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행동 코칭 원칙과 기초 도구(Educ Prim Care, 2016)

Cognitive Behavioural Coaching principles and basic tools to support trainees

Jenny Gavriel

Milton Keynes GP STP, Milton Keynes Hospital, Milton Keynes, UK





인지행동치료(CBT)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CBT)


또한 CBT에 사용되는 도구는 비임상 상황에서 더 폭넓게 사용된다. – 개인이 낮은 수준의 스트레스와 낮은 자기 효율성과 같은 어려움을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인지행동코칭(CBC)이라고 하며, 늑장, 주장부족, 리스크 테이크/의사결정능력 개발 등과 같은 문제에 도움이 되도록 개발되었다.[1]

the tools used in CBT also have a wider use in non-clinical situations – helping individuals to deal with difficulties like low level stress and low self-efficacy. This is called Cognitive Behavioural Coaching (CBC) and has been developed to help with problems like procrastination, lack of assertiveness, risk-taking/decision-making skills development and so on.[1]


역사

History


인지 행동 접근법의 논리는 아마도 "우리가 생각하는 것이 우리가 행동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일 것이다. 그러나, [인지 세계]와 [행동 세계] 사이의 이러한 협력이 항상 존재했던 것은 아니다.

The logic of the cognitive behavioural approach seems perhaps obvious – what we think effects how we behave. However, this collaboration between the cognitive world and the behavioural world has not always existed.


인지 기반 치료법은 심리역동적이다정신의 깊숙한 곳에서 일어날지도 모르는 일을 노출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 치료법으로, 무의식에 집중하기 때문이다. 행동 요법은 자극 – 결과 모델에 기초하고, 보상은 원하는 행동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Cognitive based therapies are psychodynamic – concentrating on the unconscious mind with therapies focused on exposing what might be happening deep down in the mind. Whereas behavioural therapies are based on a stimulus – outcome model; rewards are used to reinforce the desired behaviours.


이러한 요법이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상황이 증가함에 따라, 치료사들은 순수한 인지적 접근법과 순수한 행동 접근법 둘 다에 불만족스러워하고 있었다. 이것은 그 둘을 결합시킨 새로운 치료법의 기초를 닦았다.

Therapists were becoming dissatisfied with both the pure cognitive approach and the pure behavioural approach as there were increasing situations where these therapies did not meet requirements. This laid the foundations for a new therapy that combined the two.


CBC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우리가 어떤 것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이 그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우리가 생각을 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따라서 우리는 우리의 반응과 행동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he overriding principle of CBC is that the way we think about something affects how we feel about it. Since we are able to control our thoughts we can therefore effect our reactions and behaviours.



ABC 

ABC


ABC 모델(알베르트 엘리스 박사가 개발한, 그림 1 참조)은 사건, 신념 및 결과(행동)의 연관성을 설명한다. 활성화된 사건(A)은 자동적 사고, 감정 또는 행동이 될 수 있는 개인으로부터 반응(C)을 유발하는 실제적이거나 상상된 사건일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사건에서 결과로 가는 단순한 단계]보다 더 복잡하다; 우리는 모두 우리의 경험이 처리되는 일련의 핵심 신념을 가지고 있다. 같은 사건이 다른 개인에게 다른 생각, 감정, 행동을 야기할 수 있는 이유다.

The ABC model (developed by Dr Albert Ellis, see Figure 1) describes the link between events, beliefs and consequences (behaviours). The activating event (A) may be a real or imagined event that provokes a response (C) from the individual which could be an automatic thought, an emotion or a behaviour. However, we are more complex than this simple step from event to outcome; we all have a set of core beliefs through which our experiences are processed. This is why the same event can result in different thoughts, emotions and behaviours in different individuals.




기본 신념과 기본 요구 

Basic beliefs and basic demands


우리의 핵심 신념은 일반적으로 우리 자신, 다른 사람, 그리고 세계에 대한 guiding principle이다. 때때로 이러한 핵심 신념들은 또한 우리가 우리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 또는 세계의 요구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Our core beliefs are guiding principles about ourselves, about other people and about the world more generally. Sometimes these core beliefs can also take the form of demands that we make of ourselves or of other people or of the world.


부정적 자동사고

Negative automatic thoughts


어떤 사건이 일어난 직후, 건강하지 못한 핵심 신념은 수행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는 생각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이것들은 종종 부정적인 자동 사고라고 불리며 도움이 되지 않는 행동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는 여러 가지 다른 유형으로 떨어진다(표 1 [3] 참조).

In the immediate moments following an event, unhealthy core beliefs will give rise to thoughts that are likely to be performance inhibiting. These are often calle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they fall into a number of different types that tend to result in unhelpful behaviours (see Table 1 [3]).



이러한 유형의 생각을 하기 쉬운 훈련생들은 불안을 줄이거나 당면한 과제에 대한 집중을 촉진함으로써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들을 인식하고 도전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여기서 CBT 도구는 이러한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를 식별하고 변화시키고 핵심 신념에 도전하는 데 유용하다.

Trainees who are prone to these types of thoughts can be helped to recognise and challenge them in order to improve performance by reducing anxiety or promoting focus on the task at hand. It is here that the tools of CBT are useful to help identify and alter these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challenge the core beliefs.


CBC - 도구상자

CBC – tool kit


스페이스 모델

SPACE model


SPACE 모델[4]은 생각, 감정 및 물리적 반응이 상호 작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구다. 도표를 완성하도록 유도해 어떤 사건이나 상황에 대한 수습자의 대응을 논의하는 틀이다. 부분적으로 이것은 해명도구로서, '언제 ...을 느꼈는가?'라는 질문을 던져서 '어려웠다'와 같은 대답을 얻는 것이 일반적이다. 물론 '어려움'은 실제로 감정이 아니고, 감정 상자에 '어려움'을 쓸 수 없고, 그 대신에 수련자는 그 상황에서 그들이 어떻게 느꼈는지를 정확히 생각할 수밖에 없다. 대화를 위한 가이드가 마련됨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오락가락하는 답변이 받아들여지기 쉽지 않다. 그 결과는 문제를 매우 명확하게 보여준다. 그림 2는 임상 기술 평가(CSA) 이전에 GP 연습생들의 도표가 어떻게 보일지 보여준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여러 영역을 다루도록 선택할 수 있다.

The SPACE Model [4] is a tool to demonstrate the ways in which thoughts, emotions and physical responses interact. It is a framework to discuss the trainee’s response to an event or a situation by encouraging them to complete the diagram. In part this is a clarification tool, it is common to ask the question ‘how did you feel when …?’ only to get an answer like ‘it was difficult’. Of course ‘difficult’ is not actually an emotion, one cannot write ‘difficult’ in the emotions box, instead the trainee is forced to consider exactly how they did feel in that situation. By having a guide for the conversation, it is less easy for unintentionally diversionary answers to be accepted. The result is a really clear picture of the problem; Figure 2 shows what the diagram may look like for a GP trainee prior to their Clinical Skills Assessment (CSA). In this instance you could choose to tackle a number of areas:


(1) 관련 생각을 토의하고, 소크라테스적 질문을 사용하여 사고의 기반을 이루는 근거에 도전한다. 만약 그들의 언어가 영구적이고 일반화되어 있다면, 일시적이고 구체화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나는 시험에 희망이 없다'라고 하는 대신, '지금 당장은 나는 이런 유형의 시험에서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다'가 된다.

(1) Discuss the associated thoughts; use socratic questioning to challenge the evidence base of the thoughts. If their language is permanent and generalised, challenge it to become temporary and specific: ‘I am hopeless in exams’ becomes ‘At the moment I am finding it challenging to perform in this type of exam’.


(2) 그들이 감정 상태를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시험 전에 스트레스의 신체적 증상을 줄일 수 있다는 자신감을 줄 수 있는 약간의 이완 기법으로 그들을 돕는다 – 이것은 자기 효능감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5]

(2) Help them with some relaxation techniques to give them confidence that they can control their emotional state and therefore reduce the physical symptoms of stress before the exam – this has been shown to increase the level of self-efficacy.[5]


(3) 시험의 준비 및 실습을 최대한 지원한다. 이 모델의 상호 관련성은 준비 행동의 지원이 다른 측면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보여준다. 부정적인 생각에 직접 도전하지 않는다면, 앞으로 부정적인 자동적 생각이 계속 영향을 미칠 것이다.

(3) Support them in preparing and practising the exam as much as possible. The interrelated nature of this model shows how support in the actions of preparing will help with the other aspects. Though without directly challenging the negative thoughts, it is likely the negative automatic thoughts will continue to have an impact in the future.



추론 사슬

Inference chaining


추론 체인은 '만약 ...이라면? 이라는 질문을 반복적으로 던지는 것이다. 그 생각은 당신이 핵심 신념의 형태로 [진정한 근본적인 우려를 발견하는 지경에 이를 때까지 사고의 장벽을 제거하는 것]이다. 사실 추가적인 부드러운 도전이 장기적으로 더 유익할 수 있을 때, 지원이나 확신을 주기 위해 대화에서 '탈출exit'해 버리는 것은 종종 유혹적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Inference chaining is a very simple strategy that involves repeatedly asking versions of ‘What if …?’ The idea is to remove the barriers to thinking until you reach the point of uncovering the real underlying concern in the form of a core belief. It is often tempting to take an ‘exit’ to a conversation in order to provide support or reassurance, when in fact additional, gentle challenge could be more beneficial in the long term. For example:


강사: 만약 당신이 이 '신규 학습된 절차'를 수행한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Trainer: What would happen if you had a go at carrying out this ‘newly learned procedure?’


교육자: 내가 틀릴지도 몰라.(훈련자가 관찰한 내용을 이해하고 모델에서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을 안심시킬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음)

Trainee: I might get it wrong.(Trainer could choose to reassure that the trainee has observed it, they understand it and can do it on a model)


강사: 그리고 만약 네가 틀렸다면?

Trainer: And what if you did get it wrong?


교육자: 환자가 불평할 수도 있다.(트레인저는 다시 안심시킬 수 있다 – 이런 일이 일어날 것 같지 않다)

Trainee: The patient might complain.(Trainer could reassure again – it is unlikely that this will happen)


강사: 그리고 만약 환자가 불평을 했다면?

Trainer: And what if the patient did complain?


교육자: 나는 그 환자와 어려운 대화를 해야 하는 것이 정말 두렵다.(강사는 불만사항에 대처하는 것이 좋은 학습점이며 혼자서는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Trainee: I really dread having to have a difficult conversation with the patient.(Trainer could explain that dealing with complaints is a good learning point and they wouldn’t be expected to do it alone)


강사: 그리고 만약 당신이 어려운 대화를 해야만 했다면?

Trainer: And what if you did have to have a difficult conversation?


교육자: 나는 당황하고 스트레스를 받을 것이다.(강사가 어려운 대화를 하는 방법을 안심시키고 지원할 수 있음)

Trainee: I would get flustered and stressed.(Trainer could reassure and provide support for how to have a difficult conversation)


강사: 하지만 만약 당신이 당황하고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당신은 무엇을 걱정하는가?

Trainer: But what are you worried about if you did get flustered and stressed?


교육자: 그 환자는 나에 대한 존경을 잃게 될 것이다.

Trainee: The patient would lose respect for me.


강사: 그리고 만약 당신이 환자의 존경을 잃었다면?

Trainer: And what if you did lose the respect of the patient?


교육자: 그들은 다른 환자와 그것에 대해 이야기 할 수도 있다.

Trainee: They might talk about it with other patients.


강사: 만약 그들이 다른 환자와 그것에 대해 이야기한다면 그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Trainer: What would it mean if they did talk about it with other patients?


교육자: 모두들 나를 쓰레기라고 생각할 것이다.

Trainee: Everyone would think I am rubbish.


여기서 핵심적인 믿음이 밝혀졌다. 이 수련자는 그들이 쓰레기라고 믿고 있으며, 그들이 새로운 어떤 알려지지 않은 것을 시도함으로써 그들이 이것을 알아내는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을 노출시킬까 걱정한다. 지금 CBC 접근법은 이 문제에 도전하는 것이다. 

  • 이 믿음에 대한 증거의 균형을 논하고 

  • 어떤 규칙을 논의하기 위해 핵심 믿음의 다트보드(그림 3 [6])와 같은 것을 사용한다. 

  • 요구와 생각은 수행을 방해할 수 있는 이 핵심 신념에서 비롯된다. 

논리적이고 소크라테스적 대화에 의해 쉽게 challenge되는 [핵심 신념의 영향에 대한 통찰]은 프로세스와의 참여를 강화할 수 있다.


Here a core belief has been uncovered – this trainee believes that they are rubbish and is worried that by attempting something new and unknown they expose themselves to other people finding this out. The CBC approach now is to challenge this – 

  • discuss the balance of evidence for and against this belief, 

  • use something like the core belief dartboard (Figure 3 [6]) to discuss what rules, 

  • demands and thoughts stem from this core belief that may be inhibiting performance. 

Insight into the impact of core beliefs that are easily challenged by logical, socratic dialogue can enhance the engagement with the process.



자존심에서부터 꾸물거림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문제에 대한 다른 전략도 많지만, [행동과 감정적 반응에 영향 주기 위해서, 자신의 생각을 통찰하고 통제한다는 동일한 근본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There are many other strategies for a wide range of problems, from self-esteem to procrastinating, but each of them are based on the same fundamental principles of insight into and control over one’s thoughts in order to influence behaviours and emotional responses.




, 27 (4), 326-9
 

Cognitive Behavioural Coaching Principles and Basic Tools to Support Trainees

Affiliations 

Abstract

No abstract available

Keywords: ABC model; Cognitive; SPACE model; behavioural; coaching; core belief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