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교육에서 학습의 개념을 확장시키기: 팀워크의 메시지(Med Educ, 2006)

Broadening conceptions of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the message from teamworking

Alan Bleakley





도입

Introduction


조지 밀러 (George Miller)는 1970 년에 다음과 같이 썼다 : "교육 시스템에서 중대한 역할을하는 의학 연구에 세기가 걸릴 수도있다. 교육 시스템은 Medicine 만큼 광대하고 Ponderous하다."최근 세기의 거의 3 분의 1이지나 갔다. 의학 교육 연구의 현재 상태를 조사한 Academic Medicine의 최근 이슈에서 강조된 것처럼, 밀러 비관론을 검토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는 학습 이론이 의학 교육에 어떻게 가장 잘 적용될 수 있는지 이해하는 데 더 가까이 다가 가고 있습니까? 특히, 어떤 학습 이론이 헬스케어 팀의 안전한 실천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습니까?

In 1970, George Miller1 wrote: ‘It may require … a century of educational research to produce any significant response in an educational system as vast and ponderous as that which serves medicine.’ Almost a third of that century has passed, marked by a recent themed issue of Academic Medicine (2004; 79) surveying the current state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allowing for a considered review of Miller's pessimism. Are we any closer to understanding how learning theories may best be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Particularly, which learning theories best inform safe practice of health care teams?


의학 교육은 단순히 학습이론으로부터 차용하는데 그치지 않고, 문제 기반 학습, 전문성 개발 및 평가에 대한 심리 측정 접근법과 같은 분야에서 연구를 통해 개발에 기여했습니다. 그러나 주목할만한 예외를 제외하고 2-7의 이러한 학습 방법은 일반적으로 임상 실습의 주요 발전을 다루지 못했습니다. 팀에서 동적 인 시스템으로 학습합니다 (시간과 공간에서 작동). 예를 들어, 의학 교육 연구의 동향에 대한 Regehr's8의 비판적인 개관에서 역동적 인 사회 문화적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학습 이론은 부재하는 것에 가깝다. 도제식 시스템을 사용하는 곳에서, 직업 기반의 견습 과정을 통해 특별히 개발 된 학습 모델이 주류 의학 교육에서 더 널리 채택되지 않은 것은 아이러니하다. 이러한 실수oversight에는 조사되지 않은 이데올로기 적 이유가있을 수 있습니다.

Medical education does not simply borrow from learning theories but has contributed to their development through research in areas such as problem-based learning, development of professional expertise and psychometric approaches to assessment. However, with notable exceptions,2–7 these approaches to learning have not generally addressed a major development in clinical practice: learning in teams as systems that are dynamic (operating through time as well as in space). For example, in Regehr's8 critical overview of trends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references to theories of learning that stress the importance of dynamic socio-cultural context are notable by their absence. Further, where medicine is an apprenticeship system, it is ironic that models of learning specifically developed from studies of work-based apprenticeship9–12 have not been more widely employed in mainstream medical education. It may be that there are unexamined ideological reasons for this oversight.


의학 교육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학습 이론은 고립된 개인에 초점을 맞춘 학습 이론이며, 학습에 관한 사회 문화적 맥락을 강조하는 경우는 적다. 전자에 포함되는 것에는 다양한 종류의 성인 학습 이론, 경험 학습, 성찰적 연습 등이 있다. 이러한 접근법에서 학습자는 의학의 전통적 자율성에 공감하는 active agent로 간주된다. 이러한 personal agency의 개념은 학습자가 사회적, 역사적 담론의 대상으로 간주되는 학습의 사회 문화적 모델에 의해 도전을 받게 되었는데, 학습의 사회문화적 모델에서는 cognition이 사람에 위치하기보다in person, 연습 공동체를 구성하는 사람들과 인공물에 걸쳐 분산되어있는 것으로 기술된다.

The most commonly applied learning theories in medical education continue to be those that focus upon an isolated individual rather than the sociocultural context for learning. The former include varieties of adult learning theory,13–15 experiential learning16 and reflective practice.17 In these approaches, the learner is viewed as an active agent, resonating with medicine's tradition of autonomy. Such a notion of personal agency is challenged in sociocultural models of learning, where the learner is viewed as subject to social and historical discourse, and cognition is described as distributed across people and artefacts making up a community of practice, rather than situated ‘in’ persons.


개인주의 학습 모델은 또한 '이론'으로서의 지위와 같은 인식론적 주장에 대한 광범위한 교육 문헌에서 비판적으로 검토되었다. 18-21 "성인 학습 이론"이라는 descriptor는 약 20 년 전에 영향력있는 논문에서 도전을 받았다. Davenport는 'andragogy(성인 교육)'과 'pedagogy(어린이 학습)'의 구별에 대한 개념적 근거와 경험적 증거가 모두 결여되어 있다고 결론 지었다. Davenport는 연구 증거가 '이론이나 입증 된 방법으로서의 ... andragogy를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결론 지어서 일부 교육자들은 '단순히 그 말을 포기해야한다'고 결론 지었다 .18) Norman은 의학 교육에서 성인 학습 이론은 경험적 연구에 개방된 이론의 지위를 얻지 못하는 '교육 전략의 가벼운 연합'으로 묘사합니다.


Individualistic learning models have also been critically reviewed in the wider education literature for their epistemological claims, such as status as ‘theory’.18–21 The validity of the descriptor ‘adult learning theory’ was challenged nearly 20 years ago in an influential article by Davenport,18 who concluded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andragogy’ (adult learning) and ‘pedagogy’ (child learning) was unfounded, lacking both a conceptual basis and empirical evidence. Davenport concluded that where research evidence did ‘not appear to support … andragogy as a theory or proven method’, this had led some educationalists to ‘simply drop the word.’18 Within medical education, Norman22 describes adult learning theory as a flimsy association of educational strategies that fails to gain the status of a theory open to empirical investigation.


학습의 또 다른 'Mantra'(쉽게 부름 받았지만, 비판적으로 또는 경험적으로 거의 고려되지 않은)는 '성찰적 실천'이다. Schon은 성찰적 학습에 대해 설명에 불확실하고, 고유하고, 가치적 맥락에서의 학습을 구체적으로 다루지만, 시스템의 역동적인 관점에서가 아니라 개인의 관점에서만 다루고 있다. 이것은 팀의 일상적 사용에서 인공물에 의해 중재 된 팀원들 (환자의 마약 차트 등) 간의 정보 흐름을 포함하여 중요한 요소를 놓치게됩니다.

Another ‘mantra’23 of learning (readily invoked but rarely considered critically or empirically) is ‘reflective practice’. Although Schon's account of reflective learning specifically addresses learning in contexts of uncertainty, uniqueness and value context, it does so only from the individual's perspective and not from the perspective of systems dynamic.17 This misses critical elements, including the flow of information between members of a team mediated by artefacts in daily use by that team (such as patients' drug charts). 


'성찰적 실천'은 교육 내에서 더 정제될 수 있는 기술어 이며, 여기서 용어는 대조적인 인식론에 기반한 다양한 사례를 설명하기 위해 느슨하고 비판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Schon의 원래 모델은 또한 가치에 대해 성찰적이지 못하다. 특히 의학 교육 문헌에서는 이러한 primary text에 대한 긴밀하고 비판적인 읽기가 부족하며, 최근이 되어서야 성찰적 연습의 구성 요소가 체계적으로 분석되었다 .26 성찰적 실천은, 역설적으로, 전혀 성찰적이지 않게 사용되어왔다.

It has been argued that ‘reflective practice’ is a descriptor that could be refined within education,20 where the term has been used loosely and uncritically to describe a variety of practices based on contrasting epistemologies.6,20,23–25 Schon's original model also fails to be reflexive about the values that inform it.20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in particular there is a lack of close and critical reading of such primary texts, and it is only recently that reflective practice has, for example, been systematically analysed for its component parts.26 Reflective practice has, paradoxically, been employed unreflectively.


'경험적 학습'은 비판적 관심을 회피한 보이는 또 다른 개념이다. 콜브의 경험적 학습의 반성적 순환 모델은 검증 가능한 이론 이라기보다는 상식적인 descriptor로 비판 받아 왔으며, 팀이나 시스템이 아닌 개별 학습자에게만 집중함으로써 설명의 범위가 약화되었다. Rowland는 "성찰"과 "학습"이라는 용어가 사회적 관계의 권력에서 의미를 파생시키는 방식을 고려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Kolb의 경험학습 사이클은 역설적으로 경험이 발생하고 경험을 형성하는 사회적 맥락을 무시하는 '경험'의 모델입니다.

‘Experiential learning’ is another notion that appears to by-pass critical attention. Kolb's16 model of a reflective cycle of experiential learning has been criticised as a commonsense descriptor rather than a testable theory, and is again weakened in its range of explanatory power by its grounding only in the individual learner and not the team or system, where, as Rowland19 notes, it then fails ‘to consider the ways in which such terms as “reflection” and “learning” derive their meaning from social relations of power’. Kolb's experiential learning cycle is then a model of ‘experience’ that paradoxically neglects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at experience occurs and which also serves to shape the experience.


헬스케어에서 전문직간 팀웍, 시스템 기반 환자 안전, 조직 학습을 강조함에도 불구하고, 학습의 개인주의 모델은 의학 교육에서 계속 특권을 누리고있다.

Despite an emphasis in health care upon the benefits of interprofessional teamwork,27,28 systems-based patient safety2–4,7,29,30 and organisational learning,3,4,7,29,30 individualistic models of learning ...continue to be privileged within medical education.31–33 


예를 들어 Rolfe와 Sanson-Fisher는 '의학 교육 및 관련 행동 과학 문헌 검색'이 임상 기술을위한 구조화 된 학습 도구를 개발하는 '기초'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문헌은 '학습에 대한 개별적인 초점은 적절하며 ... 성인 학습이라는 생각과 일치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러한 검색은 '최고의 증거'를 투명하게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인용을 통해 그 자체를 재현하는 문헌의 기존 편견을 강화하는 데에만 기여한다. 인공 호흡 팀 활동과 같이, 협력적 임상 기술에 대해 경우, 우리는 그러한 맥락에 대한 설명력과 예언력을 가진 학습 이론을 필요로합니다. 이것은 대부분의 의료 과오가 시스템을 기반으로 발생하며, 팀워크의 질이 환자 결과 향상과 관련되어있는 헬스케어에서 불가결한 것이다.

For example, Rolfe and Sanson-Fisher32 describe how ‘a search of the medical education and relevant behavioural science literature’ provided ‘the foundations’ to develop a structured learning tool for clinical skills. The literature indicated that ‘an individual focus to learning is appropriate … consistent with the idea of adult learning’. However, such a search is not a transparent revelation of ‘best evidence’ but may serve to reinforce existing bias in the literature that then reproduces itself through citation. Where clinical skills are collaborative, such as resuscitation team activity, we need learning theories with explanatory and predictive power for such contexts. This is a health care imperative, where the majority of medical errors are systems-based34 and quality of teamwork is linked with improving patient outcomes.35 


다시 말하면, 임상 팀 및 조직과 같은 complex adaptive systems에서의 학습에 대해서 다양한 성인 학습 이론은 완전한 정보를 줄 수 없다. 이것은 사회 문화적으로 더 잘 이해 될 수 있으며, 왜냐하면 이는 역사적으로 중재 된 업무 관행에 대해 legitimate entry이기 때문이다

Again, learning in complex adaptive systems such as clinical teams and organisations cannot be fully informed by varieties of adult learning theory, but may be better understood socio-culturally as legitimate entry into historically mediated work practices.



학습에 대한 두 가지 접근

Two approaches to learning


개인주의적 학습이론과 사회 문화적 학습 이론을 서로 대립되는 것으로 만드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데, 어느 한 세트의 이론을 쉽게 특권으로 삼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우리는 이론을 설명력과 예언력으로 적절하게 고려할 수 있으며, (성찰, 모호함에 대한 내성, 암묵적 지식이 어떻게 개별적으로 그리고 집단적으로 조직되는지 등에 대해) 여러 이론의 전반에 걸쳐 공유 된 원칙을 도출 할 수 있다. 학습 이론에서 다양한 접근법들은 생산적인 긴장 상태에 있다고 볼 수있다.

Creating an opposition between individualistic and socio-cultural learning theories is unhelpful as we may readily come to privilege one set of theories over another. Rather, we can consider theories as fit-for-purpose by their explanatory and predictive power and we can also draw out shared principles across families of theory, such as the value of reflection and of tolerance of ambiguity, and of understanding how tacit knowledge is organised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Differing approaches in learning theory can, however, be seen to be in productive tension. 


Sfard36은 학습을위한 두 가지 유익한 설명 : '취득'과 '참여'.

  • '취득 (Acquisition)'은 지식의 재생산을 광범위하게 묘사하며, 여기서 학습은 개인의 지식 탐색과 정보 침강으로 간주됩니다. 여기서 지식은 개인 자본으로 취급 될 수 있습니다.

  • '참여'는 협력 공동체에서 합법적 인 참여의 적극적인 과정으로서 협업 지식 생산을 설명합니다. 여기서 학습은 축적 행위가 아니라 ('전문적'지위로의 이동과 같이) 정체성 구축 과정에서 (역할을 통한) 참여로 재구성된다.

Sfard36 outlines two helpful metaphors for learning: ‘acquisition’ and ‘participation’. 

  • ‘Acquisition’ broadly describes knowledge reproduction, where learning is seen as information seeking and sedimentation of knowledge in individuals. Here, knowledge may be treated as private capital. 

  • ‘Participation’ describes collaborative knowledge production as an active process of legitimate engagement in a community of practice. Here, learning is reconfigured not as an act of accumulation but of participation (through role) in a process of identity construction such as movement to ‘expert’ status.37


Sfard는 각 접근법마다 합목적성이 있으므로, 어느 접근법도 다른 접근법보다 특권을 가져서는 안된다고 경고한다. 그러나 모델의 특권은 합목적적 주장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이데올로기 적 편향으로부터 나온 것일 수있다. 학습 이론은 value-free하지 않다. Max Weber가 개신교 - 자본주의 복합체로 묘사한 학습 경제학에서 지식은 필수품 및 사유 재산으로 취급되며, 학습은 개신교 직업 윤리와 연결된 개별 기업이다. '자율성', '자기 주도적 학습', '자기 평가'는 그런 경제에서 합법적 인 통화입니다.

Sfard is careful to warn that neither approach should be privileged over the other as each approach will be fit-for-purpose. However, the privileging of models may not follow from a fit-for-purpose argument, but from ideological bias. Learning theories are not value-free. In a learning economy subject to what Max Weber described as a protestant-capitalist complex, knowledge is treated as commodity and private property, and learning is an individual enterprise linked to the protestant work ethic. ‘Autonomy’, ‘self-directed learning’ and ‘self-assessment’ are then legitimate currency in such an economy. 


사실, 이러한 접근법은 value preference가 evidence보다 우선시되는 곳에서 naturalized 되기도한다 (자명하게 'good'한 것이 'true'가 되곤 한다.). 예를 들어 전문성과 윤리적 실천에 대한 강조가 커지면서 자부심을 보이는 의학 교육에서는 '자기주도성'이 꾸준히 부각되지만, 부실한 의사조차 자기 주도적 태도를 취할 수 있습니다. 학습에서의 자율성은 사회적 양심을 동반해야하며, peer feedback이 자기평가의 완급을 조절해야 한다.

Indeed, these approaches become naturalised (taken to be self-evidently ‘good’ and therefore ‘true’), where value preference precedes evidence. For example, ‘self-direction’ is consistently applauded in a medical education culture that prides itself on a growing emphasis upon professionalism and ethical practice, yet poorly performing doctors can be patently self-directed. Autonomy in learning must be accompanied by a social conscience and peer feedback must temper self-assessment.


역설적이게도 팀워크 학습의 필요성이 인식되는 곳에서는, 분산 된인지보다는 개인적인 이론적 기준이 주요한 기후에서 일어날 수 있습니다. Medicine이 직장 기반 학습을 포함하는 견습 인 경우, Guile과 Young은 ''개인주의적 가정들'은 사회화, 정체성 구축과 팀 기반 활동의 사회적 맥락에서 발생하는 전문 지식 학습 간의 관계를 설명 할 수 없다라고 주장한다.

Where the need for teamwork learning is recognised, paradoxically this may still occur within a climate whose main tacit theoretical reference is individual, rather than distributed, cognition. Where medicine is an apprenticeship involving work-based learning, Guile and Young11 argue, ‘individualist assumptions’ cannot account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isation, identity construction and learning of expertise that occur in the social contexts of team-based activity. 


'습득'은유를 이용한 학습 이론과는 달리, 집단주의적 학습 경제는 협동 학습이 특혜인 '참여'의 은유를 naturalize시켰다. 

  • 놀랍지 않게도 자본주의 심리학 특권 피아제 (Piaget)와 콜 버그 (Kohlberg)와 같은 개인 구성 론적 모델에,

  • 집단주의적 러시아 (소비에트) 심리학은 비고츠키 (Vygotsky)와 레오 티에프 (Leontiev)와 같은 사회적 구성 주의적 모델에 특권을 부여한다.

In contrast to learning theories drawing on an ‘acquisition’ metaphor, collectivist learning economies have naturalised the metaphor of ‘participation’, where collaborative learning is privileged. Unsurprisingly, 

  • capitalist psychology privileges individual constructivist models such as those of Piaget and Kohlberg, 

  • where collectivist Russian (Soviet) psychology privileges social constructivist models such as those of Vygotsky and Leontiev.38



이전에 언급했듯이, '마음은 어디에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대답하면서, 사회 문화적 학습 모델은 '마음'은 사람 안에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과 인공물에 분산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예를 들어, 기억은 단순히 개인에 내재한 것이 아니라 컴퓨터에 있고 집단적으로 관행을 취하는 의식과 새로운 구성원이 사회화되는 의식에 있습니다.

As noted earlier, in answering the question: ‘Where is mind?’, socio-cultural models of learning assume that ‘mind’ is not just in the person, but distributed across persons and artefacts. For example, memory is not simply located in individuals but in computers and in collectively held practices and rituals into which new members of teams are socialised. 


병동에 대한 컨설턴트 및 사전 등록 하우스 임원의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에서 컨설턴트는 인터뷰에서 "작은 책"이 주니어 의사가 보관하고 한 회전에서 다음 회전으로 전달 된 팀을 알고 있다고보고했습니다. 이 책에는 팀을 이끌어 온 컨설턴트의 특이성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인터뷰 대상자는이 책의 목적이 주니어 의사가 컨설턴트가 정한 특정 분위기particular climate에 적응하도록 돕는 것이라고 제안했습니다.

In a study of consultant and pre-registration house officer interactions on wards,39,40 a consultant reported in interview that he knew of teams where a ‘little book’ was kept by junior doctors and passed on from one rotation to the next. This book contained descriptions of the idiosyncrasies of consultants who had led the team. The interviewee suggested that the purpose of the book was to help the junior doctor to adjust to the particular climate set by the consultant. 


소아과 병동에서의 팀 토크에 관한 연구에서, 41'common knowledge '는 습관적 팀 관행을 채택하도록 신입 회원을 설득하는 수사학 전략을 통해 팀원들에 의해 영구적으로 협상됩니다. 여기에서 'common knowledge'은 개별 팀 구성원이 작업 상황에 가져올 수있는 recollection의 합계 이상입니다. 이것은 팀이 가진 대화식 'remembering'의 속성입니다. 기억은 '공동으로 실현 된 활동'이므로 개인의 인식보다는 분산 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In a study of team talk on a paediatric ward,41‘common knowledge’ is permanently negotiated by members of the team through rhetorical strategies that persuade newcomers into adopting habitual team practices. Here, ‘common knowledge’ is more than the sum of any recollections individual team members might bring to the work situation. It is a property of the team's conversational ‘rememberings’. Remembering is ‘a jointly realised activity’, thus conceived as distributed rather than individual cognition. 


팀의 신규 구성원은 일화로 전해져 오는 팀 캐릭터의 역사적 측면에 관심을 기울이며, 신속하게 '유연한 전문 지식'을 습득해야합니다. 여기서 배우는 것은 단순히 수동적 인 기술 축적과 축적이 아니라 지식이 재 개념화 된 사회 참여 활동이다.


A novice in the team must quickly gain ‘flexible expertise’, including attention to the historical aspect of the team's character, which is transmitted as anecdote. Here, learning is not simply passive accumulation of skill and knowledge, but an activity of social participation in which knowledge is reconceptualised.





활동 이론

Activity theory


개인주의 학습 이론은 학습자를 선택 의지와 선택에 중점을 둔 활동의 중심에 위치시킵니다. 이 모델은 전통적인 성격 심리학에 기초를두고 있으며, 변하지 않는 학습 스타일의 모델과 일치합니다. 그러한 모델은 또한 학습을 ​​발달 적으로 바라 보는 경향이있어서 특정 학습 방법이 특정 발달 단계에 적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보자에서 전문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패턴 인식을 통해 종합적 또는 전체론적 학습에 종사하는 암묵적인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분석 원리에 기반한 'building block'의 학습이 권장 될 수 있습니다.

Individualistic learning theory places the learner at the centre of the activity, putting emphasis upon agency and choice. This model is grounded in traditional psychologies of personality and then aligns itself with models of invariant learning styles.42 Such models also tend to view learning developmentally so that certain approaches to learning may be appropriate for a developmental stage. For example, in the transition from novice to expert, analytic principles-based ‘building block’ learning may be encouraged as there is a lack of tacit knowledge upon which to engage with synthetic or holistic learning through pattern recognition. 


사회 문화적 접근 방식은 학습자를 복잡한 활동 시스템의 한 측면으로 보고, 학습이 학습 과정을 상황에 민감한 것으로 재구성합니다. 여기서 팀 역학과 같이 활동 전반에 대한 접근성이 중요합니다. 여기서는, 문제 중심 학습과 마찬가지로 학습자의 발달 단계는 보다 넓은 원칙에 부수적 인 것으로 간주되는데, 이 원칙이란 '사람과 인공물에 걸쳐 분포 된 지식에 대한 합법적인 접근'을 말한다. 이것은 인지적 동화 작용이면서, 적응적인 사회적 과정이며 일반적인 의사 소통 능력을 끌어 낸다.

Socio-cultural approaches see the learner as one aspect of a more complex activity system and then reconfigure learning as sensitivity to context, where gaining access to an overall picture of activity, such as a team dynamic, is crucial. Here, as in problem-based learning,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e learner is considered secondary to a wider principle, that of gaining legitimate access to knowledge that is distributed across persons and artefacts. This is an adaptive social process as much as a cognitive assimilation event and draws on generic communication capabilities. 


'Knowing'은 환자 레코드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병동의 병동 팀을 모으는 협조적인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합법적인 참여로 재구성됩니다. 더 나아가, 개인은 사회적 활동의 산물로 간주되고 고정 된 유형보다는 유체 및 다중 정체의 관점에서 설명됩니다.

‘Knowing’ is reconfigured as legitimate participation, such as engagement with the collaborative data gathering of a bedside ward team to update patient records. Further, the individual is seen as a product of social activity and accounted for in terms of fluid and multiple identities rather than fixed types.10


학습 이론을 '습득'에서 '참여'로 확대한 가장 중요한 발전은 역동적인 사회적 맥락에서 배우는 것을 의미하는 activity theory이다. Activity theory의 두드러진 버전은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으로 불리는 일군의 모델로서, 이산 작업 기반의 사회적 맥락 ( 'activity system')을 분석의 기본 단위로 취합니다. 활동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그림 1에 나와 있습니다.

The most significant development in expanding learning theory from ‘acquisition’ to ‘participation’, accounting for learning in dynamic social contexts, is activity theory.6,38,43–47 A prominent version of activity theory, a group of models often referred to as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47 takes a discrete work-based social context (an ‘activity system’) as the basic unit of analysis. The components of an activity system are shown in Fig. 1. 





이 분야의 핵심적 이론가인 Yrjo Engestrom은 knowledge reproduction보다 knowledge production을 설명하는 'expansive learning'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학습자는 단지 수동적인 방법으로 커뮤니티나 활동 시스템이 보유한 지식으로 단순히 사회화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참여는 필연적으로 시간이 흐르면서 변화를 통해 생산 가능성을 제공하는 이미 불안정한 시스템에 대한 교란으로 작용합니다. Practitioner가 그러한 역동적인 상황에서 창조적으로 작업하기 위해서는 높은 tolerance of ambiguity가 요구되며, 이러한 tolerance는 개인적, 집단적으로 유지됩니다.

Yrjo Engestrom,38,43–46 the central theorist in the field, has introduced the notion of ‘expansive learning’38 to account for knowledge production rather than reproduction. The learner is not simply socialised into the knowledge held by a community or activity system in a passive manner. Rather, participation necessarily acts as a disturbance to an already unstable system that offers productive possibilities through change over time. High tolerance of ambiguity is demanded for practitioners to work creatively within such dynamic contexts and such tolerance is held both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Middleton은 임상 팀에서 표면적으로 '논쟁적인 (argumentative)'대화로 보이는 것은 '집단 지성 (collective intelligence)'의 협상으로 재구성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의미에서 '딜레마' 대화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아니라 자원이며, '불확실성은 혁신의 적이 아니기 때문'이다.

Middleton notes that what on the surface appears to be ‘argumentative’ talk in a clinical team can be reformulated as negotiation of a ‘collective intelligence’. In this sense, such ‘dilemmatic’ talk becomes a resource rather than a problem to be solved, where ‘uncertainty is far from being the enemy of innovation’.41


Engestrom은 환자를 공유하는 다른 건강 및 사회 케어 팀과 같은 특정 활동 시스템 내에서 work-based learning에 중점을 둡니다. 모든 활동 시스템에는 '대상'(관심 대상 - 임상 팀에서 환자 임)과 목표 (환자의 요구 사항 충족)가 있습니다. 그들은 이 목표를 다른 팀과 공유 할 수 있습니다. 활동 이론은 특히 'boundary object'(공통 관심사)을 공유하고 'boundary crossing'(여러 팀이 환자 치료와 같은 공통 관심사를 공유하더라도, 과연 서로의 활동을 이해할 수 있는지)를 공유하는 팀간에 학습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특히 관심이 있습니다.

Engestrom focuses upon work-based learning within specific activity systems such as differing health and social care teams sharing a patient.43–46 Every activity system has an ‘object’ (the focus of interest – in clinical teams this is the patient) and objectives (meeting the needs of the patient). They may share this object with other teams; activity theory is particularly interested in how learning occurs across teams sharing a ‘boundary object’ (common interest) and involving ‘boundary crossing’ (can teams understand each other's activities, although they may share a common concern such as patient care?).44 


그러한 학습 모델은 interprofessional care 분야에서 쉽게 적용되고 시험 될 수있다. 예를 들어, 헬스케어에서 여러 팀이 공동 관심사 (대상)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의 활동을 완전히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이 쉽게 관찰 될 수있다. 예를 들어, 와드 및 운영 극장 팀 또는 건강 및 사회 복지와 같은 다른 기관의 팀은 공유 된 환자에 대해 완전하게 의사 소통하지 못할 수 있으며 정보를 복제하고 격리 할 수 ​​있습니다. Engestrom의 활동 이론은 협동 적 탐구의 한 종으로서, 행동과 반성의 순환을 통해 시험되고 세련되며, 헬싱키 헬스 서비스에서 만성 다발성 질환 환자에 대한 기관 간 협력 팀 관리를 알리기위한 목적에 맞는 모델로 채택되었습니다.


Such models of learning can be readily applied and tested in the field of interprofessional care.48 Teams may not, for example, be fully aware of each other's activities despite their common concerns (objects) and this is readily observed in health care. For example, a ward and operating theatre team, or teams from different agencies such as health and social services, may fail to communicate fully about their shared patients, and both duplicate and sequester information. Engestrom's version of activity theory is a species of collaborative inquiry, tested and refined through cycles of action and reflection, that has been adopted by the health service in Helsinki as a fit-for-purpose model for informing inter-agency collaborative team care of chronic, multiple illness patients.45



학습은 명백한 사용 가치 (기술)와 교환 가치 (전문 지식)를 지니고 있지만, 상징적 가치 (지위)를 지니고 있으며, 직업적 정체성 구축을 통해 문화적 자본을 제공합니다. 활동 이론은 work-based practices 과 정체성 관리가 역사적으로 결정된 역할 및 규칙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통해 어떻게 정체성이 구성되는지를 고려합니다. 정체성 형성은 단순히 "일을 하는 것"이나 일을 '생각하는'것 뿐만 아니라, '자세히 말하기'또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여기서 직업은 연습 커뮤니티 내에서 이미 순환하는 일련의 이야기 내에서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이야기됩니다.

Learning has obvious use value (skills) and exchange value (expertise), but also has symbolic value (status), offering cultural capital through professional identity constructions. Activity theory considers how identities are constructed through work-based practices and how management of identity relates to historically determined roles and rules. Identity formation is not an aspect of simply ‘doing’ the job, or even ‘thinking’ the job, but also of ‘recounting’ or story, where the job is narrated to oneself and to others within a set of stories already circulating within the practice community.49 


다원적 인 팀에서는 practitioners는 수사 전략을 사용하여 자신과 상대방의 역할과 정체성을 확인합니다. 이것은 그들 자신을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타자'의 역할에 대한 고정 관념이 되기도 한다. 이 학습은 전문적이고 윤리적인 실천의 정체성 형성에까지 이릅니다. 그러한 윤리적 '자기 형성'의 모델은 '성찰적 실천'의 관례에 대한 보완 적 접근을 제공한다.

In multiprofessional teams, practitioners use rhetorical strategies to confirm role and identity, not only for each of themselves but also for others, often serving to stereotype the role of the ‘other’ in the team.50 This learning extends to a ‘shaping’ of identity as professional and ethical practice.51 Such models of ethical ‘self-forming’ offer supplementary approaches to conventions of ‘reflective practice’.



활동 이론은 학습이 공간 (식별 가능한 사회적 맥락)에서뿐만 아니라 시간 (동적 시스템)을 통해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한 검증 가능한 모델을 제공합니다. 이 모델의 특별한 힘은 환자라는 같은 목표를 공유하는 다른 활동 시스템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예측할 수있는 능력에 달려 있습니다. 활동 이론은 practice의 결과를 잘 다루지만 practitioner가 처음으로 활동 시스템에 합법적으로 진입하는 방법 (사회화)을 적절하게 설명하지는 않습니다.

Activity theory offers a testable model of how learning occurs not only in space (identifiable social contexts), but also through time (dynamic systems). The particular power of the model rests with its ability to predict how differing activity systems may interact where they share an object, such as a patient. While activity theory deals well with the outcomes of practice, it does not, however, adequately explain how practitioners first gain legitimate entry into activity systems (socialisation).


인지적 도제 및 분산된 인지

Cognitive apprenticeship and distributed cognition


Lave와 Wenger9는 도제 과정에서 초심자가 어떻게 연습 공동체에 legitimate entry를 얻게 되는지 설명합니다. 견습 과정에 대한 폭 넓은 이해는 최근에 혁명을 겪었습니다. 

  • 오래된 도제 모델은 단순히 노출을 통한 경험에 의한 '몰입 형'학습을 강조했습니다. 

  • 새로운 도제 모델, '인지 도제' 모델은 초심자가 전문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단순히 '일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직업을 think하고 recount하는지를 배운다고 강조한다. 

이전에 언급했듯이, 일하고 생각하고 자세히 말하면 여러 신원 형성을위한 매트릭스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Lave and Wenger9 describe how, in apprenticeships, novices gain legitimate entry to a community of practice. Our wider understanding of apprenticeship has recently undergone a revolution.11,12 

  • Old apprenticeship models stressed ‘immersion’– learning by experience simply through exposure. 

  • New apprenticeship, or ‘cognitive apprenticeship’,9 models stress that novices do not simply learn how to ‘do’ the job as they gain expertise – they also learn how to ‘think’ and ‘recount’ the job. 

As noted earlier, doing, thinking and recounting are intimately linked as matrices for multiple identity formation.


의학의 도제 과정에서 모든 초기 업무 중심 학습은 반드시 임상 팀 멤버쉽면에서 short-lived합니다. 처음에는, 의대생과 의사는 전문 팀의 역동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활동 이론에 따르면 임시적인 팀 구성원이 습관적 관습에 새로운 시각을 불러 일으켜 활동 시스템의 확장을 시작할 수 있으며, 이것은 병동 회진의 비디오 테이프 분석을 통해 경험적으로 확인되었습니다.

In a medicine apprenticeship, all early work-based learning is necessarily short-lived in terms of membership of a clinical team. At first sight, the medical student and junior doctor would seem to have little impact upon the dynamic of an expert team. However, activity theory predicts that temporary members of teams can bring a fresh eye to habitual practices, initiating expansion of the activity system, and this has been empirically confirmed through videotape analysis of ward rounds.39,40 


Ward-based learning은 '지식, 기술 및 이해의 점진적 획득'으로 요약되었으며, '일정한 지식, 기술 및 이해 수준이 달성되었을 때' 연수생은 유능한 실무자로 간주됩니다. 이는 학습의 전통적 송수신('습득') 관점에서 전형적이다. 이러한 견해는 사회 문화적 요소를 포함하도록 확대 될 수 있으며, 학습은 전문가의 성과에 참여하는 역할에 대한 접근성 향상과 관련된 활동으로 구성됩니다.

Ward-based learning has been summarised as ‘the progressive acquisition of knowledge, skill and understanding’, where ‘the trainee is regarded as a competent practitioner when a given level of knowledge, skill and understanding has been achieved’.52 This is typical of conventional transmission-reception (‘acquisition’) views of learning. Such a view can be expanded to include socio-cultural elements, where learning is framed as an activity involving increased access to participating roles in expert performance.


복잡하고 적응적 시스템에서 역동적 학습

Dynamicist learning in complex, adaptive systems


complexity theory에 의한 학습에 대한 이해에 대한 공헌과 관련하여이 장에서 전개 할 추가 장이 있습니다. 이것은 별도의 논문을 보증하며, 현대 교육 이론이 의학 교육에 기여할 수있는 가능성의 지평으로 요약 될 수 있습니다. 이 기여를 이해하려면 정보 이론과 같은 분야에서 메타포를 동화시켜야합니다.

There is a further chapter to unfold in this account, which concerns the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of learning made by complexity theory. This warrants a separate paper and here can only be summarised as a horizon of possibility in the contribution of contemporary learning theory to medical education. Understanding this contribution requires assimilation of a set of metaphors from disciplines such as information theory. 


요약서는 표 1에 나와 있습니다. '습득'과 '참여'의 은유가 이 토론 자료에서 목적을 달성했지만 참여 학습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더 세밀한 은유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은유는 의학 교육을 알려주고 복잡성 이론을 보건 의료 시스템의 관리에 적용하는 것에 대한 현재의 관심을 보충하는 총체적인 '역동성 모델dynamicist’ model'을 제시한다

A summary is offered in Table 1. While the metaphors of ‘acquisition’ and ‘participation’ have served a purpose in this discussion paper, a finer set of metaphors is needed to differentiate between kinds of participative learning. Such metaphors describe a holistic ‘dynamicist’ model53 to inform medical education, supplementing current interest in the application of complexity theory to management of health care systems4


Dynamicist models 은 학습이 자연스러운 시스템 기반 활동으로 시간이 흐르며 발생한다고 설명합니다. 학습은 상황에 따라 'situated'한 것으로 간주되므로 실험실이 아닌 실제 발생 장소에서 학습됩니다. 분석의 기본 단위는 시간을 통해 작동하는 functional team으로 간주됩니다. 역동적 사고는 연결주의적 사고connectionist thinking와 대조 될 수 있는데 (표 1), 후자는 역설적으로 팀 활동의 의미를 만드는 것에 대해서 지배적인 경향이 있다.

Dynamicist models describe learning as a naturalistic, systems-based activity occurring in time. Learning is assumed to be ‘situated’ or specific to context and is therefore studied where it actually occurs and not in the laboratory. The basic unit of analysis is taken to be a functional team operating through time. Dynamicist thinking can be contrasted with connectionist thinking (Table 1), where the latter, paradoxically, tends to be the current dominant mode for making meaning of team activity. 


  • 연결주의는 부분에서 전체로 작동하며, 시간으로부터 추출된다. 이것은 개별 모듈이 코스를 구성하고, 학습이 미세하고 정밀한 결과로 원자화되는 방식의 커리큘럼에 반영됩니다. 이러한 결과는 그러한 목표 (생산)를 재정의 할 수있는 학습을 장려하기보다는 합법적으로 학습 (재생산) 할 수있는 것을 정의합니다. 

  • 대조적으로, Dynamicism은 시스템 전체를 파악하려고 시도하는데, 특히 시스템의 창 발적인 속성이나 상황이주는 잠재력 (잠재력)에 집중합니다. 성과는 쉽게 처방prescribed되지 않으며, 내용에 대한 학습 뿐만 아니라 프로세스 학습을 구현해야합니다.

  • Connectionism works from the parts to the whole and abstracts from time. This is mirrored in curriculum thinking, where discrete modules make up courses and learning is atomised in terms of finer and finer outcomes. These outcomes define what can be legitimately learned (reproduction) rather than encouraging learning that may redefine such goals (production). 

  • In contrast, dynamicism attempts to grasp the system as a whole, concentrating particularly upon the emergent properties of the system, or what the occasion ‘affords’ (its potential). Outcomes are then less easily prescribed and must embody process learning as well as content.54





결론

Conclusions

어떤 하나의 학습 이론도 의학에서 발견 된 모든 임상 사례에 대해 충분한 설명력과 예측력을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개인이 어떻게 학습하는지에 기반한 학습 이론 계열은 팀워크와 같이 역동적이고 종종 위험이 높은 상황에서 안전 관행을 알리기 위해 보완되어야합니다. 우리는 확립 된 지식이 어떻게 구성되고 재현되는지뿐만 아니라, 본질적으로 불안정하고 복잡한 시스템에서 새로운 지식이 어떻게 생산되고 협력되는지를 알아야합니다. 그러한 시스템에서 학습이 어떻게 발생 하는지를 설명 할 때, 개인의 인식에 중점을 둔 학습 이론보다 사회 문화적 학습 이론이 훨씬 강력합니다. 그러나 그러한 모델은 아직 개인주의 학습 이론이있는 방식으로 의학 교육에 완전히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의학 내에서의 강력한 자율성 전통에 의해 설명 될 수 있습니다.


No single learning theory has enough explanatory and predictive power to inform the range of practices found in medicine. However, the family of learning theories based on how an individual learns needs to be supplemented to inform safe practice in dynamic and often high-risk contexts such as teamwork. We need to know not only how established knowledge is constructed and reproduced, but how new knowledge is produced and held collaboratively in inherently unstable, complex systems. Socio-cultural learning theories are more powerful than those oriented to individual cognition when it comes to explaining how learning occurs in such systems. However, such models are not yet fully embedded in medical education in the way that individualistic learning theories are.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strong tradition of autonomy within medicine.    









 2006 Feb;40(2):150-7.

Broadening conceptions of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the message from teamworking.

Author information

1
Institute of Clinical Education, Knowledge Spa, Royal Cornwall Hospital, Peninsula Medical School, Universities of Exeter and Plymouth, Truro, Cornwall, UK. alan.bleakley@pms.ac.uk

Abstract

BACKGROUND:

There is a mismatch between the broad range of learning theories offered in the wider education literature and a relatively narrow range of theories privileged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The latter are usually described under the heading of 'adult learningtheory'.

METHODS:

This paper critically addresse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dominant learning theories informing medical education. An argument is made that such theories, which address how an individual learns, fail to explain how learning occurs in dynamic, complex and unstable systems such as fluid clinical teams.

RESULTS:

Models of learning that take into account distributed knowing, learning through time as well as space, and the complexity of a learning environment including relationships between persons and artefacts, are more powerful in explaining and predicting how learningoccurs in clinical teams. Learning theories may be privileged for ideological reasons, such as medicine's concern with autonomy.

CONCLUSIONS:

Where an increasing amount of medical education occurs in workplace contexts, sociocultural learning theories offer a best-fit exploration and explanation of such learning. We need to continue to develop testable models of learning that inform safe work practice. One type of learning theory will not inform all practice contexts and we need to think about a range of fit-for-purpose theories that are testable in practice. Exciting current developments include dynamicist models of learning drawing on complexity theory.

PMID:
 
16451243
 
DOI:
 
10.1111/j.1365-2929.2005.02371.x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