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 교육의 베스트 프랙티스: 비판적 문헌고찰(Ann Anat, 2016)
Best teaching practices in anatomy education: A critical review
Mohamed Estaia,b,∗, Stuart Buntb
1. 서론
1. Introduction
해부학은 의학 커리큘럼의 초석 중 하나로 여겨지며, 임상의들이 임상 기술을 개발하는 데 있다. 해부학에 대한 깊은 이해는 안전한 임상 실습, 특히 수술 분야에서 필수적이다(Turney, 2007). 인간 해부학의 교육은 여느 과정과 마찬가지로 학습 과정에 가장 적합한 교수 도구와 접근법을 결정하기 위해 끊임없는 수정과 분석이 필요하다(Moxham and Plaisant, 2007). 최근, 통합 및 시스템 기반 커리큘럼으로의 전환으로 인해 전통적인 시체 기반 해부학 교수법이 감소하였다. 종교적 신념, 비용 및 시간적 요인도 이러한 감소에 한몫했다. 이것은 해부학 교육에 할애된 시간의 양이 적절하지 않다는 보고에 의해 뒷받침된다(Lockwood and Roberts, 2007, Drake et al., 2009).
Anatomy is considered one of the cornerstones of medical curricula and it is on that clinicians develop their clinical skills. A deep understanding of anatomy is fundamental for safe clinical practice, particularly in the discipline of surgery (Turney, 2007). The teaching of human anatomy, like that of any course, requires constant revision and analysis to determine the teaching tools and approaches that best suit the learning process (Moxham and Plaisant, 2007). In recent times, there has been a reduction in traditional, cadaver-based, anatomy teaching, in some cases driven by a shift towards an integrated and/or system-based curriculum (Drake et al., 2009, Tibrewal, 2006). Religious belief, cost and time factors have also played a role in this reduction. This is supported by reports that the amount of time devoted to anatomy teaching is not adequate (Lockwood and Roberts, 2007, Drake et al., 2009).
외과적 과실에 대한 의료-법적 소송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Goodwin, 2000). 1995년과 2000년 사이에 영국에서는 의학 방어 연합에 제출된 해부학적 무능력과 관련된 주장이 7배 증가했으며, 이 중 32%는 일반 및 혈관 외과 의사들에 대한 주장이었고, 많은 사람들은 "기초 구조물에 대한 손상"을 언급했다. 케이힐과 동료들은 미국에서 매년 피할 수 있는 80,000명의 죽음 중 상당한 수가 의사 무능뿐만 아니라 해부학적 오류 때문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수술에 참여한 신규 거주자의 3분의 1 미만이 적절한 해부학적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보고에도 불구하고(Cottam, 1999), 수많은 의과대학들이 해부학을 가르치는 데 전념하는 수업 시간을 계속해서 줄이고 있으며, 학부생과 대학원생(의학과 치과) 학생들 사이에서 해부학에 대한 지식은 감소하고 있다.
There has been a steady increase in medico-legal litigation for surgical malpractice (Goodwin, 2000). In the UK, between 1995 and 2000, there was a 7-fold increase in claims associated with anatomical incompetence submitted to the Medical Defence Union; 32% of these claims against general and vascular surgeons, and many citing “damage to underlying structures” (Ellis, 2002). Cahill and colleagues showed that a significant number out of the 80,000 avoidable deaths per year in the US may be due to anatomical errors as well as doctor incompetence (Cahill et al., 2000). In spite of a report that less than one-third of new residents in surgery have adequate anatomical knowledge (Cottam, 1999), numerous medical schools continue to reduce the teaching time devoted for teaching anatomy and the knowledge of anatomy amongst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and dental) students is in decline (Smith and Mathias, 2011, Moxham and Plaisant, 2007).
이전의 많은 출판물은 해부학 커리큘럼을 조사했으며, 약리학, 생물학, 생화학 또는 생리학 같은 의학 커리큘럼의 다른 측면보다 더 많을 수 있다(Pabst, 2009). Brenner 등은 6가지 교육 도구 범주를 설명합니다.
- (i) 학생들에 의한 해부,
- (ii) 시험된 시료의 검사,
- (iii) 교육,
- (iv) 모델의 사용,
- (v) 컴퓨터 기반 학습(CBL)과
- (vi) 생물 및 방사선 해부학 교수
Many previous publications have examined anatomy curricula, may be more than any other aspect of the medical curricula e.g. pharmacology, biology, biochemistry or physiology (Pabst, 2009). Brenner et al. describe six categories of teaching tools:
- (i) dissection by students,
- (ii) inspection of prosected specimens,
- (iii) didactic teaching,
- (iv) use of models,
- (v) computer-based learning (CBL) and
- (vi) teaching of living and radiological anatomy (Brenner et al., 2003).
해부학 커리큘럼의 변화에 비추어 볼 때, 몇몇 연구는 해부학자와 학생들의 다양한 교육 양식에 대한 태도를 탐구했다. 해부학 교육에서 최고의 교수 실습에 대한 권고안을 마련하기 위해 해부학자, 임상의사 및 학생의 관점에서 해부학 교육의 현재 상태와 관련된 증거를 위해 문헌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In light of the changes in anatomy curriculum, several studies have explored anatomists’ and students’ attitudes towards different teaching modalities (Kerby et al., 2011, Azer and Eizenberg, 2007, Patel and Moxham, 2006). We critically review the literature for evidence relating to the current status of anatomic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anatomists, clinicians, and students, with the aim of coming up with recommendations for best teaching practice in anatomy education.
2. 토론
2. Discussion
2.1. 시체 해부
2.1. Cadaver dissection
해부Dissection는 400년 이상 동안 주요 해부학 교수법이었다. 인간 시체 해부를 이용한 학습은 능동적이고 심층적인 학습 강화, 임상 실습 준비, 죽음과의 조우 준비, 수동 기술 연습, 환자의 증상과 병리 사이의 관계 이해와 같은 수치화하기가 쉽지 않은 장점이 있다. 또한 팀워크 역량, 스트레스 대처 전략, 공감 등 의료 전문성 발달에도 기여한다. 플라스틱과는 달리, 시체들을 이용한 해부는 [해부학적 변형]의 식별에 놀라움을 제공하고, [더 많은 변형과 더 미세한 디테일]을 보여주며, 학생들이 수술실에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는 살아있는 몸의 수준에 가까운 질감을 보존한다. 시체 해부가 미래의 의사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따라서, 어떤 사람들은 해부학 지식을 얻기 위해 해부 과정이 여전히 학습자들에게 필수적이라고 믿는다.
Dissection has been the primary anatomy teaching method for over 400 years (Azer and Eizenberg, 2007). Learning using dissection of human cadavers has advantages that are not easy to quantify such as; enhancing active and deep learning, preparing students for clinical practice, preparing students for encounters with death, practice of manual skills and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s’ symptoms and pathology (Azer and Eizenberg, 2007, Fruhstorfer et al., 2011). It also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professionalism, including teamwork competency,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empathy (Bockers et al., 2010). Unlike plastination, dissections using cadavers provide a feeling of surprise at the identification of anatomical variations (Korf et al., 2008), show more variations and finer details, and preserve texture to a level close to those of living body which allow students to feel as if they are in the operating theatre (Mcbride and Drake, 2015). There is no doubt that cadaver dissection plays an integral role in the process of producing future doctors (Netterstrom and Kayser, 2008). Therefore, some believe that dissection courses are still indispensable for learners to achieve anatomical knowledge (Korf et al., 2008).
많은 해부학자들은 여전히 다른 교육 도구보다 해부학의 사용을 선호한다. 파텔과 막스햄(2006)은 인터뷰한 해부학자의 대다수가 해부학을 선택했고(69%) 그 다음이 prosections를 가장 적절한 교수법으로 선택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Kerby 외 연구진(2011)은 해부학자와 학생 모두 학습 결과를 충족시키는 데 있어 해부 과정이 가장 "목적에 적합한" 것으로 간주된다고 결론 내렸다. Davis 등은 해부학자와 성병학자 모두 해부학 교수 자원에 대한 해부학자와 의대생의 인식을 탐구했다. 학생들은 해부학 교육에서 시체 해부를 사용하는 것을 강력히 선호했다. 비슷하게, 울름대학교 의과대학의 의대 학생들은 시체 해부를 가르치는 도구로 사용하는 것을 높이 평가했다.
Many anatomists still favour the use of dissection over other teaching tools. Patel and Moxham (2006) found that majority of the anatomists interviewed (69%) selected dissection, followed by prosections as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 method. Kerby et al. (2011) concluded that dissection courses were viewed by both anatomists and students as most “fit for purpose” in meeting learning outcomes, but no single teaching tool met all aspects of the curriculum. (Davis et al., 2014) explored anatomists’ and medical students’ perceptions towards anatomy teaching resources, both anatomists and students strongly favoured using cadaver dissection in anatomy teaching. Similarly, medical students at the Ulm University Faculty of Medicine highly rated using cadaver dissection as a teaching tool (Bockers et al., 2010).
반면에, 완전한 시체 해부가 여전히 현대 학부 교육에 적합한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해부를 위해 시체를 사용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많이 걸리며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여겨져 왔다. 해부 과정은 영국, 미국, 호주 의과대학에서 더 이상 주요 교수법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전신 해부는 해부학을 가르치는 다른 양식과 함께 해부학 기반 과정으로 대체되었다. 해부학 커리큘럼의 해부 과정을 강조하지 않는 것은 다음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 지역 기반 접근 방식에서 시스템 기반 접근 방식으로의 이동,
- 이미 붐비는 커리큘럼의 해부 시간 단축 및 빈소 및 해부 실험실 유지와 관련된 높은 비용,
- 공식 매연 노출과 관련된 건강 문제,
- 카데바의 지속적인 사용을 둘러싼 윤리적 및 의학-법적 문제
졸업과 동시에 외과의사가 될 소수의 의대생들만이 해부가 필요할 수 있다(Lung et al., 2006).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a debate about whether full cadaver dissection is still suitable for modern undergraduate education (Korf et al., 2008). Using cadavers for dissection has been considered costly, time-consuming and outdated (Aziz et al., 2002). Dissection courses are no longer used as the principle method of teaching in a significant number of UK, US, and Australian medical schools (Drake et al., 2009, Sugand et al., 2010, Craig et al., 2010). Full body dissection has been replaced with prosection-based courses in combination with other modalities to teach anatomy (Fruhstorfer et al., 2011, Rizzolo and Stewart, 2006, Sugand et al., 2010). De-emphasizing dissection courses in anatomy curricula has been driven by
- the move from a regional-based to system-based approach,
- reduction of time allocated for dissection in already crowded curricula and high costs associated with maintaining mortuary and dissection labs,
- health concerns related to the exposure to formalin fumes, and
- ethical and medico-legal issues surrounding their continued use (McLachlan, 2004, McMenamin et al., 2014, Sugand et al., 2010).
Only a small number of medical students may need dissection, those that will become surgeons upon graduation (Leung et al., 2006).
2.2. 프로섹션
2.2. Prosections
Prosections는 이미 해부된 표본이며, 때로는 플라스틱으로 된 표본이다. 중세와 르네상스 초기에 해부학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시체 해부학은 필수적인 부분이었다. 통합 커리큘럼에서 전체 해부학에 할애되는 시간의 단축과 기증된 신체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 많은 프로그램들이 전신 해부에서 prosections으로 옮겨갔다. 이렇게 하면 접촉 시간이 단축되는 동시에 학습자가 찾기 위해 몇 시간을 소비할 수 있는 구조물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심장이나 큰 혈관 같은 일부 구조물은 흉부와 복부 깊숙이 위치하기 때문에 부위별 또는 층별로 해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해부는 시스템 기반 접근법에 적절하게 맞지 않으며, 이런 부위의 해부학은 [해부의 지역적 접근 방식]보다는 prosections를 사용하여 더 잘 교육된다. 호주와 뉴질랜드 의과대학 내에서, 기증된 시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시체들을 이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부학 프로그램이 완전히 해부 기반인 것은 없다. 호주와 뉴질랜드 의과대학에 대한 최근 조사는 19개의 호주와 뉴질랜드 의과대학이 전체 해부학을 가르치는 데 가장 일관되게 사용되는 방법인 체계적이고 통합된 사례 기반 학습 커리큘럼을 사용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A prosection is an already dissected, sometimes plastinated specimen. Cadaver prosections were an essential part of teaching anatomy in the Middle Ages and early Renaissance (Enke, 2005). With a contraction of the time devoted to gross anatomy in an integrated curriculum and decreasing numbers of donated bodies, many programs have moved from full body dissection to prosections; this reduces the number of contact hours while allowing learners the exposure to structures that they might otherwise spend hours trying to find (Dinsmore et al., 1999). Because some structures like the heart and large vessels are located deep in the thorax and abdomen, dissecting such structures region by region or layer by layer is impossible. Therefore, dissection does not fit appropriately into a system-based approach, here anatomy is better taught using prosections rather than the regional approach of dissection (Leung et al., 2006). Within Australian and New Zealand medical schools, despite the availability of cadavers due to an increasing number of donated bodies, no anatomy program is wholly dissection-based (Craig et al., 2010). A recent survey of Australian and New Zealand medical schools, showed that 19 Australian and New Zealand medical schools use a systemic, integrated, case-based learning curriculum for which prosection was the method most consistently used for teaching gross anatomy (Craig et al., 2010).
prosections은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합니다. prosections기반 과정은 구조와 그 관계가 쉽게 관찰되기 때문에 유연하고 맥락적이며 시간 효율적이며, 둘 이상의 학생 코호트가 프로토섹션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적은 수의 시체들이 필요하다. 사체를 해부하는 학생보다 투영된 자료에서 배우는 의대생들이 여러 표본에서 더 많은 해부학적 변화를 확인하거나 볼 수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투영된 검체의 준비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각 신체 부위의 여러 개의 프로토셀을 만들기 위해 충분한 숙련된 인력이 필요하다. 이전 보고서는 직접 해부하며 해부학을 배우는 학생들과 prosections으로 해부학을 배우는 학생들 사이에 결과에 큰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었다(Yeager, 1996).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은 dissection보다 prosections에서 배우는 것을 더 선호한다고 한다. 일부 해부학자들은 해부학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prosections이 전신 해부를 대체할 수 있다고 믿는다.
Prosections offer a number of advantages; prosection-based courses are flexible, contextual and time-efficient as structures and their relations are easily observed, and fewer cadavers are needed as more than one student cohort can use the prosections (Nnodim, 1990, Dinsmore et al., 1999, Pather, 2015). Medical students learning from prosected materials may be able to identify or view more anatomical variations in several specimens, than students who dissect cadavers (Topp, 2004). Despite these advantages, preparation of prosected specimens is time-consuming and requires ample skilled personnel to create multiple prosections of each body region. A previous repor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utcomes between students learning anatomy from dissection and those learning it from examining prosected cadavers (Yeager, 1996). Recent studies show that students favour learning from prosections over dissection (Nnodim, 1990, Dinsmore et al., 1999). Some anatomists believe that prosection can replace full body dissection in teaching gross anatomy (Mclachlan and Regan De Bere, 2004).
2.3. 플라스티네이션
2.3. Plastination
플라스티네이션은 단순히 prosections를 보존하는 특별한 방법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수축, 텍스처 손실, 자연 조직 색상과 미세한 디테일과 같은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 시료 준비에 사용되는 다량의 가연성 화학물질과 관련된 건강 및 안전 문제가 있습니다. 플라스티네이션은 1977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해부학 연구소의 군터 폰 하겐스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으며, 그 이후 플라스티네이션은 인체의 보존을 위한 최고의 기술 중 하나가 되었다. 많은 해부학자들은 정형화된 고정된 물질보다 플라스틱으로 된 표본을 선호하는데, 그 이유는 그것들이 냄새가 없고 보관하기 편리하며 취급하기 쉽기 때문이다. 플라스틱은 플라스틱 시료의 "반영구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비용 효율적인 것으로 간주됩니다. 플라스티네이션은 몇 년에 한 번 하는 것이 아니라 10년에 한 번 정도만 하면 됩니다. 냉장 및 흄 추출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보관 비용이 낮습니다. 플라스티네이션은 대부분의 해부학 부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저비용 장비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전 연구는 플라스틱 표본이 학생들에게 유용하고 다양한 수준에서 학생들의 요구를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플라스틱은 수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플라스틱은 가장 일반적인 변형을 보여주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플라스틱 부분은 그들의 참신한 성격을 잃고 결국 학생들은 노출된 변형을 암기한다.
Plastination can be considered simply a specialized way of preserving prosections but it does have some limitations such as shrinkage, loss of texture, natural tissue colour and fine details. In addition, there are health and safety concerns associated with the large amounts of flammable chemicals used in preparation of plastinated specimens. Plastination was first developed by Gunther von Hagens at the Anatomical Institute of Heidelberg University in 1977 and, since its development, plastination has become one of the best techniques for the preservation of the human body (Von Hagens et al., 1987). Many anatomists favour plastinated specimens over simply formalin fixed material, because they are odourless, allow convenient storage, and ease of handling (Latorre et al., 2007, Jones and Whitaker, 2009, Fruhstorfer et al., 2011). Plastination is considered relatively cost-effective due to the “semi-permanence” of the plastinated specimens – prosections only have to be made once every ten years or so instead of every few years; storage costs are lower as refrigeration and fume extraction are not required (Latorre et al., 2007); and plastination can be carried out using low cost equipment which is readily available in most Anatomy departments (O'sullivan and Mitchell, 1995).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plastinated specimens were deemed useful by students and accommodated student needs at various levels (Latorre et al., 2007, Fruhstorfer et al., 2011). Even though plastination has numerous advantages, plastination shows the most common variations, in time, plastinated sections lose their novel character and eventually students master the exposed variations by heart (Korf et al., 2008).
2.4. 컴퓨터 기반 학습(CBL)
2.4. Computer based learning (CBL)
최근 기술의 발전, 수업 시간의 감소, 수업의 크기 증가, 그리고 시체 기반 수업의 비용 증가로, CBL 자원은 학생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해부학 커리큘럼에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것의 사용은 해부학 교육을 강화하고, 독립적인 학습, 문제 해결을 강화하며, 유연성을 제공한다(Release, 2002). 비록 CBL이 전통적인 교수법보다 더 나은 접근 방식이라는 명확한 증거는 없지만, CBL을 사용하여 해부학을 배우는 것이 전통적인 교수법을 대체하기 보다는 보충함으로써 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 학생들은 여전히 해부, 해부, 강의, 교과서와 같은 전통적인 방법을 CBL 자료보다 선호한다. 마찬가지로 많은 해부학자들은 CBL 자원을 사용하더라도 최적의 훈련을 위해 시체 기반 instruction은 여전히 필수 조건이라고 믿는다.
With recent advances in technology, reductions in teaching time, increasing class size and increasing costs of cadaver-based instruction, CBL resources are increasingly used in anatomy curricula to foster student learning (Tam et al., 2010, Azer and Eizenberg, 2007). Its use augments anatomy teaching, enhances independent learning, problem solving, and provides flexibility (Trelease, 2002). Although, there is no clear proof that CBL alone is better approach than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Mcnulty et al., 2004, Khot et al., 2013), evidence shows that learning anatomy using CBL can enhance learning by supplementing rather than replacing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Tam et al., 2010, Durosaro et al., 2008). Students still prefer traditional methods such as dissection, prosection, lectures and textbooks over CBL resources (Azer and Eizenberg, 2007, Kerby et al., 2011, Davis et al., 2014). Similarly many anatomists believe that cadaver-based instruction is still a prerequisite for optimal training even with the use of CBL resources (Aziz et al., 2002, Tam et al., 2010).
대부분의 CBL 자원은 해부학적 구조의 3D 표현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의료 교육에서의 사용에 대한 연구가 있다. 가상현실(VR)을 통해 학생들은 인공 3D 공간에서 시뮬레이션된 물체를 시각화하고 해부하며 상호작용할 수 있다(Release, 2002). VR 프로그램의 유용성과 비용 효율성은 해부학 수업에서 잘 인정받았고, 학생들의 태도는 가상 해부학 사용에 대해서도 긍정적이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가시 인간 프로젝트와 중국 가시 인간 데이터 세트와 같은 인체 해부학 응용의 자원으로 전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규모 해부학 데이터 세트가 개발되었다.
Most CBL resources hav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3D representations of anatomical structures and there has been research into its use in medical education (Drake et al., 2009, Tam et al., 2010). Virtual reality (VR) allows students to visualize, dissect and to interact with simulated objects in artificial 3D space (Trelease, 2002). The usefulness and cost-effectiveness of VR programs have been well acknowledged in anatomy teaching, students’ attitudes have also been positive towards the use of virtual anatomy (McNulty et al., 2009, Rizzolo and Stewart, 2006). Over the last few decades, large-scale anatomical data sets have been developed that are being used all over the world as a resource for human anatomy applications such as the Visible Human Project and the Chinese Visible Human dataset (Spitzer and Whitlock, 1998, Zhang et al., 2004).
최근, 해부학 테이블은 인간의 시체들을 대체하기 위해 커틴 대학의 건강 과학에서 사용되고 있다. 아나토마지 테이블은 가상 3D 해부 플랫폼으로 디지털 이미지를 대화식으로 활용해 전신의 해부학적 구조를 탐색하는 실물 크기의 '아이패드 같은' 경험을 제공하는 멀티 터치 스크린이 탑재됐다. 바이오디지털 휴먼과 접합체 본체는 3D 그래픽스를 위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임베디드 시스템용 오픈 그래픽 라이브러리 2.0을 기반으로 웹GL 기술을 사용하는 인터랙티브 웹 기반 프로그램인 3D 시각화의 예이다. 3D 시각화 기술을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시스템을 뒤틀고 임상 주제를 설명하면서 인체의 전신을 탐색할 수 있다. 세컨드라이프는 2003년 린든랩이 개발한 VR의 또 다른 예이다. 학생들이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가상 방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볼 수 있어 사용자 간의 상호 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온라인 학습에 고유한 확장을 도입한다.
Recently, Anatomage tables have been used in health sciences at Curtin University to replace human cadavers (Fyfe et al., 2013). The Anatomage table is a virtual 3D dissection platform, with a multi-touch screen that provides a life-size “iPad-like” experience that uses digital images in an interactive way to explore the anatomy of the whole body (Fyfe et al., 2013). The BioDigital Human and Zygote Body are examples of 3D visualization, interactive web-based programs that use WebGL technology, based on the Open Graphics Library for Embedded Systems 2.0, which provides a programmatic interface for 3D graphics (Kelc, 2012, Qualter et al., 2011). The 3D visualization technology allows students to explore a whole human body, toggling various systems and explaining clinical topics. Second Life is another example of VR, developed by Linden Lab in 2003. It introduces a unique extension to online learning, as students are not only able to explore the content but also allow interactions between users as they view the same content in the same virtual room (Richardson et al., 2011).
오큘러스 리프트와 유사한 3D 시각화 "고글"은 의료 훈련 및 교육 목적에 엄청난 영향을 미친다. 사용자는 오큘러스 리프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착용하고 투어를 만들거나 인체를 통해 가상으로 비행할 수 있는 핸드 컨트롤러를 가지고 있다. Oculus left는 또한 학생들이 단순하고 복잡한 일련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가상 환경에서 운동 기술과 손 움직임을 사용하여 배울 수 있도록 한다(Mathur, 2015). 증강현실(AR)은 또 다른 새로운 도구로서, AR의 새로운 측면은 실제 환경의 관점과 추가 가상 콘텐츠를 결합하는 것이다. AR은 컴퓨터 생성 물체를 실제 세계에 통합하여 사용자의 현실 인식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가상 현실과 다르다. AR은 "현실에 대한 증대로 물리적 세계를 볼 수 있고 이 창에서 가상 구성 요소가 보일 수 있는 창을 제공합니다." 사용자의 몸에 해부학적 구조를 표시할 수 있는 착각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복잡한 해부학을 시각화하는 것도 유용할 수 있다. 햅틱(촉각) 기술은 인간과 수의 임상 교육에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는 또 다른 가상 시뮬레이션 기술로 촉각에 의존하는 검사를 시뮬레이션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Kinnison et al., 2009). 햅틱은 VR에 촉각과 힘 피드백을 모두 더하고, 실제와 같은 내부 해부학적 느낌을 제공한다.
Oculus rift and similar 3D visualization “goggles” have tremendous implications for medical training and instruction purposes. The user wears the Oculus Rift “head mounted display” and holds hand controllers which allow him/her to create a tour or virtually fly through the human body. Oculus rift also enables students to learn using their motor skills and hand movement in a virtual environment where they are required to perform a mixed set of simple and complex tasks (Mathur, 2015). Augmented reality (AR) is another emerging tool, the novel aspect of AR is to combine the view of the real environment with additional virtual content (Kamphuis et al., 2014). AR differs from virtual reality in that it integrates computer-generated objects into the real world to enhance the user's perception of reality (Hugues et al., 2011). AR “provides a window through which the physical world can be seen and for the virtual components to become visible in this window, as an augmentation to reality” (Kamphuis et al., 2014). It has uses in anatomy education in that as it can create an illusion allowing display of anatomical structures on the user's body, it could also be useful to visualize more complex anatomy (Thomas et al., 2010). Haptic (touch) technology is another virtual simulation technology that has been increasingly used in human and veterinary clinical training and is particularly useful for simulating examinations that rely on the sense of touch (Kinnison et al., 2009). Haptic adds both tactile and force feedback to VR and provides a life-like feel of internal anatomy (Kinnison et al., 2009).
3D 프린팅 또는 빠른 프로토타이핑은 해부학을 가르칠 가능성이 큰 급속하게 확장되고 있는 기술입니다. 수술 계획, 이식 가능한 보철물을 만드는 것, 생물학적인 조직 공학이 있습니다. 이 기술의 원리는 재료를 층층이 추가하는 과정을 통해 3D 물리적 모델을 재구성하는 데 3D CAD(Computer-Aided Design)를 사용하는 것이다. 적층 제작을 통해 기계는 CAD 도면으로부터 데이터를 읽고 액체, 분말 또는 시트 재료의 연속적인 층을 깔고, 이러한 방식으로 일련의 단면으로부터 모델을 구축합니다. 이 기술은 구조 및 관계에 대한 시각적 공간 및 3D 이해를 강화하기 위해 해부학 교육 목적에 유용한 매우 정확한 모델을 저렴한 비용으로 더 짧은 시간에 제작할 수 있다. 최근, 폴 맥메나민 교수가 이끄는 모나시 대학의 한 그룹은 3D 프린팅 해부학 시리즈를 만들기 위해 레이저 휴대용 스캐너, MRI 영상 및 CT 스캔을 만들었습니다. 이 키트에는 인체 조직이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팔다리, 가슴, 복부, 머리, 목의 해부학을 가르치는 데 필요한 신체의 모든 주요 부위를 제공한다. McMenamin과 동료들이 수행한 최근 파일럿 연구는 이 혁신이 해부학 학습에 특정 이점을 제공하고 시체 기반 교육의 보충물로 사용 및 지속적인 평가를 지원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3D printing or rapid prototyping is a rapidly expanding technology with great promise for teaching anatomy; surgical planning; creating implantable prosthetics; and biological tissue engineering (Gibson et al., 2010). The principle of this technology is to use 3D computer-aided design (CAD) for the reconstruction of 3D physical models through a process of adding layer upon layer of materials (Gibson et al., 2010). With additive fabrication, the machine reads in data from a CAD drawing and lays down successive layers of liquid, powder, or the sheet material, and in this way builds up the model from a series of cross sections (Gibson et al., 2010). This technology is able to produce highly accurate models, at a low cost and in less time, useful for anatomy education purposes to enhance visuospatial and 3D understanding of structures and relationships (McMenamin et al., 2014). Recently, a group at the Monash University led by Professor Paul McMenamin put together laser hand-held scanners, MRI imaging and CT scans to create a 3D Printed Anatomy Series. The kit contains no human tissue, yet it provides all the major parts of the body required to teach anatomy of the limbs, chest, abdomen, head and neck. A recent pilot study done by McMenamin and colleagues suggest that this innovation offers certain benefits to anatomy learning and supports their use and ongoing evaluation as supplements to cadaver-based instruction (Lim et al., 2015).
시체 사용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해부만이 조직의 촉각 조작, 3D 상호 작용 및 다중 감각의 관여를 제공할 수 있으며, VR 도구는 이러한 장점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시체들의 사용은 또한 공간 정보와 관계에 대한 이해와 보존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소프트웨어의 탐색과 VR 프로그램의 풍부한 옵션은 학생들의 인지 기능을 저해하고 결과적으로 학생들의 학습을 방해할 수 있다. AR과 3D 프린팅은 해부학의 시각적 및 촉각적 표현을 제공할 수 있지만, 시체 해부가 할 수 있는 모든 감각을 재현할 수는 없습니다. 시체 해부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CBL과 VR 자원이 저장, 인공호흡 인프라 또는 방부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전체적인 해부학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시체 실체에 비해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VR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시각과 각도를 선택할 수 있는 더 많은 자율성을 제공하고, 시체로는 불가능한 휴대성, 수명, 표준화, 다양성을 제공한다.
Supporters for the use of cadavers argue that only dissection can provide tactile manipulation of tissue, 3D interaction and engagement of multiple senses, VR tools do not offer these advantages. Use of cadavers is also thought to enhance understanding and retention of spatial information and relationships (Rizzolo and Stewart, 2006, Dehoff et al., 2011). In addition, the software's navigation and the plentiful options of the VR programs may hinder student cognitive function and, as a result, impair student learning. Although AR and 3D printing can offer visual and tactile representations of anatomy, they cannot reproduce all of the sensations that cadaveric dissection can. Opponents of cadaveric dissection, argue that CBL and VR resources present significant advantages over the reality of a cadaver as they provide the opportunity to learn gross anatomy without requiring storage, ventilation infrastructure or embalming. VR provides students more autonomy in choosing different views and angles, offers portability, longevity, standardization, and diversity that is not possible with a cadaver (Spitzer and Whitlock, 1998).
2.5. 의료 영상촬영
2.5. Medical imaging
해부학 교육에 의료 영상을 사용하면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의 생체 내 시각화는 물론 병리학적 프로세스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컴퓨터 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초음파의 등장으로 2차원 및 3D 재구성으로 내부 해부학의 매우 상세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되었다. 정보기술의 폭발적 증가로 인해 의과대학들은 이미징 기술을 그들의 의학 커리큘럼에 통합하도록 요구되어 왔다. 의학 이미지를 해부학 커리큘럼에 통합하면 학생들에게 기본적인 해부학적 지식을 2차원 단면 CT 및 MRI 스캔의 해석에 적용하고 임상적 관련성을 해부학적 지식과 상관시킬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의료 영상은 해부학적 공간 관계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촉진하고, 학생들의 해부 시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전체 해부학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해부 기반 교육에 귀중한 추가 요소로 간주된다.
The use of medical imaging in anatomy education provides in vivo visualization of anatomical structure and physiology as well as insight into pathological processes (Gunderman and Wilson, 2005). With the advent of computed tomography (C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ultrasound, it has become possible to display highly detailed images of internal anatomy in two-dimensions and 3D reconstructions (Gunderman and Wilson, 2005). As a result of the explosion in information technology, medical schools have been required to integrate imaging techniques into their medical curricula (Gregory et al., 2009). Integration of medical images into anatomy curricula offers students the ability to apply basic anatomical knowledge to the interpretation of two-dimensional sectional CT and MRI scans and to correlate clinical relevance with anatomical knowledge (Lufler et al., 2010, Miles, 2005). Medical imaging is considered a valuable addition to dissection-based instruction as it can promote better understanding of anatomical spatial relationships, enhance the efficiency of students’ dissection time and increas their interest in gross anatomy (Pabst et al., 2005, Reeves et al., 2004).
의료 영상은 기존의 해부의 이점을 대체할 수 없으며, 독립적 접근방식으로서 중요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복잡한 과정을 가진 수많은 해부학적 구조들은 현재의 영상 양식으로는 적절하게 보기 어렵다. 또한 해부는 의료 영상으로는 달성할 수 없는 조직의 "느낌"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또한 의료 이미지를 검사하는 것은 인간 카데바를 직접 경험하는 것에 비해 어느 정도 추상화 된 것이다. 학생들에게 해부할 기회를 주지 않음으로써 "시신과 환자의 사망률의 즉시성은 해소될 것 같다."
Medical imaging cannot substitute for the benefits of conventional dissection (Gunderman and Wilson, 2005, Howe et al., 2004, Aziz et al., 2002), it has important limitations as a stand-alone approach (Howe et al., 2004, Aziz et al., 2002). Numerous anatomical structures with complex courses are difficult to view adequately with current imaging modalities; dissection also provides an appreciation of the “feel” of tissues which cannot be achieved by medical imaging (Miles, 2005). Inspecting medical images also introduces a level of abstraction compared to the face-to-face experience with the human cadaver (Gunderman and Wilson, 2005). By denying students the opportunity to dissect, “the immediacy of the mortality of cadavers and patients is likely to be dissolved” (Gunderman and Wilson, 2005).
2.6. 생체 해부학
2.6. Living anatomy
예술가들과 미술사학자들은 항상 살아있는 신체에 큰 관심을 보여 왔다. 살아있는 해부학은 시체들의 색깔, 질감, 냄새가 실제 생활과 같지 않고, 촉진을 하거나 청취를 하거나 위치를 바꾸도록 유용하게 요청할 수 없다는 점에서 시체들에 비해 장점이 있다. 생체 해부학은 동료 신체 검사(PPE), 초음파 및 보디 페인팅을 사용하여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다. PPE는 학생들이 서로를 신체적으로 검사하는 것을 포함한다. 신체 민감한 부위를 검사하는 데 불편함이나 반대가 있지만 학생들은 PPE에 기꺼이 참여한다(Rees et al., 2005). 그럼에도 불구하고 PPE는 생명모델의 사용보다 더 유익한 것으로 밝혀졌다. PPE는 학생들에게 환자 접견 전에 임상 기술을 안전하게 연습하고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공감 능력의 개발과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제공한다. 환자 이송에 따른 추가 비용 요건이나 표준형 환자 수수료가 없어 비용 대비 효과도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또는 신체 검사 기술을 가르치기 위해 전문가 또는 시뮬레이션 환자(SP)를 사용하는 것이 의료 교육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골반 부위 및 유방과 같은 신체 특정 부위의 교육에 SP를 사용하는 것은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고, 불안감을 줄이고, 당황을 피하고, 학생의 성과를 향상시키고, 학생들에게 귀중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Artists and art historians have always shown a great interest in the living body (Griksaitis et al., 2011). Living anatomy has advantages over cadavers in that cadavers’ colour, texture, and smell are not like real life, and they cannot be palpated, auscultated, or usefully asked to change position (McLachlan, 2004). Living anatomy can be taught to the students using peer physical examination (PPE), ultrasound and body painting. PPE involves students physically examining each other (Rees et al., 2004). Students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PPE, although there is discomfort or opposition to examining sensitive areas of the body (Rees et al., 2005). Nevertheless, PPE has been found to be more beneficial than the use of life models (Metcalf et al., 1982). PPE provides students an opportunity to safely practice and master clinical skills prior to the patient encounter as well as development of empathy and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Patten, 2007, Wearn and Bhoopatkar, 2006). It is also considered cost-effective as there are no additional cost requirements for transportation of patients or fees for standard model patients (Wearn and Bhoopatkar, 2006). Alternatively, the use of professionals or simulated patients (SP) for teaching physical examination skills has been widely used in medical education (Wanggren et al., 2005). The use of SP for teaching examinations of certain parts of body such as the pelvic region and breast has the potential to address ethical concerns, reduce anxiety, avoid embarrassment, improve student performance and provide valuable feedback to the student (Wanggren et al., 2005).
초음파는 현대 해부학 교육에서 더 자주 사용되며, 총 해부학을 가르치는 전통적인 방법에 추가될 때 유용한 부가물 역할을 할 수 있다. 초음파는 신체 구조의 생체 내 시각화를 2차원으로 허용하고 학습자가 임상적으로 관련된 맥락에서 해부학적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초음파 사용에 대한 공식적인 가르침이 부족하기 때문에 의대생과 새로운 의사들 사이에 초음파에 대한 실무 지식이 부족하다. 따라서, 초음파를 해부학 커리큘럼에 통합하기 위한 임상 지도자들의 요청이 있었다. 해부학 교육에서 보디페인팅은 마커펜이나 왁스 크레용을 이용해 신체 표면에 내부 구조를 그리는 것을 말한다(McMenamin, 2008).
Ultrasound is used more often in modern anatomical education, it can act as an useful adjunct when added to the traditional methods used teach gross anatomy (Brown et al., 2012). Ultrasound permits in vivo visualization of body structures in two-dimensions and enables learners to gain anatomical knowledge in a clinically relevant context (Ivanusic et al., 2010). However, there is lack of working knowledge of ultrasound amongst medical students and new doctors due to a lack of formal teaching in ultrasound use (Brown et al., 2012). Therefore, there has been a call from clinical tutors for integrating ultrasound into anatomy curricula (Bahner et al., 2012). Body painting in anatomy education refers to painting internal structures on the surface of the body using marker pens or wax crayons (McMenamin, 2008).
대규모 수업 환경에서 학습 표면 해부학과 기초 해부학을 용이하게 하는 능동적이고 촉감적인 학습 양식으로 설명되었다. 바디 페인팅은 즐겁고 상호작용적인 것 외에도 해부학적 지식의 보존과 기억을 강화한다. McMenamin은 표면 해부학과 임상 기술을 가르치기 위해 보디 페인팅을 보조 자료로 사용할 것을 강력히 권고했다. 보디페인팅은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도장 재료를 구할 수 있고, 많은 수의 학생들이 직원 시간과 물리적 자원을 덜 요구하면서 동시에 도장에 종사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비용 효율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It has been described as an active and tactile learning modality facilitating learning surface anatomy and underlying anatomy in large class settings (Op Den Akker et al., 2002). Besides being enjoyable and interactive, body painting enhances retention and recall of anatomical knowledge (Finn and McLachlan, 2009). McMenamin highly recommended the use of body painting as an adjunct resource to teach surface anatomy and clinical skills (McMenamin, 2008). Body painting is considered relatively cost-effective as painting materials are readily available at relatively low cost, and large numbers of students can be simultaneously engaged in painting while requiring less staff time and physical resources (Finn, 2015).
해부학 교육에서 보디페인팅과 PPE의 명백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몇몇 연구들은 성별, 종교적 신념, 검사할 신체 부위의 위치와 같은 더 [민감한 문제]들이 그들의 동료를 검사하고 검사하려는 학생들의 의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슬람 국가에서, [문화적 민감성과 종교적 문제]는 심지어 같은 성별 사이에서도 PPE와 보디페인팅을 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맨체스터 대학의 다민족 의대생들 사이에서 오닐과 동료들에 의해 수행된 조사는 그들의 종교가 특히 이슬람 여학생들 사이에서 PPE를 수행하는 것에 반대하는 이유로 주어졌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아랍에미리트 대학 보건과학부에서 실시한 임상 기술 실험실에 대한 인턴과 상급 의대생들의 태도에 관한 또 다른 조사는 대다수의 여학생들이 PPE에 익숙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Das et al., 1998).
Despite the apparent benefits of body painting and PPE in anatomy education, several studies have identified that more sensitive issues such as gender, religious beliefs and location of body region to be examined, may influence students’ willingness to examine their peers and be examined (Reid et al., 2012, Rees et al., 2009). In Islamic states, cultural sensitivities and religious issues may constrain doing PPE and body painting even between the same genders. A survey conducted by O’Neill and colleagues among medical students from multi-ethnic groups in Manchester University showed that their religion was given as a reason against performing PPE particularly among Muslim female students (O’Neill et al., 1998). Another survey done at the Faculty of Health Sciences in United Arab Emirates University regarding the attitudes of interns and senior medical students towards clinical skills labs concluded that the majority of female students were not comfortable with PPE (Das et al., 1998).
2.7. 강의 기반 강의
2.7. Lecture-based teaching
16세기 이래로, 공식적인 강의와 해부는 시체 해부와 함께 해부학 과정의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있었지만, 강의는 비효율적이고, 시대에 뒤떨어지고, 수동적인 학습 형태라고 많은 사람들에 의해 비판되어 왔다. 강의실 교육을 포함한 의료 커리큘럼의 모든 측면의 전환은 교육학(시스템 기반 및 수직적 접근 통합으로의 이동)과 자원(대규모 수업, 적은 교수진, 제한된 자금 지원 및 혼잡한 커리큘럼)에 의해 추진되었다. 유망한 대안적 교수 전략은 혼합 학습이다. 혼합 학습은 전통적인 대면 및 온라인 교육 방법의 통합이다. 플립 또는 거꾸로 교실은 혼합된 학습 모델이며, 전통적인 강의와 숙제 요소를 뒤집는 교육적 접근 방식이다. 이러한 교육 모델은 어떤 과목에 대한 오디오와 비디오를 포함한 인터넷 자원의 가용성 때문에 특히 매력적이 되었다. 소셜 미디어(유튜브, 블로그, 위키, 아이튠즈 U 또는 팟캐스트)와 다른 웹 2.0 도구를 사용하여 튜터를 학생들과 연결할 수 있다. 혼합 학습 모델은 비출석 기반 교육과 관련된 문제를 피하면서 능동적인 학습을 촉진하고 학업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학습 모델은 학생들의 수업 밖 준비에크게 의존하므로, 학생들이 할당된 수업 전 또는 수업 내 활동에 참여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또한 강의 자료를 준비하는 데 수반되는 업무량도 증가합니다.
Since the sixteenth century, formal lectures and dissection have remained a key part of any anatomy course along with cadaver dissection (Vázquez et al., 2007), however this approach has been criticized by many as an ineffective, outdated and passive form of learning (Nandi et al., 2000, Pawlina and Lachman, 2004). Transformation of all aspects of the medical curriculum, including classroom instruction has been driven by pedagogy (the move to a system-based and vertically approach integrated) and resources (large classes, less teaching staff, limited funding and a crowded curriculum). One promising alternative teaching strategy is blended learning. Blended learning is the integration of traditional face-to-face and online instructional methods (Graham, 2006). The flipped or inverted classroom is a blended learning model, an educational approach that reverses the traditional lecture and homework elements of a course (Lage et al., 2000). This model of teaching has become particularly attractive because of the availability of internet resources including audio and video on any subject. It can make use of social media (YouTube, blogs, wikis, iTunes U or podcasts) and other Web 2.0 tools, to connect tutors to the students. The blended learning model has the potential to facilitate active learning and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while avoiding issues that are associated with non-attendance-based teaching (Pereira et al., 2007). However, this learning model is heavily dependent on students preparing outside of class, therefore there is a concern that students may fail to engage with the assigned pre-class or in-class activities. There is also an increased workload involved in preparing the course materials.
2.8. 통합 커리큘럼
2.8. Integrated curricula
전통적인 학부 의학 커리큘럼에서, 임상 전/초학년은 보통 기초과학에 집중하며, 이후 몇 년은 임상 과학과 임상 훈련에 집중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임상 훈련 동안 해부학에 대한 노출이 매우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교육 방식은 신규 의학 졸업생들 사이에서 관련 해부학적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임상 지도 교수들로부터 빈번한 비판을 받아왔다. 이로 인해 새로 자격을 갖춘 의사들 사이의 해부학적 지식이 환자의 안전이 훼손될 수 있는 수준에 있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의학 교육 내부의 개혁은 수직 통합 커리큘럼을 개발하려는 노력으로 이어졌다. 이를 통해 임상과학은 초기에 도입되는 반면, 해부학과 기타 기초과학은 커리큘럼 말기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인다. 이 과정에서 해부학 지식의 특정 영역을 우선할 수 있어 [일반 개업의와 관련된 해부학]만 전 학생에게 가르치고, [해부학에 대한 고급 지식]이 필요한 외과적 또는 기타 전문적 관심사를 가진 교육생은 임상연도와 레지던시 프로그램에서 이를 받게 된다.
Within traditional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a, the preclinical/first years usually concentrate on basic science and subsequent years on clinical sciences and clinical training, therefore, students had very limited exposure to anatomy during clinical training. This mode of teaching has led to a frequent criticism by clinical tutors due to a lack of relevant anatomical knowledge among the new medical graduates (Evans and Watt, 2005). This led to concerns that anatomical knowledge amongst newly qualified doctors may be at a level where patient safety could be compromised. Reforms within medical education have led to efforts to develop vertically integrated curricula (Lie, 1995). With this, clinical sciences are introduced in the early years while continued attention is paid to anatomy and other basic sciences in the later years of the curriculum (Bergman et al., 2011). In this process, specific areas of anatomical knowledge can be prioritized such that only anatomy relevant to the general practitioner will be taught to all students in the preclinical years, and trainees with surgical or other specialized interests who need advanced knowledge of anatomy will receive it later in the clinical years and residency programs (Brooks et al., 2015).
에반스와 와트(2005)는 영국 브라이튼 서섹스 의과대학의 학생들이 그들의 규율과 관련된 해부학을 연구하기 위해 전공 로테이션을 하는 동안 어떻게 해부실로 돌아가는지에 대해 설명했다. 이를 통해 핵심 해부학적 지식이 학생의 임상 경험에 비해 가장 적절한 수준에서 확보될 수 있습니다. [전체 커리큘럼에 걸친 수직적 통합]은 졸업생들이 환자를 치료하거나 의료 전략을 계획하는 동안 전체상을 파악하고 전체론적 접근 방식을 채택할 수 있도록 학습된 사실을 종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것은 기초과학지식의 중요성과 관련성을 더 명확히 할 것이고 학생들이 기초과학지식과 임상 의학 모두에 대한 더 깊은 학습과 이해를 성취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것이다. 1학년 때부터의 초기 환자 접촉은 학생들이 의사소통 기술을 개발하고, 의사와 환자의 상호작용의 중요성과 질병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깨닫는 데 도움이 된다.
Evans and Watt (2005) described how students at the Brighton and Sussex Medical School in the UK return to the dissection room during specialist rotations to study the anatomy relevant to their discipline. This can ensure that core anatomical knowledge is gained at the most appropriate level relative to a student's clinical experience (Evans and Watt, 2005). The vertical integration throughout the entire curriculum helps graduates to put together the learned facts so as to get the whole picture and adopt a holistic approach while treating a patient or planning a health care strategy (Malik and Malik, 2011). This will make the importance and relevance of basic science knowledge more evident and will motivate the students to achieve deeper learning and understanding of both basic science knowledge and clinical medicine (Dahle et al., 2002). Early patient contact from the first year helps students to develop communication skill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doctor-patient interaction and the effect of illness on the individual person (Dahle et al., 2002).
전체 커리큘럼에서 해부학을 가르쳐야 한다는 요구에도 불구하고, 커리큘럼 내의 수직적 통합은 종종 단방향이다. 임상 과학은 임상 전 해에 쉽게 통합되지만, 기초 과학은 커리큘럼 말년에 가르치는 것이 훨씬 덜 흔하다. 또한 임상 및 전 임상에 걸친 해부학의 수직적 통합은 계획, 구성 및 실행에 많은 시간과 작업이 필요하다. 교직원들과 행정관들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열정적이어야 하며 부서 경계를 넘어 협력해야 한다. 통합 커리큘럼에서 [해부학에 할당된 총 접촉 시간의 감소]는 학생과 하위 의사들 사이의 [해부학적 지식 부족]을 초래한 것으로 생각된다. 학생들이 임상적인 측면에 집중하고 기초과학을 통합 커리큘럼에서 포기할 것이라는 우려도 상당해, 학생들이 더 이상 전신의 해부학적 구조를 일관성 있고 전체적으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Despite calls for teaching anatomy throughout the entire curriculum, vertical integration within curricula is often unidirectional. Clinical sciences are easily integrated in the preclinical years, however, it is far less common for basic sciences to be taught in the later years of the curriculum (Bergman et al., 2011). In addition, vertical integration of anatomy across clinical and preclinical years needs a lot of time and work in planning, organization and execution. The faculty members and administrators have to be actively involved and enthusiastic and have to cooperate beyond departmental borders (Dahle et al., 2002).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contact hours allocated to gross anatomy in integrated curricula are thought to have led to insufficient anatomical knowledge amongst students and junior doctors (Fraher and Evans, 2009). There is also a considerable concern that students will concentrate on clinical aspects and abandon the basic sciences in an integrated curriculum, therefore, it is claimed that students no longer gain a coherent and overall picture of the anatomy of the whole body (Bergman et al., 2011).
2.9. 시스템 기반 커리큘럼
2.9. System-based curricula
20세기 초부터, 전체 해부학은 조직학, 생리학, 생화학과 같은 다른 과정과 함께 첫 번째 임상 전 해에 독립적인 과정으로 가르쳐졌다. 단일 해부학적 영역에는 서로 다른 시스템에 속하는 다양한 특성, 기능 및 관계를 가진 구조가 포함되며, 다른 과정에서 학습됩니다. 이것은 학생들이 지역 기반region-based 커리큘럼 내에서 가르치는 많은 양의 분리된 정보를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임상 전 의학 교육의 커리큘럼 패러다임은 [지역 기반region-based , 학문 기반 커리큘럼]이 질병의 정상적인 구조, 정상적인 기능 및 병리생리학이 통합된 [시스템 기반, 학제간 커리큘럼]으로 전환되었다. 시스템 기반 커리큘럼 내에서 학습자는 지역 기반 접근 방식을 추구했을 때보다 후속 시스템의 기초로서 하나의 시스템으로 자료를 마스터할 수 있다. 학습자가 앞으로 나아가면서 서로 다른 시스템에 속하는 구조의 관계, 기능적 유의성 및 임상적 상관관계가 논의되고 여러 차례 연속적으로 재검토된다(Arslan, 2014). 시스템 기반 접근 방식은 습득된 지식의 장기 보존을 강화하여 massed and crammed repetition의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보다 쉽게 사실 정보를 유지하고 해부학적 지식을 의료 실무와 연관시킬 수 있습니다.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gross anatomy has been taught as a stand-alone course during the first preclinical year along with other courses such as histology, physiology and biochemistry (Drake et al., 2009). A single anatomical region contains structures with varied characteristics, functions and relationships that belong to different systems, and are taught in different courses (Arslan, 2014). This proved to be problematic as students had difficulty mastering large amounts of disjointed information taught in within a region-based curriculum (Brooks et al., 2015). The curricular paradigm in preclinical medical education has seen a region-based, discipline-based curricula transformed to system-based, interdisciplinary curricula which integrates normal structure, normal function and pathophysiology of disease (Muller et al., 2008). Within a system-based curriculum, learners can master materials with one system as a foundation to the subsequent systems much easier than if they pursued a region-based approach. As the learner moves further forward, the relationships, functional significance and clinical correlations of structures that belong to different systems are discussed and consecutively revisited several times (Arslan, 2014). A system-based approach enhances long-term retention of acquired knowledge and thus reduces the need for massed and crammed repetition (Arslan, 2014). With this, learners can retain factual information more easily and relate anatomical knowledge to their medical practice.
3. 결론
3. Conclusion
해부학을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시체 해부는 수백 년 동안 해부학적 지식을 배우는 데 있어 금본위제로 남아 있지만, 그것은 시대에 뒤떨어지고,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많이 걸리며 잠재적으로 위험한 접근법으로 간주된다. 독립형 해부학 강좌에서 통합 및 시스템 기반 커리큘럼으로의 전환과 교직원, 자원 및 연락 교수 시간의 감소로 많은 서구 기관들이 플라스티네이션, CBL, 의료 영상 및 혼합 학습과 같은 비용 효과적이고 시간이 덜 걸리며 최신 교육 대안을 채택하게 되었다. 효율적인 학습자 시간 관리를 최적화하고 미래의 수술 역량을 극대화하고 해부학적 지식을 유지하며 학문적 성공을 높이려면 다음과 같은 교육 관행이 교육 패러다임에 통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The debate continues on how to teach anatomy in the most effective way. Although dissection of cadavers has remained the gold standard for learning anatomical knowledge for hundreds of years, it is considered outdated, costly, time-consuming and a potentially hazardous approach. The transition from standalone anatomy courses into integrated and system-based curricula, and the reduction of teaching staff, resources and contact teaching hours have led many Western institutions to adopt cost effective, less time consuming and up-to-date teaching alternatives such as plastination, CBL, medical imaging and blended learning. To optimize efficient learner time management and maximize future surgical competencies, retention of anatomical knowledge and enhance academic success, we think that the following teaching practices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educational paradigm:
• 어떤 교육적 방법은 특정 전문직에게 더 적합하다. 안전한 수술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부학적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전공 로테이션과 레지던트 프로그램 동안 전신 해부는 의료 훈련생들(특히 외과 직업의지를 가진 사람들)에게 가장 적합하다.
• Certain educational methods fit certain professions better than others, Because acquiring anatomical skills is essential to perform safe surgical procedures, full body dissection best fits medical trainees (particularly those with surgical career intentions) during specialist rotations and residency programs (Evans and Watt, 2005, Leung et al., 2006).
• 연합 보건 학교(및 일부 의과 대학)는 해부를 하거나 빈소가 있는 완전한 해부 실험실을 지원할 돈도 시간도 없다. 또한 Allied health 학생들은 또한 필요한 학습 결과를 얻기 위해 해부학에 대한 고급 지식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플라스틱은 해부를 대체할 수 있는 주요 교육 방법으로서 치과, 간호사, 그리고 관련 건강 과학 학생들에게 가장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 Allied health schools (and some medical schools) have neither the money nor time in the curriculum to do dissection or support full dissection labs with a mortuary. Such students also do not need advanced knowledge of anatomy to achieve the required learning outcomes (Mclachlan and Regan De Bere, 2004). Therefore, plastination seems the best fit for dental, nurse and allied health science students as the principle teaching method to substitute for dissection.
• 가능하다면, 해부 기반 지침의 지역적 접근 방식에 대한 의존도를 줄입니다. 더 많은 프로섹션이나 플라스틱을 채택하면 시스템 기반 해부학 커리큘럼으로 전환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Decrease reliance upon the regional approach of dissection-based instruction in favour of prosections whenever possible. Adoption of more prosections or plastination would help the transition to system-based anatomy curricula (Leung et al., 2006).
• 특히 외과적 진로 의도를 가진 교육생과 같이 가장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 임상 교육 및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적절한 단계에서 의료 커리큘럼 전반에 걸쳐 해부학을 [수직적으로 통합]한다.
• Vertical integration of anatomy throughout medical curricula at appropriate stages in the clinical training and residency program particularly for those who need it most such as trainees with surgical career intentions (Evans and Watt, 2005).
• 현재까지 모든 커리큘럼 요건을 충족하는 단일 교육 도구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현대 해부학을 가르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여러 교육학적 자원(플라스틱, CBL, 생체 해부학, 의료 영상)을 결합하여 서로를 보완하는 것이다. 학생들은 다양하고 시스템 기반 양식이 통합될 때 가장 큰 이익을 얻는 것으로 보인다. 해부학을 가르치는 데 멀티모달 패러다임의 사용은 다른 해부학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 To date, no single teaching tool has been found to achieve all curriculum requirements (Kerby et al., 2011). The best way to teach modern anatomy is by combining multiple pedagogical resources (plastination, CBL, living anatomy, medical imaging) to complement one another, students appear to profit most when diverse and system- based modalities are integrated. The use of a multimodal paradigm in teaching anatomy has received support from other anatomists (Biasutto et al., 2006, Rizzolo et al., 2010).
새로운 커리큘럼 개혁이 해부학적 지식의 보유와 미래의 외과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여전히 불분명하다. 통합, 시스템 기반 및 멀티모달 교육 패러다임으로의 전통적인 지역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 양식의 적합성 및 학생 인식, 그리고 학습 결과를 충족하는 이들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The impact of new curricular reforms on the retention of anatomical knowledge and future surgical competencies is still unclear. A shift away from the traditional regional approach towards integrated, system-based and multimodal teaching paradigms requires further research to evaluate the suitability and student perceptions of, different teaching modalities, and the ability of these to meet learning outcomes.
Best teaching practices in anatomy education: A critical review
PMID: 26996541
Abstract
In this report we review the range of teaching resources and strategies used in anatomy education with the aim of coming up with suggestions about the best teaching practices in this area. There is much debate about suitable methods of delivering anatomical knowledge. Competent clinicians, particularly surgeons, need a deep understanding of anatomy for safe clinical procedures. However, because students have had very limited exposure to anatomy during clinical training, there is a concern that medical students are ill-prepared in anatomy when entering clerkships and residency programs. Therefore, developing effective modalities for teaching anatomy is essential to safe medical practice. Cadaver-based instruction has survived as the main instructional tool for hundreds of years, however, there are differing views on whether full cadaver dissection is still appropriate for a modern undergraduate training. The limitations on curricular time, trained anatomy faculty and resources for gross anatomy courses in integrated or/and system-based curricula, have led many medical schools to abandon costly and time-consuming dissection-based instruction in favour of alternative methods of instruction including prosection, medical imaging, living anatomy and multimedia resources. To date, no single teaching tool has been found to meet curriculum requirements. The best way to teach modern anatomy is by combining multiple pedagogical resources to complement one another, students appear to learn more effectively when multimodal and system-based approaches are integrated. Our review suggests that certain professions would have more benefit from certain educational methods or strategies than others. Full body dissection would be best reserved for medical students, especially those with surgical career intentions, while teaching based on prosections and plastination is more suitable for dental, pharmacy and allied health science students. There is a need to direct future research towards evaluation of the suitability of the new teaching methodologies in new curricula and student perceptions of integrated and multimodal teaching paradigms, and the ability of these to satisfy learning outcomes.
Keywords: Anatomy; Curriculum; Education; Learning; Modality; Teaching.
'Articles (Medical Education) > 교수법 (소그룹, TBL, PBL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찰적 실천으로서 감정: 피드백 실천과 연구를 위한 새로운 담론(Med Educ, 2022) (0) | 2022.04.19 |
---|---|
해부학에 대해서 왜 충분히 알지 못하는가? 내러티브 리뷰(Med Teach, 2011) (0) | 2022.04.16 |
학부 의학에서 해부학을 배울 때 카데바가 정말 필요한가? (Med Teach, 2018) (0) | 2022.04.16 |
해부학 지식의 영향: 주장의 종합(Clinical Anatomy, 2014) (0) | 2022.04.16 |
의학교육에서 동료지원학습(PAL):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Med Educ, 2021) (0) | 2022.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