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 의학교육의 질적연구 평가(Med Teach, 2005)
Appraising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i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LUC COˆ TE´ & JEAN TURGEON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Laval University, Quebec, Canada
도입
Introduction
최근에 우리는 의사가 종종 직면하는 복잡한 건강 문제 (Turgeon & Cote', 2000)를 보았 기 때문에, 보다 질적 인 연구가 필요함을 강조했습니다.
Recently, we emphasized the need for more qualitative research, especially because it looks at the complex health issues that physicians often face (Turgeon & Coˆte´, 2000).
왜 새로운 그리드인가?
Why a new grid?
이 그리드는..
임상 교사, 레지던트 및 의대생이 사용하기에 짧고 상당히 간단합니다.
질적 연구의 전문가가 아닌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질적 언어로 작성됩니다.
의학 저널의 연구 논문의 일반적인 구조를 따른다.
This grid:
is short and fairly simple for clinical teachers, residents and medical students to use;
is written in qualitative language that is as easy as possible for individuals who are not experts in qualitative research to understand;
follows the usual structure of a research article in a medical journal.
그리드의 표현과 설명
Presentation and explanation of the grid
그리드는 12 개의 항목으로 구성되며 각 항목은 소개, 방법, 결과, 토론 및 결론 (그림 1)의 5 개 섹션으로 나뉩니다.
The grid is comprised of 12 items, each of which is divided into five sections: introduction, methods, results, discussion, and conclusion (Figure 1).
도입
Introduction
항목 1 :연구 문제와 목표는 명확하게 기술되어 있으며 현재의 지식 상태와의 관련성이 있어야 한다 (Morse & Field, 1995).
Item 2: The research question and objectives are clearly stated and are relevant to qualitative research (Griffiths, 1996).
논리적이고 진보적이고 이해할 수있는 추론을 사용하여 저자는 주제의 중요성과 자신이 선택한 질적 접근 방식과의 관련성을 보여주어야 한다. 문제는 현재 지식 상태의 맥락에서 이루어져야합니다.
Using reasoning that is logical, progressive and understandable, the author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the subject and the relevance of his choice of the qualitative approach. The issue must be placed in the context of the current state of knowledge;
질적 연구 연구는 종종 탐구 적이다. 즉 그들의 목적은 잘 정의되지 않은 주제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제공하거나, 만족스런 응답이없는 문제를 새로운 관점에서 검토하는 것이다.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are often exploratory, that is to say, their purpose is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ill-defined subjects or even to examine from a new perspective a problem for which there is as yet no satisfactory response.
항목 2 : 연구 질문과 목표는 명확하게 기술되어 있으며 질적 연구와 관련되어있다 (Griffiths, 1996).
Item 2: The research question and objectives are clearly stated and are relevant to qualitative research (Griffiths, 1996).
일반적으로 질적 연구는 현상의 방법 및 이유를 더 깊이 설명하기 위해 노력하는 반면 양적 연구는 결과를 일반화하거나 가설을 시험하기위한 현상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탐색, 기술 및 이해와 같은 동사는 종종 질적 연구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As a general rule, qualitative studies strive to describe in greater depth the how and why of phenomena, whereas quantitative studies are used to measure a phenomenon for generalizing the results or testing a hypothesis. Verbs such as explore, describe and understand are often used in describing the objective of a qualitative research study.
방법
Methods
모든 연구 논문에서 저자는 그가 분명하고 정확하게 사용한 방법을 설명하고, 연구방법이 연구 질문에 대답 할 수있는 능력이 있음을 보여야 한다
In any research article, we expect the author to describe the methods that he used clearly and precisely and to demonstrate their ability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항목 3 : 연구의 맥락과 연구자의 역할이 명확하게 기술되어있다 (Devers, 1999).
Item 3: The context of the study and the researchers’ roles are clearly described (Devers, 1999).
질적 연구를 통해 자연적 맥락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현상을 연구 할 수 있습니다. 사실, 현상에 대한 심층적 인 이해는 그것이 발생하는 맥락을 벗어나서는 성취 될 수 없습니다. 일부 상황 (예 : University X 및 Y 대학의 의학 교수)이 유사하더라도 관련있는 개인의 경험과 마찬가지로 각 상황은 여전히 고유합니다. 문맥은 독자가 연구되는 현상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명확하고 적절하게 기술되어야합니다.
Qualitative research makes it possible to study complex phenomena in their natural context. In fact, an in-depth understanding of phenomena cannot be achieved outside the context in which they occur. Even though some contexts appear to be similar (e.g. the faculty of medicine at University X and at University Y), each context is still unique, as are the experiences of the individuals involved. The context must be clearly and adequately described so that the reader is able to properly understand the phenomenon being studied.
질적 연구의 또 다른 측면은 그것이 연구원에게주는 역할로서, 이는 연구 세팅과 연구 참여자의 근접성입니다. 질적 이론은 객관성의 개념에 의문을 제기하는 대신, 연구자가 한 유형의 연구를 다른 연구보다 우선 선택하는 이유가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어떠한 연구 상황도 완전히 '중립적'일 수 없으며, 결과가 정량화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결과에 대한 인식을 통해 연구자에 의해 해석됩니다. 연구자가 자신과 피험자를 거리를두고 데이터 수집에 편향을 일으키지 않는 양적 연구와 달리 질적 연구자는 참가자들과 '함께'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Another aspect of qualitative research is the role that it gives the researcher, i.e. the proximity that he/she has to the setting and the study participants. Qualitative theory questions the notion of objectivity, arguing instead that researchers have their own reasons for choosing one type of research over another. Thus, no research situation is ever completely ‘neutral’ and it is always interpreted by the researcher through the lens of his/her own perception of the results, whether or not they have been quantified. Unlike quantitative research, in which the researcher ‘distances’ him/herself from the subjects so as not to introduce bias into data collection, qualitative researchers often work ‘with’ their participants.
질적 연구 논문에서 연구자-세팅 관계가 필연적으로 서로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 관계는 충분히 설명되어야 합니다. 이것은 연구자가 그 환경에 대해 잘 알고 있는지, 그리고 연구 현상을 진정으로 이해하기에 충분히 관련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독자에게 제공 할 것입니다. 또한 자신의 역할이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In a qualitative research article, the researcher–setting relationship needs to be described, given that they will inevitably influence each other. This will provide the reader with the information he/she needs to determine whether the researcher has a good understanding of the setting and if he/she is sufficiently involved to truly understand the study phenomenon. It is also essential for determining whether his/her role could influence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data.
항목 4 :이 방법은 연구 문제에 적합하다 (Morse, 1994).
Item 4: The method is appropriate for the research question (Morse, 1994).
많은 질적 연구 방법이 존재하지만 건강 분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현상학, 기초 이론 및 민족 지학입니다. 이러한 방법들 간의 경계는 종종 희미하며, 종종 결합됩니다. 결과적으로 연구원은 혼란을 피하기 위해 매우 조심해야합니다.
While man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exist,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s in the field of health are phenomenology, grounded theory and ethnography. The boundaries between these methods are often blurred and they are often combined; consequently, the researcher must be very careful to avoid any confusion.
연구의 목적이 그것과 함께 사는 사람들의 경험에 기반한 현상의 의미 또는 중요성을 이해하는 것이라면 현상학을 선택해야 한다. 현상학은 개인 인터뷰 과정에서 문서화 된 한 명 이상의 개인의 경험에 초점을 맞 춥니 다.
If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r significance of a phenomenon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ose living with it phenomenology is the method of choice. Phenomenology focuses on the experience of one or more individuals, documented over the course of individual interviews.
근거 이론 방법은 이론이나 개념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먼저 수집 된 다음 개념 범주 또는 이론이 데이터에서 발생합니다. 이 방법은 종종 프로세스를 연구하거나 상호 작용을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론은 일반적으로 개인 또는 그룹 인터뷰를 통해 생성됩니다.
The grounded theory method begins with no theory or concept. Data are collected first and then conceptual categories or theory arise from the data. This method is often used to study a process or to analyze interactions. The theory is usually generated through individual or group interviews.
마지막으로, 민족지학적 방법의 강점은 그룹의 특정 문화 요소 (개념, 표현, 신념)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있다. 이 때 이 그룹의 구성원들의 관점, 그들이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대한 관찰, 여러 가지의 관련 문헌에 대한 분석에 근거하게 된다.
Lastly, the strength of the ethnographic method lies in understanding the nature of certain cultural elements of a group (notions, representations, beliefs) based on the point of view of members of this group, on observations of how they function or an analysis of various types of relevant documents.
항목 5 : 참가자 선택이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에 적합하다 (Sandelowski, 1995).
Item 5: The selection of participants is appropriate to the research question and to the method selected (Sandelowski, 1995).
논문의 이 섹션에서 연구원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연구 질문에 답하는 데 가장 도움이 될 참가자를 선정했다고 독자에게 확신을 주어야 한다. 샘플의 크기보다 샘플의 퀄리티가 중요하다. 참여자 선택을 통해 데이터를 다양화해야 한다. 즉, 연구 현상의 다양한 관점 또는 표현을 포착해야합니다.
In this section of the research article, the researcher convinces the reader that, to the extent possible, he/she selected the participants who are the most likely to assist in answering his/ her research question. The size of the sample is not as important as its quality. Participant selection must allow for diversification of the data, i.e. it must capture various points of view or representations of the study phenomenon.
건강 분야에서 연구자는 개인 또는 그룹을 분석 단위로 선택하지만, 다양한 유형의 문서 (예 : 인터뷰 동영상, 파일 등)에서 작업 할 수도 있습니다. 참여자를 선택하는 가장 일반적인 기술 (Patton, 1990a)은 이론적인 (또는 의도적인) 표집으로서, 연구자가 연구참여자의 특성(주제에 대한 풍부한 의견, 경험, 지식)과 연구의 목적을 고려하여 관련성이 있다고 느끼는 개인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 개인들은 핵심 참가자가 됩니다. 극단적이거나 비정상적deviant인 사례는 일부 연구에 매우 유용하고 심지어 필수적입니다.
In the field of health, the researcher will usually select individuals or groups as his/her unit of analysis, although he/she may also work from various types of documents (e.g. Interview videos, files, etc.). The most common technique for selecting participants (Patton, 1990a) is the theoretical(or intentional) sample based on the researcher’s judgement in choosing individuals that he/she feels will be relevant because of their characteristics (wealth of opinions on, or experience with, the subject) and the goals of the study. These individuals become key participants. The inclusion of extreme or deviant cases) is very useful, even essential, to some studies.
항목 6 :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가 명확하고 관련성이있다 (Britten, 1995; Brown, 1999).
Item 6: The process for collecting data is clear and relevant (Britten, 1995; Brown, 1999).
데이터 수집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고있을뿐만, 아니라 독자는 이러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연구원이 사용하는 프로세스가 적절하고 실제적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야합니다. 그러므로 연구원은이 과정을 충분히 상세히 기술해야한다.
In addition to knowing specifically how the data were collected, the reader must be 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rocess used by the researcher to collect these data was adequate and realistic. The researcher must, therefore, describe this process in sufficient detail.
연구 목표에 따라 일부 테크닉이 다른 테크닉보다 적절합니다. 예를 들어 연구의 목적이 고혈압 환자가 의사의 권고를 따르지 않는 이유를 이해하는 것이면 반 구조화 된 개별 면담이 개인, 특히 수줍은 사람이 자신을보다 쉽게 표현할 수있게 해주기 때문에 그룹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할 것입니다 .
Depending on the study goals, some techniques are more appropriate than others. For example, if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why hypertensive patients do not follow their doctor’s recommendations,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would most probably be preferable to focus groups since they allow individuals, especially the shyer ones, to express themselves more easily.
특정 문제 (예 : 의사 - 환자 관계)를 연구하려면 둘 이상의 정보 출처 (예 : 의사 및 환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것은 데이터 삼각 측량을 사용하는 한 형태입니다.
둘 이상의 데이터 분석 방법보다 더 많은 방법이 가능합니다(예 : 의사와 환자의 개별 면담 및 의료 상담 직접 관찰) . 이것은 방법 삼각 측량의 한 형태이다 (Begley, 1996).
마지막으로, 데이터 수집은 데이터 포화, 즉 연구 주제에 대한 가능한 최대의 이해와 더 많은 참가자를 추가하는 것이이 이해에 기여할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하지 않는다는 연구원의 확신에 도움이되어야합니다.
To study certain issues (e.g. the doctor–patient relation- ship), it is useful to use more than one source of information (e.g. physicians and patients). This is a form of data triangula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more than one technique for collecting data (e.g. individual interviews with physicians and patients and direct observation of medical consultations) or more than one method of data analysis. This is a form of method triangulation (Begley, 1996).
Lastly, data collection must be conducive to data saturation, i.e. to the greatest possible understanding of the study topic and to the researcher’s conviction that adding more participants would not add any new data that would contribute to this understanding.
항목 7 : 데이터 분석은 신뢰성이있다 (Miller & Crabtree, 1994, Devers, 1999).
Item 7: Data analysis is credible (Miller & Crabtree, 1994; Devers, 1999).
질적 연구에서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은 종종 연구자가 한 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나아가 서로를 풍부하게하는 반복적 인 과정입니다.
In qualitative research,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is often an iterative process in which the researcher goes back and forth from one step to the other so that they enrich each other.
데이터 분석이 신뢰성을 갖기 위해서는 연구원이 정확하고 일관성 있고 철저 함을 입증해야합니다. 분석 프로세스는 독자가 프로세스의 신뢰성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기술되어야한다.
In order for data analysis to be credible, the researcher must demonstrate that it is precise, consistent and exhaustive. The analytical process must be described with enough detail to enable the reader to determine whether the process is credible.
질적 데이터를 분석하기위한 몇 가지 전략이 있지만 (Miles & Huberman, 1994), 이들은 일반적으로 주제별 콘텐츠의 귀납적 추론, 즉 참가자의 분석 문을 기반으로 카테고리를 만드는 프로세스, 를 참조합니다. 실제로 이러한 유형의 분석에는 다음과 같은 단계가 포함됩니다. 인터뷰 자료 전체를 전사하고, 자료를 여러 번 읽으며, 의미 단위 또는 의미 단위를 선택하고, 일반 주제를 식별하고, 데이터를 범주화하고 분류합니다.
Even though there are several strategies for analyzing qualitative data (Miles & Huberman, 1994), they usually refer to inductive inference of thematic content, i.e. the of process of creating categories based on an analysis statements by participants. In practice, this type of analysis involves the following steps:
transcribing the interview material in full,
reading the material several times,
selecting the units of significance or units of meaning,
identifying general themes, and
categorizing and classifying the data.
사용 된 분석 절차에 관계없이 데이터가 한 명 이상의 연구원 (연구원 삼각 측량)에 의해 분석되는 경우 신뢰성이 향상됩니다. 또한 많은 저자는 피드백 (회원 확인)을 위해 참가자에게 분석을 제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Regardless of the analytical procedure used, credibility is enhanced if the data are analyzed by more than one researcher (researcher triangulation). In addition, many authors recommend submitting the analyses to participants for their feedback (member checking).
결과
Results
항목 8 : 주요 결과는 명확하게 제시된다 (Mays & Pope, 1995).
Item 8: The main results are presented clearly (Mays & Pope, 1995).
일반적으로 질적 연구에서 생성 된 데이터의 양은 상당합니다. 종종, 조사자가 분석해야하는 인터뷰와 노트는 수백 페이지에 달한다. 연구자는 독자가 이해할 수있는 방식으로 자신이 수행 한 연구 결과에 대해 이론적으로는 실질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느끼는 결과를 제시합니다
Usually, the amount of data generated from a qualitative study is considerable. Often, several hundred pages of interviews and notes taken must by the researcher are that analyzed. The researcher present, in a way that and is understandable to the reader, the results he/she feels are most relevant, theoretically practically, to his/her research question
항목 9 : 인용문을 사용하면 결과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Morse, 1994).
Item 9: The quotations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the results (Morse, 1994).
합리적인 수의 짧고 명확한 인용을 통해 결과를 더 쉽게 이해하고 신뢰할 수 있습니다.
A reasonable number of short, clear quotations make the results easier to understand and more credible.
고찰
Discussion
항목 10 : 결과는 신뢰할 수 있고 혁신적인 방식으로 해석됩니다 (Patton, 1990b; Frankel, 1999; Grbich, 1999).
Item 10: The results are interpreted in credible and innovative ways (Patton, 1990b; Frankel, 1999; Grbich, 1999).
결과 해석은 연구의 목적과 (만약 가능하다면) 사용 된 이론적 틀 내에서 설명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럴듯한 해석을 제안하는 것 외에도 연구자는 새로운 이론적 또는 실제적 해석을 통해 주제에 대한 지식을 더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연구원은 이전 연구에서 제공되지 않은 설명을 제시하거나 결과를 구현하기위한 권장 사항을 제시 할 수 있습니다.
Interpreting the results means explaining them and giving them meaning in terms of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if applicable, within the theoretical framework used. In addition to proposing plausible interpretations the researcher should add to our knowledge of the subject through new theoretical or practical interpretations. For example, the researcher might come up with an explanation not offered in previous studies or he/she might make recommendations for implementing the results.
항목 11 : 연구의 한계가 제시된다 (Morse, 1999).
Item 11: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presented (Morse, 1999).
연구자는 지나친 과장이나 축소 없이 언급해야합니다. 질적 연구에서 연구자는 연구 결과의 이전 가능성 (외부 유효성)을 논의해야합니다. 이것은 양적 연구에서의 일반화의 개념을 가리킨다. 사실, 질적 연구의 주요 비판 중 하나는 일반화 될 수없는 결과를 산출한다는 것입니다. 질적 연구자들은 이러한 비판에 대응하여 데이터 다양 화와 포화를 위해 참가자와 상황을 숙고하여 선택했다고 주장한다.
The researcher must mention these without over-or underemphasizing them. In qualitative research, the researcher must discuss the transferability of the study results (external validity). This refers to the concept of the generalization found in quantitative research. In fact, one of the main criticisms of qualitative research is that it produces results that cannot be generalized. In response to this criticism, qualitative researchers argue that their participants and contexts are painstakingly selected for the very purpose of data diversification and saturation.
결론
Conclusion
항목 12 : 결론은 연구의 종합을 제시하고 추가 연구를위한 길을 제안한다 (Bordage, 1989, Devers, 1999).
Item 12: The conclusion presents a synthesis of the study and proposes avenues for further research (Bordage, 1989; Devers, 1999).
이 섹션에서 연구원은 연구의 메시지를 발표합니다. 이것은 단순히 연구의 다양한 요소의 목록이 아니다. 연구자는 또한 연구를 위한 새로운 길을 제시하거나 임상 실습을 위한 연구의 함의를 기술함으로써 연구의 이점을 논의합니다.
In this section, the researcher presents the messages of his/her study. This is not simply a list of the various elements of the study, which would be a summary. The researcher also discusses the benefits of his/her study by proposing new avenues for research or describing the study’s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for example.
Med Teach. 2005 Jan;27(1):71-5.
Appraising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i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 1
-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Laval University, Quebec, Canada. luc.cote@fmed.ulaval.ca
Abstract
- PMID:
- 16147774
- DOI:
- 10.1080/01421590400016308
- [Indexed for MEDLINE]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의학교육연구(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였다가, 안 보였다가? (Adv in Health Sci Educ, 2011) (0) | 2017.08.04 |
---|---|
비추고 확대하기 위한 개념 프레임워크(Med Educ, 2009) (0) | 2017.08.04 |
교육개입의 성과 연구: 설계의 문제(BMJ, 2002) (0) | 2017.08.03 |
체계성의 한계에 대하여 (Med Educ, 2008) (0) | 2017.07.25 |
의학교육연구의 평판: 준실험연구와 타당도 위협(Teach Learn Med, 2008) (0) | 2017.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