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적연구를 읽고 평가하는 기준에 대한 개요(BMJ, 2008)

QUALITATIVE RESEARCH

An introduction to reading and appraising qualitative research

Ayelet Kuper,1 Scott Reeves,2 Wendy Levinson1



의학 저널에 게재 된 질적 연구 기사의 수는 지난 몇 년 동안 크게 증가했습니다 .1 그러나 여전히 여러 의료전문직에서는 연구의 성격과 용도에 대한 이해가 크게 부족하다는 것에 대해 강한 우려를 가지고 있습니다 .167

The number of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medical journals has increased substantially over the past few years.1 None the less, healthcare professionals still have strong concerns about a wide-spread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uses ofsuch research.167


이러한 지식 격차는 질적 또는 "혼합 된"(양적 및 질적 결합 된) 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이 늘어나는 가운데, 저널이나 연구비 지원 기관으로부터 이러한 논문을 검토하도록 요청받는 의사에게 특히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질적연구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학술지가 잘 수행 된 연구를 reject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있다 .10 유사하게, 반대로 리뷰어들이 지식이 부족할 경우에는 방법론적 퀄리티가 낮은 논문의 출판을 초래할 수있다. 9

This knowledge gap can be particularly problematic for a physician who is asked to review, for a journal or a grant agency, one of the increasing numbers of papers that makes use of qualitative or “mixed” (combin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It can lead to refusals by journals to publish well conducted research because of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involved.10 However, this same knowledge deficit among reviewers can also result in the acceptance and publication of qualitative articles that are methodo- logically poor.9


그러나 일상적으로 의학 저널을 읽는 의사는 방법론적으로 straightforward한 정량적 연구를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더 복잡한 연구를 평가할 수있는 우수한 출판물에 대한 액세스 권한이 있음) 질적 연구를 평가하는 데 필요한 자원과 교육에 대한 접근성은 낮습니다.

However, although physicians who routinely read medical journals are increasingly able to critically appraise methodologically straightforward quantitative studies (and have access to excellent published resources1112 for evaluating more complex studies), they have less access to the resources and training needed to appraise qualitative work. 


그러나 임상 의학 문헌에서 이러한 차이를 보완하기위한 몇 가지 시도가 있었다 .13-16 그러나 그 논문들은 질적 방법론을 단순화하고, homogeneous한 것들로 취급하였으며, 질적연구의 역사적 전통과 이론적 근거에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사실 "질적 방법"은 이론적 토대와 지식에 대한 다양한 사고 방식을 가진 이질적 집단의 방법론의 포괄적 인 용어입니다. 다른 질적 방법론은 다른 종류의 질문을하는 데 유용합니다.

Several attempts have been made to fill this gapinthe clinical medical literature.13-16 These articles, however, simplify qualitative methodology for the medical reader and treat it as a homogeneous entity, giving little attention to its historical traditions and theoretical bases. In fact, “qualitative methods” is an umbrella termfor a heterogeneous groupof methodologies with different theoretical underpinnings and different ways of thinking about knowledge. Different qualitative methodologies are useful for asking different sorts of questions.


이 논문은 독자에게 몇 가지 주요 질적 연구 접근법을 소개 할 시리즈 중 첫 번째 기사입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질적 연구자가 사용하는 도구, 도구를 분석하는 데 사용하는 방법, 해당 방법론에 대한 이론 및 지식 자체에 대한 4 가지 수준에서 다를 수 있습니다. 우리는 명확성을 위해 방법론과 이론을 개별적으로 검토 할 것이지만, 질적 연구자가 방법 론적 접근의 이론적 근거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이론과 방법론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his article is the first in a series that will introduce several major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to read- ers. These approaches may differ at four different levels: in the tools that qualitative researchers use, in the methodologies they use to analyse those tools, in the theories that inform those methodologies, and in their beliefs about knowledge itself. Although we will examine methodologies and theories separately for the sake of clarity, it is important to realise that qualitative researchers pay attention to the theoretical bases of their methodological approaches, and so their choices of which theory and which methodologies to use are related.


질적연구는 무엇이 다른가?

What’s so different about qualitative research? 


일반적으로 양적 연구는 "무엇?" "얼마나?"와 "왜?"라는 질문에 대답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질적 연구는 "왜?"와 "어떻게?"라는 질문에 대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In general, quantitative research focuses on answering the ques- tions “what?”“how much?” and “why?” whereas qualitative research focuses on answering the questions “why?”and“how?”


Box 1은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한 연구에서 조사 된 최근 질문의 예를 포함하고있다.

Box 1 contains recent examples of questions examined in studie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건강 과학 분야의 많은 양적 연구자들은 발견하고자 하는 절대적 진실, 즉 "현실"이 있다는 가정하에 연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식에 대한이 객관 주의자들의 믿음의 관련성은 19 세기 말 이래 도전의 대상이되어왔다. 이러한 도전 중 많은 것은 개인 및 집단 행동과 같은 사회적 현상에 대한 연구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대부분의 질적 연구자들은 오늘날 우리가 인식하는 현실이 우리의 사회적, 역사적, 개별적 맥락에 의해 구성된다고 주장하며, 이와 같은 지식에 대한 다른 믿음을 "구성주의"라고 합니다.

Many quantitative researchers in the health sciences work from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an absolute truth, a “reality,” which they are trying to discover. However, the relevance of this objectivist belief about knowledge has been the subject of challenges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Many of these challenges have come from studies of social phenomena, such as individual and group behaviour. Most qualitative researchers today share a different belief about knowledge, called “constructi- vism,” which holds that the reality we perceive is constructed by our social, historical, and individual contexts.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구성주의는 여러 이론을 포괄합니다. 이 이론들은 'how much of someone’s perception of reality results from aspects of that individual and how much from aspects of the society that surrounds him or her'의 측면에서 다양하다. 

어떤 이론들 (상호 작용주의와 같은)은 또한 한 집단의 사람들에게 하나의 공유 된 실체가 있다고 가정하는 반면에 (포스트 모더니즘과 같은) 다른 사람들은 개인 들간의 차이 때문에 여러 개의 실재가 동시에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이론적 틀 안에서 개인은 자신의 행동과 그것이 존재하는 사회적 상황에 대한 의미를 만들고 협상하며 해석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우리 주변의 실제 물리적 세계가 없다는lack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단지 우리의 사회적 상황에 따라 그 세계에 대한 우리의 해석이 다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As table 2 shows, constructivism encom- passes many theories, which differ on such matters as how much of someone’s perception of reality results from aspects of that individual and how much from aspects of the society that surrounds himor her. Some theories (such as interactionism) also assume that there is one shared reality for a group of people, while others (such as postmodernism) assume that multiple realities exist in parallel because of the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However, in all of these theoretical frame- works, individuals create, negotiate, and interpret meanings for their actions and for the social situations in which they exist. This does not usually imply the lack of the real physical world around us, just that our interpretations of that world can differ depending on our social contexts.



질적연구는 어떻게 하는가?

How does qualitative research work?


질적 연구는 개인과 그룹에서 이야기하고, 행동을 관찰하며, 일기, 회의록, 사진과 같은 유물을 분석하고 그들이 기반으로하는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개인 및 그룹의 in-depth accounts를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질적 연구자들은 주로 인터뷰 (반 구조화 또는 비 구조화), 포커스 그룹, 관찰 또는 문서 및 기타 작성물에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그들의 데이터 분석은 정량적 연구자가 선호하는 더 연역적이고 가설 중심의 접근법보다는 데이터에서 의미가 나오도록하는 귀납적 성격이 강하다.

Qualitative research aims to generate in-depth accounts from individuals and groups by talking with them, watching their behaviour, and analysing their artefacts (such as diaries, meeting minutes, photographs) and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t contexts in which they are based. Qualitative researchers primarily gather data from interviews (semistructured or unstructured), focus groups, observations, or documents and other written artefacts. Their data analysis is largely inductive, allowing meaning to emerge from the data, rather than the more deductive, hypothesis centred approach favoured by quantitative researchers.


질적 연구자들의 핵심 관심사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맥락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질적 연구자들은 자신의 견해와 신념이 참여자와의 상호 작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context을 파악할 필요가있다. (이러한 과정을 스스로를 situating한다 라고 부른다)

Understanding the context in which people live is a central concern for qualitative researchers. Qualitative researchers need to identify their own contexts so that they understand how their own views and beliefs may influence the interactions they have with their partici- pants (a process often referred to as “situating” themselves).


질적연구는 연구자의 관점과 연구 참여자의 독특한 견해에 늘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영향은 질적 논문에서 분명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이것은 양적 세계가 "편견"이라고 부르는 것과는 분명히 다르다. 왜냐하면 편견이라는 용어는 진정한 현실true reality이 존재하며, 연구자들의 관점이 진정한 현실을 보는 것을 방해한다고 암시하기 때문이다.

invariably and directly influenced by the researchers’ perspectives and by the unique perspec- tives of their research participants. This influence should be made explicit in qualitative research papers. It is distinctly different from what the quantitative world would call “bias,” because the term bias implies that there is a true reality that the researchers’ perspectives are hindering them from seeing.


대조적으로 질적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그런 "현실"이 구성되는 것construction이라고 믿는다. 질적 패러다임에서 목표는 정확하게 다른 관점을 이해하는 것이지, 지우는 것이 아닙니다.

Qualitative researchers, in contrast, generally believe that such “reality” is a construction. In the qualitative paradigm, the goal is precisely to under- stand, not erase, differing perspectives.


연구자의 관점을 정립하는 과정은 독자가 그러한 견해가 연구에 미치는 효과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게 해줍니다. 질적 인 연구의 결과는 또한 양적 연구의 결과와 같은 방식으로 일반화 될 수 없다. 그러나 다른 상황으로 전환transferable 할 수 있으며 독자는 자신의 설정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The process of situating the researcher’s viewpoint allows readers to decide for themselves the effect such perspectives might have had on the research. The findings of a qualitative study are also not intended to be generalisable in the same way as the results of a quantitative study. They may, however, be transferable to other contexts, and readers can assess their applicability to their own settings.


Conclusions







 2008 Aug 7;337:a288. doi: 10.1136/bmj.a288.

An introduction to reading and appraising qualitative research.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ine, Sunnybrook Health Sciences Centre, University of Toronto, 2075 Bayview Avenue, Toronto, ON, Canada M4N 3M5. ayelet94@post.harvard.edu
PMID:

 

186877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