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교육연구는 '경성' 연구인가 '연성' 연구인가? (Adv in Health Sci Educ, 2008)
Is medical education research ‘hard’ or ‘soft’ research?
Larry D. Gruppen
의학 교육 연구를 수행하는 사람들이 우리의 기초 과학자와 임상 동료가 'Soft' 과학에서 일하는 것으로 종종 묵살되는 것은 공통적 인 경험입니다. 종종 우리의 연구가 '지저분한'것이라고 암시합니다.
It is a common experience for those doing medical education research to be dismissed by our basic science and clinical colleagues as working in the ‘soft’ sciences, often with the implication that our research is ‘sloppy,’
우리가 감염 바이러스의 확산과 그 바이러스에 노출 된 결과로서의 뇌 병리학의 발달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고 가정합니다. 이 문제에 대한 전형적인 'Hard'과학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을 수 있습니다.
Suppose we were to conduct research about the dispersion of an airborne infectious virus and the development of brain pathology as a result of exposure to that virus. A typical ‘hard’ science approach to this issue might look something like this.
우리의 연구자가 'soft'과학에 대한 전형적인 조건 하에서 이와 동일한 연구를 수행해야한다면, 과정이 조금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우선 연구자들은 쥐를 찾아야 만한다. 지역 사회에서 동물 학대 방지 협회 (SPCA)의 사냥 허가를 받아야만 연구원이 쥐를 잡을 수는 없지만 자발적으로 참여해야한다. . 쥐 인구는 하수도, 버려진 건물 또는 들판을 행복하게 돌아 다니고 있으며이 연구를 위해 협력하기를 꺼려 할지도 모릅니다. 사실, 연구원들은 미끼로 쥐를 유인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If our researchers had to conduct this same study under the typical conditions for the ‘soft’ sciences, the process might look a bit different. First of all, the researchers would have to find their rats, which requires a hunting license from the local 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Cruelty to Animals (SPCA) which stipulates that the researchers cannot simply capture their rats but must get their cooperation to participate voluntarily. The rat population is happily running around the sewers, abandoned buildings or fields and may or may not be willing to cooperate for this study. Indeed, the researchers may well be forced to lure the rats with bait.
쥐는 거의 유 전적으로 동등하다; 노르웨이 쥐, 애완 동물 쥐, 지붕 쥐 및 물 쥐가 있습니다. 햄스터, 기니아 피그 및 다람쥐가 섞인 경우도있을 수 있습니다. 그들은 다양한 환경에서 왔으며이 연구 조사를 위해 잡히기 전에 다양한 경험과 다른 병원체에 노출되었습니다. 연구원들이 가능한 한 많은 쥐를 모으면 (종종 힘 분석이 나타내는 것보다 적다), 그들은 쥐를 대조군과 중재 집단으로 무작위 배정하려고 시도하지만,이 시점에서 SPCA는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쥐를 강압하는 것은 비 윤리적이므로 연구원들은 쥐가 스스로 노출되도록 선택해야합니다.
The rats are hardly genetically equivalent; there are Norway rats, pet rats, roof rats, and water rats. There may even by some hamsters, guinea pigs, and chipmunks mixed in. They have also come from various environments and have been exposed to a wide range of experiences and other pathogens before being caught for this research study. Once the researchers have gathered as many rats as they can (often less than what the power analysis might indicate), they attempt to randomize the rats into a control and intervention group, but, at this point, the SPCA steps in and declares that it is unethical to coerce the rats, so the researchers have to let the rats self-select to be exposed.
이제 노출시킬 차례다. 지정된 시간 동안 지정된 양의 바이러스에 대한 노출을 통제하기보다는 모든 쥐를 큰 방에 모으고 바이러스를 방 전면에서 풀어 50 분 동안 뒤쪽으로 퍼뜨릴 수 있습니다. 그 시간 동안 일부 쥐들은 늦게 들어서고 다른 쥐들은 일찍 떠나기도합니다. 일부는 잠이 들며 다른 사람들은 휴대 전화, 신문 및 랩톱에서 외국 바이러스를들이 마시면서 천천히 숨을 쉬기 시작합니다. 앞쪽에있는 쥐들은 바이러스에 더 많이 숨을 쉬는 반면 뒤에있는 쥐들에게는 더 낮은 양을 투여합니다. 노출 후 쥐들은 밭, 하수도 및 버려진 건물로 풀려 나서 다른 쥐와 상호 작용하고 가능하면 감염시키면서 동시에 다른 연구자가 관리하는 다른 바이러스 및 병원체에 감염된다.
Now, for the exposure. Rather than controlled exposure to a specified amount of the virus for a specified time, all the rats are herded into a large room and the virus is released at the front of the room and allowed to diffuse to the back over a period of 50 min. During that time, some rats come in late and others leave early. Some fall asleep and begin to breathe more slowly while others breathe in foreign viruses from cell phones, newspapers, and laptops. Rats near the front breathe in more of the virus, while those in the back receive a lower dose. After exposure, the rats are released back into the fields, sewers, and abandoned buildings to roamabout, interacting with other rats and possibly infecting them, while at the same time, being infected by other viruses and pathogens administered by other researchers.
마지막으로 배양 기간이 끝나면 연구원은 원래의 쥐를 많이 찾을 수 있도록 밭, 하수구 및 버려진 건물로 돌아와야합니다. 가능한 한 원래의 쥐를 사냥하고 어느 그룹에 속해 있는지를 파악한 후 뇌 병리학의 발전을 평가할 때가되었습니다. 다시 한 번 SPCA는 연구원이 쥐를 희생하지 못하게하고 금지합니다. 대신 연구원은 쥐가 수행 할 테스트 또는 과제를 개발해야하며, 이것이 뇌 기능에 대한 추론을 뒷받침 할 수있는 증거를 줄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그러나 두뇌의 실제 변화는 알려지지 않은 채 남아 있습니다. 쥐가 다시 야생으로 방출되기 때문입니다.
Finally, after the incubation period, the researchers must go back out into the fields, sewers, and abandoned buildings to find as many of the original rats as they can, again, frequently using bait to lure them back. After hunting down as many of the original rats as they can and figuring out which group they belong to, the time has come to assess the development of brain pathology. Once more, the SPCA steps in and forbids the researcher from sacrificing the rats. Instead, the researchers must develop a test or task for the rats to perform, in hopes that this will give them some evidence to support inferences about the underlying brain function; however, the actual changes in the brain remain unknown, as the rats are once more released into the wild.
자, 어떤 것이 정말로 '어려운'연구입니까?
So, the question is, which is really the ‘hard’ research?
또한 우리가 쥐를 희생 할 수 없다는 사실을 해결하고자, 평가 기술의 중요한 진보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의학 교육 연구의 도전은 여러면에서 자유 의지와 자기 결정을 가진 개인을 대하는 결과입니다. 또한 '질병'만큼 단순하지 않으며, 개인의 이전 경험, 목표 및 동기, 교수 및 커리큘럼, 더 큰 학습, 실습 및 사회 환경의 풍부한 상호 작용의 결과입니다. 이러한 복잡성은 의학 교육에서 연구를 하는 것에 대한 도전이자 흥미의 기초가됩니다.
There also continue to be important advances in assessment technologies that address the fact that we cannot ‘sacrifice’ our rats. The challenge of doing medical education research is in many ways a consequence of dealing with individuals with free-will and self-determination. It is also a consequence of working with outcomes that, rather than being as simple as a ‘disease,’ are rich interactions of the individual’s prior experience, goals, and motivation; the faculty and curriculum; and the larger learning, practice, and societal environments. Such complexity underlies both the challenge but also the excitement of doing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Is medical education research 'hard' or 'soft' research?
- PMID:
- 18060572
- DOI:
- 10.1007/s10459-007-9092-0
- [Indexed for MEDLINE]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의학교육연구(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작위 대조군 연구 = 교란되고 사소한 연구결과: 대(grand) 교육실험의 위험성(Med Educ, 2003) (0) | 2017.07.25 |
---|---|
의학교육연구에서 사실주의적 방법: 무엇이고, 어떻게 기여하나? (Med Educ, 2012) (0) | 2017.07.25 |
의학교육에서 실험연구에 대한 성찰(Adv in Health Sci Educ, 2010) (0) | 2017.07.21 |
초점을 좁히고 지평을 넓히기: 체계적, 비체계적 고찰의 보완적 역할(Adv in Health Sci Educ, 2008) (0) | 2017.07.21 |
교육연구에서 Mixed method 활용을 위한 12가지 팁(Med Teach, 2013) (0) | 2017.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