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n Pallotta: The way we think about charity is dead wrong



"절약하는 것"이 더 "도덕적인 것"이라는 착각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40%의 간접비를 지출하는 대규모의 모금 사업(fundraising enterprise)보다

 간접비(overhead)를 5%수준으로 낮춘 바자회가 더 도덕적이라고 배웠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은, '그렇다면 실제 파이의 크기는 얼마나 될 것이냐?'라는 것입니다. 

실제로 자선에 쓰이는 돈이 얼마 되지 않는다면 간접비 지출이 5%든 얼마든 누가 신경을 쓰겠습니까?

 '규모를 확대시키기 위한 비용'을 지출하지 않는 바자회에서 돈을 모아 71달러를 기부하는 것과,

 전문적 대규모 모금사업을 통해서 7천1백만달러를 기부하는 것 중 뭐가 더 낫습니까? 

빈곤층에게 정말로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This is what happens when we confuse morality with frugality. We've all been taught that the bake sale with five percent overhead is morally superior to the professional fundraising enterprise with 40 percent overhead, but we're missing the most important piece of information, which is, what is the actual size of these pies? Who cares if the bake sale only has five percent overhead if it's tiny? What if the bake sale only netted 71 dollars for charity because it made no investment in its scale and the professional fundraising enterprise netted 71 million dollars because it did? Now which pie would we prefer, and which pie do we think people who are hungry would prefer?



아마 우리의 후손들은 우리 묘비에 "간접비를 낮게 지출했음"이라는 묘비명이 쓰여있기를 바라진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세상을 바꾸길 원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가 지금껏 해온 사고방식을 바꿔야 합니다.

이제부터는 자선 활동에 대해서 '간접비가 얼마냐'라고 묻지 마십시오. 

대신 '그래서 실제로 얼마나 기부를 합니까?'라고 물으십시오.


그 정도의 관대합을 보여줄 수 있다면, 

비영리(non-profit)영역에서 일하는 사람들도 세상을 바꾸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Our generation does not want its epitaph to read, "We kept charity overhead low."(Laughter) (Applause) We want it to read that we changed the world, and that part of the way we did that was by changing the way we think about these things. So the next time you're looking at a charity, don't ask about the rate of their overhead. Ask about the scale of their dreams, their Apple-, Google-, Amazon-scale dreams, how they measure their progress toward those dreams, and what resources they need to make them come true regardless of what the overhead is. Who cares what the overhead is if these problems are actually getting solved? If we can have that kind of generosity, a generosity of thought, then the non-profit sector can play a massive role in changing the world for all those citizens most desperately in need of it to change. 








왜 40년이 넘도록 미국의 빈곤률(poverty)은 12%에 머물러 있는 것일까요?




Non-Profit sector는 현재 이러한 제약을 받고 있습니다.


첫 번째로, 충분한 보상(compensation)을 해주지 못합니다.






두 번째로, 마케팅에 대한 비용 지출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1970년대 이후 미국의 Charitable giving은 2%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 말은 40년동안 비영리영역이 영리영역으로부터 market share를 가져오는 것이 불가능했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미국 건국의 기초라 할 수 있는 청교도(Puritan)의 정신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