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군분투를 넘어: 학부에서 임상실습으로 전환 시기에 대한 범위검토(Med Educ, 2019)
Beyond the struggles: a scoping review on the transition to undergraduate clinical training
Anique Atherley,1 Diana Dolmans,1 Wendy Hu,2 Iman Hegazi,2 Sonita Alexander3 & Pim W Teunissen1,4
도입
INTRODUCTION
의료전문가들은 의료교육의 연속성을 가로지르면서 학부부터 대학원 연수까지의 [맥락과 책임의 변화]에 반복적으로 노출된다. 이 연속체는 신인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함에 따라 장기화되고 역동적인 전환기로 막을 내린다.1-4 ['임상 전' 강의실 환경에 주로 있는 것에서 '임상' 환자 중심 환경에 주로 있는 것으로 변화하는 것]은 의료 연수생들이 일단 의료 훈련을 시작하고 의사로서의 궤도에 오르면 마주치게 될 많은 전환기 중 첫 번째 전환기다.
Medical professionals are repeatedly exposed to changes in contexts and responsibilities from undergraduate to postgraduate training as they traverse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This continuum is punctuated with prolonged, dynamic transition periods as a newcomer adjusts to a new environment.1–4 Changing from primarily being in a ‘pre-clinical’ classroom environment to mainly being in a ‘clinical’ patient-focused environment is the first of many transition periods that medical trainees will encounter once they have begun medical training and are on a trajectory to being a doctor.
(기존의 연구들은) 학생들의 대비력을 높이고 임상 전 훈련과 임상 훈련 사이의 지식과 기술 격차를 줄이는 데 큰 초점이 맞춰져 있다.5–8 이전의 체계적인 검토 결과, 임상 전 교육에서 임상 교육으로 전환하는 동안 인지된 준비성과 관련된 많은 측면들이 커리큘럼에서 다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9 그러나 이러한 개입에도 불구하고, 8,12,13 학생들은 여전히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느끼고 있으며, 마치 그들이 임상 환경에 들어갈 때 '깊은 곳에 던져진다'는 것처럼 느낀다.
There is a large focus on increasing students’ preparedness and reducing the gap in knowledge and skills between pre-clinical and clinical training.5–8 A previous systematic review found that many aspects related to perceived preparedness during the transition from pre-clinical to clinical training can be addressed in curricula.9 However, despite these interventions, students still feel stressed and anxious,8,12,13 and as if they are ‘thrown into the deep end’14 when entering the clinical environment.
야들리의 리뷰는 어떤 전환의 영향을 평가할 때 학생 인식 이상을 보아야 함을 제안한다.3 그리고 나아가 [학생들의 인식을 넘어선 결과가 부족했다는 점이 'transition의 개념에 대한 현존하는 문헌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3 이 제안은 트랜의 현재 프레임을 보여주고refer 여기에 초점을 두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에, 문헌에 나타난 현상과 이것이 무엇을 구성하는지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Yardley’s review proposes moving beyond student perceptions when evaluating the impact of any transition,3 and further suggests that the lack of outcomes beyond students’3 perceptions could ‘have influenced the existent literature on the concept of transitions ...’.3 This suggestion is likely to refer to the current framing, and thus focus, of transitions in the literature and it remains unclear what this constitutes.
대학원 레지던트로의 전환에 대한 최근의 논평에서 오브라이언은 아마도 의학 교육의 전환이 틀에 박힌 방식에서 뭔가 빠져 있다고 제안하고, 이 전환을 '문제'로 보기보다는 [변형transformative 과정]으로 프레임화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을 제안한다.15 의과대학 내의 임상 훈련으로의 전환도 또한 [의학교육에서 현재 인식되고 개념화된 방법의 재구성]으로부터 이득을 볼 수 있을 것이다.
In a recent commentary on the transition to postgraduate residency, O’Brien suggests that perhaps something is missing from the way transitions in medical education are framed and proposes a shift to framing this transition as a transformative process as opposed to a problem.15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within medical school might also benefit from a similar reframing of how it is currently perceived and conceptualised in medical education.
방법
METHODS
우리는 Levac 등이 설명한 5가지 단계에 따라 범위 조정을 실시했다.
(i) 연구 질문의 식별
(ii) 관련 연구를 식별한다.
(iii) 스터디 선택
(iv) 데이터 차트 작성 및
(v) 결과의 수집, 요약 및 보고.16
We conducted a scoping review following five stages as described by Levac et al.:
(i) identifying the research questions;
(ii) identifying the relevant studies;
(iii) study selection;
(iv) charting the data, and
(v) collating, summarising and reporting results.16
피터스 외는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Peters et al. describe that
'... 이전의 체계적인 검토를 넘어, 범위 검토scoping review는 문헌의 격차를 파악하고, 핵심 개념을 명확히 하고, 실천요강을 다루고, 이를 알리는 증거의 유형에 대해 보고하기 위해 넓은 영역을 탐구하는 데 독립적으로 사용된다.'17
‘... beyond preceding systematic reviews, scoping reviews are independently used to explore broad areas to identify gaps in the literature, clarify key concepts and report on the types of evidence that address and inform practice’.17
이와 같이, 범위 지정 검토는 연구 영역 내에서 핵심 개념을 매핑하는 데 가치가 있다.18 따라서, 학부 임상 훈련으로의 전환에 관한 문헌에서 취해진 현재의 개념적 관점을 파악하기 위해 범위 검토를 실시했다.
As such, scoping reviews are valuable for mapping the key concepts within a research area.18 Therefore, we conducted a scoping review in order to identify current conceptual perspectives taken in the literature regarding the transition to undergraduate clinical training
연구 질문 식별
Identifying the research question
이 범위 검토는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에 초점을 맞췄다. 연구자들은 의과대학 내에서 임상 전 훈련에서 임상 훈련으로 이행하는 과정에 어떻게 접근해왔으며, 이러한 접근방식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This scoping review focused 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How have researchers approached the transition within medical school from pre-clinical to clinical training and what are the gaps in these approaches?
관련 연구 식별
Identifying relevant studies
스터디 선택
연구자 AA와 SA는 기사 제목과 개요를 독립적으로 심사하여 포함 기준(상자 2)에 대한 전체 텍스트 검토의 적격성을 결정했다.
Researchers AA and SA independently screened article titles and abstracts to determine eligibility for full-text review against the inclusion criteria (Box 2).
그림 1은 이 검색 및 선택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보여준다.
Figure 1 shows a flowchart indicating this search and selection process.
데이터 차트 작성
Charting the data
제1저자(AA)는 작성자, 간행물 연도, 저널, 연구 목적, 연구 설계, 이론적 프레임워크, 데이터 수집 방법, 데이터 수집 연도, 주요 결과의 요약, 특정 지원 전략의 설명 및 관련 참고 자료를 추출하기 위해 데이터 차트 작성 양식(부록 S1 참조)을 개발했다.
The first author (AA) developed a data charting form (see Appendix S1) to extract data, including author, publication year, journal, study aim, study design, theoretical framework, data collection methods, year of data collection, summary of key findings, description of a specific support strategy and relevant references.
결과의 수집, 요약 및 보고
Collating, summarising and reporting results
결과 RESULTS
기술 요약
Descriptive summary
개념적 관점
Conceptual perspectives
상자 3은 이러한 관점에 대한 우리의 해석에 대한 짧은 설명을 보여준다.
Box 3 shows a short description of our interpretations of these perspectives.
표 1은 관련 용어, 전환에 접근하는 데 사용되는 전략 및 각 관점을 예시하는 연구에 대한 주석과 관련하여 이러한 관점을 요약한다.
Table 1 summarises these perspectives with regard to associated terminology, strategies used to approach the transition and annotations on a study that exemplifies each perspective.
교육적 관점
Educational perspective
연구자들은 종종 임상 훈련으로의 전환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면서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어려운,6,39,50
스트레스, 8,12,13,19,21,23,28,35,37,47,49
불안 발생 8,12,13,32–34,36,37 및
투쟁. 7,26,27,44
Researchers often portrayed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negatively, describing it as
difficult,6,39,50
stressful,8,12,13,19,21,23,28,35,37,47,49
anxiety generating8,12,13,32–34,36,37 and
a struggle.7,26,27,44
일부 연구는 학생들을 포함한 다양한 투쟁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에서 시작되었다.
필요한 지식과 기술이 부족하다는 느낌, 6,11,13,19,27,34
준비되지 않은 기분, 11,28,30,32
임상 훈련의 요구에 부담을 느끼면서, 11,19,28,42
교직원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9,33
문맥의 잦은 변화로 스트레스를 받는27
Some studies started froma stance that there was a need to eliminate a variety of struggles, including students:
feeling like they lacked the required knowledge and skills,6,11,13,19,27,34
feeling unprepared,11,28,30,32
feeling burdened by the demands of clinical training,11,19,28,42
not meeting faculty members’ expectations,9,33 and
stressed by frequent changes in context.27
지식이나 기술의 격차를 해소하려는 경향은 연구자들이 학생들을 준비하는데 주력하고 이러한 격차를 줄이게 했다. 연구진은 '학생들의 구두 환자발표 기본 숙련도, 혈전, 동맥혈 가스, 봉합 기술 등'을 강화하여 '임상 환경에서 학습자로서 우수할 수 있도록 준비' 49를 도모했다.
The tendency to address a gap in knowledge or skills led to researchers focusing on preparing students and reducing this gap. Researchers sought to ‘prepare students to excel as learners in clinical settings’49 by strengthening ‘students’ basic proficiency in oral patient presentations ...basic skills in phlebotomy, arterial blood gases and suturing ...’.12
교육적 관점에서 임상 훈련으로의 전환을 개념화하는 것은 '학생들이 임상 전 연도에서 임상 연도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는 전략의 작성에 영향을 미쳤다.42 이러한 전략은 다음을 포함한다.
임상실습 과정으로의 구체적인 전환 과정의 개발 및 전임상 교육과정 혁신에 대한 평가
새롭게 개발한 과정이 학생의 전환 경험에 미치는 영향.6,10,11,14,22–24,28,29,32,33,46
Conceptualising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has influenced the creation of strategies aimed to ‘ease students’ transition from the pre-clinical to clinical years’.42 These strategies include
the development of specific transition to clerkship courses5,7,8,12,35–37,39,40,42,49,50 and evaluating pre-clinical curriculum innovations and
their impact on students’ transition experiences.6,10,11,14,22–24,28,29,32,33,46
문헌의 커리큘럼 혁신은 다음을 포함한다.
임상 전 문제 기반 학습(PBL) 커리큘럼, 6,11,24,28,29,32
초기 환자 접촉을 위한 공간 생성10,14,33 및
임상 교육 중 종방향 통합 사무직(LIC) 개발.22
Curriculum innovations in the literature include
pre-clinical problem-based learning (PBL) curricula, 6,11,24,28,29,32
creating space for early patient contact10,14,33 and
development of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LIC) during clinical training.22
앞서 언급한 연구들은 임상 훈련으로의 전환과 다음과 같은 결과에 대한 관련 개입을 평가하였다.
특정 전략에 대한 학생 만족도 5,12,37,39,40
불안감에 대한 영향 측정12 및 자신감 35,42
지식, 기술 또는 행동의 변화 계산. 12,35–37,39
The aforementioned studies evaluated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and relevant interventions with outcomes such as:
student satisfaction with a particular strategy,5,12,37,39,40
measuring impact on anxiety12 and confidence35,42 and
calculating change in knowledge, skills or behaviour.12,35–37,39
일부 기사는 사무직으로의 전환 과정과 커리큘럼의 혁신을 보여주었다.
임상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된 준비 상태, 12,39,49
자신감 증가, 9,29,35,42
불안감 감소12 및
의욕에 찬 학생들24
그러나, 일부 학생들은 여전히 사회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10,23
Some articles showed that transition-to- clerkship courses and curriculum innovations
increased students’ perceived preparedness for clinical training,12,39,49
increased confidence,9,29,35,42
reduced anxiety12 and
motivated students.24
However, some students still struggled with socialisation.10,23
임상 훈련으로의 전환에 관한 대부분의 문헌은 [교육적인 관점]에서 볼 수 있었는데, 이 관점에서 '전환시기에 겪는 어려움'을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기술 부족에 따른 투쟁으로 보고 있다. 결과적으로, 연구자들은 이에 대한 개입으로 [임상 전 과정]과 [인덕션]을 통하여 이러한 결손을 해결하고자 했다. 그 결과, 연구는 학생 만족도 및 인식된 준비 상태와 같은 결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일부는 준비 상태와 학생 만족도를 높였다.
Most literature on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was froman educational perspective, which sees the transition as a struggle due to the knowledge and skill deficits that students have. Consequently, interventions were designed to address these deficits with pre-clinical courses and inductions. As a result, studies focus on outcomes such as student satisfaction and perceived preparedness, with some showing increased preparedness and student satisfaction.
사회적 관점
Social perspective
다시 한번, (이 관점에서도) 연구원들은 임상 훈련으로의 전환을 부정적인 용어로 묘사하고, 학생들을 포함한 다양한 투쟁을 제거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내부자에게 나를 맞추려고 노력중, 32,46,48
다른 사람들에게 겁을 먹고, 32,34세
자신의 역할에 대해 확신이 없어, 9,27 그리고
임상 환경의 문화적 규범 학습.27
Again, researchers described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in negative terms and highlighted a need to eliminate a variety of struggles, including students:
trying to fit in with insiders,32,46,48
feeling intimidated by others,32,34
being unsure of their role,9,27 and
learning the cultural norms of the clinical environment.27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은 '직장 내 학습에 익숙하지 않았고 이해되지 않은 팀과 문화 내에서 어떻게 탐색하고 관여하는지에 대해 불확실하다'.43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학습과 반대로 임상 팀에 적응하는 데 유의미한 초점을 두는 경우가 많았다.46
Studies suggest that students were ‘unfamiliar with learning within the workplace and uncertain about how to navigate and engage within teams and culture they have not come to understand’.43 As a result, students often placed a significant focus on fitting in with the clinical team as opposed to learning.46
학생들의 통합을 다루면서 [동료와 동료 팀 관계]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연구원들은 '학생들이 효과적인 팀원이 되기 위해 필요한 숨겨진 지식' 25를 명시적으로 만들고 '임상 환경과 관련된 역할과 기대, 루틴과 로지스틱 등을 설명하는 전략'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 12 따라서 [타인과의 의미 있는 상호 작용과 관계 구축]을 촉진하는 것이 중요했다.25,43,48
Addressing students’ integration led to a focus on peer–peer and peer–team relationships. Researchers thought it was important to make explicit ‘the hidden knowledge that students need to become effective team members’25 and to create strategies that would ‘describe the roles and expectations ... routines and logistics’ relevant to the clinical environment.12 It therefore was important to facilitate meaningful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 building with others.25,43,48
이러한 사회적 전략의 예는 다음과 같다.
피어 그룹 촉발,25
니어피어 교육 세션,48
학생들이 경험을 공유하도록 촉진, 43
동료 학습 커뮤니티를 만든다.45
Examples of these social strategies included
initiating peer groups,25
near- peer teaching sessions,48
facilitating students sharing experiences,43 and
creating peer learning communities.45
또한, 임상 환경에서 학생과 직원 간의 관계를 증진하기 위해, 일부 연구자들은 [교육적 인덕션]에 대한 다원적 접근법의 사용과 이러한 방향의 레지던트를 포함시키는 것에 대해 보고했다.
Additionally, to promote student– staff relationships in the clinical environment, some researchers reported on the use of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to educational inductions and including residents in these orientations.12,39
측정 결과의 측정과 관련하여, 사회적 지원의 증가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가능성이 높았고, 한 연구에서 임상 팀으로의 통합과 관련하여 학생들의 준비 상태에 대한 인식을 증가시켰다.48
Regarding measuring outcomes, increased social support was likely to reduce stress19 and, in one study, increased students’ perceptions of preparedness as it related to integrating into the clinical team.48
[사회적 관점]에서 임상훈련으로의 이행에 관한 문헌은 여전히 전환을 [학생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려고 노력하면서 기존의 문화적 규범과 관계를 형성하는 방법에 익숙하지 못한 결과에서 생기는 투쟁]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접근방식은 임상 환경에서 다른 사람(전문가와 동료)과 친숙한 활동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연구는 임상 팀에 적응하는 것과 관련된 결과에 초점을 맞췄다.
Literature on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conducted from a social perspective still sees the transition as a struggle as a result of students trying to fit into the new environment and not being familiar with existing cultural norms and how to build relationships. The approach was therefore to develop activities that familiarise students with others (professionals and peers) in the clinical environment. As a result, studies focused on outcomes related to fitting into the clinical team.
우리는 임상 훈련으로의 전환이 학생들의 투쟁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처음 두 가지와 다른 세 번째 개념화를 인식했다.
We recognised a third conceptualisation of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that differs from the first two in that it doesn’t problematise students’ struggles.
발달적 관점
Developmental perspective
발달적 관점에서 특수한 점은 연구자들은 임상 훈련으로의 전환을 도전적인 것challening으로 본다는 것이다.1,5,7,9,36–38,43,44,50 이 용어는 다른 두 관점의 용어와는 다르며, 연구자들이 [학생들의 성장 가능성을 강조]함으로써 긍정적인 인지적 평가로 간주할 수 있다.52,53 이 관점에서의 연구는 토론이 임상 훈련으로 이행하는 동안 [학생들이 경험하는 특정한 투쟁을 최소화]하는 것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필요성을 인식하는 자세]를 지향한다.
Unique to this perspective, researchers reported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as challenging.1,5,7,9,36–38,43,44,50 This terminology differs to that of the other two perspectives and could be considered a positive cognitive appraisal by researchers highlighting the potential for students’ growth.52,53 Research within this perspective allows the discussion to shift away from a stance of minimising particular struggles that students experience during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and towards recognising the need for students to be able to cope with change.
발달적 관점에서 임상 훈련으로의 전환을 개념화하는 것은 권한empowerment 부여를 목표로 하는 전략의 수립으로 이어졌다. 연구자들이 교육적, 사회적 관점에서 문제에 초점을 맞추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개발적 관점을 취할 때, 연구자들은 그 욕구를 언급했다. '학부 3학년 의대생들이 [임상적 배치에서 학습 기회를 인식]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기자신의 이해와 실천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empower] 한다.'
Conceptualising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has led to the creation of strategies aimed at empowerment. By contrast with researchers’ focus on problems from educational and social perspectives, when taking a developmental perspective, researchers mentioned the desire ‘to empower third-yea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to recognize learning opportunities in their clinical placements and to proactively use them to develop their understanding and practice’.43
이 문헌은 임상 훈련으로 이행하는 동안 연구자들이 개발에 어떻게 접근했는지를 보여주는 몇 가지 예를 제공한다. 임상 훈련으로 전환transition하려면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 전략을 수정해야 하지만, 이것이 자동으로 발전하지는 않는다. 또한 임상 환경은 전이적 자율성을 감소시킬 때 외적 목표 지향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자가 조절 학습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임상 학습 전략을 최적화하는 것은 새로운 임상 학생에게 중요하다.
The literature provides some examples of how researchers approached develop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requires that students adapt their learning strategies to learn in a self-directed way but this does not automatically develop.44 Additionally, the clinical environment could have a negative impact on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44 by increasing extrinsic goal orientation when decreasing metacognitive self-regulation.44 Optimising clinical learning strategies is therefore important for new clinical students.
고찰 DISCUSSION
[교육적 관점]을 갖는 것은 주로 연구자들이 [임상 전 훈련과 임상 훈련 사이의 격차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학생들이 이러한 훈련 단계 사이의 격차를 덜 경험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지식과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욕구를 낳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육적 관점에서 '좋은' 전환은 [학생들이 준비되었다고 느끼고, 임상 훈련을 시작하는 데 필요한 모든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있으며, 커버해야 할 학습량에 압도되지 않는 전환]일 가능성이 높다.
Having an educational perspective primarily focuses researchers on reducing the gap between pre- clinical and clinical training and produces a desire to increase students’ knowledge and skills so that students experience a smaller gap between these training stages. In this light, a ‘good’ transition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is likely to be one where students feel prepared, have all the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to start clinical training and do not feel overwhelmed by the amount of learning to cover.
그러나 학생들이 준비감을 느끼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그 자체가 불안정한 새로운 환경의 역학관계에 적절히 대비할 수 있다고 기대해서는 안 된다. 이것은 교육적 준비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이것이 유일한 요소는 아니다. 킬민스터는 대학원 교육의 전환이 매우 집중적인 학습 기간이라고 설명했다.54
However, it is not enough for students to feel prepared3,54 nor should we expect that we can adequately prepare them for the dynamics of a new environment, which itself is unstable. This is not to suggest that educational preparation is not important; however, this is not the sole factor. Kilminster described transitions in postgraduate training to be critically intensive learning periods.54
임상 훈련으로의 전환에 대한 [사회적 관점]은 학생들이 학식과 기술을 갖춰야 한다는 기대를 낮추는 대신, [직원, 동료 또는 가까운 선후배 관계 형성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로지 교육적인 관점을 취하는데 있어서의 공백을 메운다. 학생들이 [주눅들지 않는 양육적nurturing 의료 환경을 조성]하면 팀 구성과 학생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55
A social perspective on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fills the gaps in taking a solely educational perspective by reducing the expectation that students need to be knowledgeable and skilled, thus allowing a focus on building relationships with staff, peers or near-peers. Cultivating a nurturing medical environment where students are not intimidated can encourage team building and student engagement.55
대부분의 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매우 드물게 (학생들이 임상 팀 내에서 통합하는 것을 돕기 위해) 직원들을 훈련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39,50 학생들은 여전히 임상 훈련으로 전환되는 동안 학문적 괴롭힘과 부정적인 역할 모델링을 경험한다. 따라서 임상실습의 문화와 환경은 새로 온 임상의학과 학생들에 적응해야 새로운 공동체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새로운 사람들이 환경의 일상 업무에 통합되어야 할 것이며, 이것은 학습과 동기 부여를 촉진할 수 있고 심지어 지역사회에 가치를 더할 수 있다.58
Most research has focused on targeting students and very rarely explicitly focuses on training staff to help students to integrate within clinical teams.39,50 Students still experience academic bullying and negative role modelling during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56,57,so it is likely that the clerkship culture and environment need to adapt with newly arriving clinical students to create a new community functioning with newcomers. This would require the newcomers to be integrated into the daily work of the environment, which could promote learning and motivation and could even add value to the community.58
[사회적 관점]에서 ['좋은' 전환]은 학생들이 임상실습 환경의 실천 공동체에 통합되어 참여를 통해 학습 기회에 대한 정당한 접근을 얻는 것이 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학생들이 어떤 행동을 모방해야 하는지를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자기 성찰과 함께 사회적 서포트를 활용하는 것]의 유용성을 간과하고 있을 수 있다.59
A ‘good’ transition from a social perspective is likely to be one where students integrate into the community of practice of the clerkship environment and gain legitimate access to learning opportunities through participation. This perspective, however, might be overlooking the usefulness of social support being used alongside self-reflection to help students decipher which behaviours should be imitated.59
이러한 [발전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학생들에게 권한을 부여empower하고, 성찰하고 전이 가능한 학습 능력을 최적화함으로써 [학습 및 전환 경험의 오너십]을 위한 도구를 제공한다. 전환은 능동적이고 대응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대처 능력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이는 의료 연수생으로서 미래 학습에 필수적이다.60
Taking this developmental perspective empowers students and provides them with the tools for ownership of their learning and transition experience through reflection and optimising transferrable learning skills. Transitions provide opportunities to offer proactive and reactive support and learn coping skills, which are imperative for future learning as medical trainees.60
류 외 연구진.61은 때때로 '투쟁'이 학습의 동기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61 이미 어려움이 있을 때 발생하는 [사후 대응 전략]과 달리 [사전 지원 전략]은 연습생들이 높은 스트레스를 받는 변화에 대처하는 법을 배우는데 특히 유용할 가능성이 높다. 학생들은 커리어에 걸쳐 높은 스트레스를 받게 될 가능성이 높기에, 성찰과 같은 발달적 능력, 자기 조절 학습 능력, 회복력과 같은 다른 기술들을 장려하는 것은 학생들이 변화에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Liu et al.61 highlights that sometimes ‘struggles’ could serve as motivation for learning.61 Proactive support strategies, as opposed to reactive strategies occurring when difficulties already exist, are likely to be particularly useful to help trainees learn to deal with stressful change, which is highly likely in their career.60 Promoting developmental skills such as reflection,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and other skills such as resilience, could help students adapt to change.2,3,60
발전적 관점에서 ['좋은' 전환]은 그 전환이 도전적이지만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는 연구자들의 입장에서 시작될 수 있다.
A ‘good’ transition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might start from a stance where researchers understand that the transition is challenging but can be harnessed to provide motivation for learning.
새로운 연구 안건
A new research agenda
사회적 관점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할 수 있다. 다른 사람과의 관계는 임상 환경에 들어갈 때 학생들의 전이 경험과 학습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발전적 관점에서 다음을 이해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전환기 동안 성찰하는 절차는 어떤 것이 학생들의 경험에 가장 유익할까?
마지막으로, 통합된 관점에서 다음을 탐구할 수 있다. 어떻게 반성이 임상 훈련으로 이행하는 동안 학생들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는가?
Research from a social perspective could ask: How do relationships with others aid students’ transition experiences and learning when entering the clinical environment?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it could be useful to understand: Which procedures for reflection during the transition would be most beneficial to students’ experiences?
Lastly from a combined perspective one might explore: How could reflection influence students’ relationships during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연구자 반사성과 이론의 기초가 되는 경험적 연구를 결합하는 것은 임상 훈련으로의 전환을 연구하는 데 있어 강력한 다음 단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레스를 받는 경험은 변혁적인 학습을 유발할 수 있는데, 메지로우는 변혁적 학습은 [자신에 대한 개인의 기존 관점, 그들의 신념과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들과의 경험, 비판적 성찰, 대화]를 필요로 한다고 제안한다. 미래의 연구자들은 임상 훈련으로의 전환을 변혁적 경험으로 개념화하여 교육적, 사회적, 발달적 관점을 결합할 수 있다.
Combining researcher reflexivity with underpinning empirical research with theory could be powerful next steps in researching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For example, stressful experiences can trigger transformative learning, which Mezirow suggests requires experiences, critical reflection and dialogue with others in order to transform individuals’ existing perspectives of themselves, their beliefs and their behaviours.62 Future researchers could conceptualise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as a transformational experience, thereby combining educational, social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s.
O'Brien은 의학 교육자들이 그 transition이 '적응 가능한 학습 과정'이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대학원 레지던스로 전환되는 동안 변화된 학습 62의 잠재력에 대해 말한다. 이것은 의대 경험자뿐만 아니라 미래의 진로를 위한 예비 대학원생들에게도 이전될 수 있다.
O’Brien posits that medical educators should recognise that the transition is ‘an adaptable learning process’15 and speaks to the potential for transformative learning62 during the postgraduate transition to residency; this could be transferrable to medical school experiences,3 as well as priming postgraduates for future careers.
임상 훈련으로의 전환을 '변혁적 경험'으로 새롭게 개념화한다면, 이 분야의 연구에 대한 새로운 결과를 고려할 수 있고 연구자들이 해독할 수 있다. 예컨대,
성공적인 전환이 어떤 모습일지,
어떤 결과가 중요한지,
그 결과를 어떻게 측정할지
학생들의 전환을 지원하는 효과적인 방법
Focusing on a new conceptualisation of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 being a transformative experience – could allow new outcomes for research in this area to be considered and researchers might decrypt what a successful transition might look like, what outcomes are important, how to measure them, and effective ways to support students’ transitions.
라자루스와 포크맨은 학생들이 임상 훈련으로 전환하면서 [위협]과 [도전]의 감정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고, 비록 관련은 있지만 도전과 위협은 같은 연속체에 있지 않을 수 있고, 오히려 별도의 construct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53
Lazarus and Folkman suggest that feelings of threat and challenge may occur simultaneously as students transition into clinical training and, although related, challenge and threat may not be on the same continuum, but instead are separate constructs.53
Limitations
CONCLUSIONS
59 Benbassat J. Role modeling in medical education: the importance of a reflective imitation. Acad Med 2014;89 (4):550–4.
60 Sandars J, Patel R, Steele H, McAreavey M. Developmental student support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MEE Guide No. 92. Med Teach 2014;36 (12):1015–26.
Beyond the struggles: a scoping review on the transition to undergraduate clinical training
- PMID: 31012141
- PMCID: PMC6593677
- DOI: 10.1111/medu.13883
Abstract
Context: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within medical school is often seen as a struggle and students remain in distress despite numerous efforts to minimise threats. Efforts to change this may be misdirected if they are based on narrow conceptualisations of transitions. The authors conducted a scoping review to explore existing conceptual perspectives regarding the transition within medical school from pre-clinical training to clinical training to suggest a research agenda and practical implications.
Methods: Between October 2017 and February 2018 the authors searched PubMed, MEDLINE, ERIC, PsycINFO, Web of Science and CINAHL for English language literature with no date limits and retrieved 1582 articles; 46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Two reviewers independently screened articles and extracted data. Data were then charted, analysed and discussed with the research team.
Results: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was often described negatively as 'difficult', 'a problem' and 'a struggle'. Our analysis found that researchers in medical education conducted studies on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from three conceptual perspectives: educational; social, and developmental. Most research approached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as a problem to be addressed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through transition to clerkship courses and curriculum innovations. Som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a social perspective, focusing on building relationships. Regarding development, authors found a few articles highlighting opportunities for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by nurturing transferrable learning strategies and reflection.
Conclusions: This review provides an empirical base on which future research can be built to better understand and support medical students' ability to navigate change. Finding new perspectives to approach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could allow researchers to look beyond preparing students for struggles.
© 2019 The Authors. Medical Education published by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Medical Education and John Wiley & Sons Ltd.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임상교육(Clerkship & Residenc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교육에서 적응적 전문성: 자기조절학습을 촉진하여 학습궤적 촉진하기(Med Teach, 2018) (0) | 2020.11.13 |
---|---|
의학적 의사결정에서 적응적 전문성(Med Teach, 2018) (0) | 2020.11.12 |
관리 추론: 진단을 넘어(JAMA, 2018) (0) | 2020.11.10 |
시뮬레이션 기반 훈련에서 충실도의 재고찰 (Acad Med, 2014) (0) | 2020.11.10 |
롤모델로서 임상 트레이너의 특성: 체계적 문헌고찰(Acad Med, 2013) (0) | 2020.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