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적 타당도: 다양한 형태의 '좋은' 가르침을 이해하는 핵심(Med Teach, 2019)
Pedagogical validity: The key to understanding different forms of ‘good’ teaching
Daniel D. Pratta , Brett Schreweb and Martin V. Pusicc
aCHES -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Canada; bDepartment of Pediatrics,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Canada; cNYU School of Medicine, Institute for Innovations in Medical Education, New York, NY, USA
"...한 교사가 가지고 있는 (교육적) 관점은 [무엇이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어떤 방법이 합법적이며, 무엇이 근거로서 중요하며, 따라서 추구할 가치가 있는 목적이 무엇인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어떤 가치와 가정으로 가득 차 있다."(Eisner 1984, 페이지 22)
“…any (teaching) perspective one embraces comes replete with values and assumptions about what is valid and what trustworthy, methods are legitimate, what counts as evidence, and hence helps determine the ends that are worth pursuing.” (Eisner 1984, p. 22)
우리는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내용을 전달하고, 학생을 참여시키고, 질문을 하고, 학습과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교육학적인 기술 측면에서 좋은 가르침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교수개발은 종종 교육 스킬들로 이루어진 "도구 상자"를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는데, 그것이 내포하는 것은 좋은 교육스킬이 있으면 좋은 가르침을 낳을 것이라는 가정이다. 우리는 좋은 가르침에 대한 그러한 관념은 근본적으로 결함이 있다고 믿는다. 그것은 교육 스킬이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 아니라, 그 수단이 지향하는 목적에 대해서만 타당성, 정당성,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We often think of good teaching in terms of pedagogical skills, such as setting learning goals, delivering content, engaging students, asking questions, assessing learning, programs, and providing feedback. Faculty development more often than not, tend to focus on developing a “toolbox” the sum is of pedagogical skills, of which assumed to produce good teaching. We believe such a conception of good teaching is fundamentally flawed. It is flawed not because pedagogical skills are unimportant, but because they can only be deemed valid, trustworthy and legitimate if we know the ends to which they are the means.
교육학적인 기술, 교육적 목적, 그리고 근본적인 가치와 신념의 상호관계는 누군가의 가르침을 완전히 이해하는 데 중요한 "교육적 타당성"을 구성한다.
The interrelationship of pedagogical skills, educational ends, and underlying values and beliefs constitute a “pedagogical validity” that is key to fully understanding someone’s teaching.
지적 타당도
Intellectual validity
가르침은 [진실, 증거, 그리고 특정한 형태의 추론을 다루는] 지적 활동이다. 병원이든 교실이든 지적 타당성은 학자적 또는 전문직의 업무를 특징짓는 지식과 추론이 어떤 형태인지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필요로 한다. [지적 타당성에 기반하여 교육을 정당화하는 교사]들은 그들의 전공이나 전문 분야의 핵심 아이디어, 중심 문제, 한계점 개념, 해결되지 않은 질문을 식별하고 설명한다. 지적 타당도 측면에서 효과적인 교육을 하려면, 교육자는 그러한 개념, 문제, 그리고 질문에 적극적으로 학습자들을 참여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일단 핵심 개념을 숙달하고 난 뒤에는 학습자에게 정보를 주는 것이 지적 타당도에서는 그닥 중요한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학습자들이 불확실성과 복잡성의 조건하에서 사고와 추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Teaching is an intellectual activity that makes claims to truth, evidence, and particular forms of reasoning. Whether in clinical or classroom settings, intellectual validity requires a deep understanding of the knowledge and forms of reasoning that characterize scholarly or professional work. Teachers that justify their teaching by its intellectual validity identify and explain key ideas, central issues, threshold concepts, and unresolved questions in their discipline or specialty. To be effective, teachers must be able to actively engage learners in those concepts, issues, and questions. Once core concepts are mastered, it is not so much a matter of informing learners that describes this pedagogical validity, as it is a matter of helping learners improve their thinking and reasoning under conditions of uncertainty and complexity.
여러 학문과 의학 전공분야에 걸쳐, 이것은 가장 일반적으로 지지되는 형태의 교육적 타당도이다. 교육적 타당도를 지지하는 주장은 학습자-지적 작업-교육내용 간의 근본적인 연결을 형성해야develop 하는 필요성에 기초한다.
Across disciplines and medical specialties, this is the most commonly espoused form of pedagogical validity. The argument in support of it is based upon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fundamental connection between the learners and the intellectual work and/or content in a discipline
교육 내용은 authorized form으로 학습되어야 하며, 평가는 실천에 유효한 것으로 추정되는 지식과 수행의 위계 중 어디에 학습자가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증거 기반 실천의 윤리 안에서, 많은 의학교육자들은 미래 의사들의 교육에 지적 타당성을 기본적으로 고려한다.
What is taught must be learned in its authorized form, and assessment must be able to locate learners within a hierarchy of knowledge and performance that is presumed valid for practice. Within an ethos of evidence-based practice, many medical educators consider intellectual validity foundational to the training of future practitioners.
관계적 타당도
Relational validity
가르침은 상호의존적인 역할과 책임을 창출하는 관계적 활동이기도 하다. 이러한 교육적 타당성을 강조하는 교사들은 학습이 학습자와의 관계에 영향을 받는다고 믿는다. 근본적인 가정은 교사들이 학습자에게 하는 모든 말은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관계를 통해 해석된다는 것이다. 학습자들은 설명, 정교함, 평가, 피드백, 지도, 격려, 역할 모델링을 위해 선생님들을 찾는다. 학습자들이 [얼만큼이나 '교사가 학습자의 최선의 이익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믿고 신뢰하는지]에 따라서 [어떻게 그들의 선생님이 말하는 것을 듣고 해석할지]를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교사가 (자신의) 불확실성을 (학습자에게) 드러내려는 의지도 교사가 학습자의 관계에 달려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좋은 가르침은 근본적으로 관계적이다.
Teaching is also a relational activity that creates interdependent roles and responsibilities. Teachers that emphasize this pedagogical validity believe that learning is influenced by the relationship they have with learners. The underlying assumption is that everything teachers say to learners is interpret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Learners look to their teachers for explanation, elaboration, assessment, feedback, guidance, encouragement, and role modeling. The extent to which learners believe and trust that their teacher has their best interests in mind determines how learners will listen and interpret what their teacher says. Similarly, a teacher’s willingness to display uncertainty is also dependent on the relationship that that teacher has with learners. From this perspective, good teaching is fundamentally relational.
이는 피드백 과정에서 특히 명백하다. 예를 들어 텔리오 외 연구진(2015, 2016)은 "교육 동맹" 즉 신뢰와 존중의 상호 관계가 있는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다. 그러한 신뢰와 존중의 설득력 있고 일관된 표현이 있을 때, 학습자들은 불확실성을 드러내고, 위험을 감수하고, 실수로부터 배우고, 이전의 사고와 믿음에 도전하는 피드백을 받는 것이 안전하다.
This i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process of feedback. For example, Telio et al. (2015, 2016) describe an “Educational Alliance”, that is,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where there is a mutuality of trust and respect. When there is a convincing and consistent expression of that trust and respect, it is safe for learners to reveal their uncertainty, take risks, learn from their mistakes and receive feedback that challenges prior ways of thinking and believing.
그러므로 상호 신뢰와 존경은 가르치는 데 있어서 관계적 타당성의 핵심이다. 신뢰가 없이는, 타당성도 없고, 존중이 없이는, 타당성도 없다. 상호 신뢰와 존중이 함께 도전적이면서도 지지하기에 편안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데, 불확실성 속에서 학습자와 교사를 소리 높여 부르는 것이 안전하다.
Mutual trust and respect are, therefore, at the heart of relational validity in teaching. No trust, no validity; no respect, no validity. Together, mutual trust and respect create a learning environment that is challenging yet and comfortable for supportive, where it is safe wonder to learners and teachers aloud amidst uncertainty.
이러한 교육적 타당성의 형태 안에서, 교사들은 [그들이 알고 있는 것]을 가르칠 뿐만 아니라, 한 사람으로서 그리고 전문가로서 [그들이 누구인지]를 가르친다.
Within this form of pedagogical validity, teachers not only teach what they know; they also teach who they are as a person and as a professional.
도덕적 타당성
Moral validity
가르침은 또한 (윤리적 규칙이나 전문적인 지침만으로는 도달할 수 없는) 판단, 결정, 행동을 포함하는 도덕적 활동이다. 교실에서, 클리닉과 수술실에서 선생님들은 복잡하고 종종 혼란스러운 상황에 직면한다.
Teaching is also a moral activity involving judgments, decisions, and actions that cannot be arrived at by ethical rules or professional guidelines alone. In classrooms, clinics and operating rooms teachers are confronted with situations that are complex and often confusing,
종종 규칙이나 지침이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고 직접적으로 대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These are often situations for which rules or guidelines cannot directly answer “What should I do?”
상충하는 권리, 강한 신념, 상반된 의견 또는 증거가 있는 복잡한 상황 앞에서 – 의학적 관행에 관한 것이든 – 명백하게 "옳은 것"은 없을 수 있다. 그러한 순간에는 저항을 직면하더라도, 도덕적 헌신과 실천적 지혜(슈워츠와 샤프 2010)가 결정을 내리고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기와 명료성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face of complex situations with competing rights, strong beliefs, conflicting opinions or evidence – whether about medical or pedagogical practices – there may be no obvious “right” thing to do. In those moments a sense of moral commitment and practical wisdom (Schwartz and Sharpe 2010) can provide the motivation and clarity to enact and articulate a decision, even in the face of resistance.
여기서, 교육학적 타당성은 [행동과 말 사이의 일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는 말보다 행동으로 더 많이 가르친다. 교사들이 연민을 가르치기를 원한다면, 그들은 동정심이 있어야 하고, 윤리적으로 책임감 있는 행동을 가르치려면, 그들 자신의 행동에서 윤리적으로 건전해야 한다. 그러나, 그러한 행동에 대한 근거는 관찰자들에게 분명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교사들은 학습자들에게 그들의 행동에 대한 근거를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Here, pedagogical validity is about the congruence between actions and words. We teach more by our actions than by our words. If teachers wish to teach compassion, they must be compassionate; if they wish to teach ethically responsible behavior, they must be ethically sound in their own actions – clinical and educational. However, because the rationale for those actions may not be obvious to observers, it also requires that teachers articulate the basis for their actions to their learners.
따라서, 교육의 도덕적 타당성은 일련의 도덕적 또는 윤리적 가치와 신념(내면의 도덕적 나침반)과 관련하여 일관성과 투명성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발되고 교수 목적을 위해 표현될 수 있는 내부적 도덕적 나침반이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공감에 관한 것이다. 효과적인 교사들은 그들의 도덕적 가치에 대해 분명하고 일관성 있고 투명해야 하지만, 그들은 또한 공감하고 인내해야 한다. 특히 선생님이 지지하는 가치를 경멸하거나 불평하는 학습자들에게 더더욱 그러해야 한다. 의견 불일치와 토론을 위한 공간이 있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도덕적 타당성은 학습자에 대한 공감이 없다면, 그리고 도덕적 명확성과 헌신을 요구하는 바로 그 도전에 맞서 지속할 용기가 없다면 의미가 없다.
Moral validity of teaching is, therefore, about consistency and transparency in relation to a set of moral or ethical values and beliefs – an internal moral compass – that is developed over time and which can be articulated for teaching purposes. But it is also about empathy. While effective teachers must be clear, consistent and transparent about their moral values, they must also be empathic and patient, especially with learners that disavow/contest the values espoused by their teacher. Space for disagreement and discussion has to be available. In this sense, moral validity is meaningless without empathy for their learners and the courage to persist in the face of the very challenges that require moral clarity and commitment.
문화적 타당성
Cultural validity
가르침은 또한 문화적 가치와 사회적 규범이 어떻게 우리의 기준틀과 마음의 습관을 형성하는가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 문화적 타당성의 한 형태다. 쿠퍼 교수가 지적하듯이 대부분의 의학적 훈련은 환자에게 적용되고 교육이 훈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미묘한 점을 무시한다. 쿠퍼 교수는 그 결과 "우리(의학교육)은 그저 문화적으로 매개되지 않은 일련의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진리를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있을 뿐..."이라는 암묵적인 믿음이 생겼다고 지적한다. (Kuper 2014 p. 1148)
Teaching is also a form of cultural validity based on an awareness of how cultural values and social norms shape our frames of reference and habits of mind. As Kuper notes, most medical training essentializes “culture” into stereotypes as it applies to patients and ignores the subtleties of how culture influences training, often resulting in a tacit belief that, “… we are merely teaching our students a series of objective, scientific truths that are not culturally mediated…”. (Kuper 2014 p. 1148)
그러나, 국가, 기관, 학문 및 심지어 의학 전문 분야가 "좋은 가르침"이 의미하는 "좋은 가르침"에 대해 특별한 기준 프레임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는 곧 "좋은 의사"가 의미하는 것에 대한 레퍼런스 프레임과 교차한다. (Pratt 외, 1998; Pratt와 Nesbit 2000; Pratt와 Collins 2013)
Yet, there is a reason to believe that countries, institutions, disciplines and even medical specialties have particular frames of reference about what “good teaching” means, which, in turn, intersects with frames of reference as to what “good doctoring” means. (Pratt et al. 1998; Pratt and Nesbit 2000; Pratt and Collins 2013)
그러므로, 우리가 교사의 역할을 맡게 되었을 때, 우리가 맡은 역할은 전적으로 우리 자신이 만든 것이 아니며, 우리가 도착하기 전에 이미 만들어져있었던 어떤 것이다. 우리는 그것을 개성에 맞게 수정하거나 조작할 수 있지만, 그것은 무엇보다도 가르치는 것, 배우는 것, 그리고 [전문적 또는 학문적 관행에 대한 특정한 가치와 믿음]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사회적 역할이다.
Thus, when we take on the role of teacher, we step into a role that is not entirely of our own making; it was there before we arrived. We may modify or craft it to our individuality, but it is first and foremost a social role constructed around particular values and beliefs about teaching, learning, and professional or disciplinary practices.
가르침은 본질적으로 어떤 장소, 시간, 전통에 입각한 책임과 기대를 불어넣는 문화적, 사회적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가르침의 문화적 타당성은 진리에 대한 주장, 관계의 본질, 예의, 도덕적 가치들이 문화적으로 그리고 역사적으로 구성되었다는 것을 인식한다. 우리가 가르칠 때, 우리는 학습자에게 [특정한 기준과 마음의 습관]을 함양하는 것이다.
By its very nature, teaching is a cultural and social role infused with responsibilities and expectations that are situated in place, time and traditions. The cultural validity of teaching, therefore, recognizes that claims to truth, the nature of relationships, propriety, and moral values are culturally and historically constituted. When we teach, we are enculturating learners into particular frames of reference and habits of mind.
그러나, [문화적 교육학적 타당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frame of reference와 마음의 습관에 대한 인식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권력과 특권의 차이처럼) 문화적으로 영향을 받는 의료행위 및 실천에 대한 여러 측면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모델링할 능력과 의지가 요구된다.
However, cultural pedagogical validity not only requires an awareness of our frames of reference and habits of mind, but it also requires the ability and will to model critical reflection upon those aspects of medical training and practice that are culturally infused with differences in, for example, power and privilege.
가르칠 때 나는 누구의 세계에 손짓하고 있는가?
누구의 진실에 대한 주장을 나는 기초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야 하는가?
나와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에게 선생님과 학습자의 적절한 관계는 무엇인가?
나의 가르침의 적절성을 어떤 기준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하는가?
건강과 질병에 대한 우리의 전문적인 이해는 환자, 간병인, 가족에 대한 이해와 어떻게 다른가?
권력은 훈련과 연습의 측면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Whose world am I gesturing to when teaching?
Whose claims to truth do I accept as foundational?
What is an appropriat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learner for those whose culture is not mine?
By what standards and norms should I judge the propriety of my teaching?
How is our professional understanding of health and illness different than that of patients, caregivers, and family?
How might power influence aspects of training and practice?
우리는 임상의사가 폄하의 희생물이 되지 않고, 다른 전문분야의 접근방식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는 겸손함을 가지고 있을 때, 그리고 기초과학자들이 서로 다른 인식론과 지식창조에 대한 접근방식의 비교효용을 인정할 때 문화적 타당성의 영향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We see cultural validity’s influence when clinicians have the humility to recognize differences of another specialty’s approach without falling prey to denigration, and when basic scientists acknowledge the comparative utility of different epistemologies and approaches to knowledge creation.
훌륭한 교사들은 그들의 주장에 대해 신중하고 잠정적이어서, 다음의 것들이 유일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진실을 주장할 수 있는 방법
학습자들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방법
학습자들에게 무엇이 옳고, 좋으며 심지어 도움이 되는지를 결정하는 유일한 근거
그렇게 함으로써, 훌륭한 교사들은 자신의 "문화적 지식"과 위치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 과정을 투명하게 만든다.
Good teachers are cautious and tentative about their claims, so as to not assume they are
the only way to claim truth,
the only way to be in relationship with learners, or
the only basis for deciding what is right, good or even helpful for learners.
In doing so, they also make transparent the process of critical reflection on their “cultural knowledge” and positioning.
통합 - 교육적 정체성
Integration – pedagogical identity
가르침은 그 통합적 성격에 의해 지적 행위, 관계적 행위, 도덕적 행위, 문화적 행위다. 교사들이 발전함에 따라, 그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이러한 "행동" 중 하나를 더 강조하고 독특한 교육학적 정체성을 취하게 되는데, 이것은 그들이 가르치는 데 "좋은" 것이 되기 위해 필요하다고 믿는 것에 대하여 내면에 퍼져있는 감각이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교육학적 타당성에 대한 상대적 강조는 [자기가 행하는 교육의 성격을 정의하는 것]이 된다. 그것이 [우리가 교사로서 누구인가], [우리는 훌륭한 가르침이 무엇이라고 믿는가]의 본질이다.
teaching is, by its integrated nature, an intellectual act, a relational act, a moral act, and a cultural act. As teachers develop, they emphasize one of these “acts” more than the others and take on a distinctive pedagogical identity, an internal pervading sense of commitment to what they believe is necessary and appropriate for them to be “good” at teaching. Relative emphasis on one or more forms of pedagogical validity, therefore, becomes a defining character of one’s teaching. It is the essence of who we are as a teacher and what we believe constitutes good teaching.
그러나 좋은 가르침은 [특정한 형태의 교육적 타당성에 대한 헌신] 이상이다. 그것은 또한 필요하다.
그 순간에 존재하여
다음의 능력을 가지는 것이다.
중요성의 역동적인 패턴을 인지하고
그들의 뜻을 파악하고
교육적 신분과 일치하여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다
Good teaching, however, means more than having a commitment to a particular form of pedagogical validity. It also requires
being present in the moment and
having the ability to rise above the moment to
recognize dynamic patterns of significance,
grasp their meaning and
invent ways to respond in accord with one’s pedagogical identity.
[우리가 무엇을 보고, 어떻게 해석하고, 어떻게 즉흥적으로 행동하는가]는 우리가 그러한 역동적인 순간에 가져다 주는 frame of reference와 마음의 습관에 의해 인도된다.
What we see, how we interpret and improvise is guided by the frames of reference and habits of mind we bring to those dynamic moments.
교사의 교육기술에만 초점을 맞춘 교수진 개발 및/또는 평가는 핵심을 놓칠 가능성이 있다. 만약 우리가 좋은 가르침을 이해하고 육성하고 싶다면, 우리는 그러한 기술, 즉 그들의 근본적인 교육적 타당성을 형성하고 활성화시키는 더 깊은 헌신에 주목해야 한다.
Faculty development and/or evaluations that focus only on the technical skills of teaching likely miss the point. If we want to understand and foster good teaching, we need to look to the deeper commitments that shape and animate those skills, that is, their underlying pedagogical validity.
글씨글씨글씨글씨글씨글씨글씨글씨 서윤서윤 아빠아빠 서윤서윤 아빠아빠서윤서윤 아빠아빠 아빠아빠서윤 서윤이는 일찍 일어났어요.
Kuper A. 2014. When I say … cultural knowledge. Med Educ. 48: 1148–1149. XXX
Pratt DD, Smulders D, Associates. 2016. Five perspectives on teaching: mapping a plurality of the good. Malabar, FL: Krieger Publishing.
Pedagogical Validity: The Key to Understanding Different Forms of 'Good' Teaching
- PMID: 30689487
- DOI: 10.1080/0142159X.2018.1533242
Abstract
The interrelationship of pedagogical skills, educational ends, and underlying values and assumptions constitute a teacher's 'pedagogical validity' - who they are as a teacher and why they teach the way they do. If reflection, judgment, and improvement are to be helpful, they must have regard for a more complete understanding of what frames a teacher's pedagogical validity. This article briefly describes four kinds of pedagogical validity that teachers draw upon when explaining or justifying their notion of 'good' teaching. Teachers generally have some part of each, but most of us draw upon one or two more than all four as we define ourselves as teachers and make sense of our teaching.
'Articles (Medical Education) > 교수개발(Faculty Develo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걸출한 교육자 되기: 성공에 대하여 뭐라고 말하는가?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0) (0) | 2021.02.05 |
---|---|
HPE 교육과 실천에서 앎과 함 단절(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0) (0) | 2020.07.16 |
보건전문직교육에 초점을 둔 멘토십 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Perspect Med Educ, 2019) (0) | 2019.06.21 |
의학교육 개선, 그들만의 잔치(KJME, 2006) (0) | 2019.06.20 |
멘토십만으로는 부족하다: 대학의학에서 커리어 개발에 대한 스폰서십의 역할(Acad Med, 2019) (0) | 2019.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