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주도학습 - 개념과 맥락의 중요성 (Med Educ, 2005)
Self-directed learning – the importance of concepts and contexts
G C Greveson & J A Spencer
두 가지 논문 모두 교육자에게 교육접 접근법과 이니셔티브의 효과를 정확히 평가하려면 거기에 깔린 개념을 정확히 이해할 것을 강조한다. Candy는 SDL을 바라보는 여러 상이한 개념이 있다고 말한다. 다양한 교육철학에 따라서 이념적인 것부터 도구적인 것까지 다양한 세팅에서 다양한 함의를 갖는다. Miflin등에 따르면, SDL에 기반한 graduate medical course를 도입할 때 교사와 학생들이 여기에 대해서 가지는 서로 다른 해석때문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말한다.
Both papers highlight that it is crucial that educators understand concepts underpinning educa- tional approaches and initiatives, in order to evaluate whether they are likely to be effective. Candy sug- gested there are several conceptu- ally distinct ways of viewing SDL, based on varying educational phi- losophies, from the ideological to the instrumental, which may have different implications for practice in different settings.3 For example, Miflin et al. reported th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a graduate med- ical course based on the idea of SDL when there were many differ- ent interpretations of the concept amongst the teachers and students involved.4"
Medical educators are exhorted to adopt SDL with the principal aim of producing learners who can manage their own learning throughout their careers."
그러나 Coffield는 너무 오랫동안 평생학습이 근거도 없이, 연구도 부족하고, 이론도 없는 채로 비판받지도 않아왔다고 지적한다. SDL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Yet Coffield caustically claimed that for too long life-long learning has remained an evidence-free zone, under-researched, under-theorised, unencumbered by doubt and unmoved by criticism .5 The same could probably be said of SDL."
Canday와 Schimidt는 한 상황에서 SDL을 강조하는 것이 다른 상황으로도 전이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가져왔다.
Both Candy3 and Schmidt6 ques- tioned whether encouraging SDL processes in one context would enable self-management or learner control to be transferred to other learning contexts."
Norman은 자기주도적 학습자들이 자기평가에도 효과적이어야 하지만, 연구 근거는 많은 보건전문직이 이것을 잘 하지 못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Norman draws attention to the fact that self-directed learners need to be effective at self-assessment, yet research evidence suggests that many health professionals (pre- or post-qualification) have difficulties with this.7"
Schmidt는 전문가 양성에 있어서 SDL 기술이 지나치게 강조되어왔음을 지적한다.
Schmidt put forward similar arguments for his claimthat the importance of SDL skills in professional practice had been overemphasised.6"
인지주의자들은 학습에 있어서 개인적 특성을 강조하지만 Candy는 자기주도적 학습이란 집단성보다 개인성을 강조하는 형태로 잘못 인도되어 왔는데, 사실 지식과 학습은 본질적으로 학습자를 다른 학습자와의 관계 속에 두는 것이다 라고 주장했다.
Cognitivists stress the private and individual nature of learning. However, Candy claims: The termself-direction has misled many into elevating the individual above the collective – but the nature of knowledge and learning inherently puts learners in relationship with others .3"
Self-directed learning--the importance of concepts and contexts.
Comment on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자기주도학습, 자기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조절학습을 다룬 의학교육연구에 대한 자성적 분석 (Med Educ, 2012) (0) | 2015.09.23 |
---|---|
의대 과정동안 자기주도적학습 능력이 향상될까 줄어들까? (Acad Med, 2013) (0) | 2015.09.22 |
의과대학생들은 임상실습에서 어떻게 자기주도적인 방법으로 학습할까? Design-based research (Med Educ, 2005) (0) | 2015.09.21 |
학부 교육과정이 학생의 SDL에 미치는 영향 (Acad Med, 2003) (0) | 2015.09.18 |
보건의료인 교육에서 자기주도학습(SDL)의 효과: systematic review (Med Educ, 2010) (0) | 2015.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