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교육에서 젠더는 중요하다 (Med Educ, 2013)
Gender matters in medical education
Alan Bleakley
소개: 의료진의 여성화
Introduction: the feminising of the medical workforce
이 글은 의학 교육에는 거의 적용되지 않지만 문화학 등 다른 학문 분야에서도 잘 정립되어 있는 현대 사회과학의 사고의 흐름을 논하고 있다: 후기 구조주의 페미니즘.1, 2 이러한 사고의 흐름은 성(性)을 다시 생각하는 데 귀중한 시각을 제공한다. 의학 교육 이론과 실천에 관한 쟁점들, 그리고 사회 과학의 현대적 생각들이 어떻게 의학 교육의 혁신을 형성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중요한 것은, 후기 구조주의 페미니즘은 남성 페미니스트를 포함하고 현대 의학과 의학 교육을 지배해온 습관적인 가부장적 관행에 도전하는 접근방식이다.
This article discusses a stream of thought in contemporary social science that is rarely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but is well established in other academic fields, such as cultural studies: post-structuralist feminism.1, 2 This stream of thought, which is fully explained later in the article, offers a valuable perspective for rethinking gender issues in medic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and illustrates how contemporary ideas in the social sciences can shape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Importantly, post-structuralist feminism is an approach that includes male feminists and challenges habitual patriarchal practices that have dominated moder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서술적 인구학 연구는 [의학에서 여성women in medicine]에 대한 문헌을 지배하고 있으며, 이 기사의 후반부의 관심사인 후기 구조주의 페미니즘의 대체적alternative 이론적 체계를 고려하기 전에 이 연구의 틀을 감상하고,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다루는 것이 중요하다.
Descriptive demographic studies dominate the literature on women in medicine, and it is important to appreciate, understand and then critically address this body of work prior to considering the alternative theoretical framework of post-structuralist feminism that is the concern of the second half of this article.
전세계적으로 남성보다 여성이 의대에 입학함에 따라 의료 인력에 여성 의사가 과반수를 차지할 것이다.3-6 이러한 인구 변화는 '의학의 여성화'라고 일컬어진다.7 그러나 의학에서 '여성화'의 의미는 인구학적 설명을 넘어 문화적 과정을 설명하는 것으로 확장될 수 있다. 나아가 의학의 페미니즘이 의학의 문화뿐만 아니라 의학교육에도 어떤 의미가 있을지 생각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 소개 섹션에서는 인구학적 이슈를 성별 사고 방식과 같은 인구학적, 생물학적 문제를 넘어 성 문제를 탐구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소개합니다.
As more women than men enter medical schools worldwide, in time the medical workforce will comprise a majority of women doctors.3-6 This demographic shift has been referred to as the ‘feminisation of medicine’.7 The meaning of ‘feminisation’ in medicine, however, can be extended beyond demographic descriptions to account for cultural processes. Further, it is important to consider what the feminising of medicine might mean not just for the culture of medicine, but also for medical education. In this introductory section, demographic issues are introduced as a platform from which to explore gender issues beyond demography and biology, such as gendered ways of thinking.
인구 이동
Demographic shifts
인구통계학은 문자 그대로 '사람에 관한 글'을 의미하며, 개인보다는 인구에 대한 연구를 말한다. 여성 및 의료: 영국 왕립 의사 대학을 위해 작성된 2009년 보고서인 Women and Medicine: The Future는 서술적 인구통계학의 좋은 예이다.5 여성 학술 사회학자가 작성한 이 보고서는 서술적 통계의 데이터셋을 자세히 설명하고 추론, 추측 또는 이론적 모델링에 거의 포함하지 않는다. 사회과학자들의 그러한 서술적 연구로부터, 트렌드를 포함한 후기 산업 국가의 의학에서의 젠더에 대해 무엇을 알 수 있을까?
Demography literally means ‘writing about the people’ and refers to the study of populations rather than individuals. Women and Medicine: The Future, a 2009 report prepared for the UK Royal College of Physicians, is a good example of descriptive demography.5 Written by a female academic sociologist, the report elaborates on a dataset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cludes little in the way of inference, speculation or theoretical modelling. From such descriptive work by social scientists, what do we know about gender in medicine in post-industrial countries, including trends?
의학에 진입하는 여성의 수:
Women entering medicine: the numbers
펜실베니아 필라델피아는 미국 최초의 의대를 유치하면서도 1960년 여성을 입학시킬 수 있는 마지막 의대(제퍼슨 의과대학)를 유치한 것이 복합적으로 구별된다. 최초의 여성은 1847년 미국의 의대에 입학했다. 2003년까지 제퍼슨은 대다수의 여자 의대생들을 입학시켰다. 1800년대 후반 미국에서 여성이 개업 의사 중 10%를 차지했지만 1920년대에 이르자 여성들은 사실상 의료 인력에서 사라졌다. 그러나 2003년까지 미국의 의과대학 입학생들은 성별의 균형을 보였고 2005년까지 많은 학교들이 약 60퍼센트의 여성과 40%의 남성으로 구성된 입학 수치를 보였다. 현재 전 세계 의과대학 학생들의 대다수를 여성이 차지하고 있으며 북미, 유럽, 호주 및 러시아에서 평균 60%의 학생 섭취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영국에서는 2003년 62%로 정점을 찍은 뒤 2007년 57%로 낮아져 안정세를 보였을 수도 있다.
Philadelphia, Pennsylvania has the mixed distinction of hosting the first medical school in the USA, but also of hosting the last medical school (Jefferson Medical College) to admit women, in 1960. The first woman was admitted to a medical school in the USA in 1847.6 By 2003, Jefferson was admitting a majority of women medical students (51.5%). Although women comprised 10% of practising doctors in the USA in the late 1800s, by the 1920s women had practically disappeared from the medical workforce. However, by 2003, entrants to medical school in the USA showed a gender balance and by 2005 many schools showed entrance figures comprised of around 60% women and 40% men.6 Women now constitute the majority of students in medical schools worldwide and represent an average of 60% of student intake across North America, Europe, Australia and Russia.3-10 In the UK, the numbers may have stabilised, having peaked at 62% in 2003 and fallen to 57% in 2007.5
이러한 통계는 '의학적 시한폭탄'과 같은 문구를 포함한 헤드라인을 포함한 경보주의 언론기사를 통해 공개되었다.10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의 1면 기사 '서양의학의 얼굴 변화'는 [젊은 여성 세대]가 '한 때 남성 중심적이었던 의대를 변화시키고, 의대를 부풀리고, 1차 진료의 최전선으로 몰아가고 있는' 과정을 자세히 다루고 있다. 미사여구는 신중하게 선택된다: '부글부글'과 '떼짓기'는 아마도 새로운 전문가 집단의 출현을 의미할 것이다.
These statistics have entered the public domain through alarmist press articles carrying headlines that include phrases such as ‘the medical timebomb’.10 A front-page article in the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entitled ‘The changing face of Western medicine’ detailed how ‘Across the Western world’ a generation of young women ‘is transforming the once-male bastion of medicine, swelling medical schools and flocking to the front lines of primary care’.3 The rhetoric is carefully chosen: ‘swelling’ and ‘flocking’ perhaps signify the emergence of a new family of professionals.
남성들이 의료 지원에서 쫓겨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은 근거가 없을지도 모른다. 예를 들어, 영국에서는 의과대학 지원자의 절대적인 증가로 인해 자리를 차지하는 남성의 수가 증가하였다. 2007년에는 의과대학에 1996년보다 1200명의 남자가 합격했다. 또한, 영국에서는 유학생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은 남성인 경우가 더 많다.5
A fear that men are being driven away from applying for medicine may be unfounded. For example, in the UK, because of an increase in the absolute numbers of applicants to medical schools, the number of males taking up places has increased. In 2007, 1200 more men were accepted for medical school than in 1996 (in comparison with 1760 more women).5 Further, in the UK, numbers of international students are increasing and these tend to be more commonly male.5
미래에는 여성이 다수가 될 것인가?
Will women be in the majority in the future?
전 세계적으로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예'.3입니다. 영국은 현재 전체 의사의 약 40%, 일반의사(GP)의 42%, 컨설턴트의 28%를 여성이 차지하고 있다.5 그러나 영국에서는 여성이 35세 미만 의사 중 54%를 차지하고 있지만 프랑스와 스페인에서는 각각 58%와 64%를 차지하고 있다.3 2017-2022년까지 영국에서 여성은 방사선, 안과 및 수술을 제외한 모든 분야의 컨설턴트 임용으로 이동하는 전문의 대다수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5
Worldwide, the answer to this question is ‘yes’.3 In England, women currently account for approximately 40% of all doctors, 42% of general practitioners (GPs) and 28% of consultants.5 However, women constitute 54% of doctors aged < 35 years in the UK, but 58% and 64% of this group in France and Spain, respectively.3 By 2017–2022, in the UK, women are likely to constitute the majority of specialists moving to consultant appointments in all fields other than radiology, ophthalmology and surgery.5
전문직 여성
Women in specialties
전공과목의 트렌드는 나라마다 다릅니다. 예를 들어, 방사선학에서 2009년 미국에서는 여성이 27%를 차지했지만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벨라루스에서는 80%, 기타 유럽 국가에서는 50-60%를 차지했다. 링크는 여성 의사가 남자 의사보다 환자 및 동료와 더 잘 소통하고 더 적은 위험을 감수하기 때문에 방사선학의 '여성화'가 환자에게 좋은 뉴스라고 지적했다. McKinstry7은 의료진의 여성화에 따른 잠재적 위험성에 주목하면서, '공감력과 의사소통 능력도 중요하지만, 효율성과 위험과 더불어 살아가는 능력도 중요하다'며 '여성화'가 긍정적이라는 데 동의하지 않는다.
Specialty trends differ across countries. In radiology, for example, women constituted 27% of practitioners in the USA in 2009, but as much as 80% in Latvia, Estonia and Belarus, and 50–60% in other European countries.11 Rinck11 notes that the ‘feminisation’ of radiology ‘is good news for patients’ because women doctors communicate better with patients and colleagues and take less risk than their male colleagues. Noting potential dangers of the feminisation of the medical workforce, McKinstry7 disagrees: ‘E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s are important, but so are efficiency and the ability to live with risk.’
전세계적으로 여성들은 수술에서 과소대표되고 소아과와 1차 진료에서 과대대표되고 있습니다.12-14 이로 인해 향후 전문적 부족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수술에서 컨설턴트 직위로 이어지는 진로들은 전통적으로 아이를 갖기를 원하는 여성들을 위해 추구하기 어려웠다.15-17 여성은 탄력적 근무시간, 자녀양육 서비스, 지원멘토 등 일정한 구조적 요건이 충족되어야만 수술에서 커리어 사다리에 오를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여성들은 점차적으로 강한 경쟁적 요소를 접하게 되면서 수술에 흥미를 잃을 수 있다. 왜냐하면 일반적인 여성 의사들은 더 많은 협업적 업무 맥락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Worldwide, women are under-represented in surgery and over-represented in paediatrics and primary care.12-14 This has led to a concern that there may be a future specialty shortfall. Career routes leading to consultant posts, particularly in surgery, have traditionally been harder to pursue for women who wish to have children.15-17 Women tend to be successful on the career ladder in surgery only if certain structural requirements are fulfilled, such as the provision of flexible hours, child-minding services and supportive mentors.18 Women may lose interest in surgery as they progressively encounter a strong competitive element because in general women doctors prefer more collaborative work contexts.19
인구 통계에 의해 제기된 문제
Issues raised by demographics
킬민스터 외 연구진 8은 위에서 요약한 수치와 같은 원시 인구통계 데이터가 네 가지 가능한 결과를 야기한다고 결론내렸다.
- 첫째, 이러한 추세는 여성들이 파트타임으로 일하고 조기 퇴사하여 잠재적인 인력 부족을 야기하기 때문에 인력 계획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 둘째, 트렌드는 여성들이 남성들이 가지고 온 것과는 다른 바람직한 자질을 실천에 옮기기 때문에 좋은 것일 수 있다.
- 셋째, 졸업생들이 의료인력으로 진입하면서, 입학시점의 성별 차이는 줄어들even out 수 있다.
- 넷째, 의료문화의 구조적 불평등이 지속되어 남성의 우위가 유지될 수 있다.
여기에 자본의 지속적인 문제가 추가될 수 있다.
Kilminster et al.8 conclude that the raw demographic data, such as the figures summarised above, raise four possible consequences.
- Firstly, the trend may present problems for workforce planning as women will work part-time and leave the profession early, causing a potential workforce shortage.
- Secondly, the trend may be a good thing as women bring desirable qualities to practice that differ from those brought by men.
- Thirdly, gender differences at intake may even out as graduates enter the workforce.
- Fourthly, structural inequalities in medical culture may persist, maintaining a male dominance.
To this can be added a continuing problem in equity.
형평성 문제
Equity issues
의학에서 남녀의 기회균등이라는 측면에서 [구조적인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형평성, 즉 정의와 공정성 문제도 존재한다. 의학계 여성은 남성과 같은 일을 하는 것에 대해 더 낮은 보상을 받는다17, 여성이 고위직의 핵심직에서 과소대표되고 있지만, 여성에게 그들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자원과 기반시설의 제공을 충분히 하지 않음으로써, Medicine은 직업적 열망을 가진 여성들을 계속 실패하게 만들고 있다.20 여의사의 수입은 academic medicine의 남성보다 적다. 여성들의 직위 상승은 더 느리게 진척되고, 리더 역할을 쉽게 달성하지 못합니다. 이는 여성들의 생산성이나 헌신의 퀄리티 문제가 아니라, 구조적 제약을 받기 때문입니다.21
There is not only a structural problem in terms of equality of opportunity in medicine with regard to gender, but there also exists an equity, or justice and fairness, problem. Women in medicine are given poorer rewards for doing the same job as men17 and, although women are under-represented in key positions in the senior ranks, medicine continues to fail women with career aspirations through the poor provision of the resources and infrastructure necessary to help them achieve their goals.20 Women doctors earn less than men in academic medicine, progress through the ranks more slowly and do not readily attain leadership roles, not because of the quality of their productivity or commitment, but because they are subject to structural constraints.21
이러한 제약은 개인의 열망 수준에까지 이어진다: 설문조사에서 여성 의사들은 남성 의사들이 보고한 것보다 25% 정도 낮은 한도를 보고한다.22 전반적으로 여성 의사들은 자신들을 남성 의사들보다 능력이 떨어진다고 일관되게 평가한다.23
Such constraints are then realised at an individual level of aspiration: when asked in surveys what their potential earning power may be, women doctors report a ceiling that is around 25% lower than that reported by male doctors.22 Overall, women doctors consistently rate themselves as less capable than male doctors.23
여의사들이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결과
Consequences of women doctors working part-time
상당수의 여의사들이 파트타임으로 출근한다면 리더십과 의료 교육을 포함한 노동자들에게 미칠 충격은 무엇일까? 남성 동료에 비해 여성 의사들은 이미 더 많은 파트타임 근무(85%)10에 종사하고 있으며, 아이를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용이하게 해줄 보다 유연한 근무시간을 원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여성 GP들은 남성 동료들보다 더 일찍 은퇴할 계획이다.3-6
If a significant number of women doctors come to work part-time, what will be the knock-on effects for the workforce, including in leadership and medical education? In comparison with their male colleagues, women doctors already engage in more part-time work (85%)10 and want more flexible working hours that will facilitate the opportunity to have children, and women GPs in general plan to retire earlier than their male colleagues.3-6
이에 따른 연쇄적인 효과는 여성 의사들이 임상 및 학문적 리더십과 고위 경영자 역할을 추구하는 데 덜 끌리거나 전념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성별 효과가 '리더십 부족deficit'를 낳을 가능성은 낮다. 지적했듯이, 의학에 입학하는 [남학생의 절대 숫자]가 증가했기 때문이다.5 오히려 이 문제는 기회와 형평성의 평등 중 하나이다.12 Dacre12는 의학의 여성화는 현재와는 다른 (즉, 여성 후보자들을 격려하는 방식으로) 리더십 역할이 구성될 수 있도록 인력 계획을 재고하는 기회를 만들어내고 있다.
A knock-on effect of this is that women doctors are less attracted or committed to seeking clinical and academic leadership and senior management roles. This gender effect is unlikely, however, to create a ‘leadership deficit’ in the future because, as noted, the absolute numbers of male students entering medicine have risen.5 The issue, rather, is one of equality of opportunity and equity.12 Dacre12 suggests that the feminisation of medicine is creating an opportunity to rethink workforce planning in a manner that may allow leadership roles to be configured differently than they are at present, encouraging women candidates.
케네스 루드머러의 미국 의학 교육 역사는 특히 '영웅들이 등장하기엔 너무 크고 단편화된' 맥락에서 현대의 '의학에서 영웅들의 실종'을 지적한다. 이것은 여성 의사들의 대표성이 심각하게 떨어지는 의학 교육의 페미니스트들에게는 좋은 소식처럼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007년 영국에서는 임상교수의 12%, 임상강사의 36%만이 여성이었으며 의과대학 34곳 중 2곳만이 여성학장이 있었다. 전체 교수로 임용되는 여의사가 15%, 학과장이 11%에 불과한 미국도 비슷한 입장이다.
Kenneth Ludmerer’s classic history of American medical education points to the contemporary ‘disappearance of heroes from medicine’ in a context in which ‘academic medicine’ in particular ‘has grown too large and fragmented for “heroes” to emerge’.24 This may seem like good news to feminists in medical education, in which women doctors are severely under-represented. For example, in 2007 only 12% of clinical professors and 36% of clinical lecturers in England were women, and only two of 34 medical schools had women deans.5 The position is similar in the USA, where only 15% of women doctors are appointed as full professors and 11% as department chairs.12
그러나 의대 여학생들이 남성들보다 더 효과적인 조력자를 만드는 경향이 있지만, 여의사들이 academic research 및 teaching에 참여할 가능성은 낮다.7 이는 '영웅의 실종'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의대생들의 여성 롤모델이 부족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러한 롤모델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의학 학부 커리큘럼에 성별 문제가 도입되는 경우, 이러한 움직임을 시작하는 것은 여성 교수진이다.27
However, although women medical students tend to make more effective facilitator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25 women doctors are less likely to take up academic research26 and teaching.7 This presents a lack of female role models for new cohorts of medical students, despite the ‘disappearance of heroes’ from the field. Yet such role models are needed. For example, in instances in which gender issues are introduced into the medical undergraduate curriculum, it is women faculty staff who tend to initiate this move.27
컨설팅 스타일 및 커뮤니케이션: 환자를 위한 연쇄 효과
Consulting styles and communication: knock-on effects for patients
존경받는 선배의사들에 의한 역할모델링의 후배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여성후배 의사들은 모방하고자 하는 핵심 요소로 '커뮤니케이션'을 보고한 반면, 남성후배 의사들은 의사소통이 훨씬 덜 중요하다고 여겼다고 한다.23 환자들이 궁극적으로 성별에 대해 우려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증거가 모호하지만, 여의사가 남성 동료보다 더 많은 연민과 친밀감을 가지고 환자를 치료하고 있으며, 의학의 심리적, 의사소통적 측면에 더 관심을 가지고 있다.
A study in junior doctors of role-modelling by respected senior doctors found that women junior doctors reported ‘communication’ as the key element they wished to emulate, whereas male junior doctors considered communication to be much less important.23 Although evidence is equivocal as to whether patients are ultimately concerned about the gender of their doctors,23 women doctors treat patients with more overt compassion and intimacy than their male colleagues do and are more concerned with the psychosocial and communicative sides of medicine.6, 20-22, 28
[여성 의사]는 [여성 환자]에 더 잘 적응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성 환자들은, (남성 환자보다) 더 많은 질문을 하고 더 많은 정보를 주고,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하고, 바꾸어 의사에게 더 명확한 설명을 강요하고, '의사 중심' 상담 스타일이 아닌 '의사 중심'을 명시적으로 요구한다. 남자의사들보다, 여의사들은 (가까운 친구들이 포함된) 지지적 환경의 제공이 업무 만족도에 더 중요하다고 평가한다.
Women doctors may be better adapted to women patients, who ask more questions and give more information than male patients, and check and paraphrase information, thereby forcing the doctor into giving clearer explanations, and explicitly demand a ‘feelings-oriented’ rather than a ‘thoughts-oriented’ consultation style.28 Women doctors also rate the provision of a supportive environment, such as one that includes close friends, as more important to their work satisfaction than do their male colleagues.16
남성 동료들에 비해 더 공감적이고 환자 중심적인 여성 의사들의 스타일은 더 나은 환자 성과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12 이와 함께 영국의 2001~2010년 GP 중단 조사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은 불만을 유발했으며 여성보다 5배 더 많은 정직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McKinstry는 '효율성'과 '위험성'에 대처하는 능력은 '공감 및 소통'만큼이나 중요하다고 제안한다. 맥킨스트리는 여성 GP가 환자와 더 오랜 시간을 보내고 refer할 가능성이 높으며, 여성 컨설턴트가 남성 동료보다 환자를 더 적게 보는 경향이 있으며, 이 두 가지 모두 제한된 자원의 확장에 기여한다고 지적한다.
The more empathic, patient-centred style of women doctors, compared with that of their male colleagues, has been shown to result in better patient outcomes.12 In addition, a UK study of the suspension of GPs between 2001 and 2010 found that men attracted more complaints than women and were five times more likely than women to be suspended as a result of investigations into complaints.29 However, McKinstry suggests that ‘efficiency’ and ability to deal with ‘risk’ are as important as ‘empathy and communication’.7 McKinstry points out that women GPs spend longer with patients and are more likely to refer, and that women consultants see fewer patients than their male colleagues, and that both of these tendencies contribute to the stretching of limited resources.7
이러한 원시적 서술적 인구통계학은 의학의 여성화 현상을 완전히 깨닫지 못한 것이며, 의학교육의 여성화에 대한 제한된 설명만 제공한다. 뭔가 더 필요한 게 있다. 데이터가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발전하려면 설명이 필요하지만 의료 교육 이론과 실무의 요소를 재고할 수 있는 혁신적인 탐구를 유도해야 합니다. 이 논문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어떻게 후기 구조주의자 페미니스트 상상력이 그러한 재고를 이룰 수 있는지 논할 것입니다.
This raw descriptive demography does not fully realise the phenomenon of the feminising of medicine and certainly offers a limited description of the feminising of medical education. Something more is needed. The data clearly need explanation if they are to move beyond description, but also invite innovative explorations to rethink elements of medic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In the remainder of this paper, I will argue how a post-structuralist feminist imagination can achieve such a rethink.
페미니스트 이론
Feminist theory
이전 섹션에서 보면, 의학의 여성화로 인한 이득은 간단해 보일 수 있다. 여성이 대다수 인력을 대표하게 되면서 여성 의사들의 컨설팅 스타일에 기반을 둔 문화의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나 환자에게 혜택을 줄 것이다. 하지만 상황은 이보다 더 복잡하며 여성 의사들이 남성 동료들보다 효율적이지 못하고 자원 의존도가 높다는 비판을 넘어섰다.
From the previous section, the benefits of the feminising of medicine may seem straightforward. As women come to represent the majority of the workforce, a positive change in culture, grounded in women doctors’ consulting styles, will occur and will benefit patients. However, the situation is more complex than this and extends beyond criticism of women doctors as being less efficient and more resource-dependent than their male colleagues.
- 첫째, 역사적으로 형성된 '남성' 혹은 가부장적 의학 문화는 단순히 생물학적으로 남성 의사가 많았기 때문일까?
- 둘째, 성별에 대한 생물학적 접근법의 한계는 무엇인가? 예를 들어, 여성들이 여성화에 독점권을 가지고 있는가, 아니면 전통적으로 가부장적이었던 문화를 여성화하는 데 있어서 남성들도 대리인 역할을 할 수 있는가?
- 또한, 의학과 의학교육의 여성화에 있어 게이와 레즈비언 의사의 입장은 어떠한가? 30, 31
- Firstly, is the historically formed ‘masculine’ or patriarchal culture of medicine simply a result of the dominance of biologically male doctors?
- Secondly, what are the limits of a biological approach to gender? For example, do women have a monopoly on feminisation, or can men also act as agents in feminising a traditionally patriarchal culture?
- Further, what are the positions of gay and lesbian doctors in the feminisation of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30, 31
'남성 시위'
The ‘masculine protest’
우리가 '여성적' 혹은 '남성적'이라고 말할 때, 우리는 생물학적 성, 즉 본질주의에 대한 문자 그대로의 설명이 아닌 문화적인 의미로 사용한다. 그들은 [은유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가부장제'는 남성을 지칭하는 문화적 맥락에만 관련되는 것이 아니며, 영웅주의, 합리주의, 확실성, 지성과 거리감, 객관화, 감상 이전의 설명을 수용하는 특정한 종류의 논리에 기초한 지배적인 문화적 형태를 말한다. 이러한 논리에 의해 채택된 핵심 전략은 [반대주의]이다. 예를 들어, 논리적인 것이 비논리적인 것의 반대이며, 전자는 후자보다 우월하다. 반대주의는 화해나 협력이 아닌 갈등의 전술이다.
When we talk of the ‘feminine’ or the ‘masculine’, we use these terms in a manner that is not restricted to the literal description of biological sex – essentialism – but is cultural. They can be employed metaphorically. ‘Patriarchy’ does not relate to a cultural context that refers only to men, but refers to a dominant cultural form based on a particular kind of logic that embraces heroism, rationalism, certainty, the intellect, distance, objectification, and explanation before appreciation. A key strategy employed by this logic is oppositionalism: for example, the rational is opposed to the irrational and the former is dominant over the latter. Oppositionalism is a tactic of conflict rather than of reconciliation or collaboration.
남성들이 현대의학과 의대 교육을 지배했다고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가부장제의 문화적 형태가 더 넓어진 측면이다. 미셸 푸코는 의학에서 가부장제의 구체적인 모습을 '의학적 시선'이라고 표현했는데, 이는 다양한 '남성의 시선'으로 해석된다. 32, 33 Bordo는 시체가 '여성의 영역'이라고 주장하며, 반면에 남자들은 '육체에 가까이 가지 않고, 그것을 바라보는 시각을 유지하는 것'을 원한다. 따라서 객관화된 '남성 시선'의 지배력에 관한 익숙한 논쟁을 리허설한다.
Although it is a truism to say that men have dominated moder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this is an aspect of the wider cultural form of patriarchy. Michel Foucault has described the specific appearance of patriarchy in medicine as the ‘medical gaze’, interpreted as a variety of the ‘male gaze’.32, 33 Bordo34 argues that the body is ‘the province of the female’, whereas men, by contrast, want ‘to stand clear of the flesh, to maintain perspective on it’, thereby rehearsing a familiar argument concerning the dominance of an objectifying ‘male gaze’.
푸코의 설명에 따르면, 진단적 시선으로 몸 속 깊숙이 '보는' 의사의 투과 눈은 투과성 팔뚝과 차가운 논리 둘 다와 관련이 있다. 이 논리는 conducting 손과 손가락질 또는 탐침 손가락의 특이하게 남성적인 확장으로서 메스까지 확장됩니다.35 게다가, 의학적 시선은 클리닉의 위생된 하얀 입방체 안에서 정당화된다. 이는 건축에 있어서 냉정한 논리의 궁극적 표현이다. 이 곳에서는 남성 의사가 낯선 여성(환자로서)에 대한 전문적인 정밀 검사를 수행하도록 허가받았으며, 이러한 것은 다른 맥락에서는 금기 사항일 수 있습니다. 페미니스트s는 이 지배적인 가부장적 콤플렉스를 '팔로고 중심적'이라고 칭하게 되었다.
In Foucault’s description, the penetrating eye of the doctor that ‘sees’ into the depths of the body in a diagnostic gaze is associated with both the penetrating phallus and a cold logic. This logic extends to the scalpel as a peculiarly masculine extension of the conducting hand and the pointing or probing finger.35 Further, the medical gaze is legitimated within the sanitised white cube of the clinic, the ultimate expression of cold logic in architecture, in which the male doctor has been sanctioned to perform professional intimate examinations of women strangers, as patients, that would be taboo in other contexts. Feminists have come to term this dominant patriarchal complex ‘phallogocentric’.1
현대의학의 제도적 가부장제는 한 세기 전 정신분석학자 알프레드 아들러가 '남성 시위'라고 묘사한 것에 대한 대가를 치르고 있다.36 무수히 반복된 주장은 [의사들은 너무 많은 고통을 보고 있기 때문에 객관화와 거리 두기를 통해 스스로를 보호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신분석학적으로, 그들은 부정과 억압이라는 더 강력한 자아 방어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 '남성 시위'는 궁극적으로 '공감 감소'의 형태로 역효과를 낳는다. 의대생들은 환자를 대상화objectify하는 법을 배운다.37
Modern medicine’s institutional patriarchy is bought at a price, characterising what the psychoanalyst Alfred Adler described nearly a century ago as the ‘masculine protest’.36 The well-rehearsed argument is that doctors see so much suffering that they must protect themselves, through objectification and distancing, from carrying this suffering. Psychoanalytically, they tend to use the stronger ego defence mechanisms of denial and repression. However, this ‘masculine protest’ ultimately has a counterproductive effect in the form of ‘empathy decline’, whereby medical students learn to objectify patients.37
의대생들의 공감저하 연구들은 효과를 과장했다는 비판을 받아왔으며, 공감의 심리측정이 예측가치와 같은 제한된 효용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9 '공감', 40, 41이라는 용어의 정확한 의미에 대한 논란도 있어 '측정'이 무엇인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공감의 정의에 대한 강력한 방어와 공감 차원에 대한 심리학적 측정의 타당성이 제시되었다.42 또한 공감 감소 현상에 대한 그럴듯한 설명이 제시되었다.43 명시적 커리큘럼 설계를 통해 공감 감소가 억제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지만 측정된 수준은 의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공감 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44
Studies of empathy decline in medical students have been criticised as exaggerating the effect38 and psychometric measures of empathy have been seen to afford limited utility, such as predictive value.39 There is also debate about the precise meaning of the term ‘empathy’,40, 41 which raises questions about what is supposedly being ‘measured’. However, robust defences of both definitions of empathy and the validity of psychometric measurement of dimensions of empathy have been made.42 Further, plausible explanations for the phenomenon of empathy decline have been offered.43 Although claims are made that empathy decline has been stemmed through explicit curriculum design, measured levels of empathy remain greater in female than in male medical students.44
공감 능력이 저하되면, 특히 의대생들이 임상 기반의 학습을 진행함에 따라, 그리고 특히 남성들 사이에서 억압된 영향은 증상적인 형태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남성 시위'의 감염에 저항하지 못하는 의사들 사이에서 약물 남용, 탈진, 우울증, 자살 사상, 자살 등의 비교적 높은 비율이 여기에 포함된다.45, 46 '남성 시위'는 의학의 모든 프로시져에 흐르는 논리를 제공하며, 궁극적으로 수술 문화에서 정점에 도달한다.
If empathy is reduced, particularly as medical students progress to clinically based learning, and particularly amongst men, repressed affect may return in symptomatic form. This includes relatively high rates of substance abuse, burnout, depression, suicide ideation and suicide amongst doctors, who are unable to resist the infection of the masculine protest.45, 46 The ‘masculine protest’ offers a logic that runs through all of medicine’s procedures and reaches its apex in the culture of surgery.
의료교육에서 가부장제의 우위에 대한 두 가지 간단한 실례가 이 부분을 마무리할 것이다. 첫 번째는 임상 기술 훈련에 사용되는 'one-sex' 마네킹의 출현에 관한 것으로, 첨단 기술인 '심맨'에 여성용 마니킨이 없다는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 두 번째는 생명윤리학자 Tod Chambers에 의해 강조되는데, 그는 [의료윤리 사례 연구]조차도 남성의 세계관에 특권을 주는 방식으로 작성되어 있으며, 특정 개인에게 무감각한insensitive 추상적 원칙에 기반을 둔 접근을 통해, '사람'이 대상화되고 분석된다고 제안한다.48
Two brief illustrative examples of the dominance of patriarchy at work in medical education will round off this section. The first concerns the rise of the ‘one-sex’ manikin used for training in clinical skills,47 demonstrated by the fact that the high-tech ‘SimMan’ does not have a female equivalent. The second is highlighted by the bioethicist Tod Chambers, who suggests that even the medical ethics case study is written in a way that privileges a male worldview, whereby the ‘person’ is objectified and analysed through an abstract principles-based approach that is insensitive to the particular individual.48
페미니즘의 부상
The rise of feminisms
[남성 시위masculine protest]에 대응하여 여성과 남성 모두를 참여시키고 가부장적 가치에 대한 도전을 명확히 하는 사회운동이 전개되었다.
-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의 선거권자들은 이전에 여성들에게 거부되었던 여성의 '선거권'을 지지하는 사람들이었다. 이 운동은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제2의 물결' 페미니즘에 관련된 사람들에 의해 소급적으로 '1차 물결' 페미니즘으로 불렸다. 이 때 쟁점은 기회의 평등, 생식 주기에 대한 통제, 사회적 문제에 대한 형평성 또는 정의에 관한 것이었다. (예를 들어, 1971년 2월까지 스위스에서 여성들은 투표할 수 없었다.)
- 제2의 물결 페미니스트는 출산을 포함한 생식 주기가 '의학화'되었고 남성 중심의 의료 직종에 의해 통제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할 것이다.
In response to the masculine protest, a social movement has developed, involving both women and men, and articulating a challenge to patriarchal values.
- The suffragettes of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ere supporters of women’s ‘suffrage’ or the right to vote, previously denied to women. This movement was retrospectively termed ‘first-wave’ feminism by those involved in the ‘second-wave’ feminism of the 1960s and 1970s, in which the issues were largely about equality of opportunity, control over the reproductive cycle, and equity or justice in social matters (although, for example, women were not able to vote in Switzerland until February 1971).
- Second-wave feminists would point to the fact that their reproductive cycles, including birth, had been ‘medicalised’ and were controlled by a male- dominated medical profession.
여성권리를 지지하는 남성도 포함됐지만, 제2의 물결에서는 남성들을 배제하는 '독재주의자separatist' 페미니즘이 생겨났다. [제3의 물결]의 페미니즘은 1980년대 동안 민족, 동성애, 문화적 정체성의 보다 광범위한 문제를 인정하기 위해 등장했고, 여성에게 기회와 형평성의 평등, 또는 정의와 권리를 촉진하기 위해 가부장제의 우위에 도전하기 위해 동정적인 남성sympathetic men들과 동맹했다.
Although the suffragists included men who supported women’s rights, ‘separatist’ feminism arose in the second wave, from which men were excluded. Third-wave feminism emerged during the 1980s to acknowledge wider issues of ethnicity, gay and cultural identities and allied with sympathetic men to challenge the dominance of patriarchy to promote equality of opportunity and equity, or justice and rights, for women.
[제3의 물결 페미니즘]은 생물학적 본질주의에서 문화의 측면이 젠더, 특히 젠더고정관념을 어떻게 생산하느냐에 관심을 옮겼다. 여기서 쟁점은 [지배적 가치, 사고방식, 가부장적 사회를 재생산하는 활동]을 debate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철학자 윌리엄 제임스는 '터프한 마음'과 '순한 마음' 사이에 긴장이 있다는 생각을 제시한다.49 터프한 마음가짐이 더 남성적이고 '순한 마음가짐'이 더 여성스러운 것으로 인식되지만, 그렇다고 모든 남성이 터프하고 모든 여성이 마음이 여린 것은 아니다.
Third-wave feminism shifted interest away from biological essentialism to focus, rather, on how aspects of culture produced gender, especially gender stereotypes. The issue here is to debate dominant values, ways of thinking and activities that reproduce patriarchal society. For example, the philosopher William James presents the idea that there is a tension between ‘tough-minded’ and ‘tender-minded’ thinking.49 Tough-minded thinking is perceived as more male and ‘tender-minded’ thinking as more female in character, but this does not mean that all men are tough-minded and all women are tender-minded.
의학문화에 이를 적용한다면 의학이 남성에게 지배되고 가치관에서도 강경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일부 남성 의사는 tender-minded하고, 일부 여성 의사는 tough-minded하다는 뜻은 아니다. 제임스는 원래 이러한 서술어를 철학의 학교에서 이성적 경험론자와 실증론자의 강인한 학파, 그리고 이성보다 감정과 직관을 높인 부드러운 낭만주의 학파를 묘사하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If we apply this to the culture of medicine, although it is true that medicine has been dominated by men and has also been tough-minded in its values, this does not mean that some male doctors will be tender-minded and some women doctors tough-minded. James used these descriptors originally for schools of philosophy to describe on the one hand the tough-minded school of rational empiricists and positivists, and on the other the tender-minded school of the romantics, who elevated feeling and intuition above reason.
후기 구조주의자 페미니즘
Post-structuralist feminism
제3의 물결 페미니즘은 문화적 담론을 통해 성 정체성이 생성되는 방법에 관심이 있다. 이건 두 갈래로 갈라져.
- 첫째, 당신이 여자나 남자 몸을 가지고 태어났다고 해서, 이것은 당신이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운명지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 둘째, 문화적 가치의 집단을 '여성적'이라고 부를 수 있다는 것은 이것이 여성이나 어머니의 전유물이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Third-wave feminism is then interested in how gender identities are produced through cultural discourse. This cuts two ways.
- Firstly, just because you are born with a female or a male body (and some people are born with indeterminate gender), this does not mean that you are destined to act in a particular way.
- Secondly, that a group of cultural values (such as sensitivity and tenderness) can be called ‘feminine’ does not mean that these are the exclusive domain of women or mothers.
2010년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는 '글로벌 사회과학 풍경'과 사회과학이 국제적 이슈에 기여하는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작성했다. 이 보고서는 '사회과학이 이렇게 영향력 있는 것은 처음'이라고 시사했다. 이상하게도 400페이지가 넘는 보고서에는 사회과학이 의학이나 의학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고 있지만, '신체'에 대한 한 문단이 있다. 이 단락은 [역사적으로 신체는 의학과 생물학 연구의 영역이었지만, 1990년대 이후 신체는 다양한 사회과학의 학문 간 만남의 지점이 되었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와 같이 사회과학이 신체를 연구 대상으로 전환함에 따라 [신체를 정교한 기계로 보는 의학적인 관점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생각이 도입되었습니다. '일부 페미니스트와 포스트모던 이론가들에게 신체body는 안정적인 경험의 현장이라기보다는 단지 담론의 효과일 뿐이다.'
In 2010,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produced a report on the ‘global social science landscape’ and the contribution of the social sciences to international issues.50 The report suggested: ‘Never before have the social sciences been so influential.’50 Strangely, in the 400-plus pages of the report, no mention is made specifically of the influence of the social sciences on medicine or medical education, but there is one paragraph on ‘the body’. This paragraph notes that the body has, historically, been the domain of study in medicine and biology, but ‘since the 1990s, the body has been an interdisciplinary meeting point for various social sciences’.50 This turn of the social sciences towards the body as an object of study has led to a critique of the medical view of the body as a sophisticated machine and has introduced the idea that: ‘For some feminist and postmodern theoreticians, the body is just the effect of discourse rather than a stable site of experience.’50
'단지just'라는 단어는 수사학적으로 사용된 것이다; 신체는 문화적 담론과 생물학 둘 다의 효과라고 제안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주요 문화적 담론은 성별이며, 1960년대 이후 성 문제는 페미니스트에 특히 관심을 가져왔다. 현대 페미니스트의 사고에는 영미주의와 대륙주의, 두 가지 광범위한 흐름이 있습니다; 후자는 종종 '프랑스' 후기 구조주의로 일컬어집니다.1 영미권의 흐름은 경제적 또는 정치적 전략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구조적 불평등의 분석에 기초하고 있다. 이 영역은 이 기사의 첫 부분에서 소개되었다. 대륙주의의 흐름은 [분석의 기반]을 [담론의 효과(문화에 기반을 둔 언어와 생각)]로 옮기고, [활동을 형성하게 된 근본적인 사고와 가치관]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구조적 사회 문제를 다루는 것은 cosmetic한 것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e word ‘just’ is used rhetorically; it would be better to suggest that the body is both an effect of cultural discourse and biology. A key cultural discourse is gender and since the 1960s gender issues have been of particular interest to feminists. There are two broad streams of contemporary feminist thinking, Anglo-American and Continental; the latter is often referred to as ‘French’ post-structuralism.1 The Anglo-American stream is grounded in the analysis of structural inequalities that can be addressed through economic or political strategies; this territory was introduced in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The Continental stream moves the ground for analysis to the effects of discourse – culturally based language and thought – and argues that addressing structural social issues can be cosmetic if fundamental ways of thinking and valuing, that come to shape activity, remain unaddressed.
후기 구조주의 페미니즘'란 무엇인가? 1, 2 구조주의는 언어학자 페르디난드 드 사우수의 생각에 근거한 20세기 전반의 가장 영향력 있는 이론적인 틀 중 하나였으며, 언어는 하나의 체계이며, 모든 언어 표현은 보편적이고 근본적인 구조 또는 생성 규칙의 집합이다. 어떤 언어로든 단어(예: '개')와 객체 자체(개)의 관계는 자의적입니다. 이 단어는 [전체 기호 분야(구조)]에서 [다른 단어(예: '고양이')]와의 차이에 의해서만 의미를 갖는다.
What is ‘post-structuralist feminism’?1, 2 Structuralism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heoretical frameworks of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based on the linguist Ferdinand de Saussure’s idea that language is a system, and that all language expressions are subject to a universal, underlying structure or set of generative rul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word in any language (such as ‘dog’) and the object itself (the dog) is arbitrary. The word bears meaning only in its difference from other words (such as ‘cat’) in an overall field of signs (the structure).
그 후, 구조주의자들은 보이지 않는 조직 분야를 반대oppositional 범주에 관한 코드로 축소했습니다. 예를 들어, 인류학자 Lévi-Strauss는 문화 전반에 걸친 복잡한 신화를 기본적인 반대 범주인 '날것과 요리된 것' 또는 자연 대 문화로 축소했다. 촘스키는 언어가 보이지 않는 기본적인 생성 규칙 집합 위에 세워져 있다고 제안했고, 피아제는 인간의 인지 발달이 불변하고 펼쳐지는 일련의 단계를 따른다고 제안했다.
Subsequently, structuralists reduced this unseen organising field to a code concerning oppositional categories. For example, the anthropologist Lévi-Strauss reduced complex mythologies across cultures to a basic oppositional category: ‘the raw and the cooked’, or nature versus culture; Chomsky suggested that language was built on a basic set of unseen generative rules, and Piaget suggested that human cognitive development followed an invariant, unfolding sequence of stages.
20세기 후반에는 [문화적 차이가 환원reduced될 수 있는 보편적 조직 구조]에 대한 생각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더 중요한 것은, 구조주의를 특징짓는 '구조' 그 자체가, 논리의 구조로서 [gendered male]로 보였다는 점이다. 또한, [반대 범주로 구조를 조직하는 것]은 언어 사용과 실제 사회 관계 모두에서 [반대되는 한 극이 다른 극을 지배하고 억압]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잠재적으로 '위반'으로 보였다. 예를 들어, '남자'는 '여자'에 반대하며 지배적이다.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idea of a universal organising structure to which cultural differences could be reduced was questioned. More importantly, the ‘structures’ themselves that characterised structuralism were seen to be gendered male, as structures of logic. Further, the organisation of structures as oppositional categories was seen to be potentially ‘violating’ in its expression in that one pole of the opposition came to dominate and oppress another, both in language use and in actual social relations; for example, ‘Man’ stands in opposition to and is dominant over ‘Woman’.
구조주의에 대한 이러한 의구심이 생기면서 포스트구조주의 철학적, 문화적 비평이 등장했다. 이 운동은 예술과 인문학에서 지배적인 비평의 형태가 되었지만 아직 의학 교육에서는 채용되지 않았다. 이 운동에 따르면, [세계는 보이지 않는 보편적인 원리에 의해 조직된 것]이 아니라 [독특한 문화적 규칙을 통해 지역적으로 표현된다]고 가정한다. 중요한 것은, [후기구조주의자]들은 이러한 [지역적 표현]과 [복수적 표현]의 차이가 그저 용인tolerated될 뿐만 아니라 기념되어야celebrated 한다고 주장한다.
In the wake of these doubts about structuralism, a post-structuralist philosophical and cultural critique emerged. This movement has become a dominant form of critique in the arts and humanities but has yet to be employed within medical education. It assumes that the world is not organised by unseen universal principles, but is expressed locally, through idiosyncratic cultural rules. Importantly, post-structuralists argue that difference between these local and plural expressions should not only be tolerated, but also celebrated.
언어가 실천을 형성shape한다는 점에서, 후기 문화주의자인 페미니스트들은 [언어가 가부장제의 지배적인 문화적 담론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 및 [왜 성별 간의 차이가 기념되지 않고, 오히려, 하나의 통제 충동, 즉 남성의 그것을 지지하기 위해 확대되는지]에 특히 관심이 있다. 그들은 여성의 생식 사이클을 남성이 전유하는 것으로부터 해방되는 것과 같은 전통적인 1960년대 후기의 전통적 페미니스트에는 초점을 덜 두며, 그보다는 [사회적 실천을 형성하는 가치에 대한 기준으로 남자의 목소리에 의해서 텍스트가 어떻게 전유되는지appropriated에 ]더 관심이 있다.
Where language shapes practices, post-structuralist feminists a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way that language is used to support the dominant cultural discourse of patriarchy and why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s are not celebrated, but, rather, are widened in support of one controlling impulse: that of the male. They are less interested in the foci of traditional post-1960s feminists, such as the liberation from male appropriation of women’s reproductive cycles, and more concerned with how text is appropriated by the male voice as a basis for the values that shape social practices.
후기구조주의자인 페미니즘은 'French'라고 불리는데, 이는 세 명의 프랑스 국가 사상가, 특히 Julia Kristeva, 51 Ellene Cixous 52-54, Luce Irigaray의 영향이다.55 하지만, 미국의 Judith Butler와 같은 다른 작가들 역시 이러한 새로운 성향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Butler의 관점에서, 젠더는 운명이 아니라,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 '수행되는performed' 것이고, 이는 젠더를 단순히 생물학적 표현을 넘어, 문화적 구성cultural construction으로 이동시킨다.1
Post-structuralist feminism is often referred to as ‘French’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ree French national thinkers in particular: Julia Kristeva,51 Hélène Cixous52-54 and Luce Irigaray.55 However, other writers such as the American Judith Butler have also been influential in shaping this new wave of feminism.1 Butler’s view is that gender is not destiny, but is ‘performed’ to construct identity, and this moves gender beyond biological expression to cultural constructions.1
후기구조주의자인 페미니즘은 세 가지 개념으로 특징지어진다.
- 잠재적으로 억압적인 이분법적 사고의 논리에 도전하는 것,
- 즉 '차이'를 존중하고 용인하는 것,
- '타협적' 사고
이러한 각 우려 사항은 여기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Post-structuralist feminism is characterised by three notions:
- challenging the potentially oppressive logic of binary thinking;
- respecting and tolerating ‘difference’, and
- ‘liquid’ thinking.
Each of these concerns will be summarised here.
이분법적 사고에 도전하기
Challenging binary thinking
[젠더 연구]는 복잡한 성별 문제를 본질주의로 축소하거나, 순수 생물학적 차이 측면에서 성별을 언급하는 이분법적 사고(예: 남성 대 여성)를 활용하는 경향에 의해 손상된다. 후기구조주의자인 페미니즘은 그러한 수사학에 도전하는데,
- 첫째는 반대적 사고에 대한 비평이고
- 둘째는 생물학적 차이 이전에 [언어 사용]에 초점을 맞춘다.
[반대적 사고oppositional thinking]는 재료를 단순한 서술 범주로 축소함으로써 복잡성을 통제하기 위한 기본적인 수사학적 전략으로 볼 수 있다.
Gender studies are compromised by a tendency to utilise binary thinking (such as male versus female), which reduces complex gender issues to essentialism or refers to gender in terms of purely biological differences. Post-structuralist feminism challenges such rhetoric,
- firstly in a critique of oppositional thinking and
- secondly in a focus upon language use prior to biological difference.
Oppositional thinking can be seen as a basic rhetorical strategy with which to control complexity by reducing material to simplistic descriptive categories.
[반대적 사고]와 그에 따른 실천에 의하면, 한 용어는 긍정적이 되고, 다른 용어는 남성/여성, 인간/동물, 성인/자녀, 백인/흑인과 같은 비대칭적인 반대에서 지배하게 된다. 예속된 용어는 지배되거나 지배될 뿐만 아니라 쉽게 경시되고 정형화되고 악마화된다. Cixous는 '담론이 어디서 구성되든' 그것은 '항상 같은 은유'이며, 위계로 이어지는 반대주의이거나 이중성duality의 것이라고 지적한다. 예를 들어, 서양의 생각은 항상 반대를 통해 작동해왔는데, 예를 들어 활동/수동성, '여성은 항상 수동성과 연관된다'와 같은 것이다. 의학은 불확실성으로 가득 차 있음에도, 의학의 특징은 subject matter를 반대 범주로 축소함으로써 이를 통제하려는 것이다. 그 예로서, 정상 대 병리학적, 건강 대 질병, 치료 대 관리와 같은 것이 있다.
In oppositionalist thinking and its subsequent practices, one term becomes the positive and comes to dominate the other in an asymmetrical opposition, such as man/woman, human/animal, adult/child, white/black. The subjugated term is not only governed, or ruled, but is easily belittled, stereotyped and demonised. Cixous points out that ‘wherever discourse is organised’ it is ‘always the same metaphor’, that of oppositionalism or duality leading to hierarchy, where Western ‘thought has always worked through opposition’, such as Activity/Passivity, and ‘woman is always associated with passivity’.56 Although medicine is riddled with uncertainty, it characteristically controls this by reducing its subject matter to oppositional categories, such as normal versus pathological, health versus illness, and cure versus care.
Kristeva51은 반대적 사고는 편견을 향해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 일반적으로 반대는 주체/객체의 형태를 취합니다. 내가 반대하는 것은 잠재적으로 비인간적이고 비개인적인 것이다. 좌천된 '타인'은 용인할 수 없는 '천한abject' 존재로 빠르게 악마화될 수 있다. 그 천한 존재abject는 배제될 뿐만 아니라, 희생양과 같이 병리적이고 적극적으로 차별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의사들은 [덜 아픈 환자]를 [더 많이 아픈 환자]보다 더 호의적으로 대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8
Kristeva51 suggests that oppositional thinking readily deteriorates to prejudice. Typically, opposition takes the form of subject/object. Whatever I oppose is potentially de-humanised and de-personalised. The relegated ‘other’ can quickly become demonised as the ‘abject’ that is considered intolerable. The abject is not only excluded, but pathologised and actively discriminated against, such as by scapegoating. Research has shown that doctors tend to treat their less ill patients more favourably than more ill subjects.28
다름을 축하하기
Celebrating difference
의료의 민주화를 위해서는 위계에 대한 반대countered가 필요하다. 특히 '수평적' 형태의 팀워크가 환자 건강 결과에 도움이 된다는 증거에 비추어본다면 그러하다. 전문직 종사자들이 자신을 반체제적이고oppsed 위계적으로 위치시킨다면, 진정한 전문직 상호주의로 전환될 가능성은 좌절된다. Cixous와 같은 작가들은 [반대주의적 사고]의 습관에 저항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우리와 그들' 사고방식을 생산해낸) 제국주의와 식민주의 대신, 사람 사이의 여러 가지 차이점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축하하는 것이다. Cixous와 Clément는 '영원한 자연 그대로의 남성적 구조의 안정'과 '자연적으로' 지배적인 것에 대한 도전을 제시합니다. – 다른 사람들을 주인공protagonist의 자아로 몰아넣는 '자아의 제국'입니다.
Hierarchies need to be countered if we are to democratise medicine, especially in light of evidence that ‘horizontal’ forms of team-working benefit patient health outcomes.57 The possibility of a transition to authentic interprofessionalism is frustrated by professions positioning themselves as opposed and hierarchical. Writers such as Cixous suggest that we must challenge the habit of oppositionalist thinking that has historically informed – and attempted to naturalise – imperialism and colonialism (producing an ‘us and them’ mentality) and instead focus upon, and celebrate, multiple differences among persons. Cixous54 and Clément58 offer a challenge to the ‘stability of the masculine structure that passed itself off as eternal-natural’ and ‘naturally’ dominant – the ‘Empire of the Selfsame’ that forces others into the mould of the protagonist’s self.
'유동적' 사고와 은유 사용
‘Liquid’ thinking and the use of metaphor
Irigaray59와 Cixous52는 페미니즘이 자신의 언어를 주장해야 하며, 가부장적 언어의 매체를 통해 일하도록 이끌어서는 안 된다고 제안합니다. Irigaray59는 지배적인 가부장적 언어에 의해 소외된 ways of thinking and knowing을 포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fluid and liquid 언어를 묘사합니다. 의학은 다른 복잡한 praxis처럼 은유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의학에서의 사고thinking in medicine는 두 가지 방식으로 작용한다. 하나는 문자 그대로 사회-현실적 서술이며, 다른 하나는 비유적 또는 은유적인 표현적 서술이다.
Irigaray59 and Cixous52 suggest that feminism must claim its own language and not be drawn to work through the medium of a patriarchal language. Irigaray59 describes a fluid or liquid language that is highly metaphorical that might be used to capture ways of thinking and knowing that are marginalised by the dominant patriarchal language. Medicine, like any complex praxis, is intimately bound with metaphor. Thinking in medicine works in two ways: literally, as social-realist narrative, and figuratively or metaphorically, as expressive narrative.
문자 그대로의 모습을 형상화함으로써 은유법은 환자의 경험에 더 가까워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빈센트 램은 할아버지의 종양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그의 왼쪽 옆구리가 마치 풍선이 피부 밑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처럼 부풀어 올랐다. 나는 손가락 끝으로 종양을 부드럽게 눌렀다. 차가운 플라스틱처럼 단단하고 단단했다.' '풍선이 부풀어 오르는 것처럼' '차가운 플라스틱처럼'과 같은 이 텍스트 전반에 걸친 은유와 유추는 패턴 인식을 통해 전문가의 임상 판단에 어떤 것이 채택되는지employed를 반영한다. 램(남성의사)은 할아버지의 '피묻은 오줌'을 '거친 모래와 같은 응고물'을 가진 것으로 묘사한다. 이러한 근접한 인식close noticing과 문자 그대로의 접촉은 Irigaray의 특징적으로 남성적이며 환자를 수동적인 역할에 배치하는 객관적이고 추상적인 진단 시선에 대응하기 위한 전술에 대한 반응을 분명하게 보여줍니다.
By turning the literal into an image, metaphors can help us to get closer to the experience of the patient. For example, Vincent Lam describes his grandfather’s developing tumour: ‘His left flank bulged as if a balloon was being inflated under the skin… I pressed the tumour gently with the tips of my fingers. It was firm, hard like cold plasticine.’60 The metaphors and analogies throughout this text –‘like cold plasticine’, ‘as if a balloon was being inflated’– reflect those employed in expert clinical judgement through pattern recognition. Lam (a male doctor) further describes his grandfather’s ‘bloody pee’ as having ‘clots like coarse sand’.60 This close noticing and literal contact clearly illustrate a response to Irigaray’s call for tactility59 to counter the objectifying and abstracting diagnostic gaze that is characteristically male and serves to place the patient in a passive role.
수잔 손탁은 은유가 가부장제를 대신하여 전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61 결핵의 전조에 따라, 암과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에 대한 현대적 서술은 문자 그대로의 질병의 설명을 넘어 비난적인 은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은유들은 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 수치심과 죄책감을 가져오고 적절한 치료를 구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지지와 이해보다는 수치심과 희생양으로 가득찬 문화로 울려 퍼진다. 게다가, 의학은 일반적으로 '암과 싸우는 것'과 같은 일을 묘사하기 위해 [남성적인 군사적 은유]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환자들이 질병을 다루는데 도움을 주지 못할 수도 있다. 이미 지친 환자는 자신이 싸울 수 없다고 느낄 수도 있다.
Susan Sontag notes that metaphors can be employed strategically on behalf of a patriarchy.61 Following the precursor of tuberculosis, contemporary descriptions of cancer and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 can move beyond accounts of literal illness to offer accusatory metaphors.61 These metaphors bring about shame and guilt in those suffering from illness and may prevent them from seeking appropriate treatment. This resonates with cultures of shaming and scapegoating rather than of supporting and understanding. In addition, medicine may fail to help patients to deal with illness in contexts in which it typically employs masculine martial metaphors to describe its work, such as ‘fighting cancer’. The already exhausted patient may feel she is not up to the fight.
아마도 [여성화된 서술적 감수성]은 (형식적인 기계학보다는) 환자를 전체적으로 파악하고, 유동적이고 역동적인 감성을 통해 환자의 복잡성을 파악할 가능성이 더 높을 것이다. Cixous52가 'écriture feminine'이라고 표현한 유동적 사고는 세상을 은유적으로 묘사하고 있는데, 이것은 [위장된 통제 형태]도 아니고 [호혜주의에 대한 요구]도 아닌, 무조건적인 보살핌에 대한 우아한 비유이다.
Perhaps a feminised narrative sensibility is more likely to read the patient holistically and to grasp the complexity of the patient through a fluid, dynamic sensibility rather than a formal mechanics. The liquid thinking that is described by Cixous52 as ‘écriture feminine’ metaphorically inscribes the world with ‘mother’s milk’, an elegant metaphor for nourishing, unconditional care that is neither a disguised form of control nor a demand for reciprocity.
젠더 텍스트로서의 커리큘럼
The curriculum as a gender text
[후기구조주의적 페미니즘]의 기본 전제를 소개한 후, 이 기사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이러한 관점이 가부장제와 남성적 항의를 통해 현재 습관적으로 형성되고 있는 [의학교육을 재고하는 데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포스트 커리큘럼 페미니즘의 프레임워크를 통해 의학 커리큘럼을 어떻게 재성별할 수 있는가? 몇 가지 실례가 검토된다.
Having introduced the basic premises of post-structuralist feminism, the remainder of this article will discuss how this perspective can help us to rethink medical education that is currently habitually formed through the discourse of patriarchy and the masculine protest. How might the medicine curriculum be re-gendered through the framework of post-structuralist feminism? Several illustrative examples are considered.
커리큘럼 설계
Curriculum design
교육과정을 '성교과서gender text'로 설명하는 것은 의대에서 이례적일 것이다. 그러나 현재 커리큘럼은 남성 대 여성의 구도에서 '여성'을 열등하게 배치하는 전형적인 가부장적 장치를 통해 설계, 구현 및 평가된다. 이 기사의 첫 번째 섹션에 요약된 인구 통계에 따르면 의대생 여학생이 촉진자로서 남학생보다 뛰어나지만, 의학 교육에서 여성이 적절히 대표되지 않는다고 한다. 왜 이 미끄러짐slippage이 발생하는가? 아마도 현재의 커리큘럼 디자인은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가부장적 형태를 재현했기 때문이다.
It would be unusual in medical education to describe the curriculum as a ‘gender text’,62 yet curricula are designed, implemented and evaluated through typical patriarchal devices that gender-stereotype to place ‘woman’ as the inferior in a male versus female opposition. The demographics summarised in the first section of this article note that women are not represented adequately in medical education, although female medical students outperform male students as facilitators. Why does this slippage occur? Perhaps current curriculum design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reproduces patriarchal forms.
예를 들어, 앞서 언급했듯이, [고급 임상 기술 마네킨]은 남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생물의학자는 사회과학처럼 'Soft' 또는 tender-minded 과목으로 인식되는 것에 대해 적대적인 것으로 악명 높다.63 (역량으로 표현되)는 행동 결과 기반 학습과 같은 커리큘럼 계획에서, 현재의 정통성orthodoxy은 [합리적, 기술적, 도구적, 목표 지향적이고 냉정]하다고 볼 수 있다,64 따라서 남성적 항의masculine protest와 권위주의적 성격의 전형적인 특징을 닮았습니다. 그러한 접근법은 과정, 직관, 그리고 합법적인 학습으로서의 영향을 부정합니다.
For example, as I have noted, advanced clinical skills manikins are gendered male. Biomedical scientists are notoriously hostile towards what they perceive as ‘soft’ or tender-minded subjects such as the social sciences.63 The current orthodoxy in curriculum planning, such as behavioural outcomes-based learning – expressed as competencies – can be seen as rational, technical, instrumental, hierarchical, goal-oriented and cold,64 thus resembling the classic profile of the masculine protest and the authoritarian personality. Such approaches deny process, intuition and affect as legitimate learning.
커리큘럼은 살아있는 경험입니다; 그것은 단순한 강의요목이나 내용목록을 넘어서고, 정체성을 형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의대 교육에서 정체성 관련 목표는 [의대생의 정체성]에서 [수련의사의 정체성]으로의 전환을 말한다. 그러나 만약 이 정체성 구축이 [불확실성과 모호성을 인정하는 것에 대한 방어적 태도]와 [냉소를 초래할 수 있는 감정의 무뎌짐]와 같은 남성적 항의의 고전적인 징후를 수반한다면 어떻게 될까? 이 두 가지 모두 의대생들 사이에서 '공감 감소' 현상이 잘 문서화되어 있다는 증거로, 남성 젠더적 현상male-gendered phenomenon로 읽힐 수 있다. 개인주의적인 '영웅적인' 의학의 시대는 끝났다고 말한 Ludmerer는 옳은가?
The curriculum is a lived experience; it extends beyond a mere syllabus or list of content, and serves to construct identities. In a medical education, the identity-associated goal refers to a transition from the identity of medical student to that of trainee doctor. But what if this identity construction carries with it the classic signs of the masculine protest such as defence against admitting uncertainty and ambiguity, and the hardening of feelings that can lead to cynicism? Both are signs of the well-documented phenomenon of ‘empathy decline’ amongst medical students, which can be read as a largely male-gendered phenomenon. Is Ludmerer24 correct to suggest that the days of individualistic ‘heroic’ medicine are over?
성인교육
Andragogy
의학 교육에서 Andragogy 또는 성인 학습 이론의 광범위한 무비판적 수용은 언어와 사상에 근거한 제도화된 성 편견을 위장한다.65 'andragogy(그리스어: andr-)'의 어원은 '남성' 또는 '남자'를 의미한다. 의학 교육이 'gynagogy'이라면 어떻게 보일까? [자율성]을 특권화하는 이론들도 마찬가지로 협력적인 접근법을 희생시키면서, 의학의 전통적으로 영웅적이고 남성적인 입장을 반영한다.
The widespread uncritical acceptance of andragogy, or adult learning theory, in medical education, disguises an institutionalised gender bias grounded in language and thought.65 The root of ‘andragogy’ (Greek: andr-) means ‘man’ or ‘male’. How might a medical education look if it were a ‘gynagogy’? Learning theories that privilege autonomy also serve to mirror medicine’s traditionally heroic, masculine stance, at the expense of more collaborative approaches.
전문성, 성찰 및 자기 지식
Professionalism, reflection and self-knowledge
의학 교육에서 전문성과 개인적 성찰의 강조가 보다 tender-minded practice을 향한 움직임을 반영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전문직업성은 남성적 항의masculine protest의 영향 아래 놓여 있다. 여기에는 '커리큘럼 설계'로 불리는 [명시된 학습 성과를 통한 평가의 엄격한 접근 방식]을 포함한다.
Although the emphasis upon professionalism and personal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may seem to reflect a move towards a more tender-minded practice, professionalism is subject to the influence of the masculine protest, including the supposedly rigorous approach of assessment through stated learning outcomes, referred to under Curriculum design.
교육과정에서 [전문직업성]은 학생들이 [제도화된 형태의 성찰적 실천을 통해 자신을 알게 되는 기술]로 광고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는 학습자를 [개인주의적 모델] 또는 [자율적 성찰 모델]로 유도하여 Andragogy의 교리를 확인시킴과 동시에 협력에서는 더 멀어질 수 있습니다.66 Christeva는 실제로 우리는 언제나 '자신에게 낯선 사람'이기 때문에, '나를 아는 것self-knowing'이란 것은 (마스터리의 한 측면인) 잠재적 환상이라고 비판합니다.67
Professionalism in the curriculum is often advertised as a technique by which students come to know themselves through institutionalised forms of reflective practice. However, this may drive learners into individualistic or autonomy-based models of reflection that confirm the tenets of andragogy and move away from collaboration.66 Kristeva critiques such ‘self-knowing’ as potential illusory, an aspect of ‘mastery’, when in reality we are always ‘strangers to ourselves’.67
[자신의 실천, 자기 이미지, 커리어 목표에 대해 더 불확실한 여성 동료들]과 비교했을 때, 남성 의사들은 [강한 자기 이미지]에 부합하고, [협소한 커리어 야망]에 부합하는 그들의 직업에 대해 [확고한 자신감]을 보인다.28 이 차이는 정신분석학적으로 읽힐 수 있는데, 여기서 [지나친 자신감]은 [불확실성의 인식에 대한 방어기제defence]가 되기 때문이다. Kristeva는 자기자신을 알게 되는 것은 역설적으로 '(자기 자신을) 모르는 것'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즉, 자아 이미지의 기본적인 불안정성을 인식하는 것이다. 하지만, 다시 말하지만, 이것은 '마스터리'가 아니다('마스터리'역시 또 다른 배제적, 남성적 용어이다).
In comparison with their female colleagues, who are more uncertain about practice, self-image and career goals, male doctors show assertive confidence in their practice congruent with strong self-image and aligned with focused career ambitions.28 This difference can be read psychoanalytically, where over-confidence can offer defence against recognition of uncertainty. Kristeva suggests that it is through ‘unknowing’, or the recognition of basic instability of self-image, that we paradoxically come to know ourselves.67 But, again, this is not ‘mastery’ (another exclusive, masculine term).
또한 [전문직업적 실천]은 주로 [상황 또는 맥락적으로 민감한 윤리]보다는 [원칙 집합을 고수하는 접근법]에 기초한 윤리적 행동에 의해 정의되어 왔다(사례 참조).68 [원칙에 기초한 접근법]은 [명확성과 획일성이라는 보다 남성적인 목적]을 위해 노력하는 반면, [상황적 접근법]은 [모호성에 대한 보다 여성적인 관용]을 허용한다.
Further, professional practice has largely been defined by ethical behaviour based on an approach that adheres to the upholding of a set of principles, rather than on a situated or contextually sensitive ethics (see Cases).68 Principles-based approaches strive for the more masculine purposes of clarity and uniformity, whereas situated approaches allow for a more feminine tolerance of ambiguity.
사례
Cases
만약 의학이 '어머니 젖'으로 글을 쓰는 것이 어떤 것인지 은유적으로 묻는 Cixous(52)에 의해 모델링된 것과 같은 여성적이고 여성적인 글쓰기의 관점에 의해 인도된다면, 그러한 윤리의 '사례'는 어떻게 보일까, 아니면 어떻게 기록될까? 이것은 환자 '사례'와 같은 글을 부성애보다는 모성애로 적는 것으로 읽힐 수 있다. 씨소스가 52번이나 '어머니 젖'을 비유로 사용한 것은 남성에게도 글쓰기에 대한 참여를 열어주고, 우리 삶의 글쓰기를 자양분이면서 표현력 있는 모유처럼 (성격이나 정체성 형성의 의미로) 얼룩지는 '표현'하게 해준다.
What would such ethics ‘cases’ look like, or how would they be written up, if medicine were guided by the outlook of écriture feminine, feminine practices of writing, such as those modelled by Cixous,52 who asks, metaphorically, what it is like to write with ‘mother’s milk’? This can be read as (re)inscribing writing, such as a patient ‘case’, with maternalism rather than paternalism. Cixous’s52 use of ‘mother’s milk’ as a metaphor opens participation to men also to treat writing – and the writing out of our lives as identity performances – as nourishing and expressive, ‘expressed’ as breast milk that stains (in the sense of character or identity formation) as it sustains.
Cixous는 남성적인 문체의 지배적인 관례에 대한 저항으로 여성적인 단일한 '목소리'가 어떻게 글로 옮겨질 수 있는지를 더 자세히 설명합니다. 그녀는 어떻게 글쓰기가 지적인 글쓰기의 양식적 요구에 의해 평탄해지지 않을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그래서 우리는 글쓰기를 숨막히게 하거나 문장과 침묵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69
Cixous further describes how a singular, feminine ‘voice’ might be brought into writing by resistance to the conventions of a dominant masculine style. She shows how writing might not be flattened by the stylistic demands of intellectual writing (the scientific report, the ‘case’ presentation) so that we might ‘make the text gasp or form it out of suspenses and silences’.69
돌봄
Care
Martha Nussbaum의 관점에서, 보건의료(예: 자원 분배)에는 ['돌봄'의 질에 대한 여성적 우려]보다 ['정의' 문제에 대한 중요한 남성적 우려]가 더 특권적 위치에 있다.70 우리는 이것이 2008년 영국 의학 저널에 발표된 남성 의사인 McKinstry와 여성 의사인 Dacre 사이에 펼쳐진 토론에서 볼 수 있다., 12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McKinstry는 의학의 여성화 지지자들이 [환자와의 의사소통(관리 품질) 향상에 중점을 두는 것]은, 의료인들이 환자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더 많은 의뢰를 제공하는 것을 수반하기 때문에, [자원에 대한 압박과 같은 정의 문제]와 상충된다고 제안합니다. 물론 두 가지 성향 모두 중요하지만, 반대되는 남성적 항의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누스바움은 정의의 윤리가 보살핌의 윤리보다 지속적으로 특권을 누리고 있으며, 이는 불평등을 초래하는 성 편견으로 읽힐 수 있다고 주장한다.70
For Martha Nussbaum, there is an overarching male privileging of issues of ‘justice’ in health care (such as in the distribution of resources) over a female concern with issues of quality of ‘care’.70 We see this played out in the debate published in the British Medical Journal between McKinstry, a male doctor, and Dacre, a female doctor, in 2008.7, 12 As noted earlier, McKinstry suggests that the focus placed by supporters of the feminisation of medicine on improved communication with patients (quality of care) is at odds with justice issues such as pressure on resources because it involves practitioners in spending more time with patients and offering more referrals. Of course, both orientations are important, but it is typical of the masculine protest to place them in opposition. However, Nussbaum argues that an ethic of justice is persistently privileged over an ethic of care, and this can be read as a gender bias leading to inequalities.70
가계
Household
얼마 전까지만 해도 1년차 주치의(주니어 레지던트로 인턴이 진급)를 부르는 용어로서, 병동 팀이라는 맥락에서의 '회사'라는 기술어의 의미, 'house officer'과 'houseman'의 의미를 따지려 했던 의사는 거의 없었을 것이다. 영국에서는 이제 'firm'라는 개념이 사라지고 'foundation doctor'라는 용어가 'house officer'을 대체하게 되었다. 남근적 용어인 'firm'은 이제 무기력flaccid해졌으며, 오히려 유연해지고 유동적이 되었다. 그리고 점차 주니어 의사들은 더 유목적이고 되었고, 덜 'attached'되었다.
Not so long ago, few doctors would have bothered to question the meaning of the descriptors ‘firm’ in the context of the ward team, or ‘house officer’ and ‘houseman’ with reference to the first-year junior doctor (intern progressing to junior resident). In the UK, the notion of the ‘firm’ has now disappeared and the term ‘foundation doctor’ has replaced ‘house officer’. The phallic ‘firm’ is now flaccid or, rather, flexible and ‘liquid’ as junior doctors learn to become more nomadic and less ‘attached’.
이제 대다수의 주니어 의사가 여성인 상황에서, 전형적으로 여성의 영역이었던 household를 어떻게 꾸릴 것인가? 예를 들어, 그들은 사업 가치('firm'은 일반적으로 상업적 벤처나 법률적 설립을 묘사한다)보다 Domestic한 '돌봄' 가치를 더 중요하게 여기며, 돌봄은 비지니스로, 환자는 고객으로 프레임해온 현재의 경영주의 담론에 반대하여 일할 것인가?71 병원을 무조건적 '환대hospitality'를 제공하는 장소라는 근본적 의미로 되돌릴 것인가? 'Firm'은, 우리가 알고 있듯이, 견고하고, 단단하며, 흔들리지 않는 특성을 의미하며, 이는 [상대를 뚫고 들어가는penetrating 의학적 시선]과 쉽게 연결된다. 여성 의사들이 (수적) 우위에 있을 때 그러한 전형적인 남성적, 혹은 남근phallogocentric 중심적인 가치들이 다른 가치들의 집합으로 대체될까?
How will the new female majority of junior doctors establish the household, which is, stereotypically, the woman’s domain? Will they, for example, see domestic ‘care’ values as more important than business values (the ‘firm’ typically describes a commercial venture or a legal set-up) and work against a current discourse of managerialism that frames care as a business and patients as customers?71 Will they return the hospital to its root meaning of a place that offers unconditional ‘hospitality’? ‘Firm’, as we know, also means solid, stiff, unyielding and steadfast, characteristics that are readily linked with the penetrating medical gaze. Will such archetypally masculine, or phallogocentric, values be replaced by a different set of values when women doctors are in the ascendant?
센터
Centres
의학 교육 연구는 협업보다는 자원 경쟁을 계속 강조하고 있다. 보다 민주적인 '네트워크'보다는 연구를 위한 '중심'이 여전히 가장 인기 있는 서술자인데, 이는 협업 모델이 보다 여성적인 어조로 보일 수 있는 구조를 내포하고 있다.
Medical education research continues to emphasise competition for resources rather than collaboration. A ‘centre’ for research is still the most popular descriptor, rather than the more democratic ‘network’, which implies a structure in which collaborative models can be seen to be more feminine in tone.
결론: 의학의 민주주의를 향하여
Conclusions: towards democracy in medicine
의료 교육에 대한 [후기구조주의적 페미니즘]의 기여는 의학에서의 [민주적 습관의 촉진]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의학 교육은 (아마도 논쟁의 여지는 있으나) 역사적으로 [습관적으로 남성적 시위에 근거해온, 역사적이고 끈질긴 독재적 의료 문화]에 민주주의를 도입해온 것으로 기술될 수 있다. 이러한 [민주화 프로세스]가 설득력을 확보하여 동료와의 협업과 환자 중심의 협업을 통해 환자 안전과 환자 관리를 개선할 수 있는 수단이 되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The contribution of post-structuralist feminism towards medical education can be summarised as the facilitation of democratic habits in medicine. Medical education can be described, perhaps controversially, as the means whereby democracy can be brought to a historically and persistently autocratic medical culture habitually grounded in the masculine protest. It is essential that such a democratising process gains traction so that collaborative teamwork with colleagues and patient-centred collaborations become the means through which patient safety and then patient care can be improved.
이 프로젝트는, 분명히,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스트 사상을 의학 교육에 고용하는 것보다 더 광범위하다. 그러나 이러한 사고방식은 [인구통계학적 경향에 국한된 여성화]를 넘어서, [민주화 프로젝트] 측면에서 의학교육을 재고할 수 있는 급진적인 플랫폼을 제공한다. 미래의 의학교육은 가부장적 프레임워크의 규약에 의해 가장 잘 알려지는 것이 아니라, 현대 성별 연구와 중요한 페미니즘 분야에 익숙한 의학교육에 의해 가장 잘 알려질 수 있다.
This project, admittedly, is wider than the employment of post-structuralist feminist thought to medical education. However, such a mode of thought offers a radical platform for rethinking medical education in terms of a democratising project that extends beyond a version of feminising that is limited to demographic trends. A future medical education may not be best informed by the conventions of a patriarchal framework, but by a medical education familiar with the fields of contemporary gender studies and critical feminisms.
Med Educ. 2013 Jan;47(1):59-70.
doi: 10.1111/j.1365-2923.2012.04351.x.
Gender matters in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 1University of Plymouth, UK. alan.bleakley@pms.ac.uk
- PMID: 23278826
- DOI: 10.1111/j.1365-2923.2012.04351.xAbstract
- Context: Women are in the majority in terms of entry to medical schools worldwide and will soon represent the majority of working doctors. This has been termed the 'feminising' of medicine. In medical education, such gender issues tend to be restricted to discussions of demographic changes and structural inequalities based on a biological reading of gender. However, in contemporary social sciences, gender theory has moved beyond both biology and demography to include cultural issues of gendered ways of thinking. Can contemporary feminist thought drawn from the social sciences help medical educators to widen their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feminising of medicine?Conclusions: Women doctors entering the medical workforce can resist and reformulate the current dominant patriarchy rather than reproducing it, supported by male feminists. Such a feminising of medicine can extend to medical education, but will require an appropriate theoretical framework to make sense of the new territory. The feminising of medical education informed by post-structuralist frameworks may provide a platform for the democratisation of medical culture and practices, further informing authentic patient-centred practices of care.
- Discussion: Post-structuralist feminist critique, drawn from the social sciences, focuses on cultural practices, such as language use, that support a dominant patriarchy. Such a critique is not exclusive to women, but may be described as supporting a tender-minded approach to practice that is shared by both women and men. The demographic feminising of medicine may have limited effect in terms of changing both medical culture and medical education practices without causing radical change to entrenched cultural habits that are best described as patriarchal. Medical education currently suffers from male biases, such as those imposed by 'andragogy', or adult learning theory, and these can be positively challenged through post-structuralist feminist critique.
- © Blackwell Publishing Ltd 2013.
'Articles (Medical Education) >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교육에서 이론과 신화: 무엇을 가치있게 여기며, 누구에게 복무하는가? (Med Educ, 2019) (0) | 2021.08.29 |
---|---|
교육과 (의료)서비스: 어떻게 이론이 긴장을 이해하게 하는가 (Med Educ, 2019) (0) | 2021.08.25 |
우리의 세계관을 형성하는 것: 이론에 관한, 이론의 대화(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1) (0) | 2021.03.19 |
1과 0: 인공지능의 시대에 의학교육과 이론(Med Educ, 2020) (0) | 2021.03.18 |
전환 학습: 이론에서 실천까지(New directions for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1997) (0) | 2020.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