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amee.org/index.asp?tm=23)



교육에 대한 연구는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논쟁을 해소시키는 역할과 실제로 교육적 향상이 있음을 입증하는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전통을 축적, 확립하여 오래된 지혜가 일시적인 유행에 의해 흔들리지 않으면서도 교육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어야 한다.


Education research should be capable of ‘…settling disputes regarding educational practice, …verifying educational improvements, and … establishing a cumulative tradition in which improvements can be introduced without the danger of a faddish discard of old wisdom in favour of inferior novelties’


Stanley JC, Campbell DT.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Designs for Research. 1966.





2008년 1월, Robert Slavin은 이렇게 말했다. "교육의 역사를 통틀어, 교육 프로그램은 '근거'보다는 이데올로기, 유행, 정치, 마케팅에 따라서 바뀌어왔다. 근거 중심의 정책을 펴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복제가능한(replicable)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 과학적으로 타당하고, 해석가능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의 주장이 최근에 나온 것이긴 하지만 새로운 것은 아니다. 사실, 이미 40년 전 Campbell과 Stanley는 교육에 관한 연구는 "새롭기만 하고 열등한 것이 오랜기간 축적된 지혜를 위협하지 않는 선에서 발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근거중심의 교육과 그 근거라는 것이 무엇인가를 밝히려는 노력은 오래 전부터 있어왔다. Tom Russell은 1999년 그의 책 "The No Significant Difference Phenomenon"에서 "이미 10년 전부터 나는 기술이 교육을 향상시킨다는 근거를 모으기 위한 연구를 해왔다. 내가 내린 놀라운 결론은, 엄청난 수의 연구가 있지만 그 대부분은 유의미안 차이를 보여준 것은 거의 없다는 사실이다" 라고 했다. 즉, 교육자들은 스스로 난제를 만들었다. 별다른 향상을 이뤄내지 못했다고 결론을 내거나, 그렇지 않으려면 스스로를 위해서 세운 이 목표를 위해 수행한 연구들의 가치에 대한 의문을 제기해보아야 한다.


의학교육 분야 역시 이 문제로 고심하고 있다. 연구를 하는데 있어서 무언가 잘못되어 가고있고, 이에 대한 우려를 표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정확히 무엇이 문제인지를 짚어내지 못하고 있다. 연구를 위한 과학적 모델이 있지만 이 모델을 따르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과연 달성하려는 목표를 향해 제대로 가고 있는지, 우리가 달성하려는 목표가 옳은 것인지에 대한 확신이 없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있다. 방법론적 관점에서는 여러 연구가 교육과정에 대한 개입과 장기적인 성과를 효과적으로 연결짓지 못한다는 우려가 있다. 또 어떤 사람들은 사람들은 광범위한 교육적 실험은 무용지물이며, 교육의 진보는 '여러 개의 작은, 잘 통제된, 여러 실험실에서 이루어지는, 개입 요소의 약간의 변조(variation) 속에서도 반복적으로 증명되는' 연구에 의해서 이뤄진다고 주장한다.


여러 대중들의 논쟁은 교육에 있어서 '좋은'연구란 무엇인가에 대한 논쟁과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자연과학에서 말하는 '타당한' 연구에 대한 은유(metaphor)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것은 두 가지 특징을 가진다.


첫 번째는, 전통적인 자연과학의 '가설검증'이란 프레임이다. 이는 '증거에 대한 요구(imperative of proof)'라고도 할 수도 있다.

두 번째는, '궁극적인 단순함을 추구하는 것(ultimate search for simplicity)' 이다. 이는 '단순함에 대한 요구(imperative of simplicity)'라고도 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요구가 합쳐져서 의학교육에 '과학'이라는 것이 생겨났고, 단순하고, 일반화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 그 목적이 되었다.


의학교육도 점차 자연과학의 필수요소(imperatives)를 연구의 목적으로 삼게 되면서, 이는 의학교육 연구의 아젠다에 영향을 주게 되었다. 

종종 이러한 영향은 매우 노골적으로 의학교육연구의 '기준(standard)'를 확립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 가끔은 매우 소소한 부분에 영향을 줘서 의학교육 저널들은 다른 사회과학 저널들과 달리 논문의 길이를 훨씬 더 제한하고 있다. 


이렇게 노골적이든, 소소하게든, 종합적으로 봤을 때 자연과학에서 차용한 기준이 영향을 주고 있는 것 만큼은 분명해보인다.


따라서 우리 의학교육 커뮤니티가 연구의 기저에 깔려있는 '필수요소'를 어떻게 해석하고 받아들이고 있는지 조사해볼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교육의 과학'에 대해서 다르게 생각해 볼 수 있는 프레임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어떻게 우리가 좀 더 발전적으로 대처해갈 수 있을가를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또한 본격적으로 들어가기에 앞서서, 이러한 우려가 단지 '양적 연구'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님을 밝히고자 한다. Lingard가 말한 것처럼 질적 연구까지도 이 분야에 팽배해있는 인식론적인 영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단순화(simplification)에 대한 압박에 있어서 특히 더 그렇다.  따라서 양적 연구 패러다임에 대해서만 비판을 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단지 인식론적 힘이 미치고 있는 영향을 보여주기 위한 사례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2010 Jan;44(1):31-9. doi: 10.1111/j.1365-2923.2009.03418.x.

It's NOT rocket sciencerethinking our metaphors for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ource

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glenn.regehr@ubc.ca

Abstract

CONTEXT:

The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community is struggling with a number of issues regarding the place and value of research in the field, including: the role of theory-building versus applied research; the relative value of generalisable versus contextually rich, localised solutions, and the relative value of local versus multi-institutional research. In part, these debates are limited by the fact that the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community has become deeply entrenched in the notion of the physical sciences as presenting a model for 'ideal' research. The resulting emphasis on an 'imperative of proof' in our dominant research approaches has translated poorly to the domain of education, with a resulting denigration of the domain as 'soft' and 'unscientific' and a devaluing of knowledge acquired to date. Similarly, our adoption of the physical sciences''imperative of generalisable simplicity' has created difficulties for our ability to represent well the complexity of the social interactions that shape education and learning at a local level.

METHODS:

Using references to the scientific paradigms associated with the physical sciences, this paper will reconsider the place of our current goals for education research in the production and evolution of knowledge within our community, and will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value of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CONCLUSIONS:

Reorienting education research from its alignment with the imperative of proof to one with an imperative of understanding, and from the imperative of simplicity to an imperative of representing complexity well may enable a shift in research focus away from a problematic search for proofs of simple generalisable solutions to our collective problems, towards the generation of rich understandings of the complex environments in which our collective problems are uniquely embedded.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