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emeraldinsight.com/journals.htm?articleid=1572865&show=html#idb24)



데이터 분석(Data analysis)


질적 연구, 그 중에서도 특히 FGI에서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얻게 된다. 초보자는 물론이고 경험이 풍부한 연구자조차 방대한 양의 데이터에 압도당할 수 있다. 한시간짜리 인터뷰에서 보통 5~6시간에 걸쳐 30~40페이지 정도에 달하는 녹취록이 나온다. 따라서 데이터 분석의 주된 목적은, Robson에 따르면 "데이터를 줄이는 것" 이다.

Qualitative research and, in particular, focus-group interviews generate large amounts of data, which tend to overwhelm novice as well as experienced researchers. A 1 h interview could easily take 5–6 h to transcribe in full, leading to thirty to forty pages of transcripts. Thus, a central aim of data analysis, according to Robson (1993), is to reduce data.


Casey는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분석의 목적에 대해서 설명하였는데, "분석을 할 때에는 연구의 본래 목적으로 돌아가야 하며, 분석을 통해 걸러진 것들은 연구의 목적과 직결되어야 한다" 라고 하였다.

Casey (2000) build on this concept and suggest that the purpose should drive the analysis; they believe that ‘analysis begins by going back to the intention of the study and survival requires a clear fix on the purpose of the study’.


질적 분석의 과정은 상황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bring meaning to a situation)이지, 양적 연구에서와 같이 '진리'를 찾는 것이 아니다. Strauss와 Corbin은 분석을 "연구자와 데이터의 상호작용"이라고 칭하였다. 대상자를 선정하고 데이터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연구자의 주관이 반영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주관성'이 어느 정도 개입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process of qualitative analysis aims to bring meaning to a situation rather than the search for truth focused on by quantitative research. Strauss & Corbin (1998) describe analysis as ‘. . . the interplay between researchers and data’, acknowledging that there is an extent of subjective selec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generated data. It is important to acknowledge that regardless of the type of research (qualitative or quantitative) an extent of subjectivity exits


이 점을 인정한다면, 분석과 해석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오류(bias)를 줄이기 위해서 Krueger와 Casey는 분석 과정은 체계적이고, 순서가 있고, 검증할 수 있어야 하며, 연속적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Having made this point, in order to minimise the potential bias introduced in analysing and interpreting focus group data Krueger & Casey (2000) point out that the analysis should be systematic, sequential, verifiable, and continuous. 


이 과정을 거치면 신뢰성, 일관성, 일치성(conformability) 뿐만 아니라 '근거(trail of evidence)'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들은 질적 데이터의 평가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Following this path provides a trail of evidence, as well as increasing the extent of dependability, consistency and conformability (Lincoln & Guba, 1989) of the data, important issue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qualitative data (Secker et al. 1995). 


근거를 확보하는 첫 번째 단계는 데이터 분석 과정을 분명하게 밝힘으로서 그 과정이 깔끔하게 이해가능하고, 기록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다른 연구자로 하여금 본인의 연구를 검증(verify)할 수 있게 해주고, 선택적 인지를 줄여주고, 연구를 더욱 강력하게 만들어준다. 이러한 객관성을 확보하려면, 근거를 구성하고 있는 충분한 데이터가 있어야 한다.

The first step in establishing a trail of evidence is a clear procedure of data analysis, so that the process is clearly documented and understood. This step would allow another researcher to verify the findings; it safeguards against selective perception and increases the rigour of the study.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re must be sufficient data to constitute a trail of evidence. 


데이터 분석의 주된 자료는 기록된 인터뷰때 한 말의 기록이다. 그렇지만 인터뷰에 대한 고찰(reflection)이나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기록 또한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Although the main source of data analysis is the recorded spoken language derived from the interview; nevertheless, reflection about the interview, the settings and capturing the non-verbal communication expressed by the member of the groups would add a valuable dimension to the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data.



Approaches to data analysis


질적 데이터 분석은 여러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다. 많이 사용되는 것은 Green과 Thorogood이 밝힌 바와 같이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접근법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 논문에서는 Krueger의 프레임워크 분석(Framework analysis) 방법을 주로 설명하면서, Ritchie와 Spencer가 밝힌 프레임워크 분석의 몇 가지 중요한 단계를 포함시킬 것이다. Krueger 방법의 장점은 일련의 단계를 통해서 처음 이 연구를 하는 사람들도 쉽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프레임워크분석은 개인 인터뷰나 그룹 인터뷰 모두에서 사용 가능하다.

There are a number of approaches to the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In practice, as Green & Thorogood (2004) identified, most researchers use a combination of approaches. The present paper describes Krueger’s (1994) framework analysis, but also incorporates some key stages of ‘framework analysis’ described by Ritchie & Spencer (1994). The advantage of the Krueger (1994) approach is that it provides a clear series of steps, which could help first-time researchers to manage the large amount and complex nature of qualitative data much more easily. ‘Framework analysis’ is used for both individual and focus-group interviews.


질적 분석은 데이터 수집과 동시에 일어난다는 점에서 양적 분석과 다르다. Krueger는 분석의 연결체(continuum of analysis)를 떠올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Unlike quantitative analysis, qualitative analysis, particularly focus-group analysis, occurs concurrently with data collection. Krueger (1994) suggests that a helpful way of thinking about this role is to consider a continuum of analysis ranging from the mere accumulation of raw data to the interpretation of data:


the analysis continuum: raw data; descriptive statements; interpretation.



분석 과정은 순차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서로서로 겹쳐서 일어난다. Ritchie와 Spencer가 말한 프레임워크 분석은 '고도로 연결된 많은 단계를 거치는 분석과정'이며, 다섯 개의 주요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친숙화(Familiarization)

2. 주제 찾기(Identifying a thematic framework)

3. 색인(indexing)

4. 도표 작성(charting)

5. 지도 작성 및 분석(mapping and interpretation)

It is important to point out that analysis does not take place in a linear form and that one part of the process overlaps another. ‘Framework analysis’ as described by Ritchie & Spencer (1994), is ‘an analytical process which involves a number of distinct though highly interconnected stages’. The five key stages outlined are: familiarization; identifying a thematic framework; indexing; charting; mapping and interpretation.


데이터 분석 단계는 토의를 능숙하게 촉진(facilitating)하여 인터뷰를 풍부하게 만들면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순간부터 시작되며,  이 때 관찰한 것과 정보를 기록한다.

The process of data analysis begins during the data collection, by skilfully facilitating the discussion and generating rich data from the interview, complementing them with the observational notes and typing the recorded information. 


그 다음 단계는 '친숙화'단계이다. 녹음한 테이프를 반복하여 듣고, 녹취록을 반복해서 읽고, 관찰 노트와 요약 노트를 읽는다. 이것의 목적은 세부적인 내용까지 완전히 익숙해져서 인터뷰를 세분해나가기 전에 전체로서의 그림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주요 주제가 드러난다.

This stage is followed by familiarisation with the data, which can be achieved by listening to tapes, reading the transcripts in their entirety several times and reading the observational notes taken during interview and summary notes written immediately after the interview. The aim is to immerse in the details and get a sense of the interview as a whole before breaking it into parts. During this process the major themes begin to emerge.


다음 단계는 주제를 선정하는 것이다(identifying a thematic framework). 이를 위해서 텍스트의 옆에 짧은 메모 형식으로 메모를 남겨두는데, 그 내용은  텍스트에서 떠오르는 아이디어나 개념 등이며 카테고리를 만들기 위한 시작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상황 서술문(descriptive statement)이 형성되고, 연구의 질문에 따라서 분석이 진행된다. 

The next stage involves identifying a thematic framework, by writing memos in the margin of the text in the form of short phrases, ideas or concepts arising from the texts and beginning to develop categories At this stage descriptive statements are formed and an analysis is carried out on the data under the questioning route. 


세 번째 단계인 '색인'은 하나의 케이스 안에서, 혹은 케이스 사이에서 데이터를 옮기고 인용구를 정리/강조하고, 비교하는 과정이다.

The third stage, indexing, comprises sifting the data, highlighting and sorting out quotes and making comparisons both within and between cases. 


네 번째 단계는 원래의 context로부터 인용구를 떼어내서 새롭게 형성된 주제에 따라 적절히 재정리 하는 것이다.

The fourth stage, charting, involves lifting the quotes from their original context and re-arranging them under the newly-developed appropriate thematic content


색인과 도표 작성은 데이터를 manage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 작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데이터를 줄여나가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슷한 인용구를 자르고 서로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단계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Krueger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제안했다.

Indexing and charting could also be viewed as managing the data.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this task is data reduction, which is achieved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data and cutting and pasting similar quotes together. In order to manage this stage successfully Krueger (1994) suggests the following practical steps.



Practical steps for managing and sorting out data


Krueger와 Casey는 긴 책상이나, 컴퓨터를 활용하기를 권했으며, QSR NUT*IST라는 소프트웨어도 있지만, 워드나 아니면 수작업으로 할 수도 있다.

Krueger & Casey (2000) advocate the use of either a long table or a computer-based approach for cutting, pasting, sorting, arranging and rearranging data through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relevant information. Although there is specialised software such as QSR NUT*IST (Richards, 1998), it is possible to analyse the transcripts using Microsoft Word, or indeed ‘by hand’.


a) 각각의 줄에 번호를 붙인다. 

number each line of each transcript;

b) 두 장의 복사본을 만든다. 하나는 자를 것이고 하나는 보존용이다. 

make two hard copies of each transcript; one to cut up and one that stays intact;

c) 서로 다른 색지에 녹취록을 인쇄한다. 

print transcripts on different coloured paper, e.g. ‘professionals’ green, ‘young people’ blue,’ single parents’ yellow, ‘working mums’ pink;

d) 작업에 사용할 녹취록의 순서를 적절하게 정렬한다.

arrange the working transcript in a reasonable order, i.e. sequence in which the interview took place, categories of participants: age, young people; social group, low-income families or professionals; gender, male or female;

e) 플립차트 등을 테이블에 펼쳐놓고 각각의 페이지에 분석할 질문을 쓴다.

have enough pages of flipchart or newsprint. Place the pages on the long table, on the floor or on the wall. Write on each page one of the focus group questions to be analysed.





위의 과정이 완료되었으면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다음을 한다.

Having prepared for this stage, Krueger & Casey (2000) suggest that the researcher should read each quote and answer these four questions: 

1. 질문한 내용에 대해 대답하였는가? 그렇다면 3번, 아니면 2번, 모르겠으면 우선 옆에 놔둔다.

did the participant answer the question that was asked? If yes, go to question 3; if no, go to question 2; if don’t know, set it aside and review it later;


2. 다른 질문에 대해 대답한 것인가? 그렇다면 그 질문 아래다 가져다 붙이고 아니라면 3번.

does the comment answer a different question in the focus group? If yes, move it to the appropriate question; if no, go to question 3;


3. 주제에 대해서 중요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가? 그렇다면 적절한 질문 아래다 가져다 붙이고, 아니라면 치워둔다.

does the comment say something of importance about the topic? If yes, put it under the appropriate question; if no, set it aside;


4. 더 앞서 언급된 내용이 있는가? 있다면 적절한 그룹을 만들기

is it something that has been said earlier? If yes, start grouping like quotes together; if no, start a separate pile.


Interpretation of data


이제 마지막 단계이다. 지도 그리기와 해석하기. 여기서 해야 하는 중요한 것 중 하나는 개개의 인용구가 논리적으로 말이 되어야 하는 것 뿐만 아니라, 창의적이고 분석적이어서 인용구간의 관계를 알 수 있어야 하면서, 전체로서 연결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The data are now ready for the final stage of analysis, i.e. mapping and interpreting. One of the tasks here is not only to make sense of the individual quotes, but also to be imaginative and analytical enough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otes, and the links between the data as a whole.


Krueger는 일곱 개의 기준을 언급했고, 다음과 같다.

Krueger (1994) provides seven established criteria, which suggest the following headings as a framework for interpreting coded data: words; context; internal consistency; frequency and extensiveness of comments; specificity of comments; intensity of comments; big ideas


Consider the actual words used and their meaning

Consider the context

Consider the frequency and extensiveness of comments

Intensity of the comments

Internal consistency

Specificity of responses

Big ideas




Development of the framework


위의 기준은 뒤의 논문에서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These criteria are reduced to the following five headings in a later publication (Krueger & Casey, 2000): frequency; specificity; emotions; extensiveness; big picture









 2004 Nov;63(4):655-60.

Focus-group interview and data analysis.

Source

School of Health and Policy Studies, University of Central England, Birmingham, UK. Fatemeh.Rabiee@uce.ac.uk

Abstract

In recent years focus-group interviews, as a means of qualitative data collection, have gained popularity amongst professionals within the health and social care arena. Despite this popularity, analysing qualitative data, particularly focus-group interviews, poses a challenge to most practitioner researchers. The present paper responds to the needs expressed by public health nutritionists, community dietitians and health development specialists following two training sessions organised collaboratively by the Health Development Agency, the Nutrition Society and the British Dietetic Association in 2003. The focus of the present paper is on the concepts and application of framework analysis, especially the use of Krueger's framework. It provides some practical steps for the analysis of individual data, as well as focus-group data using examples from the author's own research, in such a way as to assist the newcomer to qualitative research to engage with the methodology. Thus, it complements the papers by Draper (2004) and Fade (2004) that discuss in detail the complementary role of qualitative data in researching human behaviours, feelings and attitudes. Draper (2004) has provided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bases for qualitative data analysis. Fade (2004) has described interpretative phenomenology analysis as a method of analysing individual interview data. The present paper, using framework analysis concentrating on focus-group interviews, provides another approach to qualitative data analysi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