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직업성의 담론: 메타포, 이론, 실천(Med Teach, 2019)

Discourses of professionalism: Metaphors, theory and practice

Matthew Jon Linksa , Tim Wilkinsonb and Craig Campbellc




도입 

Introduction


의학교육이 이론에 근거해야 실천의 발전(Rees and Monrouxe 2010)을 이끌 수 있다는 인식이 강하다. 프로페셔널리즘은 논쟁의 여지가 있는 개념이며 다양한 접근법을 평가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이 부족했다. 그 이유의 일부는 전문성의 개념 자체에 이론이 있기contested 때문이다.

There is a strong recognition that medical education needs to be grounded in theory to guide development of practice (Rees and Monrouxe 2010). Professionalism is a contested concept and there has been a lack of an over-arching theoretical base from which diverse approaches can be appraised. Part of the reason for this has been because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itself has been contested.


이론은 다양한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하위 수준 이론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overarching 이론적 구성(메타-이론) 또는 가정]이 특히 중요하다. 담론의 변동의 토대가 되는 한 가지 중요한 가정은 인식론적 가정이다 – 지식에 대해 어떤 가정을 하는가?

Theories can occur at different levels and overarching theoretical constructs (meta-theories) or assumptions that underlie lower level theories are particularly important (Nestel and Bearman 2015). One critical assumption underlying variations in discourse is epistemological – what assumptions are made about knowledge?


그러나 전문직업성에 대한 담론은 인식론 이상의 차이가 있으며, 각 담론은 개인, 대인관계 또는 사회 전체의 관점과 다른 초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인식론에 대한 인식과 사회에서의 개인의 역할을 결합한 틀을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한 틀은 쥬르겐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작용 이론이다(Habermas 1989; Edgar 2006).

However, discourses on professionalism differ by more than epistemology, each discourse has a different focus from personal, interpersonal, or a whole of society perspective. It would therefore be helpful to utilize a framework that combines an awareness of epistemology with the role of the individual in society. Such a framework is Jurgen Haberma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Habermas 1989; Edgar 2006).


이것은 다음을 포함한 현대 사회의 많은 중대한 문제들을 다루는 대단히 중요한 이론이다. 

  • 진실-주장truth-claim을 어떻게 검증하고 있는가? 

  • 의사소통, 행동 및 사회적 변화 사이의 관계 

  • 시스템 관점 

  • 사회 개선을 위한 행동 조정의 목표 

This is an overarching theory that deals with many of the critical issues in modern society including: 

  • how do we validate truth-claims; 

  •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ction and social change; 

  • a systems perspective; and 

  • a goal of coordinating action to improve society. 


이 이론은 세상에 대한 관점을 [객관적 세계에 정의를 행하면서도] [주관적 경험도 고려하도록 하려면] 어떻게 결합할 것인가 하는 근본적인 문제를 다룬다.

It tackles the fundamental question of how do we combine a perspective on the world that does justice to the objective world but also takes into account subjective experience?


목적과 방법

Aims and methods


다른 저자들이 다른 용어를 사용하거나 동일한 용어를 다르게 사용했기 때문에 이러한 논의에서 전문용어의 진정한 사용에 긴장이 있다.

There is a tension in the authentic use of terminology in these discussions as different authors have used different terms or used the same terms differently.


전문성에 대한 담론의 검토

Review of discourses about professionalism


정의와 의미가 경합할 때 전문성과 같은 분야에 대한 논쟁이 교차할 수 있는at cross 가능성이 있다. 전문성 '디베이트'는 서로 다른 생각, 즉 문제에 대한 관점에 의존하기 때문에 [연결되지 않는 대화의 연속]이 된다. 이를 분석하는 방법은 [토론의 기초가 되는 가정에 비판적으로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며 이를 담화 분석(Hodges et al. 2008)이라고 한다. 

When definitions and meaning are contes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ebate over areas, like professionalism, can occur at cross purposes. The professionalism “debate” becomes a series of conversations that are not connected because they rely upon different ideas, or perspectives on the problem. A way to analyze this is to critically question the assumptions underlying the discussion and this is called discourse analysis (Hodges et al. 2008). 


전문성에 대한 평가를 어렵게 하는 문제들 중 하나는 전문성이 무엇인지에 대한 표준적 정의가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다. 호지스 외 연구진(2011년)은 전문성을 사용하는 방법이 서로 다른 담화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이 문제를 명확히 했다. 전문성에 대한 세 가지 주요 담론이 확인되었고 각각 다른 관점으로 구별되었다. 

  • 첫 번째는 개인의 특성, 특성 또는 인지 과정(개인적)으로서의 전문성이었다. 

  • 두 번째는 대인관계 과정이나 효과(대인관계)로서의 전문성이었다. 

  • 세 번째는 사회적 제도적 현상으로서의 전문성이었다. 사회적 구조는 권력(사회적)과 연관된다.

One of the problems plaguing assessment of professionalism has been the lack of a standard definition of what professionalism is. Hodges et al. (2011) have clarified this issue by performing a discourse analysis of the differing ways professionalism is used. Three major discourses about professionalism were identified and each was distinguished by a different viewpoint. 

  • The first was professionalism as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trait, or cognitive process (personal). 

  • The second was professionalism as an interpersonal process or effect (interpersonal). 

  • The third was professionalism as societal institutional phenomena a socially constructed way of being associated with power (social).


다른 담론의 기초가 되는 인식론

Epistemology underlying different discourses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다른 담론을 확인한 후, 중요한 질문은 이러한 담론의 근거가 되는 가정은 무엇인가? 교육 이론의 기초가 되는 메타 이론들은 철학적 질문의 더 넓은 담론을 구성하는 지식(교육학), 윤리학, 존재(온톨로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들에 기초할 것이다.

Having identified different discourses about professionalism, an important question becomes what are the assumptions that underlie these discourses? The meta-theories that underlie educational theory will draw on basic assumptions about knowledge (epistemology), ethics, and being (ontology) that constitute the broader discourse of philosophical enquiry.


서양의 전통에서 서로 다른 유형의 지식의 구별은 전문성에 대한 질문이 praxis 영역 내에 있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과학적 지혜와 실제적 지혜의 구별(Aristotle 2002)에서 비롯된다. 그 후의 전개는 [과학지식이 절대적으로 객관적이고 기초적인 현실을 반영한다는 개념(실증주의)]을 비판하며, 조금 더 범위를 한정하는 쪽의 입장을delimited 취하게 되었다(후기 실증주의). 여기서는 [쿤의 패러다임 변화(Kohn 1996년)와 같이] 과학 이론이 구성됨constructed을 인정하면서도, underlying reality는 객관적이라는 개념을 고수하고 있다..

In the western tradition the distinc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knowledge derives from Aristotle’s distinction between scientific and practical wisdom (Aristotle 2002) that and acknowledges questions of professionalism are located within the domain of praxis. Subsequent developments have critiqued the concept that scientific knowledge is absolutely objective and reflective of underlying reality (positivism) to a slightly more delimited position (post-positivism) that acknowledges that scientific theories are constructed, e.g. Kuhn’s paradigm-shifts (Kuhn 1996) but holds onto the concept that the underlying reality is objective.


보다 광범위한 철학적 발전이 함께 묶여서 포스트 모더니즘(Lyotard 1984년)이라고 불리며 객관성에 대해 훨씬 더 급진적인 입장을 취한다. 지식의 객관성에 대한 회의론을 공유하고 있으며, 저자의 관점에 대한 비판적 고찰에 초점을 맞춘다. 권력관계가 관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인식이 높다. 현실은 구성되는 것이고, 발견되는 것found이 아니며, 객관적이지 않고, 주관적이며, 비판적이며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Beckett and Hager 2001). 해석주의(Schwandt 1994), 구성주의(Constructivism, 2001), 사후 구조주의(Aylesworth 2015) 등의 접근방식이 있다.

Broader philosophical developments have been grouped together and termed post-modernism (Lyotard 1984) and they take a much more radical position about objectivity. They share skepticism about the objectivity of knowledge and focus on a critical consideration of the author’s perspective. There is a high degree of awareness of how power relations influence perspective. Reality is constructed, not found, subjective not objective and critical, not given (Beckett and Hager 2001). There are a family of such approaches including interpretivism (Schwandt 1994) constructivism (Spector 2001), and post-structuralism (Aylesworth 2015).


이러한 담론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이해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는가?

are there alternative ways to understand how these discourses are constructed?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작용 이론

Haberma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쥬르겐 하버마스는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철학자로 비판론(Bohman 2016)의 창시자 중 한 명이다. 그는 자신의 작품을 특히 전문성과 관련되게 만드는 실천적 노력을 위해 과학과 휴머니즘의 경계를 비판하는 [이성과 공생활public life의 관계]에 폭넓은 관심을 갖고 있다. 그는 인간의 행동을 주관적, 객관적, 사회적 세계(Habermas 1989; Edgar 2006)가 구성하는 "인생 세계"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본다. 그는 전문가, 조직, 정부의 권위를 의심하는 것이 특징인 후기 근대 자본주의에 대한 견해를 갖고 있다(Habermas 1976). 그는 의사소통 행동 이론을 발전시켰는데, 그것은 "상호간의 숙고와 논쟁을 바탕으로 개인이 수행하는 협동 행동"(Edgar 2006)이다.

Jurgen Habermas is a philosopher of the Frankfurt school and one of the founders of critical theory (Bohman 2016). He has a broad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son and public life that critiques the boundaries between science and humanism for practical endeavors that makes his work particularly relevant to professionalism. He views human action as taking place in “lifeworld” which is constituted by the subjective, objective, and social worlds (Habermas 1989; Edgar 2006). He has a view of late modern capitalismthat there is a crisis of legitimation, characterized by a suspicion of the authority of experts, organizations, and governments (Habermas 1976). He has developed a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which is “co-operative action undertaken by individuals based upon mutual deliberation and argumentation” (Edgar 2006).


하버마스의 지식-관심 분류

Habermas’ classification of knowledge-interests


[의사소통 작용]은 다른 유형의 질문이나 지식-관심knowledge-interest에 의존한다. '지식-관심' 구축은 과학지식이 무관심하거나 자유로운 가치를 가질 수 있다는 실증주의적 주장에 대한 반발이다.

Communicative action relies upon different types of of questions or knowledge-interest. The construction “knowledge-interest” is a reaction to the positivist assertion that scientific knowledge can be disinterested or value free.


그는 "지식-관심"의 영역을 기술, 실용, 해방(Habermas 1970; Edgar 2006)으로 분류한다.

He classifies areas of “knowledge-interest” into technical, practical, and emancipatory (Habermas 1970; Edgar 2006).


  • 기술적인 문제는 과학적 방법과 실증주의적 관점에서 다룰 수 있다.

Technical questions are addressable by the scientific method and a positivist viewpoint.


  • 실용적인 질문은 인간관계, 비교, 문화, 사회의 의사소통적인 질문이다. 그들은 해석, 해석(hermeneutic), 또는 의사소통적인 관점이 필요하다. 제1차 세계대전의 원인이 무엇이었느냐와 같은 역사적 질문이 좋은 예로서, 텍스트와 사람, 경쟁적 관점을 이해해야 한다.

Practical questions are communicative questions of human relationship, comparison, culture, and society. They need interpretation, a hermeneutic, or communicative viewpoint. A good example is a historical question, such as “what was the cause of World War I?”, which requires understanding of texts, people, and competing viewpoints.


  • 해방적/비판적 질문개인이 생각하는 방식, 그들이 취해온 관점과 관련이 있으며 비판적 접근법을 요구한다. 이것은 가정에 대한 성찰적인 질문에 달려있고 정치적인 과정이다. 현재의 예로는 환자 중심 진료를 촉진하는 것이 있다. 환자 중심 진료의 역사는 의사와 환자의 상대적인 힘과 "의사가 가장 잘 알고 있다"는 이전의 가정에 대한 질문에 의존해왔다.

Emancipatory/critical questions relate to the way the individual thinks, the perspectives they have taken and requires a critical approach. This depends upon a reflective questioning of assumptions and is a political process. A current example is the promotion of patient centered-care. The history of patient centered care has depended upon the relative power of physicians and patients and the questioning of previous assumptions that “the doctor knows best”.


비판적 또는 해방적 접근은 개선이나 변화의 과정이며 정치적 행위라고도 묘사되어 왔다. 이것은 파울로 프레이어가 옹호하는 비판적 교육학의 전통과 일치한다. (Freire 1996; Beckett 2013) 어떤 변화를 촉진할 것인가의 선택은 정치적 결정이다. 자유로운 setting으로서의 해방은 무엇을 할 수 있는 자유, 또는 무엇으로부터의 자유다. 변화의 촉진(예를 들어 윤리나 문화 역량에 있어서)은 정치적 행위일 뿐 과학적인 측정 문제는 아니다. 이를 인정하고 전문적 실무관행을 개선하는 목적과 변화를 위해 정력을 쏟은 원인에 대해 성찰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A critical or emancipatory approach is a process of improvement or change and has also been described as a political act. This aligns with the tradition of critical pedagogy championed by Paulo Freire (Freire 1996; Beckett 2013). The selection of which changes are to be promoted is a political decision. Emancipation as a setting free is a freedom to do what, or freedom from what. The promotion of change (e.g. in ethics or cultural competency) is a political act and not a scientific measurement problem. It is helpful to acknowledge this and reflect about the purposes of improving professional practice and the causes to which we put our energies for change.


건강에 적용되는 하버마스의 비판적 인식론critical epistemology의 이러한 측면은 부분적으로 "개선 프레임improvement frame" 내의 변화의 촉진에 의해 다루어진다. 비판적 인식론을 개선 프레임으로 변환하면 [개인 개선 문제, 특히 도전적인 제한 가정을 통한 변형 학습, 그리고 환자의 결과 개선에 대한 적절한 초점과 일치하는 시스템 개선]을 다루게 된다. 

This aspect of a Habermas’ critical epistemology, as applied to health is partly covered by the promotion of change within an “improvement frame”. Translation of a critical epistemology to an improvement frame covers the issue of personal improvement, particularly transformative learning through challenging limiting assumptions; and systems improvement consistent with the appropriate focus on improving outcomes for patients. 


개선 틀에서 누락되는 것은 지식 주장을 하는 사람들의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는 더 비판적이고 급진적인 요소로서 권력 관계의 영향과 변화를 가져오는 목적에 특히 중요하다. 이것은 비판적인 프레임이라고 불릴 수도 있다.

Missing from an improvement frame is the more critical and radical element that questions the assumptions of those making knowledge claims and is particularly critical of the impact of power relations and the ends to which change is put. This might be termed a critical frame. 


비판적 프레임의 예로는 역량기반 훈련에 대해서 그것이 [개인에 대한 조직 의제의 홍보]라는 비판, 자기주도학습에 대해서 [공동체의 요구는 무시한다]라는 비판 등이 있다. 이 개념은 Ng 등(2015년)이 "비판적" 성찰 또는 비판적 사회탐구라고 칭한 것과 밀접하게 일치한다. 이것은 [자신의 편견을 알고 있는 입장에서 근본적인 가정에 도전하는 성찰]이다. 중요한 프레임과 개선 프레임을 함께 사용하면 보건 교육에 대한 이 개념을 보다 포괄적이고 유용하게 번역할 수 있다.

An example of a critical frame would be challenging the move to competency based training as promoting the agenda of organizations over individuals or critiquing self-directed learning as ignoring the needs of communities. This concept closely aligns with what Ng et al. (2015) have termed “critical” reflection or critical social inquiry. This is reflection where underlying assumptions are challenged from a position that is aware one’s own biases. Together a critical frame and an of improvement frame provide a more comprehensive and useful translation of this concept for health education.


한 유형의 지식을 다른 유형의 지식으로 착각하고, 잘못된 종류의 이해를 적용하며, 잘못된 유형의 질문을 하는 것은 범주 실수category mistake라고 불린 것이다(Ryle 2015). 예를 들어, 기후변화에 접근하기 위해 비판적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은, 과학자들이 그들의 힘과 위신을 높이고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고안한 문제로서, 온도가 상승하는 과학적 프레임을 무시하는 것이다. 역사를 오로지 절대적인 진리로만 구성된 [일련의 사실]로만 보는 것은, 해석의 역할을 무시한다. 이 두 가지 사례 모두 적절한 프레임이 중첩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과학자들의 동기를 비판하는 것도, 역사가 기초하고 있는 고고학적 사실에 대한 기술적 접근을 취하는 것도 타당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배적인 접근방식은 지식-관심의 유형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To mistake one type of knowledge for another, to apply the wrong sorts of understanding, and to ask the wrong types of question is what has been termed a category mistake (Ryle 2015). As an example, using a critical frame to approach climate change, as a problem invented by scientists to increase their power, prestige, and funding ignores the scientific frame of increasing temperature. Seeing history as a series of facts, with an absolute truth ignores the role of interpretation. Both these examples show that appropriate frames overlap. It is reasonable to critique the motivation of scientists and to take a technical approach to the archeological facts upon which history is based. Nevertheless, the dominant approach will be determined by the type of knowledge-interest.


지식의 각 형태마다 특성이 다르다. 과학적인 사고는 보편적인 진리 진술을 추구하지만 실질적이고 비판적인 지식의 진리는 맥락에 따라 이루어진다. 전문적인 실천은 과학과 맥락 양쪽의 문제를 이해하도록 요구되며 하버마스의 지식 흥미와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이론은 다양한 분야에서 실천을 이해하는 유용한 방법인 것으로 밝혀졌다.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orm of knowledge are different. Scientific thinking seeks for universal truth statements, but the truth of practical and critical knowledge is contextual. Professional practice requires understanding issues of both science and context and Habermas’ theories of knowledge interest and communicative action have been found to be a useful way of understanding practice in diverse areas


[지식 관심사 이론]은 이러한 각 분야에서 적절한 인식론을 이해하고 전략적 또는 의사소통적 행동과 연결시킬 수 있는 체계를 제공한다.

The theory of knowledge interests provides a framework, in each of these fields, for understanding the appropriate epistemology and a linkage to either strategic or communicative action.


특히 메지로우는 하버마스의 인식론적 체계를 이용하여 약간 다른 용어를 사용한 학습 이론을 개발하였다(Mezirow 1997, 2009). [도구적 학습]은 기술적인 문제에 해당하고, [의사소통학습]은 헤르메뉴틱 문항에 해당하며, [변형학습]은 비판적인 문제에 해당된다. 학습에 필요한 요건은 질문 유형에 따라 다르다. 비판적 접근법과 변혁적 학습은 "비판적인 딜레마"에 의존하고 있으며, 션(1983)도 반성을 촉진하는 데 있어 놀라움의 중요성을 밝혀냈다. 비판적 성찰(근본적인 가정에 대한 조사)과 이성적 담론(권위나 권력에 대한 의존이 아니라)은 양쪽의 다른 핵심 요소들이다.재치 있는 행동과 변혁적인 학습

Notably Mezirow has utilized Habermas’ epistemological framework in developing a theory of learning using slightly different terminology (Mezirow 1997, 2009). Instrumental learning corresponds to technical questions, communicative learning corresponds with hermeneutic questions, and transformative learning corresponds with critical questions. The requirements for learning to occur differ according to the type of question. A critical approach and transformative learning is dependent upon “disorientating dilemmas” and Schon (1983) has also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surprise in promoting reflection . Critical reflection (an examination of underlying assumptions) and rational discourse (rather than a reliance on authority or power) are other key elements of both communicative action and transformational learning.


대체 포스트모던 인식론적 분류

Alternative postmodern epistemological classifications


해석주의 Interpretivism


해석주의는 일부에서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을 논증하는 데 덜 흔하게 사용되는 용어로서 헤르메뉴틱과 하버마스의 헤르메뉴틱 또는 의사소통적 지식-이해 개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Schwandt 1994; Habbermas 2015). 그것은 맥스 베버로부터 파생된 베르스테른 전통의 일부분이며 사회학 내에서 두드러진다. 그것은 질적 연구와 주관적 또는 살아 있는 경험의 가치를 강조하는 현상학적 접근과 일치한다. 주된 관심사는 [단지 일어난 일]뿐만이 아니며, 그것의 의미가 무엇인지 까지이다.

Interpretivism is a less commonly used terminology in as some discourses critique of positivism and is closely allied to hermeneutics and Habermas’ concept of a hermeneutic or communicative knowledge–interest (Schwandt 1994; Habermas 2015). It is part of the verstehen tradition derived from Max Weber and prominent within sociology. It is aligned with qualitative research and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hat emphasizes the value of the subjective or lived experience. The primary interest is not just what happened it is what it means.


구성주의 Constructivism


구성주의(Ackermann 2001)는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으며, 그 용어가 다방면으로 사용되며 혼란을 야기했다. 공통적인 특징은 지식은 학습자에 의해 적극적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Sjøberg 2010). 피아제(1999년)와 비구츠키(1978년) 등 교육에 중요한 학자들의 업적을 그린다. 여러가지의 구성주의를 구분함에 있어서 유의해야 한다. 구성주의의 성격이 다양해서 특정 이슈에 대해 꼬집고 적용하기 어렵다.

Constructivism (Ackermann 2001) has been diversely defined and the use of the term in multiple ways creates confusion. A common feature is that knowledge is actively constructed by the learner (Sjøberg 2010). It draws on the work of scholars important to education such as Piaget (1999) and Vygotsky (1978). Care needs to be taken to distinguish 

    • constructivism as an epistemology from 

    • constructivism as a theory of learning, personality, or sociology; as well as 

    • constructionism as a learning theory. 

The diversified nature of constructivism makes it difficult to pin down and apply on specific issues.


전문성 분석을 위한 선호 프레임워크로서의 의사소통 작용

Communicative action as a preferred framework for analysis of professionalism


따라서 [전문직업성 담론 분석에 선호되는 분류 체계]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의사소통 작용 이론의 주요 장점은 전문성(개인적, 상호적, 사회적)의 초점과 인식론적 차원을 모두 체계적으로 통합한다는 점이다.

The question therefore arises as to a preferred classification system for analysis of professionalism discourse. The major advantage of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is that it systematically incorporates both the focus of professionalism (personal, inter-personal, and social) and the epistemological dimension.


[의사소통 작용]은 [생활 세계life world 내에서 서로 다른 지식 관심사knowledge interest]를 추구함으로써 일어난다. 생활세계의 현상학적 개념에 대한 하버마스의 정의(Habermas 1989년)는 사람, 대인관계 커뮤니케이션, 사회 차원의 사회 활동을 명시적으로 고려한다. 생활 세계는 이러한 수준의 상호작용을 개인의 살아있는 경험에 통합한다(Edgar 2006). 그의 작업의 주요 부분은 생활세계의 이 관점이 사회와 시스템으로서의 관점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는가에 관한 것이다.

Communicative action occurs through the pursuit of different knowledge interests within the life world. Habermas definition of the phenomenological concept of the life world (Habermas 1989) explicitly considers social activities at the level of perso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society. The life world integrates these levels of inter-action into the lived experience of individuals (Edgar 2006). A major part of his work is how this view of a lifeworld interacts with the view of society as a system,


그의 사고의 "비판적인" 측면은 사회 정의의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 특히, 그것은 소아 발달의 피아제 시스템이라기 보다는 [실천 공동체]의 교육학적 틀에 들어맞는다. 이러한 모든 이유들로 인해, 그것은 전문교육의 실행에서 이슈를 탐구하는 플랫폼으로서 합리적인 선택을 한다.

The “critical” aspect of his thinking also relates to issues of social justice. Of particular note, it fits within a pedagogical framework of communities of practice rather than a Piagetian system of childhood development. For all these reasons it makes a reasonable choice as a platform to explore issues in the practice of professional education.


하버마시안적 관점은 중요한 결과를 가져온다. 

  • 첫째로, 지식 관심사 이론은 선택된 프레임워크가 질문되는 질문에 적합한지에 대한 질문을 허용한다. 

  • 둘째로, 의사소통 작용 이론은 그 과정의 integrity을 고려함으로써 담화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한다

  • 마지막으로, 의사소통과 변화의 명시적인 연계는 담론의 결과를 이해하는 틀을 제공한다.

A Habermasian perspective has important consequences. 

  • Firstly, the theory of knowledge interests allows the question as to whether the framework chosen is appropriate for the question being asked. 

  • Secondly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provides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a discourse by considering the integrity of its process. 

  • Finally, the explicit linkage of communication and change provide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onsequences of the discourse.


서로 다른 지식 관심사가 서로 다른 담론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상당한 중복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행동 이론 내에서 다른 지식 관심사를 프레임워크나 프레임으로 언급할 것이다. 하버마스 지식 관심사를 둘러싼 용어는 다음과 같이 align된다.

  • 기술적, 도구적, 과학적, 실증적 관심사, 

  • 언어적-커뮤니케이션적, 실용적 관심사, 그리고 

  • 비판적-감정적 관심사 또는 개선 관심사

Different knowledge interests can be considered as different discourses but there are substantial overlaps; for these reasons we will refer to different knowledge interests within Haberma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s as frameworks or frames. The terminology around Habermas knowledge interest has varied with the alignment of 

  • a technical, instrumental, scientific, positivist interest; 

  • a hermeneutic-communicative, pragmatic interest; and 

  • a critical-emancipatory or improvement interest. 


비판적 관심사를 개선과 비판 프레임으로 나누는 것은 이러한 개념을 건강 내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번역한다. 일관성을 위해 기술적, 의사소통적, 개선적 및 중요한 프레임이라고 한다.

The division of a critical interest into both improvement and critical frames translates these concepts into language used within health. For consistency these will be termed, for this purpose: technical, communicative, improvement, and critical frames.


전문성은 의사소통 작용의 관점에서 논증한다.

Professionalism discourses from the point of view of communicative action


전문성 담론에 대한 Hodges 외 연구진(2011)은 한 축의 범위(개인적, 대인관계적, 사회적)와 인식론(다른 축의 경우 실증론자 대 구성론자)에 의해 만들어진 여섯 가지 잠재적 담론을 확인했다.

Hodges et al. (2011) consideration of professionalism discourses identified six potential discourses created by their matrix of scope (personal, interpersonal, and social) on one axis and epistemology (positivist versus constructivist on the other).


테크니컬 프레임

Technical frame


[개별적 특성이나 관찰 가능한 행동의 집합으로서 전문성]에 대한 논의는 실증주의적/객관적 담론 및 기술적 프레임과 일치한다. 개념과 결과는 일치하며 주요 특징은 측정 가능한 관찰에 대한 요건이다. 개인은 과학 법칙의 적용을 받으며, 그 필요성은 변수를 식별하고 기술하는 것이다. 이것은 이타주의 같은 인격적 특성을 측정하고 전문적 행동과의 관계를 모색하기 위해 사용되어 온 방법론이다. 이것에 대한 적절한 메타포는 척도scale이다. 의대 진학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성격적 특성의 활용이 그 예다.

The discussion of professionalism as an individual trait or set of observable behaviors fits in with the positivist/objective discourse and a technical frame. The concepts and consequences align and a key feature is the requirement for measurable observations. An individual is subject to scientific laws and the need is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variables. This is the methodology that has been used to measure personality traits such as altruism and seek relationships with professional behaviors. The metaphor is the scale. An example is the use of personality traits to select for entry into medical school.


의사소통 틀

Communicative frame


호지스 외 연구진(2011)은 개인간 전문성 담론의 두 가지 유형을 설명하였다.

Hodges et al. (2011) have described two types of inter-individual professionalism discourses. 


첫번째 것은 개인간 프로세스 담론이라고 불렸다. 여기서 개인은 다른 사람에 대한 반응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련의 [사회 인식 과정]을 가지고 있다. 이곳의 시스템은 대인관계지만, 그 주장은 행동이 충분하지 않고 맥락과 동기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해석이 필요하며 의사소통 틀과 일치한다. 그 예가 프로페셔널리즘의 오류를 발생시키는 맥락 안에서 이해해야 하는 방법이며, [관계된 사람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다.

The first one was termed as an inter-individual process discourse. Here an individual has a set of socio-cognitive processes which they use to select responses to others. The system here is interpersonal but the argument is that behaviors are not sufficient and that context and motivations need to be understood. This requires interpretation and is consistent with a communicative frame. An example is the way in which lapses in professionalism need to be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in which they arise and are a produ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eople involved and the environment.


두 번째 유형의 개인간 담론은 구성주의자라고 불린다. 이 담론은 또한 의사소통 틀과 일치한다. 전문직업성은 개인이 가진 개념으로부터 구성되며, 그 개념은 부분적으로 행동을 통해서 반영된다는 생각이 그 예다.

The second type of inter-individual discourse is termed constructivist. This discourse also aligns with a communicative frame. An example is the idea that professionalism is constructed out of concepts held by an individual that is partially reflected by behaviors.


그러므로 학생은 전문적으로 행동할 수도 있지만 인종차별주의자가 될 수도 있다. 두 분류 모두에서 의미는 대인관계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된다. 대인관계 담론에서의 핵심 권고사항은 [실천에서의 행동, 판단의 맥락과 환경에 대한 인식, 그리고 "군중의 지혜"에 대한 의존]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것들은 헤르메네틱스에 초점을 맞추고, 동료의 판단에 초점을 맞추고, 이상적인 의견 교환을 위한 조건들을 만들어내는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틀에 대한 이해에 적합하다. 이 프레임에서의 메타포는 대화다.

Thus a student might behave professionally, but be racist. In both classifications meaning is constructed through interpersonal interactions. The key recommendations for an interpersonal discourse can be summarized as a focus on behaviors in practice, an acknowledgement of context and environment in making judgements, and the reliance on the “wisdom of the crowd”. These fit within Habermas understanding of a communicative frame with a focus on hermeneutics, collegial judgement, and creating conditions for an ideal exchange of views. The metaphor is the conversation.


이 프레임은 프로그램 평가의 전문성 판단에 대한 담론에 의해 입증된다(van der Vleuten et al. 2012). 평가 프로그램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은 해석이 필요하며 관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지만 전문가 커뮤니티의 지혜를 통해 해결된다.

This frame is demonstrated by the discourse around judgement of professionalism in programmatic assessment (van der Vleuten et al. 2012). In a program of assessment, professionalism is a judgement, which requires interpretation and is based on observations and data, but is resolved through the wisdom of a community of experts.


비판적 프레임

Critical frame


구성주의적 담론은 사회문화적 관점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 담론은 전문성의 구성적 특성과 도덕과의 관계를 예로 들어 문화간의 전문성 차이와 시간 경과에 따른 전문성의 차이를 강조한다. 이것은 프로페셔널리즘의 구성적 성격이 그것을 비평의 대상으로 열어두는open it up, 특히 권력의 영향과 관련된 비판적 프레임과 잘 들어맞는다. 시스템에 대한 변화와 비판에 대한 이러한 요구를 나타내는 메타포는 바로 시위protest다. 이것의 한 예는 보다 공평한 건강 시스템이나 난민들의 건강을 옹호하는 것이 의사의 전문적인 책임이라는 견해일 수 있다.

The constructivist discourse can also be applied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This discourse emphasizes the constructed nature of professionalism and its relation to morality-using as an example the differences in professionalism between cultures and over time. This fits well with a critical frame where the constructed nature of professionalism opens it up to critique, particularly relating the influence of power. A metaphor which represents this demand for change and critique of systems is the protest. An example of this might be the view that it is the professional responsibility of the physician to advocate for a more equitable health system or for the health of refugees.


개선 프레임

Improvement frame


우리 시스템에서 점점 중요해지는 구성주의적 담론의 구체적인 한 가지 실행방식은 [전문성과 관리 질 향상]에 관한 담론이다(Taylor 1996). 이것은 또한 비판적인 시각과 맞아떨어지지만 변화에 대한 수요는 특정한 목적에 집중되어 있다. 소통과 합의와 공감대를 위한 자료를 필요로 하기에, 적절한 메타포는 합의회의consensus conference다. 여기서의 예는 낭비적인 관행에 대한 합의를 통해 치료의 가치를 향상시키려는 시도가 있는 현명한 선택 캠페인(Casel 2012)일 수 있다.

A specific implementation of a constructivist discourse of increasing importance in our systems is the discourse around professionalism and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care (Taylor 1996). This also fits with a critical perspective but the demand for change is focused on a particular purpose. There is the need for data and for communication and consensus, an appropriate metaphor is therefore the consensus conference. An example here might be the choosing wisely campaign (Cassel 2012) where there is an attempt to improve the value of care through consensus regarding wasteful practices.





하버마시안 프레임 채택의 시사점

Implications of adopting a Habermasian frame


[기술적 프레임]의 사용은 사실 실증주의적 담론과 동일하지만 주관주의적 담론을 위하여 [의사소통적 프레임]으로 대체하게 되면 몇 가지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

The use of a technical frame is effectively identical to a positivist discourse but the substitution of a communicative frame for a subjectivist discourse opens up several new possibilities.


[의사소통 프레임]은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해석에 관한 것이다. 해석(hermeneutics)에 대한 초점은 내러티브과 해석의 담론에 연결된다. 내러티브은 의학 대화와 교육에서 중요한 요소로 인식된다(Greenhalgh 1999). 헤르메뉴틱스에 초점을 맞추면 문학의 해석 방식(의학문헌 포함)에 초점 차이가 생기며 전문적 실천을 결정하는 것은 상당 부분 텍스트라는 사실을 일깨워 준다.

A communicative frame is about effective communication and interpretation. A focus on interpretation (hermeneutics) connects to discourses of narrative and interpretation. Narrative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component of medical conversations and education (Greenhalgh 1999). A focus on hermeneutics brings into focus differences in the way literature (including the medical literature) is interpreted and reminds us that much of what determines professional practice are texts.


의사소통 작용 이론의 한 가지 기여는 그것이 의사소통 틀에 대한 어떤 기준을 정립한다는 것이다

One contribution of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is that it establishes some criteria for a communicative frame. 


첫째로, 진실 주장이 평가될 수 있는 기준, 즉 "이상적인 언어 상황"; [관련된 모든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되고, 어떤 사람이든 질문할 수 있고, 새로운 생각을 도입할 수 있고, 그들의 생각을 기꺼이 바꿀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상적인 상황들은 대인관계 구성으로서 전문성의 장애요인이 무엇인지 상기시켜주며, 이 프레임에서 권력이 하는 역할을 보여준다.

Firstly, there are criteria under which a truth claim might be evaluated, an “ideal speech situation”; everyone involved is allowed to take part; can question anything anyone says; can introduce new ideas; and is willing to change their mind. These ideal circumstances remind us of the barriers to professionalism as an interpersonal construct and highlight the role power plays in this frame.


둘째로, 개인의 진리 주장truth claim을 평가하는 방법에는 "발언이 이해할 수 있는 것인가, (정확한 의미에서), 옳고 도덕적으로 적절한가, 성실하게(또는 진실하게) 진술된 것인가"라는 기준이 있다. 담론 내 진실 주장에 대한 평가는 주관적인 정확성 주장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저자의 진정성, 논거의 응집력, 제안의 윤리적 차원에 대한 관점으로 보완된다.

Secondly there are criteria for how to evaluate an individual truth claim “Is the utterance comprehensible, is it true (in the sense of accurate), Is it right and morally appropriate, is it sincerely (or truthfully) stated?”. Evaluations of truth claims within discourses do not depend just upon subjective claims of accuracy, they are supplemented by a view on the sincerity of the author, the cohesiveness of the argument, and the ethical dimension of the proposal.


두 접근법 사이의 또 다른 주요한 차이점은 사회 구성주의자에 대한 개선과 비판적 프레임이 가져오는 부가 가치다. 하버마스의 [비판적 지식 관심]은 사회적 개선을 위한 수단으로서 의사소통적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전문성이 건강증진의 매개체라는 것이 질향상quality improvement을 둘러싼 담론의 전제가 되고 있다. [개선의 언어language of improvement]를 전문성 교육의 일부로 활용하는 것은 질적 향상과 교육의 담론을 연계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서, 학습을 통한 돌봄의 질적 향상의 핵심 특징으로 인정받고 있다(Fox와 Bennett 1998).

Another major difference between the two approaches is the additional value brought by an improvement and critical frame over a social constructivist one. Habermas critical knowledge interest focuses on communicative action as a vehicle for social improvement. The premise of the discourse around quality improvement is that professionalism is a vehicle for improvement in health. Utilizing the language of improvement as part of education in professionalism is one way of linking the discourses of quality improvement and education, which is acknowledged as a key feature of improving quality of care through learning (Fox and Bennett 1998).


마찬가지로, [비판적 프레임]은 사회문화적 담론의 일부인 많은 윤리적, 권력적 문제를 강조한다. 또한 전문직업성을 사회 내에서 발생하는 형평성과 권력에 대한 더 넓은 논의와 연결시킨다. 전문직업성에 대한 비판적 프레임을 보다 광범위한 권력 담론에 연결하면 연예계 내 성희롱에 대한 발전이 전문성 담론에 즉각적으로 관련되게 된다는 것이 그 예다.

Similarly, the critical frame highlights many of the ethical and power issues which are part of a sociocultural discourse and links professionalism to broader discussion about equity and power occurring within society. An example is that linking a critical frame on professionalism to broader discourses of power makes developments against sexual harassment with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immediately relevant to professionalism discourses.


[비판적 프레임]과 [개선 프레임]이 만들어내는 차이점의 예는 최근 자기 및 환자 중심 치료의 발전에 반영되어 있다. 개선 프레임이 개인, 대인관계, 사회적 영역에 걸쳐 CanMEDS2015에 통합되어 자아, 환자에 대한 헌신, 직업에 대한 헌신, 사회에 대한 헌신이 그것이다. 그러나 전문직 종사자가 자신을 돌보는 것이 새로운 추가라는 점이 관심사다(Frank et al. 2015). 비판적 프레임을 사용하면, [자기 자신에 대한 돌봄]이라는 관점의 누락을 비판할 수 있다; 반대로 [자기 자신에 대한 돌봄]을 포함하면, 번아웃이 개개인의 문제이며, 회복탄력성의 부족과 관련되어 있는 현상이라고 가정한다고 비판할 수 있다. 번아웃의 문제는 똑같이 조직적 현상으로도 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논쟁적 이슈에 비판적 프레임을 가져오는 효용성의 예다. 자신에게 적용되는 비판적 틀은 변혁적 학습의 특징으로 부각되는 우리 자신의 기본 입장에 대한 깊은 자기 성찰의 형태를 나타낸다(Mezirow 1997).

Examples of the difference a critical and improvement frame makes are reflected in recent developments in self- and patient centered care. An improvement frame is integrated into CanMEDS2015 across the personal, interpersonal, and social domains as caring for self, commitment to patients, commitment to the profession, and commitment to society. But it is of interest that the professional caring for themselves is a new addition (Frank et al. 2015). Using a critical frame, the omission of caring for self can be critiqued as a missing perspective; inclusion of caring for self, can be critiqued as the assuming that burnout is an individual phenomenon, related to a lack of resilience. The problem of burnout can equally be constructed as an organizational phenomenon. This is an example of the utility of bringing a critical frame to the discussion of a contested issue. A critical frame applied to the self, represents a form of deep self-reflection on our own assumptions underlying positions that is highlighted as a feature of transformative learning (Mezirow 1997).


    • 전문성을 [대인관계 구조]로 보는 비판적 시각은 환자 중심성과 의사 환자 관계에서의 권력, 그리고 전문직간 관계에서의 팀 작업과 권력의 문제를 강조할 것이다

    • 전문성을 [사회적 담론]으로 볼 때의 비판적 프레임은 의학 담론의 불평등 문제, 예를 들어 의과대학 선발, 전문 조직의 성별 구성, 가족 휴가 옹호, 파트타임 근무 등을 강조할 것이다.

    • A critical view of professionalism as an interpersonal construction will highlight issues of patient-centeredness and power in physician patient relations and team work and power in inter-professional relations. 

    • A critical frame towards professionalism as a societal discourse will highlight the issues of inequities in medical discourse e.g. selection into medicine, gender composition of professional bodies, advocacy for family leave, and part time work etc.


Govaerts와 Van der Vleuten(2013)은 구성주의적-해석주의적 접근법을 제안했으며, 또한 문맥을 고려하고 정성적 연구와 유사한 접근법을 취할 필요성을 강조했고, 과정과 결과를 이해했다. 그것은 전문성이 다중적이고 상호의존적인 수준에서 복수의 렌즈나 파라미터를 통해 개념화되어야 한다는 이전의 담화 분석(Hodges et al. 2011)의 결론을 강화하고 이러한 관찰을 확장한다.

Govaerts and van der Vleuten (2013), have proposed a constructivist-interpretivist approach and also have highlighted the need to consider context and to take an approach more akin to qualitative research, understanding processes as well as outcomes. It strengthens the conclusions of previous discourse analysis (Hodges et al. 2011) that professionalism needs to be conceptualized at multiple and interdependent levels and through multiple lenses or parameters and extends these observations.


요약 및 결론

Summary and conclusions


프로페셔널리즘 담론은 인식론과 개인적, 대인관계적 또는 사회적 관점에 따라 이전부터 다양하게 묘사되어 왔다. 우리는 이 개념을 재검토하기 위해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작용 이론과 인식론적 분류]를 활용했다. [의사소통 작용 이론]은 질문의 본질에 인식론적 프레임을 일치시킬 수 있는 능력과 포스트 모던 사회의 지식, 행동 커뮤니케이션, 변화에 대한 폭넓은 대화로 통합되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비판적-해방적 지식 관심사]는 전문성 내에서 서로 다른 담론을 반영하는 두 가지 요소 - 개선 프레임과 비판 프레임 - 로 나뉘었다. 이들은 변화가 가리키고 있는 목적과 관심ends and interests를 비판한다.

Professionalism discourses have previously been described as varying according to epistemology and a personal, interpersonal, or social perspective. We have utilized Haberma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and epistemological classification to reexamine this concept.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was chosen due to its ability to match an epistemological frame to the nature of the question being asked and due to its integration into broader conversations about knowledge, action communication, and change in a post-modern society. The critical-emancipatory knowledge interest was divided into two components which reflected different discourses within professionalism; an improvement frame and a critical frame, which critiques the ends and interests to which change is directed.


전문성 담론에 4가지 다른 프레임(기술성, 의사소통성, 개선성, 비판성)을 적용하는 것은 이 프레임워크가 기존의 description보다 전문성의 비판적 담론에 더 잘 부합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특히

  • 사소통 프레임은 해석과 의사소통의 담론에 연결되어 있다. 

  • 개선 프레임은 질 개선의 담론에 연결되어 있다

  • 판적 프레임은 (자기 관리 및 환자 중심 관리를 포함하여) 전문직업성의 형평성과 권력 담론에 연결되어 있다.

Applying four different frames (technical, communicative, improvement, and critical) to discourses of professionalism highlighted that this framework provided a better fit to the important discourses of professionalism than previous descriptions. In particular, 

  • the communicative frame is linked to discourses of interpretation and communication; 

  • the improvement frame to discourses of quality improvement, and 

  • the critical frame to discourses of equity and power within professionalism, including self-care and the 

  • patient centered care. 

특히 중요한 것은 전문성의 대인관계 담론에 대한 장벽, 특히 힘의 불균형을 강조하는 데 있어서 [이상적인 언어 상황]의 개념이었다.

Of particular importance was concept of an ideal speech situation in highlighting barriers, particularly power imbalance, to an interpersonal discourse of professionalism.


구성주의-해석주의자와 비교하여 하버마시안적 관점을 채택한 것은 호지스 외(2011년)에 의해 두드러진 것으로 확인된 몇 가지 문제를 다루었다. 지속적인 개선 문화가 필요하다는 권고를 해결하기 위해 개선 프레임의 도입이 시작된다. 중요한 프레임의 도입은 평가에서 기대와 관행이 틀에 박히거나 시행되는 특정 방법(문화, 세대, 젠더, 계층 등)의 우위에 대한 비판을 포함할 수 있다는 요건을 다루기 시작한다.

The adoption of a Habermasian perspective in comparison to a constructivist-interpretivist one has addressed several of the issues identified as outstanding by Hodges et al. (2011). Introduction of an improvement frame starts to address the recommendation that a culture of continuous improvement is required. Introduction of a critical frame starts to address the requirement that assessment may involve critiquing the dominance of certain ways in which expectations and practices are framed or enforced (cultural, generational, gendered, hierarchical, etc.).







. 2019 Jan;41(1):91-98.
 doi: 10.1080/0142159X.2018.1442565. Epub 2018 Mar 26.

Discourses of professionalism: Metaphors, theory and practice

Affiliations 

Affiliations

  • 1a Medical Education Unit , Gold Coast University Hospital and Health Service , Southport , Australia.
  • 2b Medical Education Unit, Christchurch School of Medicine &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Otago , Christchurch , New Zealand.
  • 3c Departmen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 Ottawa , Canada.

Abstract

Professionalism is a contested concept and different discourses have differed by scope and epistemology.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integrates epistemology (knowledge interests) with that of scope (lifeworld).

Aim: To pragmatically inform learning of professionalism.

Methods: apply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to professionalism discourses.

Results: Previous professionalism discourses translated into four frames: technical; communicative; improvement, and critical. These can be viewed as four metaphors the scale; conversation; consensus conference, and protest.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demonstrated that a critical frame was often lacking from discussions of professionalism and emphasized critiquing the assumptions made, the way power was utilized, and the ends to which actions were directed. Using these frameworks connected discourses on professionalism to other key medical discourses particularly quality improvement, patient centeredness, social justice, and the professional well-being.

Conclusion: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adds value by introducing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individual truth claims that expands the discussion beyond accuracy to include sincerity, ethics and coherence; and it emphasizes promoting free speech and the inclusion of diverse views and stakeholders.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provides a coherent and useful framework for viewing professionalism that integrates with broader discussions about philosophy, truth claims, and post-modern society.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