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하는 헬스케어 환경이 의과대학 교수의 건강과 웰빙에 미치는 영향(Acad Med, 2006)
The Impact of the Changing Health Care Environment on the Health and Well-Being of Faculty at Four Medical Schools
Barbara A. Schindler, MD, Dennis H. Novack, MD, Diane G. Cohen, Joel Yager, MD,
Dora Wang, MD, Nicholas J. Shaheen, MD, MPH, Phyllis Guze, MD,
LuAnn Wilkerson, EdD, and Douglas A. Drossman, MD
"위기"란 용어는 수년간 미국 의료의 상태를 기술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카이저 재단 (Kaiser Foundation) 국가 연구에서 의사의 대다수는 최근 몇 년간 사기가 줄어들 었다고보고했습니다. 루드 메러 (Ludmerer)는 Time to Heal에서 정부 및 민간 자원으로부터의 기금 삭감, 연구에 대한 강조의 증가, 임상 수입 창출의 압력으로 인해 학술 의료 센터 및 의과 대학에서의 교육이 심각한 위험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The term “crisis” has been used to describe the state of American medical care for a number of years. In a Kaiser Foundation national study, a majority of practicing physicians reported that their morale had waned in recent years.2 Ludmerer, in Time to Heal,3 argues that teaching in academic medical centers and medical schools is in serious jeopardy because of
decreasing funds from governmental and private sources,
increasing emphasis on research, and
pressure to generate clinical revenues.
경제적 불확실성과 동료의 감소는 신체적, 정서적 이환율 증가 및 교수의 과도한 사망률 증가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일자리 손실과 재정적 불확실성은 건강에 대한 악영향과 관련이 있습니다. 의사와 거주자의 "번아웃"과 의사의 건강 및 환자 치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헌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Financial uncertainty and colleague attrition, appeared to contribute to increased physical and emotional morbidity and seemingly excessive mortality among faculty. Job loss and financial uncertainty have been implicated in adverse effects on health.5–7 There is a growing literature on “burnout” among physicians and residents and its effects on physicians’ health and patient care.8–11
방법
Method
By modifying the survey instrument used in 1984 by Linn et al.14 the authors developed a 136-item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at was distributed to four medical schools: one private, three public, located in the east, the southwest, and the western part of the United States with interested researchers, representing a diversity of geographic locations, practice patterns, and revenue streams.
We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which took approximately 20 minutes to complete, to all 3,519 clinical and basic science faculty members employed at least half-time by the four schools between August 2000 and November 2001 in up to three mailings. The questionnaire was to be answered anonymously but included questions abou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amely sex, marital/partner status, number of children, religiosity, race, employment data, and discipline.
We included three scales used in the 1984 study:
a revised 16-item work satisfaction scale (the Physician Job Satisfaction scale [PJSS], a five-point scale where 1 “very dissatisfied” and 5 “extremely satisfied”),14
the 10-item Rand Anxiety scale (a six-point scale where 1 “never” and 6 “always”),15 and
a nine-item Life Satisfaction Scale (LSAT, a seven-point scale where 1 “terrible” and 7 “delighted”).16
We added to the questionnaire measures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medications use, behavioral response to stressors, and perception of institutional health.
We also included
Revicki’s 18-item Work- Related Strain Inventory (WRSI, a four- point scale where 1 “applies” and 4 “does not apply”),17 and
the 20-item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a three-point scale where 0 “rarely” or “none of the time” and 3 “most” or “all of the time”).18
사회인구학적 특성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결과
Results
근무 특성
Work characteristics
신체 및 정신 건강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CES-D (Centre for Epidemiology Study Depression Scale) 368 (20.5 %) 교수는 임상 우울증 (16 점 이상)과 일치하는 증상을 보고했다 .20이 측정에 따르면 CES- 231 명 (19.8 %)의 남성과 137 명 (22.3 %)의 여성이 16 점 이상 (p. 05)으로 우울 증상을 보였다. 대조적으로, 응답자가 자기보고 된 증상을 사용했을 때, 132 (21 %) 명의 여성이 남성 (11.0 %)에 비해 지난 5 년간 "우울증"을 경험했다고보고했다. 젊은 교수 (27-35 세)는 (평균 점수 11.23) 시니어 교수(56-65 세)보다 CES-D 점수가 높았다 .
Using the Center for Epidemiology Study Depression Scale (CES-D), 368 (20.5%) faculty reported symptoms consistent with clinical depression (a score of 16 or above).20 According to this measure, there were only small sex differences in CES-Dreported depressive symptoms, with 231 (19.8%) men and 137 (22.3%) women scoring 16 or above (p .05). In contrast, when respondents used the self- reported symptominventory, 132 (21%) women reported experiencing “depression” in the past 5 years as compared to 136 (11.0%) men. Younger faculty members (27–35 years) reported higher total CES-D scores (mean score of 11.23) than did older faculty (56–65 years), who had a mean score of 8.89 (p .03).
Rand Anxiety Scale에서 0-100의 가능한 점수로 정상 범위 (점수 39)에서 72.5 % (1,369)의 의사가 정상범위 점수를 얻었고, 292 (15.5 %)는 경도의 불안을 나타내는 점수 ), 194 명 (10.3 %)에서 중등도 불안 (51-72 점), 34 명 (1.7 %)으로 심한 불안 (73 점)이 나타났다. 모든 학교의 평균 점수는 25.42 (표준 편차 [SD] 8.36)이었다. 연령 차이가 있었으며, 젊은 교수의 Rand Anxiety 점수가 평균 36.01 인 반면, 시니어 교수는 평균 점수는 26.80 (p .001)이었다.
On the Rand Anxiety Scale, with possible scores ranging from 0–100,
72.5% (1,369) of physicians had scores in the normal range (score, 39),
292 (15.5%) had scores indicating mild anxiety (score, 40–50),
194 (10.3%) indicated moderate anxiety (score, 51–72), and
34 indicated (1.7%) severe anxiety (score, 73).
The mean score for all schools was 25.42 (standard deviation [SD] 8.36). Age differences were again noted, with younger faculty having a mean Rand Anxiety score of 36.01, whereas older faculty had a mean score of 26.80 (p .001).
알코올 소비는 연령별로 증가하여 젊은 교사 (27-45 세) 중 24 % (210/878 명)가 일주일에 몇 번씩 술을 마시는 반면, 나이가 많은 교수 (56 세)는 45.3 % (159 / 351) 남성의 36 % (462 명 / 1,263 명)가 여성의 27.2 % (178/655 명)에 비해 일주일에 몇 번씩 마셨다.
Reported alcohol consumption increased by age, with 24%(210/878) of younger faculty (age 27–45) drinking daily to several times per week, compared to 45.3%(159/ 351) of older faculty (age 56 ). Thirty-six percent (462/1,263) of men drank daily to several times per week, compared to 27.2%(178/655) of women.
건강 관련 문제(새로운 발병 (18 개월 이내)과 과거 (5 년 이내))는 기초 과학자와 임상의사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지난 5 년 동안 응답자의 약 72 % (1,400)가 한 건 이상의 건강 문제를 경험했는데,
가장 흔한 것은 요통 (29.7 % [579]), 체중 증가 또는 체중 감량 (24.9 % [485]), 두통 , 위염 (17.6 % [344]), 고혈압 (10.7 % 허리 통증 (6.3 % 123), 위염 (4.2 % [81]), 우울증 (3.1 % [60]), 두통 (2.8 % [54]).
약을 복용중인 사람은 적은 편. 항우울제 (4.6 %, 항우울제 4.0 %, 위장제 4.3 %, 진통제 4.3 %), 항우울제 (90 %), 항우울제 불안 완화제 (0.4 % [8]).
여자들은 남자보다 지난 5 년간 불안 / 공황 (p. 02), 변비, 우울증, 두통, 고혈압, 체중 변화 (p .001), 당뇨병 을 더 많이 겪었다.
Health-related problems, both new onset (within 18 months) and past (within five yea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asic scientists and academic physicians. In the past five years, approximately 72%(1,400) of respondents experienced one or more health problems,
the most common being back pain (29.7%[579]), weight gain or loss (24.9%[485]), headache (22.6%[441]), gastritis (17.6%[344]), and hypertension (10.7%[208]). New- onset problems included weight gain or loss (8%[156]), back pain (6.3%[123]), gastritis (4.2%[81]), depression (3.1% [60]), and headache (2.8%[54]).
In general, respondents reported minimal use of medications, including antihypertensives (4.6%[90]), antidepressants (4.0%[78]), gastrointestinal medications (4.3%[84]), pain medications (4.3%[84]), and anxiolytics (0.4%[8]).
Women reported higher rates than did men of anxiety/ panic (p .02), constipation, depression, headache, hypertension, and weight changes (all p .001), and diabetes (p . 001) over the past five years.
직무 만족
Job satisfaction
중등도 만족 문항
"조직 / 행정 결정을 내리는 역할"
"승진 또는 성공을 위한 기회"
"일의 필요와 요구를 충족시키는 능력"
"급여 / 소득."
An average of 1,260 academic physicians completed each itemon the PJSS, a five- point job satisfaction scale. They rated themselves as moderately satisfied (2.93– 3.17) on the following scale measures:
“role in making organizational/ administrative decisions,”
“opportunities for promotion and/or increasing success,”
“ability to meet the needs and demands of your work,” and
“salary/income.”
높은 만족 문항
"당신의 일과 관련된 지위와 위신의 정도"(3.44),
"지식이 풍부하고 최신(지식)의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3.53),
"당신의 일에서 개인적인 만족을 얻는 능력"(3.70).
These respondents rated other aspects of their work somewhat higher:
“degree of status and prestige associated with your work” (3.44),
“ability to remain knowledgeable and current” (3.53), and
“ability to derive personal gratification fromyour work” (3.70).
가장 높은 문항
"직무가 교육적으로 자극을 주는지"(3.96).
“the degree to which your work is educationally stimulating” (3.96).
가장 낮은 문항
"당신에게 제공되는 인력 자원"(2.52)과
"당신의 경력을 발전시키는 방법으로 멘토링되고 있는지"(2.64).
Physicians were less satisfied with
“the manpower resources available to you” (2.52) and on
“being mentored in a way that furthers your career” (2.64).
기초>임상
"멘토링되고있다"
"당신의 일에서 개인적인 만족을 얻는 능력"
"당신에게 제공되는 인력 자원"
"가르침teaching에 할당 된 시간"
"작업량"
"당신의 일에서 개인적인 만족을 얻는 능력."
An average of 390 basic science faculty reported small but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job satisfaction than academic physicians on six of the scale measures (p .005), including
“being mentored,”
“ability to derive personal gratification from your work,”
“the manpower resources available to you,”
“time allocated to teaching,”
“work volume,” and
“ability to derive personal gratification from your work.”
직무 부담
Work strain
교수 관련 연구에 대한 작업 관련 인벤토리 (Work Related Strain Inventory, WRSI)에 대한 반응으로 몇 가지 중요한 직무 부담의 원인이 밝혀졌다.
가족 생활에 대한 간섭 (35 % [685]) 및
"과거보다 더 초초Edgy"(30 % [586]).
Faculty responses to the Work Related Strain Inventory (WRSI) revealed some significant sources of work strain, including
interference with family life (35%[685]) and
being “more edgy than in the past” (30%[586]).
동시에 720 (37 %)은 직무 기대치가 실현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이전과 동일한 수준이라고 한 응답은 866 명 (44 %), 생산성이 증가하였다고 응답한 것은 644 명 (33 %), 전문직의 성장과 기술이 지속적으로 향상되었다고 보고한 것은 788 명 (40 %) 이었다. 기초와 임상 교수 사이의 WRSI 평균 평균 점수에는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18 개 질문 중 8 개에서 임상 교수는 기초 교수보다 작지만 상당히 높은 수준의 업무 긴장을 보였다. 작업 긴장과 신체 증상의 빈도간에 유의 한 상관 관계는 없었다.
At the same time, 720 (37%) reported that their job expectations were being realized, 866 (44%) that they were contributing to the same degree that they had previously, 644 (33%) that their productivity has increased, and 788 (40%) reported that their professional growth and skills continued to improv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total scores for the WRSI between academic physicians and basic science faculty. However, on eight of 18 questions, academic physicians indicated small but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work strain than did basic science faculty.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work strain and frequency of physical symptoms.
스트레스 반응
Response to stressors
Table 2 displays respondents’ answers to a series of questions about their behavioral response to stressors.
Life satisfaction
LSAT (Life Satisfaction Scale)에서 응답자는 직장 생활, 가족 생활, 재정, 사회 관계 및 신체 건강과 같은 삶의 다양한 측면을 평가하도록 요청 받았습니다. 대부분 평균 점수는 5 점 (대부분 만족 됨)과 6 점 (만족 스럽다) 사이였다.
On the Life Satisfaction Scale (LSAT), respondents were asked to rate various aspects of their lives, such as work, family life, finances, social relations, and physical health. For the most part, mean scores ranged between five (mostly satisfied) and six (pleased).
직업 안정
Job stability
There were several questions relating to perceptions of job stability.
"현재와 미래의 급여 안정성이 임상 및 연구 생산성에 어느 정도 밀접하게 의존하는지"묻는다면 467 명 (24 %)은 급여가 "별로"또는 "전혀"의존하지 않는다고 응답했습니다. 493 명 (25 %)은 급여가 "완전히 의존적"이라고 응답했다.
"기관 변화로 인해 향후 2 ~ 3 년 내에 기관을 떠날 가능성이 얼마나 높습니까?"라는 질문에 245 명 (12.6 %)의 응답자는 "그렇지 않은 경우"또는 "매우 그렇다" 638 명 (32.7 %)은 "전혀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최근에 얼마나 자주 학계를 떠날 생각을 했느냐"는 질문에 530 명 (27.7 %)이 "종종"또는 "자주"에 대해 생각한다고보고했으나 740 (38 %)는 "드물게"또는 "결코"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것에 대해.
"최근에 얼마나 자주 당신이 조기 퇴직을 생각 하느냐"는 질문에 381 명 (20 %)은 "자주"또는 "자주는 아니"라고 생각하는 반면, 1,109 명 (58 %)은 "절대로"또는 " 드물게 "생각했습니다.
When asked “to what extent does the stability of your salary, now and in the future, closely depend on your clinical and research productivity,” 467 (24%) responded that their salaries were “not very” or “not at all” dependent on productivity, whereas 493 (25%) responded that their salaries were “completely dependent.”
To the question, “how likely is it that you will be forced to leave your institution in the next two to three years because of institutional changes,” 245 (12.6%) respondents said that it was “more likely than not” or “very likely,” whereas 638 (32.7%) responded “not at all likely.”
When asked “how often in the recent past have you considered leaving academia,” 530 (27.7%) reported thinking about it “more often than not” or “often,” whereas 740 (38%) “rarely” or “never” thought about it.
To the question, “how often in the recent past have you considered taking early retirement,” 381 (20%) reported thinking about it “often” or “more often than not,” whereas 1,109 (58%) “never” or “rarely” thought about it.
기관의 재정상태와 교수의 웰빙
Institutional financial health and faculty well-being
응답자들은 기관의 재정 건전성을 5 점 척도로 묘사하도록 요청 받았는데, 여기에는 1 개는 "곤란한 상태"이고 5 개는 가장 좋은 상태였습니다 .
270 명 (14 %)이 "우리는 문제가있다"고 응답했다.
385 (20 %)는 "일이 이렇게 계속되면 우리는 곤경에 처할 수있다"고
902 명 (47.2 %)은 "어려운시기가있을 수 있습니다."라고 선택했습니다.
352 명 (18.5 %)만이 "우리는 꽤 좋은 모습"또는 "지금까지 최고였습니다"중 하나를 선택했습니다.
Respondents were asked to describe the financial health of their institutions on a five-point scale, where 1 “we’re in trouble” and 5 “the best it’s ever been.” Two hundred and seventy one (14%) responded “we’re in trouble,” 385 (20%) stated “we could be in trouble if things continue this way,” and 902 (47.2%) chose “there may be difficult times ahead.” Only 352 (18.5%) chose either “we’re in pretty good shape” or “the best it’s ever been.”
제도적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교수진 웰빙 척도와 관련이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위의 5 가지 주요 척도 (삶의 만족, 직무 만족, 작업 스트레스, 우울증 및 불안)에 대한 재정 건전성에 대한 응답을 연관시켰다. 4 개 학교 모두에서
기관의 재정 건전성은 삶 만족도, 직무 만족도 및 업무 부담과는 작지만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지만,
기관의 재정 건정성은 우울증과 불안과의 긍정적 상관 관계.
제도적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는 학교 전체의 직업 만족도와 가장 관련이 있었다 (r-29 ~ -41, p.
기관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와 신체적 증상의 빈도 간에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To investigate whether concerns about institutional financial health were related to measures of faculty well-being, we correlated responses to the above question about financial health to the five main scale measures (lif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work strain, depression, and anxiety). At all four schools,
there were small but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respondents’ concerns about institutional financi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work strain; and
posi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and anxiety.
Concerns about institutional financial health correlated most with job satisfaction across schools (r –.29 to –.41, p .001).
There were no correlations between concerns about institutional financial health and frequency of physical symptoms.
동료의 이탈과 교수의 웰빙
Colleague attrition and faculty well-being
응답자들은 설문 조사 18 개월 전 종료, 사망, 은퇴, 질병으로 인해 떠났거나 사망 한 동료 수를 문서화했습니다. 응답자가 종료 한 동료의 평균보다 6 배, 종결 된 사람들의 평균의 약 4 배를보고 한 학교 1을 제외하고는 평균 수치가 낮았고 (1.0) 학교 간 비교가 가능했습니다.
이러한 손실의 응답자에 대한인지 된 영향을 다양한 다른 척도에 대한 응답과 상관시키기 위해 응답자에게 동료 손실의 심각도를 순위 지정하도록 요청했습니다. 여기에는 1 "영향 없음", 2 "보통 영향"및 3 "매우 부정적인 영향."
이러한 모든 손실의 정서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우리는 교수 이탈의 각 범주에서 효과 질문에 대한 모든 응답의 합계 인 "총 영향 점수"를 작성했습니다. 전체 표본의 평균 총 효과 점수는 5 가지 주요 척도 (p .001, r. 200 ~ .301)와는 완만하지만 유의 한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의사의 직무 만족도 (r-.300) 직무 관련 부담이 가장 두드러졌다(r -.301).
Respondents documented the number of colleagues who quit, were terminated, retired, left because of illness, or died in the 18 months prior to the survey. Mean numbers were low ( 1.0) and comparable across schools, with the exception of school 1, where respondents reported six times the mean of colleagues who quit and about four times the mean of those who had been terminated.
To correlate the perceived effect on respondents of these losses with responses on the various other scales, we asked respondents to rank the severity of these colleague losses on them, where 1 “no effect,” 2 “moderate effect,” and 3 “very negative effect.”
To evaluate the potential emotional impact of all of these losses, we created a “total effect score,” the sumof all the responses to the effect questions in each of the categories of faculty attrition. For the entire sample, the mean total effect score showed modest but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five main scales (p .001, r .200 to .301), the most significant with physicians’ job satisfaction (r –.300) and work-related strain (r –.301).
성, 연령, 결혼상태, 전공에 따른 영향
Effects of sex, age, marital status, and discipline on scale measur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scale measures across some disciplines (see Table 3).
학교 간 비교
Cross-school comparisons
우리는 네 곳의 모든 학교에서 몇 가지 조치에 대해 여러 가지 차이점을 확인했다.
응답자의 건강 관련 문제는 학교에서 비슷했고
CES-D 스코어는 학교마다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4 번 학교의 Rand Anxiety 점수는 다른 학교보다 높았습니다 (p .001).
학교 3에는 최연소 교수가 있었지만 학교 4에는 가장 오래된 교수가 있었으며, 또한 같은 기관에서 가장 오랫동안 고용되어있었습니다.
작업 특성은 학교마다 다르게 나타났습니다.
학교 1의 응답자는 학교 2(주당 61.14 시간, 57.32 시간, 0.001 시간)와 학교 3 (61.14 시간 56.96, p .001)보다 더 오래 근무했다.
학교 2의 응답자는 가르치는 데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했으며, 학교 3의 응답자는 가장 적게 보냈습니다.
학교 2의 교수진은 학교 1 또는 4 (p .001) 및 학교 3 (p. 002) 응답자보다 학교의 재정 상태에 대해별로 우려하지 않는다고보고했습니다.
We noted a number of differences on some measures across all four schools.
Respondents’ health-related problems were similar across schools, and
the CES- Dscores did not vary between schools.
Yet, the Rand Anxiety scores at school 4 were higher than at other schools (p .001).
School 3 had the youngest faculty, whereas school 4 had the oldest faculty, who also had also been employed at the same institution the longest.
Work characteristics varied across schools as well:
respondents at school 1 worked longer hours than at school 2 (61.14 hours per week compared to 57.32 hours, p .001) and at school 3 (61.14 hours compared to 56.96, p .001).
Respondents at school 2 devoted the most time to teaching, and those at school 3 the least.
Faculty at school 2 reported being considerably less concerned about their school’s financial health than respondents at schools 1 or 4 (p .001) and school 3 (p .002).
고찰
Discussion
눈에 띄는 결과는 우울증과 불안의 예상보다 높은 비율(특히 젊은 교수 및 외과 의사에서), 성별 또는 학교에 따른 차이는 적은 것 등이다. 또한, 결과는 기관의 재정적 불안정에 대한 교수의 인식이 높은 수준의 업무 부담, 우울증 및 불안감과 관련되어있음을 보여준다.
Significant findings include higher than expected rates of depression and anxiety, especially in younger faculty and in surgeons, with minimal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or school. In addition, the results demonstrate higher levels of work strain, depression, and anxiety associated with faculty perceptions of their institution’s financial instability.
다소 놀라운 것은 우리가 응답자의 재정적 불안정, 업무 긴장 및 신체적 증상에 대한 인식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없음을 발견했습니다. 일반적으로 교수진은 높은 수준의 삶의 만족도를보고했다. 결혼을하면 학업 환경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 할 수 있습니다. 경력을 쌓는 동안 대학의학에서 가장 많은 변화를 경험 한 시니어 교수는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의 영향을 가장 적게 겪었습니다.
Somewhat surprising was that we found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respondents’ perceptions of financial instability, work strain, and physical symptoms. In general, faculty reported high levels of life satisfaction; and being married mitigated some of the negative effects of the academic environment. Older faculty, who had experienced the most changes in academic medicine over the course of their careers, were the least affected by various stressors.
54.3 %의 응답률은 다른 의사 조사의 평균 응답률과 일치합니다. 사실, 설문지의 길이와 많은 질문의 민감한 성격 때문에 응답률은 예상보다 높습니다.
Our overall response rate of 54.3%is consistent with the average response rate in other physician surveys.21 Indeed, the response rate is higher than we anticipated, given the length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sensitive nature of many of the questions.
이 연구는 현재 의대생들이 점점 더 스트레스와 불만을 가진 교수진에 의해 교육받고 있다는 우려를 제기합니다. 5 명의 교수 중 1 명은 설문지를 작성하는 시점에서 유의 한 우울 증상을 나타내어 약 20 %의 유병률을 보였다. 우리 연구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 교수가 비슷한 우울증 발생률을 보인 반면,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우울 장애의 비율이 2 배까지 높다고 보고되어 있습니다. 젊은 교수에서 우울증과 불안증의 비율이 더 높은 것은 당혹스럽다.
우리가 지역사회에서 CES-D 샘플을 사용한 최근의 연구는 알지 못하지만, CES-D and Zung Depression Scale을 사용하는 오래된 연구는 대등한 비환자 인구집단에서 임상적으로 유의한 우울 증상의 유병률이 약 9 % 가되어야한다고 제안합니다.
National Comorbidity Survey는 15-54 세의 큰 국가 표본을 대상으로 12 개월간의 주요 우울증과 기분 부전이 12.8 %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연구에 따르면, 응답자의 거의 21 %가 우울 장애와 일치하는 증상을 나타 냈습니다.
This study raises the concern that current medical students are being taught by faculty who are increasingly stressed and dispirited. One in five faculty members had significant depressive symptoms at the time of completing the questionnaire, yielding a point prevalence of approximately 20%. Our study indicates that men and women faculty members had comparable rates of depression, whereas more generally women are reported to have up to twice the rate of depressive disorders as men.23The higher rates of depression and anxiety reported by younger faculty are equally disconcerting. Although we are not aware of more recent studies using the CES-Din community samples, older studies using the CES-Dand the Zung Depression Scale,24 suggest that the prevalence of clinically significant depressive symptomsin a comparable nonpatient population should be about 9%.25,26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of a large national sample aged 15–54 years found a 12- month prevalence of major depression and dysthymia combined to be 12.8%.27 Yet according to our study, nearly 21%of respondents indicated symptoms consistent with a depressive disorder.
응답자의 대다수는 초기의 직무 기대치가 실현되지 않고 있으며, 자신은 과거와 같은 contributor가 아니며 생산성이 감소하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상당수의 교수진은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초초"하다고 느꼈습니다. 4 명의 교수진 중 1 명 이상은 학계를 떠나는 것에 대해 자주 생각했으며 5 명 중 1 명은 조기 퇴직에 대해 "종종 생각합니다".
The majority of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ir initial job expectations were not being realized,that they were not the contributors they used to be, and that their productivity was decreasing. Significant numbers of faculty felt unsupported and “edgy.” More than one in four faculty members frequently thought about leaving academia, and one in five “often thinks” about early retirement.
교수들이 불만을 품은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오늘날의 경제적 현실을 감안할 때, 교수진은 교육 지원 감소와 임상 및 연구 생산성 향상에 대한 이중 압력에 직면합니다. 우리 코호트에서, 기관의 재정 건전성에 대한 교수들의 우려는 작업 부담의 증가와 직업 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 감소, 우울증과 불안증의 증가와 관련이있었습니다. 많은 교수들에게 학계가 매력적인 것은 환자 치료, 연구 및 교육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혼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의 연구는 Ludmerer의 주장을 뒷받침합니다 .3 최근에는 환자 진료 책임이 급증하여 교육와 연구에 사용할 시간을 몰아내고 있다. 린 (Linn) 등의 1984 년 내과의사 대상 연구와 비교할 때 현재 우리 코호트는 학생 및 레지던트를 감독 할 시간이 적고 연구 시간이 절반으로 줄었다.
It is not surprising that academic faculty are discontent. Given today’s economic realities, faculty face the dual pressures of decreased support for teaching and increased demands for clinical and research productivity. In our cohort, concerns about the financial health of their institutions correlated with respondents’ increased work strain and decreased job and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increased depression and anxiety. For many faculty, the lure of academia seems to have been the relatively stable mix of patient care, research, and teaching. Yet our study supports Ludmerer’s assertions3 that in recent years patient care responsibilities have burgeoned, crowding out time for teaching and research. In comparison with Linn et al.’s 1984 study of internists,14 our current cohort has less time to supervise students and residents, and their research time has been cut in half.
1984 년 Linn과 동료의 연구에서 CES-D와 비교할만한 Zung Depression Scale을 사용하여 14 명의 교수가 14 %의 임상 적으로 우울한 증상을 나타내었지만 2001 년의 경우에는 20 %였다. 일반적으로 우리 코호트의 의사 교수들은 거의 모든 직업 만족도 척도에서 만족스럽지 않은 것처럼 보였습니다. LSAT에서 1984 명의 대학 의사들은 2001 년 샘플보다 일과 신체 및 정신 건강에 다소 만족했습니다. 두 그룹의 근무 시간은 비슷했지만 현재의 교수진은 1984 년의 코호트보다 교육과 연구에 더 적은 시간을 사용하며, 임상 업무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습니다.
Using the Zung Depression Scale comparable to the CES-D,24,28 the 1984 study by Linn and colleagues,14 revealed 14%of faculty with clinically significant depressive symptoms, in contrast with 20%in the 2001 sample. In general, academic physicians in our cohort appeared to be less satisfied according to almost every measure of job satisfaction. On the LSAT, the 1984 academic physicians were somewhat more satisfied with work and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an were the 2001 sample. Although the work hours of both groups were comparable, current faculty are spending less time teaching and doing research and more time doing clinical work than the 1984 cohort.
우리의 연구가 학술 의학에 관한 약간의 당황스러운 사실을 밝혀 주었지만, 또한 좋은 소식이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교수진 응답자는 자신의 일과 삶에 "대부분 만족"했습니다. 실제로 1984 년과 2001 년 사이의 "일반 생활"에 대한 응답자의 평가에서 "직장"에 대한 만족도의 감소는 "가족 생활", "여가 활동" , "사회적 상황"등이있다. 의대 학교 교수진은 여전히 열심히 일하고 있지만, 많은 사람들은 일과 가정 생활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있다. 90 %가 안정된 결혼 생활이나 헌신적 인 관계에 있었고, 대부분은 건강에 관심을 갖고 즐거운 사회 활동에 참여했으며, 가족 구성원과 감정적으로 논쟁하거나 withdraw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Although our study reveals some disconcerting facts about academic medicine, there is also some good news as well. On average, faculty respondents were “mostly satisfied” with their work and life. Indee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espondents’ assessments of “life in general” between the 1984 and 2001 cohorts, the decreases in satisfaction with “work” perhaps being offset by the higher scores in such categories as “family life,” “leisure activities,” and “social situation.” Medical school faculty still work hard, but many may be paying more attention to balancing their work and home lives. Ninety percent were in a stable marital or committed relationship, and most seem to attend to their health and engage in pleasurable social activities, and rarely argue with or withdraw emotionally from family members.
의과대학 교수들에게는 아직 만족과 복지의 reservoir가 있지만, 스트레스와 불만의 증가는 점차 문제가 되고 있으며, 젊은 교수에 대한 멘토링이 필요한 듯 하다. 우리는 멘토링 및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교수진이 개인적으로나 직업적으로 발전하도록 지원하고 장려하는 방법을 찾아야합니다. 우리는 불쾌감을 느끼거나 우울 할 수있는 동료를 확인하고 지원해야하며, 의사가 일반적으로 환자의 우울증을 감지하고 적절히 치료하는 데 열악한 현실적인 과제입니다.
Though there is a reservoir of satisfaction and well-being among medical school faculty, the increasing stresses and discontent challenge us, especially in mentoring younger faculty. We must find ways to support and encourage faculty in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mentoring and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We must identify and offer assistance and support to our colleagues who are dispirited or may be clinically depressed, a real challenge as physicians generally are poor at detecting and adequately treating depression in their patients.29
Acad Med. 2006 Jan;81(1):27-34.
The impact of the changing health care environment on the health and well-being of faculty at four medical schools.
Author information
- 1
- Educational and Academic Affairs, Drexe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900 Queen Lane, Philadelphia, PA 19129., USA. Barbara.Schindler@drexelmed.edu
Abstract
PURPOSE:
METHOD:
RESULTS:
CONCLUSIONS:
- PMID:
- 16377815
'Articles (Medical Education) > 교수개발(Faculty Develo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디컬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을 의한 교수개발(Med Teach, 2015) (0) | 2018.04.27 |
---|---|
교육연구에 초첨을 둔 전국단위 종단 교수개발 프로그램 개발(Teach Learn Med. 2017) (0) | 2018.04.17 |
의과대학 교수들이 꿈을 이루게 하기: 혁신적,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Acad Med, 2002) (0) | 2017.11.08 |
국제 보건교육자를 위한 프로젝트 기반 교수개발: 실용 전략(Med Teach, 2012) (0) | 2017.10.31 |
기관 맥락에서 효과적인 교수개발: 전이를 위한 설계(J Grad Med Educ, 2016) (0) | 2017.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