뀌면 재협상 될 수 있습니다.
Professionalism can be viewed as an implied contract between society and the medical profession, in which mutual benefits are conferred, and which can be renegotiated if conditions change.
언뜻 보면 전문직에 관한 사회학 문헌은 윤리적 접근과는 달라보인다.
사회학이 설명적descriptive 접근을 시도하는 반면
윤리학은 'is'보다는 'should'를 다룬다.
At first glance the sociological literature on the professions might appear to be distinct from an ethical approach, as sociology attempts a descriptive account, whereas ethics addresses the ‘ought’ rather than the ‘is’.14,32
그러나 사회적 계약의 개념은 사회학적 설명과 윤리학적 설명 사이에 중요한 논의의 장을 제공한다. Cruess and Cruess는 우리에게 사회적 계약의 개념이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는 방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상기 시켰습니다 .18,33
The notion of a social contract, however, provides an important meeting ground between sociological and ethical accounts. Cruess and Cruess have reminded us that the idea of the social contract can usefully frame the way in which professionalism is taught.18,33
사회적 계약의 개념은 신뢰가 쌍방향 관계를 수반한다는 것을 학생들에게 상기시킨다. 이상적으로는 신뢰가 환자쪽에 있고, 의사에게는 신뢰할 가치(trustworthiness)가 있습니다.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헌신은, character로 볼 수 있으며, 신뢰의 조건을 수립합니다.
The concept of the social contract reminds the student that trust involves a two-way relationship. Ideally, trust exists on the patient’s side and trustworthiness on the physician’s. A dedication to professionalism, viewed as character, establishes the conditions for trustworthiness.
이 핵심 교훈은 사회가 의사에게 부여하는 혜택은, 그 전문직으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혜택을 받을 것이란 사회의 신념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학생들에게 상기시킵니다. caregiver가 '덕의 길'에서 이탈하여 더 이상 신뢰할 수 없다고 사회가 결정하면, 현재 부여 된 특권과 권한이 철회 될 수 있습니다.
This key precept reminds students that the benefits conferred by society on physicians, are conditional upon society’s belief that it is receiving the hoped-for benefits from the profession. If society decides that caregivers have strayed from the path of virtue and are no longer trustworthy, the privileges and authority now granted to health professionals may be withdrawn.
Virtue의 적용으로서 프로페셔널리즘
PROFESSIONALISM AS APPLICATION OF VIRTUE TO PRACTICE
프로페셔널리즘은 의료윤리의 부분집합니다.
Professionalism as a subset of health care ethics
프로페셔널리즘은 윤리적 문제이지만, 오늘날 윤리의 대부분은 규칙과 원칙을 통해 다루어집니다 .34 규칙과 원칙은 윤리적 심의를 위한 매우 유용한 도구 일 수 있지만 큰 약점이 있습니다. 그 판단을 내리거나 행동을 하는 사람이 어떤 종류의 사람인가라는 질문을 무시합니다.
Professionalism is a question of ethics, but much of ethics today is addressed through rules and principles.34 Rules and principles may be highly useful tools for ethical deliberation, but they have a major weakness: they ignore the question of what sort of person is deciding or performing the action.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이 '되고' 있는지에 초점을 둔 접근 방식, 또는 moral character를 virtue라고 한다. 35 Pellegrino가 말한 것처럼 덕-윤리는 도덕적 행위자와 그 사람이 되어야 하는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에 집중하는 시스템입니다. 덕-윤리는 그 행위 자체나, 상황이나, 그들이 생산하는 결과에는 초점을 덜 둔다.
The approach to ethics that focuses on what sort of person one is becoming, or moral character, is commonly called virtue.35 As Pellegrino stated, virtuebased ethics ‘is a system that concentrates on the moral agent and the kind of person he or she ought to be, rather than on the acts themselves, the circumstances, or the consequences they produce’.23
학생들은 대중의 신뢰를 유지하기 위하여, 환자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 상기할 때 virtue approach를 가장 잘 이해할 것입니다. 기분좋은 날 뿐만 아니라, 피곤하고 짜증이 나거나, 아무도 지켜보고 있지 않은 때에도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규칙만 가지고는 부족하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특정한 종류의 사람이 되기 위해 헌신 할 것을 요구합니다.
Students will best understand a virtue approach when they are reminded of how hard it is to keep one’s public promise to put the interests of patients first, as the maintenance of public trust requires. To do this not only on good days, but also on bad days when we are tired and irritable and no-one is watching, requires more than simple rules; it requires that we devote ourselves to becoming certain sorts of persons.
학생들이 정직한 성찰을 한다면, 지난 삶에서 (심지어 엄청난 희생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도) 다른 사람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가르쳤던 적은 거의 없음에 동의할 것이다. 학생들이 프로페셔널리즘을 [단순히 열심히 일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꺼이 즐겁게 일하는 사람으로 성장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면, 그제서야 교육을 통해 길러야 하는 character와 virtue를 이해할 것이다.
If students engage in honest reflection, they will agree that little in their previous lives has taught them to be the sorts of persons who routinely put the interests of others first, even if to do so requires some significant sacrifice. If students see that professionalism, properly understood, requires them to grow into the sorts of persons who not only engage in that hard work, but who do so willingly and cheerfully, they then understand what character and virtue have to do with their education.36–38
이타성, 연민, 정직과 같은 특정한 덕의 목록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덕은 때때로 오해된다. 덕의 핵심 아이디어는 평생에 걸친 성격 형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Virtue is sometimes misunderstood because of a focus on the listing of specific virtues, such as altruism, compassion and honesty . We recommend instead focus-ing on the core idea of virtue as it relates to lifelong character formation.
Virtue란 행동을 초월한다.
Virtue as transcending behaviour
어떤면에서 덕은 궁극적으로 행동에 관한 것입니다. virtuous한 사람이 이타적인 행동은 하지 않고, 단순히 고귀한 생각만 한다면, 이타주의를 덕이라고 말하는 의미가 거의 없을 것이다. 덕을 배우고 향상시키는 한 가지 목표는 전형적인 스트레스와 위기에 직면했을 때에도 올바른 행동 방식을 취하게하고, 유혹이나 두려움에 빠져 잘못 인도하지 않을 자신감을 갖게 만드는 것이다.
In one sense, virtue is ultimately about behaviour. There would be little point in saying that altruism is a virtue if the virtuous person never actually behaved altruistically, but merely entertained noble ideas. One goal of learning and improving one’s own virtues is to be confident that when faced with typical stresses and crises, one will default to the right way to behave and will not be led astray by temptation or fear.
대조적으로, 덕의 발전이 평생에 걸친 헌신이 되어야 하는 한 이유는 단지 특정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만으로 결코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연수생을 professional attribute의 목록에 따라 행동하게하는 것이 character 개발 과정을 시작하는 좋은 방법이지만, 의도 된 moral destination는 아닙니다.
By contrast, part of the reason why the development of these virtues is indeed a lifelong commitment derives from the fact that merely behaving in certain ways is never enough. Albeit that getting trainees to behave in accord with a list of professional attributes is a good way to start the process of character development, it is not the intended moral destination.
평가자가 끊임없이 겪는 과제는, 프로페셔널리즘 행동 척도를 적절히 활용하되, 그것의 한계를 충분히 인지함으로써, 학생과 레지던트에게 잘못된 메시지를 보내는 방식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An ongoing challenge for evaluators is to use behavioural measures of professionalism appropriately, with full awareness of their limitations, and not to employ them in ways that send the wrong message to students and residents.
코헨 (Cohen)은 마치 프로페셔널리즘 영역을 오직 관찰 가능한 행동에만 국한시키고, 보다 깊은 가치와 태도는 '인간주의humanism'의 영역으로 좌천시키기를 옹호하는 것처럼 보인다 .24 그러나 코헨은 즉시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 "인본주의humanism적인 기초가 없으면 프로페셔널리즘은 진실성이 결여된다. 그것은 겉치장일 뿐이다 ... "24 코헨은 프로페셔널리즘과 휴머니즘이 분명하게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는 관찰 가능한 행동과 깊은 태도를 다룰 수있는 프로페셔널리즘 커리큘럼을 요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이 개념들 사이의 통합을 요구해야 한다고 말한다. 의학교육은 예상되는 행동에 대해 '시험을 위한 교육'이상의 역할을 해야하며, 수많은 도전에 직면하면서도 평생동안 추구해야 할 덕을 증진해야합니다.
Cohen seems to advocate restricting the domain of professionalism solely to observable behaviour, relegating deeper values and attitudes to the realm of ‘humanism’.24 However, Cohen immediately adds: ‘In the absence of humanistic grounding, professionalism lacks authenticity; it is a thin veneer...’24 As Cohen clearly calls for both professionalism and humanism as he defines them, we think it better to require a professionalism curriculum that addresses both observable behaviours and deeper attitudes, and find in virtue the required integration among these concepts. Medical education must do more than ‘teach to the test’ of expected behaviours, and must also promote the cultivation of virtue as a lifelong quest in the face of numerous challenges.39
Virtue란 가치/태도/행동의 통합을 요구한다.
Virtue requires integrating a set of values, attitudes and behaviours
프로페셔널리즘의 덕은 일련의 가치, 태도, 행동을 자기 존재의 핵심에 통합하고, 유능한 전문가가 주어진 임상 상황에 어떻게 반응 할 것인지를 결정하기위한 실질적인 지혜practical wisdom를 적용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신뢰할 수있는 멘토를 관찰함으로써 얻는 일종의 지혜입니다.
Virtue in professionalism requires integrating a set of values, attitudes and behaviours into the core of one’s being, and applying practical wisdom to determine how the virtuous professional would respond to a given clinical situation; this is the sort of wisdom one ordinarily gains from observing trusted mentors.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의 일환으로 덕의 짧은 과정이 요구됩니다.
a short course in virtue is required as a part of professionalism education.
유능한 전문가가 되려면 옳은 일 (환자의 관심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이든)을 올바른 방식으로, 올바른 태도로 수행해야하며, 그러한 행동을 깊이 형성된 성격의 표현처럼 일관되고 신뢰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자신의 도덕적 뼈의 골수로 이타주의를 이식한 것과 같은 덕을 가져야합니다.
Being a virtuous professional requires doing the right thing (whatever puts the patient’s interests first and foremost) in the right way and with the right attitude, and doing so consistently and reliably as an expression of deeply formed character; it requires getting medical virtues like altruism right into the marrow of one’s moral bones.
그러나 덕스러운 의사는 단지 이타적인 것 그 이상이다. 환자의 최선의 이익을 촉진시키는 성격의 측면을 exemplify합니다(예 : 연민, 인내, 성실, 실용적인 지혜).40
However, the virtuous physician is more than altruistic; he or she also exemplifies those aspects of character that promote the patient’s best interests (such as compassion, perseverance, integrity and practical wisdom).40
덕스러워진다는 것은 그저 좋은 가치를 기르는 것 이상을 필요로합니다. 실용적 지혜를 가짐으로써 어떻게 덕스러운 전문가가 주어진 구체적인 상황에서 반응하는지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어야합니다 .41 좋은 성격의 한 측면으로서, 이 실용적인 지혜는 일생 동안 배양되어야하는 기술입니다.
Being virtuous requires more than having inculcated good values; it means having the practical wis-dom to discern precisely how the virtuous professional should respond to any given concrete situation.41 As one aspect of good character, this practical wisdom is a skill that must be cultivated over a lifetime.
학생들은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기본 덕 윤리의 이러한 측면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Students can understand these aspects of basic virtue ethics by reflecting on their own experiences.
학교에서 임상 멘토에 대한 경험이없는 학생들조차도 자기와 가족의 삶에서 의사를 접해보았을 것이고,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역할 모델을 모두 보았을 것입니다.
Even students who have had no experience with clinical mentors in school have probably encountered practitioners in their own and their family’s lives, and have seen both positive and negative role models.
불행하게도 프로페셔널리즘을 발달시키기보다는 냉소주의만을 키우는 두 가지 흔한 오용이 있다.
하나는 프로페셔널리즘을 강요(bludgeon)하는 것으로서, '프로페셔널리즘'을 행정 규칙을 따르지 않는 학생들을 처벌하는 위협이나 무기로 사용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다른 하나는, 프로페셔널리즘을 단지 구체적인 행동 체크리스트만 있으면 평가할 수 있는 필수 '역량'으로 전문성을 환원해버리는 것이다.
two common misuses of professionalism, which unfortunately feed cynicism rather than professional development.2
One misuse is that of professionalism as a bludgeon, a term that refers to the use of ‘professionalism’ as a threat or weapon with which to punish students who don’t follow the administration’s rules.
The other misuse involves reducing professionalism merely to a requisite ‘competency’ that can be exhaustively evaluated solely according to a checklist of concrete behaviours.1,7
불행히도 교육의 프로페셔널리즘은 이중 의무를 이행해야합니다.
Unfortunately, professionalism in education must do double duty.42
이중의 의무와 이상적 포부는 학교에서 보낸 메시지가 명확하게 유지 될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설명되어야합니다.
The double duty and the aspirational ideal must both be explained to students so that the messages sent by the school remain clear.
결론
CONCLUSIONS
The key precepts we propose for education in medical professionalism may be summarised as:
(i) ‘profession’ is a public, collective promise providing the basis for trust, based on an implied social contract committed to the patient’s best interests, and
(ii) ‘professionalism’ involves hard work that implicitly requires knowledge and technical competence, but, more importantly, requires the application of virtue ethics.
14 Hafferty FW, Castellani B. The increasing complexities of professionalism. Acad Med 2010;85: 288–301.
18 Cruess RL, Cruess SR. Teaching professionalism: general principles. Med Teach 2006;28:205–8.
Professionalism: a framework to guide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 1
- Institute for the Medical Humanities,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Galveston, Texas, USA;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Galveston, Texas, USA.
Abstract
CONTEXT:
METHODS:
RESULTS:
CONCLUSIONS:
© 2014 John Wiley & Sons Ltd.
Comment in
- PMID:
- 25200018
- DOI:
- 10.1111/medu.12520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페셔널리즘 교육: 일반 원칙(Med Teach, 2006) (0) | 2017.12.19 |
---|---|
프로페셔널리즘 평가의 어려움: 사회인지적 심리학에서의 이론적 통찰(Acad Med, 2007) (0) | 2017.12.17 |
프로페셔널 딜레마에 대한 학생들의 접근에 관한 문화간 연구: 막대기 또는 잔물결(Med Educ, 2012) (0) | 2017.12.17 |
프로페셔널리즘 교육과 사회적 계약: 문화적 겸손함 위하여(Med Teach, 2010) (0) | 2017.12.11 |
프로페셔널리즘 평가를 위한 블루프린트: 체계적 문헌고찰(Acad Med, 2009) (0) | 2017.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