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량의 기준을 높이기: 의사의 자기평가가 임포스터 신드롬에 대하여 드려내어주는 것(Acad Med, 2018)
“Rising to the Level of Your Incompetence”: What Physicians’ Self-Assessment of Their Performance Reveals About the Imposter Syndrome in Medicine
Kori A. LaDonna, PhD, Shiphra Ginsburg, MD, PhD, and Christopher Watling, MD, PhD
고품질의 환자 관리는 의사의 높은 기준과 세부 사항에 대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1 에러가 발생하면 의사는 죄책감, 불안 및 자기 의심으로 인해 괴로워할 수 있으며, 이는 많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없거나 공유해서는 안 된다고 인식하는 투쟁struggle이다.3-5 반복적으로 느끼는 불충분한 느낌은 번아웃에 기여할 수 있다.6,7 "의식적으로 무능력한" 의사를 (또는 그들의 결함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사람들을) 돕는 데 많은 관심이 집중되어 있지만, 우리는 겉으로는 유능하다고 생각되는 의사들의 underperformance가 그들의 학습, 실습 및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무의식적으로 유능한" 의사들도 고통을 겪을 수 있지만, 그들의 요구는 [disclosure를 좌절시키는 문화]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다.3–5 (실제 또는 상상된) 성능 저하에 대한 더 깊은 이해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모든 의사를 지원하기 위한 전략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High-quality patient care relies on physicians’ high standards and attention to detail.1 When errors occur, physicians may be plagued by guilt, anxiety, and self-doubt1,2—struggles that many perceive they either cannot, or should not, share with others.3–5 Recurrent feelings of inadequacy can contribute to burnout.6,7 While much attention is heaped on helping “unconsciously incompetent”8 physicians— or those who lack awareness about their deficits—we have limited understanding about the impact of underperformance on apparently competent physicians’ learning, practice, and wellness. These “unconsciously competent”8 physicians may also suffer, yet their needs may not be visible in a culture assumed to discourage disclosure.3–5 A deeper understanding about underperformance, both real and imagined, may identify strategies to support all physicians who struggle.
피드백은 성능 저하, 실패 또는 자가 의심 탐색에 중요한 "강력한 현실 점검reality check" 9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치가 있기 위해서는 피드백이 개인의 [자기 평가]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10 의사들의 성과에 대한 통찰력은 유동적이고 맥락적이지만, 자기 평가는 부정확한 것으로 악명 높다. 8,11–15 "임포스터 증후군"은 사람들을 괴롭히는 부정확한 자기 평가의 한 형태이다. 이는 "학위, 학력, 표준화된 시험에서 높은 성취도, 동료들과 권위자로부터의 전문적인 인정을 받고 있음에도 내부의 성공감을 경험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Feedback can be a “powerful reality check”9 critical for navigating underperformance, failure, or self-doubt. But to be valuable, feedback must reconcile with an individual’s self-assessment.10 Physicians’ insight into their performance is fluid and contextual,8 however, rendering self-assessment notoriously inaccurate.8,11–15 The “imposter syndrome” is one form of inaccurate self-assessment that afflicts those who, “despite their earned degrees, scholastic honors, high achievement on standardized tests, praise and professional recognition from colleagues and respected authorities … do not experience an internal sense of success.”16
임포스터 증후군은 완벽주의와 연관되어 있으며, 지나친 불안과 자기진작에 의해 유발되며, 고부담 평가 문화에 널리 퍼져 있다. 19 이전 연구에서 조사된 참가자 중 가정의학과 거주자의 약 30%, 내과 거주자의 약 44%(n = 48)가 자신을 임포스터로 느낀다고 보고되었다. 임포스터 증후군은 심리적인 고통의 강한 예측 변수이다; 그것은 의사들이 임상 실습에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느끼게 할 수 있고, 20 그리고 그것은 그들의 커리어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23 우리는 임포스터 증후군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들을 가르치고 지원하는 학문적인 의사들의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모른다.
The imposter syndrome is linked with perfectionism,17 is triggered by excessive anxiety and self-doubt,18 and is prevalent in the high- stakes, evaluative culture of medicine.19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show that of participants surveyed, approximately 30% of family medicine residents (n = 175)20 and 44% of internal medicine residents (n = 48)21 feel like imposters. The imposter syndrome is a strong predictor of psychological distress22; it can make physicians feel unprepared for clinical practice,20 and it can negatively affect their career advancement.23 We do not know what, if any, impact the imposter syndrome has on academic physicians’ ability to both teach and support struggling learners.
의료전문직medical profession은 의사들이 실수를 잘 처리할 수 있는 준비를 충분히 시키지 않고, 그들의 불안을 공유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지원하지도 않는다.3–5 제한된 지원으로 오류와 자기 의심과 씨름하는 의사는 두려움에 의해 움직일 수 없게 될 수 있다.25 성공한 사람들은 아마도 이러한 어려움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방법을 찾고, 심지어 전문 역량의 개발에서 중요한 단계로서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을 되돌아볼 수도 있다.26 지원전략을 확인하고자, 우리는 그들이 훈련과 후속 경력 동안 실수, 실패 또는 저성과에 대한 인식을 성공적으로 관리maneuvered했음을 인지한 교수 내과의사의 경험을 탐구했다.
The medical profession neither sufficiently prepares physicians to grapple with mistakes24 nor adequately supports them to share their insecurities.3–5 With limited support, physicians wrestling with errors and self-doubt may become immobilized by fear.25 Successful individuals presumably find ways to manage these struggles effectively, and they may even reflect back on navigating these difficulties as critical steps in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 competence.26 To identify support strategies, we explored the experiences of faculty physicians who perceived that they had successfully maneuvered mistakes, failures, or perceptions of underperformance during their training and subsequent careers.
방법
Method
우리는 기초적인 사회 프로세스가 시간에 걸쳐 어떻게 전개되는지 탐구하는 정성적 연구 방법론인 건설주의적 기반 이론(CGT)을 사용하여 반복적인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프로세스를 알렸다. 건설주의자로서, 우리는 경험에 의해 색칠된colored by 렌즈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해석한다는 것을 염두에 둔다. 세 명의 조사관은 모두 박사 교육을 받은 의료 교육 연구원이다.
We used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CGT)—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at explores how a basic social process unfolds over time27—to inform the iterativ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rocess. As constructivists, we are mindful that we collect and interpret data through lenses colored by our experiences. All three investigators are PhD-trained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모집 Recruitment
민감한 주제를 탐구했기 때문에, 우리는 특정 의사를 의도적으로 모집하지도 않았고 그들의 직업 단계나 규율을 바탕으로 27명의 개인을 이론적으로 표본으로 추출하지도 않았다.
Because we explored sensitive topics, we neither purposefully recruited specific physicians nor theoretically sampled27 individuals on the basis of either their career stage or discipline.
자료 수집과 분석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약 60분 동안 진행되는 반구조적 인터뷰 동안, 참가자들에게 그들의 실패와 성과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그들이 어떻게 성과나 학습의 어려움을 인지하고 탐색하는지 토론하고, 그들의 경험이 학습자와의 상호 작용을 어떻게 형성했는지 설명하도록 요청하였다
Dur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lasting approximately 60 minutes, we asked participants to share both their failures and their perceptions about their performance, to discuss how they recognized and navigated performance or learning struggles, and to explain how their experiences shaped their interactions with learners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http://links.lww.com/ACADMED/A507).
모든 인터뷰는 K.L.에 의해 진행되었고, 녹음되었고, 녹음되었다. 3단계 코딩 프로세스 동안 우리는 테마를 식별하기 위해 일정한 비교 분석을 사용했다.
- 먼저, K.L.과 C.W.는 초기 코드를 식별하기 위해 처음 두 개의 녹취록을 독립적으로 읽습니다.
- 다음은 K.L.과 C.W.는 초기 코드를 예비 테마로 통합하여 다음 2개에서 3개의 스크립트에 적용했습니다.
- 주제와 범주의 최종 목록은 합의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각 대본을 재녹음하는 데 사용되었다.
- 분석의 각 단계에서 우리는 S.G.와 상의하여 초기 분석을 해석하고 분석 통찰력을 탐색하기 위해 인터뷰 가이드를 개선했다. 예를 들어, 임포스터 증후군은 데이터 수집 초기에 몇몇 참여자들에 의해 도입되었다.
-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성과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설명했는지에 대해 반향을 불러일으키는 것 같았기 때문에, 우리는 인터뷰 가이드를 조정하여 그것을 조사했습니다.
- 이론적으로 임포스터 증후군에 대한 샘플링 질문은 CGT 방법론의 반복적이고 새로운 성격과 일치한다.27
All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K.L.,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During a three- staged coding process, we used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to identify themes. First, K.L. and C.W. independently read the first two transcripts to identify initial codes. Next, K.L. and C.W. consolidated initial codes into preliminary themes that were applied to the next two to three transcripts. A final list of themes and categories was developed by consensus and used to recode each transcript. At each stage of the analysis, we consulted with S.G. to interpret the initial analysis and to refine the interview guide to probe analytical insights. For instance, the imposter syndrome was introduced by a few participants early in data collection. Because it seemed to resonate with how others described their perceptions about their performance, we adjusted our interview guide to probe around it. Theoretically sampling questions about the imposter syndrome aligns with the iterative and emergent nature of CGT methodology.27
우리는 2015년 7월부터 10월까지 참가자들을 인터뷰했습니다. 우리는 참가자들의 이야기가 저성과 실패에 대한 교수진의 경험을 탐구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했을 때 모집을 중단했다. 이것은 우리가 새로운 참가자들로부터 추가적인 이해를 얻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은 우리의 데이터가 우리의 탐구적 연구 질문을 충분히 만족시켰다는 것을 의미한다. 작문writing은 CGT 분석 과정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우리는 dissemination을 위한 연구 결과를 준비하면서 분석을 계속 개선했습니다. 30 서부 대학 연구 윤리 위원회는 모든 연구 절차를 승인했습니다. We interviewed participants from July to October 2015. We ceased recruitment when we determined that participants’ stories seemed sufficient for exploring faculty physicians’ experiences with underperformance and failure.28 This does not mean that we would not have gained additional understanding from new participants; rather, it means that our data sufficiently satisfied our exploratory research question.29 Because writing is integral to the CGT analytical process, we continued to refine our analysis as we prepared findings for dissemination.30 The Western University Research Ethics Board approved all study procedures.
결과
Results
일부 참가자의 저성과 실패에 대한 경험에는 좋지 않은 학업 또는 환자 결과의 가시적인 예가 포함되었지만, 참가자들은 자주 반복되는 자기 의심감self-doubt, 즉 자신의 수행능력이 부족하다거나 또는 실패했다는 인식을 더 많이 기술했다. 모든 참가자가 임포스터로 식별되는 것은 아닙니다. 대신, 우리는 임포스터 증후군이 자기 의심의 스펙트럼의 극단적인 끝에서 발생했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성공, 긍정적인 피드백, 칭찬은 훈련, 임상적 상황, 학문적 노력, 그리고 지도적 위치에서 그들의 불충분한 감정을 완충시키지 못했다. 대신, 고급 경력 단계를 포함한 일부 참가자는 자신의 지식이나 성취의 타당성에 대해 자주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While some participants’ experiences with underperformance and failure included tangible examples of poor academic or patient outcomes, participants more commonly described recurrent feelings of self-doubt—or perceptions that they were underperforming or failing. Not all participants identified as imposters. Instead, we perceived that the imposter syndrome occurred at the extreme end of a spectrum of self-doubt. Regardless, for many, success, positive feedback, and accolades did not buffer their feelings of inadequacy in training, in clinical situations, in academic endeavors, and in leadership positions. Instead, some participants—including those at advanced career stages—frequently questioned either their knowledge or the validity of their achievements.
자기 의심의 스펙트럼
A spectrum of self-doubt
참가자들은 의사를 역력과 자신감을 요구하는 직업으로 묘사했지만, 자신감은 깨지기 쉽고 때로는 덧없었다. 어떤 사람들에게, 자기 의심의 순간은 아주 드물게만 보고되었다.
Participants described medicine as a profession that demanded competence and confidence; confidence was, however, fragile and sometimes fleeting. For some, moments of self-doubt were reported as rare.
[이 스펙트럼의 다른 한쪽 끝]에는 자기 의심이 유난히 지속적이고 두드러져 보이는 참가자가 있었다.
At the other end of the spectrum were participants for whom self-doubt seemed unusually persistent and prominent:
대부분의 참가자는 중간 어딘가에서 자책감에 시달리며 넘어졌습니다.
Most participants fell somewhere in the middle, experiencing fluctuating moments of self-doubt:
일부는 성별이 자기 의심증후군이나 임포스터 증후군에 대한 감정과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했다.
Some perceived that gender influenced feelings of, and responses to, self-doubt or the imposter syndrome:
여성으로서, 우리는 자신감과 무능을 중심으로 매우 다르게 어울린다. 동료 여성 레지던트들 사이에서는, 남성 레지던트들이 실제로 기술을 갖기 전에 너무 자신만만해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합니다(P26).
As women, we socialize very differently around confidence and incompetence. I think among fellow women residents, I see that they often aren’t as confident until they’re quite skilled, where male residents often are too confident before they actually have the skills. (P26)
참가자들은 여성들이 자기 자신에 대해 더 의심하는 경향이 있는지, 아니면 단순히 그들을 더 기꺼이 공유할 것인지 확신하지 못했다.
Participants were unsure if women were more prone to feelings of self-doubt, or if they were simply more willing to share them:
제 경험에 비추어 볼 때 남자들은 적어도 저와 함께 그것에 대해 말을 많이 하지 않고, 여성들은 불안이나 자신에 대한 의심의 공유로부터 이익을 얻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저는 그 경험에서 오는 공유된 경험에 대한 확신을 생각합니다. (P28)
In my experience the men don’t speak about it as much, at least with me, and the females do seem to benefit from the sharing of the insecurities or the self- doubts, and I think the reassurance of the shared experience that comes from that. (P28)
반복되는 자기 의심의 순간들
Recurring moments of self-doubt
자신감을 드러내야 하지만, (스스로는) 느껴지지 않는 상황에서 자기 의심은 더 심해졌다. 전환transition이나 새로운 직업상의 도전은 일반적인 촉발 요인이었다. 그리고 잦은 이직은 의학 경력의 공통적인 특징이기 때문에, 참가자들은 자기 의심이 지속적이기보다는 반복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자기 의심의 구성 요소는 새로운 경력 단계에 따라 진화했지만, 좋은 인상을 주고 싶다(그리고 망쳐버리고 싶지 않다)는 느낌은 모든 수준의 교육에서 남아있었다.
Self-doubt was exacerbated in situations where confidence must be shown, but is not felt; transitions or new professional challenges were common triggers. And because frequent transitions are a common feature of a medical career, participants described self-doubt as recurring rather than continuous. Consequently, while the constituents of self-doubt evolved with each new career stage, the feeling of wanting to impress— and to not “screw things up” (P5, P13)—lingered at all levels of training.
참가자들은 의학을 [고성취자들에 의해 채워진 엘리트 직업]으로 특징지었습니다; 연구참여자들에게 [의과대학에 입학한 것]은 종종 역경이나 자신에 대한 의심을 갖게 된 첫 경험이었습니다:
Participants characterized medicine as an elite profession populated by high achievers; entering medical school was often participants’ first experience with adversity or self-doubt:
일부 참가자들에게 의대를 시작하는 것은 그들의 정체성과 소속감을 뒤흔들어 놓았다. 다른 이들은 자신들이 평균적일 뿐이며, 엘리트의 스펙트럼이 있다면 그것의 말단이라는 걱정을 하면서도, 스스로 의학medicine에 속한다고 자신했다. 그리고 자신감이 흔들릴 때, 때때로 자신에 대한 의심이 사라지지 않습니다.
For some participants, starting medical school rattled their identity and sense of belonging. Others were confident that they belonged in medicine, albeit with a pervasive worry that they were on the average end of an elite spectrum of performers. And when confidence wavered, feelings of self-doubt sometimes took hold:
레지던시 교육 동안, 참가자들은 그들이 끊임없이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나친 자신감과 불안감 사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애쓰는 참가자들에게, [피드백의 부족]은 자기 의심에 무게를 더해줄 수 있다. 참가자들은 일반적으로 성과가 없거나 실패한 학습자는 광범위한 피드백을 받게 된다는 것을 인식했습니다.
During their residency training, participants described that they were constantly braced for critique. For participants struggling to strike a balance between overconfidence and insecurity, a paucity of feedback could tip the scales toward self-doubt. Participants perceived that extensive feedback was typically reserved for learners who were underperforming or failing:
[도움이 되는 피드백의 부족]은 모든 직업 단계에서 문제였습니다.
- 어떤 사람들에게는 피드백이 없다는 것은 그들이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 다른 이들에게는 피드백 부족으로 인해 자신의 능력에 대한 의구심이 생겨 신뢰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Lack of helpful feedback was a problem at all career stages. For some, the absence of feedback was taken to mean that they were performing well. For others, lack of feedback created doubts about their competence that affected their confidence:
일단 practice에 들어갔을 때, 참가자들은 Academic medicine에서의 커리어란 [자기의 자신감을 흔드는, 끝이 없어 보이는 일련의 경험]으로 보았다. 예를 들어, 좋지 않은 임상 결과, 환자 불만, 열악한 교육 평가, 연구과제 탈락 및 원고 리젝트는 불안정insecurity의 연료였다.
Once they entered practice, participants viewed a career in academic medicine as a seemingly endless series of experiences that shook their confidence. For instance, bad clinical outcomes, patient complaints, poor teaching evaluations, and rejected grants and manuscripts were fodder for insecurity:
이 사업을 하려면 낯이 아주 두꺼워야 합니다. 당신의 논문이 거부되고, 보조금이 거부되고, 누군가가 당신의 일을 비판합니다. 제 생각에 그것은 임상 의사로서의 실패와 다른 면에서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You have to have a very thick skin to be in this business, as your papers get rejected, your grants get rejected, somebody critiques your work … so that’s just as hard, I think, in different ways than the failures you have as a clinician. (P28)
때때로, 성공조차도 단점이 있었다; 진보적인 독립과 직업의 진보는 "당신의 무능의 수준까지 올라가는 것"으로 가변적으로 경험되었다. (P1, P3) 반대되는 증거에도 불구하고, 많은 참가자들은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매번 새로운 역할을 맡을 때마다 나는 임포스터라고 느껴졌다." (P22).
Sometimes, even success had a downside; progressive independence and career advancement were variably experienced as “rising to the level of your incompetence” (P1, P3). Despite evidence to the contrary, many participants described that: “Every time I took on a new role I felt as an imposter” (P22).
일단 practice를 하게 되면, 참가자들은 비임상 역할에서의 성과에 대한 건설적인 피드백을 거의 받지 못했습니다. 피드백이 제공되었을 때, 그것은 양날의 검으로 인식되었다. 사기꾼 같은 느낌을 지지하는 참가자들에게는, 그들의 성과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조차도 그들의 자신에 대한 의심을 없애주지 못했습니다].
Once in practice, participants rarely received constructive feedback about their performance in their nonclinical roles. When feedback was provided, it was perceived as a double-edged sword. For participants who endorsed feeling like imposters, even positive feedback about their performance did not erase their self-doubt:
자기의심 다루기
Managing self-doubt
자기 의심은 감정적으로 괴로울 수 있다. 한 참가자는 또한 다음과 같은 새로운 전문적 과제에 착수하는 것을 교수진들로 하여금 꺼리게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Self-doubt could be emotionally distressing. One participant also indicated that it could make faculty reluctant to embark on new professional challenges:
참가자들은 자신의 불안을 관리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전략을 알아냈습니다. 레지던시 동안 일부는 다음과 같이 자신에 대한 의구심을 달랬습니다.
Participants identified a number of strategies for managing their insecurities. During residency, some assuaged their self-doubt by:
철저한 것, 조심하는 것, 환자와 핵심 이슈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 제가 최선을 하지 못했을 수도 있지만,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아는 한, 저는 그것으로 충분했습니다. (P6)
Being thorough, being careful, being attentive to the patient, the issues. I may not have done the best possible job, but as far as I knew I was doing the best job that I could do, and that was enough for me. (P6)
그러나 의료의 문화적 측면은 [불안감을 지속하게 만들고, 심지어 불안감을 훈련시키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관리는 어려웠다. 예를 들어, 쇼맨십은 광범위한 문화적 가치로 묘사되었다. [자신 있는 것처럼 수행하는 것]은 [실제 의료 지식이나 시술 기술을 보유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되었습니다.
Managing was, however, challenging because aspects of medical culture seemed to perpetuate, even to train, feelings of insecurity. For instance, showmanship was described as a widespread cultural value. Performing confidently was perceived to be as, if not more, important than possessing actual medical knowledge or procedural skill:
[의학은 공연 예술performance art]이라는 개념도 널리 인정받았습니다; 흰 코트(가운)는 자신감 있는 의사의 역할을 하는 데 필요한 의상으로 인식되었습니다.
The notion of medicine as performance art was also widely endorsed; the white coat was perceived as the requisite costume for playing the part of the confident physician:
그러나, 몇몇 참가자들에게 흰 코트는 사기fraudulence를 친 것 같은 감정을 불러일으켰다.
For several participants, however, the white coat evoked feelings of fraudulence:
나는 이 책을 읽었던 것을 기억한다… '자신감의 망토'라고 불리며 사람들이 어떻게 그 흰 코트를 입고 다른 사람이 될 것인가… 나는 그 코트를 입는 것이 싫었다. 나는 정말 사기꾼처럼 느껴졌다. (P7)
I remember reading this book … called the Cloak of Confidence and how people would wear the white coat and become someone else.… I hated wearing that coat … I felt like such an imposter. (P7)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참가자들에게는, 자신감에 찬 임상의 역할을 하는 것이 자신에 대한 의심에 대한 광범위한 감정을 숨기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해졌다. 하지만, 참가자들은 너무 지나친 쇼맨십은 위험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했습니다. 즉, 의학문화는 자신감을 중시하지만, 교만을 혐오한다. 그러므로 자기 의심증후군 또는 임포스터 증후군은 위험 회피 직업의 유용한 특징인 [부적절하게 과도한 자기확신에 대한 보호 메커니즘]으로 인식되었다. 다시 말해, 이러한 감정들이 "약간은 자신을 겸손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 (P10)이 될 수 있다.
Regardless, for some participants, acting the part of the confident clinician became critical for hiding pervasive feelings of self-doubt. However, participants understood that too much showmanship could be dangerous. That is, while medical culture values confidence, it abhors arrogance. Self-doubt or the imposter syndrome was, therefore, perceived to be a protective mechanism against inappropriate overconfidence—a useful feature of a risk-averse profession. In other words, these feelings could be “what you need to keep a little bit humble” (P10).
대처 전략을 확인했음에도 불구하고, 몇몇 참가자들에게는 불충분한 감정이 지속되었다; 의학은 이러한 투쟁struggle을 공유할 기회가 거의 없는 문화로 인식되었다. 참가자들은 자기 의심과 임포스터 증후군은 금기시되는 주제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감정에 대해 확신하거나 도움을 구하는 것은 "인식된 약함의 인정" (P20)과 같았습니다. 선배 동료가 이러한 감정에 대해 공개적으로 말하는 것이 "매우 도움이 되고 아마도 타당할 것"(P28)이라는 것을 알게 된 컨설턴트 참가자조차도 종종 동료나 학습자와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지 않았습니다.
Despite identifying coping strategies, feelings of inadequacy persisted for several participants; medicine was perceived to be a culture with few opportunities to share these struggles. Participants described that self-doubt and the imposter syndrome were taboo subjects; confiding or seeking help for these feelings equated to “an admission of perceived weakness” (P20). Even consultant participants who had found it “very helpful, and probably validating” (P28) for a senior colleague to speak openly about these feelings often did not share their experiences with their colleagues or with their learners:
고찰
Discussion
교육자들은 경험과 경력의 진보에 따라 성과에 대한 불안감이 줄어들기를 바라지만, 연구 결과는 [자기의심]이 모든 경력의 단계에서 임상의사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며, [임포스터 증후군을 경험하는 의사들]은 해로운 효과와 함께 지속적이고 경력상 무의식적인 능력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31
while educators would hope to see insecurities about performance lessen with experience and career progression,21 our findings show that self-doubt variably affects clinicians at all career stages and that physicians experiencing the imposter syndrome may be affected by lingering, career- long unconscious competence with detrimental effects.31
참가자들의 커리어 궤적에 걸친 경험은 [학습자들이 갖는 자기 의심의 방아쇠]는 [경험이 많고 진료를 하는 의사]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듯 보인다. 즉, 우리는 전공의 시기의 참가자들이 갖는 [자기 의심 감정]은 [자신의 의학 기술과 지식이 스스로 생각했던 것만큼 좋지 않다]는 만연한 우려를 중심으로 발생한다고 추측한다. 컨설턴트로서 참여자들의 불안은 그들이 다른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만큼 좋지 않다는 두려움을 시사했다.
Participants’ experiences across their career trajectories seem to suggest that the triggers for self-doubt may be different for learners than for experienced, practicing physicians. That is, we speculate that during residency, participants’ feelings of self-doubt revolved around a pervasive concern that their medical skills and knowledge were not as good as they thought they were. As consultants, participants’ insecurities suggested a fear that they were not as good as others thought they were.
우리의 발견은 문헌에 몇 가지 기여를 한다.
- 첫째, 우리는 [뛰어난 퍼포머]들도 비록 실패하거나 실적이 저조한 사람들보다 지원 방법이 적지만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 둘째, 우리는 자기 의심의 재발을 촉발할 수 있는 요인을 식별했고, 우리는 의료 관행으로 어디서나 전환을 탐색하는 과제에 새로운 차원을 추가했다.
- 마지막으로, 우리는 의학 문화가 [잘 하고 있는 사람은 스스로 잘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는 잘못된 가정]과 ["도움이 필요한 것은 젊은 의사의 자아상과 맞지 않는다."]는 잘못된 가정 때문에 불충분한 감정을 영속시킬 것을 제안한다.
Our findings make several contributions to the literature.
- First, we found that even outstanding performers struggle, albeit with fewer avenues for support than those who fail or underperform.
- Second, we identified factors that can trigger a resurgence of self-doubt, and we add a new dimension to the challenge of navigating the transitions ubiquitous to medical practice.
- Finally, we propose that medical culture perpetuates feelings of inadequacy because of an incorrect assumption that those who are doing well know that they are doing well, and because “needing help does not fit with the self-image of young doctors.”11
(실수나 실패의 실제 사례가 아니라) 참가자들이 [성과에 대한 불안감을 공유하는 경향]은 이미 잘 알려진 [오류를 공개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의 반영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경험은 [전환, 도전, 그리고 책임의 증가]가 자기 의심을 촉발하는 주된 용의자라고 경고한다. 우리는 학문적 의학 경력의 연속성을 따라 변천이 일정하며, 학습자와 교수진 의사 모두 새로운 학습 및 작업 환경, 임상 팀 및 전문 역할의 요구에 적응하면서 underperform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Participants’ tendencies to share their insecurities about their performance— rather than actual instances of their mistakes or failures—may reflect a well- described reluctance to disclose errors.3–5 Regardless, their experiences caution that transitions, challenges, and increased responsibilities are notable culprits for triggering self-doubt.16,21 We need to be mindful that transitions are constant along the continuum of an academic medical career,32,33 and that both learners and faculty physicians may underperform as they adjust to the demands of new learning and work environments, clinical teams, and professional roles.34
그러나, 우리의 연구 결과는 의사들이 [새로운 역할에서 실제 역량을 달성한 후에도] 기존의 인식된 역량perceived competence이 회복되지 않을 수 있다는 증거를 추가한다. 우리는 자기 의심을 자극하거나 악화하는 것은 [늘상 존재하는 전문적 도전]과 [거의 지속적인 변화transition]이 유발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위험이라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또한 그러한 빈번한 전환이 필요한지 신중히 검토해야 하며, 멘토링이나 코칭으로 어느 정도 일관성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영향을 어떻게 완화시킬 수 있는지 고려해야 한다.
However, our findings add evidence that physicians’ perceived competence may not rebound once they have achieved actual competence in their new roles. We need to understand whether the promotion or exacerbation of self-doubt is an unanticipated risk of ever-present professional challenges and of near- constant transitions. We should also carefully examine whether such frequent transitions are necessary,35,36 or consider how we might mitigate their impact by providing a degree of consistency through mentorship or coaching.
그 동안, 우리는 원활한 전환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러한 감정들을 예상하고 주목해야 한다. 또한 임상의학 교육자는 학습자가 스킬 질문에 동시에 대답하고 응답에 대한 자신감을 스스로 평가하는 신뢰 기반 평가가 성능 불안정을 완화하는데 유용한 접근법이 될 수 있는지 여부를 고려할 수 있다.
In the meantime, we should anticipate and attend to these feelings as part of trying to smooth transitions. Clinician educators might also consider whether confidence- based assessments37—in which learners simultaneously answer skill questions and self-assess their confidence in their response—might be a useful approach for mitigating performance insecurities.
관찰자가 있는 경우, 전공의는 [환자 치료에 대한 평상시의 접근방식]을 [교과서 또는 체크리스트 접근방식] 38,39로 대체하였다.
we learned that in the presence of an observer, residents replaced their usual approach to patient care with one that exemplified a textbook or checklist approach38,39;
퍼포먼스를 'staging'하는 것은 마치 사기를 치는 것처럼 느껴졌고, 그래서 학습자는 inauthentic performance라고 인식한 것에 기반한 피드백의 신뢰성을 의심하게 되었다.
Staging a performance feels fraudulent and can make learners question the credibility of feedback26 based on what they perceived to be an inauthentic performance.38
Performance에 대한 불안정감은 피드백의 신뢰성과 교육적 영향에도 영향을 미쳤다. 즉, 임포스터 증후군을 경험하는 의사에게는 [어떤 형태의 피드백]도 잘 되어봐야 무시되거나, 최악의 경우엔 심지어 해로울 수 있다.
- 자신감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타인의 비평은 상당한 정서적 고통을 유발하여, 스스로 불충분하다는 내적 감각을 강화시킬 수 있다.
- 긍정적인 피드백도 신뢰성이 부족하다. 사기꾼들은 그들이 느끼는 것보다 더 유능하다고 묘사하는 긍정적인 피드백을 무시한다.
Insecurities about performance may also affect the credibility and educational impact of feedback; that is, for physicians experiencing the imposter syndrome, feedback in any form may be ignored at best, and detrimental at worst.
- For individuals lacking in confidence, external critiques may create significant emotional distress, reinforcing an internal sense that they are not good enough.
- Even positive feedback lacks credibility; imposters discount positive feedback that portrays them as more competent than they feel.
반복적인 자기 의심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참가자들은 심지어 탁월하게 기능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 같았다. 그러나, 의학에서 임포스터 증후군을 탐구하는 이전 연구에 기초하여, 우리는 이러한 감정을 극복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개인의 건강, 학습, 그리고 직업에 상당한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의심한다. 자기 의심에 허덕이는 의사를 식별하고 지원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왜냐하면 다른 사람들에게는 일반적으로 의사들도 상당히 뛰어난 성과를 내고 있다고 인식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리의 데이터가 보여주듯, 그들은 자신을 드러내는 것을 꺼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감정을 멘토와 동료들과 공유하는 것]이 여기에 대처하는 중요한 방식일 수 있다.41
Despite recurrent self-doubt, our participants seemed to develop ways to function, even to excel. However,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exploring the imposter syndrome in medicine,19–22,31 we suspect that those who have difficulty overcoming these feelings may incur significant costs to their personal wellness, to their learning, and to their careers.23 Identifying and supporting physicians struggling with self-doubt is challenging because, to others, they are generally perceived as performing quite well. And, as our data support, they may be reluctant to reveal themselves.23 Ye t sharing these feelings with mentors and colleagues may be an important aspect of coping.41
따라서 의료교육자의 과제는 이러한 불안이 흔하고 재발하고, 의료문화의 특징이 자아에 대한 의심을 키울 수 있다는 인식과 이해를 발전시키는 것이며, 의료인들이 자신의 감정을 안전하게 인식하고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The challenge for medical educators, therefore, is to develop an awareness and understanding that these insecurities are common and recurrent, that features of the medical culture may foster self-doubt, and that it is critical to develop opportunities for practitioners to safely acknowledge and share their feelings.
한계
Limitations
결론 Conclusions
의료 훈련(진정한 의료 경력)은 불안을 조장하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을 인식하고 지원하려는 노력을 제한할 수 있다. 우리는 반복되는 자기 의심이 왜 일부 교육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들을 상담하는데 어려움을 겪는지에 대한 하나의 설명이 될 수 있다고 추측한다.
Medical training—indeed medical careers—may both foster insecurities and limit efforts to recognize and support those struggling with them. We speculate that recurrent self-doubt may be one explanation for why some educators have difficulty counseling struggling learners.
Acad Med. 2018 May;93(5):763-768.
doi: 10.1097/ACM.0000000000002046.
"Rising to the Level of Your Incompetence": What Physicians' Self-Assessment of Their Performance Reveals About the Imposter Syndrome in Medicine
Kori A LaDonna 1, Shiphra Ginsburg, Christopher Watling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
1K.A. LaDonna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s of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and Medicine, University of Ottawa, Ottawa, Ontario, Canada. S. Ginsburg is professor, Internal Medicine (Respirology), and scientist, Wilson Centr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C. Watling is professor, Departments of Clinical Neurological Sciences and Oncology, associate dea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scientist, Centre for Education Research and Innovation,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
PMID: 29116983
Abstract
Purpose: Mistakes are ubiquitous in medicine; when confronted by error, physicians may experience anxiety, guilt, and self-doubt. Feedback may be useful for navigating these feelings, but only if it matches a physician's self-assessment; self-doubt and the imposter syndrome are examples of inaccurate self-assessments that may affect receptivity to feedback. The impact of real or imagined underperformance on seemingly competent physicians is poorly understood.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deeper understanding to identify strategies to support all physicians who struggle.
Method: In 2015, 28 physician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experiences with underperformance. Early in the data collection process, participants spontaneously identified the imposter syndrome as a feature of their experiences; questions about the imposter syndrome were probed in subsequent interviews.
Results: Many participants-even those at advanced career stages-questioned the validity of their achievements; progressive independence and career advancement were variably experienced as "rising to the level of your incompetence." Not all participants identified as imposters; the imposter syndrome occurred at the extreme end of a spectrum of self-doubt. Even positive feedback could not buffer participants' insecurities, which participants rarely shared with their colleagues.
Conclusions: Self-doubt variably affects clinicians at all career stages. Frequent transitions may cause a resurgence of self-doubt that may affect feedback credibility. Medical educators must recognize that it is not just the underperforming or failing learners who struggle and require support, and medical culture must create space for physicians to share their struggles.
'Articles (Medical Education) > 교수개발(Faculty Develo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건전문직교육에서 학술활동(scholarship)의 재정의(AMEE Guide No. 142) (Med Teach, 2021) (0) | 2021.04.21 |
---|---|
미래의 CPD: 질개선과 역량기반교육의 파트너십(Med Educ, 2017) (0) | 2021.03.13 |
교육자 및 연구자로서 교사를 개발하고 보상하기: 눈부신 진보와 위압적 과제(Med Educ, 2017) (0) | 2021.03.10 |
의학교육으로 도약하기: 의학교육자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Med Educ, 2017) (0) | 2021.03.10 |
2025년 의학교육자의 직무 역할(J Grad Med Educ, 2018) (0) | 2021.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