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생의 UPB 기술어: 분류와 체계적 종설(BMC Med Educ, 2017)
Descriptors for unprofessional behaviours of medical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and categorisation
Marianne Mak-van der Vossen1,2,3*, Walther van Mook4,5, Stéphanie van der Burgt1,2, Joyce Kors6,
Johannes C.F. Ket7, Gerda Croiset1,2 and Rashmi Kusurkar1,2
배경
Background
전문직업성을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데, 부분적으로는 교육자들이 주관적인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비전문성을 묘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채택된 언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프로페셔널리즘 지침은 때때로 규범적 비전문직업적 행동을 기술하지만, 이는 의료 교육자, 의사, 기타 보건 요원, 환자 및 학생에 의해 입증된 것처럼 학생의 실제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체계적인 경험적 연구에 기초하지 않는다[2].
Evaluating professionalism is difficult, partly because educators are afraid to be subjective, but also because a commonly adopted language to describe unprofessionalism does not exist. Professionalism guidelines sometimes describe normative unprofessional behaviours, but these are not based on systematic empirical research on students’ actual unprofessional behaviours, as witnessed by medical educators, physicians, other health personnel, patients and students [2].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것은 학습자의 지식, 태도, 판단 및 기술을 암묵적으로 개발하는 전략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복잡하다[6]. 전문직업성의 명시적 가르침은 의과대학이 취한 결정적인 행동을 포함하며 암묵적 가르침은 감독관의 암묵적 모델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암묵적 모델링, 숨겨진 커리큘럼은 의료계 학생들의 사회화를 강화하고 촉진한다[7]. 가르치는 것 외에도, 교육자들은 학생들의 전문직업성을 평가해야 한다.
Teaching professionalism is complex, as it requires strategies that explicitly as well as implicitly develop a learner’s knowledge, attitudes, judgment and skills [6]. Explicit teaching of professionalism includes the decisive actions taken by the medical school, while implicit teaching includes supervisors’ tacit modeling. This tacit modelling, the hidden curriculum, reinforces and promotes the socialization of students in the medical profession [7]. Beside teaching, educators also have to evaluate their students’ professionalism.
전문직업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배적인 프레임워크는 행동 기반이다[6, 9]. 행동은 학습자의 전문성을 관찰할 수 있는 전문성의 실용적이고 적절한 측면이다[10–12].
The dominant framework to evaluate professionalism is behaviour-based [6, 9]. Behaviour is the practical, relevant aspect of professionalism through which a learner’s professionalism becomes observable [10–12].
성과 평가는 여러 가지 이유로 어렵다.
첫째로, 의료 교육자들은 비전문적 행동을 라벨링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들은 학생들의 행동을 전문적이지 않다고 분류하는 것을 꺼린다. 부분적으로는 어떤 행동이 이 라벨을 부여할 수 있는지 모르기 때문이다[15].
둘째로, 교육자들은 학생들에 대한 기대기준expected standard의 불확실성과 씨름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우려를 어떻게 명확히 표현해야 하는지 알지 못한다[3]. 결과적으로 평가 양식에서 교육자의 언어는 모호하고 간접적이다[16]. 또한 교육자들은 형태별 또는 종합 교육 평가 보고서[ITER]에서 행동 기반 의견을 제공하도록 권고받지만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의 정의는 부족하다.
마지막으로, 무엇이 비전문적인지는 시간과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것은 의료 교육 문헌에서 낮은 전문적 성과를 묘사하는 많은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19].
The evaluation of performance is difficult for several reasons.
Firstly, medical educators experience challenges in labelling unprofessional performance. They are reluctant to label students’ behaviours as unprofessional, partly because they do not know which behaviours can be assigned this label [15].
Secondly, educators not only struggle with the uncertainty of the expected standards for students, but also do not know how to articulate their concerns: what to document and how to document it [3]. As a result educators’ language in assessment forms is vague and indirect [16]. Furthermore, educators are advised to provide behaviour-based comments in formative or summative In Training Evaluation Reports [ITERs], but a definition of unprofessional behaviour is lacking [17, 18].
Finally, what is seen as unprofessional is dependent on time and cultural context, which has led to the use of a plethora of terms describing poor professional performance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19].
비전문주의를 부정하는 것을 꺼린 결과, 교육자들이 항상 학생들에게 비전문적 행동을 인식시키지는 않는다. 결과적으로, 교육자들은 근본적인 원인적 개인, 대인관계 및/또는 조직적 요소를 밝혀냄으로써 전문직업성을 분명히 가르칠 기회를 놓친다. 이러한 거부감의 또 다른 결과는 비전문적 행동을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교육자들은 암묵적으로 이러한 행동이 용인될 수 있다는 인상을 심어준다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교육자들은 바람직하지 않은 문화를 낳는다[6, 8, 20].
As a result of their reluctance in denominating unprofessionalism, educators do not always make students aware of their unprofessional behaviour. Consequently, they miss the opportunity to explicitly teach professionalism by revealing underlying causative personal, interpersonal and/or organisational factors. Another result of this reluctance is that by not acknowledging unprofessional behaviour, educators implicitly create the impression that this behaviour is acceptable. This way, educators give rise to an undesirable culture [6, 8, 20].
현재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검토 연구는 행동 기반 전문성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6, 9].
The current integrative, systematic review study uses the behaviour-based professionalism framework [6, 9].
방법
Methods
일반적 방법
General methodology
텍스트 기반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정성적 방법인 내용 분석이 사용된 체계적인 검토를 수행하여 사전 임상 및 임상 의대생의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설명을 식별하고, 학생이 시인하거나 이해관계자가 목격한 [21] 우리는 체계적 검토 및 메타 분석을 위한 선호 보고 항목에 기초한 검토 프로토콜을 개발했다[22].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in which content analysis was used, a qualitative method to analyse text-based data, to identify descriptions of unprofessional behaviours of preclinical and clinical medical students, admitted by students or witnessed by stakeholders [21]. We developed a review protocol based on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PRISMA]statement [22].
자료 출처와 검색 전략
Data sources and search strategy
연구 선택
Study selection
자료 추출과 병합
Data extraction and synthesis
데이터는 행정 항목, 평가 방법 및 맥락과 같은 BEME 코딩 항목을 포함하여 BEME(Best Emergence Medical Education) 협업[23]에 기초한 코딩 시트를 사용하여 추출되었다. 내용분석 검토법에 근거하여, 이해관계자가 목격하거나 학생 스스로 인정한 의대생들의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설명이라는 코딩 시트에 다음과 같은 "분석 단위"가 추가되었다. 보고된 조사 결과를 코드 시트 위에 추출했다.
Data were extracted using a coding sheet based on the Best Evidence Medical Education (BEME) collaboration [23], including the following BEME coding items: the administrative item, the evaluation methods, and the context.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review method the following “unit of analysis” was added to the coding sheet: descriptions of medical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s that were witnessed by stakeholders or admitted by students themselves. Reported findings were extracted onto the coding sheets.
기사의 방법론적 질은 다음과 같은 5가지 질적 질문에 답하여 평가하였다.
[i] 연구문항이나 목적이 명확히 기술되어 있는가?
[ii] 연구문제의 답변에 이용되는 방법이 적절한가?
[iii] 방법과 결과를 명확히 기술하고 있는가?
[iv] 분석방법이 적절한가?
[v] 연구문제는 자료로 답하고 있는가? [24]
더 많은 질문에 긍정적으로 대답할 수 있을 때 연구는 더 높은 품질로 여겨졌다.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articles was assessed by answering the following five quality questions:
[i] Is the research question or purpose clearly stated?,
[ii] Is the method used suitable for answering the research question?,
[iii] Are the methods and results clearly described?,
[iv] Is the method of analysis appropriate?, and
[v] Is the research question answered by the data? [24]
Studies were considered to be of higher quality when more questions could be answered positively.
결과
Results
검색 결과
Search results
그림 1 참조. 정당성을 가진 제외된 연구 목록은 추가 파일 2로 제공된다.
See Fig. 1. A list of excluded studies with justifications is provided as Additional file 2.
연구 특징
Study characteristics
이 검토에는 1977년 1월부터 2016년 5월까지 광범위한 국가의 연구가 포함되었다. 46개의 포함된 연구에 대한 개요는 추가 파일 3을 참조하십시오.
The review included studies from a wide range of countries, from January 1977–May 2016. See additional file 3 for an overview of the 46 included studies.
1980년경 미국에서 시작된 의대에서의 직업적 행동에 대한 주의는 우선 사기행위에 중점을 두었고, 그 다음으로는 무례한 행동과 참여 실패에 대한 관심이 뒤따랐다.
우리는 2000년 이전에 출판된 다른 대륙에서 온 어떤 기사도 발견하지 못했다.
2000년경, 북미 연구자들은 서투른 자기 인식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고, 다른 대륙에서는 부정직한 행동만 묘사되었고, 후에 다른 주제들이 뒤따랐다.
최근, 인터넷 사용에서 비롯되는 비전문주의, 사생활 침해와 다른 무례한 행동과 부정직한 행동에 대한 관심이 문헌에 집중되었다. 세 가지 기간 동안의 글로벌 추세는 그림 2를 참조하십시오.
Attention for professional behaviour in medical school started in the US around 1980, firstly emphasised on fraudulent behaviours, followed by attention for disrespectful behaviour and failure to engage. We did not find any articles coming from the other continents that were published before 2000. Around 2000, North-American researchers started to focus on poor self-awareness, while in other continents only dishonest behaviour was described, later followed by other themes. Recently, attention was paid in the literature to unprofessionalism originating from the use of the internet, which can lead to privacy violations and other disrespectful behaviour, as well as to dishonest behaviours. See Fig. 2 for global trends in three time periods.
UPB의 주제
Themes of unprofessional behaviour
네 가지 행동 테마: 참여 실패, 부정직한 행동, 무례한 행동, 그리고 나쁜 자기 인식. 그림 3을 보시오.
four behavioural themes: failure to engage, dishonest behaviour, disrespectful behaviour,and poor self-awareness. See Fig.3.
다음 단락은 네 가지 주제 각각에 대한 주요 결과를 제시한다. 테마, 설명자 및 행동의 전체적이고 자세한 목록은 추가 파일 4를 참조하십시오.
The next paragraphs present the primary findings for each of the four themes. See Additional file 4 for a complete and detailed list of themes, descriptors and behaviours.
참여 실패
Failure to engage
첫 번째 테마는 참여실패로서, 이는 과제task를 충분히 처리하지 못한 것으로 정의하였다.
The first theme can be described as failure to engage, one’s which was defined as insufficiently handling tasks.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회진 또는 기타 할당된 활동에 늦거나 부재 중 [283232]
낮은 신뢰성과 책임 [25, 31, 33, 34]
가용성이 낮음[32],
양심 부족 [35]
지각[32]과 서투른 진취성과 동기부여 [31, 32, 36 3838]
원칙 무시[39]
최소 허용 수준의 성능을 수용하거나 추구하는 경우 [25].
Failure to engage [25–27] included descriptions as
being late or absent for rounds or other assigned activities [28–32],
poor reliability and responsibility [25, 31, 33, 34],
poor availability [32],
lack of conscientiousness [35],
tardiness [32] and poor initiative and motivation [31, 32, 36–38],
cutting corners [39], and
accepting or seeking a minimally acceptable level of performance [25].
일반적인 무질서함이 언급되었다. [26, 27], 여기에는 읽기 어려운 필체, 마감일을 지키지 않는 빈약한 노트 등이 있었다[32].
팀워크를 저하시키는 데 실패했음을 나타내는 행동은 [27], [40], 팀워크 언어의 어려움에서 벗어나고 다른 사람들에게 피드백을 주지 않는 것으로 설명되었다[37].
General disorganization was mentioned [26, 27], examples of which were illegible handwriting, and poor note keeping not meeting deadlines [32].
Behaviours indicating failure to engage leading to poor teamwork were described as avoiding [27], [40], work escaping teamwork language difficulties [37] and not giving feedback to others [30].
의과대학의 임상 단계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은
환자 접촉의 회피 [27, 37],
환자 치료에 기여하지 못하는 형태[26, 37, 39],
교대 근무 중 퇴근 [41],
불만족스러운 참여[33, 36]로 나타났다.
Failure to engage in the clinical phase of medical school was seen in the form of avoidance of patient contact [27, 37], failing to contribute to patient care [26, 37, 39], leaving the hospital during a shift [41], and unsatisfactory participation [33, 36].
부정직 행동
Dishonest behaviours
이 주제는 학생들의 integrity 문제를 설명한다. 그것은 부정행위, 거짓말, 표절, 규칙과 규정을 따르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This theme describes students’ integrity problems. It includes cheating, lying, plagiarism and not obeying rules and regulations.
속이기, 거짓말하기
Cheating and lying
수업시간에 일어나는 부정행위와 거짓말은:
위조 서명 [40, 42, 43] 또는
결석 시 거짓 변명하기 [40, 43–47]
동료에게 출석부에 서명하도록 요청한다 [26, 41, 43, 45, 48].
다른 학생들에게 당신의 일을 부탁하거나 다른 학생을 위해 일을 하라고 한다 [40, 41, 43].
Cheating and lying took place in class by
forging signatures [40, 42, 43], or
giving false excuses when absent [40, 43–47],
asking a colleague to sign in on an attendance list [26, 41, 43, 45, 48],
asking other students to do your work or doing work for another student [40, 41, 43].
시험에서의 부정행위는 광범위하게 설명되었고,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시험 문제에 불법적으로 접근하는 것 [40, 43–47]
다른 사람이 당신의 시험을 치르게 하는 것 [43, 46, 47]
크립 노트 사용 [43, 44, 46–49]
시험 중 답변 교환 [43–49]
휴대폰을 사용하여 답변 교환 [43, 45, 48]
지인의 도움을 받아 시험에 합격한다[43, 48, 50].
Cheating in exams [32] was extensively described, and consisted of:
gaining illegal access to exam questions [40, 43–47],
letting someone else take your exam [43, 46, 47],
using crib notes [43, 44, 46–49],
exchanging answers during an exam [43–49],
exchanging answers by using mobile phones [43, 45, 48] and
passing an exam by using help from acquaintances [43, 48, 50].
임상이나 연구 맥락에서 부정행위가 일어났다.
데이터 위조[26, 40, 41, 43–46, 49, 51–53] 및
데이터 변조 [25, 31, 32, 37, 40, 41, 43, 51–54]
때로는 실수를 가장한다[43].
예: 학생이 실험실 시험 주문을 잊었거나 시험이나 신체검사 기록의 일부를 누락한 경우 [40, 41, 44, 46, 49, 59, 51, 55
또한, 환자의 임상 검사에 대한 동의를 구하지 않는 것이 언급되었다[56, 57].
Cheating in clinical or research context took place in the form of
data fabrication [26, 40, 41, 43–46, 49, 51–53], and
data falsification [25, 31, 32, 37, 40, 41, 43, 51–54],
sometimes to disguise mistakes [43],
e.g. when a student had forgotten to order a laboratory test or omitted a part of the history taking or physical examination [40, 41, 44, 46, 49, 51, 55].
Also, not asking consent for clinical examination of a patient was mentioned [56, 57].
한 연구는 병원의 전자 건강 기록 문서[EHRD]를 사용하는 부정행위를 보고하였다.
동료의 메모를 복사/붙여넣기
자동 삽입된 데이터 사용 또는
EHRD에서 다른 사람의 이름으로 서명하는 동안 문서화 [58].
One study reported cheating in using the hospital’s electronic health record documentation [EHRD]:
copy/pasting a colleague’s notes,
using auto-inserted data, or
documenting while signed under someone else’s name in the EHRD [58].
이미 1978년에 법학자인 심슨은 환자에게 학생을 "의사"로 소개하는 것이 환자 치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거짓말의 한 형태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유형의 잘못된 표현도 최근에 설명되었다[35, 57].
Already in 1978, a law scholar, Simpson, emphasised the phenomenon of deceptive introduction [59] Students being introduced as “doctors” to patients is a form of lying that directly influences patient care. This type of misrepresentation has also been described more recently [35, 57].
표절
Plagiarism
표절과 관련된 UPB는...
자기 표절[43],
선배나 동료의 작품을 표절하는 것[46, 52],
참조를 인정하지 않고 다른 출처에서 표절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40, 42, 47, 60].
출처가 참조 목록에 포함되었을 때에도 출판된 책이나 기사에서 직접 텍스트를 복사하는 것[43].
Plagiarism consisted of self-plagiarism [43], plagiarizing work of seniors or peers [46, 52], and plagiarizing from other sources without acknowledging the reference [40, 42, 47, 60]. Copying text directly from published books or articles was seen as unprofessional even when the source was included in the reference list [43].
규칙과 규정 미준수
Not obeying rules and regulations
언급된 비전문적 활동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감염관리 절차를 따르지 않고 제한구역에서 전화기를 사용함으로써 규칙과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것을 인정한다[43, 57].
Unprofessional activities mentioned were: acceptance of failing to obey rules and regulations [26] for example by not following infection control procedures [43, 57] and using phones in restricted areas [61].
포함된 조항에 언급된 무면허 활동은 다음과 같다:
중대한 위법 행위[32, 42],
절도[62],
타인의 재산을 훼손하거나,
대학 직원이나 동료 학생을 물리적으로 폭행하는 행위[43].
Unlicensed activities that were mentioned in the included articles were:
significant misconduct [32, 42],
stealing [62],
damaging another’s property[62] or
physically assaulting a university employee or fellow student [43].
무례한 행동
Disrespectful behaviour
또 다른 주제는 무례한 행동으로 밝혀졌는데, 이것은 다른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행위로 정의되었다. 이 테마의 행동은 심각성이 매우 다양하다.
Another theme was found to be disrespectful behaviour, which was defined as behaviour that has a negative effect on other people. Behaviours in this theme vary widely in severity.
부적절한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이라고 묘사되었다.
부적절한 구어 [25, 26, 32, 56, 63]
부적절한 바디랭귀지 [26–28, 32]
이메일에 의한 무례한 통신[32] 및
e-메일 또는 기타 형태의 연락은 무시한다 [26, 36].
Disrespectful behaviour was described as poor verbal or non-verbal communication:
inappropriate spoken language [25, 26, 32, 56, 63]
inappropriate body language [26–28, 32],
disrespectful communication by email [32] and also
ignoring emails or other forms of contact from teaching or administrative staff [26, 36].
Facebook이나 다른 소셜 미디어에서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을 언급한 최근 기사
환자와의 임상 경험 논의 [64]
부정적인 시각으로 임상 현장이나 대학에 대해 논하는 것 [64]
동료 학생들의 사진을 게재하는 것 [63, 65].
Recent articles mentioned unprofessional behaviour on Facebook or other social media, for example
discussing clinical experiences with patients [64]
discussing a clinical site or the university in a negative light [64] and
posting compromising pictures of peer students [63, 65].
다른 사람들의 요구에 대한 민감성이 결여된 것에 대한 모범적인 무례한 행동들은
문화 및 종교 관련[35], [33, 35],
불감증 차별 성희롱 [35, 43, 63].
Other disrespectful behaviours that are exemplary for the lack of sensitivity to others’ needs were
cultural and religious [35], [33, 35], and
insensitivity discrimination sexual harassment [35, 43, 63].
이러한 무례한 행동은 이 학생들이 교사와 다른 직원 또는 보건 요원, 환자와 그 가족, 또는 동료 학생과 상호작용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hese disrespectful behaviours can affect all persons with whom these students interact: teachers and other staff or health personnel, patients and their families, or fellow students.
교사는 수업 시간에 부정적인 반응이나 방해적인 행동에 의해 무례하게 취급될 수 있다[26, 34, 36, 66]. 시험지에 무례한/부적절한 의견을 쓰거나 시험 과정에 대한 존중을 나타내지 못함[28].
Teachers can be treated disrespectfully by negative responses or disruptive behaviour in teaching sessions [26, 34, 36, 66], writing rude/inappropriate comments on exam papers [26] or other failure to show respect for the examination process [28].
환자도 학생의 무례한 행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공감 부족 [26, 28]
타인의 요구에 대한 불감증[25, 26, 62] 및
환자에 대한 갑작스럽고 무관심한 태도 [26]
경멸적인 방식으로 환자를 지칭하는 것 [29, 30, 39, 56, 57].
환자 안전 위에 자체 학습 배치 [57]
시험 중 환자를 불편하게 만드는 것 [56] 또는
시뮬레이션 환자를 감정과 우려를 가진 사람으로서가 아니라 수동적인 대상으로 취급하는 것 [28]
감정이입의 결여로 보여진 행동들의 예들이다.
Patients can be affected by a student’s disrespectful behaviour when the student shows
a lack of empathy [26, 28],
insensitivity to the needs of others [25, 26, 62], and
abrupt and non-empathetic manner with patients [26],
referring to patients in a derogatory way [29, 30, 39, 56, 57],
placing own learning above patient safety [57],
making a patient feel uncomfortable during an exam [56] or
treating simulation patients as passive objects rather than as people with feelings and concerns [28]
were examples of behaviours that were seen as a lack of empathy.
또한 지나치게 비공식적인 행동[27] 및
전문적 외관과 복장을 유지하는 데 실패 [25, 26, 28, 30, 37]
너무 지저분한 가운 [29, 30]도 이 주제에 속한다.
Also, overly informal behaviour [27], and
failure to maintain professional appearance and attire [25, 26, 28, 30, 37] and
poor condition of white coats [29, 30] belong to this theme.
더 나아가
공공 장소에서의 환자 논의 [29]
따라서 환자 기밀성을 존중하지 않음 [25, 30, 35, 56, 63] 또는
환자를 리서치하기 위해 구글을 사용하는 것은 전문적이지 않은 것으로 기술되었다.
Furthermore,
discussing patients in public spaces [29] and
therefore failing to respect patient confidentiality [25, 30, 35, 56, 63] or
using Google to research patients [67] were described as unprofessional.
동료 학생들은 언어적, 서면적, 신체적 또는 행동적 학대로 구성된 또래들에 의한 괴롭힘이나 victimizing과 누군가의 존재를 무시하는 행동도 무례하게 취급될 수 있다[43, 62, 68, 69].
Fellow students can be treated disrespectfully through bullying by peers, which consist of verbal, written, physical or behavioural abuse and victimizing, which is the ignoring of someone’s existence [43, 62, 68, 69].
학생들은 또한 개인에게 접근하기 전에 동료의 부적절한 행동을 교수진에게 보고함으로써 동료의 비전문적 행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29, 30].
Students can also be affected by their peers‘ unprofessional behaviour by reporting a peer’s improper behaviour to faculty before approaching the person individually [29, 30].
자기인식 부족
Poor self-awareness
마지막 주제는 자신의 수행을 부적절하게 처리하는 것으로 정의한 자기 인식 부족이다. 서투른 자각은 다음과 같이 기술되었다.
피드백을 회피하고, 피드백을 수용하고 통합할 수 없음 [30, 31, 38]
비판에 대한 저항적 또는 방어적 행위 [25, 34, 37]
행동에 대한 통찰력 부족 [26, 28]
소유가 아닌 외부 요인 탓 [28]
행동에 대한 책임을 수락하지 않음 [25, 28].
The last theme is poor self-awareness, which was defined as inappropriately handling one’s own performance. Poor self-awareness was described as
avoiding feedback, inability to accept and incorporate feedback [30, 31, 38], and
resistant or defensive behaviour towards criticism [25, 34, 37],
lack of insight into behaviour [26, 28],
blaming external factors rather than own [28] and
failing to accept responsibility for actions [25, 28].
더 나아가
한계를 인식하지 못함 [32]
자신의 능력 수준을 넘어선 행위 [56, 57] 또는
전문적 경계를 존중하지 않는 것[26, 63]은 이 테마로 분류되었다.
Furthermore,
not being aware of limitations [32],
acting beyond own level of competence [56, 57], or
not respecting professional boundaries [26, 63] was categorised in this theme.
이러한 행동은 자기계발에 대한 능력이 감소했음을 나타내는 것 같다 [32, 34, 37, 70].
These behaviours seem to indicate a diminished capacity for self-improvement [32, 34, 37, 70].
고찰
Discussion
검색 결과 및 연구 특성
Search results and study characteristics
대부분의 연구는 단일 기관에서 나왔으며, 이는 종종 제한된 수의 학생과 문화적 맥락에서 제한된 다양성을 낳았다. 기관과 국가 간의 협력은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Most studies came from a single institution, which often resulted in a limited number of students, and limited diversity in cultural context. Collaboration across institutions and countries would add greatly to the research of unprofessional behaviour.
프로페셔널리즘(Professionalism)은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달라지는 개념으로, 동봉된 논문에서 조사되었던 주제로부터 명확해진다. 놀랍게도, UPB들에 대한 묘사는 대륙마다 크게 다르지 않았다. 비록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는 부정직한 행동에 초점을 맞춘 것처럼 보이지만 말이다. 아마도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에 대한 연구는 사기행위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시작되는데, 그것은 탐지하기 쉬운 심각한 문제로 보여지기 때문이다.
Professionalism is a concept that varies in time and place, which becomes clear fromthe subjects that were investigated in the included articles. Surprisingly, the descriptions of behaviours that were seen as unprofessional did not differ largely between the continents, although in Asia and Africa the focus seems to lay on dishonest behaviours. Probably, the research on unprofessional behaviour starts with a focus on fraudulent behaviour because it is seen as a serious problem that is easy to detect.
최근 의학 교육 문헌에 기술된 주제는 자기 인식과 성찰이며, 의사의 사람은 그/그/그 자신[2, 71]이다.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접근을 나타내는 이러한 경향은 북아메리카에서 유럽, 호주로 넘어온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추세가 앞으로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로 확산될지 주목된다.
Recently described topics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are self-awareness and reflection, and the person of the doctor him/herself [2, 71]. This trend, representing a more positive approach to unprofessional behaviour, seems to have come over from North America to Europe and Australia, and it will be interesting to see if this trend will spread to South America, Africa and Asia in the coming years.
UPB의 주제들
Themes of unprofessional behaviour
최근의 한 리뷰는 미래의 의사들의 비전문적 행동이 사기와 부정직한 행동이라는 주제로 보여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76]. 본 연구는 추가 기사를 포함시킴으로써 세 가지 주제를 추가하여 이러한 연구 결과를 확대한다.
A recent review revealed that unprofessional behaviours in future physicians are seen in the theme of fraud and dishonest behaviour [76]. The current study extends these findings with three additional themes by including additional articles.
이전의 연구는 전문성의 증거를 훈련 중인 의사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여섯 가지 영역, 즉 행동, 실천, 환자에 대한 윤리적 존중에 대한 책임, 반성/자각, 팀워크 및 사회적 책임[77]을 제안했다. 현재의 연구 결과는 4가지 주제만 구별되었지만 부분적으로 이 프레임워크와 일치한다. 사회적 책임감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는 학생들의 행동의 예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 영역은 학부 학생들보다 레지던트들에게 더 적합할 수 있다.
Previous research proposed six domains in which evidence of professionalism can be expected from doctors-in-training:
actions,
practice,
responsibility for ethical respect for patients,
reflection/self-awareness,
teamwork, and
social responsibility [77].
Current findings are partly consistent with this framework, although only four themes were distinguished. Examples of students’ behaviours that can be regarded as poor social responsibility were not found. This domain might be more relevant for residents than for undergraduate students.
GMC(General Medical Council)는 최근 의대생을 위한 최신 전문성 지침을 발표했는데, 이 지침에서 관심 영역이 설명된다[2]. 우리는 우리의 연구 결과를 이러한 규범적 설명에 매핑했고 많은 유사점들, 그러나 약간의 차이점을 발견했다. 추가 파일 5는 우리의 조사 결과가 어떻게 GMC의 관심 영역에 매핑되었는지 자세히 보여준다.
The General Medical Council (GMC) recently published an updated professionalism guidance for medical students, in which domains of concern are described [2]. We mapped our findings to these normative descriptions and found many similarities, but also some differences. Additional file 5 shows in detail how our findings were mapped to the GMC’s domains of concern.
중요한 질문은 학생들에게서 발견되는 행동들이 의사로서의 미래의 비전문적 행동들과 관련이 있느냐 하는 것이다. 부족한 이니셔티브와 책임감없는 행동은 자기계발을 위한 능력 저하와 연관된 것으로 밝혀졌지만, 이 연구에서 발견된 다른 행동들이 의사로서의 미래 성과를 예측하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25, 70].
A crucial question is whether the behaviours found in students relate to future unprofessional behaviours as a physician. This has been shown for poor initiative, and irresponsibility diminished capacity for self-improvement, but it is not yet known whether the other behaviours found in this study also predict future performance as a physician [25, 70].
참여실패
Failure to engage
열악한 참여가 신체적 또는 정신 질환의 결과인 경우, 학생들은 이것을 인정하는데 있어서 지지를 받아야 하며, 그들의 연구를 계속하여 완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야 한다[78]. 학생 동기의 질과 양과 관련된 참여 문제는 자기 결정 이론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의료 교육자가 클래스에서 적용할 수 있는 12가지 실천적 팁에 설명되어 있다[80].
When poor engagement is a consequence of physical or mental illness, students have to be supported in acknowledging this, and offered possibilities to continue and complete their studies [78]. Engagement problems related to the quality and quantity of student motivation could be addressed by using Self-determination Theory . This method has been described in twelve practical tips that medical educators can apply in class [80].
부정직 행동
Dishonest behaviour
가장 나쁜 행동은 그 사건만 고립되서 발생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한 가지 부정행위에 연루된 사람들은 다른 부정직한 행동에 더 많이 연루될 가능성이 더 높다[81]. 필수 과정 평가를 완료하지 못했거나, 면역 규정 준수를 보고하지 않은 것은 후속 과정에서 학생들의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중요한 예측 변수임이 밝혀졌다[82]. 따라서, 규칙과 규정을 준수하지 않고 부정직한 행동을 저지르지 않는 학생들에 대한 교직원의 인식을 높일 필요가 있어 보인다[52]. 표절을 탐지하는 소프트웨어는 이러한 행동 중 일부를 공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83].
Dishonest behaviours are rarely isolated events and individuals involved in cheating are more likely to be involved in other dishonest behaviours [81]. Failing to complete required course evaluations and failing to report immunization complianc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s in subsequent years [82]. Thus, it seems necessary to raise faculty’s awareness for students not obeying rules and regulations and committing dishonest behaviours [52]. Software to detect plagiarism can help to unveil some of these behaviours [83].
무례한 행동
Disrespectful behaviour
비록 무례한 행동은 다른 시대와 세계 각지에서 다르게 경험될 수 있지만, 무례한 행동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 놀라울 정도로 일치한다.
Although disrespectful behaviour might be experienced differently in different time periods and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the terms that are used to describe disrespectful behaviour are surprisingly consistent over time and place.
동료에 대한 경멸은 동료와 팀워크를 억제하고, 환자에 대한 무례는 환자와의 공감대를 억제한다[84]. 괴롭힘과 인종 차별이 극단적인 예인 불경한 행동은 종종 용인되고 심지어 다른 사람들에 의해 강화된다[85 무례함은 대부분 학습된 행동이기 때문에 긍정적인 역할 모델링과 정규 교육을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다[85]. 그러나 불행히도, 학생들은 때때로 무례한 행동을 보이면 매우 부정적이고 문제가 많은 역할 모델들에 노출된다. 보복에 대한 두려움은 학생이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을 하도록 이끌 수 있다[87]. 학생들은 교사와 감독관의 비전문적 행동을 학교 경영에 보고할 기회를 가져야 한다. 또한 의대생들의 공감을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한 교육적 개입이 적용될 수 있다[88].
Disrespect towards colleagues inhibits collegiality and teamwork, and disrespect towards patients inhibits empathic relations with patients [84]. Disrespectful behaviour, of which bullying and racism are extreme examples, is often tolerated and even reinforced by others [85]. As disrespect is mostly a learned behaviour, it is possible to tackle it with positive role modeling and formal education [85]. However, unfortunately, students are sometimes exposed to very negative and problematic role models who at times are disrespectful [86]. Fear of retaliation can lead a student to act unprofessionally him/herself too [87]. Students should have the opportunity to report unprofessional behaviour of their teachers and supervisors to the school management. Furthermore,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maintain and enhance empathy in medical students could be applied [88].
사생활 침해도 일종의 무례한 행동이다. 이 연구에 따르면, 환자뿐만 아니라 학생과 의사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도전은 디지털 미디어와 전자 건강 기록 문서 시스템의 사용에서 비롯된다. 프로페셔널리즘은 역동적인 개념으로 [89]이며, "디지털 프로페셔널리즘"에 관해서 의사뿐만 아니라 학생에 대한 새로운 가치와 표준을 개발해야 하는 것 같다. [90–92].
Compromising privacy is also a form of disrespectful behaviour. According to this study, new challenges for maintaining privacy of patients, but also of students and physicians, come from the use of digital media and electronic health record documentation systems. Professionalism is a dynamic concept [89], and it seems that new values and standards for students as well as for physicians have to be developed regarding “digital professionalism.” [90–92].
부실한 자기인식
Poor self-awareness
이 테마의 행동은 자신의 부진한 퍼포먼스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학생들에 의해 나타난다: 학생은 외부 평가가 나타내는 것보다 더 잘 수행한다고 생각한다.
Behaviours in this theme are displayed by students who are insufficiently aware of their own poor performance: the student thinks to perform better than the external evaluation indicates.
성찰 능력의 감소는 전문직업성 문제와 관련된다. 자신의 행동에 대한 통찰력이 있어야, 행동을 변화시킬 필요성을 느끼게 되기 때문에 교정조치에도 문제가 된다[82, 95]. 전문성의 이러한 측면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위해, 교육자들은 또래의 성과에 기초하여 명확하게 기대를 정할 필요가 있다[96].
A diminished reflective ability is related to professionalism lapses [94], and forms a challenge for remediation, since insight into one’ sbehaviour is regarded necessary to change it [82, 95]. For students struggling with this aspect of professionalism, educators need to clearly set expectations based on the performance of peers [96].
비전문적 행동의 맥락
Context of unprofessional behaviour
학생의 직업적 행동을 평가할 때 개인적, 대인 관계 및 제도적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97, 98]. 이 행동 목록은 어떤 행동이 학생과 토론을 해야 하는 이유가 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며, 그 행동이 정말 비전문적이었는지를 밝힐 수 있는 맥락에서 해석을 목표로 한다. 우리는 학생들이 도전적인 작업 환경에 대비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다른 사람의 비전문적 행동, 스트레스가 많은 조건 및 시간 제약과 같이) 그들이 미래에 겪게 될 가능성이 있는 어떤 어려운 상황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3, 84, 99]. 학생들과 교사들은 어려운 상황에서 어떤 행동이 적절할 수 있는지에 대해 토론하고 협상해야 한다. (어려운 상황에서) 역할 모델링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임상실습에서) 어려운 조건이 발생할 때 공식적인 가르침이 필요해 보인다.
Personal, interpersonal and institutional circumstances have to be taken into account when evaluating a student’s professional behaviour [97, 98]. This list of behaviours indicates which behaviours should be a reason to have a discussion with the student, aiming for an interpretation in the context that could reveal if the behaviour was indeed unprofessional. Since we want to prepare students for a challenging work environment, it is crucial to teach students how to effectively handle certain difficult contextual conditions that are likely to happen in their future work, like unprofessional behaviours of others, stressful conditions and time constraints [3, 84, 99]. Students and teachers have to discuss and negotiate what behaviours could be adequate in difficult circumstances. Role modeling is not enough; formal teaching when these difficult conditions occur [in the clerkships] is deemed necessary [100].
한계
Limitations
이 방법의 한계는 교사들과 학생들에 의해 인식되지 않거나 보고되지 않는 일부 비전문적 행동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 여전히 숨겨진 행동은 우리가 제안하는 용어를 사용하여 오류에 대해 말할 때 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A limitation of this method is that there may be some unprofessional behaviours which go unrecognised or unreported by teachers and students. These -still hidden- behaviours might be revealed when speaking about lapses becomes more commonly accepted using the terminology that we propose.
우리의 방법은 연구 기사에 기술되지 않은 행동을 밝힐 수 없었다. 일부 지역에서 발췌한 연구 논문의 수가 제한되어, 결과적으로 특정 행동들에 대한 보고가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세계의 일부 지역이 충분히 대표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our method could not reveal behaviours that were not described in research articles. It has to be acknowledged that potentially some parts of the world are underrepresented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original research papers originating from some regions, which consequently could have led to an underreporting of certain behaviours.
실질적 의미
Practical implications
이 검토의 결과는 의료 교육자와 의료 교육 연구자에게 임상 및 임상 학부 의학의 비전문적 행동을 기술하기 위한 공통의 언어를 제공한다. 학생들의 비전문적 행동의 성격과 정도에 대한 지식은 교사들을 자극할 수 있고, 교사들과 학생들 사이에서 이러한 행동들에 대한 인정과 논의를 촉진할 수 있다. 이 목록은 교사들이 비전문적 행동을 보고 보고하도록 하고, 따라서 "failure to fail"라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results of this review provide medical educators and researchers in medical education with a common language for the description of unprofessional behaviour in preclinical and clinical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Knowledge of the nature and extent of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s could prompt teachers, and facilitate the acknowledgment and discussion of these behaviours among teachers and students. The list might facilitate teachers to see and report unprofessional behaviours, and thus help to solve the problem of “failure to fail”.
그러나 낙제만 주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즉, 교육자들이 관찰된 행동에 대해 학생과 대화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설명이 제시되고 맥락이 논의되는 그러한 대화는 공정한 평가와 학생에게 귀중한 형태 형성적 학습 경험 또는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대인관계 또는 제도적 원인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기타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101, 102](표 1)
Yet, only giving a fail is not enough: it is necessary that educators conduct a conversation with the student about observed behaviours. Such a conversation, in which explanations are given and context is discussed, can lead to a fair assessment and to a valuable formative learning experience for the student, or to other actions needed to improve interpersonal or institutional causes for unprofessional behaviour [101, 102] (Table 1).
후속 연구
Further research
또 다른 조사가 필요한 과목은 또래 학생들에 대한 책임감이다. 최근, 미국의 한 전국적인 연구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또래 학생들의 비전문적 행동을 보고해야 할 의무감을 느낀다고 말한 것을 발견했다[104].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로 이어진다. 어떻게 하면 이런 학생들의 의도를 행동으로 바꾸도록 교육할 수 있을까?
Another subject that needs investigation is students’ accountability for their peers. Recently, a US nationwide study found that a significant majority of students said that they feel obligated to report unprofessional behaviour of their peers [104]. This leads to the question: How can we educate these students to change their intentions into actions?
80. Kusurkar RA, Croiset G, Ten Cate OT. Twelve tips to stimulate intrinsic motivation in students through autonomy-supportive classroom teaching derived from self-determination theory. Med Teach. 2011;33(12):978–82.
Descriptors for Unprofessional Behaviours of Medical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and Categorisation
- PMID: 28915870
- PMCID: PMC5603020
- DOI: 10.1186/s12909-017-0997-x
Abstract
Background: Developing professionalism is a core task in medical education. Unfortunately, it has remained difficult for educators to identify medical students' unprofessionalism, because, among other reasons, there are no commonly adopted descriptors that can be used to document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 This study aimed to generate an overview of descriptors for unprofessional behaviour based on research evidence of real-life unprofessional behaviours of medical students.
Methods: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searching PubMed, Ebsco/ERIC, Ebsco/PsycINFO and Embase.com from inception to 2016. Articles were reviewed for admitted or witnessed unprofessional behaviours of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Results: The search yielded 11,963 different studies, 46 met all inclusion criteria. We found 205 different descriptions of unprofessional behaviours, which were coded into 30 different descriptors, and subsequently classified in four behavioural themes: failure to engage, dishonest behaviour, disrespectful behaviour, and poor self-awareness.
Conclusions: This overview provides a common language to describe medical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 The framework of descriptors is proposed as a tool for educators to denominate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s. The found behaviours can have various causes, which should be explored in a discussion with the student about personal, interpersonal and/or institutional circumstances in which the behaviour occurred. Explicitly denominating unprofessional behaviour serves two goals: [i] creating a culture in which unprofessional behaviour is acknowledged, [ii] targeting students who need extra guidance. Both are important to avoid unprofessional behaviour among future doctors.
Keywords: Humanities; Medical education;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misconduct; Professionalism; Systematic review; Unprofessional behaviour.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감 교육하기: 리뷰( J Gen Intern Med, 2006) (0) | 2020.02.20 |
---|---|
의과대학생의 비전문직업적 행동UPB 프로파일의 2차원 모델(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9) (0) | 2020.02.20 |
전문직이란(When I say . . . ) (Med Educ, 2019) (0) | 2020.02.19 |
프로페셔널리즘 실수와 위계: 의과대학생의 저항의 네러티브(Soc Sci Med, 2018) (0) | 2020.02.19 |
의과대학생의 전문직업적 과오에 대한 대처 로드맵(Acad Med, 2019) (0) | 2020.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