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의 정의를 확장하기: 셀프Self에서 소셜Social에서 시스템System으로(Med Educ, 2019)
Expanding the definition of learning: from self to social to system
Douglas P Larsen
개별 SRL 스킬 개발을 목표로 하는 학습 목표 및 개인화된 학습 계획과 같은 교육 개입이 보편화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학습자와 학습자에 대한 집중이 항상 예상대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SRL 기술의 중요성을 선언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유형의 개입에 대한 연구는 엇갈린 결과를 보여준다. 비록 일부 조사자들이 학습 목표를 달성한 성공에 대해 보고했지만, 다른 연구들은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목표를 기억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목표를 통해 학습에 대한 통찰력을 얻지 못했고, 그들의 목표가 시간과 노력의 가치가 있다고 느끼지 못했다는 것을 발견했다.11,12
Education interventions such as learning goals and individualised learning plans, aimed at individual SRL skill development, have become common. However, this focus on learning and learners does not always play out as anticipated. Despite the proclaimed importance of SRL skills, research on these types of interventions shows mixed results. Although some investigators have reported success with learning goals,9,10 other studies found that most learners had trouble remembering their goals, did not gain insight about learning through their goals, and did not feel that their goals were worth the time and effort.11,12
이러한 연구들의 결과는 우리가 원하는 학습을 이뤄내기 위해서는, 개인 수준의 프로세스에 대한 강조를 넘어서는 것이 필요할지도 모른다는 것을 시사한다. 사회적 상호작용과 시스템 분석을 통한 학습 프레임워크는 이러한 도전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다.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uggest that to produce the learning we want, we may need to move beyond an emphasis on individual processes. The frameworks of learning through social interactions and systems analysis may offer solutions to these challenges.
Nieboer et al.13은 단순히 학습자의 인지 과정 내에서가 아니라 감독자와 훈련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직장에서 학습이 어떻게 자주 발생하는지를 보여준다.
Nieboer et al.13 demonstrate how learning in the workplace often occurs through the interactions between supervisors and trainees rather than simply within the cognitive processes of the learner.
관계적 주체성relational agency은 개개인이 각자의 행동의 대상을 공동 창조하기 위해 서로의 자원을 끌어들이면서 일어난다.14 본 연구에서 레지던트와 감독자가 운영에 관련된 관행을 공동으로 구성함에 따라 피드백과 학습은 대화적인 과정이 된다.15
The exercise of relational agency occurs as individuals draw on the resources of each other to co-create the object of their actions.14 In this study, feedback and learning become a dialogical process as residents and supervisors co- construct the practices involved in the operation.15
본 연구는 '학습은 근무현장에서의 의사소통적 실천에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기존의 연구와 부합한다. 실제로, 여러 조사 결과, 임상실습 학생 학습 목표든 전공의 개인화 학습 계획이든 간에 SRL 교육 개입을 성공적으로 이행하는 데 협력적 대화가 필수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16 1818 Berkhout 외 연구진 19는 학습자가 직장 학습에 경험이 많아짐에 따라, 학습자는 SRL을 추구함에 있어서 감독관들과 점점 더 협력적으로 되어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e present study adds to a growing body of research demonstrating that ‘learning resides in the communicative practices of workplaces’, as expressed by Steven et al.2 in their study of medical student clinical learning. Indeed, several investigations have found collaborative dialogue to be essential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ostensibly SRL educational interventions whether they be clerkship student learning goals or resident individualised learning plans.16–18 Berkhout et al.19 showed that as learners became more experienced in workplace learning, their pursuit of SRL became increasingly collaborative with supervisors.
Nieboer 등은 전공의들은 수술실 작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의사결정에 대한 논의를 쉽게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반면, 외과 임상실습을 도는 의대생들에 대한 연구는 학생들은 종종 [supervisor에게 그들의 학습 목표에 대한 대화를 시작할 책임이 있다]고 인식한다는 것을 발견했고, 감독관들은 종종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Nieboer et al. found that resi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work of the operating room easily empowered them to initiate discussions around their decisions, but another study of medical students on a surgical clerkship found that students often perceived supervisors as responsible for initiating conversations about their learning goals and that supervisors often did not express an interest.21
이러한 질문들은 우리에게 단순히 개별적인 학습 과정으로부터 학습을 위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것 이상으로 추가적인 기회가 존재한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오히려 우리는 실천과 관련된 모든 시스템이 학습을 창조하기 위해 상호 작용함을 고려해야 한다.(즉 사람, 공간, 계층, 사회적 규범, 노동의 분업, 공식적인 규칙과 규정, 기술, 담론 등)
These questions remind us that additional opportunities exist beyond simply shifting from individual learning processes to an emphasis on social interactions for learning. Rather, we must consider the entire system of practice: people, spaces, hierarchies, social norms, divisions of labour, formal rules and regulations, technologies, as well as discourses, which all interact to create learning.22
많은 학자들이 SRL에 대한 맥락화된 접근법을 요구했지만, 시스템의 요소를 가시화하고 연결의 다양성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개념적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 문화-역사 활동 이론(CHAT), 배우-네트워크 이론(ANT), 복잡성 이론 및 시스템 엔지니어링과 같은 프레임워크는 특히 학습으로 이어지는 연결과 상호작용을 인식, 분석 및 최적화하기 위한 렌즈를 제공한다.22,25 이 이론들은 어떻게 상충하는 힘이 학습을 형성하고, 학습자와 감독자의 경험을 결정하는지를 탐구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러한 렌즈를 통해 볼 때, 학습 시스템은 [참가자와 요소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뿐만 아니라 [시스템 자체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포괄한다. 이러한 시스템 수준의 변화과정을 확장적 학습이라고 일컬어 왔다.28
Although many scholars have called for a contextualised approach to SRL,4,23,24 conceptual frameworks are needed to make the elements of the system visible and foreground the multiplicity of their connections. Frameworks such as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actor-network theory (ANT), complexity theory and systems engineering, among others, provide lenses to recognise, analyse and optimise the connections and interactions that lead to learning.22,25 These theories have been used to explore how competing forces shape learning and determine the experiences of both learners and supervisors.26,27 When seen through these lenses, a learning system describes not only how the participants and elements change but also how the system itself changes.22,25 This process of system change has been referred to as expansive learning.28
시스템 관점에서 학습을 보게 되면 많은 것이 달라진다. 학습은 더 이상 시험이나 능력을 통해 측정한 사실이나 기술의 축적이라고 적절히 설명할 수 없다. 오히려 학습은 "실천의 변화"라고 볼 수 있다. 실천의 변화는 시스템의 모든 요소들의 상호 작용에서 창발하고, 실천의 변화가 다시 시스템의 변화를 이끌어낸다.
교육자는 연습생들이 연습 시스템에 완전히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커리큘럼을 설계하고 학습자가 참여에 의해 자신과 연습이 어떻게 변경되는지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
교직원들은 스스로를 콘텐츠 전달자로 보지 않고, [실천의 공동 창조]를 통해 변화되는 참여자로 보게 될 것이다.
환자들은 교육 및 의료적 실천의 [공동 창조자]가 될 것이다.
규제 기관은 [학습과 역량에 대한 정의]를 확장하며, [실천의 복잡성을 설명할 수 있는 표준]을 설계할 것이다.
연구자들은 시스템 요소들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풀기 위해 더 미묘한 질문을 할 것이다.
To see learning from a systems perspective has significant consequences. Learning can no longer be adequately described as the accumulation of facts or skills measured on tests or through competencies. Rather, learning will be seen as changes in practice that emerge from the interplay of all of the elements of a system as the system itself changes from those practices.
Educators will design curricula that enable full participation by trainees in the systems of practice and help learners to recognise how they and their practices are changed by that participation.
Faculty members will not see themselves as content deliverers but as participants that are also changed through the co- creation of practice.
Patients will be co-creators of both educational and health care practices.
Regulatory bodies will expand their definitions of learning and competence and design standards that account for the complexities of practice.
Researchers will ask more nuanced questions to untangle the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elements of systems.
19 Berkhout JJ, Helmich E, Teunissen PW, van der Vleuten CPM, Jaarsma ADC. How clinical medical students perceive others to influence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Med Educ 2017;51:269– 79.
4 Schumacher DJ, Englander R, Carraccio C. Developing the master learner: applying learning theory to the learner, the teacher,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Acad Med 2013;88:1635–45.
24 Berkhout JJ, Helmich E, Teunissen PW, van der Vleuten CPM, Jaarsma ADC. Context matters when striving to promote active and lifelong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Med Educ 2018;52:34–44.
5 Cutrer WB, Miller B, Pusic MV, Mejicano G, Mangrulkar RS, Gruppen LD, Hawkins RE, Skochelak SE, Moore DE.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master adaptive learners. Acad Med 2017;92:70–5.
25 Rojas D, Grierson L, Mylopoulos M, Trbovich P, Bagli D, Brydges R. How can systems engineering inform the methods of programme evaluation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ed Educ 2018;52:364–75.
26 Larsen DP, Wesevich A, Lichtenfeld J, Artino AR, Brydges R, Varpio L. Tying knots: an activity theory analysis of student learning goals in clinical education. Med Educ 2017;51:687– 98.
Expanding the Definition of Learning: From Self to Social to System
- PMID: 31025769
- DOI: 10.1111/medu.13893
'Articles (Medical Education) > 교수법 (소그룹, TBL, PBL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PBL에서 그룹 학습의 이론적 관점과 적용(Med Teach, 2015) (0) | 2020.04.07 |
---|---|
수업에 능동적 참여했을 때 [실제 학습]과 [학습 느낌]의 측정(PNAS, 2019) (0) | 2020.04.01 |
PBL: 최선의 결과를 위한 학생의 역할과 책임(AMEE Guide No. 84) (Med Teach, 2014) (0) | 2020.03.27 |
의과대학과 강의의 이별 - 패러다임 변화인가 지나가는 유행인가? (NEJM, 2017) (0) | 2020.03.20 |
학습을 위한 평가 AfL 가 대형강의에서도 가능한가? 과제와 대응전략(Asia-Pacific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019) (0) | 2020.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