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n I say ... 해석적 현상학 (Med Educ, 2018)
When I say . . . hermeneutic phenomenology
William Bynum1 & Lara Varpio2

 

헤르메스는 그리스 신들 사이와 인간 세계에 메시지를 전달하고, 그 메시지를 해석하여 그 근본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일을 담당했습니다.1 해석학적 현상학은 어원을 공유하는 메신저 신과 마찬가지로, 현상을 설명하는 것을 넘어 일상 생활의 맥락에서 그 의미를 탐구하고 전달하는 질적 연구 방법론입니다.2 해석적 현상학이라고도 불리는 해석적 현상학은 현상에 대한 참여자의 생생한 경험의 의미와 중심 구조, 즉 본질, 그리고 현상을 형성하는 맥락적 힘을 밝혀내고자 합니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학습자 학대 및 소진부터 사무직 또는 전문가 간 팀에서의 학습자 경험에 이르기까지 복잡하고 환경의 영향을 받는 현상을 보다 완벽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Among his duties, Hermes was responsible for delivering messages among the Greek gods and to the mortal world, and for interpreting those messages and conveying their underlying meaning.1 Hermeneutic phenomenology, like the messenger god with whom it shares its lexical root,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at goes beyond describing a phenomenon to exploring and conveying its meaning in the context of everyday life.2 Sometimes referred to as interpretive phenomenology, hermeneutic phenomenology seeks to uncover the meaning and central structures, or essences, of a participant's lived experience with a phenomenon and the contextual forces that shape it. As such, it can help researchers more fully understand complex, environmentally influenced phenomena, ranging from learner mistreatment and burnout to learners' experiences on a clerkship or interprofessional team.

이 글에서는 해석학적 현상학의 세 가지 특징에 초점을 맞춰 다른 질적 방법론과 차별화되는 해석학적 현상학의 특징에 대해 설명합니다.

  • (i) 해석적 성격과 생생한 경험에 대한 초점,
  • (ii)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과정에 연구자의 경험을 포함한다는 점,
  • (iii) 데이터 분석을 안내하는 역동적이고 사려 깊은 성찰과 글쓰기 과정에

이러한 특징들이 해석학적 현상학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형성합니다.
In this article, we focus on three features of hermeneutic phenomenology that, when combined, distinguish it from other qualitative methodologies:

  • (i) its interpretive nature and focus on lived experience,
  • (ii) the inclusion of researcher experiences in the processe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 (iii) the dynamic, thoughtful process of reflecting and writing that guides data analysis.

These features shape what we mean when we say: hermeneutic phenomenology.

설명적 현상학의 목적은 현상을 그것이 존재하는 맥락과 분리된 별개의 실체로 기술하는 것이지만, 해석적 현상학은 현상의 의미를 기술하고 현상을 형성하는 맥락적 힘을 이해하고자 합니다.1, 3

  • 반 마넨에 따르면 해석학적 현상학의 목표는 '인간 경험 전체'의 맥락에서 특정 인간 현상의 더 깊은 의미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의 경험과 성찰에 주목하는 것입니다.4
  • 해석학적 현상학을 통해 우리는
    • 표면적 인식 아래에 가려진 인간 경험의 더 깊은 층을 이해하고,
    • 개인의 생활 세계 또는 그 사람이 사전 성찰적으로 경험하는 세계가 이 경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4
  • 따라서 해석학의 목적은 이론을 개발하는 것(예: 근거 이론)이 아니라 우리가 살고 배우는 '세계와 더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그럴듯한 통찰력'을 개발하는 것입니다.4

예를 들어, 우리는 현재 해석학적 현상학을 사용하여 매우 개인적이고 종종 암묵적이며 인식되지 않는 감정인 수치심에 대한 의료 학습자의 경험을 이해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해석학적 현상학은 다음과 같은 개인의 수치심 경험과 관련된 연구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입니다:

  • 의료 학습자는 임상 학습 환경 내에서 수치심을 어떻게 경험하는가?
  • 학습 환경의 어떤 힘이 학습자가 수치심을 경험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Whereas the purpose of descriptive phenomenology is to describe a phenomenon as a distinct entity separate from the context in which it exists, hermeneutic phenomenology seeks to describe the meaning of a phenomenon and understand the contextual forces that shape it.1, 3 

  • The goal of hermeneutic phenomenology, according to Van Manen, is to attend to other people's experiences and reflections to better understand the deeper meaning of a specific human phenomenon within the context of ‘the whole of human experience’.4 
  • Hermeneutic phenomenology allows us to understand
    • the deeper layers of human experience that lay obscured beneath surface awareness and
    • how the individual's lifeworld, or the world as he or she pre-reflectively experiences it, influences this experience.4 
  • Thus, rather than developing theory (e.g., as in grounded theory), the purpose of hermeneutics is to develop ‘plausible insights that bring us in more direct contact with the world’ in which we live and learn.4 

For example, we are currently conducting a study using hermeneutic phenomenology to understand medical learners' experiences with shame, a highly personal and often implicit, unrecognised emotion. Hermeneutic phenomenology is an optimal method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related to individuals' experience of shame, such as:

  • How do medical learners experience shame within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 What forces from the learning environment influence the way in which learners experience it?

해석학적 현상학은 연구자가 자신의 과거 경험과 기존 지식이 해석 과정에 내재되어 있고 필수적인 것으로 인정할 것을 요구합니다.1, 2, 5 일반적으로 설명적 현상학에서 요구되는 것처럼 연구자는 현상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 편견 및 전문 지식을 괄호로 묶는 대신,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중에 자신의 주관성을 공개적으로 반영, 공유 및 주의하면서 동시에 해석학적 전통을 고수하고 반성성을 달성해야 합니다.

  • 학습자 수치심에 대한 연구에서 학습자, 교사 또는 인간으로서 자신이 경험한 수치심을 무시하려는 시도는 무의미하며, 참여자의 수치심 경험을 해석하는 의식에서 그러한 형성적이거나 영향력이 있거나 고통스러운 경험을 확실하게 괄호로 묶을 수 없습니다.

Hermeneutic phenomenology requires that researchers acknowledge their own past experiences and existing knowledge as embedded in and essential to the interpretive process.1, 2, 5 Rather than bracketing off their personal experiences, biases and expertise regarding the phenomenon (as is generally required in descriptive phenomenology), researchers openly reflect on, share, and attend to their subjectivity durin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imultaneously adhering to the hermeneutic tradition and achieving reflexivity.

  • In our study on learner shame, attempts to ignore the shame that we experienced ourselves as learners, teachers or human beings are futile; we cannot reliably bracket off such formative, impactful or painful experiences from the consciousness through which we interpret the experience of shame in our participants.

데이터 수집과 분석에 개인적인 관점을 인식하고 통합하면 해석 과정에 추가적인 차원을 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반 마넨은 해석학적 방법론의 핵심 요소 현상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에서 비롯되는 개인적인 관심 주제에서 시작하는 것이라고 주장합니다.4

  • 실제로 의학 학습자가 수치심을 경험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 대한 우리의 관심은 수치심이라는 감정에 대한 우리 자신의 투쟁에서 비롯되었으며, 이제 우리 자신과 분리할 수 없는 부분이며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그 감정을 경험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향상시켜주는 투쟁에서 비롯되었습니다.

Recognising and incorporating our personal perspectives into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contributes additional dimensions to the interpretive process. Furthermore, Van Manen asserts that a key element of hermeneutic methodology is to begin with a topic of personal interest, one that often arises from our direct experience with the phenomenon.4 

  • Indeed, our interest in understanding how medical learners experience shame arose from our own struggles with the emotion, struggles that are now an inseparable part of who we are and that enhance our ability to talk about and understand how others experience the emotion.

해석학적 현상학의 또 다른 특징은 엄격한 분석 기법을 고수하지 않고 연구자가 현상을 형성하는 현상학적 주제, 즉 '생생한 경험의 구조'를 제시하기 위해 '훈련된 사려 깊음'에 의존한다는 점입니다.4 반 마넨은 해석학적 분석이 '규칙에 얽매인 과정'은 아니지만 무작위적인 것도 아니라고 주장합니다.4

  • 해석학적 현상학은 우리의 관심을 생생한 경험으로 이끄는 흥미로운 현상을 식별하는 것으로 시작하는 여러 연구 활동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 그런 다음 연구팀원들은 개념화된 경험이 아닌 실제 경험을 조사하고, 참여자의 현상 경험을 특징짓는 본질적인 주제에 대해 성찰하면서 동시에 자신의 경험에 대해 성찰합니다.
  • 연구자는 자신의 성찰을 글로 기록한 다음 다시 성찰하고 글을 쓰는 과정을 반복하여 점점 더 견고하고 미묘한 분석을 개발합니다.
  • 분석하는 동안 연구자는 연구 중인 현상에 대한 강한 방향성을 유지하고(즉, 산만함을 피하고) 부분과 전체 간의 상호 작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해석학적 순환이라고도 하는 이 마지막 단계에서는 데이터(부분)가 현상(전체)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키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 그리고 각 부분이 서로의 의미를 어떻게 향상시키는지를 의도적으로 고려하는 연습을 강조합니다.5 실제로 위의 활동은 간헐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습니다.
  • 이 기본 분석 프레임워크의 구체적인 적용 사례는 이미 발표되어 있으며, 그 운용에 유용한 예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2, 4, 5 

Another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hermeneutic phenomenology is that it does not adhere to a strict set of analytical techniques; rather, the researcher relies on ‘cultivated thoughtfulness’ to present phenomenological themes, or the ‘structures of lived experience’, that shape the phenomenon.4 Although Van Manen asserts that hermeneutic analysis is not a ‘rule-bound process’, it is also not random.4 

  • It revolves around a dynamic interplay among multiple research activities that starts with identifying an interesting phenomenon that directs our attention towards lived experience.
  •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then investigate experience as it is lived, rather than as it is conceptualised, and reflect on the essential themes that characterise the participant's experience with the phenomenon, simultaneously reflecting on their own experiences.
  • Researchers capture their reflections in writing and then reflect and write again, creating continuous, iterative cycles to develop increasingly robust and nuanced analyses.
  • Throughout the analysis, researchers must maintain a strong orientation to the phenomenon under study (i.e., avoid distractions) and attend to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parts and the whole.
  • This last step, also described as the hermeneutic circle, emphasises the practice of deliberately considering how the data (the parts) contribute to the evolving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a (the whole) and how each enhances the meaning of the other.5 In practice, the above activities may be accomplished intermittently or simultaneously.
  • Specific applications of this basic analytical framework have been published and serve as useful examples for its operationalisation.245


해석학적 분석의 산물은 현상에 대한 풍부한 설명으로, 독자를 참여자의 삶의 세계와 더 깊이 연결하여 표면 아래에 남아있을 수 있는 경험의 핵심 요소를 조명합니다.4 학습자 수치심의 경우, 이러한 설명은 의료 학습 환경 내에서 수치심 경험의 존재와 의미에 주목하고 학습자와 교육자 모두의 정서적 회복력을 높일 수 있는 개입을 알려줄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The product of a hermeneutic analysis is a rich description of a phenomenon that more deeply connects the reader to the participant's lifeworld, illuminating key elements of his or her experience that may otherwise remain beneath the surface.4 In the case of learner shame, such descriptions have the potential to draw attention to the presence and meaning of shame experiences within the med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to inform interventions that will buoy emotional resilience in learners and educators alike.

헤르메스처럼, 의학 학습과 관련된 어려움을 단순히 설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러한 어려움을 경험하는 방식을 전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힘을 파악하고자 하는 의학교육자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다행히도 우울증, 번아웃, 수치심과 같은 복잡한 인간 경험의 깊은 층을 조명하기 위해 그리스 신이 될 필요는 없습니다. 해석학적 현상학을 갖춘 우리 인간도 오늘날의 의료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가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해석하고 전 세계에 전달할 수 있습니다.
Like Hermes, an increasing number of medical educators seek to go beyond simply describing the challenges associated with learning medicine to conveying how they are experienced and identifying the contextual forces that influence them. Fortunately, one doesn't have to be a Greek god to illuminate the deep layers of complex human experiences such as depression, burnout and shame. Equipped with hermeneutic phenomenology, even we mere mortals can interpret and convey what it means to be a learner in today's medical learning environment to the rest of the world.


Med Educ. 2018 Mar;52(3):252-253. doi: 10.1111/medu.13414. Epub 2017 Sep 12.

When I say … hermeneutic phenomenology

Affiliations collapse

1Fort Belvoir, Virginia, USA.

2Bethesda, Maryland, USA.

PMID: 28895184

DOI: 10.1111/medu.13414

No abstract availabl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