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질적연구에서 이론을 사용하는가? (BMJ, 2008)

QUALITATIVE RESEARCH

Why use theories in qualitative research?

Scott Reeves,1 Mathieu Albert,2 Ayelet Kuper,3 Brian David Hodges2




이 시리즈의 이전 기사에서는 질적 연구에 사용 된 몇 가지 방법론을 다루었습니다. 또한 질적연구자는 연구 프로세스를 가이드하고 연구 결과를 밝히기 위하여 사회과학과 인문학에서 이끌어 낸 이론에 많이 의존한다. 이 글에서는 건강 영역에서 질적 연구자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세 가지 이론적 접근 방법 인 상호작용론, 현상학 및 비판이론의 역할과 사용에 대해 논의합니다.

Previous articles in this series have addressed several methodologies used in qualitative research. Qualita- tive researchers also rely heavily on theories drawn from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to guide their research process and illuminate their findings. This article discusses the role and use of three theoretical approaches commonly used by qualitative researchers in health domains: interactionism, phenomenology, and critical theory.



왜 이론이 유용합니까?

Why is theory useful?


이론은 사회가 작동하는 방식, 조직이 운영되는 방식, 사람들이 특정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이유와 같이 고정 될 수없는 것에 대한 복잡하고 포괄적 인 개념을 이해하게 해준다. 이론은 연구자에게 복잡한 문제와 사회적 이슈를 바라보는 다양한 "렌즈"를 제공합니다. 또한 연구자가 데이터의 다양한 측면에 관심을 갖게 해주며, 분석을 수행 할 수있는 틀을 제공해준다.
Theories provide complex and comprehensive con- ceptual understandings of things that cannot be pinned down: how societies work, how organisations operate, why people interact in certain ways. Theories give researchers different “lenses” through which to look at complicated problems and social issues, focusing their attention on different aspects of the data and providing a framework within which to conduct their analysis.


예를 들어, 의료 병동에서 의사 간호사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다양한 이론이 병원 및 병동 문화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 할 수 있습니다. 상자 1
For example, to study doctor- nurse interactions on medical wards, various theories can provide insights into different aspects of hospital and ward cultures. Box 1




질적 연구자들이 사용하는 이론의 예는?

What are examples of theories used by qualitative researchers?


현상학

Phenomenology


이 이론은 원래 Edmund Husserl이 개인이 일상 생활에서 사회 현상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따라서 현상학의 역할은 "일인칭 관점에서 경험 한 의식의 본질"을 탐구하는 것이 었습니다. 현상학적 연구는 한 개인이 자신의 의미와 분류를 가지고 어떻게 세상을 이해하는지 탐구하는데 집중합니다. 이와 같이 현상학은 개인의 주관적인 "살아있는"경험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설명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한다 .2) 따라서 현상 학적 연구는 wider한 설명을 생성하려고 시도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들의 관심은 특정 환경에서 개인을 설명하기 위한 연구를 하는 데 있습니다.

This theory was originally developed by Edmund Husserl to explain how individuals give meanings to social phenomena in their everyday lives. The role of phenomenology was therefore to explore “the essence of consciousness as experienced from the first-person point of view.”1 Studies that draw upon this theoretical perspective concentrate on exploring how individuals make sense of the world in terms of the meanings and classifications they employ. As such, phenomenology aims to provide accounts that offer an insight into the subjective “lived” experience of individuals.2 Given the emphasis, phenomenological studies do not attempt to generate wider explanations; rather their focus is on providing research accounts for individuals in a specific setting.


일반적으로 현상 학적 접근법을 사용하는 연구는 심층적 인 반 구조적 또는 비 구조적 인터뷰와 일기와 같은 개인 문서의 형태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예를 들어, 포터 (Porter)와 동료들은 깊이있는 개인 면담을 사용하여 보육사에 관한 주거용 가정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의미를 이해했습니다.

In general, studies that draw upon a phenomenolo- gical approach gather data in the form of in-depth semistructured or unstructured interviews and perso- nal documents such as diaries. For example, Porter and colleagues used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to understand the meanings people living in residential homes held about their caregivers,3


현상학과 같은 개인 의식의 관점에서의 인간 경험에 대한 이해를 특권으로 하는 이론들은 독일 철학자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Georg Wilhelm Friedrich Hegel)과 장 폴 사르트르 (Jean-Paul Sartre)와 같은 프랑스 실존 주의자들과의 관계를 공유한다. 그러나 현상학적 연구는 개별 경험에 대한 구체적이고 경험적인 초점의 결과이며, 이 철학적 오리 엔테이션 내의 미시적 수준 이론의 한 예이다.

Theories that privilege understanding of human experience in terms of individual consciousness, such as phenomenology, share links to the work of the German philosopher 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and French existenti- alists such as Jean-Paul Sartre. However, phenomen- ology, as a result of its specific, empirical focus on the individual experience, is an example of a micro level theory within this philosophical orientation.


상호작용주의

Interactionism



상호 작용주의는 개인의 지각을 이해하는 현상학적 연구와는 달리 집단적 (집단적 또는 팀적) 행동과 지각을 탐구하는 데 집중한다. 조지 미드 (George Mead)가 처음 개발 한 이 접근법은, 일상적 만남에서 사용하는 기호, 특히 언어를 검사하여 개인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기 위한 것입니다. 특히, 상호작용주의는 사회적 행동, 상호 작용 및 반응을 통해 개인이 의미를 어떻게 만들고 개조했는지 이해하려는 접근법입니다. 

In contrast to the phenomenological focus on under- standing individual perceptions, interactionism con- centrates on exploring collective (group or team) behaviours and perceptions. Originally developed by George Mead, this approach aimed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individuals’ interactions by examin- ing the symbols, especially the language, they use in their daily encounters. In particular, interactionism is an approachthat aims to elicit an understanding of how meaning is created and modified by individuals through their social actions, interactions, and reactions. 


허버트 블루머 (Herbert Blumer)는 상호 작용주의의 세 가지 가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 인간은 이것들이 가지고있는 의미에 기초하여 사물을 향해 행동한다

    • 그러한 것들의 의미는 자기 동료들과의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 파생되고 발생한다

    • 이 의미는 그 사람이 만나는 것을 다루는 사람이 사용하는 해석 과정에서 다루어지고 수정된다

Herbert Blumer outlined interactionism’s three guid- ing assumptions: 

    • that human beings act towards things on the basis of the meanings that these things have for them; 

    • that the meaning of such things is derived from, and arises out of, social interaction with one’s fellows; 

    • that these meanings are handled in, and modified through, an interpretative process used by the personin dealing with the things he or she encounters.5


사회적 상호 작용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상호작용론적 연구는 사회 행동의 이러한 요소를 포착하기 위하여 참여자 관찰이나 인터뷰와 같은 데이터 수집 방법을 사용합니다.

Given the emphasis on understanding the processes of social interactions, interactionist research studies often draw on methods of data collection such a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to capture these elements of social action.


몇몇 이론은 사회적 또는 집단적 구성으로서의 개념적 실재를 개념화하고 있으며, 이들은 에밀 뒤르켐이나 레프 비고츠키와 미국인 피터 버거 (Peter Berger)와 토마스 럭크만 (Thomas Luckman)과 같은 유럽 작가들의 작품에 뿌리를두고있다. 상호 작용주의는 개인적인 경험을 넘어서려고 시도하지만, 사회적 구성주의자 내에서 지역 시스템과 맥락 수준의 중급 초점을 유지한다.

Several theories conceptualise reality as a social or collective construction, and these have roots in the work of European writers such as Émile Durkheim and Lev Vygotsky and of Americans Peter Berger and Thomas Luckman. Interactionism attempts to general- ise beyond the individual experience but retains a mid- range focus on local systems and contexts within this broader social constructivist school.



비판 이론

Critical theory


비판이론은 사회 전체를 비판하고 변화시키는 방향으로 향하고있다. 생산과 자본주의에 관한 맑스의 연구에 뿌리를 둔 이 이론은 1930 년대 프랑크푸르트 대학의 사회 연구 연구소에서 더 발전되었다. 최근에이 전통은 피에르 부르디외 (Pierre Bourdieu)와 미셸 푸코 (Michel Foucault)와 같은 사회 과학자들에 의해 계속 이어져 왔습니다.


Critical theory is oriented towards critiquing and changing society as a whole.8 With roots in the work of Marx on production and capitalism, it was further developed at the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of the University of Frankfurt in the 1930s. More recently, this tradition has been carried on by social scientists such as Pierre Bourdieu and Michel Foucault.


비판이론가들은 일반적으로 사회 및 학교, 병원, 정부 기관과 같은 기관에서의 지식 구축과 권력 조직이 어떻게 특정 개인, 집단 또는 관점의 종속이나 억압으로 이어지는지를 연구합니다. 비판적 이론가들은 인종, 사회 경제적 지위, 종교 및성에 관한 평등과 정의와 관련하여 공평과 정의에 관심을가집니다 .9)Muzzin은 건강 전문가의 학습에 대한 비판적 이론을 사용하여 기업의 이익을 반영함으로써 성별과 계층의 불평등을 재현했습니다. 대학이 "학문적 자본주의"를 개발함에 따라 계급 불평등을 낳았다.


Critical theorists study how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the organisation of power in society generally, and in institutions such as schools, hospitals, and governments specifically, can lead to the subjuga- tion or oppression of particular individuals, groups, or perspectives. Critical theorists are concerned with equity and justice in relation to issues such as race, socioeconomic status, religion, and sexuality.9 Muzzin used critical theory in her study of howeduc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has come to reflect corporate interests, thereby reprodu- cing gender and class inequity, as universities devel- oped “academic capitalism.”11


비판적 이론은 하나의 특정 방법론에 묶여 있지 않으며 마이크로 (개인), 매크로 (로컬 시스템과 맥락) 또는 매크로 (사회적) 수준에서 적용될 수 있습니다.


Critical theory is not tied to one specific methodol- ogyandcanbe appliedat the micro(individual), macro (local systems and contexts), or macro (societal) level.






그 외 다른 이론들

Aren’t there a lot more theories?


Box 2는 의약 관련 분야의 질적 연구 연구에 사용 된 다른 이론의 몇 가지 예를 제공한다.

Box 2 provides some further examples of other theories that have been used in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in domains related to medicine.


머튼 (Merton)의 연구에 따르면, 이론들은 특정 연구 문제를 다루는 데 도움이 될지에 관해 초보자 연구자를 안내하는 분류법으로 그룹화 될 수 있습니다. 

  • 표에서 볼 수 있듯이 거대하거나 "거시적"이론은 비교적 구체적이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추상적 인 개념으로 구성됩니다. 폭 넓은 본성의 결과로, 이러한 유형의 이론은 경험적으로 조작 가능하고 검증하기가 어렵습니다. 

  • 중급 이론은 특정 현상을 고려하고 제한된 범위의 상황과 관련하여 소수의 개념을 포함합니다. 

  • "마이크로"또는 실무 이론은 가장 좁은 범위의 관심을 가지고 특정 현상과 맥락에 초점을 맞 춥니 다.

Following work by Merton, such theories can usefully be grouped into a taxonomy to guide novice researchers as to which theories are likely to be helpful in dealing with a particular research problem(table). 12 

  • As shown in the table, grand or “macro” theories are non-specific and constructed from relatively abstract concepts. As a result of their wide ranging nature, these types of theories are difficult to operationalise and verify on an empirical basis. 

  • Mid-range theories consider specific phenomena and involve a small number of concepts relating to a restricted range of contexts. 

  • “Micro” or practice theories have the narrowest range of interest and are focused on specific phenomena and contexts.




건강 정책과 환자 치료에 이론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Why is theory important to health policy and patient care?


위에 설명 된 것과 같은 이론은 건강 정책과 환자 치료의 전달에 중요합니다. 즉, 그들이 자극한 통찰력이 실무자에게 일상 생활에서 직면하는 상황을 폭넓게 이해하는 연구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이론을 활용함으로써 연구자는 가시적인 표면 아래에서 발생하는 프로세스를 이해할 수 있으며, 그것을 해석하여 정책 결정자와 건강 관리 제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underlying (generating) principle에 대한 지식을 개발할 수있게합니다.

Theories such as those described above are important to health policy and the delivery of patient care, as the insights they provoke enable research that provides practitioners with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s they face in their daily working lives. The use of theory makes it possible for researchers to under- stand, and to translate for policymakers and healthcare providers, the processes that occur beneath the visible surface and so to develop knowledge of underlying (generating) principles.


훌륭한 이론 기반 연구는 즉각적이고 통찰력이 있으며 실제 적용 가능합니다. 커트 루인 (Kurt Lewin)의 말에 따르면, "좋은 이론만큼 실용적인 것은 없다."

Good theory based research is immediate, insightful, and applicable in practice; in the words of Kurt Lewin, “there’s nothing so practical good theory.”13









 2008 Aug 7;337:a949. doi: 10.1136/bmj.a949.

Why use theories in qualitative research?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Psychiatry, Li Ka Shing Knowledge Institute, Centre for Faculty Development, and Wilson Centre for Research in Education,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scott.reeves@utoronto.ca
PMID:
 
186877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