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범으로 리드하기: 학습자와 우리자신을 돕기위한 회복탄력성 롤모델링(Acad Med, 2018)

Leading by Example: Role Modeling Resilience Helps Our Learners and Ourselves

Mona M. Abaza, MD, MS, and Kathleen G. Nelson, MD



의사 소진 문제와 그 결과는 풍토병에 이르고 있다. 2017년 메디케이프 데이터에서 51%의 의사가 탈진했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불과 4년 전에는 40%이었다. 학생, 레지던트, 교수 자살에 대한 충격적 보고를 보면, 대학의학은 더 이상 이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The issue of physician burnout and its consequences is reaching endemic proportions. From the 2017 Medscape data1 showing that 51% of physicians report burnout, up from 40% just four years ago, to the disturbing reports of student, resident, and faculty suicide, academic medicine can no longer afford to not address this issue head on.


The National Academy of Medicine’s Collaborative on Physician Wellbeing2는 더 큰 시스템적 문제를 해결하는데에 필요한 중요한 단계다. 그러나, 문제를 해결해줄 "시스템"을 기다리는 것 또한 충분하지 않다.

The National Academy of Medicine’s Collaborative on Physician Wellbeing2 is an important step for our collective organizations to help address the larger systemic issues. But, waiting for the “systems” to fix the problem is not enough either.


교수는 trainee를 위해 많은 역할을 한다. 그들은 멘토, 후원자, 동료, 교사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그들은 함께 일하는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행동과 부정적인 행동의 롤모델이다.

Faculty serve many roles for their trainees: They may be mentors, sponsors, colleagues, and teachers, but they are, above all, models of behavior, both positive and negative, for those with whom they work.


우리 레지던트들과 학생들은 이미 이 문화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에 대해 생각하고 있다. ACGME(Accreditation Council for Screw Medical Education) 레지던트 협의회는 업무에서 의미를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주제를 설명했다.4 이들이 꼽은 다섯 가지 주제 중 네 개는 시스템적 부담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 

  • 보다 직접적인 환자 치료 제공 

  • 팀워크의 감각 공유

  • 지지적이고 협력적 작업 환경 

  • 점진적으로 자율이 증대되고 임상적으로 숙달되는 학습 환경,

이들이 이야기하는 것은, 현재 의료 시스템에서도 늘상 존재하는 기회에 대한 것이다.

Our residents and students are already thinking about how to change this culture.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resident council described several themes to help increase meaning in work.4 Four of the five themes had nothing to do with systemic burden issues. 

  • From providing more direct patient care, 

  • to a shared sense of teamwork, 

  • to a supportive, collegial work environment and 

  • a learning environment of progressive autonomy and clinical mastery, 

they talked about concepts that present daily opportunities in our health care systems.


언젠가 환자들과의 만남이 우리가 다른 인간을 위해 변화를 준 것 같은 느낌을 받는 것처럼, 학습자가 복잡한 개념이나 절차를 파악하도록 돕는 기쁨과 만족을 겉으로 드러내거나, 새로운 과학적 지식을 발견함에 있어서 우리가 느끼는 경이로움에 놀라워하는 것 역시 대학의학에만 존재하는 특별한 기회다. 이것들은 다른 많은 직업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medicine의 선물이다.

Acknowledging the patient encounter that made us feel like we made a difference for another human being that day, showing visible expressions of the joy and satisfaction in helping a learner grasp a complicated concept or procedure, and marveling at the wonder we feel in discovering a new piece of scientific knowledge are unique opportunities in academic medicine. These are the gifts of medicine that are not found in many other professions.


매일 사람들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은 의학에서 "소명"의 큰 부분이며, 여기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우리 자신의 성취감뿐만 아니라 우리 학습자들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소진이 아니라 회복탄력성을 키울 수 있다.

The daily opportunity to make a difference in people’s lives is a large part of the “calling” of medicine, and paying attention to it is a critical step to improve our learners’ as well as our own sense of accomplishment. Doing so will foster resilience, not burnout.


문화를 변화시킬 필요성은 우리의 생존에 중요할 뿐만 아니라 미래의 의사들의 훈련에도 필수적이다. 이는 2017년 7월 1일부터 발효된 ACGME의 새로운 공통 프로그램 요건에 의해 강조된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The need for this culture change is not just critical to our survival, it is also essential to the training of future physicians. This is underscored by the ACGME’s new common program requirements,5 which took effect July 1, 2017. They state:


심리적, 정서적, 육체적 행복은 유능하고, 자상하며, 회복탄력적인 의사의 발달에 중요하다. 자기 관리는 전문직업성의 중요한 요소이며, 그것은 또한 레지던트 훈련과정의 여러 맥락에서 배우고 길러야 하는 기술이다.

Psychological, emotional, and physical well-being are critical in the development of the competent, caring, and resilient physician. Self-care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professionalism; it is also a skill that must be learned and nurtured in the context of other aspects of residency training.


자기 관리가 배워야 할 기술이라는 점은 가볍게 보아서는 안 된다. 우리는 이 기술을 보여주는 역할 모델이 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학습자의 자기 관리 요구를 이해하고 지원하는 것 이상의 것이다. 자기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학습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롤모델링을 제공하여 볼 수 있게 함을 의미한다. 우리는 학습자들에게 우리가 "미팅"에 간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자신의 진료 약속care appointment에 간다고 말해야 한다.

The point that self-care is a skill to be learned is not to be taken lightly. We can be the role models who demonstrate this skill. More than just being understanding and supportive of our learners’ self-care needs, this means providing the role modeling they need to see to understand the relevance of self-care. We need to tell them that we are going to our own care appointments and not “to a meeting.”


교수들은 교수 자신의 니즈, 자기 가족의 니즈, 그리고 환자들의 니즈 사이에서 선택하는 상황에서 직면하는 딜레마에 대해 공개적으로 말할 필요가 있다. 비록 교수들은 일정이 더 유연하다고 말하지만, 유연성이 많다는 것은, 시간이 더 많다는 것이 아니라, 단지 더 많은 옵션이 존재한다는 의미함을 논의해야 한다. 교직원들이 자녀의 초등학교 프리젠테이션에 가기로 결정했을 때, 그것은 종종 환자를 보기 위해 더 일찍 출근하거나, 모든 사람이 잠자리에 든 후에도 미팅 일정을 다시 잡거나, 일을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We need to openly talk about the dilemmas we face in making choices between our needs, our family’s needs, and our patients’ needs. Although faculty often have more flexibility in their schedules, we should discuss that flexibility does not mean more hours, just more options. When faculty choose to go to their child’s grade school presentation, it sometimes means needing to come to work early to see patients or reschedule meetings or work after everyone goes to bed.


균형이란 의무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 아니다. 균형이란 그 날 가능한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합리적인 틀 안에서 의무를 완수하는 방법을 찾는 것을 의미한다.

Balance does not mean forgoing responsibility for obligations but finding ways, to the best of one’s ability that day, to accomplish them within a reasonable framework.


교수들도 이런 일을 완벽히 해낼 것이라고 기대해서는 안 되고, 학습자들도 교수가 완벽할 것이라고 기대해서는 안 된다. 회복탄력성을 롤모델링 한다는 것은 우리가 성공하지 못했을 때에도 정직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잠도 못 자고, 감기에 더리고, 누군가와 말다툼을 해서 우리가 최선의 퍼포먼스를 보이지 못할 때, 우리는 자신의 한계를 포용해야 한다. (동료들은 말할 것도 없고) 우리가 최선을 다하지 못할 때, 도움이 필요하다고 스스로 말할 만큼 용감하지 않은데, 어떻게 학습자들이 그렇게 하기를 기대할 수 있을까? 만약 우리가 그들에게 우리의 "완벽한" 모습만 보여준다면, 어떻게 학습자가 스스로 완벽하지 못하다는 것을 인정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까? 

Faculty should not expect to be perfect at this, nor should their learners expect them to be perfect. Role modeling resilience means being honest about when we are not succeeding at it. When we are less than our best because we did not sleep, have a cold, or had an argument with someone, we have to own our limitations. If we are not brave enough to tell ourselves, let alone our peers, that we are not at our best and we need help, how can we expect our learners to do so? If we only demonstrate the “perfect” us to them, how can we expect them to acknowledge they are less than perfect themselves? 


복원력은 적응력에 대한 것이지 완벽에 대한 것이 아니다. 이러한 적응 능력과 취약성을 보여주는 능력은 교수에게도 "쉬운 일"은 아니지만, 여전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다. 

Isn’t resilience about adaptability, not perfection? This demonstration of the ability to adapt and show vulnerability is not an “easy ask” of faculty, but it is within our ability.


자기자신의 개인적 행복의 성공과 실패를 우리의 연습생과 동료들에게 의식적으로 기록하고 증명함으로써, 우리는 회복탄력성을 모델링하는 회복탄력적인 교수로서, 우리 모두에게 회복탄력적 가능한 미래를 창조하기 위해 대학의학에 필요한 문화적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By consciously noting and demonstrating our own successes and failures in our personal well-being to our trainees and peers, we as resilient faculty, role modeling our approaches, can help create the culture change we need in academic medicine to create a resilient future for all of us.




 2018 Feb;93(2):157-158. doi: 10.1097/ACM.0000000000001936.

Leading by ExampleRole Modeling Resilience Helps Our Learners and Ourselves.

Author information

1
M.M. Abaza is professor of otolaryngology, University of Colorado School of Medicine, Aurora, Colorado. K.G. Nelson is clinical professor of pediatrics, Keck School of Medicine of USC, Los Angeles, California.

Abstract

The issues of burnout and its consequences are some of the most prevalent topics in conversations about the practice of medicine today. Many reports have focused on the contributors that fuel this epidemic, but the time has come to begin to focus on solutions. Prominent national efforts, including a National Academy of Medicine collaborative task force and the 2017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common program requirements' focus on wellness, are presenting opportunities for academic medicine faculty to take the lead in turning this tide. While solutions to the burnout crisis are complex, the foundations of improving this epidemic lie in restoring a sense of purpose and balance in the lives of those who work in academic medicine. The inherent value of academic medicine to improve others' lives through patient care, the advancement of knowledge, and the education of the next generation is a unique opportunity that many other professions do not share. On the best days, academic medicine faculty must remember to look for that joy and to express it to learners, and, on the worst, they must demonstrate to learners how to practice self-care and how to create personal resilience. By taking on the role of becoming resilient, faculty start to foster a culture of well-being rather than burnout and can begin to find solutions instead of continuing to describe the problem.

PMID:
 
28991841
 
DOI:
 
10.1097/ACM.000000000000193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