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 선발에 대한 여러 관점
Perspectives on medical school admission.
McGaghie WC.
이 글은 의과대학 입학과 관련하여 저자기 몇 가지 중요한 이슈를 꼽아본 것이다.
(1) Educational consequences
최근 몇 년간, 의과대학에 입학한 거의 모든 학생이 M.D.학위를 받고 의사면허를 취득하였다.
(2) Economic consequences
(1)에서 언급한 '높은 성공률'를 고려하면, 의과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은 경제적으로 매우 보장받는다고 볼 수 있다
(3) Social consequences
입학에 대한 결정이 직접적으로 고소득의, 고지위의 전문직 엘리트 집단의 구성과 연결된다.
(4) Myth of the academic aptitude-achievement link
의학 교육에 대한 학생의 학업적 적성(MCAT, GPA)과 의과대학에서 성취도와의 연결이 약하다.
(5) Class composition vs stated intention
여러 의과대학이 학생의 성격, 동기부여정도, 다른 개인적 특질과 같은 것들이 중요하다는 립서비스를 하지만 막상 학생을 선발할 때는 과학과목과 MCAT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학생을 뽑는다.
(6) Selection =/= prediction
입학 관련 직원과 위원회는 '학생을 선발하는 것'과 '학생의 성취도를 예측하는 것'을 혼동한다.
(7) American core values
미국 문화에서 두 가지 핵심 가치(self-reliance, competition)이 교육의 모든 시기에 걸쳐서 규준지향평가(norm-referenced measurement)를 하게 만든다.
(8) Alternative definitions of merit
전문직 교육에 적합하다는 것이 무엇인가를 정의하는 것에 대한 전통적 정의 외에 다양한 대안이 있을 수 있다.
This article is the author's formulation of important issues concerning medical school admission: that (1) in recent years, almost all applicants who have been admitted to medical school have obtained the M.D. degree and been licensed to practice; (2) given this high success rate, an accepted applicant's economic security is virtually guaranteed; (3) the admission decision contributes directly to the formation of a highly paid, high-status professional elite; (4) the link between students' academic aptitude for medical education and their achievement in medical school is weak; (5) schools pay lip-service to the importance of students' character, motivation, and other personal qualities but continue to select students with high grades in science courses and high MCAT scores; (6) admission officers and committees often confuse selecting students with predicting their achievement in medical school; (7) two core values in American culture (self-reliance and competition) encourage the use of norm-referenced measurement in all phases of education; and (8) there are alternatives to the traditional approach to defining eligibility for professional education.
Perspectives on medical school admission.
Abstract
Comment in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입학, 선발(Admission and Selec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과대학에서의 입학면접 (KMER, 2010) (0) | 2014.12.18 |
---|---|
의과대학 선발에서의 질적 요소 (Acad Med, 1990) (0) | 2014.10.30 |
의학전문대학원(graduate-entry)학생 선발에 있어서 MMI의 활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Med Educ. 2008) (0) | 2014.06.24 |
의과대학 학생 선발을 더 개선할 수는 없을까? (0) | 2014.06.12 |
레지던트 선발에서 MMI의 활용가능성(Acceptability) (0) | 2014.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