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사 탐구: 의학교육의 관계적 연구 방법론(Med Educ, 2017)
Narrative inquiry: a relational research methodology for medical education
D Jean Clandinin,1 Marie T Cave2 & Charlotte Berendonk3

 

소개
Introduction

의학계에서는 환자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내러티브와 스토리에 대한 관심이 항상 있어 왔습니다. 작가이자 의사였던 콜스1는 의사가 환자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야 환자의 질병뿐만 아니라 자신의 지식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이야기를 연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한 것은 그보다 역사가 짧습니다. 이러한 가능성은 브루너2가 내러티브 지식패러다임적 지식의 차이를 강조한 이후 가시화되기 시작했습니다.

  • 전자(내러티브)는 '인간 또는 인간과 유사한 의도와 행동, 그리고 그 과정을 표시하는 우여곡절과 결과를 다룹니다. 본질적으로 시간을 초월하기보다는 일시적인temporal 것'입니다.
  • 후자(패러다임)는 현상 관찰, 경험적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 가정 등 재현 가능한 단계에 의존하는 논리-과학적 추론 과정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패러다임적 사고는 물질 과학과 생물 과학에서 지배적인 추론 접근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There has always been interest in narrative and story in medicine through the importance of attending to what patients say. Coles,1 a writer and physician, called for physicians to listen to patients’ stories so as to learn more about their own knowledge as well as about their patients’ illnesses. However, seeing the possibilities for researching those stories has a shorter history. These possibilities began to become visible after Bruner2 highlighted the distinction between narrative and paradigmatic knowledge.

  • The former ‘deals in human or human-like intention and action and the vicissitudes and consequences that mark their course. It is essentially temporal rather than timeless’.
  • The latter employs a logico-scientific reasoning process, which relies on replicable steps, including observation of phenomena, empirical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the assumption of generalisability of findings. These features led to paradigmatic thinking as the dominant reasoning approach in material and biological sciences.

의학교육에서 패러다임적 지식은 Flexner3가 임상 전 기초과학 학습을 도입한 이후 다른 형태의 지식을 압도해 왔습니다. 패러다임적 지식이 임상적 사고의 필수적인 부분이라는 데는 동의하지만, 임상의가 임상 진료의 불확실성과 모호성, 특히 진단의 불확실성에 직면할 때 패러다임적 지식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In medical education, paradigmatic knowledge has swamped other forms of knowing since Flexner's3 introduction of pre-clinical basic science learning. Although we agree that paradigmatic knowledge is an essential part of clinical thinking, it is not enough when clinicians face the uncertainty and ambiguity of clinical practice, particularly the uncertainty of diagnosis.

브루너의 구분은 부분적으로 내러티브 연구 방법론의 개발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사회과학 연구자들은 1980년대 후반 '내러티브 혁명'이라고도 불리는 내러티브 연구 접근법의 급속한 수용과 함께 내러티브를 연구 방법론으로 발전시키기 시작했습니다.4 그러나 내러티브 연구 접근법으로 빠르게 전환하면서 연구자들이 내러티브라고 부르는 것이 무엇인지, 내러티브 연구 안에 무엇이 포함되는지 아직 잘 이해되지 않았습니다.5, 6 '이야기'와 '내러티브' 같은 용어는 종종 혼용되어 사용되지만 내러티브 연구에서는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7, 8 내러티브 연구에서 내러티브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없는 상황에서,7 학자들은 현재 진행 중이거나 다가오는 사건에 대한 대화와 같이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작은 이야기' 접근법,9,10 또는 인생 이야기나 자서전에 초점을 맞춘 '큰 이야기' 접근법을 언급합니다.7 또한 내러티브는 '내면에 기반한 현상'과 '사회적 행동'11으로 간주되며 구체화된 경험으로 간주됩니다.5 1990년대에 Mishler12 가 내러티브 연구의 경계를 정하는 것을 경계했지만, 명확한 정의가 부족하여 약간의 혼란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Bruner's distinction, in part, made it possible to develop narrative research methodologies. Social science researchers began to develop the idea of narrative as a research methodology in the late 1980s with a rapid uptake of narrative research approaches, sometimes called the ‘narrative revolution’.4 However, with the rapid turn to narrative research approaches, just what researchers were referring to as narrative, or what was included within narrative research, is not yet well understood.5, 6 Terms like ‘story’ and ‘narrative’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yet carry different meanings in narrative research.7, 8 With no clear definition of what narrative means in narrative research,7 scholars refer to ‘small story’ approaches such as conversations about ongoing or upcoming events, in which interaction is in the midst,9, 10 or big story approaches focusing on life stories or autobiographies.7 Furthermore, narratives are viewed as both ‘an interior based phenomenon’ and ‘as social actions11 as well as embodied experiences.5 Although Mishler12 cautioned in the 1990s against policing the boundaries of narrative research, the lack of delineation has resulted in some confusion.

이 논문에서는 내러티브 연구에 대한 한 가지 접근 방식인 내러티브 탐구의 방법론을 뒷받침하는 존재론적 및 인식론적 약속을 제시합니다.13 이러한 약속을 바탕으로 내러티브 탐구를 적용한 의학교육의 두 가지 연구를 소개합니다. 마지막으로, 내러티브 탐구 참여의 어려움에 대해 논의하고 유망한 연구 및 실천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In this paper, we lay out the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commitments that underlay the methodology of one approach to narrative research, narrative inquiry.13 Based on these commitments we introduce two studies in medical education applying narrative inquiry. Finally, we discuss challenges in engaging in narrative inquiry and point toward promising research and practice possibilities.

내러티브 탐구의 정의
Definition of narrative inquiry


우리는 다음과 같은 내러티브 탐구의 정의를 바탕으로 작업합니다.
We work from the following definition of narrative inquiry.

'사람들은 자신과 타인이 누구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그리고 이러한 이야기의 관점에서 자신의 과거를 해석하면서 일상생활을 형성합니다. 현재의 관용구에서, 이야기story는 사람이 세상으로 들어가고, 세상에 대한 자신의 경험을 해석하고 개인적으로 의미 있게 만드는 통로입니다."14
‘People shape their daily lives by stories of who they and others are and as they interpret their past in terms of these stories. Story, in the current idiom, is a portal through which a person enters the world and by which their experience of the world is interpreted and made personally meaningful.’14

이 정의는 경험을 스토리로 생각하는 방법으로서 내러티브 탐구에 주목합니다. 방법론으로서의 내러티브 탐구는 경험 현상에 대한 내러티브적 관점에서 작동하며, 듀이의 경험에 대한 이해15를 기반으로 합니다.
The definition draws attention to narrative inquiry as a way of thinking about experience as a story. Narrative inquiry as methodology works from a narrative view of the phenomenon of experience, building on Dewey's15 understanding of experience.

듀이의 경험의 두 가지 기준(상황 속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과 연속성)은 시간성, 장소성, 사회성의 차원을 가진 3차원 내러티브 탐구 공간을 통해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개념의 근거를 제공합니다.

  • 시간성사건과 인물의 과거, 현재, 미래에 주의를 기울이며, 항상 진행 중인 사건에 초점을 맞춥니다.
  • 장소는 탐구와 삶의 사건이 일어나는 장소의 특수성에 주목합니다.
  • 사회성은 사람의 욕망, 미적, 도덕적 반응뿐만 아니라 실존적 조건, 즉 환경과 맥락적 힘에 대한 내적, 외적 초점을 말합니다. 

Dewey's two criteria of experience (interaction and continuity enacted in situations) provide grounding for a narrative conception of experience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with dimensions of temporality, place and sociality.

  • Temporality draws attention to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events and people, with a focus on them as always in process.
  • Place draws attention to the particularities of where inquiry and life events take place.
  • Sociality refers to the inward and outward focus on a person's desires, aesthetic and moral reactions, as well as on the existential conditions, that is, the environment and contextual forces.

'이야기에 대한 사고'와 '이야기로 사고하는 것'을 구분한 모리스(Morris)16는

  • '이야기에 대한 사고내러티브를 대상으로 생각하는 것'인 반면,
  • '이야기로 사고하는 것은 생각하는 사람으로서 우리가 내러티브에 대해 작업하는 것이 아니라, 내러티브가 우리를 위해 작업하도록 허용하는 과정'이라는 내러티브 탐구의 근거를 제시하기도 합니다.

Morris’16 distinction between thinking about stories and thinking with stories also grounds narrative inquiry

  • where ‘thinking about stories conceives of narrative as an object’
  • whereas ‘thinking with stories is a process in which we as thinkers do not so much work on narrative as of allowing narrative to work on us’.

모리스의 구분은 내러티브 연구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에서 작동하는 서로 다른 존재론적, 인식론적 가정에 주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일부 내러티브 연구자들은 시간성, 장소, 사람과 분리된 객체로서 서면 및 구어 텍스트를 분석하는 반면, 
  • 내러티브 탐구자들은 시간, 장소, 관계 속에서 연구 대상인 경험에 주목합니다.

클랜디닌과 로지크17가 지적했듯이, '내러티브 탐구의 초점은 개인의 경험뿐만 아니라 개인의 경험이 구성, 형성, 표현, 제정되는 사회적, 문화적, 제도적 내러티브에도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내러티브 탐구자는 살아 숨 쉬고 이야기되는 개인의 경험을 연구하며, 듣고, 관찰하고, 다른 사람과 함께 생활하고, 텍스트를 작성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연구합니다. 
Morris’ distinction helps us draw attention to the different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assumptions at work in different approaches to narrative research.

  • Some narrative researchers analyse written and spoken texts as objects separate from temporality, place and people, whereas
  • narrative inquirers attend to the experience under study in time, place and relationships.

As Clandinin and Rosiek17 pointed out, ‘the focus of narrative inquiry is not only on individuals’ experience but also on the social, cultural, and institutional narratives within which individuals’ experiences are constituted, shaped, expressed, and enacted’. Narrative inquirers study an individual's experience, storied in the living and telling, and studied through listening, observing, living alongside another, and writing and interpreting texts.

내러티브 탐구는 개인의 삶에 주목하면서도 삶이 중첩된 더 큰 맥락과 관계에 주의를 기울이는 경험에 대한 탐구 방식입니다. 이야기는 시간, 장소, 관계 속에서 각 개인의 삶과 이야기와 분리되지 않고 살아 있고, 이야기되며, 삶과 이야기와 분리되어 분석되고 해부되어야 할 텍스트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Narrative inquiry is a way of inquiring into experience that attends to individuals’ lives but remains attentive to the larger contexts and relationships within which lives are nested. Stories are lived, and told, not separated from each person's living and telling in time, place and relationships, not seen as text to be separated from the living and telling and analysed and dissected.

의학교육 연구의 내러티브 전환
Narrative turn in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보건의료의 내러티브적 전환'18, 즉 치료와 돌봄은 항상 삶의 예술에 대한 더 넓은 관점 안에 포함된다는 관점의 일환으로, 보건의료는 사람이 주어진 상황에서 자신의 경험을 이해하고 자신을 표현하고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돌봄제공자와 돌봄수혜자는 공존하는 관계로, 돌봄제공자가 특정 상황에서 도움이 되는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그것이 돌봄제공자가 일반적인 삶의 문제, 더 나아가 다른 사람의 삶에 대한 전문가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돌봄제공자와 돌봄을 받는 사람은 '전기적 만남'의 공동 저자입니다.19
As part of a ‘narrative turn in health care’,18 that is, that cure and care are always embedded within a broader perspective on the art of living, there is attention to health care as enabling a person to make sense of their experiences in a given situation and to express themselves, to tell their stories. Caregiver and care-receiver are both co-existent in the sense that although a caregiver may have knowledge helpful in a given situation at a particular time, this does not make the caregiver an expert on issues of life in general or, more importantly, on the life of another person. Caregiver and care-receiver are co-authors in ‘biographical encounters’.19

이러한 보건의료의 내러티브 전환(의학교육의 내러티브 전환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20, 21 참조) 속에서 방법론으로서 내러티브 연구로의 전환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Bleakley22가 지적했듯이, 내러티브 연구에서 사용되는 이야기의 존재론적, 인식론적 지위에 대한 가정을 탐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내러티브 연구에서 스토리는 데이터로 사용되는데, 이는 아마도 패러다임적 지식의 힘에서 비롯된 결과일 것입니다. 폴킹혼23이 내러티브의 분석이라고 표현한 것처럼, 모리스가 이야기에 대해 생각하는 것과 비슷한 의미에서 이야기를 일종의 object으로 삼아 분석의 대상subjected으로 삼습니다이야기를 탈맥락화되고 객관적인 연구 데이터로 취급하는 내러티브 분석은 현재 의학교육에서 내러티브 연구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가장 널리 퍼져 있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최근 의학교육의 연구 방법론으로서 삶과 이야기, 맥락과 사람,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관계적 측면에 주목하는 방법론인 내러티브 탐구로 전환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6
Within this narrative turn in health care (for the narrative turn in medical education, see, for example,20, 21), there is also a turn to narrative research as methodology. As Bleakley22 pointed out, assumptions about the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status of stories as used in narrative research need to be explored. Stories are used by some in narrative research as data, perhaps a lingering result of the power of paradigmatic knowledge. Stories are taken as a kind of object and subjected to analysis in the sense that Polkinghorne23 described as analysis of narratives, akin to what Morris described as thinking about stories. Analysis of narratives, where stories are treated as decontextualised and objective study data, is currently what is most prevalent in the turn to narrative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However, there is recent attention to shifting to narrative inquiry as a research methodology in medical education, a methodology that attends to the relational aspects of living and telling stories, of context and person, of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6

의학 학습자의 정체성 형성을 위한 내러티브 연구
Narrative research in medical learners’ identity making

내러티브 연구가 의학 교육에서 사용되는 분야 중 하나는 의학 학습자의 정체성 발달에 관한 연구입니다. Monrouxe24가 강조했듯이

  • '정체성은 중요하다. 우리가 누구인지, 그리고 우리가 누구로 비춰지는지는 의학교육에서 우리가 하는 일의 많은 부분의 근간이 된다.

의학 학습자의 정체성 발달은 이론 및 개념 논문(예: 24-27)과 최근에 발표된 경험적 연구(예: 28, 29)의 초점입니다. 여기서는 내러티브 연구 접근법을 사용하여 직업 정체성 발달을 탐구한 세 가지 연구를 참조합니다.

  • Konkin과 Suddards의 종단적 통합 사무직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30에서는 해석학적 현상학적 설계를 사용하여 환자에 대한 경험에 대해 학습자를 인터뷰했습니다. 이들은 근거 이론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정체성 발달을 위한 학습자 경험의 의미를 찾아냈습니다. 그들은 '[...] 이 연구에서 학생들의 이야기는 환자 치료에 의미 있게 참여하는 행위에서 탄생하고 발전하는 돌봄의 윤리에 기반을 둔 새로운 직업적 정체성을 반영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30
  • Wong과 Trollope-Kumar31는 사전 실습 기간 동안 작성된 의료 학습자의 포트폴리오에 대한 내러티브를 조사했습니다. 주제별 내러티브 분석은 '복잡한 학습 환경 속에서 환자, 멘토,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문직 정체성을 능동적으로 구축'하는 학생들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했습니다. 다섯 가지 주제는 '역동적이고 담론적이며 반복적인' 과정으로서의 전문직 정체성 개발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했습니다.
  • Monrouxe32는 의료 학습자의 종단적 오디오 일기를 통해 그들의 근본적인 내러티브 줄거리에 대해 탐구하고 학습자의 내러티브에서 정체성 형성의 복잡성을 설명하는 8가지 주제를 확인했습니다.
  • Monrouxe33는 내러티브를 제시하고, 이 방법을 사용할 때 윤리적 차원을 논의했으며, 개인적 및 직업적 이야기가 의대생의 정체성을 형성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그녀는 내러티브의 맥락적, 사회적, 시간적 내재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몬루즈는 '의대생들의 개인적, 직업적 자아는 [...] 의사가 끊임없이 그 사이를 오가며 인간의 상태를 바라보는 두 가지 방식, 즉 생의학적 시선과 내러티브 시선의 예시'라고 결론지었습니다.

One area in which narrative research is used in medical education is in studies of medical learners’ identity development. As Monrouxe24 highlighted:

  • ‘Identity matters. Who we are, and who we are seen to be, underlies much of what we do in medical education’.

The identity development of medical learners is the focus of theoretical and conceptual articles (e.g.24-27) and recently published empirical research (e.g.28, 29). We refer to three studies, which used narrative research approaches to inquire into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 In Konkin and Suddards’30 evaluation of a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 programme they interviewed learners regarding their experiences with patients using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design. They analysed data using grounded theory methods and carved out the meaning of learners’ experiences for identity development. They found: ‘[…] students’ stories in this study reflect an emerging professional identity, born in the act of meaningful engagement in patient care, and grounded in a developing ethic of caring’.30 
  • Wong and Trollope-Kumar31 inquired into narratives of medical learners’ portfolios written during pre-clerkships. Thematic narrative analysis provided insights into students’ active construction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through interactions with patients, mentors and colleagues, within complex learning environments’. Five themes gave insights into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as a ‘dynamic, discursive and iterative’ process.
  • Monrouxe32 explored longitudinal audio-diaries of medical learners regarding their underlying narrative plotlines and identified eight themes in learners’ narratives that illustrate the complexity of identity formation.
  • Monrouxe33 presented narratives, discussed ethical dimensions in employing this method, and emphasised that personal and professional stories shape the identity of medical students. She illustrated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contextual, social and temporal embeddedness of narratives. Monrouxe concluded that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selves […] exemplify the two ways of gazing on the human condition – biomedical and narrative – that doctors constantly oscillate between’.


이러한 연구에서 전문직 정체성 발달 개념에 대한 정교한 분석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우리는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이해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Bleakley 등34 은 '의대생에게 있어 전문직 정체성은 의학교육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용된 경험적 연구 중 두 건은 전문직 정체성의 기초가 되는 전문직 경험에 초점을 맞췄습니다.30, 31 정체성에 대한 내러티브적 관점으로 보면, 전문직 정체성은 전문직 환경 내에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시간이 흐르면서 다양한 장소, 맥락, 관계 속에서 개인의 삶의 이야기에 의해 형성되며, 또한 사람에 의해 체화embodied됩니다.35 내러티브 경험 개념에서 정체성 발달은 내러티브 현상이며, 내러티브 탐구는 '내러티브 풍경에서 내러티브된 삶을 사는 것'에 주목하고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가 살아갈 이야기가 근본적으로 내러티브적이라는 것'을 이해함으로써 의학 학습자의 정체성 발달을 연구하기에 적합한 방법론입니다.5 의학교육에서 정체성 형성 연구에 대한 내러티브 접근법 중 대부분은 이야기를 데이터로 사용했습니다.22 내러티브 탐구로 전환하면서 이야기에 대한 사고 대신 이야기와 함께 사고하는 것으로 전환했습니다.

Without providing a sophisticated analysis of notions of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in these studies, we emphasise the importance of even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 example, Bleakley et al.34 stated that ‘for the medical student, a professional identity is something that is ‘‘made’’ through a medical education’. Two of the cited empirical studies focused on professional experiences as the found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30, 31 Working with a narrative view of identity, professional identities are formed within professional landscapes, as well as shaped by personal life stories, over time and in multiple places, contexts and relationships and are also embodied in persons.35 Within a narrative conception of experience, identity development is a narrative phenomenon and narrative inquiry is an appropriate methodology to study medical learners’ identity development with its attention to the living of ‘storied lives on storied landscapes’5 and through understanding ‘that who we are, our stories to live by, is fundamentally narrative in nature’.5 Of the narrative approaches to research in identity making in medical education, most used stories as data.22 With the turn to narrative inquiry, the shift is to thinking with stories instead of about stories.

의료 학습자의 정체성 형성 연구에서의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inquiry in the study of medical learners’ identity making

2000년대 초반에 이미 교육에 대한 연구는 있었지만,36 의료 학습자의 정체성 형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는 초기 단계에 있었습니다. 의학교육에서 내러티브 글쓰기에 초점을 맞춘 Charon,20은 의학 학습자가 임상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작성하고 이를 촉진된 소그룹에서 '밀착 읽기'를 통해 공유하는 과정인 평행 차트 작성이라는 교육적 접근법을 개발했습니다. 클랜디닌, 케이브, 케이브35도 의사들의 진료 경험을 글로 쓰고 공유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변화의 효과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우리 역시 의료 전문가들이 내러티브 성찰적 실천에 참여할 기회를 얻었을 때 그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목격했습니다.37 우리는 내러티브 탐구의 방법론과 방법을 사용하여 Charon의 평행 차트 교수법을 사용하여 의료 학습자의 정체성 형성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학부 학습자의 경험과 레지던트 과정을 밟는 졸업생의 경험의 차이, 새로운 임상 책임이 의대생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소규모 동료 그룹에서 촉진된 내러티브 반성적 실습이 전문적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수께끼를 탐구했습니다. 
In the early 2000s, although there were already studies in teaching,36 narrative inquiry into the identity making of medical learners was in its initial years. Charon,20 with her focus on narrative writing in medical education, developed a pedagogical approach called parallel charting, a process where medical learners write stories of their experiences of clinical encounters and share them in ‘close reading’ in facilitated small groups. Clandinin, Cave and Cave35 were also interested in the transformative effects of writing and sharing physicians’ stories of practice. We, too, witnessed the impact on medical professionals’ lives if they received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narrative reflective practices.37 Using methodologies and methods from narrative inquiry, we began studies into medical learners’ identity making using Charon's parallel chart pedagogy. The research explored puzzles around differences in undergraduate learners’ experiences to those of graduates undertaking residency, the impact of new clinical responsibilities on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making, and the impact of facilitated narrative reflective practice in small groups of peers on professional identity making.

우리는 참가자들에게 평행 차트를 작성하도록 한 다음 Clandinin과 Connelly의39 3차원 내러티브 탐구 공간을 사용하여 촉진된 내러티브 탐구 그룹에 참여하도록 한 두 개의 연구35, 38 에 대해 설명합니다. 두 연구 모두 각 참가자가 10개의 차트를 작성하고 공유하는 5번의 회의가 있었다는 점에서 유사했습니다. 이동 시간을 줄이고 장소의 중요성에 주목하기 위해 각 회의는 같은 병실 내에서 진행되었습니다. 그러나 집, 병원, 침대 옆, 강의실 등 특정한 상황에 스토리를 배치했기 때문에 장소도 중요했습니다. 모든 세션에서 각 참가자는 한두 개의 차트를 공유했고, 전체 그룹은 진행자나 연구자의 의견을 들어 각 차트에 대해 질문했습니다. 모든 참가자가 자신의 차트를 공유할 시간을 갖도록 함으로써 시간성의 차원을 인정했지만, 가정과 학교에서의 어린 시절 경험과 최근의 경험 모두에서 나온 이야기였기 때문에 시간성이 존재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야기가 바뀌면서 임상 실습의 순간에 대한 경험은 때때로 다른 시간과 장소에서의 경험과 연결되기도 했습니다. 퍼실리테이터는 참가자들이 이야기를 나누는 동안 각 참가자에게 주의를 기울였으며, 참가자들이 글을 쓰고, 공유하고, 그룹 질문에 참여하고, 그룹 회의 사이의 시간에 자신의 경험에 대해 계속 질문하면서 많은 내러티브 탐구가 발생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었습니다. 사회성의 차원이 인정되는 한 가지 방법은 그룹의 포용성과 일단 형성된 그룹의 배타성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의학 학습자들이 특정 상황과 사건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개인적인 감정적, 도덕적, 심미적 반응을 드러낼 때에도 사회성은 존재했습니다.  
We describe two studies35, 38 where participants were invited to write parallel charts, and were then asked to engage in facilitated narrative inquiry groups using Clandinin and Connelly's39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Both studies were similar in that there were five meetings, with each participant writing and sharing 10 charts. Each meeting was held within the same hospital room to avoid travel time and to draw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place. However, place was also present as the stories themselves were placed in particular contexts, such as homes, hospitals, bedsides and lecture halls. At every session, each participant shared one or two charts and the entire group, with facilitator or researcher input, inquired into each chart. Ensuring all participants had time to share their charts acknowledged the dimension of temporality, but temporality was present as the stories told came from both childhood experiences in homes and schools and more recent experiences. As stories shifted over time, the experiences of moments of clinical practice were sometimes linked to experiences in other times and places. Facilitators were attentive to each participant as they shared, mindful that much narrative inquiry occurred as participants wrote, shared, engaged in the group inquiry and continued to inquire into their experiences in the time between group meetings. One way the dimension of sociality was acknowledged was in the inclusivity of the groups, and, once formed, their exclusivity. Sociality was also present as the medical learners told stories situated within particular circumstances and events and also made visible their personal emotional, moral and aesthetic reactions.

차트를 구두로 공유한 후 이어진 내러티브 질문에는 차트를 작성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모두 반성적인 방식으로 참여하여 동료의 이야기와 함께 자신의 이야기를 겹쳐서 이야기했습니다. 참가자들은 이야기 속에서 자신을 상상하고40 모리스가 제안한 방식으로 이야기와 함께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16 
The narrative inquiry following the oral sharing of a chart involved all participants in reflexive ways, both chart writers and those listening, who layered their stories alongside their colleagues’ stories. Participants could imagine themselves within the story40 and think with the story in ways suggested by Morris.16

두 연구 모두에서 퍼실리테이터는 각 참가자의 용기를 인정하고 공유된 이야기에 대한 초기 검증validation을 제공했습니다. 퍼실리테이터는 다른 참가자들과 함께 각 이야기가 시간적 한가운데로 들어갈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을 인식하고, 들려준 이야기에 대해 더 자세히 물어보면서 내러티브 탐구에 참여했습니다. 내러티브 탐구가 진행됨에 따라 참가자들은 환자와 자신의 삶, 삶이 내재된 장소와 관계, 환자, 의사, 서로의 정서적, 도덕적, 미적 반응에 주의를 기울이게 되었습니다. 
In both studies facilitators recognised each participant's courage and provided initial validation of the shared story. The facilitators, along with other participants, engaged in the narrative inquiry by asking for further details about the stories told, recognising that each story allowed them to enter into the temporal midst. As the narrative inquiry proceeded, participants became attentive to the unfolding lives of their patients and themselves, to the places and relationships within which lives were embedded, and to the emotional, moral and aesthetic responses of patients, physicians and each other.

두 연구 모두에서 참가자들은 자신의 직업적 정체성을 구성하는 경험에 주목했습니다.

  • 첫 번째 연구에 참여한 사라(Sarah)38는 레지던트 프로그램에서 경험이 풍부한 국제 의대 졸업생이었습니다. 그녀의 병렬 차트는 어느 새 엄마가 아이를 입양 보내기로 결정한 경험을 묘사했는데, 이는 사라의 문화적 내러티브에서 유기에 가까운 행동이었습니다.
    • 차트의 일부에는 사라가 그 어머니에게 어떻게 반응했는지 재검토하고 의사로서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한 자기 성찰을 하게 된 동료의 반응이 기술되어 있었습니다.
    • 그룹의 반응에서 한 참가자는 사라의 자기 판단, 즉 도덕적 반응에 주목했습니다.
    • 또 다른 참가자는 아기의 미래에 초점을 맞춘 시간적 반응을 보였습니다.
    • 또 다른 참가자는 이 상황에서 누가 도와줄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졌습니다.
  • 세 가지 측면에 주의를 기울이며 그룹 질문이 진행되자 사라는 결국 자신이 환자와의 관계 형성에 탁월하다는 것을 알고 있는 자신의 이야기를 다시 들려주었습니다. 참가자들은 사라의 전개되는 삶, 환자의 전개되는 삶, 그리고 의료 학습자로서의 자신의 삶에 주의를 기울였습니다. 

In both studies participants attended to their experiences of composing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Sarah, a participant in the first study,38 was an experienced international medical graduate in the residency programme. Her parallel chart described her experience with a new mother's decision to offer her child for adoption, an action akin to abandonment in Sarah's cultural narrative.

  • Part of her chart described a peer's response that caused Sarah to re-examine how she responded to the mother and also to engage in self-facing about who she was as a physician.
  • In the group's responses, one participant attended to Sarah's self-judgement, her moral response.
  • Another response was temporal, focused on the baby's future.
  • Another raised questions about who else could help in this situation.

As the group inquiry proceeded with attention to the three dimensions, Sarah eventually retold her story as one in which she knew she excelled in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patients. Participants were attentive to Sarah's unfolding life, to her patient's unfolding life and to their own lives as medical learners.

내과 레지던트들이 참여했던 두 번째 연구35에서 우리는 한 참가자 레슬리의 경험을 공유했습니다. 레슬리와의 마지막 종료 대화에서 그녀는 자신의 직업적 정체성이 어떻게 변화하고 변화하는지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했습니다. 레슬리가 자신의 경험에 대해 썼을 때, 우리는 그것을 그녀의 개인적인 실용적 지식을 '실천하고, 말하고, 되살리고, 다시 말하는 것'5으로 이해했습니다.41

  • 레슬리는 첫 번째 평행 차트에서 좋은 의사가 되는 것에 대한 자신의 고민을 설명했습니다. 당시 그녀는 환자에게 간호사로 인식되는 것부터 자신을 의사로 소개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까지 다른 사람의 인식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습니다. 그녀는 의사로서의 역할과 의사로 인식되지 않는 것에 대한 우려 사이에서 부조화를 느끼는 경험을 다섯 번의 세션 동안 반복했습니다. 그녀는 좋은 의사가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의문을 품고 그룹에 속한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상황에서 어떻게 반응하고 행동했을지 확인했습니다.
  • 마지막 그룹 세션에서 레슬리는 의사로서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차트를 공유했습니다. 그녀는 자신을 자만하지 않는다고 설명하며 '어떤 일을 처리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다'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단지 경험일 뿐입니다...'.35 이러한 변화는 신체적, 정서적으로, 말과 행동으로 나타났고, 레슬리는 이에 대해 자세히 기록했습니다. 그녀는 의사로서 자신의 이야기가 일반적인 임상 환경이 아닌 다른 곳에서 어떻게 실현되는지 보여주었습니다.
  • 레슬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개인적, 직업적 환경에서 자신의 직업적 정체성이 어떻게 발전했는지 보여주었습니다. 그녀의 직업적 정체성은 한 인간이자 의사로서 그녀가 누구인지 구체화되어 있으며, 새로운 경험을 겪으면서 계속 발전하고 있습니다. '뒤돌아보는 이야기'를 하기 위해 마지막 차트를 작성하기로 결정함으로써 그녀는 자신의 이야기를 다시 들려주고 되새기며 의사가 되고 의사가 되는 미래 지향적인 이야기를 구성할 수 있었습니다. 

In an article from the second study,35 in which participants were internal medicine residents, we shared the experience of one participant, Lesley. In the final exit conversation with Lesley, she gave a brief account of how she understood her professional identity as shifting and changing. As Lesley wrote of her experience we understood it as the ‘living out, telling, reliving and retelling’5 of her personal practical knowledge.41 

  • In her first parallel chart Lesley described her concerns about being a good physician. At this time she was heavily reliant on the perceptions of others, from being perceived as a nurse by patients to her difficulty with introducing herself as a physician. Her experience of feeling dissonance (between her role as a physician and her concern at being not perceived as a physician) was recurrent over the five sessions. She questioned what it meant to be a good physician and checked with others in the group as to how they would have responded or acted in her situations.
  • In the last group session, Lesley shared a chart in which she was now telling the story of herself as a physician. She described herself as not complacent, ‘it's just more of a comfort that, more confidence that I can handle some stuff. And it's really just experience …’.35 The changes manifested themselves physically and emotionally, in speech and behaviours, and Lesley wrote of them in some detail. She made visible how her story of herself as a physician was lived out in places other than the usual clinical settings.
  • Lesley showed how her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ed over time and in different personal and professional landscapes. Her professional identity is embodied in who she is as a person and physician and continues to develop as she undergoes new experiences. Her decision to write her final chart looking back, to tell a ‘backward looking story’, allowed her to retell and relive her stories and compose her forward looking story of becoming and being a physician.

이 두 가지 내러티브 탐구에서 우리는 내러티브 탐구가, 데이터로서의 이야기가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사람들과 다양한 상황에서 살아가고 이야기하는 각 의료 학습자의 지속적인 경험 이야기에 관계적인 방식으로 접근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In these two narrative inquiries we showed that narrative inquiry does not work with stories as data but attends in relational ways to each medical learner's ongoing narratives of experiences as they are lived and told in multiple situations with diverse people over time.

의학교육에서 내러티브 탐구 참여의 도전 과제
Challenges of engaging in narrative inquiry in medical education

의학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그 중 네 가지를 강조합니다. 우리는 의학교육에서 내러티브 탐구에 참여했던 방식을 바탕으로 이러한 과제를 명확하게 설명합니다.
Using narrative inquiry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has many challenges and we highlight four. We draw on the ways that we have engaged in narrative inquiry in medical education to make explicit these challenges.

우리가 경험한 첫 번째 도전은 탐구의 시작점에 관한 것입니다. 내러티브 탐구는 경험을 연구하는 방법론이기 때문에, 우리는 개인의 경험담에 초점을 맞추는 데서 출발합니다. 우리는 우리 모두가 속한 사회적, 문화적, 제도적, 언어적, 가족적 내러티브의 중요성을 인정하지만, 연구의 초점은 개인의 경험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내러티브 탐구는 특정 현상에 대한 이론적 이해에서 출발하는 연구와 대조를 이룹니다. 내러티브 탐구자의 존재론적, 인식론적 가정에서 비롯되는 이러한 방법론적 출발점의 근본적인 차이는 많은 의학교육 연구와 대조적입니다.
The first challenge we experienced concerns the starting point for inquiry. Because narrative inquiry is a methodology for the study of experience, our starting point is the focus on an individual's stories of experience. Although we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social, cultural, institutional, linguistic and familial narratives within which we are all embedded, the focus of study is an individual's experience. In this way narrative inquiry stands in contrast with studies that begin in theoretical understandings of a particular phenomenon. This fundamental difference in the methodological starting point, which follows from narrative inquirers’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assumptions, is in contrast with many medical education studies.

예를 들어, 의사의 정체성 형성 연구에 대한 우리의 내러티브 탐구 접근법은 이론적으로 정립된 정체성 개념이 아니라 의학 학습자의 경험에서 출발했습니다. 내러티브 탐구에서는 각 의료 학습자의 경험담에서 시작합니다. 연구 설계에서는 참여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는 방법을 채택하거나 참여자의 경험을 함께 할 수 있는 방법을 채택해야 합니다. 앞서 설명한 두 가지 내러티브 조사에서 우리는 차트 작성과 공유를 병행하여 의료 학습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습니다. 그런 다음 참가자들과 함께 이야기에 대해 질문하고 마지막 출구 대화에서 자신의 경험을 되돌아보도록 요청했습니다. 참가자를 포함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설문지나 반구조화된 인터뷰 프로토콜을 만들 수 있는 이론적 이해가 아니라, 질문의 출발점이 참가자의 경험에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돕는 것은 어려운 과제였습니다.
As an example, our narrative inquiry approach to research into physician identity making began with the experiences of medical learners rather than with pre-set notions of identity developed in theory. In narrative inquiry we begin with each medical learner's stories of experience. Research designs require that we adopt methods to enable participants to tell their stories or to allow us to live alongside them as they undergo their experiences. In the two narrative inquiries described earlier we used parallel chart writing and sharing to create spaces within which medical learners could tell their stories. Alongside the participants, we then engaged in inquiries into the stories and finally we asked them to look back over their experiences in a final exit conversation. It is a challenge to help others, including participants, understand that the inquiry starting point is in the experience of participants, and not in theoretical understandings that would have allowed us to create a questionnaire or semi-structured interview protocol.

내러티브 탐구는 정체성 형성에 관여하는 요소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해주고, 의료 학습자가 임상 실습의 필수 출발점으로서 자신의 경험에 주목하는 법을 배울 수 있는 교육적인 방법을 만들어주기 때문에 그 중요성을 잘 알고 있습니다. 탐구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실습에 참여하기 위해 외부의 전문 지식뿐만 아니라 자신의 개인적 실무 지식을 활용하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We see the importance of engaging in narrative inquiry as it allows deeper understandings of what is involved in identity making and creates educative ways for medical learners to learn to attend to their experiences as an essential starting point in their clinical practice. Through the inquiry process they learn to look to their own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as well as to outside expert knowledge, to engage in practice.

의학교육에서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하는 두 번째 과제는 의사와 의사가 되기 위해 배우는 사람들에게 (임상 사례나 사례 연구를 사용하여 글을 쓰고 생각하도록 요구하는) 일반적인 의학교육 관행에서 관심을 전환하는 것입니다. 의사들은 일상적인 연습으로 회진에 참석하고 그 일환으로 사례 연구를 준비하고 발표하도록 훈련받습니다. 사례 연구는 대부분 객관적인 생물의학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집중적인 프레젠테이션입니다. 임상 사례 연구에서는 환자에 초점을 맞추고 의사의 경험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즉, 발표를 위해 사례를 준비할 때 의사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각 임상 사례에서 자신을 행위자 및 대리인으로 생각하지 않고 환자를 사례로 제시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임상 사례와 사례 연구는 패러다임적 사고와 연결됩니다. 관계적 방법론인 내러티브 탐구에서는 모든 참여자(의사, 환자, 연구자)의 경험을 연구 대상으로 삼습니다. 패러다임적 지식에서 내러티브 지식으로의 전환, 즉 데이터로서의 이야기에서 이야기로의 사고로의 전환은 자신의 경험을 연구에서 배제하도록 잘 훈련된 의사에게는 어려운 전환입니다. 예를 들어, 의료 학습자의 정체성 형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에서 참가자들은 처음에는 환자와 관련된 자신의 이야기를 쓰는 것이 어렵다고 느꼈습니다. 처음에는 환자에 대한 사례 연구를 쓰는 것이 더 편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시간이 지나고 노력을 기울인 끝에 그들은 환자에 대한 자신의 경험내러티브 탐구에서 연구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시작했습니다. 
The second challenge to engaging in narrative inquiry in medical education is shifting attention from the more common medical education practice of asking physicians and those learning to be physicians to write and think using clinical cases or case studies. They attend rounds as routine practice and are trained to prepare and present case studies as part of that practice. Case studies are, most frequently, intensive presentations that draw on objective biomedical data. In a clinical case study, the focus is on the patient and the physician's experience is not included; that is, in preparing cases for presentation, physicians are taught to collect objective data and to present patients as cases without thinking of themselves as actors and agents in each clinical encounter. Clinical cases and case studies are linked to paradigmatic thinking. In narrative inquiry, a relational methodology, the experiences of all participants (physicians, patients and researchers) are under study. This shift from paradigmatic to narrative knowledge, from thinking about stories as data to thinking with stories, is a challenging shift for physicians who have been well trained to leave their own experiences out of research. For example, in our narrative inquiries into medical learners’ experiences of identity making, our participants initially found it challenging to write stories of themselves in relation to patients. At first, they found it more comfortable to write case studies of the patients. It was over time and with effort that they began to see their experiences with patients as what was also under study in narrative inquiry.

내러티브 탐구 사용의 세 번째 과제는 방법론methodology으로서 내러티브 탐구와 일치하는 방법methods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다른 전문가와의 내러티브 탐구에서 사용되는 연구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39 의사와 의료 학습자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계를 형성하고 임상 환경에서 평가 체크리스트와 다른 전문가의 시선에 의해 형성된 '두려움/불확실성'을 내려놓을 수 있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만드는 것은 특히 어렵습니다. 이렇게 잘 정립된 관행에 맞서기 위해서는 의료 학습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자신의 이야기에 대해 질문할 수 있을 만큼 안전하다고 느끼는 공간을 만들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정체성 형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에서 병렬 차트를 사용하고 공동 탐구 방식을 공유 및 촉진함으로써 참가자들에게 안전한 공간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The third challenge in using narrative inquiry is the need to create methods that are congruent with narrative inquiry as a methodology. Although there are a number of research methods that are used in narrative inquiries with other professionals,39 it is particularly challenging to create methods of narrative inquiry to use with physicians and medical learners that allow for relationships over time and that will allow them to set aside their ‘fears/uncertainties’ shaped by assessment checklists and the expert gaze of others in their clinical environments. Working against these well-established practices requires that we create spaces where medical learners feel safe enough to tell their stories and to inquire into their stories. For example, in our narrative inquiries into identity making, it was the use of parallel charts followed by the shared and facilitated method of collaborative inquiry that created a safe space for the participants.

네 번째 도전 과제는 의사가 의료 상황에서 개별 행위자가 아닌 의료팀의 일원으로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서 비롯됩니다. 내러티브 탐구에 참여하는 데 있어 어려운 점은 다양한 팀원들의 경험을 고려하는 것입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의사의 정체성은 다른 의사, 간호사, 치료사, 약사, 사회복지사, 관리자 등 다른 의료 서비스 제공자들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며 들려주는 이야기를 통해 형성됩니다. 내러티브 탐구에 참여할 때 우리는 학제 간 및 전문직 간 업무 환경에서 만나는 다양한 의료 서비스 제공자의 경험을 포함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야 합니다. 내러티브 탐구에 참여하려면 다른 전문가들의 이야기뿐만 아니라, 개인이 포함된 더 큰 사회적, 제도적, 직업적 내러티브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여러 참여자의 경험에 주의를 기울이는 다관점 내러티브 탐구에 참여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따라서 각 의료 학습자의 경험을 이해하려면 각 분야와 각 전문직에 고유한 더 큰 사회적 전문직 내러티브제도적 내러티브서로 다른 전문가를 어떻게 포지셔닝하는지 이해해야 합니다.
The fourth challenge emerges from attending to physicians’ positioning as members of health care teams and not as individual actors in health care contexts. The challenge of engaging in narrative inquiry is in considering the experiences of different team members. As noted earlier, physicians’ identities are shaped through stories they live and tell in relation to other allied health care providers, including other physicians, nurses, therapists, pharmacists, social workers, managers, etc. As we engage in narrative inquiry we need to develop ways to include the experiences of different health care providers as they meet in their interdisciplinary and interprofessional work environments. Engaging in narrative inquiry requires attentiveness to the stories of other professionals as well as to the larger social, institutional and professional narratives in which individuals are embedded. Engaging in what often becomes multi-perspectival narrative inquiry that attends to the experiences of multiple participants is challenging. Consequently, to understand each medical learner's experiences we need to understand the larger social professional narratives that are unique to each discipline and each profession, and also how institutional narratives position different professionals in relation to each other.

향후 연구 및 실천 방향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directions

내러티브 탐구가 의학교육 연구에서 계속 채택됨에 따라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도전과제가 있을 것입니다. 우리는 내러티브 탐구와 다른 형태의 내러티브 연구의 기초가 되는 인식론적, 존재론적 가정을 계속해서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또한 의학교육과 다른 환경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근간이 되는 관계 윤리에 대한 이해를 계속 발전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교육학으로서의 내러티브뿐만 아니라 내러티브 반성적 실천과 같은 전문적 실천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사용을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As narrative inquiry continues to be taken up in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there will be challenges as noted above. We see the importance of continuing to clarify the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assumptions underlying narrative inquiry and other forms of narrative research. There is also a need to continue to develop understandings of the relational ethics that underlie narrative inquiry in medical education and in other settings. Consideration must be given to the possibilities of extending the uses of narrative inquiry in professional practice, such as narrative reflective practice as well as narrative as a pedagogy.


 

Med Educ. 2017 Jan;51(1):89-96. doi: 10.1111/medu.13136. Epub 2016 Nov 2.

Narrative inquiry: a relational research methodology for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1Faculty of Education,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Alberta, Canada.

2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Alberta, Canada.

3Faculty of Nursing,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Alberta, Canada.

PMID: 27807868

DOI: 10.1111/medu.13136

Abstract

Context: Narrative research, an inclusive term for a range of methodologies, has rapidly become part of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Concepts: In this paper we identify narrative inquiry as a particular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framework within narrative research and outline its characteristics. We briefly summarise how narrative research has been used in studying medical learners' identity making in medical education.

Uses of narrative inquiry: We then turn to the uses of narrative inquiry in studying medical learners' professional identity making. With the turn to narrative inquiry, the shift is to thinking with stories instead of about stories.

Conclusions: We highlight four challenges in engaging in narrative inquiry in medical education and point toward promising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possibilities.

학부의학교육에서 지속적 질 개선의 문화 만들기(Acad Med, 2020)
Shaping a Culture for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Guy W.G. Bendermacher, MSc, Willem S. De Grave, MSc, PhD, Ineke H.A.P. Wolfhagen, MSc, PhD, Diana H.J.M. Dolmans, MSc, PhD, and Mirjam G.A. oude Egbrink, MSc, PhD 

 

지속적인 질 향상(CQI) 전략은 커리큘럼이 발전하는 대중의 요구, 근거 기반 의학, 효과와 효율성에 대한 관심 증가에 발맞춰야 한다는 점에서 의과대학에 매우 중요합니다.1,2 1990년대 초부터 의과대학은 질 관리 접근 방식에 상당한 투자를 해왔으며, 그 결과 직원 성과에 대한 더 나은 통찰력, 개선이 필요한 주제를 알리는 기회, 더 명확하게 정의된 책임 등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3,4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CQI) strategies are of key importance to medical schools, given the need for curricula to keep pace with advancing public demands, evidence-based medicine, and an increased attention to effectiveness and efficiency.1,2 Since the early 1990s, medical schools have invested considerably in quality management approaches, resulting in better insights in staff performance, further opportunities to signal topics for improvement, and more clearly defined responsibilities.3,4

CQI는 학교가 교육의 질에 대한 다양한 개념을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해 도전하는 상태와 유사합니다. 이해관계자의 관점에 따라 교육의 질은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5 

  • 목적 적합성(유능한 미래 의사 교육),
  • 비용 대비 가치(교육에 대한 투자 수익),
  • 완벽성(결함 제로에 집중),
  • 탁월성(최고의 프로그램으로 우뚝 서기),
  • 혁신성(교육 학습 효과에 집중)

계획-실행-점검(PDCA) 사이클과 같은 실행 프레임워크는 CQI가 반복적이고 점진적인 과정임을 설명해줍니다. PDCA 사이클에서는 교육 결과를 미리 정해진 목표와 비교하고, 평가를 바탕으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6
CQI resembles a state in which schools take on the challenge to address different notions of educational quality in a methodical manner.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of a stakeholder, educational quality can be understood as

  • fitness for purpose (educating capable future physicians),
  • value for money (a return on investment in education),
  • perfection (focusing on zero defects),
  • exceptional (standing out as the best program), or
  • transformative (focusing on the educational learning effect).5 

Implementation frameworks such as the plan–do–check–act (PDCA) cycle illustrate that CQI is a repetitive and incremental process. The PDCA cycle holds that educational outcomes are compared to predetermined goals and that based on evaluations, action can be taken to address disparities.6

현재의 품질 관리 접근법의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교육 개선이 간단한 과정이 아니라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습니다.7 이 개념을 뒷받침하는 세 가지 주요 주장이 있습니다. 

  • 첫째, 질 관리 시스템과 프로세스의 성공 여부는 교수진, 지원 직원 및 학생이 이를 구현하고 수용하는 방식에 달려 있습니다.8 예를 들어, 학문적 자유의 전통은 프로그램 평가의 판단적 성격과 상충될 수 있습니다.9
  • 둘째, 의과대학은 다양한 하위 문화를 포함하는 복잡하고 계층적인 조직입니다.10 이러한 특성은 개선 노력에 대한 집단적 참여를 방해합니다.11
  • 셋째, CQI는 이용 가능한 정보, 시간 및 인센티브에 의해 제한됩니다.12 교육 개선을 위한 추가 노력에 대한 보상이 부족하면 평가가 구체적인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13

Notwithstanding the positive effects of current quality management approaches, there is a growing consensus that educational improvement is not a straightforward process.7 Three main arguments underpin this conception.

  • First, the success of quality systems and processes depends on the way they are implemented and received by faculty, support staff, and students.8 Traditions of academic freedom, for instance, can stand at odds with the judgmental character of program evaluations.9 
  • Second, medical schools are complex, hierarchical organizations, which include different subcultures.10 These characteristics hamper a collective engagement in improvement efforts.11 
  • Third, CQI is bounded by available information, time, and incentives.12 The lack of rewards for extra efforts to improve education can explain why evaluations are not followed up with concrete actions.13

CQI를 위한 구조와 프로세스는 교육의 질에 대한 관심을 핵심으로 하는 조직(하위)문화에 의해 보완되어야 한다는 생각질 문화 개념의 토대를 형성합니다.14,15 이 개념은 조직문화가 "외부 적응내부 통합의 문제에 대처하는 방법"16 을 반영한다는 관점과 연결되며 조직(하위)문화와 성과에 대한 이전 연구를 기반으로 합니다.17

  • 질 문화신뢰와 참여를 촉진하고
  • 리더십과 커뮤니케이션하드(시스템 또는 프로세스 지향)와 소프트(심리적 또는 가치 관련 지향) 차원 간의 연결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18,19

The idea that structures and processes for CQI should be complemented by an organizational (sub)culture with care for educational quality at its core forms the foundation of the quality culture concept.14,15 This concept is linked to the perspective that organizational cultures reflect “a way to cope with problems of external adaptation and internal integration,”16 and builds on previous research on organizational (sub)culture(s) and performance.17 

  • A quality culture promotes trust and involvement, while
  •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can reinforce the link between its hard (system or process oriented) and soft (psychological or value-related oriented) dimensions.18,19

여러 연구가 질 문화 개념을 더 잘 정의하는 데 기여했으며20,21 고등 교육 내 하위 문화를 식별했습니다.22,23 또한 이전 연구는 질 관리의 성공이 문화적 요인 및 교수진 선호와의 얼라인먼트로 설명될 수 있다는 통찰에 기여했습니다.24,25 그러나 품질 문화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이론적이고 설명적인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19 질 정책 및 절차에 참여하는 학생과 교수진이 질 문화를 개념화하는 방식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합니다. 특히, 업무와 관련된 심리적 태도가 질 관리 및 책임 절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교육기관 전반의 통찰력 강화가 필요합니다. 이 분야에 대한 지식의 증대는 품질 문화 육성의 장점을 뒷받침할 것입니다. 본 연구는 조직의 질 문화의 주요 특징이 무엇이며 이러한 특징이 학부 의학교육의 지속적인 개선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다룹니다. 의과대학의 CQI 시스템과 프로세스가 점점 더 유사해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는 주로 업무 관련 심리적 태도와 조직 가치 지향성이 CQI에 어떤 차이를 만드는지에 초점을 맞춥니다.
Several studies have contributed to a better definition of the quality culture concept20,21 and have identified subcultures within higher education.22,23 Moreover, previous research has contributed to the insight that the success of quality management can be explained by its alignment with cultural factors and faculty preferences.24,25 Yet most studies on quality culture are of a theoretical, descriptive nature.19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the way students and faculty involved in quality policies and procedures conceptualize a quality culture. Specifically, an enhanced insight across institutions is needed in how work-related psychological attitudes counterbalance quality control and accountability procedures. Increased knowledge in this area will support the merit of nurturing a quality culture. Our study addresses the questions what are the key features of an organizational quality culture and how do these features contribute to continuous improvement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s systems and processes for CQI in medical schools are increasingly becoming alike, we mainly focus on how work-related psychological attitudes and organizational value orientations make a difference in CQI.

방법
Method

연구 설계
Study design

우리는 사회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다기관 포커스 그룹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연구 설계는 연역적(이론에서 실천으로) 접근법과 귀납적(실천에서 이론으로) 접근법을 결합한 것이 특징입니다.26 포커스 그룹 토론은 참가자들의 다양한 경험, 관점, 태도를 포착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27 데이터 수집, 분석, 해석은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분석 절차를 반복적으로 조정하고 개선할 수 있었습니다. 
We conducted a multicenter focus group study, operating from a social constructivist stance. The study design is characterized by combining a deductive (from theory to practice) and inductive (from practice to theory) approach.26 Focus group discussions served to capture the broad array of participants’ experiences, perspectives, and attitudes.27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ere conducted sequentially, allowing for iterative adaptations and refinement of the analysis procedure.

설정
Setting

네덜란드의 8개 의과대학의 교육 품질 자문위원회(EC)가 이 연구에 참여하도록 의도적으로 선정되었습니다. EC 위원은 공식적으로 선출된 교수진과 학생 대표로 구성됩니다. EC의 주요 임무는 교육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문제에 대한 권고 사항을 프로그램 경영진에 제공하는 것입니다. EC는 프로그램 평가가 조직되는 방식에 대해 공식적으로 동의하고 조언할 수 있는 권한을 갖습니다. 위원회는 동일한 수의 학생과 교수진으로 구성됩니다(각 EC는 8~12명의 위원으로 구성). EC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을 실시하는 데는 네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 첫째, EC 교수진은 일반적으로 교육의 개발, 실행, 평가 및 개선에 대한 풍부한 경험을 가진 학자들입니다. 임상, 비임상 또는 전임상, 연구 및 교육 분야의 교수진이 참여 EC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둘째, EC 구성원은 현재 시행 중인 품질 시스템 및 절차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며, EC 구성원은 교육 및 평가 및 정책 부서와의 협력을 통해 이러한 시스템 및 절차에 대한 추가 지식을 습득했습니다.
  • 셋째, EC에는 학생 대표가 포함됩니다. 이러한 대표성을 통해 품질과 품질 개선에 대해 교수진 외에 다른 관점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 넷째, 교수진과 학생의 공통된 EC 멤버십을 통한 친분은 이질적인 그룹 환경에서 열린 토론을 촉진합니다. 

Education quality advisory committees (ECs) of the 8 medical schools in the Netherlands were purposively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is research. EC members are formally elected faculty and student representatives. The central task of ECs is to provide the program management with recommendations on all matters influencing quality of education. ECs have formal rights of consent and advice on the manner in which program evaluations are organized. The committees consist of an equal number of students and faculty (each EC has 8 to 12 members). Four reasons underpin the choice to conduct focus groups among ECs.

  • First, EC faculty generally are academics with ample experience in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education. Faculty with clinical, nonclinical or preclinical, research, and education backgrounds are represented in the participating ECs.
  • Second, EC members are familiar with the quality systems and procedures in place; EC members have derived additional knowledge on these systems and procedures through training and cooperation with evaluation and policy departments.
  • Third, ECs include student representatives. This representation allows for the incorporation of a different perspective on quality and quality improvement (besides that of faculty).
  • Fourth, the acquaintance of faculty and students through their shared EC membership facilitates open discussion in a heterogeneous group setting.

네덜란드의 각 의과대학은 학교의 역사, 연구 및 교육 실적, 학생의 다양성에 따라 다소 독특한 조직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학교 내에서 적용되는 교육적 접근 방식도 어느 정도 다릅니다. 그러나 학교마다 적용되는 교육 조직 구조와 품질 관리 접근 방식은 비슷합니다. 모든 프로그램은 학술 의료 센터에서 제공하거나 학술 의료 센터와 긴밀히 협력하여 제공합니다. 모든 참여 학교에서는 PDCA 사이클이 CQI의 지침 구조로 사용되며, 모든 프로그램은 네덜란드 학부 의학교육 프레임워크를 준수합니다.28 
Each medical school in the Netherlands has a somewhat distinct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its history, record in research and education, and diversity of student intake. Moreover, educational approaches applied within the schools vary to some extent. The educational organization structures and quality management approaches applied across schools are comparable, however. All programs are offered by, or in close cooperation with, academic medical centers. In all participating schools, the PDCA cycle serves as guiding structure for CQI, and all programs adhere to the Dutch Framework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28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우리는 PDCA 주기에 따라 질문이 구조화된 초기 포커스 그룹 가이드를 개발했습니다. 이 구조를 따르기로 한 것은 이 주기의 각 단계를 최적화하는 것이 CQI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제하에 결정되었습니다. 이 가이드(부록 디지털 부록 1: https://links.lww.com/ACADMED/A909)는 연구자의 소속 기관의 전직 EC 위원들과 함께 파일럿 포커스 그룹 세션에서 테스트한 후 질문 순서를 수정하고 이론적 개념의 사용을 제한하는 등 조정을 거쳤습니다. 2018년 5월, 네덜란드에 있는 8개 의과대학의 EC에 모두 연락을 취했습니다. 8개 위원회 중 6개 위원회가 참여하기로 동의했습니다. 참여하지 않은 위원회는 회의 계획에 필요한 시간 투자 및 어려움, EC 구성의 변화 등을 이유로 들었습니다. 총 40명의 EC 위원(학생 18명, 교수진 22명)이 6개의 포커스 그룹에 참여했습니다(표 1 참조). 회의는 2018년 7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되었습니다. 모든 회의(평균 시간 79분)는 있는 그대로 기록되었고, 익명화 및 코딩된 녹취록이 참가자들에게 전송되어 승인을 받았습니다. 각 포커스 그룹을 시작할 때 참가자들에게 양질의 문화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적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 활동은 사전 지식을 활성화하고 데이터 삼각 측량의 한 형태로 사용되었습니다. 포커스 그룹 회의가 끝날 무렵에는 참가자들에게 그들이 작성한 의견이 토론에 포함되었는지 물어보았습니다. 
We developed an initial focus group guide, with questions structured according to the PDCA cycle. The choice to follow this structure was based on the presupposition that optimizing each step of this cycle will lead to CQI. The guid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at https://links.lww.com/ACADMED/A909) was tested in a pilot focus group session with former EC members from the researchers’ home institution and thereafter adjusted; the order of questions was revised, and the use of theoretical concepts was limited. In May 2018, we approached the ECs of all 8 medical schools in the Netherlands. Six of the 8 committees agreed to participate. Reasons given for not participating were the required time investment and difficulty in planning a meeting and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the ECs. In total, 40 EC members (18 students and 22 faculty) participated in the 6 focus groups (see Table 1). The meetings were conducted between July and December 2018. All meetings (average duration, 79 minutes) were transcribed verbatim, and anonymized and coded transcripts were sent to participants for approval. At the start of each focus group, we asked participants to write down what they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a quality culture. This exercise activated prior knowledge and was used as a form of data triangulation. At the end of the focus group meeting, we asked participants if their written comments were covered in the discussion.

acadmed_2020_04_08_iler_sdc-00805_sdc1.pdf
0.11MB

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

데이터 분석을 위해 단계적 주제 분석의 일종인 템플릿 분석을 사용했습니다. 템플릿 분석에서는 계층적으로 구조화된 테마로 구성된 일련의 코딩 템플릿을 개발하여 데이터에 반복적으로 적용합니다. 분석이 진행됨에 따라 테마는 지속적으로 수정됩니다.29

  • 첫 번째 단계로, G.W.G.B.와 W.S.d.G.는 코딩된 2개의 트랜스크립트를 독립적으로 열어 트랜스크립트 내 및 트랜스크립트 간에 반복되는 코드를 검색합니다. 품질 문화에 관한 최근 문헌고찰에 기술된 주제가 민감성 개념으로 사용되었습니다.19
  • 그 후, 두 저자는 만나서 코드를 비교하고 병합하여 주제를 식별했습니다.
  • 초기 코딩 템플릿은 24개의 주제와 183개의 코드로 구성되었습니다.
  • 그 후 G.W.G.B.는 나머지 기록의 분석을 바탕으로 템플릿을 반복적으로 변경했습니다. 이러한 변경 사항에는 코드의 세부 사항 추가, 병합 및 연결이 포함되었습니다.
  • 이후 G.W.G.B.와 W.S.d.G.가 다시 만나 코딩 템플릿의 최종 버전(25개의 테마와 199개의 코드 포함)을 확정했습니다.
  • 마지막 단계로, G.W.G.B.는 최종 버전의 템플릿을 사용하여 모든 트랜스크립트를 다시 코딩했습니다.

분석 프로세스는 Atlas-ti 8.3 소프트웨어(ATLAS.ti, GmbH, 독일 베를린)를 사용하여 지원되었습니다. 포커스 그룹이 시작될 때 수행한 서면 연습의 코딩, 녹취록 분석, 전체 연구팀과의 녹취록 토론을 통해 5가지 중요한 주제를 식별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We used template analysis, a stepwise type of thematic analysis, to analyze the data. In template analysis, a succession of coding templates consisting of hierarchically structured themes is developed and iteratively applied to the data. Themes are modified continuously as the analysis progresses.29 

  • As a first step, G.W.G.B. and W.S.d.G. open coded 2 transcripts independently, searching for codes that recurred within and between transcripts. Topics described in a recent literature review on quality culture served as sensitizing concepts.19 
  • Subsequently, these 2 authors met to compare and merge codes and identify themes.
  • The initial coding template comprised 24 themes and 183 codes.
  • Iterative changes to the template were then made by G.W.G.B. based on the analysis of remaining transcriptsThese changes concerned further detailing, merging, and linking codes.
  • Hereafter, G.W.G.B. and W.S.d.G. met again to establish the final version of the coding template (including 25 themes and 199 codes).
  • As a last step, G.W.G.B. recoded all transcripts using the final version of the template.

The analysis process was supported by application of Atlas-ti 8.3 software (ATLAS.ti, GmbH, Berlin, Germany). The coding of the written exercise performed at the start of focus groups, analysis of transcripts, and discussion of transcripts with the full research team contributed to the identification of 5 overarching themes.

반사성
Reflexivity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단계에서 다양한 해석을 반영하기 위해 전체 연구팀은 여러 차례 회의를 가졌습니다. 이 회의에서는 익명화 및 코딩된 녹취록, 현장 노트, CQI에 대한 각자의 이해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모든 연구팀원은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 대학교 보건직업교육대학의 보건, 의학 및 생명과학 학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포커스 그룹 진행자(W.S.d.G.)는 개인 및 그룹 인터뷰 경험이 풍부한 교육 과학자입니다. 양질의 문화 개발 박사 과정 중인 또 다른 팀원은 관찰자이자 메모 작성자(G.W.G.B.)로 활동했습니다. 연구팀에는 품질 보증 경험이 있는 교육 과학자(I.H.A.P.W.), 의학교육 혁신가인 의학 생리학자(M.G.A.o.E.), 혁신적인 학습 준비에 중점을 둔 교육 과학자(D.H.J.M.D.)가 추가로 포함되었습니다. 품질 관리, 정책 결정, 의학교육 등 다양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을 포함할 수 있었습니다. 팀 토론을 통해 연구 결과에 대한 합의에 도달했습니다.  
To reflect on diverse interpretations in the data gathering and analysis stages, the full research team held several meetings. In these meetings, we discussed the anonymized and coded transcripts, field notes, and our individual understandings of CQI. All research team members are affiliated with the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at the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t Maastricht University in the Netherlands. The focus group moderator (W.S.d.G.) is an educational scientist with extensive experience in interviewing individuals and groups. Another team member, who is a doctoral candidate in quality culture development, acted as observer and note taker (G.W.G.B.). The research team further included an educational scientist with experience in quality assurance (I.H.A.P.W.), a medical physiologist who is a medical education innovator (M.G.A.o.E.), and an educational scientist focusing on innovative learning arrangements (D.H.J.M.D.). Our diverse expertise (in quality management, policy making, and medical education) enabled inclusion of multiple perspectives. From team discussions, we reached a negotiated consensus on the study’s results.

윤리적 고려 사항
Ethical considerations

이 연구는 네덜란드 의학교육윤리심의위원회(NVMO ERB-1046)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The study was approved by the Dutch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Ethical Review Board (NVMO ERB-1046).

연구 결과
Results

연구 결과 CQI의 질적 문화 구성 요소를 반영하는 5가지 주요 주제를 확인했습니다.

  • (1) 개방적 시스템 관점 육성,
  • (2) 교육 (재)설계에 이해관계자 참여,
  • (3) 교육과 학습의 가치인정,
  • (4) 소유권과 책임 사이의 탐색,
  • (5) 통합적 리더십 구축 

지원적인 커뮤니케이션 환경(조직의 리더에 의해 촉진될 수 있음)은 처음 네 가지 주제에 기여하고 그 안에 통합되어 있습니다. 다음 섹션에서는 이러한 주제와 그 특징적인 요소에 대해 논의하고(그림 1 참조), 포커스 그룹 회의(FGn)에서 도출된 학생(Sn) 및 교수진(Fn)의 발언을 인용하여 설명합니다. 
We identified 5 main themes that reflect quality culture constituents to CQI:

  • (1) fostering an open systems perspective,
  • (2) involving stakeholders in educational (re)design,
  • (3) valuing teaching and learning,
  • (4) navigating between ownership and accountability, and
  • (5) building on integrative leadership.

A supportive communication climate (which can be fueled by the organization’s leaders) contributes to, and is integrated within, the first 4 themes. In the following sections, we discuss the themes and their characterizing elements (see Figure 1) and illustrate them with student (Sn) and faculty (Fn) quotes derived in the focus group meetings (FGn).

조사 결과 참가자들이 양질의 문화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에 대한 일관된 그림이 드러났습니다. 따라서 결과는 통합된 방식으로 제시됩니다(학생과 교수진의 의견을 번갈아 제시). 참가자들의 응답은 PDCA 모델에 따라 구조화된 질문과 일치했으며, 이는 교직원과 학생들이 개선을 위한 체계적인 작업 방식을 내재화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결과는 포커스 그룹을 시작할 때 실시한 서면 연습에서 응답자들이 체계적인 접근 방식이나 PDCA 주기의 중요성을 자주 언급한 결과로 뒷받침됩니다(보충 디지털 부록 2: https://links.lww.com/ACADMED/A910).
Our findings reveal a consistent picture on what participant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a quality culture. The results are therefore presented in an integrated manner (alternating student and faculty quotes). Participants’ responses were in line with prompts structured under the PDCA model, which implies that faculty and students have internalized a systematic way of working on improvement. This finding is supported by results from the written exercise performed at the start of the focus groups in which respondents frequently referred to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approaches or the PDCA cycl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2 at https://links.lww.com/ACADMED/A910).

개방적 시스템 관점 육성
Fostering an open systems perspective

참가자들은 개방적인 분위기와 외부 지향성, 실험과 혁신의 자유가 CQI에 필수적인 요소로 꼽았습니다. 이들은 내부적 연계(과정 간)와 외부적 연계(현장의 발전 및 요구사항)에 대한 끊임없는 필요성을 표명합니다. 다음 교수진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개방형 시스템 관점을 취하는 것은 다양한 수준에서 관련이 있습니다:
Participants identify a general atmosphere of openness, combined with an external orientation and freedom to experiment and innovate as essential for CQI. They express a constant need for internal alignment (between courses) and external alignment (with developments in, and requirements of, the field). As the following faculty member illustrates, taking an open systems perspective is relevant on different levels:

[코스 코디네이터는 엄밀한 의미에서 자신의 임무보다 조금 더 멀리 내다볼 필요가 있습니다. 저는 항상 이를 미시적 수준이라고 부르는데, 교육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하지만 중급 수준도 있습니다. 프로그램 내에서 무엇이 선행되고 무엇이 뒤따르는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수평적, 수직적 연결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거시적 수준에서는 프로그램에서 사회적 맥락과 전문성에 대한 수요, 대학원 교육과의 연계까지....... 이렇게 복잡한 상황에서 교육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이죠. 이것이 바로 도전입니다. (FG1, F5)
[Course coordinators] need to look a bit further than just their assignment in the strict sense. I always call that the microlevel, where the translation to education is being made. But then, there’s also the mesolevel. Within the program, you should consider what precedes and what comes after. How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nnections are made, and at the macrolevel, from the program to the societal context and the demand for specialisms, the alignment with postgraduate training…. That you have to develop education in such a complicated situation. That is the challenge. (FG1, F5)

참가자들은 조직의 적응력에 중요한 기여 요인으로 개방성과 외부 지향성을 언급합니다. 프로그램 환경 내부 또는 외부에서 얻은 새로운 인사이트는 CQI의 변화 동인으로 간주됩니다. 인증 패널의 권고, 의료계의 다른 프로그램과의 벤치마킹, 노동 시장의 의견, 교육자, 동료 및 학생의 조언 등을 통해 얻은 새로운 인사이트가 그 예입니다. 이러한 인사이트를 실행에 옮기려면 유연성, 창의성, 실험과 혁신의 여지가 필요합니다:
Participants refer to openness and an external orientation as important contributors to the organization’s adaptivity. New insights obtained from within or outside the program environment are seen as drivers of change for CQI. Examples are new insights derived through recommendations by accreditation panels; benchmarking with other programs in medicine; inputs from the labor market; and advice from educationalists, peers, and students. To translate these insights into practice, flexibility, creativity, and room to experiment and innovate are needed:

실수를 해도 괜찮고 실수에 대해 솔직하게 말할 수 있는 문화가 조성되어야 합니다. 모든 것이 완벽하게 이루어지기를 서로에게 요구한다면 이를 억제해야 합니다....... 또한 ... 교육 자료가 완전히 고정되어 있지 않고 약간 유연한 형식으로되어있어 모든 사람이 자신의 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사람들이 더 많이 참여하고 다양한 접근 방식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FG1, F2)
The related culture is that it is all right to make mistakes and that you can be open about it. If we demand from each other that everything goes perfect, then you suppress that…. Also … that the educational material is not completely set in stone, but has a bit of a flexible format, so that everyone can find their way in it. That way, people thrive and you can collect information on how different approaches work. (FG1, F2)
교수진이 교육 접근 방식을 과감하게 바꾸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강의가 그 자체로 효과적이지 않다는 말은 종종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여전히 강의가 일반적인 관행인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FG3, S1)
It is important that faculty dares to change educational approaches. For instance, it has often been said that lectures are not per se effective. However, we are still in a situation in which lectures are common practice. (FG3, S1)

학생과 교수진은 특히 커리큘럼 내용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교수팀 내, 교수 코디네이터 간의 소통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Students and faculty point out that communication within teaching teams and between teaching coordinators requires attention, especially to safeguard alignment of the curriculum content.

교육 (재)설계에 이해관계자 참여하기
Involving stakeholders in educational (re)design

EC 위원들은 교육을 (재)설계할 때 교수진과 학생의 참여와 공동의 목표 지향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합니다. 이러한 참여는 다양한 시나리오, 기회, 과제를 고려하는 데 기여합니다: 
The EC members elaborate that involvement and a shared goal orientation of faculty and students in the (re)design of education require attention. This involvement contributes to considering various scenario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모든 사람은 그것[교육 발전]에 대해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사람이 다른 가능성이나 구현을 봅니다. 예를 들어, 일이 잘못될 수도 있습니다. 서류상으로는 훌륭해 보이지만 학생과 교수진이 경험하는 것은 완전히 다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사람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FG5, S2)
Everyone has a different view on it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everyone sees different possibilities or implementations. Also, for example, where things can go wrong. Something can look great on paper but can be experienced totally different by students and faculty. That is why I think we need everyone on board. (FG5, S2)

응답자들은 또한 기대치를 명확히 하고 불확실성을 제거하여 교육 변화 활동에 대한 지원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교직원과 학생의 참여가 중요하다고 언급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더 큰 규모의 커뮤니티를 참여시키고 소통하는 목표를 달성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Respondents further note that involvement of faculty and students is important to clarify expectations, take away uncertainty, and therewith create support for educational change activities. However, in practice, the objective to involve—and communicate with—the larger community can be difficult to meet:

계획 개발의 전체 기간 동안 우리는 계획을 실행해야 하는 사람들을 충분히 참여시키지 못했습니다. 이들에게 충분히 알리지 않았고, 갑자기 이런 일이 발생하니 압박감이 컸습니다. 반드시 필요한 일이었습니다. 사람들이 우리가 왜 이런 일을 하는지 충분히 알지 못했습니다. 이유가 무엇이었는지요. (FG6, F6)
During the whole period of plan development, we insufficiently involved the people who eventually needed to implement it. We did not inform them sufficiently and what happens all of a sudden, the pressure was on. It needed to happen. Without people being fully aware of why we were doing this. What the reason was. (FG6, F6)

상향식 개선 접근 방식과 하향식 개선 접근 방식 사이의 균형이 자주 언급됩니다. 한편으로는 기본 틀과 (재)개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조직 고위층에서 시작된 접근 방식이 필요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교수진과 학생들이 계획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The balance between bottom-up and top-down improvement approaches is often referred to. On the one hand, approaches initiated at a high level in the organization are needed to provide a basic framework and (re)development structure, while on the other hand, the ability of faculty and students to contribute to plans is important:

하향식도 상향식도 아닌, 모든 이해 당사자들과 협의하여 문제를 파악하고 그런 방식으로 합의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죠. 적어도 그것이 철학입니다. 코디네이터나 교수가 커리큘럼을 설계하고 "이렇게 하세요."라는 식으로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말이죠. (FG5, S3)
That it is neither a top-down nor a bottom-up implementation, but that we identify issues in consultation with all parties involved, and that a consensus can be reached that way. At least, that is the philosophy. Instead of a coordinator or professor designing a curriculum and implementing it like “here you go.” (FG5, S3)

구체적인 가치는 대표 기관에 귀속됩니다. 이러한 기구들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모범 사례에 대한 통찰과 공유를 바탕으로 조언을 제공함으로써 개선에 기여합니다: 
Specific value is attributed to representative bodies. These bodies contribute to improvement by identifying new ideas and providing advice based on insights in—and sharing of—best practices:

저는 학생들이 교육 분야의 강점과 모범 사례를 잘 파악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 생각에 학생[대표]으로서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 중 하나는 이러한 품질 측면이 실제로 무엇인지 인식하고 "이것이 아이디어였고, 이것이 구현되는 방식이며,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주목해야 할 지점"을 고려하는 것입니다. (FG3, S1)
I believe that students are very well equipped to map the strong aspects and best practices within education…. In my opinion, part of the challenge for us as students [representatives] is to be aware of what those quality aspects actually are … to consider “this was the idea, this is how it is implemented, and these are the points of attention to improve quality.” (FG3, S1)

응답자들은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변화 리더에게 프로젝트 관리 및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의학교육 환경에서 이러한 기술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기 때문에 참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The respondents indicate that to safeguard stakeholder involvement, change leaders require project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skills. A lack of attention for such skills in the medical education setting is expressed as reason for experiencing a shortfall of involvement.

교육과 학습의 가치
Valuing teaching and learning

교육을 개선하려는 교수진의 동기는 학생을 향한 (학문적, 직업적) 발전에 대한 헌신에서 비롯됩니다. 예를 들어, 교수진은 교육 활동 후 학생들과의 만남을 통해 동기 부여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 시간 동안 학생들은 특정 활동의 학습 효과에 대해 감사를 표합니다. 학생들에 따르면 교수진의 헌신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나타납니다(예: 가시성 및 접근성, 학생 질문에 대한 응답, 강의에 대한 열정). 헌신적인 교수진은 자기 성찰적인 태도를 취하는 경향이 더 강하고 피드백에 더 잘 반응하며, 이는 내부적인 개선 의지에서 비롯됩니다: 
The motivation of faculty to improve education stems, to an important degree, from commitment to the (academic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tudents. Faculty, for example, point to the motivating effect of meeting with students after teaching activities, during which time students express appreciation for the learning effect of certain activities. According to students, faculty’s commitment manifests in several ways (e.g., through visibility and approachability, responsiveness to student questions, enthusiasm in lecturing). Committed faculty are more inclined to attain a self-reflective attitude and are more responsive to feedback, stemming from an internal drive to improve:

네, 우선은 개선하려는 교사의 의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매우 다양한 개선 계획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한 교사는 다른 교사보다 비판에 훨씬 더 개방적입니다. (FG2, S2)
Yes, I believe for one thing, it involves the willingness of the teacher to improve. This is also what you get from many very different improvement plans: One teacher is far more open to criticism than the other. (FG2, S2)

교사와 학생 모두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하고 목표를 공유하는 것이 헌신에 기여한다고 보고합니다. 일반적으로 교육에 대한 관심과 인정은 교사의 가르침에 대한 동기를 부여합니다. 다음 교직원의 말은 교육보다 연구를 중시하는 것이 교육에 투자하려는 노력을 방해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Both teachers and students report that their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processes and shared goal formulation contribute to commitment. In general, attention to and appreciation of education fuel faculty’s motivation to teach. The following quote from a staff member illustrates that valuing research over education can hamper efforts to invest in education:

학과장은 교수진의 연구와 논문을 작성하는 것에 훨씬 더 많은 관심을 보입니다. 블렌디드 러닝을 구현하거나 새로운 학습 프로그램 청사진을 만들면 그것도 성과가 되지만, 부서장을 행복하게 하는 성과는 아닙니다. (FG5, F2)
A head of department is far more interested in faculty members’ research and you producing manuscripts. That is something which pays off … if you implement blended learning or create a new study program blueprint … that’s also output, but it’s not the kind of output that makes the department head happier. (FG5, F2)

6개 기관의 응답자 모두 과도한 업무량이 교육에 전념하는 데 방해가 된다고 답했습니다. 이에 반해 상급 경영진의 교육에 대한 관심과 인정은 헌신을 자극합니다: 
Respondents from all 6 institutions report that excessive workload hinders the commitment to education. As a counterbalance, attention to—and appreciation of—education from upper management stimulates commitment:

교육에 대한 관심과 열의에 따라 교육의 질이 만들어지기도 하고 깨지기도 하는데, 교육은 하다 보면 좋아지기 시작하고 자동적으로 향상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주로 시간과 관심, 주변 사람들의 관심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네, 교육 경력 경로와 연례 평가에서 상사의 관심... 그런 모든 종류의... 교육에 대한 조직 내 관심. (FG3, F2)
The quality of education is made or broken by the attention to and enthusiasm for education, because if you do it, you will start to like it, and you will also automatically improve. So I think it mostly concerns time and attention and interest from other people. So yes, educational career paths and your superior’s attention during the annual appraisal … all that kind of … attention within the organization for education. (FG3, F2)

교수진은 헌신적인 교직원들이 동료 교사와의 대화나 비공식적으로 학생의 의견을 묻는 등 (표준 교육 평가 외에) 추가적인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구한다고 설명합니다. 학생 대표들은 교수와 학생 간의 짧은 거리와 학생이 비공식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이러한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참가자들은 교직원-학생 커뮤니티 구축을 통해 교수와 학습을 중시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대면 상호작용의 여지가 많은 소규모 단위의 교육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Faculty explain that committed staff members actively seek additional sources of feedback (other than the available standard educational evaluations), for instance, by sparring with peers and by informally asking for student opinions. The student representatives add that a short faculty–student distance and student opportunities to provide feedback informally are instrumental in this respect. Participants point to the importance of valuing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staff–student community building, which can be reached through teaching in smaller units with more room for face-to-face interaction, for example.

소유권과 책임 사이에서 탐색하기
Navigating between ownership and accountability

교수진에 따르면, 자신의 통찰력을 바탕으로 교수 학습 활동을 설계하면 주인의식을 고취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려는 동기를 강화할 수 있다고 합니다. 교육 (재)개발을 (팀) 공동의 과제로 삼고 전문가적 자율성의 여지를 두면 팀이 헌신한다면 교육의 질에 영향을 미칩니다:
According to faculty, design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their own insights stimulates ownership and reinforces their motivation to continuously improve. Making the (re)development of education a shared (team) task, with room for professional autonomy, affects educational quality, provided that the team is committed:

최고의 기획 그룹은 광범위한 토론이 이루어지고 토론을 피하지 않는 팀입니다..... 헌신과 함께한다는 느낌이 있어야 합니다. "우리는 무언가를 창조할 것이다." "우리는 무언가를 만들 것이다." 이것이 바로 퀄리티를 얻는 방법입니다. 때때로 관리 기관에서 정한 경계를 넘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경우에도 그들은 어쨌든 당신에게 호루라기를 불 것입니다. (FG1, F4)
The best planning groups are teams in which extensive discussions take place, and where discussion is not avoided…. There has to be commitment and a feeling of togetherness. “We are going to create something.” “We are going to build something.” That is how you get quality. Maybe you will sometimes cross the boundaries set by the management institute. But yes, in that case, they will blow the whistle on you anyway. (FG1, F4)

자율성과 주인의식은 동료 지원 및 책무성 절차(즉, 체계적인 평가 및 개선 접근 방식으로서의 PDCA 주기)와 연계되어야 합니다. 결과 평가보다 단기적인 학생 만족도와 과정에 중점을 두는 것은 교수진이 선호하는 학생의 종단적 발달에 초점을 맞추는 것과 모순됩니다. 또한 평가가 혁신과 연계되지 않거나 학습 효과를 포착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Autonomy and ownership need to be linked with peer support and accountability procedures (i.e., the PDCA cycle as systematic evaluation and improvement approach). An emphasis on short-term student satisfaction and process over outcome evaluations contradicts faculty’s preferred focus on the longitudinal development of students. Moreover, evaluations might not be aligned to innovations or fail to capture learning effects:

목표에 도달했는지 훨씬 더 광범위하게 측정해야 하고, 그러면 다시 제 목표로 돌아와야 합니다. 제 목표는 시험이 끝나거나 학기가 끝난 후 학생들이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는 것이 아닙니다. 제 목표는 학생들이 훌륭한 의사가 되는 것을 보는 것입니다. 그것이 제 목표입니다. (FG6, F5)
You need to measure to a much larger extent if you reached your goals, and then I come back to my goal again. My goal is not to see happy students after their exam or after the semester. My goal is to see them become a great doctor. That is my goal. (FG6, F5)

학생과 교수진은 피드백이 건설적인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여기서 응답자들은 내러티브 피드백의 부가가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합니다. 평가의 후속 조치에 대한 정보와 커뮤니케이션이 부족하면 피드백의 질이 떨어집니다. 평가의 목적과 후속 조치에 대한 추가 설명은 학생이 양질의 피드백을 제공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명확한 책임 구조를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Students and faculty report that it is key for feedback to be constructive. Herein, respondents refer specifically to the added value of narrative feedback. A lack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n the follow-up of evaluations mitigates feedback quality. Further explanation of the purposes and follow-up of evaluations can enhance the likeliness of students’ provision of high-quality feedback. Moreover, embedding clear responsibility structures is key:

저희는 1년 넘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아내려고 노력해 왔습니다. "저 사람은 이렇게 하고, 저 사람은 저렇게 하고, 저 사람은 저렇게 피드백을 준다"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코스를 보면 개선하는 것이 번거롭고 몇 년이 걸립니다. 하지만 어떤 방식으로 구조화되어 있고 누가 무엇을 책임지는지 위에서부터 아래로 명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FG4, S1)
We have been trying to find out what is going on for more than a year now. There is nobody who can tell us “that person does this, that one does that, and that one gives feedback,” etc. If you look at a course, it is cumbersome to improve and it will take years. But I think it should be clear from the top down that it is structured in a certain way and who is responsible for what. (FG4, S1)

복잡한 조직 구조와 많은 교직원이 조정 및 실행 역할에 관여하는 것평가 결과에 대한 후속 조치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꼽힙니다.
Complex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involvement of many faculty members in coordination and implementation roles are considered to frustrate the follow-up on evaluation results.

통합적 리더십 구축
Building on integrative leadership

도표 1은 통합적 리더십이 앞서 설명한 4가지 주제에 존재하는 긴장을 엮어내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요약한 것입니다. 개방적 시스템 관점을 키우는 것과 관련하여 학생을 포함한 다학제적 팀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이러한 팀을 구성하면 책임과 의사결정을 공유하고 다양한 관점을 포용할 수 있습니다:

Chart 1 summarizes how integrative leadership contributes to intertwining the tensions present within the 4 themes described previously. With regard to fostering an open systems perspective, the formation of multidisciplinary teams (including students) is considered important. Such teams allow for shared responsibilities, decision making, and the inclusion of different perspectives: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그룹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룹은 너무 크지 않고 가능한 한 이질적이어야 하며, 교육 조직 내 모든 구성원으로부터 해당 과제를 수행하도록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FG3, S1)
I think you should start with the group that has to perform the task. The group should not be too large, but as heterogeneous as possible … and it should get approval from everyone within the educational organization to perform that task. (FG3, S1)

리더는 중요한 (프로그램 또는 조직) 목표와 개별 교수진의 야망, 동기 부여 및 전문성 사이의 연결 고리를 자극해야 합니다. 팀이나 개별 교사에게 너무 많은 자유를 제공하면 커리큘럼의 일관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Leaders ought to stimulate connective links between the overarching (program or organization) goals and individual faculty members’ ambitions, motivations, and specialties. Offering too much freedom to teams or individual teachers can endanger the curriculum coherence:

현재 많은 교사들이 [학습 프로그램 관리자가] 내용을 무시하고 자기 방식대로 교육을 개발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좋은 의도로 하는 일이라는 점을 분명히 말씀드리지만, 그렇게 되면 모든 것이 뒤죽박죽이 되죠. (FG4, F2)
What you see now is that when those people [the study program management] ignore the content, a lot of teachers develop education in their own way. Of course they do this with the best intentions, let me make that clear, but yeah, then everything becomes all jumbled. (FG4, F2)

팀이 자유롭게 운영할 수 있는 일반적인 프레임워크는 혁신을 위한 유연성과 효과와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한 안정성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데 도움이 됩니다:
A general framework within which teams have freedom to operate helps to establish a balance between flexibility to innovate and stability to remain effective and efficient:

예, 의도된 목표에 따라 프레임워크가 결정되고, 결국 프레임워크에 따라 사람들에게 "여러분에게는 레버리지와 일정한 자유가 있지만, 주어진 프레임워크의 경계 내에서만 가능합니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FG6, F5)
Yes, the intended aims determine the framework and the framework in the end determines that you tell people, “You have leverage and a certain freedom, but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provided framework.” (FG6, F5)

지지적인 커뮤니케이션 분위기를 조성하는 리더의 능력은 개선 이니셔티브의 성공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됩니다. 리더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스를 통해 조직 변화의 비전에 대한 투명성을 높이고 참여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Abilities of leaders to establish a supportive communication climate are considered important determinants of the success of improvement initiatives. Through communication processes, leaders can foster transparency on the vision behind organizational change and foster involvement:

좋은 비전일지라도 그 비전이 정확히 무엇을 수반하는지 알고 싶을 수 있습니다. 비전을 공유하면 오류가 발생할 여지가 있습니다. 그러면 적어도 지평선에 있는 점이 무엇인지 알 수 있습니다. 누군가 이메일을 보내는 것을 잊어버려도 "괜찮아. 우리가 무엇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지 알아요. 왜 이런 일이 지금 일어나야 하는지 알아요."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FG2, F2)
It could just happen to be a good vision, but then you would like to know what it entails exactly. If you share it, this vision, you have some room for errors. Then at least you know what the dot on the horizon is. It could happen that somebody forgets to send you an email, and you think, “It’s okay. I know what we are working towards. I know why this needs to happen now.” (FG2, F2)

EC 멤버들은 지원과 협력적인 교사 네트워크, 교육 커리어 트랙 구축, 교육에 대한 추가 시간 또는 보상 제공리더가 교수와 학습의 가치를 증진하고 동기를 유발하는 다양한 사례를 제시합니다. 리더는 교육에 대한 인식과 건설적인 피드백 제공을 통해 소유권(및 자율성)과 책임(및 통제)의 균형을 맞추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 
The EC members provide various examples of the way leaders promote valuing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rigger motivation: through support and collaborative teacher networks, establishing education career tracks, and offering additional time or reimbursement for teaching. Leaders affect the balance of ownership (and autonomy) with accountability (and control) through appreciation of education and the provision of constructive feedback.

토론
Discussion

이 연구에서 우리는 의학교육에서 CQI 문화를 형성하는 5가지 주제를 확인했습니다. 차트 1에서 볼 수 있듯이, 조직 내에는 교육의 질을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방향성 사이에 다양한 긴장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경쟁적 지향점 간의 통합과 시너지 창출을 위해서는 다학제적 협업, 개방적 의사소통, 교수진 개발 및 인적 자원에 대한 투자, 품질 관리보다 품질 향상에 초점을 맞춘 책임 절차가 강화되어야 합니다. 
In this study, we identified 5 themes that in concert shape a culture for CQI in medical education. As Chart 1 illustrates, various tensions within organizations exist between orientations to maintain and further develop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integration and creation of a synergy between these competing orientations call for increased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on, open communication, investments in faculty development and human resources, and accountability procedures focusing on quality enhancement over quality control.

개방형 시스템 관점(주제 1)지식 공유 강화와 창의성 및 혁신의 자극을 통해 질적 발전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관점을 취하면 학교가 점진적 단일 루프 학습과 유사한 CQI 노력에 전념하는 것에서 진정한 학습 조직(수정된 목표, 의사결정 규칙 또는 양쪽 모두의 이중 루프 학습과 유사한)으로 전환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30 CQI 문화를 촉진하려면 의과대학의 현재 가치관을 변화시킬 필요가 분명합니다. 교수진은 일반적으로 유연하고 인간 중심적인 조직을 선호하지만,31,32 의과대학은 여전히 보수적이고, 위계적이며, 단절되고, 인본주의적 성향을 저해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22,33-35 
An open systems perspective (Theme 1) aids in promoting quality development through intensified knowledge sharing and the stimulation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Taking such a perspective aids schools in their shift from devoting to CQI efforts (resembling incremental, single-loop learning) to becoming true learning organizations (resembling modified goals, decision-making rules, or both—double-loop learning).30 To stimulate a culture for CQI, a need for change in current values of medical schools is apparent. Whereas faculty typically prefer a flexible and human centered organization,31,32 medical schools are still often seen as conservative, hierarchical, disconnected, and discouraging humanistic orientations.22,33–35

광범위한 이해관계자의 참여(주제 2)는 지식, 기술 및 (잠재적으로 경쟁적인) 가치의 다양성이 교육의 질에 대한 다면적인 개념을 다루는 데 도움이 되므로 CQI의 핵심입니다.36 그러나 의료 전문가와 학계는 (임상 서비스 활동, 부서, 학문 분야 등과 관련된) 사일로 내에서 일하고 학습하는 데 익숙하며, 이는 고유한 태도, 문제 해결 능력 및 공통 언어 사용을 강화합니다.37 또한 의사와 연구자는 일반적으로 상당한 자율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개별적인 책임을 지는 데 익숙하고 자신의 학문 분야의 이익을 옹호하는 데 열심입니다.37 다양한 배경을 가진 교수진이 참여하는 철저한 토론과 공동 창작 세션은 집단적 개선 활동을 시작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38 또한 CQI는 학생을 고객 또는 소비자에서 조직 문화의 적극적인 구성원 및 기여자로의 역할 변화를 수반합니다.
Broad stakeholder involvement (Theme 2) is key to CQI, as diversity in knowledge, skills, and (potentially competing) values helps to address the multifaceted notion of education quality.36 However, medical professionals and academics are used to working and learning within silos (relating to their clinical service activities, departments, disciplines, etc.), which reinforce distinct attitudes, problem-solving skills, and the use of a common language.37 Moreover, physicians and researchers typically have a large degree of autonomy. They are used to taking individual responsibility and are keen to defend interests of their own discipline.37 Thorough discussions and cocreation sessions involving faculty from different backgrounds form a keystone to initiate collective improvement activities.38 Additionally, CQI entails a role change from students as clients or consumers to active members of and contributors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인센티브와 교수진의 요구 만족도에 대한 연구와 함께,39,40 우리는 CQI의 외재적 동기에 대한 몇 가지 예시를 발견했습니다. 자금 지원, 개발 시간, 정보 공유, 교수진 개발 이니셔티브 증가를 통한 교육 및 학습의 가치인정(주제 3)은 조직의 개선 잠재력에 영향을 미칩니다.41,42 따라서 조치를 취하는 데 필요한 자원이 부족하다면 단순히 주인의식과 책임감을 고취하는 것(주제 4)은 유익한 결과로 이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In line with research on incentives and faculty needs satisfaction,39,40 we found several illustrations of extrinsic motivators for CQI. The valuing of teaching and learning (Theme 3) through increased funding, time for development, information sharing, and faculty development initiatives influence the organization’s improvement potential.41,42 Hence, a mere promotion of ownership and accountability (Theme 4) will not lead to beneficial results if required resources to take action are lacking.

우리의 연구 결과는 통합적 리더십(주제 5)이 양질의 문화 발전을 지원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의학교육의 리더십은 개별 교수진의 감독, 지도, 지원에서 더 넓은 집단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리더는 강력한 리더십에 CQI의 책임을 돌리는 대신 동기부여자, 멘토, 촉진자 역할을 해야 합니다. 지식 집약적인 의과대학 환경에서 리더와 직원들은 조직의 문제에 대한 의미와 해결책을 재구성합니다.43 의학교육의 CQI는 다양한 스타일을 결합할 수 있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목표와 야망을 통합할 수 있는 리더가 가장 잘 수행할 수 있습니다.44 
Our findings indicate that integrative leadership (Theme 5) supports further quality culture development. Leadership in medical education is changing from individual faculty supervision, guidance, and support to a focus on the broader collective. Instead of attributing responsibility for CQI to strong leadership, leaders are expected to be motivators, mentors, and facilitators. In the knowledge-intensive setting of medical schools, leaders and employees coconstruct meaning and solutions to organizational issues.43 CQI of medical education is best served with leaders who are able to combine multiple styles and who are able to coalesce different stakeholder goals and ambitions.44

실천 커뮤니티(CoP)45를 구현하면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문화 주제를 다룰 수 있는 기회의 창이 열립니다. CoP는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가진 교사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새로운 관점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합니다. 또한 이러한 커뮤니티 내에서 조직된 (연수) 활동은 참여 의식을 강화하고 역량, 자신감, 신뢰성, 유대감을 향상시킵니다.46 CoP는 교수 학습, 개인 개발, 교사 정체성 확립을 중시하는 환경을 형성합니다. 교육 및 학습 커뮤니티의 건설적인 동료 피드백 프로세스는 교육 개선에 대한 주인의식과 책임감의 균형을 맞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 CoP의 개방적이고 종적인 성격은 그 부가가치에 필수적이며, 단순히 우수한 챔피언들의 일시적인 리그를 구축하는 것을 넘어서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The implementation of communities of practice (CoPs)45 opens a window of opportunity to address the themes of a culture for continuous improvement. CoPs facilitat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from diverse disciplinary backgrounds and create opportunities to gain new perspectives. Moreover, (training) activities organized within these communities strengthen a sense of involvement and enhance competence, confidence, credibility, and connection.46 CoPs form an environment in which the valuing of teaching and learning, personal development, and teacher identity building is central. Constructive peer feedback processes in teaching and learning communities help to balance ownership and accountability for educational improvement. It should be noted that an open and longitudinal character of CoPs is essential to their added value; they should go beyond the mere establishment of a temporal league of quality champions.

이론적 및 실무적 의의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본 연구는 표준 품질 관리 접근 방식이 품질 문화 개념에서 도출된 통찰력으로 보완되어야 한다는 교수진과 학생들의 의견을 대변합니다. 보고된 결과는 이 이론적 개념에 대한 더 깊은 통찰력을 얻는 데 기여했습니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책무성을 강조하는 정적인 접근 방식에서 전문가의 자율성과 커뮤니티 구축의 여지가 있는 유연한 접근 방식으로의 전환을 시사합니다. CQI는 교육의 가치, 교수진의 동기 부여, 학생의 개인적, 학업적, 전문적 개발에 더욱 집중할 것을 요구합니다. 
The present study gives voice to the opinion of faculty and students that standard quality management approaches should be complemented by insights derived from the quality culture concept. The reported results have contributed to gaining a deeper insight into this theoretical notion. Our findings imply a shift from static approaches emphasizing accountability toward flexible approaches with room for professional autonomy and community building. CQI requires a stronger focus on the valuing of teaching; faculty motivation; and student personal, academic,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강점과 한계
Strengths and limitations

이 연구는 질적 문화를 경험적으로 연구한 몇 안 되는 연구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용 가능한 문헌에 기여합니다. 여러 기관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교수진과 학생의 관점을 모두 고려했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의과대학 내 가치 지향성이 품질 관리 접근 방식과 교수진의 업무 관련 심리적 태도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데 매우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참여 의과대학에서는 이러한 지향점이 다소 동질적이었지만, 다른 상황에서는 다를 수 있습니다. 네덜란드 의과대학(8개 중 6개)만 조사 대상에 포함되었다는 점도 결과의 해석과 적용 가능성에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또 다른 한계는 EC 위원들의 견해가 다른 중요한 이해관계자들과 다를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EC는 일반적으로 조직 중간 수준에서 운영되기 때문에 경영진과 풀뿌리 관점을 모두 파악했다고 가정합니다. 세 번째 (잠재적) 한계는 응답자들이 익명성이 보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대학에 소속된 연구자들과 특정 경험을 공유하는 것을 꺼렸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available literature as it is one of few studies that research quality culture empirically. We gathered data from multiple institutions and took into account both faculty and student perspectives. The findings suggest that value orientations within medical schools are highly relevant in explaining how quality management approaches and work-related psychological attitudes of faculty interact. Whereas these orientations were rather homogeneous in the participating medical schools, they might vary in other contexts. The fact that we included only medical schools from the Netherlands (6 of 8)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interpretation and transferability of results. A further limitation is that views of EC members might differ from other important stakeholders. However, as ECs typically operate on the organizational mesolevel, we assume to have captured both management and grassroots perspectives. A third (potential) limitation is that the respondents, despite guaranteed anonymity, might have been reluctant to share particular experiences with researchers affiliated with another university.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CQI의 새로운 길을 개척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교육 개선 접근 방식을 집단적인 노력으로 전환하는 개입에 대한 향후 연구가 특히 유용할 것입니다. 또한 이 연구에서 확인된 5가지 주제와 관련된 모범 사례에 대한 사례 연구는 CQI를 위한 조직의 변화와 개발을 시작하는 데 지렛대가 될 것입니다. 
To pave new paths for CQI, future research on interventions that convert individual educational improvement approaches to collective endeavors would be particularly valuable. In addition, case studies on best practices relating to the 5 themes identified in this study would provide levers to initiate organizational change and development for CQI.

결론
Conclusions

의과대학의 3대 사명인 교육, 연구, 임상 서비스 중 교육은 전통이 지배적이기 때문에 질적 개선과 변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가장 느린 경우가 많습니다. 의과대학에서 양질의 문화를 육성하기 위한 노력은 이러한 현 상황을 타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Of a medical school’s 3 missions—education, research, and clinical services—education is often the slowest to recognize that quality improvement and change are necessary, with traditions being dominant. Efforts to nurture the quality cultures in medical schools will help to unfreeze this status quo.


Acad Med. 2020 Dec;95(12):1913-1920. doi: 10.1097/ACM.0000000000003406.

Shaping a Culture for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1G.W.G. Bendermacher is educational policy advisor, Institute for Education, and a PhD candidate,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Maastricht University, the Netherlands; ORCID: https://orcid.org/0000-0002-7804-4594.

2W.S. De Grave is an educational psychologist,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Maastricht University, the Netherlands.

3I.H.A.P. Wolfhagen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Educational Development and Research, and deputy director, Institute for Education,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Maastricht University, the Netherlands.

4D.H.J.M. Dolmans is professor of innovative learning arrangements, Department of Educ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Maastricht University, the Netherlands; ORCID: https://orcid.org/0000-0002-4802-1156.

5M.G.A. oude Egbrink is professor of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innovations, Department of Physiology, and scientific director, Institute for Education,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Maastricht University, the Netherlands; ORCID: https://orcid.org/0000-0002-5530-6598.

PMID: 32287081

PMCID: PMC7678663

DOI: 10.1097/ACM.0000000000003406

Free PMC article

Abstract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key features of an organizational quality culture and explore how these features contribute to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Method: Between July and December 2018, researchers from Maastricht University in the Netherlands conducted a multicenter focus group study among 6 education quality advisory committees. Participants were 22 faculty and 18 student representatives affiliated with 6 medical schools in the Netherlands. The group interviews focused on quality culture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optimizing educational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further) improvement. Template analysis, a stepwise type of thematic analysis, was appli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Five main themes resembling quality culture constituents to continuous educational improvement were identified: (1) fostering an open systems perspective, (2) involving stakeholders in educational (re)design, (3) valuing teaching and learning, (4) navigating between ownership and accountability, and (5) building on integrative leadership to overcome tensions inherent in the first 4 themes. A supportive communication climate (which can be fueled by the organization's leaders) contributes to and is integrated within the first 4 themes.

Conclusions: The results call for a shift away from static quality management approaches with an emphasis on control and accountability toward more flexible, development-oriented approaches focusing on the 5 themes of a culture for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The study provides new insights in the link between theory and practice of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Specifically, in addition to quality management systems and structures, faculty's professional autonomy, collaboration with peers and students, and the valuing of teaching and learning need to be amplified.

사례 기반 다지선다형 문항 작성을 위한 ChatGPT 프롬프트(Spanish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023)
A ChatGPT Prompt for Writing Case-Based Multiple-Choice Questions 
Yavuz Selim Kıyak1 *

 

소개
Introduction

의과대학에서는 의대생의 고차원적인 능력, 특히 임상적 추론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필기 평가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방법에는 사례 기반 객관식 문제(MCQ), 핵심 기능 문제, 스크립트 일치도 테스트 등이 포함됩니다(1). 이 중 사례 기반 MCQ는 매우 효과적이고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2). 그러나 의과대학의 한정된 자원으로 양질의 문항(문항)을 작성하는 과정은 상당한 도전 과제입니다.  
Medical schools use various written assessment methods to evaluate higher-order skills of medical students, particularly clinical reasoning. These methods encompass case-based multiple-choice questions (MCQs), key-feature questions, script concordance tests, and others (1). Among these, case-based MCQ stands out as both highly effective and commonly utilized (2). However, the process of writing high-quality items (questions) presents a significant challenge on the limited resources of medical schools. 

특히, 고차원적인 기술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맥락이 풍부한 단일 문항을 작성하려면 의대 교수의 상당한 시간 투자가 필요하며, 이는 종종 몇 시간으로 연장되기도 합니다(3). 많은 노력이 필요한 과정이지만, 의학교육에서 상당한 양의 MCQ에 대한 수요는 도전의 수준을 크게 높입니다. 진도 테스트만을 위한 문제은행을 개발하는 경우에도 수천 개의 문제를 통합해야 합니다(4). 따라서 의과대학이 직면한 중요한 과제는 고품질의 MCQ를 대량으로 작성하는 것입니다. 
More specifically, writing a single context-rich MCQ designed to assess higher-order skills demands a significant investment of a medical teacher's time, often extending into hours (3). While it requires an effortful process, the demand for a substantial quantity of MCQs within medical education significantly increases the level of challenge. Even developing a question bank solely for progress testing necessitates incorporating thousands of questions (4). Hence, the significant challenge faced by medical schools lies in writing a high quantity of high-quality MCQs. 

기존 솔루션
Existing Solutions

교육 분야에서 대량의 MCQ가 요구됨에 따라 연구자들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한 번에 많은 수의 문항을 생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자동 문항 생성(AIG)은 "컴퓨터 기술을 사용하여 모델을 사용하여 문항을 생성하는 프로세스"(5)로서 이러한 목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템플릿 기반 AIG는 임상 문제에 직면했을 때 내용 전문가의 사고 과정을 드러내는 인지 모델을 만드는 것을 기반으로 합니다. 그런 다음 주제별 전문가는 질병/문제에 대한 인지 모델을 기반으로 항목 모델을 만듭니다. 문항 모델에는 템플릿 MCQ가 구축되고, 주제별 전문가가 제공한 사양을 고려하여 문항 내 적절한 부분에 적절한 단어를 할당하는 단어가 만들어집니다(6). 문항 모델은 수백 개의 문항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템플릿 기반 AIG는 기존의 문항 작성 방식보다 실현 가능성이 높습니다.  
High volume of MCQ need in education led researchers to develop new methods to generate high number of items at once by using software. Automatic Item Generation (AIG) has been developed for this purpose as "a process of using models to generate items using computer technology" (5). Template-based AIG is based on creating a cognitive model, which reveals subject matter experts’ thinking process when they faced with a clinical problem. Then, subject matter experts create an item model based on the cognitive model on a disease/problem. In the item model, a template MCQ is built, and the words assigning the appropriate words to the appropriate parts in the items considering the specifications provided by subject matter experts (6). An item model is able to result in hundreds of MCQs, therefore template-based AIG is more feasible than traditional way of item writing. 

템플릿 기반 AIG는 지난 10년 동안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영어, 프랑스어, 중국어, 스페인어, 한국어, 터키어 등 다양한 언어로 성공적으로 구현된 사례가 문헌에 나와 있습니다(6,7). 또한 캐나다의 국가 의사 면허 시험에서도 자동 생성된 문제가 사용되었습니다(8).  
Template-based AIG has shown a great success in the last ten years. Successful implementations have been shown in the literature in various languages, such as English, French, Chinese, Spanish, Korean, and Turkish (6,7). Furthermore, automatically generated questions have been used in national medical licensure exam in Canada (8). 

템플릿 기반 인공지능이 기존 문항 작성에 비해 우월함에도 불구하고, 인지 모델과 문항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분야별 전문가가 필요하기 때문에 여전히 인간의 노력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AI)을 사용하면 시험 개발자가 문항을 생성하는 데 드는 노력이 줄어들지만, 연구자들은 여전히 템플릿 기반 방식에 비해 만족스럽지 못한 문항을 제공했기 때문에 이러한 목적으로 AI를 사용하는 것보다 템플릿 기반 AIG를 선호했습니다(6).  
Despite the superiority of template-based AIG over traditional item writing, it still depends on human efforts as it requires subject matter experts to develop cognitive models and item models. Alth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less effortful for test developers to generate items, researchers still preferred template-based AIG over the use of AI for this purpose because AI provided unsatisfying MCQs compared to template-based methods (6). 

MCQ 생성을 위한 AI
AI for Generating MCQs

AIG의 비템플릿 기반 방법은 자연어 처리(NLP)에 의존하는데, 과거에 사용되긴 했지만 만족스러운 MCQ를 생성하지 못했습니다(6). 그러나 대규모 언어 모델(LLM)인 생성적 사전 학습 트랜스포머(GPT)와 같은 NLP 기반 AI 솔루션이 이를 변화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GPT-3.5와 같은 LLM이 '우리말 해킹'에 성공했기 때문입니다(9).  
Non-template based methods in AIG relies 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which has been used but did not produce satisfying MCQs in the past (6). However, it seems NLP-based AI solutions like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GPT), which is a large language model (LLM), is about to change this. It is because LLMs, such as GPT-3.5, achieved a success in “hacking our languages” (9). 

GPT-3.5의 변형인 ChatGPT는 2022년 11월에 공개적으로 도입되었습니다. 단 5일 만에 사용자 100만 명을 돌파했습니다(10). 이는 의료 전문직 교육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11-14). 그 결과 일부 의학교육 연구자들은 ChatGPT의 출시일을 ChatGPT 이전 시대와 이후 시대를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제시하기도 했습니다(15). 이러한 성공은 아마도 GPT-3가 이전 모델의 10배에 달하는 훨씬 더 큰 데이터 말뭉치를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16)과 ChatGPT가 무료로 공개되었기 때문일 것입니다(15).  
ChatGPT, a variant of GPT-3.5, was publicly introduced in November 2022. It passed one million user mark in only five days (10). It affected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s well (11–14). As a result, some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suggested the release date of ChatGPT as a crucial delineation between the pre-ChatGPT era and the post-ChatGPT era (15). This success was probably due to the fact that GPT-3 possesses a data corpus that is significantly larger, being ten times the size of prior models (16), and due to ChatGPT’s free and public release (15). 

저희의 개인적인 경험에 따르면 ChatGPT를 사용하여 고품질의 MCQ를 생성하는 것은 프롬프트의 품질에 달려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의대생들을 위해 Esh Tatla가 개발한 프롬프트를 수정하여 프롬프트를 개발했습니다(17). 원래 프롬프트가 유용하더라도 의학교육에서 객관식 문항을 구성하는 원칙에 더 가깝게 부합하는 MCQ를 생성하기 위해 수정이 필요했습니다. 지속적인 테스트와 개선을 통해 완성된 프롬프트는 표 1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시험 개발자와 의대생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답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부분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Our personal experiences show that generating high quality MCQs using ChatGPT depends on the quality of prompts. Therefore, we developed a prompt by revising the prompt developed by Esh Tatla for medical students (17). Even if the original prompt was useful, it required us to make revisions to generate MCQs that align more closely with the principles of constructing multiple-choice items in medical education. The prompt, achieved through continuous testing and refinement, is presented in Table 1. It also includes a part to provide explanations of the answers that may help test developers and medical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이 프롬프트를 사용하려면 사용자는 대문자로 표시된 두 부분만 채우면 됩니다:
To use this prompt, the user needs only to fill two parts presented using capital letters:

  1. [주제를 입력하세요]
    [PLEASE INSERT A TOPIC]
  2. [난이도(예: 쉬움, 어려움)를 입력하세요]
    [PLEASE INSERT A DIFFICULTY LEVEL (E.G. EASY, DIFFICULT]

첫 번째 부분에서는 사용자가 주제를 삽입합니다. 이 주제는 의과 대학 교육의 학습 목표로 간주할 수도 있습니다. 두 번째 부분은 MCQ의 난이도를 결정하는 부분입니다. 
In the first part, the user inserts a topic. The topic can also be considered as a learning objective of a training in a medical school. The second part is to determine the difficulty of the MCQ.

표 2는 "일차 진료 환경에서 본태성 고혈압 관리"를 주제로, 난이도를 "쉬움"으로 설정한 프롬프트를 사용하여 생성된 MCQ를 보여 줍니다https://chat.openai.com/share/4342df6f-7cbe-43df-98dc-b110b53983e3(무료 연구 미리보기, 9월 25일 버전)에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Table 2 shows an MCQ generated by using the prompt with “managing essential hypertension in a primary care setting” as the topic, and “Easy” as the difficulty level, which is accessible from https://chat.openai.com/share/4342df6f-7cbe-43df-98dc-b110b53983e3. (Free Research Preview, September 25 Version). 

의학교육학 박사 학위를 가진 의사로서 위의 MCQ는 그럴듯하고 잘 구성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문항의 질에 대한 철저한 분석도 가능하겠지만, 프롬프트를 입력하고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몇 초 만에 이러한 MCQ를 생성할 수 있다는 점이 우선 흥미롭습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MCQ를 작성하려면 해당 분야 전문가들의 오랜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인터넷 연결과 일반 컴퓨터, 그리고 상세한 프롬프트만 있으면 몇 초 만에 효율적으로 MCQ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일부 연구자들은 2022년 11월부터 시작되는 이 시기를 포스트 ChatGPT 시대라고 명명하기도 합니다. 
As a physician with a PhD in medical education, it seems the MCQ above is both plausible and well-constructed. While a thorough analysis of the item's quality could be carried out, it is initially intriguing to generate such an MCQ within seconds by simply inputting a prompt and pressing a button, which is an extraordinary success. In the past, writing such MCQs required extensive time of subject matter experts. However, in today, with an internet connection, an average computer, and the detailed prompt, we can efficiently generate MCQs in a few seconds. This is why some researchers name this period began in November 2022 as post-ChatGPT era. 

향후 연구를 위한 권장 사항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ChatGPT를 이용한 자동 MCQ 생성은 많은 연구 질문에 대한 해답을 제시합니다. 그 중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Automatic MCQ generation using ChatGPT comes up with many research questions that need to be answered. Some of them are:
 MCQ가 과학 및 임상 지식 측면에서 주제별 전문가의 평가를 통해 수용 가능한 것으로 간주됩니까? 
 프롬프트가 심리측정 표준을 충족하는 MCQ를 생성할 수 있나요? 
 ChatGPT가 생성한 MCQ의 품질은 인간 전문가가 생성한 것과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가 있나요? 
 ChatGPT가 생성한 질문의 인지 수준이 의도한 학습 목표 및 블룸의 분류 체계와 어떻게 일치하나요? 
 MCQ의 의도된 난이도가 실제 평가 환경에서 실제 난이도와 일치합니까? 
 다양한 보건 전문직 교육 환경에서 MCQ를 생성하는 데 프롬프트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까? 
 MCQ를 시험에 포함하기 전에 사람이 편집해야 합니까? 
 설명이 형성 평가에서 의대생에게 효과적인 피드백으로 작용하나요? 
 Are the MCQs considered acceptable through evaluation by subject matter experts in terms of scientific and clinical knowledge? 
 Is the prompt capable of generating MCQs that meet psychometric standards? 
 How does the quality MCQs generated by ChatGPT compared to those created by human experts? 
 How do the cognitive levels of questions generated by ChatGPT align with the intended learning objectives and Bloom's taxonomy? 
 Do the intended difficulty levels of the MCQs align with their actual difficulty in real assessment settings? 
 Can the prompt be effectively used to generate MCQs in various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ettings? 
 Do the MCQs need editing by humans before incorporating them into exams? 
 Do the explanations serve as effective feedback for medical students in formative assessments? 

결론
Conclusions

 ChatGPT는 몇 초 만에 사례 기반 MCQ를 생성할 수 있는 흥미로운 기회를 제공합니다. 
 연구자들은 ChatGPT를 사용하여 생성된 MCQ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해야 합니다.
 ChatGPT provides an exciting opportunity for generating case-based MCQs in a few seconds. 
 Researchers should conduct studies to evaluate the quality of MCQs generated by using ChatGPT. 


Table 1. A prompt for generating MCQs in medical education. 

You are developing a question bank for medical exams focusing on the topic of [PLEASE INSERT A TOPIC]. Please generate a high-quality single best answer multiple-choice question. Follow the principles of constructing multiple-choice items in medical education. Generate the questions using the following framework:

Case (write as a single narrative paragraph without providing each part separately): 
Patient details (gender/age)
Presenting complaint
Relevant clinical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findings
Diagnostic test results (optional)

Question stem: [Insert relevant information from the above sections without compromising the answer]
Acceptable question style: Ask for the BEST answer, NOT one that is TRUE/FALSE.

Answer options:
[Insert plausible answer option]
[Insert plausible answer option]
[Insert plausible answer option]
[Insert plausible answer option]
[Insert plausible answer option]

Explanation:
• Identify and explain the correct answer.
• Explain why this is the most appropriate answer based on evidence-based guidelines or expert consensus.
• Briefly explain why the other answer options are less correct or incorrect.

Difficulty level: [PLEASE INSERT A DIFFICULTY LEVEL (E.G. EASY, DIFFICULT]


Table 2. An MCQ generated by using the prompt in ChatGPT.

Case:

Mr. Johnson, a 55-year-old male, presents to the primary care clinic with a chief complaint of recurrent headaches. He reports a sedentary lifestyle and a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His blood pressure readings during previous routine check-ups have consistently been elevated. Mr. Johnson denies any chest pain, shortness of breath, or visual disturbances. His past medical history is significant for obesity and a sedentary occupation. On physical examination, his blood pressure is 150/92 mmHg, and his BMI is 31. Laboratory results show normal renal function and lipid profile.  

Question stem:

Given Mr. Johnson's presentation with recurrent headaches, a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and consistently elevated blood pressure readings, what is the BEST initial management strategy in a primary care setting? 

Answer options:

A. Initiate lifestyle modifications, including dietary changes and increased physical activity.
B. Start antihypertensive medication immediately to lower blood pressure.
C. Order a 24-hour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for further assessment.
D. Recommend immediate admission to the hospital for comprehensive evaluation.
E. Suggest over-the-counter analgesics for headache relief and reassess in six months.

Explanation:

The correct answer is A. Initiate lifestyle modifications, including dietary changes and increased physical activity.

Explanation:

Hypertension management guidelines emphasize lifestyle modifications as the initial approach in patients with uncomplicated essential hypertension. For individuals like Mr. Johnson, who presents with elevated blood pressure, obesity, and a sedentary lifestyle, initiating lifestyle changes is crucial. These changes should include adopting a heart-healthy diet (such as the DASH diet),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and weight reduction. Lifestyle modifications have been shown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blood pressure control and may obviate the need for immediate pharmacologic intervention.

Option B (Start antihypertensive medication immediately) is not the best initial approach unless there are compelling indications for immediate treatment, which are not evident in Mr. Johnson's case. Option C (Order a 24-hour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may be considered in certain situations but is not the primary step in the management of essential hypertension. Option D (Recommend immediate admission to the hospital) is not warranted in the absence of hypertensive emergencies. Option E (Suggest over-the-counter analgesics) does not address the underlying hypertension and is not the primary management strategy for this patient. 


 


Abstract

The significant challenge faced by medical schools is the effortful process of writing a high quantity of high-quality case-based multiple-choice questions (MCQs) to assess the higher-order skills of medical students. The demand for a high volume of MCQs in education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Item Generation (AIG), specifically template-based AIG, which involves creating cognitive and item models by subject matter experts to generate hundreds of MCQs at once using software. It demonstrated significant success in various languages and even being incorporated into national medical licensure exams. However, this method still heavily depends on the efforts of subject matter experts. This paper introduces a detailed ChatGPT prompt for quickly generating case-based MCQs and provides important research questions for future exploration into ChatGPT's potential in generating items, signaling the beginning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in medical education, encouraging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ers to delve deeper into its potential.

실천을 통한 학습: 의과대학생 리더의 현상학적 연구(Med Educ, 2022)
Learning by doing: A phenomenological study of medical student leaders
Henry G. Annan1,2 | Victor Do3,4 | Anna MacLeod2

 

 

1 소개
1 INTRODUCTION

의학교육계는 수년 동안 리더십을 의사의 핵심 역량으로 인식해 왔습니다. 영국 왕립 의과대학 아카데미와 국민보건서비스는 리더십을 '의사의 전문 업무의 핵심 부분'으로 간주합니다.1 마찬가지로 캐나다 의과대학협회(AFMC)는 2010년 및 2012년 캐나다 의학교육의 미래(FMEC) 보고서에서 학부 및 대학원 수준에서 리더십 개발을 촉진할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2, 3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CanMEDS 의사 역량 프레임워크는 의사 리더십을 의사직의 맥락에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리더로서 의사는 임상의, 행정가, 학자 또는 교사로서의 활동을 통해 고품질 의료 시스템의 비전에 기여하고 우수한 환자 치료 제공에 대한 책임을 지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교류한다'고 설명합니다.4 '다른 사람들과 교류'에서 CanMEDS는 의사의 리더십을 협력적인 것으로 강조합니다. 이는 의사를 의료 시스템 개선이라는 환경 속에 위치시킴으로써 환자와 직접 대면하는 것 이상의 일을 요구합니다. 마지막으로, 적어도 일부 상황에서는 의사의 리더십이 관리자나 교육자와 같은 공식적인 역할('책임감')을 맡는 것까지 포함한다고 제안합니다.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has recognised leadership as a core physician competency for many years. The Academy of Medical Royal Colleges 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National Health Service consider leadership as ‘a key part of doctors' professional work’.1 Similarly, the Association of Faculties of Medicine of Canada (AFMC) in their 2010 and 2012 Future of Medical Education in Canada (FMEC) reports highlighted the need to foster leadership development at the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levels.2, 3 The internationally recognised CanMEDS physician competency framework defines leadership in the context of physicianship. It explains that ‘as leaders, physicians engage with others to contribute to a vision of a high-quality health-care system and take responsibility for the delivery of excellent patient care through their activities as clinicians, administrators, scholars or teachers’.4 In ‘engaging with others’, CanMEDS highlights physician leadership as collaborative. It places the physician within the milieu of improving health-care systems—thereby requiring work beyond the face-to-face patient interaction. Finally, it suggests that, at least in some circumstances, physician leadership encompasses taking on a formal role with some associated accountability (‘take responsibility’), for example, as an administrator or an educator.

굿달과 베커가 처음 제안한 전문가 리더십 이론5은 조직의 '핵심 비즈니스 활동에 대한 업계 경험과 전문적 능력'을 갖춘 리더가 조직을 위해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고 가정합니다. 기업 세계에서 많은 예시가 제시되었지만, 이러한 현상은 의료 분야에서도 입증되었습니다. 문헌에 따르면 임상의사가 리더십 역할을 맡은 병원이 그렇지 않은 병원에 비해 병원 성과가 더 높을 수 있다고 합니다.6-8 따라서 의사가 조직 리더십 기술을 갖추면 전반적인 인구 건강 결과를 개선하는 등 장기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The theory of expert leadership, originally proposed by Goodall and Bäker5 postulates that leaders with ‘industry experience and expert ability in the core business activity’ of an organisation may be better positioned to yield better outcomes for their organisation. While many illustrative examples are given from the corporate world, the phenomenon is demonstrated in health care as well.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hospital performance may be higher in hospitals with physicians in leadership roles compared to those without clinicians at the helm.6-8 As such, equipping physicians with organisational leadership skills may have long-term benefits including improving overall population health outcomes.

리더십 기술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의료 학습자들은 최소한의 리더십 개발 교육만 받고 있습니다.9 이러한 리더십 개발의 격차는 의학교육 전반에 걸쳐 존재합니다.10-12 2010년 브라운 등의 연구에 따르면 레지던트들은 의료 시스템 및 기타 관리 측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13 마찬가지로 반즈와 동료들은 의대생들이 임상 리더십 역할을 맡을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4 그러나 의대생 시절 리더십 개발은 임상 실습 중에 리더십 역할을 맡을 수 있도록 의대생을 준비하는 데 효과적입니다.15 
Despite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skills, medical learners continue to receive minimal leadership development training.9 This gap in leadership development span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10-12 A 2010 study by Broun et al noted that residents identified a need for training in health systems and other aspects of management.13 Similarly, Barnes and colleagues found that medical students felt unprepared to take on clinical leadership roles.14 Yet, leadership development during medical school can be effective in preparing medical students for taking on leadership roles during their clinical practice.15

효과적인 공식 리더십 개발 교육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관련 과외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의대생이 리더십 기술을 연마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을 제공합니다. 의료 기관에서 동료를 대표하거나 건강 옹호 이니셔티브를 주도하는 등, 공식적인 의료 교육 외에도 리더십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는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표적 리더십 역할을 수행하는 의대생 리더의 경험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의과대학에서의 전반적인 경험이 리더십 활동에 의해 긍정적으로 또는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는지 여부는 불분명합니다. 또한 의대 재학 중 리더십 역할이 리더십의 핵심 기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연구도 부족합니다.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의대생 리더의 경험의 본질을 밝히고자 합니다. 특히 의대 재학 중 지역, 주 또는 국가 차원에서 선출직 대표 역할을 수행한 리더의 생생한 경험을 탐구합니다. 의대생 리더의 경험을 이해하는 것은 교육자가 이러한 역할을 맡는 데 관심이 있는 학습자를 어떻게 격려하고 지원할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Where effective formal leadership development education does not exist, participation in related extracurricular opportunities offers another avenue by which medical students can hone leadership skills. Whether representing peers to medical organisations or leading health advocacy initiatives, there are many opportunities outside of formal medical training to engage in leadership. Despite this, little is known about the experience of medical student leaders who serve in representative leadership roles. Consequently, it is unclear whether their overall experience in medical school is positively or negatively impacted by the leadership activities they undertake. Furthermore, whether leadership roles during medical school enable the development of core skills in leadership is under-researched. In response to this gap, this study seeks to uncover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of medical student leaders. Specifically, we explore the lived experience of leaders who served in elected, representative roles at the local, provincial or national level during medical school.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medical student leaders is important because it offers insights into how educators might encourage and support learners interested in taking on these roles.

2 방법
2 METHODS

2.1 연구 설계
2.1 Study design

질적 현상학적 연구선출된 리더십 역할을 맡은 의대생들의 경험의 본질을 밝히기 위해 반사적 주제 분석을 사용했습니다.16-20 우리는 연구 참여자들의 생생한 경험에 몰입하는 해석학적 현상학적 조사에 참여했습니다.21 우리는 개인의 현실이 그들이 살고 있는 세계의 영향을 받는다는 생각을 탐구하면서 학생 리더로 봉사하는 인간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했습니다. 단순히 리더십의 생생한 경험을 설명하는 것을 넘어, 의과대학에서 리더십 업무를 맡는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비판적 해석을 제공합니다. 
This qualitative phenomenological study used reflexive thematic analysis to elucidate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of medical students in elected leadership roles.16-20 We engaged in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 where we became immersed in the lived experiences of research participants.21 We sought to understand the human experience of serving as a student leader while exploring the idea that an individual's reality is influenced by the world in which they are living. More than simply describing the lived experience of leadership, we offer a critical interpretation of what it means to take on leadership work during medical school.

우리는 연구 참여자들과 연구자로서 우리의 이전 경험과 세계에 대한 기존의 이해를 참조하지 않고는 어떤 현상을 경험할 수 없다는 입장에서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우리는 '존재에 대한 참가자들의 이해의 근본적인 구조와 그것이 개인의 결정을 어떻게 형성했는지를 조명하기 위해' 리더십 경험에 대한 개별적인 내러티브 설명을 듣고 깊이 있게 탐구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했습니다.22
We began with the position that our research participants, and we as researchers, could not experience a phenomenon without referring to our previous experiences and existing understandings of the world. We sought to make the space to hear, and then delve deeply into, individual narrative descriptions of leadership experiences ‘in order to illuminate the fundamental structures of participants' understanding of being and how that shaped the decisions made by the individual’.22

2.2 참여자
2.2 Participants

우리는 의과대학 재학 중 리더십 역할을 수행하도록 동료들로부터 선출된 12명의 개인을 모집했습니다. 참가자들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어느 시점에 이러한 역할을 맡았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UME 리더십 경험에 상당한 변화가 있을 가능성을 고려하고 참가자들이 과거 경험을 되돌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 기간을 선택했습니다. 우리는 이론적 포화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 10~15명의 인터뷰 대상자 표본을 미리 선정했습니다.23, 24 우리는 포화 상태가 질적 연구와 현상학적 연구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는 개념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25, 26 우리는 포화 상태를 더 이상 배울 것이 없다고 판단하는 실용적인 시점으로 개념화하는 대신 다른 접근 방식을 취했습니다. 우리는 이론적 포화 상태데이터 수집, 분석 및 해석에 있어 충분히 엄격하여 참가자들은 물론 더 넓은 의학교육 커뮤니티와 공감할 수 있는 풍부하고 독특하며 미묘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고 확신하는 시점으로 간주했습니다. 모든 참가자는 인터뷰 당시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다양한 단계의 레지던트 과정에 있었습니다. 참가자들은 소속 의대 학생회 또는 주 또는 전국 의대 학생 조직에서 봉사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We recruited 12 individuals who were elected by their peers to serve in leadership roles while in medical school. Participants held these roles at some point between the years 2015 and 2019. We chose this period to account for the possibility of significant variations in the UME leadership experience over time and allow participants to reflect on their past experiences. We preselected a sample size of around 10–15 interviewees, which is typical for phenomenological studies in order to reach theoretical saturation.23, 24 We recognise that saturation is a controversial concept in qualitative research and phenomenological work more specifically.25, 26 Rather than conceptualising saturation as a pragmatic point at which we decided there was nothing new to learn, we took a different approach. We considered theoretical saturation to be the point at which we were confident we had been rigorous enough in our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o garner rich, unique and nuanced insights that would resonate with participants as well as the broader medical education community. All participants had completed medical school and were in various stages of medical residency at the time of interview. Participants had served in their medical student societies or in provincial or national medical student organisations.

2.3 데이터 수집
2.3 Data collection

모든 인터뷰는 2020년 말부터 2021년 초까지 HA가 진행했습니다. 반 마넨이 제시한 현상학적 인터뷰 접근법에 따라27 인터뷰는 첫째, 현상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탐구하고 발전시키는 것, 둘째, 학생 리더십의 의미에 대한 대화에 참여하는 것, 이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었습니다. 따라서 인터뷰는 반구조화되었지만 대화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전화로 영어로 진행되었습니다. 인터뷰 가이드는 세 명의 공동 저자가 공동으로 작성했습니다. 하지만 참가자들의 의견에 따라 유연하게 진행했습니다. 질문은 참가자들이 의대생 리더로서의 시간을 되돌아보고 그 경험의 본질을 탐구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또한 의사가 되기까지의 전반적인 여정에서 그 경험을 맥락화하기 위한 질문도 있었습니다. 인터뷰는 평균 45분간 진행되었으며, HA와 VD가 오디오를 녹음하고 그대로 필사했습니다.  
All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HA from late 2020 to early 2021. Following an approach to phenomenological interviewing put forward by van Manen,27 our interviews had two purposes: firstly, to explore and develop a rich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and, secondly, to engage in a conversation around the meaning of student leadership. Thus, the interviews were semi-structured but conversational in nature and were conducted in English over telephone. An interview guide was created collaboratively among the three co-authors. However, we were flexible in following the lead of our participants. Questions sought to allow participants to reflect on their time as medical student leaders and explore the nature of that experience. The questions also aimed to contextualise that experience in their overall journeys to becoming a physician. Interviews lasted 45 min on average, were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by HA and VD.

2.4 데이터 분석
2.4 Data analysis

반 마넨의 말을 빌리자면, 우리의 목표는 현상학적 주제를 개발하기 위해 '사려 깊은 사고'를 하는 것이었습니다.28 우리는 현상학적 프레임을 보완하는 '반성적 주제 분석'에 참여했습니다. 이 접근법은 '특정 사회 집단의 '생생한 경험'을 기술'하고 '특정 과정이나 현상에 영향을 미치거나, 뒷받침하거나, 맥락화하는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29 
Drawing on van Manen, our goal was to engage in ‘cultivated thoughtfulness’ in order to develop phenomenological themes.28 We engaged in a ‘reflexive thematic analysis’, which complemented our phenomenological frame. This approach was designed to ‘describe the “lived experiences” of particular social groups’ and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underpin, or contextualize particular processes or phenomena’.29

HA와 VD는 인터뷰 녹취록을 읽고 주제별로 분류했습니다. 두 사람 모두 귀납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데이터 자체뿐만 아니라 전직 학생 리더로서 자신의 생생한 경험을 반영하여 녹취록을 독립적으로 코딩했습니다. 이 과정은 정기적으로 발전하는 결과를 토론하고 비교하는 반복적인 과정이었습니다. 코드가 합의되면 데이터 내에서 주제를 식별하고 학생 리더십 현상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의미론적 접근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도출된 주제는 AM과 논의하여 추가적인 관점을 도입하고 분석의 깊이를 확보했습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개별 요소(부분)가 어떻게 결합되어 중요한 현상(전체)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해석학적 순환21에 따라 분석 프로세스가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했습니다. 최종 해석은 합의를 통해 도출되었습니다. 우리의 전반적인 분석 접근 방식은 홉킨스 등이 제시한 3 + 1 현상학 프레임워크를 따랐습니다.30 이 프레임워크는 연구자가 현상학 연구에서 자신의 위치를 정할 수 있게 해줍니다. 따라서 우리는 참가자들의 이야기의 특수성, 반사성 및 전반적인 경험에 대한 해석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HA and VD read and thematised the interview transcripts. Both coded the transcripts independently, using an inductive approach, reflecting not only upon the data themselves but on their own lived experiences as former student leaders. The process was iterative with discussing and comparing developing findings regularly. Once codes were agreed upon, a semantic approach was used to identify themes within the data and to ensure a focus on the phenomenon of student leadership. The resulting themes were discussed with AM to bring in an additional perspective and ensure depth of analysis. This also ensured our analytical processes were consistent with the hermeneutic circle,21 focusing on how individual elements from the data (the parts) were coming together to help us understand the overarching phenomena (the whole). Final interpretations were arrived at by consensus. Our overall analytic approach adhered to the 3 + 1 phenomenology framework put forward by Hopkins et al.30 This framework allows researchers to position themselves in their phenomenological work. Accordingly, we focused on the particularity of participants' stories, reflexivity and our interpretations of the overall experience.

2.5 반사성
2.5 Reflexivity

해석학적 현상학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연구 대상인 현상에 대한 참여자의 경험, 즉 리더십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주의 깊게 주의를 기울이고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나 우리의 경험을 제거하거나 '괄호'로 묶으려는 시도 대신, 우리는 우리 자신의 생활 세계를 제거할 수 없음을 인정합니다. 대신, 우리는 의대 학생회와 전국 의료 단체 수준에서 학생 리더였던 우리(VD, HA)의 경험이 우리의 연구에 영향을 준 소중한 자산이라는 것을 인정합니다. 이러한 경험은 주제에 대한 관심에서부터 우리가 선택한 질문, 데이터 해석 방식에 이르기까지 연구 과정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노이바우어와 동료들이 지적했듯이, '연구에 데이터에 대한 편견 없는 접근을 요구하는 것은 현상학의 철학적 뿌리와 일치하지 않는다'(95페이지)22). 
Those engaging in hermeneutic phenomenology must carefully attend to, and account for, the influences they may exert on a participant's experience of the phenomenon under study, leadership, in our case. However, rather than attempting to eliminate or ‘bracket’ our experiences, we acknowledge that we cannot be rid of our own lifeworlds. Instead, we acknowledge that our (VD, HA) experiences as former student leaders—at the medical student society and national medical organisation levels—are valuable assets that informed our inquiry. These experiences coloured the research process, ranging from our interest in the topic to the questions we elected to ask, to how we interpreted data. As Neubauer and colleagues noted, ‘To ask the research to take an unbiased approach to the data is inconsistent with phenomenology's philosophical roots’ (p. 95).22

2.6 윤리
2.6 Ethics

본 연구는 캐나다 달하우지 대학교의 연구윤리위원회로부터 연구윤리 승인을 받았습니다.
Research ethics approval was obtained from the Research Ethics Boards at Dalhousie University, Canada.

3 결과
3 RESULTS

우리는 6명의 남성 및 6명의 여성 전 의대생 리더를 인터뷰했습니다. 이들은 각각 다른 캐나다 의과대학에 다녔으며 캐나다 전역에 지리적으로 고루 분포되어 있었습니다. 대부분은 지역 단위에서 선출직 대표 역할을 수행했으며, 약 절반의 참가자는 주 및 전국 단위에서도 경험을 쌓았습니다. 보다 포괄적인 참가자 인구 통계 목록은 표 1에 나와 있습니다. 참가자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의대생 리더로서의 시간을 되돌아본 결과 많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 연구 참여자의 관점에서 볼 때 의대생 리더십에는 상당한 행정적 책임이 수반됩니다.
  • 의대생으로서 성과를 내야 한다는 부담감과 함께 리더들은 리더십 활동이 학업 및 개인 생활과 상충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 의대생 리더가 교수진으로부터 지원이나 가치를 인정받는다고 느끼는지 여부는 리더의 경험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그러나 인터뷰 참여자들은 힘든 경험에도 불구하고 기회가 주어진다면 다시 리더십 역할을 맡겠다고 한목소리로 말했습니다.
  • 그들은 의대생 리더십을 통해 더 나은 의사가 될 수 있었던 여러 가지 가시적인 방법을 언급했습니다.

주제별 분석 프로세스를 통해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주제를 확인했습니다. 
We interviewed six male and six female former medical student leaders. Each attended a different Canadian medical school with good geographical spread across Canada. Most served in elected, representative roles at the local level with approximately half the participants having experience at the provincial and national levels as well. A more comprehensive list of participant demographics is provided in Table 1. Despite the diversity of participants, the reflections on their time as medical student leaders yielded many commonalities.

  •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udy participants, medical student leadership involves significant administrative responsibility.
  • Combined with the pressure of performing as a medical student, leaders often found that their leadership efforts came in conflict with their academics and personal lives.
  • Whether medical student leaders felt supported or valued by their faculties greatly influenced their experience.
  • However, despite the hardships experienced, interviewees were unanimous in saying that they would take on their leadership roles again if given the chance.
  • They cited a variety of tangible ways in which medical student leadership had made them better physicians.

Through the thematic analytic process, we identified the following five themes.

 

3.1 바쁜 생활
3.1 Living with busyness

학생 리더로서의 바쁨은 의대생 리더의 일상을 정의하는 반복되는 주제였습니다. 참가자들은 의대생 리더가 교수진의 기대치와 학생의 기대치를 관리해야 하는 것 외에도, 필요한 지원을 항상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상당한 행정적 부담을 안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The busyness of being a student leader was a recurrent theme that defined the day-to-day life of a medical student leader. In addition to managing the expectations of students against those of faculty, participants described medical student leadership as having significant administrative burdens without always having the necessary support.

의대생 조직은 구조적으로 자금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에 리더의 업무를 덜어줄 수 있는 직원이 없습니다. {009}
Med student organizations are hugely underfunded in a structural way and so they don't have staff that are able to take work off your plates. {009}

과중한 행정 업무로 인해 리더들은 종종 비효율적이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업무를 처리해야 한다고 느꼈고, 이로 인해 학생을 대변하는 핵심 임무에서 멀어졌습니다. 핵심 임무를 수행할 수 있을 때에도 동료, 교수진 또는 기타 이해관계자와의 많은 회의에 참석해야 하는 일이 많았습니다. 
The heavy administrative burden meant that leaders often felt they had to complete inefficient, time-consuming tasks, which took away from their core mandate of representing students. When they were able to exercise their core mandate, much of this work involved attending many meetings whether with peers, faculty members or other stakeholders.

결국 회의 일정을 짜고, 의회에 제출할 브리핑 문서를 준비하고, 규정을 정비하는 등 여러 가지 일을 해야 했습니다. 학생을 옹호하는 일뿐만 아니라 이메일에 답장하고 누가 언제 어떤 회의에 참석하는지 파악하고 조율하는 등 중요한 일에도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했습니다. {013}
It ended up being I had to create the schedule for meetings, I had to prepare briefing documents for council, overhaul terms of reference, you know, these kinds of things. So it wasn't only advocating for students, it was also the nitty-gritty things that sucked up a lot of time, including answering emails and being on top of who was going to what meetings when, and coordinating. {013}

때때로 어지러울 수도 있지만, 참가자들은 이러한 업무가 반드시 부정적이라고 설명하지는 않았습니다. 실제로 많은 참가자들은 일상적인 경험이 '활기차다' {008}, '재미있다' {010}고 답해, 업무의 성격 자체가 의대생 리더십 경험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지는 않았음을 시사했습니다. 
While perhaps dizzying at times, participants did not describe these tasks as necessarily negative. In fact, many reflected that the day-to-day experience was ‘invigorating’ {008} and ‘fun’ {010}, suggesting therefore that the nature of the job in of itself did not contribute negatively to the medical student leadership experience.

3.2 교수진의 멘토링과 지원의 역할
3.2 The role of faculty mentorship and support

학습자들이 교수진으로부터 받았다고 느끼는 지원의 정도는 그들이 인식하는 리더십 경험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일부 참가자는 의대생 리더가 되는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교수진의 멘토링이 부족하여 의대생 리더로의 전환이 더욱 어려웠다고 경험했습니다. 
The amount of support learners felt they received from their faculty heavily impacted their perceived leadership experience. Some participants experienced a lack of structured faculty mentorship on how to be a medical student leader, which made the transition to medical student leader all the more difficult.

교수진 내에서 이러한 역할을 맡을 수 있는 멘토링이 많지 않다고 느꼈습니다. 혼자서 모든 것을 감당해야 하는 것 같았어요. {005}
I didn't feel like I had a lot of mentorship within the faculty to take on these roles. I felt like I was very much taking it on, on my own. {005}

의과대학 행정 정책도 필수 회의 참석을 포함하여 리더십 의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주요 장벽으로 꼽혔습니다. 교수진이 리더십 책임을 수용하는 데 유연성이 부족할 때, 리더십 역할을 맡은 많은 사람들은 의과대학이 자신이 하는 중요한 일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느꼈습니다. 
Medical school administration policies were also cited as primary barriers to fulfilling leadership duties, including attending required meetings. When faculties lacked flexibility in accommodating their leadership responsibilities, many in leadership roles felt that their medical programs did not understand or value the important work they did.

'이게 정말 정당한 일이냐'는 식의 저항에 부딪힐 뻔했습니다. 확실히 실망스러운 일이었습니다. {007}
I was almost sort of met with resistance and like ‘Is this really legitimate what you are doing?’ And that was frustrating for sure. {007}

반면, 의대 행정부와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한 학생 리더들은 이러한 장벽을 더 성공적으로 극복하여 더 긍정적인 리더십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경우, 교수진과 학습자 간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교수진이 학생 리더 역할의 업무를 더 잘 이해하고 더 가치 있게 여길 수 있었을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리더들은 교수진으로부터 더 나은 평가를 받았다고 느꼈습니다. 
In contrast, student leaders that maintained close working relationships with their medical school administration were more successful at navigating these barriers, leading to a more positive leadership experience. In these instances, a constant flow of communication between faculty and learner may have allowed for faculty to better understand and then better value the work of the student leader role. As a result, these leaders felt better appreciated by their faculty.

... 항상 관련된 모든 사람에게 가장 합리적인 타협이나 결정을 내리는 방법에 대한 대화였습니다. 의대 행정부에 정말 훌륭한 사람들이 있어서 그런 대화를 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011} 
… it was always a conversation about how to make the compromise or decision that made most sense for everyone involved. I think there were just really great people at my medical school administration that were really open to having that conversation. {011}

이처럼 의과대학은 하나의 단체로서, 그리고 개별 구성원으로서 의대생 리더의 전반적인 경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입니다. 
As such, there appears to be a profound impact of medical faculties—both as a single entity and as individual members—on the overall experience of medical student leaders.

3.3 리더십에 대한 상반된 요구
3.3 Competing demands of leadership

재임 기간 중 다양한 시기에 리더십 활동은 참가자들의 삶에 상당한 타격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들은 학업과 리더십 의무를 완수하기 위해 상충되는 이해관계에 직면했고, 이로 인해 종종 공부할 시간을 찾기가 어려웠습니다. 또한 리더십 활동에 투자하는 시간과 친구 및 사랑하는 사람들과 보내는 시간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At various times during their tenures, leadership activities seemed to take a significant toll on participants' lives. They faced competing interests to fulfil their academic and leadership duties, often leading to difficulty finding time to study. Moreover, many struggled to balance time spent on leadership activities with time spent with their friends and loved ones.

컨퍼런스에 참석했다가 하루 종일 컨퍼런스를 하고 집에 가서 학원처럼 밤을 새워 공부하고, 다시 하루 종일 컨퍼런스를 한 다음 월요일에 [도시 이름 삭제]로 돌아가 시험을 치르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지원 시스템에서 멀리 떨어져서 이러한 모든 여행을 하는 것은 재미있고 풍요롭지만 대가가 따릅니다. 개인 시간이 제한되어 있고 그 중 많은 시간을 업무에 할애해야 합니다. {002}
There were instances when I was at conferences and we would do a whole day of conference and then go home and stay up all night like cram for studying and then do a whole day of conference and then travel back to [name of city redacted] and write an exam on a Monday. Being far away from the support system, taking all these trips, although fun and enriching, it comes at a cost. You have limited personal time and a lot of it was spent working. {002}

의대생 리더십은 학업 시간을 빼앗았지만, 인터뷰에 응한 모든 리더는 학업 요건을 충족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의학교육 커리큘럼에서 '의료 전문가' 역할에 대한 강조가 커지면서 공부 시간이 줄어든 것에 대해 특별한 죄책감을 느낀다고 답했습니다. 
Although medical student leadership took away from study time, all leaders interviewed stated that they still met their academic requirements. However, there was a particular guilt associated with studying less, citing an increased emphasis placed on ‘medical expert’ roles within the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 아마도 숨겨진 커리큘럼에 대한 다른 많은 이야기와 내러티브와 함께, 제가 그렇게 부를 수 있다면, 책을 읽거나 섀도잉을 하거나 임상 관찰을 하는 데 시간을 보내지 않으면 환자에게 그다지 가치 있는 시간이 아니라는 인식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요. 이 인식도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011} 
… I think that along with probably lots of other stories and narratives around that hidden curriculum piece, if I can call it that, is this perception that if you are not spending your time hitting the books or shadowing or doing clinical observerships or anything like that then your time is not as valuable to your patients. And I think that probably too needs to change. {011}

3.4 풍요로운 의대생 리더십
3.4 Medical student leadership as enriching

의대생 리더로서 겪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참가자들은 기회가 주어진다면 다시 리더가 되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들은 리더십 활동이 의대 경험을 정의하고, 전국의 동료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의대 경험을 더욱 풍요롭게 해준 여러 가지 방법을 언급했습니다. 
Despite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being a medical student leader, participants shared that they would do it again if given the chance. They cited many ways in which their leadership activities had come to define their medical school experience, connected them to a network of peers from across the country and facilitated a richer medical school experience.

그때 쌓은 우정, 인맥, 지금도 계속 유지하고 있는 멘토링 관계는 모두 제가 맡았던 리더십 역할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모두 리더십 활동을 추구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개발한 많은 기술과 현재 제가 가지고 있는 도구, 그리고 제가 배운 교훈을 생각해보면 그 중 많은 부분도 이러한 리더십 활동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006}
I think that the friendships I developed, the connections I developed, the mentorship relationships I continue to have that were developed at that time, all center around the leadership roles that I took on and are all a result of having pursued those leadership activities. When I think of many of the skills that I developed and the tools that I carry with me now and the lessons that I learned, a lot of those also come from taking on those leadership activities. {006}

의대생 리더들은 캐나다 의학교육과 의료 시스템에 대해 더 잘 이해하게 되어 향후 다른 의사 리더십 역할을 맡을 수 있는 준비가 되었다고 느꼈습니다. 
Medical student leaders felt they came out with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anadian medical education and health-care systems, setting them up to take on other physician leadership roles in the future.

의학교육에 대해 생각하는 사람들의 머릿속에 무엇이 들어 있는지 더 나은 관점을 갖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시험이 있거나 프로그램에 새로운 변경 사항이 있을 때 불만을 제기하기 쉽지만, 이러한 결정에 참여하면 그러한 결정이 내려지는 이유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003} 
I think it gave me a perspective, a better perspective, of what goes into the minds of people who are thinking about our medical education. Because sometimes it's easy to complain when there's an exam or there's new modifications in the program, but when you are involved in those decisions, you can better understand why those decisions are made. {003}

3.5 더 나은 의사 만들기
3.5 Creating better physicians

마지막으로, 참가자들은 의대생 리더로서 습득한 기술이 현재 의사로서 임상적 상호작용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다양한 방식으로 설명했습니다. 리더십 활동으로 인해 학업 시간을 빼앗기기는 했지만, 참가자들은 의사로서 양질의 진료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이 손상되었다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리더십 경험을 통해 옹호, 커뮤니케이션, 협업, 관리 등 다른 역량이 향상되었다고 느꼈습니다. 중요한 점은 참가자들이 정규 의과대학 커리큘럼에서 충분히 습득하지 못했다고 느꼈던 기술들이었다는 점입니다. 
Finally, participants described a variety of ways in which the skills they gained as medical student leaders manifested in their clinical interactions now as physicians. Although leadership activities may have taken away from study time, participants did not believe that their ability to deliver high-quality care as physicians was compromised. In fact, they felt their leadership experiences enhanced other competencies, especially in advocacy, communication, collaboration and management. Importantly, these were skills participants felt they did not adequately gain from the formal medical school curriculum.

확실히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치료가 향상되었다고 느낍니다. 또한 여러 분야의 의료진과의 상호 작용도 개선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하는 일 중 일부를 통해 다른 사람들이 어디에서 왔는지, 다른 사람들이 사물을 다르게 생각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데 더 잘 이해하게 되는 것 같아요. {012} 
I definitely feel like it has improved the care that I can provide to patients. I think it's also improved my interactions with interdisciplinary health members. I think just because with like some of the work that we do, I feel like you just kind of gain a better appreciation of recognizing where other people are coming from and the fact they kind of might be thinking through things differently. {012}

의대생 리더십 경험을 되돌아보며 참가자들은 의사가 된 지금, 리더십 활동이 환자를 돌보는 능력에 긍정적으로 기여했음을 인식하는 데 있어 어느 정도 검증을 받았다고 말했으며, 모두 의대생이 리더십에 참여하도록 장려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러한 인식은 의대생 리더십 활동의 부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가치 있는 경험이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Reflecting on their medical student leadership experience, participants expressed a certain validation in their recognising, now as physicians, that their leadership activities had contributed positively to their ability to care for patients, so much so that all felt that medical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engage in leadership. This sense of validation suggests that despite any negative aspects of having been involved in medical student leadership, the overall experience was worthwhile.

4 토론
4 DISCUSSION

리더십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존재합니다.31 본 연구는 의대생 '리더'의 특정 하위 집합을 표본으로 삼았습니다. 그러나 선출된 대표적 의대생 리더의 업무는 의사 리더십에 대한 CanMEDS의 정의와 일치합니다. 의대생 리더는 콘텐츠 전문성을 자신의 역할에 적용하기 때문에 굿달과 베커의 전문가 리더십 이론과도 일맥상통합니다. 따라서 긍정적인 경험은 의대생 리더가 의사 전문가로서 공식적인 리더십 역할을 맡을 가능성을 높여 고품질 의료 시스템과 환자 치료 제공에 대한 비전을 실현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전 연구에서는 의대생 리더로 선출된 학생의 경험을 의학 이외의 분야에서 고려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역할의 까다로운 특성, 학생 리더십 참여에 부수적으로 습득한 다양한 기술, 리더십 역할과 개인적 헌신 사이의 균형 잡기 어려움, 멘토링의 중요성을 설명합니다.32-34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논의하는 학생 리더들의 생생한 경험과 일치하지만, 의대생 리더십의 인식된 혜택은 전통적인 리더십 기술을 뛰어넘습니다. 
There exists a variety of definitions for leadership.31 Our study sampled a specific subset of medical student ‘leaders’. However, the work of elected, representative medical student leaders is consistent with the CanMEDS definition of physician leadership. As they bring content expertise to their roles, their work also dovetails with Goodall and Bäker's theory of expert leadership. Thus, positive experiences may make medical student leaders more likely to take on formal leadership roles as physician experts, making poignant contributions to a vision of a high-quality health-care system and patient care delivery. Previous studies have considered the experiences of elected student leaders outside of medicine. These studies describe the demanding nature of the roles, the various skills acquired secondary to student leadership involvement, difficulties balancing leadership roles with personal commitment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mentorship.32-34 While these findings are concordant with the lived experiences of student leaders we discuss in our present study, the perceived benefits of medical student leadership go beyond traditional leadership skills.

많은 참가자가 리더십 활동이 학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지만, 의대생 시절의 리더십이 의료 전문가 역할 외의 핵심 의사 자질을 향상시켰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인터뷰에 참여한 리더들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팀 관리와 여러 분야 간 협업에 능숙해졌다고 느꼈습니다. 의료 시스템에 대한 고유한 이해를 바탕으로 더 나은 환자 옹호자가 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의학교육 시스템을 더 잘 이해하게 되어 교육자로서 고유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의대생의 리더십 참여는 보다 균형 잡힌 역량을 갖춘 의사를 양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Although many participants questioned whether their leadership activities negatively impacted their academics, they also contended that their leadership during medical school enhanced core physician qualities outside of the medical expert role. Drawing on their experiences, the leaders interviewed felt they became proficient in managing teams and collaborating across disciplines. Their unique understanding of the health-care system allowed them to be better patient advocates. They were also able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affording them unique skills as educators. Involvement in medical student leadership may thu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hysicians with more well-rounded competencies.

또한 우리 연구에 따르면 대표적 리더십 역할을 수행하는 의대생은 비교적 긴밀한 커뮤니티의 일원입니다. 따라서 의대생 리더십 경험은 여러 개인적, 직업적 관계가 형성되는 사회적 경험이 될 수 있습니다. 같은 생각을 갖고 열정적인 의대생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는 사회에 도움이 되는 시스템 차원의 변화를 추진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대학 재학 중 학생 조직에서 리더십 역할을 맡은 개인은 졸업 후 사회적으로 책임감 있는 리더십을 발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35 마찬가지로, 의대생 리더는 전국의 다른 리더들과 협력하여 대학 또는 정부 정책에 상당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시간이 지나도 지속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의대생 리더가 의료계에서 경력을 쌓는 동안 효과적인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위치에 설 수 있도록 합니다. 
Our study also showed that medical students who serve in representative leadership roles are part of a relatively tight-knit community. The medical student leadership experience therefore can be a social one—where several personal and professional relationships are established. A network of like-minded, passionate medical students can be effective at pushing forward systems-level change to benefit society. Individuals who take on leadership roles in student organisations while in college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socially responsible leadership after graduation.35 Likewise, through collaboration with other leaders across the country, medical student leaders can effect significant changes to university or government policy. These networks have the potential to endure over time, positioning medical student leaders to become effective change-makers throughout their careers in medicine.

의대 교수진이 의대생 리더십 경험에 미치는 영향은 특히 주목할 만했습니다. 이 결과는 긍정적인 교수-학생 관계가 미래의 의학계 리더를 양성하는 데 기여한다는 Arnold 등의 연구 결과와 일치합니다.15 또한, 설문조사 참가자들은 공식적인 리더십 교육도 중요하지만 실질적인 리더십 경험도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의학 분야에서 병행 커리큘럼의 이점을 탐구한 연구 결과와 일치합니다. 쿼크와 첨리36는 병행 커리큘럼을 '학생들이 수업이 없을 때 '어울리며 배우는' 공간'이라고 설명합니다. 우리의 경우, 리더들은 행정의 기술,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방법', 의학교육 및 보건 시스템에 대한 자세한 내용 등을 배웠습니다. 병행 커리큘럼은 학습자와 교사 모두 특정 개인의 필요에 맞게 학습 및 교수 접근 방식을 조정하는 적응형 학습의 관문입니다.37 따라서 의과대학은 리더십 개발을 위한 병행 노력을 촉진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으며, 특히 핵심 커리큘럼에 포함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38, 39 이 권장 사항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반영되었습니다.40, 41 의대생 리더의 경험에 대한 본 연구에서 제공하는 통찰력은 교수진이 이러한 학습자 집단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표 2). 
The significant influence medical faculties had on the medical student leadership experience was of particular note.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a study by Arnold et al who found that positive faculty–student relationships contributed to developing future leaders in medicine.15 Furthermore, while formal leadership training is valuable, our participants noted that practical leadership experience may be an attractive alternative.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work exploring the benefits of parallel curricula in medicine. Quirk and Chumley36 describe the parallel curriculum as a ‘space where students ‘hang out and learn’ when they are not in class’. In our case, leaders learned the art of administration, the “how-to” of work–life balance and the ins and outs of the medical education and health systems, to name a few. The parallel curriculum is a gateway to adaptive learning, where both learner and teacher tailor their learning and teaching approaches to specific individual needs.37 Medical faculties are thus well positioned to facilitate parallel efforts in leadership development, especially given that there can be challenges to its inclusion in core curricula.38, 39 This recommendation has been echoed by others.40, 41 The insight our study provides into the experiences of medical student leaders may help to identify specific ways in which faculties can create better experiences for this population of learners (Table 2).

첫째, 학생들이 수행하는 리더십 역할의 성격에 대한 교수진의 이해도가 높아지면 관리자가 현행 정책이 리더십 활동을 어떻게 방해할 수 있는지 명확히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교수진은 학생 리더 역할을 수행하려면 급하게 회의에 참석해야 할 수도 있다는 점을 인식하여 시간 통지 요건에 예외를 두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학생 리더는 학업 요건을 충족하는 것을 우선시해야 하지만, 긍정적인 학습자 경험을 촉진하기 위해 의대생 리더가 리더십 의무도 충족할 수 있도록 교육 기관의 정책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Firstly, an improved understanding by faculties of the nature of the leadership roles undertaken by their students may help administrators elucidate how current policies may hinder leadership activities. For example, faculties may consider making exceptions to time notification requirements, recognising that serving as a student leader may require attendance at meetings on short notice. While student leaders must prioritise meeting their academic requirements, in order to promote positive learner experiences, institutional policies could be developed to enable medical student leaders to meet their leadership mandates as well.

멘토링 프로그램은 교수진이 의대생 리더를 지원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을 제공합니다. 연구 참여자들은 종종 의대생과 리더로서의 역할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데 어려움을 토로했으며, 리더십 의무를 수행하는 것이 개인 생활에 미치는 비용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젊은 학생 리더 멘토링의 중요성은 간호학 문헌에서도 동일하게 입증되었습니다.42 학술 간호와 학술 의학 모두에서 멘토링은 개인 개발 및 경력 계획의 중요한 부분으로 밝혀졌습니다.43-45 의과대학의 공식적인 멘토링 프로그램은 향후 진로 선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46, 47 교수 멘토는 일과 삶의 통합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학생 멘티에게 리더십을 임상 경력에 통합하는 방법에 대해 조언할 수도 있습니다. 의과대학은 특히 학술 의학 분야에서 경력을 쌓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연구 기술을 개발하는 데 있어 멘토링의 역할을 인정합니다.48-50 의사 리더도 사회에 가치를 제공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의대생이 리더십 기술을 연마하도록 멘토링하면 리더십 분야에서 정식 경력을 쌓는 의사를 더 많이 배출하는 데 비슷한 성공을 거둘 수 있습니다. 
Mentorship programming offers yet another avenue by which faculties can support medical student leaders. Study participants often described difficulties balancing their roles as medical students and leaders, noting the cost that performing their leadership duties had on their personal lives. The importance of mentoring young student leaders has been equally demonstrated in the nursing literature.42 In both academic nursing and academic medicine, mentorship has been shown to be an important part of personal development and career planning.43-45 Formal mentorship programmes in medical school can also influence future career choice.46, 47 Beyond offering advice on work–life integration, faculty mentors may also advise student mentees on how to incorporate leadership into their clinical careers. Medical faculties acknowledge the role that mentorship can play in developing research skills, especially for those learners that anticipate a career in academic medicine.48-50 Recognising that physician leaders also bring value to society, mentoring medical students to hone their skills in leadership can have similar success in producing more physicians who take on formal careers in leadership.

4.1 제한점
4.1 Limitations

본 연구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습니다. 첫째, 연구 결과를 모든 학생 리더를 대표하는 것으로 일반화할 수 없다는 점을 인정합니다. 그러나 본 연구 설계의 강점은 지금까지 연구가 부족했던 의대생 커뮤니티의 생생한 경험의 뉘앙스를 드러냄으로써 그들의 역할에 대한 성공과 도전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학습자의 정체성이 의대생 리더십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탐구는 교수진이 지원을 맞춤화하고 의대 리더십 내에서 형평성, 다양성 및 포용성을 증진하는 데 기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여성 및 소수계 학생 리더는 인종차별과 성차별을 경험했다고 보고하며, 이는 전반적인 리더십 경험을 백인 및 남성 리더와 다르게 만듭니다.32, 51, 52 본 연구는 캐나다 맥락에서 학생 리더십을 조사했지만, 유사한 의학교육 시스템을 갖춘 다른 국가에도 조사 결과를 추정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학생 대표로 선출된 학생들로 참여 대상을 제한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리더십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리더는 공식적, 비공식적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습니다. 리더십 스펙트럼에 따라 의학교육 경험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는 것도 이 분야에 대한 추가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Our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Firstly, we acknowledge that the results cannot be generalised as representative of all student leaders. However, the strength of our study design is that it exposes the nuances of the lived experiences of this community of medical students who have thus far been under-researched, leading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successes and challenges in their roles. A more in-depth exploration of how learners' identities affect their experience of medical student leadership would also be instrumental in helping faculties tailor their supports and contribute to promoting equity, diversity and inclusivity within medical leadership. For example, female and minority student leaders report experiences with racism and sexism, which make their overall leadership experiences unique to those of their White and male counterparts.32, 51, 52 Although our study examined student leadership in the Canadian context, we believe the findings can be extrapolated to other countries with similar medical education systems. Finally,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study limited participation to those who were elected to represent students. Leadership takes many forms and leaders may take on both formal and informal roles. How the medical education experience differs across the leadership spectrum could also help inform further research into the area.

4.2 결론
4.2 Conclusion

우리가 아는 한, 해석학적 현상학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의대생 리더의 경험의 본질을 심층적으로 탐구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캐나다 의대생 리더십 경험은 높은 수준의 행정 업무로 특징지어집니다. 또한 의대생 리더는 리더십과 학업 의무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의대생 리더들은 개인적인 삶에 대한 희생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경험을 가치 있는 것으로 여깁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이러한 리더십 경험이 보다 균형 잡힌 의사를 양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의대 교수진이 의대생 리더를 지원하는 데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학생 리더 집단 간의 리더십 경험의 차이를 더욱 정량화하여 교수진이 리더에 대한 지원을 맞춤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take an in-depth exploration into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s of medical student leaders using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results show that the Canadian medical student leadership experience is characterised by a high level of administrative duties. In addition, medical student leaders must often balance between their leadership and academic duties. Despite the sacrifices medical student leaders make to their personal lives, they view their overall experience as worthwhile. Our findings further suggest that faculties must take a more active role in supporting medical student leaders, recognising that these leadership experiences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re well-rounded physicians. Future research may seek to further quantify the variation of the leadership experience among different student leader populations to enable faculties to tailor their supports for leaders.

 


Med Educ. 2023 Aug;57(8):753-760. doi: 10.1111/medu.15025. Epub 2023 Feb 14.

Learning by doing: A phenomenological study of medical student leaders

Affiliations

1Faculty of Medicine, Dalhousie University, Halifax, Nova Scotia, Canada.

2IWK Health, Halifax, Nova Scotia, Canada.

3Temerty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4The Hospital for Sick Children, Toronto, Ontario, Canada.

PMID: 36740400

DOI: 10.1111/medu.15025

 

Abstract

Introduction: Despite being recognised as a key physician competency, leadership development is an area of improvement especially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We sought to explore the lived experience of leaders who served in elected, representative roles during their time in medical school.

Methods: We used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uncover the essence of the medical student leader experience. From late 2020 to early 2021, we interviewed 12 medical residents who served in elected leadership roles from 2015 to 2019. Each participant graduated from a different Canadian medical school. We deliberately chose a limited and historic time period in order for participants to be able to reflect on their past experiences while accounting for differences in the medical student leadership experience over time. We then engaged in a reflexive thematic analysis to generate the final themes.

Results: We identified the following five themes: (i) living with busyness, (ii) the role of faculty mentorship and support, (iii) competing demands of leadership, (iv) medical student leadership as enriching and (v) creating better physicians. Though demanding, medical student leadership was found to be rewarding and particularly key in the development of a more well-rounded physician. Furthermore, being well supported by faculty contributed to an overall positive leadership experience.

Discussion: In addition to describing the hardships and rewards that make up their experience, this study suggests that medical student leadership can enhance core physician competencies. The findings also support the notion that faculties have an important role to play in supporting medical student leaders.

어떻게 근무현장-기반 평가가 졸업후교육에서 학습을 가이드하는가: 스코핑 리뷰 (Med Educ, 2023)
How workplace-based assessments guide learning in postgraduate education: A scoping review 
Leslie Martin1 | Sarah Blissett2 | Bronte Johnston3 | Michael Tsang1 | Stephen Gauthier4 | Zeeshan Ahmed5 | Matthew Sibbald1 

 

1 서론
1 INTRODUCTION

평가 전략은 수련의가 학습하는 방식에 분명한 영향을 미칩니다.1-3 역량 기반 의학교육(CBME)4-6 에서 작업장 기반 평가(WBA)를 늘리려는 전 세계적인 변화는 학습자7, 8 와 피드백 추구와 같은 학습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9, 10 CBME 내 프로그램 평가의 가장 중요한 희망은 WBA를 사용하여 작업장에 학습 평가를 포함시키는 동시에 강력한 고부담 승진 결정(학습의 평가)을 최적화하고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입니다.11, 12 안타깝게도 예비 문헌에 따르면 각 평가의 형성적 의도와 총괄적 의도가 혼재되어 있어 프로그램 평가를 통해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보여줍니다.13-15 임상 환경에서 WBA를 사용하여 낮은 부담의 학습 목표높은 부담의 진급 결정을 모두 달성할 때 연수생이 성과와 학습 목표 사이의 갈등을 인식함에 따라 유사한 긴장이 발생했습니다.16, 17 이러한 긴장의 핵심은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고도로 맥락적인 직장에서 임상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해야 한다는 과제입니다.18 임상 업무 환경에서는 이러한 맥락적 전문성을 '실천 속에서 아는 것'이라고 합니다.19 
Assessment strategies clearly impact how trainees learn.1-3 The worldwide shift to increase workplace-based assessment (WBA) within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4-6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PGME) has no doubt positively impacted learners7, 8 and learning behaviours, such as seeking feedback.9, 10 The overarching hope of programmatic assessment within CBME is to embed learning assessments in the workplace using WBA, while optimizing robust high-stakes promotion decisions (assessment of learn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for programme improvement.11, 12 Unfortunately, preliminary literature illustrates challenges in achieving learning goals through programmatic assessment, due to conflation of the formative and summative intent of each assessment.13-15 Similar tensions have arisen when using WBA in the clinical environment to achieve both low-stakes learning goals and high-stakes promotion decisions, as trainees perceive conflict between performance and learning goals.16, 17 Integral to these tensions is the challenge of ‘objectively assessing’ clinical performance in the socially-constructed and highly contextual workplace.18 In the clinical workplace, this contextual expertise is referred to as ‘knowing in practice’.19

현재 우리는 강력한 평가 프로그램을 직장으로 전환하는 것이 수련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WBA를 사용하여 학습을 위한 평가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는 방법에 대한 포괄적인 프레임워크가 없습니다. 최근의 해석학적 검토에 따르면 학습을 위한 평가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평가자 그룹을 정의하여 평가의 요약적 역할과 형성적 역할을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20. 이러한 제안은 문헌의 다른 부분에도 반영되어 있습니다.9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평가의 명확한 긴장을 관리하기 위해 '양자택일적 사고'를 넘어 '양립적 사고'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합니다.21 따라서 직장 환경에서 학습을 위한 WBA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는 길은 아직 불분명합니다. 
We currently do not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implications of shifting a robust programme of assessment into the workplace on trainee learning. Furthermore, there is currently no comprehensive framework for how to successfully achieve assessment for learning using WBA. A recent hermeneutic review concluded that a clear distinction be drawn between the summative and formative role of assessment by defining separate group of assessors20 in order to achieve assessment for learning. This suggestion is also reflected elsewhere throughout the literature.9 However, others have argued that we need to move beyond ‘either-or thinking’ in order to manage the clear tensions in assessment, and rather towards a ‘both-and’ approach.21 Thus, the path to successfully achieve WBA for learning in the workplace environment remains unclear.

초기 직장 기반 학습(WBL) 모델은 CBME 내에서 구현된 것과 유사하게 직접적인 관찰과 피드백에 중점을 두고 의도적으로 학습을 발판으로 삼는 결과 중심 직장 모델로 전환할 것을 요구했습니다.20 WBL에 관한 후속 모델 또는 이론은 CBME가 널리 구현되기 전에 만들어졌거나,22, 23 공식화된 평가 또는 WBA에 기반한 문헌을 특별히 제외했습니다.24, 25 CBME 맥락에서 프로그램적 WBA가 구현된 이후 WBL 모델을 재검토한 적은 없습니다. 
Early models of workplace-based learning (WBL) called for the movement towards a outcomes-driven workplace model to intentionally scaffold learning, with an increased focus on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similar to what was implemented within CBME.20 Subsequent models or theories regarding WBL were created prior to widespread implementation of CBME,22, 23 or specifically excluded literature based on formalised assessment or WBA.24, 25 Models of WBL have not been revisited since the implementation of programmatic WBA in the CBME context.

WBA가 이러한 프레임워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더 잘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WBL의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현재의 CBME 맥락에 적용해서는 안 됩니다. 보다 완전한 프레임워크가 없다면 의학전문대학원 교육에서 학습과 평가를 모두 최적화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될 것입니다. 현재의 복잡한 학습 환경에서 WBL과 평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안적인 이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26 이 분야에서 이론을 개발하면 CBME 맥락에서 학습을 위한 평가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을 조명할 수 있는 대안적인 관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Theoretical frameworks of WBL should not be applied in current CBME contexts without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WBA impacts these frameworks. Without a more complete framework, it is likely that the struggle to optimize both learning and assessment will continue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It has been argued that alternative theories are required to understand WBL and assessment in the current complex learning environment.26 Developing theory in this space will provide an alternative perspective to shed light on how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assessment for learning in the CBME context.

첫 번째 단계로, 이 범위 검토를 통해 우리는 PGME 내에서 이 공간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 WBA와 WBL 사이의 특정 교차점을 다루는 주요 문헌 기반의 폭과 깊이를 탐구하고자 했습니다. 분석은 빌렛의 보건의료 업무를 통한 학습 모델의 네 가지 전제에 따라 진행되었습니다.25 이 모델은 전통적인 '교실' 교육 밖에서 보건의료 분야의 학습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이해하기 위한 명확하고 간결한 프레임워크와 잘 정리된 원칙을 제공합니다. 이는 평가가 이러한 원칙에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하는 데 강력한 발판을 제공합니다. 간단히 말해, 네 가지 전제는 각각 다음을 강조합니다.25

  • (1) 학습은 항상 일어나고,
  • (2) 직장 참여는 직장 환경과 직원의 위치를 변화시키고,
  • (3) 직장의 물리적, 사회적 측면은 임상 지식과 학습을 제공하며,
  • (4) 학습과 개인 개발은 다르지만 상호 의존적인 과정이다.

As a first step, through this scoping review we sought to explore the breadth and depth of the primary literature base that addresses the specific intersection between WBA and WBL in order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this space within PGME. The analyses were guided by the four premises of Billett's model of learning through health care work.25 This model offers a clear and concise framework with well-articulated principles for understanding how learning in healthcare occurs outside of traditional ‘classroom’ education. This provided a strong scaffold to explore how assessment may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influence these principles. Briefly, the four premises respectively highlight

  • (1) how learning is always happening;
  • (2) workplace engagement transforms the workplace environment and staffs' positions;
  • (3) the physical and social aspects of a workplace provide clinical knowledge and learning; and
  • (4) learning and personal development are different, but interdependent processes.25 

이 틀을 사용하여,25 우리는 WBA를 통한 학습을 설명할 때 깊이 강조되고 탐구된 영역과 1차 문헌 기반에서 덜 주목된 다른 영역을 강조하고자 했습니다. WBL의 렌즈를 통해 이러한 문헌 기반을 종합함으로써, WBA가 빈번하게 사용되는 시대에 WBL 모델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향후 연구를 통해 해결될 수 있는 문헌의 격차를 발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Using this framework,25 we sought to highlight areas that have been deeply emphasized and explored in describing learning through WBA, and others that have been less attended to across the primary literature base. In synthesizing this literature base through the lens of WBL, we hope to uncover gaps in the literature that can be addressed through future studies aimed at updating models of WBL within the era of frequent WBA.

2 방법
2 METHODS

저희는 WBA가 대학원 의학교육에서 학습을 어떻게 안내하는지에 대한 문헌의 범위 검토를 수행했습니다. 
We conducted a scoping review of literature exploring how WBA guide learning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2.1 검토 유형
2.1 Type of review

범위 검토는 광범위하고 이질적인 잠재적 문헌 기반과 명확하게 정의된 연구 질문을 고려할 때 이용 가능한 문헌의 범위를 매핑하는 이상적인 방법으로 선택되었습니다.27, 28 이 방법론은 질적, 양적 및 미발표 문헌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레지던트 교육에서 WBA를 사용하는 기존 문헌의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29 
A scoping review was selected as an ideal method to map the extent of available literature given the broad and heterogeneous potential literature base, and clearly defined research question.27, 28 This methodology allows for the inclusion of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unpublished literature, and focuses on capturing the state of existing literature the use WBA in residency training.29

2.2 관련 연구 식별 및 선택
2.2 Identifying and selecting relevant studies

이 범위 검토는 이전에 발표된 프레임워크를 따랐다.28, 30-32 PRISMA-ScR 체크리스트는 출판에 앞서 참고하였다.33 연구팀은 먼저 일차 문헌에 근거하여, WBA가 대학원 의학교육에서 WBL을 어떻게 안내하는가라는 집중 연구 질문을 개발했다.
This scoping review followed previously published frameworks.28, 30-32 The PRISMA-ScR Checklist was references in advance of publication.33 The research team first developed a focused research question: based on the primary literature, how do WBA guide WBL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연구 질문의 범위에 검색을 포함하기 위해 명확한 포함 및 제외 기준을 선험적으로 정의했습니다. 특히, 해당 분야에서 새롭게 떠오르는 주요 관점과 의견을 알려주는 데이터의 범위를 이해하고 종합하기 위해 1차 문헌만 포함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주제에 대한 수많은 의견, 논평 및 리뷰가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료는 연구팀에게 해당 분야의 지배적인 관점을 알리는 데 도움이 되도록 충분히 검토되었지만, 1차 데이터의 폭과 깊이를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 목표를 고려하여 범위 검토에 공식적으로 포함되지는 않았습니다.
Clear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defined a priori in order to contain the search to the scope of our research question. Of note, the decision was made to only include primary literature because we wanted to understand and synthesize the scope of data that informs the predominant emerging perspectives and opinions in the field. We recognize that there are numerous opinions, commentaries and reviews on the subject. These were reviewed in full to help inform the research team on prevailing perspectives in the field, but not formally included in the scoping review given our research aim to understand the breadth and depth of primary data.

2.3 포함 기준
2.3 Inclusion criteria

논문은 대학원 의학교육 내 모든 이해관계자(예: 감독자, 수련의, 환자 및 관련 의료 전문가)의 관점에서 직장 및 WBA에서의 학습에 대한 인식 또는 기타 측정을 포착한 경우 포함되었습니다.
Papers were included if they captured perceptions or other measures of learning in the workplace and WBA from the perspective of any stakeholder (e.g., supervisors, trainees, patients and allied health professionals) with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우리는 학습이 임상 환경에서의 활동과 상호작용, 그리고 수련의의 참여에 의존하는 직장 내 학습(WBL)에 대한 빌렛의 정의를 사용했습니다.34 WBA는 관찰이 필요하고 피드백의 기회를 창출하는 임상 환경에서 수행되는 평가로 정의했습니다.35 영어로 제공되고 1차 데이터(양적, 질적 또는 혼합 방법)가 포함된 논문만 포함했습니다.
For the purposes of our work, we used Billett's definition of learning in the workplace (WBL) where learning is reliant on both the presence of activities and interactions in clinical settings, and the engagement of trainees.34 WBA was defined as an assessment performed in the clinical environment that requires observation and creates the opportunity for feedback.35 Only papers that were available in English and contained primary data (quantitative, qualitative or mixed-methods) were included.

2.4 제외 기준
2.4 Exclusion criteria

제외 기준에는 다른 보건 전문직 분야, 학부 의학교육과 관련된 논문 및 전문을 볼 수 없는 논문이 포함되었습니다.
The exlusion criteria included papers related to other health professions fields,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those unavailable in full text.

검색 전략은 사서의 도움을 받아 의학교육 대학원 교육, 직장 학습, 평가 또는 평가를 포착하기 위해 핵심 용어를 사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전체 검색 전략은 부록 S1 참조). 이 전략은 OVID Medline, Web of Science, ERIC 및 CINAHL 데이터베이스에 적용되었습니다. 2020년 9월까지 출판된 논문이 이 검토에 포함되었습니다.
The search strategy was developed with the assistance of a librarian using the core terms to capture medical education postgraduate training, workplace learning and assessment or evaluation (see Appendix S1 for the complete search strategy). The strategy was applied in OVID Medline, Web of Science, ERIC and CINAHL databases. Papers published until September 2020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검색 전략에 의해 포착된 모든 논문의 제목과 초록은 연구팀원 두 명(LM과 SB)이 독립적으로 선별하고 포함 및 제외 기준과 비교하여 적절성을 결정했습니다. 검토 과정에서 소프트웨어 Rayyan QCRI가 사용되었습니다.36 연구자들은 검색 전략과 포함 기준이 적절한지 확인하기 위해 심사 과정의 시작, 중간, 마지막 단계에서 만났습니다.31 포함 여부에 대해 이견이 있는 경우 초록을 다시 검토하여 합의에 도달할 수 있는지 확인했습니다. 심사 과정이 끝나면 연구팀원 2명이 각 논문의 전문(LM 및 SB)을 검토하여 포함 기준을 더 이상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논문을 삭제했습니다. 이견이 있는 경우 연구팀의 세 번째 구성원이 참여하여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토론을 진행했습니다. 연구 흐름도는 그림 1을 참조하세요. 
The titles and abstracts of all papers captured by the search strategy were screened by two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independently (LM and SB) and compared against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o determine their appropriateness. The software Rayyan QCRI was used during the review process.36 Researchers met at the beginning, midpoint and final stages during the screening process to ensure the search strategy and inclusion criteria were appropriate.31 If there was disagreement regarding inclusion, the abstract was re-reviewed to see if a consensus could be reached. After the screening process, two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reviewed the full text of each paper (LM and SB), and if inclusion criteria were no longer met, it was removed. If disagreements were raised, a third member of the research team was involved, and a discussion held until consensus reached. Please see Figure 1 for the study flow chart.

2.5 데이터 추출
2.5 Data extraction

데이터 추출을 안내하기 위해 엑셀 스프레드시트를 선험적으로 개발하여 반복적으로 업데이트했습니다. 연구팀 전체가 데이터 추출에 참여했으며, 추출은 포함된 모든 논문에 대해 중복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추출된 데이터에는 논문 번호, 제목, 저자, 학술지, 출판 연도, 국가, 주요 방법론, 주요 연구 결과 및 검토자가 포함되었습니다. 질적 데이터의 경우, 연구 결과를 단순히 요약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서술적 분석 방법을 사용했습니다.31 연구자들은 선별 과정의 시작, 중간, 최종 단계에서 만나 데이터 수집이 합리적이고 의미 있는지 확인했습니다.31 검토 과정에서 각 논문은 포함된 양적 연구에 대해서는 의학교육 연구 품질 도구(MERSQI)37 를, 질적 연구에 대해서는 Cote 등이 발표한 질적 연구 그리드를 사용하여 품질을 평가했습니다.38 품질 검토 과정은 연구팀과 독자에게 포함된 연구의 품질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포함 또는 제외를 안내하기 위해 사용되지는 않았습니다. 
An excel spreadsheet was developed a priori to guide data extraction, and updated iteratively. The entire research team participated in data extraction, and extraction was done in duplicate for every included paper. The extracted data included the papers' assigned number, title, authors, journal, year of publication, country, primary methodology, key findings and reviewers. For qualitative data, a descriptive-analytical method was employed to avoid simply summarizing the findings.31 Researchers met at the beginning, midpoint and final stages of the screening process to ensure the data collection was both reasonable and meaningful.31 During the review, each paper was also assessed for quality, using the Medical Education Research Study Quality Instrument (MERSQI)37 for included quantitative studies, and a qualitative study grid as published by Cote et al.38 The quality review process was meant to inform the research team and readers regarding quality of the included studies and was not used to guide inclusion or exclusion.

2.6 데이터 분석
2.6 Data analysis

각 논문의 서술적-분석적 요약을 검토한 후, 각 팀원이 개별적으로 질적 주제를 생성했습니다. 그런 다음 팀원들 간에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논의하여 다음 기준을 충족하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했습니다: (1) 기초 문헌을 반영하고, (2) 연구팀의 면밀한 검토를 견뎌내고, (3) 해당 분야와 관련성이 있을 만큼 충분한 깊이와 폭을 포함해야 합니다. 빌렛의 네 가지 전제는 직장 기반 평가 이전의 의료 환경에서의 WBL에 대한 명확하고 전체적인 관점을 제공하기 때문에 분석의 틀을 구성하기 위해 선택되었습니다.25 데이터 분석의 마지막 단계로, 연구팀은 연구 및 실무에 대한 연구 결과의 향후 함의를 탐색했습니다. 
Upon reviewing the descriptive-analytical summaries of each paper, qualitative themes were generated individually by each team member. These were then discussed amongst the team until consensus was reached, and a framework was developed, which met the following criteria: (1) reflected the underlying literature; (2) withstood scrutiny of the research team and (3) included sufficient depth and breadth to have relevance to the field. Billett's four premises were selected to frame the analysis because they provide a clear and holistic perspective on WBL in the healthcare setting which pre-dated workplace-based assessment.25 As the final step of data analysis, the research team explored futur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on research and practice.

2.7 자문 단계
2.7 Consultation phase

검토 완료 후 결과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외부 이해관계자에게 전문가 의견을 구하여 연구 결과가 WBA 및 WBL에 대한 그들의 경험에 공감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32 
To improve the validity of our results upon completion of the review, expert opinion was sought from external stakeholders to ensure our results resonated with their experience in WBA and WBL.32

2.8 연구팀
2.8 Research team

연구팀은 교육 설계, 평가 및 임상 추론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캐나다의 3개 대학(맥마스터 대학, 웨스턴 대학, 퀸즈 대학)의 다양한 임상의 및 의학교육자 그룹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저자들은 CBME 구현의 여러 단계에서 다양한 환경에서 WBA 및 CBME에 대한 다양한 행정 및 실무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팀은 학습에 대한 사회적 구성주의 철학과 CBME의 목표에 대한 공통된 이해를 공유합니다. 
The research team consisted of a diverse group of clinicians and medical educators at three academic Universities in Canada (McMaster University, Western University and Queens University), with expertise in instructional design, assessment and clinical reasoning. The authors have diverse administrative and practical experience with WBA and CBME across a breadth of settings at various stages of CBME implementation. The team shares a social constructivist philosophy on learning, and a common understanding of the goals of CBME.

3 결과
3 RESULTS

문헌 검색을 통해 692개의 초록이 생성되었으며, 이 중 51개의 논문이 전체 텍스트 검토 기준을 충족했습니다(그림 1). 51개 논문 중 33개 논문이 포함 기준을 충족했습니다. 전체 텍스트를 검토한 결과, 직장에서의 학습과 평가의 교차점에 대한 이해를 돕는 1차 데이터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점이 강조되었습니다. 
The literature search generated 692 abstracts, of which 51 papers met criteria for the full text review (Figure 1). Of the 51 papers, 33 met the inclusion criteria. The full text reviewed highlighted that there is a relative paucity of primary data informing our understanding regarding the intersection between learning and assessment in the workplace.

3.1 포함된 논문의 특징
3.1 Characteristics of included articles

표 1은 이 검토에 포함된 논문의 특징을 요약한 것입니다. 포함된 각 논문에 대한 자세한 요약은 부록 S2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논문은 외과 및 의학 전문 분야에 걸쳐 있으며 주로 북미와 유럽에서 수행되었습니다. 포함된 논문의 대부분은 질적 방법론을 사용했으며, 세부적으로는 23건의 질적 연구, 5건의 혼합 방법, 5건의 정량적 연구가 포함되었습니다. 정성적 연구는 대부분 인터뷰(43%) 또는 포커스 그룹(39%)을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정성적 연구 중 상당수가 구성주의적 근거 이론을 분석에 사용했으며(36%), 대부분 WBA 도구(미니 임상 평가 연습[CEX], 사례 기반 토론 등)를 사용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정량적 연구 또는 혼합 방법 연구의 구성 요소는 Q 방법론 연구39 및 평가 점수의 후향적 비교를 사용한 두 연구를 제외하고는 설문조사 기반이었습니다.40 
Table 1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cluded articles in this review. A more detailed summary of each included paper is available in Appendix S2. The papers spanned both surgical and medical specialities and were predominantly conducted in North American and European contexts. The majority of the included papers employed qualitative methodology: the specific breakdown included 23 qualitative, five mixed methods and five quantitative studies. Qualitative studies mostly employed interviews (43%) or focus groups (39%). A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se qualitative studies employed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for the analyses (36%), and most of them focused on the employment of a WBA tool (mini-clinical evaluation exercise [CEX], case-based discussion, etc.). The quantitative studies, or components of mixed-method studies, were survey-based with the exception of two studies, which used a Q methodological study39 and retrospective comparison of assessment scores.40

 

모든 연구는 교육생(36%), 교수진(6%) 또는 둘 다(58%)의 관점에서 WBA를 통한 학습에 대한 인식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논문 중 12편(36%)만이 사회적 정체성이나 상황적 학습 이론과 같은 기존의 심리학 또는 교육 이론을 명시적으로 언급했습니다. 분석에 이론을 참조한 논문에서는 사회 인지 이론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습니다(15%). 
All studies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learning through WBA, from the perspective of either trainees (36%), faculty (6%) or both (58%). Only 12 of the papers (36%) made any explicit reference to an existing psychological or education theory, such as social identity or situated learning theory. In the papers that did reference a theory in their analyses, social cognitive theory was the most common (15%). 

 

3.2 주제별 분석
3.2 Thematic analysis

이 문헌고찰의 주제별 분석은 빌렛(Billett) 등이 설명한 의료 업무를 통한 학습의 네 가지 전제에 따라 구성되었습니다.25
The thematic analysis for this review was framed by the four premises of learning through healthcare work described by Billett et al.25

3.2.1 전제 1: 학습은 항상 일어난다
3.2.1 Premise one: Learning occurs all the time

업무를 통한 학습에 관한 빌렛의 논문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학습은 의도적인 교육 경험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수련생이 업무에 적절히 참여하고 감독자의 지원을 받는다면 일상적인 경험 중에 발생합니다.25 전통적인 직장 학습의 단점은 수련생이 모든 임상 활동에 대한 접근을 보장받지 못하고 간접적인 지도에 의존하기 때문에 학습 목표가 불분명할 수 있다는 위험입니다.25 일부 맥락에서 WBA는 중요한 업무 기반 기술과 역량을 묘사함으로써 학습 목표를 명확하게 개선해 왔습니다.7
As discussed in Billett's paper on learning through work, learning is not reserved for intentional educational experiences but rather occurs during everyday experiences if trainees adequately engage in work and are supported by supervisors.25 A shortcoming of traditional workplace learning is the risk that trainees will not be guaranteed access to all clinical activities, and that learning goals may remain unclear because of reliance on indirect guidance.25 In some contexts, WBAs have improved clarity around learning goals by delineating important workplace-based skills and capabilities.7

이 검토에서 여러 연구에서 강조된 WBA의 주요 장점 중 하나는 WBL에서 피드백이 개선되었다는 점입니다. 많은 교육생들은 WBA를 직접 관찰과 피드백을 '강제'할 수 있는 기회로 여겼으며, WBA 도구를 사용하지 않는 한 피드백은 드문 경험이라는 인식을 보고했습니다.10, 64 이러한 도구는 피드백의 구조와 구체성을 향상시키고 전통적으로 간과되는 비기술적 직접 관찰 기술에 대한 피드백을 장려하는 것으로도 인정받았습니다.48, 49, 52, 54, 63 여러 연구에서 훈련생들은 일관되게 WBA와 관련된 수치적 척도보다 서술적 피드백에서 더 많은 의미를 발견했습니다.7, 49, 51 주목할 점은 WBA가 피드백 과정을 개선했다는 인식이 모든 연구에서 모든 참가자에게 보편적으로 공유되지는 않았다는 것입니다: WBA의 규정된 구조가 활동의 강제적이고 형식적인 특성으로 인해 실제로 피드백의 질을 저하시킨다는 상반된 인식이 존재했습니다.8, 25, 53, 63
One key advantage of WBA that was highlighted across the studies in this review was an improvement in feedback in WBL. Many trainees viewed WBA as an opportunity to ‘force’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and reported the perception that feedback was a rare experience outside of the use of WBA tools.10, 64 These tools have also been credited with enhancing the structure and specificity of feedback, as well as encouraging feedback on non-technical directly observed skills which are traditionally overlooked.48, 49, 52, 54, 63 Across studies, trainees consistently found more meaning in narrative feedback than in the numeric scales associated with WBA.7, 49, 51 Notably, the perception that WBA improved the feedback process was not universally shared by all participants across the studies: there was a contradictory perception that the prescribed structure of WBAs actually led to a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feedback due to the compulsory and form-filling nature of the activity.8, 25, 53, 63

3.2.2 전제 2: 개인이 자신의 업무에 참여할 때, 그들은 또한 직장과 직업의 지속적인 변화에 기여한다.
3.2.2 Premise two: As individuals engage in their work, they also contribute to the ongoing transformation of the workplace and their occupation

수련생이 임상 학습 환경에 참여할 때, 그들은 직장 프로세스와 문화의 적극적인 변화에 기여합니다.25 직장 피드백의 증가는 수련생과 감독자 모두의 일상적인 업무 흐름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또한, 일부 연구에서 WBA 도구를 사용하면 수련생이 인지된 기존 숙련도의 범위를 넘어서는 과제를 완료하도록 장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49, 65 '근위 발달 영역'으로의 이러한 추진은 새로운 숙련도의 개발 또는 개선을 촉진하고 수련생이 직장에서 특정 학습 경험을 추구하려는 노력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49 
As trainees engage with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they contribute to an active change in workplace processes and culture.25 Increased workplace feedback represents a change in the day-to-day workflow of both trainees and supervisors. In addition, the use of WBA tools was found to encourage trainees to complete tasks beyond the scope of their perceived existing skillset in some studies.49, 65 This push towards the ‘proximal zone of development’ could facilitate the development or refinement of novel skills and change efforts by trainees to seek particular learning experiences in the workplace.49

안타깝게도 현재 임상 업무 환경은 다양한 학습 환경에서 WBA를 쉽게 이수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변화하지 않았습니다. 연수생과 트레이너 모두 직접 관찰, 피드백 제공, WBA 완료에 필요한 시간8, 41, 49, 63 을 장애물로 일관되게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시간 압박은 임상 환경에서 교육과 환자 치료에 대한 경쟁적인 책임으로 인해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57 업무량, 분절된 업무 패턴, 업무 분배와 같은 의료 시스템 변수가 WBL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24 개인이 임상 및 교육 업무에 계속 종사하면서 의무적으로 WBA를 이수해야 하는 경우, 관찰, 피드백을 위한 시간을 확보하고 수련의의 학습 목표 수립에 의도적으로 피드백을 통합하기 위해서는 업무 공간 혁신이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58 
Unfortunately, at this time the clinical workplace has not systematically changed to facilitate the completion of WBAs across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Time was consistently highlighted by both trainees and trainers as a barrier for direct observation, provision of feedback, and completion of a WBA,8, 41, 49, 63 each of which are necessary to achieve learning. This time pressure was felt to be exacerbated by competing responsibilities for both education and patient care in the clinical environment.57 Health systems variables such as workload, fragmented work patterns, and distribution of work are well recognized to influence WBL.24 As individuals continue to engage in both their clinical and educational work, which includes the compulsory completion of WBAs, workplace transformation will need to occur in order to create time for observation, feedback, and deliberate integration of feedback into the formulation of trainees' learning goals.58

WBA의 인지된 가치에 관한 직장 내 변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마일스톤이 도입된 지 10년이 지난 후 수련의들은 성과와 성적에 덜 집중하게 되었고, 수치 평가보다는 직접적인 관찰과 즉각적인 피드백이 학습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감사를 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66 임상 학습 환경 내에서 WBA를 광범위하게 시행하는 초기 단계인 지금, 우리는 WBA의 시행으로 인해 지속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Workplace transformation regarding the perceived value of WBAs can occur with time. In one study, it was shown that 10 years after the rollout of milestones, trainees became less focused on performance and grades, and expressed appreciation for the positive learning implications of direct observation and in-the-moment feedback rather than numerical assessments.66 At this early stage of widespread implementation of WBA within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we can anticipate ongoing transformations to take place 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of WBAs.

3.2.3 전제 3: 직장은 물리적 및 사회적 환경에 의해 구성된 임상 지식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실제 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는 개인적으로 매개되며 의미 있는 학습을 위한 필수 조건입니다.
3.2.3 Premise three: Workplaces provide clinical knowledge framed by the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s. Active engagement with these authentic environments is personally mediated and a requisite for meaningful learning

이러한 전제는 학습이 이루어지는 문화와 맥락의 핵심적인 중요성실제 환경에 대한 교육생의 적극적인 참여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20 따라서 WBA를 사용하는 감독자와 교육생 모두 이러한 도구의 워크플로와 목적에 대한 이해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WBA가 이중 목적(형성 또는 학습을 위한 평가 vs 요약 또는 학습의 평가)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11 연수생과 감독자 모두의 관점에서 볼 때 목적이 명확하지 않은 것은 이해할 수 있습니다.7-9, 49, 50, 56, 57 WBA의 목적에 대한 이해의 다양성은 '총괄 대 형성'이라는 이중 목적에 대한 인식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de Jonge 등의 연구에 따르면 참가자들 사이에서 WBA에 대한 다섯 가지 관점이 발견되었습니다.39 예를 들어, 이 연구에서 한 관점은 학습자가 능동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학습할 내용을 결정'해야 하는 WBA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주체성을 강조합니다.39 이는 객관성과 같은 일부 다른 관점과는 대조적이었는데, WBA가 고도로 구조화되고 기준 기반이며 '개별 학습 목표에 맞춰지지 않는 것'에 가치를 두었습니다.39
  • 다른 연구에서도 많은 교육생이 기준 기반 성과 기준이 평가 데이터 해석과 학습 목표 개발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유사하게 설명했습니다.7, 46, 53, 67 명확하게 정의된 성과 기준은 연수생과 감독자가 WBA 과정에 참여하고, 주어진 역량을 달성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고, CBME 맥락에서 피드백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46, 48, 52, 53, 55, 67 
  • 드 존지 연구39 에서 언급된 다른 관점으로는
    • 임상 환경에서 양질의 환자 치료를 보장하기 위해 WBA가 중요하다고 느낀 책무성
    • 응답자가 WBA가 감독자와 연수생 간의 합작 투자라고 느낀 상호성이 있습니다.
    • 학습자와 수퍼바이저 간에 WBA를 완료할 책임이 어디에 있는지에 대한 '논쟁'은 문헌의 다른 곳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10
  • 직장에서의 의료 교육의 사회적, 문화적 맥락자율성과 효율성을 모두 중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47 이러한 효율성 중시는 수련생이 직장에서 수퍼바이저에게 평가를 완료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히 어렵게 만듭니다.47 주요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 WBA의 목적과 실행에 대한 공유된 이해가 부족하여 프로세스의 구매와 참여에 영향을 미치고, 불행히도 수련생의 전반적인 학습 가치를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This premise highlights the core importance of the culture and context where learning takes place, and the need for active engagement of trainees in the authentic environment.20 As this stands, it is critical that both supervisors and trainees using WBAs share an understanding of the workflow and purpose of these tools. Given that WBAs have begun to serve a dual purpose (formative or for-learning versus summative or of-learning),11 there remains an understandable lack of clarity of purpose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trainees and supervisors.7-9, 49, 50, 56, 57 The diversity of understanding regarding the purpose of WBAs has been shown to go beyond the perception of the dual ‘summative versus formative’ purpose.

  • A study by de Jonge et al. uncovered five different perspectives on WBA amongst their participants.39 For example, one perspective in this study emphasizes learner agency through the WBA process, where trainees should play an active, self-directed role and ‘decide what is to be learnt’.39 This was in contrast with some of the other perspectives, such as objectivity, where value was placed on WBA being highly structured, criterion-based and ‘not be tailored to individual learning goals’.39 
  • Across other studies, many trainees similarly described how criterion-based performance standards helped guide their interpretation of assessment data and the development of learning goals.7465367 Clearly defined performance standards can help trainees and supervisors engage in the WBA process, understand what it means to achieve a given competency, and facilitate feedback in the CBME context.464852535567 
  • Other perspectives noted in the de Jonge study39 included
    • accountability, where WBA was felt to be important in the clinical setting to ensure high-quality patient care, as well as
    • mutuality, where respondents felt WBA should be a joint venture between supervisor and trainee.
    • The ‘debate’ about where the responsibility falls to complete WBAs between learners and supervisors is seen elsewhere throughout the literature.10 
  • It is known that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medical training in the workplace values both autonomy and efficiency.47 This focus on efficiency makes it particularly challenging for trainees to ask supervisors to complete an assessment in the workplace.47 The lack of shared understanding regarding the purpose and implementation of WBA amongst key stakeholders has impacted the buy-in and engagement with the process, which can unfortunately undermine the overall learning value for trainees.


이러한 문제에 기여하는 것은 PGME 교육생 교육에서 개별 슈퍼바이저가 수행하는 역할의 다중성입니다. 예를 들어, 한 명의 수퍼바이저가 개별적인 순간 평가, 종단적 종합 평가, 연수생 그룹에 대한 승진 관련 결정에 대한 가중치 부여를 동시에 담당할 수 있습니다.49 수퍼바이저들은 교사와 평가자의 역할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비판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고 말했습니다.52 WBA를 시행할 때, 평가가 수퍼바이저와 학습자 간의 대인 관계 및 신뢰 관계 구축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어려웠습니다.57 또한, 수련생은 수퍼바이저가 직면한 이러한 문제에 민감하며, 이러한 공유된 역할이 WBA 후 제공되는 피드백의 신뢰성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인식하고 있습니다.8, 9, 45 이에 대응하여, 수퍼바이저와 수련생이 직접 관찰의 역할에 대해 공개적으로 논의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45 이는 WBA 중 양측의 요구를 명확히 하기 위한 것입니다. 수퍼바이저와의 종적, 지지적 관계는 학습자가 평가 순간의 학습 가치에 기여한다고 느꼈기 때문에 학습을 촉진하도록 권장됩니다.8, 9, 57, 61 이는 수퍼바이저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제 임상 실습을 반복적으로 관찰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의미 있는 피드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57 

Contributing to this challenge is the multitude of roles an individual supervisor may play in the education of PGME trainees. For example, one supervisor may be simultaneously responsible for completing individual in-the-moment assessments, longitudinal summative assessments and weighing in on decisions regarding promotion for a group of trainees.49 Supervisors have spoken about the difficulty in providing critical feedback, given their combined role of teacher and assessor.52 In the implementation of WBAs, it has been difficult to account for the impact of assessment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and learners and the establishment of a trusting relationship.57 In addition, trainees are sensitive to this challenge facing supervisors and recognize the impact this shared role can have on the authenticity of feedback provided after a WBA.8, 9, 45 In response to this, it has been recommended that supervisors and trainees openly discuss the role of direct observation,45 in order to clarify the needs of both parties during a WBA. Longitudinal, supportive, relationships with supervisors were felt by learners to contribute to the learning value of the assessment moments and therefore are encouraged to facilitate learning.8, 9, 57, 61 This can enhance meaningful feedback, as it allows supervisors to repeatedly observe authentic clinical practice over time.57

3.2.4 전제 4: 경험 전반에 걸친 학습과 개인 개발은 서로 연관되어 있지만 별개의 과정이며, 개인은 한 경험에서 동일한 것을 배우지 않는다.
3.2.4 Premise four: Learning and personal development across experiences are related but separate processes, and individuals will not learn the same thing from one experience

두 개인은 한 경험에서 같은 것을 배우지 않을 것입니다.25 이는 '학습을 위한' WBA를 구현하는 데 있어 잘 문서화되어 있으며 학습 목표와 성과 목표 사이의 긴장으로 설명되어 온 도전 과제에 대한 강력한 틀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연구에 따르면 학습자는 다음 두 가지 목표 중 하나를 달성하기 위해 WBA 사례 또는 평가자를 찾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1) 역량 입증(성과 지향) 또는
  • (2) 학습 극대화(성장 또는 숙달 지향) .9, 67

Two individuals will not learn the same thing from one experience.25 This provides a powerful framing of the challenges which have been well-documented in the implementation of WBA ‘for-learning’ and has been described as the tension between learning versus performance goals. For example, studies illustrate that learners specifically seek WBA cases or assessors to achieve one of two goals:

  • (1) demonstrate competence (performance orientation) or
  • (2) maximize learning (growth or mastery orientation).967 

Castanelli 등은 WBA에서 역량을 입증하려는 학습자의 동기를 '선순환 또는 악순환'으로 설명합니다.49 악순환에 빠진 학습자의 경우 WBA가 '틱 박스' 연습이 되어 평가의 진정성과 전반적인 학습 가치에 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습니다.8, 10, 49, 51, 53, 55, 56 한 연구에 참여한 연수생들은 전문성 개발을 지원하는 데 있어 이러한 피드백이 중요한 요소임을 인식하면서도 비공식적인 피드백이 자존감에 덜 위협적이라고 느꼈기 때문에 WBA의 맥락 밖에서 부정적이거나 건설적인 피드백(즉, '진정한 학습')을 구체적으로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9 WBA를 시행함으로써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도록 평가를 조작하는 '게임'의 문화를 의도하지 않게 조성한 것은 아닌지 의문이 제기되었습니다.9
Castanelli et al. describe learners' motivation to demonstrate their competence in WBAs as the ‘Virtuous or Vicious Cycle’.49 For those in the Vicious Cycle, there is a risk that WBAs could become ‘tick-box’ exercises, impacting the authenticity of the assessment and overall learning value.8, 10, 49, 51, 53, 55, 56 Trainees in one study identified specifically seeking negative or constructive feedback (i.e., ‘real learning’) outside of the context of a WBA, as they recognized the critical element of such feedback in supporting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but felt informal feedback was less threatening to their self-esteem.9 The question has been raised whether,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WBA, we have unintentionally created a culture of ‘gaming’—manipulating assessments to benefit the learner.9

일부 교육생이 성과 목표를 중심으로 학습하는 경향은 전통적인 WBA 이외의 영역에서도 나타났습니다. 이 검토에 포함된 다른 연구에서는 공식적인 WBA를 동시에 완료하지 않더라도 모든 관찰이 평가처럼 느껴진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직접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수행 불안에 대한 유사한 설명이 발견되었습니다.41, 42 이에 따라 교수진은 비공식적이고 직접적인 관찰 순간이 최종 요약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지지했습니다.41 자기 평가를 조사한 또 다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피드백을 얻고 통합하려고 노력하지만 확인되지 않은 정보를 두려워하고 자신의 자기 평가와 불일치를 조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유사한 긴장이 강조되었습니다.43 이러한 평가의 '위협'은 훈련생의 성과 지향적 조정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42, 58 이는 비공식 직접 관찰의 학습 가치를 훼손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일부 교육자들은 구조화된 평가와 엄격하게 분리된 관찰 기반 코칭 문화를 제안했습니다.42, 57 
The inclination for some trainees to orient themselves around performance goals has been shown in spheres outside of traditional WBA. Other studies captured in this review found a similar description of performance anxiety simply from being directly observed,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any observation felt like an assessment, even without the concurrent completion of a formal WBA.41, 42 In keeping with this, faculty endorsed that informal and direct observation moments did impact their final summative assessments.41 In another study looking at self-assessment, similar tensions were highlighted43 where learners sought to obtain and integrate feedback, but feared disconfirming information and struggled to reconcile inconsistencies with their own self-appraisal.43 This ‘threat’ of assessment can lead to a performance-oriented adjustment trainees' behaviour,42, 58 which will undermine the learning value of informal direct observation. Based on this finding, some educators have proposed a culture of observation-based coaching that is strictly separated from any structured assessment.42, 57

그러나 포함된 연구들은 평가의 '위협'이 보편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연수생 개개인은 직접 관찰로 인한 정서적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이 다양하며,58 WBA에 대한 선호도도 다양합니다.63

  • 한 연구에서, 피드백 및 평가에 대한 일반적인 접근 방식에 WBA가 보완적이라고 생각한 슈퍼바이저나 연수생은 더 쉽게 도구를 통합할 수 있었습니다.63
  • 같은 연구에서, WBA가 일반적인 접근 방식에 적합하지 않지만 그 과정의 가치를 인정하여 도구를 통합하려고 노력한 개인도 있었습니다.63
  • WBA의 역할을 이해하지 못하는 개인은 그 과정이 특히 부담스럽고 교육적 가치가 낮다고 느꼈습니다.63
  • 적극적인 슈퍼바이저는 자주 관찰하고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교육생들의 평가 회피 행동을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58
  • 종종 전체 교육 그룹이 관점을 공유하는데, 이는 사회적 맥락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합니다.58
  • 이에 발맞춰 Balmer 등의 후속 연구에 따르면 교수진과 교육생 모두 CBME 맥락에서 10년 후 성과 지향에서 학습 지향으로 전환할 수 있었습니다.66
  • 성과에서 학습 지향으로의 전환은 이해관계자들이 성과 기준, 과정 및 목적을 포괄적으로 지향하고 결국 공유 정신 모델을 달성하기 위해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이 범위 검토에 포함된 연구 전반에서 사회적 학습 이론이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된 이론이었습니다.9, 43, 47, 57, 61 이는 이 분야의 연구자들 사이에서 WBA를 통한 학습을 이해하는 데 있어 사회적 맥락의 중심 역할에 대해 어느 정도 동의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Yet the included studies illustrate that the ‘threat’ of assessment is not universal. Individual trainees have variable responses to the emotional stress of direct observation,58 and variable affinity towards WBA.63 

  • In one study, supervisors or trainees that found WBA complimentary to their usual approach to feedback and assessment were able to incorporate their use with greater ease.63 
  • In this same study, there were individuals who did not find that WBA fit with their usual approach, but ascribed to the value of the process, and thus worked to incorporate the tools.63 
  • It was individuals who did not understand the role of WBA that found the process particularly burdensome and the educational value to be low.63 
  • Active supervisors have been shown to be able to overcome avoidant assessment behaviour by trainees by offering frequent observation and feedback.58 
  • Perspectives are often shared by the whole training group, which further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context.58 
  • In keeping with this, a follow-up study by Balmer et al. found that both faculty and trainees were able to shift from a performance orientation to a learning orientation after 10 years in a CBME context.66 
  • The transition from performance to learning orientation could suggest that we simply need more time to comprehensively orient stakeholders to the performance standards, process and purpose, and eventually achieve a shared mental model.

Across the included studies in this scoping review, social learning theories were the most commonly applied theories.9, 43, 47, 57, 61 This suggests some agreement regarding the central role of social context in understanding learning through WBA amongst researchers in this field.

WBL 문헌 기반에서 수퍼바이저와 연수생 행동의 개인차는 학습의 조절자로서 광범위하게 설명되어 왔습니다.24, 25 Wiese 등의 모델에서는

  • 수퍼바이저 스타일의 차이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전문적 대 비전문적 행동 모델링, 마이크로 매니지먼트 대 미니멀리스트 수퍼바이저 스타일)과
  • 연수생 간의 차이(자신의 학습에 대한 연수생의 주체성, 부적절한 지원 추구에 대한 인식 및 두려움, 피드백 추구 행동)를 강조했습니다.24

WBL에 대한 Billett의 논문에서도 마찬가지로 개인이 사회적 맥락에서의 참여, 환경 단서의 흡수 및 자신의 진행 상황 모니터링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학습 경험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25 따라서 다양한 교육생 목표 지향성은 WBA 시대에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임상 환경에서 직접 관찰, 피드백 및 평가의 요구 빈도와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더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In the WBL literature base, individual differences in supervisor and trainee behaviours have been extensively described as modulators of learning.24, 25 In the Wiese et al. model,

  • differences in supervisory styles were highlighted for their impact on learning (professional versus unprofessional behaviour modelling, micromanaging versus minimalist supervisor styles) as were
  • differences between trainees (trainee agency over their own learning, perceptions and fears of inappropriate support seeking, feedback-seeking behaviours).24 

Billett's paper on WBL similarly emphasizes the variance through which individuals will engage in the provided learning experiences, including their engagement in the social context, uptake of environmental clues and monitoring of their own progress.25 Thus, the different trainee goal orientations are not new in the era of WBA but have received greater attention given the increased required frequency and perceived stakes of direct observation, feedback and assessment in the clinical environment.

4 논의
4 DISCUSSION

이 범위 검토를 통해 연수생과 교수진의 관점에서 WBA를 통한 학습을 탐구하는 광범위한 1차 문헌 기반을 확인했습니다. 이전 리뷰와 관점에서는 WBA의 실행,6,68 수용성, 효과 및 유용성을 검토한 바 있지만,20 본 연구는 WBA가 대학원 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총체적으로 탐구한 최초의 연구입니다. 긴장과 도전 과제를 재구성하기 위해 이 분석은 빌렛의 기존 WBL에 따라 진행되었습니다.25  
This scoping review identified a broad primary literature base exploring learning through WBA from the perspective of trainees and faculty members. While prior reviews and perspectives have examined the implementation,6, 68 acceptability, effectiveness, and utility of WBA,20 our study is the first to holistically explore how WBA impacts postgraduate medical learning. In order to re-frame tensions and challenges, the analysis was guided by Billett's existing WBL.25

우리는 학습'알고, 할 수 있고, 가치 있는 것'으로 변화하는 과정으로 정의합니다.25 이 광범위한 정의를 적용하면 학습이 항상 어떻게 발생하는지 명확해집니다. 임상 업무 환경에서는 교육생의 가치 체계 변화와 같이 모든 형태의 학습을 포착하거나 측정하기 쉬운 것은 아닙니다. 학습을 안내하기 위해 WBA를 사용할 때, 감독자가 직접 관찰하고 피드백을 제공하고 평가를 완료하는 능력에 따라 우선순위가 정해지는 특정 유형의 학습이 있습니다. 그 외의 관찰, 상호 작용 및 비공식적인 피드백은 체계적으로 포착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이 범위 검토에서는 WBA와 WBL 사이의 가장 강력한 연결고리로서 피드백을 강조합니다. 보건 전문직 교육에서 피드백은 '교육생의 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의도로 주어진 교육생의 관찰된 성과와 표준 간의 비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로 정의되었습니다.69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WBA는 이러한 객관적인 표준을 정의하고48, 49, 52, 54, 63 피드백 빈도의 증가를 유도함으로써 피드백의 구체성과 구조를 강화했습니다.10, 64 그러나 이러한 도구가 교육생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의 질을 확실하게 개선하지는 못했습니다.8, 53, 63 의미 있는 피드백은 종종 교수진에서 교육생에게 피드백이 선형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교수진과 교육생 간의 공동 구성으로 설명됩니다.24 WBA는 이러한 논의의 출발점이 될 수 있지만,45 이러한 평가가 학습과 역량 평가라는 이중 목적을 달성하는 경우 교수진과 교육생 모두에게 기대치와 목표를 공동 구성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려운 일이 됩니다.7, 48  
We define learning as the process of change to what someone ‘knows, can do and values’.25 Applying this broad definition, it becomes clear how learning occurs all the time. In the clinical workplace, not all forms of learning are easy to capture or measure, such as changes to a trainees' value system. When we hone in on the use of WBA to guide learning, there are certain types of learning that become prioritized based on a supervisor's ability to directly observe, provide feedback and complete an assessment. Other observations, interactions and informal pieces of feedback cannot be systematically captured. With that in mind, this scoping review highlights feedback as the strongest link between WBA and WBL. Feedback with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as been defined as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comparison between a trainee's observed performance and a standard, given with the intent to improve the trainee's performance’.69 As described above, WBA has enhanced feedback specificity and structure by defining those objective standards,48, 49, 52, 54, 63 and prompting an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feedback.10, 64 However, these tools have not reliably improved the quality of feedback provided to trainees.8, 53, 63 Meaningful feedback is often described as a co-construction between faculty and trainees, rather than the linear transmission of feedback from faculty to trainee.24 A WBA can act as a starting point for this discussion,45 but co-construction of expectations and goals becomes practically challenging for both faculty and trainees when these assessments serve the dual purpose of learning and assessment of competence.7, 48

4.1 향후 연구를 위한 격차 확인
4.1 Identified gaps for future study

4.1.1 연구 결과의 확장
4.1.1 Expanding research outcomes

이 범위 검토에서 수집한 문헌은 일반적으로 교수진과 연수생의 관점과 WBA 도구의 실행에 대한 반응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평가 도구에 대한 인식이 효능에 영향을 미치고,70 태도와 문화가 도구의 수용 가능성과 학습 가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분명하지만,63,71 인식을 넘어서는 연구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WBL 이론에서 향후 조사해야 할 관심 있는 결과로는 WBA가 직장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25 전문가 정체성 형성, 안전한 의료행위 참여, 미래 의료행위 준비 등이 있습니다.24 이는 의료 학습 모델을

  • 전통적인 자격 지표(지식, 기술 및 태도)를 넘어
  • 사회화(전문가 그룹의 일원이 됨) 및
  • 주체화(사려 깊고 성찰적이며 책임감 있는 의사 되기)로 확장하려는 최근 제안과 일치합니다.72

사회화 및 주체화를 탐구하는 미래의 학문적 작업은 신중하게 설계된 이론 기반 종단 질적 연구를 통해 추구할 수 있습니다. 
The literature captured in this scoping review generally focused on faculty and trainee perspectives and reactions to the implementation of WBAs tools. While it is clear that perception of an assessment tool will impact the efficacy,70 and attitudes and culture will impact the acceptability and learning value of any tool,63, 71 it is important that we start to move beyond perceptions. Future outcomes of interest to investigate in WBL theory could include the impact of WBA on transformation of the workplace,25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safe participation in practice and preparation for future practice.24 This aligns with a recent proposal to expand the medical model of learning beyond

  • traditional qualification metric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o include
  • socialization (becoming a member of a professional group) and
  • subjectification (becoming a thoughtful, reflective and responsible physician).72 

Future scholarly work to explore socialization and subjectification could be pursued through carefully designed theory-informed longitudinal qualitative studies.

4.1.2 평가 어휘집
4.1.2 Lexicon of assessment

프로그램적 WBA에 적용된 어휘집은 감독자와 훈련생이 공유된 정신 모델을 개발하는 능력을 의도하지 않게 방해했을 수 있습니다. 최근 사용자의 공유된 이해를 개선하기 위해 WBA의 설계와 위임 언어를 최적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73 언어는 평가의 인지된 부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14 자율성과 유연성을 강화하는 언어로 WBA를 설계하면14, 15 학습자의 주체성을 촉진하고 다양한 교육 상황 및 문화와의 조율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73 이러한 변화는 학습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고안된 도구가 대화, 여러 이해관계자의 관점, 학습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의 복잡성을 통합해야 한다고 제안하는 경험적 학습 이론 및 문화역사 활동 이론과 일치합니다.23 이는 직장에서의 사회적 학습을 의도적으로 통합하는 훈련생에 대한 성과 관련 피드백으로의 전환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것입니다.74 WBA 프로그램을 재설계할 때 우리는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 학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WBA 중에 발생하는 복잡하고 상황에 기반한 상호 작용을 포착하도록 도구를 최적화할 수 있을까요?

이러한 재설계에는 이러한 평가의 객관성 부족에 대한 불만을 지속하기보다는 직장 기반 평가에서 '공유-주관성'을 포용하고 중요하게 여길 기회가 있습니다.18 향후 작업에서는 설계 반복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직장 학습에 관한 지표를 사용하여 WBA를 운영하는 품질 개선 접근법을 채택할 수 있습니다.
The lexicon applied to programmatic WBA may have unintentionally impeded the ability for supervisors and trainees to develop a shared mental model. It was recently argued that the design of WBA, and the language of entrustment, needs to be optimized in order to improve the shared understanding of the users.73 Language is likely to also have an impact on the perceived stakes of an assessment.14 Designing WBA with language that enhances autonomy and flexibility14, 15 could promote learner agency and support alignment with different training contexts and cultures.73 This shift would align with both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and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which suggest that tools designed to describe learning outcomes need to integrate dialogue, perspectives from multiple stakeholders, and the complexity of the system in which the learning takes place.23 This would serve to reinforce the shift towards performance-relevant feedback for trainees, which intentionally integrates social learning in the workplace.74 In re-designing our programmes of WBA could we ask the question: 

  • Can the tools be optimized to capture the complex and situationally-rooted interactions that occur during WBA in order to guide learning more effectively? 

There is opportunity in this re-design to embrace and value ‘shared-subjectivity’ in workplace-based assessment rather than perpetuating the frustration about the lack of objectivity of these assessments.18 Future work could adopt a quality improvement approach in operationalizing WBA using metrics around workplace learning to inform design iterations.

4.1.3 범위 확장: 문화적, 이론적, 철학적 토대
4.1.3 Expanding the scope: Cultural,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underpinnings

임상팀, 지역 문화, 임상 업무의 성격은 모두 WBL 환경에서 감독자, 수련생, 환자 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칩니다.24 이 백서에서는 WBA의 실행이 직장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지에 대해 논의합니다. 여러 논문에서 (조직 수준에서) 문화적 변화의 필요성과 CBME 내에 WBA를 통합하기 위한 광범위한 동의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만,48 다음은 여전히 불분명합니다.

  • (1) 이를 어떻게 배양해야 하는지,
  • (2) 임상 작업장의 변화(의도적이든 비의도적이든)를 어떻게 모니터링해야 하는지

The clinical team, local culture, and nature of clinical tasks all influence th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s between supervisors, trainees and patients in the WBL environment.24 In this paper, we discuss how the implementation of WBA will transform the workplace. While papers speak to the need for cultural change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widespread buy-in for integrating WBA within CBME,48 it remains unclear

  • (1) how this should be cultivated and
  • (2) how we should monitor the transformation of our clinical workplaces (both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이 리뷰에 포함된 대부분의 연구는 귀납적 질적 방법론, 주로 구성주의 근거 이론(CGT)을 적용했습니다. 완전 귀납적 연구 설계인 CGT의 경우, 연구팀은 데이터로부터 자체 이론을 생성합니다.75 현 단계에서 우리는 WBA 맥락에서 '긴장'으로 나타나는 행동과 정서적 반응을 이해하기 위해 향후 연구에서 사회문화 및 학습 이론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링가드와 클라센은 임상 수퍼비전의 복잡한 차원을 지속적으로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며, 이는 WBA를 통해 수련생과 수퍼바이저의 행동을 평가하는 비선형 매트릭스를 포함합니다.76 우리는 이 렌즈를 통한 추가 연구가 학습을 위한 평가가 언제,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Most studies included in this review applied inductive qualitative methodologies, predominantly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CGT). In the case of CGT, which is a fully inductive study design, the research team generates their own theory from the data.75 At this stage, we argue that sociocultural and learning theories are required in future stud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behaviour and emotional reactions presenting as ‘tensions’ within the WBA context. Lingard and Klasen comment on the importance of continuing to understand the complex dimensions of clinical supervision, a non-linear matrix that contains evaluating trainees' and supervisors' behaviours with WBAs.76 We hope that further research through this lens could move closer to if, when and how assessment-for-learning can be achieved.

이 백서에서는 임상 학습 환경에서 WBA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공유하는 멘탈 모델의 부재와 이것이 교육생의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합니다. 한 걸음 물러서서 생각해보면 이러한 구현 문제는 CBME의 철학적 기원에 대해 생각해 볼 때 예측할 수 있었던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타바레스 등이 주장한 바와 같이, 평가 문헌에는 역량의 철학적 토대에 대한 일관된 정신 모델이 부족하며, 일부 모델은 실증주의 또는 포스트 실증주의에 부합하고 다른 모델은 구성주의 또는 해석주의에 부합합니다.77 이러한 다양한 철학적 관점은 평가 설계, 실행, 교수진 개발 및 연수생과 WBA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의심할 여지없이 학습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 실증주의적 관점은 일부 기준 기반 성과 표준에 초점을 맞출 가능성이 높으며,7, 39, 77 이는 성과 지향에 대한 긴장을 고조시킬 위험이 있습니다.
  • 반면 구성주의적 관점은 강력한 심리측정의 필요성을 덜 강조하고, 유연성 향상과 학습자 선택권 확대를 통해 상황 및 문화적 요인을 포착하는 것을 수용합니다.77

우리는 WBA 및 학습 분야에서 연구자들이 다양한 철학적 입장을 계속 유지할 것임을 인식하며, 향후 작업에서 이러한 대화의 일관성과 명확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자들이 자신의 철학적 입장을 명시적으로 공개할 것을 촉구합니다.77 연구자의 철학적 입장은 연구 결과와 얽혀 있으며 WBA를 통한 학습 결정의 기본이 될 것입니다.77 
This paper highlights the absence of a shared mental model by those using WBA in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and the impact of this on trainees' engagement. Taking a step back, perhaps this implementation challenge could have been predicted when we think about the philosophical origins of CBME. As argued by Tavares et al., there is lack of a consistent mental model around the philosophical underpinnings of competence within assessment literature, with some models aligning with positivism or post-positivism, and others with constructivism or interpretivism.77 These different philosophical perspectives will impact assessment design, implementation, faculty development and trainee interaction with WBA, which will undoubtedly impact learning.

  • Positivist perspectives are more likely to focus on some of the criterion-based performance standards,73977 which risks contributing to the rising tensions around performance orientation.
  • Alternatively,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de-emphasizes the need for robust psychometrics, and embraces capturing situational and cultural factors through enhanced flexibility and greater learner agency.77 

We recognize that there will continue to be a variety of philosophical positions held by researchers in the space of WBA and learning, and echo the call for researchers to explicitly disclose their philosophical position in order to enhance alignment and clarity of these conversations in future work.77 Researchers' philosophical positions are intertwined with research outcomes and will be fundamental to determining learning through WBA.77

4.2 요약
4.2 Summary

빌렛의 네 가지 전제의 렌즈를 사용하여 WBA를 통한 학습의 과제를 재구성하면 관찰을 상황화하고 표준화하여 앞으로 나아갈 길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학습WBA 획득 여부와 관계없이 WBL 내에서 항상 발생한다는 것이 분명해집니다. 지나치게 규범적이지 않다면, WBA는 WBL에서 학습 목표의 명확성을 높이고 덜 일반적으로 관찰되지만 진정한 임상 술기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과 피드백을 장려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또한, WBA에 대한 우리의 지속적인 참여는 우리의 업무 환경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우리는 이러한 영향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초기 단계에 있습니다. WBA가 학습이나 목표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모든 것에 맞는' 하나의 정의를 내릴 수는 없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부분적으로는 WBL 환경 내에서 WBA 프로세스에 대한 참여가 개인적, 사회적으로 매개되기 때문입니다.
  • 마지막으로, 우리는 WBA와 WBL 모두에서 학습의 조절자를 이해함으로써, 교육 프로그램이 다양한 사회적 환경 내에서 개별 학습자의 요구에 맞게 평가 전략을 조정하고 '실천 속에서 아는 것'에 필요한 주관성을 포용하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Re-framing the challenges of learning through WBA using the lens of Billett's four premises helps to provide clarity on a path forward by situating and normalizing our observations.

  • It becomes clear that learning occurs all the time within WBL, irrespective of whether WBAs are obtained. If not overly prescriptive, WBA can serve to enhance clarity of learning goals in WBL and to encourage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on less commonly observed, yet authentic, clinical skills.
  • Furthermore, our ongoing engagement with WBA is transforming our workplace, and we are early stages of capturing and understanding this impact.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we cannot seek to define a ‘one size fits all’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WBA on learning or goal orientation. That is, in part, because engagement in the WBA process within the WBL environment is both personally and socially mediated.
  • Finally, we propose that understanding the modulators of learning in both WBA and WBL may allow educational programs to tailor their assessment strategies towards individual learner needs within different social environments, and to create a system that embraces subjectivity required for ‘knowing in practice’.

4.3 한계
4.3 Limitations

범위 검토의 좁은 초점 때문에 직장 내 평가와 학습을 모두 다룬 주요 연구 논문만 포함되었습니다. WBA를 사용하여 학습을 위한 평가를 달성하는 방법에 대한 관점과 논쟁이 증가하고 있지만, 우리의 의도는 이 분야를 알려주는 주요 데이터를 종합하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실제 임상 환경에서의 학습 및 평가에 대한 광범위한 개념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통제된 환경에서 개별 WBA 도구를 실험적으로 검증하는 동안 학습 결과의 개발 및 측정에 관한 모든 1차 문헌을 수집하려고 하지는 않았습니다. 검색 전략은 포괄적이었지만, 연구팀은 검색 전략을 추가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했다면 추가 연구를 포착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점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Given the narrow focus of a scoping review, only primary research papers that captured both assessment and learning in the workplace were included. While there are growing perspectives and debates regarding how to achieve assessment for learning using WBA, our intention was to synthesize the primary data that informs this space. Furthermore, given the focus on the broader concepts of learning and assessment in the authentic clinical environment, we did not seek to capture all primary literature regarding the development and measurement of learning outcomes during the experimental validation of individual WBA tools in controlled settings. While the search strategy was inclusive, the research team recognizes that additional studies may have been captured if the search strategy was applied to additional databases.

4.4 교육자 및 연구자를 위한 시사점
4.4 Implications for educators and researchers

이용 가능한 문헌에 따르면 WBA는 '학습을 위한 평가'와 '학습에 대한 평가'라는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지만, 실제로 이러한 상호 목표가 달성되었음을 아직 입증하지 못했습니다. 현재 우리는 평가와 학습에 대한 가정 사이에서 교착 상태에 빠져 있습니다. 이 백서에서는 WBL 이론에 주목하여 이 논의를 재구성하고자 했습니다. 우리는 학습과 사회문화 이론을 연구 설계에 더 많이 통합하고, WBA를 통해 학습에 관한 모델을 업데이트할 때 연구자의 철학적 입장에 명확히 맞출 것을 제안합니다. 실질적으로, CBME 교육 맥락에서 리더와 교육자들은 현재의 WBL 환경에서 교육생들 사이에 존재할 다양한 관점을 잘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he available literature suggests that although WBAs are being utilized to serve the dual purpose of ‘assessment-for-learning’ and ‘assessment-of-learning’, we have yet to demonstrate achievement of these mutual goals in practice. We are currently in a stalemate between assessment and learning assumptions. In this paper, we have sought to re-frame this conversation by attending to WBL theory. We propose that learning and sociocultural theory be more heavily integrated into research design, with clear alignment to the researchers' philosophical position when updating models on learning through WBA. Practically speaking, it is critical that leaders and educators in a CBME training context come to recognize the well-described variety of perspectives that will exist amongst their trainees in the current WBL environment.

5 결론
5 CONCLUSION

결론적으로, 빌렛의 네 가지 전제25에 따라 WBA와 WBL의 중첩에 초점을 맞춘 문헌을 종합하여 중요한 격차를 강조하고 CBME의 궁극적인 목표인 직장 내 학습을 위한 평가를 달성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주요 탐구 방법을 확인했습니다. In conclusion, by bringing together the literature that focuses on the overlap between WBA and WBL framed by Billett's four premises,25 we have highlighted critical gaps, and identified key avenues for exploration to increase our chances of achieving the ultimate goal of CBME: assessment for learning in the workplace.

 

 


Med Educ. 2023 May;57(5):394-405. doi: 10.1111/medu.14960. Epub 2022 Nov 21.

How workplace-based assessments guide learning in postgraduate education: A scoping review

Affiliations

1Department of Medicine,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2Department of Medicine,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3McMaster Education Research, Innovation, and Theory Program,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4Department of Medicine, Queens University, Kingston, Ontario, Canada.

5Department of Medicine, Ottawa University, Ottawa, Ontario, Canada.

PMID: 36286100

DOI: 10.1111/medu.14960

Abstract

Introduction: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led to the widespread adoption of workplace-based assessment (WBA) with the promise of achieving assessment for learning. Despite this, studies have illustrated tensions between the summative and formative role of WBA which undermine learning goals. Models of workplace-based learning (WBL) provide insight, however, these models excluded WBA. This scoping review synthesizes the primary literature addressing the role of WBA to guide learning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with the goal of identifying gaps to address in future studies.

Methods: The search was applied to OVID Medline, Web of Science, ERIC and CINAHL databases, articles up to September 2020 were included. Titles and abstracts were screened by two reviewers, followed by a full text review. Two members independently extracted and analys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using a descriptive-analytic technique rooted in Billett's four premises of WBL. Themes were synthesized and discussed until consensus.

Results: All 33 papers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learning through WBA. The majority applied qualitative methodology (70%), and 12 studies (36%) made explicit reference to theory. Aligning with Billett's first premise, results reinforce that learning always occurs in the workplace. WBA helped guide learning goals and enhanced feedback frequency and specificity. Billett's remaining premises provided an important lens to understand how tensions that existed in WBL have been exacerbated with frequent WBA. As individuals engage in both work and WBA, they are slowly transforming the workplace. Culture and context frame individual experiences and the perceived authenticity of WBA. Finally, individuals will have different goals, and learn different things, from the same experience.

Conclusion: Analysing WBA literature through the lens of WBL theory allows us to reframe previously described tensions. We propose that future studies attend to learning theory, and demonstrate alignment with philosophical position,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assessment-for-learning in the workplace.

평가에 대한 메타포의 사용과 남용(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3)
On the use and abuse of metaphors in assessment
Jacob Pearce1 · Neville Chiavaroli1 · Walter Tavares2

 

평가에서의 은유 소개
Introduction to metaphors in assessment

은유적 언어는 모든 분야에서 풍부하게 사용됩니다. 보건 전문직의 평가 맥락에서 일하면서 우리는 은유가 평가 프로그램의 개념화, 개발 및 배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은유는 평가 개념을 전달하고 복잡한 아이디어와 문제를 실무자에게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는 새로운 평가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이해관계자와 소통할 때, 그리고 교육 및 훈련에서 평가에 관한 일상적인 결정을 내릴 때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평가의 개념화 및 실행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나 오해에 대해 잠시 멈춰서 생각해 보아야 할 때가 많았습니다. 이러한 순간들은 은유를 비판할 때 얻을 수 있는 가치를 강조하고, 은유가 지속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백서는 은유의 현명하고 생산적인 사용을 장려함으로써 보건 전문직의 평가를 발전시키고자 하는 열망에서 출발했습니다. 무엇이 그러한 사용을 구성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이며, 우리는 비판적 철학적 관점, 즉 철저하고 신중한 비평 과정을 통해 평가 은유를 검토하는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Metaphorical language is abundant in all disciplines. Working in assessment contexts in the health professions, we have noticed metaphor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conceptualisation, development, and deployment of assessment programs. Metaphors help communicate assessment concepts and translate complex ideas and issues to practitioners. This is extremely important both when building a new assessment program and engaging with stakeholders, and when being pragmatic in making routine decisions about assess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However, many times we have needed to pause to reflect on potential unintended consequences or misinterpretations that may impact the way assessments and conceptualized and/or implemented. These moments have highlighted the value that comes from critiquing metaphors, and demonstrated the care required to ensure that metaphors have continued utility. This paper is motivated by a desire to advance assessment in the health professions through encouraging the judicious and productive use of metaphors. Determining what constitutes such a use is our task here, and we proceed by examining assessment metaphors from a critical philosophical perspective; that is, through a thorough and considered process of critique.

이 주제는 평가의 맥락을 넘어서는 적용 가능성이 있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은유의 적용이 눈에 띄게 증가했음을 알았기 때문에 특히 보건 전문직의 평가 맥락에서 은유의 사용과 적용에 초점을 맞춥니다. 특히 프로그램 평가는 지난 몇 년 동안 의료와 프로그램 평가 사이의 비유(Schuwirth et al., 2017), 합창단 가입 과정(Uijtdehaage & Schuwirth, 2018, 350쪽), 배심원 재판에서의 의사 결정(Tweed & Wilkinson, 2019), 프로그램 평가를 시험 단계의 약물로 생각하기(Wilkinson & Tweed, 2018, 191쪽) 등 많은 비유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보건 전문직의 평가 설계는 칵테일과 교향곡(Al-Kadri, 2015), 범선의 설계 및 건조(Dauphinee, 2020)와 비교되었습니다. 의학교육자들이 학생과의 평가 관계에 대해 이야기할 때 은유적 언어가 점점 더 일반화되고 있으며(Rees 등, 2009), 피드백과 평가의 분리는 운전 수업과 운전 시험의 구분과 비교되고 있습니다(Brand 등, 2021). 우리는 또한 은유적 언어가 의학교육을 넘어 교육 평가(예: '군비 경쟁'으로서의 평가)에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Bearman & Ajjawi, 2021; Harland & Wald, 2021), 의학에서도 은유적 언어가 사용되고 있음을 주목하고 있습니다(Isaacs & Priesz, 2021). 
Although this topic has applicability beyond the context of assessment, we focus our attention on the use and application of metaphor specifically in assessment contexts in the health professions because we have noticed a marked increase of the application of metaphors in recent years. Programmatic assessment in particular has given rise to many analogies over the past few years, such as between healthcare and programmatic assessment (Schuwirth et al., 2017), the process of joining a choir (Uijtdehaage & Schuwirth, 2018, p. 350), decision-making in jury trials (Tweed & Wilkinson, 2019), and thinking of programmatic assessment as a drug in a trial phase (Wilkinson & Tweed, 2018, p. 191). Assessment design in the health professions has been compared with cocktails and symphonies (Al-Kadri, 2015) and the design and building of sailing ships (Dauphinee, 2020). Metaphorical language is increasingly common in medical educators’ talk about their assessment relationships with students (Rees et al., 2009) and the separation of feedback and assessment has been compared with the distinction between driving lessons and driving tests (Brand et al., 2021). We are also noticing metaphorical language being deployed in educational assessment more generally (such as assessment as an ‘arms race’), outside of medical education (Bearman & Ajjawi, 2021; Harland & Wald, 2021), as well as its use in medical science (Isaacs & Priesz, 2021).

언어가 의미를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은유적 언어에 반응하고, 받아들이고, 사용하는 방식과 관련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어난 변화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의 사용과는 완전히 대조적으로, 1955년 철학자 맥스 블랙의 에세이는 은유를 사용하는 철학자를 경시하는 경향에 대해 언급하면서 은유는 논증이 아니라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은유에 대한 중독은 은유적으로만 말할 수 있는 곳에서는 전혀 말하지 말아야 한다는 원칙에 따라 불법으로 간주됩니다."(Black, 1955). 1955년 블랙의 생각은 언어를 설명의 수단으로 사용하고 난독화에 반대하는 분석철학 전통의 추진력과 일치합니다. 당시에는 언어를 신중하고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이 의도한 의미에 도달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이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문자 그대로의 언어는 의미를 더 투명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입장은 비트겐슈타인과 같은 철학자들에 의해 도전받았는데, 비트겐슈타인은 말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단어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Wittgenstein, 2009). 그리고 더 근본적으로는 의미를 생성하는 것은 언어 그 자체라고 주장한 데리다(Derrida, 1974)도 있습니다. 이러한 질문은 해석과 의미의 문제를 다루는 철학의 하위 분야인 해석학의 심오한 질문으로, 은유의 사용을 살펴볼 수 있는 렌즈를 제공합니다. 
Because of the role language plays in conveying meaning, it is worth reflecting on the shifts that have occurred over time in relation to the way people react to, accept and use metaphorical language. In stark contrast to current usage, a 1955 essay by philosopher Max Black remarked on the tendency to belittle philosophers for using metaphor, also noting that metaphors are not arguments: “Addiction to metaphor is held to be illicit, on the principle that whereof one can speak only metaphorically, thereof one ought not to speak at all” (Black, 1955). Black’s thinking in 1955 aligns with the drive in the analytic philosophical tradition that wanted to use language as a means of clarification, rallying against obfuscation. The idea here was that language, used carefully and with precision was the best way to get to intended meaning. From this perspective, literal language helps make meaning more transparent. This position was challenged by philosophers such as Wittgenstein in his later work (Wittgenstein, 2009), who claimed that to get at the meaning of words we need to look at how they are used. And more radically, by Derrida (Derrida, 1974), who argues that it is language itself which generates meaning. These are deep questions in hermeneutics – a sub-branch of philosophy that deals with issues of interpretation and meaning – which provide lenses through which we can examine the use of metaphors.

이러한 이론적 논쟁에도 불구하고, 최근 우리 학계의 학술 활동을 보면 은유의 명성이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Regehr, 2010; Rodgers, 2016; Tate, 2020). 이 논문 작업을 처음 시작했을 때 가장 최근호인 의학교육(55권 8호, 2021년 8월)에는 제목에 늑대, 벽돌과 박격포, 곡물, 바 등 은유가 명백하게 사용된 논문이 6편이나 실렸습니다. 분명히 은유는 교육에서 어디에나 존재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은유적 언어는 단순히 장식적인 것으로 여겨지기보다는 지적 활동에 거의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습니다. 라코프와 존슨의 1980년 저서 『우리는 은유로 산다』는 "은유적 사고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우리의 정신 생활에서 정상적이고 보편적인 것"임을 입증했습니다(Lakoff & Johnson, 2003, 244쪽). 우리의 개념 체계는 본질적으로 은유적입니다. 우리는 은유를 통해 추론하고 추론하며, 우리가 사용하는 은유는 우리가 세상을 해석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칩니다. 
Regardless of these theoretical disputes, to judge from recent scholarly activity in our discipline, metaphor’s reputation has been well and truly restored (Regehr, 2010; Rodgers, 2016; Tate, 2020). When we initially began working on this paper, the most recent issue of Medical Education (Vol. 55, No. 8, August 2021) contained six articles with overt metaphors in their title (such as wolves, bricks and mortar, grains, bars…). Clearly metaphors are ubiquitous in education, and are entrenched in manifold ways. Rather than being seen as merely decorative, metaphorical language has become almost essential to intellectual activity. Lakoff and Johnson’s seminal 1980 Metaphors We Live By demonstrated that “metaphorical thought is normal and ubiquitous in our mental life, both conscious and unconscious” (Lakoff & Johnson, 2003, p. 244). Our conceptual systems are fundamentally metaphorical in nature. We reason and infer in terms of metaphor, and the metaphors we use impact how we interpret the world.

은유적 언어가 널리 퍼져 있으며 사고의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Lakoff와 Johnson의 주장에 동의합니다. 예를 들어, 과학은 물리적 과정에서 의미를 만들기 위해 은유를 사용해 온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Brown, 2003; Hesse, 1965). Bleakley는 의학 연구도 다르지 않으며, 특히 의학 언어는 "은유에 젖어 있고 은유로 사고하는 것이 진단 작업의 중심"이므로 은유는 우리가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하는 언어의 "생명선"이라고 주장합니다(Bleakley, 2017). 그는 의학이 전통적으로 두 가지 은유, 즉 전쟁으로서의 의학(그리고 질병은 전투)과 기계로서의 신체라는 두 가지 은유에 의해 지배되어 왔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은유는 매우 영향력이 커서 우리는 그것이 비문자적이라는 사실을 거의 잊어버립니다. 의학의 은유는 "삶과 죽음은 대중문화에서 반복되는 주제이며 관련 은유가 풍부"하기 때문에 우리의 상상력을 분명하게 사로잡습니다(Kirklin, 2001). 은유는 의학교육과 임상 교육에서도 일상적으로 사용되며(Masukume & Zumla, 2012), 종종 직관적이고 교육자의 공감을 불러일으킵니다. 평가도 이 점에서 다르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We agree with Lakoff and Johnson that metaphorical language is pervasive and plays a central role in thinking. The sciences, for example, have a long history of using metaphors to make meaning from physical processes (Brown, 2003; Hesse, 1965). Bleakley argues that the study of medicine is no different and that metaphor is the “lifeblood” of language that we should actively embrace, especially as medical language is “soaked in metaphor, and thinking with metaphor is central to diagnostic work” (Bleakley, 2017). He regards medicine as traditionally dominated by two metaphors in particular: medicine as war (and illness a battle), and the body as machine. These lenses are so influential that we almost forget they are non-literal. Metaphors in medicine clearly capture our imagination, perhaps due to the fact that “life and death are recurrent themes in popular culture and related metaphors abound” (Kirklin, 2001). Metaphors are also routinely part of medical education and clinical teaching (Masukume & Zumla, 2012), are often intuitive and resonate with educators. And assessment appears to be no different in this regard.

방법론적 접근
Our methodological approach

이 주제를 보다 심도 있게 탐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특정 은유(비유를 포함)와 비유적 언어(비유적 언어를 말이나 글에 사용하는 것)로 더 잘 설명되는 은유적 언어의 광범위한 현상을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백서 전반에 걸쳐 사용된 이러한 언어는 일반적으로 독자를 '끌어들이는' 수사적 기능을 합니다. 예를 들어, 제목은 니체의 초기(1874년) 에세이 중 하나인 "삶을 위한 역사의 사용과 남용에 관하여"(니체, 2007)에 대한 경의를 표합니다. 삶을 위한 역사의 유용성에 대한 니체의 비판을 통해 우리는 평가 연구 및 실무에서 은유의 유용성/장점 및 잠재적 위험/단점을 모두 조사하고자 합니다. 여기서 우리가 문제 삼고자 하는 것 중 하나는 은유가 충분한 의미를 전달하고, 어떻게든 자명하게 정당하며, 반드시 이해를 증진시키거나 사고의 미묘한 탐구를 이끌어낸다는 개념입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비유적 언어의 사용에 대해 비판적이지는 않지만(실제로 우리 자신도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비유적 언어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보건 전문직의 평가에서 은유가 너무 자주 무비판적으로 수용되어 의도하지 않거나 고려하지 않은 의미가 문제의 개념에 '스며들' 위험이 있다는 우려에 동기를 부여받았습니다. 그렇지 않더라도 평가에서 은유의 가치에 대한 이러한 비판은 시의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To probe the topic in greater depth, we need to first make an important distinction between specific metaphors (which include analogies) and the broader phenomenon of metaphorical language, perhaps better described as tropological language – the use of figurative language in speech or writing. Such language, as utilised by us throughout this paper, typically ‘hooks in’ readers and has a rhetorical function. For instance, our title pays homage to one of Nietzsche’s early (1874) essays “On the use and abuse of history for life” (Nietzsche, 2007). Channelling Nietzsche’s critique of the utility of history to serve life, we aim to interrogate both the usefulness/benefits and potential dangers/disadvantages of metaphor in the service of assessment research and practice. Part of what we want to problematize here is the notion that metaphors convey sufficient meaning, are somehow self-evidently legitimate, necessarily advance understanding or elicit nuanced exploration in thought. Although we are not critical of the use of tropological language in general (indeed, we continually rely on it ourselves to convey meaning), we are motivated by a concern that metaphors are too often accepted uncritically in assessment in the health professions, with the risk that unintended or unconsidered meanings ‘seep into’ the concept in question. Even if this is not the case, we believe that such a critique of the value of metaphor in assessment is timely.

이 논문에서 우리는 의학교육에서 은유를 사용할 때, 특히 평가와 관련하여 은유의 역할, 기여도, 이점 및 한계에 대해 신중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고자 합니다. 요컨대, 우리는 은유 사용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요구합니다. 보노가 은유가 기능하는 방식에서 어떻게 생성적이고 변형적인지 설명한 것처럼(Bono, 1990), 우리는 모든 은유가 잠재적으로 조명과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즉, 은유는 사고와 행동을 형성하고 기대, 신념, 문화, 담론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Elmore & Luna-Lucero, 2017; Thibodeau et al., 2017). 따라서 은유의 힘 - 은유적 담론은 은유적 언어가 의미를 변화시키는 능력과 거래합니다(Bono, 1990, 73쪽; Lakoff & Johnson 2003). 은유는 사람들이 사물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설명'에 사용될 때), 개념이나 문제를 생산적으로 복잡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탐구'에 사용될 때). 하지만 은유는 모호하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다섯 가지 구체적인 은유를 실제로 풀어봄으로써 평가 연구와 실무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인사이트를 도출합니다. 
In this paper, we make attempts to offer a compelling indication that the use of metaphors in medical education, particularly in reference to assessment, require careful attention with respect to their role, contributions, benefits and limitations. In short, we call for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use of metaphors. Just as Bono elucidates how metaphors are both generative and transformative in the way that they function (Bono, 1990), so do we argue that every metaphor has potentially illuminating and misleading effects. That is, metaphors can shape thought and behaviour, shift expectations, beliefs, cultures and discourses (Elmore & Luna-Lucero, 2017; Thibodeau et al., 2017). Hence the power of metaphor – metaphorical discourse trades on the capacity of metaphorical language to shift meaning (Bono, 1990, p. 73; Lakoff & Johnson 2003). Metaphors can help people make sense of things (when used to ‘explain’), and they can also be used in order to productively complexify a notion or issue (when used to ‘explore’). But they can also obscure. By unpacking five specific metaphors in action, we draw out insights that we hope will help advance assessment research and practice.

특정 은유가 평가에 어떻게 사용되는지 조사하여 평가 이론과 실무에 어떤 가치를 더하는지 살펴봅니다. 이 설명적 분석에서는 각 은유의 근거와 기능, 각 은유가 가져다주는 이득을 조사하고 각 은유가 의도하지 않은 결과나 손실을 가져올 수 있는지 여부를 탐구합니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우리는 평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유적 언어가 아니라 보건 전문직에서 사용되는 특정 평가 비유를 조사합니다. 여기서 은유란 평가 설계자 또는 사용자가 진행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휴리스틱 또는 사고 도구로 배포된 은유를 의미합니다. 은유의 유용성에 대한 유형을 제안함으로써 은유의 잠재적 장단점을 논의하는 것으로 마무리합니다. 
We proceed by interrogating how specific metaphors are used in assessment to consider what value they add to assessment theory and practice. In this descriptive analysis, we probe each metaphor’s rationale and function, the gains each metaphor makes, and explore whether each may carry unintended consequences or losses. Again, we are not examining tropological language in assessment in general, but rather, specific assessment metaphors in ac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 By this, we mean metaphors deployed as heuristics or thinking tools with implications for how assessment designers or users proceed. We conclude by discussing the potential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metaphors in action by proposing a typology of their utility.

이것은 사용 가능한 모든 은유에 대한 완전한 연구가 아니며, 다른 사람들이 더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도록 권장합니다. 저희의 접근 방식은 은유가 어떻게 사용되고 기능하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와 더 많은 성찰을 자극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저희는 이 작업을 '성찰'로 시작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작업이 발전하면서 주제에 접근하는 방식을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사실, 성찰은 방법론적 토대와 반대되는 개념이 아닙니다. 우리의 의도는 주로 문제를 제기하고 은유를 비평하는 것의 가치를 입증하는 것입니다. 이 다섯 가지를 선정한 이유는 주로 평가 담론에서 지배적이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접근 방식은 전반적으로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사례를 활용하여 은유 사용의 함의를 강조하는 것입니다. 이 다섯 가지 사례는 간략하게 해체하면 그 가치를 강화하는 동시에 다른 잠재적 문제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사례는 평가 맥락에서 은유를 적용할 때의 다양한 장점과 잠재적인 단점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여기서 '잠재적'이라고 표현한 이유는 은유가 잘못되었다는 발표된 증거가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문헌에 이러한 사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목격했다는 사실은 주의가 필요한 실제 문제를 말해줍니다. 출판된 증거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이 잘 설명되지 않은 문제에 의도적으로 초점을 맞추면 보건 전문직 교육의 중요한 측면을 조명할 수 있습니다(Paton 외., 2021). 
This is by no means an exhaustive study of all the metaphors available, and we encourage others to conduct more systematic studies. We see our approach as a way of stimulating empirical work and further reflections on how metaphors are used and function. We began working on this piece as a ‘reflection’. As our work developed over time, we saw it important to articulate how we approached the topic. Indeed, a reflection is not antithetical to a methodological underpinning. Our intention is primarily to raise the issue and demonstrate the value in critiquing metaphors. We have selected these five mainly due to their dominance in assessment discourse. Our approach is not to critique overall, but to leverage these examples to highlight implications of metaphor use. We found these five amenable to a brief deconstruction that reinforced some of their value but also raised other potential issues. As such, they serve to elucidate different advantages and potential disadvantages of applying metaphors in assessment contexts. We say ‘potential’, as there is scant published evidence of metaphors going wrong. Despite this absence in the literature, the fact that we have seen problems arise in practice speaks to a real issue requiring attention. Deliberately focusing on this under-described issue, despite the lack of published evidence, can still shed light on this important aspect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Paton et al., 2021).

구체적인 평가 은유를 실제로 살펴보기
Examining specific assessment metaphors in action

예 1 - 픽셀 은유
Example 1 – The pixel metaphor

단일 픽셀 이미지가 픽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해상도가 높아져 모나리자를 보여주는 한 가지 평가 은유가 현재 평가계에서 일반화되어 있습니다(van der Vleuten et al., 2017). 이는 특정 은유가 사고 도구로 활용되는 예시이며, 더 많은 데이터 포인트가 더 나은 역량 측정과 동일하거나 더 많은 평가 방법이 더 나은 그림을 제공하거나 더 많은 평가자 특유의 판단이 그림을 완성한다는 개념에 기반합니다... 이 은유는 널리 적용 가능하며 샘플링의 복잡성을 간단한 방식으로 제시하고 새로운 통찰력과 이해에 도달하는 데 유용했습니다(Pearce et al., 2021). 예를 들어, 픽셀 은유는 다중 및 표적 샘플링 평가에서 중요한 개념을 촉진하는 것과 함께 학습자의 역량을 '인식'했다고 생각하면 데이터 포화 상태에 도달하여 샘플링이 충분히 이루어졌다는 것을 암시할 수도 있습니다. 더 이상의 '픽셀'은 불필요하며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을 알려줄 뿐입니다. 
One assessment metaphor is now common in assessment circles – a single-pixel image becomes progressively more resolved with increasing pixels to show the Mona Lisa (van der Vleuten et al., 2017). This is an exemplar of a specific metaphor being deployed as a thinking tool, and it hinges on the notion that more datapoints equate to a better measure of competence, or more methods of assessment give a better picture, or more rater idiosyncratic judgments complete the picture… This metaphor has widespread applicability, suggests the complexities of sampling in a simple way, and has been useful in helping reach new insights and understanding (Pearce et al., 2021). For instance, along with promoting the important concept in assessment of multiple and targeted sampling, the pixel metaphor could also suggest that once we think we ‘recognise’ the competence of the learner, we have reached data saturation and have sampled enough. Further ‘pixels’ are redundant and just tell us what we already know.

하지만 비판적인 관점에서 볼 때, 프로그래밍 방식에는 픽셀 은유로 인해 가려질 수 있는 몇 가지 뉘앙스가 내재되어 있으며, 특히 은유가 다른 방향으로 취해지는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예를 들어, 모나리자처럼 보이는 것이 잘 실행된 모사본으로 판명되면 어떻게 될까요(즉, 학습자가 표면적으로는 유능해 보이지만 진정한 이해가 부족한 것처럼 보일 정도로 충분히 연습한 경우)? 아니면 초기의 다소 거친 원본 버전(학습자의 실력이 현재 학습 단계에 맞게 충분히 발전하고 있음)인가요? 특이한 평가자 데이터를 결합하는 것이 측정 구성을 만족시킨다는 개념에 이의를 제기하는 문헌도 있습니다(Gingerich 외., 2014; Sherbino 외., 2013; Tavares 외., 2016). 실제로 이 은유는 (프로그램적 평가 자체가 구성주의적 접근 방식과 일치함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이미지가 발견되거나 발견되기 때문에 포스트 실증주의적 사고에 근거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른 곳에서도 언급했듯이(Pearce & Tavares, 2021), 픽셀(데이터) 포화도에 도달하면 이미지가 고정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의사 결정에 편향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은유는 샘플링을 신뢰성 또는 삼각 측량으로 보는 입장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 전제와 같이 논쟁의 여지가 있는 중요한 철학적 문제를 잠재적으로 모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를 암묵적인 철학적 가정이 은유를 해석하는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는 예로 제시합니다(Tavares et al., 2020a, b). 픽셀 은유는 샘플링과 관련된 문제를 단순화하는 데 도움이 되고 직관적으로 매력적이지만, 이 은유를 지나치게 강조하거나 신중한 검토 없이 채택하면 프로그래밍 평가에 내재된 일부 복잡성을 잃을 수 있습니다. 
From a critical perspective though, there are several nuances inherent in a programmatic approach that may become obscured as a result of the pixel metaphor, especially if the metaphor is taken in different directions. For example, what if what looks like the Mona Lisa turns out to be a well-executed copy (i.e., the learner has practiced sufficiently to appear superficially competent but lacks genuine understanding)? Or an early and somewhat rough version of the original (the learner’s skills are developing well enough for the current stage of learning)? There is also literature that challenges the notion that combining idiosyncratic rater data satisfies a measurement construct (Gingerich et al., 2014; Sherbino et al., 2013; Tavares et al., 2016). Indeed, the metaphor seems grounded in post-positivist thinking, as the “true” image is uncovered or discovered (despite programmatic assessment itself aligning with a constructivist approach). As we have noted elsewhere (Pearce & Tavares, 2021), this may result in a propensity for bias in decision-making, as images tend to become fixed once pixel (data) saturation is reached. The metaphor can thus potentially obscure important philosophical issues that are contested, such as the way underlying presuppositions influencing positions on sampling as reliability or sampling as triangulation. We offer this as an example of how implicit philosophical assumptions colour the way the metaphor is interpreted (Tavares et al., 2020a, b). Although the pixel metaphor has helped to simplify issues related to sampling and is intuitively appealing, some of the intricacies inherent in programmatic assessment may be lost if this metaphor is over-emphasized or adopted without careful examination.

예 2 - 운전 강습과 운전 시험 비교
Example 2 – Driving lesson vs. driving test

이 비유는 최근에야 보건 전문직 평가 문헌에서 등장했습니다(Brand et al., 2021). 이 아이디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직관적인 매력으로 인해 빠르게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비유는 평가와 피드백이 혼동될 때, 즉 감독자와 학습자가 총체적 평가와 피드백을 혼동할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보여주기 위한 것입니다. 저자들은 학습자가 평가를 시험으로 간주하면 피드백을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가정합니다. 시험 모드에서는 시험에 합격하여 운전면허를 취득할지 여부에만 관심을 갖습니다. 그러나 학습자가 평가 과제를 운전 강습과 같이 접근하면 학습 모드에 있으며, 구체적인 피드백을 수용하고 종종 찾게 됩니다. 거의 모든 성인이 운전 강습과 운전 시험의 차이에 공감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비유는 매우 효과적입니다. 이 비유는 평가와 평가 과제에 대한 접근 방식 및 경험에 대한 대화의 방향을 전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교수자 개발에 매우 유용할 수 있습니다.
This metaphor has only recently emerged in the health professions assessment literature (Brand et al., 2021). The idea is easy for most to appreciate, and one which we believe will quickly take hold due to its intuitive appeal. The metaphor intends to show what happens when assessment and feedback are confused; when supervisors and learners mix up summative assessment and feedback. The authors posit that when learners view an assessment as a test, it renders them unreceptive to feedback. In exam mode, all they care about is whether they pass the test and get their driver’s license. But if learners approach an assessment task like a driving lesson, they are in learning mode, and they are receptive to and often looking for specific feedback. This metaphor is powerful, because practically every adult can relate to the difference in experiencing a driving lesson versus a driving test. It may help re-orient conversations around assessment, and approaches to and experiences of an assessment task, and is thus potentially highly useful in faculty development.

우리는 저자들이 이 은유의 가치를 신중하게 고려한 것을 지지하며, 그러한 주의 없이 이 은유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저자들은 "은유의 유용성"에 대해 세 단락을 할애하여 논의하며 은유의 유용성은 은유의 인식에 있다고 말합니다. 또한 "의사를 혼란스럽고 짜증나게 할 수 있는 복잡한 교육 전문 용어에 의존하지 않고도" 시험과 학습 모드의 차이를 명확히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을 주요 장점으로 꼽으며, 이러한 실용적인 이점은 분명 높이 평가합니다. 그러나 저자가 이 은유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잠재적 위험은 저자가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예를 들어, 둘 중 하나만 제시하는 방식은 모든 평가가 형성적 또는 총괄적 평가라는 평가에 만연한 이분법/극단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Govaerts et al., 2019). 또한 운전면허 시험이 중요한 전부라고 받아들일 경우 시험의 지속적인 헤게모니를 영속화할 수 있습니다(Pearce & Prideaux, 2019). 여기에는 은유에 가려질 수 있는 심오한 철학적 문제에서 비롯된 다양한 견해가 있습니다. 또한 평가와 피드백이 동시에 상호 강화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사고와 인식을 제한하거나 차단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 중 한 사람은 사건 발생 후 수십 년이 지난 후 운전면허 시험에 합격한 후 평가자가 제공한 유용한 구체적인 피드백을 기억하고 있으며, 이는 평가와 피드백이 어떤 상황에서는 공존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저자들은 이러한 뉘앙스뿐만 아니라 이 비유가 한 가지 목적에는 잘 부합하지만 의도하지 않은 방식으로 평가에 대한 관념을 영속화할 수 있다는 점도 잘 알고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 글의 의도는 형성적 평가와 총괄적 평가를 혼용하는 것의 장점에 대해 토론하는 것이 아니라, 이 비유를 실제로 사용할 때 발생하는 함의를 강조하는 것입니다. 
We endorse the authors’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value of the metaphor, rather than just employing it without such care. They devote three paragraphs discussing “the usefulness of the metaphor” and note its utility lies in its recognition. Further, they see its main advantage as elucidating the difference between exam and learning mode “without having to resort to complex educational jargon that may confuse and irritate physicians” – a pragmatic benefit that we certainly appreciate. However, there are other potential risks that could emerge from the use of this metaphor that are not explored by the authors. For instance, the either/or presentation may reinforce prevailing dichotomies/polarities in assessment (Govaerts et al., 2019), such as all assessment being either formative or summative. It also may perpetuate the persistent hegemony of examinations (Pearce & Prideaux, 2019) if we accept that the driving test is all that matters. There are differing views here stemming from deep philosophical issues which may be obscured by the metaphor. It may also limit or shutdown more nuanced thinking and appreciation of the possibility of assessment and feedback occurring simultaneously and in a mutually reinforcing way. One of us specifically remembers useful specific feedback given by the assessor after his driving test (which he passed… just) many decades after the incident, illustrating that assessment and feedback can co-exist in some circumstances. We assume the authors appreciate this nuance, but also how the metaphor – while serving one purpose well – may perpetuate notions about assessment in unintended ways. Our intention here is not to debate the merits of blurring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 but to highlight the implications that arise from using this metaphor in action.

예 3 - 배심원단의 증거 심의
Example 3 – Jury deliberations of evidence

역량 위원회는 평가 정보를 검토하고 학생의 진도에 대한 중대한 결정을 내리는 임무를 맡고 있습니다. 그룹이 정보에 입각하여 방어 가능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신뢰할 수 있는 증거의 필요성과 '편견'(그룹 환경에서 증폭되거나 약화될 수 있음)의 위협에 관한 많은 문헌이 있습니다. 트위드와 윌킨슨은 배심원이 중요한 집단 결정을 내리는 것에 대해 논의하고, 배심원 및/또는 배심원의 의사 결정, 편견, 오류와 관련된 법과 심리학의 연구를 활용합니다(트위드 & 윌킨슨, 2019). 또한 배심원의 관용과 의학 교육에서 잘 알려진 'failure to fail'의 비교와 같은 흥미로운 유사점을 제시합니다. 배심원단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증거를 검토하고 다양한 유형의 정보에 질적으로 가중치를 부여해야 합니다. 배심원단의 결과는 유죄/무죄로 이분법적으로 나뉘며, 이는 의학 수련생의 진급 결정(합격/불합격, 펠로우십 수여 여부)과 유사합니다. 배심원 은유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해하는 일반적인 용어를 채택하고 역량 위원회의 일부 개념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통합합니다. 이는 역량 위원회 구성원이 프로세스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역할을 인식하고 잠재적으로 일부 방어성 문제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흥미로운 휴리스틱입니다. 
Competence committees are tasked with reviewing assessment information and making high-stakes decisions about student progress. There is much literature on the need for credible evidence to allow groups to make informed and defensible decisions, and the threat of ‘biases’ (that can be either amplified or attenuated in a group setting). Tweed and Wilkinson discuss the idea of a jury making a high-stakes group decision, and draw on research from law and psychology relating to decision-making, biases, and errors by jurors and/or juries (Tweed & Wilkinson, 2019). They also present interesting parallels, such as the comparison between jury leniency and the well-known ‘failure to fail’ in medical education. Juries must typically review a range of different forms of evidence and qualitatively give weight to different types of information. The outcome is dichotomous (guilty/not guilty) and analogous to high-stakes progression decisions for medical trainees (pass/fail, award fellowship or not). The jury metaphor adopts a common vernacular that most people understand, and incorporates a fresh perspective on some concepts for competence committees. It is an interesting heuristic that may help members of the competence committee appreciate the role that they are playing in the process, and potentially alleviate some defensibility concerns.

이 은유의 기능과 관련 이점은 사람들이 증거에 기반한 심의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분명합니다. 저자들은 이 아이디어에 대한 합의 부족, 역량과 관련하여 입증 책임이 어디에 있어야 하는지(예: 역량이 입증될 때까지 학생의 무능력을 추정하는 것으로 합의) 등 여러 가지 걸림돌이 있을 수 있다고 예상합니다. 그러나 위원회 위원들이 이 아이디어를 너무 멀리 받아들이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배심원단은 수사나 추측에 휘둘려 중요한 증거를 실수로 놓치거나, 선입견을 무시하거나, 학생을 강력하게 옹호하는 사람에게 지나치게 휘둘릴 수 있습니다. 또한 배심원 평결에는 역량 개발에는 적용되지 않는 최종성이 있습니다. 유죄 평결은 번복되지 않는 한 영원히 지속되는 낙인이며, '불합격' 결정은 개선 피드백과 지원이 수반되는 일시적인 시점의 판단입니다(또는 그래야 합니다). 이는 은유의 장점으로 보일 수 있지만, 오해의 소지가 있고 비생산적일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될 수 있습니다. 또한 위원회가 동료가 아닌 전문가로만 구성되므로, 피고는 배심원 선정에 대한 우려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배심원단은 암묵적인 편견과 검증되지 않은 철학적 관점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상충될 수 있어 편향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이 비유는 이러한 심층적인 문제를 명시적으로 고려하는 한 교수진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The function of this metaphor and its associated gains is clear in helping people understand a process of deliberation based on evidence. The authors anticipate a number of possible stumbling blocks to the idea, such as dealing with lack of consensus, and where the burden of proof should lie with respect to competence (e.g., settling on assuming student incompetence until competence is proven). But we wonder whether there are troubling implications if committee members take this idea too far. Juries can be won over by rhetoric or conjecture – they may inadvertently miss important evidence, ignore precent, or be overly swayed by a strong advocate for the student. There is also a finality to jury verdicts that doesn’t seem applicable to competency development. A guilty verdict lasts forever, a stigma someone carries with them for life, unless it is overturned; a ‘fail’ decision is (or should be) a temporary point-in-time judgement that would be accompanied by remedial feedback and support. This may be seen as an advantage of the metaphor, but it could be argued that it has the potential to become misleading and counterproductive. There may also be concerns around juror selection by the defendant, as the committee is made up only of experts rather than peers. The jury may have implicit biases and unexamined philosophical perspectives that could be in conflict, leading to tendentious outcomes. Overall, this metaphor seems like it could be helpful for faculty development, as long as these deeper issues are explicitly attended to.

예 4 - 신호 처리
Example 4 – Signal processing

다음 예는 좀 더 심리 측정적인 관점이기는 하지만 평가의 타당도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최근 교육 측정 저널에 실린 논문에서 뉴턴은 20세기 후반 메시크가 타당도에 대해 연구한 두 가지 타당도 개념, 즉 구성-무관 분산구성 과소대표를 활용합니다(Newton, 2020). 이들은 독자가 특정 영역에서 학습의 실제 숙련도를 생각하도록 독려하는 신호 처리 은유를 사용하며, 평가 과정에는 해당 숙련도에 관한 정보를 이끌어내고, 전달하고, 수신하는 과정이 포함된다는 점을 인식하도록 합니다. 시험 구성 및 수행 기반 평가에 종사하는 사람은 구성과 무관한 분산과 구성 과소 대표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타당도 위협을 이해합니다. 신호 처리 은유는 이러한 개념을 신호 오염신호 결핍으로 생각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두 개념 모두 잠재적으로 더 친숙한 개념입니다. 이 논문은 복잡한 타당도 문제를 처음 설명할 때보다 더 명확하고 포괄적으로 풀어내고, 타당도에 대한 연구와 실무를 발전시킬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The next example also relates to validity in assessment, albeit from a more psychometric perspective. In a recent paper in an educational measurement journal, Newton draws on two validity concepts from Messick’s late 20th century work on validity – construct-irrelevant variance and construct underrepresentation (Newton, 2020). They use a signal processing metaphor encouraging readers to think of the actual level of proficiency of learning in a particular domain, and recognise that the process of assessment involves elicit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concerning that level of proficiency. Those who work in test-construction and performance-based assessments will understand the validity threats that arise with construct-irrelevant variance and construct underrepresentation. The signal processing metaphor emphasizes that these notions can be thought of as signal contamination and signal deficiency, both potentially more familiar concepts. The paper aims to unpack the complex validity issues more clearly and comprehensively than their initial articulation, and provides a framework to advance research and practice on validity.

뉴턴의 글은 은유가 명확성, 포괄성, 새롭고 흥미로운 연구 및 분석 방법을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사고 도구라는 점을 주의 깊게 설명합니다. 하지만 이 은유에 수반되는 잠재적 위험은 무엇일까요? 뉴턴은 포스트 실증주의적 사고에 기반한 측정 패러다임 내에서 평가 문제에 분명히 대응하고 있습니다. 이 은유는 역량과 평가를 특정 맥락에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내재적이고 객관적인 것으로 취급합니다. '오염'이라는 개념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평가자가 노력해야 하는 '순수한' 버전을 가정합니다. 신호 오염과 결핍은 분명 중요한 의사 선발 시험에서 고려할 가치가 있는 문제이지만, 평가의 목적이 학생의 학습을 개선하는 것이거나 다른 철학적 관점에서 볼 때는 관련성이 떨어집니다. 우리는 이 비유를 평가하려는 것이 아니라, 이 비유가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것이 평가 관행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 비유는 다른 많은 비유와 마찬가지로 특정 평가 상황에서만 유용할 수 있으며, 모든 평가에 이 비유를 광범위하게 적용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Newton’s article carefully outlines how the metaphor is a thinking tool that helps us in terms of clarity, comprehensiveness, and in generating new and interesting avenues of research and analysis. But what are the potential risks that come with this metaphor? Newton is clearly responding to assessment issues from within a measurement paradigm, and one that is built on post-positivist thinking. The metaphor treats competence and assessment as intrinsic and objective, not constructed within a specific context. The notion of ‘contamination’ assumes a ‘pure’ version that assessors must strive for, rather than being situational. Signal contamination and deficiency is certainly an issue worth considering in high-stakes medical selection examinations, but it is less relevant when the purpose of assessment is to improve student learning or when viewed from another philosophical position. We are not intending to evaluate this metaphor, only to draw out how it may be interpreted and what implications this may have for assessment practice. This metaphor is likely to be useful, like many, but only in certain assessment contexts – and the application of it more widely to all assessment would be problematic.

예 5 - 도구 상자로서의 평가
Example 5 – Assessment as a toolbox

마지막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은유는 평가에서 진정으로 유비쿼터스적인 것, 즉 평가를 도구 상자의 보유 또는 사용으로 생각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평가 방법을 '도구'라는 개념은 심리 측정적 사고와 더 일반적으로 연관된 '도구'라는 용어와 함께 거의 자명하고 문자 그대로 보일 정도로 널리 퍼진 은유입니다. 두 은유 모두 평가 전반을 '도구 상자'라고 생각하면 쉽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은유는 특히 전문적 또는 특수한 역량을 평가할 때 흔히 사용됩니다(Ghaderi et al., 2015; Ogunyemi & Dupras, 2017; Taylor et al., 2002). 도구 상자 은유의 매력은 몇 가지 유용한 아이디어를 촉진하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렵지 않습니다. 우선, 과거에는 시험관이 선호하고 익숙한 몇 가지 방법에 지나치게 의존했던 것과 달리, 교육자/시험관이 학습자의 역량을 평가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식과 방법이 있다는 아이디어를 깔끔하게 전달해 줍니다. 도구/도구상자 은유는 하나의 평가 방법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며, 올바른 목적에 맞는 도구(방법)를 선택해야 한다는 타당도 개념과도 일치합니다. 또한 교육 전문가가 평가 방법을 최대한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하게 만들기 위해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는 평가 실무의 중요한 '비하인드 스토리' 작업에 주목할 수 있습니다(평가의 '보정'이라는 관련 은유에서 알 수 있듯이). 

The final metaphor we wish to examine is truly ubiquitous in assessment – that is, the idea that assessment should be thought of as a having or using toolbox. The notion of an assessment method as a ‘tool’ is so prevalent a metaphor that it can almost seem self-evident and literal, along with the term ‘instrument’ more commonly associated with psychometric thinking. With either metaphor, it is a simple extension to think of assessment overall as a ‘toolbox’. Such usage is particularly common in the assessment of professional or specialized competence (Ghaderi et al., 2015; Ogunyemi & Dupras, 2017; Taylor et al., 2002). The appeal of the toolbox metaphor is not hard to understand, as it does promote several useful ideas. For one, it neatly conveys the idea that there are many different formats and methods available to educators/examiners seeking to assess competence in their learners, whereas in the past examiners may have been unduly reliant on a few preferred and familiar methods. The tool/toolbox metaphor encourages more variation in assessment practice, that no one assessment method is sufficient, and aligns with the concept of validity – we need to select the right tool (method) for the right purpose. Further, it can also draw attention to the important ‘behind the scenes’ work of assessment practice, where educational specialists have given time and thought to helping make the method as dependable and accurate as possible (as suggested by the related metaphor of ‘calibration’ in assessment).

그러나 도구 상자의 은유는 각 평가 상황에 대해 하나의 '올바른' 평가 방법 또는 형식이 있다는 생각을 확산시킬 위험이 있습니다. 물론 기본적인 수준에서 평가의 목적과 형식 사이에는 밀러의 가르침처럼 중요한 일치가 있습니다. 지식 평가는 일반적으로 서면 인지 과제를 필요로 하는 반면, 임상 술기 평가는 수행 기반 방법으로 가장 잘 포착할 수 있습니다(Miller, 1990). 그러나 Miller의 피라미드는 다양한 방법을 반드시 도구로 취급하는 것이 아니라 더 넓은 범주의 평가를 의미합니다. 도구 상자 비유는 훨씬 더 나아가 평가 설계는 근본적으로 개별적인 방법/도구의 집합이며, 훌륭한 평가자가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은 올바른 작업에 적합한 도구를 선택하는 것뿐이라는 것을 암시합니다(Kogan 외., 2009 참조). 이 관점에 따르면, 모든 평가 방법은 다른 좋은 도구와 마찬가지로 기성품으로 제공되며 사전 보정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평가의 개념화는 평가의 타당성을 도구의 설계, 적용, 추론 및 사용과 관련된 함의가 아닌 도구 자체에 내재된 것으로 간주하여 품질 평가 실무에 필요한 의도적인 사고와 성찰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Cook et al., 2015). 그 결과, 평가가 의심스러운 결과에 직면하면 도구의 선택과 실행이 아니라 '도구 상자'가 비판과 개혁의 초점이 되고, 더 나은 도구만 있으면 된다는 유혹에 빠지게 됩니다. 실제로 보건 전문직 평가의 역사는 특정 평가 상황에 맞는 '성배' 또는 최고의 도구(또는 도구의 조합)를 찾는 과정으로 특징지을 수 있습니다(van der Vleuten & Schuwirth, 2005). 다양한 도구의 확산은 평가를 최적화하는 방법으로서 van der Vleuten의 효용 방정식에 대한 동기가 된 것으로 보이며(van der Vleuten, 1996), 개별 도구보다는 평가 프로그램 전체에 대해 생각하는 프로그램 평가 개발의 선구자 역할을 했습니다(Pearce & Tavares, 2021). 따라서 도구 상자로서의 평가 개념은 교육자/시험관이 특정 상황에 대한 방법의 적절성, 가치 및 잠재적 타당성 위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맥락 및 설계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일상적으로 방법을 채택하도록 장려할 위험이 있습니다. 
However, the toolbox metaphor risks propagating the idea that there is one ‘right’ assessment method or format for each assessment situation. At a basic level, of course, there are important correspondences between an assessment’s purpose and format, as Miller has taught us: assessment of knowledge generally calls for written cognitive tasks, while assessment of clinical skills are best captured by performance-based methods (Miller, 1990). But Miller’s pyramid does not necessarily treat different methods as tools; rather, it refers to broader categories of assessments. The toolbox metaphor goes much further, suggesting that assessment design is fundamentally a collection of individual methods/tools, and that all a good examiner needs to be able to do is pick the right one for the right job (see Kogan et al., 2009). According to this view, each assessment method, like any good tool, comes ready-made and pre-calibrated. This conceptualisation of assessment can discourage the purposeful thinking and reflection which quality assessment practice requires, with the validity of the assessment assumed to inhere in the tool itself, rather than in the design, application, inferences and implications associated with its use (Cook et al., 2015). The resulting temptation is that, in the face of questionable results from our assessments, the ‘toolbox’ becomes the focus of critique and reform instead of the selection and implementation: all we need is a better tool. Indeed, the history of assessment in the health professions may be characterised as a search for the ‘holy grail’ or best tool (or combination of tools) for particular assessment situations (van der Vleuten & Schuwirth, 2005). The proliferation of different instruments seemed to be motivation for van der Vleuten’s utility equation, as a way of optimizing assessment (van der Vleuten, 1996) and a precursor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matic assessment – thinking less about individual tools and more about the program of assessment as a whole (Pearce & Tavares, 2021). The notion of assessment as a toolbox thus risks encouraging educators/examiners to adopt methods routinely, rather than think through the contextual and design factors that might affect the method’s appropriateness, value and potential validity threats for particular situations.

토론: 평가에서 은유의 사용과 단점
Discussion: On the uses and disadvantages of metaphors in assessment

제목에서 은유의 '사용과 남용'이라는 다소 자극적인 표현에서 벗어나, 니체의 동일한 에세이(Nietzsche, 1997)의 다른 번역본(홀링데일 저)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아 평가 맥락에서 은유의 '사용과 단점'을 보다 냉정하게 검토해 보려고 합니다. 제시된 다섯 가지 사례를 보면 은유가 평가에 가져다주는 가치가 무엇이든 그에 상응하는 비생산적인 연관성, 함의 또는 오해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은유를 사용할 때는 잠재적 장점과 그에 따른 잠재적 단점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Departing from the more provocative language of the ‘use and abuse’ of metaphor in our title, we take a different translation (by Hollingdale) of Nietzsche’s same essay (Nietzsche, 1997) as the starting point for our discussion, and examine, more dispassionately, the ‘uses and disadvantages’ of metaphor in assessment contexts. From the five examples given, it seems that whatever value a metaphor brings to assessment, there are potentially corresponding counterproductive associations, implications, or misinterpretations that may arise. We thus need to pay careful attention to potential advantages and their corollary potential disadvantages when using metaphors.

널리 받아들여지는 은유의 타당성에 대한 잠재적 자기충족성은 평가 프로그램의 방어 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희는 교육 활동에서 픽셀 은유(및 다른 은유)를 여러 번 사용했으며, 대부분 긍정적인 반응과 새로운 이해에 대한 뚜렷한 감각을 느낀 적이 있음을 인정합니다. 그러나 다른 경우에는 서로 다른 암묵적 가정에서 비롯된 잠재적 혼란을 발견하기도 했으며, 모든 은유가 그렇듯이 이 은유에도 한계와 오해의 소지가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신 용어god term'(비슷하게 직관적이지만 역시 한계가 있는 또 다른 은유)에 대한 링가드의 경고는 여기서 적절하며, 그녀는 은유가 "반복적인 사용과 친숙함을 통해" "자연스럽고 보편적이며 필연적인 현실의 질서를 암시하게 될 수 있다"(Lingard, 2009, 627쪽)고 지적합니다. 예를 들어, 픽셀 은유를 채택하는 것이 반드시 타당한 평가를 의미한다고 잘못 생각할 수 있습니다(예: 샘플링 대상과 이유에 대한 세심한 주의 없이 샘플링하는 것)(Tavares et al., 2020a, b). 
The potential self-fulfilling nature of the validity of widely accepted metaphors could have implications for the defensibility of an assessment program. For instance, we acknowledge that we have found ourselves drawing on the pixel metaphor (and others) many times in our educational activities, with mostly positive responses and even a palpable sense of new understanding. Yet on other occasions we have also noticed potential confusion, stemming from differing implicit assumptions, helping us realise that this metaphor, as with all metaphors, also has limitations and potential misleadings. Lingard’s warning about ‘god terms’(another metaphor, similarly intuitive but also limited) is relevant here, about which she notes that “through repeated use and familiarity” a metaphor may “become suggestive of a natural, universal and inevitable order of reality” (Lingard, 2009, p. 627). For example, one may incorrectly assume that adopting the pixel metaphor necessarily implies valid assessment (e.g., sampling without careful attention to what is being sampled and why) (Tavares et al., 2020a, b).

라코프와 존슨은 은유가 "개념을 더 정의하고 적용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체계적인 장치"가 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합니다(Lakoff & Johnson, 2003, 125쪽). 개념을 추론하는 데 사용되는 은유는 일관성이 없을 수 있으며, 이는 불협화음과 긴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불협화음은 생산적이고, 생성적이며, 변혁적일 수 있습니다(Bono, 1990). 즉, 평가 은유가 중요하다는 것이 요점입니다. 실제로 "은유적으로 생각하는 방식이 중요합니다."(Lakoff & Johnson, 2003, 243쪽). 이 다섯 가지 (그리고 다른) 평가 은유는 우리가 평가에 대해 생각하고 실천하는 방식을 변화시킵니다. Lakoff와 Johnson의 말을 빌리자면, "상상력이 풍부하고 창의적인 은유는 ... 우리의 경험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게 해 줍니다. 따라서 은유는 우리의 과거, 일상 활동, 우리가 알고 믿는 것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Lakoff & Johnson, 2003, 139쪽). 

Lakoff and Johnson outline how metaphors may be “systematic devices for further defining a concept and for changing its range of applicability” (Lakoff & Johnson, 2003, p. 125). The metaphors used to reason about concepts may be inconsistent (Lakoff & Johnson, 2003, p. 273), which can lead to dissonance and tension. Such dissonance can be productive, generative, and transformative (Bono, 1990) – the point being that assessment metaphors matter. Indeed, “How we think metaphorically matters” (Lakoff & Johnson, 2003, p. 243). These five (and other) assessment metaphors change the way we think about and practice assessment. In the words of Lakoff and Johnson, “metaphors that are imaginative and creative … are capable of giving us a new understanding of our experience. Thus, they can give new meaning to our pasts, to our daily activity, and to what we know and believe” (Lakoff & Johnson, 2003, p. 139).

우리는 은유 자체은유가 선택되어 평가에 적용되는 방식 사이에 또 다른 중요한 구분을 하고자 합니다. 이 글 전체에서 비판해 온 것은 후자이며, 실제로 은유의 인스턴스화는 더 많은 비판을 필요로 합니다. 니체가 역사에서 그랬던 것처럼, 은유가 평가에 방해가 되지 않고 평가에 도움이 되려면 은유를 주의 깊게 파악하고 정교화하거나 설명해야 한다고 판단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은유를 배치하기 전에 구체적인 평가 요구가 무엇인지 맥락에서 파악하는 것이 출발점이 되어야 합니다. 

We want to make another important distinction, this time between the metaphors themselves, and the way they are selected and applied to assessment. It is the latter that we have been critiquing throughout this piece, and the instantiation of metaphors in practice necessitate further critique. In the same way Nietzsche does for history, we determine that metaphors must be carefully grasped and elaborated or explained if they are to be useful in serving assessment needs, rather than hindering assessment. The starting point should thus be determining what the specific assessment needs are, in context, before any metaphor is deployed to address those needs.

아래 표는 평가 맥락에서 특정 은유를 적용하는 것의 유용성을 일반적인 용도/장점 및 식별 가능한 측면의 상응하는 위험/단점 측면에서 도출하기 위한 시도입니다. 은유를 사용하는 이유, 은유가 작동하는 방식, 고려해야 할 중요한 측면에 대한 유형입니다. 행위자가 은유의 특정 인스턴스화를 단점 또는 장점으로 보는지 여부는 행위자의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The box below is our attempt to draw out the utility of applying specific metaphors in assessment contexts, in terms of general uses/advantages and corresponding dangers/disadvantages of identifiable aspects. This is our typology of why metaphors may be deployed, how they work, and important aspects to consider. Whether an actor sees a particular instantiation of a metaphor as a disadvantage or advantage is likely contingent on their vantage point.

 

결론
Concluding remarks

은유는 평가 상황에서 매우 유용할 수 있습니다. 은유는 단순화, 복잡화, 의사소통, 번역, 성찰 유도, 설득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은유는 강력한 수사학적 효과를 발휘하여 의도한 결과, 행동 및 기타 실용적인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은유는 그 자체로 철저하고 비판적이며 정당한 증거나 논증을 구성하지 않습니다. 은유는 그러한 해명의 출발점이 될 수 있더라도 일반적으로 논증(강점과 약점 모두)을 우회하기 때문에 그럴 의도가 없습니다. 실제로 모든 사람이 은유를 사용하는 목적은 아닐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은유가 장점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잠재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은유가 어떻게 잘못 해석될 수 있는지, 은유가 무엇을 제공하고 무엇을 무시하는지, 그리고 예상되는 수정이나 미묘한 자격을 통해 문제가 있거나 의도하지 않은 결과 또는 행동을 완화하거나 보호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Metaphors can be extremely helpful in assessment contexts. They can play important roles in simplifying, complexifying, communicating, translating, encouraging reflection, and convincing. They may be powerfully rhetorical, leading to intended consequences, actions, and other pragmatic outcomes. However, in and of themselves, metaphors do not constitute thorough, critical and justified evidence or argumentation. They are not meant to, as they typically bypass argument (both their strength and weakness) even if they may be the starting point for such elucidation. Indeed, this may not be everyone’s purpose when using a metaphor! We should pay attention to potential ways that metaphors may be leveraged for their advantages, but also how they may be misinterpreted, what they offer as well as what they ignore, and perhaps mitigate or protect against problematic or unintended consequences or actions with anticipated corrections or nuanced qualifications.

블랙은 1955년 에세이를 이렇게 마무리합니다: "은유가 위험하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으며, 특히 철학에서는 더욱 그렇습니다. 그러나 은유 사용을 금지하는 것은 우리의 탐구 능력에 대한 고의적이고 해로운 제한이 될 것입니다."(Black, 1962). 또한 평가에서 은유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고 싶지도 않습니다. 결국 은유적 언어는 정상적이고 널리 퍼져 있으며 개념적 사고의 중심입니다(Lakoff & Johnson, 2003). 그러나 우리는 은유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불이익에 주의를 기울일 것을 촉구하며, 학자들이 은유가 이해를 밝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해를 모호하게 하기 시작하면 의문을 제기하고, 수정하고, 자격을 부여하고, 심지어는 은유를 사용하지 않을 것을 촉구합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은유 사용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요구할 때 의미하는 바입니다. 

  • 은유를 사용할 때 의도적으로 이 개념이 은유와 정확히 어떻게 같은가?
  • 은유는 어떤 용도로 사용되는가?
  • 은유는 문자 그대로의 설명을 넘어 주제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무엇을 더해주는가?
  • 원래 아이디어가 은유와 어떻게 다른가요?
  • 상반되는 은유를 포함하여 어떤 다른 은유도 관련성이 있을 수 있나요?
  • 어떤 다른 비유 또는 새로운 비유가 평가 요구 사항을 더 잘 충족시킬 수 있는가?

Black concludes his 1955 essay thus: “No doubt metaphors are dangerous – and perhaps especially so in philosophy. But a prohibition against their use would be a wilful and harmful restriction upon our powers of inquiry” (Black, 1962). Nor would we wish to discourage metaphors in assessment. After all, metaphorical language is normal, pervasive and central to conceptual thought (Lakoff & Johnson, 2003). However, we do call for attention to be given to the potential dangers/disadvantages that may arise with their use, and urge scholars to interrogate, revise, qualify, or even dispense with a metaphor once it starts to obscure understanding rather than illuminate it. This is what we mean when we call for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use of metaphors. It means being obligated to deliberately ask probing questions when metaphors are used: 

  • how exactly is this concept like the metaphor?
  • What purpose does the metaphor serve?
  • What does the metaphor add to our understanding of the topic beyond a more literal explanation?
  • How is the original idea not like the metaphor?
  • What other metaphors, including contrary ones, might also be relevant?
  • What different or new metaphors could better serve the assessment needs?

은유적 언어는 우리가 세상을 보고, 해석하고, 이해하는 방식을 형성하므로(Lakoff & Johnson, 2003), 평가 은유를 무비판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평가가 무엇인지 또는 평가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우리의 가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이 글이 의료 전문가 평가에서 은유의 적절한 사용과 해석을 장려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은유는 평가에서 아이디어와 관행을 전달하는 데 여전히 매우 중요하며, 저희는 연구와 실무에서 은유를 계속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백서를 작업하는 동안 저희 스스로 은유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더 잘 인식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은유의 가치와 은유 사용으로 인해 실제로 어떤 단점과 한계가 발생할 수 있는지 더 자주 멈춰서 생각해 보아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평가에서 은유를 비판하는 것의 중요성이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되었기를 바라며, 이러한 비판적 시각이 은유의 지속적인 유용성을 보장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As metaphorical language shapes the way we see,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world (Lakoff & Johnson, 2003), we need to be aware of how the uncritical use of assessment metaphors may influence our assumptions about what assessment is or can be. Ultimately, we hope that this piece goes some way to encouraging the appropriate use and interpretation of metaphors in health professions assessment. Metaphors remain extremely important for conveying ideas and practices in assessment – and we continue to use them in our research and practice. We have found that while we were working on this paper, we have become more aware of our own use of metaphors, and this has forced us to pause and reflect more often on their value and, importantly, what disadvantages and limitations in practice may be being introduced with the use of the metaphor. We hope we have conveyed the importance of critiquing metaphors in assessment to others, and we believe such a critical lens will ensure their continued utility.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3 Oct;28(4):1333-1345. doi: 10.1007/s10459-022-10203-w. Epub 2023 Feb 2.

On the use and abuse of metaphors in assessment

Affiliations

1Tertiary Education,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Camberwell, Australia. jacob.pearce@acer.org.

2Tertiary Education,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Camberwell, Australia.

3Department of Health and Society and Wilson Centre, Temerty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 Canada.

PMID: 36729196

DOI: 10.1007/s10459-022-10203-w

Abstract

This paper is motivated by a desire to advance assessment in the health professions through encouraging the judicious and productive use of metaphors. Through five specific examples (pixels, driving lesson/test, jury deliberations, signal processing, and assessment as a toolbox), we interrogate how metaphors are being used in assessment to consider what value they add to understanding and implementation of assessment practices. By unpacking these metaphors in action, we probe each metaphor's rationale and function, the gains each metaphor makes, and explore the unintended meanings they may carry. In summarizing common uses of metaphors, we elucidate how there may be both advantages and/or disadvantages. Metaphors can play important roles in simplifying, complexifying, communicating, translating, encouraging reflection, and convincing. They may be powerfully rhetorical, leading to intended consequences, actions, and other pragmatic outcomes. Although metaphors can be extremely helpful, they do not constitute thorough critique, justified evidence or argumentation. We argue that although metaphors have utility, they must be carefully considered if they are to serve assessment needs in intended ways. We should pay attention to how metaphors may be misinterpreted, what they ignore or unintentionally signal, and perhaps mitigate against this with anticipated corrections or nuanced qualifications. Failure to do so may lead to implementing practices that miss underlying and relevant complexities for assessment science and practice. Using metaphors requires careful attention with respect to their role, contributions, benefits and limitations. We highlight the value that comes from critiquing metaphors, and demonstrate the care required to ensure their continued utility.

Keywords: Assessment; Assessment Practice; Critique; Metaphor; Metaphors.

잠재교육과정이 교수의 교육에 미치는 영향 밝히기: 질적 연구(Med Educ, 2023)
Revealing the impact of the hidden curriculum on faculty teaching: A qualitative study
Ciara Ann Lee1 | Timothy James Wilkinson2 | Julie Anita Timmermans3 | Anthony Naushad Ali4 | Megan Grayce Anakin5

1 소개
1 INTRODUCTION

교수진은 가르치는 일이 힘들다고 느낀다고 보고합니다. 교직원은 소진,1-3 불만1 및 인정받지 못한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4-6 이 글에서는 '교직원'을 보건 전문직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병원, 지역사회 및 기타 환경에서 사람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으로 정의합니다. 교수진은 급여를 받거나 교육 기관의 직원으로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교수진이 가르치는 일이 힘들다고 느끼면 가르치고자 하는 동기가 떨어지고 보건 전문직 교육 프로그램에서 교수직을 떠날 수 있습니다.1 이러한 교수진 손실은 차세대 보건 전문가들이 교수 역할을 맡으려는 의지에 영향을 미치고 보건 전문직 교육을 빈곤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4 따라서 교육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중요한 추구 사항입니다. 
Faculty report that teaching can feel demanding. Faculty can feel burnout,1-3 dissatisfaction1 and unappreciated.4-6 In this article, we define ‘faculty’ as people who teach students in health professions programmes and who also provide health care to people in hospital, community and other settings. Faculty may or may not be paid or formally recognised as employe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When faculty feel that teaching is demanding, they may be less motivated to teach and leave their positions as teacher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programmes.1 This loss of faculty may impact willingness of the next gener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to take on teaching roles and impoverishes health professions education.4 A focus on teaching is therefore an important pursuit.

힘든 교수 경험은 개인이 절실하게 느끼지만, 교수직을 힘들게 느끼는 이유를 설명하는 한 가지 방법은 환경적 요인이 교수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려하는 것입니다.7,8 보건 전문직 교육 프로그램에서 교실 및 직장 학습 환경은 교수, 학생 및 지원 직원의 제도적 규범, 행동 및 태도, 전문직으로서 보건의료 및 교육에 뿌리내린 관행에 의해 형성됩니다. 숨겨진 커리큘럼이라는 개념은 교사가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미치는 이러한 영향을 설명하는 데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숨겨진 교육과정'이라는 용어는 학생들의 학습 경험과 보건의료 전문가로서의 정체성 형성에 암묵적 또는 명시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교육 프로그램에서 제정된 기대와 가정을 설명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9-11
  • 숨겨진 교육과정은 '우리가 의학교육이라고 부르는 삶의 공간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이해', 관습, 의식, 당연시되는 측면'으로 광범위하게 정의되어 왔습니다.9 (404쪽)
  • 교육 환경에서 행동에 대한 숨겨진 영향으로서 사회 구조의 영향은 처음에는 사회학에서 고려되었으며,10 '숨겨진 교육과정'이라는 용어는 1960년대에 처음 사용되었습니다.12
  • 숨겨진 교육과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 용어에는 '비공식적', '암묵적', '잠재적', '그림자'12,13 등이 있으며, 모두 교육 구조, 규범 및 관행이 교수 학습에 미치는 복잡하고 종종 암묵적인 영향을 강조하기 위한 것입니다.

Although demanding teaching experiences are felt acutely by individuals, one way to explain why teaching might feel demanding can be to consider how environmental factors may be influencing faculty as teachers.7, 8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programmes, classroom and workplace learning environments are shaped by institutional norms, behaviours and attitudes of faculty, students and support staff and the practices entrenched in health care and education as professions. The concept of a hidden curriculum might be a useful way to describe these influences on faculty to form and maintain their identity as teachers.

  • The term ‘hidden curriculum’ is often used to describe the expectations and assumptions enacted in educational programmes that tacitly or overtly impact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and the formation of their identity as health care professionals.9-11 
  • The hidden curriculum has been broadly defined as the ‘commonly held “understandings”, customs, rituals, and taken-for-granted aspects of what goes on in the life-space we call medical education’.9 (p404) 
  • The impact of social structures as a hidden influence on behaviours in an educational setting was considered initially in sociology,10 and the term ‘hidden curriculum’ was first used in the 1960s.12 
  • Terms that have been used to describe the hidden curriculum include ‘informal’, ‘implicit’, ‘latent’ and ‘shadow’1213; all meant to emphasise the complex and often tacit influence of educational structures, norms and practices on teaching and learning.

숨겨진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학습 기회에 참여하는 방식향후 진로에 대한 결정에 영향을 미칩니다.11, 14, 15 학생의 경우 숨겨진 교육과정은 의료 전문가로서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10, 11 마찬가지로 교수진을 위한 숨겨진 교육과정은 암묵적인 메시지를 전달하여 개인의 사회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Hafler, Thompson 및 동료들에 의해 제안되었습니다. 그러나 교수진을 위한 숨겨진 커리큘럼의 개념은 잘 연구되지 않았습니다.13, 16 교수진을 위한 숨겨진 커리큘럼이 어떻게 운영될 수 있는지에 대한 추가 지식은 교수진 개발자에게 유용할 것이며, 이를 통해 소진 및 높은 교수진 이직률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전략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지식은 교수진 개발 이니셔티브에 정보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므로 교수진은 교수 역할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받는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The hidden curriculum influences the ways students engage with learning opportunities and the decisions they make about their future careers.11, 14, 15 For students, the hidden curriculum can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ir identity as health care professionals.10, 11 Similarly, a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has been suggested by Hafler, Thompson and colleagues as communicating tacit messages, which influence an individual's socialisation into life as an academic. However, the notion of a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has not been well explored.13, 16 Further knowledge about how a hidden curriculum might operate for faculty would be useful for faculty developers, so they can design strategies to help mitigate negative outcomes such as burnout and high faculty turnover. This knowledge can also be used to inform faculty development initiatives, so faculty feel supported to thrive in their teaching roles.

교수진을 위해 숨겨진 교육과정이 어떻게 운영될 수 있는지 조사하는 한 가지 방법은 '숨겨진 교육과정'이라는 용어의 정의와 의학교육 문헌에서의 적용을 분석한 범위 검토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는 것입니다.14 이 검토에서는 주로 학생 경험을 조사했으며 동기-심리, 대인관계-사회, 제도-조직, 맥락-문화 등 네 가지 연결된 개념적 경계를 제안합니다. 이러한 경계는 그림 1에 정의되어 있습니다. 상호 연결된 개념적 경계는 개인이 교육 프로그램 및 기관 내부와 외부에서 커리큘럼, 교수법 및 학습 환경과 관련된 요소와 가질 수 있는 상호작용에 대한 다면적이고 역동적인 관점을 강조합니다.12, 14 명확성을 위해 이 글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다음 연구에서 개념적 프레임워크의 설명 및 사용과 혼동을 피하기 위해 이러한 개념적 경계를 숨겨진 교육과정의 '영역'으로 지칭할 것입니다. 우리는 하플러13가 설명한 교수진에 영향을 미치는 숨겨진 교육과정의 개념을 로렌스14의 범위 검토 결과에서 확인된 네 가지 영역과 통합하여 개념적 틀을 구성했으며, 주로 숨겨진 교육과정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습니다. 
One way to investigate how a hidden curriculum could operate for faculty might be to build on findings from a scoping review that analysed definitions of the term ‘hidden curriculum’ and their application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14 This review examined student experiences primarily and proposes four linked conceptual boundaries: motivational–psychological, interpersonal–social, institutional–organisational and contextual–cultural. These boundaries are defined in Figure 1. The interlinked conceptual boundaries emphasise a multifaceted and dynamic view of interactions individuals may have with factors related to the curriculum, instructional methods and learning environments from within educational programmes and institutions and beyond.12, 14 For clarity, we will refer to these conceptual boundaries as ‘domains’ of the hidden curriculum for the remainder of this article to avoid confusion with the description and use of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our study that follows. We constructed a conceptual framework by integrating the concept of the hidden curriculum impacting on faculty as described by Hafler13 with the four domains identified in the results of the scoping review by Lawrence14 that primarily explore the impact of the hidden curriculum on learners.

 

독자를 돕고 교수진을 위한 숨겨진 커리큘럼이 어떤 모습일지 설명하기 위해 가상의 비네팅을 구성하고 분석했습니다(그림 1 참조). 명확성을 위해 숨겨진 커리큘럼의 각 영역에 대해 개별적인 예를 사용했지만 서로 연결되어 있고 중복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To assist the reader and illustrate what a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might look like, we have constructed and analysed a fictional vignette (see Figure 1). For the purpose of clarity, we have used discrete examples for each domain of the hidden curriculum but recognise that they are interlinked and overlap.

교수진을 위한 숨겨진 커리큘럼에 대한 이해를 높이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10여 년 전 하플러와 동료들의 요청에도 불구하고,13 교수진을 위한 숨겨진 커리큘럼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었습니다. 200개가 넘는 논문이 Hafler와 동료들의 연구를 인용하고 있지만, 교수진을 위한 숨겨진 커리큘럼의 운영 측면과 관련된 연구 결과를 제시한 논문은 단 세 편에 불과합니다.

  • 첫 번째는 전문성을 커리큘럼에 통합하는 데 실패한 이유를 조사한 연구였습니다.17 선임 교수진이 의도치 않게 전문성 교육의 중요성을 약화시킨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 두 번째 연구에서는 임상의가 진료 커뮤니티 내에서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어떻게 발전시키는지 조사했습니다.18 숨겨진 커리큘럼은 교사의 정체성에 대한 신념과 실제 교육 관행 사이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안되었으며, 이는 기관 문화에 의해 지속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 세 번째 연구에서는 교사의 정체성, 특히 교수 역할이 교사의 정체성에 어떻게 통합되는지를 탐구했습니다.19 저자들은 교사의 정체성이 사회적으로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인식하면서 교사를 위한 숨겨진 커리큘럼의 증거를 제시했습니다.

More studies are needed to further our understanding of the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Despite a call by Hafler and colleagues over a decade ago,13 research into the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has been limited. Although more than 200 papers cite Hafler and colleagues' work, we identified only three papers that present findings related to aspects of a hidden curriculum operating for faculty.

  • The first was a study investigating why the integration of professionalism into a curriculum was unsuccessful.17 Senior faculty were found to have unintentionally undermined the importance of teaching about professionalism.
  • The second study explored how clinicians develop their identities as teachers within communities of practice.18 The hidden curriculum was suggested to be an influencing factor in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beliefs about their identities and their actual teaching practices, thought to be perpetuated by the institutional culture.
  • The third study also explored faculty identity, specifically how teaching roles are integrated into teacher identity.19 In recognising how teacher identities are socially constructed, the authors suggested evidence of a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이 세 가지 연구에서 숨겨진 커리큘럼은 연구의 초점이 아니라 교수 경험에 대한 결과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이 세 가지 연구는 의학교육 맥락에서만 교수진을 위한 숨겨진 커리큘럼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숨겨진 커리큘럼이 더 일반적으로 교수진의 보건 전문직 프로그램에서 어떻게 운영될 수 있는지에 대한 지식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보건 전문직 교육에서 교수진을 위해 숨겨진 커리큘럼이 어떻게 운영될 수 있는지 설명하는 것이었습니다.  
For these three studies, the hidden curriculum was used to explain findings about teaching experiences rather than being the focus of the research. These three studies provide insights about the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in medical education contexts only. Consequently, there is a gap in our knowledge about how the hidden curriculum might operate with faculty health professions programmes more general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how a hidden curriculum might operate for facult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2 방법
2 METHODS

우리는 교육을 사회적으로 매개되는 활동으로 간주하는 해석주의적 관점에서 이 연구에 접근했습니다. 여기서 지식은 개인이 역사적으로 영향을 받은 서로 및 주변 세계와의 상호 작용 패턴을 사용하여 공동 구성합니다. 이러한 관점은 서론에서 제시한 히든 커리큘럼의 정의 및 모델과 일치합니다. 우리는 교사의 숨겨진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전의 현장이자 동시에 잠재적 혁신의 현장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까다로운demanding  교수 경험을 식별하는 것이 교사의 숨겨진 교육과정을 연구하는 생산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했습니다.20

  • 우리는 까다로운 교수 경험을 보건 전문직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거나 감독하는 동안 교사에게 고통, 불안 또는 기타 기억에 남을 수 있는 불리한 상황 또는 의도하지 않은 상황으로 정의했습니다. 

We approached this research from an interpretivist perspective, where education is viewed as a socially mediated activity. Here, knowledge is co-constructed by individuals using historically influenced patterns of interaction with each other and the world around them. This perspective is consistent with the definition and model of the hidden curriculum presented in the introduction. We considered identifying demanding teaching experiences to be a productive way of studying the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becaus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hidden curriculum for teachers can be viewed simultaneously as challenges and the sites of potential innovation.20 

  • We defined a demanding teaching experience as any unfavourable or unintended situation, while teaching or supervising students in health professions programmes that might have been distressing, disturbing or otherwise memorable to the teacher.

이 연구는 뉴질랜드 더니든과 크라이스트처치의 오타고 대학교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다양한 보건 전문직(영양학, 의학, 약학, 간호학, 치과, 물리치료학)과 학습 환경(예: 대학 강의실, 병원 병동, 지역사회 의료기관)의 교수진을 대상으로 의도적인 표본 추출을 통해 개인이나 특정 상황에 국한되지 않고 근본적이고 공통적인 과정을 파악하고자 했습니다. 교수진은 일대일 반구조화 인터뷰에 참여하도록 초대되었습니다. 초청된 교수진은 연구의 목적, 주제, 방법 및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참여하기 전에 서면 동의를 받았습니다. 참가자들은 힘들었다고 생각되는 강의 경험의 예와 이를 어떻게 관리했는지 설명하도록 요청받았습니다. 참가자들은 개인적, 사회적, 조직적 영향과 영향을 포함하여 각 힘든 경험에 기여했을 수 있다고 생각되는 요인에 대해 설명하도록 권장되었습니다. 인터뷰는 2000년 4월부터 9월까지 제1저자가 직접 또는 화상 회의를 통해 실시했으며 디지털 오디오 녹음으로 진행되었습니다. 
The study took place the University of Otago in Dunedin and Christchurch, New Zealand. Purposive sampling was used to include faculty from a variety of health professions (dietetics, medicine, pharmacy, nursing, dentistry and physiotherapy) and learning environments (i.e. university classrooms, hospital wards and community health care workplaces) to identify a process that was fundamental and common rather than specific to individuals or particular contexts. Faculty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one-to-one semi-structured interviews. Invited faculty were provided information about the purpose, topic, methods and outcomes of the study and gave written consent before participating.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scribe examples of teaching experiences that they felt were demanding and how they managed them.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describe factors they thought may have contributed to each demanding experience including possible personal, social and organisational influences and impacts. Interviews were conducted in-person or via video conferencing by the first author from April to September 2000 and digitally audiorecorded.

연구를 위해 구축된 개념적 프레임워크에 따라 연구팀은 모든 녹취록을 읽고 토론했습니다.

  • 제1저자는 교사가 의도한 실습과 성취할 수 있는 것 사이의 관계로 까다로운 경험을 대표적 인용문으로 뒷받침되는 간략한 서면 설명으로 요약했습니다.
  • 연구팀원 세 명(CL, TW, MA)이 녹취록을 다시 읽고 참가자가 각 경험을 힘들다고 느낀 이유와 관련된 정보를 코딩했습니다.
  • 모든 녹취록을 독립적으로 코딩한 후, 세 명의 연구원이 만나 제한된 수의 코드에 합의했습니다.
  • 코드는 각 코드 그룹 내의 관계가 식별되고 다른 그룹 내에서 식별된 관계와 구별될 때까지 그룹화 및 재그룹화되었습니다.
  • 이러한 관계는 보건 전문직 프로그램에서 교육할 때 참가자를 위해 숨겨진 커리큘럼이 운영되는 방식으로 해석되었습니다.
  • 분석의 견고성을 높이기 위해 JT와 AA에게 분석 결과를 제시했으며, 이들은 분석과 결과를 독립적으로 검토했습니다.
  • 연구팀은 결과 섹션에 제시된 연구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모임을 가졌습니다. 

Informed by the conceptual framework built for this study, the research team read and discussed all transcripts.

  • The first author summarised demanding experiences as relationships between a teacher's intended practice and what they could accomplish with brief written descriptions supported with representative quotations.
  • Three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CL, TW and MA) re-read the transcripts to code information related to why the participant felt each experience was demanding.
  • Once all transcripts were coded independently, three researchers met to agree upon a limited number of codes.
  • Codes were grouped and regrouped until relationships within each group of codes were identified and were distinct from the relationships identified within other groups.
  • The relationships were interpreted as the way the hidden curriculum was operating for participants when teaching in health professions programmes.
  • To enhance the robustness of the analysis, the findings were presented to JT and AA who reviewed the analysis and findings independently.
  • The research team met to discuss and come to consensus about the findings presented in the results section.

2.1 저자의 반성
2.1 Author reflexivity

이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우리는 각 저자가 연구 과정에 가져온 경험과 세계관을 염두에 두었습니다. 연구팀은 고등 교육 및 보건 전문직 교육 학습 환경에서 임상의, 교사 및/또는 교수진 개발자로서의 다양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배경 덕분에 참가자들이 경험하는 사건과 요구의 유형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었습니다. 모든 저자는 교수진을 위한 숨겨진 커리큘럼이라는 개념에 익숙했고, 이 연구 참여자에게는 어떻게 나타날지 궁금했습니다. 또한 숨겨진 커리큘럼이 종종 강력하지만 항상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라는 점을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데이터에서 요구가 긍정적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알고 있었습니다. 
Throughout this study, we were mindful of the experiences and worldview that each author brought to the research process. Collectively, the research team possessed a range of experiences as clinicians, teachers and/or faculty developers in higher education and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s. Our backgrounds sensitised us to the type of events and demands experienced by our participants. All authors were familiar with the concept of a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and we were curious as to how it might manifest for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 also recognised that a hidden curriculum, while often powerful, may not always be negative, so we were aware that demands could be expressed positively in our data.

3 결과
3 RESULTS

16명의 교수진과의 인터뷰를 실시하고 분석했습니다. 물리치료(5명), 의학(5명), 약학(3명), 치과(1명), 영양학(1명), 간호학(1명) 등 6개 직종에 종사하는 여성 9명, 남성 7명이 참여했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교수진에게 숨겨진 커리큘럼이 운영되고 있는 세 가지 방식을 확인했습니다.  
Interviews with 16 faculty members were conducted and analysed. Nine female and seven male participants spanned six professions: physiotherapy (five), medicine (five), pharmacy (three), dentistry (one), dietetics (one) and nursing (one). We identified three ways the hidden curriculum was operating for the faculty who participated in our study.

3.1 저평가된 교수 전문성
3.1 Undervalued teaching expertise

히든 커리큘럼의 운영은 교사들이 교육 전문성의 중요성을 저평가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참여자들이 교육 전문성에 부여하는 가치교육 기관이 교육 전문성에 부여하는 가치에 대한 인식 사이에 불일치가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러한 불일치는 참여자에게 할당된 교수 역할의 유형, 교수 관련 자율성 부족, 임상 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관의 이해 부족으로 설명되었습니다. 
The operation of a hidden curriculum can explain why teachers felt the importance of having teaching expertise was undervalued. We identified a mismatch between the value participants placed on teaching expertise and their perception of the value the institution placed on teaching expertise. This mismatch was illustrated by the types of teaching roles allocated to participants, a lack of teaching-related autonomy and a perceived lack of institutional understanding of a clinical teacher's role.

참가자들은 기관이 교육을 중시한다고 주장하지만, 현대 교육 학습 및 교육 접근법에 대한 사전 경험이나 준비 없이 교육 역할을 할당받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전문 임상 지식과 교육 전문 지식이 혼재되어 있어 참가자들은 교육 기술의 중요성이 저평가되었다고 인식했습니다. 예를 들어, 참가자들은 임상 지식만으로는 학생들이 교육 과정의 학습 성과를 달성하는 데 충분하지 않은 과정을 책임지는 위치에 배치되었습니다. 임상적 통찰력에도 불구하고 참가자는 세션을 원하는 수준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교육 전문 지식이 부족했습니다. 경험이 풍부한 한 임상의는 '[교육 세션을 진행하기 위한] 교육이 부족하다는 것을 뼛속 깊이 알고 있었다'(P8)고 말했습니다
Although participants perceived that the institution claimed to value teaching, they described being allocated teaching roles without any prior experience or preparation with contemporary educational learning and teaching approaches. The conflation of expert clinical knowledge with teaching expertise led participants to perceive that the importance of teaching skills was undervalued. For example, participants were placed in positions of responsibility for courses where their clinical knowledge alone was not enough to ensure that students achieved the learning outcomes of the course. Despite their clinical acumen, the participant lacked teaching expertise to deliver the session to the desired standard. One very experienced clinician ‘knew it in my bones that I didn't have the training to facilitate [a teaching session]’ (P8).

교육 전문 지식의 가치는 행정적 결정으로 인해 훼손될 수도 있는데, 이로 인해 참가자들은 자신이 가르치는 내용에 대한 통제력이 부족하거나 선배 동료들이 원하지 않는 역할을 할당받았다고 느꼈습니다. 한 참가자는 자신의 상황을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처음 입사했을 때 저는 신입이었습니다. 그래서 제 전공이 아닌 [코스 설명]을 가르치게 했습니다."(P12). 참가자들은 자신의 전문 분야를 벗어난 강의를 해달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거절할 수 없었다'(P8)고 느꼈습니다. 이러한 경험으로 인해 참가자들은 때때로 자신이 가르치는 내용이나 가르치는 방식에 대해 발언권이 거의 없다고 느꼈고, 이는 참가자들이 교사로서의 역할에 부여하는 가치와 상충되었습니다. 또한 동료들이 동기를 부여하지 않거나 강의 내용을 변경하지 않으려는 '교수진 화석화'(P1)로 인해 변화를 실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때 참여자의 자율성은 더욱 약화될 수 있었습니다. 
The value of teaching expertise could also be undermined by administrative decisions, which led to participants feeling that they lacked control over the content they taught or were allocated roles that senior colleagues did not want. One participant described their situation: ‘When I first arrived, I was a new guy. So they had me teach [description of course], which is not my specialty’ (P12). When participants were asked to teach outside of their professional scope of practice, they felt like they ‘couldn't say no’ (P8). These experiences led participants to feel, at times, that they had little say in what they teach or how it is taught, conflicting with the value participants placed in their role as a teacher. Participants' autonomy could also be further undermined when they faced difficulties enacting change due to ‘faculty fossilisation’ (P1), where colleagues were unmotivated or unwilling to change course content.

참가자들은 임상의, 연구자, 교사로서의 역할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것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참가자들은 자신의 가르침이 학생들의 교육과 전문성 개발에 필수적이라고 생각했지만, 소속 기관에서 자신의 가르침을 우선순위로 여기지 않는다고도 느꼈습니다. '의과대학이 다른 교육 학부와 같지 않다는 대학 측의 이해 부족'이 있었다고 인식했습니다(P9). 참가자들은 교육은 '부업으로 하는 것'이라는 메시지를 받았습니다(P9). 참가자들은 환자 치료와 양질의 교육 사이에서 균형을 찾아야 했습니다: 
Participants described a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challenge of balancing their roles as clinician, researcher and teacher. Participants felt their teaching was integral to the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heir students; however, they also felt that their teaching was not viewed by their institution as a priority. There was a perceived ‘lack of understanding from the university that the med school is not the same [as other teaching faculties]’ (P9). Participants received the message that teaching was something ‘that's done on the side’ (P9). Participants had to find a balance between delivering patient care and high-quality teaching:

환자가 보고, 듣고, 이해받고, 진단받고, 지원받고, 치료받는다고 느낄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탐색하고, 그 공간에서 학생이 허둥대지 않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P15) 
It's navigating that safe place for the patient to feel seen and listened to, and understood, and diagnosed, and supported, and treated, and to leave the student to learn in that space and not letting them flounder. (P15)

참가자들은 이러한 균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전문성이 저평가될 때 이러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설명했습니다. 
Participants described how maintaining this balance was difficult when the expertise required to achieve such a balance was undervalued.

3.2 훼손된 교육 목표
3.2 Undermined teaching goals

숨겨진 커리큘럼의 운영은 교사들이 제도적 관습이 교육 목표를 훼손한다고 느낀 이유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참가자들은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자신의 지식을 임상 진료에 적용할 수 있는 참여적이고 전문적이며 독립적이고 혁신적인 의료인을 양성하고자 하는 열망을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열망은 학생 참여, 전문적 행동, 비판적 사고 및 학생 독립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 가능한 교육 방식허용되는 실습 규범과 충돌할 수 있습니다. 학급 규모와 제한된 교사 수와 같은 물류 문제로 인해 학생들의 학습 참여가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한 참가자는 대규모 학생 그룹과 마주했을 때 기술을 교육 전달에 통합하여 학습자의 참여와 협업을 촉진하려고 시도했습니다. 안타깝게도 공유 온라인 문서의 사용은 '의사소통과 토론을 방해'했습니다(P2). 강의 시간과 같은 대학 구조는 협업과 비판적 사고와 같은 학습 결과를 전달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The operation of a hidden curriculum can explain why teachers felt that institutional conventions undermined their teaching goals. Our participants described a desire to develop engaged, professional, independent and innovative health practitioners who can think critically and apply their knowledge to clinical care. This desire may conflict with available teaching modalities and permissible practice norms that impact student engagement, professional behaviours, critical thinking and student independence. Engaging students in learning could be made more difficult by logistics, such as class sizes and limited numbers of teachers. One participant attempted to promote learner engagement and collaboration when faced with a large group of students by incorporating technology into the delivery of teaching. Unfortunately, the use of a shared online document ‘stifle[d]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P2). University structures, such as the timing of teaching sessions, could make learning outcomes such as collaboration and critical thinking harder to deliver:

목요일 오후 4시에 강의가 잡혀 있는 경우, 가끔은 상호작용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사람들이 지쳐서 그런 거죠. 그리고 때로는 그 시점에서 큰 백기를 들고 이제 아무것도 배울 수 없으니 다른 것을 해보자고 말해야 할 때도 있습니다(P11).
It's often been, often been late in the day sessions, you know, if I've been pinged with a four o'clock on a Thursday, sometimes you just, you're just not going to get that interaction. You're just, people are knackered. And sometimes at that point you just got to wave a big white flag and say, right, you're not going to learn anything now let's do something different (P11).

 

참가자들은 동료와 학생에게 비전문적인 행동을 용인하면서 전문적인 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위선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한 참가자는 다른 교육자가 '조금 무례하다고 생각되는 말을 학생들에게 하는 것을 목격했습니다'(P2). 이 동료의 비전문적인 행동은 잘 알려져 있었지만, 학생과 교수진의 문제 제기에도 불구하고 계속 교육에 관여했습니다: '... 학생들이 이 사람에 대해 불만을 제기한 적이 있지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것 같고... 다른 동료들도 고위 경영진에게 이 문제를 언급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학생들의 프로답지 못한 태도도 방치될 수 있습니다:
Participants described the hypocrisy of promoting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behaviours when unprofessional behaviours were tolerated from colleagues and students. One participant witnessed another educator ‘saying things to the students that I just thought was a bit rude’ (P2). The unprofessional behaviour of this colleague was well-known; however, they continued to be involved in teaching despite concerns being raised by students and faculty: ‘… students have complained about this person before, but nothing sort of seems to happen … And I know other colleagues have mentioned it to senior management as well’. Similarly, unprofessional attitudes of students could be left unchecked:

다른 컨비너들도 모두 같은 문제가 있었어요. 다른 진행자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드문 일은 아니지만 경계에 대한 그녀의 존중 부족이 분명하게 반영된 것이죠. 그 어떤 것도 강제되지 않았습니다. (P10) 
I mean, all the other conveners had the same problem. She did the same thing … on her other runs. It's not unusual, but it is, her lack of respect for boundaries is a clear reflection of that. None had been enforced. (P10)

교사에게 제공되는 커리큘럼 구조는 전반적인 교육 목표와 모순될 수 있습니다. 참가자들은 순전히 지식 전달에만 초점을 맞춘 교수 학습 방법은 학생들이 임상 학습 환경에 들어가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학생들은 적응력이 뛰어나고 제공된 정보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어야 합니다: 
The curriculum structure provided to teachers could contradict the overall teaching goals. Participants noted tha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hich focused purely on knowledge transfer, could lead to student difficulties once students enter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In these environments, students are expected to be adaptable and think critically about the information that is provided to them:

대학에 입학한 첫 3년 동안은 책이나 YouTube 동영상 등 어디서든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사실을 되새기며 지나갈 수 있습니다. 그러다가 임상 상황에 도착하면 갑자기 흑백으로만 보이던 것이 회색 음영으로 바뀝니다. (P14) 
The first three years of university, you can get by and regurgitating facts out of books or YouTube videos or wherever you access that information from. And then you arrive in the clinical situation and suddenly what used to be black and white has become a lot of shades of grey. (P14)

참가자들은 학생들을 지식 습득 모드에서 비판적 사고의 관점으로 전환하기 위해 비현실적인 기간이 주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말 중요한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시간이 3개월 정도밖에 없습니다'(P4). 
Participants described how they could be given unrealistic timeframes to shift students from a knowledge acquisition mode to a critical thinking perspective: ‘we've got like three months to develop these really important skills’ (P4).

환자 치료가 우선시되다 보니 임상 교육자들은 때때로 학습자의 독립성을 키우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임상 학습 상황에서 참가자들은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학생의 독립성을 중단해야 했습니다. '어느 단계에서 시간이 부족해지면 학생에게 사과하고 시간이 부족하다고 말해야 합니다. 그들은 [임상의가] 대신해야 할 것입니다'(P15). 
The primacy of patient care meant that, at times, clinical educators found it challenging to foster learner independence. In a clinical learning context,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suspend students' independence in order to ensure patient safety: ‘And at some stage you run out of time and you need to apologize to the student and say, look, we're running out of time. They're [the clinician] going to have to take over’ (P15).

3.3 고립 대 협업
3.3 Isolation versus collaboration

숨겨진 커리큘럼의 운영은 일부 참가자들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때 느꼈던 협업과 대조적으로 교사로서 고립감을 느낀 이유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교사로서 역할을 수행하면서 참가자들은 협업의 장벽과 학생의 필요나 진행 상황에 대한 제한된 정보로 인해 고립감을 느낀다고 설명했습니다. 
The operation of a hidden curriculum can explain why some participants felt isolated as teachers in contrast to the collaboration they felt when providing health care. In their roles as teachers, participants described feelings of isolation due to barriers to collaboration and limited information available about student needs or progress.

참가자들은 협업 부족으로 인해 다른 교육자들로부터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되고 이용 가능한 지원이 부족하다고 인식되어 고립감을 느꼈다고 설명했습니다. 참가자들은 동료 교사로부터 배우고 관찰하고 싶지만 그럴 기회가 없었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다른 사람이 어떻게 가르치는지 실제로 관찰하는 것은 제가 경험해 본 적이 없는 일입니다'(P6). 참가자들은 '고립되어 있고, 주변에 팀이 없으니'(P9) 외로움을 느꼈고, 이러한 상황에 대해 '조금 굳어졌다'(P1)고 느끼며 동료들의 지원이 부족하다고 체념했습니다. 참가자들이 여러 역할을 수행하다 보니 교육과 학습에 대한 지원을 받기가 어려웠습니다:  
Participants described how a lack of collaboration resulted in isolation through limited opportunities to learn from other educators and a perceived lack of available support. Participants shared a desire to learn from and observe their peers teach but did not have the opportunity to do so: ‘Actually observing how somebody else teaches is not something I've had the pleasure of observing’ (P6). Participants felt alone: ‘You're isolated, you [have] not got the team around you’ (P9) and resigned to a lack of collegial support by feeling ‘a little bit hardened’ (P1) to the situation. The multiple roles performed by participants meant that support for teaching and learning was difficult to obtain:

4년차 프로그램에서 서로 다른 로테이션으로 튜토리얼을 운영하고 센터 간 물류를 조율하는 것의 모든 의미를 이해하는 사람은 극소수입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는 없었어요. (P16)
There's a very small number of people who understand all the implications of running a tutorial like that in the fourth-year program during different rotations and trying to coordinate the logistics across centres. So, I can't really ask too many people for help that in many respects. (P16)


참가자들이 고립감을 극복하기 위해 시도한 한 가지 방법은 동료들과 공식적, 비공식적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관계는 참가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지원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참가자들은 '통제 불능 상태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 비공식적으로 연락을 취하거나'(P15),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동료를 찾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옆 방에 강사로 일하는 정말 좋은 직장 동료가 있는데, 정말 좋은 조언을 해주었습니다'(P12). 마찬가지로 교육 고문과 같은 교수진과의 공식적인 관계는 참가자들이 전문성 개발을 위한 지원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했습니다. '[교육 고문]에게 연락해서 방금 진행한 워크숍이 정말 형편없어서 도움이 필요하다고 말했죠! 며칠 만에 우리는 회의를 조직하고 몇 가지 아이디어를 브레인스토밍했습니다. (P2). 
Oneway participants tried to combat isolation was to build formal and informal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These relationships helped participants identify supports available to them. Participants described ‘informal catch-ups to try and prevent things spiralling out of control’ (P15) or identifying colleagues on whom they could rely for support: ‘I have a really good, um, office mate next door who is a lecturer as well, who gave me some really good advice’ (P12). Similarly, formal connections with faculty, such as education advisors, meant that participants could access support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So I actually contacted [an education advisor] and I was like, this workshop I just had totally sucked and we need some help! Within a couple of days, we'd organized a meeting and we'd brainstorm some ideas’. (P2).

참가자들이 고립감을 느끼는 데 기여한 또 다른 요인은 학생들에 대한 정보가 제한적으로 공유되어 교육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최상의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환자에 대한 정보가 일상적으로 공유되는 임상 실습과는 대조적입니다. 참가자들은 학생을 만나기 전에는 학생이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추가 학습 지원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고 설명했습니다: '...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을 알기 전까지는 정보를 얻지 못하거나 전혀 얻지 못하기 때문에 조금 어렵습니다'(P7). 이러한 격차로 인해 참가자들은 자신이 제공하는 강의의 질이 영향을 받는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미리 알았더라면 실제로 그것에 맞춰 강의를 조금 더 조정할 수 있었을 텐데'(P7). 고립감은 프로그램 기간 동안 또는 프로그램 기간 내에 교육자에게 전달되지 않는 학생 진도에 대한 단면적인 스냅샷을 제공하는 평가 프로세스 때문일 수 있습니다. 참가자들은 현재의 평가 관행이 학생의 진도에 대한 제한된 관점을 제공함으로써 학생의 능력에 대한 우려로 이어진다고 느낀다고 설명했습니다: '어떤 영역에서는 학생들이 충분히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것 같아서 논문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P4).  
Another factor, which contributed to participants' feelings of isolation, was the limited information shared about their students, which affected their teaching. This situation contrasts with clinical practice, where information about patients is routinely shared to deliver the best possible care. Participants described being unaware that students were having difficulties or required extra learning support prior to meeting them: ‘… it's a bit hard because we don't necessarily get information about the fact that the students are struggling until, or we don't at all’ (P7). This gap could lead to participants feeling that the quality of teaching they delivered was impacted: ‘If I'd known that beforehand, I would have actually been able to adapt my teaching around it a bit’ (P7). A feeling of isolation may be due to assessment processes that provide cross-sectional snapshots of student progress that are not communicated to educators across, or within, years of the programme. Participants described how they felt that current assessment practices meant that a limited view of student progress was obtained, leading to concern about students' abilities: ‘I feel in some areas they haven't been assessed robustly enough and then they come to our paper’ (P4).

4 토론
4 DISCUSSION

우리는 보건 전문직 프로그램에서 교수진에게 숨겨진 커리큘럼이 어떻게 운영될 수 있는지 설명하는 세 가지 방법을 확인했습니다. 이러한 설명에는 다음 등이 포함됩니다.

  • 교수 전문성이 어떻게 평가되고 이해되는지,
  • 교육 기관의 관습이 교육 목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 교수진이 의료 전문가로서 경험하는 동료애에 비해 교사로서 고립감을 어떻게 느끼는지 

이러한 설명은 미래의 의료 전문가를 교육하는 교사안전한 환자 치료를 제공하는 의료 전문가라는 두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려는 교수진에게 숨겨진 커리큘럼이 어떻게 운영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교수진 교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교수진을 위한 숨겨진 교육과정 모델의 네 가지 영역14 과 관련하여 세 가지 주요 연구 결과를 논의합니다. 숨겨진 교육과정의 모든 영역이 작동할 가능성이 있지만, 각 결과에 대한 논의와 가장 관련성이 높은 영역만 명시적으로 언급한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We identified three ways to explain how a hidden curriculum can operate for faculty in health professions programmes. These explanations involve

  • how teaching expertise is valued and understood,
  • how institutional conventions impact on teaching goals and
  • how faculty feel isolated as teachers compared to the collegiality they experience as health care professionals.

These explanations illustrate how a hidden curriculum can operate for faculty as they attempt to perform two roles simultaneously: as teachers who are educating future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as health professionals who are ensuring the provision of safe patient care. We discuss the three main findings in relation to the four domains of the model of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14 so that possible factors influencing faculty teaching can be identified.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although all domains of the hidden curriculum are likely operating, we will only explicitly name domains that are most relevant to our discussion of each finding.

교수진을 위한 숨겨진 커리큘럼이 작동하는 것으로 보이는 한 가지 방법은 교육 전문 지식의 중요성이 저평가될 때입니다. 숨겨진 교육과정의 동기-심리 및 제도-조직 영역과 관련된 요인은 특히 임상 업무 또는 연구 결과와 비교할 때 보건 전문직 교육자가 소속 기관에서 자신의 교육이 저평가되었다고 느끼는 다른 맥락의 결과와 이 결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4-6, 21, 22

  • 참가자들이 설명했듯이, 교수진은 관련 교육 전문성 없이 교육 역할을 할당받을 수 있으며,23, 24 이는 자신의 진료 범위를 벗어난 임상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 것과 대조될 수 있는 관행입니다. 교육 내용 지식의 개념은 교육과 관련된 지식과 실습을 식별합니다.25 교육 내용 지식은 교수 역할에 익숙하지 않은 교수진이 어려움을 겪는 이유를 이해하고 교수로서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지 파악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26
  • 마찬가지로, 임상적 통찰력을 교육 전문성과 동일시하는 대학 정책 및 절차에 따라 교수진에게 전달되는 가정은 교수진이 취약성을 느끼고 자신의 역량을 의심하며 자신이 제공하는 교육의 질에 의문을 제기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보건 전문직 교육 전반에 걸쳐 나타납니다.27 

One way a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appears to operate is when the importance of having teaching expertise is undervalued. Factors related to the motivational–psychological and institutional–organisational domains of the hidden curriculum can assist us to understand this finding and those from other contexts about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feeling that their teaching is undervalued by their institution, especially when compared to clinical work or research outputs.4-6, 21, 22 

  • As our participants described, faculty may be allocated teaching roles without relevant teaching expertise,2324 a practice, which may contrast with not being expected to undertake clinical roles outside one's scope of practice. The concep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dentifies knowledge and practice specific to teaching.25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has been used to understand why faculty may struggle when new to a teaching role and identify how they can be assisted to develop competency as a teacher.26 
  • Likewise, assumptions conveyed to faculty by university policies and procedures that equate clinical acumen with teaching expertise may lead faculty to feel vulnerable, doubt their capabilities and question the quality of teaching they provide. This situation appears across health professions education.27 

교수진이 행동할 능력이 부족하다고 인식하면 교육 기관에서 자신의 가시성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28 교육 목표를 훼손하는 영향은 숨겨진 커리큘럼의 문화적 맥락 영역에서도 식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직장 학습 환경의 맥락에서 교육보다 건강 관리가 우선시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인정하지 않을 경우 교수진에게 필요한 교육 전문성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교육보다 건강 관리를 우선시하는 것은 교직원과 학생에게 구조적인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현장 학습에 대한 구조적 장벽은 학생의 역량을 키우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29 숨겨진 커리큘럼의 문화적 맥락적 경계에서 영향을 인식하면 직장 문화에 따라 교수진이 자신의 역할과 전문성을 어떻게 인식할 수 있는지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교수진이 교육 관행을 개발하거나 변경하는 데 부서나 동료의 관성이 있다고 느끼는 경우, 기관의 정책과 절차에 도전할 자율성이 부족하다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 
If faculty members perceive, they lack ability to act, then they may question their visibility in the institution.28 Influences that undermine teaching goals can also be identified within the cultural–contextual domain of the hidden curriculum. An example is how health care is prioritised over teaching in workplace learning environments contexts, however, and when unacknowledged, it can undermine the teaching expertise required by faculty. Prioritising health care over teaching can act as a structural barrier for faculty and students. Structural barriers to on-the-job learning can make it more difficult to foster students' capabilities.29 Awareness of influences in the cultural–contextual boundary of the hidden curriculum can assist us to account for how faculty may perceive their role and expertise are valued based on the workplace culture. When faculty feel there is inertia from departments or colleagues to develop or change teaching practice, they may also feel a lack of autonomy to challenge institutional policies and procedures.

교수진을 위한 숨겨진 커리큘럼이 운영되는 두 번째 방식은 교육 목표가 훼손되는 경우입니다. 교수진은 학생들이 의료 전문가로서 협동 실습을 할 수 있도록 준비시킨다는 교육기관의 목표에도 불구하고 학생의 참여와 협업을 제한하는 시간표와 커리큘럼 구조로 인해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교육기관의 정책과 절차는 동료와 학생의 비전문직업적 행동을 방치할 수 있습니다. 숨겨진 커리큘럼의 제도적-조직적 및 동기-심리적 영역과 관련된 영향은 이러한 책무성과 책임감의 결여가 어떻게 수용 가능한 전문직업적 행동을 심어준다는 핵심 목표와 상충되는지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수진을 위한 숨겨진 커리큘럼이 전문직업성 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연구에 추가됩니다.17 교수진을 위한 숨겨진 커리큘럼은 또한 우리의 행동이 비전문직업적 행동을 지속시키는 것과 같은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는 방법을 더 고려할 수 있게 해줍니다. 
A second way a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appears to operate is when teaching goals are undermined. Faculty can be challenged by timetables and curriculum structures that limit student engagement and collaboration, despite the purported institutional goal of preparing students for collaborative practice as a health care professional. Institutional policies and procedures may allow unprofessional behaviours from colleagues and students to be left unchecked. Influences related to the institutional–organisational and the motivational–psychological domains of the hidden curriculum can be used to explain how this lack of responsibility and accountability is at odds with a core goal of instilling acceptable professional conduct. These findings add to work that shows how a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may influence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17 A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also allows us to further consider how our actions result in unintended consequences, such as perpetuating unprofessional behaviours.

교직원을 위한 숨겨진 커리큘럼이 작동하는 것으로 보이는 세 번째 방식은 교직원이 가르칠 때 고립을 보고하는 것입니다. 이 발견은 교직원을 위한 숨겨진 커리큘럼의 동기-심리적, 대인관계-사회적, 상황-문화적 영역의 영향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종종 의료 전문가들은 최적의 환자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협력하고,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는 개인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환자의 경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정보를 공유합니다. 이러한 협업 관행은 교수진에게 교사로서의 역할에서도 유사한 협업과 정보 공유가 이루어질 것이라는 기대감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대가 충족되지 않으면 교직원은 고립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고립감은 고등 교육에서 학자들이 흔히 경험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교사로서 우리는 '교실 문을 닫고 교육적 고독을 경험하는 반면, 학자로서의 삶에서는 활발한 커뮤니티의 일원'입니다.30 p6 임상의가 교사 역할을 맡으면 교사와 임상의로서의 경쟁 업무로 인해 다른 보건 전문 교육자로부터 배울 수 있는 기회와 교육 자원에 대한 접근성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교수진에 대한 공동 지원과 관련된 연구에서 보고된 고립감과 지원의 필요성을 강화합니다.23 연구 참여자의 경우, 학생에 대한 정보가 교수진에게 제한적으로 제공되어 고립감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학생 진도에 대한 단면적인 스냅샷은 교수진이 교사로서 자신이 생각하는 기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A third way a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appears to operate encompasses the isolation faculty report when teaching. This finding can be explained by influences in the motivational–psychological, interpersonal–social and contextual–cultural domains of the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Often, health professionals collaborate to provide optimal patient care and share information to monitor a patient's progress over time by drawing upon the expertise of individuals from different professions. This collaborative practice may set an expectation for faculty that there will be similar collabor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in their role as teachers. When this expectation is not met, faculty feel isolated. This sense of isolation is a common experience of academics in higher education, more generally, where as teachers, we ‘close the classroom door and experience pedagogical solitude, whereas in our life as scholars, we are members of active communities’.30 p6 When clinicians take on the role of teacher, they may have limited access to educational resources and opportunities to learn from other health professional educators due to competing duties as teacher and clinician. These findings reinforce the isolation and need for support reported in a study involving collegial support for faculty.23 For our participants, feeling isolated may be exacerbated by the limited information provided to faculty about their students. Cross-sectional snapshots of student progress can make it difficult for faculty to provide learning opportunities to their students that allows them to attain the standard they hold for themselves as teachers.

숨겨진 커리큘럼의 제도적-조직적 영역의 구조를 고려함으로써 교수진이 고립감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을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교수진은 공식 및 비공식 동료 검토 및 멘토링에 대해 교수진 개발자에게 지침과 조언을 구하고 이러한 옵션을 교사로서 격려와 성장의 원천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비공식적인 동료 지원은 교사의 정체성 형성을 강화할 수 있지만23, 이러한 관행 자체도 숨겨진 커리큘럼의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동료 지원은 또한 교사가 소속 기관으로부터 가치를 인정받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2,22 숨겨진 교육과정의 대인관계-사회적 영역에서 가능한 영향을 숙고함으로써 우리는 동료와 교류함으로써 고립감을 개선하려는 참가자들의 시도를 숨겨진 교육과정이 교사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라고 볼 수 있었습니다. 교수진이 자신의 고립감을 인식하고 지원을 구할 때, 그들은 자신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숨겨진 커리큘럼의 측면을 해결하기 위해 제도적 구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교원은 '수동적인 졸이 아니라 교육기관 내에서 저항'31(2쪽)하는 행위를 통해 숨겨진 교육과정에 맞서 주체성을 행사하고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것을 드러낼 수 있다고 제안되었습니다.32 그러나 제도적 구조와 문화적 규범은 이러한 저항 행위에 대항하여31, 33 교원이 경험하는 고립을 지속하거나 심지어 강화할 수 있습니다. 교직원을 위한 숨겨진 커리큘럼의 동기-심리적 영역에 대해 생각하면 교직원에게 무엇이 중요한지 이해하고 이러한 이해를 활용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자기 결정 이론34과 같은 동기 부여 이론의 개념을 적용하여 교직원을 위한 숨겨진 커리큘럼의 개인적 동기 부여 영역을 보다 심층적으로 조사할 수 있습니다.

Considering structures in the institutional–organisational domain of the hidden curriculum allowed us to identify how faculty can mitigate their sense of isolation. Faculty may seek guidance and advice from faculty developers about formal and informal peer review and mentoring and use these options as sources of encouragement and growth as teachers. Informal peer support can strengthen teacher identity formation23; however, such practices themselves may also be subject to the hidden curriculum. Peer support can also help faculty to feel valued by their institution.222 By pondering possible influences from the interpersonal–social domain of the hidden curriculum, we were able to view our participants' attempts to ameliorate their isolation by engaging with colleagues as a positive impact of the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When faculty recognise their isolation and seek supports, they may be using institutional structures to address aspects of the hidden curriculum to improve their situation. It has been suggested that faculty can exercise agency in the face of the hidden curriculum through acts of ‘resistance within education institutions rather than being passive pawns’31 (p. 2) and reveal that which is most important to them.32 Institutional structures and cultural norms, however, may counteract these acts of resistance,3133 thereby perpetuating or even reinforcing the isolation experienced by faculty. Thinking about the motivational–psychological domain of the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allows us to understand what is important to faculty and use this understanding to promote positive change. A future study might apply concepts from a motivation theory, such as Self-Determination Theory34 to probe more deeply into the personal–motivational domain of the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이 세 가지 주요 조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숨겨진 교육과정이 교수진에 의해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어떻게 경험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교수진이 교사로서의 역할이 저평가되고, 훼손되고, 고립되었다고 느끼는 것은 보건 전문직 교육에만 국한된 것이 아닙니다.22, 27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보건 전문직 교육에서 교수진을 위한 숨겨진 교육과정으로 구성하면 교사, 연구자 및 임상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교수진에게 이러한 문제를 정당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4, 35-38 이 연구의 결과는 숨겨진 교육과정이 교수진이 교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방식과 교사로서 자신을 보는 방식을 어떻게 형성하는지 이해하는 데 더 잘 사용될 수 있습니다.
When these three main findings are viewed together, they illustrate how the hidden curriculum can be experienced as overlapping interacting influences by faculty. Faculty feeling that their role as teachers is undervalued, undermined and isolated is not unique 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22, 27 However, framing these issues as a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ight help legitimise these issues for faculty who take on roles as teachers, researchers and clinicians.4, 35-38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to better understand how the hidden curriculum might shape how faculty enact their roles as teachers and how they view themselves as teachers.

연구 결과에는 교수진 개발자가 고려할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이 있습니다. 아마도 가장 유용한 인사이트는 교수진이 지금까지 '숨겨진' 것을 가시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입니다. '무언가를 '숨겨진 것'으로 분류하면 손댈 수 없거나 심지어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격상될 수 있습니다'12(528쪽)-우리는 이러한 결과를 피하고자 합니다. 우리는 숨겨진 것을 드러내어 가시화함으로써 의문을 제기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39 교수진 개발자는 숨겨진 교육과정의 네 가지 개념 영역을 사용하여 교육기관 맥락에서 운영되는 숨겨진 교육과정이 교수진에게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시각화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연구의 초점이 교육에 맞춰져 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교수 역할의 다른 차원과 관련하여 숨겨진 커리큘럼을 조사할 수 있습니다. 교수진에게 숨겨진 커리큘럼이 어떻게 운영되는지 이해함으로써 교수진 개발자는 예를 들어 까다로운 교육 경험을 논의하기 위한 공통 언어를 개발하고 사용하는 등 보건 전문직 교육자가 임상 및 비임상 학습 환경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도구를 더 잘 설계하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 향후 연구에서 탐구해야 할 한 가지 영역은 교수진이 교육 현장에서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결 방법'을 시작하고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해결 방법은 연구 결과에서 발견되었으며, 교수진이 문제나 이슈에 직접 직면하지 않고 해결책을 구현하는 방법을 나타냅니다.  
Our findings have several implications that faculty developers can consider. Perhaps the most useful insight involves assisting faculty to make the hitherto ‘hidden’ visible. ‘Labelling of something as “hidden” might elevate it to the status of untouchable or even non-existent’12 (p. 528)—we want to avoid this outcome. We are uncovering the hidden to make it visible so that it can be questioned and addressed.39 Faculty developers can use the four conceptual domains of the hidden curriculum to help recognise and visualise the influence of a hidden curriculum operating in their institutional contexts for their faculty. Given the focus of this study on teaching, a future study could examine the hidden curriculum in relation to other dimensions of the faculty role. By understanding how the hidden curriculum operates for faculty, faculty developers can design and share tools to better support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to thrive in clinical and non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by, for example, developing and using a common language to discuss demanding teaching experiences. One area to explore in a future study is how faculty initiate and maintain ‘workarounds’ to address the challenges they faced in their teaching practice. These workarounds were present in our findings and represent the ways that faculty implemented a solution to resolve a problem or issue without confronting it directly.

이번 조사 결과는 스스로를 교사라고 밝힌 임상의에 국한됩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가르치지 않기로 선택했거나 스스로를 교사로 생각하지 않는 임상의의 관점을 조명할 수 있습니다. 참가자들에게 교수진에 대한 숨겨진 커리큘럼에 대한 인식을 직접 물었다면 연구 결과를 강화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대신, 참가자들이 까다로운 교육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 인터뷰 녹취록을 분석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경험을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교수들이 거주하는 '의학교육이라는 삶의 공간'9(404쪽)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었고, 이러한 관점을 숨겨진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해 설명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의 연구 결과가 현재 문헌에 추가되어 더 많은 논의와 확장을 촉진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Our findings are limited to clinicians who self-identify as teachers. A future study may shed light on the views of clinicians who choose not to teach or who do not view themselves as teachers. Asking participants directly about their perceptions of the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may have strengthened our research findings. Instead, we analysed interview transcripts where participants shared stories of demanding teaching experiences. Through the process of exploring these experiences, however, we feel that we were able to gain a deep understanding of the ‘life-space we call medical education’9 (p404) which faculty inhabit and were able to explain these perspectives through our understanding of the hidden curriculum. It is hoped that our results can add to the current literature and prompt further discussion and expansion.

5 결론
5 CONCLUSION

우리는 보건 전문직 프로그램에서 교수진을 위해 숨겨진 커리큘럼이 어떻게 운영될 수 있는지 설명하는 세 가지 방법을 확인했습니다. 이러한 설명에는 교육 전문 지식의 중요성이 어떻게 저평가되는지, 교육 목표가 어떻게 훼손되는지, 교수진이 의료 전문가로서 경험하는 동료애에 비해 교사로서 어떻게 고립감을 느끼는지 등이 포함됩니다. 교수진을 위한 숨겨진 커리큘럼은 교육에 대한 가정, 기대 및 행동을 확립하고 유지하는 구조, 규범 및 관행에 의해 강화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연구 결과는 숨겨진 커리큘럼이 여러 겹치는 영역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시각화되어 교수진이 자신과 자신의 역할을 보는 방식을 어떻게 형성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이러한 인사이트는 교수진 개발자가 숨겨진 커리큘럼을 가시화하여 보건 전문직 교육자를 지원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We identified three ways to explain how a hidden curriculum can operate for faculty in health professions programmes. These explanations involve how the importance of teaching expertise is undervalued, how teaching goals are undermined and how faculty feel isolated as teachers compared to the collegiality they experience as health care professionals. The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appears to be reinforced by structures, norms and practices that establish and maintain assumptions, expectations and behaviours about education. Our results show how the hidden curriculum can be visualised as operating in multiple, overlapping domains and shape how faculty see themselves and their roles. These insights may be used by faculty developers to help make the hidden curriculum visible, and, thereby, support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Med Educ. 2023 Aug;57(8):761-769. doi: 10.1111/medu.15026. Epub 2023 Feb 14.

Revealing the impact of the hidden curriculum on faculty teaching: A qualitative study

Affiliations collapse

1Department of General Practice and Rural Health at the Dunedin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Otago, Dunedin, New Zealand.

2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Otago, Christchurch, New Zealand.

3Higher Education Development Centre at the University of Otago, Dunedin, New Zealand.

4Education Unit at the University of Otago, Christchurch, New Zealand.

5Education Unit at the Dunedin School of Medicine at the University of Otago, Dunedin, New Zealand.

PMID: 36740234

DOI: 10.1111/medu.15026

Abstract

Introduction: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aculty may feel frustrated or challenged by aspects of their teaching. The concept of a hidden curriculum for students describes the expectations and assumptions enacted in educational programmes that tacitly impact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A hidden curriculum has been suggested as a possible influence on faculty but has not been well explor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how a hidden curriculum might operate for facult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ethods: An interpretivist perspective was used to frame this qualitative study that examined one-on-one interview data generated with 16 faculty members from six different health care professions.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scribe teaching experiences that they perceived as demanding. Using a hidden curriculum framework, descriptions of demanding teaching experiences were analysed inductively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a teacher's intended practice and what they could accomplish. These relationships were interpreted as the possible ways that a hidden curriculum was operating for faculty.

Results: A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was found to operate in three ways by undervaluing the importance of having teaching expertise, undermining teaching goals through institutional conventions and perpetuating feelings of isolation.

Discussion: A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can be represented as multiple overlapping domains and shape how faculty experience their teaching roles. The results provide examples that reveal how a hidden curriculum may operate for faculty. Faculty developers may find the insights provided by this study useful to make the hidden curriculum visible and help their faculty make sense of and navigate demanding teaching experiences.

모듈에서 MOOCs로: 온라인 교육과정 개발의 여섯-단계 접근법(Acad Med, 2019)
From Modules to MOOCs: Application of the Six-Step Approach to Online Curriculum Development for Medical Education
Belinda Y. Chen, MD, David E. Kern, MD, MPH, Robert M. Kearns, MSEd, Patricia A. Thomas, MD, Mark T. Hughes, MD, MA, and Sean Tackett, MD, MPH 

온라인 커리큘럼은 중요한 온라인 상호작용이 포함된 계획된 교육 경험입니다. 온라인 커리큘럼은 기관, 지리적, 시간적 경계를 넘나들며 교수 및 학습 효율성을 높이고 교육 학술활동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보건 전문직 학위 및 교육 프로그램에서 온라인 학습 버전을 채택하고 있습니다.1-3 
Online curricula are planned educational experiences with significant online interactions. Online curricula can span institutional, geographic, and temporal boundaries; increase teaching and learning efficiency; and constitute educational scholarship. Versions of online learning have been adopted by most health professions degree and training programs.1–3

많은 교수진이 교육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온라인 커리큘럼 개발(CD)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커리큘럼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경우가 많지만, 교수진은 온라인 CD에 참여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교수진의 불만, 비효율적인 리소스 사용, 비효율적인 커리큘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2,4-6 
Many faculty participate in online curriculum development (CD) to fulfill their educational responsibilities. Although often held accountable for curricular outcomes, faculty may be unprepared to engage in online CD. This can result in faculty frustration, inefficient resource use, and ineffective curricula.2,4–6

보건 전문직 커리큘럼은 대중의 건강 관리 요구를 충족해야 할 책임이 있기 때문에 건전한 CD 프로세스를 요구합니다. 온라인 교육 과정은 많은 청중에게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온라인 CD는 특히 이러한 요구에 대한 책임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의료 교육용 CD에 대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체계적인 접근 방식7,8인 의학교육용 커리큘럼 개발을 위한 6단계 접근 방식을 온라인 CD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설명합니다. 
Health professions curricula demand sound CD processes because of their responsibility to meet the health care needs of the public. Online CD is particularly accountable to these demands because online curricula can reach large audiences. We describe how a widely accepted, systematic approach to CD for health care education7,8—the Six-Step Approach for Curriculum Development for Medical Education—can be applied to online CD.

이 글에서는 현재 널리 사용되는 네 가지 온라인 커리큘럼 형식을 설명하고 비교하며, 그 차이점이 온라인 CD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칩니다(표 1):
In this article we describe and compare four currently popular online curricular formats whose differences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online CD (Table 1):

온라인 커리큘럼의 네 가지 일반적인 형식 비교
Comparisons of Four Common Formats of Online Curriculaa

  • 혼합형 커리큘럼: 온라인과 대면 세션이 결합된 형태로, '플립형 강의실'은 혼합형 학습의 한 버전입니다.
    Blended curricula: Online and face-to-face sessions are combined; the “flipped classroom” is a version of blended learning.
  • 교수자가 주도하는 완전 온라인 커리큘럼: 모든 커리큘럼 콘텐츠가 온라인으로 제공되며 교수진과 정의된 학습자 그룹 간에 온라인 상호 작용이 이루어집니다.
    Instructor-led fully online curricula: All curricular content is online, and online interaction occurs between faculty and a defined group of learners.
  • 자기 주도형 모듈: 학습자가 커리큘럼을 시작하고 주도하며, 학습자가 학습하는 동안 교수자의 추가 입력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Self-paced modules: The curriculum is initiated and directed by the learner, with no additional faculty input during the learner’s experience.
  • 대규모 공개 온라인 코스(MOOC): 이 커리큘럼은 대규모의 쌍방향 참여를 목표로 하며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 The curriculum aims for large-scale interactive participation and is open to anyone with Internet access.

의학 커리큘럼에서 사용되는 교육 방법, 평가 방법 및 리소스 유형에 대한 표준화된 용어도 만들어졌습니다.9
Standardized terminologies have also been created for the instructional methods, assessment methods, and resource types used within medical curricula.9

개요
Overview

6단계 접근법은 커리큘럼을 "계획된 교육 경험"으로 정의하며, 단기 교육 세션 또는 다년간의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CD는 순차적으로 제시되지만 연속적이고 순환적인 프로세스이며 모든 단계는 서로 영향을 미칩니다(그림 1). 특정 교육 방법(4단계)을 고려하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지만, 실행을 위한 리소스 및 관리 요구 사항(5단계), 해당 방법이 대상 학습자의 요구 사항과 일치하는지 여부(2단계), 교육 목표(3단계), 학습자 및 프로그램 평가 계획(6단계) 등도 고려해야 합니다. 그림 1의 상단에 있는 1단계는 모든 보건 전문직 CD가 보건의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아래에서는 각 단계의 기본 사항을 요약하고 온라인 CD의 각 단계에 대한 특별한 고려 사항을 설명합니다.  
The Six-Step Approach defines curriculum as any “planned educational experience” and can be applied to short educational sessions or multiyear programs. Though presented sequentially, CD is a continuous, cyclical process, and all steps influence each other (Figure 1). One might begin by considering a specific educational method (Step 4), but must also consider resource and administrative requirements for implementation (Step 5) and the method’s congruency with targeted learners’ needs (Step 2), as well as educational objectives (Step 3) and both learner and program evaluation plans (Step 6). Step 1 is at the top of Figure 1 to emphasize that all health professions CD aims to address a health care problem. Below, we summarize the fundamentals of each step and describe special considerations for each step in online CD.

1단계: 문제 식별 및 일반적인 요구 사항 평가
Step 1: Problem Identification and General Needs Assessment

일반 원칙
General principles

1단계에서 교육자는 교육 개입으로 해결할 의료 문제를 파악하고 지역적 수준에서 국제적 수준까지 그 중요성(예: 유병률, 이환율, 비용)을 특성화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이용 가능한 데이터(예: 출판된 문헌, 공중 보건 통계)를 검토하고 새로운 데이터(예: 전문가 자문)를 수집하여 수행합니다. 
In Step 1, the educator identifies the health care problem that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will address and, on a regional to international level, characterizes its importance (e.g., prevalence, morbidity, cost). This is typically done by a review of available data (e.g., published literature, public health statistics) and collection of new data (e.g., expert consultation).

일반적 요구도 평가는 환자, 사회, 보건의료 교육자, 보건의료 전문가가 파악한 문제에 대한 이상적인 접근 방식과 현재 접근 방식 사이의 격차를 정의합니다. 1단계는 대규모로 수행하거나10 소규모 CD 팀에 의해 수행될 수 있습니다. 1단계가 끝나면 교육자는 계획된 교육 활동을 통해 보건의료 전문직 교육생이 미래 환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방법을 명확히 설명할 수 있습니다. 
The general needs assessment defines the gap between the ideal and current approaches to the identified problem by patients, society, health care educators,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Step 1 may be conducted on a large scale10 or by smaller CD teams. By the end of Step 1, educators can articulate how planned educational activities will prepare health professions trainees to meet the needs of future patients.

특별 고려사항
Special considerations

온라인 CD의 1단계는 기존 CD와 유사한 경우가 많지만, 온라인 CD에서는 기존 온라인 커리큘럼을 검색하는 데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동료 검토를 거친 온라인 커리큘럼 저장소(예: http://www.mededportal.org)를 검색하고 교육기관 및 전문 학회 웹사이트(예: http://www.POGOe.org)8를 검토하면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교육자들과 네트워킹하거나 의학 사서와 상담하면 비슷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커리큘럼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Often, Step 1 for online CD is similar to traditional CD, although more effort is required in online CD to search for existing online curricula. Searching online peer-reviewed curriculum repositories (e.g., www.mededportal.org) and reviewing websites of institutions and professional and specialty societies (e.g., www.POGOe.org)8 can yield results. Networking with educators or consulting with medical librarians can help identify other curricula that aim to solve similar problems.

다음은 1단계가 결핵(TB) 치료를 개선하기 위해 온라인 CD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보여주는 예시입니다.

  • 결핵은 효과적인 치료 옵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LMIC)에서 이환율과 사망률의 주요 원인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사례 발견 및 치료 권고에 관한 의료진의 지식 격차가 중요한 장벽으로 밝혀져 교육적 개입이 결핵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기존 커리큘럼은 대면 교육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출장 비용과 일정 관리 등의 문제로 인해 접근성이 제한적이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글로벌 결핵 임상 관리 및 연구"라는 제목의 MOOC를 개발하여 LMIC의 의료진에게 마케팅하여 7,800명의 학습자에게 성공적으로 도달했으며, 이 중 87%는 결핵 유병률이 높은 환경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11 

Here is an illustration of how Step 1 influenced online CD to improve tuberculosis (TB) care.

  • TB was identified as a leading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LMICs) despite the existence of effective treatment options. Provider knowledge gaps regarding case-finding and treatment recommendations were found to be an important barrier, making TB care amenable to an educational intervention. Existing curricula were face-to-face, which limited their reach because of travel costs and scheduling logistics. To address these shortcomings, a MOOC titled “Global Tuberculosis Clinical Management and Research” was developed and marketed to providers in LMICs, successfully reaching 7,800 learners, 87% of whom were in settings with high TB prevalence.11

단순히 온라인으로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보건 요구 사항을 해결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MOOC 데이터에 따르면 가장 필요한 사람들에게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12,13 커리큘럼의 목적을 명확히 하면 커리큘럼 개발자가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는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됩니다. 
Simply making a curriculum available online may not address health needs. General MOOC data indicate that many may not reach those who need them most.12,13 Clarifying one’s curricular purpose helps the curriculum developer make decisions to maximize educational impact.

2단계: 목표 요구 사항 평가
Step 2: Targeted Needs Assessment

일반 원칙
General principles

2단계에서는 대상 학습자요구 사항과 학습 환경에 초점을 맞춥니다. 목표 요구 사항 평가에는 대상 학습자 및 이해 관계자의 특성, 요구 사항, 선호도, 학습자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리소스 등의 데이터 수집이 포함됩니다. 
Step 2 focuses on the needs of one’s targeted learners and their learning environments. The targeted needs assessment involves the collection of data, such as the characteristics, needs, and preferences of the targeted learners and stakeholders, and available resources in the learners’ environments.

특별 고려 사항
Special considerations

온라인 CD의 목표 요구 사항 평가는 범위와 복잡성이 다양할 수 있습니다. "강의실 뒤집기"14는 교수자가 청중을 알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할 수 있습니다. 자기 주도형 모듈 또는 MOOC는 지리적으로 분산된 다양한 학습자 그룹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복잡할 수 있습니다. 
Targeted needs assessments for online CD can vary in scope and complexity. “Flipping the classroom”14 may be relatively simple because the instructor knows the audience. Self-paced modules or MOOCs can be complex because they target diverse groups of geographically dispersed learners.

온라인 커리큘럼은 낮은 사회적 참여도, 낮은 관련성 인식, 부적절한 자기 조절 행동과 관련하여 중도 탈락률이 높을 수 있으므로,15,16 학습자의 요구, 선호도, 동기, 온라인 학습에 대한 과거의 긍정적 및 부정적 경험17을 이해하는 것이 참여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 학습자의 언어 능력,
  • 문화,
  • 선호하는 콘텐츠 액세스 모드(예: 노트북, 태블릿, 모바일 장치),
  • 학습 경험에 사용할 수 있는 시간,
  • 동기식 세션의 가용성(예: 지역사회 건강 결과 커리큘럼 연장에 참여하는 의료 제공자18),
  • 학점의 필요성(예: 계속 의학 교육[CME], 자격증 유지),
  • 액세스 또는 수료 인정에 대한 지불 의향

...도 온라인 교육 과정의 수용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Online curricula can have high dropout rates related to low social engagement, low perceived relevance, and inadequate self-regulatory behaviors,15,16 so understanding learner needs, preferences, motivations, and past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with online learning17 is important for maintaining engagement.

  • Learners’ language skills,
  • cultures,
  • preferred modes of accessing content (e.g., laptop, tablet, mobile device),
  • time available for the learning experience,
  • availability for synchronous sessions (e.g., practicing providers to participate in extension for community health outcomes curricula18),
  • the need for credit (e.g.,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CME], maintenance of certification), and
  • the willingness to pay for access or recognition of completion

...may also affect the uptake of an online curriculum.

평가해야 할 환경적 요인으로는 인터넷 접속의 가용성 및 품질, 현지 테크놀로지 지원 등이 있습니다. 국제 커리큘럼의 경우, 미디어 공유(예: YouTube) 및 소셜 미디어(예: Facebook) 플랫폼에 대한 접근 제한과 같은 법률 및 규정이 커리큘럼 콘텐츠 제공 또는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어떤 사이트를 선택할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Environmental factors to evaluate include the availability and quality of Internet access and local technical support. For international curricula, laws and regulations, such as restricted access to media-sharing (e.g., YouTube) and social media (e.g., Facebook) platforms, can affect which sites are chosen for curricular content delivery or communication.

학습자와 학습자의 환경을 사전에 완전히 평가할 수 없는 경우, 목표 요구 사항 평가의 일부를 온라인 커리큘럼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커리큘럼을 진행하는 동안 학습자의 피드백을 의도적으로 수집하면 혼란스러운 용어나 문화적으로 민감한 이미지 중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When learners and their environments cannot be fully assessed in advance, parts of a targeted needs assessment can be embedded in online curricula. For example, intentionally gathering feedback from learners during the curriculum can identify confusing terminology or culturally sensitive images needing revision.

3단계: 목표 및 목적
Step 3: Goals and Objectives

일반 원칙
General principles

요구 사항 평가를 기반으로 3단계에서 목적과 목표를 정의합니다.

  • 목적goals은 방향을 제시하고 커리큘럼의 경계를 설정합니다.
  • 목표objectives는 학습자의 인지, 정서 및 정신 운동 성취도에 대한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기대치를 설명합니다.
  • 목표objectives는 건강 관리에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영향을 명확히 설명할 수 있습니다.
  • 교육 목적과 목표는 이후 단계에서 교육 및 평가 전략의 선택을 안내합니다.

Based on the needs assessments, goals and objectives are defined in Step 3.

  • Goals provide direction and set curricular boundaries.
  • Objectives describe specific and measurable expectations for learners’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achievements.
  • Objectives can also articulate the anticipated impact on health care.
  • Goals and objectives guide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and evaluation strategies in later steps.

특별 고려 사항
Special considerations

교직원은 새로운 교육 테크놀로지의 '화려한' 기능을 시험해 보고 싶은 유혹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1단계에서 설명한 의료 요구 사항과 2단계의 목표 요구 사항 평가를 기반으로 목표를 작성하면 기존 테크놀로지 및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보다 신중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블렌디드 커리큘럼은 라이브 세션 중에 실습과 피드백을 통합하여 의사소통 및 절차적 스킬에서 고차원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MOOC와 자기 주도형 모듈은 더 많은 학습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지만, 현재 학습자의 심리 운동 스킬을 개발하거나 학습자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 앞으로는 복잡한 분기 로직이 포함된 시뮬레이션 사례 시나리오와 가상 환경과 같은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통해 학습자가 고차원적인 인지적 사고, 절차, 심지어 팀워크와 커뮤니케이션 스킬까지 연습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고차원적인 목표19,20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테크놀로지를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테크놀로지가 허용하는 경우 학습자가 직접 목표를 설정하는 데 참여해야 합니다.21
Faculty may be tempted to try out the “bells and whistles” of new educational technologies. However, writing objectives based on the health care need delineated in Step 1 and the targeted needs assessment in Step 2 can direct more thoughtful use of established and emerging technologies.

  • Blended curricula can help achieve higher-order objectives in communication and procedural skills by integrating practice and feedback during live sessions.
  • MOOCs and self-paced modules may convey information to a larger number of learners, but are currently limited in their ability to develop learners’ psychomotor skills or change learners’ behaviors.
  • In the future, new technologies such as simulated case scenarios with complex branching logic and virtual environments may allow learners to practice higher-order cognitive thinking, procedures, and even teamwork and communication skills.

Generally, one should aim for higher-order objectives19,20 and select technologies accordingly. Also, when technology permits, learners should be engaged in setting their own objectives.21

4단계: 교육 전략
Step 4: Educational Strategies

일반 원칙
General principles

4단계는 교육 목표 달성을 촉진하기 위해 실현 가능한 교육 전략과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입니다. 교육 목표에 부합하는 여러 교육 방법을 사용하면 학습을 강화하고 학습자 선호도의 차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Step 4 involves selecting feasible educational strategies and content to facilitate achieve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Using multiple educational methods congruent with educational objectives reinforces learning and addresses differences in learner preferences.

특별 고려 사항
Special considerations

온라인 커리큘럼은 멀티미디어, 상호 작용 및 가상 소셜 구성 요소를 통합하여 기존의 교실 기반 모델보다 더 유연하고 접근 가능하며 개별화된 학습을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 최적의 온라인 학습을 위한 공식은 없지만,22,23 교육 전략의 선택을 안내하는 증거와 원칙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 연구에 따르면 연습 문제, 간격을 둔 반복, 피드백, 사회적 존재감이 고차원적인 학습자 목표를 달성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라고 합니다.6,24
  • 콘텐츠 레이아웃 및 멀티미디어 통합 지침25,26에서는 정보를 '청크'하고 그래픽과 단어를 결합하여 청각과 시각 경로를 동시에 자극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연구와 전문가 지침이 불충분한 경우 일반적인 교육 과학과 이론이 교육 전략을 안내할 수 있습니다.

Online curricula can incorporate multimedia, interactivity, and virtual social components to allow for more flexible, accessible, and individualized learning than traditional classroom-based models. Although there is no formula for optimal online learning,22,23 evidence and principles exist to guide selection of educational strategies. For example,

  • studies have suggested that practice exercises, spaced repetition, feedback, and a social presence are most effective for achieving higher-order learner objectives.6,24 
  • Guidelines for content layout and incorporating multimedia25,26 endorse “chunking” information, combining graphics and words, and simultaneously stimulating auditory and visual pathways.
  • When studies and expert guidelines are insufficient, general educational science and theory can guide educational strategies.

대부분의 온라인 커리큘럼은 커리큘럼 콘텐츠를 저장 및 전달하고 평가 및 평가를 용이하게 하는 소프트웨어인 학습 관리 시스템(LMS)을 통해 전달됩니다. 많은 교육기관이 이미 LMS 공급업체와 계약을 맺었지만 일부 LMS는 오픈 액세스 방식입니다. LMS는 테크놀로지 지원을 제공할 수 있지만 커리큘럼 옵션을 제한할 수도 있습니다. 새로운 테크놀로지는 인터넷 접속이 원활하지 않은 환경에서도 '온라인 커리큘럼'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며,27 이러한 테크놀로지가 LMS와 어떻게 연동되는지에 따라 교육 전략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커리큘럼 내에서 LMS 선택 및 교육 설계를 결정할 때는 LMS 옵션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Most online curricula are delivered through learning management systems (LMSs), software that stores and delivers curricular content and facilitates assessment and evaluation. Some LMSs are open-access, although many institutions have already contracted with LMS vendors. LMSs can offer technical support but may also constrain curricular options. New technologies make it possible to access “online curricula” despite poor Internet access,27 and how these interface with LMSs may further influence educational strategies. Knowing characteristics of one’s LMS options is important for LMS selection and instructional design decisions within the curriculum.

기존 커리큘럼을 온라인 형식으로 전환하면 교수진과 학습자 간의 동기식 상호 작용을 유지하면서 더 많은 청중에게 다가갈 수 있고 강의실 공간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웹 회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라이브 세션이 포함된 완전 온라인 커리큘럼과 같은 온라인 동기식 세션을 사용하면 기존의 대면 방식을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특수 온라인 미디어 룸을 사용하면 강사가 학습자의 표정과 몸짓을 관찰하는 등 실시간으로 학습자를 볼 수 있으므로 기존 강의실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학습자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방식을 비동기식 온라인 형식에 적용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유사한 방식이 존재하고(표 2) 대부분의 LMS와 호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Converting a traditional curriculum to an online format can allow faculty to reach a larger audience and overcome classroom space limitations while maintaining synchronous interactions between faculty and learners. Adapting traditional face-to-face methods can be made straightforward by using online synchronous sessions, such as fully online curricula with live sessions that use web conferencing software. Use of special online media rooms can simulate traditional classrooms as an instructor can view learners in real time, including observing facial expressions and body language. Adapting traditional methods to asynchronous online formats, often to increase learner flexibility, is less straightforward, although analogous methods exist (Table 2) and are compatible with most LMSs.

저작권 및 공정 사용 원칙은 온라인 커리큘럼에 사용할 콘텐츠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입니다. 

  • 저작권은 원본 콘텐츠의 제작자가 배포를 승인할 수 있는 법적 권리입니다.
  • 공정 사용은 저작권이 있는 저작물을 교육 목적으로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됩니다. 그러나 자료가 온라인으로 널리 배포되거나 온라인 커리큘럼에 대한 요금이 부과되는 경우에는 공정 사용 원칙이 더 이상 적용되지 않을 수 있으며, 법률 상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저작권법은 국가마다 다르며 무엇이 공정 사용으로 간주되는지는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28 저작권 규정을 위반하지 않으려면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콘텐츠 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적절한 저작자 표시를 통해 원본 저작물의 공유를 허용하는 라이선스)가 있는 콘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29

Principles of copyright and fair use are major considerations when choosing the content for online curricula.

  • Copyright is the legal right of a creator of original content to authorize its distribution.
  • Fair use applies to limited use of a copyrighted work for educational purposes. However, when material is widely distributed online or there is a charge for online curricula, the principle of fair use may no longer apply, and legal consultation may be needed.
  • Copyright laws vary internationally, and what is considered fair use is subject to interpretation.28 To avoid violating copyright regulations, consider using publicly available content or content with a Creative Commons license (which permits sharing of an original work with appropriate author attribution).29

마지막으로 예산은 방법 선택에 영향을 미칩니다텍스트와 기성 그래픽은 일반적으로 비용이 저렴하지만, 맞춤형 그래픽과 전문 동영상은 제작 비용이 수백 또는 수천 달러에 달할 수 있습니다. 먼저 목표에 부합하는 여러 전략을 파악한 다음 사용 가능한 리소스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Finally, budgets influence choice of methods. Text and ready-made graphics are typically inexpensive, whereas custom graphics and professional videos can cost hundreds or thousands of dollars to produce. We recommend first identifying multiple strategies congruent with one’s objectives, and then selecting based on available resources.

5단계: 구현
Step 5: Implementation

일반 원칙
General principles

5단계에서는 교육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자원(예: 인력, 시간, 공간 및 자료, 자금), 정치적 지원, 행정 메커니즘을 식별, 조달,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파일럿은 정식 시행에 앞서 학습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커리큘럼이 혁신적이거나 학습자가 회의적인 경우에는 우호적인 청중을 대상으로 파일럿을 실시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복잡한 커리큘럼은 리소스를 집중하고 초기 성공 가능성을 극대화하며 더 많은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 별도의 세그먼트로 단계적으로 도입할 수 있습니다. 
Step 5 involves the identification, procurement, and appropriate use of resources (e.g., personnel, time, space and materials, funding), political support, and administrative mechanisms to implement the curriculum. Piloting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vise a curriculum, based on learner experience, prior to full implementation. When the curriculum is innovative or learners are skeptical, piloting on a friendly audience is wise. Complicated curricula may be phased in as separate segments to focus resources, maximize the likelihood of initial success, and create demand for more.

특별 고려 사항
Special considerations

온라인 커리큘럼은 더 많은 인력과 재정적 요구 사항, 다양한 대상에게 배포해야 하는 어려움, 학습자와 참여 교수진 모두 온라인 교육에 익숙해져야 하기 때문에 기존 커리큘럼보다 구현이 더 복잡한 경우가 많습니다30. 교육기관마다 테크놀로지에 투자하는 방식은 다르지만,31 온라인 CD를 교육기관의 우선순위에 맞게 조정하면 복잡성을 관리하고 CD를 간소화하는 데 필수적인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Implementation for online curricula is often more complex than for traditional curricula30 because of greater personnel and financial requirements; challenges of disseminating to large, diverse audiences; and the need to familiarize both learners and participating faculty with online instruction. Although academic centers vary in how they invest in technology,31 aligning online CD with institutional priorities can provide access to essential resources to manage complexities and streamline CD.

온라인 커리큘럼을 탐색하는 것이 간단해 보이는 경우에도 학습자와 교수진에게 지침과 데모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 교육기관에서는 LMS 탐색을 도입하는 온라인 커리큘럼을 필수로 제공합니다. 온라인 커리큘럼에는 처음에 탐색을 위한 간단한 지침이 포함될 수도 있습니다. 커리큘럼을 진행하는 동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테크놀로지 지원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LMS 공급업체에서 테크놀로지 지원을 제공하지 않거나 여러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교육기관 또는 후원 조직에서 테크놀로지 지원을 제공하여 교직원의 중요한 리소스가 테크놀로지 문제 해결에 전용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Providing instructions and demonstrations for learners and faculty is often necessary even when navigating online curricula seems straightforward. Some institutions have prerequisite online curricula that introduce LMS navigation. Online curricula can also include brief instructions for navigation at the outset. Ongoing technical support to troubleshoot issues during the curriculum is often necessary. If the LMS vendor does not provide technical support or if multiple systems are used, the institution or sponsoring organization will need to provide technical assistance to avoid diverting significant faculty resources to overcoming technical issues.

교수진은 혼합형 커리큘럼을 개발할 때 온라인 요소를 독립적으로 통합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온라인 CD의 다양한 측면에 익숙한 팀원과 협력하는 것이 좋습니다(표 3). 교수는 일반적으로 교수 설계자, 프로젝트 관리자 및/또는 미디어 테크놀로지자(예: 비디오그래퍼, 그래픽 디자이너)와 협력하여 주제별 전문가(SME)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부록 디지털 부록 1(https://links.lww.com/ACADMED/A625)은 온라인 CD 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용어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Although faculty can independently incorporate online elements when developing blended curricula, one should generally seek to work with team members familiar with different aspects of online CD (Table 3). Faculty usually serve as subject matter experts (SMEs) in collaboration with instructional designers, project managers, and/or media technicians (e.g., videographers, graphic designers).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available at https://links.lww.com/ACADMED/A625, provides a guide to common terminology that can be used by online CD teams.

리소스 생성 및 커리큘럼 설계에 소요되는 선행 시간은 상당한 경우가 많습니다. 중소기업에서 요구하는 시간은 계획된 커리큘럼의 복잡성과 다른 CD 팀원의 가용성, 경험 및 스킬에 따라 달라집니다.32 Delgaty는 강사 주도의 완전 온라인 커리큘럼을 개발한 경험을 바탕으로 커리큘럼 활동 1시간당 7시간의 교수 시간4을 제안합니다.33 커리큘럼 중 토론 게시판 진행과 같은 활동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Delgaty4는 학생 활동 1시간당 4시간의 교수 시간이 필요하다고 추산합니다. 교수진이 정기적인 커리큘럼 주기에 참여할 수 없을 것 같으면 자기 주도형 커리큘럼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커리큘럼은 생성 후 교수진의 지속적인 입력이 필요하지 않지만, 훨씬 더 많은 교수자의 사전 시간이 필요합니다. 프로젝트 관리자 없이 새로운 LMS에서 3시간짜리 자기 주도형 모듈 시리즈를 개발하기 위해 3명의 교수진으로 구성된 저희 팀은 각 커리큘럼 활동의 각 시간에 대해 25시간 이상 계획하고 피드백하는 데 투자했습니다. 중소기업과 개발 팀의 다른 사람들이 사용 가능한 시간을 파악하면 온라인 커리큘럼 옵션 중에서 적절한 선택을 하고 지속 가능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표 1). 
Upfront time for resource creation and curricular design is often substantial. Time demanded from SMEs depends on the complexity of the planned curriculum and the availability, experience, and skills of other CD team members.32 Delgaty proposes an estimate of 7 hours of faculty time for each 1 hour of curricular activity4 based on her experience developing an instructor-led fully online curriculum.33 Activities such as moderating discussion boards during the curriculum can be time-consuming; Delgaty4 estimates that 4 hours of faculty time per hour of student activity was necessary. If faculty are unlikely to be available for regular cycles of the curriculum, self-paced curricula may be a prudent choice. Such curricula require no ongoing faculty input after creation, but require much more upfront faculty time. To develop a 3-hour series of self-paced modules in a new LMS without a project manager, our team of 3 faculty each devoted more than 25 hours of planning and feedback for each hour of curricular activity. Having a sense of the time available to SMEs and others on the development team allows one to make appropriate selections among online curricular options and ensure sustainability (Table 1).

온라인 커리큘럼의 개방적인 특성으로 인해 기밀 유지 및 접근성에 관한 규정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미국 의학교육의 예로는 다음 등이 있습니다. 

  • 개인 건강 정보를 보호해야 하는 의료보험 이동성 및 책임에 관한 법률(HIPAA),
  • 학생 정보를 기밀로 유지해야 하는 가족교육권 및 개인정보 보호법(FERPA),
  • 장애인(청각 또는 시각 장애를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음)이 교육 과정에 접근할 수 있도록 요구하는 미국 장애인법(ADA)

대부분의 교육기관 LMS는 이미 기밀 유지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있으므로, CD 팀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콘텐츠에 캡션을 추가하고 '대체 태그'(시각 장애인을 위해 이미지 대신 표시되는 문구)를 제공함으로써 접근성 요구 사항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The open nature of online curricula requires attention to regulations governing confidentiality and accessibility. U.S. medical education examples include

  • the 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HIPAA), which requires that personal health information be protected;
  • the Family Educational Rights and Privacy Act (FERPA), which requires that student information be kept confidential; and
  • the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ADA), which requires that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hearing or vision impairment) have access to the curriculum.

Because most institutional LMSs already ensure that confidentiality requirements are met, the CD team can usually focus on accessibility requirements by captioning video content and providing “alt tags” (wording that appears in place of images for the visually impaired).

온라인 커리큘럼 예산은 상당히 다양하며(표 1) 개발, 구현 및 유지 관리 비용을 포함해야 합니다. 일부 교수진은 사용 가능한 리소스에 맞게 목표와 목적을 축소하는 반면, 다른 교수진은 1단계와 2단계에서 파악한 문제와 요구 사항의 강도에 따라 추가 리소스를 성공적으로 확보할 수 있습니다.
Online curricular budgets range considerably (Table 1) and should include the cost of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maintenance. Some faculty scale back goals and objectives to fit available resources, while others may successfully garner additional resources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problem identification and needs demonstrated during Steps 1 and 2.

온라인 커리큘럼은 무료 개방형 접근 방식, 유료 접근 방식,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예: 누구나 접근할 수 있지만 교육 학점을 받으려면 비용을 지불해야 함) 중 하나를 채택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커리큘럼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CME 활동 유형으로, 2016년에 13억 달러의 등록비가 발생했습니다.34 MOOC는 보통 자격증에 25달러에서 50달러를 청구하며, 인기 있는 MOOC는 직접 수익으로 상당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독립적으로 수익성이 없는 온라인 커리큘럼은 보완적인 학업 프로그램 등록을 위한 광고로서 가치가 있을 수 있습니다.
Online curricula can be free and open-access, require payment for access, or adopt a hybrid approach (e.g., anyone may access, but receiving educational credit requires payment). Online curricula are the most-used type of CME activity, which generated $1.3 billion in registration fees in 2016.34 MOOCs often charge $25 to $50 for a certificate; popular MOOCs can generate significant returns as direct revenue. Online curricula that are not independently profitable may be valuable as advertising for enrollment in complementary academic programs.

수강료를 부과하면 커리큘럼 수정 및 유지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온라인 커리큘럼의 활용도와 영향력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수강료를 부과할 계획이라면 추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 온라인 커리큘럼을 결제 포털과 어떻게 통합할 것인가?
  • 개인 또는 교육기관이 수수료를 지불할 것인가?
  • 개별 커리큘럼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수수료를 부과할 것인가, 아니면 시간 제한을 기준으로 부과할 것인가?
  • 커리큘럼 교수진, 해당 부서 또는 학과, 교육기관 간에 수익이 어떻게 배분됩니까?

Charging fees can support curriculum revision and maintenance, but may limit the uptake and impact of an online curriculum. If planning to charge fees, one must consider additional factors:

  • How will the online curriculum integrate with a payment portal?
  • Will fees be paid by individuals or institutions?
  • Will fees be based on individual curricular components or on a time-limited basis?
  • How will revenue be distributed among curriculum faculty, their divisions or departments, and the institution?

커리큘럼을 광범위하게 배포하려는 교수진은 브랜딩 문제(조직의 이름 또는 로고 사용에 관한 정책)도 고려해야 하며, 지적 재산권 소유권도 고려해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커리큘럼 개발자는 커리큘럼의 일부가 통제 범위를 벗어나 원치 않는 사용, 변경 또는 배포되지 않도록 보호하고자 할 수 있으며, 우려되는 경우 법률 자문을 구해야 합니다.
Faculty seeking to disseminate curricula broadly must also consider issues of branding—the policies governing use of an organization’s name or logo—and may need to consider intellectual property ownership. Curriculum developers may also wish to protect parts of their curricula from undesired use, alteration, or dissemination beyond their control and, where concerns exist, should seek legal advice.

6단계: 평가 및 피드백
Step 6: Evaluation and Feedback

일반 원칙
General principles

6단계에서는 커리큘럼이 성공적인지,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 평가합니다. 여기에는 다음의 10가지 작업이 포함됩니다.

  • 평가 사용자 식별, 
  • 사용자 요구 사항 명시, 
  • 평가 질문의 우선순위 지정, 
  • 평가 설계(예: 사후 시험만, 사전/사후 시험, 비교 그룹) 선택, 
  • 평가 방법 선택, 
  • 도구 구성, 
  • 윤리적 문제(예: 기밀성) 해결, 
  • 데이터 수집, 
  • 데이터 분석, 
  • 결과 보고 등 

6단계에는 개별 참가자에 대한 평가프로그램의 구조, 프로세스 및 결과에 대한 평가가 포함됩니다. 정성적 및 정량적 데이터는 형성적 및 종합적 목적으로 수집되어야 합니다. 평가 방법론은 실현 가능하고 교육 목표와 일치해야 합니다.
Step 6 evaluates whether the curriculum was successful and how it can be improved. It includes 10 tasks:

  • identifying evaluation users,
  • articulating user needs,
  • prioritizing evaluation questions,
  • choosing evaluation designs (e.g., posttest only, pre/posttest, comparison group),
  • selecting evaluation methods,
  • constructing instruments,
  • addressing ethical concerns (e.g., confidentiality),
  • collecting data,
  • analyzing data, and
  • reporting results.

Step 6 includes assessment of individual participants and evaluation of the program’s structures, processes, and outcom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should be collected for formative and summative purposes. Evaluation methodology must be feasible and congruent with educational objectives.

특별 고려 사항
Special considerations

  • 혼합형 커리큘럼은 대면 세션을 포함하므로 기존 커리큘럼과 동일한 평가 옵션을 제공합니다.
  • 완전 온라인 커리큘럼에서도 교수자는 LMS를 통해 업로드된 문서 및 멀티미디어 파일을 검토하고 온라인 토론에 대한 참여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 자기 주도형 모듈과 MOOC는 일반적으로 자동 채점이 필요하므로 평가 옵션이 가장 적습니다.
    • MOOC는 동료 채점도 제공하지만, 이는 타당성을 보장하고 학습자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 신중하게 설계되어야 하며, 비슷한 배경을 가진 등록자를 짝지어 동료 평가의 품질을 교수자의 평가와 비교하여 보정하고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35
  • Blended curricula offer the same assessment options as traditional curricula because they include face-to-face sessions.
  • Even in fully online curricula, instructors can review uploaded documents and multimedia files through an LMS and track participation in online discussions.
  • Self-paced modules and MOOCs have the fewest assessment options as both typically require automated grading.
    • MOOCs also offer peer grading, although this must be thoughtfully designed to ensure validity and enhance learner engagement; pairing enrollees of similar backgrounds and calibrating and weighting the quality of peer assessments against the instructor’s may be beneficial.35

온라인 형성 평가의 경우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면 언제 어디서나 평가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학습 대시보드는 학습자에게 자신의 응답이 다른 사람과 어떻게 비교되는지 실시간으로 보여줄 수 있습니다. 게임화 기능은 학습자의 노력과 집중력을 높여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36,37 온라인 총괄 평가의 경우 시험 보안 및 무결성을 위한 안전장치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For online formative assessments, mobile devices can allow assessments to occur at any time and in any location. Learning dashboards can show learners how their responses compare to others in real time. Gamification features can help learners increase effort and focus to enhance learning.36,37 For online summative assessments, safeguards for exam security and integrity are often necessary.

온라인 커리큘럼의 평가에는 일반적으로 다음이 포함되어야 합니다.38 

  • 사용성, 재사용 가능성, 지속 가능성, 학습자 경험, 테크놀로지에 대한 만족도 등 비전통적 요소를 평가
  • 프로세스/구현에 대한 보다 강력한 평가

온라인 커리큘럼은 또한 신속한 평가 및 조정을 위해 두 가지 대안을 비교하는 "A/B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학습자가 커리큘럼에 참여하는 동안 데이터를 전자적으로 수집해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비교 그룹(식별 및 접근이 어려울 수 있음)을 사용하거나 종단적 추적 관찰이 필요한 평가(학습자가 분산되어 있어 응답률이 낮을 수 있음)와 같은 특정 평가 설계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Evaluation of online curricula should generally include

  • a more robust evaluation of process/implementation,
  • assessing nontraditional factors such as usability, reusability, sustainability, learner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the technology.38 

Online curricula also offer the opportunity to conduct “A/B testing,” where two alternatives are compared with rapid evaluation and adjustment. Because data often must be collected electronically during learners’ participation in the curriculum, certain evaluation designs might be challenging, such as those using a comparison group (which might be difficult to identify and access) or those requiring longitudinal follow-up (where response rates might be low because learners are dispersed).

온라인 커리큘럼 평가 및 평가는 교육과 학습의 과학을 발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플랫폼은 학습자의 위치 및 커리큘럼 참여 시간과 같은 변수를 자동으로 추적합니다. 비교적 새로운 분야인 학습 분석은 온라인 학습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측 모델을 만들고 학습자를 실시간으로 안내합니다. 많은 학습자의 평가를 자동으로 대조하여 코호트 전체와 시간 경과에 따른 성과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위치 및 시간 정보와 빈번하고 반복적인 평가를 결합하여 생성된 "빅 데이터"39를 활용하면 학습이 발생하는 방식을 더욱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40,41 
Online curricular assessments and evaluations provide new opportunities to advance the science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example, most platforms automatically track variables such as the locations of learners and time spent engaging in the curriculum. The relatively new field of learning analytics uses data from online learning to create predictive models and guide learners in real time. Assessments can be automatically collated for large numbers of learners to track performance across cohorts and over time. Harnessing the “big data”39 generated by combining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with frequent and repeated assessments has the potential to provide greater granularity for how learning occurs.40,41

유지 관리 및 개선
Maintenance and Enhancement

일반 원칙
General principles

완벽한 커리큘럼은 없습니다. 교육과정을 완전히 시행한 후에는 6단계의 모든 요소를 재검토하여 필요한 리소스와 지원이 확보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갱신해야 합니다. 커리큘럼 콘텐츠와 디자인은 최신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며 중요한 의료 요구사항에 맞춰 조정되어야 합니다. 리소스 제약을 고려하여 개정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수립해야 합니다. 
No curriculum is perfect. After full curriculum implementation, all elements of the Six Steps should be revisited to ensure that necessary resources and support remain secure and that the curriculum undergoes continuous renewal. Curricular content and design should remain up-to-date and aligned with important health care needs. One needs to establish processes for prioritizing and managing revisions, given resource constraints.

특별 고려 사항
Special considerations

온라인 커리큘럼에서는 커리큘럼 팀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유지하는 것 외에도 연간 LMS 사용료를 지불하고 지속적인 테크놀로지 지원을 위한 자금을 마련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In online curricula, in addition to maintaining financial support for the curricular team, it is often necessary to pay annual LMS fees and fund ongoing technical support.

많은 온라인 커리큘럼이 전통적인 학사 일정을 따르지 않으므로 커리큘럼 콘텐츠 및 방법의 수정은 시기, 콘텐츠 유형, 학습자의 기대치, 온라인 CD 팀의 가용성 및 예산에 따라 달라집니다. 콘텐츠와 교육 방법을 최신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이러한 변화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리소스와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Because many online curricula do not conform to a traditional academic calendar, the revision of curricular content and methods will depend on timing, type of content, learner expectations, availability of the online CD team, and budget. Keeping content and educational methods on the cutting edge must be balanced with the resources required to implement such changes.

학술활동으로서의 온라인 커리큘럼
Online Curricula as Scholarship

일반 원칙
General principles

일부 교육기관에서는 학술활동에 대한 정의의 변화를 인정하고 있지만,39,42,43 대부분의 교육기관은 6단계(각 단계마다 학술활동 기회를 제공)를 진행함으로써 충족할 수 있는 Glassick의44 잘 알려진 기준을 지지합니다.45 

  • 1단계와 2단계에서는 적절한 준비와 명확한 목표를, 
  • 3단계에서는 이러한 목표를 명확히 하고 적절한 방법을(4단계와 5단계), 
  • 6단계에서는 중요한 결과와 반성적인 비평을 도출합니다. 

대부분의 전통적인 커리큘럼이 진정한 학술활동이 되기에는 부족한 부분은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의 영역이며, 이 영역에서는 동료 검토를 위한 배포와 가용성이 필요합니다.
Although some institutions have recognized changing definitions of scholarship,39,42,43 most endorse Glassick’s44 well-accepted criteria, which can be satisfied by proceeding through the Six Steps (with each step offering opportunities for scholarship).45 

  • Steps 1 and 2 ensure adequate preparation and clear goals,
  • Step 3 articulates those goals and leads to appropriate methods (Steps 4 and 5), and
  • Step 6 yields significant results and reflective critique.

Where most traditional curricula fall short of becoming true scholarship is in the realm of effective presentation, which requires dissemination and availability for peer review.

특별 고려사항
Special considerations

전파는 실제 커리큘럼이 소속 교육기관을 넘어 확산되거나 커리큘럼 관련 작업의 발표 또는 출판을 통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4 MedEdPORTAL과 같은 일부 커리큘럼 저장소에서는 자료를 온라인에 게시하기 전에 동료 검토를 요구합니다. MOOC 또는 자기 주도형 모듈과 같은 온라인 커리큘럼은 많은 청중에게 제공되므로 정의상 "배포"된 것으로 간주되며, 이러한 커리큘럼에 대한 동료 검토는 평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온라인 커리큘럼의 평가를 공유하면 대상 그룹의 지식 또는 스킬에 대한 지역, 국가 또는 국제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46,47 
Dissemination can occur by the spread of the actual curriculum beyond one’s home institution or by presentation or publication of curriculum-related work.4 Some curriculum repositories, such as MedEdPORTAL, require peer review before materials are placed online. Online curricula such as MOOCs or self-paced modules are by definition “disseminated” as they are made available to large audiences; peer review of these curricula can occur through their evaluations. Sharing evaluations from online curricula can also provide regional, national, or international information on the knowledge or skills of targeted groups.46,47

혼합형 및 교수자 주도형 커리큘럼에는 이미지, 사례 연구, 도표 또는 다른 환경에서 공유하고 재사용할 수 있는 평가와 같은 구성 요소인 재사용 가능한 학습 객체(RLO)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엄격한 개발 및 평가를 거친 RLO는 학술활동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Blended and instructor-led curricula often contain reusable learning objects (RLOs)—components such as images, case studies, diagrams, or assessments that can be shared and reused for other settings. RLOs that have undergone rigorous development and evaluation can qualify as scholarship.

보건 전문직 교수진도 온라인 학습과 관련된 교육 학술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할 수 있습니다. 체계적인 CD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생성된 정보는 학습을 표준화 및 개별화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킵니다. 커리큘럼과 커리큘럼 구성 요소를 공유하면 노력의 중복을 줄이고, 각 작업의 영향을 받는 학습자의 수를 확대하며, 전문성 향상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Health professions faculty can also pursue opportunities to engage in educational scholarship around online learning. Information generated from applying a methodical CD process advances our understanding of how to both standardize and individualize learning. Sharing curricula and curricular components will reduce duplication of effort, expand the number of learners influenced by each work, and promote professional advancement.

결론적 관찰
Concluding Observations

의료 교육에 대한 온라인 접근 방식은 중복되는 CD 노력을 줄이고, 커리큘럼의 질을 높이며, 많은 학습자의 성취도를 문서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비동기적이고 자기 주도적일 수 있으며, 학습자와 교육자에게 더 개인화되고 시간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비교적 많은 초기 리소스 투자가 필요할 수 있지만, 교육 및 평가의 이점, 지리적 및 제도적 경계를 넘어서는 도달 범위, 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력을 고려하면 이러한 노력을 정당화할 수 있습니다. 6단계 접근법을 온라인 CD의 특수한 요소에 대한 이해와 함께 적용하면 보다 효과적이고 학술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Online approaches to health care education can reduce duplicative CD efforts, increase the quality of curricula, and document achievement by a large number of learners. They can be, to varying degrees, asynchronous and self-paced, and potentially more personalized and time-efficient for learners and educators. Although they may require a relatively large upfront investment of resources, their instructional and assessment advantages, their reach across geographical and institutional boundaries, and their potential to affect health care outcomes can justify the effort. Applying the Six-Step Approach with an understanding of factors particular to online CD can lead to more effective and scholarly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Acad Med. 2019 May;94(5):678-685. doi: 10.1097/ACM.0000000000002580.

 

 

From Modules to MOOCs: Application of the Six-Step Approach to Online Curriculum Development for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

1B.Y. Chen is director,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in Curriculum Development,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assistant professor,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Johns Hopkins Bayview Medical Center, Baltimore, Maryland; ORCID: http://orcid.org/0000-0002-9905-6180. D.E. Kern is emeritus professor of medicine, past director,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in Curriculum Development,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past director,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Johns Hopkins Bayview Medical Center, Baltimore, Maryland; ORCID: http://orcid.org/0000-0002-9327-6190. R.M. Kearns is director, Online Educa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altimore, Maryland. P.A. Thomas is professor of medicine and vice dean for medical education,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leveland, Ohio. M.T. Hughes is assistant professor of medicine,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and coeditor, Johns Hopkins Internal Medicine Ambulatory Care Curriculum on PEAC: Physician Education and Assessment Center, Johns Hopkins School of Medicine, Baltimore, Maryland. S. Tackett is assistant professor of medicine and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director,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Johns Hopkins Bayview Medical Center, Baltimore, Maryland; ORCID: http://orcid.org/0000-0001-5369-7225.

PMID: 30681454

DOI: 10.1097/ACM.0000000000002580

Abstract

Online curricula can make high-quality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ccessible in virtually any setting. They can enhance teaching and learning by both standardizing curricular resources and individualizing curricular experiences. Despite growing demand for and institutional interest in online curricula for medical education, many medical educators lack a framework for online curriculum development. Without rigorous and thoughtful development, online curricula can waste opportunity and resources by leading to education that is inferior to traditional methods. In this article, the authors describe a systematic approach to online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the Six-Step Approach for Curriculum Development for Medical Education, a widely used method that has led to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variety of traditional and online curricula. In each step, special considerations for curricula with larger and more diverse learner audiences-characteristic of many online curricula-are highlighted. Four common online curricular formats are also discussed: blended curricula, instructor-led fully online curricula, self-paced modules, and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 The authors emphasize factors that differentiate one online format from another, including the budgetary, technical, and human resource requirements for each. The article concludes by urging medical educators to pursue opportunities to study and disseminate online curricular work.

교수자 준비에 테크놀로지 통합을 위한 PICRAT 모델(Contemporary Issues in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2020)
The PICRAT Model for Technology Integration in Teacher Preparation
Royce Kimmons, Charles R. Graham, & Richard E. West

교육 테크놀로지 통합을 위해서는 교사 교육자가 다음과 씨름해야 합니다. 

  • (a) 끊임없이 변화하고 정치적으로 영향을 받는 전문적 요구 사항,
  • (b)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교육 테크놀로지 리소스,
  • (c) 콘텐츠 분야와 맥락에 따른 다양한 요구 사항

교사는 학생들이 미래에 교육용 테크놀로지를 어떻게 사용할지 또는 교직 생활 동안 테크놀로지가 어떻게 변화할지 예측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학생 교사가 의미 있고 효과적이며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테크놀로지 통합을 실천하도록 교육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이론적 모델인 PICRAT을 제안합니다. 
Teaching technology integration requires teacher educators to grapple with

  • (a) constantly changing, politically impacted professional requirements,
  • (b) continuously evolving educational technology resources, and
  • (c) varying needs across content disciplines and contexts.

Teacher educators cannot foresee how their students may be expected to use educational technologies in the future or how technologies will change during their careers. Therefore, training student teachers to practice technology integration in meaningful, effective, and sustainable ways is a daunting challenge. We propose PICRAT, a theoretical model for responding to this need.

현재 학생 교사가 효과적인 테크놀로지 통합을 개념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이론적 모델이 사용되고 있는데, 여기에는 다음 등이 있다.

  • 테크놀로지, 페다고지 및 콘텐츠 지식(TPACK; Koehler & Mishra, 2009),
  • 대체-증강-수정-재정의(SAMR; Puentedura, 2003),
  • 테크놀로지 통합 계획(TIP; Roblyer & Doering, 2013),
  • 테크놀로지 통합 매트릭스(TIM; Harmes, Welsh, & Winkelman, 2016),
  • 테크놀로지 수용 모델(TAM; Venkatesh, Morris, Davis, & Davis, 2003),
  • 테크놀로지 통합 수준(LoTi; Moersch, 1995),
  • 대체 - 증폭 - 변환(RAT; Hughes, Thomas, & Scharber, 2006) 

Currently, various theoretical models are used to help student teachers conceptualize effective technology integration, including

  • 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 (TPACK; Koehler & Mishra, 2009),
  • Substitution – Augmentation – Modification – Redefinition (SAMR; Puentedura, 2003),
  • Technology Integration Planning (TIP; Roblyer & Doering, 2013),
  • Technology Integration Matrix (TIM; Harmes, Welsh, & Winkelman, 2016),
  •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Venkatesh, Morris, Davis, & Davis, 2003),
  • Levels of Technology Integration (LoTi; Moersch, 1995), and
  • Replacement – Amplification – Transformation (RAT; Hughes, Thomas, & Scharber, 2006).

이러한 모델은 교육 테크놀로지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접근을 정당화하기 위해 문헌 전반에 걸쳐 일반적으로 참조되지만, 교육 테크놀로지 연구를 개선하거나 교육 테크놀로지 통합을 위한 효과성, 정확성 또는 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이론적 비판과 최소한의 평가 작업은 거의 찾아볼 수 없습니다(Kimmons, 2015; Kimmons & Hall, 2017). 이러한 모델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분류 및 비교하고, 지속적인 개발을 지원하고, 모델을 채택하기 위한 가정과 프로세스를 이해하거나, 이 영역에서 무엇이 좋은 이론을 구성하는지 탐구하는 데 노력을 기울인 연구자는 상대적으로 적습니다(Archambault & Barnett, 2010; Archambault & Crippen, 2009; Brantley-Dias & Ertmer, 2013; Graham, 2011; Graham, Henrie, & Gibbons, 2014; Kimmons, 2015; Kimmons & Hall, 2016a, 2016b, 2017). 
Though these models are commonly referenced throughout the literature to justify methodological approaches for studying educational technology, little theoretical criticism and minimal evaluative work can be found to gauge their efficacy, accuracy, or value, either for improving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or for teaching technology integration (Kimmons, 2015; Kimmons & Hall, 2017). Relatively few researchers have devoted effort to critically evaluating these models, categorizing and comparing them, supporting their ongoing development, understanding assumptions and processes for adopting them, or exploring what constitutes good theory in this realm (Archambault & Barnett, 2010; Archambault & Crippen, 2009; Brantley-Dias & Ertmer, 2013; Graham, 2011; Graham, Henrie, & Gibbons, 2014; Kimmons, 2015; Kimmons & Hall, 2016a, 2016b, 2017).

즉, 교육 테크놀로지자들은 경쟁 모델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그 사용법을 이해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하는 모델을 탐구하지 않고 쿤(1996)이 "정상적인 과학"이라고 간주한 것에 크게 관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실용적인 테크놀로지 통합을 형성하는 이론과 현실에 대한 비판적 담론에 참여하지 않는 것은 실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Selwyn(2010)이 "지난 25년간의 교육 테크놀로지 장학의 대부분을 관통하는 수사학과 현실 사이의 명백한 불균형"(66쪽)으로 이어져 교육 테크놀로지에 대한 약속을 상대적으로 실현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In other words, educational technologists seem to be heavily involved in what Kuhn (1996) considered “normal science” without critically evaluating competing models, understanding their use, and exploring their development over time. Reticence to engage in critical discourse about theory and realities that shape practical technology integration has serious implications for practice, leading to what Selwyn (2010) described as “an obvious disparity between rhetoric and reality [that] runs throughout much of the past 25 years of educational technology scholarship” (p. 66), leaving promises of educational technologies relatively unrealized.

현존하는 모델과 실천의 이론적 토대에 대한 비판적 논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우리는 다음 등의 개념적 틀을 제시합니다. 

  • (a) 이론적 모델이 무엇이며 교육 테크놀로지 통합에 왜 필요한지,
  • (b)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채택되고 개발되는지,
  • (c) 무엇이 좋은지 나쁜지,
  • (d) 기존 테크놀로지 통합 모델이 교사 준비에 어려움을 일으키는지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학생 교사가 테크놀로지 통합 소양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적 모델, 즉 휴즈 외(2006)의 이전 연구를 기반으로 한 PICRAT을 제안합니다.
Needing a critical discussion of extant models and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practice, we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including

  • (a) what theoretical models are and why we need them for teaching technology integration,
  • (b) how they are adopted and developed over time,
  • (c) what makes them good or bad, and
  • (d) how existing models of technology integration cause struggle in teacher preparation.

With this backdrop, we propose a new theoretical model, PICRAT, built on the previous work of Hughes et al. (2006), which can guide student teachers in developing technology integration literacies.

이론적 모델
Theoretical Models

저자들은 종종 모델, 이론, 패러다임, 프레임워크와 같은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합니다(예: 파라데이그마는 그리스어로 패턴, 삽화 또는 모델을 의미함; 참조: Dubin, 1978; Graham et al., 2014; Kimmons & Hall, 2016a; Kimmons & Johnstun, 2019; Whetten, 1989). 그러나 테크놀로지 통합 모델에 대해서는 이론적 모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우리가 논의하는 구성의 개념적, 조직적, 반영적 특성을 함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Authors frequently use terms such as model, theory, paradigm, and framework interchangeably (e.g., paradeigma is Greek for pattern, illustration, or model; cf. Dubin, 1978; Graham et al., 2014; Kimmons & Hall, 2016a; Kimmons & Johnstun, 2019; Whetten, 1989). However, we rely on the term theoretical model for technology integration models, as it encapsulates the conceptual, organizational, and reflective nature of constructs we discuss.

모델 목적 및 구성 요소
Model Purposes and Components

이론적 모델은 현상을 개념적으로 표현하여 개인이 개별적으로나 상호 작용적으로 자신의 경험을 조직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하드 과학과 사회 과학의 모든 학문은 이론적 모델을 활용하며, 전문가들은 본질적으로 질서정연하지 않고 복잡하며 지저분한 자연 및 사회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이러한 모델을 사용합니다. 이론 개발에 관한 Dubin(1978)의 방대한 연구를 요약한 Whetten(1989)은 모든 이론적 모델의 네 가지 필수 요소인 '무엇을, 어떻게, 왜, 누가/어디서/언제'를 설명했습니다.
A theoretical model conceptually represents phenomena, allowing individuals to organize and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both individually and interactively. All disciplines in hard and social sciences utilize theoretical models, and professionals use these models to make sense of natural and social worlds that are inherently unordered, complex, and messy. Summarizing Dubin’s (1978) substantial work on theory development, Whetten (1989) explained four essential elements for all theoretical models: the what, how, why, and who/where/when.

첫째, 모델은 연구된 현상의 내용을 설명하는 충분한 변수, 구조, 개념 및 세부 사항을 포함하여, 이론을 포괄적이면서도 충분히 제한하여 간결성을 유지하고 지나치게 광범위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First, models must include sufficient variables, constructs, concepts, and details explaining the what of studied phenomena to make the theories comprehensive but sufficiently limited to allow for parsimony and to prevent overreaching.

둘째, 모델은 구성 요소들이 어떻게 상호 연관되어 있는지를 다루어야 합니다. 즉, 이론가들이 새로운 방식으로 세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모델의 범주화 또는 구조입니다. 
Second, models must address how components are interrelated: the categorization or structure of the model allowing theorists to make sense of the world in novel ways.

셋째, 모델은 구성 요소가 제안된 형태로 관련되어 있는 이유를 뒷받침하는 논리와 근거를 제공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일반적으로 모델의 가정이 명시적이든 암시적이든 남아 있으며, 모델의 논증력은 이론가가 모델이 합리적이라는 강력한 사례를 제시할 수 있는 능력에 달려 있습니다.
Third, models must provide logic and rationale to support why components are related in the proposed form. Herein the model’s assumptions generally linger (explicitly or implicitly); its argumentative strength relies on the theorist’s ability to make a strong case that it is reasonable.

넷째, 모델은 누가, 어디서, 언제 적용하는지를 나타내는 컨텍스트에 구속되어야 합니다. 모델은 모든 것에 대한 이론이 아니며, 모델을 특정 맥락(예: 미국 교사 교육)에 한정함으로써 이론가는 순수성을 높이고 비평가에 더 쉽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Dubin, 1978). 
Fourth, models must be bounded by a context representing the who, where, and when of its application. Models are not theories of everything; by bounding the model to a specific context (e.g., U.S. teacher education), theorists can increase purity and more readily respond to critics (Dubin, 1978).

테크놀로지 통합 모델의 등장
Emergence of Technology Integration Models

많은 교사 교육자들은 무정부적인 방식으로 또는 진영에 따라 테크놀로지 통합 모델을 채택합니다(Feyerabend, 1975; Kimmons, 2015; Kimmons & Hall, 2016a; Kimmons & Johnstun, 2019). 즉, 경쟁 모델에 대한 정당화나 비교 없이 자체 훈련을 통해 학습된 모델을 사용합니다. 문헌은 모델 비교나 선택의 근거 없이 도구가 만들어지고 연구가 구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캠프를 반영합니다(참조: Kimmons, 2015b). 각 진영은 다른 진영을 인정하지도, 그들과의 관계를 인정하지도 않은 채 고유한 언어(TPACK, TIM, TAM, SAMR, LoTi 등)를 사용합니다. 
Many teacher educators adopt technology integration models in anarchic ways or according to camps (Feyerabend, 1975; Kimmons, 2015; Kimmons & Hall, 2016a; Kimmons & Johnstun, 2019). That is, they use models enculturated to them via their own training without justification or comparison of competing models. Literature reflects these camps, as instruments are built and studies are framed without comparison of models or rationales for choice (cf. Kimmons, 2015b). Each camp speaks its own language (TPACK, TIM, TAM, SAMR, LoTi, etc.), neither recognizing other camps nor acknowledging relationships to them.

이러한 단절이 이론적 비호환성에서 비롯된 것이든 기회주의에서 비롯된 것이든(Feyerabend, 1975; Kuhn, 1996 참조), 우리는 이론적 다원주의, 즉 "다양한 모델이 서로 다른 맥락에서 적절하고 가치 있다는 것"(Kimmons & Hall, 2016a, 54쪽; Kimmons & Johnstun, 2019)에 대해 조언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하나의 이론적 관점이나 방법론을 우월한 것으로 확립하려는 패러다임 전쟁"을 수행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으며, 이를 "비생산적인 논쟁"으로 간주합니다(Burkhardt & Schoenfeld, 2003, 9쪽). 
Whether this disconnect results from theoretical incommensurability or opportunism (cf. Feyerabend, 1975; Kuhn, 1996), we advise theoretical pluralism: “that various models are appropriate and valuable in different contexts” (Kimmons & Hall, 2016a, p. 54; Kimmons & Johnstun, 2019). Thus, we do not perceive a need to conduct “paradigm wars that seek to establish a single theoretical perspective or methodology as superior,” considering such to be an “unproductive disputation” (Burkhardt & Schoenfeld, 2003, p. 9).

그러나 우리는 "어떤 [모델]도 그것이 정의하는 모든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며", "어떤 두 [모델]도 동일한 문제를 모두 해결하지 못하기 때문에"(Kuhn, 1996, 110쪽) 이론적 모델의 어포던스, 한계, 모순, 다른 모델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거의 없이 이 분야에서 이론적 모델을 지속적으로 채택하는 것은 심각한 우려 사항이라고 주장합니다. 이 분야에서 이론적 진영의 어려움은 다원주의가 아니라 진영 간의 상호 이해와 의미있는 상호 의사 소통의 부재와 경쟁 이론의 장단점을 평가하지 않고 교육자들이이를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Willingham, 2012). 여러 캠프 간에 대화하거나 다양한 캠프를 형성하는 기본 이론을 비판적으로 평가하지 않으려는 태도는 전문적인 사일로를 초래하고 우리 분야가 교육에서 테크놀로지 통합의 다면적인 복잡성과 효과적으로 씨름하는 데 방해가 됩니다.  
We contend, however, that the field’s ongoing adoption of theoretical models with little discussion of their affordances, limitations, contradictions, and relationships to others is of serious concern, because “no [model] ever solves all the problems it defines,” and “no two [models] leave all the same problems unsolved” (Kuhn, 1996, p. 110). The difficulty with theoretical camps in this field is not pluralism but absence of mutual understanding and meaningful cross-communication among camps, along with the failure to weigh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ompeting theories, revealing that educators do not take them seriously (Willingham, 2012). Unwillingness to dialogue across camps or to evaluate critically the underlying theories shaping diverse camps leads to professional siloing and prevents our field from effectively grappling with the multifaceted complexities of technology integration in teaching.

테크놀로지 통합 교육을 위한 좋은 모델
A Good Model for Teaching Technology Integration

쿤(2013)은 특정 이론적 모델을 우월한 것으로 식별하는 핵심 특성을 가진 채택 모델링 구조를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분야와 적용 맥락에 따라 다소 다르며, 이 분야의 이론적 모델은 하드 과학 분야의 모델과 다른 용도로 사용되며 교사 교육자는 교육 연구자나 테크놀로지자와는 다른 방식으로 모델을 활용합니다(Gibbons & Bunderson, 2005). 
Kuhn (2013) argued for a structure to model adoption, with core characteristics identifying certain theoretical models as superior. These characteristics vary somewhat by field and context of application; theoretical models in this field serve different purposes than do models in the hard sciences, and teacher educators will utilize models differently than will educational researchers or technologists (Gibbons & Bunderson, 2005).

Kimmons와 Hall(2016a)은 "[모델의] 가치 결정은 순전히 자의적인 것이 아니라 입양인의 신념, 필요, 욕구, 의도를 나타내는 구조화된 가치 체계에 기반한다"고 말했습니다(55페이지). 교사 교육 테크놀로지 통합 모델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 여섯 가지 기준이 제안되었습니다(표 1 참조).

  • (a) 명확성,
  • (b) 호환성,
  • (c) 학생 중심,
  • (d) 유익성,
  • (e) 테크놀로지 역할
  • (f) 범위

Kimmons and Hall (2016a) said, “Determinations of [a model’s] value are not purely arbitrary but are rather based in structured value systems representing the beliefs, needs, desires, and intents of adoptees” in a particular context (p. 55). Six criteria have been proposed for determining quality of teacher education technology integration models:

  • (a) clarity,
  • (b) compatibility,
  • (c) student focus,
  • (d) fruitfulness,
  • (e) technology role, and
  • (f) scope (see Table 1).

첫째, 테크놀로지 통합 모델은 혼란과 '숨겨진 복잡성'을 유발하는 설명과 구성을 피하고 "개념적으로나 실제로 이해하기 쉽고 간단해야" 합니다(Graham, 2011, 1955쪽; Kimmons, 2015). 이상적으로 모델은 교사에게 빠르게 설명할 수 있을 만큼 간결하고 실제 수업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직관적이고 실용적이며 가치 평가가 쉬운 것이 좋습니다. 긴 설명이 필요하거나, 너무 많은 구성을 소개하거나, 교사의 일상적인 필요의 중심이 아닌 문제를 다루는 모델은 재평가하거나 단순화하거나 피해야 합니다. 
First, technology integration models should be “simple and easy to understand conceptually and in practice” (Kimmons & Hall, 2016a, pp. 61–62), eschewing explanations and constructs that invite confusion and “hidden complexity” (Graham, 2011, p. 1955; Kimmons, 2015). Ideally, a model is concise enough to be quickly explained to teachers and easily applied in their practice — intuitive, practical, and easy to value. Models requiring lengthy explanation, introducing too many constructs, or diving into issues not central to teachers’ everyday needs should be reevaluated, simplified, or avoided.

둘째, "기존의 교육 및 교육적 관행"과의 호환성(즉, 일치성)이 중요합니다. 교사는 제한된 개념적 오버헤드로 일상적인 교실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모델을 원합니다. 우리는 이전의 경험적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Second, compatibility (i.e., alignment) with “existing educational and pedagogical practices” (Kimmons & Hall, 2016a, p. 55) is important. Teachers want practical models that help them address everyday classroom issues with limited conceptual overhead. We concluded the following in an earlier empirical study:

교사들은 자신의 성과와 학생의 성과에 대한 외부 요구 사항에 의해 주도되는 세상에 처해 있으며, 테크놀로지가 교육 시스템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에 대한 광범위한 이론적 논의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전형적인 교사는 교육 기관에서 규정하는 방식으로 자신이 돌보는 지역 학생들의 요구를 해결하는 데 가장 관심이 있는 것 같습니다. (Kimmons & Hall, 2016b, 23쪽) 
Teachers find themselves in a world driven by external requirements for their own performance and the performance of their students, and broad, 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how technology is transforming the educational system are not very helpful…. The typical teacher seems to be most concerned with addressing the needs of the local students under their care in the manner prescribed to them by their institutions. (Kimmons & Hall, 2016b, p. 23)

따라서 테크놀로지 통합 모델은 광범위한 개념(예: 사회 변화)이나 비현실적인 테크놀로지 요구 사항(예: 빈곤 지역사회의 교사 대 기기 비율 1:1)보다는 "식별 가능한 영향과 테크놀로지에 대한 현실적인 접근"(24쪽)에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Thus, technology integration models should emphasize “discernible impact and realistic access to technologies” (p. 24) rather than broad concepts (e.g., social change) or unrealistic technological requirements (e.g., 1:1 teacher–device ratios in poor communities).

셋째, 유익한 모델은 "다양한 목적을 가진 다양한 사용자들 사이에서 채택을 장려하고 학문 분야와 전통적인 실천의 사일로를 가로지르는 가치 있는 결과를 산출"해야 합니다(Kimmons & Hall, 2016a, 58쪽). 우리는 교사를 가르치는 데 사용되는 테크놀로지 통합 모델이 연결과 사려 깊은 질문의 라인을 생성하고, 모델이 없었다면 발생하지 않았을 방식으로 여러 실천 영역으로 확장하고, 모델 구현의 초기 범위를 넘어서는 통찰력을 얻는 등 유익한 사고를 이끌어 내야한다고 의도합니다.
Third, fruitful models should encourage adoption among “a diversity of users for diverse purposes and yield valuable results crossing disciplines and traditional silos of practice” (Kimmons & Hall, 2016a, p. 58). We intend that technology integration models used to teach teachers should elicit fruitful thinking: yielding connections and thoughtful lines of questioning, expanding across multiple areas of practice in ways that would not have occurred without the model, and yielding insights beyond the initial scope of the model’s implementation.

넷째, 테크놀로지의 역할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어야 하며, 테크놀로지 중심적 사고를 피해야 합니다(Papert, 1987, 1990). 테크놀로지 통합 모델이라고도 하지만, 그 목표는 통합을 넘어 페다고지 또는 학습의 개선을 강조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이 모델은 테크놀로지 사용을 정당화할 수 있는 기반 없이 단순히 교육자가 테크놀로지를 사용하도록 안내해서는 안 됩니다. 이러한 수단 지향적 관점에서는 테크놀로지를 원하는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소 중 하나로 간주해야 합니다.
Fourth, technology’s role should serve as a means to an end, not an end in itself — avoiding technocentric thinking (Papert, 1987, 1990). Though referred to as technology integration models, their goal should go beyond integration to emphasize improved pedagogy or learning. The model should not merely guide educators in using technology without a foundation for justifying its use. This means-oriented view should place technology as one of many factors to influence desired outcomes.

다섯째, 테크놀로지 통합의 대상, 방법, 이유를 실무자에게 안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범위가 필요합니다. 모델은 기존 관행과 호환되는 동시에 교사가 테크놀로지 사용에 대해 더 나은 정보를 바탕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영향을 미쳐야 합니다. Burkhardt와 Schoenfeld(2003)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Fifth, suitable scope is necessary for guiding practitioners in the what, how, and why of technology integration. While being compatible with existing practices, models should also influence teachers in better-informed choices about technology use. As Burkhardt and Schoenfeld (2003) explained,

교육에 적용된 대부분의 이론은 상당히 광범위합니다. "공학적 힘"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부족합니다... [또는] 설계를 안내하고, 좋은 아이디어를 취하고, 실제로 작동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구체성이 부족합니다. ... 교육은 이론의 범위와 신뢰성에서 [다른 분야]에 비해 훨씬 뒤쳐져 있습니다이론의 힘을 과대평가함으로써 ...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 국지적 또는 현상학적 이론은 ... 현재 설계에서 더 가치가 있습니다. (p. 10)
Most of the theories that have been applied to education are quite broad. They lack what might be called “engineering power” … [or] the specificity that helps to guide design, to take good ideas and make sure that they work in practice. … Education lags far behind [other fields] in the range and reliability of its theories. By overestimating theories’ strength … damage has been done. … Local or phenomenological theories … are currently more valuable in design. (p. 10)

이런 식으로 "범위와 호환성은 상충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 호환성이 뛰어난 모델은 현상 유지를 지원하는 것으로 인식 될 수있는 반면, 글로벌 범위를 가진 모델은 광범위한 변화를 지원하는 것으로 인식 될 수 있습니다."(Kimmons & Hall, 2016a, p. 57). 그러나 좋은 모델은 포괄성과 간결함의 균형을 유지하며(Dubin, 1978), 교사를 실질적으로 안내하고 사회 및 교육 문제의 더 큰 배경에 대해 자신의 실천을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개념적으로 유도합니다. 이러한 모델은 "정확히 한 집단"(137쪽)에 집착하지 않으면서 모든 교육 전문가에게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우리의 맥락에서 모델의 범위는 학생 교사에 초점을 맞춰야 하며, 현직 교사와 다른 교사에게도 적용될 수 있어야 합니다.
In this way “scope and compatibility may seem at odds … models that excel in compatibility may be perceived as supporting the status quo, while models with global scope may be perceived as supporting sweeping change” (Kimmons & Hall, 2016a, p. 57). However, a good model balances comprehensiveness and parsimony (Dubin, 1978), both guiding teachers practically and prompting them conceptually in critically evaluating their practice against a larger backdrop of social and educational problems. Any such model should seek to apply to all education professionals broadly while fixating on a “population of exactly one” (p. 137). In our context, a model’s scope should focus squarely on student teachers, with possible applicability to practicing teachers and others as well.

마지막으로, 학생 중심은 테크놀로지 통합 모델에 필수적입니다. 윌링햄(2012)이 설명했듯이 "교육 시스템의 변화가 궁극적으로 학생 사고의 변화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무의미하다"(155쪽)고 할 수 있습니다. 테크놀로지 통합을 둘러싼 문헌에서는 테크놀로지-페다고지 관계나 수업 개선으로서의 비디오 등 교사 또는 활동 중심의 분석에 치우쳐 학생을 무시하는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일부 모델은 학생의 결과를 암시할 수 있지만, 테크놀로지 통합 과정에서 이러한 결과를 ... [우선적으로] 제공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Kimmons & Hall, 2016a, 61쪽) 이는 교사에게 학생을 고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 않다는 신호를 줄 수 있습니다.
Finally, student focus is vital for a technology integration model. As Willingham (2012) explained, “changes in the educational system are irrelevant if they don’t ultimately lead to changes in student thought” (p. 155). Too often the literature surrounding technology integration ignores students in favor of teacher- or activity-centered analyses of practice: perhaps the technology–pedagogy relationship or video as lesson enhancement. “Though some models may allude to student outcomes, they may not give these outcomes … [primacy] in the technology integration process” (Kimmons & Hall, 2016a, p. 61), which may signal to teachers that student considerations are not of primary importance.

기존 테크놀로지 통합 모델의 약점
Weaknesses of Existing Technology Integration Models

가장 널리 사용되는 테크놀로지 통합 모델에는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현장에 더 적합한 모델의 필요성을 정당화하기 위해 이 섹션에서는 학생 교사를 위한 테크놀로지 통합을 지도하는 맥락에서 기존 7가지 모델(LoTi, RAT, SAMR, TAM, TIM, TIP 및 TPACK)에 내재된 주요 제한 사항 또는 어려움을 요약합니다. 이 간략한 요약만으로는 각 모델의 장점을 모두 설명할 수 없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Kimmons and Hall(2016a)을 포함하여 이전에 참조한 출판물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Each of the most popular technology integration models has strengths and weaknesses. To justify the need for a model better suited for the field, we summarize in this section the major limitations or difficulties inherent to seven existing models — LoTi, RAT, SAMR, TAM, TIM, TIP, and TPACK — in the context of guiding technology integration for student teachers. This brief summary will not do justice to the benefits of each of these models. Additional detail may be obtained from the previously referenced publications, including Kimmons and Hall (2016a).

우리는 모델에 대한 근거 없는 주장을 제공하거나 모델의 어포던스를 무시했다는 비판을 받을 수도 있지만, 단지 이러한 각 모델이 교사 교육에 한계가 있을 수 있는 영역임을 제안하기 위해 선택했습니다. 이러한 영역 중 일부는 선행 문헌에서 살펴본 것이지만, 다른 영역은 테크놀로지 통합 분야에서 교사 교육자로서의 경험에서 도출한 것으로 표 2에 간략히 요약되어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비평은 다른 교육 관련 맥락(예: 교육 행정 또는 교육 설계)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으며 교사 교육에 전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다음 섹션에 나열된 각 주장에 대해 확실한 논거나 증거를 제시하지는 않지만(그렇게 하려면 여러 번의 연구와 책 분량으로 다루어야 합니다), 이러한 불만을 표출하는 것은 이 전문적인 영역의 격차를 해소하고 진행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요약하자면, 우리의 목표는 열거된 각각의 어려움이 논란의 여지가 없는 사실이라고 누구에게나 설득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우리 자신의 추론과 경험에 대한 투명성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We may be critiqued for providing strawman arguments against models or ignoring their affordances, but we have chosen merely to suggest that these might be areas where each of these models may have limitations for teacher education. Several of these areas have been explored in prior literature, whereas others are drawn from our own experiences as teacher educators in the technology integration space, briefly summarized in Table 2. Additionally, these critiques may not apply in other education-related contexts (e.g., educational administration or instructional design) and are squarely focused on teacher education. Even though we do not provide ironclad arguments or evidence for each claim listed in the subsequent section (doing so would require multiple studies and book-length treatment), voicing these frustrations is necessary for proceeding and for articulating a gap in this professional space. In sum, our goal is not to convince anyone that each enumerated difficulty is incontrovertibly true but merely to provide transparency about our own reasoning and experiences.

 

명확성. 많은 테크놀로지 통합 모델은 지나치게 이론적이거나, 기만적이거나, 직관적이지 않거나, 혼란스럽기 때문에 교사에게 불분명합니다. 예를 들어, SAMR, TIM, TPACK은 다양한 통합 수준(분류)을 제공하지만 이를 명확하게 정의하거나 다른 수준과 구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학생 교사는 이를 이해하기 어렵거나 부정확하거나 쓸모없는 방식으로 인위적으로 관행을 분류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모델에는 교사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는 특정 개념(예: TPACK의 과녁 영역, TIP의 상대적 우위, SAMR의 대체 대 증강, TIM 및 RAT의 변환)이 포함되어 있어 복잡한 문제를 피상적으로 이해하거나 상대적으로 얕은 테크놀로지 사용에 대한 정교하지 못한 근거를 제시하게 됩니다.
Clarity.
 Many technology integration models are unclear for teachers, being overly theoretical, deceptive, unintuitive, or confusing. For instance, SAMR, TIM, and TPACK provide a variety of levels (classifications) of integration but may not clearly define them or distinguish them from other levels. Student teachers, thus, may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them or may artificially classify practices in inaccurate or useless ways. Most models include specific concepts that may be difficult for teachers to comprehend (e.g., the bullseye area in TPACK, relative advantage in TIP, substitution vs. augmentation in SAMR, or transformation in TIM and RAT), leading to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complex issues or to unsophisticated rationales for relatively shallow technology use.

테크놀로지 통합의 맥락적 복잡성을 인식한 미슈라와 쾰러(2007)는 모든 통합 사례는 "사악한 문제"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특성화는 정확할 수 있지만, 교사는 이러한 복잡성을 명확하고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모델이 필요합니다.
Recognizing the contextual complexities of technology integration, Mishra and Koehler (2007) argued that every instance of integration is a “wicked problem.” Although this characterization may be accurate, teachers need models to guide them in grappling clearly and intuitively with such complexities.

호환성. 초중고 교사에게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는 모델은 비실용적이거나 교사의 일상적인 필요의 중심이 아닌 구성을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TAM은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 인식에만 초점을 맞추고 수업 계획 개발, 학생 학습 안내 또는 교실 행동 관리에는 거의 적용되지 않습니다. 교육자를 위해 개발된 모델조차도 교사의 요구와 맞지 않는 활동(예: LoTi의 학생 활동)에 초점을 맞추거나 너무 이론적이어서 교사 실무에 직접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예: TPACK의 테크놀로지 콘텐츠 지식).
Compatibility. Models we consider incompatible for K–12 teachers emphasize constructs that are impractical or not central to a teacher’s daily needs. TAM, for instance, focuses entirely on user perceptions influencing adoption, with little application for developing lesson plans, guiding student learning, or managing classroom behaviors. Even models developed for educators may focus on activities incompatible with teacher needs (e.g., student activism in LoTi) or be too theoretical to apply directly to teacher practice (e.g., technological content knowledge in TPACK).

결실. 결실이 부족한 모델은 교사로 하여금 의미 있는 성찰을 이끌어내지 못하고 오히려 의미 없는 실천 평가를 내릴 수 있습니다. LoTi, SAMR 및 TIM과 같이 여러 수준의 통합이 있는 모델에서는 각 수준에서 실습을 분류하는 목적이 필요하며, 교사는 실습을 증강 대 수정(SAMR) 또는 인식 대 탐구(LoTi)로 분류하는 것이 왜 의미 있는지를 이해해야 합니다. SAMR은 4단계, LoTi는 6단계, TIM은 두 축(5×5)에 걸쳐 25단계의 통합이 있습니다. 교사의 경우, 특히 비계층적일 경우 가능성이 너무 많으면 자신의 상황에 맞는 목표가 자신의 실제를 빠르게 반영하고 필요에 따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이라면 모델을 혼란스럽고 번거롭게 만들 수 있습니다.
Fruitfulness. 
Models that lack fruitfulness do not lead teachers to meaningful reflection, but rather yield unmeaningful evaluations of practice. Models with multiple levels of integration, such as LoTi, SAMR, and TIM, need a purpose for classifying practice at each level; teachers must understand why classifying practice as augmentation versus modification (SAMR) or as awareness versus exploration (LoTi) is meaningful. SAMR has four levels of integration, LoTi has six, and TIM has 25 across two axes (5×5). For teachers, too many possibilities, particularly if nonhierarchical, can make a model confusing and cumbersome if the goal in their context is to help them quickly reflect on their practice and improve as needed. 

테크놀로지 역할. 일부 모델은 교육 결과의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목표로서의 테크놀로지 사용에 초점을 맞추는 테크놀로지 중심적입니다. 예를 들어, TAM은 특히 교수 및 학습 개선이 아닌 테크놀로지 채택에만 초점을 맞춥니다. 다른 모델은 실천 개선에 초점을 맞출 수 있지만 효과적인 교수법이 등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보다는 테크놀로지를 실천 개선으로 보는 테크놀로지 결정론적 관점을 취합니다.
Technology role. 
Some models are technocentric: focused on technology use as the goal rather than as a means to an educational result. TAM, for instance, particularly focuses only on technology adoption, not on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Other models may focus on improving practice but be largely technodeterministic in their view of technology as improving practice rather than creating a space for effective pedagogies to emerge.

범위. 범위가 좋지 않은 모델은 포괄성과 간결성 사이에서 효과적으로 균형을 이루지 못하며, 너무 지시적이거나 너무 광범위하여 의미 있는 적용이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TIP은 지나치게 지시적이어서 TPACK 기반 수업 계획 작성에 대한 교수 설계 접근 방식을 모방하지만 너무 좁게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이를 넘어서지 못합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훨씬 더 광범위한 TPACK은 교사에게 구성 요소를 동기화하기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지만 이를 실제로 적용하는 구체적인 지침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유용하려면 모델이 교사에게 쉽게 적용되지 않는 테크놀로지 통합의 측면을 무시하고 실습을 안내할 수 있는 충분한 포괄성을 제공해야 합니다.
Scope.
 Models with poor scope do not balance effectively between comprehensiveness and parsimony, being either too directive or too broad for meaningful application. TIP, for instance, is overly directive, simulating an instructional design approach to creating TPACK-based lesson plans but too narrowly focused to go beyond this. In contrast, the much broader TPACK provides teachers with a conceptual framework for synchronizing component parts but without concrete guidance on putting it into practice. To be useful, models should ignore aspects of technology integration not readily applicable for teachers, but provide sufficient comprehensiveness to guide practice.

학생 중심대부분의 테크놀로지 통합 모델은 학생에게 의미 있게 초점을 맞추지 않으며, 학생이 무엇을 하고 배우는지에 대한 명확성보다는 테크놀로지 채택 또는 교사-페다고지 목표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델은 단순히 페다고지적 고려 사항과 함께 학생의 존재를 가정할 수 있지만, 실무자 모델의 중심에 학생을 고려하지 않으면 학생 중심의 실무자 요구와 일치하지 않게 됩니다.
Student focus. 
Most models of technology integration do not meaningfully focus on students, focusing on technology-adoption or teacher-pedagogy goals rather than clarity on what students do or learn. Models may merely assume student presence with pedagogical considerations, but failure to consider students at the center of practitioner models prevents alignment with student-focused practitioners’ needs.

이론적 모델 요약. 이러한 모델 중 다수는 처음에 더 넓은 대상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예비 교사에게 소급 적용되었습니다. 다른 모델들은 실제 실행에 대한 충분한 지침을 제공하지 않고 개념적인 수준에서 교사의 교육적 실천을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많은 모델이 교육 전문가에게 도움이 되지만, 다음의 특징을 갖춘  교사 교육을 위한 이론적 모델이 필요합니다. 

  • (a) 명확하고, 호환 가능하며, 유익하고,
  • (b) 수단으로서 테크놀로지 사용을 강조하고,
  • (c) 간결함과 포괄성의 균형을 맞추고,
  • (d) 학생에 초점을 맞춘

Summary of theoretical models. Many of these models were initially developed for broader audiences and retroactively applied to preparing teachers. Others were developed for teacher pedagogical practices at a conceptual level without providing sufficient guidance on actual implementation. Although many models benefit education professionals, a theoretical model for teacher education is needed that

  • (a) is clear, compatible, and fruitful;
  • (b) emphasizes technology use as a means to an end;
  • (c) balances parsimony and comprehensiveness; and
  • (d) focuses on students. 

우리는 교육의 이론적 모델을 기회주의적으로 바라봅니다(à la Feyerabend, 1975). 모든 상황과 고려 사항에 대해 하나의 모델을 찾기보다는, 교사에게 구체적인 실천에 가장 유용한 모델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른 모델도 제자리를 차지하고 있지만(예: TPACK은 코스 전반에 걸쳐 관리 수준에서 테크놀로지를 포함하는 방법을 개념화하는 데 유용함), 교사 교육을 위해 더 잘 조정된 '공학적 힘'이 필요합니다(Burkhardt & Schoenfeld, 2003, 10페이지).
We view theoretical models in education opportunistically (à la Feyerabend, 1975). Rather than seeking one model for all contexts and considerations, we recognize a need to provide teachers with a model that is most useful for their concrete practice. While these other models have a place (e.g., TPACK is great for conceptualizing how to embed technology at an administrative level across courses), something is needed with better-tuned “engineering power” for teacher education (Burkhardt & Schoenfeld, 2003, p. 10).

PICRAT 모델
The PICRAT Model

교사 테크놀로지 통합을 안내하는 이론적 모델인 PICRAT은 교사 교육자가 성찰을 장려하고, 규범적으로 실습을 안내하며, 학생 교사의 작업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어떤 이론적 모델이라도 특정 속성은 잘 설명하고 다른 속성은 소홀히 할 수 있지만, PICRAT은 학생 중심의 페다고지 중심 모델로 교사 교육의 특정 맥락에 효과적이며 테크놀로지 통합을 위해 가장 가치 있는 고려 사항을 안내하기 때문에 교사들이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As a theoretical model to guide teacher technology integration, PICRAT enables teacher educators to encourage reflection, prescriptively guide practice, and evaluate student teacher work. Any theoretical model will explain particular attributes well and neglect others, but PICRAT is a student-focused, pedagogy-driven model that can be effective for the specific context of teacher education —comprehensible and usable by teachers as it guides the most worthwhile considerations for technology integration.

저희는 시간 제약, 연수 제한, 교사의 교육에 대한 감성적 관점 등을 고려하여 교사가 교육에 테크놀로지를 사용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평가해야 할 두 가지 질문을 고려하면서 이 모델을 개발하기 시작했습니다.

  • 학생에 초점을 맞춘 모델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연구(Wentworth et al., 2009; Wentworth, Graham, & Tripp, 2008)에 근거하여 첫 번째 질문은 "학생들이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무엇을 하고 있는가?"였습니다.
  • 교육적 실천에 대한 교사의 성찰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여 두 번째 질문은 "이러한 테크놀로지 사용이 교사의 페다고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였습니다. 

We began developing this model by considering the two most important questions a teacher should reflect on and evaluate when using technology in teaching, considering time constraints, training limitations, and their emic perspective on their own teaching.

  • Based on research emphasizing the need for models to focus on students (Wentworth et al., 2009; Wentworth, Graham, & Tripp, 2008), our first question was, “What are students doing with the technology?”
  •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eachers’ reflection on their pedagogical practices, our second question was, “How does this use of technology impact the teacher’s pedagogy?”

이러한 질문에 대한 교사들의 답변은 3단계 응답 메트릭으로 구성되며, 이를 PICRAT이라고 부릅니다. 

  • PIC는 첫 번째 질문과 관련된 세 가지 옵션(수동적, 상호작용적, 창의적)을 의미하고,
  • RAT는 두 번째 질문에 대한 세 가지 옵션(대체, 증폭, 변형)을 나타냅니다.

Teachers’ answers to these questions on a three-level response metric comprise what we call PICRAT.

  • PIC refers to the three options associated with the first question (passive, interactive, and creative); and
  • RAT represents the three options for the second (replacement, amplification, and transformation).

PIC: 패시브, 인터랙티브, 크리에이티브
PIC: Passive, Interactive, Creative

첫째, 테크놀로지를 사용할 때 학생의 세 가지 기본 역할을 강조합니다: 

  • 수동적 학습(콘텐츠를 수동적으로 수용), 
  • 대화형 학습(콘텐츠 및/또는 다른 학습자와 상호 작용), 
  • 창의적 학습(인공물 제작을 통한 지식 구성, Papert & Harel, 1991). 

전통적으로 교사는 학생들에게 수동적인 수용자로서 지식을 제공하는 테크놀로지를 통합해 왔습니다(Cuban, 1986). 강의 노트를 PowerPoint 슬라이드로 변환하거나 YouTube 동영상을 보여주는 것은 학생들이 능동적인 참여자로서 참여하기보다는 수동적으로 관찰하거나 듣는 교육에 테크놀로지를 사용합니다(그림 1).
First, we emphasize three basic student roles in using technology:

  • passive learning (receiving content passively),
  • interactive learning (interacting with content and/or other learners), and
  • creative learning (constructing knowledge via the construction of artifacts; Papert & Harel, 1991).

Teachers have traditionally incorporated technologies offering students knowledge as passive recipients (Cuban, 1986). Converting lecture notes to PowerPoint slides or showing YouTube videos uses technology for instruction that students passively observe or listen to rather than engaging with as active participants (Figure 1).

듣기, 관찰, 읽기는 필수적이지만 충분한 학습 스킬은 아닙니다. 우리의 경험에 따르면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수업을 지원하는 대부분의 교사는 수동적인 수준에서 작업을 시작하며, 이 첫 단계를 넘어설 수 있도록 명시적인 안내가 필요합니다.
Listening, observing, and reading are essential but not sufficient learning skills. Our experiences have shown that most teachers who begin utilizing technology to support instruction work from a passive level, and they must be explicitly guided to move beyond this first step.

학생들이 탐구, 실험, 협업 및 기타 능동적인 행동을 통해 상호 작용적으로 참여할 때만 훨씬 더 지속적이고 영향력 있는 학습이 이루어집니다(Kennewell, Tanner, Jones, & Beauchamp, 2008). 테크놀로지를 통한 학습에는 게임 플레이, 컴퓨터 적응 테스트, 시뮬레이션 조작, 디지털 플래시 카드를 사용한 기억력 지원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적 수준의 학생 사용은 학생이 테크놀로지와 직접 상호 작용하고(또는 테크놀로지를 통해 다른 학습자와 상호 작용), 이러한 상호 작용을 통해 학습이 매개된다는 점에서 수동적 사용과는 근본적으로 다릅니다(그림 2).
Much lasting and impactful learning occurs only when students are interactively engaged through exploration, experimentation, collaboration, and other active behaviors (Kennewell, Tanner, Jones, & Beauchamp, 2008). Through technology this learning may involve playing games, taking computerized adaptive tests, manipulating simulations, or using digital flash cards to support recall. This interactive level of student use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passive uses, as students are directly interacting with the technology (or with other learners through the technology), and their learning is mediated by that interaction (Figure 2).

이 수준에서는 테크놀로지의 특정 어포던스가 필요할 수 있지만 상호 작용의 잠재력만으로는 상호작용형 학습과 동일하지 않습니다. 상호 작용으로 인해 학습이 이루어져야 하며, 상호 작용 기능이 있다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교육용 게임은 최적의 솔루션을 보여주거나 추가 콘텐츠를 제공하기 전에 학생이 문제를 해결하도록 요구할 수 있으며, 이는 학생이 선택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피드백에 응답함으로써 게임과 상호 작용하여 자신의 학습 측면을 능동적으로 이끌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상호작용 수준은 여전히 제한적입니다. 테크놀로지와의 반복적인 상호 작용에도 불구하고 학습은 학생보다는 테크놀로지에 의해 주로 구조화되어 이전 학습과의 전이가능성 및 의미 있는 연결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This level may require certain affordances of the technology, but potential for interaction is not the same as interactive learning. Learning must occur due to the interactivity; the existence of interactive features is not sufficient. An educational game might require students to solve a problem before showing the optimal solution or providing additional content, which means that students must interact with the game by making choices, solving problems, and responding to feedback, thereby actively directing aspects of their own learning. The interactive level is still limited, however. Despite recursive interaction with the technology, learning is largely structured by the technology rather than by the student, which may limit transferability and meaningful connections to previous learning.

창의적인 수준의 학생 테크놀로지 사용은 학생이 테크놀로지를 학습 숙달을 인스턴스화하는 학습 아티팩트를 구성하는 플랫폼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한계를 우회합니다. 지속적이고 의미 있는 학습은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제 또는 디지털 아티팩트를 구성하여 개념과 스킬을 적용할 때 가장 잘 이루어지며(Papert & Harel, 1991), 이는 블룸의 개정된 최고 수준의 학습 분류법(Anderson, Krathwohl, & Bloom, 2001)과도 일치합니다.
The creative level of student technology use bypasses this limitation by having students use the technology as a platform to construct learning artifacts that instantiate learning mastery. Lasting, meaningful learning occurs best as students apply concepts and skills by constructing real-world or digital artifacts to solve problems (Papert & Harel, 1991), aligning with the highest level of Bloom’s revised taxonomy of learning (Anderson, Krathwohl, & Bloom, 2001).

테크놀로지 구축 플랫폼에는 저작 도구, 코딩, 비디오 편집, 사운드 믹싱 및 프레젠테이션 제작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개발 중인 지식에 형태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그림 3). 

  • 코딩의 기초를 배우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아바타를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도 있고, 
  •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 동영상을 제작하여 생물학 원리를 배울 수도 있습니다. 

Technology construction platforms may include authoring tools, coding, video editing, sound mixing, and presentation creation, allowing students to give form to their developing knowledge (Figure 3).

  • In learning the fundamentals of coding, students might create a program that moves an avatar from Point A to Point B, or
  • they might learn biology principles by creating a video to teach others.

두 경우 모두 테크놀로지를 통해 학생이 제작 과정에서 다른 학습자 또는 추가 콘텐츠와 상호 작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상호 작용 없이도 창의적인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창의적 학습 활동에서는 학생이 직접 아티팩트를 제작하면서 학습을 주도하고(자신의 개념적 구성에 형태를 부여), 테크놀로지를 적용하여 콘텐츠 이해를 구체화함으로써 문제를 반복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In either instance the technology may also enable the student to interact with other learners or additional content during the creation process, but the activity can be creative without such interaction. In creative learning activities, students may directly drive the learning as they produce artifacts (giving form to their own conceptual constructs) and iteratively solve problems by applying the technology to refine their content understanding.

이 세 가지 수준에 걸쳐 유사한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학생에게 다양한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교사는 PowerPoint와 같은 전자 슬라이드쇼 소프트웨어를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태양계에 대한 강의 노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P),
  • 행성에 대한 게임을 제공하기 위하여 (I),
  • 다른 학생들에게 태양 복사에 대해 가르치는 대화형 키오스크를 만들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하여 (C)

Across these three levels, similar technologies might be used to provide different learning experiences for students. For instance, electronic slideshow software like PowerPoint might be used by a teacher alternatively

  • (P) to provide lecture notes about the solar system,
  • (I) to offer a game about planets, or
  • (C) to provide a platform for creating an interactive kiosk to teach other students about solar radiation.

이 세 가지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동일한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동일한 콘텐츠를 가르치지만, 테크놀로지를 통해 학생이 참여하는 활동은 다르며 학습 경험에서 학생의 역할에 따라 학습 내용, 기억에 남는 내용, 다른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달라집니다.
Across these three applications, the same technology is used to teach the same content, but the activity engaging the student through the technology differs, and the student’s role in the learning experience influences what is learned, what is retained, and how it can be applied to other situations.

테크놀로지를 통한 학생의 행동에 초점을 맞추면 테크놀로지 중심적 사고(테크놀로지 자체에 교육적 가치를 부여하는 사고)를 피할 수 있으며, 교사는 학생이 제공된 도구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고려하게 됩니다. 세 가지 수준의 PIC 모두 학습 목표와 상황에 따라 적절할 수 있습니다.
This focus on student behaviors through the technology avoids technocentrist thinking (ascribing educational value to the technology itself) and forces teachers to consider how their students are using the tools provided to them. All three levels of PIC might be appropriate for different learning goals and contexts.

RAT: 대체, 증폭, 변형
RAT: Replacement, Amplification, Transformation

테크놀로지 사용이 교사 페다고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두 번째 저자가 제안한 활성화, 강화, 변형 모델과 유사한 Hughes 등(2006)이 제안한 RAT 모델을 채택했습니다(Graham & Robison, 2007). RAT의 이론적 토대는 저자들의 초기 컨퍼런스 진행 이외의 문헌에서 탐구되지 않았지만 이전 연구에서 적용했습니다.

  • (a) 교사가 기술 통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체계화하기 위해(Amador, Kimmons, Miller, Desjardins, & Hall, 2015; Kimmons, Miller, Amador, Desjardins, & Hall, 2015),
  • (b) 평가 모델을 비교하기 위해 (Kimmons & Hall, 2017) 및
  • (c) 특정 모델의 강점을 설명하기 위해(Kimmons, 2015; Kimmons & Hall, 2016b). 

To address the question of how technology use impacts teacher pedagogy, we adopted the RAT model proposed by Hughes et al. (2006), which has similarities to the enabling, enhancing, and transforming model proposed by our second author (Graham & Robison, 2007). Though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RAT have not been explored in the literature outside of the authors’ initial conference proceeding, we have applied it in previous studies

  • (a) to organize understanding of how teachers think about technology integration (Amador, Kimmons, Miller, Desjardins, & Hall, 2015; Kimmons, Miller, Amador, Desjardins, & Hall, 2015),
  • (b) to compare models for evaluation (Kimmons & Hall, 2017), and
  • (c) to illustrate particular model strengths (Kimmons, 2015; Kimmons & Hall, 2016b).

PIC와 마찬가지로 약어 RAT는 목표 질문에 대한 세 가지 잠재적 반응을 나타냅니다: 어떤 교육적 맥락에서든 테크놀로지은 교사의 교육적 실천에 대체, 증폭, 변화의 세 가지 효과 중 하나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Like PIC, the acronym RAT identifies three potential responses to a target question: In any educational context technology may have one of three effects on a teacher’s pedagogical practice: replacement, amplification, or transformation.

저희의 경험에 따르면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교육을 지원하기 시작한 교사는 종이 플래시카드 대신 디지털 플래시카드를, 오버헤드 프로젝터 대신 전자 슬라이드를, 칠판 대신 대화형 화이트보드를 사용하는 등 이전 관행을 대체하는 데 테크놀로지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기존의 교육 관행을 기능적으로 개선하지 않고 새로운 매체로 옮기는 것입니다.
Our experience has shown that teachers who are beginning to use technology to support their teaching tend to use it to replace previous practice, such as digital flashcards for paper flashcards, electronic slides for an overhead projector, or an interactive whiteboard for a chalkboard. That is, they transfer an existing pedagogical practice into a newer medium with no functional improvement to their practice.

다른 모델에서도 비슷한 대체 방식을 찾을 수 있습니다: SAMR의 대체 또는 TIM의 입력. 이 수준의 사용은 반드시 나쁜 관행은 아니지만(예: 디지털 플래시카드가 종이 플래시카드 대신 잘 작동할 수 있음),

  • (a) 관행을 개선하거나 지속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테크놀로지를 사용하고 있지 않으며
  • (b) 테크놀로지를 사용함으로써 학생 학습 결과에 정당한 이점을 얻지 못함을 보여줍니다.

Similar replacements may be found in other models: substitution in SAMR or entry in TIM. This level of use is not necessarily poor practice (e.g., digital flashcards can work well in place of paper flashcards), but it demonstrates that

  • (a) technology is not being used to improve practice or address persistent problems and
  • (b) no justifiable advantage to student learning outcomes is achieved from using the technology.

교사와 관리자가 대체 수준에 머물러 있는 테크놀로지 이니셔티브를 지원하기 위해 자금을 요청하는 경우, 자금 지원 기관은 한정된 학교 자금과 교사 시간을 신테크놀로지에 투자할 이유가 거의 없다고 (옳은) 판단을 할 것입니다.
If teachers and administrators seek funding to support their technology initiatives for use that remains at the replacement level, funding agencies would (correctly) find little reason to invest limited school funds and teacher time into new technologies.

두 번째 수준인 증폭은 교사가 학습 관행이나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테크놀로지를 사용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Google 문서 도구의 검토 기능을 사용하여 에세이에 대해 보다 효율적이고 집중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디지털 프로브를 사용하여 LoggerPro에서 분석할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데이터 관리 및 조작을 개선하는 것이 있습니다.
The second level of RAT, amplification, represents teachers’ use of technology to improve learning practices or outcomes. Examples include using review features of Google Docs for students to provide each other more efficient and focused feedback on essays or using digital probes to collect data for analysis in LoggerPro, thereby improving data management and manipulation.

이러한 증폭 시나리오에서 테크놀로지를 사용하면 교사의 실습이 점진적으로 개선되지만 교육법이 근본적으로 바뀌지는 않습니다. 증폭은 기존 관행을 개선하거나 개선할 수 있지만, 교사가 자신의 관행을 근본적으로 재고하고 변화시킬 수 없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한계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Using technology in these amplification scenarios incrementally improves teachers’ practice but does not radically change their pedagogy. Amplification improves upon or refines existing practices, but it may reach undesirable limits insofar as it may not allow teachers to fundamentally rethink and transform their practices.

RAT의 혁신 수준은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제정된 교육적 관행을 단순히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하게 합니다. 테크놀로지의 어포던스가 페다고지의 기회를 창출하고 페다고지와 얽혀 있기 때문에 테크놀로지를 제거하면 이러한 페다고지적 전략이 사라지게 됩니다(Kozma, 1991). 예를 들어,

  • 학생들은 모바일 장치에서 GPS 검색을 통해 지역 사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 온라인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지진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 Zoom과 같은 웹 화상 회의 서비스를 사용하여 원격 대학의 고생물학 전문가와 인터뷰할 수 있습니다.

The transformation level of RAT uses technology to enable, not merely strengthen, the pedagogical practices enacted. Taking away the technology would eliminate that pedagogical strategy, as technology’s affordances create the opportunity for the pedagogy and intertwines with it (Kozma, 1991). For example,

  • students might gather information about their local communities through GPS searches on mobile devices,
  • analyze seismographic data using an online simulation, or
  • interview a paleontological expert at a remote university using a Web video conferencing service such as Zoom (https://zoom.us).

이러한 경험은 다른 저테크놀로지 수단으로는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None of these experiences could have occurred via alternative, lower tech means.

테크놀로지가 학습에 변혁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오랜 논쟁을 반영하기 때문에 PICRAT의 영향을 받는 모든 프로세스 중에서 변혁이 가장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예: Clark, 1994). 다양한 저널 기사와 책에서 이 문제를 다루고 있지만, 이 글에서는 이 논쟁을 모두 다룰 수는 없습니다. 많은 연구자와 실무자들은 학습을 위한 테크놀로지의 혁신적 사용은 기존 관행의 기능적 개선 또는 효율성 향상만을 의미할 수 있다고 지적해 왔습니다. 그러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어 더 이상 효율성만으로는 새로운 관행과 기존 관행을 구분할 수 없게 되는 티핑 포인트가 존재합니다. 
Of all the processes affected by PICRAT, transformation is likely the most problematic, because it reflects a longstanding debate on whether technology can ever have a transformative effect on learning (e.g., Clark, 1994). Various journal articles and books have tackled this issue, and this article cannot do justice to the debate. Many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have noted that transformative uses of technology for learning may only refer to functional improvements on existing practices or greater efficiency. A tipping point exists, however, where greater efficiency becomes so drastic that new practices can no longer be distinguished from old in terms of efficiencies alone.

백열전구의 탄생을 생각해 보십시오. 이전에는 가정 및 산업용 조명이 주로 촛불과 램프에 의해 제공되었기 때문에 해가 지면 경제 및 사회 활동이 결정적으로 변화했습니다. 백열전구가 촛불보다 더 효율적인 것은 틀림없지만, 효율성의 향상은 노동자의 노동 시간, 산업의 생산 잠재력, 대중의 사회적 상호 작용을 증가시키는 등 사회에 변혁적인 영향을 미치기에 충분할 정도로 획기적이었습니다. 기능적으로는 촛불과 동일하지만 전구의 효율성은 촛불을 켜고 살던 사람들의 삶에 혁신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마찬가지로, 페다고지를 변화시키는 테크놀로지의 사용은 기능적 개선으로 인한 변화라고 하더라도 단순히 효율성을 개선하는 것과는 다르게 보아야 합니다. 
Consider the creation of the incandescent light bulb. Previously, domestic and industrial light had been provided primarily by candles and lamps, a high-cost source of low-level light, meaning that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changed decisively when the sun set. Arguably the incandescent light bulb was a more efficient version of a candle, but the improvements in efficiency were sufficiently drastic to have a transformative effect on society: increasing the work day of laborers, the manufacturing potential of industry, and the social interaction of the public. Though functionally equivalent to the candle, the light bulb’s efficiencies had a transformative effect on candlelit lives. Similarly, uses of technology that transform pedagogy should be viewed differently than those that merely improve efficiencies, even if the transformation results from functional improvement.

교사들이 RAT에 따라 자신의 관행을 분류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이전 연구(Kimmons et al., 2015)에서 수정한 일련의 운영화된 평가 질문(그림 4)을 교사들에게 묻습니다. 이러한 질문을 사용하여 교사는 먼저 해당 사용이 단순한 대체인지 아니면 학생의 학습을 향상시키는지 판단해야 합니다. 만약 사용이 개선을 가져온다면, 더 낮은 테크놀로지 수단을 통해 달성할 수 있는지 판단하여 증폭이 될 수 있는지, 그렇지 않다면 변형이 될 수 있는지 판단해야 합니다. 
To help teachers classify their practices according to RAT, we ask them a series of operationalized evaluation questions (Figure 4), modified from a previous study (Kimmons et al., 2015). Using these questions, teachers must first determine if the use is merely replacement or if it improves student learning. If the use brings improvement, they must determine whether it could be accomplished via lower tech means, making it amplification; if it could not, then it would be transformation.

PICRAT 매트릭스
PICRAT Matrix

각 질문에 대한 세 가지 답변 수준을 사용하여 학생 교사가 모든 테크놀로지 통합 시나리오를 평가할 수 있는 9가지 가능성을 보여주는 매트릭스를 구성합니다. PIC를 Y축으로, RAT를 X축으로 사용하는 계층적 행렬(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로 진행)을 PICRAT라고 지정하여 이론적 모델이 새롭고 유익한 행동에 대한 제안을 제공한다는 Kuhn(2013)의 요구를 충족하려고 시도합니다(그림 5). 이 매트릭스를 사용하면 교사는 모든 테크놀로지 사용에 대해 두 가지 기본 질문을 하고 각 수업 계획, 활동 또는 교육 실습을 9개의 셀 중 하나에 배치할 수 있습니다. 
With the three answer levels for each question, we construct a matrix showing nine possibilities for a student teacher to evaluate any technology integration scenario. Using PIC as the y-axis and RAT as the x-axis, the hierarchical matrix (progressing from bottom-left to top-right), which we designate as PICRAT, attempts to fulfill Kuhn’s (2013) call that theoretical models provide suggestions for new and fruitful actions (Figure 5). With this matrix, a teacher can ask the two guiding questions of any technology use and place each lesson plan, activity, or instructional practice into one of the nine cells.

경험상 테크놀로지 통합을 시작하는 대부분의 교사는 왼쪽 하단에 가까운 사용 방법(즉, 수동적 대체)을 채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 (a) 교사들이 자신과 다른 교사들이 접하는 관행을 비판적으로 고려하도록 장려하고, 
  • (b) 오른쪽 상단에 더 가까운 관행(즉, 창의적 혁신)으로 나아갈 때 고려할 수 있는 경로를 제시합니다.

In our experience, most teachers beginning to integrate technology tend to adopt uses closer to the bottom left (i.e., passive replacement). Therefore, we use this matrix

  • (a) to encourage them to critically consider their own and other practices they encounter and
  • (b) to give them a suggested path for considering in moving their practices toward better practices closer to the top right (i.e., creative transformation).

이 매트릭스는 교사 또는 코스 수준이 아닌 활동 수준에서만 사용합니다. 개인 또는 학급의 전반적인 테크놀로지 사용을 분류하는 이전의 특정 모델(예: SAMR, TIM)과 달리, 이 모델은 교사가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사용해야 하며, 사용에는 전체 매트릭스에 걸친 활동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림 6은 교사가 특정 단원에 대해 잠재적인 모든 테크놀로지 활동을 매핑하는 방법의 예를 보여줍니다. 
We use this matrix only at the activity level, not at the teacher or course level. Unlike certain previous models that claim to classify an individual’s or a classroom’s overall technology use (e.g., SAMR, TIM), this model recognizes that teachers need to use a variety of technologies to be effective, and use should include activities that span the entire matrix. For instance, Figure 6 provides an example of how teachers might map all of their potential technology activities for a specific unit.

교사는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낮은 수준의 사용(예: 디지털 플래시카드 또는 전자 슬라이드쇼를 사용한 강의)을 어떻게 높은 수준의 사용(예: 문제 기반 학습 비디오 게임 또는 전문가와의 Skype 화상 채팅)으로 전환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보도록 권장합니다. RAT는 교사의 사전 테크놀로지 관행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전의 교육 맥락과 관행이 RAT 평가 결과를 좌우합니다.
Using the matrix we would encourage the teacher to think about how lower level uses (e.g., digital flashcards or lecturing with an electronic slideshow) could be shifted to higher level uses (e.g., problem-based learning video games or Skype video chats with experts). RAT depends on the teacher’s pretechnology practices: Previous teaching context and practices dictate the results of RAT evaluation.

교사가 PICRAT 매핑에 참여할 때 자신의 수업 관행과 PICRAT 모델이 제안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 및 접근 방식에 대해 생각해 볼 것을 권장합니다. 또한 PICRAT 모델을 소개하고 교사에게 이러한 사고 방식을 안내하기 위해 애니메이션 교육용 비디오를 제작했습니다(비디오 1).
As our teachers engage in PICRAT mapping, we encourage reflecting on their practices and on new strategies and approaches the PICRAT model can suggest. We have also created an animated instructional video to introduce the PICRAT model and to orient teachers to this way of thinking (Video 1).

  • 비디오 1. 교육에서 효과적인 테크놀로지 통합을 위한 PICRAT 
    Video 1. PICRAT for Effective Technology Integration in Teaching (https://youtu.be/bfvuG620Bto)

 

그림 7은 교사 교육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PICRAT을 어떻게 사용했는지 보여주는 예입니다. 공동 작업을 위해 Google 드로잉을 사용하여 동일한 테크놀로지 통합 과정의 각 섹션에 있는 학생들이 코스 순서에서 사용한 모든 테크놀로지 사용을 매핑하도록 했습니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학생들은 특정 테크놀로지와 활동을 매핑하는 방법(예: PowerPoint를 PR, CR 또는 CA로 매핑)에 대해 서로 동의하지 않는 경우가 있지만, 이 연습을 통해 이러한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활동의 특성, 동일한 테크놀로지를 서로 다르게 사용하는 이유 등에 대해 귀중한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Figure 7 provides an example of how we have used PICRAT to analyze our teacher education courses. Using Google Drawings (https://docs.google.com/drawings/) for collaboration, we have students in each section of the same technology integration course map all of the uses of technology that they have used in their course sequence. As is visible from the figure, students sometimes disagree with one another on how particular technologies and activities should be mapped (e.g., PowerPoint as PR, CR, or CA), but this exercise yields valuable conversations about the nature of activities being undertaken with these technologies, what makes different uses of the same technologies of differential value, and so forth.

마찬가지로, 학생이 테크놀로지를 접목한 수업 계획서 작성과 같은 테크놀로지 통합 과제를 완료하면, PICRAT을 평가용 루브릭으로 변환하여 기본 합격 수준에서는 낮은 수준의 사용(예: PR)을, 숙련자 또는 우수 수준에서는 높은 수준의 사용(예: CT)을 평가합니다. 이 접근 방식은 학생들이 테크놀로지가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모든 수준이 유용할 수 있지만 일부는 다른 수준보다 더 우수하다는 것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Similarly, when students complete technology integration assignments, such as creating a technology-infused lesson plan, we convert PICRAT to a rubric for evaluating their products, evaluating lower level uses (e.g., PR) at the basic passing level and higher level uses (e.g., CT) at proficient or distinguished levels. This approach helps students understand that technology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and that, though all levels may be useful, some are better than others.

PICRAT의 장점
Benefits of PICRAT

이 논문에서는 PICRAT 모델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지만, 모델에 대한 연구가 완료될 때까지는 모델의 장점이나 단점을 단정적으로 주장할 수 없음을 인정합니다. 모델을 검증하는 연구는 일반적으로 초기 모델이 발표된 이후에 이루어집니다. 다음은 이 모델의 장점과 향후 연구에서 이 모델의 유용성을 조사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In this paper, we have presented the theoretical rationale for the PICRAT model but acknowledge that we cannot definitively claim any of its benefits or negatives until research on the model is completed. Research validating a model typically comes (if it comes at all) after the initial model has been published. Following are the benefits of this model and reasons future research should investigate its utility.

PICRAT 모델은 완벽하거나 완전히 포괄적이지는 않지만, 표 3의 기준과 관련하여 교사 교육을 위한 경쟁 모델에 비해 몇 가지 장점이 있습니다. 우리 교육기관은 테크놀로지 통합 과정의 세 가지 과정을 모두 PICRAT를 중심으로 구성했으며, 학생들은 이 모델이 이해하기 쉽고 테크놀로지 통합 전략을 개념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업 시간 5분 정도에 안내 질문과 수준을 제시하여 모델을 소개한 다음, 학생들에게 교실에서 접할 수 있는 구체적인 활동과 테크놀로지 사례를 매트릭스에 배치하도록 요청합니다. 그런 다음 이 모델을 코스 루브릭의 개념적 프레임으로 사용하여 모델에서 학생의 수행 위치에 따라 성적을 할당합니다. 
Though the PICRAT model is not perfect or completely comprehensive, it has several benefits over competing models for teacher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criteria in Table 3. Our institution has structured all three courses in its technology integration sequence around PICRAT, and students have found the model easy to understand and helpful for conceptualizing technology integration strategies. We generally introduce the model by taking about 5 minutes of class time to present the guiding questions and levels, then ask students to place on the matrix specific activities and technology practices they might have encountered in classrooms. We subsequently use the model as a conceptual frame for course rubrics, assigning grade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tudent’s performance on the model.

이 모델에 대해 지속적으로 받는 피드백 중 하나는 명확성에 대한 칭찬입니다. 두 개의 질문과 아홉 개의 셀은 비교적 기억하기 쉽고, 이해하기 쉬우며, 어떤 상황에서도 적용하기 쉽습니다. 명확성 외에도 이 모델의 범위는 교실 교사에게 실질적으로 유용할 정도로 충분히 포괄적인 사례의 균형을 효과적으로 맞추고 있으며, 통합의 본질에 대해 이야기할 때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어휘를 제공합니다. 
One item of feedback that we consistently receive about the model is praise for its clarity. The two questions and nine cells are relatively easy to remember, to understand, and to apply in any situation. In addition to clarity, the model’s scope effectively balances a sufficiently comprehensive range of practices to make it practically useful for classroom teachers and provides a common, usable vocabulary for talking about the nature of the integration.

명확한 모델에 대한 주요 우려는 테크놀로지 통합의 중요한 측면을 지나치게 단순화하고 중요한 뉘앙스를 무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교사들은 지시적 단순성과 미묘한 복잡성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면서, 지시적 지침과 자기 반성적 비판적 사고의 기회를 모두 제공하는 PICRAT을 사용하여 자신의 실제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The major concern with any clear model is that it may oversimplify important aspects of technology integration and ignore important nuances. However, teachers are using PICRAT to interrogate their practice with a suitable balance between directive simplicity and nuanced complexity, with opportunities for both directive guidance and self-reflective critical thinking.

또한 PICRAT 모델은 강력한 페다고지를 뒷받침하는 테크놀로지를 강조하기 때문에 다른 양질의 교육 관행과도 호환성이 높습니다. PICRAT은 혁신적인 교육과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페다고지를 촉진하여 혁신적인 관행을 향해 나아갑니다. 이 모델의 학생 중심(PIC를 통한)은 학생의 참여와 능동적/창의적 학습을 강조하며, 자연스럽게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학생이 스스로 학습을 주도하도록 하는 교사 관행을 장려하고, 테크놀로지를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만 취급하지 않습니다. 
Furthermore, the PICRAT model is highly compatible with other quality educational practices, because it emphasizes technology as supporting strong pedagogy. PICRAT promotes innovative teaching and continually evolving pedagogy, progressing toward transformative practices. The model’s student focus (via PIC) emphasizes student engagement and active/creative learning, naturally encouraging teacher practices that use technology to put students in charge of their own learning, never treating technology as more than a means for achieving this end.

아마도 우리가 발견한 가장 강력한 이점은 교사의 테크놀로지 사용에 대한 의미 있는 대화와 자기 대화를 장려함으로써 PICRAT이 결실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는 점일 것입니다(Wentworth 외., 2008). 매트릭스의 각 사각형은 긍정적인 테크놀로지 적용이지만, 계층적 관점의 수준은 교사의 관행을 변화시키는 창의적 학습에 초점을 맞추는 오른쪽 상단 모서리로 이동하는 관행으로 교사를 안내합니다. 매트릭스의 이러한 명시적인 셀은 테크놀로지 사용에 대한 교사의 자기 대화와 토론을 효과적으로 유도합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대화형 학습을 강화하거나 혁신적인 창의적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스스로에게 물어볼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각 사각형은 잠재적인 교사 관행에 대한 깊은 성찰을 유도하고 테크놀로지 자체에 대한 강조점을 전환합니다. 
Perhaps the strongest benefit we have found is how PICRAT should meet the fruitfulness criterion by encouraging meaningful conversations and self-talk around teachers’ technology use (Wentworth et al., 2008). Although each square in the matrix is a positive technology application, our hierarchical view of the levels guides teachers to practices that move toward the upper-right corner: the focus on creative learning that transforms teacher practices. These explicit cells in the matrix effectively initiate teacher self-talk and discussions about technology use. For instance, we might ask ourselves how a new technology could be used to amplify interactive learning or support transformative creative learning. As we do so, each square prompts deep reflection about potential teacher practices and shifts emphasis away from the technology itself.

PICRAT의 한계 또는 어려움
Limitations or Difficulties of PICRAT

이 모델에 관심이 있는 교사 교육자는 최소한 5가지 어려움을 고려해야 합니다. 일부는 RAT에서 계승된 것이고, 일부는 PICRAT만의 고유한 문제입니다. 다음은 주목할 만한 사항입니다:

  • (a) 창의적 활용에 대한 혼란,
  • (b) 변혁적 실천에 대한 혼란,
  • (c) 다른 교육 상황에의 적용 가능성,
  • (d) 활동 수준을 넘어서는 평가,
  • (e) 학생 결과와의 단절.
  • 다음은 각 과제에 대한 설명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침입니다.

At least five difficulties should be considered by teacher educators interested in this model. Some are inherited from RAT; others are unique to PICRAT. The following are noted:

  • (a) confusion regarding creative use,
  • (b) confusion regarding transformative practice,
  • (c) applicability to other educational contexts,
  • (d) evaluations beyond activity level, and
  • (e) disconnects with student outcomes.
  • Following is an explanation of each challenge and guidance on addressing it.

첫째, 창의적이라는 용어는 최고의 테크놀로지 사용이 예술적이거나 표현적이라는 의미를 내포할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설명하지 않으면 학생 교사에게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PICRAT에서 크리에이티브는 아티팩트 창조, 생성 또는 구성으로 작동합니다. 창작된 인공물이 예술적이지 않을 수도 있으며, 모든 형태의 예술적 표현이 가치 있는 인공물을 만들어내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는 학생 교사들에게 창의적인 것과 예술적인 것은 같지 않으며, 오히려 학생들이 테크놀로지를 지식 인공물을 생성하거나 건설하는 도구로 사용해야 한다는 점을 주의 깊게 가르칩니다.
First, the term creative can be confusing for student teachers if not carefully explained, as it might imply that the best technology use is artistic or expressive. In PICRAT, creative is operationalized as artifact creation, generation, or construction. Created artifacts may not be artistic, and not all forms of artistic expression produce worthwhile artifacts. We carefully teach our student teachers that creative is not the same as artistic, but rather that their students should be using technology as a generative or constructive tool for knowledge artifacts.

둘째, 혁신적 실천은 주관적이고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교사에게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이는 클라크-코즈마 토론에서 언급된 RAT의 어려움과 동일합니다. 우리는 증폭과 변혁을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의사 결정 프로세스를 제공하거나 질문을 안내함으로써 변혁을 운영화하려고 노력해 왔습니다. 변환은 문헌에서 논쟁의 여지가 있기 때문에 이렇게 한다고 해서 이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교사의 테크놀로지 사용을 평가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Second, transformative practice can seem problematic for teachers, a difficulty shared with RAT, mentioned in the Clark–Kozma debate, because such an identification may be subjective and contextual. We have sought to operationalize transformationby providing decision processes or guiding questions to help distinguish amplification from transformation. Doing so does not completely resolve this issue, because transformation is contentious in the literature, but it does provide a process for evaluating teachers’ technology use.

모든 사례에서 증폭과 변형을 정확하게 구분하는 것은 다양한 테크놀로지 통합 사례가 교사의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자기 성찰에 참여하는 것보다 덜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학생의 과제를 채점할 때 테크놀로지 사용을 혁신과 증폭으로 분류하는 근거를 제시하도록 요청하여 학생들의 암묵적 추론과 그에 따른 오해 또는 성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We consider accurately differentiating amplification from transformation in every case to be less important than engaging in self-reflection that considers effects of various instances of technology integration on a teacher’s practice. In grading our students’ work, then, we ask them to provide rationales for labeling technology uses as transformative versus amplifying, allowing us to see their tacit reasoning and, thereby, perceiving misconceptions or growth.

셋째, 이 글에서 PICRAT의 의도된 범위는 교사 준비에 국한되어 있으며, 우리의 주장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합니다. PICRAT는 다른 맥락(예: 프로그램 평가 또는 교육 행정)에도 적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적용은 특정 맥락에 대한 주장과는 별도로 고려해야 합니다.  
Third, the intended scope of PICRAT has been carefully limited in this article to teacher preparation; our claims should be understood within that context. PICRAT may be applicable to other contexts (e.g., program evaluation 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but such applications should be considered separately from arguments made for our specific context.

넷째, 단원, 코스 또는 교사 수준의 평가에 대한 PICRAT의 완전한 확장이 완료되지 않았으며, 수업 계획 수준에서도 관련 문제가 분명합니다. 교사는 사소하지만 혁신적인 방식으로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수업을 계획한 다음(예: 예상 세트에 대한 5분 활동), 수업을 계속 진행하면서 테크놀로지를 대체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수업 계획은 혁신적이라고 평가해야 할까요, 대체라고 평가해야 할까요, 아니면 좀 더 미묘한 것으로 평가해야 할까요?  
Fourth, full scaling up of PICRAT to unit-, course-, or teacher-level evaluations has not been completed; related problems are apparent even at the lesson plan level. A teacher might plan a lesson using technology in a minor but transformative way (e.g., a 5-minute activity for an anticipatory set), and then use technology as replacement as the lesson continues. Should this lesson plan be evaluated as transformative, as replacement, or as something more nuanced?

저희의 대답은 평가자의 목표에 따라 평가가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교사가 혁신적인 방식으로 사고하고 전체 수업에 테크놀로지를 접목하도록 유도하여 분석 수준을 수업 계획으로 삼으려고 노력합니다. 따라서 짧고 단절된 활동이나 일회성 활동은 PICRAT 평가에 부적절하다고 보고 대신 수업의 전체적인 흐름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양한 수준의 분석에 PICRAT을 사용하려는 경우 적절한 항목 수준에서 이 문제를 고려해야 할 수 있습니다. 
Our response is that the evaluation depends on the goal of the evaluator. We typically try to push our teachers to think in transformative ways and to entwine technology throughout an entire lesson, making our level of analysis the lesson plan. Thus, we would likely view short, disjointed, or one-off activities as inappropriate for PICRAT evaluation, focusing instead on the overall tenor of the lesson. Those seeking to use PICRAT for various levels of analysis, however, may need to consider this issue at the appropriate item level.

마지막으로, PICRAT에서 학생의 역할은 학생 활동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테크놀로지의 관계에 중점을 둡니다. 교사가 테크놀로지 통합 관행을 측정 가능한 학생 결과와 연결하도록 명시적으로 안내하지는 않습니다. 설명된 모든 모델(TIP을 제외하면)은 이러한 종류의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PICRAT에 설명된 고차원적인 원칙이 이론적으로는 더 나은 학습으로 이어져야 하지만 그러한 학습에 대한 증거는 콘텐츠, 맥락 및 평가 측정에 따라 달라집니다. 
Finally, the student role in PICRAT focuses on relationships of student activities to the technologies that enable them. It does not explicitly guide teachers to connect technology integration practices to measurable student outcomes. All models described (with the possible exception of TIP) seem to suffer from limitations of this sort, and though the higher order principles illustrated in PICRAT should theoretically lead to better learning, evidence for such learning depends on content, context, and evaluation measures.

PICRAT 자체는 학습에 대한 비테크놀로지 중심주의적 가정을 기반으로 하며, 테크놀로지를 "학습이 무엇인지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로 간주합니다(Papert, 1990, 5항). 따라서 교사 교육자는 학생 교사가 PICRAT을 지침으로만 사용한다고 해서 측정 가능한 학생의 성과가 급격히 향상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테크놀로지를 교수의 지속적인 문제를 재고하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더 깊은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황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PICRAT itself is built on nontechnocentrist assumptions about learning, treating technology as an “opportunity offered us … to rethink what learning is all about” (Papert, 1990, para. 5). For this reason, teacher educators should help student teachers to recognize that using PICRAT only as a guide may not ensure drastic improvements in measurable student outcomes but may, rather, create situations in which deeper learning can occur as technology can be used as a tool for rethinking some of the persistent problems of teaching.

결론
Conclusion

먼저 교육 테크놀로지에서 이론적 모델의 역할을 살펴보고, 특히 테크놀로지 통합과 관련된 교사 준비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그런 다음 이 분야의 기존 이론적 모델을 평가하기 위한 몇 가지 지침을 제시하고 교사 준비 상황의 요구와 이러한 요구 사항을 해결하는 데 있어 기존 모델의 한계에 대한 새로운 해답으로 PICRAT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We first explored the roles of theoretical models in educational technology, placing particular emphasis upon teacher preparation surrounding technology integration. We then offered several guidelines for evaluating existing theoretical models in this area and offered the PICRAT model as an emergent answer to the needs of our teacher preparation context and the limitations of prior models in addressing those needs.

PICRAT은 포괄성과 간결함의 균형을 유지하여 교사에게 명확하고 유익하며 기존의 관행과 기대에 부합하는 개념적 도구를 제공하는 동시에 테크놀로지 중심적 사고를 피합니다. 우리는 PICRAT 모델에서 네 가지 한계 또는 어려움을 확인했지만, 끊임없이 변화하고 정치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맥락적 특성이 강한 이 과제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교사 교육자가 테크놀로지를 효과적으로 통합하도록 교사를 훈련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교육 및 자기 성찰 도구로서 이 모델의 강점을 강조합니다. 향후 연구에는 다양한 관행과 환경에서 PICRAT 모델을 적용하는 동시에 교사의 실천, 성찰, 교육적 변화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지 연구하는 것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PICRAT balances comprehensiveness and parsimony to provide teachers a conceptual tool that is clear, fruitful, and compatible with existing practices and expectations, while avoiding technocentrist thinking. Although we identified four limitations or difficulties with the PICRAT model, we emphasize its strengths as a teaching and self-reflection tool that teacher educators can use in training teachers to integrate technology effectively despite the constantly changing, politically influenced, and intensely contextual nature of this challenge. Future work should include employing the PICRAT model in various practices and settings, while studying how effectively it can guide teacher practices, reflection, and pedagogical change.

 


The PICRAT Model for Technology Integration in Teacher Preparation
Kimmons, Royce; Graham, Charles R.; West, Richard E.
Contemporary Issues in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CITE Journal), v20 n1 2020

Technology integration models are theoretical constructs that guide researchers, educators, and other stakeholders in conceptualizing the messy, complex, and unstructured phenomenon of technology integration. Building on critiques and theoretical work in this area, the authors report on their analysis of the needs, benefits, and limitations of technology integration models in teacher preparation and propose a new model: PICRAT. PIC (passive, interactive, creative) refers to the student's relationship to a technology in a particular educational scenario. RAT (replacement, amplification, transformation) describes the impact of the technology on a teacher's previous practice. PICRAT can be a useful model for teaching technology integration, because it (a) is clear, compatible, and fruitful, (b) emphasizes technology as a means to an end, (c) balances parsimony and comprehensiveness, and (d) focuses on students.

Descriptors: Models, Technology Integratio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Educational Benefits, Influence of Technology, Student Centered Learning,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Methods, Transformative Learning

Society for Information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P.O. Box 719, Waynesville, NC 28786. Fax: 828-246-9557; Web site: http://www.citejournal.org/

질적연구를 위한 프레임워크분석방법을 사용: AMEE Guide No. 164 (Med Teach, 2023)
Using framework analysis methods for qualitative research: AMEE Guide No. 164
Sonja Klingberga , Renee E. Stalmeijerb and Lara Varpioc

 

 

소개
Introduction

보건 전문직 교육(HPE) 연구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질적 연구 방법론과 방법이 있으며, 각 방법론은 고유한 목적에 맞게 맞춤화되어 있습니다.

  • 직장 기반 학습에 관한 새로운 이론을 개발하는 데 관심이 있으신가요? 구성주의적 근거 이론(예: Helmich 외. 2018)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 의료 교육에서 수치심에 대한 생생한 경험을 탐구하는 데 관심이 있으신가요? 해석학적 현상학(예: Bynum 외. 2021)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구성주의적 근거 이론과 해석학적 현상학을 포함한 대부분의 질적 연구 방법론은 현상을 깊이 이해하거나 설명하기 위해 해석의 힘을 활용합니다. 이러한 해석적(주요 용어에 대한 용어집은 표 1 참조) 질적 연구(Finlay 2021)는 종종 소규모 데이터 세트에 의존합니다. 소규모 데이터 세트는 연구 데이터 말뭉치를 반복적으로 읽고 다시 읽고, 연구팀과 함께 진화하는 이해에 대해 순환적인 방식으로 반복해서 논의하여 연구 인사이트를 개발하는 분석을 가능하게 합니다. 

There are many different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and methods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researchers to choose from, each tailored to unique purposes.

  • Are you interested in developing a new theory about workplace-based learning? You might reach for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e.g. Helmich et al. 2018). Are
  • you interested in exploring the lived experience of shame in medical training? You might turn to hermeneutic phenomenology (e.g. Bynum et al. 2021).

Most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including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nd hermeneutic phenomenology—harness the power of interpretation to deeply understand or explain a phenomenon. Such interpretive (see Table 1 for a glossary of key terms) qualitative research (Finlay 2021) often relies on small datasets. Smaller data sets enable analyses that involve iteratively reading and re-reading the corpus of study data, discussing evolving understandings with the research team, again and again in a cyclical fashion, to develop research insights.

데이터 변환: 데이터 변환은 샌델로우스키와 바로소(2003)가 원시 데이터와의 '해석적 거리'라고 부르는 관점에서 질적 연구 결과 또는 질적 데이터 분석의 결과물의 성격을 말합니다. 이 거리는 이론화, 추상화, 해석과 같은 과정을 통해 커지는 반면, 원시 데이터에 가깝거나 단순히 원시 데이터의 내용을 설명하는 출력물은 데이터 변환을 거치지 않았거나 실제로 분석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Data transformation: Data transformation refers to the nature of qualitative findings or the output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in terms of what Sandelowski and Barroso (2003) call the ‘interpretive distance’ from raw data. The distance grows through processes like theorizing, abstraction and interpretation, whereas output that remains close to, or merely describes the content of, raw data can be considered as not having undergone data transformation, or indeed, much analysis at all.

연역적 데이터 분석: 연역적 데이터 분석은 일반적인 규칙(예: 이론, 모델)을 추론하여 특정 인스턴스(예: 특정 데이터 집합)에서 일어나는 일을 추론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가난하게 사는 의대생이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가 사기꾼 증후군을 경험하게 된다는 이론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이론을 사용하여 의대생의 사기꾼 증후군이 빈곤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많은 수의 의대생을 연구할 수 있습니다. 이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연역적 데이터 분석은 기존의 규칙으로 시작하여 그 규칙에 따라 분석에 적용됩니다.
Deductive data analysis: Deductive data analysis involves reasoning from general rules (e.g. theories, models) to infer what is happening in specific instances (e.g. in specific datasets). For example, a theory might exist that explains how medical students who live in poverty experience high levels of stress, and that high levels of stress lead to experiences of imposter syndrome. Therefore, we might use these theories to study a large number of medical students to see if imposter syndrome in medical students is related to poverty. As this example illustrates, deductive data analysis starts with and is guided by pre-existing rules that are then applied in the analysis.

설명적: 설명적 목적의 연구는 데이터 또는 현상의 속성과 특성을 조사, 문서화 및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예: 어떤 것인지 문서화), 해당 데이터 또는 현상의 더 넓은 의미(예: 데이터의 의미 또는 우리에게 무엇을 알려줄 수 있는지 해석)로 확장할 필요는 없습니다. 또한 어떤 주제나 집단에 '목소리를 부여'하는 연구일 수도 있습니다(브라운과 클라크 174). 특정 그룹의 구성원이 특정 주제에 대해 어떤 의견을 가지고 있는지 또는 관심 있는 문화가 어떤지 물어볼 수 있습니다(Bernard and Ryan 2010).  
Descriptive: If a study has a descriptive purpose, it is aiming to investigate, document, and describe the properties and qualities of data or a phenomenon (e.g. documenting what it is like), without necessarily extending into the wider implications of said data or phenomenon (e.g. interpreting what it means or what it can tell us). It can also be a study that ‘”gives voice” to a topic or a group of people’ (Braun and Clarke 174). It can ask what members of a specific group have to say about a particular topic, or what a culture of interest is like (Bernard and Ryan 2010). 

탐색적: 설명적 질적 접근 방식과 마찬가지로, 탐색적 연구는 주로 주제나 현상의 다양한 측면을 조사하고, 범위를 정하고, 기록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해, 의미 또는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시작하는 대신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집니다: '여기에는 어떤 종류의 것들이 있는가? 이 사물들은 서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 여기에 자연스러운 사물의 그룹이 있는가?'(Bernard and Ryan 2010, p8).
Exploratory: Similarly to descriptive qualitative approaches, exploratory research is primarily concerned with examining, scoping and recording different aspects of a topic or phenomenon. Instead of setting out to generate understanding, meaning, or implications, it asks questions like:

  • ‘What kinds of things are present here?
  • How are these things related to one another?
  • Are there natural groups of things here?’ (Bernard and Ryan 2010, p8).

프레임워크 분석(FA): 이 AMEE 가이드에서는 프레임워크 분석 또는 FA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이 질적 데이터 분석 방법에 대한 Ritchie와 Spencer(1994)의 원래 설명을 참조합니다. 
Framework analysis (FA): In this AMEE guide, we use the term framework analysis or FA to refer to Ritchie and Spencer (1994) original description of this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

프레임워크 분석 방법(FAM): 이 AMEE 가이드에서는 대규모 정성적 데이터 집합을 조사하여 특정 질문에 답하는 데이터 분석 접근법의 제품군을 설명하기 위해 포괄적인 용어로 FAM을 사용합니다. 프레임워크 분석 접근법은 몇 가지 특징을 일반적으로 공유합니다(Gale et al. 2013). 

  • 체계적이고 사례별로 구조화된 데이터 코딩 프로세스에 의존하고,
  • 체계적으로 또는 일관되게 생성된(따라서 동질적인) 데이터 세트에 적용되며,
  • 질적 데이터의 패턴을 포착하고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 일반적으로 교차하는 연구 초점의 매트릭스로 결과를 표현한다


Framework analysis methods (FAMs): In this AMEE guide, we use FAM as an umbrella term to describe a family of data analysis approaches that answer specific questions through the examination of large qualitative datasets. Framework analysis approaches commonly share several characteristics—i.e.

  • they rely on a systematic and by-case-structured data coding process;
  • they are applied to systematically or consistently generated (and therefore homogeneous) datasets;
  • they aim to capture and describe patterns in qualitative data; and
  • typically express findings as a matrix of intersecting research foci (Gale et al. 2013).

프레임워크 방법(FM): 이 AMEE 가이드에서는 프레임워크 방법 또는 FM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Gale과 동료들이 2013년에 설명한 구체적이고 널리 알려진 FAM을 지칭합니다. 
Framework method (FM): In this AMEE guide, we use the term framework method or FM to refer to a specific and popular FAM articulated in 2013 by Gale and colleagues.

귀납적 데이터 분석: 귀납적 데이터 분석은 구체적인 것(즉, 데이터로부터)에서 일반적인 것(즉, 연구자가 생성하고 데이터에 의해 논리적이고 경험적으로 뒷받침되는 설명이나 통찰에 대한 보다 추상적인 진술)으로 이동하여 현상에 대한 이해를 생성합니다. '아래로부터(데이터) 위로 분석을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분석은 기존 이론에 의해 형성되지 않습니다(그러나 분석은 항상 연구자의 관점, 학문적 지식 및 인식론에 의해 어느 정도 형성됨)'(브라운과 클라크 p175). 예를 들어, 우리는 왜 일부 의대생들이 사기꾼 증후군을 경험하는지 이해하고 싶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의대생의 사기 증후군 경험에 대한 많은 의대생의 설명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의대생의 사기 증후군 경험과 무수히 많은 개인적, 제도적, 사회적 요인 사이의 관계에 대한 통찰력, 이론 또는 모델을 생성할 것입니다. 
Inductive data analysis: Inductive data analysis generates understanding about a phenomenon by moving from the specific (i.e. from data) to the general (i.e. more abstract statements of explanation or insight that are generated by the researcher(s), and are logically and empirically backed by the data). It ‘aims to generate an analysis from the bottom (the data) up; analysis is not shaped by existing theory (but analysis is always shaped to some extent by the researcher’s standpoint, disciplinary knowledge and epistemology)’ (Braun and Clarke p175). For example, we might be curious to understand why some medical students experience imposter syndrome. We will collect and analyze many medical student accounts of their imposter syndrome experiences to generate insights, theories, or model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student experiences of imposter syndrome and a myriad of different personal, institutional, and/or social factors.

해석: 질적 해석은 '데이터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 의미를 이론화하는 과정'입니다(Braun and Clarke 2013, p332). 따라서 질적 연구에서 데이터 해석은 '데이터의 명백한 의미적 내용을 요약하는 것을 넘어'(브라운과 클라크 p332) 일종의 해석적 개념 구조를 생성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데이터 집합의 품질을 넘어 특정 맥락에서 데이터가 말하거나 의미할 수 있는 더 깊고 추상적인 수준으로 나아가는 것이 포함됩니다.  
Interpretation: Qualitative interpretation is ‘a process of making sense of, and theorising the meanings in, data’ (Braun and Clarke 2013, p332). Thus, interpretation of data in qualitative research ‘goes beyond summarising the obvious semantic content of the data’ (Braun and Clarke p332) to generate some kind of interpretive conceptual structure. It thus involves going beyond the qualities of a dataset to deeper, more abstract levels of what the data could be taken to say or mean in a particular context. 

패러다임: 패러다임은 '과학에 대한 특정 접근 방식을 정의하는 개념, 관행 및 언어로 구성'됩니다(Varpio와 MacLeod 2020, p687). 특정 연구 전통에서 일하는 개인이 문제를 어떻게 이해하고 해결해야 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접근 방식과 관련된 엄격함의 지표에 대해 가지고 있는 신념과 합의의 집합입니다.  
Paradigm: A paradigm ‘consists of the concepts, practices, and language that define a particular approach to science’ (Varpio and MacLeod 2020, p687). It is the set of beliefs and agreements that individuals working from a particular research tradition hold about how problems should be understood, addressed, and the markers of rigor associated with those approaches. 


그러나 때로는 질적 연구에 참여하는 이유가 더 지시적directed 때도 있습니다. 사전에 결정된 특정 정보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연구인 경우,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의 범위가 좁아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기존의 이론, 모델 또는 문헌의 증거가 데이터 수집과 분석 방법의 선택을 지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실행 및 프로세스 평가 연구에서 이러한 경우가 많습니다(Klingberg 외. 2021; Draper 외. 2022). 이러한 지시적 목표directed goals와 관련된 질적 연구에서 연구자는 종종 대규모 데이터 세트를 수집하고 보다 집중적이고 구조화된 데이터 분석에 참여합니다(Davidson et al. 2019). 이러한 종류의 연구에 참여하는 HPE 연구자는 프레임워크 분석 방법(FAM)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FAM은 데이터로부터 추상적인 해석을 위해 귀납적으로 작업하는 대신 연역적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미리 설정된 목적과 목표에서 시작합니다(Pope 외. 2000). 보다 구조화된 형태의 데이터 수집(예: 개방형 설문조사 질문 또는 구조화된 인터뷰)을 포함하며, 데이터 분석은 분석이 시작되기 전, 때로는 데이터 수집이 시작되기도 전에 설정된 이론, 모델, 문헌 조사 결과 및 목적에 따라 기초적으로 형성되고 방향이 정해집니다
However, sometimes our reasons for engaging in qualitative research are more directed. Sometimes the study is aimed towards fulfilling specific pre-determined information needs; this focus narrows the scope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In these situations, pre-existing theories, models, or evidence from the literature can direct data collection and the choice of analysis methods. For example, this is frequently the case in implementation and process evaluation studies (Klingberg et al. 2021; Draper et al. 2022). In qualitative studies that involve such directed goals, researchers often collect large datasets and engage in more focused and structured data analysis (Davidson et al. 2019). HPE researchers engaging in this kind of research might usefully rely on a framework analysis method (FAM). Rather than working inductively from the data towards abstract interpretation, FAMs often employ a deductive approach, and so begin with pre-set aims and objectives (Pope et al. 2000). They involve more structured forms of data collection (e.g. open ended survey questions or structured interviews), and data analysis is foundationally shaped and directed by theories, models, literature findings, and/or purposes that are established before analysis—and sometimes even before data collection—begins.

FAM의 우산 아래에는 다른 방법과 차별화되는 유용성과 힘을 가진 많은 분석 방법이 있습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FAM과 정성 분석 방법 그룹에 속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하고자 합니다. 먼저 오늘날 존재하는 다양한 FAM의 개발을 촉진한 1994년 Ritchie와 Spender가 설명한 프레임워크 분석 접근법과 FAM을 정의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HPE 연구자가 자신의 연구 요구 사항에 가장 적합한 FAM 유형을 결정할 수 있도록 FAM 범주에 속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몇 가지를 간략히 검토합니다. 그런 다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질적 분석 방법과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여 독자가 연구 목적에 맞는 FAM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다음으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FAM인 프레임워크 방법의 일부인 단계에 대해 설명합니다. FAM이 이미 HPE 연구에서 어떻게 유용하게 활용되었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FAM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몇 가지 발표된 연구 사례를 제공합니다. 마지막으로 정성적 분석에 FAM을 사용할 때 피해야 할 잠재적 함정에 대해 경고하는 것으로 마무리합니다. 
There are many analysis methods that can sit beneath the FAM umbrella—each with utility and power that differentiates it from other methods. In this guide, we aim to provide clarity around FAMs and the variety of methods that are part of this group of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We begin by defining FAMs and the framework analysis approach described in 1994 by Ritchie and Spender which catalyzed the development of the many varieties of FAMs that exist today. We offer a short review of some of the most common methods under the FAM umbrella so that the HPE researcher can decide which type of FAM best suits their research needs. We then describe how FAMs sit in relation to other commonly used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to help readers know when FAMs might fit their research purposes. Next, we explain the phases that are typically part of a popular FAM, the framework method. To illustrate how FAMs have already been useful in HPE research, we offer some examples of published research that demonstrate how FAMs might be harnessed. We end by warning readers of potential pitfalls to avoid when using FAMs for qualitative analysis.

FAM이란 무엇인가요?
What are FAMs?

질적 연구의 맥락에서 FAM의 역사는 1980년대 후반 영국에서 수행된 대규모 정책 연구 중 제인 리치와 리즈 스펜서가 만든 프레임워크 분석(FA)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Ritchie and Spencer 1994; Gale 외. 2013). FA는 대규모 질적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특정 질문에 답하고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를 창출할 수 있는 질적 데이터 분석 접근 방식에 대한 응용 정책 연구자들의 필요성에서 탄생했습니다(Ritchie and Spencer 1994; Srivastava and Thomson 2009). FA가 시작된 이래로 다양한 변형과 파생물이 개발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형과 파생은 원래의 FA와 마찬가지로 FAM의 범주에 속하며, 여러 특징을 공유합니다(Gale et al. 2013).

  • 체계적이고 사례별로 구조화된 데이터 코딩 프로세스에 의존하고,
  • 비교적 동질적인 데이터 세트(즉, 주제나 주요 문제를 어느 정도 일관되게 다루기 위해 수집된 데이터 세트)에 적용되며,
  • 정성적 데이터의 패턴을 주제(예: 공통 경험 및 경험 간 변화)로 포착하고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 일반적으로 사례와 교차하는 코드로 구성된 프레임워크 매트릭스를 생성한다는 

글로벌 보건(Klingberg 외. 2022), 보건 서비스 연구(Heath 외. 2012), HPE(Kumar 외. 2011, Howman 외. 2016, Balmer 외. 2021) 등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다양한 FAM의 힘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In the context of qualitative research, the history of FAMs trace back to framework analysis (FA) which was created by Jane Ritchie and Liz Spencer in the late 1980s during large-scale policy research carried out in the United Kingdom (Ritchie and Spencer 1994; Gale et al. 2013). FA was born out of applied policy researchers’ need for a qualitative data analysis approach that enabled answering specific questions and creating actionable insights using large qualitative datasets (Ritchie and Spencer 1994; Srivastava and Thomson 2009). Since the inception of FA, different variants and offshoots have been developed. These variants and offshoots, as well as the original FA, sit under the FAM umbrella and so share several characteristics:

  • they rely on a systematic and by-case-structured data coding process;
  • they are applied to relatively homogenous datasets (i.e. datasets collected to address topics or key issues somewhat consistently);
  • they aim to capture and describe patterns in qualitative data as themes (e.g. common experiences and variation across experiences); and
  • typically produce framework matrices consisting of codes that intersect with cases (Gale et al. 2013).

The power of various FAMs have been harnessed by scholars working in a wide range of fields, including global health (Klingberg et al. 2022), health services research (Heath et al. 2012), and HPE (Kumar et al. 2011; Howman et al. 2016; Balmer et al. 2021).

표 2에는 FAM 우산 아래에 있는 몇 가지 연구 접근법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이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몇 가지 미묘한 차이점만 있을 뿐, 각 접근법에는 고유하지는 않더라도 특징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특정 연구의 정확한 목적에 따라 HPE 연구자는 정성적 데이터 분석에 가장 적합한 FAM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In Table 2, we list some research approaches that sit beneath the FAM umbrella. As this table makes clear, only a few nuanced differences separate some of the approaches under the umbrella; nevertheless, each approach has certain characterizing, if not unique, features. Depending on the precise purpose of a particular study, HPE researchers can choose the FAM best suited for analyzing their qualitative data.


프레임워크 방식(FM) 
Framework Method (FM) 

프레임워크 방식은 '행(사례), 열(코드), 요약된 데이터의 '셀'로 구성된 프레임워크 매트릭스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는 '연구자가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축소하여 사례별, 코드별로 분석할 수 있는 구조'로 작용합니다(Gale 외. 2013, p2). FM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근거 기반(즉, 원본 데이터에 기반하고 이에 의해 구동됨);
  • 동적(즉, 분석 프로세스 중에 변경될 수 있음);
  • 체계적(즉,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처리합니다);
  • 포괄적(즉, 모든 데이터에 대한 전체 검토가 포함됨);
  • 쉽게 검색할 수 있음(즉, 원본 데이터에 쉽게 액세스할 수 있음);
  • 사례 내 및 사례 간 분석(즉, 데이터 사례 내 및 사례 간 비교를 지원합니다);
  • 접근성(즉, 외부 학자가 분석 과정과 결과를 보고 평가할 수 있음); 그리고
  • 탐색적(예: 설문지의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을 요약하거나 분류).  

The framework method is characterized by use of the framework matrix tool: ‘rows (cases), columns (codes) and “cells” of summarized data’ that collectively act as ‘a structure into which the researcher can systematically reduce the data, in order to analyze it by case and by code’ (Gale et al. 2013, p2). FM’s key features are that it is:

  • grounded (i.e. based in and driven by original data);
  • dynamic (i.e. it can change during the analysis process);
  • systematic (i.e. it is a methodical treatment of data);
  • comprehensive (i.e. it involves a full review of all data);
  • enables easy retrieval (i.e. it allows easy access to original data);
  • within- and between-case analysis (i.e. it supports comparisons within and across data cases);
  • accessible (i.e. the analytical process and outputs can be seen and evaluated by external scholars); and
  • exploratory (e.g. summarizing or categorizing the responses to an open-ended question in a questionnaire).  

템플릿 분석 
Template Analysis 

템플릿 분석은 구조화된 접근 방식을 따르며, 일반적으로 연구자가 분석 전에 식별한 코드를 기반으로 개발되는 코딩 템플릿을 활용하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습니다(King and Brooks 2018). 코딩은 연구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귀납적으로 개발할 수도 있습니다. 코딩 프레임, 즉 템플릿을 개발하고 적용할 때 연구자는 일반적으로 전체 데이터 집합을 읽고 다시 읽는 것을 기반으로 템플릿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의 하위 집합 또는 샘플로 시작합니다. 템플릿의 최종 버전은 '패턴화된 의미를 계층적으로 매핑하고 더 넓은 의미에서 더 정확한 의미로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Braun and Clarke 2021, 243쪽). 따라서 템플릿은 연구자의 해석과 분석 결과를 깊이 있게 알려줍니다. 템플릿을 다듬는 데는 여러 차례의 읽기와 개발 템플릿을 향한 반복적인 작업이 필요할 수 있지만, 이 분석 방법은 대규모 데이터 세트 작업에 적합한 것으로 간주됩니다(버튼과 갤빈 2019).   
Template analysis follows a structured approach, utilizing a coding template that is typically, but not necessarily, developed based on codes that are identified by the researchers prior to analysis (King and Brooks 2018). Codes can also be developed inductive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udy data. In developing and applying the coding frame— i.e. the template— the researcher typically starts with a subset or sample of data as opposed to basing the template on reading and re-reading the entire dataset. The final version of the template ‘offers a way of hierarchically mapping patterned meaning, and moving from broader to more precise meanings’ (Braun and Clarke 2021, p243). The template thus deeply informs the researcher’s interpretations and analysis findings. Although the refinement of the template may involve many rounds of reading and iteratively working towards a developed template, this analysis method is considered suitable for working with large datasets (Burton and Galvin 2019).  

매트릭스 분석 
Matrix Analysis 

행렬 분석은 다양한 종류의 테이블, 즉 행렬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류하고 표시함으로써 사례 간 교차 분석을 지원합니다(King and Brooks 2018). 이러한 행렬은 '설명적(기존 조건 또는 상황 묘사), 결과 지향적(결과 및 결과 관련) 또는 과정 지향적(변화의 역학에 초점)'일 수 있습니다(Averill 2002, p856). 프레임워크 분석의 사례 비교 측면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대량의 데이터를 쉽게 수용할 수 있으며, 해당 연구와 관련된 사례로 미리 설정된 데이터 분류를 사용합니다. Burton과 Galvin(2019)이 주장한 것처럼, 매트릭스 또는 행렬의 구조화된 개발은 질적 데이터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제시하거나 조직화하는 데 더 적합합니다.  
Matrix analysis uses different kinds of tables—matrices—to categorize and display data, thereby supporting cross case analysis (King and Brooks 2018). These matrices ‘can be descriptive (depicting existing conditions or situations), outcome-orientated (concerned with consequences and results), or process-oriented (focused on the dynamics of change)’ (Averill 2002, p856). It can easily accommodate large volumes of data because it builds on the case comparison aspect of framework analysis; it uses pre-established categorizations of data into cases relevant to the study in question. As Burton and Galvin (2019) argue, the structured development of a matrix or matrices is more geared towards presenting or organizing data, as opposed to analyzing and interpreting qualitative data in a greater depth. 

'최적 적합' 프레임워크 합성 
‘Best Fit’ Framework Synthesis 

'최적 적합' 프레임워크 합성은 '잠재적으로 다르지만 관련성이 있는 모집단을 위해 고안된 기존의 공개된 모델을 테스트, 강화 및 구축하는 수단'을 제공합니다(Carroll 외. 2013, p1). 여기에는 선험적 주제를 식별하기 위해 기존의 개념적 프레임워크 또는 모델을 식별하고 사용하는 것이 포함되며, 이는 관련 연구의 질적 연구 결과의 데이터 추출, 코딩 및 종합에 사용됩니다(Carroll 외. 2011; Dixon-Woods 2011). 다른 FAM은 1차 데이터 분석을 지원하지만, '최적 적합' 프레임워크 분석은 출판된 문헌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수단입니다.  
‘Best fit’ framework synthesis provides ‘a means to test, reinforce, and build on an existing published model, conceived for a potentially different but relevant population’ (Carroll et al. 2013, p1). It involves identifying and using an existing conceptual framework or model for identifying a priori themes, which are then used for data extraction, coding, and synthesis of qualitative findings from relevant studies (Carroll et al. 2011; Dixon-Woods 2011). While the other FAMs support primary data analysis, ‘best fit’ framework analysis is a means of analyzing data in the published literature. 


독자들이 이러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이제 FAM의 정의적 특징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다른 정성적 분석 방법과 관련하여 FAM을 고려함으로써 FAM의 범주에 속하는 접근법을 하나로 묶는 일관성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To support readers in making these selections, we next go into more detail about the defining features of FAMs. By considering FAMs in relation to other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we can further understand the coherence that unites approaches that fall underneath the FAM umbrella.

다른 정성적 분석 방법과 FAM 구별하기
Distinguishing FAMs from other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정성적 분석 방법과 다른 정성적 분석 방법의 차이점을 이해하는 한 가지 방법은 분석 프로세스 중에 데이터가 변형되는 정도를 고려하는 것입니다. Sandelowski와 Barroso(2003)는 데이터 변환의 연속선상에서 질적 연구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을 찾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림 1은 

  • 이 연속체의 한쪽 끝에서 원시 데이터에 가깝게 유지하고자 하는 연구가 어떻게 데이터를 최소한의 변형(예: 설문지의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 요약)을 거치는지 보여줍니다. 
  • 이와는 대조적으로, 해석적 설명에 중점을 두는 연구에서는 데이터가 원본 데이터에서 많은 변형 과정을 거칩니다(예: 감정적 경험의 본질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이러한 양극 사이에는 다양한 연구가 존재하며, 이는 분석이 데이터 내용과 특성에 대한 단순한 목록을 넘어 보다 추상적인 해석 및/또는 인사이트를 생성하는 데까지 나아갈 것으로 기대되는 정도를 반영합니다. 이 연속체는 다양한 정성적 접근 방식과 관련된 분석의 종류를 개념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One way of understanding what differentiates one qualitative analysis method from another is to consider the extent to which the data is transformed during the analysis process. Sandelowski and Barroso (2003) helpfully located different approaches to qualitative research on a continuum of data transformation. Figure 1 demonstrates

  • how, at one end of this continuum, research studies seek to stay close to raw data and so the data undergo minimal transformation (e.g. summarizing the responses to an open-ended question in a questionnaire). In contrast,
  • at the other end of the spectrum, studies engage in interpretive explanation and so the data undergo many transformative moves away from the original data (e.g.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essence of an emotional experience).

There is a spectrum of research that exists between these poles, reflecting the degree to which analyses are expected to move beyond simple inventories of data content and characteristics, to generate more abstract interpretations and/or insights. This continuum can serve as a helpful conceptualization of the kind of analysis involved in different qualitative approaches.

FAM은 일반적으로 연구자가 심층 데이터 변환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일반적으로 Sandelowski와 Barroso의 연속체에서 원시 데이터에 가까운 쪽에서 작업하는 연구를 지원합니다. 따라서 FAM은 특정 상황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방법입니다. FAM을 사용하면 연구자가 데이터에 근접하여 설명, 범주 및/또는 유형을 제공하는 분류, 조직화 및 요약된 데이터의 고도로 구조화된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모든 질적 연구가 사회 현상에 대한 새로운 이론이나 고도로 정교한 설명을 만들어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설명적이고 실용 지향적인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FAM과 같은 특정 방법의 가치를 인식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FAM의 설명적 또는 탐색적 경향은 다양한 참여자 그룹을 포함하고 서로 다른 그룹 간의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 분석적 관련성이 있는 질적 데이터 세트를 분석하는 데 특히 유용합니다. 이는 다양한 연령대, 직업 또는 특정 현상에 대한 관계/경험(예: 만성 질환이 있는 의료 전문가와 없는 의료 전문가)과 같이 잠재적으로 관심 있는 자연스러운 하위 집합을 포함하는 대규모 데이터 세트의 경우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Given that FAMs do not typically engage the researcher in deep data transformation, they generally support research working at the close to raw data end of Sandelowski and Barroso’s continuum. As such, FAMs are methods that lend themselves to be used in specific circumstances. FAMs enable the researcher to stay close to the data to generate highly structured outputs of categorized, organized, and summarized data offering descriptions, categories, and/or typologies. Not all qualitative research needs to produce new theories or highly sophisticated explanations of social phenomena. It is therefore helpful to recognize the value of specific methods—like FAMs—for facilitating descriptive and for-practical-use oriented research. The descriptive or exploratory tendencies of FAMs are also particularly useful for analyzing qualitative datasets that include distinct participant groups and where a comparison of findings between different groups is of analytical relevance. This may well be the case with larger datasets that potentially contain natural subsets of interest, such as different age groups, professions, or relationships with/experiences of a given phenomenon (e.g. health care professionals with and without chronic illness).

FAM과 달리 다른 질적 방법론과 데이터 분석 방법에는 상당한 변형이 수반됩니다. 데이터 변환의 연속선상에서 다양한 질적 연구 접근법이 어떻게 위치할 수 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어떤 접근법은 데이터에 대한 심층적인 해석과 현상에 대한 설명을 수반하는 반면, 어떤 접근법은 해석을 거의 수반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표 3은 프레임워크 방법, FAM을 포함한 네 가지 접근 방식을 이 연속체에 따라 정리하고 각 접근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구 목적의 측면에서 비교를 제공합니다. 
In contrast to FAMs, other qualitative methodologies and data analysis methods involve considerable transformation. By reflecting on how different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can be located along the continuum of data transformation, we highlight how some approaches involve deep interpretation of data and explanations of phenomena, while others engage in very little interpretation. Table 3 organizes four different approaches—including framework method, an FAM—along this continuum and offers comparisons in terms of the kind of research purposes each approach is typically used to address.


그렇다고 해서 FAM이 해석이나 데이터 변환이 필요 없다는 뜻은 아니며, 대신 발생하는 변환은 원시 데이터에 가깝게 유지됩니다. FAM의 힘 중 하나는 대량의 데이터를 의도적으로 구성된 사례(예: 분석 단위, 참가자 인터뷰)와 코드(예: '원시 데이터 발췌에 할당된 설명적 또는 개념적 레이블')로 축소하는 능력에 있습니다(Gale 외. 2013, 2페이지). 이러한 사례와 코드는 전체 데이터 세트에 적용되는 코딩 프레임을 구성하며, 코딩은 본질적으로 데이터 발췌에 적절한 코드로 라벨을 붙이는 과정입니다. 모든 데이터가 프레임워크에 코딩되었다고 해서 분석이 완료된 것은 아닙니다. 대신 연구자가 연구의 특정 목표로 돌아가 사례와 코드가 이러한 목표를 충족하는지 확인하고, 관심 있는 현상의 범위 또는 성격을 매핑하고, 유형학을 개발하고, 연관성 또는 설명을 식별해야 합니다(Ritchie와 Spencer 1994). 이 작업에는 분명히 데이터에 대한 해석이 포함되지만, 분석은 데이터에 가깝게 유지되며 일반적으로 추상화 수준이 제한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This is not to suggest that FAMs are free of any interpretation or data transformation; instead, the transformation that takes place stays close to the raw data. Part of the power of FAMs rests in their ability to reduce large amounts of data into a purposefully constructed set of cases (i.e. the units of analysis; e.g. a participant interview) and codes (i.e. ‘a descriptive or conceptual label that is assigned to excerpts of raw data’ (Gale et al. 2013, p2). These cases and codes make up the coding frame which is applied to the entire dataset; this application is essentially a process of labelling data excerpts with the appropriate code. When all the data is coded into the framework, the analysis is not complete. Instead, as Ritchie and Spencer explain, this is when the researcher: returns to the study’s specific objectives and ensures that the cases and codes address these objectives; maps the range and/or nature of the phenomenon of interest; develops typologies; and identifies associations and/or explanations (Ritchie and Spencer 1994). While this work clearly involves interpretations of the data, the analysis stays close to the data and offers insights that are typically limited in their level of abstraction.

FAM을 사용하여 정성적 분석에 참여하는 방법
How to engage in qualitative analysis using a FAM

FAM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우리는 이 우산 아래에서 프레임워크 방법(FM)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FM은 패턴 기반의 구조화된 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사례와 코드가 교차하는 매트릭스로 구성하고, 결국 프레임워크 매트릭스의 도움으로 주제를 개발합니다(Gale 외. 2013). 사례(즉, 분석 단위)는 종종 개별 참여자이지만 사례는 참여자 그룹, 조직 또는 다른 범주일 수도 있습니다. 이 접근 방식은 사례를 비교하고 대조하는 것을 장려하기 때문에 데이터 세트가 비교적 균질하고 일관되게 수집되는 것이 중요합니다(Gale 외. 2013). 
To illustrate how to use FAMs, we select one from underneath this umbrella: the framework method (FM). FM uses a pattern-based and structured set of techniques to organize data into a matrix where cases intersect with codes, and eventually developing themes with the help of the framework matrix (Gale et al. 2013). The case (i.e. the unit of analysis) is often an individual participant, but a case could also be a participant group, an organization, or another categorization. Since this approach encourages the comparing and contrasting of cases, it is important that the dataset be relatively homogenous and consistently collected (Gale et al. 2013).

연역적 접근법에서는 기존 이론, 선행 연구 또는 특정 연구 목표를 기반으로 주제 및/또는 코드를 미리 선택하고, 귀납적 접근법에서는 데이터에서 코드와 주제를 생성한 후 분석이 진행됨에 따라 구체화합니다. FM은 전사, 익숙화, 코딩, 작동하는 분석 프레임워크 개발, 분석 프레임워크 적용, 프레임워크 매트릭스에 데이터 차트화, 데이터 해석의 7단계로 구성됩니다(Gale 외. 2013). 아래에서 각 단계를 설명합니다. 이러한 단계는 독립적인 연구자가 수행하거나 연구팀이 공동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대규모 데이터 세트로 작업하는 경우, 데이터 관리 및 분석을 돕기 위해 정성적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를 7단계 중 일부 또는 모두에 활용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설명하는 단계는 FM에 국한된 것이지만, 이 단계에 관련된 작업은 다른 FAM에서 사용되는 많은 프로세스와 유사하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FM can be used both deductively and inductively: in the deductive approach, themes and/or codes are pre-selected based on existing theories, prior research or specific study objectives; in the inductive approach, codes and themes are generated from the data and refined as analysis progresses. FM involves seven stages: transcription; familiarization; coding; developing a working analytical framework; applying the analytical framework; charting data into the framework matrix; and interpretating the data (Gale et al. 2013). We describe each of these below. These stages can be carried out by an independent researcher or collaboratively by a research team.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may be relevant to utilize in many or all seven stages to aid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especially if working with a large datase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stages we describe are specific to FM; however, the work involved in these stages parallels many of the processes used in other FAMs.

1단계: 전사
Stage 1: Transcription

대부분의 정성적 분석 방법과 마찬가지로, FM을 사용한 데이터 분석 작업은 전사 작업으로 시작되며, 특히 연구자가 전사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따라서 단어 하나하나를 그대로 옮긴(즉, 축어체) 트랜스크립트를 작성하는 것은 데이터에 대한 첫 번째 검토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외부 계약업체가 전사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FM 연구자는 원본 녹음과 대조하여 전사본을 확인하여 정확성을 보장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데이터에 몰입하여 연구 목적 및 질문과 관련하여 데이터를 고려해야 합니다. 질적 설문조사 응답을 사용하는 경우처럼 녹음된 데이터의 필사본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Palermo 외. 2019), 2단계가 첫 번째 분석 단계가 됩니다. 
As with most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the work of data analysis using FM begins with transcription—especially if that transcription work is being done by the researcher. As such, the creation of a word-for-word (i.e. verbatim) transcript acts as a first review of the data. However, even if the transcription work is being conducted by an external contractor, the FM researcher should verify the transcript against the original recording to ensure accuracy. This process requires the researcher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data and consider them in relation to the research purposes and questions. If no transcription of recorded data is required, as in the case of using qualitative survey responses (Palermo et al. 2019), stage 2 becomes the first analysis phase.

2단계: 익숙화
Stage 2: Familiarization

다양한 질적 데이터 분석 방법에서 여전히 일반적인 이 단계에서는 연구자가 데이터 세트의 범위와 다양성에 익숙해져야 합니다. 이 단계는 본질적으로 데이터에 더 깊이 몰입하는 작업입니다. 익숙해지기 위해서는 기록이나 응답을 읽거나 녹음을 듣는 것이 포함됩니다. 이 숙지 과정에서 연구자는 핵심 아이디어, 생각, 인상, 반복되는 주제에 대한 맥락 및 반성적 메모를 작성해야 합니다.  
This phase of FM, which is still typical for many different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s, requires the researcher to become familiar with the range and diversity of the dataset. It is essentially the work of deeper immersion in the data. Familiarization can involve reading of transcripts or responses, and/or listening to recordings. During this familiarization, the researcher should write contextual and/or reflective memos of key ideas, thoughts, impressions, and recurrent themes that they notice.

3단계: 코딩
Stage 3: Coding

코딩의 어떤 형태는 많은 질적 분석 방법에서 공통적이지만, 이 단계에서는 FM이 다른 방법과 더욱 뚜렷해지기 시작하고 FM의 변형(예: 귀납적 또는 연역적)도 서로 달라지기 시작합니다. 이는 질적 방법론과 분석 방법마다 코딩에 접근하는 방식이 매우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 FM 단계에서 연구자는 간단한 설명 코드 또는 의역된 데이터 발췌문으로 데이터 세그먼트에 레이블을 지정합니다. 이 라인별 작업의 목표는 데이터를 조사할 수 있는 주요 문제와 개념을 식별하는 것입니다(Ritchie and Spencer 1994). 코드를 개발할 때 연구자는 데이터 세트의 모든 트랜스크립트(즉, 모든 사례)로 작업하거나 일부만 사용하여 코드를 개발하기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While some form of coding is common to many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this is the phase where FM starts to become more distinct from other methods, and where variations of FM (e.g. inductive or deductive) also differ from each other. This is because different qualitative methodologies and analysis methods approach coding in very different ways. During this FM stage, the researcher labels data segments with brief descriptive codes or paraphrased data excerpts. The goal of this line-by-line work is to identify key issues and concepts according to which the data can be examined (Ritchie and Spencer 1994). When developing codes, it may be that the researcher decides to develop codes by working with all transcripts (i.e. all cases) in the dataset or by using only a few.

귀납적 분석을 지원하기 위해 FM을 사용할 때 Gale 등(2013)은 다음과 같이 제안합니다:
When using FM to support inductive analysis, Gale et al. (2013) suggest that:

코드는 실체적인 것(예: 특정 행동, 사건 또는 구조), 가치(예: 근거 기반 의학 또는 환자 선택에 대한 믿음과 같이 특정 진술을 알리거나 뒷받침하는 것), 감정(예: 슬픔, 좌절, 사랑) 및 보다 인상적/방법론적 요소(예: 인터뷰 대상자가 설명하기 어려운 것을 발견함, 인터뷰 대상자가 감정적이 됨, 인터뷰자가 불편함을 느낌)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p. 4)
Codes could refer to substantive things (e.g., particular behaviours, incidents or structures), values (e.g., those that inform or underpin certain statements, such as a belief in evidence-based medicine or in patient choice), emotions (e.g., sorrow, frustration, love), and more impressionistic/methodological elements (e.g., interviewee found something difficult to explain, interviewee became emotional, interviewer felt uncomfortable). (p. 4)

이와는 대조적으로, 순수 연역적 FM 연구에서는 주제가 미리 정의되어 있고, 이론, 모델 또는 문헌의 기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코드에 정보를 제공합니다(Onyura 외. 2017). 귀납적-연역적 결합 접근 방식을 결합한 경우, 코딩은 미리 식별되거나 개발된 프레임워크에 의해 부분적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귀납적 코딩은 연역적으로 결정된 주제에 대한 하위 주제를 개발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Redman et al. 2017).
In contrast, in a purely deductive FM study, themes will have been pre-defined, informed by a theory, a model, or existing findings from the literature, which then informs codes (Onyura et al.
 2017). In combined inductive-deductive approaches, the coding can be partly informed by pre-identified or developed frameworks, and inductive coding can be used to develop sub-themes to deductively determined themes (Redman et al. 2017).

코드가 인사이트를 개발하는 기반이 되기 때문에 코드 개발은 FM에서 특히 중요한 측면입니다. Gale 등(2013)은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코딩은 모든 데이터를 분류하여 데이터 세트의 다른 부분과 체계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4페이지). 연구의 성공에 있어 코드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연구자는 코드가 '적합하지 않거나' 데이터와 잘 맞지 않을 때를 인식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연구자가 코드를 재고하고 개선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고 Ritchie와 Spencer(1994)는 제안합니다. 이는 연구팀에서 논의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관행은 데이터 분석을 더욱 견고하게 만들 것입니다. 
The development of codes is a particularly important aspect of FM since codes are the foundations from which insights are developed. As Gale et al. (2013) explain: ‘coding aims to classify all of the data so that it can be compared systematically with other parts of the dataset’ (p. 4). Given the centrality of codes to the success of the study, it is essential that the researcher recognizes when codes are not a good ‘fit’ or not well aligned with the data. In these situations, Ritchie and Spencer (1994) suggest that the researcher be ready to reconsider and refine codes. This might be done by discussing them in the research team—a practice that should make the data analysis more robust.

4단계: 작업용 분석 프레임워크 개발하기
Stage 4: Developing a working analytical framework

코드가 개발되면 연구자는 작업용 분석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여 보다 고유하고 정의적인 FM 단계로 진행합니다. 프레임워크는 명확하게 정의되고 설명된 전체 코드 집합으로 구성되며, 일부 코드는 카테고리로 묶여 있습니다. 팀으로 작업하는 경우 이 단계에서는 서로 다른 팀원들의 코딩 접근 방식을 조율해야 하며, 정확한 프로세스는 특정 연구에 대해 취하는 실용적이고 철학적 접근 방식과 분석 프로세스의 목표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 귀납적 접근 방식으로 작업하는 경우, 연구팀은 코드의 개념화 전반에 걸친 차이를 어떻게 수용할지 결정해야 합니다(예: 한 연구자의 코드 'X'가 다른 연구자의 코드 'Y'와 충분히 겹쳐서 서로 병합할 수 있는가?). 이와 대조적으로
  • 연역적 접근 방식에서는 연구자가 기존의 개념적 틀을 활용할 수 있지만(예: Onyura 외. 2017 및 표 4 참조), 연구자는 기존 이론, 모델 및/또는 문헌 기반 코드에 대한 각 코더의 해석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Once codes have been developed, the researcher progresses to the more unique and defining stages of FM by constructing a working analytical framework. This framework consists of the full set of codes—clearly defined and described—and with some codes being clustered together into categories. If working in a team, this phase will involve harmonization of different team members’ coding approaches; the exact process for that will depend on the practical and philosophical approach taken for a specific study, as well as the aims of the analysis process. For instance,

  • if working from an inductive approach, the research team will need to determine how to accommodate differences across the conceptualizations of codes (e.g. does one researcher’s code ‘X’ overlap sufficiently with another researcher’s code ‘Y’ so that they can be merged together?). In contrast,
  • in a deductive approach, researchers may draw on an existing conceptual framework (see e.g. Onyura et al. 2017 and Table 4), but the researchers will then need to confirm that each coder’s interpretation of the pre-existing theory, model, and/or literature-based codes are aligned.

연구자가 프레임워크가 연구 질문에 답할 수 있는 모든 관련 데이터를 포착하고 있다고 판단하기까지 여러 번의 반복이 필요하기 때문에 (귀납적 접근 방식과 연역적 접근 방식 모두) 프레임워크 개발 작업은 힘들 수 있습니다. Gale 등(2013)이 지적한 것처럼, 분석 프레임워크가 완성될 때까지 '기타' 또는 '기타'와 같은 자리 표시자 코드를 사용하여 점진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연구자가 귀납적으로 데이터에 접근할수록 분석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분석 방법이나 접근 방식을 선택하기 전에, 그리고 분석 프로세스를 시작할 때 고려해야 할 실용적이고 방법론적인 고려 사항입니다. 
This work of developing the framework can be laborious since—for both inductive and deductive approaches—several iterations will be required before the researcher decides that the framework is capturing all the relevant data that will enable them to answer their research question(s). As Gale et al. (2013) point out, it is worth making space for this gradual refinement by using placeholder codes such as ‘other’ or ‘miscellaneous’ until the analytical framework can be finalized. It is worth noting that the more inductively the researcher approaches the data, the more time the analysis is likely to take. This is both a practical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 worth giving some thought to prior to selecting an analysis method or approach, and when starting the analysis process.

5단계: 분석 프레임워크 적용
Stage 5: Applying the analytical framework

이전 단계에서 개발한 분석 프레임워크를 적용하기 위해 분석 프레임워크에 나열되고 설명된 코드를 사용하여 데이터 세트의 모든 트랜스크립트를 코딩합니다(즉, 코드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는 수동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의 태그를 사용하여 표시합니다). 연구 데이터 세트의 크기에 따라 질적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프레임워크를 적용하는 작업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세트에 많은 기록(예: 사례)이 있는 경우, 소프트웨어는 연구자가 모든 데이터를 코딩하고 정리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 발췌문을 독립형 문서로 내보내 사례 간 비교를 용이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To apply the analytical framework developed in the previous phase, all transcripts in the dataset will be coded (i.e. all data pertaining to a code will be marked, either manually or using tags in a software) using the codes listed and described in the analytical framework.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tudy’s dataset, the work of applying the framework can be expedited using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If the dataset has many transcripts (i.e. cases), software can help the researcher not only to code and organize all data, but also to export data excerpts into stand-alone documents, thereby facilitating cross case comparisons.

6단계: 프레임워크 매트릭스에 데이터 차트화
Stage 6: Charting data into the framework matrix

데이터를 코딩하는 데 사용된 분석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코드(또는 카테고리나 주제와 같은 상위 수준의 구성 요소, 예: Klingberg 외, 2022)와 사례(또는 사례 그룹, 예: Klingberg 외, 2022)를 스프레드시트 구조(예: 열은 코드를 나타내고 행은 사례를 나타내는 구조)로 결합하여 프레임워크 매트릭스를 구성합니다. 각 사례 및 코드에 대해 해당 코드와 관련된 성적표의 측면에 대한 요약 설명을 포함하거나 대표적인 인용문을 매트릭스에 도표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여러 사례 또는 그룹에서 패턴과 뉘앙스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Based on the analytical framework used to code the data, a framework matrix is constructed by combining codes (or higher-level constructs, such as categories or themes, e.g. Klingberg et al. 2022) and cases (or groups of cases, e.g. Klingberg et al. 2022) into a spreadsheet structure (e.g. where columns represent codes and rows represent cases). For each case and code, a summary description of the aspects of the transcript that relate to that code can be included, or a representative quote can be charted into the matrix. This allows for patterns and nuances to be traced across the different cases or groups.

7단계: 데이터 해석
Stage 7: Interpreting the data

코드를 결정하고 메모를 작성할 때 분석의 초기 단계에서 이미 어느 정도의 해석이 이루어졌다면, 보다 공식적인 데이터 해석 및 테마 생성 단계는 데이터를 프레임워크 매트릭스에 차트화한 후에 이루어집니다. 이 단계에서는 연구자가 연구 목적과 연구를 주도하는 연구 질문을 검토합니다. Ritchie와 Spencer(1994)는 이 단계의 기본 프로세스로 연구자가 차트화된 데이터를 검토하고, 연구 노트/메모를 검토하고, 사례 간 비교 및 대조하고, 패턴과 연관성을 찾고, 연구 질문과 관련된 결과를 밝히는 데 도움이 되는 설명을 찾아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Gale 등(2013)은 다음과 같이 잠재적인 해석 방법을 설명합니다: 
While some level of interpretation already takes place during the earlier phases of analysis when deciding on codes and writing memos, the more formal phase of data interpretation and theme generation occurs after charting data into the framework matrix. This is when the researcher reviews the study purposes and research question(s) driving the research. Ritchie and Spencer (1994) noted that the basic processes for this stage require the researcher: to review the charted data; to examine research notes/memos; compare and contrast across cases; search for patterns and connections; and to seek out descriptions that help to illuminate findings relevant to the research question(s). Gale et al. (2013) describe potential interpretive avenues as follows:

점진적으로 데이터의 특징과 데이터 간의 차이점을 파악하여 유형학을 생성하고, 이론적 개념(이전 개념 또는 데이터에서 나온 개념)을 질문하거나, 범주 간의 연결을 매핑하여 관계 및 인과관계를 탐색합니다. 데이터가 충분히 풍부하다면 이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특정 사례에 대한 설명을 넘어 현상의 출현 이유, 조직이나 기타 사회적 행위자가 상황을 어떻게 유발하거나 대응할지 예측하거나 조직이나 시스템 내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영역을 식별하는 데까지 확장될 수 있습니다(5페이지).
Gradually, characteristics of and differences between the data are identified, perhaps generating typologies, interrogating theoretical concepts (either prior concepts or ones emerging from the data) or mapping connections between categories to explore relationships and/or causality. If the data are rich enough, the findings generated through this process can go beyond description of particular cases to explanation of, for example, reasons for the emergence of a phenomena, predicting how an organisation or other social actor is likely to instigate or respond to a situation, or identifying areas that are not functioning well within an organisation or system (p. 5).

또한 데이터 해석은 종종 작성 과정에서 개발되고 개선되므로, 연구 원고를 작성하는 과정도 분석 과정의 일부로 간주된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Gale 등(2013)은 주제를 분석의 최종 결과물로 설명하지만, 해석의 정확한 과정과 결과는 연구 목적, 분석 접근법(귀납적 또는 연역적), 해당 연구의 설계에 따라 달라집니다. 
It is also important to remember that data interpretations are often developed and refined throughout the writing process and so the process of writing the research manuscript is considered part of the analytic process. While Gale et al. (
2013) describe themes as the final output of analysis, the exact process and outcome of interpretation will depend on the purpose, analysis approach (i.e. inductive or deductive), and design the study in question.

HPE 연구에서의 FAM 예시
Examples of FAMs in HPE research

과거에 HPE 학자들이 FAM을 어떻게 성공적으로 사용했는지 설명하기 위해 표 4에는 각각 약간 다른 방식(예: 귀납적, 연역적 또는 두 접근법의 조합)으로 FAM을 활용하는 현장에서 발표된 사례가 요약되어 있으며, 질적 또는 혼합 방법 HPE 연구에서 다양한 목적에 맞는 FAM의 다용도성을 보여 줍니다. 
To illustrate how HPE scholars have successfully used FAMs in the past, Table 4 summarizes published examples from the field, each utilizing FAMs in slightly different ways (e.g. inductively, deductively or a combination of the approaches), illustrating the versatility of FAMs for different purposes in qualitative or mixed methods HPE research.

피해야 할 함정
Pitfalls to avoid

귀납적 및 연역적으로 모두 적용 가능하고, 대규모 정성적 데이터 세트를 분석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에 비교적 구조화된 접근 방식을 제공하는 등 FAM은 상당한 이점을 제공하지만, 연구자가 피해야 할 몇 가지 함정도 있습니다. 첫 번째 함정은 특정 패러다임 내에서 연구를 진행하지 않고 FAM을 사용하는 것입니다(표 1 참조). HPE의 연구자들은 개별 학자들이 제기하는 질문, 개발할 수 있는 지식의 종류, 유용한 방법의 종류, 기대되는 엄격성의 표준을 개념화하는 방식을 형성하는 다양한 연구 전통에 따라 연구에 참여합니다. 이러한 전통 또는 패러다임은 HPE 연구자가 개별 FAM을 활용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것입니다. 따라서 연구자는 단순히 FAM의 단계를 따른다고 가정해서는 안 되며, 패러다임적 방향과 연구의 품질 및 엄격성에 대한 기본 기대치에 맞게 FAM 사용을 조정해야 합니다(Varpio 및 MacLeod 2020). 
Although FAMs offer significant benefits (e.g. being applicable both inductively and deductively; offering means of analyzing large qualitative datasets; and offering relatively structured approach to the data analysis process), there are also certain pitfalls that researchers will want to avoid. The first pitfall is using FAMs without situating their research within a specific paradigm (see Table 1). Researchers in HPE engage in their studies from different research traditions that shape how individual scholars conceptualize the questions being asked, the kind of knowledge that can be developed, the kinds of methods that are useful, and the standards of rigor that are to be expected. These traditions—or paradigms—will change the way the HPE researcher harnesses individual FAMs. Therefore, researchers should not assume that they simply follow the stages of an FAM; instead, they must tailor their FAM use to align with their paradigmatic orientation and the underlying expectations of quality and rigor for the study (Varpio and MacLeod 2020).

또 다른 함정은 [해석][FAM의 보다 구조화된(그리고 잠재적으로 더 따르기 쉬운) 요소]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Gale 외(2013)의 FM에서 테마는 전체 데이터 집합을 분석한 최종 결과물로 설명되지만, 분석 단계가 프레임워크 매트릭스에서 테마를 정확히 어떻게 개발해야 하는지를 지시하지는 않습니다. 이는 연구의 접근 방식(예: 귀납적, 연역적 또는 혼합)과 목적(예: 설명적 또는 탐색적)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때 연구 도구로서 질적 연구자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하며, 각 연구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방식으로 주제를 개발하는 작업에 참여하게 됩니다.

  • 귀납적 접근법의 경우, 프레임워크 매트릭스 구조를 사용하여 코드, 범주, 사례 비교를 점진적으로 읽고 다시 읽으면서 이러한 요소들 간의 연결고리를 만들어내는 주제에 대한 분석 메모를 생성하는 등 주제 개발을 지원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연역적 접근법의 경우, 테마는 분석의 결과라기보다는 입력이므로 해석 작업은 관련 테마에 맞춰 코딩 및 프레임워크 개발을 수행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연구를 뒷받침하는 접근 방식과 목표에 관계없이 모든 연구 과정과 결과가 목표, 목적 및 수행된 관행에 따라 투명하고 일관되게 보고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Another pitfall is the challenge of balancing interpretation with the more structured (and potentially easier to follow) elements of an FAM. For example, in Gale et al. (2013) FM, themes are described as the final output of analyzing the entire dataset, but the stages of analysis do not dictate how exactly to develop themes from the framework matrix. This will depend on the approach (i.e. inductive, deductive, or mixed) and aim (e.g. descriptive or exploratory) of the study. This is where the role of the qualitative researcher as a research instrument must be emphasized; each researcher will engage in the work of developing themes in their own preferred way.

  • In an inductive approach to FM, it may be helpful to use the framework matrix structure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mes by, for example, gradually reading and re-reading codes, categories, and case comparisons to generate analytic memos of themes they identity that create connections between these elements.
  • In the case of deductive approaches, themes are inputs rather than outputs of the analysis and, as such, the work of interpretation centers on carrying out coding and framework development in line with the relevant themes.

Regardless of the approach and aim that underpins the study, it is important that all research processes and findings are reported transparently and consistently with aims, objectives, and undertaken practices.

결론
Conclusion

이 AMEE 가이드에서는 FAM과 이 포괄적인 용어 아래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접근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귀납적 접근법과 연역적 접근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FAM의 유연성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FM을 예로 들어, 독자들이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연구와 관련된 분석 작업의 종류를 이해할 수 있도록 특정 FAM에 참여하는 단계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다른 질적 분석 접근 방식과 마찬가지로 FAM에는 몇 가지 위험과 함정이 수반되지만, 우리가 제공한 예와 권장 사항이 더 많은 HPE 연구자가 해당 분야에서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In this AMEE guide, we have endeavored to provide clarity around FAMs and the variety of approaches that can sit beneath that umbrella term. We have highlighted the flexibility of FAMs, noting that they can be used both inductively and deductively. Using FM as an example, we have also described the stages involved in engaging in a particular FAM to provide reader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kind of analytical work involved in research using these methods. As with any qualitative analysis approach, FAMs involve some risks and pitfalls but we hope that the examples and recommendations we have provided can help more HPE researchers use these methods in our field.

 


Med Teach. 2023 Sep 21:1-8. doi: 10.1080/0142159X.2023.2259073. Online ahead of print.

Using framework analysis methods for qualitative research: AMEE Guide No. 164

Affiliations 

1SAMRC/Wits Developmental Pathways for Health Research Unit, Faculty of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 Johannesburg, South Africa.

2Department of Educational Development and Research,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3Department of Pediatrics, Children's Hospital of Philadelphia, Division of Emergency Medicine, Perelman School of Medicine,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hiladelphia, PA, USA.

PMID: 37734451

DOI: 10.1080/0142159X.2023.2259073

Abstract

Framework analysis methods (FAMs) are structured approaches to qualitative data analysis that originally stem from large-scale policy research. A defining feature of FAMs i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atrix-based analytical framework. These methods can be used across research paradigms and are thus particularly useful tools in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researcher's toolbox. Despite their utility, FAMs are not frequently used in HPE research. In this AMEE Guide, we provide an overview of FAMs and their applications, situating them within specific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We also repor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FAMs in relation to other popular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Using a specific type of FAM-i.e. the framework method-we illustrate the stages typically involved in doing data analysis with an FAM. Drawing on Sandelowski and Barroso's continuum of data transformation, we argue that FAMs tend to remain close to raw data and be descriptive or exploratory in nature. However, we also illustrate how FAMs can be harnessed for more interpretive analyses. We propose that FAMs are valuable resources for HPE researchers and demonstrate their utility with specific examples from the HPE literature.

Keywords: Qualitative research; framework analysis; framework method; qualitative analysis; qualitative methods.

대관절 누구의 문제인가? 보건의료전문직 교육에서 '문제'의 신화 직면하기 (Med Educ, 2023)
Whose problem is it anyway? Confronting myths of ‘problem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liki Thomas1 | Rachel H. Ellaway2

 

 

1 서론
1 INTRODUCTION

생물 의학 및 보건 관련 분야에서 과학적 증거와 실제 사용 사이의 격차, 특히 이러한 격차로 인해 피해와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1 지식 번역 및 실행 과학 분야는 대부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2, 3 그러나 상당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지식 번역 개입은 아니더라도 많은 경우 여전히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4 일부에서는 [연구자들이 다루는 문제]가 [실무자에게 중요한 문제]였다면 지식 번역 분야에서 해결하려는 문제(즉, 연구-실무 격차)가 애초에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합니다.5 지식 생산자와 사용자 간의 협력적이고 참여적인 접근을 옹호하는 최근의 지식 번역 접근법(통합 KT라고 함)은 임상의, 관리자 및 정책 결정자가 함께 연구자들이 집중해야 하는 문제를 파악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6  
There have been growing concerns in the biomedical and health-related sectors over gaps between scientific evidence and its use in practice, particularly when such gaps can result in harms and inefficiencies.1 The fields of knowledge translation and implementation science were in large part developed to address these problems.2, 3 However, despite considerable efforts, many if not most knowledge translation interventions still fail to produce their desired outcomes.4 Some have argued that the problems the knowledge translation field is trying to resolve (i.e. research-practice gaps) would not exist in the first place if the problems researchers addressed were ones that mattered to practitioners.5 Recent knowledge translation approaches (referred to as integrated KT), which advocate for collaborative and participatory approaches amongst knowledge producers and users, have been designed to bring clinicians, managers and policy makers together to identify problems that researchers should focus on.6

보건의료 분야와 마찬가지로 보건의료 전문가 교육도 마찬가지입니다. 보건 전문직 교육(HPE) 커뮤니티는 지식 번역 및 실행 과학의 가치와 관련성을 탐구해 왔습니다.7 그러나 많은 HPE 과학자들이 이러한 요청에 귀를 기울였지만,8,9 누구의 문제를 어떤 목적으로 해결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열망이 무엇이든, 실제로 보건 전문직 교육 연구(HPER)와 HPE의 문제와의 관계는 다소 미약합니다. 
As in health care, so in the education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community has been exploring the value and relevance of knowledge translation and implementation science.7 However, although many HPE scientists have heeded the call,8, 9 the question of whose problems are being addressed and to what end remains. Whatever the aspirations, in practice, the alignment betwee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HPER) and its relation to problems in HPE is somewhat tenuous.

이는 연구자들이 연구를 항상 문제의 관점에서 표현해야 한다는 기대, 예를 들어 연구 전달을 위한 문제-간극-후크 수사학적 프레임에 대한 기대가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10 우리는 이것이 학자들이 연구가 기대하는 잠재적 기여를 더 잘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되고 실무에 기여하는 연구의 역할을 강조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모든 HPER을 연구가 해결책을 제공하는 문제의 관점에서 표현해야 하는가? 또한 연구 중인 문제가 대부분의 교육자, 리더 또는 학습자가 실제로 직면하는 문제인지도 의문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의료 분야에서와 마찬가지로 지식 번역 및 실행 과학이 HPE에서도 실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연구 결과가 실무자의 문제를 해결하는지 여부를 묻는 것보다는 HPER의 연구 문제가 의미 있는 실무자의 문제를 반영하는지 여부를 묻는 것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This has not been helped by expectations that researchers should always express their studies in terms of problems, exemplified, for instance, in the problem-gap-hook rhetorical frame for communicating research.10 Although we concede that this can help scholars to better articulate the putative contribution that a study is expected to make and has helped highlight the role of research in contributing to practice, should all HPER be articulated in terms of problems to which the study provides a solution? We also question whether the problems being researched are the problems that most educators, leaders or learners actually face. If they are not, then it seems likely that knowledge translation and implementation science will fail in HPE as they have in health care. It would seem, therefore, that, rather than simply asking whether research findings solve practitioner problems, we should also be asking whether research problems in HPER reflect meaningful practitioner problems.

이 신화 논문에서는 HPE와 HPER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문제들의 성격과 연관성, 그리고 이들이 어느 정도 일치할 수 있는 방식을 고려합니다. 우리의 목표는 연구 문제실무자 문제의 틀, 표현, 제약에 대한 대안적(그리고 보다 현실적인) 사고 방식을 제시하여 한 문제가 다른 문제와 더 잘 연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거에서 행동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더 원활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연구 문제를 실무자 문제에 맞출 필요가 없는 경우(예: 대상자가 다른 연구자인 경우)에는 해당 연구가 의도한 목표를 더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습니다. 그래야만 지식 번역과 그 과학적 연구(즉, 실행 과학)가 우리 분야에서 보다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이유와 방법에 대해 더 강력한 사례를 제시할 수 있습니다. 
In this Mythology paper, we consider the nature and connections between different kinds of problems in HPE and HPER, and the ways in which they may be more or less aligned. Our goal is to offer an alternative (and hopefully more realistic) way of thinking about the framing, articulation and constraints of research problems and practitioner problems so that one can be better aligned with the other, thereby creating a smoother path from evidence to action. Where research problems do not need to be aligned to practitioner problems (such as when the audience is other researchers), we can redirect efforts towards making those studies more effective in meeting their intended goals. Only then, can we make a stronger case for why and how knowledge translation and its scientific study (i.e. implementation science) can play a more substantive role in our field.

다섯 가지 주요 질문을 중심으로 우리의 주장을 구조화했습니다.

  • 모든 것이 문제인지, 
  • 모든 실무자의 요구는 문제 해결에 관한 것인지, 
  • 실무자의 문제는 충분한 증거로 해결할 수 있는지, 
  • 모든 학술 출판물이 실무자의 문제를 대상으로 하는지, 
  • 실제 실무자의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문헌에 중요한 기여를 하는지

문제와 HPER 사이의 연결에 대한 이러한 재개념화를 바탕으로, 우리는 우리 분야에서 지식 번역과 실행 과학이 어떻게 표현될 수 있는지 다시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We have structured our arguments around five main questions, each of which reflects what we consider to be an ambient myth in our field:

  • whether everything is a problem;
  • whether all practitioner needs are about problem solving;
  • whether practitioner problems are resolvable with sufficient evidence;
  • whether all scholarly publications target practitioner problems; and
  • whether studies that focus on solving a real practitioner problem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literature.

Building on this reconceptualization of the connections between problems and HPER, we propose ways in which we might rethink how knowledge translation and implementation science might be articulated in our field.

논의를 진행하면서 먼저 이러한 문제에 대한 우리 자신의 입장과 관점에 주목합니다. AT는 지식 번역 및 실행 과학 연구자로서 HPE와 임상 실무의 교차점에 있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작업치료사이자 학자이며 HPE에서 두 개의 저널을 편집하는 부편집장인 그녀는 종종 누가, 어떤 목적으로, 누구와 함께 연구 질문을 생성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곤 합니다. 파트너십 접근법,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공동 구성 및 통합 지식 번역을 사용하는 그녀의 연구는 이 백서에 제시된 아이디어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RHE는 의학교육 연구자로서 시스템과 구조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고 있습니다. 학자뿐만 아니라 부학장, 학부 의학교육 위원회 위원장, 교육 기술 서비스 관리자, 저널 편집자로도 활동했습니다. 그녀는 이러한 역할을 통해 얻은 모든 관점을 바탕으로 이 글을 작성했습니다.  
In advancing our arguments, we first note our own positionality and perspectives on these issues. AT is a knowledge translation and implementation science researcher whose work is at the intersection of HPE and clinical practice. As an occupational therapist, scholar and an associate editor of two journals in HPE, she is often called to question who is involved in generating research questions, to what end, and with whom. Her research, which uses partnership approaches, co-construction with different stakeholders and integrated knowledge translation, has informed the ideas put forth in this paper. RHE is a medical education researcher with a strong focus on systems and structures in her work. As well as being a scholar, she has been an assistant dean, a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committee chair, a manager of education technology services and a journal editor. She draws on all the perspectives these roles have afforded her in articulating this thought piece.

2 모든 것이 문제인가?
2 IS EVERYTHING A PROBLEM?

연구는 주로 새로운 지식과 사고를 개발하고 발전시키는 것입니다. 이전에는 없던 지식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모든 연구는 문제를 해결한다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는 다소 순환적인 주장이며 모든 잠재적 지식(HPER에서 생산되는 지식뿐만 아니라)에 적용되기 때문에 쉽게 무시할 수 있는 주장입니다. 대신, 우리가 미지의 세계를 탐구하거나 새로운 개념이나 이론을 개발하는 추상적인 '문제'가 아니라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 관심이 있다면, 우리가 참여하고자 하는 청중에게 '중요한 문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합시다. 따라서 실무 기반 또는 문제 중심 연구11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종류의 탐구의 결과와 한계에 대해 비판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습니다.12 
Research is primarily about developing and advancing new knowledge and thinking. It might be argued that all research addresses a problem, in that it provides knowledge that we did not previously have. Clearly, this is a rather circular argument and one that is easily dismissed as it applies to all potential knowledge (and not only that which is produced in HPER). Instead, let us say that if we are interested in solving tangible problems (rather than, say, abstract ‘problems’ of exploring the unknown or developing new concepts or theories), then we should focus on those ‘problems that matter’ to the audiences we seek to engage. There is a need, therefore, for those who do engage in practice-based or problem-focused research11 to be critically engaged with the consequences and boundedness of this kind of inquiry.12

좋은 연구 질문을 작성하는 것은 이를 위한 핵심적인 부분이며, 따라서 연구 질문은 실현 가능하고, 흥미롭고, 참신하고, 윤리적이며, 관련성이 있어야 합니다.13 이 백서의 맥락에서 관련성의 기준이 특히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 질문이 연구팀과 관련이 있거나 즉각적인 연구 맥락에서 관련이 있으면 충분할까요? 대부분의 사회과학자들은 일반화 가능성과 전이성의 문제와 씨름하며,14 '중간 범위 이론'이라는 개념은 모든 연구가 완전히 관념적이거나 명목적인 것은 아니라는 점을 반영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발되었습니다.15 보다 개념적이고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한 사회 이론을 구축하기 위해 특정 사회 맥락의 이론을 통합할 필요가 있다는 머튼의 강조15를 고려할 때, 우리 분야에서 연구의 전부 아니면 전무의 공리주의적 또는 관념론적 프레임워크의 바보의 딜레마를 해결하기보다는 '중간 범위의 문제'와 '중간 범위의 연구 질문'을 개발하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요? 
Writing good research questions is a key part of this and as such, they (and the research that is articulated around them) should be feasible, interesting, novel, ethical and relevant.13 We argue that the criterion of relevancy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context of this paper. Is it enough that questions are relevant to the research team or relevant in the immediate study context? Most social scientists wrestle with issues of generalizability and transferability,14 and the concept of ‘middle-range theory’ was developed as a way of reflecting that not all research is either completely idiographic or nomothetic.15 Given Merton's15 emphasis on the need to consolidate theories from specific social contexts to build more conceptual and broadly applicable social theory, might it be better to develop ‘middle-range problems’ and ‘middle-range research questions’ rather than trying to solve the fool's dilemma of an all-or-nothing nomothetic or idiographic framing of research in our field?

우리는 또한 모든 것을 문제 중심으로 표현하면 제시되는 문제와 실무자 문제와의 연계성 모두에서 인공물을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16 예를 들어, 문제를 중심으로 연구 방향을 잡으면 연구 결과물, 즉 제기된 문제에 대한 해답과 해결책이 상당 부분 미리 결정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회나 관점의 차이와 같이 반드시 문제가 되지 않는 현상에 초점을 맞추면 해결책이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거의 의미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문제에만 초점을 맞춘 연구는 문제 해결 행위의 단일화를 강요함으로써 학문적 소통의 다양성을 제한합니다. 또한 본질적으로 문제 중심이 아닌 문제 중심 연구의 커뮤니케이션 논리를 약화시킬 수도 있습니다.
We would also argue that articulating everything around problems can create artefacts, both in the problems being presented and in their alignment with practitioner problems.16 For instance, orienting research around problems to a great extent predetermines what it will produce, that is, answers and solutions to the problem posed. But what if the focus was on a phenomenon that was not necessarily problematic, such as an opportunity or a difference in perspective, for which solutions are not only not needed but may make little sense? Orienting research solely around problems restricts the variety of scholarly communication by forcing a monoculture of problem-solving acts. It can also potentially weaken the logic of those communications of problem-focused research that are not intrinsically problem-focused.

물론 HPE의 모든 연구가 문제 중심적이거나 문제 중심적이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기초 과학의 대부분은 문제 중심이 아니라 호기심 중심입니다. 응용 분야라고 해도 실무자의 문제에만 초점을 맞출 필요는 없습니다.17, 18 학자는 현재의 관행을 정당하게 비판(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지 않고 문제를 제기)하고 연구 방법이나 이론을 평가 또는 개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학자는 다른 학자, 정책 입안자 및 사회 전체와 같이 교육 실무자 이외의 청중을 참여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응용 분야의 연구자가 실무자의 문제에 합법적으로 초점을 맞출 수는 있지만, 이는 전체 그림과는 거리가 멀며 실무자 문제가 우리의 주된 책임 또는 유일한 책임이라는 신화가 도전받지 않을 때 문제가 됩니다. 
Clearly, not all research in HPE is, or needs to be, problem-focused. Indeed, much of the basic sciences are curiosity-driven, rather than problem-driven. Even an applied field does not have to be only, or primarily, focused on practitioners' problems.17, 18 Scholars can legitimately critique current practices (problematizing them without seeking to solve the problem) and appraise or develop research methods or theories. Scholars can also engage audiences other than educational practitioners, such as other scholars, policy makers and society as a whole. So, although researchers in an applied field can legitimately focus on practitioner problems, it is far from the whole picture, and it becomes problematic when the myth that practitioner problems are our main, or even sole, responsibility goes unchallenged.

문제 해결에 대해 모든 실무자가 필요로 하나요?
3 ARE ALL PRACTITIONER NEEDS ABOUT PROBLEM SOLVING?

다른 쪽에서 문제 해결 관계를 고려할 때, 실무자의 니즈가 연구자의 니즈에 대한 이해와 일치하는지 물어볼 수 있습니다. 연구자가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또는 연구자가 문제라고 공식화한 것)이 실무자에게도 특별히 문제가 되는 것으로 보입니까? 실무자는 결국 통일되고 차별화되지 않은 집단이 아닙니다. 일부 실무자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안에 대해 도움이 필요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실무자도 많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연구자가 개원의의 행동에 문제가 있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만 부각하면 개원의와의 관계가 적대적으로 변할 위험이 있습니다. 우리는 권력에 대해 진실을 말할 책임이 있다는 데 동의하며, 이를 위해 연구자는 표준 이하이거나 비효율적이거나 잘못된 관행에 대해 문제제기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실무자의 문제를 해결하는 대신 연구자가 집중해야 할 문제는 어떻게 실무자가 자신의 관행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만들고, 필요하다면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도록 할지입니다. 그렇다고 연구자가 모두 고상한 사람이고 실무자가 모두 궁핍한 사람이라는 말은 아닙니다. 연구자들도 편견에 사로잡히거나 오만할 수 있고, HPE 실무의 현실을 인정하지 않으려 할 수 있습니다. 생물의학 분야에서 보았듯이 연구자들은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과 인식 부족으로 비난받을 수 있습니다.19 그러나 연구자와 실무자가 각자의 활동에서 다소 분리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20 이로 인해 두 그룹 사이에 불일치와 불연속성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며, 두 그룹 간의 신뢰 부족에 대해서도 놀라지 말아야 할 일입니다. 실제로 협력과 신뢰 관계는 실행 가능한 지식을 생산하기 위한 토대이기 때문입니다.21 
Considering problem-solving relationships from the other end, we might ask whether practitioners' needs align with researchers' understanding of those needs. Is what researchers see as a problem (or what they formulate as a problem) also seen as particularly problematic by practitioners? Practitioners are not a unified and undifferentiated group after all. Some practitioners may need help with things they find problematic, but there may be many others who do not. Moreover, researchers risk their relationships with practitioners becoming adversarial if they only frame what practitioners do as problematic and in need of improvement. We agree that there is a responsibility to speak truth to power, and, to that end, researchers should be ready to problematize substandard, inefficient or misguided practice. However, instead of solving a problem for practitioners, the problem that researchers may focus on is how to get practitioners to think deeply about their practice and, when need be, accept that there is a problem. This is not to say that researchers are all high-minded individuals and practitioners are all needy peons. Researchers are just as likely to be biased, arrogant or unwilling to acknowledge the realities of HPE practice. They may, as we have seen in the biomedical arena, be faulted for their lack of recognition and appreciation of the ‘real world’.19 However, given that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can often be somewhat decoupled in their respective activities,20 it should not be surprising that this can create inconsistencies and discontinuities between them, nor should we be surprised by the ensuing lack of trust between the two groups. The consequence of such differences may be dire; indeed, collaborative and trusting relationships are the foundation for producing actionable knowledge.21

또한 문제에만 초점을 맞춘 연구 기반이 실무자의 요구를 잘 충족하고 있는지 자문해 보아야 합니다. 실무자들은 새로운 기회, 논쟁, 프레임워크, 최적화 또는 경제성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모든 것을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하면 문헌이 실무자 청중에게 제공할 수 있는 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물론 기회와 혁신은 모두 문제의 관점에서 제시될 수 있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이러한 변증법적 프레임은 잘못된 반대나 긴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We should also ask whether practitioner needs are well-served by a research base that is focused exclusively on problems. Practitioners are just as likely to be interested in emerging opportunities, debates, frameworks, optimization or economics (to name but a few), so presenting everything as a solution to a problem can limit what the literature might offer to practitioner audiences. Of course, opportunities and innovations could all be presented in terms of problems but, as we have noted, this dialectical framing can create false oppositions or tensions.

4 실무자의 문제는 충분한 증거로 해결할 수 있는가?
4 ARE PRACTITIONER PROBLEMS RESOLVABLE WITH SUFFICIENT EVIDENCE?

실무자의 문제가 다루기 쉬운 것이 아니라면 연구자는 실무자에게 거의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실무자는 해결책이 무엇인지 잘 알고 있지만 물류, 자율성 부족, 자원 부족 또는 교육 정치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실행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22 이는 불확실성 하에서의 의사결정, 위험에 따른 의사결정 또는 사람들의 행동이 이상에서 벗어나는 것과 관련된 '한계가 있는 합리성'23의 개념에 반영되어 있으며, 이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증거를 실무로 옮기는 가정이 무너질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HPE 의사 결정권자는 증거의 경로를 따르는 대신 경쟁적인 동인 사이에서 타협해야 하며, 그 중 증거는 거의 설 자리가 없을 수 있습니다.24
Researchers may be of little help to practitioners if the latter's problems are not tractable. For instance, practitioners may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what the solution should be, but factors such as logistics, a lack of autonomy, insufficient resources or educational politics may make it impossible to enact.22 This is reflected in the concept of ‘bounded rationality23 that involves decision-making under uncertainty, decision-making framed by risk or deviations of people's behaviour from ideals, any or all of which can unravel the assumed translation of evidence to practice. Instead of following the path of evidence, most HPE decision-makers are obliged to compromise between competing drivers, amongst which evidence may have little place.24

전부는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교육 프로그램의 한계적 합리성에는 해결책을 찾게 된 근본적인 문제와 수용 가능하고 실행 가능한 절충안을 구성하는 문제, 즉 적어도 두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우리는 실무자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HPE 연구자들은 그들이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의사결정의 대부분이 어떤 식으로든 타협을 수반하며, 실무자가 어쩔 수 없이 감수해야 하는 타협에 대해 실무자를 비판하는 것은 비생산적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싶습니다. 연구자들이 자신들이 생산한 증거가 실무자들이 더 노력하기만 하면 어떻게든 구할 수 있다고 믿는다면 오만하다는 비난을 받을 수 있습니다. 
There are at least two problems here with the bounded rationalities of most, if not all, educational programmes: the original problem that caused the search for a solution and the problem of constructing an acceptable and workable compromise solution. We would argue that HPE researchers who are seeking to solve practitioner problems need to understand that much of the decision-making they seek to influence involves compromises in some way or other and that criticising practitioners for those compromises they are obliged to make and live with might be counterproductive. Researchers could reasonably be accused of hubris if they were to believe that the evidence they produce can somehow save the day if only practitioners were to try harder.

문제를 공식화하고, 합의하고, 추적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일반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검토를 거쳐 출판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실무자의 문제가 다른 방법으로 해결되었거나 더 이상 관련성이 없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실무자의 문제는 연구 증거가 대응할 수 없는 속도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예: 재난, 팬데믹 또는 기타 위기로 인해 강요된 파괴적인 변화를 수용하는 경우). 이로 인해 연구자와 실무자 사이에 상호 신뢰와 이해가 부족하여 균열이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19, 25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될 때 온라인 학습으로 전환한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팬데믹에 대한 이전 연구는 코로나19의 규모나 심각성을 포함하지 않았고, 온라인 학습에 대한 연구도 며칠 만에 전체 프로그램을 온라인으로 변경했다기보다는, 소규모 개입을 지향하는 것과 유사하게 이루어졌습니다. 이는 의미 있는 지식의 번역을 통해 이루어졌다기보다는 연구 증거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졌다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Even if a problem can be formulated, agreed upon and tractable, the time it typically takes to conduct research and go through review to publication can mean that practitioners' problems may well have been resolved in other ways or be no longer relevant. For instance, practitioner problems may occur at speeds that research evidence cannot respond to (such as accommodating disruptive changes forced on them by disasters, pandemics or other crises). This has often produced a rift between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with a deficit of mutual trust and understanding.19, 25 The pivot to online learning at the start of the COVID-19 pandemic is a case in point; previous research on pandemics did not encompass the scale or severity of COVID, and research on online learning was similarly oriented to small-scale interventions rather than to moving whole programmes in a matter of days. It might be argued that this was achieved despite the research evidence rather than through meaningful knowledge translation.

5 모든 학술 출판물이 실무자의 문제를 대상으로 하나요?
5 DO ALL SCHOLARLY PUBLICATIONS TARGET PRACTITIONER PROBLEMS?

응용 분야에는 일반적으로 많은 청중, 많은 이해관계자, 많은 대화가 있기 때문에 문제 중심 연구는 다른 연구자나 다른 이해관계자(학습자, 정책 입안자, 다른 학자, 환자, 리더 또는 사회 전체 등)의 요구를 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문제 중심 연구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Given that an applied field typically has many audiences, many stakeholders and many conversations, problem-focused research may target the needs of other researchers or other stakeholders in HPE (such as learners, policy makers, other scholars, patients, leaders or society as a whole), and these needs may not require problem-focused research in order to meet them.

학자들이 서비스 기술자가 되어 HPE에 결함이 발생하면 언제든 달려갈 준비가 되어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연락을 간절히 기다리는 위험을 감수하지 않고서는 실무자의 문제만 해결하는 분야가 될 수 없습니다. 이는 분명 비현실적이고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100% 적용되지 않는(그리고 적용될 수도 없는) 응용 분야에서 학자의 역할은 무엇이어야 할까요? 과연 우리는 진정한 응용 분야일까요? '응용'이란 무엇을 의미할까요? 무엇을 무엇에 적용하는 것인가요? 

We cannot viably be a field that only solves practitioner problems without risking scholars becoming service technicians, ready to spring into action whenever HPE develops a glitch but otherwise waiting eagerly for the call. Clearly, this is unrealistic and unhelpful. So, what then, should the role of the scholar be in an applied field that is not (and cannot be) 100% applied? Indeed, are we truly an applied field? What do we mean by ‘applied’? What is being applied to what?

  • 때때로 '적용'은 자신의 진료에 증거를 적용하는 (희망하는) 실무자를 의미합니다. 
  • 때때로 '적용'은 실무자의 필요와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하거나 수행해야 하는 연구자를 지칭하기도 합니다. 
  • 때때로 '적용'은 정통적인 학문적 초점이 부족하고 다른 곳의 방법론, 이론 및 패러다임에 의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응용'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없다면, 연구자와 학자가 실무자의 요구에 부응해야 한다는 규범적 기대가 있을 수 있을까요?

  • Sometimes ‘applied’ refers to practitioners who apply (it is hoped) evidence within their practice.
  • Sometimes ‘applied’ refers to researchers who do or should conduct research that is applicable to practitioner needs and problems.
  • Sometimes ‘applied’ refers to the lack of an orthodox disciplinary focus, and a dependence on methodologies, theories and paradigms from elsewhere.

Without a clear idea of what we mean by ‘applied’, can there ever be a normative expectation of researchers and scholars to serve practitioner needs?

6 실제 실무자의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문헌에 가장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까요?
6 DO STUDIES THAT FOCUS ON SOLVING A REAL PRACTITIONER PROBLEM MAKE THE MOST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LITERATURE?

연구자가 목표로 삼은 문제에 대한 완전하고 확실한 해결책을 제시하거나 제시할 수 있는 논문은 거의 없습니다. 강력한 실제 문제는 맥락에 따라 매우 특수하기 때문에 일반화하기 어렵고, 반대로 일반화가 가능한 연구 결과는 너무 추상적이어서 실무자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바로 여기에 학자들의 딜레마가 있습니다. 일반화 가능성과 적용 가능성 사이의 '스위트 스팟'을 찾는 것은 학자와 연구 결과를 적용해야 하는 사람들 간의 대화 없이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스윗 스팟을 찾거나 우연히 발견한 경우, 그 결과물은 매우 영향력 있는 논문이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컨텍스트의 솔루션은 컨텍스트 A의 솔루션이 컨텍스트 B, C 또는 D의 솔루션으로 직접 변환되는 구체적인 솔루션이 아닌 경향이 있습니다. 실제로 HPER에서 컨텍스트는 임상에서와 마찬가지로 중요합니다.26 오히려 이러한 논문은 특정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기보다는 메타 솔루션, 문제 유형에 대한 이해 및 성찰 방법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HPE에서 가장 가치 있는 솔루션은 메타 솔루션이며, 연구로부터 실무로의 의미 있는 번역은 실제로 메타 번역의 한 형태일 수 있습니다.
There are very few, if any papers that provide (or that could hope to provide) a complete and definitive solution to the problem they have targeted. Robust practical problems are so context-specific that they do not generalise well; on the other hand, research findings, which are more generalizable, may be too abstract to help address the problems practitioners face. And herein lies the dilemma for scholars. Finding a ‘sweet spot’ between generalizability and applicability can be challenging without a dialogue between scholars and those who are to apply their work. On the occasions when this sweet spot is achieved (or serendipitously found), the resulting papers tend to be very influential. However, solutions in these contexts tend not to be specific solutions, where the solution in Context A directly translates to solutions in Contexts B, C or D. Indeed, context matters in HPER every bit as much as it does in clinical practice.26 Rather, these papers tend to offer meta-solutions, ways of understanding and reflecting on a class of problems, rather than providing concrete solutions to a specific problem. In HPE, it might be that the most valuable solutions are meta-solutions and that meaningful translation from research to practice is really a form of meta-translation.

7 솔루션 지식 번역이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있는 일
7 WHAT CAN BE DONE AND IS THE SOLUTION KNOWLEDGE TRANSLATION

우리가 제기한 주장에서 몇 가지 시사점이 있습니다. 첫째, HPE 연구에서 문제의 역할, 표현, 함의가 무엇인지, 그리고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HPER 증거의 수용을 촉진하는 데 있어 지식 번역의 역할과 그 한계는 무엇이며 어디까지인지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HPE 연구자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공식화할 때 실무자, 프로그램 책임자 또는 정책 입안자에게 문제, 요구 사항 및 희망 사항을 조사하는 데 얼마나 많은 시간이나 노력을 투자해야 할까요? 의미 있는 지속적이고 생성적인 대화를 어느 정도까지 개발하고 유지할 수 있을까요? 
There are several implications arising from the arguments we have made. First, we need to rethink what the role, articulation and implications of problems in HPE research are and should be. We also need to rethink the role of knowledge translation in facilitating the uptake of HPER evidence, and what and where its limits are. We might ask: how much time or effort should HPE researchers put into canvassing practitioners, programme directors or policy makers regarding their problems, needs and wishes, when they formulate the problems they plan to solve? To what extent can meaningful ongoing and generative dialogue be developed and sustained?

우리는 HPE 문헌이 실무자의 문제 해결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지 않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에는 문제 중심 연구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앞으로도 이 분야는 우리가 하는 일의 중요한 부분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문제와 문제 해결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우리가 하는 일의 전형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문제 중심 연구가 연구 또는 연구 프로그램의 초점이라면, 누구의 문제가 제기되고 누구의 문제가 해결되고 있는지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We have argued that the HPE literature is not focused solely on practitioner problem solving. Nevertheless, it does include much problem-focused research, and it is likely to continue to be a significant part of what we do as a field. However, we need to question an exclusive focus on problems and problem solving as the epitome of what we do. If problem-focused research is the focus of a study or a programme of research, then more thought should be paid to whose problems are being posed and whose problems are being answered.

이러한 주장은 HPE의 지식 번역 및 구현 과학 노력에도 시사점을 줍니다. 지식 번역의 광범위한 목표는 연구-실무 간 격차를 파악하고 설명한 다음, 근거를 실무에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이론에 기반한 맞춤형 중재를 개발하고 실행하는 것입니다.7 그러나 HPE에서 많은 문제가 지속되는 이유는 근거의 빈약한 활용과 거의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24 이 중요하고 필요한 조건이 없다면, 지식 번역은 HPE에서 불필요하거나 기능적으로 매우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지식 번역의 관점은 HPE 과학이 개선, 문제 해결, 오류 예방 등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입장입니다.7, 24 지식 번역을 완전히 포기하는 대신, 우리 분야에 존재하는 문제와 문제 해결의 과제에 더 잘 대응할 수 있도록 재창조하거나 최소한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
Our arguments also have implications for knowledge translation and implementation science efforts in HPE. The broad aim of knowledge translation has been to identify and explain research-practice gaps, and then to develop and implement tailored and theory-informed interventions with the goal of optimising the uptake of evidence into practice.7 However, it would seem that the reason many problems persist in HPE has had little to do with the poor uptake of evidence.24 Without this important and necessary condition, knowledge translation may well be unnecessary or functionally very limited in HPE. This is a challenging position to take given that a knowledge translation perspective implies that HPE science must focus on improving things, on solving problems and preventing errors, and so forth.7, 24 Rather than abandoning knowledge translation completely, we may need to reinvent, or at the very least adapt it to be more responsive to the challenges of problems and problem solving that are present in our field.

또한 지식 번역이 유일한 해답이 될 수 없으며 지식 생산자와 지식 사용자 사이의 가교 역할만 할 수도 없습니다. 이 분야에서 지식 번역이 어떤 가치를 지니려면 이 백서에서 설명한 보다 복잡한 지식 및 지혜 구축 시스템의 일부로 더 적극적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습니다. HPE가 응용 분야라는 다른 널리 퍼진 통념을 받아들이더라도(우리가 주장했듯이 이는 기껏해야 부분적으로만 사실입니다), 교육 관행과 정책을 개선하기 위해 모든 증거를 사용해야 한다는 통념은 도전받아야 합니다.
Moreover, knowledge translation cannot be the only answer and it cannot be just a bridge between knowledge creators and knowledge users; if it has any value in this space, it needs to be more actively a part of the more complex system of knowledge and wisdom building we have outlined in this paper. Even if we accept the other widespread myth that HPE is an applied field (which, as we have argued, at best is only partly true), the myth that any and all evidence should be used to improve educational practices and policies has to be challenged.

역설적이게도 이러한 문제는 증거를 제시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현장에서 토론하고 탐구해야 할 문제입니다. 그들은 우리가 발전시켜온 문화와 그들이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는 신화를 통해 최대한 많은 것을 해결합니다.
These are not issues, paradoxically, that can be resolved by throwing evidence at them. They are concerns for the field to debate and explore. They resolve, as much as they can, from the cultures we advance and the myths they are prepared to live with.

8 토론
8 DISCUSSION

이 백서를 마무리하기 전에 우리가 제시한 주장에 대해 몇 가지 반성할 점을 짚어보고자 합니다. 첫째, 우리는 논문의 많은 부분을 연구자와 실무자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이는 이들이 상당히 별개의 개인이거나 HPE 학술활동에서 상호 작용하거나 공존하지 않는다는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초기의 반성적 성찰을 반영하듯, 저희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모자를 쓰고 연구와 실무 공간에서 모두 일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을 항상 분리할 수는 없으며, 공생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것이 많습니다. 실제로 저희의 주장 중 상당수는 이러한 역할이 우리에게 제공한 혼합된 관점으로부터 나온 것입니다. 또한 연구팀에는 연구 결과에 이해관계가 있는 실무자와 다른 사람들이 포함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지식 생성 및 번역 활동의 설계와 수행에 다양한 관점이 포함될 수 있음을 인정합니다. 연구자와 실무자의 관점은 다소 모호하고 다원적일 수 있지만, 각 입장의 전통과 문화는 여전히 이들의 관계에 대한 변증법적 감각을 주도할 수 있으며, 이들의 분열적 경향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Before closing this paper, we would like to note some points of reflection on the arguments we have put forth. Firstly, we have focused much of our thesis around the roles of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which may give the impression that these are quite separate individuals or that they do not interact or co-exist in HPE scholarship. However, reflecting our earliest reflexivity statements, we and many others wear many hats and work in both research and practice spaces. These contexts cannot always be dissociated, and there is much to be gained in keeping these in symbiosis. Indeed, much of our arguments have come from these mixed perspectives our roles have afforded us. We also acknowledge that research teams can (and often should) include practitioners and others with a stake in the findings and vice versa, to embed different perspectives in the design and conduct of knowledge generation and translation activities. Although the perspectives of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can be somewhat blurred and plural, the traditions and cultures of these respective positions can still drive a dialectical sense of their relationships, and attention to their divisive tendencies is needed.

이 백서에서는 신화적 영향과 신화 간의 연관성에서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다섯 가지 신화를 중심으로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신화만이 이 환경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다른 사람들은 더 많은 신화를 볼 수 있습니다. 모든 신화에 대한 우려를 일일이 열거하기보다는 일반적으로 증거의 생산과 사용을 개선하기 위해 우리가 제기한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제기한 문제를 해결한다고 해서 이 분야가 직면한 모든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며, 어디선가 시작해야 할 필요가 있을 뿐입니다. 어쨌든 누구의 문제인지 묻는 것이 대화의 문을 여는 것이라고 믿습니다. 
We have articulated this paper around five myths that we consider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ir mythic impacts and the connections between them. However, these are not the only myths we see in this landscape and others may see even more. Rather than listing every last mythic concern, we think it important to attend to the issues we have raised in order to improve the production and use of evidence in general. However, we do not claim that resolving the issues we have raised will fix all of the problems we face as a field, only that we need to start somewhere. We believe that in asking whose problem is it anyway, we open the door to the conversation.

또한 이러한 주장을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우리는 그 함의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결국, 우리는 이 백서를 통해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일까요? 문제를 중심으로 논문을 어느 정도 명확하게 표현했습니까? 우리가 의도한 청중은 누구인가? 우리는 행동하고 이야기하고 있는가? 마지막 질문에 대한 우리의 대답은 이 논문은 특히 이 증거가 실무자에게 중요한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증거의 일부 오해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작업의 예이며, 교육 연구자와 실무자 모두를 대상으로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광범위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이 백서는 우리가 제기한 문제에 대한 사고와 토론을 촉진할 수 있기를 바라며 청중의 참여를 유도하는 행위입니다. 실용적인 문제에만 초점을 맞춘 연구만이 우리가 하는 전부는 아니며, 그렇기 때문에 우리 분야에서 다양한 차원의 참여와 관심의 맥락에서 지식 번역과 실행 과학이 무엇을 의미할 수 있는지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We also acknowledge that in advancing these arguments we are not free of their implications. After all, what problems are we trying to solve with this paper? To what extent did we articulate the paper around problems? Who is our intended audience? Are we walking the walk and talking the talk? Our response to the last question is that this paper is an example of work that is looking to solve problems associated with some of the myths of evidence especially insofar as this evidence can be used to address real-life problems that matter to practitioners, and it is intended for both educational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However, these problems are broad and complex and as such, this paper is an act of audience engagement with a hope that it will catalyse thinking and debate around the issues we have raised. Problem-focused research solely on practical issues is clearly not all we do, which is why we need to rethink what knowledge translation and implementation science can mean in the context of different dimensions of engagement and concern in our field.

9 결론
9 CONCLUSIONS

이 백서에서는 HPE에서 문제를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몇 가지 신화에 맞서기 위해 모든 것이 문제인지, 모든 실무자의 요구는 문제 해결에 관한 것인지, 실무자 문제는 충분한 증거로 해결할 수 있는지, 모든 학술 출판물이 실무자 문제를 대상으로 하는지, 실제 실무자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문헌에 중요한 기여를 하는지 등 다섯 가지 질문을 제기했습니다. 매번 대답은 '아니오'였습니다. 우리 분야는 문제 중심 연구라는 신화가 암시하는 것보다 훨씬 더 다양한 분야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HPE 커뮤니티가 HPE의 현실과 그것이 우리에게 강요하는 제한적 합리성에 대해 더 열심히 생각하고 더 잘 생각하기를 요청합니다.  
To confront some of the myths associated with the use of problems in HPE, we posed five questions in this paper: whether everything is a problem, whether all practitioner needs are about problem solving, whether practitioner problems are resolvable with sufficient evidence, whether all scholarly publications target practitioner problems and whether studies that focus on solving a real practitioner problem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literature. Each time, the answer was ‘no’. Ours is a more diverse field than the myth of problem-focused research would suggest. We therefore ask the HPE community to think harder and think better about the realities of HPE and the bounded rationalities it forces upon us.


Med Educ. 2023 Aug;57(8):706-711. doi: 10.1111/medu.15067. Epub 2023 Mar 13.

Whose problem is it anyway? Confronting myths of 'problem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1School of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Institute of Health Sciences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McGill University and Centre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Rehabilitation, Montreal, Quebec, Canada.

2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Sciences, Cumming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gary, Calgary, Alberta, Canada.

PMID: 36849164

DOI: 10.1111/medu.15067

Abstract

Introduction: The growing interest in knowledge translation and implementation science, both in clinical practice and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is reflected in the number of studies that have sought to address what are believed to be evidence-practice gaps. Though this effort may be intended to ensure practice improvements are better aligned with research evidence, there is a common assumption that the problems researchers explore and the answers they generate are meaningful and applicable to practitioner needs.

Methods: This Mythology paper considers the nature of problems from HPE as the focus of HPE research and the ways in which they may or may not be aligned. The authors argue that, in an applied field such as HPE, it is vital that researchers better understand how their research problems relate to practitioner needs and what the limitations on evidence uptake might be. Not only can this establish clearer paths between evidence and action, but it also requires a rethink of much of knowledge translation and implementation science thinking and practice.

Results: The authors explore five myths: whether everything in HPE is a problem; whether practitioner needs involve problem solving; whether practitioner problems are resolvable with sufficient evidence; whether researchers effectively target practitioner problems; and whether studies that focus on solving practitioner problems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literature.

Conclusions: To advance the conversation on the connections between problems and HPE research, the authors propose ways in which knowledge translation and implementation science might be approached differently.

ASPIRE 준거를 활용한 교수개발 및 학술활동의 프로그램적 접근 개발: AMEE Guide No. 165 (Med Teach, 2023)
Developing a programmatic approach to faculty development and scholarship using the ASPIRE criteria: AMEE Guide No. 165 
Stijntje W. Dijka , Ardi Findyartinib, Peter Cantillonc, Francois Cilliersd, Ugo Caramorie , Patricia O’Sullivanf and Karen M. Leslieg 

 

 

Introduction

교수진 개발의 전 세계적 성장
The worldwide growth of faculty development

교수개발(FD)은 21세기 보건 전문직 교육(HPE)의 설계, 제공 및 품질 보증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보건 전문직 교육자가 교수 역할에 대한 준비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FD의 성장을 주도했습니다(McLean 외. 2008). 최근에는 교육 프로그램의 질에 대한 보건 전문직의 공공 및 규제 당국의 책임이 커짐에 따라 FD가 확대되었습니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의료 시스템에 참여할 준비가 된 대학원 학습자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커지면서 유연하고 상황에 민감한 FD 개입의 중요성이 커졌습니다(O'Sullivan and Irby 2011; Harden and Lilley 2018). 또한 전 세계적으로 역량 기반 커리큘럼 모델이 널리 채택되면서 교사의 교육적 역할에 상당한 변화가 필요했고, 이러한 변화는 FD에 대한 필요성을 더욱 촉진했습니다.  
Faculty development (FD) plays an increasingly important part in design, delivery and quality assurance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in the 21st century. In the past, the growth of FD was largely driven by the recognition that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were not well prepared for their teaching roles (McLean et al. 2008). More recently, FD has expanded by the greater public and regulatory accountability of health professions for the quality of their educational programmes. The growing recognition that HPE programmes need graduate learners who are ready to participate in ever-changing healthcare systems increased the importance of flexible and contextually sensitive FD interventions (O’Sullivan and Irby 2011; Harden and Lilley 2018). Moreover, the widespread adop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models worldwide necessitat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teachers’ educational roles; changes that have fuelled further the requirement for FD.

FD는 이제 대부분의 학교, 전문 대학, 규제 기관 및 HPE 조직에서 정기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Steinert 2018). FD의 범위와 성격은

  • 가끔씩 전문가가 주도하는 워크숍과 교육 이벤트에 의존하던 것에서
  • 여러 사이트, 역할 및 시간에 걸쳐 전문성 개발을 지원하는 보다 프로그램적인 접근 방식으로 발전했습니다.

FD는 교육과 학습에 도움이 되는 조직과 기관 내의 변화를 옹호하는 데 점점 더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Leslie 2014). FD의 야망은 또한 다음과 같이 확장되었습니다. 

  • FD 참가자의 즉각적인 요구를 충족하는 것을 넘어
  • 교육 커리큘럼과 주관 기관 내에서 업무 및 학습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것에 더 중점을 두는 방향

FD is now a regular feature in most schools, specialty colleges, regulatory bodies and HPE organisations (Steinert 2018). The scope and nature of FD evolved

  • from a reliance on occasional expert-led workshops and training events
  • toward a more programmatic approach to suppor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ross multiple sites, roles and over time.

FD became increasingly concerned with advocating for change within organisations and institutions that benefit teaching and learning (Leslie 2014). The ambitions of FD also have extended

  • beyond meeting the immediate needs of FD participants,
  • toward a greater focus on what is required to enhance the quality of working and learning within training curricula and their host institutions.

전 세계적으로 FD 활동이 확대되면서 FD 제공의 품질과 조직의 무결성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졌습니다. 국제 기구인 유럽의학교육협회(AMEE)는 여러 환경에서 전문성을 동원하여 공통적으로 합의된 품질 표준을 개발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습니다. 2012년에 제정된 AMEE 우수성에 대한 열망 상은 FD를 포함한 광범위한 HPE 활동 전반에 걸쳐 표준을 제공하고 성과를 인정합니다. 우수성 기준은 기존 FD 프로그램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 유용한 지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향후 FD 프로그램 개발을 안내하는 프레임워크도 제공합니다. 이 가이드는 FD ASPIRE 기준(표 1 참조)을 사용하여 직장 및 기관에서 FD 제공 및 학술에 대한 프로그램적 접근 방식을 수립하려는 보건 전문직 교육자를 위한 구조를 제공합니다.

The expansion of FD activity worldwide was accompanied by increasing expectations of quality and organisational integrity in FD delivery. As an international organisation, the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 (AMEE) is well positioned to mobilise expertise across settings to develop commonly agreed quality standards. The AMEE ASPIRE to excellence awards, established in 2012, provide standards and recognise achievements across a broad range of HPE activity, including FD (available from: https://www.aspire-to-excellence.org/Areas±of±Excellence/). The ASPIRE to excellence criteria not only provide a useful metric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extant FD programmes, but also provide a framework to guide the development of future FD programmes. This guide uses the FD ASPIRE criteria (see Table 1) to provide a structure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who are attempting to establish programmatic approaches to FD delivery and scholarship in their workplaces and institutions.

가이드 섹션
Guide sections

  • 섹션 1에서는 FD를 정의하고, FD의 범위를 설명하며, FD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단계별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또한 섹션 1에서는 ASPIRE FD 품질 표준을 사용하여 FD 프로그램을 위한 조직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 섹션 2에서는 섹션 1에서 설명한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의 조직적 프레임워크가 새로운 의과대학의 교수진 개발 팀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설명하기 위해 실제 사례를 제공합니다.
  • 섹션 3에서는 FD의 주요 격차, 즉 교수진 개발의 학술을 다룹니다. 이 섹션에서는 FD 학술 및 평가에 대한 프로그램적 접근 방식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인사이트와 제안을 제공합니다.
  • Section 1 defines FD, describes the scope of FD and provides a stepped approach towards the development of an FD programme. In addition, Section 1 uses the ASPIRE FD quality standards to provide an organisational framework for FD programmes.
  • Section 2 provides a worked example to illustrate how the organisational framework for faculty development programmes outlined in Section 1 apply in the context of a faculty development team in a new medical school.
  • Section 3 addresses a major gap in FD, i.e. scholarship of faculty development. The section offers insights and suggestions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programmatic approach to FD scholarship and evaluation.

ASPIRE 기준
The ASPIRE criteria

FD에 대한 ASPIRE 기준은 품질 기준 외에도 FD 프로그램에 포함되어야 하는 유용한 구조적 특징을 제공합니다. 이 기준은 양질의 FD 프로그램의 특성으로 다음을 강조합니다(상자 1).
In addition to quality standards, the ASPIRE criteria for FD provide a useful set of structural features that a programme of FD should encompass. The criteria emphasise the following as characteristics of a quality FD programme (Box 1).

 

섹션 1
Section 1

목표 이 섹션이 끝나면 독자는 다음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1. 교수개발 및 FD 프로그램의 개념을 정의합니다.
  2. FD 프로그램에 포함될 수 있는 FD 활동의 범위와 범위를 설명합니다.
  3. 새로운 FD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기존 프로그램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단계를 설명합니다.

Objectives At the end of this section, readers will be able to:

  1. Define the concepts of faculty development and of an FD programme.
  2. Describe the range and scope of FD activity that can be included in an FD programme.
  3. Describe steps required to develop a new FD programme or enhance an existing programme.

FD 정의
Defining FD

  • 초기 정의에서는 FD를 교사의 교수 역할에 대비하는 것으로 설명했습니다(Bland and Stritter 1988). 임상의와 기초 과학자의 교육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 이후 FD의 범위가 확대되면서 보건 전문가가 교사, 교육자, 리더, 관리자 및 학자로서 지식, 기술 및 행동을 개선하기 위해 추구하는 모든 활동을 지원하는 것과 같이 보다 광범위한 정의가 이루어졌습니다(Steinert 2014). 새로운 정의는 더 넓은 활동 범위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FD가 교사와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포지셔닝합니다.
  • Steinert(2009)는 교수개발의 목표를 '교수자에게 기관 및 교수 직책과 관련된 기술을 가르치고 현재와 미래 모두에서 활력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Steinert와 Mann 2006).
    • 따라서 교수개발은 초기의 일회성 워크숍과 강좌 제공에 초점을 맞추던 것에서 벗어나
    • 교직 생활 전반에 걸쳐 교사 개발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보다 프로그램적인 관행으로 발전했으며, 질 향상, 리더십 개발, 조직 변화 및 교육 학술활동 등 광범위한 활동을 포함합니다.
  • Early definitions described FD as preparing teachers for their teaching roles (Bland and Stritter 1988). The focus was on improving clinician and basic scientists’ knowledge and skills in teaching and later research.
  • The subsequent growth in the scope of FD informed more expansive definitions such as supporting all activities that health professionals pursue to improve their knowledge, skills and behaviours as teachers, educators, leaders, managers and scholars (Steinert 2014). Not only do newer definitions encompass a broader scope of activity, but they also position FD as maintaining a longer-term relationship with teachers.
  • Steinert (2009) indicated that the goal of faculty development is ‘to teach faculty members the skills relevant to their institutional and faculty position and to sustain their vitality, both now and in the future’ (Steinert and Mann 2006).
    • Thus, faculty development evolved from its early focus on the provision of episodic workshops and courses
    • towards a more programmatic practice designed to support teacher development across a working life and includes a broad palette of activities including quality improvement, leadership development, organisational change and educational scholarship.

FD의 범위
The scope of FD

전통적인 FD 실습의 범위에는 교수자가 직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관점과 도구를 제공하기 위해 고안된 워크숍, 심포지엄 및 간단한 개입이 포함되었습니다. 단기 과정은 HPE 석사 및 교사 개발 펠로우십과 같은 대학원 교사 개발 프로그램으로 발전했습니다. 21세기가 시작되면서 교육 및 학습의 질에 미치는 강력한 형성 효과 때문에 FD의 임무가 기관과 같은 사회 구조와의 참여를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 점점 더 분명해졌습니다. 또한 교사는 리더십, 관리, 학술 등 교육 이외의 역할에서도 지원을 받아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었습니다. 따라서 FD는 많은 기관에서 학업 개발과 경력 개발을 위해 점점 더 중요한 지원을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FD는 작은 시작에서 시작하여 한편으로는 조직 내에서 교사를 위한 지원 환경을 구축하는 정책에 참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종단적 과정과 연구 기술 교육을 통해 HPE의 학술을 촉진하는 포괄적인 관행으로 성장했습니다. 
The traditional scope of FD practice included workshops, symposiums, and brief interventions that were designed to provide teachers with perspectives and tools that they could use in their workplaces. Short courses evolved into postgraduate teacher development programmes such as masters in HPE and teacher development fellowships. At the start of the 21st century, it became increasingly clear that the remit of FD needed to encompass engagement with social structures such as institutions, because of the powerful shaping effect they have on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It was also recognised that teachers needed to be supported in roles other than teaching such as leadership, management and scholarship. As such, FD came to provide increasingly vital support for academic development and career progression in many institutions. Thus, from small beginnings, FD grew into a comprehensive practice that on the one hand engages in the politics of establishing supportive environments for teachers within organisations and on the other facilitates the scholarship of HPE through longitudinal courses and research skills training.

현재 많은 학교와 HPE 조직에는 다양한 서비스와 지원을 제공하는 FD 팀, 부서 및 센터가 있습니다. FD의 중요성과 야망에 따라 교수진 개발자는 자신의 역할과 제공하는 서비스뿐만 아니라 자신의 개발과 지속적인 품질 개선에 참여하는 측면에서도 전략적이고 프로그램적인 개념화가 필요합니다. 
Many schools and HPE organisations now have teams, units and centres of FD that provide a wide variety of services and support. The importance and ambition of FD requires faculty developers to be strategic and programmatic in conceptualising not only their roles and the services that they provide, but also in terms of their own development and engaging in continuing quality improvement.

FD의 위치
Situated FD

전통적으로 FD의 목표는 교육 효과를 개선하는 것이었습니다(Leslie 외. 2013). 이러한 접근 방식은 중재를 개발하고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두었지만 학습 전이 및 지속 가능성에 대한 문제에 직면했습니다(Hafler 외. 2011). 최근에는 교육자들이 한 맥락에서 만들어진 교육적 개입이 다른 교육 또는 임상 현장에 잘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점점 더 인식하고 있습니다(De Rijdt 외. 2013; Singh 외. 2014; Cantillon 외. 2019). 이로 인해 FD에서 보다 상황에 맞는 접근법이 개발되고 구성원들이 서로 교류하고 배우는 교육자 직장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게 되었습니다. 
Traditionally the aim of FD was to improve teaching effectiveness (Leslie et al. 2013). This approach led to a focus on developing and evaluating interventions but encountered problems with learning transfer and sustainability (Hafler et al. 2011). More recently, educators increasingly recognize that educational interventions created in one context may not translate well to other educational or clinical workplaces (De Rijdt et al. 2013; Singh et al. 2014; Cantillon et al. 2019). This led to the development of more situated approaches in FD and to an emphasis on establishing workplace communities of educators in which members interact with and learn from each other.

교수진 개발자와 FD 프로그램은 상황과 복잡성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오설리반과 어비 2011; 스타이너트 외. 2021). FD는 교육자를 위한 전문가 주도의 컨설팅 서비스가 아니라 교사가 자신의 업무 환경에서 교육 솔루션을 개발하고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적응적이고 촉진적인 관행으로 점진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FD의 위치 변화는 FD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요소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FD 프로그램의 의미를 정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Faculty developers and FD programmes should become adaptive to context and complexity (O’Sullivan and Irby 2011; Steinert et al. 2021). Rather than being an expert-led consultancy service for educators, FD is progressively positioned as an adaptive and facilitative practice that enables teachers to develop and create educational solutions in their own workplace contexts. The situated turn in FD has implications for what constitutes an FD programme. To consider this, we need to define what we mean by an FD programme.

FD 프로그램의 개념
The concept of an FD programme

FD 프로그램의 구조나 정의가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FD 프로그램을 개념화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저자들은 FD 프로그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워크숍과 같은 개별 활동의 집합부터 종단적 교사 연수, 교사 CPD, 리더십 개발 및 학술의 복잡한 인프라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설명합니다(Steinert 2010). 일회성 참여도 참여하는 사람들에게는 가치가 있지만, 조직의 FD 역량과 FD를 지원하는 데 필요한 조직 구조를 개발하려면 보다 프로그램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McLean 외. 2008; Steinert 2014). 이 가이드의 목적상, 우리는 FD 프로그램을 교육 실습, 리더십 또는 교육 학술의 촉진 및 지원을 조직하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접근 방식으로 정의합니다(ASPIRE 기준 1). 이러한 관점에서 FD 프로그램의 개념은 체계적으로 통합된 다양한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FD 서비스 및 지원을 제공하겠다는 내재적 약속을 의미합니다. 
Conceptualising an FD programme can be challenging in the absence of an accepted structure or definition. Authors use the term FD programme to describe everything ranging from a collection of individual activities such as workshops to a complex infrastructure of longitudinal teacher training, teacher CPD, leadership development and scholarship (Steinert 2010). Whilst one-off engagement is of value to the people who participate, developing organisational FD capacity and the organisational structures required to support FD, needs a more programmatic approach (McLean et al. 2008; Steinert 2014). For the purposes of this guide, we define an FD programme as a systematic and continuing approach to organising the facilitation and support of educational practice, leadership and/or educational scholarship (ASPIRE Criterion 1). Using this perspective, the concept of an FD programme implies an inherent commitment to providing FD services and support over time using different approaches that are systematically integrated.

FD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요소를 개념화할 때 FD의 범위를 고려해야 합니다(Steinert 2014). 스타이너트(2014)는 상자 2에 나열된 FD 실천의 7가지 영역을 제안했습니다. 
The scope of FD must be considered when conceptualising what constitutes an FD programme (Steinert 2014). Steinert (2014) suggested seven domains of FD practice listed in Box 2.


박스 2. FD 활동의 영역.
Box 2. The domains of FD activity.

이러한 FD 활동의 각 영역의 기능에는 FD 실천의 다양성, 형평성 및 포용성뿐만 아니라 문화적으로 반응하는 교육에 대한 고려가 포함되어야 합니다(Humphrey et al. 2020; Lupton and O'Sullivan 2020).

  1. 교육 실천 강화, 
  2. 교육 설계 강화, 
  3. 리더십 개발 지원, 
  4. 개인 개발 지원, 
  5. 경력 개발 지원, 
  6. 조직 변화 촉진 
  7. 교육 및 교수개발 학술 강화. 

The functions of each of these domains of FD activity should incorporate consideration of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in FD practice as well as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Humphrey et al. 2020; Lupton and O’Sullivan 2020).

  1. Enhancing teaching practise, 
  2. Enhancing educational design, 
  3. Supporting leadership development, 
  4. Supporting personal development, 
  5. Supporting career development, 
  6. Facilitating organisational change 
  7. Enhancing educational and faculty development scholarship. 

교육 실습 및 교육 설계의 영역
The domains of teaching practice and educational design

교육 실천에는 다음 등이 포함됩니다.

  • 포용적인 학습 환경 조성,
  • 다양한 교수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커리큘럼 설계, 평가 및 프로그램 평가에서 체계적인 접근법 사용 

교수법 및 교육 설계 영역은 오랫동안 확립된 FD 관행을 대표하며 교수법 워크숍, 교수 효과 향상을 위한 온라인 리소스, 효과적인 학습자 지원 및 평가, 교수 평가 도구 및 전략을 포함합니다. 교수법 개선의 영역은 장기적인 대학원 교사 개발 프로그램과 펠로우십으로 확장되었습니다.
Teaching practice includes

  • the creation of inclusive learning environments,
  • the critical examination of diverse pedagogies,
  • the use of systematic approaches in curriculum design, assessment and programme evaluation.

The domains of teaching practice and educational design represent long established FD practices and encompass teaching skills workshops, online resources to improve teaching effectiveness, effective learner support and assessment, teaching evaluation tools and strategies. The domain of enhancing teaching practice has also extended into long-term postgraduate teacher development programmes and fellowships.

이러한 FD 역할의 수명과 지속성은 교육자에게 그 중요성과 관련성을 입증하는 증거입니다. 하플러(2011)와 스타이너트(2016)는 독립형 워크숍과 같이 맥락에서 벗어난 FD는 학습 전달 및 지속 가능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하플러 외. 2011; 스타이너트 외. 2016). 이러한 관찰로 인해 더 많은 현장 (위치한) FD 접근법의 사용이 증가했습니다. 또한, 학생과 수련의의 경력 개발을 위한 멘토, 평가자, 커리큘럼 개발자, 감독자 및 지원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교사를 준비하는 것은 역량 기반 학부 및 대학원 의학교육 프로그램에서 점점 더 중요한 요구사항이 되고 있습니다(Simpson 외. 2007; Baldwin 외. 2011; Morris and Swanwick 2018).  
The longevity and endurance of these FD roles are testament to their importance and relevance for educators. Hafler (2011) and Steinert (2016) suggest that de-contextualised FD, e.g. stand-alone workshops, may encounter problems with learning transfer and sustainability (Hafler et al. 2011; Steinert et al. 2016). This observation led to the growing use of more in situ, (situated) FD approaches. Additionally, preparing teachers for their roles as mentors, assessors, curriculum developers, supervisors and supporters of the career development of their students and trainees is an increasingly important requirement in competency-based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Simpson et al. 2007; Baldwin et al. 2011; Morris and Swanwick 2018).

리더십, 개인 및 경력 개발의 영역
The domains of leadership, personal and career development

리더는 임상의, 행정가, 학자 또는 교사로서의 활동을 통해 고품질 의료 및 학습 시스템의 비전에 기여하고 우수한 환자 치료 제공에 대한 책임을 지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교류합니다(Frank 외. 2015). 리더십, 개인 개발 및 경력 개발은 FD의 기존 활동에 최근에 추가되었습니다(Lyons 외. 2021). 교육자는 조직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Swanwick and McKimm 2014). FD 리더십 프로그램은 교수진이 리더십 맥락, 개인적 효과성 및 학업 환경에서의 역할에 대한 인식과 같은 주제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고 이러한 기술을 직장에서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Steinert 외. 2012).  
Leaders engage with others to contribute to a vision of a high-quality health care and learning system and take responsibility for the delivery of excellent patient care through their activities as clinicians, administrators, scholars or teachers (Frank et al. 2015). Leadership, personal development and career development are more recent additions to the established activities of FD (Lyons et al. 2021). Educators need to be adaptable to changes in their organisation (Swanwick and McKimm 2014). FD leadership programmes have helped faculty increase their knowledge in topics such as leadership context, personal effectiveness and awareness of roles in academic settings,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these skills in the workplace (Steinert et al. 2012).

또한 FD는 교수진의 개인적, 관계적, 맥락적 학문적 정체성 개발을 지원하고 교육자가 교육자로서 경력을 쌓을 수 있도록 돕는 데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McGaghie 2009; Steinert 외. 2019; van Lankveld 외. 2021). 마지막으로, FD는 직장 생활 동안 교사의 개인적 발전을 지원하고 가능하게 하는 데에도 관심이 있습니다(Billett 외. 2016). 
Furthermore, FD plays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faculty members’ personal, relational and contextual academic identity and helping educators to build their careers as educators (McGaghie 2009; Steinert et al. 2019; van Lankveld et al. 2021). Lastly, FD is also concerned with supporting and enabling the personal development of the teacher over a working life (Billett et al. 2016).

조직 영역
The organisational domain

사람들이 가르치고 배우는 조직 환경은 교사의 정체성, 교사 개발 및 교육 실천에 강력한 영향을 미칩니다. 최근 몇 년 동안 교육과 교사에 대한 조직의 인식을 개선하고 유익한 문화적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FD 접근법을 활용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습니다(Steinert 외. 2012; Lyons 외. 2021). 이러한 접근 방식에는 교육에 대한 제도적 지원과 우수성 인정, 경력 발전 기회 제공, 혁신과 학술 장려 등이 포함됩니다(Irby and O'Sullivan 2018). FD는 또한 비판적 탐구를 촉진하는 학습 환경 조성과 커리큘럼 변화를 촉진하는 수단으로서 적응과 성장을 촉진하는 데 유용한 매개체입니다(Jolly 2014, Irby와 O'Sullivan 2018). 
The organisational milieu in which people teach and learn has a powerful shaping effect on teacher identity, teacher development and teaching practise.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trend towards utilizing FD approaches to enhance organizational awareness of teaching and teachers as well as drive beneficial cultural change (Steinert et al. 2012; Lyons et al. 2021). These approaches include promoting institutional support for and recognition of excellence in teaching, offering career advancement opportunities and encouraging innovation and scholarship (Irby and O’Sullivan 2018). FD is also a useful medium for promoting the creation of learning environments that foster critical inquiry, and adaptation and growth as a means to foster curricular change (Jolly 2014; Irby and O’Sullivan 2018).

교육 학술의 영역
The domain of educational scholarship

HPE 과학 및 실무의 지속적인 관련성과 유용성은 의료 과학 및 실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지속적인 연구 및 혁신 파이프라인에 크게 좌우됩니다. FD는 교사가 교육 이론과 증거를 교육 문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뿐만 아니라 학습, 교수, 평가, 교육 설계, 커리큘럼 및 학습 환경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도록 돕는 데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보건 전문직 교육과 특히 교수개발의 학술은 교수개발 프로그램에서 종종 소홀히 다루어지는 영역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교수개발 학술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전체 섹션, 즉 섹션 3을 할애했습니다.
The ongoing relevance and utility of HPE science and practice is hugely dependent on a continuing pipeline of research and innovation, as is the case for medical science and practice. FD is not only concerned with helping teachers to apply educational theory and evidence to educational problems, but also with helping them generate new knowledge about learning, teaching, assessment, educational design, curriculum and learning environments. The scholarship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n general and of faculty development in particular are often neglected domains in faculty development programmes. We have therefore devoted an entire section, i.e. section 3 to focus on faculty development scholarship.

FD의 사회적 및 조직적 맥락
The social and organisational contexts of FD

프로그램적 관점에서 교수개발을 Steinert(2014)가 설명한 FD 활동의 영역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도움이 되지만, 교수개발의 형태와 내용을 형성하는 다양한 사회적 및 조직적 맥락을 고려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FD의 범위를 설명하기 위해 FD 활동의 영역이 위치한 사회적 및 조직적 맥락의 연속체를 고안했습니다. 컨텍스트 연속체를 구성하는 네 가지 사회적/조직적 컨텍스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From a programmatic perspective it is helpful to categorise faculty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domains of FD activity as outlined by Steinert (2014), but it is also important to include a consideration of the various social and organisational contexts that shape the form and content of faculty development. Thus, in an attempt to describe the scope of FD, we have devised a continuum of social and organisational contexts in which the domains of FD activity are situated. The four social/organisational contexts that comprise the context continuum include:

  1. '개인' 컨텍스트(즉, 개인 개발을 목표로 하는 FD);
    The individual context, (i.e. FD targeted at individual development);
  2. '직장 밖 그룹' 컨텍스트(강의실 및 온라인 환경에서 여러 참가자를 대상으로 제공되는 FD);
    The out-of-workplace group context, (FD delivered for multiple participants in classroom and online settings);
  3. '직장 내 미시 조직' 맥락(직장 소그룹, 커뮤니티 및 팀에 위치한 교육 실천의 변화를 촉진하는 FD);
    The workplace micro-organisational context, (FD facilitation of change in educational practice situated in workplace small groups, communities and teams);
  4. '직장 내 거시 조직' 맥락(더 나은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조직적 변화를 위한 FD 옹호).
    The workplace macro-organisational context, (FD advocacy for organisational change that enables better learning).

교수개발의 범위를 구성하는 영역과 FD가 발생하는 사회적 맥락 사이의 관계를 표 1에 설명했습니다. FD의 영역은 왼쪽 열에 세로로 나열되어 있으며, 사회적/조직적 연속체는 표 1의 맨 윗줄에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표 1에 제시된 FD의 범위가 계층적이지 않다는 점입니다. 한 접근 방식이나 방법이 다른 접근 방식이나 방법보다 낫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표 1은 교수개발 프로그램에 포함될 수 있는 FD 접근법의 다양한 사례를 시각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된 것입니다.
We have illust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mains that constitute the scope of faculty development and the social contexts where FD occurs in Table 1. The domains of FD are listed vertically in the left-hand column and the social/organisational continuum is situated in the top row of Table 1. Importantly, the scope of FD presented in Table 1 is not hierarchical. We are not arguing that one approach or method is better than another. Rather, Table 1 is offered as a way of visualising many examples of the available FD approaches that can be included in a programme of faculty development.

FD 프로그램의 사회문화적 맥락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FD programs

개인 및 조직 수준의 사회문화적 및 정치적 맥락은 교수자 개발자에게 FD 프로그램을 가장 잘 배치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 아시아 환경에서 기초과학 및 임상 교육자의 교사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Wahid 외. 2021; Soemantri 외. 2022)에서는 임상의 및 연구자로서의 다른 역할 외에도 교사의 영적 및 종교적 지향을 직업적 정체성의 중요한 결정 요인으로 인정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합니다.
  • 따라서 교사가 된다는 것은 교육적 가치뿐만 아니라 영적인 가치, 즉 '선행을 하는' 일을 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조직 수준에서 FD는 교사들을 집단적으로 참여시킬 수 있는 기관의 체계적인 지원으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집단주의 문화에 위치한 직장 환경에서 사회적 인정은 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특히 중요한 결정 요인입니다(Wahid 외. 2021). 따라서 FD 프로그램은 교사가 교사로서의 자기계발에 계속 참여하도록 장려하는 중요한 지원 시스템으로 작용합니다(Soemantri 외. 2022). 개인과 조직의 적응과 변화를 위한 의미 있는 참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교육기관에서 FD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사회문화적 맥락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Lewis and Steinert 2020). 
Sociocultural and/or political contexts at individual and organisational levels should inform faculty developers on how best to situate the FD program. For example,

  • studies on teacher identity formation of basic science and clinical educators in an Asian setting (Wahid et al. 2021; Soemantri et al. 2022),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cknowledging the teachers’ spiritual and religious orientations as important determinants of professional identity in addition to their other roles as clinicians and/or researchers – Thus, being a teacher is viewed as doing work that is of spiritual as well as educational value, i.e. ‘doing a good deed’.

At the organisational level, FD should be seen as systematic support from the institution which can engage the teachers collectively as a group. In workplace environments situated in collectivist cultures, societal recognition is a particularly important determinant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Wahid et al. 2021). As such FD programs act as vital support systems to encourage teachers to stay engaged in their personal development as teachers (Soemantri et al. 2022).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sociocultural context should be part of designing the FD program in an institution since the beginning to provide meaningful engagement for individual and organisational adaptation and change (Lewis and Steinert 2020).

범위에서 프로그램까지
From scope to programme

표 1은 FD 프로그램의 요소를 구성할 수 있는 교수개발의 다양한 형태와 관행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그러나 FD 프로그램으로 간주되려면 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교수개발 관행의 범위가 체계적이고 지속적이며 통합적이어야 합니다(ASPIRE 기준 1,2,3 및 4). 
Table 1 provides an organised representation of the many forms and practises of faculty development that may constitute elements of an FD programme. However, to be deemed an FD programme the scope of faculty development practice provided at an institution needs to be systematic, continuing and integrated (ASPIRE Criteria 1,2,3 and 4).

프로그램적 FD는 정의에 따라 교사 개발 및 교육 향상을 위한 공통의 조직적 목표 또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ASPIRE 기준 1). 또한 FD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FD 실천의 요소 또는 범위는 최소한 조직의 교수자 개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배열되어 있습니다(ASPIRE 기준 1). 또한 FD 프로그램은 교직원을 지원하기 위한 적시 활동으로 시작할 수는 있지만 컨퍼런스와 같은 일회성 FD 이벤트가 아니라 지속적이고 지속적이어야 합니다(ASPIRE 기준 2). FD 프로그램이 상황에 따라 대응하지 않아야 한다는 뜻은 아니지만, 이러한 임시 활동은 교사 지원에 대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접근 방식을 나타내는 근간과 함께 진행되어야 합니다
Programmatic FD is by definition focused on achieving common organisational aims or goals for teacher development and the enhancement of education (ASPIRE Criterion 1). Moreover, the elements or scope of FD practice that make up an FD programme are systematically arranged to achieve at least the organisational teacher development goals (ASPIRE Criterion 1). An FD programme should also be continuing and sustained rather than a one-off arrangement of FD events for something like a conference, even though it can be started as a just-in-time activity to support the faculty (ASPIRE Criterion 2). This is not to say that an FD programme should not be contextually responsive; but such ad hoc activities should occur alongside a backbone that represents a systematic and longitudinal approach to supporting teachers.

연수 행사 및 코스와 같은 FD 프로그램의 요소는 FD 프로그램 활동의 한 부분에 대한 참여가 다른 부분과 연결되고 관련되도록 통합되어야 합니다(ASPIRE 기준 1, 2, 3, 4). 또한 FD 프로그램은 이상적으로 HPE 및 교사 개발의 질적 개선과 학술에 참여하고 이를 촉진해야 합니다(ASPIRE 기준 5). ASPIRE 기준에 따른 FD 프로그램의 범위와 성취 수준은 기관의 목표와의 통합은 물론 지원 자원의 가용성 및 시간 경과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의 성숙도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An FD programme’s elements such as training events and courses should be integrated so that participation in one part of the FD programme’s activities is linked and related to other parts (ASPIRE Criterion 1, 2, 3 and 4). Moreover, an FD programme should ideally be engaged in and promote quality improvement and scholarship in HPE and teacher development (ASPIRE Criterion 5). The scope of an FD programme and its level of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ASPIRE criteria depend greatly on its integration with institutional goals as well as the availability of supportive resources and the maturation of development of the programme over time.

FD 프로그램
The FD programme

이 백서의 목적상 FD 프로그램은 특정 그룹(예: 센터, 부서, 조직)이 교육자의 개인적 및 전문적 개발과 HPE의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참여하는 모든 활동을 포괄하는 것으로 개념화합니다. 이러한 FD 프로그램 개념을 사용하면 교수 효과 지원에 초점을 맞춘 개별 활동에서 표 1에 요약된 것처럼 여러 영역과 맥락에서 활동하는 훨씬 더 복잡하고 통합된 실체를 향해 구축되는 FD 활동의 연속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For the purposes of this paper, we conceptualise an FD programme as encompassing all of the activities that a particular group of people, (e.g. a centre, a unit, an organisation) engages in to support the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ducators and the enhancement of HPE. Using this concept of an FD programme, we can provide a continuum of FD activity building from individual activities that focus on supporting teaching effectiveness towards a much more complex and integrated entity that is active across several domains and contexts of FD activity as outlined in Table 1.

Silver(2014)는 변화 관리 접근법을 활용하여 FD 프로그램을 시작하거나 갱신하는 단계 또는 단계를 설명합니다(Silver 2014). 그림 1에는 FD 프로그램을 수립하거나 강화하기 위한 변화 관리 접근 방식을 설명했습니다.

  • 그림에서 바깥쪽 원은 Silver가 제안한 순차적 단계를 나타내고,
  • 안쪽 원은 이러한 단계를 달성하거나 활성화하는 데 필요한 빌딩 블록을 반영합니다. 

Silver (2014) draws on change management approaches to describe stages or phases in the initiation or renewal of an FD programme (Silver 2014). We have illustrated the change management approach to establishing or enhancing an FD programme in Figure 1. In the figure, the outer circle represents the sequential steps as proposed by Silver, the inner circle reflects the building blocks required to achieve or enable these steps.

  • 일련의 개별 활동이 임시방편적으로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FD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루어지며, 프로그램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에 대한 공통의 비전을 수립하여 기관에 내재화해야 합니다.
    Setting up an integrated and systematic FD programme, as opposed to an ad hoc series of individual activities, typically happens over time and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a common vision of what the programme intends to achieve that is embedded in the institution.
  • 이러한 프로그램의 수립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을 옹호할 고위급 리더와 조직 전반의 이해관계자를 포함한 파트너 연합을 구성해야 합니다.
    A coalition of partners,
     including senior leaders who will champion the programme, and the engagement of stakeholders across the organization, should be formed to spearhead the establishment of such a programme.
  • 프로그램 창시자는 기존의 모멘텀을 활용하고 조직의 변화 의지를 높이기 위해 긴박감을 조성해야 합니다. 동기 부여 요인에는 예정된 커리큘럼 개혁 또는 예정된 인증 방문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The programme founders should seek to utilise existing momentum and create a sense of urgency to boost organisational willingness for change. Motivating factors could include an upcoming curriculum reform or a scheduled accreditation visit.
  • 팀은 관련성있는 현재의 제도적 과제와 장애물을 파악하고 가능한 해결책을 찾아야 합니다.
    The team should identify relevant and current institutional challenges and obstacles as well as identify their possible solutions.
  • 모멘텀을 유지하려면 FD 프로그램의 조기 성과가 중요합니다. 전략적 결과물, 프로세스 및 평가 전략이 나열된 핵심 문서는 FD 프로그램 이니셔티브를 전달하고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전제 조건입니다.
    To keep momentum flowing, early wins for the FD programme are important. A core document listing strategic deliverables, processes and evaluation strategies is an important prerequisite to communicate and sustain an FD programme initiative.
  • 평가 주기는 성과를 통합하고 전략 및 접근 방식의 변화를 알리는 데 필수적입니다. 강력한 평가 문화는 회의적인 참가자에게 프로그램의 혜택에 대한 신뢰성을 강화하는 중요한 품질 지표이기도 합니다.
    Evaluation cycles 
    are essential to consolidate gains as well as inform changes in strategy and approach. A strong evaluation culture is also an important quality marker that reinforces the credibility of the programme’s benefits for sceptical participants.

프로그램에서 우수성까지
From programme to excellence

섹션 1에서는 특히 FD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요소, FD의 범위를 정의하고 FD 프로그램 수립을 위한 변화 관리 접근법을 설명하는 등 HPE에서 FD 프로그램의 기초를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각 기관은 FD 프로그램의 어느 단계에 있는지 결정해야 하며, 개발 및 개선의 우선순위 영역도 결정해야 합니다. ASPIRE의 관점에서 볼 때, FD 프로그램의 개발은 우수성을 달성하고 시간이 지나도 관련성, 지속 가능성 및 영향력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에 주의를 기울이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이 가이드의 다음 섹션에서는 새로운 FD 프로그램의 사례를 통해 ASPIRE 기준을 사용하여 FD 프로그램의 개념화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Section 1 has elaborated the foundations of an FD programme in HPE, particularly in defining what constitutes an FD programme, the scope of FD and outlining a change management approach to establishing an FD programme. Each institution should determine at what stage they are in their FD programme, and should also decide on its priority areas for development and improvement. From an ASPIRE perspective, the development of an FD programme should orient itself towards achieving excellence as well as attending to how it can remain relevant, sustainable and impactful over time. The next section of this guide uses a case example of an emergent FD programme to illustrate how the ASPIRE criteria can be used to structure conceptualising a FD programme.

섹션 2
Section 2

목표 이 섹션이 끝나면 독자는 다음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1. FD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ASPIRE 기준의 적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2. ASPIRE 기준을 사용하여 FD 프로그램에서 추가 개발이 필요한 영역을 식별합니다.

Objectives At the end of this section, readers will be able to:

  1. Describe the application of the ASPIRE criteria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an FD programme.
  2. Identify areas for further development in an FD programme using the ASPIRE criteria.

새로운 FD 프로그램 사례 연구
Case study of an emergent FD programme

섹션 2에서는 라틴 아메리카의 새로운 보건 전문직 교육 기관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교수개발에 대한 단계적 접근 방식이 고립된 FD 개입에서 FD 프로그램의 시작 단계로 점진적으로 발전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그림 2). 사례 연구 FD 프로그램 개발의 다양한 단계는 이러한 단계가 ASPIRE 기준과 어떻게 일치하는지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ASPIRE 기준이 FD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이 기준은 정해진 순서를 나타내지 않습니다. 오히려 요구사항, 기회, 제도적 맥락에 따라 각기 다른 기준이 각기 다른 시기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기준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프로그램이 진화함에 따라 추가 개발이 필요한 영역을 조명할 수 있습니다. 
In Section 2, we offer a case study of a new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nstitution in Latin America to illustrate how a phased approach to faculty development can incrementally develop from isolated FD interventions into the beginnings of an FD programme (Figure 2). The various phases in the development of the case study FD programme are used to illustrate how these align with the ASPIRE criteria. Importantly, the idea here is not to suggest that the ASPIRE criteria provide a roadmap for the development of an FD programme. The criteria do not represent a prescribed sequence. Rather, different criteria come into play at different times depending on requirements, opportunities and institutional contexts. The criteria can, however, illuminate areas for further development as a programme evolves over time.

 
 

ASPIRE 기준을 사용한 반성
Reflections using the ASPIRE criteria

ASPIRE 기준은 FD에서 우수성을 구성하는 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설정되었습니다. AMEE의 시상 프로그램인 ASPIRE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상은 열망에 찬 상입니다. 이 기준은 FD가 주최 기관의 목표와 강력하게 통합되고 일치하며, 이론화가 잘 되어 있고, 품질 개선 및 평가 이니셔티브가 공식화된 프로그램적 접근 방식을 선호합니다. 
The ASPIRE Criteria set out to describe what constitutes excellence in FD. As the name of AMEE’s awards programme, ASPIRE, intimates, these awards are aspirational. The criteria clearly favour a programmatic approach in which FD is strongly integrated with and aligned to the goals of the host institution; well theorised; and where quality improvement and evaluation initiatives are formalised.

사례 사례에서는 각 ASPIRE 기준과 관련하여 우수성 기준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하기보다는 개발 과정에서 집중해야 할 기준의 여러 측면을 선택했습니다. 사례의 FD 팀은 기관의 우선순위와 당면한 기회에 따라 이러한 목표를 선택했습니다. FD 프로그램을 시작할 때 FD의 목표를 명시하면 노력을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해관계자가 단기적으로 추구할 목표와 추구하지 않을 목표를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목표는 시간이 지나면서 우선순위와 상황이 변화함에 따라 계속 변경될 수 있습니다. 
Rather than setting out to reach the standards of excellence in relation to each of the ASPIRE criteria, our case example selected a number of aspects of the criteria to focus on during their development. Our case example’s FD team selected these goals based on their institutions’ priorities and the opportunities they had at hand. Making the goals of FD explicit at the initiation of the FD programme can help align the efforts and can help make it clear for stakeholders which ambitions will and will not be pursued in the short term. These goals can still change over time as priorities and circumstances change.

프로그램 시각화
Visualising a programme

어떤 기준을 추구할지 시각화하기 위해 사례의 FD 팀은 스파이더 다이어그램(그림 3)을 사용하여 다음을 강조했습니다. 
In order to visualise which criteria would be pursued, the FD team from the case used a spider diagram (Figure 3) that highlights

  1. 열망 기준과 관련하여 현재 자신이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는지, 그리고
    Where they believe they currently stand in regard to the Aspire criteria; and
  2. 모든 기준이 동일한 우선순위를 갖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향후 야망이 어디에 있는지.
    Where their future ambitions lie, highlighting that not all criteria have equal priority.

부록 파일 1은 이 가이드의 독자가 FD 프로그램 상황에 따라 유사한 매핑을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조정 가능한 버전을 제공합니다.

Supplementary file 1 provides an adaptable version that can be used by readers of this guide to create a similar mapping according to their FD programme situations.

섹션 3
Section 3

목표 이 섹션을 마치면 독자는 다음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1. 교수진 개발의 맥락에서 학술의 의미를 정의합니다.
  2. FD 단위에서 FD 평가 및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Objectives At the end of this section, readers will be able to:

  1. Define what is meant by scholarship in the context of faculty development.
  2. Explain how FD units can develop the capacity to engage in FD evaluation and research.

FD의 학술 격차
The scholarship gap in FD

많은 교수개발자의 주요 활동은 연구를 통해 보건 전문직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를 개발하는 것입니다. 그 결과, 교수개발자는 교수개발에 관한 학술에 참여하는 데 필요한 지식, 기술 및 리소스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수개발자는 FD 프로그램(즉, FD 서비스)에 대한 기관의 기대와 교수개발(FD 과학)에 대한 교육 연구에도 참여할 것이라는 가정 사이에서 종종 긴장에 휩싸이게 됩니다. 이 섹션의 목적은 교육 학술이 FD에 대한 프로그램적 접근 방식에 어떻게 통합될 수 있는지 설명하는 것입니다. 먼저 교육 학술의 특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그런 다음 FD에서 연구 기회를 개념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조직적 프레임워크를 설명하고, 이를 전파하기 위한 접근 방식을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마지막으로 섹션 2의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제안 사항을 설명합니다.
The primary activity for many faculty developers is developing teachers rather than constructing new understandings about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hrough research. As a result, faculty developers may lack the necessary knowledge, skills and resources to engage in scholarship about faculty development. Despite this, faculty developers are frequently caught in a tension between institutional expectations of FD programming (i.e. FD service), and the presumption that they will also engage in educational research about faculty development (FD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ection is to describe how educational scholarship can be incorporated into a programmatic approach to FD. First, we describe briefly what characterises educational scholarship. We then describe an organisational framework that can be used to conceptualise research opportunities in FD, and we outline approaches for its dissemination. Finally, we illustrate our suggestions based on the case study in section 2.

교육 학술이란 무엇인가요?
What is educational scholarship?

학술은 학자로서의 삶과 학업 생활의 필수적인 측면입니다. 학술은 교육 기관의 기본적인 관행이자 필수적인 산물입니다. 이러한 근본적인 특성에도 불구하고, 학문과 맥락에 따라 다양한 정의와 관행이 학술으로 인정되는 모호한 개념으로 남아 있습니다(콜버트-게츠 외. 2021). 교육 분야에서 핵심적인 논쟁의 영역은 무엇이 학술을 구성하는가입니다. 특히 학술적 가르침교수학습의 학술(SoTL)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섹션에서는 교수개발의 현장 및 실무와 관련된 SoTL에 초점을 맞춥니다.
Scholarship is an essential aspect of being an academic and of academic life. It is both a fundamental practice and an essential product of academic institutions. Despite its foundational nature, it remains an ambiguous concept with differing definitions and practises being recognised as scholarship across disciplines and contexts (Colbert-Getz et al. 2021). Within education, the key area of debate is what constitutes scholarship. In particular, a distinction is made between scholarly teaching and the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SoTL). In this section, we focus on SoTL as it pertains to the field and practice of faculty development.

학술의 범주화
Categorising scholarship

학술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에서는 학술은 연구, 즉 새로운 지식과 새로운 관점을 발견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1990년 보이어(Boyer)가 학술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정의를 제안하면서 학술에 대한 생각이 근본적으로 바뀌었습니다(Boyer 1990). 그의 주된 목적은 경험적 연구를 선호하여 제3의 기관에서 종종 소외된 교육 학술을 장려하는 것이었습니다. Boyer의 확장된 정의는 발견, 적용, 통합, 교육 등 네 가지 학술을 설명했습니다(상자 3). 교수개발 학술은 주로 응용 및 교육 학술에 속하지만, 학술의 네 가지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위치할 수도 있습니다. 보건 전문직 교육에서 학술이라는 용어는 평가, 혁신 및 연구를 포괄합니다. FD 학술의 필수적인 부분인 프로그램 평가는 주로 '적용'과 관련이 있습니다. 혁신의 영역은 대체로 '교육'에 위치하지만 배타적이지는 않습니다. 교수개발에 대한 연구는 '발견' 및 '적용'에 속할 수 있습니다(상자 3에 예시와 함께 자세한 설명이 나와 있습니다).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n scholarship positions it as research, i.e. the discovery of new knowledge, new perspectives. Thinking about scholarship changed fundamentally in 1990 when Boyer, proposed a broader definition of scholarship (Boyer 1990). His primary purpose was to promote the scholarship of education which was often marginalised in third level institutions in favour of empirical research. Boyer’s expanded definition described four scholarships including discovery, application, integration and teaching (Box 3). While the scholarship of faculty development falls primarily into the scholarship of application and of teaching, it can be situated in any one of the four domains of scholarship.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he term scholarship embraces evaluation, innovation and research. Program evaluation, an essential part of FD scholarship, primarily aligns with ‘application’. The area of innovation is largely but not exclusively, situated in ‘teaching’. Research studies of faculty development may fall into ‘discovery’ and/or ‘application’ (further elaboration with examples is provided in Box 3).


박스 3. 학술의 영역.
Box 3. Areas of scholarship.

발견의 학술은 일반적으로 연구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엄격한 조사 접근법을 적용하여 새로운 지식과 새로운 이해를 개발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주요 저널에 게재된 보건 전문직 교육 연구 논문은 발견의 학술을 대표합니다.

The scholarship of discovery is what is usually called research. It involves developing new knowledge, new understandings through the application of rigorous investigative approaches.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major journals represent discovery scholarship.

통합의 학술독창적인 연구(즉, 발견 학문)의 결과를 편집, 해석 및 통합하여 새로운 이해를 창출하는 작업입니다. 통합 연구의 고전적인 형태는 책 챕터, 메타 분석 및 통합 문헌 검토입니다. 통합의 학술은 종종 학자가 일관되고 보다 포괄적인 설명을 확립하기 위해 여러 학문 분야와 주제에 걸쳐 접근해야 합니다.

The scholarship of integration is work that compiles, interprets and integrates the findings of original research, (i.e. discovery scholarship), to create new understandings. The classic forms of integrative research are book chapters, meta-analyses and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s. The scholarship of integration often requires the scholar to reach across disciplines and subjects to establish coherent and more comprehensive explanations.

응용의 학술실무나 이론에서 배운 내용을 새로운 맥락에 적용하여 새로운 통찰력과 이해를 창출하는 학문적 활동을 말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종종 이론의 확장 또는 정교화, 맥락에서 교육 지식의 심화로 이어집니다. 응용 학술의 결과물에는 실천을 변화시키기 위한 새로운 지식의 적용, 이론에 기반한 커리큘럼 설계가 포함되며 종종 실행 계획과 보고서로 배포됩니다.

The scholarship of application describes scholarly activity in which we apply what we know from practice or from theory in new contexts that generate novel insights and understandings. Such research often leads to expansion or elaboration of theory and the deepening of educational knowledge in context. Application scholarship outputs include the application of new knowledge to change practice, designing a theory informed curriculum and is often disseminated as action plans and reports.

가르침의 학술지식을 전달, 변형 및 확장하는 것입니다(Boyer 1990). 교수 학술은 교수 평가 및 교수 실습에 대한 성찰과 같은 학문적 실천과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르침의 개념과 겹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기에는 책 챕터 작성, 교육 정책 문서 개발, 교수진 개발 매뉴얼 또는 자료 준비에 기여하는 활동도 포함됩니다. '학술적 가르침'이 아닌 '가르침의 학술'으로 간주되려면 학문적 생산성이 외부 전파 및 비판적 검토의 대상이 되어야 합니다.

The scholarship of teaching is about transmitting, transforming and extending knowledge, (Boyer 1990). The scholarship of teaching can overlap with the concept of scholarly teaching in that it is concerned with scholarly practises such as the evaluation of teaching and reflecting on teaching practice. However, it also incorporates creating book chapter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olicy documents, the preparation of faculty development manuals or materials. To be deemed ‘scholarship of teaching’ as opposed to ‘scholarly teaching’, the academic productivity should be subject to external dissemination and critical review.


품질 및 학술
Quality and scholarship

보이어의 학술에 대한 확장된 정의는 교수개발자에게 학술 활동을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학술적 교육과 학술의 구분은 여전히 다소 모호합니다. 이러한 구분은 Glassick(2000)이 학술 기준을 발표한 이후 개념화하기가 더 쉬워졌습니다(표 2(Glassick 2000) 참조).
Boyer’s expanded definition of scholarship provides the faculty developer with a menu of options to structure scholarship endeavours. However, the distinction between scholarly teaching and scholarship remains somewhat blurred. This distinction has become easier to conceptualise following the publication of scholarship criteria by Glassick (2000), see Table 2 (Glassick 2000).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학문적 초점 방향 설정하기
Using a framework to orientate a scholarly focus

모든 교수개발 학술은 교수개발을 설명하는 개념적 틀 안에 위치할 때 더욱 강력해질 것입니다. 교수개발 연구를 구성하고 교수개발의 핵심 구성 요소와 교수개발이 이루어지는 커뮤니티 맥락에 대한 렌즈를 통해 통찰력을 제공하는 한 가지 모델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O'Sullivan and Irby 2011). 오설리반과 어비의 FD 작동 방식에 대한 모델은 네 가지 핵심 구성 요소를 기반으로 합니다. 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All faculty development scholarship will be stronger if it is also situated in a conceptual framework that describes faculty development. An example of one model that frames faculty development research and provides insights through a lens of the key components of faculty development as well as the community contexts in which the faculty development is situated (O’Sullivan and Irby 2011). The O’Sullivan and Irby model of how FD works is based on four critical components. These are:

  1. 프로그램(그리고 프로그램의 목적 적합성은 역량이나 성향을 학습, 향상 또는 변경하거나 직장으로 이전하기 위한 것이어야 함);
  2. 참가자(프로그램 참여도, 관계 및 네트워크)
  3. 진행자 (그들의 교육 지식 및 기술) 및
  4. FD가 발생하는 맥락(조직, 시스템 및 문화와 교육 혁신 및 변화에 미치는 영향).

 

  1. the program (and its fitness for purpose be that for learning, enhancing or changing a competence or a disposition or for transfer to the workplace);
  2. the participants (and their engagement with the programme, relationships and networks);
  3. the facilitators (their educational knowledge and skills) and
  4. the context where the FD occurs (and its organisation, systems and culture and their impact on educational innovation and change).

이 모델은 또한 FD가 자리 잡고 협상하는 두 가지 필수 커뮤니티에 대해서도 설명합니다:
The model also describes the two essential communities where FD is positioned and negotiated:

  1.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 커뮤니티(또는 FD 센터) 및
    the community of the faculty development programme, (or FD centre) and
  2. 참여자가 교육자, 연구자, 임상의/과학자인 직장에 존재하는 커뮤니티.
    the community that exists in the workplace where participants are educators, researchers, and clinician/scientists.

한두 가지 관심 영역을 파악한 교수개발 학자는 프로그램 내용, 참여자, 교수개발이 이루어지는 맥락 등 교수개발의 어떤 구성 요소가 적용되는지 파악할 수 있을까요? 중요한 점은 오설리반과 어비 모델이 FD 학술에 있어 조직적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이며, 이는 ASPIRE 기준 1과 잘 중첩된다는 점입니다.
Having identified one or two domains of interest, faculty development scholars can then identify what components of faculty development apply, e.g. the programme content, the participants, the context where faculty development occurs? Importantly, the O’Sullivan and Irby model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e organisational context in FD scholarship which overlaps nicely with ASPIRE Criterion 1.

FD 학술 시작하기
Getting started in FD scholarship

관심 분야와 조직적 프레임워크를 확인했으면 이제 FD 학술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공식화, 상황 설정, 대상자 정의, 구체화, 리소스 식별, 방법 선택, 배포 등 일련의 일반적인 단계를 섹션 2의 사례에 따라 설명했습니다(아래 그림 4 참조). 먼저 각 단계를 더 자세히 설명합니다.
Having identified domains of interest and an organisational framework, we now turn to how to design and implement FD scholarship. We have illustrated a set of generic steps including Formulate, Situate, Define Audience, Refine, Identify Resources, Choose Methods, Disseminate, to our case example from section 2 (see Figure 4 below). We first outline the steps in more detail.

 
 

공식화, 기존 문헌에서 상황 파악
Formulate, situate in existing literature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이 교수개발에 대해 어떤 종류의 질문을 하고 있는지부터 시작하세요. 교수개발에 대해 제기할 수 있는 질문의 유형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관점과 기존 문헌에서 도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체화해야 합니다. 교육기관 리더, 교수개발자, 교수진 참여자, 학생 및 기타 학습자, 환자 모두 중요한 관점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Start from the kinds of questions that you or others are asking about faculty development. The types of questions that can be asked about faculty development can and should be derived from, and refined by, various ‘stakeholder’ perspectives, and the existing literature. Institutional leaders, faculty developers, faculty participants, students and other learners, and patients may all have important perspectives.

대상 정의 및 질문 구체화
Define audience and refine your question

FD 학술에 참여하는 데 유용한 접근 방식은 최종 목표를 염두에 두는 것입니다. 어떤 영향력을 원하는가? 예를 들어 이론에 대한 기여, 학술 문헌에 교수개발 프로그램을 확립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원하는 영향력이 확인되면 추가적인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학술은 어디에 쓰일 것인가? 어떻게 사용될 것인가? 누구를 위해? 
A useful approach to engage in FD scholarship is having the end goal in mind. What impact is desired? E.g. contribution to theory, establishing your faculty development program in the academic literature. Once desired impact is identified, additional relevant questions are: Where will the scholarship go? How will/might this be used? By whom?

이해관계자의 의견, 문헌의 증거, 명확하게 정의된 의도된 영향력을 바탕으로 연구 질문을 구체화/재구성합니다. 
Refine/reformulate your research question with this input from stakeholders, evidence from the literature and clearly defined intended impact.

리소스 파악
Identify resources

리소스는 질문의 '구체화' 단계에 따라 달라집니다. 문헌 검토부터 적절한 방법 식별에 이르기까지 도움을 줄 수 있는 특정 리소스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학자는 FD 학술에 참여하는 데 필요한 세 가지 유형의 리소스를 고려해야 합니다(ASPIRE 기준 3):  
Resources depend on where you are at in the ‘refinement’ of the question. You may require specific resources to assist from literature review to identifying appropriate methods. Scholars should consider three types of resources required for engaging in FD scholarship (ASPIRE criterion 3):

  • 인적 자원: FD 학술에 참여하려면 이 일을 기꺼이 수행할 전담 팀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학술에 참여하고자 하는 교수진 개발자에게 중요한 과제는 협력자를 찾는 것입니다. 이러한 협력자는 현지에서 구할 수도 있지만, 학자들이 의미 있고 영향력 있는 학술적 작업을 수행하려면 같은 기관의 다른 사람 또는 기관 간 네트워크를 형성해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참여자에게 접근할 수 있거나 연구 방법 또는 경험적 전문성을 갖춘 협력자를 찾는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제안합니다. 사람들은 종종 학술 팀에 기꺼이 참여할 의향이 있으며, 이들이 다른 사람을 소개해 주거나 공동 저자가 될 수도 있습니다(Sloan 1989; Steinert 외. 2009; von Below 외. 2018; Irby and O'Sullivan 2018; Dijk 외. 2020). 
    Human resource
    : Engaging in FD scholarship requires a dedicated team willing to do the work. A significant challenge therefore for any faculty developer wanting to engage in scholarship is finding collaborators. These may be available locally, but it is likely that scholars will have to network with others in the same institution or between institutions to achieve scholarly work of significance and impact. We suggest a pragmatic approach, looking for collaborators with access to participants or who have research methods or experiential expertise. People are often willing to join scholarship teams and they may introduce you to others and they may become co-authors (Sloan 1989; Steinert et al. 2009; von Below et al. 2018; Irby and O’Sullivan 2018; Dijk et al. 2020).
  • 재정 자원: 교수개발 학술은 주최 팀과 기관에 비용이 발생합니다(Albert 외. 2007). 비용에는 인건비뿐만 아니라 관련 소프트웨어, 전문 지식, 연구 현장, 출장 및 기타 리소스(예: 전사 서비스, 인센티브)에 대한 액세스도 포함됩니다. 학제 간 및 기관 간 협업을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방법론적 접근 방식에 따라 관련 비용도 달라집니다. 리소스에 대한 접근이 제한적인 FD 학자들은 창의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예산 제약 내에서 연구 질문에 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Cook and Steinert 2013, Kim 외. 2015, McMaster 외. 2020, Zuo and Miller Juvé 2021, Kado 외. 2022, Seethamraju 외. 2022). 
    Financial resource:
     Faculty development scholarship has costs to the host teams and institutions (Albert et al. 2007). Cost is not only people time, but is also access to relevant software, expertise, research sites, travel and other resources (e.g. transcription services, incentives.) Interdisciplinary and inter–institutional collaboration can often save costs. Different methodological approaches have different associated costs. FD scholars with limited access to resources can often find ways to answer a research question with their budgetary constraints by being creative in their approach (Cook and Steinert 2013; Kim et al. 2015; McMaster et al. 2020; Zuo and Miller Juvé 2021; Kado et al. 2022; Seethamraju et al. 2022).
  • 조직적 연계 및 권한: FD 학술 활동을 기존 구조에 포함시키면 정당성을 확보하고, 교수진 내 더 넓은 그룹의 지지를 얻고, 다른 부서 간의 협업 기회를 창출하고, FD 및 FD 학술을 위한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초기 단계부터 학장이나 대학 차원의 SoTL 책임자와 같은 리더십을 가진 사람을 참여시키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McLean 외. 2008; Engbers 외. 2013; Steinert 외. 2016). 
    Organisational alignment and authority
    : Embedding the FD scholarship efforts within existing structures can help build legitimacy, support from a wider group within the faculty, create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 between other departments, and can support building a longitudinal and sustainable setting for FD and FD scholarship. Involving someone from the leadership, such as the dean or those in charge of SoTL as the university level, from early stages onward can be a helpful step (McLean et al. 2008; Engbers et al. 2013; Steinert et al. 2016).

방법 선택
Choose methods

교수개발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고전적인 연구 설계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질적 연구, 혼합 방법 및 디자인 연구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방법론적 접근 방식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이 가이드의 범위를 벗어납니다. 다른 AMEE 가이드는 이러한 목적에 매우 유용하며 부록 A, 표 A1에서 옵션을 제안합니다. 
Scholars who study faculty development employ a variety of methods. Classical research design can be used, but it is likely that qualitative, mixed-methods and design research will be employed. It’s beyond the scope of this guide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about methodological approaches. Other AMEE guides are very useful for this purpose and we suggest options in Supplementary Appendix A, Table A1.

배포
Disseminate

학계에서는 우리가 배운 것을 공유하기 위해 전파가 필요하다는 점을 지지합니다. 우리는 언제, 어떤 형식으로, 어디로 전파할지 고려해야 합니다. 전통적으로 보급은 저널에 논문을 발표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으며 아마도 가장 잘 알려진 보급의 형태일 것입니다. 논문은 전문 학술지든 일반 학술지든, 동료 심사를 받든 받지 않든, 오픈 액세스든 아니든 상관없습니다. 많은 저자는 자신의 논문이 영향력이 큰 저널에 게재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HPE는 상대적으로 작은 시장이며 매우 많은 독자에게 도달하는 저널의 높은 영향력 지수를 갖지 못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Academics endorse that dissemination is necessary to share what we have learned. We should consider when to think about dissemination, in what format and where. Traditionally, dissemination was thought to require a published journal article and probably is the best-known form of dissemination. Publications can be peer reviewed or not, open access or not, in specialised or general journals. And while many authors feel that their articles must be in high impact journals, they should remember that HPE is a relatively small market and will not have the high impact factor held by journals reaching very large audiences.

배포는 지역 위원회 및 기관에 대한 보고서, 다른 기관에 대한 컨설팅, 컨퍼런스, 인쇄물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표 3). 이 분야는 동료 검토를 거친 커리큘럼 자료의 배포를 포함하도록 확장되었습니다(mededportal.org 참조). 블로그와 트위터를 비롯한 소셜 미디어와 기술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학술이 점점 더 많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후자의 영역은 학술적 저작물로 간주하는 기준이 여전히 진화하고 있습니다(Breu와 Cooper 2022). 배포 전략을 개발하기 전에 답해야 할 두 가지 핵심 질문이 있습니다: 
Dissemination can take many other forms, including through reports to local committees and institutions, in consultancy to another institution, at a conference as well as in print (Table 3). The field has expanded to include dissemination of peer reviewed curricular materials (see mededportal.org). Increasingly, new forms of scholarship are arising with technology and social media including blogs and Twitter. These latter areas are still evolving as to their criteria to deem the work scholarly (Breu and Cooper 2022). There are two key questions that should be answered prior to developing a dissemination strategy:

  • '누가 이 작품을 읽거나 듣고 싶어 하는가'. 교육적 개입을 평가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지역적 관심사에 국한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견과 비판적 검토를 위해 지역 네트워크를 통해 배포되어야 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반면에 응용, 통합 및 발견 학술은 더 많은 관심을 끌 가능성이 높으며 동료 검토, 적응 및 해석을 위해 더 광범위하게 배포되어야 합니다. 
    Who wants to read or hear about this work?’. Bear in mind that evaluating educational interventions is usually only of local interest, but nonetheless should be distributed through local networks for comment and critical review. On the other hand, application, integration and discovery scholarship are likely to be of wider interest and should be disseminated more broadly for peer review, adaptation and interpretation.
  • 대상과 목표를 달성하는 데 적합한 형식은 무엇인가요? 교수진은 종종 Glassick의 기준에 따라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교수진 개발자는 Glassick의 기준을 준수하는 고품질의 작업을 전달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 무엇인지 고려해야 합니다. 교수진은 일반적인 학회 및 학술지 배포를 넘어 소셜 미디어, 동료 심사 저장소(예: MedEdPortal)와 같은 대체 수단을 고려해야 합니다. 배포에 대한 자세한 개요는 표 4에 나와 있습니다. 
    What format is suitable to reach my audience and goals?
     Faculty members often engage in developing materials following Glassick’s criteria and would like to share them with others. Faculty developers should consider what are the best ways to communicate high quality work that complies with the Glassick’s criteria. Faculty should think beyond the usual conference and journal dissemination to alternative means such as social media, peer-reviewed repositories such as MedEdPortal. We have provided a more detailed overview of dissemination in Table 4.
     
  •  

그림 4는 섹션 2의 사례에 FD 학술을 적용하는 데 필요한 단계를 설명합니다. 표 3에서는 교수진 개발과 관련된 평가, 혁신 및 연구라는 세 가지 영역에 걸쳐 FD 학술 단계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Figure 4 describes the steps required for FD scholarship applied to the case in Section 2. In Table 3, we apply the FD scholarship steps across three different domains, i.e. evaluation, innovation and research related to faculty development.

 

결론
Conclusion

이 백서에서는 교수개발 프로그램에 Aspire 기준을 열망의 구성 요소로 사용하여 현재의 구조와 프로세스를 검토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고, FD 수립의 초기 단계에 있는 사람들이 기관의 필요에 따라 프로그램 수립을 지원할 수 있는 요소, 단계 및 파트너십을 식별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In this paper, we aimed to both provide guidance to Faculty Development programmes to review their current structures and processes, using the Aspire criteria as aspirational components, as well as helping those at the earliest stages of establishing FD to identify elements, steps and partnerships that might support their establishment into a programme in line with the needs of their institution.

이 백서는 교수개발 및 FD 프로그램의 정의를 개괄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개발 프로그램을 향한 일련의 비연속적인 단계에 대한 개요를 제공했습니다. 여기에 제공된 정보는 포괄적인 것이 아니며, 제공된 표가 각 교육기관이 노력해야 할 항목의 목록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We started our paper by outlining the definition of faculty development and FD programmes, and provided an outline of a set of non-consecutive steps towards the development programme. The information provided here is neither comprehensive, nor should the provided tables serve as a list of boxes that each institution should strive for.

두 번째 섹션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FD 관행을 개발하는 과정에 있는 기관의 가상 사례를 설명하여 Aspire 기준이 우수성을 위한 일련의 기준일 뿐만 아니라 고려해야 할 다양한 기준에 따라 FD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In the second section, we describe a hypothetical case example of an institution on their way to developing FD practices over time, demonstrating how the Aspire criteria can be used as not only a set of criteria for excellence, but also a framework to develop an FD programme along various criteria to consider.

마지막으로, 섹션 3에서는 학술으로 간주되는 것, 학술적 질문 식별, 배포, 사례 연구를 사용한 리소스 식별 등 교육 및 FD 학술에 대한 프로그램적 접근 방식을 수립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다루고 사례를 제시합니다. 
Finally, in section three we addressed guidance on establishing a programmatic approach to educational and FD scholarship, including what is considered scholarship, identifying scholarly questions, dissemination and identifying resources using the Case Study to provide examples.

이 가이드는 교수진 개발자가 개발 단계, 요구 사항, 목표, 현재 상황 및 환경에 따라 가장 적합한 구성 요소를 선택할 수 있는 모범 사례에 대한 개요로 간주해야 합니다. 
This guide should be seen as an overview of best practices from which a faculty developer, depending on their stage of development, needs, goals, current situation and setting can select which components could serve them best.

 


 

Med Teach. 2023 Oct 2:1-14. doi: 10.1080/0142159X.2023.2259062. Online ahead of print.

Developing a programmatic approach to faculty development and scholarship using the ASPIRE criteria: AMEE Guide No. 165

Affiliations 

1Department of Epidemiology, Department of Radiology and Nuclear Medicine, Erasmus University Medical Center, Rotterdam, The Netherlands.

2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as Indonesia, Jakarta, Indonesia.

3Discipline of General Practice, University of Galway, Galway, Ireland.

4Centre for Teaching and Learning, Stellenbosch University, Stellenbosch, South Africa.

5School of Medical Sciences, University of Campinas (UNICAMP), Campinas, Brazil.

6Office of Medical Education and Departments of Medicine and Surgery,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CA, USA.

7Department of Paediatrics,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PMID: 37783204

DOI: 10.1080/0142159X.2023.2259062

Abstract

Faculty Development (FD) has become essential in shaping design, delivery and quality assurance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he growth of FD worldwide has led to a heightened expectation for quality and organizational integrity in the delivery of FD programmes. To address this, AMEE, A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developed quality standards for FD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AMEE ASPIRE to Excellence criteria. This guide uses the ASPIRE criteria as a framework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who wish to establish or expand approaches to FD delivery and scholarship within their institutions.

Keywords: Education; education; faculty/organization and administration; health personnel/education; health professions; professional/organization and administration; programme development; staff development.

의료 윤리학을 가르치기 위한 임상 사례활용의 열두가지 팁(Med Teach, 2018)
Twelve tips for using clinical cases to teach medical ethics
Hongmei Dong, Renslow Sherer, Jon Lio, Ivy Jiang and Brian Cooper

소개
Introduction

의과대학의 의료윤리 커리큘럼은 학생들에게 윤리의 원칙윤리적 분석 및 추론에 대한 접근법을 모두 가르쳐야 합니다(Manson 2008; Alfandre and Rhodes 2009). 교육 방법과 관련해서는 주로 대그룹 강의와 임상 사례에 대한 소그룹 토론을 결합한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일치하고 있습니다(Eckles 외. 2005). 일반적으로 강의와 독서가 이론적 내용을 가르치는 데 효율적인 방법이지만, 윤리적 사고와 의사 결정에 대한 접근 방식은 학생들이 반복적으로 실습할 수 있는 임상 사례 토론을 통해 더 잘 습득할 수 있습니다(Gillon 1996). 
A medical ethics curriculum in medical schools should teach students both principles of ethics and approaches to ethical analyses and reasoning (Manson 2008; Alfandre and Rhodes 2009). Regarding teaching methods, the consensus is to use the combination of methods, mainly large group lecture and small-group discussions of clinical cases (Eckles et al. 2005). While lectures and readings are generally efficient ways of teaching theoretical content, approaches to ethical thinking and decision making are better acquired through clinical case discussions that allow students repeated opportunities to practice (Gillon 1996).

사례는 의대생이 윤리에 주의를 기울여 임상적 사고를 연습할 수 있는 실제 임상 상황을 제시합니다. 사례 분석은 의학의 도덕적 측면에 대한 민감성을 가르치고, 원칙을 의료행위에 적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며, 의사가 책임감 있는 도덕적 주체로서 행동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Goldie 2000). 이전 연구에 따르면 사례 기반 윤리 교육은 윤리적으로 복잡한 사례를 분석하고 관리하는 학습자의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Tolchin 외. 2015), 의료 직업에 대한 학생들의 규범적 동일시를 개발하는 데 강의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Goldie 외. 2001). 그룹 학습 맥락에서 사례 토론은 임상 및 기타 전문 지식을 갖춘 진행자의 지원을 받을 때 학생들이 사례의 윤리적 딜레마를 해결하는 데 참여하게 합니다(Tysinger 외. 1997). 
Cases present authentic clinical contexts where medical students practice clinical thinking with attention to ethics. Case analysis teaches sensitivity to the moral aspects of medicine, illustrates the application of principles to medical practice and shows doctors acting as responsible moral agents (Goldie 2000).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case-based ethics teaching not only significantly improves learners’ ability to analyze and manage ethically complex cases (Tolchin et al. 2015) but also has proven to be more effective than lecture in developing students’ normative identification with the medical profession (Goldie et al. 2001). In the group learning context, case discussion engages students in resolving the cases’ ethical dilemmas when supported by facilitators with clinical and other expertise (Tysinger et al. 1997).

이 글에서는 소그룹 사례 토론 접근법을 사용하여 학생들에게 의료 윤리를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12가지 팁을 설명합니다. 의과대학 커리큘럼에서 의료 윤리를 설계한 경험과 의료 윤리의 교육 및 적용과 관련된 문헌을 바탕으로 이러한 아이디어를 도출했습니다. 
In this article, we describe 12 tips on how to use the small-group case discussion approach to teach students medical ethics. We have drawn on our experience in designing medical ethics in a medical school curriculum and on literature related to the teaching and application of medical ethics to produce these ideas.

팁 1
Tip 1

사례 토론을 코스 목표에 맞추기
Align case discussions with course objectives

사례 개발은 윤리 코스에서 다루는 주제와 연계되어야 하며, 사례는 코스 목표를 다루어야 합니다. 사례 토론은 강의, 읽기, 과제 및 기타 형태의 교수법을 사용하는 윤리 코스의 구성 요소이며, 이 모든 것이 코스의 명시된 목표에 맞게 조율되고 조정되어야 합니다. 또한 각 사례에는 관련 코스 목표에서 파생되고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 명확한 학습 목표가 있어야 합니다(Azer 외. 2012). 사례 토론은 관련 강의와 관련 읽기 과제를 완료한 후에 진행되며, 강의와 읽기는 소그룹 토론의 배경이 됩니다. 사례 연구에는 하나 이상의 목표가 있을 수 있으며, 종종 사례가 전개됨에 따라 일련의 목표를 다룰 수 있습니다. 
Case development must be tied to the topics covered by the ethics course, as cases should address the course objectives. Case discussions are a component of the ethics course that also uses lectures, readings, assignments and other forms of teaching methods, all of which should be orchestrated and aligned with the stated objectives of the course. Each case should also have clear learning objectives that must be derived from and tightly connected to the relevant course objectives (Azer et al. 2012). Case discussion follows the relevant lectures and the completion of relevant reading assignments, with lectures and readings serving as background for the small group discussions. A case study can have more than one objective, and often a series of objectives can be addressed as the case unfolds.

소그룹 학습의 주요 목표는 개념 이해 증진, 비판적 사고 및 문제 해결력 개발, 자기 주도적 및 협력적 학습 촉진, 커뮤니케이션 기술 향상입니다. 토론 세션을 설계할 때는 학생들이 독립적으로 또는 동료들과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좋은 사례와 학습 활동을 선정하여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The chief goals of small-group learning are to promote conceptual understanding, develop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foster self-directed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When designing discussion sessions, one should aim at accomplishing these goals by selecting good cases and learning activities to be engaged in by students independently and with peers.

팁 2 양질의 사례 선정 및 작성
Tip 2

Select and write up quality cases

좋은 사례의 가장 본질적인 특징은 학생들이 실제 상황에서 참여자의 역할을 맡게 하는 현실의 표현이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사례는 실제 상황이어야 하며 의사의 일상 업무의 맥락에서 설정되어야 합니다(Arras 1991; Siegler 2002). 교사가 구성한 가상 사례는 하나 또는 몇 가지 요점을 설명하기 위해 고안된 경우가 많으며 실제 사례의 복잡성이 부족할 수 있는 반면, 실제 사례는 상황과 실제 제약이 이론적 개념을 임상 상황에 적용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줍니다(Miles 외. 1989). 실제 사례를 사용하는 것은 윤리적 딜레마를 관리하는 기술을 습관화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Campbell 외. 2007).  
The most essential characteristic of good cases is that they are representations of reality that put students in the role of participants in authentic contexts. Thus, cases should be real and set in a context of the physician’s daily work (Arras 1991; Siegler 2002). Hypothetical cases constructed by teachers are often designed to illustrate one or a few points and may lack the complexity of actual cases, while real cases show how circumstances and practical constraint affect the application of theoretical concepts to clinical situations (Miles et al. 1989). Using actual cases also helps in the habituation of the skills for managing ethical dilemmas (Campbell et al. 2007).

좋은 사례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이 있습니다.

  • 첫째, 가르치는 윤리 원칙과 논의되는 사례 사이에 연결성이 있어야 윤리 원칙과 개념의 제시가 임상 사례를 조명하여 원칙의 실제적 의미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Miles 외. 1989).
  • 둘째, 사례는 의사의 환자 진료 업무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자주 접하는 문제와 관련되어야 합니다(Sherer 외. 2017). 흔한 문제에 대한 일상적인 사례는 드문 사례보다 의사의 업무와 관련성이 더 높기 때문에 선호됩니다. 교수진은 핵심 쟁점을 강조하고 법, 윤리, 사회학 및 다학제적 전문성의 기본 개념을 전달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사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Miles et al. 1989).
  • 셋째, 사례는 학생의 사전 지식과 교육 수준에 맞게 적절한 수준의 복잡성과 난해함을 지닌 사건을 제시해야 합니다. 적절하게 도전적인 사례는 더 높은 인지 수준에서 학생들의 토론을 자극하여 풍부한 교육적 경험을 제공합니다(Azer 외. 2012). 복잡한 뉘앙스가 제거된 사례는 윤리적 원칙을 설명하거나 좁은 요점을 제시할 수 있지만, 학생들이 환자 치료의 상황적 특성을 다룰 수 있는 능력을 갖추지 못할 수 있습니다(Miles 등, 1989).
  • 넷째, 임상 윤리를 강조하면서 인간 행동, 기초 과학, 임상의학도 사례에 포함시켜야 합니다(Tysinger 등, 1997). 실제로 윤리적 문제는 환자 치료의 다양한 측면에 내재되어 있고 얽혀 있기 때문에 의사는 다양한 종류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합니다. 

Good cases also have the following key characteristics.

  • First, there need to be connections between the ethics principles taught and the cases discussed, so that the presentation of ethics principles and concepts can illuminate clinical cases which in turn illustrate practical import of the principles (Miles et al. 1989).
  • Second, cases should be relevant to physicians’ work in patient care, involving often-encountered issues (Sherer et al. 2017). Routine cases on common problems are preferable to rare cases, because the former have more relevance to doctors’ work. Faculty can systematically select cases to highlight core issues and to convey fundamental concepts of law, ethics, sociology, and multidisciplinary professionalism (Miles et al. 1989).
  • Third, cases should present events with an appropriate level of complexity and perplexity that is adjusted to students’ prior knowledge and level of training. Appropriately challenging cases provide a rich educational experience by stimulating students’ discussion at a higher cognitive level (Azer et al. 2012). Cases that have been stripped of complicating nuances can illustrate ethical principles or make a narrow point but may not equip students to deal with the circumstantiality of patient care (Miles et al. 1989).
  • Fourth, while emphasizing clinical ethics, the cases need also to include human behavior, basic science, and clinical medicine (Tysinger et al. 1997). In practice, ethical issues are embedded in and entangled with various aspects of patient care, requiring the physician to solve problems of various kinds simultaneously.

팁 3 다양한 사례 사용
Tip 3

Use a variety of cases

학생들이 숙지해야 할 중요한 주제를 광범위하게 다루는 다양한 사례를 충분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주제 유형 외에도 사례를 다른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어떤 사례는 일반적인 합의가 있는 윤리적 딜레마를 포함하는 반면, 어떤 사례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갈등을 포함합니다(Goldie 외. 2002).
  • 학생들이 합의가 존재하는 부분을 인식하고 정당하고 전문직의 합의에 부합하는 관리 계획을 개발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 동시에, "합의가 없는 문제"는 학생들에게 모든 윤리적 문제에 대해 전문직이 만장일치로 선호하거나 전문직 표준에 의해 지지되는 행동 방침이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줍니다(Goldie 외. 2002).
  • 후자의 경우, 학생들은 상충되는 원칙을 비교하고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특정 행동 방침에 대해 합리적이고 윤리적으로 정당화할 수 있는 주장을 하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Fasser 외. 2007). 

It is crucial to use a sufficient variety of cases that cover a broad range of topics that are important for students to be familiar with. In addition to topic types, however, cases can be categorized in other ways. For example,

  • some cases involve ethical dilemmas about which there is general consensus, while others involve conflicts that are controversial (Goldie et al. 2002).
  •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be aware where consensus exists and learn how to develop a management plan that is justifiable and consistent with the consensus of the profession.
  • At the same time, the “no consensus problems” demonstrate to students that not all ethical problems will have a course of action unanimously favored by the profession or supported by professional standards (Goldie et al. 2002).
  • In this latter case, students ought to learn how to make a well-reasoned, ethically justified argument for a particular course of action by weighing and assigning priority to conflicting principles (Fasser et al. 2007).

교사가 생성한 사례와 학습자가 생성한 사례가 있습니다. 학생들이 병동에서 경험한 사례는 개인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학생들에게 교사의 행동을 비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Alyousefi 외. 2016). Carrese 등(2011)의 연구에 따르면 후배 의사들은 다양한 일반적인 윤리 문제를 자주 접하지만 교수진은 이러한 문제를 잘 파악하지 못하여 많은 교육 기회를 놓치고 있다고 합니다. Carrese 등(2011)은 학습자가 접한 사례를 교육에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학습자는 윤리적 문제가 자신의 경험이 아닌 다른 사람의 경험이라는 인상을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학생이 사례를 선택하고 발표하도록 하는 것은 사례 선택의 폭이 좁아질 위험도 있습니다(Miles 외. 1989). 따라서 교사는 사례와 개념의 적절한 폭을 보장하기 위해 교수자가 생성한 사례와 학습자가 생성한 사례를 모두 사용해야 합니다(Kon 2006). 또한 소규모 그룹으로 구성된 학생에게 자신이 경험한 사례를 분석하는 과제를 부여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연습은 일상적인 임상 업무에서 윤리적 문제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임상 환경에서 교수자의 행동을 조사할 수 있는 기회는 숨겨진 커리큘럼의 영향에 대한 해독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There are teacher-generated cases and learner-generated cases. Cases that students have experienced on the wards are personally relevant and give students opportunities to critique behaviors of their teachers (Alyousefi et al. 2016). Carrese et al. (2011) have found that a variety of common ethics issues are frequently encountered by junior doctors but that faculty members infrequently identify these issues and thus miss many teaching opportunities. Carrese et al. (2011) argue that learner-encountered cases should be used for teaching, for otherwise learners may have the impression that ethical issues are some other people’s experience but not theirs. However, having students select and present cases also presents the risk of narrow case selection (Miles et al. 1989). Thus teachers should employ both instructor-generated and learner-generated cases in order to ensure adequate breadth of cases and concepts (Kon 2006). Additionally, students can be given assignments where small groups of students analyze cases they have experienced. Such exercises may help increase students’ awareness of ethical issues in everyday clinical work. The opportunity of examining faculty behavior in the clinical setting can serve as an antidote to the impact of hidden curriculum.

현재 또는 최근 대중 매체에서 강조된 윤리적 딜레마도 귀중한 교육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를 활용할 때의 장점은 학생들의 높은 관심도, 다양한 의견에 대한 정보의 가용성, 윤리적 딜레마가 매우 복잡하고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2016~2017년 찰리 가드 사건(Dyer 2017)은 무엇보다도 자율적이지 않은 자녀를 위해 결정을 내릴 부모의 권리와 아동의 최선의 이익에 대한 의료진의 전문적인 의견, 법원의 개입 및 공공 자원의 사용 사이의 갈등을 보여줍니다.
Current or recent ethical dilemmas highlighted in the public media are valuable teaching materials, too. Advantages in using such cases are the high level of interest on the part of students, the availability of information on differing opinions, and the awareness that ethical dilemmas can be very complex and controversial. For example, the 2016–2017 Charlie Gard case (Dyer 2017) illustrates, among other things, the conflict between the right of parents to make decisions for their non-autonomous child and the medical team’s professional opinion of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the court’s involvement and the use of public resources.

팁 4 규범을 정하고 토론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세요.

Tip 4

Establish norms and provide guidelines for discussion

그룹 규범을 정하고 학생들에게 기대치를 명확히 제시해야 합니다. 토론 세션에 오기 전에 준비하기,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비판적으로 사고하기, 학습과 소통을 위한 긍정적인 분위기 유지하기 등의 기대치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그룹에서 그룹 키퍼(주제에 대한 토론을 유지하고 참여를 독려하는 등), 노트 필기 및 발표자(전체 학급에 그룹 결과를 발표하는 등) 등 다양한 역할을 번갈아 가며 수행할 수 있습니다. 
Group norms should be established and expectations made clear to students. Expectations can include:

  • be prepared before coming to discussion sessions,
  • actively participate,
  • be a critical thinker and
  • maintain a positive atmosphere for learning and communicating.

Students can take turns performing different roles in their groups, such as Group Keeper (who keeps discussion on topic, encourages participation, etc.), Note Taker and Presenter (who presents group results to the whole class).

토론 세션 며칠 전에 학생들이 준비할 수 있도록 관련 유인물을 제공해야 합니다. 유인물에는 환자의 주요 불만 사항과 간략한 배경, 병력 및 실험실 소견과 같은 기타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점진적 공개 스타일로 사례 정보를 제시해야 합니다. 학습 질문, 세션 목표, 필수 및 권장 읽을거리도 학생에게 제공해야 합니다. 다음은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또는 동료들과 함께 준비할 수 있는 몇 가지 예입니다:
A number of days before a discussion session, students should receive relevant handouts so that they can prepare. The handouts should present the case information in a progressive disclosure style, covering the patient’s chief complaint and a brief background, as well as other relevant information such as history and laboratory findings. Study questions, session objectives, required and recommended readings should be given to students, too. The following are some examples of how students can prepare individually or with peers:

  • 사례를 읽고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해 보세요: 
    • 사례의 내용은 무엇인가? 
    •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정보가 제공되나요? 
    • 어떤 질문이 있는가? 
    • 상황이 제시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 의학적 문제는 무엇인가요? 
    • 윤리적 문제가 있나요? 
    • 윤리적 문제는 무엇인가요? 
    • 다른 어떤 관련 정보를 찾아야 하나요?
  • 코스에서 배운 분석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문제를 분석합니다.
  • 가능한 해결책을 제안합니다. 각 대안을 원칙에 따라 분석합니다. 가장 정당한 해결책을 선택합니다.
  • 분석의 개요를 작성하고 수업에 가져옵니다. 혼란스러웠던 것도 포함하세요.
  • Read the case and answer questions like these:
    • What is the case about?
    • What information is given to me to solve the case?
    • What questions do I have?
    • What are the issues presented by the situation?
    • What are the medical issues?
    • Are there ethical issues?
    • What are the ethical issues?
    • What other relevant information do I need to find?
  • Use the analytical framework that you have learned in the course to analyze the issues.
  • Propose possible solutions. Analyze each alternative solution against principles. Choose the best justifiable solution.
  • Write an outline of your analyses and bring to class. Include your puzzlements.

학생용 가이드에 제시된 자료가 포함된 진행자 가이드에는 세 가지 유형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Azer 외. 2012). 

  • 첫째, 사례의 초점(즉, 학습 문제)에 대한 배경 정보와 설명 노트가 있어야 합니다. 또한 이 분야의 비전문가인 퍼실리테이터에게 중요하므로 문제의 임상적 요소와 과학적 근거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합니다.
  • 둘째, 퍼실리테이터가 토론을 안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샘플 퍼실리테이션 질문이 제공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질문은 다루어야 할 영역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 마지막으로, 퍼실리테이터가 사례 토론을 돕기 위해 필요한 과학 및 임상 정보를 모두 찾을 수 있도록 주요 읽을거리를 나열할 수 있습니다.

The facilitator guide, which contains materials presented in the students’ guide, can include three types of information (Azer et al. 2012).

  • First, there need be background information and explanatory notes on the focus (i.e. the learning issues) of the case. There also need to be explanations of the clinical elements and scientific basis of the problem as this will be important for non-expert facilitators in this discipline.
  • Second, sample facilitating questions can be given to help the facilitator guide discussions. These questions provide a guide as to the areas that should be addressed.
  • Finally, key readings can be listed so that facilitators can seek out both the science and clinical information that they may need in preparation for aiding the case discussion.

팁 5 다분야 퍼실리테이터 팀 구성하기
Tip 5

Build a multidisciplinary facilitator team

의료 윤리는 다학제적 분야이며 윤리 교육의 사회적, 법적, 임상적, 의사소통적 측면을 고려할 때 다양한 의료 및 비의료 전문가로 구성된 다학제적 교수진이 필요합니다(Eckles 외. 2005). 학자들은 오랫동안 윤리학자-철학자-의사로 구성된 다학제적 팀이 의료 윤리를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해 왔으며(Siegler 1978; Walker 외. 1989), 학생들은 윤리학자와 임상의가 윤리 과목을 공동으로 가르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Howe 1987). 다학제적 토론 촉진자 팀은 의사, 철학자, 환자, 가족, 간호사, 심리학자, 정책을 다루는 행정가, 변호사 및 기타 전문가 등 다양한 전문 지식을 학생들에게 제공하여 윤리 교육이 다양한 관점과 실제 적용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Medical ethics is a multidisciplinary field, and the social, legal, clinical, and communicative aspects of ethics education require a multidisciplinary faculty consisting of a variety of medical and non-medical professionals (Eckles et al. 2005). Scholars have long argued that a multidisciplinary team of ethicist–philosophers and physicians should teach medical ethics (Siegler 1978; Walker et al. 1989), and students have been found to prefer having both ethicists and clinicians co-teach their ethics course (Howe 1987). A multidisciplinary team of discussion facilitators can provide students with varied sources of expertise – those of the physicians, philosophers, patients, families, nurses, psychologists, administrators dealing with policies, lawyers, and other professionals – to ensure that ethics education combines multiple perspectives with practical application.

특히 중요한 것은 전문직 가이드라인과 의료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입니다. 윤리적 행동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미국의사협회(Snyder 2012) 및 영국의사협회(BMA 2017)와 같은 의사 전문 협회에서 제정합니다. 윤리의 많은 주제에는 법적 의미도 포함되어 있습니다(Jonsen 외. 2015). 따라서 윤리 사례 토론에서 임상의, 윤리학자 및 변호사는 학생들이 임상 딜레마의 윤리적 및 법적 변수를 모두 고려하도록 안내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장애가 있는 의사와 관련된 사례에 대해 토론할 때 학생들은 장애가 있는 동료를 적절한 기관에 신고해야 하는 의사의 윤리적 의무(Snyder 2012)와 이에 대한 법적 책임에 대해 알게 될 수 있습니다. 
Of particular importance is students’ awareness of professional guidelines and medical law. Guidelines of ethical behavior are established by physicians’ professional associations such as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Snyder 2012) and The British Medical Association (BMA 2017). Many topics in ethics have legal implications as well (Jonsen et al. 2015). Hence, in ethics case discussions, clinicians, ethicists and lawyers should guide students to consider both the ethical and the legal parameters of a clinical dilemma. For example, when discussing a case involving an impaired physician, students can become aware of a doctor’s ethical duty to report the impaired colleague to an appropriate authority (Snyder 2012) as well as his or her legal responsibility to do so.

팁 6 사례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 교육
Tip 6

Teach frameworks for case analysis

윤리적 의사 결정에는 체계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임상 환경의 윤리적 문제는 복잡하고 축소하기 어렵지만, 우리는 학생들에게 윤리적 분석을 위한 구조화된 방법인 지침의 틀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Enck 2014). 구조화된 접근법을 사용한 추론은 학생들이 다음의 능력을 습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윤리적 문제를 식별하고, 
  • 어떤 윤리적 원칙이 관련성이 있는지, 충돌하는 부분이 있는지 판단하고, 
  • 임상적 결정에 도달하고, 
  • 결정을 정당화하는

연구에 따르면 윤리 워크업을 위한 프레임워크는 사례 분석에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Fasser 외. 2007). 그들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Alfandre와 Rhodes(2009)는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하고 평가에 필요한 모든 세부 사항을 고려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사고 과정에 대한 구조가 있으면 의사의 행동 이유가 투명하고 명확해져 환자 및 동료와 더 명확하게 소통하고 의료 기록에 더 명확하게 기록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Ethical decision making requires a systematic approach. Although ethical issues in clinical settings are complex and resistant to reduction, we can provide students with a framework for guidance, a structured method for ethical analysis (Enck 2014). Reasoning using a structured approach helps students acquire the ability to

  • identify ethical issues,
  • determine which ethical principles are relevant and where they clash,
  • arrive at clinical decisions and
  • justify their decisions.

Studies indicated that frameworks for ethics workup can be a helpful tool for analyzing cases (Fasser et al. 2007). Based on their study’s findings, Alfandre and Rhodes (2009) argued that using an algorithm prompts students’ thinking and increases the likelihood that they will consider all the necessary details in the evaluation and that having a structure for the thought process ensures that the physician’s reasons for acting are transparent and explicit, which is likely to result in clearer communication with patients and colleagues and clearer documentation in medical records.

칼지안 외(2005)는 윤리적 분석에 대한 체계적인 전략은 초기 문제의 진술, 데이터 수집, 감별 진단, 정당한 계획의 명료화 등 임상적 추론 과정과 궤를 같이하기 때문에 윤리를 임상적 추론의 패러다임 안에 위치시킨다고 제안합니다. 또한, 이 전략은 윤리적 문제가 미리 진단되는 것이 아니라 평가 과정을 통해 드러난다는 점을 인식한다고 주장합니다.  
Kaldjian et al. (2005) suggest that a systematic strategy to ethical analysis situates ethics within the paradigm of clinical reasoning, because the trajectory of the strategy parallels the clinical reasoning process: a statement of the initial problem, gathering of data, a differential diagnosis, and articulation of a justified plan. Furthermore, they argue, this strategy recognizes that ethical problems do not arrive pre-diagnosed but emerge through a process of assessment.

윤리적 의사결정 모델의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마이서 외(1995), 칼지안 외(2005), 알판드레와 로즈(2009), 엔크(2014), 존슨 외(2015). 윤리 원칙을 실제 문제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윤리적 사례뿐만 아니라 모든 임상 사례에 사용할 수 있는 Jonsen 등(2015)의 "4가지 주제" 접근법을 적극 권장합니다. 각 임상 사례에 대한 정보는 네 가지 주제로 구성됩니다:

  • (1) 의학적 적응증(진단, 예후, 치료, 치료 목표, 환자에게 이익이 될 가능성),
  • (2) 환자 선호도(환자의 가치관에 따른 목표와 혜택 및 부담에 대한 평가),
  • (3) 삶의 질,
  • (4) 맥락적 특징(사례가 발생하는 사회적, 경제적, 법적, 제도적 맥락).

모든 사례에서 동일한 순서를 따라야 합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윤리적 문제를 식별하고 분석하는 체계적인 방법을 제공하며, 사건을 통해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Some examples of ethical decision-making models are described by the following: Myser et al. (1995), Kaldjian et al. (2005), Alfandre and Rhodes (2009), Enck (2014) and Jonsen et al. (2015). We highly recommend the very popular “four topics” approach by Jonsen et al. (2015) that provides a way for applying ethics principles to practical issues and can be used not only for ethical cases but also for any clinical encounter. For each clinical case, information is organized into four topics:

  • (1) medical indications (diagnosis, prognosis, treatment, goals of care, possibilities of benefiting the patient);
  • (2) patient preferences (the patient’s goals based on his or her values and assessment of benefits and burdens);
  • (3) quality of life; and
  • (4) contextual features (the social, economic, legal, and institutional contexts where the case occurs).

The same order should be followed in all cases. This framework provides a systematic method of identifying and analyzing ethical problems and guides thinking through the case to a reasonable resolution.

팁 7 "패러다임적 사례" 강조하기
Tip 7

Emphasize some “paradigmatic cases”


패러다임적 사례의료 윤리 원칙의 핵심 요소를 드러내는 실제 이전 사례입니다. 이러한 사례는 새로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유추에 의한 추론'을 위해 의지하는 인지적 닻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칼지안 외(2005)는 이렇게 썼습니다,
Paradigmatic cases are actual, previous cases that reveal key elements of the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Such cases can serve as cognitive anchors that we turn to for “reasoning by analogy” when we are faced with a new situation. Kaldjian et al. (2005) wrote,

비교 가능한 사례를 참조할 때 우리는 유추를 통해 추론합니다. 이러한 종류의 사례 기반 추론은 임상 의학에서 일상적이며, 미지의 사례를 이전에 접한 사례와 비교하는 의사의 습관을 반영합니다. 윤리학에서 우리는 현재 사례를 비교하는 패러다임적 사례를 알고 있을 수 있습니다. 추론은 더 명확한 사례의 상황과 결론에서 덜 확실한 사례의 상황으로 진행됩니다. (p.309)
When referring to comparable cases, we reason by analogy. This kind of case-based reasoning is routine in clinical medicine and reflects the physician’s habit of comparing an unknown case to cases previously encountered. In ethics, we may be aware of paradigmatic cases … against which we compare a present case. Reasoning proceeds from the circumstances and conclusions of a clearer case to the circumstances of a less certain one. (p.309)

임상윤리학(Jonsen 외, 2015)에서는 4가지 임상 사례가 책 전체에 걸쳐 주요 사례로 등장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치료의 목표가 달성되는 방식을 설명합니다. 본문이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요점을 설명하기 위해 네 가지 사례의 세부 사항이 때때로 변경됩니다. 이 책에는 다른 많은 사례들이 포함되어 있지만, 특히 이 네 가지 사례는 정교하게 활용되어 학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며, 향후 실무에서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윤리 강의에서는 학생들이 윤리적 원칙의 핵심 요소를 드러내는 몇 가지 주요 사례를 채택하여 학생들이 그 사례와 예시된 개념에 익숙해질 때까지 반복적이고 심도 있는 토론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In Clinical Ethics (Jonsen et al. 2015), four clinical cases reappear throughout the book as major examples to illustrate the ways in which the goals of care are achieved in different circumstances. As the text proceeds, details of the four cases are occasionally changed to illustrate various points. Although the book contains many other case examples, these four may be especially pivotal as their elaborated use leaves a deep impression on students, who may find these cases “paradigmatic” in their future practice. In the same way, an ethics course can adopt several major cases that reveal key elements of ethical principles for repeated and in-depth discussion until students are familiar with them and with the concepts illustrated.

팁 8 학생들의 실무 능력과 비판적 사고력 개발에 집중하기
Tip 8

Focus on students’ development of practical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사례 토론은 의료 윤리에 대한 학생의 개념적 이해를 높이는 것 외에도 다음과 같은 의사로서 필요한 일련의 실용적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 (1) 윤리적 상황에 대한 민감성,
  • (2) 사례와 관련된 윤리적 문제 또는 쟁점 파악하기,
  • (3) 주어진 정보의 유용성과 중요성 인식하기,
  • (4) 필요한 정보가 누락된 것을 판단하기,
  • (5) 추가 정보를 찾는 방법 알기,
  • (6) 분석 틀을 사용하여 복잡한 상황을 사고하기,
  • (7) 정당한 행동 계획 수립 및 대안 파악하기,
  • (8) 윤리적 상황을 해결하는 행동 방침 선택하기,
  • (9) 환자 및 동료와 의사소통하기,
  • (10) 자기 성찰하기 

In addition to enhancing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medical ethics, case discussions should aim at students’ development of a set of practical skills that they will need as physicians, including:

  • (1) a sensitivity to ethical situations,
  • (2) identifying the ethical issue or issues involved in the case,
  • (3) recognizing the usefulness and significance of given information,
  • (4) determining what necessary information is missing,
  • (5) knowing how to find additional information,
  • (6) using analysis framework to think through complex situations,
  • (7) devising justifiable action plans and identifying alternatives,
  • (8) selecting a course of action that resolves the ethical situation,
  • (9) communicating with patients and peers and
  • (10) being self-reflective.

위의 행동 기술은 비판적 사고 기술입니다윤리적 사고는 의사가 윤리적 문제에 직면했을 때 수행하는 비판적 사고입니다. 97명의 의사-교육자가 의학에서 "비판적 사고"를 정의한 연구(Krupat 외. 2011)에 따르면, 비판적 사고는 다음 다섯 가지 범주의 행동으로 나타나는 능력으로 개념화되었습니다.

  • 데이터 수집에 관여
  • 정보의 조직화, 종합 및 활용, 
  • 환자와의 의사소통, 
  • 의사 결정 및 행동, 
  • 자기 성찰적인 방식으로 행동

윤리적 사고 과정은 일반적인 임상 문제 해결과 관련된 일련의 행동으로 구성되지만, 이 둘 사이의 유사점은 분명합니다. 따라서 학생들은 윤리 과목에서 특정한 초점과 목적을 가지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The above action skills are critical thinking skills. Ethical thinking is critical thinking engaged in by physicians when faced with ethical issues. In a study of 97 doctor–educators’ definitions of “critical thinking” in medicine (Krupat et al. 2011), it was found that critical thinking was conceived of as an ability manifested by five categories of actions:

  • engaging in data gathering;
  • organizing, synthesiz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 communicating with patients;
  • making decisions and taking action; and
  • acting in ways that are self-reflective.

Although the ethical thinking process consists of a set of actions that are distinct from those involved in solving general clinical problems, the parallels between the two are obvious. Thus, students must learn how to think critically with a particular focus and purpose in the ethics course.

팁 9 교수자는 토론 전, 토론 중, 토론 후에 학생에게 방향을 제시해야 합니다.
Tips 9

Instructors must provide direction to students before, during and after discussion

교수자 및 기타 진행자의 역할은 토론 구조를 제공하고 그룹 프로세스를 촉진하는 것입니다. 교수자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토론 진행 상황을 평가하고, 조사하고, 코치하고, 학생들에게 적시에 방향과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세션이 끝나면 주요 주제를 정리하고, 주제 간의 연관성을 강조하고, 학생의 아이디어를 평가하고, 토론에서 발생한 문제를 파악하고, 추가 학습이 필요한 영역을 식별하여 토론 결과를 요약해야 합니다(Steinert 1996). 학생에게 토론 내용을 요약하도록 요청할 수 있지만, 교수자는 마무리로 최종적인 종합을 제공해야 합니다. 
Instructors’ and other facilitators’ role is to provide a discussion structure and facilitate group processes. They give guidelines, assess the discussion in process, probe, coach and give students timely directions and feedback. At the end of the session, they must summarize the discussion outcomes by pulling together the main themes, highlighting the links between topics, evaluating students’ ideas, identifying problems which have arisen from the discussion, and identifying areas for further study (Steinert 1996). Students can be asked to summarize the discussion, but the instructor must provide the final synthesis as closure.

소그룹 학습의 목표는 교사가 필요한 방향과 지원을 제공할 때만 달성할 수 있습니다. 고등 교육 분야의 연구에 따르면 학생에게 어느 정도의 지시를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한 개념이 혼란스러운 경우가 많으며,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강조하는 코스에서는 최소한의 교수법 접근 방식이 채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Miflin 외. 2000). 일부 교사가 채택하는 "핸즈오프" 접근 방식은 부적절하며 학생 학습 과정의 안내에 중점을 두는 접근 방식보다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증거가 있습니다(Miflin 외. 2000; Kirschner 외. 2006). 즉, 비지도식 학습 접근법이 인기가 있지만 지도식 교육이 더 생산적입니다. 의학교육에서 알바니즈와 미첼(1993)과 콜리버(2000)는 문헌을 검토한 결과 PBL이 지식과 임상 성과를 향상시킨다는 설득력 있는 증거를 찾을 수 없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Kirschner 등(2006)은 이러한 차이의 부재를 교사가 학생에게 제공하는 지침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례 토론 중에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사가 모니터링과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he goals of small-group learning can be achieved only when necessary direction and support are provided by the teacher. Studies in higher education show that there is often confusion surrounding the notion of how much direction to provide for students and that the minimalist approach to teaching is often adopted in courses that emphasize self-directed learning (Miflin et al. 2000). There is evidence that the “hands-off” approach adopted by some teachers is inappropriate and may be less productive than approaches that place an emphasis on guidance of the student learning process (Miflin et al. 2000; Kirschner et al. 2006). In other words, although unguided learning approaches are popular, guided instruction is more productive. In medical education, Albanese and Mitchell (1993) and Colliver (2000) concluded that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vealed no convincing evidence that PBL improves knowledge and clinical performance. Kirschner et al. (2006) attributed this lack of difference to the lack of direction provided by teachers to students. It is crucial for teachers to provide monitoring and direction in order for learning to occur during case discussions.

팁 10 사례 토론에 충분한 시간 할당
Tip 10

Allocate sufficient time to case discussions

소그룹 교육이 의대생의 도덕적 추론 능력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경험적 증거가 있지만, 이러한 효과는 학생들이 20시간 이상의 소그룹 교육에 노출된 경우에만 발생합니다(Self 외. 1998). 
There is empirical evidence to suggest that while small-group teaching significantly increases moral reasoning skills in medical students, this effect only occurs where students are exposed to 20 or more hours of small-group teaching (Self et al. 1998).

필요에 따라 수업 시간을 보충하기 위해 학생에게 개별적으로 또는 또래 그룹으로 윤리적 추론과 문제 해결을 연습해야 하는 과제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교사는 학생에게 사례를 할당할 수 있지만, 학생은 임상 학습 경험 중에 사례를 식별하거나 수집할 수도 있습니다. 수업 중 토론과 마찬가지로 사례 기반 과제에서도 교사 또는 조교가 지도와 지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To supplement in-class time as needed, students can be given assignments that require them to work individually or in peer groups to practice ethical reasoning and problem-solving. Teachers can assign cases to students, but students can also identify cases or collect them during their clinical learning experience. Like in-class discussions, case-based assignments also require that teachers or teaching assistants provide guidance and support.

팁 11 사례 방식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기
Tip 11

Avoid over-reliance on the case method

사례 방법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사례 방법만이 유일한 교육 접근 방식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사례 토론은 원리와 기술의 적용을 학습하는 데 효과적인 장치이지만, 학생들에게 개념과 분석 방법을 가르치는 최선의 방법은 아닙니다. 사례 토론을 주된 교수법으로 사용하면 윤리적 또는 법적 지식의 기초를 소홀히 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이론적 개념에 대한 노출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Menzel 2009). 강의, 모의 또는 실제 환자, 독서, 세미나, 소그룹 사례 토론, 의사 또는 윤리학자와의 회진, 개인 또는 그룹 프로젝트 등 다양한 교육 도구를 혼합하여 원하는 이론과 일반적인 윤리적 문제를 체계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Shatzer(1998)가 주장한 바와 같이, 코스 내에서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스 간에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합니다.

In spite of its strengths, case method should not be the only teaching approach. Case discussion is an effective device for learning the application of principles and skills, but it is not the best way of teaching concepts and analytic methods to students. Using case discussion as the staple method of teaching may lead to the neglecting of the foundations of ethical or legal knowledge and diminish students’ exposure to theoretical concepts (Menzel 2009). A mix of teaching tools should be used, including lectures, simulated or real patients, readings, seminars, small-group case discussion, rounds with physicians or ethicists, individual or group projects, and so on, to systematically cover the desired breadth of theory and common ethical problems. As Shatzer (1998) has argued, multiple methods within courses are desirable, as are multiple methods across courses.

팁 12 교육과 학생 평가의 연계
Tip 12

Link teaching and assessment of students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교수 과정과 학생의 학습 평가가 일치해야 합니다. 평가와 교육을 연계함으로써 교사는 윤리적 분석과 추론이 필수 기술이라는 점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평가에 임상 사례에 대한 윤리적 추론의 적용이 포함된다는 것을 알면 이러한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학습을 구조화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Myser 외. 1995). 사례에 기반한 윤리적 추론이 평가에 포함되는 경우 학생은 사례 토론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사례 토론을 통해 가장 잘 발달되는 사고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노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례 기반 평가의 경우 학생은 사례 분석 능력을 입증하는 논문 또는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관련된 윤리적 문제와 원칙을 파악하고, 사례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분석과 가능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향후 이러한 딜레마를 피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제안해야 할 수 있습니다(Alyousefi 외. 2016). 윤리 OSCE와 같은 행동 지향적 평가 도구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Mitchell 외. 1993). 학생 평가의 방법과 기준은 코스 오리엔테이션에 포함되어 학생에게 명확하게 전달되어야 합니다. 
The teaching process and the assessment of students’ learning must align in order to maximize the learning gain. By linking assessment and teaching, teachers reinforce the centrality of ethical analysis and reasoning as essential skills. When students know that their assessment will involve the application of ethical reasoning to clinical cases, they are more likely to structure their learning to acquire those skills (Myser et al. 1995). When assessment involves ethical reasoning based on cases, students are more likely to take the case discussions seriously and to strive to acquire the thinking skills that are best developed through case discussions. For case-based assessments, students can write papers or reports demonstrating their case analysis ability. They can be required to identify the ethical issues and principles involved, provide an analysis and possible solutions to the issues presented by the cases and propose what could be done to avoid such a dilemma in the future (Alyousefi et al. 2016). Action-oriented assessment tools such as the ethics OSCE can also be used (Mitchell et al. 1993). The methods and criteria for student assessment should be included in the course orientation and made clear to students.

결론
Conclusions

연구에 따르면 전문가는 레지던트나 학생보다 윤리적 결정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더 많은 관련 변수를 고려하며, 윤리적 문제 해결에 대한 전문성은 이러한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된 추론에 따라 차별화될 수 있습니다(Tsai 외. 2009). 또한 의료 윤리를 가르치면 학생들의 추론 능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러한 능력 향상은 강의만 하는 것보다 소그룹 사례 토론에 노출될 때 더 많이 나타나고, 학생들은 의학교육 기간 내내 이러한 능력을 유지한다는 사실도 밝혀졌습니다(Self et al. 1989; Self and Olivarez 1996).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의료 윤리를 가르칠 때 사례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 글에서 제공하는 팁이 의학교육자에게 실질적인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Research has found that experts consider more relevant variables in the process of arriving at ethical decisions than do residents or students and that expertise in solving ethical problems can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reasoning used to make those decisions (Tsai et al. 2009). It has also been found that teaching medical ethics can increase students’ reasoning skills, that these increases come more from exposure to small-group case discussions than from lectures alone and that students retain these skills throughout their entire years of medical education (Self et al. 1989; Self and Olivarez 1996).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using cases to teach medical ethics. We hope that the tips provided in this article can offer some practical insight to medical educators.

 

 


 

 

Med Teach. 2018 Jun;40(6):633-638. doi: 10.1080/0142159X.2017.1390218. Epub 2017 Oct 23.

 

 

Twelve tips for using clinical cases to teach medical ethics

Affiliations collapse

1a Department of Medicine , University of Chicago , Chicago , IL , USA.

PMID: 29058565

DOI: 10.1080/0142159X.2017.1390218

Abstract

The essential role of clinical case discussions in the teaching of medical ethics is well recognized. Based upon published literature and the authors' curricular development experience, the following 12 tips cover all major aspects of the case method for teaching clinical ethics and offer practical suggestions for designing and conducting case discussions.

역량있는 건강 애드보커시에 대한 환자와 의사의 관점 탐색(Med Educ, 2020)
Exploring patients’ and physicians’ perspectives about competent health advocacy
Kori A. LaDonna1 | Christopher J. Watling2,3 | Sayra M. Cristancho2,4 | Sarah Burm5

 

 

1 소개
1 INTRODUCTION

전 세계의 의학교육자들은 의사가 환자를 옹호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식하여 캐나다 왕립 의사 및 외과의사 대학은 수련의가 역량을 입증해야 하는 7가지 의사 역할 중 하나로 옹호를 명시적으로 지정했습니다.1 그러나 옹호 교육을 가로막는 무수한 도전 과제2-4, 즉 옹호의 의미가 무엇인지, 건강 옹호가 일상적인 진료 업무와 구별되는지에 대한 임상 교사의 불확실성5이 옹호 교육을 가로막고 있습니다, 6 임상 교사들은 옹호자로서 자신의 업무를 인식하거나 효과적인 교육으로 전환하기 위한 충분한 참조 프레임워크가 없기 때문에, 많은 프로그램에서 이 중요한 진료 측면을 위해 수련생들을 어떻게 준비시키는지 입증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Medical educators around the world recognise that physicians should advocate for their patients. Recognising this,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has explicitly named advocacy as one of seven physician roles for which trainees must demonstrate competence.1 Myriad challenges roadblock advocacy training2-4 however, namely clinical teachers’ uncertainty about what it means to advocate, and whether health advocacy is distinct from the everyday work of good doctoring.5, 6 Because clinician teachers do not have a sufficient frame of reference for either recognising their own work as advocates, or for translating it into effective teaching, many programmes struggle to demonstrate how they prepare trainees for this critical aspect of care.

이 과제의 핵심은 '역량 문제'7 또는 비기술적 기술에 대한 '필수 지식, 기술, 태도 및 개인적 자질'8입니다. 각 교육 단계별로 역량에 대한 기대치가 보다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는 의료 전문성과 같은 다른 역량과 달리, 건강 옹호는 광범위하고 다양하게 정의되어 있어5,19 유능한 옹호에 대한 기준이 불투명합니다. 역량은 또한 '변화하는 사회적 구성'이며,7 의료 전문성을 평가하는 데 적합한 심리측정 접근법은 맥락, 문화 및 사회적 요인이 의사의 성과 전개 방식과 판단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 옹호와 같은 비기술적 역량을 평가하는 데는 덜 유용할 수 있습니다.20 
Central to this challenge is the ‘question of competence’,7 or the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personal qualities essential’8 for non-technical skills. Unlike other competencies such as medical expertise where expectations for competence are more clearly delineated for each stage of training, health advocacy is broadly and variably defined,5, 19 rendering criteria for competent advocacy opaque. Competence is also a ‘shifting social construction’,7 and the psychometric approaches appropriate for assessing medical expertise may be less useful for assessing non-technical competencies like health advocacy where context, culture and social factors influence both how a physician's performance unfolds and how it is judged.20

현재까지 건강 옹호자 역할을 명확히 하려는 시도는 주로 자문 의사와 수련의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습니다.13, 16, 19, 21-26 의사들은 일반적으로 대리인과 활동가라는 두 가지 형태의 옹호에 참여한다고 보고합니다.27

  • 대리인 옹호를 하는 사람들은 정보와 교육을 제공하고, 환자가 시스템을 탐색하도록 돕고, 추가 건강 관련 지원을 적시에 의뢰할 수 있도록 촉진합니다.
  • 행동주의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사회적 자본27을 활용하여 건강 불평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자원을 동원하고, 정책을 설계하고 실행합니다.
  • 예를 들어, 대리인 옹호 활동에는 환자가 필요한 의약품에 대한 재정적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양식을 작성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이와는 대조적으로 활동가 옹호에는 정부 위원회에 참여하여 의약품 보험 적용과 관련된 정책을 형성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두 가지 유형의 옹호는 모두 환자, 지역사회 또는 집단과 공유하거나24 의사가 직접 수행할 수 있으며, 둘 다 개인 또는 시스템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28 다시 말해, 옹호는 환자의 필요에 대한 공유된 이해와 의사 결정에 대한 환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전제로 하는 팀 스포츠10입니다.29 
To date, attempts at clarifying the Health Advocate role have largely centred around the perspectives of consultant physicians and trainees.13, 16, 19, 21-26 Physicians report that they typically engage in two forms of advocacy: agency and activism.27 

  • Those doing agentic advocacy provide information and education, help patients navigate the system, and facilitate timely referrals for additional health-related support.
  • Those engaging in activism use their social capital27 to raise awareness about health inequities, to mobilise resources, and to design and implement policy.
  • Agentic advocacy, for example, might involve completing forms to ensure that patients can access financial coverage for a medication they require.
  • Activist advocacy, in contrast, might involve joining a government committee and shaping policy related to drug coverage.

Both types of advocacy can be either shared with patients, communities or populations,24 or directed by physicians, and both can occur at either the individual or systemic level.28 In other words, advocacy is a team sport10 predicated on both a shared understanding of patients’ needs and on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29

옹호는 공유 활동으로 개념화되지만, 건강 옹호를 정의하고 교육 및 평가를 위한 모범 사례 초안을 작성하는 연구 논의에서 환자는 대부분 소외된 것으로 보입니다. 환자의 관점이 없으면 수련생에게 환자의 필요와 목표에 맞지 않는 방식으로 옹호하도록 가르칠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옹호를 집단적 노력이 아닌 개인적 활동으로 잘못 인식할 수도 있습니다. 옹호는 환자 중심 치료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을 수 있으므로,30 우리는 건강 옹호에 대한 대화에 의사와 함께 환자를 참여시키면 보다 진정한 교육과 평가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의료 서비스에서 옹호의 역할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얻을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 옹호자 역할에 대한 역량의 의미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이해를 생성하여 이 작업의 출발점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Although advocacy is conceptualised as a shared activity, patients appear to have been largely sidelined in research conversations about defining health advocacy and drafting best practices for its teaching and assessment. Without their perspectives, we not only risk teaching trainees to advocate in ways that may be misaligned with patients’ needs and goals, but we may also mistakenly position advocacy as an individual, rather than a collective effort. Since advocacy may be inextricable from patient-centred care,30 we propose that engaging patients alongside physicians in conversations about health advocacy may not only inform more authentic teaching and assessment but also generate a better understanding about the role of advocacy in health care. Therefore, the purpose of our research is to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this work by generating a multi-perspective understanding about the meaning of competence for the Health Advocate role.

2 연구 방법
2 METHODS

우리는 구성주의적 근거 이론(CGT)31을 사용하여 선험적 이론이 아닌 환자와 의사의 관점에 근거한 유능한 건강 옹호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도출했습니다. 이를 위해 기록, 주제 및 이론적 범주 내에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비교하여 데이터 세트 전반의 패턴을 식별하고 해석을 '확인'31하는 체계적인 프로세스인 지속적 비교 방법을 사용하여 반복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했습니다. 
We used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CGT)31 to generate a theoretical understanding about competent health advocacy that is grounded in patients’ and physicians’ perspective, not framed by an a priori theory. To do this, we collected and analysed data in an iterative fashion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 systematic process where we continuously compared data within and across transcripts, themes and theoretical categories to both identify patterns across the dataset and to ‘check’31 our interpretations.

2.1 데이터 수집
2.1 Data collection

우리는 환자와 의사 모두에게 건강 옹호의 의미에 대한 관점을 공유하고, 이 역할에 대한 역량을 정의하고, 교육 및 평가에 대한 도전과 기회를 파악하도록 초대했습니다.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해 연구 참여는 건강 옹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에서 진료를 받거나 제공하는 모든 환자와 의사에게 개방되었습니다. 캐나다의 한 중형 의과대학과 가장 규모가 큰 부속 병원 3곳에 모집 자료를 게시하고 해당 기관에서 근무하는 모든 교수진 의사에게 이메일 초대장을 보냈습니다. 채용 포스터를 보고 두 명의 레지던트가 관심을 표명했지만, 주로 HA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수진 모집에 집중했습니다. 개인이 옹호자라고 밝히지 않아도 참여할 수 있었지만, 저희는 표본에 다양한 옹호 경험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환자 옹호 단체의 도움을 받아 이러한 단체에 종사하는 환자와 의사를 모집했습니다. 24명(환자 10명, 교수진 12명, 레지던트 2명)이 참여에 동의했습니다(표 1).

We invited both patients and physicians to share their perspectives about what health advocacy means, to define competence for this role, and to identify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its teaching and assessment. To generate a fulsome understanding, study participation was open to all patients and physicians obtaining or providing care in settings where HA training presumably occurs. We posted recruitment materials at a medium-sized Canadian medical school and three of its largest affiliated hospitals, and we sent email invitations to all faculty physicians working at these institutions. Of note, while two residents expressed interest after seeing our recruitment poster, we focused on recruiting faculty because they are primarily responsible for training HA. Although individuals did not need to identify as advocates in order to participate, we aimed to ensure that our sample contained a breadth of advocacy experiences. To do this, we enlisted the help of patient advocacy groups to recruit patients and physicians engaged with these organisations. Twenty-four participants (n = 10 patients, n = 12 faculty physicians, n = 2 residents) consented to participate (Table 1).

반구조화된 인터뷰와 사진 도출32(참가자가 직접 촬영한 사진을 사용하여 개인의 관점을 이끌어냄으로써 데이터의 풍부함을 높이는 시각적 연구 방법)을 결합하여 두 차례의 연구 방문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 첫 번째 연구 방문은 카메라 오리엔테이션 세션으로, SB는 참가자들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건강 옹호의 의미에 대한 짧은 인터뷰를 진행하며 사진 촬영의 윤리에 대해 논의했습니다.33
  • 그런 다음 SB는 참가자들에게 3~6주 동안 옹호에 대한 이해를 나타내는 사진을 찍도록 초대했습니다.
  • 참가자들은 두 번째 인터뷰를 위해 다시 돌아왔고, SB는 각 사진에 대해 설명하고 옹호자에게 필요한 기술에 대해 토론하고 유능한 옹호자가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도록 요청했습니다. 

We collected data during two research visits using a combination of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photo elicitation32—a visual research method that enhances data richness by using participant-generated photographs to elicit individual perspectives.

  • The first research visit was a camera orientation session, where SB described for participants the purpose of the study, engaged participants in a short interview about the meaning of health advocacy, and discussed the ethics of picture taking.33 
  • SB then invited participants to take pictures over a 3-6 week period that represented their understanding about advocacy.
  • Participants returned for a second interview where SB asked them to describe each of their photographs, discuss the skills that advocates require, and share their perceptions about what it means to be a competent advocate.

2.2 데이터 분석
2.2 Data analysis

모든 인터뷰는 오디오 녹음하고 그대로 전사한 후 점진적으로 해석하는 초기, 초점, 이론 코딩의 세 단계를 거쳐 분석했습니다.31 초기 코딩에서는 각 참가자 그룹의 처음 두 녹취록을 한 줄씩 읽고 동명사('-ing'으로 끝나는 행동어) 또는 참가자 단어(생체 코드)를 사용하여 SB와 KL이 코딩하여 참가자들이 설명하는 의미와 행동을 포착했습니다. 그런 다음 가장 자주 발생하거나 설득력 있는 초기 코드잠정 코딩 체계로 통합하여 다음 3~4개의 트랜스크립트를 초점 코딩하여 관련성을 시험했습니다. 전체 연구팀은 정기적으로 만나 예비 조사 결과를 논의하고, 초점 코딩한 코드를 이론적 범주로 구체화한 다음 병합했습니다. 이러한 분석 단계를 완료한 후, 환자의 관점이 옹호에 대한 의사의 이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유능한 건강 옹호자가 되기 위해 학습자를 교육하는 데 따르는 과제를 더 풀어야 할 필요성을 확인했습니다. 1차 데이터 수집에 참여한 4명의 의사 참가자는 이러한 아이디어를 이론적으로 샘플링하기 위해 결과 회신 인터뷰에 참여하는 데 동의했습니다.
All interviews were audio-recorded, transcribed verbatim, and analysed during three progressively interpretive stages of initial, focused and theoretical coding.31 During initial coding, the first two transcripts from each participant group were read line-by-line and coded by SB and KL using gerunds (action words ending in ‘-ing’) or participants’ words (in vivo codes) to capture the meanings and actions described by participants.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or compelling initial codes were then consolidated into a provisional coding scheme used to do focused coding of the next 3-4 transcripts to trial their relevance. The entire research team met regularly to both discuss preliminary findings, refine and then merge focused codes into theoretical categories. Once we completed these analytical stages, we identified the need to understand not only how patients’ perspectives impacted physicians’ understanding about advocacy, but also to further unpack the challenges of training learners to become competent health advocates. Four physician participants from the first round of data collection agreed to participate in return of findings interviews to theoretically sample these ideas.

SB는 이러한 이론적 범주를 사용하여 전체 데이터 집합을 코딩했습니다. 다음으로, 우리 팀은 범주 패턴을 조사하기 위해 다이어그램과 메모 초안을 작성하고, 범주를 서로 연결하여 유능한 HA에 대한 이론적 아이디어의 기초가 되는 추상적이고 분석적인 스토리라인을 구성했습니다. 이미지를 미학적으로 분석하지는 않았지만34 인터뷰 중에 공유한 사진에 대한 참가자들의 설명은 이론적 이해에 도움이 되었으며, 건강 옹호 및 유능한 HA 역할에 대한 이전의 개념에 도전하는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했습니다.1, 19 건강 옹호에 대한 참가자들의 관점을 설명하기 위해 몇 장의 사진을 포함했지만, 참가자들이 사진 유도 방법을 사용하여 건강 옹호에 대한 이해를 전달하는 방법에 대한 별도의 심층 분석은 다른 곳에서 보고될 예정입니다(원고 준비 중).
SB used these theoretical categories to code the entire dataset. Next, our team drafted diagrams and memos to examine categorical patterns, linking categories together to form abstract, analytical storylines foundational to our theoretical ideas about competent HA. While we did not aesthetically analyse34 the images, participants’ descriptions of their photographs shared during interviews were instrumental to our theoretical understanding, providing new insights that challenged previous conceptualisations about both health advocacy and competence for the HA role.1, 19 While we've included a few photographs to illustrate participants’ perspectives about health advocacy, a separate, in-depth analysis of how participants used the photo elicitation method to convey understanding about health advocacy will be reported elsewhere (manuscript in preparation).

우리는 이론적 충분성에 도달했다고 판단할 때까지, 즉 우리의 데이터가 탐색적 연구 질문에 대한 풍부한 이론적 통찰력을 제공하기에 적절한 개념적 깊이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할 때까지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35 글쓰기는 CGT 분석 과정의 필수 요소이므로 본 원고를 완성할 때까지 이론화를 계속했습니다.31 웨스턴 대학교 연구윤리위원회는 모든 연구 절차를 승인했습니다. 
We collected data until we determined that we had reached theoretical sufficiency, or the point at which we determined that our data had appropriate conceptual depth for providing rich, theoretical insights about our exploratory research questions.35 Since writing is an integral component of the CGT analytical process, theorising continued until we completed the present manuscript.31 The Western University Research Ethics Board approved all research procedures.

2.3 반사성
2.3 Reflexivity

구성주의자로서 우리는 각 팀원의 경험, 관심사, 신념이 연구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우리 팀은 질적 연구(KL, SB, SC, CW) 및 시각적 방법(KL, SB, SC)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박사 학위 소지 의학교육 연구자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KL은 비영리 환자 옹호 단체에서 일한 경험에서 비롯된 건강 옹호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환자의 전문 지식이 의료 교육에 어떻게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지 탐구합니다. CW는 임상의 교육자이자 전직 대학원 학장으로서 여러 분야의 의사를 교육하고 평가하는 실질적인 과제에 몰두하고 있는 의사입니다. SC는 전문 임상의가 복잡성을 이해하고 탐색하는 방법을 연구하며, SB는 질적 방법론을 사용하여 개인의 소외 경험에 대한 심리사회적, 정서적, 학문적 영향을 더 잘 이해하는 숙련된 교육자입니다. 
As constructivists, we are cognisant that each team member's experiences, interests and beliefs influence the research process. Our team consists of PhD trained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with expertise in qualitative research (KL, SB, SC and CW) and visual methods (KL, SB and SC). One stream of KL’s research explores how patients’ expertise may meaningfully inform medical training; her interest in health advocacy stems from her experiences working with non-profit patient advocacy groups. CW is a physician who, as both a clinician educator and a former postgraduate dean, is immersed in the practical challenges of training and assessing physicians across disciplines. SC studies how expert clinicians make sense of and navigate complexity, and SB is a trained educator who uses qualitative methodologies to better understand the psychosocial, emotional and academic impact on individuals’ lived experiences of marginalisation.

3 결과
3 RESULTS

환자와 의사 참여자 모두 유능하게 옹호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의료 및 시스템 전문성, 학습 및 실습 환경, 경험, 지위, 정치적 지식 등 개인적 및 직업적 특성의 조합에 달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환자 참가자들은 정기적으로 옹호 활동에 참여한다고 답한 반면, 의사 참가자들 중 자신이 의미 있는 활동을 하거나 유능한 건강 옹호자라고 인식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습니다.

  • 결과적으로 의사들은 자신의 역량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내에서 옹호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인식이 낮아 학습자의 건강 옹호를 교육하거나 공정하게 평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 PGME 역량 프레임워크와 학습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환자들은 학습자의 역량에 대한 공식적인 평가에 대해 언급하는 데 한계가 있었지만, 환자들은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훌륭한 의사 옹호자의 속성을 표현하고 그들의 수행능력에 대한 피드백을 생성했습니다.

이러한 각 결과에 대해 예시적인 인용문을 사용하여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인용문은 참가자 유형, 수, 인용문이 도출된 인터뷰에 따라 식별됩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인터뷰에 참여한 환자 6과 결과 회신 인터뷰에 참여한 의사 7의 인용문은 각각 P6, I1, MD7, I3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For both patients and physician participants, competently engaging in advocacy seemed to hinge on a combination of medical and systems expertise, a conducive learning and practice environment, and personal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experience, status and political savvy. While patient participants described regularly engaging in advocacy, few physician participants perceived that they were either meaningfully engaged or competent health advocates.

  • In turn, physicians’ perceptions about not only their own competence but also the forces that impact advocacy training within their programmes raised questions about whether it was possible to train or to fairly assess learners’ health advocacy.
  • Although patients’ unfamiliarity with PGME competency frameworks and learning environments limited their ability to comment on formal assessments of learners’ competence, patients drew on their personal experiences to both articulate the attributes of good physician advocates, and to generate feedback about their performance.

We will expand on each of these findings using illustrative quotes. Quotes are identified by participant type, number and the interview from which the quote derived. For instance, a quote attributed to patient 6 during their first interview, and physician 7 in their return of findings interview, are labelled P6, I1 and MD7, I3, respectively.

3.1 유능한 건강 옹호의 구성 요소
3.1 Components of competent health advocacy

환자와 의사 참여자들은 유능한 건강 옹호의 의미에 대해 때때로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었지만, 두 사람 모두에게 건강 옹호는 일반적으로 '나 자신을 위해 일어서는 것'(P1, I1)과 '현상 유지에 만족하지 않고 개인과 지역사회 및 시스템 수준에서 사람들의 건강과 웰빙을 결정하는 요소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MD10, I1)을 의미했습니다. 건강 옹호는 종종 더 잘 작동하는 시스템에서는 불필요한 체계적 또는 구조적 문제에 대한 반응 또는 이에 대한 방어로 개념화되었기 때문에 환자와 의사 참여자 모두 옹호자에게는 일련의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했습니다. 특히, 옹호자는 의료 및 제도 관련 지식과 '환자의 이야기를 파는 것'(MD12, I1)하여 '가능한 한 빨리 상대방에게 내 환자의 진료가 필요하다는 것을 설득'(MD13, I1)할 수 있는 자신감, 단호함, 정치적 감각을 모두 갖추고 있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While patient and physician participants sometimes had different perspectives about the meaning of competent HA, for both, advocacy generally meant having to ‘stand up for myself’ (P1, I1) and ‘pushing things forward - not being satisfied with the status quo and really looking at continuously improving at the individual and at the community and system level the factors that determine people's health and well-being’ (MD10, I1). Because health advocacy was often conceptualised as a reaction to, or a defence against, systemic or structural problems that would be unnecessary in a better functioning system, both patient and physician participants recognised that advocates require a constellation of skills. Specifically, advocacy seemed to rely on possessing both medical and systems-related knowledge, and the confidence, assertiveness and political savvy to ‘sell your patient's story’ (MD12, I1) in a way that ‘convinces the other person, as quickly as possible, that your patient needs to be seen’ (MD13, I1).

의사의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능력은 환자에게도 중요했으며, 환자에게 유능한 옹호는 환자 중심주의와 동의어처럼 보였습니다. 즉, 환자 중심의 의사 옹호자는 환자가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의료 시스템의 격차나 한계를 완화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기꺼이 협력하는 의사였습니다. 또한 '옹호의 큰 부분은 환자와 공감할 수 있는 것'(P7, I2)이기 때문에 환자 참여자들은 의사가 먼저 좋은 경청자가 되지 않으면 효과적으로 옹호할 수 없다고 생각했으며, '환자에게 진정으로 경청하는 의료진과 경청하는 것처럼 행동하는 의료진 사이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다'(P4, I1)고 인식했습니다. 참가자들은 이러한 세심한 경청을 드문 일로 인식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불만족스러운 의료 서비스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공유함으로써 좋은 옹호 또는 효과적인 옹호에 대한 인식의 틀을 잡았습니다: 

A physician's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also mattered to patients, and for them, competent advocacy seemed synonymous with patient centredness. That is, a patient-centred physician advocate was one who encouraged patients to take an active role in their care and who willingly worked with others to mitigate gaps or limitations in the healthcare system. Additionally, since ‘a big part of advocacy is being able to empathize with a patient’ (P7, I2), patient participants felt that physicians could not advocate effectively without first being good listeners, and they discerned ‘a palpable difference for patients between providers who really listen and those who behave as though they are listening’ (P4, I1). Participants perceived such attentive listening as rare, thus they commonly framed their perceptions of good, or effective, advocacy by sharing stories of unsatisfactory health care encounters:

내가 의사에게 불만족스러울 때는 의사의 태도 때문입니다. 제가 사건의 연대기를 설명할 때 계속 헷갈려하고 제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 의사가 있었어요. 제게는 나쁜 의사였어요... 제 말을 한 마디도 듣지 않고 그냥 처방전만 써주고 나가 버렸어요... 그 사람들은 좋은 옹호자가 아니었어요. (P8, I1)
When I’m dissatisfied with a physician, it's because of their attitude. I had one that, I was explaining the chronology of events…They kept on getting it confused, they weren't paying attention to me. That, to me, is a bad physician… didn't listen to a word I said, and just wrote me a prescription, and walked out…those people were not good advocates. (P8, I1)


실제로 자원이 부족한 치료 시스템의 내재적 한계는 환자가 스스로를 옹호하는 것뿐만 아니라, 종종 위협적인 것으로 인식되는 의료 시스템을 탐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옹호자 집단을 개발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Indeed, the inherent limitations of a resource-strapped care system reinforced the importance for patients to not only advocate for themselves, but also to develop a circle of advocates who could help them navigate a health care system often perceived as threatening:

먼저 자신을 보호해야 합니다. 필요한 치료를 받고 가능한 한 빨리 병원을 빠져나가야 합니다. 안타깝게도 병원은 너무 바쁘고 혼잡합니다. 항상 누군가와 함께 있지 않으면 그 틈새를 비집고 들어갈 수 있습니다. (P3, I1)
You have to protect yourself first. Make sure that you get what you're going to need and get the hell out of there as fast as you can. Unfortunately, our hospitals are too busy and too over-crowded. If you don't have somebody there with you all the time, you'll drop through the cracks. (P3, I1)

3.2 유능한 건강 옹호 평가하기
3.2 Assessing competent health advocacy

환자들은 훌륭한 의사 옹호자의 특징에 주의를 기울일 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피드백을 작성할 준비가 되어 있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예를 들어, 한 환자는 자신의 상태에 대해 수행한 연구를 공유하여 자신을 옹호한 후 의사로부터 받은 두 가지 대조적인 반응에 대한 예를 공유했습니다(그림 1). 한 의사는 환자의 연구를 완전히 무시한 반면, 다른 의사는 치료 계획을 수립하면서 환자의 연구를 고려했습니다. 의사에게 어떤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환자 참여자 4는 효과적인 옹호를 위해서는 경청하는 것이 기본이라고 반복해서 답했습니다:  
Patients not only seemed attentive to the characteristics of good physician advocates, but they also seemed poised to craft feedback about them. For instance, one patient shared an example of two contrasting responses from her physicians after she'd advocated for herself by sharing research she'd conducted about her condition (Figure 1). One dismissed her research outright, while another considered the patient's research while developing a treatment plan. When asked what feedback she might provide to her physicians, patient participant 4 responded by reiterating that listening is fundamental for effective advocacy:

제 말을 잘 들어준다고 생각했던 한 의사에게는 사려 깊은 태도에 깊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저는 '제 말을 잘 들어주고, 제가 치료에 참여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선택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생각해줘서 고맙다'고 말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다른 한 명에게는 '시간을 내어 환자를 단지 많은 인구의 일원이 아니라 미묘한 차이를 가진 개인으로 생각해야 할 필요성을 이해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라고 말했을 것입니다. (P4, I1) 
For the one physician who I thought was really listening to me, I was just really impressed with her thoughtfulness…I would have said, ‘thank you for really making me feel like you are listening to me and thinking about the implications of the choices that we make for the way that I think about my ability to participate in my own care.’ And then, for the other, I would have said, ‘I hope you understand the need to take the time and really think about your patients as individuals with subtle differences, rather than just members of a larger population.’ (P4, I1)

환자 참가자들은 유능한 옹호자의 속성으로 인식하는 것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것처럼 보였지만, 의사 참가자들은 옹호를 '약간 추상적인 것'(MD2, I2)이라고 설명했으며, 이 핵심 역량의 본질을 명확하게 표현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했습니다: 
While patient participants seemed readily able to identify what they perceived as attributes of competent advocates, physician participants described advocacy as ‘a bit of an abstract thing’ (MD2, I2), and found it challenging to articulate the essence of this core competence:

'신경외과 전문의 자격증을 취득했다면 환자를 돌보기 위해 입증해야 하는 의학적 지식과 기술에 능숙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하는 것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이것이 건강 옹호에 정확히 무엇을 의미할까요? 어느 시점에서 이 사람이 더 이상 환자의 건강 옹호자로서의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하겠습니까? (MD13, I1) 
It's relatively straightforward to say ‘if you are certified to be a neurosurgeon, this is what it means for you to be competent in the medical knowledge and skill that you have to demonstrate to take care of your patients’ … what exactly does that mean for health advocacy? At what point would you say that this person is no longer fulfilling their responsibilities as a health advocate for their patient? (MD13, I1)

이러한 질문과 씨름한 후, 의사 참가자들은 충분히 좋은 옹호자부터 효과적인 옹호자, 탁월한 옹호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량을 제시했습니다. 의사 참가자에 따르면,

  • 충분히 유능한 옹호자는 건강 옹호에 대한 개념적 이해가 있고, '환자와 환자의 상태, 치료에 대한 매우 강력한 지식'(MD12, I1)을 바탕으로 행동할 기회를 식별할 수 있으며, 자원에 접근하는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참가자들은 이러한 개념적 이해만으로는 충분 기준을 충족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 오히려 최소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옹호 활동이 결과를 창출할 만큼 효과적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옹호 관련 활동에 기꺼이 참여하려는 의지에 의존해야 했습니다. MD11은 '옹호 활동은 결과를 얻는다는 의미가 아니라 옹호한다는 의미이며...[따라서] 노력하는 것만으로도 훌륭한 옹호자가 될 수 있다'고 말함으로써 이러한 개념을 명확히 했습니다(MD11, I3).
  • 스펙트럼의 맨 끝에는 '지속적으로 한계를 뛰어넘어 결과를 얻는'(MD11, I3) 드문 예외적인 옹호자가 있습니다.
  • 환자와 의사 참가자 모두 의사가 옹호 활동을 하거나 하지 않는다고 인식했지만, 의사 참가자의 경우 옹호 활동을 시도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좋은 것으로 인식했습니다. 

After wrestling with such questions, physician participants seemed to suggest a spectrum of competence ranging from good enough to effective to exceptional advocacy. According to physician participants, 

  • good enough advocates have a conceptual understanding about health advocacy, are able to identify opportunities to act based on ‘a very strong knowledge of the patient, and their conditions, and their treatment…’ (MD12, I1), and know how to access resources. Participants noted that having this conceptual understanding was insufficient for meeting the good enough threshold, however.
  • Rather, meeting the minimum bar relied on a willingness to engage in advocacy-related activities—regardless of whether their advocacy efforts were effective enough to generate results. MD11 clarified this notion by saying: ‘advocacy doesn't imply you get a result, it just means that you advocate…[therefore] you can still be a good advocate by just trying’ (MD11, I3).
  • At the far end of the spectrum are the rare exceptional advocates who consistently ‘go to bat and push the envelope…and get results’ (MD11, I3).
  • Both patient and physician participants perceived that doctors either did or did not advocate; for physician participants, however, any attempt at advocacy was perceived as good enough.

3.3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험과 환경
3.3 Forces that impact competence: Experience and environment

환자와 의사 참가자 모두 교육생이 효과적으로 옹호 활동에 참여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에 대해 설명하면서, 교육생이 최소한의 역량 기준을 충족하기를 기대하는 것이 가능한지 또는 합당한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예를 들어, 의사 참가자들은 유능한 건강 옹호자가 되는 것은 경험에 의존하며, 옹호 활동은 수련생이 '성장'해야 할 일이라고 인식한다고 설명했습니다(MD5, I1). 따라서 수련생이 옹호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어느 정도의 '의학적 전문성을 개발해야 하며...그 다음에는 학습과 경험을 통해 건강 옹호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의사 참가자들은 설명했습니다(MD14, I1). 따라서 옹호는 '조미료와 함께 제공된다'(MD3, I2). 그리고 '옹호자가 되려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무엇이 정상이고 무엇이 비정상인지 알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오래 주변에 있어야 한다'(MD3, I2). 경력이 오래된 의사 참가자들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더 똑똑해졌지만'(MD11, I1), '옹호하는 방법을 더 잘 배우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MD3, I1)고 설명했습니다. 
Both patient and physician participants described multiple forces that may impede trainees’ ability to effectively engage in advocacy, raising questions about whether it is possible—or perhaps even fair—to expect trainees to meet the minimum threshold for competence. For instance, physician participants described that becoming a competent health advocate relies on experience, perceiving that advocacy was something for trainees to ‘grow into’ (MD5, I1). Consequently, for trainees to be able to advocate, physician participants described that they first had to develop a certain degree of ‘medical expertise…And then the health advocacy comes with learning and experience’ (MD14, I1). Advocacy, therefore, ‘comes with seasoning’ (MD3, I2). And because ‘it takes a while to become an advocate you have to be around long enough to know what is normal and what's not’ (MD3, I2). Even physician participants at advanced stages in their career described that while they've ‘gotten smarter at how to do things’ (MD11, I1), they were ‘constantly learning how to advocate’ better (MD3, I1).

환자 참가자들은 효과적인 옹호 활동의 또 다른 장애물로 의사가 일상적인 질환illness 경험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다는 점을 꼽았습니다. 이들은 이러한 정보가 옹호 활동에 참여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했습니다. 의사 참여자들도 이에 동의하며 레지던트 교육이 수련의가 의료 제공의 '큰 그림'(MD4, I2)에서 옹호가 어디에 적합한지 파악하거나 건강 옹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기회를 제한적으로 제공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레지던트는 양식 작성이나 장애와 같은 일에 관여하지 않습니다 .... 당신이 하는 일의 대부분은 병원에서 이루어지며 환자가 겪는 삶의 경제적 현실로부터 약간 차단됩니다'(MD6, I1). 
Patient participants identified another impediment to effective advocacy: physicians’ lack of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ir everyday illness experiences. They perceived this information as critical for engaging in advocacy. Physician participants seemed to agree, and described that residency training provided limited opportunities for trainees to begin to develop the skills to either see where advocacy fits into the ‘big picture’ (MD4, I2) of care provision or to do the work of health advocacy: ‘as a resident, you really don't get involved in the filling out of forms and disability things and that kind of stuff …. a lot of the work that you do is in hospital and you're a bit shielded from the economic realities of life that your patient has’ (MD6, I1).

광범위한 의료 환경 또한 개별 의사가 옹호 활동에 참여하기 어렵게 만드는 것으로 인식되었습니다. 한 환자 참여자는 '훌륭한 옹호자가 되지 못하는 것은 의사 개개인이 아니라 그들이 근무하는 시설에서 옹호 활동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P8, I1)라고 제안했습니다. 또한 의사들은 '건강 옹호자가 되도록 훈련받지 않았고'(MD7, I3), '옹호활동이 필요한 만큼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기 때문에'(MD9, I2), 의사 참여자들은 건강 옹호 커리큘럼에 엄격함과 전략적 방향이 모두 부족하여 수련생들이 불이익을 받는다고 우려했습니다. 
The broader health care environment was also perceived as making advocacy work challenging for individual physicians to engage in. As one patient participant suggested: ‘It's not so much the individual doctors that aren't good advocates, it's the facilities at which they work, where the advocacy, I think, lacks.’ (P8, I1). Additionally, because physicians are ‘not trained to be health advocates’ (MD7, I3) and because ‘advocacy is not valued as much as it should be’ (MD9, I2), physician participants worried that trainees were disadvantaged because health advocacy curricula lacked both rigor and a strategic direction.

3.4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권력과 지위
3.4 Forces that impact competence: Power and status

관료주의로 가득 찬 고장난 시스템에서 옹호 활동을 하려면 때때로 의사들은 윤리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방식으로 사회적 자본을 사용해야 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의사 참가자는 환자를 위한 자원이나 치료를 얻기 위해 규칙과 규정을 우회하여 '합리적인 도둑'이 되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배웠다고 회상했습니다: 
Advocating in a broken system laden with red tape sometimes required physicians to wield their social capital in ways that could be ethically fraught. For instance, one physician participant recalled learning that a good advocate often had to be a ‘reasonable thief’ by circumventing rules and regulations to obtain resources or treatments for their patients:

저는 레지던트 시절, 진단에 관해 저와 이야기를 나누던 교수진과 함께 일했던 아주 분명한 경험을 기억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어떤 사람들은 제 의견에 동의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저는 제가 내릴 수 있는 진단이 어린이에게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문을 열어준다면, 저는 어린이가 필요한 임상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옹호하는 것이기 때문에 후회 없이 그 진단을 서류에 적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MD9, I3) 
I remember a very clear experience of being a resident, working with a faculty who was talking to me about diagnosis. And they said, ‘some people may disagree with me, but I am of a strong opinion that if a diagnosis that I have the power to give will open doors to access treatment for a child, that I will put that down on paper without any regrets, because I’m advocating for a child to get the clinical treatment that they need.’ (MD9, I3)

이러한 방식으로 옹호하는 경우 '레지던트가 곤경에 처할 위험'(MD9, I3)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의사 참여자들은 경험과 함께 옹호에는 어느 정도의 권한과 특권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주치의는 특히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지위'(MD10, I2)를 가진 경우 연공서열과 지위 때문에 효과적이거나 예외적인 방식으로 더 잘 개입할 수 있다고 인식했습니다. 효과적인 옹호를 위한 지위의 중요성에 대해 MD10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Since there may be ‘a danger of the resident getting in trouble’ (MD9, I3) for advocating in this way, most physician participants agreed that, along with experience, advocacy required a certain degree of power and privilege. Consequently, attending physicians were perceived to be better able to engage in effective or exceptional ways because of their seniority and status, particularly if they held ‘some sort of formally recognized position’ (MD10, I2). When reflecting on the importance of status for effective advocacy, MD10 said:

의학은 일반적으로 매우 위계적입니다... 저는 수련의였고, 펠로우였고, 누군가의 밑에 있었습니다. ...제 시스템도 아니고 제 환자도 아닙니다. 제 상사의 것이죠, 그렇죠? 졸업하고 교수로 임용된 후에야 비로소 이 시스템이 내 시스템이고, 내가 그 시스템의 일부이며, 변화를 원한다면 내가 그 변화의 일부가 되어야 하고, 그렇게 할 수 있는 권한과 특권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죠. 
Medicine typically is just so hierarchal… I was a trainee, I was a fellow, I was under somebody. …it's not really my system or it's not my patients. It's my supervisor's, right? And it was only until I graduated and was on faculty, that I realized, no, now this is my system, I’m part of the system, and if I want to see it change, I have to be part of that change, and I now have the power and privilege to do that.

권력과 지위가 옹호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일부 참가자는 권력과 지위가 필수적이라는 생각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례를 제시했습니다:
While power and status were widely seen as helpful facilitators of advocacy, some participants offered examples that challenged the notion that power and status were essential:

저는 의대생들이 경이로운 일을 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예를 들어, 한 임상 실습생은 수술실에서 섬망 증상으로 제지당하는 환자를 보고 경악을 금치 못해 의료 윤리 전문가를 찾아갔고, 그 후 수술 스태프를 대상으로 섬망 교육을 실시했습니다. 그는 그저 의대생이었지만 이 모든 것을 움직이게 했습니다. 따라서 지위가 있으면 도움이 되지만 필수는 아닙니다. (MD4, I3) 
I’ve seen medical students do a phenomenal job. For example, one clinical clerk was absolutely appalled at how patients on a surgical floor were restrained with delirium and he actually went to the medical ethicist, which then instigated delirium education for the surgical staff. He was just a medical student that got this whole thing moving. So, it's helpful to have status, but it's not required. (MD4, I3)

지위나 권력보다 더 중요한 것은 옹호에 참여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할애하는 것뿐만 아니라 옹호에 내재된 위험을 헤쳐나가는 데 기꺼이 헌신하는 것이었습니다. 의사와 환자 참여자 모두 옹호 활동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고 답했으며(그림 2), 의사 참여자들은 여러 가지 경쟁적인 요구 사항을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설명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았습니다. 
Perhaps more important than status or power was a willingness not only to devote the time necessary for engaging in advocacy, but also to navigating its inherent risks. Both physician and patient participants described advocacy as time intensive (Figure 2), and it was not uncommon for physician participants to describe the struggle they experienced juggling multiple competing demands.

옹호 활동은 또한 문제가 있는 제도적 문제에 반발하기 위한 파괴적이고 위험한 정치 활동으로 인식되었습니다: '당신은 역류하고 있으며 매우 위험합니다. 그리고 누군가의 감정을 상하게 하지 않고 역류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현재의 기존 관행에 반대하는 사람처럼 보이지 않으면서 역류하는 것은 어렵습니다."(MD3, I1). 열정적이고 적극적인 옹호자라고 스스로 밝힌 두 명의 참가자 중 한 명은 소속 기관으로부터 옹호 활동에 대한 비난을 받았고, 다른 한 명은 목소리를 높이는 옹호자가 되면 동료들로부터 '잠김locked out'(MD3, I1)을 당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이러한 위험이 교육과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는데, '옹호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처벌을 받는다면, 이는 우리가 사람들이 보여주는 역량에 대해 평가, 평가, 강화 또는 처벌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형성할 것이기 때문'(MD9, I3)입니다. 
Advocacy was also perceived as a disruptive and risky political activity aimed at pushing back against problematic systemic issues: ‘You're running countercurrent and it's very dangerous. And it's hard to run countercurrent without hurting someone's feelings. It's hard to run countercurrent without looking like a naysayer of the current existing practices’ (MD3, I1). Of two participants who self-identified as passionate and engaged advocates, one was censured for advocacy activities by their institution, and the other recognised that being a vocal advocate can get you ‘locked out’ (MD3, I1) by colleagues. In turn, there were concerns that these risks impacted teaching and assessment because ‘when you're being punished for advocating, then that is going to influence and shape how we assess, evaluate, reinforce or punish people for the competence that they're demonstrating’ (MD9, I3).

3.5 유능한 옹호자 양성
3.5 Training competent advocates

따라서 참가자들에게 옹호 활동은 '약간의 열정과 약간의 화끈함'이 필요한 고위험 활동으로 간주되었습니다(MD3, I1). 환자와 의사 참가자 모두 옹호자에게는 경험, 전문성, 훌륭한 의사소통 기술 이상의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했으며, 효과적이거나 뛰어난 옹호자가 되기 위해서는 위험을 감수하려는 의지뿐만 아니라 '타고난 인간의 도덕적 코드'(MD4, I1)에도 의존하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따라서 권력과 특권이 옹호 활동을 촉진할 수도 있지만, 개인의 인성이 옹호 활동을 주도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연구에 참여하기로 선택한 참가자들은 옹호자가 되는 것이 개인적, 직업적 정체성의 핵심 특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제가 이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저라는 사람이 이 일을 하는 것입니다.'(MD3, I2). 결과적으로 의사 참여자들은 레지던트 교육이 수련생들에게 건강 옹호에 대한 표면적인 지식을 전달할 수는 있지만, 유능한 건강 옹호자로 양성하는 것은 달성할 수 없는 목표로 인식했습니다: '전략을 제공할 수는 있지만, 올바른 사람들을 위해 옳은 일을 하고자 하는 도덕적 실체가 있어야 한다'(MD4, I1). 
For participants, therefore, advocacy was considered a high-risk activity that required ‘a bit of passion and a bit of fire’ (MD3, I1). Both patient and physician participants perceived that advocates required more than experience, expertise and good communication skills; being an effective or exceptional advocate also seemed to rely on having not only a willingness to take risks, but also on ‘an innate human moral code’ (MD4, I1). Therefore, while power and privilege may facilitate advocacy, an individual's character seems to drive it. For those participants who chose to engage in this work, they described that being an advocate was a central feature of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I don't even see myself doing it, it's who I am as a person.’ (MD3, I2). Consequently, physician participants perceived that while residency training may be able to impart surface level knowledge to trainees about health advocacy, molding them into competent health advocates was sometimes perceived as an unattainable goal: ‘I guess you could provide strategies but there still has to be some kind of moral substance in the person that wants to do the right thing for the right people’ (MD4, I1).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 참가자들은 수련의를 유능한 건강 옹호자로 육성할 책임이 있다는 것을 인정했습니다. 필수적인 환자 경험에 대한 이해와 강력한 공식 커리큘럼이 모두 부재한 상황에서 의사 참가자들은 옹호 교육이 '모델링, 설명, 예시, 내가 이것에 대해 쓴 내용, 앞으로 다른 환자를 볼 수 있도록 읽어볼 수 있는 논문'을 통해 가장 잘 전달될 수 있다고 인식했습니다(MD5, I1). 그러나 대부분의 의사 참가자들은 자신이 옹호에 적합한 모델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듯 보였으며, 학습자에게 옹호를 보여줄 만큼 규칙적으로 옹호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인정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의사 참가자들은 교육생의 건강 옹호를 신중하거나 엄격하게 평가할 수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그들(임상의사 선생님들)은 항상 건강 옹호자로 '기대에 부응'을 선택합니다, 항상... 건강 옹호자로서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MD8, I2). 
Regardless, physician participants acknowledged that they were responsible for developing their trainees into competent health advocates. In the absence of both an understanding about essential patient experiences and a strong formal curriculum, physician participants perceived that advocacy teaching was best conveyed by ‘modelling, by explaining, by giving examples, by saying, this is what I wrote about this, this is a paper that you can read about it so that you can see another patient in the future’ (MD5, I1). However, most physician participants seemed to question whether they were appropriate models for advocacy, often admitting that they did not engage in advocacy with enough regularity to demonstrate it to learners. In turn, physician participants worried that they would not be able to thoughtfully or rigorously assess a trainee's health advocacy: ‘They (clinician teachers) will always choose ‘meets expectations’ for health advocate, always… I have never had anybody not meet expectations as a health advocate….’ (MD8, I2).

환자 참여자들은 의사를 자신의 주 건강 옹호자로 지목한 적이 거의 없었습니다. 오히려 환자 참여자들은 '의사의 역할은 진단하고 회복 계획을 세우는 것이지, [환자가] 주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옵션을 설명하는 것은 의사의 일이 아니다'라고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그럴 시간이 없습니다'(P8, I2). 환자 참여자에게는 옹호를 다른 사람에게 미루는 것이 의사의 역량을 나타내는 한 가지 지표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유능한 의사 옹호자는 자신의 한계를 알고 옹호를 다양한 형태의 전문 지식에 의존하는 파트너십으로 간주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한 의사 참가자는 의사 옹호 활동의 필수 요소는 '의사가 가장 잘 아는 생물 의학 모델을 지속적으로 밀고 나가야 하며, 나 자신을 하나의 파트너로, 환자 치료의 한 전문가로, 나 자신을 전문가로, 환자 가족, 다른 분야를 전문가로 보는 것'이라고 지적하며 이러한 정서를 반영했습니다. (MD10, I2). 환자 참가자 7은 이에 동의하며 유능한 건강 옹호의 의미에 대해 생각한 후 다음과 같이 제안했습니다: '어쩌면 옹호의 일부분은 자신이 모든 것을 알고 있는 의사라는 환상을 제시하기보다는 자신이 그것을 알아낼 수 없으므로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해야 한다는 것을 아는 것일지도 모른다'(P7, I2).  
Patient participants rarely, if ever, identified a physician as their primary health advocate. Rather, patient participants perceived that ‘the doctor's job is to diagnose and create a plan of recovery… it's not their job to explain every possible option that is out there, where [patients] can get peripheral help. They don't have time for that’ (P8, I2). For patient participants, deferring advocacy to others might be one indicator of a physician's competence, suggesting that competent physician advocates know their limits and view advocacy as a partnership dependent on multiple forms of expertise. One physician participant echoed this sentiment, noting that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advocacy work of physicians is ‘having to continuously push back on the biomedical physician knows best model and see myself as one partner, one expert in their care, themselves as an expert, their families, other disciplines being experts.’ (MD10, I2). Patient participant 7 agreed and, after reflecting on the meaning of competent health advocacy, suggested that: ‘maybe part of advocacy is knowing that you can't figure it out so you have to talk to someone else about it, rather than trying to present the illusion that you're the all-knowing doctor’ (P7, I2).

4 토론
4 DISCUSSION

건강 옹호자 역할에 대한 역량을 갖추려면 수련의는 '임상 환경 안팎에서 환자와 함께 옹호함으로써 환자 개인의 건강 요구에 대응'하고,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방식으로 시스템 차원의 변화를 위해 환자와 함께 옹호함으로써 그들이 봉사하는 지역사회 또는 집단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1 그러나 건강 옹호를 교육하고 평가하는 데 있어 잘 알려진 어려움은2-4 건강 옹호의 대상과 방법, 또는 환자 개인과 시스템 차원의 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데 필요한 행동과 기술에 대한 합의가 부족한 데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저희는 건강 옹호자 역할에 대한 역량에 대한 환자와 의사의 관점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기대가 실제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명확히 하고자 했습니다. 건강 옹호 활동을 공동의 활동으로 생각했지만, 새로운 커리큘럼 프레임워크와 달리1 참가자 중 매우 작은 숫자만이 건강 옹호를 의사의 기본 역할로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적어도 현재 정의된 것과는 다른)을 발견하고 놀랐습니다. 표면적으로는 이러한 연구 결과가 건강 옹호에 대한 대화를 명확하게 하기보다는 복잡하게 만드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러한 복잡성을 풀면 건강 옹호 교육에 대한 보다 간소화되고 목표에 맞는 접근법을 찾는 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 
To achieve competence for the Health Advocate role, a trainee must be able to ‘respond to an individual patient's health needs by advocating with the patient within and beyond the clinical environment’ and ‘respond to the needs of the communities or populations they serve by advocating with them for system-level change in a socially accountable manner’.1 However, the well-known challenges of teaching and assessing health advocacy2-4 seem rooted in lack of consensus about the what and how of health advocacy, or the actions and skills required to mount an effective response to patients’ individual and systems-level needs. We set out to clarify what these expectations mean in practice by exploring patients’ and physicians’ perspectives about competence for the Health Advocate role. While we thought of it as a shared activity, we were surprised to discover that, contrary to new curricular frameworks,1 few of our participants perceived health advocacy as a fundamental physician role—at least not as it is currently defined. On the surface, our findings seem to complicate rather than clarify conversations about health advocacy; however, we suggest that unpacking these complications might usefully inform more streamlined and targeted approaches for health advocacy training.

4.1 건강 옹호 교육 및 평가의 어려움 미묘하게 조정하기
4.1 Nuancing the challenges of teaching and assessing health advocacy

HA와 달리, 다른 CanMEDS 역할은 역량에 대해 잘 정의되고 단계적으로 진행되거나,1 적어도 주관적일지라도 만족스러운 성과와 불만족스러운 성과를 합리적으로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즉, 수련의는 의학 지식과 기술 능력에서 역량을 입증하거나 그렇지 못할 수 있으며, 수련의가 문헌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거나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은 비교적 간단합니다. 참가자들은 역량에 대한 기준이 HA 역할에 비해 더 복잡하여 가변적이고 예측할 수 없는 기대치와 평가 기준을 만든다고 제안했습니다. 실제로 의사 참가자들은 의료 전문가 역할에 대해 옹호 시도만 있어도 '충분히 좋은 것'으로 인식되며, 이는 의료 전문가 역할에 고려되지 않거나 심지어 용인되지 않는 기준이라고 제안하는 것 같았습니다. 그리고 탁월한 옹호자로 평가받기 위한 기준, 즉 환자에게 최상의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일관되고 성실하게 일하는 것은 다른 역할에 대한 최소한의 기대치인 것 같습니다.
Unlike HA, other CanMEDS roles appear to have either a well-defined, staged progression for competence,1 or at least a reasonably clear, if subjective, distinction between a satisfactory or unsatisfactory performance. In other words, trainees either demonstrate competence in their medical knowledge and technical skill or they don't, and it is relatively straightforward to assess whether or not a trainee can critically appraise the literature or communicate effectively. Our participants suggested that the threshold for competence is more convoluted for the HA role, creating variable and unpredictable expectations and assessment standards. Indeed, physician participants seemed to suggest that any attempt at advocacy was perceived as ‘good enough’, a bar that would neither be considered—nor perhaps even tolerated—for the Medical Expert role. And the standards for being assessed as an exceptional advocate, namely working consistently and diligently to provide patients with the best possible care, seem to be the minimum expectation for other roles.

이러한 가변성과 예측 불가능성은 일반적으로 모호하거나 너무 넓은 정의에 기인합니다 .5,19 그러나 환자 참여자들이 설명한 바에 따르면 실제로는 HA에 대한 해석이 너무 좁을 수 있으며, 환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옹호 형태를 간과하고 있을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환자와 의사 참여자 모두 시스템이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거나 환자가 스스로 치료를 지시하는 능력을 방해하는 등 문제가 발생했을 때 옹호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고 암시했습니다. 따라서 옹호자들은 때때로 프로토콜을 '우회'36하거나 전문적 규범에 도전하는 방식으로 현상 유지를 방해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의사 참가자들은 옹호 활동이 본질적으로 파괴적이고 위험하다고 설명하면서, 특히 정치적으로 현명한 방식으로 수행되지 않을 경우 옹호 활동에 참여하면 비난을 받거나 어려운 사람으로 낙인찍힐 수 있다고 답했습니다. 유능한 옹호자는 이러한 정치적 지뢰밭을 비교적 무사히 통과할 수 있어야 합니다. 
This variability and unpredictability is typically attributed to definitions of HA that are nebulous or too broad .5, 19 However, we suggest that interpretations of HA may in fact be too narrow, and from what our patient participants described, might be overlooking forms of advocacy that would enhance the patient experience. Both patient and physician participants implied that advocacy is often necessary when things go wrong—either when the system fails to meet patients’ needs or when it impedes their ability to direct their own care. Consequently, advocates often need to disrupt the status quo, sometimes in ways that ‘work around’ protocols36 or challenge professional norms. Our physician participants described advocacy as inherently disruptive and risky, suggesting that engaging in it—particularly when it is not done in a politically savvy way—can result in censure or being labelled as difficult. A capable advocate should be able to traverse these political minefields relatively unscathed.

그러나 옹호가 항상 파괴적인 것은 아닙니다. 환자 참여자들에 따르면, 자신의 전문성을 인정하고 치료 계획에 반영하며 공감하고 세심하게 경청하는 것 역시 건강 옹호의 한 형태라고 합니다. 즉, 의사 참여자들은 옹호가 진료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개념화하는 데 어려움을 표한 반면, 환자 참여자들은 임상 치료에서 옹호의 역할을 쉽게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는 옹호가 환자 중심주의 철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이전 연구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입니다.30 공감적 경청과 효과적인 의사소통 등 환자가 옹호라고 묘사한 많은 부분이 의사에게도 중요하다고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의사들은 이러한 요소들을 건강 옹호의 '부수적인' 업무라기보다는 좋은 치료의 기본 구성 요소로 개념화하는 것으로 보입니다.30  
Advocacy isn't always disruptive, however. According to patient participants, acknowledging and incorporating their expertise into care plans, empathising, and listening attentively are also forms of health advocacy. In other words, while physician participants expressed difficulty conceptualising how advocacy fit within their practice, patient participants were readily able to see its role in clinical care, seemingly supporting our previous research suggesting that advocacy is closely linked with philosophies of patient centredness.30 We recognise that much of what patients described as advocacy—such as empathetic listening and effective communication—are also viewed as important by doctors. However, physicians seem to conceptualise these as fundamental components of good care rather than the ‘above and beyond’ work of health advocacy.30

모든 환자와 대부분의 의사 참가자들은 보다 파괴적인 형태의 옹호를 반드시 의사의 역할로 간주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환자 참여자들에 따르면, 좋은 의술은 옹호이며, 이는 의사 참여자들과 다른 사람들이 진료에서 옹호의 역할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를 설명하는 것으로 보입니다.5, 6 그러나 상호 존중, 투명성 및 공감의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기대되는 반면, 환자 참여자들은 자신의 진료가 열악하다고 인식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유능한 건강 옹호를 정의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습니다.37 비록 개인이 의학교육 연속체를 따라 진행함에 따라 공감 능력이 감소한다는 연구가 뒷받침하지만 실망스러운 계시입니다.
All patients and most physician participants made clear that they do not necessarily view more disruptive forms of advocacy as the physician's role. According to patient participants, good doctoring is advocacy, which seems to explain why physician participants and others have a difficult time identifying its role in their practice.5, 6 We do, however, need to be mindful that while cultivating an environment of mutual respect, transparency and empathy should be the expectation, patient participants could only define competent health advocacy by considering instances where they perceived their care as poor—a disheartening revelation, albeit one supported by research suggesting that empathy declines as individuals progress along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37

4.2 옹호 교육에 대한 재구상
4.2 Re-imagining advocacy training

현재의 프레임워크는 옹호를 파괴적이거나 정치적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는 행동4을 요구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이러한 일반적인 관념은 환자와 달리 의사 참여자가 옹호자로 식별되는 경우가 드문 이유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는 건강 옹호가 도덕적 의무이자 소명이라는 이전 연구 결과와 일맥상통하며,38 옹호자가 되는 것이 훈련에 의존하는지, 개인의 인성에 의존하는지, 아니면 둘 다에 의존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옹호의 도덕적 차원은 의사가 직업적 정체성의 일부로 옹호에 동참하는 데 장애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도덕적 차원은 교육과 평가에 어려움을 야기합니다. 구성 요소로서의 역량에 대한 비판 중 하나는 역량을 평가할 때 수련의의 인성이나 개인적 자질을 거의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이지만,39 도덕성이나 인성을 평가할 수 있고, 평가해야 할까요?  
Current frameworks see advocacy as requiring actions4 that might be perceived as disruptive or political. This prevailing notion might account for why our physician participants—unlike patients—rarely identified as advocates. This resonates with previous research suggesting health advocacy is both a moral imperative and a calling,38 raising questions about whether becoming an advocate relies on training, an individual's character, or both. Advocacy's moral dimension may be a barrier to physicians aligning with it as part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y. Further, this moral dimension creates challenges for teaching and assessment. While one of the critiques of competence as a construct is that we rarely consider trainees’ character or personal qualities when we assess competence,39 can we, and should we, be trying to assess morality or character?

또한 수련의는 현 상태를 파괴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임상 경험이나 지위를 갖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는 많은 학습자가 이 역할에 필요한 기본 역량이나 보조 역량을 갖추지 못할 수 있습니다. 옹호활동이 혼란과 행동주의에 관한 것이라는 잘못된 인식이 건강 옹호 문제의 근본 원인일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설명하는 사람 중심 요소를 포함하도록 건강 옹호의 정의를 확장하고 일반적으로 건강 옹호자 역할과 관련이 없는 학습자의 공감과 주의 깊은 경청을 강화하는 데 교육을 집중해야 할 수 있습니다. 
Trainees may also not have sufficient clinical experience or status to capably disrupt the status quo. Consequently, as currently framed, many learners may not be able to achieve either the primary or enabling competencies required for this role. Misperceptions that advocacy is only about disruption and activism may be the root cause of the health advocacy problem; solving it may rely on both expanding definitions of health advocacy to include the person-centred elements described by patients, and focusing training on bolstering learners’ empathy and attentive listening, a skillset not typically associated with the Health Advocate role.

많은 의사가 이미 파괴적이지 않은 형태의 대리인 옹호에 참여하고 있으며 학습자를 위한 역할 모델링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의사는 환자를 대신하여 다른 형태의 옹호 업무를 수행하도록 요청받을 수 있으므로, 건강 옹호사 교육은 복잡성, 긴장감, '그 이상'으로 나아가는 데 따른 잠재적 위험과 불편함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루어야 합니다. 일부 프로그램에서는 이미 두부 손상 예방 프레젠테이션을 개발하여 초등학교에서 강의한 후 그 경험에 대한 에세이를 작성하는 등 창의적인 옹호 활동에 전공의들을 참여시키고 있습니다.40, 41 이러한 종류의 멘토링, 실습 옹호 업무는 유용할 수 있습니다3, 42-44-양식 작성 및 신속한 의뢰와 같은 일상적인 임상 활동도 필수 옹호 업무로 인정하고 명시적으로 교육하는 한. 
Many physicians are likely already engaging in—and role modelling for learners—less disruptive forms of agentic advocacy. However, since physicians may be called on to do other forms of advocacy work on behalf of their patients, HA training should delve into the intricacies, tensions, and potential risks and discomfort of going ‘above and beyond’. Some programmes are already engaging residents in creative advocacy initiatives such as developing a head injury prevention presentation and delivering it in elementary schools, then writing an essay about the experience.40, 41 This kind of mentored, hands-on advocacy work may be useful3, 42-44—as long as everyday clinical activities such as completing forms and expediting referrals are also both acknowledged as essential advocacy work and explicitly trained.

의사 참여자들이 스스로 인정한 바에 따르면, 이들은 보다 파괴적인 형태의 HA를 가르치는 데 가장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의사 참여자들이 스스로 활동가라고 밝힌 경우에도, 그들 스스로가 인식한 한계 때문에 또는 시스템이 음성적 옹호를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에 모두가 자신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지는 않았습니다. 이전 연구에서30 우리는 HA 교육 및 평가에 전문가 간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고 제안했으며, 옹호 교육에 비의사를 더 많이 포함시킬 것을 촉구했습니다. 환자 참가자들은 옹호의 의미에 대해 더 폭넓게 이해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의사들이 어떤 점을 놓치고 있는지도 잘 알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우리는 의료 교육에서 환자의 공식적인 역할이 제한되어 있는 것이 옹호를 정의하기 어렵고15 훈련하기 어려운 이유의 일부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17 실현 가능성, 신뢰성 및 윤리에 대한 우려45-47 가 현재 환자의 참여를 제한하고 있지만, 많은 환자가 학습자 교육에 참여하고 싶어하며,48 옹호 교육을 더욱 견고하게 만들 잠재적으로 혁신적이고 의미 있는 기회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By our physician participants’ own admission, they may not best suited to teach the more disruptive forms of HA. Even when our physician participants identified as being activists, not all perceived that they were effective—either because of their own perceived limitations, or because the system is not designed to enable vocal advocacy. In previous work,30 we suggested that HA teaching and assessment demanded an interprofessional approach, and we called for greater inclusion of non-physicians in advocacy training. Patient participants not only had a more expansive understanding about what advocacy means, but they also seemed to be quite aware of when physicians were missing the mark. We suspect that patients’ limited formal role in medical education may be partly responsible for why advocacy is both difficult to define,15 and challenging to train.17 While concerns about feasibility, credibility and ethics45-47 currently limit their involvement, many patients are keen to participate in educating learners,48 creating a potentially innovative and meaningful opportunity to make advocacy training more robust.

5 제한 사항
5 LIMITATIONS

본 연구에는 의료진과 거의 동일한 수의 환자 참여자가 있었기 때문에 예상했던 것보다 환자들의 목소리가 결과에서 덜 두드러졌다는 점을 인정합니다. 이는 주로 환자들을 옹호에 대한 논의에 참여시키려는 노력이 의사의 역할에서 일관되게 멀어졌기 때문입니다. 이는 우리 연구의 한계이기는 하지만, 동시에 중요한 관찰 결과이기도 합니다. 이는 환자가 의사에게 기대하는 옹호는 적어도 의학 교육 프레임워크에서 일반적으로 설명하는 종류의 옹호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환자들이 기대하는 것은 공감, 숙련된 경청, 자비로운 의사소통이며, 우리는 이러한 좋은 의술의 기본적 특징이 아닌 다른 것을 만들기 위해 너무 열심히 노력한 것은 아닌지 고민하게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레지던트만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특히 지위와 전문성, 그리고 그것이 개인의 옹호 의지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우리의 주제가 학습자에게도 적용되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이번 연구 결과를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이전에 밝혀지지 않았던 옹호 교육에 대한 장애물을 밝혀내어 졸업후 의학 교육 전반의 교육 및 평가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We had a nearly equal number of patient participants as MDs; given that, we acknowledge their voices were less prominent in the results than might have been expected. This is primarily because efforts to engage them in discussions of advocacy consistently led away from the physician role. While this is a limitation of our work, it is also a telling observation. It suggests that advocacy may not be expected of physicians by patients—at least not the kind typically described in medical education frameworks. But what they do expect is empathy, skilled listening, and compassionate communication, leading us to wonder if we have perhaps tried too hard to make HA something other than thes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good doctoring. Regardless, because we only spoke with a few residents,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whether our themes, particularly about status and expertise and how they may impact an individual's willingness to advocate, also hold true for learners. Finally, while our findings are not generalisable, they shed light on previously underexplored impediments to advocacy training which may usefully inform teaching and assessment across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6 결론
6 CONCLUSION

참가자들이 설명한 의료 및 시스템 수준의 지식, 효과적인 의사소통 기술, 환자 중심주의와 같은 역량 요건은 이전 연구와 공명하지만,27 우리의 연구 결과는 유능한 건강 옹호자가 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학습자가 레지던트 수련 기간 동안 건강 옹호 역량을 달성하는 것이 현실적인지, 심지어 가능한지에 대한 몇 가지 가정에 도전합니다. 그러나 옹호가 환자 중심주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 옳다면, 옹호에 대한 정의를 재정의하거나 충분한 커리큘럼적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것은 환자에게 해가 될 뿐만 아니라 의학의 철학적 토대를 약화시키는 일입니다. 모든 형태의 옹호는 교육 중에 탐구되어야 하지만, 환자에게 가치 있는 것으로 설명된 비방해적 요소에 우선순위를 두는 것이 교육을 간소화할 뿐만 아니라 치료를 최적화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환자의 목소리가 옹호와 관련된 역량보다 더 중요한 역량은 없을 것입니다. 우리는 환자가 의료 교육에 의미 있게 참여하는 데 방해가 되는 장벽을 제거하여 의료진 교육을 위한 협력적 교수법을 구축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해야 합니다. 
While the requisites for competence such as medical and systems-level knowledge,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and patient centredness described by our participants resonate with previous work,27 our findings challenge several assumptions both about what being a competent health advocate means, and whether it is realistic—or even possible—for learners to achieve competence in health advocacy during their residency training. However, if we are correct that advocacy is closely linked with patient centredness, failing to re-define or devote sufficient curricular attention to advocacy is not only a disservice to patients, but it undermines the philosophical underpinnings upon which medicine is built. While all forms of advocacy should be explored during training, we suggest that prioritising the non-disruptive elements described as valuable to patients would not only streamline training but also optimise care. There may be no set of competencies where the patient voice is more critical than those around advocacy. We need to explore opportunities to build a collaborative pedagogy for training HA, removing barriers that prevent patients from participating meaningfully in medical education.


Med Educ. 2021 Apr;55(4):486-495. doi: 10.1111/medu.14408. Epub 2020 Dec 9.

Exploring patients' and physicians' perspectives about competent health advocacy

Affiliations

1Department of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and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Ottawa, Ottawa, ON, Canada.

2Centre for Education Research & Innovation,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 Canada.

3Department of Oncology,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 Canada.

4Department of Surgery,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 Canada.

5Division of Medical Education, Dalhousie University, Halifax, NS, Canada.

PMID: 33152148

DOI: 10.1111/medu.14408

Abstract

Introduction: Many residency programmes struggle to demonstrate how they prepare trainees to become competent health advocates. To meaningfully teach and assess it, we first need to understand what 'competent' health advocacy (HA) is and what competently enacting it requires. Attempts at clarifying HA have largely centred around the perspectives of consultant physicians and trainees. Without patients' perspectives, we risk training learners to advocate in ways that may be misaligned with patients' needs and goals. Therefore, the purpose of our research was to generate a multi-perspective understanding about the meaning of competence for the HA role.

Methods: We used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to explore patients' and physicians' perspectives about competent health advocacy. Data were collected using photo elicitation; patients (n = 10) and physicians (n = 14) took photographs depicting health advocacy that were used to inform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mes were identified using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Physician participants associated HA with disruption or political activism, suggesting that competence hinged on medical and systems expertise, a conducive learning environment, and personal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experience, status and political savvy. Patient participants, however, equated physician advocacy with patient centredness, perceiving that competent HAs are empathetic and attentive listeners. In contrast to patients, few physicians identified as advocates, raising questions about their ability to train or to thoughtfully assess learners' abilities.

Conclusion: Few participants perceived HA as a fundamental physician role-at least not as it is currently defined in curricular frameworks. Misperceptions that HA is primarily disruptive may be the root cause of the HA problem; solving it may rely on focusing training on bolstering skills like empathy and listening not typically associated with the HA role. Since there may be no competency where the patient voice is more critical, we need to explore opportunities for patients to facilitate learning for the HA role.

"정말 곤란하게 만들어요", 중국 전공의의 전문직업성 딜레마(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3)
“It really puts me in a bind”, professionalism dilemmas reported by Chinese residents
Xinzhi Song1 · Nan Jiang1 · Ning Ding1 · Honghe Li1 · Chunyu Xin1 · Ruoyi Qu1 · Deliang Wen1

소개
Introduction

전문직업성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달라지는 복잡하고 다차원적이며 통합적인 구성 요소이며(Hodges et al., 2011), 사회에서 의사에게 기대하는 행동과 속성으로 볼 수 있습니다(Cruess et al., 2009). 전문직업성 연구 분야에서는 덕목 기반, 행동 기반, 정체성 형성 등 세 가지 주요 유형의 프레임워크가 발전해 왔습니다(Irby & Hamstra, 2016). 각 프레임워크는 서로를 보완하고 더 큰 전체에 기여하는 강점과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 미덕 기반 프레임워크는 인성을 강조하고 의사의 내적 습관, 도덕적 추론, 인문학적 자질에 중점을 둡니다.
  •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개인과 집단 모두를 포함하며, 정체성 개발과 실무 커뮤니티로의 사회화에 중점을 둡니다.
    • 두 가지 유형의 프레임워크 모두 학습자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덕성 기반 프레임워크의 경우 인성 및 도덕적 추론을 평가하기 어렵고,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설명, 해석 및 평가하기는 더욱 어렵습니다(Barnhoorn et al., 2019; Irby & Hamstra, 2016).
  • 위의 두 가지 프레임워크의 문제점에 비해 행동 기반 프레임워크는 행동이 내면의 정신 모델을 반영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관찰 가능한 행동의 측정을 강조합니다. 통합된 작업이나 활동의 여러 구성 요소를 개별 행동으로 분리할 수 있지만, 관찰 가능한 행동을 평가하는 것이 통일성과 객관성을 확보하는 데 가장 용이할 수 있습니다(Barnhoorn & van Mook, 2015). 실제로 이러한 행동은 종종 개별 전문가와 환자의 수준을 넘어 동료 및 의료 시스템과의 상호 작용을 포함합니다(Irby & Hamstra, 2016; Lesser et al., 2010). Lesser 등이 제안한 바와 같이 관찰 가능한 행동의 렌즈를 통해 전문직업성을 바라보는 것은 전문직업성이 다차원적이라는 개념을 강화하고 의사가 실제로 발휘해야 하는 판단과 기술의 범위를 지적합니다(Lesser 등, 2010).

Professionalism is a complex, multidimensional, and integrated construct that varies across time and culture (Hodges et al., 2011) and can be viewed as the behaviors and attributes expected of a doctor by society (Cruess et al., 2009). In the field of professionalism research, three dominant types of frameworks have evolved, namely virtue-based, behavior-based, and identity formation (Irby & Hamstra, 2016). Each framework has strengths and limitations that complement each other and contribute to the larger whole.

  • The virtue-based framework emphasizes character and focuses on the inner habits of the heart, moral reasoning, and humanistic qualities of the physician.
  •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volves both the person and the group, focusing on identity development and socialization into a community of practice.
    • While both these types of frameworks help to motivate learners, it is difficult to assess character and moral reasoning for the virtue-based framework, and it is even more difficult to describe, interpret, and asses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Barnhoorn et al., 2019; Irby & Hamstra, 2016).
  • Against the challenges of the above two frameworks, the behavior-based framework emphasizes measurement of observable behaviors, with the premise that behaviors may reflect inner mental models. Though it may separate different components of integrated tasks or activities into discrete behaviors, assessment of observable behaviors may be easiest to achieve uniformity and objectivity (Barnhoorn & van Mook, 2015). In fact, these behaviors often go beyond levels of the individual professional and the patient to include interactions with colleagues and with the health care system (Irby & Hamstra, 2016; Lesser et al., 2010). As proposed by Lesser et al., viewing professionalism through the lens of observable behaviors reinforces the notion that professionalism is multidimensional and points to the range of judgment and skills physicians need to exhibit in practice (Lesser et al., 2010).


전문직업성은 의사의 경력 전반에 걸쳐 배양되고 평가되어야 하며, 학부 및 대학원 환경에서 전문직업성 원칙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조기 교육이 매우 중요합니다(O'Sullivan 외., 2012). 레지던트 기간은 의사가 수련과 경험을 통해 전문직업성 행동을 개발하는 중추적인 시기입니다. 이를 인식한 미국의학전문대학원교육인증위원회(ACGME)는 레지던트가 레지던트를 졸업하기 전에 갖춰야 할 6가지 일반 역량 중 하나로 '전문직업성'을 우선적으로 꼽았습니다(미국의학전문대학원교육인증위원회, 2021). 수련 중인 레지던트는 의대생과 달리 훨씬 더 많은 수의 환자에 노출되고 업무의 복잡성이 높으며 단순한 관찰이 아닌 환자 진료에 대한 감독 책임을 져야 합니다(Levinson et al., 2014). 그 결과, 전공의들은 임상 수련 과정에서 전문직업성과 관련하여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게 됩니다(Kinoshita et al., 2015; McArthur & Moore, 1997). 예를 들어, 전공의는 제한된 시간 내에 임상 지식과 기술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문직업성 문제보다는 생산성과 효율성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됩니다(Brainard & Brislen, 2007; Chang et al., 2017). 또한 비윤리적이거나 비전문직업적이라고 생각되는 임상 활동을 목격하거나 참여할 수도 있습니다(Christakis & Feudtner, 1993; Kinoshita et al., 2015). 그러나 병원 위계질서의 숨겨진 커리큘럼 하에서는 전공의가 선배 의사의 결정이나 명령에 반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침묵해야 할 의무를 느낄 수 있으며(Martinez et al., 2015), 이로 인해 전공의는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빠지게 됩니다(Monrouxe & Rees, 2012). 

Professionalism should be cultivated and assessed throughout the physician’s career, and early education is critical for establishing professionalism principles in both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settings (O’Sullivan et al., 2012). Residency is a pivotal period for physicians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behaviors with training and experience. Recognizing this,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has preferentially listed “professionalism” as one of the six general competencies that residents must possess before graduating from residency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2021). Different from medical students, residents-in-training are exposed to a significantly increased number of patients, have higher work complexity, and need to take supervised responsibility for patient care instead of mere observation (Levinson et al., 2014). As a result, residents encounter many challenges with regard to professionalism in their clinical training (Kinoshita et al., 2015; McArthur & Moore, 1997). For example, they may feel pressured to improve clinical knowledge and skills within a limited time, which makes them more concerned about productivity and efficiency than about professionalism issues (Brainard & Brislen, 2007; Chang et al., 2017). They may also witness or participate in clinical activities which they believe to be unethical or unprofessional (Christakis & Feudtner, 1993; Kinoshita et al., 2015). However, under the hidden curriculum of hospital hierarchy, it is difficult for residents to stand against senior physicians’ decisions or orders, and so they might feel obligated to keep silent (Martinez et al., 2015), thus causing residents to fall into professionalism dilemmas (Monrouxe & Rees, 2012).

실제로 레지던트들은 종종 전문직업성 딜레마를 경험하는데, 이는 전문직업적으로 또는 전문직업성 기준에 따라 행동하는 방법을 알고 있지만 제도적, 위계적 또는 사회문화적 제약으로 인해 행동할 수 없거나 어렵다고 느끼는 갈등 상황을 말합니다(Cuban, 2001; Wiggleton 외., 2010). 윤리적 또는 전문직업적 행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지 못할 때, 

  • 일부 레지던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부정적인 사건을 경험하면서 괴로워하는 반면
  • 일부 레지던트는 임상 역할 모델의 규범적 행동과 태도를 집단적이고 수동적으로 흡수하고 채택하여 특정 비전문직업적 행동이 용인되고 "바뀌지 않음" 문화가 강화됩니다 

또한 전문직업성 딜레마는 전문직업적 태도, 행동 및 전문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도 있습니다(Kushner & Thomasma, 2001). 오늘날의 레지던트들은 미래의 레지던트를 교육하는 사람들이 될 것입니다. 전문직업성 딜레마가 적시에 적절하게 해결되지 않으면 의사(예: 연민 피로 및 소진)와 의료 서비스 전체(예: 환자 치료의 질 저하, 심지어 환자 안전 위협)에 여러 가지 심각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Monrouxe et al., 2015).
Indeed, residents often experience professionalism dilemmas, which refer to conflictual situations when one knows how to behave professionally or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s of professionalism but instead feels unable or difficult to act due to institutional, hierarchical, or sociocultural constraints (Cuban, 2001; Wiggleton et al., 2010). When repeatedly failing to perform ethical or professional behaviors,

  • some residents become distressed when experiencing these negative events over time, while
  • others collectively and passively absorb and adopt normative behaviors and attitudes from their clinical role models, resulting in certain unprofessional behaviors becoming acceptable and reinforcing a “no change” culture (Caldicott & Faber-Langendoen, 2005; Kelly & Nisker, 2009).

Evidence also showed that professionalism dilemmas negatively impact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attitudes, behaviors, an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Kushner & Thomasma, 2001). Today’s residents will be the ones who train residents in the future. If professionalism dilemmas are not appropriately addressed in a timely manner, a number of serious consequences may emerge for both physicians (e.g.,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and the whole of healthcare (e.g., decreasing the quality of patient care, even threatening patient safety) (Monrouxe et al., 2015).

중국의 의료 및 의학 교육
Health care and medical education in China

중국은 전 세계 인구의 약 5분의 1(14억 명 이상)이 의료비를 부담하고 있으며, 복잡한 의료 및 건강보험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중국의 병원은 기능과 업무에 따라 1차, 2차, 3차 병원의 세 가지 계층으로 분류됩니다. 이 분류에 따라 각 계층에 속하는 병원은 다시 A, B, C 등급으로 세분화되며, 가장 전문화된 병원을 위한 특별 등급인 3AAA 병원이 추가로 지정됩니다. 따라서 중국 병원 분류 시스템을 3단계 10등급 시스템이라고 합니다(중화인민공화국 보건부, 1989).

  • 이 시스템 내에서 일차 병원은 서구의 진료소, 지역 병원 및 1차 진료 기관과 유사합니다. 일반적으로 병상 수가 100개 미만이며 예방 치료, 재활 치료 및 기타 기본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2차 병원은 서양의 지역 병원 또는 지방 병원과 유사하며 일반적으로 100~500개의 병상을 보유하고 종합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역 의료 연구 및 교육을 수행합니다.
  • 3차 병원은 서양의 진료 의뢰 병원과 동등한 수준으로 간주되며 시, 도 또는 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대형 병원입니다. 3차 병원은 주변 지역의 의료 허브 역할을 하며 1, 2차 병원의 진료뿐만 아니라 전문 의료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따라서 3차 병원은 가장 많은 병상(500개 이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의학 교육과 과학 연구 분야에서 훨씬 더 큰 역할을 담당합니다. 

China bears the health burden of nearly one-fifth of the world’s population (more than 1.4 billion) and is home to a complex health care and health insurance system. Hospitals in China are classified by function and tasks into three tiers, namely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hospitals. On top of this classification, hospitals within each tier are then sub-graded into A, B, and C levels, with an additional special level—the 3AAA hospital—reserved for the most specialized hospitals. Therefore, the Chinese hospital classification system is referred to as the 3-tier 10-level system (Ministry of Health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1989).

  • Within this system, primary hospitals are similar to medical clinics, community hospitals, and primary care institutions in the West. They usually contain less than one hundred beds and fulfill preventive care, rehabilitative care, and other basic medical care needs.
  • Secondary hospitals, similar to Western regional or district hospitals, usually have between one hundred and five hundred beds, provide comprehensive health services, and conduct regional medical research and education.
  • Tertiary hospitals are regarded as equivalents to referral hospitals in the West and are comprehensive large-scale hospitals at the municipal, provincial, or national level. Tertiary hospitals act as medical hubs for their surrounding areas and provide both specialist health services as well as consultations for primary and secondary hospitals. As such, tertiary hospitals have the highest bed capacities (over five hundred) and play a much larger role in medical education and scientific research.

2020년 기준 중국 인구의 95% 이상이 최소 기본 의료 보험에 가입했습니다(중화인민공화국 국가의료보장국, 2021). 중국의 기본 의료 보험에는 도시 직장인 기본 의료 보험(UEBMI), 도시 전공의 기본 의료 보험(URBMI), 신농촌 협동 의료 제도(NRCMS) 등 세 가지 주요 유형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기본 의료 보험이 제공되지만, 공공 의료 보험은 일반적으로 의료비의 절반 정도만 보장하며 만성 질환의 경우 보장 범위가 더 낮을 수 있습니다. 또한 보험 유형에 관계없이 병원 등급이 높아질수록 환급률이 감소한다는 사실도 있습니다(예: NRCMS의 환급률은 1차 병원에서 60%의 보장률을 유지하지만 3차 병원에서는 약 30%에 불과합니다). 환자들은 길고 지루한 진료 의뢰 절차를 거쳐 여러 기관을 거치는 것을 선택할 수도 있고, 환자가 하위 병원에 대한 신뢰가 부족한 경우처럼 직접 상위 병원으로 이동하는 것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Wang, 2019). 2020 보건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병상 가동률은 1차 병원에서 54.7%, 2차 병원에서 81.6%인 반면 3차 병원에서는 97.5%였습니다(중화인민공화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2021a). 이처럼 3차 병원의 높은 점유율은 환자 대 의사 비율 증가, 의사-환자 관계의 긴장감 증가, 3차 병원의 의료 서비스 제공자 및 의료진의 과중한 업무 부담 등의 문제를 야기합니다(Wen et al., 2016). 
As of 2020, more than 95% of the Chinese population had at least basic health insurance coverage (National Healthcare Security Administra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21). China’s basic medical insurance scheme includes three main types: the Urban Employee Basic Medical Insurance (UEBMI), the Urban Residents Basic Medical Insurance (URBMI), and the New Rural Co-operative Medical Scheme (NRCMS). Despite most of the country having basic medical coverage, public health insurance usually only covers about half of medical expenses, and this coverage may be even lower for chronic illnesses. Additionally, regardless of the type of insurance, all come with the fact that reimbursement rates decrease as hospital ranking increases (e.g., the reimbursement rate of NRCMS maintains 60 percent coverage in primary hospitals but only about 30 percent in tertiary hospitals). Patients can choose to undergo the long and tedious referral process up the chain of institutions, or patients can choose to jump the line and personally go directly to higher-level hospitals, as is often the case when patients lack trust in lower-level hospitals (Wang, 2019). According to the 2020 Health Statistics Report, bed utilization rates were 54.7% in primary hospitals and 81.6% in secondary hospitals, while the rate was 97.5% in tertiary hospitals (National Health Commiss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21a). This marked higher occupancy in tertiary hospitals also brings about problems such as higher patient-physician ratios, increased tensions in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s, and overburdening of healthcare providers and medical staff at tertiary hospitals (Wen et al., 2016).

중국의 국가 표준 레지던트 교육 시스템은 2014년에 설립되었습니다(국가보건가족계획위원회, 2014). 레지던트 프로그램은 전공과목에 관계없이 3년으로 정해졌으며, 임상에서 일하고자 하는 모든 의대 졸업생은 먼저 표준화된 레지던트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다른 많은 국가(예: 일본, 브라질, 네덜란드, 영국)와 유사한 의료 수련 모델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Wijnen-Meijer 외, 2013), 중국의 레지던트 수련 시스템은 모든 레지던트가 일반적으로 최고 수준의 병원 기관이자 가장 바쁜 3차 A급 병원에서 수련을 받도록 요구합니다(중화인민공화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2021b). 이러한 수련 환경에서 중국인 전공의는 과도한 업무량, 긴 근무 시간, 수면 부족, 근무 시간 외의 지속적인 당직 등으로 고통받고 있습니다(Bai et al., 2021). 또한 중국 전공의들은 개인적인 이익보다 대인 관계와 사회적 조화를 중시하는 중국 집단주의 사회의 문화적 영향과 요구와 함께 숨겨진 커리큘럼의 어려움에도 직면합니다. 따라서 서구의 전형적인 일과 삶의 분리는 개인적 관계와 직업적 관계 사이에 명확한 이분법이 없는 중국 환경에서는 달성하기가 훨씬 더 어렵습니다(Bedford, 2022). 그러나 현재까지 중국 전공의가 직면할 수 있는 전문직업성 딜레마와 도전 과제에 대해 조명한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A system for national standardized residency training in China was established in 2014 (National Health & Family Planning Commission, 2014). Residency programs were set at three years in duration regardless of specialty, and all medical graduates looking for work in a clinical capacity must first complete standardized residency training. Despite having similar models of medical training to many other countries (e.g., Japan, Brazil, Netherlands, UK) (Wijnen-Meijer et al., 2013), the resident training system in China requires all residents to be trained in tertiary A-grade hospitals, which are usually the highest-level hospital institution and also the busiest (National Health Commiss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21b). In this kind of training environment, Chinese residents suffer from an excessive workload, longer working hours, sleep deprivation, and consistently being on call outside of working hours (Bai et al., 2021). In addition, Chinese residents also face the challenges of the hidden curriculum, along with cultural influences and demands of China’s collectivist society, whe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ocial harmony are valued above personal interests. As such, the typical work-life separation in the West is much harder to achieve in the Chinese setting, where there is not necessarily a clear dichotomy between personal and professional relations (Bedford, 2022). However, to date, few studies have shed light on some of the professionalism dilemmas and challenges that Chinese residents may face.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대한 포괄적인 목록은 병원 관리자와 의료 교육자 모두에게 많은 이점을 제공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병원은 이 목록을 체크리스트로 사용하여 기존의 전문직업성 문제를 평가하고 레지던트를 위한 목표 개선안을 마련할 수 있으며(Cullen et al., 2017), 병원 관리자는 이 종합 목록을 사용하여 제도적 변화를 구현할 수 있는지 평가할 수 있습니다. 임상 교수진과 레지던트 프로그램 디렉터는 이 체크리스트의 단일 또는 여러 딜레마를 기반으로 교육 사례를 설계할 수 있으며, 이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이러한 전문직업성 딜레마로 인해 심각한 문제를 겪고 있는 레지던트를 선별하고 체크리스트에 제시된 구체적이고 관찰 가능한 행동 관련 문제에 따라 교정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Cullen 등, 2017; Hawkins 등, 2009). 따라서 본 연구는 행동 기반 전문직업성 프레임워크에 기반한 전문직업성 딜레마 체크리스트를 개발하고, 중국 전공의가 듣거나 목격하거나 경험한 전문직업성 딜레마의 범위와 비율을 조사하고,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직면했을 때 전공의의 관점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A comprehensive list of professionalism dilemmas would provide many benefits for both hospital administration as well as medical educators. For example, hospitals can use this as a checklist to assess existing professionalism challenges and to create targeted remediation for their residents (Cullen et al., 2017); on the institutional side, hospital administrators can also use this comprehensive list to assess whether institutional changes can be implemented. Clinical faculty and residency program directors can design teaching cases based on single or multiple dilemmas from this checklist and can also use this checklist to screen residents who may be deeply troubled by these professionalism dilemmas and implement remediation, guided by the specific, observable behavior-related challenges presented in the checklist (Cullen et al., 2017; Hawkins et al., 2009). Therefore, our research aims to develop a checklist of professionalism dilemmas based on a behavior-based professionalism framework, to examine the range and proportion of professionalism dilemmas heard of, witnessed, or experienced by Chinese residents, and to gain understanding of residents’ perspectives when faced with professionalism dilemmas.

연구 방법
Methods

연구 설계
Study design

본 연구는 정성적(문서 분석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과 정량적(소규모 설문조사) 데이터로 구성된 혼합 방법 연구였습니다. 문서 분석은 이전에 발표된 논문에서 전문직업성 딜레마 항목을 요약하여 후속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위한 전체적인 개요와 가이드를 제공했습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서는 전문직업성 딜레마 항목에 대한 참가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탐색하고 이해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Monrouxe & Rees, 2012; Wang & Ho, 2020)를 사용했습니다. 질적 연구 결과를 보고할 때는 질적 연구 보고 기준(SQRQ)을 따랐습니다(O'Brien et al., 2014). 각 포커스 그룹에서 소규모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참가자들이 들어본 적이 있거나 목격하거나 경험했다고 답한 전문직업성 딜레마 항목의 비율을 조사했습니다. 

Our study was a mixed methods study consisting of qualitative (document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s) and quantitative (a small-scale questionnaire survey) data. Document analysis summarized professionalism dilemma items from previously published papers, providing an overall outline and guide for subsequent focus group interviews. For focus group interviews, we used narrative inquiry (Monrouxe & Rees, 2012; Wang & Ho, 2020) to explore and make sense of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dilemma items. When reporting qualitative results, we followed the Standards for Reporting Qualitative Research (SQRQ) (O’Brien et al., 2014). A small-scal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each focus group to investigate the proportion of professionalism dilemma items that participants reported to have heard of, witnessed, or experienced.

모집 및 샘플링
Recruitment and sampling

2021년 3월과 4월 사이에 랴오닝성 선양에 위치한 종합 3차 A급 병원의 대학원 수련부 공고를 통해 6개월 이상 수련을 받은 레지던트를 대상으로 의도적 표본 추출(Moser & Korstjens, 2018)을 실시했습니다. 이 레지던트들은 이미 임상 경험이 어느 정도 있고 연구에 충분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발되었습니다. 또한 성별, 수련 기간, 전공이 다른 레지던트들을 의도적 표본 추출에 포함시켜 참여자 특성의 다양성을 확대했습니다. 참가자들을 전문 분야에 따라 여러 포커스 그룹으로 분류했습니다. 그런 다음 각 포커스 그룹 인터뷰 라운드마다 각 전문화 그룹에 대한 인터뷰를 연속적으로 진행했으며 주제별 포화 상태에 도달하면 모집을 중단했습니다. 연구 참여는 자발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모든 참가자는 서면 동의서에 서명했으며 어떠한 보상도 받지 않았습니다.  
Between March and April 2021, we conducted purposive sampling (Moser & Korstjens, 2018) of residents who have undergone at least 6 months of training through announcements made by the Postgraduate Training Department of a comprehensive tertiary A-grade hospital in Shenyang, Liaoning province. These residents were selected because they already have some clinical experience and can provide sufficient and useful information for our research. Also, residents of different sex, duration of training completed, and specialization were selected in the purposive sampling to expand the diversity of participant characteristics. We grouped the participants into different focus groups according to their specialization. Then, for each round of focus group interviews,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each specialization group in consecutive order and stopped recruiting when we reached thematic saturation. Participation in the study was voluntary, and all participants signed written informed consent forms and did not receive any compensation.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먼저 검색 주제를 '전문직업성 딜레마', '전문직업성 도전', '전문직업성 과실'로 설정하고 검색 대상을 '의사', '레지던트', '의대생'으로 설정한 논문에 대해 Web of Science에서 문헌 검색을 실시했습니다. 논문은 특정 시나리오를 설명하거나 특정 행동을 나열한 경우 포함할 수 있었습니다. 자세한 검색 전략은 보충 정보 부록 A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등록된 모든 논문에 기술된 딜레마, 도전 과제 또는 비전문직업적 행동은 Monrouxe와 Rees(2012)가 구성한 전문직업성 딜레마 주제 목록을 참조하여 추출 및 요약하여 전문직업성 딜레마 항목 풀을 생성했습니다. 그런 다음 템플릿 분석(King, 1998)을 사용하여 모든 항목을 Li 등(Li, 2017)의 중국 의사를 위한 기존 행동 기반 전문직업성 프레임워크에 매핑하여 네 가지 영역으로 구성했습니다. 이 과정은 두 명의 연구자(XZS, NJ)가 개별적으로 수행했으며, 이견이 있는 문항은 다른 세 명의 저자(ND, HHL, RYQ)와 함께 그룹 토론을 통해 해결했습니다. 그 결과 체크리스트의 첫 번째 버전이 만들어졌고, 이 체크리스트는 포커스 그룹의 첫 번째 라운드에서 사용되었습니다. 
We first conducted a literature search on Web of Science for papers with retrieval themes focused on “professionalism dilemma”, “professionalism challenge”, and “professionalism lapse” and the retrieval population focused on “physician”, “resident”, and “medical student”. Papers were eligible for inclusion if they described specific scenarios or listed specific behaviors. The detailed search strategy can be found in Supplementary information Appendix A. We extracted and summarized the dilemmas, challenges, or unprofessional behaviors described in all the enrolled papers with reference to the list of professionalism dilemma themes constructed by Monrouxe and Rees (2012) and generated an item pool of professionalism dilemmas. Using template analysis (King, 1998), all items were then mapped to an existing behavior-based professionalism framework for Chinese physicians by Li et al., comprising four domains (Li, 2017). This process was performed individually by two researchers (XZS and NJ), and disputes were settled by group discussion with three other authors (ND, HHL, and RYQ). The result was the first version of the checklist, to be used in the initial round of focus groups.

그 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반복적으로 실시했습니다. 모든 인터뷰는 허가를 받아 오디오로 녹음하고 익명으로 처리했습니다.

  • 각 인터뷰 세션이 시작될 때 그룹 진행자(XZS)는 참가자들에게 전문직업성의 개념을 소개했습니다.
    • 의사 헌장(ABIM 재단, 2002)의 기본 원칙,
    • ACGME(의학전문대학원 교육 인증위원회, 2021)에서 제안한 전문직업성의 속성,
    • Li 등의 전문직업성 프레임워크(Li, 2017)
  • 그런 다음 참가자들에게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대한 첫 번째 버전 체크리스트를 가이드로 제공하고 첫 번째 하위 영역의 각 항목을 읽고 해당 항목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지, 목격한 적이 있는지, 경험한 적이 있는지 선택하도록 요청했습니다(체크박스에 체크).
  • 모든 참가자가 하위 영역을 완료한 후, 그룹 진행자는 참가자들에게 차례로 자신이 들었거나 목격했거나 경험한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구두로 설명하고 개인적인 태도와 느낌을 공유하도록 요청했습니다.
  • 첫 번째 하위 영역의 기존 항목에 대해 논의한 후, 그룹 진행자는 참가자들에게 하위 영역에 나열되지 않은 다른 시나리오를 경험한 적이 있는지 설명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후 각 하위 영역에서도 동일한 형식이 이어졌습니다.
  • 연구원들은 각 포커스 그룹 인터뷰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체크리스트의 업데이트 버전을 작성했으며, 이 체크리스트는 첫 번째 라운드와 동일한 형식의 후속 포커스 그룹에서 사용되었습니다.
  • 새로운 항목이 보고되지 않으면 데이터 수집이 종료되었습니다. 

We then conducted iterative rounds of focus group interviews. All interviews were audio recorded with permission and anonymized.

  • At the beginning of each interview session, the group facilitator (XZS) introduced participants to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including
    • fundamental principles from the Physician Charter (ABIM Foundation, 2002),
    • attributes of professionalism proposed by the ACGM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2021), and
    • Li et al.’s professionalism framework (Li, 2017).
  • Participants were then given the first version checklist on professionalism dilemmas as a guide and were asked to read each item in the first sub-domain and select (by checking the box) whether they had heard of, witnessed, or experienced the given item.
  • After everyone had completed a sub-domain, the group facilitator invited participants to, in turn, verbally describe the specific scenarios they had heard of, witnessed, or experienced and share some of their personal attitudes and feelings.
  • After discussing existing items in the first sub-domain, the group facilitator then asked participants to describe if they had experienced any other scenario not listed within the sub-domain. The same format continued for each subsequent sub-domain.
  • Researchers analyzed data from each round of focus group interviews to compile an updated version of the checklist, which was then used in the subsequent round of focus groups that followed the same format as the first round.
  • Data collection ended when no new items were reported.

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

Li 등의 행동 기반 전문직업성 프레임워크는 연구자가 코드를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하는 등 데이터를 해석하는 동안 조정할 수 있는 사전 정의된 템플릿을 제공했습니다(King, 2004). 강력하고 잘 정의된 선험적 템플릿을 사용하면 주제를 미리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연구자에게 어느 정도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Brooks et al., 2015). 포커스 그룹 인터뷰의 첫 번째 라운드가 끝난 후, 모든 인터뷰 오디오 파일을 전사하고 비식별화했습니다. 녹음된 인터뷰는 NVivo 12(QSR International Pty Ltd., Doncaster, VC, Australia)를 사용하여 코딩했습니다. 두 명의 연구자(XZS와 CYX)가 모든 참가자의 녹취록을 독립적으로 검토하여 각 항목과 관련된 인용문을 식별했습니다. 두 연구자가 이견이 있는 시나리오와 체크리스트의 각 하위 영역 끝에 새로 제안된 시나리오에 대해서는 5명의 연구자(XZS, NJ, HHL, ND, CYX)가 모여 전문직업성 딜레마로 분류할 수 있는지 논의하고, 분류할 수 있다면 체크리스트 하위 영역의 기존 항목에 속할지 아니면 새로운 항목으로 추가할지에 대해 협의했습니다. 참가자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체크리스트 초판의 기존 항목의 문구를 수정하여 중국 전공의에게도 적용 가능하도록 수정했습니다. 
The behavior-based professionalism framework by Li et al. provided a predefined template from which researchers could make adjustments during interpretation of data, including adding, modifying, or deleting codes (King, 2004). Using a strong, well-defined a priori template allowed for themes to be established in advance while also providing some flexibility for researchers (Brooks et al., 2015). After the first round of focus group interviews, all interview audio files were transcribed and de-identified. We coded the recorded interviews using NVivo 12 (QSR International Pty Ltd., Doncaster, VC, Australia). Two researchers (XZS and CYX) independently reviewed all the participants’ transcripts to identify quotes related to each of the items. For any scenario where the two researchers had disputes on and for any newly proposed scenario at the end of each subdomain of the checklist, five researchers (XZS, NJ, HHL, ND, and CYX) met to discuss whether it can be classified as a professionalism dilemma and, if so, conferred on whether it belonged to an existing item in the checklist subdomain or to add this scenario as a new item. From participant narratives, we revised the wording of the original items in the first version of the checklist to make it applicable to Chinese residents.

각 포커스 그룹 인터뷰가 끝난 후 데이터 분석을 수행한 후 체크리스트의 업데이트 버전을 작성하여 다음 라운드에 사용했습니다. 연구자들은 새로운 코드가 나오지 않을 때 주제별 포화 상태가 충족되었다고 동의했고, 그 이후에는 새로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지 않았습니다. 이 시점에서 모든 항목이 체크리스트의 최종 버전으로 확정되었고 각 항목과 관련된 모든 인용문이 확인되었습니다. 그런 다음 모든 연구원이 모여 질적 편집 분석 프로토콜(Miller & Crabtree, 1992)을 사용하여 각 항목을 가장 대표할 수 있는 인용문을 선정했습니다. 그런 다음 대표 인용문을 영어로 번역했습니다. 분석이 진행되는 동안 코딩이 진행됨에 따라 연구자의 성찰을 기록하기 위해 메모를 작성했습니다. 
Data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each round of focus group interviews, following which we compiled an updated version of the checklist and used it for the next round. Researchers agreed that thematic saturation had been met when no new codes emerged, following which no new rounds of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At this point, all the items were finalized into the final version of the checklist and all quotes related to each of the items were identified. Then, all researchers convened to select quotes that were most representative of each item using a qualitative editing analysis protocol (Miller & Crabtree, 1992). Representative quotes were then translated into English. Throughout the analysis, memos were created to serve as records of researchers’ reflections as the coding progressed.

두 차례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50명의 참가자 전원이 작성한 체크리스트 설문지를 바탕으로 참가자들이 보고한 전문직업성 딜레마 항목의 비율을 해당 항목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지, 목격한 적이 있는지, 경험한 적이 있는지에 따라 계층화하여 계산했습니다. 
Based on checklist questionnaires filled out by all 50 participants during two rounds of focus group interviews, we calculated the proportion of professionalism dilemma items as reported by participants, stratified by whether they had heard of, witnessed, or experienced the item.

반사성
Reflexivity

연구팀은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과정에서 각 구성원의 이전 경험, 역할, 동기가 데이터 해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이해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회의를 통해 각자의 개인적인 관찰과 관점, 그리고 그것이 데이터 분석 및 결과 적용과 어느 정도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반성적 사고를 실천했습니다. 또한 데이터 분석 중에 메모를 작성하여 코딩하는 동안 연구자의 반성을 기록했습니다. 
Throughout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e research team understood that each member’s prior experiences, roles, and motivations may influence the interpretation of the data. Therefore, we practiced reflexivity by regularly meeting to discuss our personal observations and perspectives and the extent to which they may be relevant to the data analysis and to the application of our results. Memos were also created during data analysis to record researcher reflections during coding.

연구팀의 모든 구성원은 질적 연구 및 의료 전문직업성 연구에 대한 교육이나 배경 지식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XZS와 HHL은 의료 정보학에 대한 배경 지식이 있습니다. NJ는 영어 원어민으로 MBBS 학위를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에서 임상 교육 경험이 있습니다. XZS와 CYX는 데이터 수집 당시 의학교육학 박사 과정 중이었습니다. ND, HHL, RYQ는 학부 및 대학원 전문직업성 과정의 교수진 및 과정 개발자였으며, XZS는 조교였습니다. DLW는 소아과 과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의학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각자의 고유한 배경과 경험을 바탕으로 각 멤버는 그룹 토론에 풍부하고 건설적인 피드백을 더했습니다. 
All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have some training or background in qualitative research and in medical professionalism research. Additionally, XZS and HHL have backgrounds in medical informatics. NJ is a native English speaker who holds an MBBS degree and has clinical training experience in China. XZS and CYX were PhD candidates in medical education at the time of data collection. ND, HHL, and RYQ are teaching faculty and course developers for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fessionalism courses; XZS is the teaching assistant. DLW was a chief of pediatrics and is now a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Based on their own unique backgrounds and experiences, each member added richness and constructive feedback to the group discussions.

결과
Results

검색 전략에 따라 1차 검색에서 총 613개의 출판물이 검색되었습니다. 적격성 기준에 따라 55개의 출판물이 최종 연구에 등록되었습니다. 그런 다음 등록된 출판물에서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관한 53개 항목을 수집, 분석, 요약하여 Li 등이 제시한 전문직업성 프레임워크의 10개 하위 영역에 매핑했습니다. 등록된 모든 출판물, 딜레마 또는 도전과 비전문직업적 행동에 대한 특정 시나리오, 문서 분석의 1차 버전 체크리스트는 부록 정보 부록 B에 나와 있습니다. 
Following our search strategy, a total of 613 publications were retrieved in the initial search. Based on eligibility criteria, 55 publications were enrolled in the final study. We then compiled, analyzed, and summarized 53 items on professionalism dilemmas from these enrolled publications and mapped them to the 10 sub-domains of the professionalism framework by Li et al. All enrolled publications, corresponding specific scenarios on dilemmas or challenges and unprofessional behaviors, and the first version checklist from document analysis are shown in Supplementary information Appendix B.

총 두 차례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1라운드에서는 3개 그룹, 2라운드에서는 2개 그룹)를 진행했으며, 50명의 전공의가 참여했습니다. 표 1에는 참가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요약되어 있습니다. 1차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서는 5개의 새로운 항목이 생성되었으며, 2차 인터뷰에서는 새로운 항목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문서 분석과 두 차례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거쳐 최종 58개 항목의 전문직업성 딜레마 체크리스트(문서 분석에서 53개 항목,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서 5개 항목)가 생성되었습니다(표 2 참조). 58개 항목은 4개의 영역과 10개의 하위 영역으로 나뉘며, 각 영역의 명칭과 포함된 항목 수는 다음과 같다.

  • 연민(2),
  • 존중(6),
  • 의사소통(6),
  • 협업(7),
  • 성실성(9),
  • 의무(5),
  • 우수성 추구(8),
  • 의료 자원의 공정한 관리(4),
  • 환자 기밀성(4),
  • 사전 동의(7) .

각 전문직업성 딜레마 항목에 해당하는 발췌문은 보충 정보 부록 C에 나와 있습니다. 

In total, we conducted two rounds of focus group interviews—three groups in round one, and two groups in round two—involving 50 residents. Table 1 summarize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Five new items were generated in the first round of focus group interviews, and no new items emerged in the second round. After document analysis and two rounds of focus group interviews, a final 58-item checklist of professionalism dilemmas was generated—53 items from document analysis and five items from focus group interviews (see Table 2). These 58 items were distributed in four domains and 10 sub-domains, whose names and the number of contained items were:

  • compassion (2),
  • respect (6),
  • communication (6),
  • collaboration (7),
  • integrity (9),
  • duty (5),
  • pursuit of excellence (8),
  • fair stewardship of health care resources (4),
  • patient confidentiality (4), and
  • informed consent (7).

Excerpts corresponding to each professionalism dilemma item are shown in Supplementary information Appendix C.

 

 

전문직업성 딜레마 테마
Professionalism dilemma themes

연민 딜레마
Compassion dilemmas

이 테마에는 환자에 대한 연민과 공감과 관련하여 레지던트들이 겪는 어려움을 반영하는 두 가지 딜레마 항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가장 자주 보고된 딜레마 항목은 연민을 느끼지만 환자를 도울 힘이 없다고 느끼는 경우로, 레지던트의 38%가 경험한 적이 있으며, 이 항목에서 가장 자주 언급된 시나리오는 환자가 높은 의료비 때문에 치료를 포기해야 하는 경우였습니다. 한 참가자는 이러한 딜레마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This theme contained two dilemma items, reflecting challenges that residents encountered relating to compassion and empathy for patients. The more frequently reported dilemma item was Showing compassion but feeling powerless to help patients, with 38% of residents having experienced it, and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scenario within this item was Patients were forced to give up treatment because of high medical expenses. One participant described this dilemma as follows:

가정 경제적인 이유로 치료를 포기하는 환자들이 많은데, 이는 매우 안타까운 일입니다. 솔직히 일부 환자들은 조기에 치료를 받으면 생명을 연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지만, 가정 형편 때문에 포기하고 집에 가서 병의 자연스러운 진행을 기다려야 합니다. 그들을 도울 수 없다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A6, 산부인과)
Due to family financial reasons, there are a lot of patients who give up treatment, which is very unfortunate. To be honest, some patients may have the possibility to prolong their lives if they are treated as early as possible, but they give up because of family conditions and have to go home to wait for the natural progression of the disease. It’s a pity that I am unable to help them. (A6, Obstetrics and Gynaecology)

이 항목에서 흔히 보고된 또 다른 시나리오는 기존의 의료 기술로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하거나 환자의 고통을 완화할 수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Another common reported scenario within this item was Existing medical techniques cannot offer effective treatment or alleviate patient suffering, as described by one of the participants:

수술 병동에서 한 환자를 만난 적이 있습니다. 그는 나이가 많았고 장암이 재발한 상태였습니다. 수술이 금기인 데다 현재의 기술로는 통증을 해결할 수 없었기 때문에 치료를 포기하고 남은 여생을 집에서 보내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런 환자를 만나면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고 아무것도 도와줄 수 없는 것 같아 마음이 아픕니다. (E8, 외과)
I once met a patient in the surgery wards. He was up in age and his bowel cancer had recurred. Because he was contraindicated for surgery and the current technology was not able to resolve his pain, he gave up treatment and chose to spend the rest of his days at home. When I encounter this kind of patient, I feel like I don’t know what to do and can’t do anything to help. (E8, Surgery)

존중 딜레마
Respect dilemmas

이 주제는 환자, 선배 의사, 동료 및 기타 의료 전문가와의 상호존중에 대한 레지던트들의 어려움을 반영하여 6개의 딜레마 항목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가장 흔하게 보고된 딜레마는 환자로부터의 직간접적인 언어적 또는 신체적 굴욕감으로, 레지던트의 44%가 이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레지던트들은 환자로부터 모욕감을 당해도 별다른 조치를 취할 수 없었으며 최대한 참고 견디려고 노력했다고 설명했습니다.
This theme consisted of six dilemma items, reflecting residents’ challenges on mutual respect with patients, senior physicians, peers, and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The most common reported dilemma was Direct or indirect verbal or physical humiliation from patients, with 44% of residents having experienced it. Residents described they could not do much about being humiliated by their patients and tried to just endure and bear with it as much as possible.

환자로부터의 굴욕감은 흔한 일입니다. 예를 들어, 류마티스 질환과 함께 종양이 진행된 한 환자는 정신 건강이 매우 좋지 않았습니다. 그는 진통제를 많이 복용했는데, 류머티즘 약과 함께 "죽여버릴 거야"와 같은 말을 하며 언어적 공격성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무엇이 환자의 행동을 유발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는 우리의 생명을 언어적으로 위협하고 있었습니다. (B7, 내과)
Humiliation from patients is common. For example, a patient with advanced stage tumor combined with rheumatic disease displayed very poor mental health. He would take a lot of pain medication, which, along with the rheumatism medication, led to some verbal aggression, saying words like “I’m going to kill you”. I don’t know what drove the behavior of the patient, but he was verbally threatening our lives. (B7, Internal medicine)

또 다른 흔하게 보고된 딜레마는 선배 의사로부터의 부적절한 비판, 굴욕감 또는 처벌이었습니다. 전공의들은 선배 의사로부터 비판을 받거나 모욕을 당했을 때 선배 의사의 행동을 이해할 수 있지만, 선배 의사가 전공의의 감정을 배려해 환자 앞에서 심하게 말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답했습니다.
Another common reported dilemma was Inappropriate criticisms, humiliation, or punishments from senior physicians. When criticized or even humiliated by senior physicians, residents said they could understand senior physicians’ behaviors, but hoped that senior physicians would consider their feelings and try not to speak harshly of them in front of patients.

첫 부서인 신생아 병동으로 로테이션을 갔을 때가 기억납니다. 주치의 선생님은 정말 엄격하셨어요. 처음 갔을 때 많은 사람들 앞에서 제가 잘못한 것을 지적하는 경우가 많았고, 거칠게 들리는 말을 하셔서 기분이 정말 불편했어요. (D6, 소아과)
I remembered when I rotated to my first department, which was the neonatal ward. The senior physician was so strict. When I first got there, she often pointed out what I did wrong in front of a lot of people, and she would say something that sounds harsh, which made me feel really uncomfortable. (D6, Pediatrics)

커뮤니케이션 딜레마
Communication dilemmas

이 주제는 전공의들이 환자와 소통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반영하여 총 6개의 딜레마 항목으로 구성되었습니다. 6개 딜레마 항목 중 4개 항목에 대해 레지던트의 50% 이상이 해당 항목과 관련된 경험을 보고했습니다. 가장 흔하게 보고된 딜레마는 환자가 개인 연락처 정보를 끈질기게 요구하는 경우로, 레지던트의 90%가 이 문제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WeChat은 중국에서 인스턴트 메시징, 소셜 미디어, 모바일 결제에 사용되는 주요 독립형 앱입니다. 많은 레지던트들이 개인 생활과 직장 생활 모두에서 이러한 환자들의 반복적인 방해를 경험한 후 더 이상 환자들과 위챗이나 개인 연락처 정보를 공유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This theme included six dilemma items, reflecting the challenges that residents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patients. For four of the six dilemma items, at least 50% of residents reported experiences related to the item. The most common reported dilemma was Patients being persistent for personal contact information, with 90% of residents having experienced it. WeChat is the major standalone app used for instant messaging, social media, and mobile payment in China. Many residents expressed that they would no longer share their WeChat or personal contact information with patients after they had experienced repeated interruptions by these patients in both their personal and work lives.

일반적으로 환자가 제 위챗을 요청하면 검사지를 보낼 수 있도록 알려줍니다. 하지만 환자가 제가 어떻게 대답해야 할지 모르거나 너무 바빠서 제 시간에 응답하지 못하면 환자는 저를 비난합니다. 개인 연락처를 알려줘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할 때도 있어요. (B6, 내과)
Generally, when the patient asks for my WeChat, I will give him so that I can send him test sheets. But if the patient asks me something I don’t know how to answer or I am too busy to respond in time, he will blame me. Sometimes I struggle with whether or not I should give out my personal contact information. (B6, Internal medicine)

환자의 가족은 좋은 사람들이기 때문에 제가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해 도와야겠다고 생각하곤 합니다. 하지만 좋은 의도가 실제로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며, 가족들이 더 압박을 받는다는 것을 알게 될 때가 있어요. 그들은 온갖 종류의 질문을 하고 사소한 것까지 물어보곤 했죠. 지금은 환자 가족들에게 제 개인 위챗 정보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감당하기 너무 힘들거든요. 아무리 좋은 환자 가족이라도 나중에 이렇게 골칫거리가 될 수도 있어요. (D10, 소아과)
I may find that my patient’s family members are nice people, so I think to myself that I’d do as much as I can to help them out. But then sometimes I found out that good intentions don’t actually have good results, and the family members will become more pressing. They would ask all kinds of questions and ask about every little thing. I don’t give out my personal WeChat info to patient family members now. It’s too difficult to handle. The nicest family members of patients may still become this troublesome some ways down the road. (D10, Pediatrics)

치료에 협조하지 않는 환자나 가족, 의사소통 및 언어 장벽, 어리거나 경험이 없다고 무시하는 환자도 레지던트들이 흔히 겪는 딜레마였습니다. 레지던트들은 의사소통의 딜레마를 겪을 때 일반적으로 환자와 적극적으로 소통한다고 답했습니다. 그래도 효과가 없을 경우 일부 레지던트는 문제를 보고하고 상사에게 도움을 요청하기도 했습니다.

Patients or their families refusing to cooperate with treatment, Communication and language barriers, and Patients dismissing them as young or inexperienced were also dilemmas commonly reported by residents. Residents said when experiencing communication dilemmas, they would generally actively communicate with patients. If it remained ineffective, some of them would report the problem and turn to their superiors for help.

협업 딜레마
Collaboration dilemmas

이 주제에는 레지던트들이 동료, 선배 의사 및 기타 의료 전문가와 협력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반영하는 7가지 딜레마 항목이 포함되었습니다. 가장 많이 보고된 딜레마는 다른 의료 전문가와의 협력에 대한 어려움으로, 52%의 레지던트가 이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한 레지던트는 전문가 간 협업에 대한 불만을 표하기도 했습니다. 
This theme included seven dilemma items, reflecting the challenges that residents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cooperating with peers, senior physicians, and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s. The most common reported dilemma was Difficulty in cooperating with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s, with 52% of residents having experienced it. One resident also expressed some displeasure in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요즘은 의사와 간호사가 동등하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간호사가 우리 레지던트보다 더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다고 느낍니다. 저희가 진료 지시를 내리면 실행은 간호사가 담당하는데, 가끔 급하게 대응해야 하는 경우가 있어서 간호사에게 서둘러 달라고 요청하곤 했어요. 하지만 간호사는 제가 서너 번을 요청할 때까지는 그렇게 하지 않았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곧 점심시간이 되기 때문이었습니다. 전에도 이런 식으로 동료 전공의를 꾸짖고 울게 만드는 간호사를 본 적이 있습니다. (D1, 산부인과) 
Although it’s said that physicians and nurses are equal nowadays, I feel that nurses actually have a higher status than us residents. After we put in a medical order, nurses would be responsible for executing it, but sometimes the order would require an urgent response, so I would ask the nurse to rush it. But the nurse wouldn’t do it until I have asked three or four times, which I found out was because it was going to be her lunch break soon. I have witnessed nurses scolding my peer like this before and sending her crying. (D1, Obstetrics and Gynaecology)

또 다른 일반적인 딜레마는 책임과 업무를 다른 사람에게 미루는 것이었습니다. 한 참가자는 자신의 불만 경험을 이야기했습니다. 하지만 그 상황에서도 상대방의 기분을 상하게 하거나 갈등이나 불편을 초래하고 싶지 않아서인지, 그는 동료에게 자신이 해야 할 일을 계속해달라고 요청하지 않았습니다. 
Another common reported dilemma was Pushing responsibilities and work tasks off to others. One participant recounted his experience with grievance. However, even in his situation, possibly out of consideration for not wanting to offend or cause conflict or inconveniences, he did not reach out to ask his peer to continue the work she was supposed to do.

제 앞의 레지던트는 저에게 많은 일을 맡겼습니다. 저는 그런 분들을 만났습니다. 한 아이가 30일 이상 입원해 있었습니다. 단계별 요약과 사례 논의가 필요했습니다. 이 환자를 담당했던 제 동료는 아무것도 쓰지 않았습니다. 결국 저는 어느 날 밤 거의 5시간 동안 혼자서 모든 정보를 작성했습니다. 전화도 하지 않았어요. (D10, 소아과) 
The resident before me left a lot of work to me. I have met such kinds of people. A child had been hospitalized for more than 30 days. There needed to be a phased summary and case discussion. My peer, who was responsible for this patient, didn’t write anything. Finally, I spent nearly five hours one night and filled in all the information by myself. I didn’t call her either. (D10, Pediatrics)

무결성 딜레마
Integrity dilemmas

이 주제에는 금전적 이득, 의사와 환자 또는 의료 대리인 간의 관계 등 레지던트들이 정의 또는 정직에 대한 인식을 위반할 수 있는 어려움을 반영하는 9가지 딜레마 항목이 포함되었습니다. 가장 흔하게 보고된 딜레마는 환자로부터의 선물 수락이었으며, 60%의 레지던트가 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레지던트들은 과일과 꽃은 허용되는 선물이지만 빨간 봉투(현금 선물)와 기프트 카드는 반환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직접 반환할 수 없는 경우 환자의 병원 계좌로 입금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또한 전공의들은 환자가 방금 입원했는지, 퇴원했는지에 따라 선물의 의미를 다르게 인식했습니다. 퇴원을 앞둔 환자들은 환자 치료가 잘 안 될까 봐 의사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억지로 선물을 주기보다는 레지던트들의 노고에 감사하는 마음에서 진심으로 선물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This theme included nine dilemma items, reflecting the challenges that residents encountered that may violate their perceptions of justice or honesty, including financial gains and relationships between physicians and patients or medical representatives. The most common reported dilemma was Accepting gifts from patients, with 60% of residents having experienced it. Residents thought that fruits and flowers were acceptable gifts, but red envelopes (cash gifts) and gift cards should be returned, including crediting the patient’s hospital account when the money could not be returned in person. Residents also viewed the meaning of gifts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patients were just admitted to hospital or after they had been discharged. Residents perceived that patients who are about to be discharged from hospital give gifts due to their appreciation of the residents’ work and from a place of real gratitude, rather than because they are forced to please the doctors for fear of poor patient care.

사실 선물은 아주 흔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환자가 돈 대신 무언가를 줄 수 있다는 것은 의사에게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감사의 표시이자, 의사와 환자 간의 화합을 도모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과일뿐만 아니라 지역 특산품도 선물하는 환자분들을 많이 봤습니다. (C7, 외과) 
I think gift-giving is actually quite common. When a patient can give something instead of money, it shows that he is grateful to the physician from his heart, and it is also a way to promote harmony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I see that patients not only give fruits but also local specialties. (C7, Surgery)

또 다른 공통된 딜레마는 가족이나 친구에게 연고주의를 보이는 것으로, 36%의 레지던트가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전공의들은 주로 사회적 관계 역학 관계에 따라 이러한 행동을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한 참가자는 자신의 진료 예약일 경우 친한 의사에게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줄을 서는 경우도 있다고 답했습니다. 

Another common reported dilemma was Showing nepotism for family and friends, with 36% residents having experienced it. Residents believed this kind of behavior to be understandable, mainly out of adherence to social relationship dynamics. One participant reported that he would even jump the queue to seek help from a familiar physician if it was his own medical appointment.

저는 제 진료를 위해 대기열을 건너뛰고 주치의가 여의치 않으면 무료 진찰을 해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료의 가족이 입원해야 하는 경우, 주치의는 실제로 기꺼이 도움을 주고 외래 진료실이나 입원 병동을 배정하는 등 일반적으로 거절하지 않는 것을 보았습니다. (B2, 내과) 

I would jump the queue for my own medical treatment, then the senior physician may provide me with a free examination if convenient. I have seen that, for example, if a peer’s family members needed to be hospitalized, the senior physician would in fact be willing to provide help and would generally not refuse, such as arranging an outpatient clinic or inpatient ward for them. (B2, Internal medicine)

지각이나 결근 시 서명을 위조하거나 동료에게 대신 서명을 부탁하는 것도 흔한 딜레마로 보고되었습니다. 레지던트들은 임상 업무와 의학 강의 참석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어렵다고 보고했습니다. 한 참가자는 다른 사람이 의학 강의에 로그인하는 것을 도와주는데 거절하는 방법을 모른다고 말했습니다. 
Forging signatures or asking peers to sign on one’s behalf when late or absent
 was also a common reported dilemma. Residents reported finding it difficult to balance clinical work with medical lecture attendance. One participant reported he would help others sign in for medical lectures and did not know how to refuse.

다른 사람을 위해 로그인했다가 행정 직원에게 발각되어 경고를 받았습니다. 동료가 저에게 대신 로그인해 달라고 요청하면 "강의는 들으러 가겠지만 대신 로그인해 줄 수 없습니다"라고 말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C10, 외과) 
I signed in for others and was found and warned by the administrative staff. If a peer asked me to sign in for him, I don’t think I could say something like “I will go to the lecture, but I cannot sign in for you”. (C10, Surgery)

의무 딜레마
Duty dilemmas

이 주제에는 전공의들이 직무를 수행하면서 직면하는 어려움을 반영하는 5가지 딜레마 항목이 포함되었습니다. 가장 많이 보고된 딜레마는 과도한 업무량으로 인한 일과 삶의 균형 부족으로, 70%의 전공의가 이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레지던트들은 과중한 업무량으로 인해 휴일에도 초과 근무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특히 외과 전공의와 산부인과 전공의는 수술의 복잡성이나 양이 많아 밤늦게까지 일하는 경우가 많다고 답했습니다. 
This theme included five dilemma items, reflecting the challenges that residents faced in fulfilling their professional duties. The most common reported dilemma was Lack of work-life balance due to excessive workload, with 70% of residents having experienced it. Residents believed it to be common to work overtime due to heavy workloads, even during holidays. In particular, surgery residents and obstetrics and gynecology residents said that they often worked late at night because of the complexity or volume of operations.

외과에서 과중한 업무량은 매우 흔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일과 삶의 균형을 맞추기 어려운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입니다. 그것은 우리가 감당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환자에게 수술이 필요하거나 수술이 매우 복잡합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C1, 외과) 
I think the heavy workload in surgery is extremely common. It is inevitable that it is difficult to balance work and life. It’s not something that we can deal with. The patient needs an operation or the operation is very complex. What can anyone do in this situation? (C1, Surgery)

또 다른 일반적인 딜레마는 급여와 복리후생이 기존 업무량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67%의 레지던트가 이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레지던트들은 의사와 마찬가지로 환자 중심의 자세를 가져야 하지만, 낮은 급여와 발생하는 특정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현실에 괴로워하며 성과에 기반한 공정한 임금 분배를 요구했습니다. 
Another common reported dilemma was Salary and benefits do not match existing workload, with 67% of residents having experienced it. Residents should hold the same patient-centered attitude as physicians, but plagued by low salary and the inability to resolve certain problems that arise, they called for performance-based fair distribution of wages.

우리는 매우 바쁘고 거의 모든 일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 사이에는 "일할 때는 의사이지만 돈을 계산할 때는 학생이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모두가 잘 알고 있는 말입니다. (E7, 외과)
It’s obvious that we are very busy, and we do almost everything. There is a very popular saying between us, which is, “you are a doctor when you work, and you are a student when they count money”. Everyone knows this well. (E7, Surgery)

레지던트의 40%는 과중한 업무량과 낮은 급여의 어려움 외에도, 매우 피곤한 상황에서도 예정된 근무 시간이 끝난 후에도 선배 의사로부터 계속 일해달라는 요청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레지던트들은 육체적, 정신적으로 피곤한 상태에서 환자를 수술하는 것이 환자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위계적인 구조 때문에 용기를 내어 거절하지 못했습니다. 
In addition to the challenges of heavy workload and low pay, 40% of residents experienced Being asked by a senior physician to continue working even after a scheduled shift time had ended, even when they were very tired. Residents thought that performing surgery on patients when they were physically and mentally fatigued would threaten patient safety, but due to the hierarchical structure, they were not brave enough to say no.

일이 너무 많다고 생각해요. 산부인과에서 야간 당직을 서고 있었는데, 밤새도록 일하다 보니 거의 하루 종일 쉬지 않고 밤낮으로 일했죠. 그런데 야간 근무를 마치고 퇴근할 때 선배 의사에게 수술이 있다고 연락이 왔어요. 그 당시 저는 이미 매우 졸려서 수술실에서 선배 의사에게 기계적으로 협조하고 있었어요. 저에게는 매우 고통스러웠고, 만약 문제가 생기면 환자에게 책임질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D3, 산부인과) 
I think it’s too much work. I was on a night shift in obstetrics, and I had been up all night, which was basically a day and a night without a break. However, when I was leaving the night shift, I was pulled in by the senior physician for a surgery. I was already very sleepy at that time, just mechanically cooperating with the senior physician in the OR. It was very excruciating for me, and I don’t think we were being responsible to the patient if something goes wrong. (D3, Obstetrics and Gynaecology)

우수성 딜레마
Excellence dilemmas

이 주제는 전공의들이 임상술기 향상이나 과학적 지식 습득 등 탁월함이나 자기계발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도전을 반영하여 총 8개의 딜레마 항목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가장 많이 보고된 딜레마는 '과학 연구, 시험, 임상 업무의 압력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기 어려움'이었으며, 전공의의 58%가 이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레지던트들은 연구 성과가 승진을 위한 필수 요건임에도 불구하고 퇴근 후를 제외하고는 낮에 과학 연구를 할 수 있는 시간이 매우 제한적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심지어 시험이 있는 날에도 선배 의사들은 전공의들이 퇴근하는 것을 꺼려했습니다. 
This theme included eight dilemma items, reflecting the difficulties and challenges that residents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pursuing excellence or self-improvement, such as improving clinical skills or acquiring scientific knowledge. The most common reported dilemma was Difficulty balancing pressures from scientific research, examinations, and clinical work, with 58% of residents having experienced it. Residents mentioned that there was very limited time for scientific research during the day, except after work, despite research achievements being a requirement for promotion. Even in the face of exams, senior physicians were reluctant to let them off work.

예를 들어, 시험이 다가오는데 상사는 제가 교육을 받으러 왔다고 생각해서 계속 일해야 한다고 생각하죠. 시험 준비를 위한 휴가를 주지 않았고, 제가 휴가를 요청해도 승인하는 것을 매우 꺼려했습니다. (E3, 내과) 
For example, there would be an exam coming up, but the superior would think that I am here for training, so I have to work for him. He wouldn’t give me leave to prepare for my exams, and he would be very reluctant to approve any leave when I ask. (E3, Internal medicine)

레지던트들은 때때로 임상 진료 표준을 준수하지 않는 정상화 실패를 보고했습니다. 한 참가자는 전공의의 표준 이하의 의료 행위를 언급했고, 그 영향을 받아 레지던트도 같은 행동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Residents sometimes reported Normalizing failures to adhere to clinical practice standards. One participant mentioned substandard medical practices by the senior physician, and under his influence, the resident began to do the same.

제 선배 의사는 임상 능력이 뛰어납니다. 하지만 그는 항상 장갑 없이 드레싱을 갈아입고, 환자를 진찰할 때도 장갑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는 매우 유능한 의사였고, 모든 사람들이 우리 부서장보다 훨씬 더 숙련되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저도 익숙해져서 장갑을 끼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 (C5, 외과) 
My senior physician has excellent clinical competence. However, he always changes dressings without gloves and also doesn’t use gloves when examining patients. But he is a very capable doctor, with everyone commenting that he is even more skilled than our department director. Then I got used to it as well, so I often don’t wear gloves either. (C5, Surgery)

또 다른 딜레마는 자신의 능력을 넘어서는 의료 업무를 독립적으로 완수하도록 부탁받는 것입니다. 레지던트의 10%만이 이러한 경험을 했다고 답했지만, 이러한 행동의 결과는 심각할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환자 안전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한 참가자는 자신이 겪은 위태로운 경험을 보고했지만 결과는 긍정적이었습니다.
Another dilemma was Being asked to independently complete medical tasks beyond one’s ability. Although only 10% of residents reported they experienced this, the consequences of this behavior can be serious and may potentially threaten patient safety. One participant reported a precarious experience he had, though the outcome was positive.

한 번은 선배 의사가 근무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갔고, 저도 퇴근 후 집에 가야 했는데 환자의 배액관이 떨어졌습니다. 이때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선배 의사에게 전화를 걸어 상황을 사진으로 찍어 보내 어떻게 해야 할지 물어봤어요. 그는 저에게 혼자서 처리하라고 했습니다. 저는 망설였지만 시키는 대로 했습니다. 시술 도중에 환자가 고통스러워 비명을 지르기 시작했고, 저는 튜브가 복막에 닿았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습니다. 저는 배액관을 빼서 소독하고 다시 시술을 진행했고, 두 번째 시술은 순조롭게 진행되었습니다. 수술 내내 침착해 보였지만 속으로는 많이 긴장했어요! (C1, 외과) 
Once my senior physician went home after his shift, and I was supposed to go home after work, but a patient’s drainage tube fell off. At this point, I did not know what to do, so I called my senior physician and sent photos of the situation to ask what to do. He told me to take care of it alone. I hesitated but did as he asked. Halfway through the procedure, the patient started to scream in pain, so I thought the tube might have touched his peritoneum. I withdrew the drain to sterilize and performed the procedure again, which worked out smoothly the second time. I looked calm the whole time, but I was very nervous inside! (C1, Surgery)

의료 자원의 공정한 관리에 대한 딜레마
Dilemmas on the fair stewardship of health care resources

이 주제에는 의료 자원의 불공정한 관리를 다룰 때 전공의들이 겪는 어려움을 반영하는 네 가지 딜레마 항목이 포함되었습니다. 가장 흔하게 보고된 딜레마는 불필요한 의료 서비스나 처방을 계속 요구하는 환자로, 66%의 전공의가 이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병원에 입원한 일부 환자는 의료 보험이 입원 환자 검사에 대해서만 환급을 해준다는 이유로 질병과 관련 없는 추가 의료 검사를 요구한다고 언급했습니다. 또한 일부 환자는 기대만큼 효과가 없을지라도 회복을 앞당기기 위해 의사에게 더 높은 등급의 항생제나 더 비싼 약을 처방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This theme included four dilemma items, reflecting the challenges that residents encountered when dealing with unfair stewardship of health care resources. The most common reported dilemma was Patients persisting to ask for unnecessary medical services or prescriptions, with 66% of residents having experienced it. Residents mentioned that some patients admitted to the hospital asked for additional medical tests not related to their disease because their medical insurance would only reimburse them for inpatient tests. Some patients also asked physicians to prescribe higher-grade antibiotics or more expensive drugs to accelerate their recovery, even if these drugs would not be as effective as they expect.

환자는 약간의 사소한 문제가 있었고 치질로 병원에 왔습니다. 그런 다음 그는 그것을 전체 검진으로 취급하고 모든 것을 확인하고 싶어했습니다. 저는 그에게 단순한 치질이라고 설명했지만 그는 제가 거짓말을한다고 생각했고 심지어 게으르다고 비난했습니다. 이런 환자에게 뭐라고 말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C3, 외과) 
The patient had some minor problems and came to the hospital for hemorrhoids. Then he treated it as a full checkup and wanted to check everything. I explained that it was simple hemorrhoids to him, but he thought I was lying to him and even accused me of being lazy. I don’t know what to say to patients like this. (C3, Surgery)


전공의들은 선배 의사들의 과잉진료를 목격했다고 보고했습니다. 그러나 일부 전공의는 의학 지식이 부족해 선배 의사의 과잉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없었다고 답했다. 
Residents reported that they witnessed Overtreatment by senior physicians. However, some residents also expressed that their medical knowledge was limited, so they could not judge whether the senior physicians were indeed overtreating.

저는 과잉진료에 대해 듣고 목격한 적이 있습니다. 한 번은 주치의가 적응증과 가이드라인을 초과하는 약물과 용량을 조합하여 사용한 적이 있습니다. 그에게는 이유가 있었어요. 더 안전하고 원활하게 치료하고 싶었을 뿐이었죠. 그래서 주치의에게 물어봤고, 주치의는 괜찮다고 대답했지만 여전히 기존 임상 지침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생각했습니다. (C10, 외과) 
I did hear about and witness excessive medical treatment. Once, my attending physician used drugs and dosages in combinations that exceeded the indications and guidelines. He had his reasons; he just wanted to make it safer and smoother. So, I asked him about it, he answered me, and I thought it was ok, but it still didn’t meet the existing clinical guidelines. (C10, Surgery)

환자 기밀 유지에 대한 딜레마
Dilemmas on patient confidentiality

이 주제는 전공의들이 환자 비밀을 지키는 데 겪는 어려움과 과제를 반영하여 4개의 딜레마 항목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한 참가자는 동료 레지던트들이 환자의 개인정보나 신원과 관련된 정보를 소셜 미디어에 게시하는 것을 목격했다고 공유했습니다. 그녀는 이러한 행동이 비전문직업적이라고 생각했지만, 이에 대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습니다.
This theme included four dilemma items, reflecting the difficulties and challenges that residents encountered in keeping patient confidentiality. One participant shared that her peers were involved in Pos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patient’s privacy or identification on social media. Though she thought the behavior was unprofessional, she did not take any action on it.

다른 사람들이 정말 귀여운 아이들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찍어 모자이크 없이 WeChat이나 웨이보에 게시하는 것을 본 적이 있습니다. 나쁜 의도는 없었다고 생각하지만 여전히 좋은 행동은 아닌 것 같아요. (D8, 소아과) 
I have seen others take photos or videos of really cute kids and then post them on WeChat or Weibo without mosaics. I don’t think they had any ill intentions, but it’s still not a very good thing to do. (D8, Pediatrics)

사전 동의에 관한 딜레마
Dilemmas on informed consent

이 주제에는 환자와 의사 모두 사전 동의 위반 시 레지던트들이 겪는 어려움을 반영하는 7가지 딜레마 항목이 포함되었습니다. 가장 흔하게 보고된 딜레마는 환자 가족의 요청이나 다른 이유로 환자에게 진실을 숨기는 것이었습니다. 레지던트들은 환자가 자신의 질병에 대해 알 권리가 있다고 믿지만, 문화적 전통과 부작용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환자의 상태를 가족에게 먼저 알리는 것을 우선순위로 삼았습니다. 
This theme included seven dilemma items, reflecting the challenges that residents encountered in violations of informed consent, for both patients and physicians. The most common reported dilemma was Concealing the truth from patients at the request of the patient’s family or for other reasons. Even though residents believed that patients had the right to know about their illness, due to cultural traditions and fear of adverse consequences, they still made it a priority to inform the family member first about the patient’s condition.

악성 종양에 걸린 환자가 있었는데 아들이 그 사실을 숨겼습니다. 제가 그 환자라면 저도 제 병에 대해 알 권리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더라도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알고 후회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환자가 정신적으로 무너지고 살 시간이 줄어들지 않도록 숨기는 것이 좋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환자에게 알려야 한다고 생각해요. (A1, 산부인과)
I had a patient who had a malignant tumor that she didn’t know about, and her son kept it from her. I thought if I was that patient, I should have the right to know my illness. Even if I don’t have much time left, I would want to know what I should do next and have no regrets. But maybe it’s good for him to keep it from her, lest she break down mentally and have less time to live. But I still think the patient should be told. (A1, Obstetrics and Gynaecology)

악성 종양을 가진 일부 환자의 경우 가족들이 의사에게 "아직 환자에게 말하지 말아주세요"라고 말합니다. 중국인의 눈에는 환자에게 말하면 환자가 소식을 견딜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B1, 내과) 
For some patients with malignant tumors, their families will say to the doctor, “Please don’t tell the patient yet.” In the eyes of Chinese people, if you tell the patient, he may not be able to bear the news. (B1, Internal medicine)

전공의들은 사전 동의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 대해 불만과 무력감을 표했습니다. 법과 정책에 따라 사전 동의서에 서명하지 않으면 환자는 수술이나 처방과 같은 특정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습니다.  
Residents expressed frustration and helplessness when it came to Inability to obtain informed consent. Due to laws and policies, without signing informed consent, patients cannot be provided certain medical services, such as surgeries or prescriptions.

저희 내과에서는 큰 수술은 하지 않지만 스텐트 삽입과 같은 최소 침습적 시술은 시행합니다. 동맥이 막혀 스텐트 삽입이 필요한 위독한 상태의 환자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가족들은 반대했습니다. 가족들은 특정 종교적 신념이 있는 것 같았고 동의서에 서명하기를 거부했습니다. 시술을 진행하기 위해 서명을 강요할 수 없었기 때문에 환자의 의료 기록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기록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E6, 내과) 
We don’t do major surgical procedures in our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but we do perform some minimally invasive procedures like stenting. I had a patient who was in a critical condition and had a blocked artery and needed stenting. But his family members disagreed. They seemed to have certain religious beliefs and refused to sign the consent form. Well, then we could only make a note of what happened in the patient’s medical record, because we couldn’t force them to sign anything for the procedure to go ahead. (E6, Internal medicine)

첫 번째 인터뷰 라운드에서 새로운 딜레마 항목이 등장했습니다: 환자나 그 가족이 오디오 녹음을 하거나 사진/비디오를 찍는 것이었습니다. 레지던트들은 이러한 행동이 의사의 사전 동의를 위반하는 것으로 인식했지만, 이를 막거나 그냥 넘어가는 등 서로 다른 반응을 보였습니다.
During the first round of interviews, a new dilemma item emerged: Patients or their families making audio recordings or taking photos/videos. Residents perceived such a behavior as a violation of informed consent for the physician but reacted differently toward it, either stopping it or letting it go.

토론
Discussion

문서 분석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행동 기반 관점에서 전문직업성 딜레마 체크리스트를 개발했습니다. 체크리스트에는 4개 영역에 걸쳐 58개 항목과 10개 하위 영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문서 분석은 수많은 기존 출판물을 바탕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대부분의 전문직업성 딜레마는 국제 사회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보충 정보 부록 B 참조). 예를 들어, 레지던트가 전문직업성 결여와 문제를 목격하거나 직접적으로 관련된 선행 연구에서 보고된 것(예: 환자에 대한 차별적이고 무례한 대우, 환자 대상화 및 표준 이하의 진료, 자신의 능력 이상의 수행 요구, 환자에게 공개적으로 모욕당함)이 이에 해당합니다. 또한 중국 문화에 고유한 전문직업성 딜레마, 특히 문화 간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대해 Ho 등이 보고한 내용을 정리했으며(Ho 등, 2017), 이러한 딜레마의 각각의 근거를 지적하고 원칙, 의미, 영향 및 문화적 규범을 언급했습니다(Ho 등, 2012). 
Through document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 developed a checklist of professionalism dilemmas from a behavior-based perspective. The checklist included 58 items over four domains, with 10 sub-domains. Since document analysis drew from a plethora of existing publications, most of the professionalism dilemmas in our checklist would be applicabl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ee Supplementary information Appendix B), such as those reported by previous studies on residents observing or being directly involved in professionalism lapses and challenges (e.g., discriminatory and disrespectful treatment of patients, objectification of patients and substandard practice, being asked to perform beyond their capability, being openly humiliated by patients). We also collated some professionalism dilemmas that are unique to the Chinese culture, especially intercultural professionalism dilemmas reported by Ho et al. (Ho et al., 2017), who also pointed out these dilemmas’ respective rationales, referencing principles, implications, affects, and cultural norms (Ho et al., 2012).

본 연구에서 전문직업성 딜레마의 중요한 원인은 "거절하기 어려움"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중국인과 미국인의 거절 전략에 대한 비교 연구에 따르면 미국인은 중국인보다 직접 거절을 훨씬 더 자주 사용하며(Cai, 2009), 중국인의 개인적 경계에 대한 내재적 장애물인 미안지(얼굴)를 발견했습니다. Mianzi는 중국인들은 체면을 잃는 것에 큰 불쾌감을 느끼며 체면이 손상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항상 노력한다는 점에서 중국 문화에 깊이 뿌리내린 심리사회적 구조입니다. 레지던트가 상사에게 거절하는 것은 이미 전 세계적으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병원 위계질서와 의료 시스템의 숨겨진 커리큘럼으로 인해 어려운 일입니다(Chang et al., 2017; Komaromy et al., 1993). 이는 때때로 전공의가 자신의 능력을 넘어서는 의료 업무를 수행하도록 요구받거나(우수성-43) 과도한 육체적, 정신적 피로에도 불구하고 초과 근무를 해야 하는 경우(의무-33)와 같이 환자 안전을 위험에 빠뜨리기도 합니다. 특히 레지던트가 자신의 진료 수준을 저하시킬 수 있는 업무에 직면했을 때 자유롭게 의견을 말할 수 있도록 제도적 차원에서 보다 전문직업적인 업무 문화를 장려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An important source of professionalism dilemmas in our study could be attributed to “difficulty saying no”. A comparative study of Chinese and American refusal strategies found that Americans use direct refusal far more frequently than the Chinese (Cai, 2009), with mianzi (face) being an inherent obstacle to personal boundaries for Chinese. The psychosocial construct of mianzi is deeply rooted in Chinese culture in that people take great offense at any loss of face, and efforts are always made to avoid face-risking situations. It is already difficult for residents to say no to their superiors owing to hospital hierarchy and the hidden curriculum of the health care system, which is a common occurrence throughout the world (Chang et al., 2017; Komaromy et al., 1993). This may sometimes even place patient safety at risk, such as when residents are required to perform medical tasks beyond their ability (Excellence-43) or when they are required to work overtime despite excessive physical and mental fatigue (Duty-33). Every effort should be made to encourage a more professional work culture, especially at a systemic level, so that residents can have the freedom to speak up when they are faced with tasks that may compromise their level of care.

친구나 동료와 같은 지인의 부탁을 거절하기는 어렵지만, 특히 중국인 전공의의 경우 더욱 그러할 것으로 보입니다. 전공의들은 친구가 우선 의료 예약을 요청하거나(청렴성-23) 동료를 위해 로그인해 달라는 요청(청렴성-24)과 같은 특정 행동이 연고주의이며 도덕적 청렴성의 기본 원칙에 위배된다는 것을 이해하지만, 대부분은 여전히 이러한 요청에 '예'라고 답합니다. 중국 문화에서 이러한 행동은 사회의 조화로운 균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렌칭renqing의 교환(Chen, 2005; Wang & Pak, 2015)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지인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것은 전공의들에게 체면을 세워줄 수 있지만, 도움을 거부하면 지인의 관계적 기대에 위배될 뿐만 아니라 유교 윤리에 기반한 더 넓은 사회적 규범에 위배되어 양측 모두 체면을 잃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Bedford, 2022). 신뢰의 감소는 지인 네트워크 내에서 화합이라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가치를 상쇄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While it is difficult for residents to say no to their acquaintances, such as friends or peers, this seems to especially be the case for Chinese residents. Although residents understand that certain behaviors, such as when friends request priority medical bookings (Integrity-23) or when they are asked to sign-in for peers (Integrity-24), are nepotic and violate basic principles of moral integrity, most will still choose to say yes to these requests. In Chinese culture, this kind of behavior can be attributed to an exchange of renqing (Chen, 2005; Wang & Pak, 2015), which is crucial to the harmonious balance of society. Helping acquaintances resolve these troubles would add much face for the residents, but if they refuse to help, it would not only violate the relational expectations of the acquaintance, it would also violate a wider social norm grounded in Confucian ethics, often resulting in both parties losing face (Bedford, 2022). The reduction in trust may imply that you have offset the paramount social value of harmony within this network of acquaintances.

중국인들은 또한 일부 어려운 환자의 요청을 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전공의의 나이가 젊어 보인다는 이유만으로 전공의가 잘 할 수 있는 시술을 더 높은 수준의 의사에게 의뢰하거나(의사소통-10, 12), 환자가 불필요하거나 과한 의료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의료 자원의 공정한 관리-44) 등 불합리해 보이는 요청에도 환자의 고집에 타협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이제 막 입사한 레지던트가 환자의 요청에 따라 개인 연락처를 알려주는 데 동의하는 현상도 있습니다(커뮤니케이션-9). 레지던트들은 학부 의학교육 과정에서 배운 이타주의의 강한 영향력을 "내가 할 수 있는 한 많이 도와야 한다"와 같은 말로 간접적으로 자주 언급했습니다. 이타주의는 조화로운 의사-환자 관계를 구축하려는 궁극적인 목표와 함께 강조되는 핵심 요소일 수 있습니다(Luo et al., 2017). 그러나 이러한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좋은 이타적 의도와 적절한 전문직업성 교육 및 제도적 지원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중국에서는 위챗이 주요 커뮤니케이션 앱으로 성장했으며, 일부 중국 의사들은 지속적인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위챗에 자체 환자 그룹을 개설하기도 합니다(Zhang, 2017). 그러나 의사들은 WeChat 연락처를 가진 환자로부터 지속적으로 압박을 받거나 심지어 괴롭힘을 당한다고 보고했으며, 이로 인해 의사들은 환자에게 개인 연락처 정보를 제공할지 여부를 놓고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만연해 있으므로 레지던트는 임상 로테이션을 시작하기 전에 사적인 채널을 통해 환자와 소통할 경우 어떤 결과가 초래될 수 있는지 알려야 합니다. 여기에는 일과 휴식 사이의 뚜렷한 이분법 부족, 비공식적인 상담으로 인한 잠재적 오진 및 위험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습니다(Hu, 2020). 이 모든 것은 중국의 의료 교육에 개인정보 보호 및 정보 관리 교육이 포함되어야 함을 시사하며, 이는 현재 아직 개발 중입니다. 일부 중국 의료진이 사적인 채널을 통해 환자와 소통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병원 내 공개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활용도가 낮고(Liu, 2017) 미국, 영국, 호주 등 국가에서 이미 시행 중인 전문직업성에 대한 통일된 소셜 미디어 가이드라인이 없기 때문이며(DeJong, 2018), 중국 의료기관은 일반적인 권고 사항(예: 사적인 채널을 통해 진단이나 치료를 해서는 안 된다)만 제시하고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채널에 대한 명확한 제한을 설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이와 같은 의사들의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문직업성 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국가 차원에서 소셜 미디어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병원은 공개 및 내부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강화하며, 지역사회 차원에서 이러한 주제에 대한 환자 교육을 실시할 것을 권장합니다. 

Chinese residents also reported difficulty saying no to the requests of some difficult patients. Even if requests seem unreasonable, the resident may compromise at the patient’s insistence, such as when patients request a higher-level physician for a procedure the resident can well take care of simply because the resident appears young in age (Communication-10 & 12) or when patients request unnecessary or over-the-top medical services (Fair stewardship of health care resources-44). A phenomenon is that some residents who are just entering the workplace would agree to give patients their personal contact information at the patient’s request (Communication-9). Residents have frequently, and sometimes indirectly, referenced the strong influence of altruism taught during thei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with statements such as, “helping as much as I can”. Altruism may be a key factor here, emphasized with the ultimate goal to build a harmonious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 (Luo et al., 2017). However, to achieve this desired outcome, good altruistic intentions would need to be paired with appropriate professionalism training and institutional support. In China, WeChat has grown to become the primary communications app, and some Chinese physicians establish their own patient groups on WeChat to provide continuation of care (Zhang, 2017). However, residents have reported being constantly pressed or even harassed by patients who have their WeChat contact, which leaves residents struggling with whether to give patients their personal contact information. Given the pervasiveness of these situations, residents should be informed the consequences of communicating with patients through private channels prior to the start of their clinical rotations. These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lack of a distinct dichotomy between work and rest and potential misdiagnoses and risks arising from informal consultations (Hu, 2020). All of this suggest that medical education in China should include privacy and information management training, which is currently still under development. As for why some Chinese medical staff continue to communicate with patients through private channels, it comes down to poorly utilized public communication channels in hospitals (Liu, 2017) and the lack of unified social media guidelines on professionalism, such as those already in effect in countries such as the US, UK, and Australia (DeJong, 2018), and Chinese medical institutions have only provided general recommendations (e.g., diagnoses or treatment should not be done via private channels) but have not established clear restrictions on unofficial communication channels. While professionalism education is paramount in the wake of this type of dilemma for residents, we also recommend that social media guidelines be set at a national level, hospitals strengthen their public and internal communication systems, and patient education on these topics be provided at the community level.

한 레지던트는 동료가 모자이크(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사진을 디지털 픽셀로 처리한 것) 처리 없이 소아 환자의 사진을 WeChat 모멘트에 게시하는 것을 목격했다고 언급했습니다(환자 기밀-50). 의사나 레지던트가 의도적이든 의도적이지 않든 위챗과 같은 소셜 미디어 앱에 환자 정보를 공개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례는 비단 한 사람에게만 국한된 것은 아닙니다. WeChat은 이제 중국에서 없어서는 안 될 올인원 앱으로, 메시징 앱으로 기능하고, 공식 계정을 호스팅하고, 대화형 소셜 피드 플랫폼(WeChat 모멘트)을 지원하고, 디지털 결제 서비스(WeChat Pay)를 제공하고, 미니 프로그램이나 비디오 채널을 제공합니다(CMI 미디어 그룹, 2020). 의료 전문가들도 WeChat을 사용하여 앱 내에서 의료용 애플릿에 액세스하고 WeChat 모멘트에서 업무 및 생활 업데이트를 공유합니다(오슬로 대학교 인문학부, 2020). 이 레지던트는 환자 사진을 소셜 미디어에 공유하는 것이 비전문직업적이라고 생각했지만, 숨겨진 커리큘럼이나 사회 규범 위반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동료에게 이 문제를 제기하거나 상사에게 보고하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법률은 의사가 환자의 사생활을 공개하는 것을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부작용에 따라 경고, 벌금, 의사 면허 정지 또는 취소에 이르는 처벌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2021). 그러나 현실적으로 의료기관이 직원들이 소셜 미디어에서 공유하는 모든 정보를 모니터링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의사와 레지던트에 대한 처벌은 환자 개인의 불만부터 병원 경영에 이르기까지 사안별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환자의 프라이버시와 의사의 전문직업성을 모두 보호한다는 관점에서, 의료 전문가에게 환자 프라이버시 침해로 간주되는 행동을 명확하게 알리는 프로그램과 가이드라인을 시행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중요합니다.  
One resident mentioned witnessing colleagues post photos of child patients without mosaic (digital pixelation of photos to protect privacy) on WeChat moments (Patient confidentiality-50). This may not be an isolated singular scenario, since at times, physicians or residents may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disclose patient information on social media apps such as WeChat. WeChat is now an indispensable all-in-one app in China, functioning as a messaging app, hosting official accounts, supporting an interactive social feeds platform (WeChat Moments), providing digital payment services (WeChat Pay), and featuring mini programs or video channels (CMI Media Group, 2020). Health professionals also use WeChat to access medical applets within the app and to share work and life updates in WeChat Moments (Faculty of Humanities of University of Oslo, 2020). For this resident, even though she believed sharing photos of patients to social media was unprofessional, she did not confront her colleagues about this or report it to her superiors, possibly for fear of the hidden curriculum or violating social constructs. Nevertheless, Chinese law explicitly prohibits physicians from disclosing patients’ privacy, and punishments ranging from warnings, fines, suspension or even revocation of physicians’ licenses can be imposed depending on the adverse consequences caused (The State Council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21). However, in actuality, it may be difficult for medical institutions to monitor all information shared by its employees on social media, so consequences against physicians and residents are more likely to crop up on a per-case basis from patients’ individual complaints to hospital management. In view of protecting both patient privacy and physician professionalism, it is equally important to implement programs and guidelines to clearly inform health professionals of behaviors that are indicative of a breach of patient privacy.


환자의 가족은 임상적 의사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Weng et al., 2011), 이는 환자 가족의 요청에 따라 환자에게 진실을 숨기는 경우(사전 동의-53), 가족의 서명 거부로 사전 동의를 받을 수 없는 경우(사전 동의-55) 등의 딜레마가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해 줍니다. 중국에서는 문화적, 사회적, 법적 요인이 환자에게 질병 상태를 완전히 공개하지 않는 데 근본적인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환자가 암 진단을 받으면 의사는 환자의 가족에게 먼저 알리고, 가족은 환자가 질병에 대해 어느 정도 알아야 하는지 결정합니다(Tang et al., 2006). 의사가 암 진단에 대한 정보를 가족에게 먼저 제공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은 중국 법률에 의해 뒷받침됩니다(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2021). 많은 중국인에게 죽음에 대한 논의는 금기시되기 때문에(Ho et al., 2017), 가족 구성원은 환자가 감당하기 힘들고 정서적 붕괴로 이어져 환자의 죽음을 앞당길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에 환자에게 진실을 밝히기 위해 숨기거나 점진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는 경향이 있습니다(Weng et al., 2011). 또한 중국의 집단주의 문화에서는 환자를 별도의 개인으로 간주하지 않고 가족의 구성원으로 간주합니다(Ho et al., 2012). 따라서 자연스럽게 임상적 결정과 정서적 부담 모두 환자의 가족 전체가 공유합니다. Su 등은 암 진단을 통보받은 직후에는 환자에게 불안과 고통을 유발할 수 있지만, 암 진단을 완전히 공개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제안합니다(Su 등., 2020). 우리는 집단주의 문화권에서 가족의 역할은 환자에게 중대한 질병을 숨기는 것이 아니라 환자에게 알린 후 환자가 정서적 부담을 감당할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구체화되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Family members of pati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clinical decision-making (Weng et al., 2011), which explains why there are dilemmas such as Concealing the truth from patients at the request of the patient’s family (Informed consent-53) and Inability to obtain informed consent owing to the family’s refusal to sign (Informed consent-55). In China, cultural, social, and legal factors play a fundamental role in not fully revealing disease status to patients. For example, when a patient is diagnosed with cancer, the physician would often first inform the patient’s family members, who would then determine how much the patient should know about the condition (Tang et al., 2006). It is supported by Chinese law that physicians may choose to give information about cancer diagnoses to family members first (The State Council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21). For many Chinese, discussions of death are taboo (Ho et al., 2017), so family members tend to conceal or take more gradual approaches to disclose the truth to the patient because they fear it would be too much for the patient to bear and would lead to an emotional breakdown that would accelerate the patient’s death (Weng et al., 2011). Additionally, under the Chinese collectivist culture, the patient is not considered to be a separate individual but rather a component of the family (Ho et al., 2012). Therefore, naturally, both clinical decisions and emotional burdens are shared by the patient’s entire family. Su et al. suggest that although it may cause anxiety and distress in patients immediately after being informed of their diagnosis, the complete disclosure of cancer diagnoses benefits patients in the long term (Su et al., 2020). We believe that in collectivist cultures, the role of the family should be embodied in helping patients bear the emotional burden after informing patients rather than concealing critical illnesses from patients.

우리의 연구 결과는 집단주의와 관계주의가 중국인이 직면하는 전문직업성 딜레마를 분석하는 데 큰 설명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 같습니다.

  • 집단주의는 상호 의존적인 사회적 지향을 나타내며, 이는 자아를 중요한 관계를 포괄하는 상호 연결된 존재로 보는 관점과 관련이 있습니다(Grossmann & Na, 2014). 집단주의 사회는 조화, 관련성, 사회적 연결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습니다(Oyserman & Lee, 2008). 또한 토착 심리학자들은 유교 문화의 영향을 강조하며 유교 사회에서 개인을 고립된 존재가 아닌 사회적 관계의 관점에서 이해할 것을 제안하며, 렌칭, 꽌시, 면지는 사회적 관계와 개인 행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입니다(Wang & Pak, 2015).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중국인들이 자기 자신에 대한 영향에 대해서는 덜 합리화하지만 자신의 행동이 가능한 모든 팀원과의 관계, 환자 및 가족과의 관계에 미치는 파급 효과에 대해서는 광범위하게 고려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Ho et al., 2012). 이는 한국, 일본, 싱가포르와 같이 유교의 영향을 받은 사회에 문화적 뿌리를 둔 의사들을 만날 때 특히 주목해야 할 현상입니다.
  • 관계주의는 유교 사회에서 더 두드러지지만, 복종과 충성의 원칙을 인정하지 않는 등 개인주의가 더 뚜렷한 사회에서도 관계에 대한 관심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Lingard et al., 2001). 아마도 전 세계의 레지던트들을 위해 의학교육자들은 현재 개인 수준에서 적용되는 원칙을 강조하는 것에서 나아가 임상 환경에서 관계의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명시적으로 도와야 할 것입니다. 

Our results seem to suggest that collectivism and relationalism have great explanatory power in the analyses of professionalism dilemmas encountered by Chinese residents.

  • Collectivism represents an interdependent social orientation, which is associated with a view of the self as interconnected, encompassing important relationships (Grossmann & Na, 2014). Collectivist societies tend to focus on harmony, relatedness, and social connection (Oyserman & Lee, 2008). Also, indigenous psychologists highlight the influence of Confucian culture and propose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in Confucian societies not in isolation but in terms of social relationships, and renqingguanxi, and mianzi are important concepts in understanding social relationships and personal behaviors (Wang & Pak, 2015). From this perspective, it is not surprising that Chinese residents rationalised less frequently about implications for self but extensively considered the rippling effects of their behaviors on their relationships with all possible team members and with patients and their families (Ho et al., 2012). It is a phenomenon to which we should pay special attention when we encounter physicians with cultural roots in Confucius-influenced societies, such as those of Korea, Japan, and Singapore.
  • Although relationalism is more pronounced in Confucian societies, attention to relationships is not absent in societies in which individualism is more evident, such as in unavowed principles of obedience and allegiance (Lingard et al., 2001). Perhaps, for residents all over the world, medical educators should move beyond the current emphasis on principles that apply at the individual level and explicitly help them to balance relationships in clinical settings.


집단주의와 관계주의는 타인에 대한 친절, 이타심, 연대, 상호 도움, 신뢰, 지원, 개선을 옹호하며(Wang, 2006), 깊은 상호의존 관계, 사회적 조화와 안정, 사회의 균형을 가져다줍니다(Oyserman et al., 2002).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결과와 앞선 논의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강한 집단주의 사회의 문화적 증상은 뚜렷한 개인적 경계가 없는 것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작성한 전문직업성 딜레마 체크리스트는 이러한 전문직업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초기 도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체크리스트에 제시된 항목과 주제는 향후 사례 연구 및 평가 루브릭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여 다양한 개입 또는 개선 접근법을 알려줄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직업성 교육은 레지던트들이 전문직업적으로 행동하고 임상에서 전문직업성 딜레마와 도전에 대처하는 데 필요한 대처 기술을 연마하고 보건 시스템 및 병원 관리 원칙과 지침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연구 결과의 또 다른 이점은 체크리스트에서 제기된 사항을 바탕으로 의학 지식의 대중화, 의료진 존중, 의료 시스템 탐색 등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다룰 수 있는 환자 교육에서의 역할이 될 것입니다.  

Collectivism and relationalism advocate kindness to others, selflessness, solidarity, and mutual help, trust, support, and improvement (Wang, 2006) and bring about deeply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social harmony and stability, and a balance to society (Oyserman et al., 2002). However, despite these positive effects, cultural symptoms of a strongly collectivist society also pose its own challenges, such as a lack of distinct personal boundaries, as demonstrat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in the previous discussion. As such, the checklist of professionalism dilemmas we have compiled may serve as an initial tool to begin tackling these professionalism challenges. The items and themes presented in the checklist would pave the way for future case studies and evaluation rubrics that could inform a variety of interventions or remedial approaches. Based on these, professionalism training would equip residents to conduct themselves professionally and also hone the necessary coping skills to deal with professionalism dilemmas and challenges in clinical practice and aid in improving health system and hospital management principles and guidelines. An added benefit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its role in patient education, where areas that require improvement, such as popularizing medical knowledge, respect for healthcare providers, and navigating the health care system, can be addressed based on points raised within the checklist.

본 연구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 인터뷰 대상자를 의도적으로 샘플링했기 때문에 편향된 대표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Tongco, 2007). 포커스 그룹은 단일 병원에서 실시되었기 때문에 다른 기관에서 근무하는 레지던트의 경험과 관찰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연구 결과를 더 많은 집단에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또한 레지던트 수련 기간이 길수록 각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대해 듣고, 목격하고, 경험한 레지던트의 비율이 더 높을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수련 기간이 다른 레지던트들을 포함했지만, 모집된 참가자 중 52%가 수련 기간이 6개월밖에 되지 않은 레지던트였기 때문에 전문직업성 딜레마에 대한 전반적인 보고율이 낮을 수 있습니다. 향후 대규모 표본 추출을 통해 레지던트를 폭넓게 대표하는 정량적 연구에서는 잠재적 편향에 대한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공과, 경력 수준,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따라 레지던트들이 보고한 전문직업성 딜레마의 범위를 비교해야 합니다. 이 버전의 전문직업성 딜레마 체크리스트가 완전한 것은 아니며 향후 임상 분야, 기관 및 지역 전반에 걸쳐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전문직업성 딜레마 체크리스트를 구성하는 것이었지만, 이 체크리스트가 실행된다면 심리측정 특성에 대한 추가 테스트를 통해 이러한 전문직업성 딜레마가 레지던트의 복지 및 제공되는 의료 서비스의 질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밝혀낼 수 있을 것입니다.  

Our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The purposive sampling of interviewees in this study could have led to a biased representation (Tongco, 2007). Focus groups were conducted at a single hospital and may not reflect the experiences and observations of residents at other institutions, so generalization of research findings to the larger population is limited. In addition, longer residency training was more likel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residents who have heard of, witnessed, and experienced each of the professionalism dilemmas. In this study, although we included residents with different training years, 52% of the recruited participants were residents who had only been in training for 6 months, which may lower the overall reporting rates of professionalism dilemmas. Future quantitative studies of a wide representation of residents through large-scale sampling should compare the range of professionalism dilemmas reported by residents across specialties, experience levels, and sociodemographic backgrounds in order to minimize concern for potential bias. It is worth noting that this version of the professionalism dilemma checklist is not inexhaustible and would benefit from future efforts to broaden input across clinical disciplines, institutions, and regions. Although the main aim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checklist of professionalism dilemmas, if this checklist is to be implemented, further testing of its psychometric properties would shed light on how these professionalism dilemmas relate to resident wellbeing and quality of health care provided.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3 Aug;28(3):939-966. doi: 10.1007/s10459-022-10198-4. Epub 2023 Jan 3.

"It really puts me in a bind", professionalism dilemmas reported by Chinese residents

Affiliations

1Institute for International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Research, China Medical University, No. 77 Puhe Road, Shenyang, 110122, People's Republic of China.

2Institute for International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Research, China Medical University, No. 77 Puhe Road, Shenyang, 110122, People's Republic of China. dlwen@cmu.edu.cn.

#Contributed equally.

PMID: 36595184

DOI: 10.1007/s10459-022-10198-4

Abstract

Residents play a pivotal role in the healthcare system. However, few tools have systematically revealed the dilemmas and challenges faced by resident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hecklist for professionalism dilemmas based on a behavior-based professionalism framework and to examine the range and proportion of professionalism dilemmas heard of, witnessed, or experienced by Chinese residents. Mixed methods were used, comprising qualitative (document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s) and quantitative (a small-scale questionnaire survey) data. Document analysis summarized professionalism dilemma items from previous publications. For focus group interviews, we used narrative inquiry to explore and make sense of resi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dilemmas. A small-scal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each focus group to investigate the proportion of professionalism dilemma items that residents reported to have heard of, witnessed, or experienced. Through document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 developed a checklist of professionalism dilemmas based on a behavior-based professionalism framework. The checklist included 58 items over four domains, with 10 sub-domains (compassion, respect, communication, collaboration, integrity, duty, pursuit of excellence, fair stewardship of health care resources, patient confidentiality, and informed consent). We also sought a preliminarily subjective impression by exploring the proportion of residents who have heard of, witnessed, and experienced each of the professionalism dilemma items and residents' perspectives when faced with professionalism dilemmas. Residents inevitably encounter or experience a diverse range of professionalism dilemmas. This checklist of professionalism dilemmas that was developed could prove to be a significant reference for targeted professionalism education, both for the resident as well as for faculty. It can also act as a helpful tool for improving hospital management guidelines and patient education.

Keywords: Document analysis; Narrative inquiry; Professionalism; Professionalism dilemma; Resident.

미국 의과대학생의 장애, 프로그램 접근성, 공감, 번아웃: 전국단위 연구(Med Educ, 2022)
Disability, program access, empathy and burnout in US medical students: A national study
Lisa M. Meeks1 | Karina Pereira-Lima2 | Melissa Plegue3 | Neera R. Jain4 | Erene Stergiopoulos5 | Catherine Stauffer6 |
Zoie Sheets7 | Bonnelin K. Swenor8 | Nichole Taylor9 | Amy N. Addams10 | Christopher J. Moreland11

 

1 서론
1 INTRODUCTION

의학교육에서 장애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할 필요성은 전 세계 장애인이 겪는 의료 격차에 대한 글로벌 보건 데이터1와 여러 국가의 의사들이 장애 환자에게 양질의 진료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는 연구 결과를 통해 입증되었습니다.2-5 이러한 필요를 해결하는 한 가지 메커니즘은 장애에 대한 일반적인 고정관념을 줄이면서 의학을 더 잘 알릴 수 있는 장애 의대생을 포용하고 지원하는 것입니다.6, 7 실제로 점점 더 많은 연구가 다양한 의료 인력이 모든 의사, 수련의, 환자에게 혜택을 줄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8-10 그러나 의학교육에서 장애 수련의가 직면하는 잠재적 기여와 과제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합니다.11 
The need for a greater understanding of disability in medical education is evidenced by global health data on health care disparities encounter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 worldwide1 and by research showing that physicians from different countries report concerns about their ability to provide quality care for disabled patients.2-5 One mechanism of addressing this need is through the inclusion and support of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may better inform medicine while reducing prevailing stereotypes of disability.6, 7 Indeed, a growing body of research suggests that a more diverse medical workforce can benefit all physicians, trainees and patients.8-10 However, research on potential contributions and challenges faced by disabled trainees in medical education is still scarce.11

장애 환자는 학대,1,12,13 차별14-19 및 의사소통의 어려움17,20-24을 경험하는 비율이 높으며, 이는 장애 환자가 직면한 건강 불평등의 잠재적 원인으로 의료진의 공감 능력 저하를 지적합니다. 반대로, 일화 보고와 질적 연구에 따르면 장애를 가진 의사와 의대생이 의료계에 기여하는 가치 있는 기여 중 하나는 환자 치료에 접근하는 고도의 공감 능력입니다.25-30 실제로 선행 연구에 따르면 장애를 가진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 모두 장애를 가진 의사가 더 공감 능력이 뛰어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31, 32 
Patients with disabilities encounter high rates of mistreatment,1, 12, 13 discrimination14-19 and communication difficulties17, 20-24 that point to diminished provider empathy as a potential contributor to health inequities faced by this population. Conversely, anecdotal reports and qualitative research suggest that one of the valuable contributions that physicians and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bring to the medical workforce is the highly empathic way they approach patient care.25-30 Indeed, prior studies have found that pati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report believing that disabled physicians are more empathic.31, 32

문헌에는 의사의 공감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있지만, 주로 환자의 관점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인지적 역량으로 정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33-36 의사의 공감은 다른 문화권의 환자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37 환자의 불안 감소, 환자 만족도 및 치료 순응도 증가, 더 나은 환자 결과와 관련이 있습니다33, 35, 38 그러나 공감은 의과대학 과정에서 감소할 수 있으며39-41 번아웃 수준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42 공감은 환자 치료를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소진은 전문성 저하,43 환자 만족도 감소44, 45 및 의료 오류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46, 47 또한 선행 연구에 따르면 공감과 소진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의대생의 높은 소진 수준은 낮은 공감 점수와 관련이 있습니다.48, 49  
While the literature contains multiple definitions of physician empathy, it is most often defined as a predominately cognitive competency of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the patient perspective.33-36 Physician empathy is highly valued by patients from different cultures37 and has been associated with decreased patient anxiety, increased patient satisfaction and adherence to treatment, and better patient outcomes33, 35, 38 However, empathy may decline over the course of medical school,39-41 whereas levels of burnout appear to increase.42 While empathy is known to improve patient care, burnout is associated with lower professionalism,43 diminished patient satisfaction44, 45 and increased medical errors.46, 47 In addition, prior studies suggest that empathy and burnout are connected, with higher levels of burnout associated with lower empathy scores in medical students.48, 49

스스로 장애가 있다고 식별한 경우, 수련 중 상당한 구조적 장벽26, 29, 50, 51이 소진을 증가시키고, 이는 다시 공감 능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선행 연구에 따르면 장애를 가진 학생들은 의과대학에서 더 높은 수준의 고통을 경험하며52, 장애를 경험한 의사가 의학교육에 더 많이 참여해야 한다는 전 세계적인 지지에도 불구하고 장애 수련의들은 의학교육에 동등하게 접근하지 못하고 있습니다.1, 26, 53, 54 의과대학 중퇴에 대한 생각과의 연관성을 고려할 때,55 장애 의대생들의 소진은 이들을 더 높은 이탈 위험에 처하게 하여 의학 분야에서 중요하지만 대표되지 않는 이 그룹의 대표성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소진과 공감 사이의 반비례 관계로 인해,48,49 장애 의대생이 보여준 높은 가치의 공감 능력이 이 집단의 소진 수준 증가로 인해 위협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장애 의대생의 번아웃 및 공감 능력 약화와 관련된 잠재적 요인을 조사한 연구는 없습니다.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편의시설에 대한 접근성 부족이 그러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For those who self-identify with a disability, substantial structural barriers during training26, 29, 50, 51 may contribute to increased burnout, which may, in turn, lead to decreased empathy. Indeed, prior research suggests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higher levels of distress during medical school52 and that disabled trainees are denied equal access to medical education despite global endorsements about the benefits of a larger representation of physicians with lived experience of disability.1, 26, 53, 54 Given its associations with thoughts of dropping out of medical school,55 burnout among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may place them at higher risk for attrition, reducing the representation of this valuable and underrepresented group in medicine. Similarly, due to the inverse associations between burnout and empathy,48, 49 it is possible that the highly valued empathy demonstrated by disabled medical students could be threatened by increased levels of burnout in this population. To our knowledge, no studies have investigated potenti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burnout and erosion of empathy among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Lack of access to effective reasonable accommodations presents one such factor.

장애가 있는 학습자의 경우, 프로그램 접근성(접근성 요구가 이미 충족된 환경으로 인해 편의를 제공받거나 편의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로 정의)은 웰빙 및 성과 결과 개선과 긍정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1년차 레지던트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 [장애를 스스로 보고하고 프로그램 접근성이 부족한 레지던트]는 장애가 없는 동료보다 인턴 기간 동안 우울 증상이 나타날 위험이 더 높았으며, 장애가 없는 레지던트와 프로그램 접근성이 있는 장애인 레지던트 모두보다 의료 과실을 스스로 보고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반대로 [장애와 프로그램 접근성을 스스로 보고한 레지던트]는 우울 증상이나 의료 오류 보고의 증가 측면에서 장애를 스스로 보고하지 않은 레지던트와 차이가 없었습니다.56

의료 전문가 학생과 수련의를 대상으로 한 또 다른 연구에서는 편의 제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우울증 위험에 대해 양성 판정을 받을 가능성이 낮아지고, 일부의 경우 취업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과 관련이 있었습니다.57 필요한 합리적인 편의에 대한 접근성 부족은 장애 의대생의 표준화된 시험 점수 저하 및 학생 진급 지연과도 관련이 있습니다.58, 59 
For learners with disability, program access, defined as access to accommodations or not needing accommodations due to an environment where access needs are already met,56 has been positively associated with improved well-being and performance outcomes. Specifically, a study of first-year medical residents demonstrated that

  • residents with self-reported disability and lack of program access were at a higher risk for developing depressive symptoms during internship than their peers without disabilities and were more likely to self-report medical errors than both resi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disabled residents with program access.
  • Conversely, residents who self-reported disability and program access did not differ from residents without self-reported disabilities in terms of increase in depressive symptoms or reports of medical errors.56 

In another study of health care professional students and trainees, higher satisfaction with accommodations was associated with lower likelihood of screening positive for the risk of depression and, for a subset, increased likelihood of obtaining employment.57 Lack of access to needed reasonable accommodations has also been associated with lower scores in standardised exams and delayed student progression among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58, 59

장애를 가진 의사는 건강 형평성 증진을 위한 다각적인 접근 방식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수 있지만, 장애를 가진 의대생의 공감 능력과 소진 정도를 조사하는 연구는 부족합니다. 이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평가하면 장애 학생의 경험을 보다 미묘하게 이해하고 추가 지원의 잠재적 필요성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로그램 접근성이 장애 수련의의 복지 및 성과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이전의 증거와56-59 국제 권고안에서 장애 접근성을 강조하는 점을 고려할 때,1, 26, 53, 54 [프로그램 접근성, 소진, 공감, 자가 보고 장애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고 소중한 인구의 복지와 성과를 더 잘 지원하기 위한 가능한 개입 대상을 식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While physicians with disabilities may be a critical part of a multifaceted approach to advancing health equity, there is a dearth of research that examines empathy and burnout measures for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Systematically assessing this data will allow for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uncover the potential need for additional support. In addition, given prior evidence that program access is closely linked with the wellbeing and performance of disabled trainees,56-59 and the emphasis on disability access across international recommendations,1, 26, 53, 54 research on the associations between program access, burnout, empathy and self-reported disabilities has the potential to identify possible targets of intervention to better support the well-being and performance of this diverse and valued population.

이 연구는 [장애를 스스로 밝힌 의대생]과 [장애가 없는 의대생]의 소진 및 공감 지표를 비교하고, 미국 의대생의 두 국가 코호트에서 스스로 밝힌 장애와 보고된 프로그램 접근성 부족이 공감 및 소진 측정과 관련이 있는지 조사하여 장애 의대생의 웰빙과 공감에 관한 문헌의 격차를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This study aimed to characterise indicators of burnout and empathy among medical students with self-disclosed disabilities, compared with those without disabilities, and to investigate whether self-disclosed disability and reported lack of program access are associated with measures of empathy and burnout in two national cohorts of US medical students, addressing the gap in literature about the well-being and empathy among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2 연구 방법
2 METHODS

2.1 연구 환경 및 참여자
2.1 Study setting and participants

우리는 미국 의과대학협회(AAMC)의 2학년 설문조사(Y2Q)에 응답한 의과대학 2학년 학생 두 코호트(2019년과 2020년)로부터 비식별화된 데이터를 확보했습니다. Y2Q는 미국 동종요법 의과대학에 재학 중인 모든 2학년 의대생을 대상으로 매년 실시하는 익명의 온라인 설문조사입니다. 전체 데이터 세트에는 2개 연도 코호트의 의대생 27,009명(2019년 코호트의 경우 151개 의대 13,967명, 2020년 코호트의 경우 153개 의대 13,042명, 2019년[21,917명] 및 2020년[22,138명] 적격 의대생 수 기준 전체 응답률 61.3%)이 포함되었습니다. 이 중 2만 3,898명(88.5%)이 '귀하는 장애(예: ADHD, 학습, 심리, 만성 건강, 이동, 청각, 시각 등)가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예 또는 아니오로 응답하여 분석에 포함되었습니다(496명[1.8%]은 '모름'이라고 응답하여 제외됨). 최종 표본은 2019년과 2020년 미국 의대 2학년 학생의 54.2%를 차지합니다. 수집된 데이터에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대, 성적 지향, 인종/민족, 코호트 연도 등), 장애 관련 질문과 함께 개인 관련 변수, 학습 환경, 소진 및 공감에 대한 측정이 포함되었습니다. 모든 데이터는 의대생이나 의과대학에 대한 식별 정보 없이 인구 수준에서 수집되었기 때문에 이 연구는 콜로라도대학교 의과대학 기관윤리심의위원회에서 면제된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역학 관찰 연구 보고 강화(STROBE) 보고 가이드라인을 따랐습니다.  
We obtained de-identified data from two cohorts (2019 and 2020) of second-year medical students who replied to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Year 2 Questionnaires (Y2Q). The Y2Q is an anonymous online survey that is administered annually to all second-year medical students actively enrolled in US-allopathic medical schools. The complete dataset included 27 009 medical students from two yearly cohorts (13 967 from 151 medical schools for the 2019 cohort and 13 042 from 153 medical schools for the 2020 cohort; overall response rate of 61.3% based on the number of eligible second-year medical students in 2019 [21 917] and 2020 [22 138]). Of those, 23 898 (88.5%) provided a yes or no response to the question ‘Are you a person with a disability (e.g., ADHD, learning, psychological, chronic health, mobility, hearing, vision, etc.)?’ and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496 [1.8%] replied ‘I don't know’ and were excluded). The final sample represents 54.2% of second-year US medical students in 2019 and 2020. Obtained data includ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e. sex, age group, sexual orientation, race/ethnicity and cohort year), disability-related questions, along with measures of personal-related variables, learning environment, burnout and empathy. Given that all data were obtained on a population-level without any identifying information about medical students or their medical schools, the study was deemed exempt by the University of Colorado Medical School Institutional Review Board and followed the 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STROBE) reporting guideline.

2.2 조치
2.2 Measures

2.2.1 장애 관련 질문
2.2.1 Disability-related questions

장애 상태 및 유형
Disability status and type

의대생의 장애 상태'장애(예: ADHD, 학습, 심리, 만성 건강, 이동성, 청각, 시각 등)가 있는 사람입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응답을 통해 평가되었습니다. 장애 상태 질문에 대한 가능한 응답에는 '예', '아니오' 또는 '모르겠다'가 포함되었습니다. 장애 유형'다음 중 귀하의 장애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은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을 사용하여 결정되었습니다. 장애 유형이 두 가지 이상인 경우 해당되는 항목을 모두 선택하세요'. 이 질문에는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ADHD)', '만성 건강 장애', '청각 장애 또는 난청', '학습 장애', '이동 장애', '심리적 장애', '시각 장애' 또는 '기타' 등의 응답이 가능했습니다. 
Medical students' disability status was assessed through their responses to the question ‘Are you a person with a disability (e.g., ADHD, learning, psychological, chronic health, mobility, hearing, vision, etc.)?’ Possible responses to the disability-status question included ‘yes’, ‘no’, or ‘I don't know’. Disability type was determined using the question ‘Which of the following best describes your disability? If you have more than one type, select all that apply’. Available responses to this question included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chronic health disability’, ‘deaf or hard of hearing’, ‘learning disability’, ‘mobility disability’, ‘psychological disability’, ‘visual disability’ or ‘other’.

프로그램 접근성
Program access

장애가 있는 학생에게 의과대학에서 장애에 대한 편의를 제공했는지 여부를 물었습니다(예/아니오). '아니오'라고 답한 응답자에게는 "다음 중 의과대학에서 편의를 제공하지 않았거나 제공하지 않은 이유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은 무엇입니까?"라는 추가 질문이 주어졌습니다. 응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편의 요청이 거부됨', '편의 요청이 검토 중임', '편의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편의 요청을 하지 않음', '기타 이유로 편의 요청을 하지 않음'. 이전 연구56, 60에 따라 프로그램 접근성을 코딩하여 편의를 제공받았거나 편의가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학생을 포함했습니다. 그 외의 모든 응답은 프로그램 접근성 부족으로 코딩했습니다.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asked whether their medical school provided accommodations for their disabilities (yes/no). Those who replied ‘no’ were further asked the question ‘Which of the following best describes why your medical school did not or has not provided accommodations?’ Responses included: ‘my request for accommodations was denied’, ‘my request for accommodations is under review’, ‘I have not requested accommodations because I feel I do not need accommodations’ and ‘I have not requested accommodations for other reasons’. In keeping with previous studies,56, 60 we coded program access to include students reporting receiving accommodations or not needing accommodations. All other responses were coded as lack of program access.

2.2.2 번아웃
2.2.2 Burnout

번아웃 증상은 의대생용 올덴버그 번아웃 인벤토리(OLBI-MS)61,62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는데, 이는 Oldenburg 번아웃 인벤토리(OLBI)를 수정 및 단축한 버전입니다.61 OLBI-MS는 번아웃의 두 가지 차원인 탈진(8개 항목, 본 연구 표본에서 크론바흐 알파 = 0.8)과 이완(8개 항목, 본 연구 표본에서 크론바흐 알파 = 0.8)을 측정하는 16개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Demerouti와 Bakker에 따르면,61 소진은 '격렬한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긴장의 결과, 즉 특정 직무 요구에 장기간 노출된 장기적인 결과'로 정의되며, OLBI의 disengagement 항목은 개인과 업무의 관계, 특히 '업무와의 동일시 및 같은 직업을 계속할 의지와 관련하여'61 개인과 업무의 관계에 관한 것입니다.62 OLBI의 의대생 버전(OLBI-MS)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업무'라는 단어를 '학습'로 대체합니다. 각 하위 척도는 0-3점 척도로 측정되는 각 항목의 합산으로 계산됩니다. 점수가 높을수록 번아웃 수준이 높음을 나타냅니다. 전체 의대생 인구의 번아웃 수준이 높고,42 심리측정 특성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OLBI가 번아웃에 대한 임상적 컷오프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여,63 Y2Q에 응시한 전체 의대생 표본에 대한 특정 하위 그룹 점수 범위에 임상적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사분위수를 사용했습니다. 따라서 의료 전문가64 및 의대생의 소진을 평가하기 위해 OLBI 및 OLBI-MS를 사용한 선행 연구의 절차에 따라,65 각 OLBI-MS 하위 척도에서 학생들의 점수는 75번째 백분위수 이상에서 높은 것으로 분류되었습니다(즉, 전체 Y2Q 표본에서 높은 탈진 14 이상, 높은 몰입도 12 이상 [N = 27 009]). 
Burnout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Oldenburg Burnout Inventory for Medical Students (OLBI-MS),61, 62 which is a modified and shortened version of the Oldenburg Burnout Inventory (OLBI).61 The OLBI-MS consists of 16 items measuring two dimensions of burnout—exhaustion (8 items, Cronbach's alpha = 0.8 in the present study sample) and disengagement (8 items, Cronbach's alpha = 0.8 in the present study sample). According to Demerouti and Bakker,61 exhaustion is defined as ‘a consequence of intense physical, affective and cognitive strain, i.e. as a long-term consequence of prolonged exposure to certain job demands’, and the disengagement items from the OLBI concern the relationship of individuals with their work,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identification with work and willingness to continue in the same occupation’.61 In the medical student version (OLBI-MS) of the OLBI, the word ‘work’ is substituted by ‘studies’ on every item.62 Each subscale is calculated by summing across its items, which are measured on a 0–3 point scale. Higher scores indicate higher levels of burnout. Given the high levels of burnout among the overall population of medical students,42 and that despite having good psychometric properties, the OLBI does not provide clinical cutoffs for burnout,63 quartiles were used to provide clinical meaning to the ranges of specific subgroup scores relative to the total sample of medical students who took the Y2Q. Therefore, following the procedures of prior studies that used the OLBI and OLBI-MS to assess burnout among health professionals64 and medical students,65 students' scores in each OLBI-MS subscale were categorised as high at the 75th percentile and above (i.e. high exhaustion ≥ 14 and high disengagement ≥ 12 in the complete Y2Q sample [N = 27 009]).

2.2.3 공감
2.2.3 Empathy

공감은 대인관계 반응성 지수(IRI)의 관점 취하기 및 공감적 관심 하위 척도에서 파생된 8개 항목을 사용하여 측정했습니다.66, 67 IRI 점수는 0-4점 척도로 측정되는 8개 항목의 합산으로 계산됩니다. 가능한 점수 범위는 0~32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공감 수준이 높음을 나타냅니다. 본 연구에서 IRI의 크론바흐 알파는 0.8이었습니다. 공감 능력의 저하가 환자 치료 결과의 저하와 관련이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의대생 전체 인구와 비교하여 자가 보고 장애가 낮은 공감 능력과 관련이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전체 Y2Q 표본에서 25번째 백분위수 이하의 IRI 점수(IRI ≤ 22)를 낮은 공감 능력으로 분류했습니다. 
Empathy was measured using eight items derived from the perspective taking and empathic concern subscales of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66, 67 The IRI scores are calculated by summing across the 8 items, which are measured on a 0–4 point scale. The possible range of scores is 0–32, with higher scores indicating higher levels of empathy. The Cronbach's alpha for the IRI in the present study was 0.8. Given that reduced empathy is associated with poorer patient care outcomes, IRI scores at the 25th percentile or below in the complete Y2Q sample (IRI ≤ 22) were categorised as low empathy in order to assess whether self-reported disability is associated with a higher or lower risk of presenting low empathy in relation to the overall population of medical students.

2.2.4 개인 관련 조치
2.2.4 Personal-related measures

모호성에 대한 내성은 7항목으로 구성된 모호성에 대한 내성 척도(TFA)를 사용하여 측정했습니다.68 TFA는 불확실한 상황에 대처하는 개인의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1~6점 척도로 측정되는 7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TFA 점수는 7개 항목의 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계산되며, 총점 범위는 7-42점입니다. TFA 점수가 높을수록 모호성에 대한 내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본 연구 샘플의 TFA에 대한 크론바흐 알파는 0.8이었습니다.
Tolerance for ambiguity was measured using the 7-item Tolerance for Ambiguity Scale (TFA).68 The TFA is designed to measure the individual's ability to cope with situations of uncertainty and includes seven items measured on a 1–6 point scale. TFA scores are calculated by summing scores across all seven items, with a possible total score range of 7–42. Higher scores on the TFA indicate higher tolerance for ambiguity. The Cronbach's alpha for TFA in the present study sample was 0.8.

현재 인식하는 삶의 질에 대한 결과를 통제하기 위해 전반적인 삶의 질, 정신적, 육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웰빙 등 삶의 6가지 측면에 대한 응답자의 인식을 측정하는 6항목 선형 아날로그 자기 평가 척도(LASA-6)를 포함시켰습니다. LASA-6 점수는 0~10점 척도로 평가되는 각 항목의 점수를 합산하여 계산됩니다(본 연구 표본의 경우 크론바흐 알파 = 0.9). 총 점수의 가능한 범위는 0-60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To control the results for current perceived quality of life, we included the 6-item Linear Analogue Self-Assessment Scale (LASA-6), which measures respondents' perceptions about the following six aspects of life: overall quality of life, mental,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spiritual well-being. LASA-6 scores are calculated by summing across its items, which are rated on a 0–10 point scale (Cronbach's alpha = 0.9 in the present study sample). The possible range of the total score is 0–60, with higher scores indicating higher perceived quality of life.

2.2.5 학습 환경 측정
2.2.5 Learning environment measures

학습 환경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의과대학 학습 환경 설문조사(MSLES)를 통해 측정되었습니다.69 MSLES는 정서적 분위기(3개 항목), 교수 상호작용(4개 항목), 학생-학생 상호작용(4개 항목) 등 학습 환경의 세 가지 차원을 측정하는 11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하위 척도는 0~5점 척도로 측정되는 개별 항목의 합산으로 계산됩니다. MSLES 하위 척도의 점수가 높을수록 학습 환경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MSLES 하위 척도의 크론바흐 알파 값은 정서적 분위기에서 0.9, 교수진 상호작용에서 0.8, 학생-학생 상호작용에서 0.8이었습니다.
Students' perceptions regarding their learning environment were measured through the Medical School Learning Environment Survey (MSLES).69 The MSLES consists of 11 items measuring three dimension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emotional climate (3 items), faculty interactions (4 items) and student–student interactions (4 items). Each subscale is calculated by summing across the individual items, which are measured on a 0–5 point scale. Higher scores on MSLES subscales indicate a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 learning environment. Cronbach's alpha values for the MSLES subscales were 0.9 for emotional climate, 0.8 for faculty interactions and 0.8 for student–student interactions.

2.3 통계 분석
2.3 Statistical analyses

2.3.1 장애 상태, 공감 및 번아웃 간의 연관성
2.3.1 Associations between disability status, empathy and burnout

전체 샘플에 대한 기술 요약 통계를 계산하고 장애 상태(즉, 장애가 있는 학생과 없는 학생)에 따라 계층화했습니다. 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 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차이는 카이제곱 테스트를 사용하여 평가했습니다. 성별, 성적 지향, 연령대, 인종/민족, 코호트 연도, TFA 점수, LASA-6 점수, MSLES 하위 척도 점수 등 인구통계학적, 개인 관련 및 학습 환경 공변수를 고려한 조정되지 않은 오즈비(OR)와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모델을 사용하여 장애 유무와 높은 소진, 높은 참여도 및 낮은 공감 지표 간의 연관성을 조사했습니다. 이전 연구에 따르면 높은 소진이 공감에 해롭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에,41, 48, 70, 71 낮은 공감에 대한 다변량 모델에는 높은 소진높은 참여도도 독립 공변량으로 포함되었습니다. 또한 장애 상태, 공감, 소진 사이의 관찰된 연관성에서 특정 장애 유형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찰력을 얻기 위해 높은 소진, 높은 참여도, 낮은 공감의 다변량 모델에서 각 개별 장애 유형을 순차적으로 제외하여 민감도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We calculated descriptive summary statistics for the overall sample and stratified by disability status (i.e.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were assessed using chi-squared tests. We examined for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presence of disabilities and indicators of high exhaustion, high disengagement and low empathy using unadjusted odds ratio (OR) an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models accounting for the following demographic, personal-related and learning environment covariates: sex, sexual orientation, age group, race/ethnicity, cohort year, TFA score, LASA-6 score and MSLES subscale scores. Because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high burnout is detrimental to empathy,41, 48, 70, 71 multivariable models for low empathy also included high exhaustion and high disengagement as independent covariates. Additionally, to gain insight into the influence of specific types of disability in any observed associations between disability status, empathy and burnout, we performed sensitivity analyses by serially excluding each individual disability type from our multivariable models of high exhaustion, high disengagement, and low empathy.

2.3.2 프로그램 접근, 공감, 소진 사이의 연관성 분석
2.3.2 Associations between program access, empathy and burnout


의대생의 소진 및 공감 지표와 프로그램 접근성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2단계 2차 분석을 실시했습니다: 먼저, 조정되지 않은 OR을 사용하여 장애가 보고된 학생의 하위 집합 내에서 프로그램 접근성 부족과 높은 소진, 높은 참여도 및 낮은 공감 지표의 존재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했습니다. 그 후, 인구통계학적, 개인 관련, 학습 환경 및 소진 측정을 고려하면서 높은 소진, 높은 참여도, 낮은 공감도 지표가 장애 상태 및 프로그램 접근과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는 다변량 로지스틱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번아웃 측정치는 공감에 대한 다변량 모델에서 독립 공변량으로만 포함되었습니다. 
To identify possible associations of program access with indicators of burnout and empathy among medical students, we performed a two-step secondary analysis: First, we examined for associations between lack of program access with the presence of indicators of high exhaustion, high disengagement and low empathy within the subset of students with reported disabilities using unadjusted OR. Subsequently, we performed multivariable logistic analyses examining whether indicators of high exhaustion, high disengagement and low empathy associated with disability status and program access while accounting for demographic, personal-related, learning environment and burnout measures. Burnout measures were only included as independent covariates in multivariable models for empathy.

모든 통계 분석에서 양변량 p < .05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모든 분석은 SPSS-21(IBM Corp)을 사용하여 수행되었습니다. 
A two-sided p < .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ll statistical analyses. Al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21 (IBM Corp).

3 결과
3 FINDINGS

본 연구에 포함된 2학년 의대생 2만 3,898명(2019년과 2020년 미국 의대생 2학년의 54.2%) 중 2438명(10.2%)이 장애가 있다고 스스로 밝혔습니다. 장애를 보고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장애가 있는 학생은 여성(χ2 = 8.1, df = 1, p = .004), 나이가 많거나(χ2 = 212.5, df = 1, p < . 0001), 레즈비언, 게이 또는 양성애자(χ2 = 353.9, p < .0001), 의학계에서 소외된 인종 및 민족 그룹(χ2 = 31.9, df = 1, p < .0001) 및 2020년 코호트(χ2 = 12.8, df = 1, p < .0001) 출신일 가능성이 높았습니다(표 1). 
Of the 23 898 second-year medical students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54.2% of second-year US medical students in 2019 and 2020), 2438 (10.2%) self-identified as having a disability. Compared with students who did not report a disabil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more likely to be women (χ2 = 8.1, df = 1, p = .004), older (χ2 = 212.5, df = 1, p < .0001), lesbian, gay or bisexual (χ2 = 353.9, p < .0001), from racial and ethnical groups underrepresented in medicine (χ2 = 31.9, df = 1, p < .0001) and from the 2020 cohort (χ2 = 12.8, df = 1, p < .0001) (Table 1).

 

3.1 장애를 보고한 학생과 보고하지 않은 학생의 소진 및 공감 능력
3.1 Burnout and empathy among students with and without reported disabilities

장애를 보고한 학생은 장애가 없는 학생에 비해 높은 소진(1181명 [49.3%] 대 6433명 [30.6%], OR 2.21 [95% CI, 2.01-2.40])과 높은 이탈disengagement (979명 [40.7%] 대 6291명 [29.9%], OR 2.21 [95% CI, 2.01-2.40])를 보고할 가능성이 훨씬 더 높았습니다(장애가 없는 학생에 비해 장애를 보고한 학생의 소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음). 공감 점수의 경우, 장애가 없는 동료보다 장애가 있는 동료가 낮은 공감을 나타낼 가능성이 현저히 낮았습니다(608 [25.5%] 대 6531 [31.1%], OR 0.76, 95% CI [0.69-0.83]). 
Compared with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students who reported disabilitie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report high exhaustion (1181 [49.3%] vs. 6433 [30.6%], OR 2.21 [95% CI, 2.01–2.40]) and high disengagement (979 [40.7%] vs. 6291 [29.9%], OR 2.21 [95% CI, 2.01–2.40]). With respect to empathy scores, SWD were significantly less likely to present low empathy than their colleagues without disabilities (608 [25.5%] vs. 6531 [31.1%], OR 0.76, 95% CI [0.69–0.83]).


인구통계학적, 개인 관련 및 학습 환경 특성을 고려한 다변량 모델에서 스스로 보고한 장애의 존재는 높은 소진(OR 1.60 [95% CI, 1.43-1.79]) 및 높은 이탈(OR 1.11 [95% CI, 1.001-1.24])의 확률을 높이고, 낮은 공감(OR .74 [95% CI, 0.66-0.82]) 확률을 낮추는 것과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였습니다(표 2). 다변량 모델에서 개별 장애 유형을 순차적으로 제외민감도 분석 결과, 장애 학생은 단일 장애 유형을 제거하더라도 높은 소진(1.42 [95% CI, 1.21-1.67] ~ 1.63 [95% CI, 1.44-1.83])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고 낮은 공감(.65 [95% CI 0.55-0.76] ~ 0.80 [95% CI, 0.71-0.90]) 확률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와는 달리, 다변량 모델에서 만성 건강, 청각 또는 심리적 장애가 있는 학생을 제거했을 때 장애가 있는 학생의 높은 이탈disengagement 확률이 더 이상 높지 않았습니다(1.09 [95% CI, 0.97-1.23]에서 1.19 [95% CI, 1.02-1.40])(그림 S1). 

In multivariable models accounting for demographic, personal-related and learn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the presence of a self-reported disabil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odds of high exhaustion (OR 1.60 [95% CI, 1.43–1.79]) and high disengagement (OR 1.11 [95% CI, 1.001–1.24]) and lower odds of presenting low empathy (OR .74 [95% CI, 0.66–0.82]) (Table 2). Sensitivity analyses serially excluding each individual disability type from multivariable models demonstrated that disabled students continued to present significantly higher odds for high exhaustion (from 1.42 [95% CI, 1.21–1.67] to 1.63 [95% CI, 1.44–1.83]) and significantly lower odds for low empathy (from .65 [95% CI 0.55–0.76] to 0.80 [95% CI, 0.71–0.90]) regardless the removal of any single disability type. Differently, students with disability were no longer more likely to present higher odds for high disengagement when either students with chronic health, hearing or psychological disabilities were removed from multivariable models (from 1.09 [95% CI, 0.97–1.23] to 1.19 [95% CI, 1.02–1.40]) (Figure S1).

 

3.2 프로그램 접근과 소진 및 공감 지표의 연관성
3.2 Associations of program access with indicators of burnout and empathy

프로그램 접근성이 있는 SWD와 비교했을 때, 프로그램 접근성이 없다고 답한 SWD는 높은 소진(229 [67.4%] 대 931 [46.4%], OR 2.39, 95% CI [1.87-3.04]) 및 높은 이탈(193 [56.4%] 대 771 [38.4%], OR 2.08, 95% CI [1.65-2.63])를 보일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높았습니다. 반면, 낮은 공감과 프로그램 접근성 부족 사이에는 유의미한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았습니다(93 [27.5%] 대 505 [25.3%], OR 1.12, 95% CI [0.86-1.45])(그림 1). 

Compared with SWD with program access, SWD who reported not having program acces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present high exhaustion (229 [67.4%] vs. 931 [46.4%], OR 2.39, 95% CI [1.87–3.04]) and high disengagement (193 [56.4%] vs. 771 [38.4%], OR 2.08, 95% CI [1.65–2.63]). In contrast, no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identified between low empathy and lack of program access among SWD (93 [27.5%] vs. 505 [25.3%], OR 1.12, 95% CI [0.86–1.45]) (Figure 1).

인구통계학적, 개인 관련 및 학습 환경 공변량을 고려한 다변량 모델에서 장애 학생은 프로그램 접근 여부에 관계없이 장애가 없는 학생보다 높은 소진 지표를 나타낼 가능성이 더 높았습니다(접근 요구 충족, OR 1.50 [95% CI, 1.34-1.69]; 접근 부족 OR 2.59 [95% CI, 1.93-3.49]). 또한, 프로그램 접근이 가능한 장애 학생은 프로그램 접근이 부족한 학생보다 높은 소진 증상을 보일 가능성이 낮았습니다(프로그램 접근이 가능한 장애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 비교, OR 0.58 [95% CI, 0.42-0.79]). 반면, 프로그램 접근성이 부족하다고 보고한 장애 학생은 비장애 학생보다 높은 소진 지표를 나타낼 가능성이 훨씬 더 높았지만(OR 1.43 [95% CI, 1.09-1.87]), 프로그램 접근성이 있는 SWD는 그렇지 않았습니다(OR 1.09 [95% CI, 0.97-1.22]).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프로그램 접근 권한이 있는 SWD는 프로그램 접근 권한이 없는 SWD보다 높은 참여도를 보일 가능성이 낮은 경향을 보였습니다(OR 0.76 [95% CI, 0.57-1.01]; p = .06). 공감과 관련하여, 두 그룹 모두 장애가 없는 또래보다 낮은 공감 지표를 나타낼 가능성이 낮았습니다(접근 요구 충족, OR 0.75 [95% CI, 0.67-0.85]; 접근 부족, OR 0.68 [95% CI, 0.52-0.90]). 프로그램 액세스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낮은 공감 확률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프로그램 액세스는 공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OR 1.10 [95% CI, 0.82-1.48])(표 3).

In multivariable models accounting for demographic, personal-related and learning environment covariates, disabled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present indicators of high exhaustion than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regardless of program access (access needs met, OR 1.50 [95% CI, 1.34–1.69]; lack of access OR 2.59 [95% CI, 1.93–3.49]). Further, SWD with program access were less likely to present high exhaustion than their counterparts reporting lack of program access (SWD with program access vs. without, OR 0.58 [95% CI, 0.42–0.79]). In contrast, whereas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porting lack of program acces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han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 present indicators of high disengagement (OR 1.43 [95% CI, 1.09–1.87]), SWD with program access were not (OR 1.09 [95% CI, 0.97–1.22]). Although not significant, SWD with program access showed a tendency towards being less likely to present high disengagement than SWD without program access (OR 0.76 [95% CI, 0.57–1.01]; p = .06). With respect to empathy, both groups of SWD were less likely than their peers without disabilities to present indicators of low empathy (access needs met, OR 0.75 [95% CI, 0.67–0.85]; lack of access, OR 0.68 [95% CI, 0.52–0.90]). Program access did not seem to impact empathy a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ow empathy odds between SWD with and without access (OR 1.10 [95% CI, 0.82–1.48]) (Table 3).

 

4 토론
4 DISCUSSION

저희가 아는 한, 의대생들의 공감 능력, 소진, 프로그램 접근성, 장애 사이의 연관성을 체계적으로 조사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미국 의대생의 전국 표본 데이터를 사용하여 장애 학생의 번아웃 증상 빈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장애 학생이 비장애 학생에 비해 공감 능력이 낮을 가능성이 유의하게 낮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중요한 점은 프로그램 접근성을 고려한 후에도 [프로그램 접근성이 있는 장애 학생]은 [비장애 학생]과 높은 이탈 측면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프로그램 접근성과 관계없이 공감도가 낮다고 보고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이 집단이 공감 능력이 뛰어난 인력과의 관련성을 강조하고 장애 의대생의 복지와 유지를 위해 프로그램 접근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empathy, burnout, program access and disability among medical students. With the use of data from a national sample of US medical students, we identified that despite the high frequency of burnout symptoms among disabled students, this population was significantly less likely to present low empathy than their peers without disabilities. Importantly, after accounting for program access, disabled students who had program access did not differ from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erms of high disengagement and did not report low empathy regardless of program access. These data highlight the relevance of this population to a more empathic workforce and underscore the critical role of program access to the well-being and retention of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이전 연구에 따르면 공감 점수가 높을수록 인구통계학적 요인(예: 여성 성별,39, 72-74 고령,72, 73 소외된 인종/민족75 및 성적 소수자76), 모호성에 대한 높은 내성,77 더 나은 삶의 질,74 학습 환경에 대한 더 긍정적인 인식72 및 낮은 참여도72, 74, 78, 79 우리의 연구 결과는 장애와 높은 공감 사이의 연관성이 의대생의 공감과 관련된 이러한 잘 알려진 요인들을 고려한 후에도 지속된다는 사실을 입증함으로써 문헌에 추가되었습니다. 특히 프로그램 접근성을 고려한 다변량 모델에서는 프로그램 접근성이 있는 장애 학생과 없는 장애 학생 모두 비장애 학생에 비해 공감 능력이 낮을 가능성이 적었으며, 이는 프로그램 접근성이 제공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공감 능력이 유지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장애에 대한 생생한 경험이 장애 의대생의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는 강력한 보호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Prior studies demonstrate that higher empathy scores are associated with demographic factors (e.g. female sex,39, 72-74 older age,72, 73 underrepresented race/ethnicity75 and sexual minorities76), higher tolerance for ambiguity,77 better quality of life,74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the learning environment72 and lower disengagement.72, 74, 78, 79 Our study results add to the literature by demonstrating that the associations between disability and higher empathy persisted even after accounting for these well-established factors associated with empathy among medical students. Notably, multivariable models accounting for program access identified that both disabled students with and without program access were less likely to present low empathy than their peers without disabilities, suggesting that even in situations where program access is not provided, empathy remains preserved.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lived experience of disability25, 26, 28 may be a robust protective factor, leading to increased empathy among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수련 의사를 대상으로 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프로그램 접근성이 장애 학습자의 웰빙과 성과에 매우 중요하다고 합니다.56, 58 본 연구 결과는 프로그램 접근성이 장애 의대생의 낮은 소진 및 낮은 이탈과 관련이 있으며, 장애와 프로그램 접근성을 스스로 보고하는 학생과 비장애 동료의 이탈 지표가 다르지 않음을 보여줌으로써 이러한 지식을 뒷받침합니다. 소진exhaustion이 탈진burnout의 스트레스 요소로 이해되고 이탈disengagement이 학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와 같은 직업을 계속 유지하지 않으려는 태도와 관련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61,80 본 연구 결과는 장애 의대생의 복지와 유지에 있어 프로그램 접근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는 의과대학별로 장애 접근성을 알리는 전문 지식의 수준이 다양하다는 일화 보고서에서 특히 주목할 만합니다.26 2021년 연구에 따르면 미국 의과대학의 35%가 AAMC 고려사항에 따라 장애 공개 시스템을 유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50 이와 동시에 의과대학에 장애 전문 인력을 배치하여 장애 학생 집단을 위한 효과적인 편의를 개선하고 지원을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는 여러 요구가 있었습니다.26, 51, 81 우리의 연구 결과는 이러한 권고사항과 장애 공개 및 편의 요청에 대한 구조적 장벽을 제거할 필요성을 뒷받침합니다.50, 82 일반적으로 보고된 구조적 장벽에는 장애 공개 과정에서의 이해 상충(예: 학생의 평가 또는 승진에 역할을 맡은 개인이 학생의 편의 요청 검토에 관여하는 경우),25, 29, 81 장애 자원 전문가들의 편의에 대한 전문 지식 및 지식 부족26, 50 모범 사례 및 관련 장애 및 판례법에 의해 알려지지 않은 장애 공개 시스템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습니다.81 

Recent studies with training physicians suggest that program access is critical to the well-being and performance of learners with disabilities.56, 58 Our results endorse this body of knowledge by demonstrating that program access was associated with lower exhaustion and disengagement among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at students self-reporting disabilities and program access did not differ from their colleagues without disabilities in terms of disengagement indicators. Given that exhaustion is understood as the stress component of burnout and disengagement is associated with negative attitudes toward one's studies and unwillingness to continue in the same profession,61, 80 our findings suggest a critical role of program access to the well-being and retention of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is particularly noteworthy as anecdotal reports suggest varying levels of expertise informing disability access across medical schools.26 A 2021 study demonstrated that 35% of US medical schools did not maintain disability disclosure systems in alignment with AAMC considerations.50 In parallel, multiple calls support the benefit of having specialised disability personnel for the medical school to enhance effective accommodations and communicate support for the popul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26, 51, 81 Our findings support these recommendations and the need to remove structural barriers to disability disclosure and accommodation request.50, 82 Commonly reported structural barri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onflicts of interest in the disability disclosure process (e.g. when individuals who hold a role in students' assessment or promotion are involved in the review of students' requests for accommodations),25, 29, 81 lack of expertise and knowledge about accommodations among disability resource professionals26, 50 and disability disclosure systems that are not informed by best practices and relevant disability and case law.81

이 연구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 첫째, 횡단면 설계로 인해 인과관계나 확인된 연관성의 방향에 대한 명확한 결론을 내릴 수 없습니다.
  • 둘째, 표본 규모가 크고 응답률이 높지만 의대 2학년생에 초점을 맞춘 데이터이기 때문에 의대 교육 전반에 걸친 공감의 안정성에 대해 보고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됩니다.
  • 셋째, 본 연구 측정의 자기보고적 특성은 장애 및 정신 건강 공개에 대한 학생들의 기밀성 우려를 줄이는 데 중요하지만, 이러한 측정은 낙인, 편견 및 공식 평가에 대한 접근성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학생들의 공개 결정에 의해 제한될 수 있습니다.26
  • 넷째, 우수한 심리측정 특성에도 불구하고61 OLBI는 선별 도구이며 번아웃에 대한 임상 평가가 아닙니다.
  • 다섯째, 본 분석에는 의대생의 소진 및 공감과 관련이 있을 수 있는 몇 가지 인구통계학적, 개인 관련 및 학습 환경 요인이 포함되었지만, 의료 시스템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 이전 학업 환경에서의 장애 공개 및 프로그램 이용과 같은 잠재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다른 요인은 설문조사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 여섯째, 민감도 분석 결과 단일 장애 유형이 스스로 공개한 장애와 소진 및 공감 지표 간의 연관성과 관련된 전반적인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특정 유형의 장애를 보고한 학생 수가 적어 각 장애 유형에 따른 다변량 분석을 수행할 수 없었습니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필요한 경우 스스로 보고한 편의 제공 부족을 통해 프로그램 접근성 부족을 파악하고자 했지만, 장애 접근성은 편의 제공을 넘어 낙인찍는 태도와 편견 등 환경과 포용성을 형성하는 추가적인 장벽을 포함하는 다요인적 구조입니다.

This study has limitations.

  • First, its cross-sectional design does not allow definitive conclusions about causality or the direction of the identified associations.
  • Second, despite the large sample size and high response rate, the data focus on second-year medical students, reducing our ability to report on the stability of empathy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 Third, although the self-reported nature of our study measures is critical to reducing students' confidentiality concerns regarding disability and mental health disclosures, these measures may be limited by students' decision to disclose, which can be influenced by stigma, bias and access to formal evaluation.26 
  • Fourth, despite its good psychometric properties,61 the OLBI is a screening instrument and not a clinical assessment of burnout.
  • Fifth, although our analyses included several demographic, personal-related and learning environment factors that are likely relevant for burnout and empathy among medical students, the survey does not include other potentially relevant factors such as personal experiences with health care systems and with disability disclosure and program access in previous academic settings.
  • Sixth, while our sensitivity analyses suggest that no single type of disability played a large impact on the overall outcomes related to the associations between self-disclosed disability and indicators of burnout and empathy, the small number of students reporting certain types of disabilities did not allow us to perform multivariable analyses specific to each disability type.
  • Finally, although we aimed to capture the lack of program access through self-reported lack of accommodations when needed, disability access is a multifactorial construct that extends beyond accommodation and includes additional barriers, including stigmatising attitudes and biases that shape climate and inclusion.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대규모의 전국적인 학생 표본을 사용하여 연구 결과를 강화했습니다. 장애 학생의 소진과 공감을 유발하는 추가적인 잠재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또한, 의대생들의 장애, 공감, 웰빙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하는 종단 연구를 통해 확인된 연관성을 더 잘 이해하고 의대생들의 공감 능력이 의과대학 내내 유지되는지 여부를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미국 의대생의 장애, 프로그램 접근성, 공감 및 소진에 대한 이 대규모 전국 연구는 [장애가 없는 학생]에 비해 [장애 학생]이 프로그램 접근성이나 소진에 관계없이 공감 능력이 떨어질 위험이 낮으며, 프로그램 접근성이 이 집단의 소진과 이탈을 줄이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의학 분야에서 장애 학생의 강점에 대한 이해를 더하고 다양한 학생 집단을 모집하고 지원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uses a large, national sample of students, strengthening our finding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additional potential drivers of burnout and empathy amo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Moreover, longitudinal studies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s between disability, empathy and well-being among medical students are needed to better understand the identified associations and to determine whether empathy is maintained throughout medical school for this population. This large national study of disability, program access, empathy and burnout among US medical students suggests that, compared with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disabled students are at lower risk for low empathy regardless of program access or burnout and that program access may be a critical factor in reducing exhaustion and disengagement in this population. These findings also add to our understanding of the strength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medicine and have implications for recruiting and supporting this diverse population of students.


 

Med Educ. 2023 Jun;57(6):523-534. doi: 10.1111/medu.14995. Epub 2022 Dec 14.

Disability, program access, empathy and burnout in US medical students: A national study

Affiliations

1Department of Learning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Ann Arbor, Michigan, USA.

2Department of Neurology,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Ann Arbor, Michigan, USA.

3Department of Pediatrics,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Ann Arbor, Michigan, USA.

4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Faculty of Medicine,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5Department of Psychiatry,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6Carle Illinois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Champaign, Illinois, USA.

7University of Illinois College of Medicine at Chicago, Chicago, Illinois, USA.

8Johns Hopkins Disability Health Research Center, Johns Hopkins School of Nursing, Baltimore, Maryland, USA.

9Department of Anesthesiology, Wake Forest School of Medicine, Winston-Salem, North Carolina, USA.

10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Washington DC, USA.

11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Dell Medical School at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Austin, Texas, USA.

PMID: 36456473

DOI: 10.1111/medu.14995

Abstract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self-disclosed disability and self-reported program access are associated with measures of empathy and burnout in a national sample of US medical students.

Methods: The authors obtained data from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AAMC) Year 2 Questionnaire (Y2Q) in 2019 and 2020. Data includ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sonal variables, learning environment indicators, measures of burnout (Oldenburg Burnout Inventory for Medical Students), empathy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and disability-related questions, including self-reported disability, disability category and program access. Associations between disability status, program access, empathy and burnout were assessed using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models accounting for YQ2 demographic, personal-related and learning environment measures.

Results: Overall, 23 898 (54.2%) provided disability data and were included. Of those, 2438 (10.2%) self-reported a disability. Most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SWD) self-reported having program access through accommodations (1215 [49.8%]) or that accommodations were not required for access (824 [33.8%]). Multivariable models identified that compared with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SWD with and without program access presented higher odds of high exhaustion (1.50 [95% CI, 1.34-1.69] and 2.59 [95% CI, 1.93-3.49], respectively) and lower odds of low empathy (0.75 [95% CI, 0.67-.85] and 0.68 [95% CI, 0.52-0.90], respectively). In contrast, multivariable models for disengagement identified that SWD reporting lack of program access presented higher odds of high disengagement compared to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1.43 [95% CI, 1.09-1.87], whereas SWD with program access did not (1.09 [95% CI, 0.97-1.22]).

Conclusions: Despite higher odds of high exhaustion, SWD were less likely to present low empathy regardless of program access, and SWD with program access did not differ from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erms of disengagement. These findings add to ou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of SWD including their contributions as empathic future physicians.

흑색, 백색, 그리고 회식: 의학교육과 의료인문학에 관한 학생의 관점(Teach Learn Med, 2022)
Black, White and Gray: Student Perspectives on Medical Humanities and Medical Education
Madeleine Noelle Oldinga , Freya Rhodesb , John Hummc , Phoebe Rossd and Catherine McGarrye

 

 

소개
Introduction

의학을 전적으로 과학적, 생의학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은 가능하고 충분히 쉬운 일입니다. 환자가 일련의 증상을 호소합니다. 의사는 병력을 청취하고 진찰을 통해 징후를 이끌어냅니다. 조사가 이어질 수 있으며 진단이 내려집니다. 근본적인 병리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관리 계획이 환자에게 처방됩니다. 뉘앙스, 인간성, 더 넓은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이런 식으로 표현하면 의학은 흑백논리로 치부되기 쉽습니다. 그러나 환자나 임상의의 경험 모두 흑백으로만 존재하는 것은 아닙니다. 임상에서 마주칠 때마다 인간의 회색 영역이 전면에 드러나며 환자와 의사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형성합니다. 증상, 징후, 조사 및 관리는 정의되지 않은 회색 영역에 가려져 있습니다.  
It is possible, and easy enough, to view medicine entirely from a scientific, biomedical perspective. A patient presents with a series of symptoms. The doctor takes a history and elicits signs on examination. Investigations may follow; a diagnosis is made. A management plan, based on a scientific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pathology, is prescribed to the patient. When phrased like this with no nuance, no humanity, and no wider factors considered, medicine is easily framed as a black and white exercise. However, neither the patient’s nor clinician’s experience exist in black and white. In each clinical encounter, the gray areas of humanity are brought to the forefront and shape the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patient and doctor. Symptoms, signs, investigations, and management are shrouded in undefined areas of gray.

의학교육에서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학생들은 이러한 회색 영역을 탐구하는 동시에 핵심 커리큘럼 외의 지식을 넓히고 심화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정확히 어떻게 회색 영역을 탐구할 수 있을까요? 어떻게 하면 학생들에게 의학 인문학(MH)을 가장 잘 가르칠 수 있을까요? 
An increasing focus on humanities within medical education has generated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delve into these gray areas; simultaneously broadening and deepening their knowledge outside of the core curriculum. But how exactly does one delve into the gray? How can we best teach medical humanities (MH) to students?

미래의 임상의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전통적인 생물의학 모델에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질병 경험에 대해 소홀히 다루어졌던 환자들을 위한 MH 교육의 가치는 잘 알려져 있습니다.1-3 아르노 쿠마가이는 MH가 학생들에게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설명합니다:

  • 의학에서 유지되는 가정과 태도를 해체하고,
  • 우리의 경험을 성찰하도록 장려하고,
  • 다양한 렌즈를 통해 의료에 대한 관점을 넓히고 분석을 유도하고,
  • 우리의 경험을 표현하고 이해할 수 있는 출구를 제공하고,
  • 임상에서 공감대를 이끌어냅니다.2

쿠마가이는 예술과 인문학이 "인식이 아닌 시각이라는 기관을 통해 사물에 대한 지식으로 우리를 이끈다"고 주장합니다.3(p6) 본질적으로, 우리는 진실이라고 여겨지는 아이디어에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우리에게 제시된 정보에 더 깊이 관여하고, 따라서 더 나은 이해를 얻게 됩니다. 
The value of MH teaching - not only for future clinicians, but also for patients whose demographics and disease experience have so far been neglected by traditional biomedical models - is well documented.1–3 Arno Kumagai describes how MH assist students in:

  • dismantling assumptions and attitudes upheld in medicine;
  • encouraging reflection on our experiences;
  • broadening perspectives and prompting analysis of medical care through different lenses;
  • providing outlets for expressing and understanding our experiences; and
  • driving empathy in clinical encounters.2 

Kumagai argues that the arts and humanities “lead us to a knowledge of a thing through the organ of sight instead of through recognition”:3(p6) in essence, through questioning ideas that are held to be true, we engage more deeply with the information presented to us and as such better our understanding.

이러한 입증된 가치에도 불구하고 MH를 가르치는 최적의 접근 방식은 명확하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MH 교육의 가치를 최적화하는 최선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의과대학 커리큘럼에 MH를 통합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합니다. 미국 의과대학협회(AAMC)의 2020년 보고서 '의학교육에서 예술과 인문학의 근본적인 역할'에 제시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의대생의 관점에서 MH에 대한 태도와 교육자와 학습자 모두의 객관적이고 실증주의적인 사고에서 벗어나기를 꺼리는 태도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봅니다.4  
Despite their demonstrable value, the optimal approach to teaching MH is less clear cut. In order to elucidate how best to optimize the value of MH teaching, this piece discusses its integration in medical school curricula. Building upon ideas put forth in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2020 report The Fundamental Role of the Arts and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we explore attitudes toward MH from a medical student perspective and the impact of a reluctance to step away from objective, positivist thinking amongst educators and learners alike.4

AAMC는 의학교육에서 MH를 "예술과 인문학에서 파생되어 의대생, 수련의, 개업의의 교육과 학습에 통합된 콘텐츠 또는 교육학"으로 실무 정의를 제안합니다.4(4페이지) 중요한 것은, 강의계획서가 이미 "꽉 찼다"는 믿음과 사용 가능한 공간이나 자금이 없다는 점 등 MH를 교과과정에 통합하는 데 있어 몇 가지 장벽에 대해 AAMC가 논의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MH가 커리큘럼에 포함되는 경우, 교과 과정의 기초에 포함되기보다는 관심 있는 사람들을 위해 추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The AAMC proposes a working definition of MH in medical education as “content or pedagogy derived from arts and humanities and integrated into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edical students, trainees, and practicing physicians.”4(p.4) Importantly, the AAMC discusses some of the barriers to integrating MH into curricula, including the belief that the syllabus is already “full” and there is no room nor funding available. As such, where MH are included in the curricula, they are often added on for those who are interested, rather than built into the foundations of the course.

이러한 현상은 앨런 블리클리와 로버트 마샬의 '약한 포용'이라는 개념을 잘 보여줍니다.5(129쪽).
This phenomenon demonstrates Alan Bleakley and Robert Marshall’s concept of “weak inclusion:”5(p.129)

"커리큘럼에 의료 인문학이 포함되는 약한 버전은 보통 과학에 대한 보상으로 광고되는 선택 과목인 볼트온으로 나타납니다. 그러나 강한 버전은 과학을 보완하는 핵심적이고 통합적인 커리큘럼 구성 요소로서 보다 미묘한 교육 문화를 창출합니다."5(129쪽)
“The weak version of inclusion of the medical humanities in the curriculum appears as optional study, a bolt on, usually advertised as a compensation for science. The strong version, however, involves a core, integrated curriculum component as a complement to science, creating a more nuanced educational culture”.5(p129)

"약한 포용"5(p129)은 영국의 각 의과대학에서 경험한 MH에 대한 많은 접근 방식을 포괄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MH에서 선택 과목인 학사 학위6를 이수하면서 받은 교육은 강력한 포용이 가능하고 바람직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커리큘럼에 MH를 "강력한 포용"하는 것은 이러한 개입에 대한 학제 간 접근 방식을 개발하여 의학과 MH를 별개의 실체로 보지 않고 인간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공생적 접근 방식으로 보는 것을 지지합니다.
“Weak inclusion”5(p129) encompasses many of the approaches to MH we have experienced at our respective medical schools in the UK. However, the teaching we have received through undertaking an optional year of study - a so-called intercalated Bachelors degree6 - in MH, has shown that strong inclusion is both possible and desirable. “Strong inclusion” of MH in curricula advocates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these interventions whereby medicine and MH are not seen as distinct entities but rather symbiotic approaches to understanding human problems.

지금까지 이러한 논의에서 학생의 관점은 상대적으로 부재했습니다. 학생들이 MH 문헌에 기여한 사례는 많지만 교육 접근법에 대한 학생의 관점을 명시적으로 인정하는 것은 현재 부족합니다.7,8 우리는 학생의 관점을 보여줌으로써 통합의 장벽을 더 탐구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최근 MH에서 통합 이학사(통합 학사 또는 iBSc)를 이수한 현재 의대생으로서 우리가 제시하는 증거는 대부분 일화적인 것입니다. 개인적 경험을 의학교육 방법론에 도입하는 것은 최근 몇 년 동안 특히 의학 교육 영역에서 주목받고 있는 비교적 새로운 접근 방식입니다.9 
Thus far, the student perspective has remained relatively absent in this discussion. There are numerous examples of students contributing to MH literature but explicit acknowledgement of student perspectives on teaching approaches is currently lacking.7,8 We believe that the barriers to integration can be explored further by showcasing the student perspective. As current medical students who have recently completed intercalated Bachelors of Science (intercalated BSc or iBSc) in MH, the evidence we present is largely anecdotal. Imbuing personal experience into the methodologies of medical education is a relatively new approach that has gained traction in recent years, most particularly within the realms of MH.9

의학 및 의학교육의 회색 영역에 대한 성찰을 정리하기 위해 MH의 특정 영역과 관련된 다섯 가지 주제를 분리했습니다. 여기에는 역사, 내러티브 의학, 인류학, 철학 및 윤리가 포함됩니다. 또한 영국과 그 밖의 지역에서 MH 교육을 맥락에 맞게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실제적 고려사항에 대해서도 언급합니다. 이러한 성찰을 통해 학습 경험에 대한 비판적 토론의 출발점을 제공하여 의학교육에서 MH 교육의 시너지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To organize our reflections of the gray areas of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we have isolated five themes relating to specific domains of MH. These include history, narrative medicine, anthropology, and philosophy and ethics. We also comment on a variety of practical considerations to contextualize the delivery of MH teaching in the UK and beyond. Through these reflections, we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a critical discussion of learning experience, aiming to improve the synergy of MH teaching in medical education.

의대생의 관점
The medical student perspective

의학교육은 졸업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의대생은 의사로서의 지속적인 학습을 준비하기 위해 의과대학에서의 경험을 비판하고, 도전하고, 변화를 옹호할 수 있도록 지원과 권한을 부여받아야 합니다. 
Medical education does not end at graduation. Students should be supported and empowered to critique, challenge, and advocate for changes in their experience at medical school in preparation for continued learning as a doctor.

이 시리즈의 이전 편에서 Gert Biesta와 Marije Van Braak10은 의학교육의 과정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의학교육의 목적에 대한 참여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의학교육의 중요한 목표로 사회화(전문가 집단의 일원이 되는 것)와 주체화(사려 깊고 독립적이며 책임감 있는 전문가가 되는 것)에 대해 논의합니다. 우리는 의학교육을 둘러싼 담론에 MH와 학생의 관점을 포함시킴으로써 이러한 목적을 더 잘 달성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In an earlier installment in this series, Gert Biesta and Marije Van Braak10 highlight the need for increased engagement in the purposes of medical education, as opposed to just focusing on the processes. In this piece, they discuss socialization (becoming a member of the professional group) and subjectification (becoming a thoughtful, independent, responsible professional) as important goals of medical education. We believe that we can better achieve these purposes by including MH and the student perspective in the discourse surrounding medical education.

의대생의 관점을 학술 연구에 활용하면 현재 학습자들 사이에서 MH 교육에 대한 태도를 더 잘 탐구할 수 있습니다. 현재 커리큘럼에 대한 학생의 관점은 교육자에게 세부적이고 미묘한 학습 포인트를 제공하며, 종종 미래 학생을 위해 현재 학생의 실제적인 실제 솔루션과 함께 제공됩니다. 의료 윤리 교육 및 평가의 단점을 논의한 Liu와 동료들11의 최근 논문이 이러한 훌륭한 예입니다. 의료 시스템과 과학교육에 관한 또 다른 최근 논문은 학생들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고 학생들의 관점을 직접 조사하지 않은 연구팀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12 이 두 논문을 차례로 읽어보면 의학 교육 연구에서 학생 관점의 힘과 정확성이 얼마나 큰지 충분히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의대생으로 구성된 설문지나 포커스 그룹을 사용한 후 학자들이 해석하는 교육 연구도 장점이 없는 것은 아니며, 문제의 논문은 우리가 동의하지 않는 몇 가지 중요한 결론을 내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데이터 수집, 방법론 및 용어에 의해 그 결론이 무겁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반면, 학생 관점의 연구 논문은 더 성찰적이고 비판적일 수 있으며, 현재 학생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잠재적으로 교육 접근 방식에 더 나은 방향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Using the medical student perspective in academic research, we can better explore attitudes toward MH teaching amongst current learners. Student perspectives on current curricula provide detailed, nuanced learning points for educators and are often accompanied by practical real-world solutions from current students, for future students. A recent, excellent example of such a paper comes from Liu and colleagues11 discussing shortcomings in medical ethics teaching and assessment. Another recent paper looking at health systems and scientific education was conducted more traditionally by a team of researchers who analyzed student questionnaire responses and did not probe student perspectives directly.12 Reading these two papers one after another, the power and precision of the student perspective for medical educational research becomes abundantly clear. Educational research using questionnaires or focus groups made up of medical students and then interpreted by academics is, of course, not without merit and the paper in question makes several important conclusions with which we do not disagree. However, in our reading, it becomes weighed down by data collection, methodology, and terminology. Whereas student perspective research papers can be more reflective and critical, resonating with current students and potentially resulting in better, more directed, changes in educational approaches.

MH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를 이해하는 것은 MH 교육의 함정을 인식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의대생들 사이에서는 MH가 팀워크, 리더십, 문제 해결과 같은 공감 능력과 소프트 스킬을 끌어내기 위한 '체크 박스 연습'이라는 인식이 존재합니다. 이는 MH의 통합을 가로막는 중요한 장벽으로 이전에 인식된 바 있습니다.2
  • 헌터 버든과 팀 어셔우드는 학생들이 반성적 능력을 발휘하는 대신 원하는 결과를 예상하고 시스템13(408쪽)을 게임화할 수 있는 전문성 교육에 대한 유사한 태도에 대해 언급합니다. 우리는 이러한 현상이 교육자가 불필요하게 MH를 강요하고 있다고 느끼는 학생을 직접 경험한 바 있습니다.
  • 학생들은 그 과정에 참여하기 전에 직접 혜택을 확인하지 않는 한 의과 대학에서 시키는(prescribe)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합니다. 종종 학생들이 시험에 출제 가능한 콘텐츠라고 알고 있는 것과 그 콘텐츠에 참여하려는 동기가 있는지 여부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물론 MH 교육자는 해당 과목을 홍보할 것이며, 이미 해당 과목을 가르치기로 선택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열정을 보여주었습니다. 반면에 학생은 MH를 홍보하는 데 기득권이 없기 때문에 학습 경험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이 동료들에게 더 진정성 있게 받아들여집니다. 따라서 학생들은 MH 참여를 장려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며, MH 교육의 이점을 전달함으로써 동시대 사람들이 더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학생의 관점에서 학습하면 교사-학생 관계의 위계를 넘어 지식의 종적 흐름을 허용하는 피어티칭의 기회가 열립니다. 
Understanding student attitudes toward learning MH is crucial in recognizing the pitfalls of MH teaching.

  • Amongst medical students, there exists a rhetoric that MH are “tick box exercises” that function purely to coax out empathy and soft skills, such as teamwork, leadership, and problem solving. This has been recognized previously as a significant barrier to integration of MH.2 
  • Hunter Birden and Tim Usherwood comment on similar attitudes toward professionalism teaching whereby students are able to anticipate the desired outcomes and game the system13(p408) as opposed to exercising reflective abilities. We have seen this played out in our own experiences, where reluctant students feel MH are being unnecessarily forced onto them by educators.
  • Students resist participating in activities prescribed by the medical school unless they directly ascertain the benefit before engaging in the process. Often, there is a correlation drawn between what students know is examinable content and whether they are motivated to engage with it.

Of course, MH educators will promote their subject; they have already demonstrated a degree of passion by choosing to teach it. Students, by contrast, have no such vested interest in promoting MH and therefore positive perspectives on the learning experience are more authentically received by peers. As such, students can play a pivotal role in encouraging MH engagement; by communicating the benefits of MH teaching, their contemporaries are more amenable to participating themselves. Furthermore, learning from student perspectives opens opportunities for peer teaching that allows a longitudinal flow of knowledge beyond a perceived hierarchy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의학교육에서 가치 있는 모든 것이 정규 커리큘럼을 통해 가르치는 것은 아닙니다. 의대생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환자 및 다른 의료 전문가와의 임상 경험을 통해 배웁니다. 의학교육 및 MH와 관련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경험을 자율적으로 탐구하고 성찰할 수 있는 비공식적인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위 숨겨진 커리큘럼을 고려하면 의학교육에 대한 보다 균형 잡힌 연구가 가능합니다.45 본질적으로 숨겨진 커리큘럼 내 학습은 학생 경험에 중심을 두므로 이러한 관점을 탐구하는 것은 이해를 위한 입구를 제공합니다. MH는 모든 학생이 실수나 잘못에 대한 두려움 없이 편안하게 현장과 더 넓은 토론에 기여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 내에서 접근성이 뛰어나고 보편화되어야 합니다. 소수의 선택된 학생이 아닌 모든 의대생에게 MH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진료에 미칠 영향의 범위를 넓히고 있습니다.
Not everything of value in medical education is taught through the formal curriculum. Consciously and subconsciously, medical students learn from clinical experiences with patients and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s. With regards to medical education and MH, it is important to create an informal space in which students can autonomously explore and reflect on their experiences. A consideration of this so-called hidden curriculum allows for more well-rounded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45 In essence, learning within the hidden curriculum is centered in student experience and, as such, exploring these perspectives offers an inlet for understanding. MH must be both accessible and ubiquitous within curricula such that all students are comfortable contributing to the field and the wider discussions it opens up, without fear of making mistakes or getting things wrong. In providing MH opportunities to all medical students, as opposed to the self-selecting few, we broaden the scope for their impact on future practice.

영국에서의 인터칼레이팅
Intercalating in the UK

AAMC 보고서는 미국 의과대학 모델 내에서 MH의 이점을 포괄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영국 시스템과는 구조가 크게 다릅니다. 영국에서는 학생들이 5년의 학부 의학 학위 과정을 중단하고 의학 관련 주제를 추가로 1년 동안 공부하는 인터칼리테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은 학생의 모교에서 수강할 필요가 없으며, 인터칼리케이터를 위해 특별히 제작되거나 의학 이외의 학부생 코호트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인터칼리지 과정은 다양한 과목으로 제공되며, 저희의 경험에 따르면 해부학, 신경과학, 여성 건강 등이 인기 있는 선택 과목입니다. 인터칼리제이션은 학문적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만 선택한다는 오해와 '전통적인' 과학 기반 과목을 선호하는 성향이 맞물려, 대학별 웹사이트를 제외하고는 잘 문서화되어 있지 않지만 MH 인터칼리제이션 과목에 대한 선호도가 여전히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예를 들어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2020/2021학년도 입학생 중 MH 인터칼로테이션(의학 인류학 또는 과학 및 의학의 역사와 철학)을 수강한 학생은 9명에 불과한 반면, 심혈관 과학, 신경과학, 소아 및 아동 건강은 각각 37명, 34명, 24명에 달했습니다.14 
The AAMC report comprehensively outlines the benefits of MH within the American medical school model, however this differs greatly in structure to the UK system. In the UK, there is an opportunity to undertake an intercalation: students interrupt their five-year undergraduate medical degree to spend an extra year studying a topic related to medicine. These courses need not be taken at a student’s home university and are either crafted specifically for intercalators or allow students to join a cohort of undergraduates from beyond medicine. Intercalated courses are offered in a range of subjects and, from our own experience, popular choices include anatomy, neuroscience, and women’s health. A prevailing misconception that intercalation is reserved for the most academically minded students, combined with the propensity toward electing “traditional” science-based courses mean that the uptake for MH intercalated courses is still relatively low, although this is not well documented aside from university-specific websites. For example, in the 2020/2021 uptake at University College London, just nine internal students undertook an MH intercalation (in either Medical Anthropology or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 Medicine) compared with 37, 34, and 24 students for Cardiovascular Science, Neuroscience, and Pediatrics and Child Health respectively.14

인터칼리케이터는 학사, 석사, 의학석사, 의학박사 등의 형태로 추가 학위 자격을 취득합니다. 이러한 형식의 인터칼리데이션은 영국 의과대학에만 있지만 아일랜드, 호주, 뉴질랜드, 서인도제도, 홍콩, 남아프리카공화국, 캐나다에서도 유사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습니다.15 학생과 학교 모두에서 고르지 않은 수용에도 불구하고 MH의 인터칼리데이션 과정은 확실히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소수의 소수에서 시작하여 국제적인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고 영국과 미국의 의과대학에서 인문학 기반 과정의 채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4 
Intercalators gain an extra degree qualification in the form of a BSc, MSc, MRes, BMedSci, etc. Intercalation in this format is unique to UK medical schools but similar programmes are run in Ireland, Australia, New Zealand, the West Indies, Hong Kong, South Africa, and Canada.15 Despite the patchy uptake from students and schools alike, MH’s intercalated courses have certainly become more popular. Developing from a tiny minority, we have seen an international interest beginning to rise and an increase in uptake of humanities-based courses in medical schools in the UK and the US.4

대부분의 인터칼리네이팅 학생들이 학사 학위 과정을 소중히 여기고 핵심 의학 커리큘럼의 범위를 넘어서는 기술을 개발한다는 우리의 경험은 문헌을 통해 확인되었습니다.16 학생들은 이를 사고, 글쓰기, 의사소통 방식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이자 학제 간 팀 내에서 일하고 연구에 기여하며 미래 진로 옵션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회로 여깁니다. 인터칼리데이션 동기에 관한 많은 문헌은 향후 고용 가능성 측면에서 이점을 강조하고 있으며, 비판적 평가, 통계 분석 및 심층 연구와 같은 이전 가능한 기술은 학사 학위를 선택하는 학생들이 많이 찾고 있습니다.17 MH 측면에서 인터칼리데이션 학위는 일회성 과제나 워크샵보다 더 강력한 포용성 버전임에 틀림없습니다. 이 글의 회색 영역 섹션에서는 MH 인터칼리데이션의 경험에서 얼마나 강력한 포용성을 달성했는지에 대한 성찰을 살펴봅니다. 
Our experience that the majority of intercalating students come to value their BSc year and develop skills beyond the scope of the core medical curriculum is confirmed by the literature.16 Students see this as an opportunity to develop how they think, write, and communicate as well as a chance to work within interdisciplinary teams, contribute to research, and maximize their future career options. A great deal of the literature on motivations to intercalate highlight the benefits in terms of future employability; the transferable skills of critical appraisal, statistical analysis, and in-depth research are highly sought after in students choosing a BSc.17 In terms of MH, an intercalated degree is arguably a stronger version of inclusion than a one-off assignment or workshop. Reflections on how strong inclusion has been achieved in our experiences of MH intercalation are explored in the Gray Areas section of this piece.

그러나 우리는 MH에 대한 관심으로 모인 자발적으로 선택된 학생 그룹을 대표합니다. 이는 더 강력한 형태의 포용성으로서 인터칼리데이션의 함정 중 하나를 강조합니다. 인터칼리데이션은 자발적이기 때문에 좋은 의사가 되기 위한 측면으로서 MH에 대한 사전 관심이나 신념이 있는 사람들만 모이게 됩니다. 또한, 1년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인터칼리데이션은 광범위한 의학 커리큘럼과의 관계 측면에서 여전히 압축적이고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1년이라는 단기간의 MH 참여는 의대생들이 인문학 참여를 통해 축적된 폭넓은 기술을 집중적이지만 간헐적인 학습으로 줄일 수 있다고 믿게 함으로써 의학교육의 목표 지향적이고 객관적인 성공 척도를 영속화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역사, 예술, 인류학 등 인문학에 포함된 다른 학문 분야를 하룻밤에 공부하거나 강의를 몇 번 듣는다고 해서 능숙해질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마찬가지로, 많은 학생들이 의학 학위를 취득한 지 2~3년이 지나서 편입하기 때문에 과정 초반에는 [임상의학은, MH가 이해하고자 하는 회색 영역이 없는, 순수 과학에서 파생되었다는 개념]에서 벗어나는 학습un-learning이 필요합니다.18 
However, we represent a self-selected group of students, brought together by our interest in MH. This highlights one of the pitfalls of intercalation as a stronger form of inclusion: it is voluntary and, as such, attracts only those with prior interest or belief in MH as a facet of becoming a good doctor. Furthermore, despite being a year-long course, intercalation is still condensed and sporadic in terms of its relation to the broader medical curriculum. An isolated one-year engagement with MH has the propensity to perpetuate the goal-oriented, objective success measures of medical education as it facilitates medical students’ belief that the breadth of skills amassed through engagement in the humanities can be reduced down to focused but intermittent study. This is demonstrably untrue: one does not become proficient in history, art, anthropology, or any of the other academic fields encompassed by studying humanities overnight, or over a series of lectures. Similarly, as many students intercalate having undergone two or three years of their medical degree, much of the early part of the course requires an un-learning of the notion that clinical medicine is derived from pure science, devoid of the gray areas MH seeks to understand.18

단 하루, 또는 일 년 동안 MH에 참여했다고 해서 학생이 전문가가 되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기대치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MH와 전통적인 의학교육 분야(해부학 또는 생리학 등)를 비교하여 발전된 비교가 필요합니다. 신경과학을 학사 과정으로 1년 동안 공부한다고 해서 신경과학을 완전히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는 없습니다. 이러한 기대치를 인문학 과정에 적용하는 것은 임상 의학에 비해 최종 목표가 덜 명확하기 때문에 의학교육자 사이에서만 인정됩니다. 학생으로서 우리는 이 목표를 구체화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습니다. 
An isolated day, or even year, of engagement with MH by no means makes a student an expert. A developed comparison between MH and the more traditional areas of medical education (such as anatomy or physiology) is required in order to manage expectations. One would not expect to gain a wholly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neuroscience from one year studying the subject as a BSc – application of this expectation to humanities courses is only accepted among medical educators because the end goal is less well-defined compared with clinical medicine. As students, we can work toward refining this goal.

회색 영역
Gray areas

이 섹션에서는 MH 내에서 다섯 가지 영역에 걸쳐 우리의 성찰을 정리합니다. 이러한 영역의 교육이 어떻게 흑백 생물의학 모델을 넘어서는 탐구를 가능하게 했는지, 그리고 MH의 강한 포함 여부에 따라 학습 성과가 제공되었는지 여부에 중점을 둡니다. 
In this section, we organize our reflections across five domains from within the MH. We focus on how teaching in these areas has allowed for exploration beyond the black and white biomedical model and whether or not learning outcomes were provided by strong or weak inclusion of MH.

역사
History

전 세계적으로 '문제 기반 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의학 교육이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19 학생들이 역사적 사건에 대한 맥락적 비판을 중심으로 현대 진료에 대한 접근 방식을 구축하도록 장려하는 것은 이러한 학습 방법을 반영합니다. 오늘날의 의과대학은 수 세기 동안 사용되어 온 교육 전략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의 사회학적 영향은 의학교육 내에서 거의 탐구되지 않았습니다. 푸코의 『클리닉의 탄생』은 여러 시대에 걸쳐 널리 퍼진 교수 전략의 한 예인 해부가 의학적 시선의 발달을 통해 어떻게 의학의 실천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는지 설명합니다.20 의학적 시선은 환자의 대상화를 이해하는 데 폭넓은 렌즈를 제시합니다. 
A great deal of medical education is centered around case studies, illustrated by the global rise in interest of “problem-based-learning”.19 Encouraging students to build their approach to modern practice around contextual criticism of historical events mirrors this method of learning. Today’s medical schools employ teaching strategies that have been around for centuries. However, the sociological impact of these strategies is rarely explored within medical education. Foucault’s The Birth of the Clinic delineates how dissection, one example of a teaching strategy that has prevailed through the ages, fundamentally changed the practice of medicine through its development of the medical gaze.20 The medical gaze presents a broad lens for understanding the objectification of patients.

좀 더 구체적으로 의대생이라면 누구나 익숙한 청진기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청진기는 이전에는 들을 수 없었던 신체 과정을 의사에게 들려주었고, 이를 통해 의사는 환자 자신보다 환자의 상태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서서히 이러한 '징후'가 환자의 증상보다 우선하기 시작했습니다.21

  • 의대생 시절, 선배들이 심잡음이나 숨소리가 들리는 환자를 진찰하고 흉부를 듣고 돌아와 결과를 보고하라는 지시를 받으면 환자의 개인적인 이야기보다 환자의 내적 청진음이 우선했던 기억이 납니다.
  • 마찬가지로 학생과 의사 모두 방사선 사진, 심전도, 혈액 검사 결과 등을 제공받으면서도 환자의 신체를 본 적도 없이 해석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부학, 청진기 및 기타 역사적 발전 이후 의학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이해하면 현대 의학의 윤리와 편견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More specifically we can consider an item all medical students are familiar with, the stethoscope. The stethoscope made previously inaccessible bodily processes audible to the doctor, through which the doctor came to know more about the patient’s condition than themselves. Slowly, these ‘signs’ began to take precedence over the patient’s symptoms.21 

  • As medical students, we can recall being sent by our seniors to examine a patient with an interesting heart murmur or breath sounds, listening to the chest and returning to report our findings: the patients’ internal intonations taking precedence over their personal story.
  • Not dissimilarly, students and doctors alike are often presented with radiographic images, ECGs, or blood results to interpret without ever having seen the patient from whose body they were derived.

We have found that understanding how medicine has changed since the advent of dissection, the stethoscope, and other historical developments installs a sensitivity to the ethics and biases of modern practice.

역사에서 배우는 것은 윤리적 실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임상 환경과 연구 내에서 어떻게 행동하지 말아야 하는지에 대한 더 큰 성찰과 인식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것이 바로 의학교육에서 역사를 약하게 포함시키는 것과 강하게 포함시키는 것 사이의 차이점입니다. 우리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약한 포함은 전임자들의 "성공과 업적"에 초점을 맞추고 "과거의 실수, 누락, 실패"를 놓치는 경향이 있습니다.22(629쪽) 과거에 대한 과도한 미화는 의학이라는 제도와 실천이 결코 잘못한 것이 없고 오직 좋은 일만 하는 것으로 그려지게 합니다. 역사에 대한 균형 잡힌 교육은 이것이 의대생에게 제시하기에 잘못된 생각이며 잠재적으로 위험한 생각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의학의 성공과 실패를 모두 이해하는 것은 의학의 역사에 필수적입니다.  
Learning from history allows a greater reflection and awareness of ethical practice, how to act and – perhaps more importantly – how not to act in clinical settings and within research. This is a point of deviation between weak and strong inclusion of history within medical education. In our experiences, weak inclusion tends to be hagiographic focusing on “successes and achievements” of our predecessors, while missing out “follies, omissions, and failures of the past”.22(p.629) The over-glorification of the past paints medicine as an institution and practice never in the wrong, only doing good. Well-rounded teaching in history shows this to be a false and potentially dangerous idea to present to medical students. Understanding both its successes and failures is essential to the history of medicine.

터스키기 매독 연구는 의학 연구에서 윤리와 균형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가슴 아픈 사례입니다.23 이러한 가치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이해하지 못하면 향후 연구에서 그 기념비적인 중요성을 인식하기 어렵습니다. 터스키기 연구에서는 매독의 자연사를 연구하기 위해 매독에 감염된 흑인 남성 참가자를 40년 동안 관찰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매독 치료제가 개발되었지만, 참가자들의 상태를 연구할 수 있을 만큼의 치료제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사망자가 상당수 발생했습니다(이 연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터스키기 타임라인'23 참조). 이 재판 이후 여러 연구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의료기관 및 연구 간의 치료 관계에 가시적이고 지속적인 영향이 있음을 밝혀냈습니다.24,25

  • 역사학자 수잔 리버비의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불신의 원인은 터스키기 재판보다 훨씬 더 거슬러 올라갑니다.26
    • 노예 소유주가 의학 실험을 위해 노예를 훔치는 '나이트 라이더'에 대한 공포를 심어준 증거
    • 19세기 후반 의과대학에 해부를 위해 흑인의 시신을 판매하는 도굴꾼에 대한 증거가 남아 있습니다.

The Tuskegee syphilis study is a poignant example of the importance of ethics and equipoise in medical research.23 Without an understanding of where these values come from, it becomes difficult to appreciate their monumental importance in future research. In the Tuskegee study, black male participants who had contracted syphilis were observed over a 40-year period to study the natural history of the disease. Over this time, treatment for syphilis became available but was not given to the participants such that their condition could be researched: this led to a significant number of unnecessary deaths (for more information on this study, see ‘The Tuskegee Timeline’23). Since this trial, a number of studies have revealed a tangible, lasting impact i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between African Americans and medical institutions and research.24,25 

  • Work from historian Susan Reverby suggests that the reasons for this distrust goes back much further than the trial in Tuskegee.26 
    • There is evidence of slaveholders instilling fears of ‘night riders’ who would steal slaves for medical experimentation and,
    • later in the 19th century grave robbers selling black bodies to medical schools for dissection. 

터스키기 연구는 오늘날 우리가 보는 불신감을 더했을지 모르지만, 이는 수 세기 동안 의료계가 흑인들에게 가한 고통과 아픔을 기반으로 합니다. 인종 간 구조적 불평등이 지속되면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끔찍한 결과와 백신 접종률의 현저한 편차가 나타난 현 상황에서 인종화된 의학의 역사에 대한 이해는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합니다.27,28 
The Tuskegee study may have added to the sense of mistrust that we see today, but this is built on centuries of pain and suffering inflicted on black individuals at the hands of the medical community. For us, in the contemporary context, where enduring structural inequalities between ethnic groups have manifested in dire outcomes and significant variation in vaccination uptake throughout the Covid-19 pandemic, an understanding of the racialised history of medicine is ever more pressing.27,28

의료 분야의 역사적 사건을 되돌아보고 접근하는 방식은 의료의 공공성을 위해 중요합니다. 2019년 뉴욕 센트럴파크의 시위대는 흑인 여성 노예를 동의나 진통제 없이 실험한 산부인과 의사 J 매리언 심스 박사의 동상 철거를 요구했습니다. 이러한 잔인한 권력 조작은 결국 여러 가지 선구적인 부인과 수술 기법과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 시조인 심스 검경의 개발로 이어졌습니다.29 우리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역사적 맥락을 커리큘럼에 통합하는 것은 서양 의료 행위의 기원에 대해 알고, 그 역사의 함의에 민감하며, 따라서 의료계에 여전히 존재하는 불의에 대해 발언할 수 있는 도구를 가진 의료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The manner in which we look back on and approach historic events in the field is important for the public face of medicine. In 2019, protesters in Central Park, New York demanded the removal of a statue depicting Dr J Marion Simms, a gynecologist who experimented on black female slaves without their consent or analgesia. This brutal manipulation of power eventually culminated in the development of a number of pioneering gynaecological surgical techniques and the eponymous Sims speculum, an instrument still in use today.29 In our experience integration of historical context into curricula is vital to produce healthcare professionals informed about the origins of Western healthcare practice, sensitive to the implications of that history, and therefore have the tools to speak out against the injustices that still exist within medicine.

이전 글에서 자린 자이디 등은 의학 및 의학교육 내에서 '정상화'라는 개념을 고찰했습니다.30 이는 이 섹션에서 논의한 사례와 연결되는데, 사회적으로 구성된 관념이 무엇이 정상인지, 그리고 이와 함께 무엇이 비정상인지에 대한 관념을 어떻게 가져오는지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사례에서 우리는 백인의 관점과 경험이 지배적이고 따라서 정상화되어 흑인의 관점이 비정상적이거나 타자화된 관점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In an earlier installment, Zareen Zaidi et al. consider the idea of ‘normalization’ withi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30 This links to the examples discussed in this section as we can see how socially constructed ideas bring about an idea of what is normal, and alongside this, what is abnormal. We can see from these examples that the white perspective and experience is dominant and therefore normalized, resulting in the black perspective becoming the abnormal or othered perspective.

의학의 역사에 대한 자세한 지식은 커리큘럼에 MH를 더 많이 포함시킴으로써 육성될 수 있으며, 현재 의학 교육과 의료에 만연한 과거에 대한 현재주의적, 역사주의적 관점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훈련할 수 있습니다.31
A detailed knowledge of the history of medicine, as would be fostered through a stronger inclusion of MH in curricula, trains a critical lens on damaging presentist and hagiographic views of our past, which remain rife through current medical education and healthcare.31

문학
Literature

과학과 달리 인문학은 양적 데이터보다 질적 데이터를 활용합니다. 문학적 증거를 조사하고 분석하면 과학적 방법으로는 놓칠 수 있는 회색 영역에 대한 미묘한 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인문학에 고유한 방법이나 연구 분야가 없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인 증거가 없는 결론도 아닙니다. 의학교육에서 이러한 방법론은 가치 있는 학문적 연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흑백 과학적 이분법을 넘어 의학을 이해하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In contrast to the sciences, the humanities utilize qualitative data over quantitative.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written, literary evidence allows for nuanced evaluation of gray areas, otherwise missed by scientific methods. That is not to say that MH are without distinct methods or fields of study, nor are its conclusions without concrete evidence. For medical education, these methodologies not only provide valuable academic research; they also provide frameworks for understanding medicine beyond black and white scientific binaries.

우리의 경험에 따르면, 교육자가 MH 방법론을 처음부터 신중하게 가르치는 데 시간을 투자하면 학생들은 환자 경험뿐만 아니라 우리 자신의 경험과 의학의 더 넓은 구조적 문제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어휘를 갖추게 됩니다. 예를 들어, 연구자의 반성성에 기반한 연구 방법론인 자동 민족지학은 의대생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순한 반성 연습을 넘어 "자아와 문화 사이의 상호관계"를 연구하고 질문할 수 있게 합니다.32(975쪽) 임상 커뮤니케이션을 개선하기 위한 언어 연구의 중요성은 John Skelton의 논문 '언어, 철학, 의학교육'에서 심도 있게 논의됩니다. 이 글에서 그는 모든 환자 시나리오에서 효과적인 단 하나의 의사소통 방법은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다양한 언어학적 접근법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인식과 지식만이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33  
In our experience, educators spending time to teach MH methodologies carefully and from the ground up equips students with the vocabulary for understanding not only patient experiences, but our own experiences and wider structural problems with medicine. For example, auto-ethnography, a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the reflexivity of the researcher, allows medical students to study and question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self and culture”, moving beyond commonly used simple reflective exercises.32(p 975) The importance of studying language in order to improve clinical communication is discussed in depth by John Skelton in his paper, ‘Language, Philosophy, and Medical Education.’ In this piece, he argues that there does not exist one singular method of communication which is effective in all patient scenarios, and it is, therefore, only the awareness and knowledge to select from a range of linguist approaches that can lead to success in these scenarios.33

질적 증거의 출처 중 하나는 환자 내러티브입니다. 이러한 이야기를 충분히 고려하면 환자 경험에 대한 보다 풍부한 총체적 이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톨스토이의 <이반 일리치의 죽음>이나 마르가 에드슨의 <위트>와 같은 문학적 사례를 연구하는 것은 의대생에게 환자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맥락화하는 다양한 도구를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34,35 사례 기록과 요약은 학생들이 환자 경험의 복잡성을 1분 정도의 짧은 요약으로 압축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우리의 경험에 따르면, 이는 환자에 대해 특정한 방식으로 말하고 생각하는 결과를 낳고 질병이 사람의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에 대한 총체적인 인식을 소홀히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예를 들어, 의대생이 만성 통증이 아닌 반려견을 산책시키지 못하는 것이 환자의 상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면 선배 동료로부터 환멸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임상 행동에 상당한 변화를 일으킵니다. 학생들은 환자를 전인격적으로 대하고자 했던 초기의 열정을 잊고, 대신 의사를 관찰하면서 임상 징후와 증상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배우게 됩니다.

저희의 경험에 따르면, 선배 의사에게 환자를 소개할 때 환자의 삶과 사회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면 '하지만 실제로 환자의 문제가 무엇인지 알아냈나요?"라는 질문을 자주 받습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임상 의학에서 환자의 이야기가 중요하지 않다는 생각을 강화합니다. 
One such source for qualitative evidence is patient narratives. When considered fully, these stories allow for a richer holistic understanding of the patient experience. Studying literary examples such as Tolstoy’s The Death of Ivan Illych and Wit by Margaet Edson offers medical students an opportunity to develop a diverse set of tools for analyzing and contextualizing patient narratives.34,35 Case histories and summaries encourage students to condense the complexities of patient experience into a short, often one-minute, summary. In our experience, this results in a specific way of talking and thinking about patients and introduces the opportunity to neglect a holistic appreciation of the many ways in which illness can affect a person’s life.

  • For example, as a medical student reporting the most damaging impact of a patient’s condition as the inability to walk their dog, rather than their chronic pain, could result in a disillusioned response from senior colleagues. This causes significant changes in clinical behavior over time. Students become conditioned to forget their initial enthusiasm for approaching patients as whole people and instead learn, through observing doctors, that clinical signs and symptoms are more important.

In our own experience, leading with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life and social factors when presenting a patient to a senior doctor is often met with ‘but did you find out what is actually wrong with them?’. These interactions reinforce the idea that patient stories are unimportant in clinical medicine.

리타 샤론은 내러티브 이해가 의료 전문가에게 핵심 기술이라고 주장합니다.36 의대생은 "내러티브 역량"36(p1897)을 개발하고 "이야기를 흡수하고 해석하고 반응하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36(p1897) 내러티브는 "인간 지식의 상호주관적 영역"36(p1898)에 속하므로 두 가지 주체가 필요합니다: "이야기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작가와 독자",36(p1898) 학생과 교사, 의사와 환자. 따라서 내러티브 이해는 임상 커뮤니케이션의 풍요로움을 가져옵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논리 과학적 지식"에 대한 '객관적' 관찰자는 분리되어 있습니다.36(p1898) 이러한 방식으로 내러티브 의학은 의사와 환자의 경험을 모두 고려하고 "공감, 성찰, 전문성 및 신뢰성"을 중심으로 구축된 의료 행위를 촉진합니다.36(p1897).
Rita Charon argues that narrative understanding is a key skill for healthcare professionals.36 Medical students should develop “narrative competency”36(p1897) and learn to “absorb, interpret and respond to stories”.36(p1897) Narrative belongs to the “intersubjective domains of human knowledge”36(p1898) and thus require two subjects: “a teller and a listener, a writer and a reader”,36(p1898) student and teacher, doctor and patient. Hence narrative understanding leads to an enrichment of clinical communication. In contrast is the detached, ‘objective’ observer of “logico scientific knowledge”.36(p1898) In this way, narrative medicine brings both the experiences of doctor and patient into view, and promotes a medical practice built around “empathy, reflection, professionalism and trustworthiness”.36(p1897)

철학과 윤리
Philosophy and ethics

의학교육에서 철학의 가치새로운 이해의 각도를 제공하는 데 있습니다.37

  • 기존의 가정을 검토하여
  • "아무도 찾지 못한 문제"37(p343)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며,
  • 의학을 수행하는 새롭고 더 나은 방법을 깨우치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의학이란 무엇인가와 같은 존재론적 질문을 다루는 것은 의학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과 지침을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의학 교육을 형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For us, the value of philosophy to medical education lies in the provision of new angles of understanding;

  • examining existing assumptions,
  • leading to answers for “problems no one looked for”37(p343) and
  • enlightening us to new, better ways to do medicine.37 

In the same vein, addressing ontological questions, such as what medicine is, can provide insight and guidance to what medicine ought to be and consequently be used to shape medical education.

현상학은 임상 배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철학적 방법론입니다. 가장 최근에는 하비 카렐이 『질병의 현상학』(2016)에서 심층적으로 탐구했는데, 현상학은 개인과 관련된 경험을 주의 깊게 살피는 데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다른 인문학 방법론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38 이를 통해 현상학은 우선 생물학적 질병에 초점을 맞춘 생물 의학과는 구별되는 생생한 경험으로서 질병을 탐구합니다. 의학교육에서 현상학은 개별 환자에게 질병, 의료 및 의학이 의미하는 바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며, 필연적으로 다원적 접근을 장려합니다. 우리는 이를 생물학적 경로가 명확하게 이해되지 않은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 대한 경험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정신과 질환과 섬유근육통과 같은 "의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증후군이 포함됩니다. 현상학은 생물학적 현상에 앞서 환자의 선험적 경험에 중점을 두어 이러한 환자의 질병 경험에 타당성을 더하고 의료 전문가가 이러한 경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질병보다 질병에 대한 생물 의학의 인식적 편견을 생생한 경험으로 이해하면 이러한 환자 그룹이 현대 의료 서비스에서 소외되고 종종 진단을 받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현상학적 접근 방식에 대해서는 Veen과 Rietmeijer(2021)에서 자세히 논의합니다.40 
Phenomenology is a philosophical methodology that has had a profound effect on our clinical placements. Most recently and thoroughly explored by Havi Carel in Phenomenology of Illness (2016); phenomenology can be used in tandem with other humanities methodologies in its focus on the careful examination of experience as it pertains to the individual.38 Through so doing, phenomenology explores illness as firstly a lived experience, that is distinct biomedicine focus on biological disease. For medical education, phenomenology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to what illness, healthcare, and medicine mean for individual patients and necessarily promotes a pluralistic approach. We can apply this to our experience to patients with illness that lacks a clearly understood biological pathway. These include psychiatric illnesses and “medically-unexplained” syndromes like fibromyalgia. Phenomenology’s emphasis on patients’ lived-experience a priori to the biological phenomena adds validity to the illness experience of these patients and it aids understanding of these experiences for the healthcare professional. Furthermore, understanding the epistemic bias of biomedicine toward disease over illness as a lived-experience can explain why these groups of patients can be side-lined in modern healthcare and often struggle to receive a diagnosis.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is discussed in more depth in Veen and Rietmeijer (2021).40

의학 커리큘럼의 변화에 관한 논문에서 순딥 미쉬라(Sundeep Mishra)는 의대생들이 외부 환경, 즉 의학의 세계 바깥에 있는 환경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유지하고, "현실에 기반을 두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합니다.41(187쪽) 철학과 윤리는 [가정으로 받아들여지고 사실로 받아들여지는 개념]에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의학의 관점을 유지하도록 대화를 촉진합니다. MH를 공부하는 학생으로서 우리는 질병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의학의 목적(통증 감소, 생명 연장, 질병 치료 등)이 무엇인지 탐구했습니다. - 그리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합리적인 수단이 무엇인지 탐구했습니다. 정답에 도달하지 못하더라도 어려운 논쟁의 회색 지대를 탐색하고, 다른 사람의 관점을 이해하고, 임상 진료에 대한 자신의 성찰을 심화시키는 데서 가치를 발견했습니다. 
In her paper on changing the medical curriculum, Sundeep Mishra explains that it is important to maintain medical students’ orientation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that is the one outside the world of medicine, as well as keeping us “grounded to reality”.41(p187) Philosophy and ethics facilitate the conversations that keep medicine in perspective by questioning concepts that are otherwise taken as assumptions and accepted to be true. As students studying MH, we have explored what is meant by disease, what the purpose of medicine is - reducing pain, prolonging life, curing disease, etc. - and what the reasonable means to achieving these ends are. Even if we never arrive at a definitive answer, we have found value in navigating the grays of difficult arguments, understanding the perspectives of others, and deepening our own reflections on clinical practice.

이러한 큰 질문들을 던지는 것은 의학이 "현실에 기반을 두는 것"(41(187쪽))과 반대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러한 접근 방식은 사회를 바라볼 수 있는 넓은 시야를 제공하고 의학적 결정의 더 큰 의미를 평가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의학은 경제, 정치, 문화, 미디어, 여론의 영향을 받으며, 결과적으로 이러한 사회 각 분야에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의대생으로서 우리는 공부를 계속할수록 외부 세계와 점점 더 멀어질 수 있습니다. 다른 학생들과는 다른 요구 사항, 다른 학기, 더 많은 공부 기간, 심지어 의대생 전용 동아리 및 학회까지 있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 대한 방향을 잊어버릴 위험이 있는 것은 당연합니다. 의대생들이 MH에 참여하여 공감하고 폭넓은 사고를 가진 미래의 임상의사 그룹을 만들어 의학에 대한 이러한 이해를 사회와 뗄 수 없는 관계로 인식하고 전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sking some of these big questions may seem like the opposite of keeping medicine “grounded to reality”; 41(p.187) however, this approach provides a wide-angle lens with which to view society and allows us to assess the bigger implications of medical decisions. Medicine is affected by economics, politics, culture, media, and public opinion and in turn it has effects on these sects of society. Yet, as medical students, we can become more and more detached from the outside world as we continue our studies. With different demands than other students, different term times, more years of study, even clubs and societies exclusively for medical students, it is no wonder we risk forgetting to orientate ourselv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It is important that we engage medical students with MH to create a group of empathetic and broad-minded future clinicians so that they might engage and propagate this understanding of medicine as inextricably grounded in society.

외과의사 헨리 마쉬와 폴 칼라니티의 최근 인기 회고록인 Do No Harm(2014)42과 숨결이 바람 될 때(2016)43는 각각 푸코가 설명한 환자 대상화의 도전, 가능한 이점, 효과에 대한 강력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20,44 우리의 경험과 공명하는 마쉬와 칼라니티의 작업에서 우리는 환자가 [질병을 가지고 있는 대상]으로 전락하여 외과의사가 자신의 업무를 분리하고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환자를 온전한 개인으로 보지 않기 때문에 공감을 희생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Two recent popular memoirs from surgeons Henry Marsh and Paul Kalannithi in Do No Harm (2014)42 and When Breath Becomes Air (2016)43 respectively offer a powerful insight into the challenges, possible benefits, and effect of patient objectification described by Foucault.20,44 Resonating with our experiences, in both Marsh’s and Kalanithi’s work, we see patients reduced to objects-containing-disease which enable the surgeons to disconnect and carry out their work. However, this is arguably at the expense of empathy as patients are viewed as less than whole individuals.

데이비드 로스먼의 '병상의 낯선 사람들'은 20세기 후반 의료 의사 결정의 역사와 그에 따른 생명윤리의 부상을 자세히 설명합니다.45 그는 의학이 어떻게 변화하고 세상 및 환자와 단절되었는지를 전문적으로 그려내고 있습니다. 의료계가 더 많은 지식과 테크닉을 추구하면서 의학은 더욱 과학적이고 전문화되었으며 덜 개인적이 되었습니다. 로스만의 연구는 임상 의학 외부, 즉 병상 밖의 요인이 의학적 의사 결정과 환자-의사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신랄한 사례입니다.45 의대생인 우리에게는 원리와 법칙을 암기하는 것보다 의료 윤리의 역사를 이해하는 것이 [좋은 의료 행위, 즉 윤리적이라고 간주되는 것이 항상 역사 속에 있으며, 어느 정도는 역사적 시대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특히 로스만은 MH가 현대 생물의학 모델과 전문화가 열어준 의사와 환자 사이의 간극을 좁힐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하기도 합니다.45 
David Rothman’s Strangers at the Bedside details the history of medical decision making, and the subsequent rise of bioethics,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45 He expertly draws out how medicine has changed and become disconnected from the world and its patients. Through the medical profession’s quest for ever more knowledge and techniques it became more scientific, more specialized and less personal. Rothman’s work is a poignant example of how factors outside of clinical medicine, that is to say beyond the bedside, can influence medical decision making and the patient-doctor relationship.45 For us as medical students,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medical ethics, rather than rote learning the principles and laws, shows what is considered to be good, or ethical, medical practice is always situated in history and, to a certain extent, dictated by the historical period. Notably, Rothman goes so far as to suggest that MH may be able to close the gap between doctor and patient that modern biomedical models and specialization opened up.45

의학의 측면, 특히 윤리를 가르치고 배울 때 우리는 숨겨진 커리큘럼의 역할과 중요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교육자와 학생은 숨겨진 커리큘럼 내에서 학습할 때의 장점과 단점을 모두 알고 있어야 잠재적인 이점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46 MH 교육은 이러한 단점을 일부 완화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잭 쿨한과 피터 윌리엄스는 윤리 및 MH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숨겨진 커리큘럼의 부정적인 결과로부터 어떻게 면역47(598쪽)이 되는지 탐구합니다. 우리는 이 논문의 연구 결과를 통해 MH를 통해 길러지는 성찰, 비판, 공감의 기술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배치 경험을 선별하여 본받고 싶은 것과 피하고 싶은 것을 가려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48 또한, 성찰은 MH, 특히 예술을 통해 "낯설게 만들기" 과정을 통해 활성화되고 촉진됩니다.3 여기에는 새로운 표현과 결과적으로 우리의 "정상적이고" 자동적인 일상 행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 수반됩니다. 예를 들어, 숙련된 외과의사에게 수술 과정을 예술 작품, 영화, 내러티브로 제시함으로써 수술 과정을 낯설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이전에 검토하지 않았던 편견과 아이디어를 분석하고 반영하여 임상 치료에 대한 새로운 인사이트와 접근 방식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When teaching and learning aspects of medicine, perhaps especially ethics, we must consider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hidden curriculum. Educators and students must be aware of both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learning within the hidden curriculum such that its potential benefits are maximized.46 MH teaching has been found to mitigate some of these disadvantages. Jack Coulehan and Peter Williams explore how students are immunised47(p.598) from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hidden curriculum through teaching on ethics and MH. We can confirm the findings of this paper and know the skills of reflection, critique, and empathy that are cultivated through MH allow students to sift through their experiences on placement, picking out the things they wish to emulate, and others that they hope to avoid.48 Furthermore, reflections are enabled and promoted by MH, especially the arts by the process of “making strange”.3 This involves a novel presentation and consequentially new perspectives on our “normal”, automatic, everyday behavior. For example, one can make the process of surgery strange to an experienced surgeon by presenting aspects in artwork, film, and narratives. This forces analysis and reflection upon previously unexamined biases and ideas, leading to new insights and approaches to clinical care.

인류학
Anthropology

가장 사회적인 과학이자 가장 과학적인 인문학으로 평가받는 인류학은 내용, 맥락, 개발 역량 모두에서 전통적인 학문 분야를 넘나듭니다. 인류학자들이 주로 연구하는 민족지학적 데이터는 특정 문화 현상에 대한 인간의 경험을 분석하는 범위에서 의학 연구의 원리와 많은 부분을 공유합니다. 궁극적으로 의학은 서비스 직업입니다. 임상의사로서 우리의 업무는 인간 상태의 뉘앙스와 변화에 지울 수 없는 영향을 받습니다. 의학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인류학적 프레임워크는 미래의 의사들이 서양 생물의학의 기원과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생물 의학의 경직된 도식과는 달리, 생물 의학이 질병과 불건강을 치료하는 유일한 실행 가능한 방법은 아닙니다. 궁극적으로 생물의학의 헤게모니를 옹호하게 될 학생들에게는 생물의학의 기원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대안적 치료법의 가능성에 대해 열린 자세를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Posited as both the most social of the sciences and the most scientific of the humanities, anthropology traverses traditional academic disciplines in both content, context, and the competencies it develops. Ethnographic data, the mainstay of research for anthropologists, shares a lot of the principles of medical research in its scope for teasing apart the human experiences of particular cultural phenomena. Ultimately, medicine is a service profession. As clinicians, our work is indelibly influenced by the nuance and variation in the human condition. An anthropological framework with which to think on medicine allows future doctors to understand the origins and implications of western biomedicine. Much unlike the rigid schema of biomedicine would have us believe, it is not the only viable method of treating disease and ill-health. For students who, ultimately, will go on to uphold the hegemony of biomedicine, it is crucial to think critically of its origins and to be open to the possibilities of alternative healing practices.

의대생과 의료 종사자 모두에게 인류학을 공부하면 의학이 문화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문화가 의학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의과대학에서는 유행처럼 번지고 있지만 아직은 모호한 주제인 '문화적 역량'을 교육함으로써 이러한 상호 작용을 해결하려고 시도하는데, 이는 학생들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결정 요인에 관계없이 환자를 공평하게 치료할 수 있도록 문화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갖추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MH 교육이 종종 다른 분야의 기술을 채택하여 생물학에 초점을 맞춘 교육 모델에 부적절하게 중첩하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문화적 역량 교육]은 문화가 소화되고 그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정적인 현상이라고 무심코 가정합니다. 아서 클라인먼이 『진료실의 인류학』에서 주장했듯이, 이는 분명 사실이 아닙니다.49
For medical students and healthcare workers alike, studying anthropology offers an insight into methodologies for better understanding how medicine is contingent on culture, and culture is contingent on medicine. Medical schools attempt to address this interplay through teaching “cultural competence”, a fashionable yet nebulous subject that seeks to equip students with enough knowledge about culture in order to treat patients equitably regardless of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they are impacted by. Much like the manner in which MH education often involves the adoption of techniques from different fields and ill-fittingly superimposes them onto a biologically focused model of teaching, cultural competence teaching inadvertently assumes that culture is a static phenomenon that can be digested and acted upon accordingly. Clearly, as Arthur Kleinman argues in Anthropology in the Clinic, this is not the case.49

우리의 경험에 따르면 문화적 역량에 대한 워크숍과 교육은 환자의 보호 특성을 강조하려고 노력하지만, 이러한 특성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게 하는 구조를 해체하는 데는 거의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 예를 들어, 트랜스젠더 남성 환자가 시스젠더 여성과 동일한 피임 요건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이것이 환자에게 어떤 불쾌한 경험이 될 수 있는지 고려하고 의료 시스템이 이러한 피해를 완화할 수 있는 해결책을 고안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 경험상 트랜스젠더 커뮤니티의 일원이거나 그 지지자인 학생은 트랜스젠더의 임상적 영향에 대해 시간을 내어 학습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커리큘럼에 트랜스젠더 건강에 대한 교육이 없는 경우, 이러한 학생들은 시험에서 더 좋은 성적을 거둡니다.

저희는 트랜스젠더 환자의 피임과 같이 소외된 집단이 직면하는 의료 서비스 장벽에 대해 더 많이 가르칠 것을 강력히 지지합니다. 그러나 학생들에게 임상 지침을 가르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의료 서비스의 구조적, 정치적 장벽에 대한 인류학적 이해를 추가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이러한 주제에 신랄함과 중요성을 더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이 자료에 더 잘 참여하고 소외된 집단을 더 잘 옹호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Workshops and teaching in cultural competence, in our experience, seek to highlight patients’ protected characteristics yet do little to dismantle the structures through which these characteristics prevent access to appropriate care.

  • For exampl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at the transgender male patient may have the same contraceptive requirements as a cisgender female: it is even more important to consider how this may be a dysphoric experience for our patient and devise solutions through which our healthcare systems can mitigate this harm.
  • In our experiences, students who are members of, or allies for, the transgender community are more likely to take the time to learn about the clinical impact of being transgender. In the absence of teaching on transgender health in the curriculum, these students perform better in exams.

We strongly advocate for more teaching on the barriers to healthcare that marginalized groups face, such as contraception for transgender patients. However, going beyond and teaching students the clinical guidelines and adding anthropological understandings of the structural and political barriers to healthcare. We believe this adds poignancy and an importance to these topics. On reflection, we find this results in better student engagement with this material and better student advocacy for marginalized groups.

인류학, 더 일반적으로 MH를 공부하는 것은 환자와 임상의가 직면한 사회적, 문화적 압력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공합니다. 인류학은 전통적인 임상 능력의 경계를 넘어 공감, 이해, 휴머니즘을 개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What studying anthropology, and MH more generally, provides is a methodology through which to think on the social and cultural pressures faced by patients and clinicians alike. Anthropology has a critical role in the clinic, in its capacity to develop empathy, understanding, and humanism beyond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clinical competence.

실용적인 고려 사항
Practical considerations

MH를 강력하게 포함하는 것의 가치는 전체론적 접근법을 개념화하고 촉진하려는 교육에서 잘 드러납니다. 그러나 MH를 통합하는 데에는 상당한 장벽이 있으며, 여기서 논의할 것입니다. 
The value of a strong inclusion of MH is well demonstrated by teaching that seeks to conceptualize and promote holistic approaches.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barriers to integration of MH which we will discuss here.

다루어야 할 콘텐츠가 방대할 뿐만 아니라 재정적 압박으로 인해 학생들은 중요한 결과물(예: 임상 중심의 이력서 작성)에 우선순위를 두게 됩니다. 인터칼리제이션으로 인해 1년의 학습 기간이 추가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특히 다양한 참여 배경을 가진 학생의 경우 새로운 과목을 탐구하는 '가치'를 고려할 때 재정 계획은 확실히 중요합니다. 인터칼리제이션의 경제적 제약은 MH 참여에 영향을 미칩니다. MH에 참여한 학생들의 취업 가능성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MH에 돈을 투자할 능력이 있고 투자하고 싶어하는 학생들이 연구 및 임상 역량 측면에서 가치를 얻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As well as the sheer breadth of content to cover, financial pressures encourage students to prioritize what they perceive to be important outcomes (for example, building a clinically-focused resume). Given that intercalation adds an additional year of study, financial planning is certainly important when considering the “worth” of exploring a new subject, particularly for students from widening participation backgrounds. The economic constraints of intercalation, by extension, impact engagement in MH. Addressing misapprehensions about the employability of students that have intercalated in MH is vital, such that students, who are capable of and want to invest their money in intercalation, know they are getting value in terms of research and clinical competency.

또 다른 영역은 평가 문제입니다. 영국 의대생들은 유연성과 창의성을 장려하는 평가보다는 정답과 오답으로 점수가 크게 줄어드는 객관식 단답형 시험을 반복적으로 치르게 됩니다. 또한 인문학과 예술의 이론적 프레임워크는 평가 자체에 대한 비판과 통찰력을 제공하여 의학교육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50 
Another such area is the matter of assessment. Rather than assessments which encourage flexibility and creativity, UK medical students are repeatedly presented with multiple-choice, single-best-answer examinations in which marks are broadly reduced to correct vs. incorrect. Furthermore, theoretical frameworks from humanities and the arts can provide critiques and insights into assessment itself for medical education to improve itself.50

MH는 의과대학에서 전통적으로 학생들을 평가하는 틀에 맞추기가 더 어렵습니다. 서면 과제는 교육자가 학생의 학위 인증을 결정하는 데 유용하지만, 학생들은 종종 이러한 과제를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 특정 기술에 대한 숙련도를 입증해야 하는 '틱 박스 연습' 의학교육의 연장선으로 해석합니다. 학생들은 이득이 불분명하거나 평가가 중요하지 않은 경우 과제에 진정으로 참여하기보다는 기대하는 바를 수행하게 됩니다.51 이러한 교육 모델은 잠재적인 학생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MH 교육이 현재 의과대학의 미리 정해진 방법론과 행정 구조에 어떻게 끼워맞추는지를 다시 한 번 보여줍니다. MH 교육에 참여하고 새로운 영역이나 사고 패턴을 통합하기 위해 동료들과 대화를 나누는 것은 우리의 경험을 통해 똑같이 가시적인 학습 성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MH are more difficult to mold to a proforma through which medical schools traditionally mark their students. Written work is useful to educators in determining the accreditation of a student’s degree, yet students often interpret these tasks as an extension of “tick-box exercise” medical education, whereby one must demonstrate proficiency in a particular skill in order to move onto the next phase. Students will perform what is expected of them, rather than truly engaging with the task, if the benefit is unclear or assessment unimportant.51 This teaching model often fails to captivate potential students and, once again, demonstrates how MH teaching is often shoehorned into the predetermined methodologies and administrative structures of current medical schools. Engaging with MH teaching, and the conversations one has with peers in order to consolidate new areas or patterns of thought have been shown, through our experience, to offer equally tangible learning outcomes.

영국의 한 의과대학에서는 2학년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가쓰시카 호쿠사이의 목판화 '가나가와 앞바다의 큰 파도'(1829~1833년경)를 해석하는 소그룹 교육을 하루 동안 진행했습니다. 이 워크숍은 이틀에 걸쳐 전체 수강생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진행되었습니다. 둘째 날에는 워크숍 참석률이 저조했는데, 등록이나 공식적인 평가가 없다는 동료들의 이야기를 듣고 많은 사람들이 시간을 투자할 가치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하루 동안 진행되는 워크숍이라는 특별한 접근 방식은 가치를 즉시 확인할 수 없는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에는 부족합니다. MH가 커리큘럼의 기초에 내장되지 않고 그 위에 추가되는 방식이라면, 학생들은 성적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기꺼이 참여를 포기할 수 있습니다. 
At one UK medical school, all second year students were offered a day dedicated to small group teaching around interpreting Katsushika Hokusai’s woodblock print The Great Wave off Kanagawa (circa 1829 − 1833). These workshops were spread over two days for the entire cohort of students to receive teaching. On the second day, workshop attendance was low; having heard from peers that there was no register or formal assessment, many decided it was not worth their time. This particular approach - a day long workshop - falls short of captivating the interests of those who cannot immediately see the value. When MH is added on top of, rather than built into the foundations to the curriculum, students are able, and willing, to disengage provided it does not affect their grade.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서는 공식 평가가 핵심 커리큘럼과 분리되지 않고 의학의 회색 영역을 포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MH 교육의 가치를 정량화하려는 충동을 피하고 그 인식론적 기원을 수용해야 합니다. 교육자는 자신이 탐구하는 학문 분야에서 초기 단계에 있는 기법을 채택함으로써 학생들을 과정에 더 잘 참여시킬 수 있으며, 학문적 인문학의 전략을 완전히 통합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보다 진정성 있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강력한 포용성을 통해 이러한 기법을 채택하는 것은 학생과 교육기관에 MH의 재정적 가치를 가장 잘 보여줄 수 있습니다. 
In our opinion, to encourage engagement, formal assessment must embrace the gray areas of medicine without separation from the core curriculum. As such, we must avoid the urge to quantify the value of MH teaching and embrace its epistemological origins. Educators might better engage students with the process by adopting techniques nascent to the academic field they are exploring; in fully integrating the strategies of academic humanities, students are offered a more authentic experience. Furthermore, adopting these techniques through strong inclusion best demonstrates the financial worth of MH to students and institutions.

추가 작업
Further work

물론 우리가 다루지 않은 고려 사항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습 공간에서 다른 의대생들과 함께 하는 것이 더 나은가, 아니면 학생들이 의학과가 아닌 다른 과목에 참여할 때 더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가? 상대적으로 좁은 범위의 경험을 증거로 제시할 때, 그 한계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 각자는 영국 대학에서 공부하기 때문에 MH가 커리큘럼에 어떻게 약하게 또는 강하게 통합되어 있는지에 대한 전 세계 학생의 관점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 이 주제에 대한 추가 고찰, 특히 학생의 목소리가 반영된 연구 결과가 필요합니다. 학생은 연구 참여자로서뿐만 아니라 연구자이자 저자로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믿기 때문에 학생의 관점은 의학교육의 문제를 고려하는 데 새로운 시각을 제공합니다. 이는 인종차별, 성소수자, 기후 변화, 기술 및 혁신과 같이 세대 간 격차가 존재하는 문제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There are of course considerations we have not covered; for example, is it better to join other medical students in a learning space, or do students learn more effectively when they join courses outside of the medical department? In positing our own relatively narrow range of experiences as evidence,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ir limitations. Each of us studies at UK universities and as such cannot account for a global student perspective on how MH are weakly or strongly integrated in curricula: we invite further reflections on this topic, particularly from those which incorporate the student voice. The student perspective provides a novel lens for considering issues in medical education as we believe students are invaluable, not just as research participants but as researchers and authors themselves. This is significantly important in issues where we see a generation gap such as racism, LGBTQ+, climate change, and technology and innovation.

마찬가지로, 저희는 커리큘럼에서 MH의 가치를 성찰하고 옹호해 온 소수의 사람들을 대표하기 때문에 그 장점에 편향된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MH에 대해 좋지 않은 경험이 있거나 우리가 말한 것에 반론을 제기하는 사람, 특히 포용성이 약하거나 강한 것을 목격한 사람, 우리가 논의한 학문 분야에 대해 더 많은 성찰이 있는 사람, 우리가 놓친 연구 영역에 있는 사람들도 의견을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MH를 커리큘럼에 가장 잘 통합하고 의학의 회색 영역을 이해하기 시작하려면 균형 잡힌 토론을 발전시켜야 합니다.
Similarly, as we represent a self-selected few who have reflected on and advocated for the value of MH in our curricula, our position is biased toward its benefits. Those who have poor experiences with MH or aspersions that present a counter-argument to what we have said; those who have witnessed particularly weak or strong inclusion, those with further reflections on the academic fields we have discussed, and those within realms of study we have missed are, too, invited to submit their observations. In order to best interweave MH into curricula and begin to make sense of the gray areas of medicine we must cultivate a well-rounded debate.

결론
Conclusion

이 글에서는 학생의 관점에서 의학 및 의학교육에서 MH의 일부 영역과 그 가치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았습니다. MH의 인터칼레이팅을 경험한 저희는 의학의 모든 측면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미묘한 시각을 갖게 되었습니다. 
In this piece we have provided a broad overview of just some of the domains of MH and their value i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from the student perspective. As former intercalators in MH, our introduction to learning from within these disciplines has given us a renewed and nuanced way of viewing every aspect of medicine.

우리는 MH를 위한 더 강력한 포용 방법으로서 인터칼레이션의 강점과 단점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이 논의가 통합을 위한 최선의 단일 방법을 정의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MH를 더 나은 병상bedside 매너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선택적 추가 사항 이상으로 간주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었습니다. 오히려 회색의 존재는 글로벌 MH 교육을 요구합니다. 
We have discussed the strengths and shortcomings of intercalation as a stronger method of inclusion for MH. While our discussion does not aim to define a single best method for integration, we have demonstrated how MH ought to be viewed as far more than optional extras which may invoke a better bedside manner. Rather, the existence of the gray demands global MH education.

아무리 인문학에 회의적인 의학교육자라 할지라도 의학이 사회, 사람, 문제와 분리된 객관적이고 흑백적인 사실의 진공 속에 존재한다고 선의로 주장할 수는 없습니다. MH는 이러한 회색 영역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와 이를 주의 깊게 연구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합니다. 의학은 그 안에 있는 사람들에 의해, 특히 단점을 분석할 수 있는 도구가 주어질 때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학생의 관점을 활용하면 MH에서 무엇이 잘 작동하는지뿐만 아니라, 왜 잘 작동하는지, 앞으로 교육을 어떻게 발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더 깊이 있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교육적 토론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는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의학교육과 실습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교육 기관에서 그 핵심에 있는 학생들보다 미래를 더 잘 상상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요? 
Even the most hardened humanities-sceptic medical educators cannot argue in good faith that medicine exists in a vacuum of objective, black and white, facts, separated from the grays of society, its people and their problems. For us, MH provide an opportunity to look at these gray areas, and a framework for studying them carefully. Medicine can be changed for the better by the people within it, especially when they are given the tools to analyze its shortcomings. Utilizing the student perspective allows a deeper dive not just into what works well in MH, but why it works well and how we might develop education moving forwards. Students offer novel insights which contribute meaningfully to pedagogical discussions that ultimately help to shape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For an institution so consistently in flux, who better to envisage its future than the students at its core?


Teach Learn Med. 2022 Apr-May;34(2):223-233. doi: 10.1080/10401334.2021.1982717. Epub 2021 Nov 9.

Black, White and Gray: Student Perspectives on Medical Humanities and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1Faculty of Life Sciences and Medicine, King's College London, London, England.

2Academic Unit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Sheffield, Sheffield, England.

3Hull York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York, York, England.

4Brighton & Sussex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Sussex, Brighton, England.

5Edinburgh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Edinburgh, Edinburgh, Scotland.

PMID: 34749550

DOI: 10.1080/10401334.2021.1982717

Abstract

Issue: In recent years, the value and relevance of humanities-based teaching in medical education have become more widely acknowledged. In many medical schools this has prompted additions to curricula that allow students to explore the gray-as opposed to the black and white-areas of medicine through art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s curricula have expanded and diversified in this way, both medical educators and students have begun to ask: what is the best way to teach medical humanities?

Evidence: In this article, five current medical students reflect on their experiences of medical humanities teaching through intercalated BSc programmes in the UK. What follows is a broad exploration of how the incorporation of medical humanities into students' time at university can improve clinical practice where the more rigid, objective-driven, model of medicine falls short.

Implications: This article reinforces the merit of moving beyond a purely biomedical model of medical education. Using the student voice as a vector for critique and discussion, we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uncovering the path toward true integration of humanities-style teaching into medical school curricula.

Keywords: Medical humanities; medical education; student perspectives.

신뢰의 문제: 의학교육에서 온라인감독 시험과 평가에 테크놀로지 통합하기(Teach Learn Med. 2022)
A Matter of Trust: Online Proctored Exams and the Integration of Technologies of Assessment in Medical Education
Tim Fawnsa and Sven Schaepkensb

 

소개: 평가의 테크놀로지
Introduction: the technology of assessment

테크놀로지는 의학 및 의학교육에 널리 퍼져 있습니다. 호흡 모니터, 휴대폰, 디지털 환자 기록, 소셜 미디어, 디지털 교육 플랫폼은 모두 지식, 실무, 관계를 변화시켰습니다.1-4 테크놀로지는 방사선과 약학과 같은 전문직의 역할과 전문성을 재편했습니다.5 많은 장점과 함께 위험도 존재합니다. 테크놀로지는 우리가 일하고 학습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우리의 광범위한 도덕적 관계, 신념, 규범 및 가치관에도 영향을 미칩니다.6,7 교육자들은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협상할 때 테크놀로지적 문제뿐만 아니라 매우 복잡하고 도덕적이며 교육적인 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5 그럼에도 불구하고 테크놀로지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테크놀로지를 검토하지 않거나,8 우리의 이해가 개인의 상호작용, 경험, 학습, 결과에 대한 질문으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9  
Technology is pervasive i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Respiratory monitors, mobile phones, digital patient records, social media, and digital education platforms have all changed knowledge, practice, and relationships.1–4 Technologies have reshaped professional roles and specialisms such as radiology and pharmacy.5 Alongside the many benefits, there are also risks. Technology changes more than how we work and learn; it also influences our wider moral relations, beliefs, norms and values.6,7 As educators negotiate new technologies, they are confronted not only with technical challenges but also highly-complex, moral, and pedagogical ones.5 Despite this, technology often goes unexamined by those who use it,8 or our understanding is limited to questions about individual interactions, experiences, learning, and outcomes.9

평가 문화는 또한 정체성, 사회적 관계, 직업에서 인정하는 정당한 지식과 행동을 형성합니다.10-13 평가 관행과 문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루브릭, 점수표, 가상 학습 환경, 표절 감지 소프트웨어와 같은 테크놀로지에 의해 형성되었습니다.14 평가에서 테크놀로지의 미래 방향에 대해 추측하는 Hodges15는 감시와 자동화된 판단을 통해 고부담 시험에서 수행성이 강화될 것을 경고합니다. 지금까지 평가 테크놀로지(및 보다 일반적인 평가)13에 대한 연구는 형평성, 윤리 또는 가치의 문제보다는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도구를 중심으로 개별 결과에 초점을 맞춰 왔습니다.16 
Cultures of assessment also shape identities, social relations, and the legitimate knowledge and behavior recognized by a profession.10–13 Assessment practice and culture have, in turn, been shaped over time by technologies such as rubrics, mark sheets, virtual learning environments, and plagiarism detection software.14 Hodges,15 speculating on future directions of technology in assessment, warns of an intensification of performativity in high stakes examinations through surveillance and automated judgements. Thus far, research on assessment technologies (and assessment more generally)13 has focused on individual outcomes, framed around neutral and objective tools, rather than issues of equity, ethics, or values.16

조사할 가치가 있는 테크놀로지 중 하나는 시험장 외부에 감독관이 있는 시험 환경을 조성하는 서비스인 온라인 감독입니다.17 이러한 서비스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도 존재했지만, 기관들이 안전한 평가의 연속성을 추구하면서 2020년에 그 사용이 크게 증가했습니다.18 오프라인 시험장은 여전히 시험장이 지향하는 표준을 대표하지만, 온라인 감독관은 "시험을 전혀 치를 수 없는 상황"에 대한 대안으로 자리 잡았습니다.18(p8) 다양한 서비스에서19 정기적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데이터 기반 접근 방식의 조합은 혁신의 느낌을 주며18,20 이는 효율성과 함께 평가에서 테크놀로지 채택의 핵심 요소입니다.21 그러나 감독관은 학습자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새로운 위험을 초래하고,18 불신을 조장하며,22 비백인과 장애인을 차별하고 데이터를 오용한다는 비판을 받습니다. 
One technology worth investigating is online proctoring—a service that creates invigilated examination conditions outside of the exam hall.17 Such services existed before the Covid-19 pandemic, but their use increased significantly in 2020 as institutions sought continuity of secure assessment.18 While exam halls still represent the standard to which it aspires, online proctoring has been positioned as an alternative to “not being able to run exams at all”.18(p8) Across a variety of services,19 a combination of regular software updates and data-driven approaches produces a sense of innovation18,20 which, along with efficiency, is a key factor in technology adoption in assessment.21 However, proctoring has been criticized as introducing new risks around learner privacy, foregrounding distrust,18 discriminating against nonwhite and disabled people, and misusing data.22

온라인 감독에 대한 연구는 이제 막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 분야에 대한 리뷰는 종종 언론 자료에 의존하며,18,23,24 비판적 접근 방식을 채택한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코글린 등24 은 교육기관에 대한 불신 증가와 감시 및 통제의 가속화에 대한 우려를 제기합니다. 리와 팡기25는 푸코의 '규율적 정부성'26을 한국 대학의 온라인 감독에 적용합니다. 이들은 감시가 사고와 행동의 가능성을 제약하고 학생들을 경쟁의 장에서의 상대로 위치시킨다고 제안합니다. 호주의 셀윈 등은 인터뷰, 문서, 미디어를 분석하여 대학, 감독업체, 학생 간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합니다.18 이들은 감시와 함께 "상업적 공급자에게 통제권을 넘기는 것"과 교사가 교육적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테크놀로지를 전복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합니다. 
Research on online proctoring is just emerging. Reviews of the field often rely on journalistic sources,18,23,24 and few studies have adopted critical approaches. Coghlin et al.24 raise concerns about increasing distrust toward institutions and an acceleration of surveillance and control. Lee and Fanguy25 apply Foucault’s “disciplinary governmentality”26 to online proctoring at a South Korean university. They propose that surveillance constrains possibilities for thinking and behavior, and positions students as opponents in an atmosphere of competition. In Australia, Selwyn et al. analyze interviews, documents, and media to critically examine relations between universities, proctoring companies, and students.18 Alongside surveillance, they question “the surrender of control to commercial providers”, and the need for teachers to subvert the technology to maintain their educational values.

의학 교육에서 온라인 프록팅은 아직 비판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지 않았습니다. 의학이 청렴하고 전문성을 갖춘 의료인을 양성하는 것을 강조하는 것을 고려할 때, 이것은 걱정스러운 일입니다. 프록팅의 테크놀로지화된 과정은 결과가 공정하고 객관적이라는 것을 의과 대학, 고용주 및 대중을 안심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형태의 시험은 감시"이며, 신뢰, 전문직업성 및 지식에 대한 규범적 개념이 이미 의료 교육의 전통적인 평가 관행에 포함되어 있지만, 단순히 "시험을 온라인으로 옮기는 것" 이상의 일이 진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In medical education, online proctoring has not yet been subject to critical research. This is worrying, given medicine’s emphasis on cultivating practitioners with integrity and professionalism. The technologized process of proctoring may reassure medical schools, employers, and the public that results are fair and objective.25 However, while “all forms of examination are surveillance”,15(p3) and while normative conceptions of trust, professionalism, and knowledge were already embedded within traditional assessment practice in medical education,27,28 it is important to consider whether something more is going on than simply “moving exams online”.

본 논문에서는 속도를 늦추고 맥락을 고려하며 의료교육에서 평가테크놀로지와 문화, 이들이 촉진하는 지식과 직업적 정체성의 상호작용을 성찰하자는 빈과 시아노콜로의 제안을 따릅니다. 우리는 포스트 디지털 접근법과 포스트 현상학 접근법을 결합하여 2020년 온라인 프로텍팅된 영국의학전문대학(MRCP) 회원 시험을 분석합니다. 우리는 이 온라인 프록팅의 예시를 통해 생성된 대본, 규범, 신뢰 관계를 살펴보고 역사적, 경제적 맥락에서 이를 위치시킵니다. 이를 통해 교육훈련생과 의료교육기관 간 지식, 전문성, 관계 측면에서 무엇이 가치 있는지 고려한 후 의료교육에서 평가테크놀로지의 통합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합니다. 
In this paper, we follow Veen and Ciancolo’s29 suggestion to slow down, consider context, and reflect on the interplay between assessment technology and culture in medical education, and the kinds of knowledge and professional identity they promote. We combine postdigital and postphenomenology approaches to analyze the 2020 online proctored United Kingdoml College of Physicians (MRCP) membership exam. We examine the scripts, norms, and trust relations produced through this example of online proctoring, and locate them in historical and economic contexts. Through this, we consider what is valued in terms of knowledge, professionalism, and relations between trainees and medical education institutions, before drawing out implications for the integration of technologies of assessment in medical education.

이론적 틀: 포스트 디지털과 포스트 현상학의 결합
Theoretical framework: combining the postdigital and postphenomenological

의학 교육 연구가 주로 개인주의와 지식을 "개인 자본"으로 다루는 것에 몰두해 온 반면, 일부는 의학 교육 내에서 테크놀로지를 검토하기 위해 더 복잡한 프레임워크를 채택했습니다. 신체 교육학은 학습과 실천을 (테크놀로지를 포함하는) 물질적 환경과 상호 작용하여 발생하는 구체화된 프로세스로 간주합니다. 활동 이론, 실천 이론 및 기타 사회 물질적 접근법은 테크놀로지와 사람이 특정 상황에서 함께 행동하는 방법을 보는 데 도움이 되어 둘 다 고립되어 이해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작업은 주로 실천 설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우리가 아는 한 의료 교육에서 평가 테크놀로지를 검토하는 데 아직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While medical education research has been largely preoccupied with individualism, and the treatment of knowledge as “private capital”,30(p849) some have employed more complex frameworks to examine technology within medical education. Body pedagogics3 considers learning and practising as embodied processes that occur in interaction with the material environment (which includes technologies). Activity theory,31,32 practice theory,33 and other sociomaterial approaches34 have helped us see how technology and people act together, in particular situations, such that neither can be understood in isolation. Such work focuses primarily on practice settings, and has not yet, to our knowledge, been used to examine assessment technology in medical education.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복잡한 얽힘을 심문하기 위한 새로운 관점은 "포스트 디지털"입니다. 테크놀로지에 대한 사회 물질적 이해와 관련하여, 그것은 모든 "디지털"이 더 넓은 맥락에 포함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테크놀로지의 결과는 그것이 사용되는 방법과 여러 이해 당사자의 목적, 가치 및 맥락에 달려 있습니다. 더욱이, 디지털 활동과의 만남은 구체화되고 창발합니다. 온라인 시험은 물리적 신체와 물리적 환경에서 이루어지며, 전통적인 교육 관행의 간단한 온라인 버전은 있을 수 없습니다. 온라인 감독 시험은 일부 공통점이 있지만, 필연적으로 시험장과 다른 현실을 수반합니다. 이러한 더 넓은 관점을 강화하기 위해, 우리는 먼저 프록터링 테크놀로지의 예에 의해 촉진되는 인간-테크놀로지 관계(행동 스크립트, 사회적 규범 및 신뢰 관계)의 더 면밀한 심문을 위해 테크놀로지 접근법의 후현상 테크놀로지를 채용합니다. 그런 다음 우리는 이 테크놀로지에 의해 만들어진 평가 현실이 역사적, 정치적, 교육학적 및 경제적 맥락에 어떻게 포함되며, 이것이 평가 테크놀로지의 훈련생, 기관 및 문화 간의 관계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고려하기 위해 줌아웃합니다. 
An emerging perspective for interrogating the complex entanglements of digital technology is that of the “postdigital”.35,36 Related to sociomaterial understandings of technology, it asserts that anything “digital” must be understood as embedded in a broader context. Outcomes of technology are contingent on the methods by which it is used, and the purposes, values, and contexts of multiple stakeholders.37 Further, encounters with digital activity are embodied and emergent. Online exams take place in physical settings with physical bodies, and there can be no straightforward online versions of traditional educational practices.35,38,39 Online proctored exams inevitably involve a different reality from the exam hall, albeit with some commonalities.40 To augment this broader perspective, we first employ a postphenomenology of technology approach,41–44 for a closer interrogation of the human-technology relations (behavioral scripts, social norms, and trust relations) promoted by an instance of proctoring technology. We then zoom out to consider how the assessment reality created by this technology is embedded in historical, political, pedagogical, and economic contexts, and what this means for relationships between trainees, institutions, and cultures of assessment technology.

포스트 디지털 관점포스트 현상학 관점 모두 현실이 인간의 주관적인 해석과 행동에만 기초한다는 생각을 거부합니다. 우리는 우리 주변의 세계를 완전히 결정하지는 않습니다. 반면, 두 관점 모두 현실이 단지 "저 밖에" 있고 우리가 객관적으로 알 수 있다는 관점을 비판합니다. 우리 주변의 세계가 우리를 완전히 결정하지는 않습니다. 반대로 두 관점 모두 "현실은 관계에서 발생하며, 이를 접하는 인간이 발생하는 것처럼"을 강조하며, 테크놀로지는 이러한 관계를 형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Both postdigital and postphenomenological perspectives reject the idea that reality is based on human, subjective interpretation and action alone. We do not fully determine the world around us. On the other hand, both perspectives also criticize the view that reality is just “out there” and we can know it objectively. The world around us does not fully determine us. Conversely, both perspectives emphasize that “reality arises in relations, as do the humans who encounter it”,43(p568) and technology has a role in shaping these relations.

온라인 관리 시험
Online proctored exams

온라인 프록팅은 행동과 이동에 대한 가능성을 감시하고 제한함으로써 원격 버전의 시험장 조건을 만듭니다. 그 테크놀로지는 각 응시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그들이 그들의 수행을 도울 수 있는 자원으로부터 혼자이고 격리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합니다. 귀마개를 착용하거나 교과서 또는 모바일 장치를 다루는 것은 "심각한 시험 프로토콜 위반"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일부 서비스는 시험자가 문서, 응용 프로그램 및 웹사이트에 대한 액세스를 차단하기 위해 그들의 장치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도록 요구합니다. 인증은 일반적으로 시험 동안 환경을 감시하는 웹캠과 마이크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허가를 요구합니다. 다른 데이터는 키보드 스트로크, 네트워크 트래픽 및 컴퓨터 메모리 사용량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링은 녹화 또는 둘 다를 통해 라이브 또는 회고적일 수 있으며 알고리즘 또는 학생에게 알려지지 않고 보이지 않는 인간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시험 전에 응시자는 웹캠으로 시험 공간(종종 침실, 부엌 또는 집 내의 다른 개인 공간)을 스캔해야 합니다. 
Online proctoring creates a remote version of exam-hall conditions by monitoring and constraining possibilities for action and movement. The technology verifies each candidate’s identity, and that they are alone and isolated from resources that could aid their performance. Wearing earplugs or handling textbooks or mobile devices may be considered a “serious breach of exam protocol”.45(p5) Some services require exam-takers to install software on their device to block access to documents, applications, and websites. Authentication normally requires permission for the software to control webcams and microphones, which monitor the environment during the examination. Other data can include keyboard strokes, network traffic, and computer memory usage.17 Monitoring can be live or retrospective via recordings, or both, and may involve an algorithm, or a human who is unknown to, and unseen by, the student. Before the exam, candidates must scan the examination space (often a bedroom, kitchen, or other private space within their home) with their webcams.

온라인 프록팅의 최근 예는 영국 왕립 의과 대학(MRCP) 회원 시험입니다. 두 파트로 이뤄진 이 시험은 전문가 양성을 위한 관문 역할을 합니다. "매년 5천 명의 응시자가 검사를 받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대학원 임상 시험"입니다. 1부는 입문, 필기 시험입니다. 2부는 두 시간, 세 시간의 필기 시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둘 다 같은 날 앉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임상 시험 스킬 실무 평가(PACE)가 있습니다. 2020년에 MRCP는 다양한 구성 요소에 대해 다른 활력 서비스를 사용하여 원격 검사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했습니다. MRCP 지침에 따르면 프록팅은 "대면 시험에서 마주치는 것처럼 시험 내내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전문 제공자에 의해" 수행됩니다. 45(p5) 
A recent example of high-stakes online proctoring is the United Kingdom’s Royal College of Physicians (MRCP) membership exam. This two-part exam acts as a gateway into specialist training.46 It is “the largest high stakes postgraduate clinical examination in the world” with “5000 candidates examined each year”.47(p2) 

  • Part One is an introductory, written examination.
  • Part Two is more advanced, consisting of two, three-hour written exams, both sat on the same day.
  • Finally, there is the Practical Assessment of Clinical Examination Skills (PACES).

In 2020, MRCP offered the option of remote examination using different invigilation services for the different components. According to the MRCP guidance, proctoring would be performed “by a specialist provider” who would “be monitoring your activity throughout the exam, just as they would in a face to face exam encounter.”45(p5)

본 논문에서는 MRCP 시험 2부의 실기시험 구성 요소를 제외하고 분석을 필기 요소로 제한합니다. 임상 스킬을 입증하기 위한 동등한 평가 환경을 만들 수 있는 온라인 프록팅 능력에 대한 우려가 분명히 있지만 범위를 제한하면 테크놀로지가 필기 평가에서도 제한된 물리적 환경을 어떻게 만드는지에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2020년 MRCP 회원 시험 2부는 프록터 검사 서비스를 사용했습니다. 수험생은 "보장"되는 조용한 위치를 선택해야 했습니다. 시험 공간은 조명이 잘 켜져 있어야 하고 신뢰할 수 있는 WiFi가 있어야 했습니다. 웹캠과 마이크가 있는 노트북, 구글 크롬 브라우저, 최소 인터넷 속도가 요구되었습니다. 프록터 검사는 눈의 움직임이나 키 누름을 측정하지 않았지만 추가적인 "정확도"를 위해 추가 카메라(예: 응시자의 스마트폰)를 추가하는 "리더"라고 자부했습니다. 48 화면 및 카메라 영상은 "내부 사용"을 위해 녹화되었으며 응시자나 시험관이 사용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45 
In this paper, we limit our analysis to the written element in Part Two of the MRCP exam, excluding the practical component. While there are obvious concerns about the capacity for online proctoring to create equivalent assessment environments for demonstrating clinical skills, limiting our scope allows us to focus on how the technology creates constrained physical environments even for written assessments. In 2020, Part Two of the MRCP membership exam used the ProctorExam service. Examinees were required to choose a quiet location where they were “guaranteed” not be disturbed.45 The exam space needed to be well lit and have reliable WiFi. Requirements included a laptop with webcam and microphone, Google Chrome browser, and a minimum Internet speed. ProctorExam did not measure eye movements or keystrokes, but prided itself as a “leader” in adding extra cameras (e.g. the candidate’s smartphone) for additional “accuracy”.48 Screen and camera footage was recorded for “internal use” and not made available to candidates or examiners.45

인간 검사관들(Proctor Exam 또는 기관 직원들)은 응시자들이 정확한 시간에 시작했는지 확인하고 필요할 때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 응시자들을 지켜봤습니다. 게다가, 그들은 시험 환경이 안전한지 확인했습니다. 이 지지적 체계는 비정상적인 행동을 잠재적인 부정행위로 표시하는 주요 기능을 과소평가했습니다. 이러한 경우, 의료 교육 기관은 취해진 모든 조치에 대해 최종 결정권을 갖습니다. 검사관들은 응시자들에게 보이지 않았습니다. 문자 채팅을 통해 의사소통이 이루어졌습니다. 응시자들은 더 일찍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할당된 시간이 끝날 때까지 컴퓨터에 앉아 있어야 했습니다.
Human proctors (either ProctorExam or institutional employees) watched the candidates, to ensure they started at the correct time and to provide assistance when needed (e.g. where candidates felt unwell or needed the bathroom). Moreover, they ensured that the exam environment was secure. This supportive framework underplayed the primary function, which was to flag abnormal behavior as potential cheating. In such cases, the medical education institution would have the final say on any action taken. Proctors were not visible to candidates; communication occurred via text chat. Candidates had to remain seated at their computer until the end of the allocated time, even if they had finished earlier.45

프록팅의 사후 명명법: 테크놀로지가 현실을 만드는 방법
Postphenomology of proctoring: how technology creates reality

Ihde41과 베어벡에 의해 개발된 Purse 현상학은 테크놀로지가 단순히 우리가 의도하는 것을 하는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설계된 도구라는 생각에 도전합니다.49 대신 테크놀로지는 중립적이지 않은 방법으로 인간과 세계 사이의 관계를 중재합니다.50 이 렌즈를 사용하여 우리는 테크놀로지가 사용자에게 어떻게 그들이 세계에서 어떻게 행동할 수 있는지를 형성하는 특정한 스크립트를 제공하고, 테크놀로지가 어떻게 세계를 그들에게 제시하는지를 면밀히 조사합니다. 
Postphenomenology, as developed by Ihde41 and Verbeek,42 challenges the idea that technology is an instrument designed with a certain purpose that simply does what we intend it to do.49 Instead, technology mediates relations between human and world in non-neutral ways.50 With this lens, we scrutinize how technology offers users particular scripts that shape how they can act in the world, and how technology presents the world to them.

스크립트 및 규범
Scripts and norms

테크놀로지적인 물건들은 "그것들이 사용되는 방식을 형성하는 경향이나 궤적"인 대본을 가지고 있습니다. 43(p569) 예를 들어, 만년필은 우리가 그것들을 쓰기 전에 그것들을 미리 생각하고 문장을 구성하도록 요구하는 반면, 워드 프로세서는 말을 흉내내는 빠르고 유연한 글쓰기를 호출합니다. 어떤 사람은 어느 것으로 천천히 그리고 빠르게 쓸 수 있지만, 각각은 다른 사람들을 방해하면서 특정한 종류의 사용을 촉진합니다. 43,51 게다가, 테크놀로지는 사회적으로 내재되어 있고 문화적인 규범을 형성합니다. 초기의 볼펜은 더 빠르고, 엉성한 글쓰기를 이끌어냄으로써 아이들의 작품의 질을 손상시키는 것으로 생각되었던 반면, 만년필은 깔끔하고 신중한 작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보여졌습니다 
Technological objects have a script, that is an “inclination or trajectory that shapes the ways in which they are used.”43(p569) For example, fountain pens require us to think ahead and compose sentences before writing them down, while word processors invoke quick, flexible writing that mimics speech. One can write slowly and quickly with either, but each promotes a certain type of use while discouraging others.43,51 Moreover, technologies are socially embedded and shape cultural norms. Early ballpoint pens were thought to impair children’s quality of work by eliciting quicker, sloppy writing, whereas fountain pens were seen as producing neat and careful work.43

온라인 프록팅에서 수험생의 행동은 테크놀로지의 감시 기능에 의해 통제됩니다. 프록터 Exam은 멀티 카메라 솔루션을 통해 보안과 정확성이 향상된 순수한 맥락을 제공한다고 주장합니다.48 그러나 수험생의 행동에 대한 엄격한 통제와 수험생의 불가피한 해석으로 인해 맥락의 순수성이 훼손됩니다.51 시험장에서 수험생은 자신의 사람을 정화purify하기만 하면 됩니다(예: 금지된 노트 또는 장치를 제외함으로써). 온라인 프록팅에서 수험생은 자신의 전체 환경과 신체 움직임 범위를 정화해야 합니다. 
In online proctoring, examinees behavior is governed by the technology’s surveillance function. ProctorExam claims to provide a pure context, with greater security and accuracy, through their multi-camera solution.48 Purity of context is, however, undermined by the strict control of examinees’ behavior, and by the inevitable interpretation by examiners.51 In exam halls, candidates only need to purify their person (e.g. by excluding prohibited notes or devices); in online proctoring, they must purify their whole environment and range of bodily movement.

따라서, 비록 시험장 활성화는 감시와 행동의 해석을 수반하지만 (예를 들어, 이웃을 바라보는 것은 부정행위 또는 정신을 산만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첫째, 시험장에서, (잠재적인) 부정행위는 금지된 자원을 보거나 다른 응시자들에게 말하는 것으로 프레임화되는 반면, 온라인 프록팅에서는 그것이 더 광범위하게 프레임화됩니다:

  • 화면에서 멀리 떨어진 곳을 바라보는 것,
  • 비정형적인 방식으로 움직이는 것,
  • 시험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기기의 불법적인 사용,
  • 인터넷 연결 불량,
  • 다른 테크놀로지적인 문제,
  • 다른 사람이 들어오는 것 

많은 학생들이 온라인 프록팅을 지나치게 간섭적으로 경험하지 않는 것 같고, 어떤 학생들은 그것을 보는 것을 잊거나 그것에 무관심해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체 움직임에 대한 엄격한 감시는 그들이 수험생의 이상적인 모델을 따르도록 강요합니다. 22,27

Thus, although exam hall invigilation also involves surveillance and interpretation of behavior (e.g. does looking toward a neighbor imply cheating or mind-wandering?), there are important differences. Firstly, whereas in the exam hall, (potential) cheating is framed as looking at prohibited resources, or speaking to other candidates, in online proctoring it is framed more widely:

  • looking away from the screen,
  • moving in an atypical fashion,
  • unsanctioned use of the device being used for exam-taking,
  • poor Internet connectivity,
  • other technical issues,
  • someone entering the room, etc.

While many students do not seem to experience online proctoring as overly intrusive, and some forget about being watched or become apathetic to it,18 strict monitoring of bodily movements, nonetheless, compels them to conform to an ideal model of an examinee.22,27

둘째로, 온라인 프록팅에는 다양한 행동 데이터(예: 눈 움직임, 키 누름, 비디오 피드)가 있으며, 각각은 시험 세계의 디지털화된 부분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행동이 부적절한지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없습니다. 시험관은 부정행위를 나타내는 벤치마크를 "읽어야" 하며, 시험관은 이러한 기준에 적응하도록 테크놀로지에 의해 격려됩니다. 셋째로, 응시자들은 온라인 시험관을 볼 수 없고, 그들과 그들의 평가관 모두 소프트웨어가 작동하는 방식에 접근할 수 없어 시험관 활성화에 대한 정상적인 신뢰 관계를 방해합니다. 시험관이 무엇을 하고 관찰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거의 없기 때문에 시험관의 행동이 미세하게 기록되기 때문에 수험생들은 불리합니다.
Secondly, in online proctoring, there is a variety of behavioral data (e.g. eye-movement, keystrokes, video feeds), and each represents a digitized slice of the test world. These data cannot directly confirm whether behavior is inappropriate. Proctors must “read” the benchmarks that indicate cheating, and examinees are encouraged by the technology to adapt to these standards. Thirdly, candidates cannot see online proctors, and neither they, nor their assessors, have access to how the software works, disrupting normal trust relations of exam hall invigilation.24,25 Examinees are at a disadvantage, since their behavior is minutely recorded, while their understanding of what proctors do and observe is nearly absent.

 

신뢰
Trust

온라인 감독 테크놀로지는 더 엄격한 프로토콜을 시행함으로써 신뢰보다 감시의 규범을 강화하는 동시에 객관성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전달합니다우리가 테크놀로지를 사용할 때 테크놀로지는 투명해집니다(감독을 받는 수험생이 자신이 감시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버리는 것처럼).18,43,50 우리는 펜으로 글을 쓰고, Google로 검색 결과를 얻고, 감독관 테크놀로지로 부정행위자를 식별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응우옌은 신뢰의 개념을 사람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우리가 지속적으로 신뢰하는 (테크놀로지적) 대상에도 적용합니다.52 인간의 신체적, 인지적 한계를 넘어서는 압도적인 세상에 대처하기 위해 우리는 타인, 동물, 사물에게 대리인을 위탁합니다.52 우리는 시각을 안내견에게, 자녀의 교육을 교사에게, 시험 감시를 감독관 테크놀로지에 위탁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경우 신뢰는 테크놀로지의 신뢰성에 대해 의심하지 않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로프를 잊어버리는 훈련이 필요한 초보 등산객이52 로프가 추락을 막아줄 것이라고 믿고, 소중한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릴 수 있다고 생각해 보십시오. 이 테크놀로지는 더 이상 보이지 않거나 투명해졌습니다. 감독 테크놀로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수험생은 부정행위를 감지하지 않도록 테크놀로지를 신뢰하는 법을 배워야 하고, 감독관은 부정행위를 적절히 감지할 수 있도록 테크놀로지를 신뢰해야 합니다.
Online proctoring technology intensifies norms of surveillance over trust by enforcing stricter protocols, while also conveying a false sense of objectivity. Technology becomes transparent to us when we use it (as with proctored examinees who forget they are watched).18,43,50 We expect pens to write, Google to yield search results and proctor technology to identify cheaters. Nguyen applies the concept of trust, not only to relations between people, but also to those (technological) objects that we trust constantly.52 To cope with an overwhelming world that poses demands beyond our physical and cognitive limitations, we outsource agency to human others, animals, and objects.52 We may outsource our sight to a guide dog, the education of our children to teachers, and exam surveillance to proctor technologies. In each case, trust implies an unquestioning attitude to the technology’s reliability. Consider a novice mountaineer, who requires training to forget their rope,52 trusting it to stop them from falling, so that they can direct their precious attention elsewhere. The technology is no longer visible, or has become transparent. To work effectively with proctoring technology, examinees must learn to trust it not to flag them inappropriately, while examiners must trust it to appropriately detect cheating.

여러 비디오 피드가 감독자에게는 객관성을 만드는 것처럼 보이지만, 수험생에게는 오프라인 시험장보다 더 세세한 측면까지 외부 힘에 의해 신체가 제약, 감시, 통제되는 매우 작위적인 현실에 위치합니다. 투명성의 붕괴는 응시자가 잠재적으로 의심스러운 행동을 할 때 소프트웨어에 의해 생성되는 알림과 경고에 의해 유발됩니다. 이러한 힘은 기업을 자애롭거나 중립적으로 보호하는 것으로 전달되지만, 그들의 주요 기능은 이동과 환경의 미세한 테크놀로지 스크립트를 통해 제약을 집행하고, 전복을 보고하는 것입니다. 
While multiple video feeds seemingly create objectivity for proctors, for examinees, the assessment is located in a highly-contrived reality in which their bodies are constrained, monitored, and controlled by external forces, in more detail than in exam halls. Breakdowns of transparency are provoked by notifications and warnings produced by the software when a candidate engages in potentially suspicious behavior (e.g. looking in the wrong place or moving in the wrong way). These forces are conveyed by proctoring companies as benevolent or neutral, but their primary function is enforcing constraint and reporting subversion through the minute technological scripting of movement and environment.

온라인 프록팅의 포스트 디지털 뷰
A postdigital view of online proctoring

우리는 온라인 프록팅이 시험장 활성화보다 더 엄격한 대본과 더 많은 해석을 포함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섹션에서는 포스트 디지털 보기를 확대하여 MRCP 시험이 위치한 역사적, 경제적 맥락과 평가 문화를 축소하고 조사합니다. 
We have argued that online proctoring involves a tighter script and more interpretation than exam hall invigilation. In this section, we broaden our postdigital view to zoom out and investigate the historical and economic contexts and assessment cultures in which the MRCP exam is located.

역사적 맥락
Historical context

온라인 프록팅은 전통적인 시험 환경의 역사적 맥락에 의해 채색된 렌즈를 통해 해석됩니다. Carless의 주장에 따르면, 우리는 부분적으로 그것의 오랜 전통 때문에 시험을 신뢰합니다. 그것들은 "전통적인 시험은 지속성과 안정성을 나타내는 반면, 다른 더 혁신적인 형태의 평가는 마치 위험을 감수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게다가, 온라인과 전통적인 시험 사이의 동등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응시자를 비교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Online proctoring is interpreted through a lens colored by the historical context of traditional examination settings. As Carless53 argues, we trust exams, in part, due to their long tradition. They “represent continuity and stability, whilst other more innovative forms of assessment may be seen as risk-taking.” 53(p82) Further, equivalence between online and traditional exams is necessary for comparing candidates over time.

고객을 안심시키기 위해 온라인 프록팅은 "학생들이 어떤 시험 환경에서도 무력화된 감시 위치에 놓인다"는 "대학 공부의 확립된 논리" 내의 기존 불신을 모방합니다. 이러한 전통적인 활성화 관행의 모방은 MRCP 지침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온라인 프록터가 "대면 시험에서 마주치는 것처럼" 일하는 것으로 프레임화합니다.
To reassure its customers, online proctoring mimics a preexisting distrust within the “established logics of university study” through which “students are placed in disempowered surveilled positions during any examination setting.”18(p13) This mimicry of traditional invigilation practices is explicit in the MRCP guidance. It frames online proctors as working “just as they would in a face to face exam encounter”.45(p5)

그러나 우리의 사례에는 보이지 않는 온라인 감독관, 여러 대의 카메라, 공유 환경 제어, 타사와의 파트너십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또한, ProctorExam의 행동의 데이터화는 [시험을 통한 지식의 정량화와 숫자]를 [다른 형태의 정보]보다 더 객관적인 것으로 여기는 전통을 반영하는 한편, 빅데이터와 알고리즘으로 진실을 판단하는 추세의 일부이기도 합니다.20 데이터 기반 프로세스와 지속적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ProctorExam은 끊임없는 혁신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18, 동시에 위험이 낮은 연속성 있는 관행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However, our case involved invisible online proctors, multiple cameras, control of shared environments, partnerships with 3rd party companies, and more. Further, while ProctorExam’s datafication of behavior echoes the quantification of knowledge through exams, and a tradition of seeing numbers as more objective than other forms of information,20,54 it is also part of an increasing trend of big data and algorithmically adjudicated truth.20 With data-driven processes and constantly updating software, ProctorExam is imbued with a sense of relentless innovation,18 while also being perceived as a lower-risk practice of continuity.

경제적 맥락
Economic context

프록팅 테크놀로지는 상업적 제품으로서 가치를 창출해야 합니다. 먼저, 그것은 의과 대학을 고객으로 간주하고, 평가자와 학생 사이의 관계에 스스로 삽입합니다. 상당한 비용을 지출한 의대는 그 시스템에 투자되며, 그 테크놀로지가 성공으로 인식되는 것은 그것의 이익에 부합합니다. 게다가, 보호할 필요가 없는 다른 평가 형식으로 변경하는 것은 비싸고 복잡할 것입니다. 이 인센티브는 의사 결정자들이 비판으로부터 그 테크놀로지를 방어하고, 그것을 계속 사용하도록 장려합니다. 
As a commercial product, proctoring technology must create value. First, it frames medical schools as clients, inserting itself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assessors and students.18,48 Having spent considerable money, the medical school is invested in the system, and it is in its interests for the technology to be perceived as a success. Moreover, it would be expensive and complicated to change to a different assessment format that did not require proctoring.18 This incentivises decision-makers to defend the technology against critiques, and to continue using it.

둘째, 보호 테크놀로지는 학생들을 잠재적인 부정행위자로 그리고 따라서 의과대학과 의료계의 학문적 진실성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합니다. 소프트웨어는 사람들이 부정행위를 하는 경우에만 필요하기 때문에 이것은 상업적 지속가능성을 위해 중요합니다.
Second, proctoring technology frames students as potential cheaters and, therefore, as threats to the academic integrity of the medical school and the medical profession.25 This is important for commercial sustainability, since the software is only necessary if people cheat.

셋째, 그것은 또한 공정함과 지지의 수사를 통해 학생들을 고객으로 만듭니다. 온라인 감독관들은 "어떤 문제에 대해서도 당신을 돕기 위해 그곳에 있습니다 … 당신이 그들에게 문제를 알려야 할 필요가 있다면 그것들은 당신의 화면에 나타나지 않을 것이지만 사용 가능할 것입니다". 열심히 일하고 부정행위를 하지 않는 학생들은 그들이 다른 사람들의 부정행위로 인해 불이익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안심시킬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그 테크놀로지의 인지된 효과는 또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원천으로서 학생들에게 달려있는데, 그들이 시험에 통과하고 싶다면 그들을 따르는 것 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Third, it also frames students as clients through its rhetoric of fairness and support. Online proctors are there to “assist you with any issues … They will not be visible on your screen but will be available should you need to alert them to a problem.”45(p13) Hard-working, non-cheating students can be reassured that they are not disadvantaged by the cheating of others.24,25 Finally, the technology’s perceived effectiveness is also contingent on students as sources that generate data,55 with no choice but to comply if they want to pass the exam.

평가문화
Assessment culture

평가는 학생들이 무엇을 어떻게 배우는지, 그리고 교육 시스템과 전문적인 규율 안에서 무엇이 가치 있는지에 강력한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시험은 "객관적인" 지식에 가치를 부여하고, 다른 종류의 지식을 보여주고 검증하기 위한 가능성을 제한합니다. 모든 활력은 표준화와 경험의 평등을 기반으로 하여 성과의 공정한 평가를 위한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하지만 외부 자원에 대한 접근을 막고 신체 행동을 통제하는 것은 신뢰, 관계, 팀워크가 기반이 되는 구체화되고 사회적이며 물질적이고 집단적인 지식을 희생시키면서 개별화되고 추상적이며 명제화된 지식을 우선시합니다. 비판적이거나 창의적인 지식을 소외시키고 미래의 자율적인 실천가들의 발전을 방해합니다. 10 
Assessment has a powerful influence over what and how students learn, and over what is valued within education systems13 and professional disciplines.10,56 Exams, for example, value “objective” knowledge, and constrain possibilities for demonstrating and validating other kinds of knowledge.10 All invigilation is aimed at creating an environment for fair assessment of performance, based on standardization and equality of experience.57 Yet preventing access to external resources and controlling bodily behavior prioritizes individualized, abstract, and propositional knowledge58 at the expense of embodied, social, material and collective knowledge on which trust, relationships, and teamwork are founded.59 It marginalizes critical or creative knowledge and inhibits the development of future autonomous practitioners.10

이미 좁은 지식의 관점이었던 것이 온라인 프록팅을 통해 더욱 강화됩니다. 시험장에서 모든 응시자는 동일한 물리적 위치에서 수행하고 매우 제한된 일련의 자료만 허용됩니다. 온라인 프록팅 시험에서 테크놀로지가 학생이 시험 동안 어떻게 행동하고 움직이거나 보여야 하는지에 대한 모델을 준수한다고 고려되지 않는 사람은 진실성이 부족하다는 표시와 관련이 있습니다. 단일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대한 시선과 이동의 제한은 물질적, 비인지적 지식 및 다양한 신체 특성 및 조건을 강력하게 부정하는 것과 같다. 이것은 다른 사람들보다 일부에게는 어렵고 온라인 프록팅 서비스가 성별, 인종, 장애, 언어, 문화 등과 관련하여 응시자를 차별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이것들은 다른 상황적 단점(예: 공유된 생활 공간, 돌봄 책임, 제한된 테크놀로지 자원 또는 신체적 도전이 있는 사람)과 함께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와 상충됩니다.
What was already a narrow view of knowledge is further tightened through online proctoring. In exam halls, all candidates perform in the same physical location, and are allowed only a highly-restricted set of materials. In online proctored exams, anyone not considered by the technology to conform to its model of how a student should behave, move, or look during an exam is associated with signifiers of a lack of integrity. The restriction of gaze and movement to a single digital interface is a strong commitment to the denial of material, non-cognitive knowledge and of diverse bodily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This is harder for some than others, and there are reports of online proctoring services discriminating against candidates in relation to gender, race, disability, language, culture, and more.22,24,55 These, along with other circumstantial disadvantages (e.g. those with shared living spaces, caring responsibilities, limited technological resources, or physical challenges) are at odds with fair and objective assessment.

논의
Discussion

무결성, 전문성 및 감시
Integrity, professionalism, and surveillance

시험에서 정답, 자원 배제, 행동 통제는 존재, 사고, 지식, 행동의 가능성을 닫아버립니다.11 또한 "객관적" 평가는 집단적이고 협력적이며 복잡한 전문적 수행을 희생시키면서까지 능력을 표준화되고 탈맥락화된 지식으로 세분화해야 합니다.59-61 온라인 감독에서는 훈련생이 집에서 시험을 볼 수 있도록 유연성을 부여하면 규칙과 감시의 요구 사항이 증가합니다. 이는 수험자, 신뢰, 지식에 대한 기존의 문제적 프레임을 심화시켜 '공정성'이라는 이름으로 더 진정성 있고 의미 있는 형태의 평가가 희생될 수 있다고 주장해 왔습니다."25
In exams, definitive answers, the exclusion of resources, and behavioral control close down possibilities of being, thinking, knowing, and acting.11 Further, “objective” assessment requires breaking ability down into standardized and decontextualized knowledge at the potential expense of collective, collaborative, and complex professional performance.59–61 In online proctoring, the flexibility of enabling trainees to take exams from home increases the requirements of rules and surveillance. We have argued that this intensifies existing problematic framings of examinees, trust, and knowledge, in which more authentic or meaningful forms of assessment are sacrificed in the name of “fairness.”25

2020년 MRCP 시험에서 온라인 감독관은 학습자가 상상한 이상적인 응시자를 묘사하기 위해 자신을 왜곡하는 수행성을 강화함으로써 기존 형태의 차별을 악화시켰을 수도 있습니다.15 평가에서의 감시는 광범위한 정상화 과정의 일부이며, 이를 통해 "'정상' 범주에 부합하지 않는 사람들을 배제하기 때문에... 객관화 기법이 우리를 평가하고 통제하는 데 끊임없이 사용된다."27(p445) "평등, 다양성 및 포용은 규제 기관으로서 우리의 업무에 필수적"이라는 영국 일반의협의회(General Medical Council)와 같은 주장에도 불구하고 62(p3) 학생들은 자신의 민족성, "성별, 성, 문화, 종교, 언어 또는 장애/능력"15(p3) 을 증폭, 위생화 또는 억제해야 한다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
In the 2020 MRCP exam, online proctoring may also have exacerbated existing forms of discrimination by heightening performativity, through which learners contort themselves to portray an imagined ideal candidate.15 Surveillance in assessment is part of a broader process of normalization, through which “techniques of objectification… are constantly used to evaluate and control us because they exclude those who cannot conform to ‘normal’ categories.”27(p445) Despite claims like the UK General Medical Council’s that “equality, diversity and inclusion are integral to our work as a regulator,”62(p3) students may feel they need to amplify, sanitize, or suppress their ethnicity, “gender, sexuality, culture, religion, language or disability/ability.”15(p3)

또한, 감시는 감시를 받는 조건에 얽매인 일종의 유사 진실성pseudo-integrity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이는 학생들이 해당 학문의 일원이 되어 그 분야에 기여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시험 평가의 문제를 더욱 악화시킵니다.10,63 강제적인 성실성은 독립적인 전문직업성 개발에 역효과를 낼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64-67 테크놀로지 감시는 교육자와 학생 간의 불신을 조장하고,68 카메라의 존재는 학생들이 면밀히 감시해야 하는 잠재적 부정행위자라는 것을 암시합니다. 감독 업체들은 응시자의 가정에서 강압적이고 침습적인 조치를 정상화하려고 노력하며, 감시를 교육기관의 '학문적 무결성'과 공정한 시험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학생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필요악'으로 포지셔닝합니다.18
Further, surveillance may produce a kind of pseudo-integrity that is bound to conditions of being watched. This exacerbates a problem for exam assessment more generally, in how it prepares students to become part of and contribute to their disciplines,10,63 since enforced integrity is likely to be counterproductive to the development of independent professionalism.64–67 Technological surveillance promotes distrust between educators and students,68 and the presence of cameras implies that students are potential cheaters who must be closely watched. Proctoring companies seek to normalize coercive and invasive measures in the homes of candidates, positioning surveillance as a “necessary evil” to protect the “academic integrity” of institutions and the rights of trustworthy students to a fair examination.18

응시자를 잠재적 부정행위자로 규정하고, 부정행위를 중요하고 성장하며 역동적인 문제로 간주하는 것은 시험 감독 회사의 상업적 이익에 부합합니다.69 테크놀로지적 해결책으로.18,22 MRCP가 온라인 시험 감독을 "임시 비상 해결책"으로 사용하는 것은 테크놀로지 자동화의 광범위한 추세를 따르고 "학생과 대학 간의 필수 인프라 중개자로서 민간 및 상업 제공자"를 확립합니다.55(p2)
It is in the commercial interest of proctoring companies to frame candidates as potential cheaters and cheating as a significant, growing, and dynamic problem,69 with a technological solution.18,22 MRCP’s use of online proctoring as a “temporary emergency solution” follows a broader trend of technological automation and establishes “private and commercial providers as essential infrastructural intermediaries between students and their universities”.55(p2)

의학교육의 테크놀로지에 대한 복잡한 관점
Complex perspectives on technology in medical education

철학적 접근을 통해 분석은 일반적인 형태의 증거를 뛰어넘을 수 있으며, 이는 종종 복잡성을 다루는 방식에 제한이 있습니다.11 포스트 디지털이라는 광범위한 관점을 통해 시험장과 온라인 감독 사이에 직접적인 동등성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20 MRCP 시험의 "디지털" 테크놀로지는 역사적, 경제적 맥락과 얽혀 있는 방식으로 평가 문화에 내재되어 있습니다. 포스트 현상학적 렌즈는 스크립트와 스크립트가 평가 현실을 형성하는 방식에 주목합니다. 이 두 가지 접근법을 결합하면 "실습과 그 효과에 대한 설득력 있고 방어 가능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33(219쪽) 이러한 접근법 또는 기타 복잡한 프레임워크는 의학교육의 다른 테크놀로지 적용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적용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학습 분석을 통해 촉진되는 학습의 종류,35,70 또는 온라인 학습의 사회적 및 물질적 맥락72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캠퍼스 내 교육이 "온라인으로 전환"71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의문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경우에 도덕적, 윤리적 의미를 파악하려면 결과, 약관, 조건을 넘어40 테크놀로지가 특정 문화와 관행에 어떻게 내재되어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Philosophical approaches allow analyses to go beyond the usual forms of evidence, which are often limited in terms of how they address complexity.11 Our broader postdigital perspective helps us see that there is no straightforward equivalence between exam halls and online proctoring. The “digital” technology of the 2020 MRCP exam was embedded in an assessment culture in ways that are entangled in a historical and economic context. The postphenomenological lens draws attention to scripts and how they shape the assessment reality. Combined, these two approaches “provide a convincing and defensible account of both the practice and its effects.”33(p219) These or other complex frameworks can, and should, be applied to other applications of technology in medical education. For example, we might question the kinds of learning promoted via learning analytics,35,70 or what it means for on campus teaching to “move online”,71 since the social and material context of online learning72 is very different. In each case, the moral and ethical implications require looking beyond outcomes, terms, and conditions,40 to how technology is embedded in particular cultures and practices.

의료 교육 평가 테크놀로지에 대한 광범위한 수업
Broader lessons for assessment technology in medical education

니미넨과 라덴페라는 고등 교육 평가에서 학생 기관이 어떻게 미래의 발전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촉구합니다.10 전문직업적 의사는 유능할 뿐만 아니라 신뢰할 수 있어야 하며, 감시를 받지 않고 정직하게 행동해야 합니다. 또한 팀과 더 넓은 시스템의 전문적 구성원이어야 합니다. 반대로 온라인 감독 시험에서 수련생은 잠재적인 부정행위자일 뿐만 아니라, 스스로 생각하고 책임을 지거나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없는 통제의 대상으로 구성됩니다.11
Nieminen and Lahdenperä call for research into how student agency in higher education assessment promotes or hinders future development.10 Professional doctors must not only be competent but also trustworthy, and act with integrity without being monitored. Furthermore, they should be professional members of teams and wider systems. Conversely, in online proctored exams, trainees are constructed not only as potential cheaters, but also as objects of control who cannot think for themselves, take responsibility, or create new knowledge.11

코로나19 상황이 안정화되면 온라인 감독관에게 어떤 일이 일어날지는 불분명합니다. 앞으로의 과제는 단순히 온라인 감독 도구가 가치가 있는지,73 또는 스크립트 및 감시를 완화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특정 조건에서 시험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응시자가 원하는 대로 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옹호하지는 않지만, 우리는 의학교육자들이 고부담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과 왜 그렇게 감독에 의존하는지에 대해 질문할 것을 요청합니다. 여기서 우리의 목표는 감독 시험에 대한 대안을 제안하거나 교육자가 평가에서 테크놀로지를 피해야 한다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테크놀로지와 평가의 결합이 특정 종류의 지식, 정체성, 전문성, 신뢰 관계를 어떻게 촉진하는지에 대한 비판적 고려를 불러일으키고자 합니다.43 이는 결코 간단한 일이 아닙니다. 교육 전반에 걸쳐 평가의 목적, 평가가 교육 관계에 미치는 영향, 또는 평가가 "진실, 공정성, 신뢰, 인간성 또는 사회 정의"와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것을 오랫동안 꺼려온 것에 맞서야 합니다.74(2쪽) 좋은 출발점은 우리가 현재 평가를 수행하는 방식과 수련생과 의학 교육 기관 간의 관계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우리의 관행을 어떻게 재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해 솔직한 대화를 나누고, 더 이상 테크놀로지에 대한 신뢰를 학생에 대한 신뢰보다 우선시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It is unclear what will happen with online proctoring as the Covid-19 situation stabilizes. The challenge ahead is not simply to decide whether online proctoring tools are worthwhile,73 or whether we need to soften their scripts and surveillance. While we acknowledge that exams might be effective under certain conditions, and we would not advocate letting candidates do whatever they want, we call for medical educators to ask questions about how we conduct high stakes assessment and why it is so reliant on invigilation. Our aim here is not to propose alternatives to invigilated examinations, nor that educators should avoid technology in assessment. Rather, we aim to provoke critical consideration of how the combination of technology and assessment promotes particular kinds of knowledge, identity, professionalism, and trust relations.43 This is no simple task. It involves confronting a longstanding reluctance, across education more broadly, to ask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purpose of assessment, how it affects educational relationships, or how it relates to “truth, fairness, trust, humanity or social justice”.74(p2) A good starting point is to engage in honest dialogue around how we currently do assessment, and how we might reimagine our practices in ways that reinforce relations between trainees and medical education institutions, such that we no longer place trust in technology above trust in our students.

결론
Conclusion

평가는 의학교육에서 가치 있는 것을 반영하고 형성합니다. 2020년 MRCP 회원 시험을 분석한 결과, 온라인 감독 테크놀로지가 시험장 감독에 이미 존재하는 신뢰에 대한 감시 규범을 어떻게 강화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의학교육의 평가 문화에 이미 존재하는 긴장, 즉 표준화되고 탈맥락화된 정당한 지식에 대한 편협한 개념, 이상적인 고독한 시험 응시자에 대한 편협한 모델, 수련생에 대한 기본 불신 등을 악화시킵니다. MRCP 시험의 역사적, 경제적 맥락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긴장이 불신을 조장하는 시험 감독 회사의 상업적 이익과 데이터에 기반한 규범 모델에 의해 어떻게 강화되는지 보여주었습니다.
Assessment both reflects and shapes what is valued in medical education. Our analysis of the 2020 MRCP membership exam shows how online proctoring technology intensifies a norm of surveillance over trust that already exists in exam hall invigilation. This exacerbates some established tensions within the assessment culture of medical education, namely: a narrow conception of legitimate knowledge as standardized and decontextualized, a narrow model of the ideal, solitary exam candidate, and a default distrust of trainees. By examining the historical and economic contexts of the MRCP exam, we have showed how these tensions are reinforced by the commercial interests of proctoring companies that incentivise distrust and data-driven normative models of invigilation.

이 시리즈를 시작한 논문에서 Veen과 Cianciolo29(pp337-338)는 "학습자를 돌보고 학습자의 성과, 전문성 및 복지를 개선하기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신중하게 검토하기 위해" 속도를 늦추고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고 썼습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의학교육자들이 학생들을 신뢰하고 학생들이 신뢰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한다고 확신하지만, 온라인 감독 테크놀로지가 촉진하는 평가 문화와 평가 테크놀로지를 더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것은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Bearman75이 제안한 것처럼 시험 세계가 실천 세계를 형성한다면, 우리는 평가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어떤 종류의 세계를 만들어낼 것인가에 대해서도 질문해야 합니다.
Veen and Cianciolo29(pp337-338) wrote, in the paper that launched this series, to slow down and consider context “to examine carefully what we are doing to care for learners and improve their performance, professionalism, and well-being.” While we are confident that, in general, medical educators trust students, and work hard to support them to become trustworthy, we have argued that the assessment culture promoted by online proctoring technology, and our employment of assessment technology more widely, are in need of review. If, as Bearman75 suggests, the test world shapes the practice world, we must also ask: what kind of world do we generate through our use of assessment technology?

 


Teach Learn Med. 2022 Aug-Sep;34(4):444-453. doi: 10.1080/10401334.2022.2048832. Epub 2022 Apr 25.

A Matter of Trust: Online Proctored Exams and the Integration of Technologies of Assessment in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1Edinburgh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Edinburgh, Edinburgh, United Kingdom.

2Department of General Practice, Erasmus University Medical Center, Rotterdam, The Netherlands.

PMID: 35466830

DOI: 10.1080/10401334.2022.2048832

Abstract

Issue: Technology is pervasive in medicine, but we too rarely examine how it shapes assessment, learning, knowledge, and performance. Cultures of assessment also shape identities, social relations, and the knowledge and behavior recognized as legitimate by a profession. Therefore, the combination of technology and assessment within medical education is worthy of review. Online proctoring services have become more prevale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s a means of continuing high-stakes invigilated examinations online. With criticisms about increased surveillance, discrimination, and the outsourcing of control to commercial vendors, is this simply "moving exams online", or are there more serious implications? What can this extreme example tell us about how our technologies of assessment influence relationships between trainees and medical education institutions?

Evidence: We combine postdigital and postphenomenology approaches to analyze the written component of the 2020 online proctored United Kingdom Royal College of Physicians (MRCP) membership exam. We examine the scripts, norms, and trust relations produced through this example of online proctoring, and then locate them in historical and economic contexts. We find that the proctoring service projects a false objectivity that is undermined by the tight script with which examinees must comply in an intensified norm of surveillance, and by the interpretation of digital data by unseen human proctors. Nonetheless, such proctoring services are promoted by an image of data-driven innovation, a rhetoric of necessity in response to a growing problem of online cheating, and an aversion, within medical education institutions, to changing assessment formats (and thus the need to accept different forms of knowledge as legitimate).

Implications: The use of online proctoring technology by medical education institutions intensifies established norms, already present within examinations, of surveillance and distrust. Moreover, it exacerbates tensions between conflicting agendas of commercialization, accountability, and the education of trustworthy professionals. Our analysis provides an example of why it is important to stop and consider the holistic implications of introducing technological "solutions", and to interrogate the intersection of technology and assessment practices in relation to the wider goals of medical education.

Keywords: assessment technology; norms; online proctoring; postdigital; postphenomenology; trust.

마스터의 집 해체하기: HPE에서 형평성과 사회적 정의의 앎의 새로운 방식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0)
Dismantling the master’s house: new ways of knowing for equity and social justic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orag Paton1,2 · Thirusha Naidu3 · Tasha R. Wyatt4 · Oluwasemipe Oni5 · Gianni R. Lorello6,7,8 · Umberin Najeeb9,10 · Zac Feilchenfeld9,10 · Stephanie J. Waterman11 · Cynthia R. Whitehead8,12,13 · Ayelet Kuper8,9,10 

 

 

주인의 집 해체: 보건 전문직 교육에서 형평성과 사회 정의를 위한 새로운 인식의 전환
Dismantling the master’s house: new ways of knowing for equity and social justic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글을 쓰는 시점에서 동상이 쓰러지고 있습니다. 거리에서 시위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틱톡 동영상, 트위터가 풀리고, 페이스북에서 모임이 확산되면서 자금 지원을 중단하라는 요구가 울려 퍼지고 있습니다. 정부 건물 밖에는 천막이 설치되고 있습니다. 의회 건물에서 인종 차별을 규탄하는 시위가 벌어집니다. 물을 끓여 먹으라는 권고가 내려집니다. 이주 노동자들에게 제공되는 밀집된 주거 캠프에서 코로나19가 발생했습니다. 스포츠 프랜차이즈의 이름이 재검토되고 있습니다. 폭력을 당하는 시신이 있습니다. 사망으로 끝나는 건강 검진도 있습니다. 주차장에서 대치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에서 열띤 토론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네가 왔던 곳으로 돌아가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당신은 잘못했다", "당신은 너무 멀리 갔다", "성난 군중"이 있습니다. 무릎을 꿇은 사람들도 있습니다. 바디 카메라가 있습니다. 약속과 진술, 약속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임시 프로필 사진이 있습니다. 사임, 이별, 새로운 출발이 있습니다. 인터뷰와 대화가 있습니다. "내가 말했잖아", "왜 이렇게 오래 걸렸어", "우린 몇 년 동안 이 말을 해왔어"가 있습니다. 질문이 오고가고 아이디어가 도전받습니다. 숨을 쉬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At the time of writing, statues are falling. There are protests on the streets. Calls for defunding resound as TikTok videos, Twitter unrolls, and gatherings proliferate on Facebook. There are tents occupying lands outside government buildings. There are declarations of racism in parliament buildings. There are boil water advisories. There are COVID-19 outbreaks in the dense housing camps offered to migrant laborers. There are names of sports franchises being reconsidered. There are bodies being subjected to violence. There are wellness checks that end in death. There are confrontations in parking lots. There are heated discussions on social media. There are some people telling other people to “go back to where you came from”. There are the “you’re wrongs”, “you’ve gone too far” and “angry mobs”. There are people on their knees. There are body cameras. There are commitments and statements and promises being made. There are temporary profile pictures. There are resignations, partings of ways, and new starts. There are interviews and conversations. There are “I told you so’s” and “what took you so longs” and “we’ve been saying this for years”. There are questions being asked and ideas being challenged. There are people just trying to breathe.

관점에 대한 관점
A perspective on perspectives

백인 중심의 북미(유럽 중심) 사회에서 미디어에서 보여지는 것, 메시지가 전달되는 것, 저녁 식탁에서 토론되는 것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것이 바로 보건직업교육(HPE) 분야의 주요 조직, 규제 기관 및 출판사가 소셜 미디어에서 공유하는 내용이며,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많은 이유입니다. 이 백인 중심의 북미 프레임워크는 "마스터의 집"(Lorde 2007)의 한 관점입니다. 이러한 관점을 벗어난 일부(즉 오랫동안 소외되어 온 형평성에 합당한 집단)의 관점에서는 이러한 '깨어 있는' 관점이 이기적이고, 형식적이며, 우려스러울 정도로 수사적이고, 절망적으로 늦은 것으로 묘사되었습니다(Gutierrez 2020; Spaulding 2020; Yancy 2020).  
In the dominant white North American (Eurocentric) society, these are examples of what is being seen in the media, what is being messaged about, and what is being debated over dinner tables. This is what dominant organizations, regulatory bodies, and publishing hous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are sharing on social media and why there have been so many calls for change. This white North American framing is one perspective from “the Master’s House” (Lorde 2007). For some outside this perspective, that of equity-deserving groups who have long been marginalized, this seemingly ‘woke’ perspective has been described as possibly self-serving, perfunctory, concerningly rhetorical, and hopelessly late (Gutierrez 2020; Spaulding 2020; Yancy 2020).

이 저널의 독자는 위의 텍스트 어딘가에서 자신의 관점이 반영된 것을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아마도 당신은 HPE 프로그램의 커리큘럼 디렉터일 수도 있고, 이론가, 학장, 수련생, 교사, 임상의 또는 커뮤니티 구성원일 수도 있습니다. 저널 기고자로서 여기에 표시된 저자 팀인 '우리' 역시 다양한 관점을 포괄합니다: '우리'는 병원 리더, 교육 교수, 대학 교수진, 직원 및 학생, 임상의사 및 이론가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나'와 같지 않으며 '우리'의 관점은 다양합니다(의도적으로 그렇습니다).

  • '우리'는 우세한 집단과 공평하게 대우받아야 하는 집단 모두의 관점을 대표합니다.
  • '우리'는 흑인, 갈색, 백인으로 명명됩니다.
  • '우리'는 캐나다, 무슬림, 스코틀랜드, 나이지리아, 미국, 오논다가, 파키스탄, 유대인,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 명명됩니다.
  • '우리'는 캐나다, 미국, 남아프리카에 거주합니다. '우리'는 기혼, 미혼, 동성 및 이성에 매력을 느끼는 사람으로 구분됩니다.
  • '우리'는 정책을 작성하고, 따르고, 관리합니다.
  • '우리'는 커리큘럼을 만들고, 운영하고, 이론화하고, 경험합니다.

'우리'는 스승의 집 내부에서 글을 쓰고 그것을 해체하려고 시도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이 학술지의 부편집장인 해당 분야의 선임 저자와 대학원생, 그리고 우리가 공동 저자로 초빙한 이론과 실천의 전문가들이 함께 이 논문을 쓰도록 초대받았습니다. '우리'가 모여 한 팀으로 글을 쓰고 독자 여러분이 이 글을 접할 때, '우리'의 집단적 개별 관점, 정체성, 역할은 모두 긴장 관계에 있습니다. '우리'가 여기에 쓰고 선언적인 것처럼 보이는 진술은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 '우리'가 진실이라고 주장하는 진술은 우리 중 한 명에게만 진실일 수 있으며 '우리'는 '우리'의 집단적 경험을 넘어서는 진실을 주장할 수 없습니다. '우리'의 글이나 '우리'가 추구하는 행동에서 '우리'가 주장하는 것은 급진적이고 전투적일 수도 있고, 신중하고 조심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이 백서에서 나오는 아이디어는 다양한 존재론적, 인식론적 전통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우리'가 글을 쓰고 여러분도 글을 읽으면서 우리가 왜 이 글을 쓰는지, 어떤 관점에서 글을 쓰는지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우리는 어떤 변화하는 특권을 제정할 것인가? 우리는 마스터의 집 내부에서 글을 쓰는가, 아니면 외부에서 글을 쓰는가? 우리의 글쓰기는 정체성, 형식, 수행을 통해 총체적으로 집의 모르타르를 느슨하게 할 것인가, 아니면 너무 익숙한 패턴을 연상시키는 벽돌을 추가할 것인가, 아니면 두 가지를 동시에 하고 있을 것인가? 독자로서 이러한 다양한 관점에 대해 질문하고 동시에 스스로에게 질문해 보시기 바랍니다.  

Readers of this journal may recognize their own perspective reflected somewhere in the above text; perhaps you are a curriculum director of an HPE program, perhaps you are a theorist, a dean, a trainee, a teacher, a clinician or a community member. As journal contributors, ‘we’, the authorship team displayed here also encompass multiple perspectives: ‘we’ are hospital leaders, education professors, university faculty, staff and students, clinicians and theorists. But ‘we’ is not the same as ‘I’ and ‘our’ perspectives are diverse (and purposefully so).

  • ‘We’ represent perspectives of both dominant and equity-deserving groups.
  • ‘We’ are named as Black, Brown, and White.
  • ‘We’ are named as Canadian, Muslim, Scottish, Nigerian, American, Onondaga, Pakistani, Jewish, and South African.
  • ‘We’ live in Canada, the United States, and South Africa.
  • ‘We’ are bounded as married, single, and attracted to members of the same-sex and opposite sex.
  • ‘We’ write, follow, and administer policy. ‘We’ create, operationalize, theorize, and experience curricula.

‘We’ write from within the Master’s House and are attempting to dismantle it. ‘We’ were invited to write this paper by the journal because of our expertise and experience: a senior author in the field who is a Deputy Editor at this journal, her graduate student, and experts in theory and praxis who we invited to join as co-authors. As ‘we’ come together to write as a team, and as you the reader encounters this piece, all of ‘our’ collective individual perspectives, identities, and roles are in tension. Statements that ‘we’ write here and appear to be declarative are debated. Statements that ‘we’ claim are true might only be true for one of us and ‘we’ cannot make claims to truth beyond ‘our’ collective experience. Claims ‘we’ make in ‘our’ writing or actions ‘we’ seek may be both radical and militant and also cautious and careful. The ideas emerging from this paper stem from multiple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traditions, so as ‘we’ proceed in our writing, and you proceed in your reading, we invite you to consider why we might write this and from which standpoints we write. What shifting privileges do we enact? Are we writing from within the Master’s House, or from outside of it? Will our writing collectively, through identity, form and performance, loosen the mortar of the house, are we still adding bricks reminiscent of an all too familiar pattern, or are we doing both at the same time? We invite you to question these multiple perspectives as a reader, and at the same time, question your own.

주인의 집
The master’s house

그로스포겔은 서구 대학(그리고 더 나아가 HPE)의 지식 구조가 "서유럽 5개국(이탈리아, 프랑스, 영국, 독일, 미국)의 소수의 사람들이 생산한 지식을 바탕으로"(그로스포겔 2013, 74쪽) 15세기 후반의 영토 정복과 종교적 학살로부터 발전한 구조적 토대 위에 세워졌다고 주장합니다(그로스포겔 2013). 기독교 신을 지식의 기초로 삼기보다는 데카르트의 '나' 철학("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과 그를 따르는 계몽주의 사상가들은 서양 철학을 하나의 근본적인 사물의 범주에서 벗어나 몸과 마음을 분리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습니다. 이 이원론은 의식, 의도성, 자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Robinson 2020). 인간을 기독교 신을 넘어 마음을 통제 할 수있는 것으로 구성함으로써, 권력을 가진 서양인에게 인식 론적 특권, 즉 지식이 구조화되는 방식에 대한 특권을 부여했습니다 (Robinson 2020). 이러한 특권은 종교와 영토를 정복하는 데 사용되어 왔으며 식민주의를 통해 계속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의학과 의학교육이 이러한 특권에 의존한다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Grosfoguel argues that the structure of knowledge upon which the Western University (and, we would argue, by extension HPE) is built on a canon of thought “based on the knowledge produced by a few men from five countries in Western Europe (Italy, France, England, Germany and the USA)” (Grosfoguel 2013, p. 74) and on a structural foundation evolved from late 15th century conquests of territories and religious genocides (Grosfoguel 2013). Rather than a Christian God as the foundation of knowledge, Descartes’s philosophy of “I” (“I think, therefore I am”) and the Enlightenment thinkers that followed him moved Western philosophy away from having one fundamental category of things and towards the separation of the body and the mind. This dualism then raises questions about consciousness, intentionality, and the self (Robinson 2020). Constructing man as having control over the mind, beyond a Christian God, afforded the Western man who held power epistemic privilege: power over how knowledge is structured (Robinson 2020). This privilege has been used in conquests over religion and territories, and continues through colonialism. We would argue that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rely on this privilege.

대부분의 서구 대학과 의학교육에서 지배적인 담론은 지식 생산을 아는 주체의 관점 또는 영점 인식론에 기초한 것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Castro-Gómez 2001; de Sousa Santos 2008; Naidu 2020). 영점백인 서구 과학이 지식을 생산하는 방식에 대한 명백히 객관적인 입장을 지칭하는 것으로, 과학자들이 추구하는 '진리'는 어디에도 없으면서 어디에나 존재하므로, 단지 영점으로서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중립적 객관성을 스스로 주장하는 사람들의 상상적 입장, 즉 모든 것을 볼 수 있다고 가정하는 보이지 않는 입장"입니다(솔다텐코 2015, 140쪽). 이 틀 안에서 과학은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물리적, 사회적 세계에 대한 객관적으로 타당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중립적인 객관적 진리를 찾는 것으로 구성됩니다(Castro-Gómez 2001, 149쪽). 이러한 구조는 "서구화된 대학에서 지식 생산의 정경의 특권과 권위를 독점하고 있는 5개국(프랑스, 영국, 독일, 이탈리아, 미국) 출신의 (백인) 남성들"의 전 세계적 물질적, 사회적 이해관계에 크게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Grosfoguel 2013, 87쪽; Cupples와 Grosfoguel 2018).
The dominant discourses at work in most Western universities and medical education have positioned knowledge production a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a knowing subject or zero-point epistemology (Castro-Gómez 2001; de Sousa Santos 2008; Naidu 2020). The zero point is a reference to the avowedly objective stance of how white Western science produced knowledge: the ‘truth’ scientists seek is both nowhere and everywhere; we would claim it just ‘is’, as a zero point. It is an “imaginary position of those who claim neutral objectivity for themselves—an unseen position that presumes to see all” (Soldatenko 2015, p. 140). Within this frame, science is constructed as a search for a neutral objective truth where “it is possible to achieve objectively valid knowledge about the physical and social world by merely using the appropriate method” (Castro-Gómez 2001, p. 149). This construction is heavily rooted in the global material and social interests of (white) “men from five countries (France, England, Germany, Italy and the USA) who are the ones monopolizing the privilege and authority of canons of knowledge production in the Westernized university” (Grosfoguel 2013, p. 87; Cupples and Grosfoguel 2018).

이러한 세계 권력의 역사에 뿌리를 둔 영점 인식론은 인식론적 부정의인식론적 폭력의 형태를 낳습니다(Fricker 2007, Ndofirepi and Gwaravanda 2018, Soldatenko 2015, Spivak 1988). Fricker(2017)는 두 가지 유형의 인식적 부정의, 즉 증언적 부정의해석학적 부정의를 설명합니다.

  • 증언적 부정의편견으로 인해 누군가의 말이 잘못 판단되어 다른 사람의 말보다 덜 가치 있는 것으로 간주될 때 발생합니다. 의료 환경의 예를 들면 편견이나 인종차별 때문에 환자의 의료적 불만을 무시하는 의료 전문가를 들 수 있습니다(호프만 외. 2016; 로리 및 말론 2020).
  • 해석학적 부정의두 사람이 동일한 지식 기반을 충분히 공유하지 않아 상황에 대한 공동의 이해에 도달할 수 없을 때 발생합니다. 의료 서비스를 예로 들면, 특권을 가진 사람이 같은 특권을 갖지 못한 사람이 같은 리소스에 접근할 수 없는 이유를 이해할 수 없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Florko 2020).

영점 관점은 이러한 형태의 인식론적 부정의와 결합하여 현대 의료 관행에서 "의료의 일반적인, 아마도 만연한 특징"이 된 방법, 관행, 증거의 형태 및 앎의 방식에 대한 특권으로 더욱 나타납니다(Carel and Kidd 2014, 538쪽). 
Rooted in these global histories of power this zero-point epistemology result in forms of epistemic injustice and epistemic violence (Fricker 2007; Ndofirepi and Gwaravanda 2018; Soldatenko 2015; Spivak 1988). Fricker (2017) describes two types of epistemic injustice: testimonial injustice and hermeneutic injustice.

  • Testimonial injustice occurs when someone’s words are misjudged and considered to be less worthy than another’s due to prejudice. An example in a healthcare setting would be a health professional who ignores a patient’s medical complaints due to prejudice or racism (Hoffman et al. 2016; Lowrie and Malone 2020).
  • Hermeneutic injustice occurs when two people do not sufficiently share the same knowledge base such that a shared understanding of a situation cannot be reached. An example in healthcare may be when those with privilege cannot understand why those without the same privilege are unable to access the same resource (Florko 2020).

The zero-point perspective, combined with these forms of epistemic injustice, further manifest in contemporary healthcare practice as a privileging of methods, practices, forms of evidence, and ways of knowing which have become “a common, possibly pervasive, feature of healthcare” (Carel and Kidd 2014, p. 538).

HPE 프로그램과 이를 구축하는 데 사용하는 증거는 이러한 관점 속에 내재되어 있어 의료 시스템이 구축된 방식이 '자연스러운' 것처럼 보입니다. 우리는 바로 이 시스템을 통해 다음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지 않도록 조건화되었다고 가정합니다. 

  • 우리가 왜 우리가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 왜 어떤 아이디어는 커리큘럼의 '핵심'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다른 아이디어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지,
  • 왜 HPE의 마스터 하우스에 구축된 모든 것을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유럽과 북미의 전문 학교는 이러한 영점 인식론을 바탕으로 설립되었으며, 이를 전 세계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성차별, 인종차별, 가부장제, 권위, 자본주의의 영향을 받고 백인 '5개국 출신 남성'의 영점 인식론의 지배에 기반한 HPE의 심기와 확산이 역사를 통해 명백히 드러난다고 주장합니다.

  • 1852년 뉴먼은 대학을 신사 양성을 위한 진리 수양과 사색의 장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Newman and Turner 1996).
  • 1900년대 초에 플렉스너는 이상적인 의학 프로그램을 지식과 사실 추구에 전념하는 프로그램(Flexner 1968, 1972)과 "명예 규범이 있는 질서, 계급"(1968, 30쪽)으로 규정했습니다.
  • 1960년대에 커(1963)는 대학을 "지식의 생산자, 도매업자, 소매업자"(114쪽)로 포지셔닝했습니다.
  • 그 후에도 슬러터와 로즈(2004)는 대학을 학문적 자본주의 지식/학습 체제로 포지셔닝합니다.
  • Saks(2016)는 전문직의 권력과 특권은 국가가 승인한 지식 통제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HPE programs and the evidence that we use to build them are so embedded within this perspective that how the health system has been constructed appears to be ‘natural’. We posit that it is through this very system that we have been conditioned not to question why we think we know what we know, or why we think some ideas are ‘core’ to curricula while others are not, or why we think we can improve upon anything built within this Master’s House of HPE. Professional school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have been built from this zero-point epistemology and have gone on to spread this globally. We argue that the planting and proliferation of HPE as founded on the pillars of sexism, racism, patriarchy, authority, buffeted by capitalism, and grounded in the dominance of the zero-point epistemology of white ‘men from five countries’ is evident in history.

  • In 1852, Newman positions the university as a place for the cultivation and contemplation of the truth for the formation of gentlemen (Newman and Turner 1996).
  • Writing in the early 1900s, Flexner positions the ideal medical program as one devoted to the pursuit of knowledge and facts (Flexner 1968, 1972) and a profession as “an order, a caste [with] a code of honour” (1968, p. 30).
  • In the 1960s, Kerr (1963) positions the university as a “producer, wholesaler, and retailer of knowledge” (p. 114).
  • Later still, Slaughter and Rhoades (2004) position the university as an academic capitalist knowledge/learning regime.
  • Saks (2016) notes that the power and privilege of the professions is based on the state-sanctioned control over knowledge.


HPE 내부에서 마스터스 하우스의 규칙은 어떤 지식이 진리로서 유포되고 언급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의료 전문가가 지역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승인합니다.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에는 커리큘럼, 표준, 학습 목표, 예상 결과 및 표준화된 시험이 있으며, 이는 지배적인 지식의 방식에 따라 설정됩니다. 이러한 학교를 졸업한 자율 규제 보건 전문직 종사자들은 성문화된 사고 체계를 통해 경계와 지위의 수호자이자 재생산자로 간주됩니다(Freidson 2001). 그러나 "지배의 정치는 종종 교육 환경에서 재생산"됩니다(후크스 2014, 39쪽).

  • 예를 들어, 의사들은 제국주의 투쟁의 공헌자로 여겨져 왔습니다 (Aidoo 1987; Fanon 1994). 이러한 인식론적 폭력은 지속되고 있으며, 의학교육을 통한 식민지화에 대한 우려가 계속 제기되고 있습니다(Muzzin and Martimianakis 2016; Naidu and Kumagai 2016; Whitehead 2016) 및 의료 행위(Sharma 2018).
  • 지식 생산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HPE는 해방과 같은 교육의 다른 잠재적 목표보다는 실증주의, 보편주의, 합리주의와 같은 계몽주의 이념에 계속 가치를 두고 있습니다(Freire 2000).
  • 이를 통해 HPE는 지배, 특권, 지위를 창출, 승인, 재생산하며, 교육은 사회 내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개인의 성취로 간주된다고 주장합니다.
  • 이러한 지배적인 인식론에 근거하여, 우리는 많은 HPE 교육자들이 실천에서 개인의 직업적 책임을 입증하는 데 주의를 집중하고, 그러한 실천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서는 덜 집중한다고 주장합니다. 

From within HPE, the rules of the Master’s House authorize what knowledges can be circulated and spoken of as truths and in turn, what role a practicing health professional serves in the community. In these educational programs there are curricula, standards, learning objectives, expected outcomes, and standardized tests set on the dominant ways of knowing. Those who graduate from these schools, members of self-regulated health professions, are seen as guardians and reproducers of boundaries and status through codified systems of thought (Freidson 2001). However, the “politics of domination are often reproduced in the educational setting” (hooks 2014, p. 39).

  • Physicians, for example, have been viewed as contributors to imperialist struggles (Aidoo 1987; Fanon 1994). This epistemic violence endures and concerns continue to be raised about colonization through medical education (Muzzin and Martimianakis 2016; Naidu and Kumagai 2016; Whitehead 2016) and medical practice (Sharma 2018).
  • In the pursuit of knowledge production, the House of HPE continues to place value on the ideologies of the Enlightenment—on positivism, universalism, and rationalism—rather than other potential goals of education, such as liberation (Freire 2000).
  • In so doing, we argue, HPE creates, authorizes, and reproduces domination, privilege, and status and education is seen as an individual achievement and not a means for improving circumstances within society.
  • Based on these dominant epistemologies, we argue that many HPE educators focus attention in demonstrating an individual’s professional responsibility in practice, and focus less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hat practice.

형평성과 사회 정의는 그 기원으로 인해 HPE 커리큘럼 내에서 다소 불편하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 형평성과 사회 정의의 개념은 종종 계몽주의의 합리주의적 입장에 반대하는 입장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이는 의외일 수 있습니다. 언뜻 보기에 형평성과 사회 정의의 개념은 합리적이고 보편적인 실증주의 생물학적 모델에 반대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우리와 다른 사람들은 현대 (정착민) 북미와 유럽의 형평성과 사회 정의 구성이 영점 인식론의 동일한 시작점인 정복, 계몽주의, 그리고 그에 따른 식민주의와 연결되어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것은 주인의 집 안에서 유지되는 식민지적 권력 모델입니다. 심지어 "근대성 역시 그 출발점부터 식민지적이었다"(퀴자노 2000, 549쪽).

  • 불평등과 불공정을 먼저 구축하고 정의하지 않고서는 공평과 사회 정의를 논할 수 없습니다.
  • 인종이라는 구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반인종주의를 논의할 수 없습니다.

마스터의 집이라는 현대의 HPE가 구조적으로 불건전하다면(그리고 우리는 여기서 그렇게 주장합니다), 아무리 암묵적인 편견 교육이나 잘 만들어진 다양성 선언문도 수 세기에 걸친 인식론적 폭력을 지울 수는 없습니다.
Equity and social justice are themselves positioned somewhat uncomfortably within HPE curricula because of their origins. This may be surprising as the idea of equity and social justice is often considered as a stance against the rationalist positioning of the Enlightenment. While at first glance the concepts of equity and social justice may appear to be in opposition to the rational, universal, positivist biomedical model, we and others argue that the modern (settler) North American and European constructions of equity and social justice are tied to the same beginnings of the zero-point epistemology: conquest, the Enlightenment, and subsequent coloniality. It is a colonial model of power that is sustained within the Master’s House. Even “modernity was also colonial from its point of departure” (Quijano 2000, p. 549).

  • One cannot discuss equity and social justice without first having built and defined inequity and injustice.
  • One cannot discuss anti-racism without the existence of the construct of race.

If the contemporary HPE that is the Master’s House is structurally unsound (and we argue here that this is so), then no amount of implicit bias training or well-crafted diversity statements can erase the centuries of epistemic violence.

반 마일더스는 서구 학계에서 다양성 선언의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현대 대학은 인종, 성별, 계급적 차이의 문제를 모호하게 하기 위해 정체성 정치와 다양성에 대한 근거 없는 찬사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백인이라는 헤게모니적 비가시성을 그대로 방치하고 있습니다(Cupples and Grosfoguel 2018, 47쪽, van Milders). 그의 설명은 다양성 선언이 권력 구조를 그대로 둔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만약 게이트키퍼 역할을 하는 대학이나 전문직 구조가 형평성과 사회 정의의 개념을 정의하거나 이러한 문제에 대한 가정된 해결책을 실행하는 동일한 기관이라면, 그들은 차이(Cupples and Grosfoguel 2018)를 지우고 식민성을 영속화하는 것 외에 아무것도 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죠. 

Van Milders explains the problem with diversity statements in Western academia thus: “the contemporary university has managed to appropriate identity politics and the unsubstantiated celebration of diversity in order to obscure issues of raced, gendered, and classed difference and thereby leaves the hegemonic invisibility of whiteness untouched (van Milders in Cupples and Grosfoguel 2018, p. 47). His explanation emphasizes that diversity statements leave power structures untouched: if the university or professional structures that act as gatekeepers are the same institutions that define the concepts of equity and social justice, or that implement supposed solutions to these issues, then they may be doing nothing more than erasing differences (Cupples and Grosfoguel 2018) and perpetuating coloniality.

계몽주의 이후 국민국가의 경제, 정치, 법의 구축과 맞물려 과학은 인종의 구성을 통해 사람들을 분리하는 데 활용되었습니다. 과학과 사람이 누구인지, 어디에서 '태어났는지'에 대한 우리의 생각은 세계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합니다(Castro-Gómez 2001). 세계 시스템에서 경제를 건설하고 자원에 접근하기 위해 한 민족 국가는 다른 민족 국가를 식민지화했습니다. 식민지 개척자들은 인종, 동양이라는 개념(Said 1979), 남북 이분법 및 기타 분열 관행을 구축했습니다. 형평성, 반인종주의, 사회 정의의 개념을 포함하여, 지배적인 담론에서 '현대 문화'라고 부르는 것에 대한 이해는 모두 영점 인식론의 구축된 보편주의에 의해 유지되는 이 프레임 안에 있습니다. 식민지성과 과학에 기반한 정체성 및 사회적 가치 구성에서 비롯된 노동의 분배와 착취는 인종에 따라 차별화되는 노동 통제 형태를 가져왔고, 따라서 "지배/착취의 새로운 기술, 이 경우 인종/노동은 두 요소가 자연스럽게 연관된 것처럼 보이는 방식으로 표현되었다"(퀴야노 2000, 537쪽). 이러한 역사적 노동 분배와 학계 및 의학계에서 소외된 집단의 지속적인 노동 분배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성을 찾을 수 있습니다(미국 의과대학 협회 2020; Henry 외. 2017; Hodges 2020; Nestel 2004). 우리는 과학과, 과학에서 나온 전문직이 계속해서 사람들을 지배하고 통제하며 분열시키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Intertwined with the building of post-Enlightenment nation-state economics, politics, and law, science was deployed to separate people through the construction of race. Science, and our ideas of who people are or where they ‘come from’ form part of a world-system (Castro-Gómez 2001). To build an economy and gain access to resources in the world-system, one nation state colonized another. Colonizers constructed race, the notion of the Orient (Said 1979), the North/South binary, and other such dividing practices. The understanding of what the dominant discourse calls ‘modern culture’, including notions of equity, antiracism, and social justice, all sit within this frame which is held up by the constructed universalism of zero-point epistemology. The distribution and exploitation of labour stemming from coloniality and science-based constructions of identities and social value brought about forms of labour control that were differentiated by race; thus “a new technology of domination/exploitation, in this case race/labor, was articulated in such a way that the two elements appeared naturally associated” (Quijano 2000, p. 537). One can draw a direct line between this historical distribution of labour and the ongoing distribution of the labour of marginalized groups in academia and medicin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2020; Henry et al. 2017; Hodges 2020; Nestel 2004). We argue that science, and the professions that emerged from it, continue to dominate, control, and divide people.

보건 전문직 교육은 식민주의와 인식론적 폭력에 뿌리를 둔 현재의 모델을 더 이상 지속할 수 없습니다. 형평성과 사회 정의를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영점을 넘어 부분적인 관점, 위치 지식, 정체성과 위치의 경계선을 포용하는 인식론적, 존재론적 입장에서 도출된 새로운 HPE 비전이 필요하다고 제안합니다(Anzaldúa 1999; Haraway 1988). 마스터의 집을 해체하는 것은 "새로운 방식의 글로벌 구조화"(카스트로-고메즈 2001, 152쪽)와 새로운 가능성의 교육학(모타 2013)을 제공할 것입니다.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an no longer sustain the continuation of our current models rooted in coloniality and epistemic violence. In order to reframe equity and social justice, we suggest that we need a new vision of HPE; one derived from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positions that move beyond the zero point to embrace partial perspectives, situated knowledges, and the borderlands of identity and position (Anzaldúa 1999; Haraway 1988). Dismantling the Master’s House will give “way to new ways of global structuring” (Castro-Gómez 2001, p. 152) and new pedagogies of possibility (Motta 2013).

우리는 시간의 순간을 묘사하고, 그 순간을 목격하고, 인식론적 불의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직접 참여하면서 이 작품을 시작했습니다. 아마도 캐나다 시인 디온 브랜드(2020)가 이 순간을 가장 잘 묘사한 것 같습니다. "모든 것이 공중에 떠 있고, 그 순간의 모든 내러티브가 날아가고, 동상이 쓰러지고, 모든 지표가 잠시나마 무너지는 순간"이죠. 
We began this piece describing moments in time, bearing witness to these moments, and participating ourselves in a multitude of different ways to address epistemic injustices. Perhaps the Canadian poet Dionne Brand (2020) describes this moment the best. A moment when “everything is up in the air, all narratives for the moment have been blown open—the statues are falling—all the metrics are off, if only briefly.”

 

마스터의 집 해체하기
Dismantling the master’s house

주인의 집을 해체하려면 HPE 내에서 다음에 대한 조사가 필요합니다.

  • 차이는 어떻게 구성되는지,
  • 이러한 개념화로 인해 누가 혜택을 받았는지,
  • 이러한 개념이 교육과 실무에서 어떻게 나타났는지,
  • 이러한 패턴이 어떻게 HPE에서 불평등을 지속시키는지

오랫동안 지배적인 영점 인식론에 대한 대안은 무엇일까요? 식민지, 젠더와 섹슈얼리티의 구성, 인종 구성 등 서로 연결된 세 가지 사례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그러나 이는 세 가지 가능한 부분적인 관점일 뿐이며, 예를 들어 건강 상태, 능력, 종교적 신념, 토착성 또는 사회경제적 지위도 탐구할 수 있습니다. 식민지성, 성별 및 섹슈얼리티, 인종을 선택한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 첫째, 이 주제들은 정복과 식민지에서 비롯된 영점 인식론에서 비롯된 것이고,
  • 둘째, 글로벌 식민지 권력 매트릭스는 인종주의의 토대 위에서 구성되며 성별과 섹슈얼리티가 권력의 한 영역으로 유지되고 있고,
  • 셋째, 보건 전문직 교육의 구성원으로서 집단적으로나 개인적으로 특히 관심이 있는 분야이며,
  • 넷째, 이러한 질문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상상할 수 있다는 희망이 있기 때문입니다.

Dismantling the Master’s House calls for an interrogation of

  • how difference is constructed within HPE,
  • who has been advantaged by these conceptualizations,
  • how these have manifested in education and practice, and
  • how these patterns continue to perpetuate inequities in HPE.

What are the alternatives to the long dominant zero-point epistemologies? We will employ three interconnected examples as illustrations: coloniality, the constructs of gender and sexuality, and the construct of race. However, these are just three possible partial perspectives; we could have also, for example, explored health status, ability, religious beliefs, Indigeneity, or socio-economic status. We have selected coloniality, gender and sexuality, and race for a number of reasons.

  • First, they emerge out of zero-point epistemologies stemming from conquest and colonization;
  • second, the global Colonial Matrix of Power is constructed on the foundation of racism and is held up by gender and sexuality as a sphere of power;
  • third, these are areas of particular interest to us collectively and individually as members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 fourth, there is hope that through their interrogation, we can imagine new possibilities.

식민지성
Coloniality

식민성의 개념은 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에 대한 대응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식민주의는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을 정복하는 지배의 관행을 말합니다(Kohn and Reddy 2017). 식민주의는 세계 역사에서 계속되어 왔지만, 이 백서에서는 주로 16세기에 시작되어 아시아, 아프리카, 호주와 뉴질랜드, 아메리카 대륙의 사람들과 영토를 포괄하는 유럽 열강에 의한 현재의 식민지 시대를 지칭합니다. 식민주의는 흔히 제국주의 열강이 새로운 영토를 정복하고 자원을 약탈하는 행위로만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제국주의 열강은 경제와 사회가 어떻게 기능해야 하는지를 포함한 계몽주의의 이상을 수출하고 있었습니다. 정교한 전통 교육 관행은 혼란에 빠지거나 근절되었습니다. 식민주의는 여러 세대에 걸친 지식의 패권적 파괴를 통해 문화, 언어, 지식 체계를 죽이는 "문화 학살, 언어 학살, 인식 학살"로 이어졌습니다(Hall and Tandon 2017). 다음과 같은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우리는 주장한다.

  • 대부분의 캐나다 학교에서 학생들이 영어와 프랑스어로 교육을 받지만 이누크티투트어나 오지브웨이는 배우지 않는 이유,
  • '전통적인' 문학 정전에 셰익스피어는 있지만 소잉카는 포함되지 않는 이유,
  • 우리가 '내러티브'라고 부르는 것이 주로 구술이 아니라 로 된 이유,
  • 우리 몸이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영적인 것이 아니라 생물학적이라는 이유 등

이러한 지식은 식민지 인식론에서 비롯된 것이며, 현대 대학이 현재 합법적이고 '진짜', '진실'로 간주하는 것의 대부분은 이러한 식민지 지배 규범에서 비롯된 것입니다(Hall and Tandon 2017). 
The concept of coloniality was developed as a response to both colonialism and postcolonialism. Colonialism refers to the practice of domination where one group of people subjugate another (Kohn and Reddy 2017). While colonialism has been ongoing in world history, for the purposes of this paper we refer primarily to the current period of colonization by European powers that started in the 16th century and encompassed people and territories in Asia, Africa, Australia and New Zealand, and the Americas. Colonialism is often only thought of as the act of imperialist powers conquering new territories and plundering their resources. However, at the same time, imperialist powers were exporting the ideals of the Enlightenment, including how economies and societies should function. Sophisticated traditional education practices were disrupted or eradicated. Through the hegemonic disruption of generations of knowledge, colonialism led to “cultural genocide, linguicide and epistemicide”—the killing of culture, language and Knowledge Systems (Hall and Tandon 2017). It is

  • why, we argue, students in most Canadian schools are educated in English and French but not in Inuktitut or Ojibway;
  • why the ‘traditional’ literary canon contains Shakespeare but not Soyinka,
  • why what we call ‘narrative’ is primarily written and not oral, and
  • why our understanding of how our bodies function is biological, not spiritual.

These knowledges stem from colonial epistemologies and much of what the modern university now positions as legitimate, ‘real’ and ‘true’ is positioned from this colonial dominant norm (Hall and Tandon 2017).

탈식민주의는 약 400년에 걸친 유럽 중심의 식민지배에 대한 대응으로 등장했습니다. 그것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Postcolonialism emerged as a response to approximately 400 years of Eurocentric colonization. It is defined as:

식민주의의 경험과 그 과거와 현재의 영향에 대한 연구로, 식민지 이전 사회의 지역적 수준뿐만 아니라 제국의 후유증으로 여겨지는 보다 일반적인 글로벌 발전의 수준에서 모두 포함됩니다. 탈식민주의는 종종 노예, 이주, 억압, 저항, 차이, 인종, 성별, 장소 등 다양한 종류의 경험에 대한 논의를 포함합니다.... (슈바르츠와 레이 2008, 93쪽)
studied engagement with the experience of colonialism and its past and present effects, both at the local level of ex-colonial societies, as well as at the level of more general global developments thought to be the after-effects of empire. Postcolonialism often involves the discussion of experiences of various kinds such as those of slavery, migration, suppression, and resistance, difference, race, gender, place…. (Schwarz and Ray 2008, p. 93)

탈식민주의는 '자아'가 사회적으로 구성되었으며, 제국주의의 지배 세력이 우리 대 그들, 백인 대 흑인, 서양 대 동양의 이분법을 만들어냈다고 주장합니다(Said 1979). 사회적으로 구성된 정체성은 지배적인 지식 관행에 의해 항상 '타자'와의 관계에서 자신을 바라보도록 조건화되어 다층적으로 구축됩니다(Bhabha 2012). 탈식민주의는 부분적으로는 정치적, 경제적 대응일 뿐만 아니라 인식론적 대응으로서, 계몽주의와 식민지화를 통해 발전한 모든 것을 단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는 실증주의적 규범에 도전하는 것입니다. 후기식민주의는 긴밀하게 묶여 있지 않으며 "하나의 분야, 관점 또는 정치적 약속"으로 볼 수 있습니다(Loomba 2015, 4쪽). "탈식민주의"를 정의하는 것은 하나의 합리화되고 환원주의적인 정의로 축소하려는 지식 관행에 대해 (저항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는 것입니다. 
Postcolonialism argues that the ‘self’ has been socially constructed; the dominant powers of imperialism generating the binaries of us versus them, white versus black, and West versus East (Said 1979). Socially constructed identities are built up in layers, conditioned by dominant knowledge practices to always see oneself in relation to an ‘other’ (Bhabha 2012). Postcolonialism is, in part, not only a political and economic response but an epistemological one, challenging the dominant positivist norm developed through the Enlightenment and colonization that everything can be singularly defined. Postcolonialism is not tightly bound and can be viewed as “a field, or a perspective, or a political commitment” (Loomba 2015, p. 4). Defining “postcolonialism” is describing instead a resistance to knowledge practices that attempt to whittle it down to a single rationalized and reductionist definition.

많은 학자들이 탈식민주의라는 개념에 저항하고, 대신 식민성이라는 개념을 통해 연구를 구성합니다. 식민성은 포스트모더니스트 유럽 중심적 사상가(푸코, 그람시, 데리다 등)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 소외된 인식론적 철학, 전통, 사유 체계가 내재된 지식으로 나아가는 식민지 지식의 가시적인 형태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Grosfoguel 2011). 예를 들어,

  • 글로리아 안잘두자(1999)는 자아를 정복으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해 국경지대에 대한 새로운 포용적이고 혼합적인 의식을 요구합니다.
  • 프란츠 파농(1963, 2008)과 스티브 비코(2015)는 자아의 변증법적 구성으로부터 사회를 해방시키기 위해 혁명, 힘 또는 폭력이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것을 권유합니다.

이들의 공통점은 다름을 인정하는 지식 실천에 대한 찬사입니다. 식민성 또는 탈식민화 프레임을 사용하면 [차이를 지우고, 주체의 위치를 은폐하며, 주체가 "지배적 위치에 있는 것과 같은 인식론적 사고"를 하게 만드는 지식]의 형태에서 신중하게 벗어날 수 있습니다(Grosfoguel 2011, 5쪽). 
Many scholars resist the idea of postcolonialism and instead frame their work through the concept of coloniality. Coloniality positions itself as a tangible form of decolonizing knowledges—moving away from the reliance on postmodernist Eurocentric thinkers (such as Foucault, Gramsci, and Derrida) to knowledge imbued with marginalized epistemological philosophies, traditions, and systems of thought (Grosfoguel 2011). For example,

  • Gloria Anzaldúza (1999) calls for a new inclusive, mixed consciousness of the borderlands to unentangle the self from subjugation.
  • Frantz Fanon (1963, 2008) and Steve Biko (2015) invite one to consider that revolution, force, or violence may be needed to emancipate society from dialectic constructions of the self.

What these have in common is their celebration of a knowledge practice that recognizes difference. Using frames of coloniality or decolonization move us thoughtfully away from forms of knowledge that erase differences, conceal subject positions, and makes subjects “think epistemically like the ones on the dominant positions” (Grosfoguel 2011, p. 5).

서구의 "근대적" 인식론이 어떻게 일부 집단에는 유리하지만 다른 집단에는 불리한지 보여주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 중 하나는 식민지 권력 매트릭스입니다. 이 매트릭스(미뇰로 2007; 퀴자노 2000)는 식민주의를 통해 발전한 근대 글로벌 권력의 기초로서 지식, 인종주의, 가부장제, 자본을 중심에 두고 있습니다. 미뇰로와 퀴야노가 주장했듯이, 현대 글로벌 시스템은 지배의 도구로서 권력의 영역(주체성, 성별과 섹슈얼리티, 권위, 토지 및 노동력 착취)을 부과했습니다. 이러한 도구는 상호 의존적이며 서로 관련되어 작동하며 현대의 글로벌 권력 구성을 유지하고 재생산하는 역할을 합니다(Quijano 2000). 이론가들은 식민지 권력 매트릭스가 "서구 문명의 근본 구조"(Mignolo 2011, 16쪽)이며 "상호 연결된 위계를 생성, 재생산, 수정, 유지하는 논리"(Mignolo 2011, 17쪽)라고 주장합니다. (그림 1) 
One tool that helps demonstrate how a Western “modern” epistemology advantages some groups but not others is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This matrix (Mignolo 2007; Quijano 2000) centres knowledge, racism, patriarchy and capital as the basis of modern global power developed through colonialism. This modern global system, as Mignolo and Quijano have argued, imposed spheres of power (subjectivity, gender and sexuality, authority, and the exploitation of land and labour) as instruments of domination. These instruments are interdependent, operating in relation to one another, and serve to uphold and reproduce the modern construction of global power (Quijano 2000). Theorists argue that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is “the very foundational structure of Western civilization” (Mignolo 2011, p. 16) and is “the logic that generates, reproduces, modifies, and maintains interconnected hierarchies” (Mignolo 2011, p. 17). (Fig. 1)

구조적 인종 차별
Structural racism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에 실린 한 논문은 경찰의 불균형적인 공권력 사용으로 미니애폴리스에서 사망한 흑인 남성이 어떻게 미국 의료계가 구조적 인종주의에 맞서야 한다는 요구를 촉발했는지를 설명합니다. 이 논문은 의료 전문가들이 구조적 인종주의를 해체할 책임이 있으며, 이를 위해 구체적인 행동을 취함으로써 이를 시작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 △건강 격차를 초래하는 역사적 인종주의의 뿌리에 대해 배우고
  • △암묵적 편견에 도전하며
  • △인종주의를 목격했을 때 정의하고 이름을 붙이고
  • △우세한 집단의 관점에서 소외된 집단의 관점으로 전환하는 등 

이 논문이 조지 플로이드의 사망 이후인 2020년에 발표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2016년에 필란도 카스틸레라는 남성이 경찰의 손에 의해 사망한 사건에 대해 작성되었습니다(Hardeman 외. 2016). Hardeman은 구조적 인종차별을 "미국에서 생명을 단축시키는 폭력의 공통분모"라고 부릅니다(2113쪽). 그녀는 용기와 변화를 모두 요구하지만, 그 이후 많은 변화가 있었을까요? 
A paper i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describes how a Black man killed in Minneapolis through the disproportionate use of lethal force by the police sparked calls for the medical profession in the United States to confront structural racism. It explains that medical professionals have a responsibility to dismantle structural racism and can begin doing so by taking specific actions:

  • learning about historical racist roots which lead to health disparities;
  • challenging implicit biases;
  • defining and naming racism when it is seen, and
  • ‘centering at the margins’—shifting away from the dominant group’s perspective to that of marginalized groups.

One might imagine this paper came out in 2020 following the death of George Floyd, but it was actually written in 2016 about a man named Philando Castile who also died at the hands of the police (Hardeman et al. 2016). Hardeman calls structural racism “the common denominator of the violence that is cutting lives short in the United States” (p. 2113). She calls for both courage and change, but has much changed since?

인종주의는 식민지 권력 매트릭스 구조의 중심에 있습니다. 인종이라는 개념으로 전 세계 사람들을 분류한 것은 식민주의였지만, 식민주의 구조보다 더 오래 지속되어 온 것은 인종주의입니다(퀴야노 2000). 식민주의를 통해 지리적 출신에 따라 개인을 분류하거나 식별하는 방식은 관찰 가능한 특성(또는 표현형)에 따라 개인을 분류하는 방식으로 바뀌었고, 이는 새로 만들어진 인종이라는 범주에 따라 개인을 분류하는 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Quijano 2000). 인종주의는 제국과 식민지 경제의 확산을 정당화했습니다. 정복당한 사람들은 식민지 개척자보다 인종적으로 열등한 존재로 구성되었습니다.
Racism is at the centre of the structure of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While it was colonialism that classified the world’s people by the idea of race, it is racism that has endured longer than the colonial structure from whence it came (Quijano 2000). Through colonialism, categorizing or identifying an individual by geographic origin gave way to categorizing individuals based on observable characteristics (or phenotypes) which then gave way to categorizing individuals by the newly-created category of race (Quijano 2000). Racism legitimized the spread of empire and colonial economies. The conquered were constructed as racially inferior to the colonizer.

다윈, 스미스, 생시몽, 콩트, 뉴먼, 밀(그리고 다른 많은 학자들)의 유럽 중심적 렌즈를 통해 유럽 사회는 진보와 발전을 개인주의, 효용, 교육, 질서와 동일시했으며, 이러한 조건은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관용과 합리적인 토론이 허용되는 사회"에서만 실현될 수 있었습니다(Cowen과 Shenton 1996, 41쪽)(말할 필요도 없이 다른 사람의 문화적 표준만 '관습'으로 비하될 수 있습니다). 식민주의와 인종주의는 제국주의와 경제 확장이 성장함에 따라 이와 유사한 영점 사상이 교육, 보건, 정부 및 그 구조와 제도의 시스템을 통해 만들어지고 엮어졌습니다.
Through the Eurocentric lenses of Darwin, Smith, Saint-Simon, Compte, Newman, and Mill (and many others), European society equated progress and development with individualism, utility, education, and order and these conditions could only be realized in societies “not bound by ‘custom’ and in which tolerance and rational discussion were permitted” (Cowen and Shenton 1996, p. 41) (needless to say, only someone else’s cultural norm would be derided as ‘custom’). Colonialism and racism fit right in and as imperialist and economic expansion grew, these and similar zero-point ideas created and wove their way up and through the systems of education, health, government, and their structures and institutions.

그렇다면 인종주의란 무엇이며, 구조적 또는 제도적 인종주의란 무엇일까요? 여기서는 카마라 존스(2002)의 글을 길게 인용할 가치가 있습니다. 그녀는 이렇게 썼습니다:
What is racism then, and what is structural or institutional racism? It is worth quoting Camara Jones (2002) here at length. She writes:

인종주의는 표현형("인종")에 따라 기회를 구조화하고 가치를 부여하는 시스템으로, 일부 개인과 공동체에 부당하게 불이익을 주고, 다른 개인과 공동체에 부당하게 이득을 주며, 인적 자원의 낭비를 통해 사회 전체의 잠재력을 최대한 실현하는 것을 저해합니다. (p. 10)
Racism is a system of structuring opportunity and assigning value based on phenotype (“race”), that: unfairly disadvantages some individuals and communities; unfairly advantages other individuals and communities; [and] undermines realization of the full potential of the whole society through the waste of human resources. (p. 10)

존스는 이어서 제도화된 인종차별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Jones then goes on to define institutionalized racism as:

"인종"에 따라 사회의 재화, 서비스 및 기회에 차별적으로 접근하는 구조, 정책 또는 규범입니다. 제도화된 인종차별은 규범화되어 있고 때로는 합법화되어 있으며 대물림되는 불이익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종차별은 관습, 관행, 법률 제도에 성문화된 구조적 문제이므로 가해자가 특정되지 않아도 ... 물질적 조건과 권력에 대한 접근성에서 모두 나타납니다. (p. 10)
the structures, policies, or norms resulting in differential access to the goods, services, and opportunities of society by “race.” Institutionalized racism is normative, sometimes legalized, and often manifests as inherited disadvantage. It is structural, having been codified in our institutions of custom, practice, and law so there need not be an identifiable perpetrator … [and it] manifests itself both in material conditions and in access to power. (p. 10)

퀴자노가 주장했듯이 인종주의와 식민주의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경제와 제국의 성장에 초점을 맞춘 영점 인식론의 전 세계적 확장은 저임금 노동, 계약직 노동, 노예제 등 인종주의와 이를 뒷받침하는 구조에 의해 지원되는 노동 세대를 낳았다.
As Quijano has argued racism and colonialism are inextricably linked, such that the global expansion of zero-point epistemology which has been centred around and focused on economic and imperial growth has resulted in generations of labour supported by racism and the structures that support it, including underpaid labour, indentured labour, and slavery.

프란츠 파농은 『검은 피부, 하얀 가면』(1994)과 『지구의 비참한 사람들』(1963)에서 이러한 구조에 억압받아온 사람들의 이야기를 썼습니다. 파농은 마르티니크에서 태어나 리옹에서 정신과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후 알제리에서 진료 활동을 했습니다(Khalfa 2015). 알제리의 병동에서 유럽인과 알제리인 환자를 모두 돌보는 다인종 의사로 일하면서 그는 정신 질환의 형태가 문화적으로 결정된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파농은 식민지 시대의 권력 매트릭스를 비판하며, 이 매트릭스가 억압자와 피억압자의 생각과 마음 모두에 주입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파농은 이러한 형태의 억압 아래서 인간의 삶은 "착취, 비참함, 굶주림과의 싸움의 형태"(2008, 174쪽)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하며, 이러한 억압을 해소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폭력을 요구합니다. 그는 "식민주의는 생각하는 기계도 아니고 추론 능력을 부여받은 신체도 아니다. 그것은 그 자체로 폭력이며, 더 큰 폭력에 직면했을 때만 굴복할 것이다"(1963, 61쪽)라고 말합니다. 파농은 그의 작품 전반에 걸쳐 다음을 세심하게 묘사합니다.

  • 식민주의가 식민화된 정신에 어떻게 스며드는지,
  • 억압적 담론이 어떻게 일상화되는지,
  • 불평등이 어떻게 인종화되는지

비록 이 용어가 만들어지기 전에 글을 썼지만, 파농은 식민지적 권력 매트릭스를 묘사하고 있습니다. 
Frantz Fanon writes to those who have been oppressed by these structures in his works Black Skin, White Masks (1994) and The Wretched of the Earth (1963). Fanon was born in Martinique, qualified as a psychiatrist in Lyon and went on to practice in Algeria (Khalfa 2015). Through his work on the wards in Algeria as a racialized physician attending to both European and Algerian patients, he identified forms of psychiatric illness as culturally determined. Fanon critiques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with the recognition that this matrix instills itself both in the thoughts and minds of the oppressor and also the oppressed. Fanon writes that a man’s life under these forms of oppression is conceived as nothing other than “the form of a battle against exploitation, misery, and hunger” (2008, p. 174) and calls for violence as the only method by which this oppression can be lifted. He writes: “colonialism is not a thinking machine, nor a body endowed with the reasoning faculties. It is violence in its natural state, and it will only yield when confronted with greater violence” (1963, p. 61). Throughout his work Fanon carefully describes

  • how colonialism pervades the colonialized mind;
  • how oppressive discourses become normalized, and
  • how inequality is racialized.

Although he was writing before this term was created, Fanon is describing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파농이 1960년대에, 존스가 2000년대에 묘사한 구조적 인종주의는 HPE와 관행을 포함하여 사회에 계속 만연해 있습니다. 과학은 계속해서 인종차별적인 사람들을 약탈하고 있습니다.

  • 루하 벤자민은 줄기세포 연구(2013)와 기술 설계(Benjamin 2019a, b)가 흑인을 차별하는 방식에 대해 글을 썼습니다.
  • 린다 투히와이 스미스(2008)는 학술 연구와 같은 구조가 원주민에게 어떻게 경쟁의 장이 될 수 있는지 자세히 설명하며, 영점 인식론 내의 연구는 저항해야 할 대상이라고 말합니다. 겉으로는 평등주의적 태도를 보이는 미국의 일부 주치의는 흑인 및 라틴계 인구에 대해 상당한 암묵적 편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Hostetter and Klein 2018).
  • 오드레 로데(2007)는 학술회의의 구조를 "인종차별적 가부장제의 도구"(110쪽)라고 표현하며, 인종차별적이고 소외된 사람들은 토큰으로만 발표에 초대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
  • 패트리샤 힐 콜린스(1986)와 벨 후크스(2014)는 위계적 형태의 권위적인 학문 전파 방식에서 벗어나 외부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학술지에 실린 이 논문도 여기에 포함시킵니다). 후크스는 학계가 "인종주의와 성차별과 같은 지배 체계를 다시 기록하는 교육적 관행"(2014, 10페이지)에서 벗어날 것을 제안합니다.  

The structural racism that Fanon describes in the 1960s, and Jones describes in the 2000s, continues to pervade society, including HPE and practice. Science continues to be predatory against racialized people.

  • Ruha Benjamin writes about how stem cell research (2013) and technological design (Benjamin 2019a, b) are discriminatory against Black people.
  • Linda Tuhiwai Smith (2008) details how structures, such as academic research, can be sites of contestation for Indigenous Peoples, with research within zero-point epistemology as something that needs to be resisted. Some primary care physicians in the United States who outwardly demonstrate egalitarian attitudes have been shown to have significant implicit biases against Black and Latino populations (Hostetter and Klein 2018).
  • Audre Lorde (2007) refers to the structure of an academic conference as “the tools of a racist patriarchy” (p. 110) where racialized and marginalized people may only be invited to present as tokens.
  • Patricia Hill Collins (1986) and bell hooks (2014) speak of the importance of listening to voices from outside the authoritative diction of hierarchical forms of academic dissemination (we would include this paper here too, written for a scholarly journal). hooks suggests further that academia move away from “pedagogical practices that … reinscribe systems of domination (such as racism and sexism)” (2014, p. 10).

이러한 사례는 구조적 인종주의가 교육과 의료 분야에서 어떻게 형성되고 자리 잡았는지 설명하는 데 사용된 몇 가지 예에 불과합니다. 우리의 구조,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이 누리는 특권, 우리가 추구하는 이점은 그 구조가 인종주의의 토대 위에 세워졌기 때문입니다. 미니애폴리스에서 필란도 카스티야가 살해된 지 4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는 여전히 같은 이야기를 쓰고 있습니다.
These are just some examples used to illustrate how structural racism has built and takes its place within education and healthcare. Our structures, the privileges many of us hold, and the advantages we seek, are because the structures are built on a foundation of racism. Four years after the murder of Philando Castile in Minneapolis, we still write the same stories.

성별과 섹슈얼리티
Gender and sexuality

식민주의는 또한 소외된 사람들에게 성별 구조를 강요했습니다. 오예우미(1997)는 영국의 북서아프리카 식민지배가 어떻게 요루바 사회에서 '여성'이라는 개념의 구축과 그 후의 사회 종속을 초래했는지 설명합니다(Lugones(2016) 참조). 성별과 젠더에 대한 식민지 사상의 부과를 설명하는 또 다른 예는 '두 영혼'이라는 용어입니다. 북미 원주민 커뮤니티의 맥락에서 '두 영혼'이라는 용어는 원주민 문화에 내재된 다중 성 정체성, 즉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뿐만 아니라 둘 이상의 성 지향성(성 지향성은 성적으로 끌리는 개인이 아니라 자신이 일치하는 역할을 의미)으로 정체화하는 개인을 지칭합니다. 그러나 식민주의의 역사, 종교적 교리, 문화적 말살, 기숙 학교 교육의 잔인함, 그리고 그에 따른 세대 간 트라우마로 인해 원주민 공동체 내에서 '두 영혼'의 의미에 대한 가르침이 혼란스러워졌습니다(Cameron 2005). 이마저도 식민지 권력 매트릭스에 의해 지워졌지만, 상당한 저항 노력과 행동주의를 통해 원주민 커뮤니티 내 일부에 의해 두 영혼의 정체성이 되찾아지고 있습니다(Depelteau와 Giroux 2015). 또한 식민지배는 '동성애'라는 범주를 만들어냈고(Mignolo 2011), 이전에는 이러한 방식으로 사람들을 분류하지 않았던 여러 문화의 인식론적 신념을 근절했습니다. 
Coloniality also imposed structures of gender upon the people it marginalized. Oyěwùmí (1997) explains how the British colonization of northwest Africa resulted in both the construction of the concept of “woman” in Yorùbá society and then their subsequent subordination in society (see also Lugones (2016)). Another example to illustrate the imposition of colonial ideas about sex and gender is the term ‘two-spirited’. Within the context of Indigenous communities in North America, the term ‘two-spirited’ referred to a multiple gender position embedded within Indigenous cultures, an individual who identifies as more than one gender orientation—not just male and not just female (gender orientation meaning the roles that one aligns with rather than the individuals to whom one is sexually attracted). However, the history of colonialism, of religious dogma, cultural eradication, the brutality of residential schooling, and subsequent intergenerational trauma led to a disruption of teachings within Indigenous communities about the meaning of ‘two spirited” (Cameron 2005). Even that was being erased by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but through significant resistance efforts and activism the two-spirited identity is being reclaimed by some within Indigenous communities (Depelteau and Giroux 2015). Further, coloniality created the category of ‘homosexuality’ (Mignolo 2011), eradicating the epistemic beliefs of multiple cultures that had not previously categorized its people in these ways.

다시 말해, 지배 사회에서는 '새롭게 실현된' 것처럼 보이지만 이미 존재했던 성 및 젠더 개념이 식민지 사회에서는 동일한 권력을 갖지 못한 채 소외되어 왔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여기서 섹스와 젠더에 대한 이러한 깨달음이 백인 유럽 학계에서 지배적인 영점 인식론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초기 징후라고 주장합니다. 1949년 출간된 시몬 드 보부아르의 저서 『제2의 성』(2010)과 주디스 버틀러의 저서(1987, 1990, 2004)는 성을 식민주의에 의존한 고정불변의 정체성이 아니라 "문화적 해석"(1987, 36쪽)으로 재구성하고 있습니다. 성별은 생물학적 스펙트럼에 있지만, 젠더는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배우는 것입니다. 
In other words, there are conceptions of sex and gender that may appear to have been ‘newly realized’ within the dominant society but had already existed and had then been marginalized in the colonized societies that had not been afforded the same power. We argue here that such realizations about sex and gender were early indications of a questioning of the dominant zero-point epistemology from within the white European academy. The 1949 publication of Simone De Beauvoir’s book The Second Sex (2010) and Judith Butler’s works (1987, 1990, 2004) reconstruct gender not as the fixed immutable identity relied upon through coloniality, but as a “cultural interpretation” (1987, p. 36). While sex may be on a biological spectrum, gender is socially constructed; it is something we learn how to do through our relations with others.

식민지 권력 매트릭스는 인종, 성별, 젠더를 별개의 구분 관행으로 구성하여, 인종과 성별, 젠더가 권력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위계를 만들어 백인 남성이 백인 여성에 대한 권력을 갖고 백인 여성이 흑인 남성에 대한 권력을 갖도록 합니다(Mignolo 2011). 따라서 식민지 매트릭스에 맞서기 위해서는 사회 정의를 위해 함께 노력하면서 역사적 차이를 인정하는 통합된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오드레 로데, 벨 훅스, 패트리샤 힐 콜린스는 모두 지배적인 인종차별주의와 가부장제 사회에 저항하는 소외된 목소리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여기에서 인종과 성별의 교차성(Crenshaw 1989)을 더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Lorde(2007)는 소외된 사람들의 생존은 성별, 인종, 나이, 사회경제적 지위 등 자신의 차이를 강점으로 만드는 능력에 달려 있다고 말하며, 독자들에게 개인을 정치화하고 사회 변화를 옹호할 것을 촉구합니다. 후크스는 "말하는 것은 단지 창조적 힘의 표현이 아니라 저항의 행위이며, 우리를 이름도 없고 목소리도 없게 만드는 지배의 정치에 도전하는 정치적 제스처"(2015, 8쪽)라며 목소리와 변화를 더욱 옹호하고 있습니다. 목소리, 직위, 직책이 있다고 해도 사람들이 내 말을 들어준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힐 콜린스(1986)는 흑인 여성에 의한 흑인 여성의 자기 정의와 자기 평가에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외부에서 파생된 이미지를 "진정한 흑인 여성 이미지"(517쪽)로 대체하는 아프리카 중심적 페미니즘 인식론을 주장하며 변화를 촉구합니다.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constructs race, sex and gender as separate dividing practices, creating hierarchies where race and sex and gender became interconnected through power, such that white men had power over white women, and white women had power over Black men (Mignolo 2011). Confronting the colonial matrix thus requires a unified approach that names historical differences while working together for social justice. Audre Lorde, bell hooks and Patricia Hill Collins all speak of the importance of marginalized voices resisting the dominant racist and patriarchal society. It is here where one can more easily identify the intersectionality (Crenshaw 1989) of both race and gender. Lorde (2007) suggests that the survival of marginalized people depends on their ability to take their differences, such as gender, race, age or socioeconomic status, and make them strengths, urging readers to make the personal political, and advocate for social change. hooks further advocates for voice and change, writing “[t]rue speaking is not solely an expression of creative power; it is an act of resistance, a political gesture that challenges politics of domination that would render us nameless and voiceless” (2015, p. 8). Even though you may have a voice, or position, or title, there is still no guarantee that people will listen. Hill Collins (1986) calls for change, arguing for an Afrocentric feministic epistemology where externally-derived images are replaced by “authentic Black female images” (p. 517) to produce positive change in the self-definition and self-valuation of Black women by Black women.

식민지성과 저작자
Coloniality and authorship

우리는 저자 집단으로서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한 설명으로 HPE의 주인의 집을 해체하는 이 이야기를 시작하면서, 우리의 여러 교차, 강요, 주장된 정체성이 독자들에게 주의와 회의로 우리의 관점을 읽고 자신의 입장, 관점, 특권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도록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생각을 암시했습니다. 독자 여러분이나 저자인 저희는 완벽한 반성적 입장에 도달할 수 있을 거라는 환상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이 글의 어느 시점에서 누구의 목소리가, 어떤 관점에서, 어떤 위치에서 말하고 있을까요? 저자 순서를 보면 누구의 목소리가 표현되었는지, 누가 이러한 목소리가 어떻게 표현되는지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에 대한 단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지금 누구의 목소리가 나오는가, 제1저자의 목소리인가? 선임 저자의 목소리인가요? 물론 '우리'라고 주장되는 모든 목소리가 동일하게 대표될 수는 없으며, 어떤 사람들은 이러한 목소리 중 일부는 전혀 대표되지 않는다고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 
We started this story of dismantling the Master’s House in HPE with a description of who ‘we’ are as a collective of authors, alluding to the idea that our multiple intersecting, imposed, and claimed identities should alert the reader to read our perspective with caution and scepticism and to attempt to interrogate their own positions, perspectives, and privileges in the reading. We are under no illusion that either you, dear reader, or we as authors will attain a perfected reflexive positioning. Whose voice is speaking at any point in this piece, from what vantage point, and what position? The authorship order might offer some clues over whose voices are represented and who might have the power to determine how these voices are represented. Whose voice is speaking right now, is it the voice of the first author? The voice of the senior author? Certainly, all the voices that are claimed as ‘we’ cannot be represented equally, and some might argue that some of these voices are not represented at all.

학계의 관례에 따라 제1저자는 학계에서 특권을 가진 목소리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 논문을 작성하고 잠재적으로 HPE에서 콘텐츠가 수용되는 방식을 형성할 수 있는 권한을 갖습니다. 이 경우 제1저자는 박사 과정 중에 박사 지도교수인 마지막 저자에게 의뢰한 이 논문의 작업에 초대받아 이러한 아이디어를 작성했기 때문에 특권을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 저자는 저자 목록에 자신의 이름을 올리고 의뢰를 받았다는 점에서 강력하고 자원이 풍부한 북미 공간에서 정당화되고 승인된 합법적인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특권을 동등하게 주장합니다. 두 목소리 모두 식민지 권력 매트릭스 내에서 중심을 잡고 있습니다. 출판된 논문의 제1저자 직책은 그 자체로 학계 구조 내에서 가치 있는 화폐입니다. 이는 책임과 인정을 의미합니다. 이 사례의 경우처럼, 박사 과정 학생이 자신의 연구에 활용하고자 하는 아이디어를 전파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조금, 직위 또는 승진을 신청할 때 이력서에 기재하면 도움이 됩니다. 
Academic convention might place the first author as a voice of privilege in the academic space, having the latitude to craft this paper and potentially shape how the content is received in HPE. In this case the first author can also lay claim to privileges, having written about these ideas during the process of her doctoral work she was invited to work on this paper originally commissioned to her doctoral supervisor, the last author. The last author, by the positioning of her name on the authorship list and having been commissioned, equally lays claim to the privileges of a legitimized and approved legitimizing voice in a powerful, well-resourced North American space. Both voices are centred from within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The first author position on a published paper is itself a valuable currency within the structure of academia. It connotes responsibility and recognition. It is often, as is the case here, a helpful position to take for a doctoral candidate disseminating ideas that they intend to employ in their research. It is a helpful position to have on one’s CV when applying for grants, positions, or promotions. 

다른 저자들도 잘 드러나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활용되는 특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외되었던 목소리는 이제 백인 남성이나 백인 여성에 비해 인종이나 성별, 식민지성에 대해 개인적인 자제력, 경계심, 판단에 대한 두려움을 덜 느끼며 글을 쓸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권을 인식하고 이를 활용하는 저자들도 있습니다. 이 공간에서 인종 차별적 관행을 고발하는 목소리가 침묵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동시에 식민지 출신이거나 조상이 식민지였던 지역 출신이거나 식민지 민족의 후손인 저자들도 식민지배와 그 영향에 대해 정당성을 인정받으며 말하고 글을 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치는 집단적 저자의 목소리에 진정성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사람들은 보건 전문가로서 일하는 특권을 누리는데, 이 특권은 우리가 전통적인 HPE의 지식 방식과 그로 인한 불평등과 사회적 불의를 직접 목격하고, 드러내고, 궁극적으로 해체할 수 있는 공간에서 이루어집니다. 더 나아가 우리 중 일부(첫 번째 저자를 포함)는 병원에 들어가 의료 서비스 제공자로 활동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없을 것입니다. 우리의 지향점은 실습보다는 이론에 더 기울어져 있습니다. 이론적 접근 방식을 취하는 사람도 있지만, 특히 이 작업에서 그들의 방향은 이론보다는 실무에 더 기울어져 있습니다. 

Other authors too have privileges, less obvious perhaps, but privileges that are leveraged nevertheless. Voices that have been marginalized may now write about race or gender or coloniality with less personal restraint, vigilance, or fear of judgement in one sense than white men or white women could. Some authors here perceive this privilege and leverage that here. There is an increasing expectation that voices that call out racist practices in this space will not be silenced. At the same time, authors who are from or have ancestral origins in colonized territories or who are descendants of colonized peoples can also speak and write with an accepted legitimacy about colonization and its effects. This position may afford authenticity to the collective author voice. Still others have the privilege of working as health professionals in the spaces where we can witness firsthand, reveal, and eventually dismantle traditional HPE ways of knowing and the resulting inequities and social injustices. This goes even further. There are some of us (this first author included) who has never and will never step into a clinic and act as a healthcare provider. Our orientations lean more towards theory rather than praxis. And while some also have a theoretical approach, their orientations in this work in particular will lean more towards praxis than theory.

텍스트의 본문에서 저자의 성찰과 입장으로 관심을 돌리는 것이 이상하게 보일 수 있지만, 권력의 식민성에 대해 글을 쓰고 있는 지금, 이것이 어떻게 제정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임이 분명합니다. 지식, 인종, 자본이 매트릭스의 중심에 있습니다. 그리고 저자 목록의 첫머리에 스코틀랜드계 캐나다인 백인 여성 박사과정 학생이 있는데, 이 학생은 대학에서 관리자로 정규직으로 일하고 있으며 이 책에서 설명하는 문제의 일부임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이 분도 해결책의 일부가 될 수 있을까요? HPE 내에서 마스터스 하우스의 혜택을 받고 이를 유지해온 바로 그 사람들이 자신의 '집'을 해체할 것을 기대할 수 있을까요? 소외의 구조를 해체하는 것은 오로지 소외된 자들의 역할일까요? 지금 우리에게는 답이 없고 질문만 있을 뿐입니다. 개인으로서 그리고 집단적으로 우리는 이러한 생각에 얽혀 있고, 얽혀야만 합니다. 우리는 어떻게 특권을 반성적이고 정중하게 인식하고 활용할 수 있을까요? 작품이 한 방향으로만 흘러가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억압받는 사람들이 억압자를 교육하기 위해 보상도 받지 못하는 일을 하라고 (우리 기관이 반복해서 하는 것처럼) 요구하는 것이 공정한 일인가요? 저희는 불공평하다고 생각합니다. 대신 이 논문에서 우리 중 일부는 '다수세majority tax'(Mensah 2020)을 지불하기 시작해야 할지도 모른다.

  • 교육 및 보건 기관에서 서로 다른 역할을 맡은 전문가 그룹을 모으고,
  • 찬성하는 목소리와 반대하는 목소리를 겸손하게 경청하고,
  • 특권을 활용하여 특권이 적은 사람들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 정직하고 개방적이며 서로에게 반성적으로 사고하고,
  • 주인의 집을 해체하는 데 도움이 될 수있는 논쟁을 함께 배치하는 것이다.

It may seem strange to direct attention away from what might appear as the body of the text to the reflections and positions of its authors, but as we are writing about the coloniality of power, this is certainly one way to demonstrate how this is enacted. Knowledge, race, and capital are at the centre of the matrix. And at the beginning of our authorship list is a white, female, Scottish-Canadian PhD candidate who holds a full-time job as an administrator at a university and admittedly part of the problem being described here. Is it possible to also be part of the solution? Can the very people who have benefitted and uphold the Master’s House within HPE be expected to dismantle their ‘home’? Is it solely the role of those who have been marginalized to dismantle the structures of their marginalization? Right now, we do not have answers, only questions. As individuals and collectively as authors we are entangled in and must tangle with these ideas. How do we recognize and leverage privilege reflexively and respectfully? It is unlikely that the work must only fall in one direction. This work is not being compensated, is it fair to ask (as our institutions do time and time again) for the oppressed to take on uncompensated work to educate their oppressors? We think it unfair. Instead in this paper perhaps some of us start to pay a ‘majority tax’ (Mensah 2020),

  • bringing together a group of experts who hold different roles in education and health institutions;
  • listening to both confirming and dissenting voices with humility,
  • leveraging privilege to advance the ideas of those who have less privilege,
  • being honest and open and reflexive in our thinking and with each other, and
  • positioning an argument together that might help to dismantle the Master’s House. 

아직 부족할 수도 있습니다. 
Perhaps this is still insufficient.

우리는 지금까지 이러한 논쟁에서 주로 이론적인 측면에 집중해 왔습니다. HPE의 구조에는 이론과 실천이 모두 필요하지만, 마스터의 집을 해체하기 위해서는 이론과 실천이 모두 필요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제 이론에서 생생한 경험으로 옮겨가면서 제1저자와 다른 이론가들의 목소리와 입장으로부터 의도적으로 벗어나고자 합니다. 아마도 우리는 우리 자신의 동상을 무너뜨리기 시작할 것입니다.
We have primarily been focusing on the theoretical side thus far in these arguments. While the structure of HPE needs both theory and praxis, we also need both theory and praxis to dismantle the Master’s House. And so, we move now from theory to lived experience, intentionally away from the voice and positionality of the first author and the other theorists among us. Perhaps we will start toppling some statues of our own.

이론에서 실천으로: 식민지성, 젠더와 섹슈얼리티, 인종주의
From theory to praxis: coloniality, gender and sexuality, and racism

아래 사례 중 일부는 실제 경험에서 직접 도출한 것으로, 식민지 권력 매트릭스가 HPE 내에서 어떻게 제정되는지 보여줍니다. 각 사례와 함께 식민지 권력 매트릭스에 저항할 수 있는 방법도 설명하기 시작합니다. 우리는 마스터의 집을 해체하는 방법을 보여주기 시작합니다. 
In the examples below, some drawn directly from lived experience, we begin to show how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is enacted within HPE. Together with each example, we also begin to illustrate ways in which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can be resisted. We begin to show how to dismantle the Master’s House.

HPE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종종 학습 환경 내에서 지속되는 불평등의 피해자입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프로그램 내에서 학생에 대한 학대가 매우 흔하게 발생하며, 이는 거의 전문의가 되기 위한 통과의례로 여겨질 정도입니다(Markman 외. 2019).

  • 예를 들어, 같은 방에 있는 백인 학생은 의대생으로 인정하면서 흑인 학생은 간호사로 무시하는 백인 환자나 인턴십 면접에서 성이 "너무 아랍어로 들린다"는 이유로 담당 외과의사로부터 탈락한 학생을 생각해 보십시오. 이러한 학생들은 보복에 대한 두려움, 학대가 의료 문화의 일부라는 인식, 더 미묘한 형태의 학대를 신고하기 어렵다는 점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이러한 미세 공격에 대한 신고를 주저합니다(Chung et al. 2018).
  • 원주민 학생들도 마찬가지로 인식론적 제국주의에 직면하는 과학, 기술 및 보건 학위에서 불이익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에서 원주민의 앎의 방식은 커리큘럼 내에서 위계화되고, 소외되고, 침묵하며, 도전을 받습니다(Cech 외. 2017).
  • 교수진은 또한 인종차별, 불평등, 미시적 침략을 경험하는데, 그 중 상당수는 "미묘하고 미묘하지만 해로운"(Joseph 2020) 것입니다. 이러한 식민주의의 표현으로 인해 일부 교수진은 진실을 말하는 것을 두려워하고, 잘못 해석될까 두려워 발언하기를 꺼리며, 문제가 있는 사람으로 분류되거나 토큰으로 사용될 것을 우려합니다. 이러한 억압적인 환경으로 인해 일부 학계 의사들은 학계를 떠나기로 어려운 결정을 내렸고, 대신 권력에 진실을 말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간을 만들었습니다(Blackstock 2020). 

Students in HPE programs are often victims of inequities perpetuated within their learning environments.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mistreatment of students is so commonplace within these programs that it is almost regarded as a rite of passage into the profession (Markman et al. 2019).

  • Take for example, a white patient who acknowledges the white students in the room as medical students while dismissing the Black student as a nurse, or the student who is dismissed by a staff surgeon from an internship interview because her last name sounded “too Arabic”. These students hesitate to report such microaggressions for many reasons, some of which include fear of reprisal, perception that mistreatment is part of medical culture, or difficulty reporting more subtle forms of mistreatment (Chung et al. 2018).
  • Indigenous students have similarly been shown to be disadvantaged in science, technology and health degrees where they encounter epistemic imperialism. In these programs, Indigenous Ways of Knowing are delegitimatized, marginalized, silenced, and challenged within curricula (Cech et al. 2017).
  • Faculty members also experience racism, inequities and microaggressions, much of it “subtle and nuanced, yet pernicious” (Joseph 2020). This manifestation of coloniality leaves some faculty members fearful of speaking their truth, reluctant to speak up for fear of being misinterpreted, concerned of being labelled as problematic or used as tokens. These oppressive environments have caused some academic physicians to make the difficult decision to leave academic medicine, creating new spaces instead where they can speak truth to power (Blackstock 2020).

HPE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구축하고, 관리하고, 이끄는 사람들은 불평등과 사회 정의에 대한 가르침을 기존의 지배적 이데올로기의 중립적 객관성에 대항하는 구성주의와 인식론적 다원주의와 같은 비지배적 인식론에 다시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마도 HPE 내에서 권력 역학을 해체하는 것이 좋은 출발점이 될 것입니다.

  • 학생들의 불평등에 대한 경험 및 지식이 필요하고 가치 있다고 판단되면, 기꺼이 경청하고 배우려는 교수진이 이러한 지식 중 일부를 불평등과 사회 정의에 대한 교육에 통합할 수 있습니다.
  • 마찬가지로, 교육 연구를 추구하거나 지도하거나 출판하는 사람들은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한 단일 관점에 의문을 제기하고 이를 가시화해야 합니다.
    • 연구 경력의 초기 단계에 있는 사람들은 반성적 사고에 대한 안내를 받을 수 있고, 오랜 시간 동안 믿어온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는 방법과 위치에 대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동료 검토자로 참여하는 사람들도 마찬가지로 저자의 가정뿐만 아니라 우리 자신의 가정에 대해서도 반성하도록 요청할 수 있습니다.
  • 영점 인식론으로부터의 전환은 형평성, 다양성, 포용성에 중점을 둔 HPE를 만들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학생, 교수진, 교직원, 특히 소수자가 학습 환경의 일부로서 불평등에 맞서 싸우거나 불가피한 현실에 굴복하지 않아도 되는 문화를 조성할 수 있습니다.
    • 교육할 때 백인이 아닌 피부의 피부과 질환에 대한 예를 포함하거나(Rimmer 2020), 인종에 대한 생물학적 정의를 사용하여 환자를 차별화하는 임상 개입이나 치료법에 대해 더 이상 가르치지 않는 것(Witzig 1996)처럼 간단한 것부터 시작할 수 있습니다. 

Those who research, teach, build, administer, and lead HPE programs need to re-centre their teachings of inequity and social justice on non-dominant epistemologies—such as constructivism and epistemic pluralism which counteract the neutral objectivity of the existing dominant ideologies. Perhaps the dismantling of the power dynamic within HPE is a good place to begin.

  • If students’ experiences and/or knowledges of inequity are considered necessary and deemed valuable, then some of this knowledge can be incorporated into training on inequity and social justice by faculty who are willing to listen and learn.
  • Likewise, for those who pursue, mentor or publish educational research, singular perspectives centred around dominant ideologies should be questioned and made visible.
    • Those of us who are early on in our research careers could be guided in reflexivity and guided in how and where to question our long-held assumptions.
    • Those of us who participate as peer reviewers could likewise ask to reflect on not only the author’s assumptions, but also our own.
  • A shift from zero-point epistemology has the potential to create HPE that is centered on equity, diversity, and inclusion, and could cultivate a culture in which students, faculty and staff, especially those who are minoritized, don’t have to take it upon themselves to fight inequity or succumb to its inevitable reality as part of the learning environment.
    • In teaching, we suggest that some of it could be as simple as thinking to include examples of dermatological conditions on non-white skin (Rimmer 2020) or no longer teaching about clinical interventions or treatments that differentiate patients using biological definitions of race (Witzig 1996).

예를 들어, 의학계에서 계속 수행되고 있는 실무 중심의 작업의 대부분은 백인 여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여성의 리더십 직위 승진을 늘려야 한다고 요구합니다. 그러나 백인 여성을 중심으로 한 이러한 노력은 임상의사라는 직업이 주는 일상적인 스트레스의 무게뿐만 아니라 여러 형태의 구조적 인종차별과 암묵적 편견으로 인해 더욱 억압받는 흑인, 원주민 또는 유색인종(BIPOC)으로 분류되는 사람들의 경험을 침묵시키고 동질화하며 무력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Cyrus 2017; Moreton-Robinson 2000). 여러 종속의 축으로 인해 차이를 부정하고 억압의 형태를 만들어내는 구조를 해체하기 위해 우리는 변화를 위한 교차적 접근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Much of the praxis-oriented work that continues being performed in medicine centres white women, for example, calling for increases in the promotion of women to positions of leadership. But this centring on white women works to silence, homogenize, and negate the experiences of people who identify as Black, Indigenous, or people of colour (BIPOC) who not only carry the weight of the everyday stress of the job of being a clinician, but also carry the burden of multiple forms of structural racism and implicit biases that further oppress them (Cyrus 2017; Moreton-Robinson 2000). To begin to dismantle the structures that negate difference and create forms of oppression due to multiple axes of subordination we can employ an intersectional approach to change.

교차적 관점(콜린스 2015; 크렌쇼 1989, 1991)은 여러 형태의 억압이 누적되어 나타난다는 점을 인식합니다.

  • 예를 들어, 캐나다 태생 국제 의대 졸업생(C-IMG)(일반적으로 캐나다에서 태어나고 자랐지만 다른 나라로 가서 의대를 마친 사람)은 이민 국제 의대 졸업생(I-IMG)(일반적으로 캐나다 밖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며 의대 교육을 마친 사람)과 임상 교육 프로그램을 다르게 경험하게 됩니다.
  • IMG는 캐나다 생활에 적응하고 캐나다 의료 시스템을 배워야 하는 반면, C-IMG는 캐나다에서 기대되는 많은 사회적 '규범'을 이미 알고 있습니다. 나지브 외(2019)의 연구에 따르면, C-IMG와 I-IMG 모두 캐나다 밖에서 의대를 졸업했다는 이유로 편견과 차별을 경험하지만, 인종화된 I-IMG는 더 심한 형태의 차별을 경험한다고 합니다.

 

Intersectional perspectives (Collins 2015; Crenshaw 1989, 1991) recognize that there are multiple forms of oppression that are cumulative.

  • For example, a Canadian-born international medical graduate (C-IMG) (someone who typically was born and grew up in Canada but who went to another country to complete medical school) will experience a clinical training program differently compared to an Immigrant international medical graduate (I-IMG) (someone who typically was born, grew up, and completed medical training outside Canada).
  • Whereas IMGs need to adjust to life in Canada and learn the Canadian health system, a C-IMG is already aware of many of the social ‘norms’ expected of them in Canada. In a study by Najeeb et al. (2019), both C-IMGs and I-IMGs experience a form of bias and discrimination from having completed medical school outside Canada but racialized I-IMGs experienced a heightened form.

교차성은 의학이 학습되고, 실행되고, 전달되는 방식에서 사회적 불공정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의학을 지배하는 복잡한 권력 관계를 이해하는 수단을 제공합니다. 주치의 제도를 뒷받침하는 헤게모니적 관행을 해체하기 위해, 우리는 자신의 정체성과 관행이 HPE에서 규범적 담론의 공고화와 수출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비판적 성찰과 반성성을 사용하는 프레이레의 『피억압자의 교육학』(2000) 또는 후크스의 『범법 가르치기』(2014)에서 가져온 것과 같은 다양한 교육학의 사용을 제안합니다(Naidu and Kumagai 2016; Ng et al. 2019). 
Intersectionality provides a means of understanding the complex power relations that dominate medicine with the objective of alleviating social injustices in how medicine is learned, practiced, and delivered. In order to dismantle the hegemonic practices that support the Master’s House, we suggest the use of a range of pedagogies, such as those taken from Freire’s Pedagogy of the Oppressed (2000) or hooks’ Teaching to Transgress (2014), which employ critical reflection and reflexivity to better understand how one’s own identity and practices contribute to the solidification and exportation of normative discourses in HPE (Naidu and Kumagai 2016; Ng et al. 2019).

이 글에서 우리는 교차성 프레임 내에서 비판적 성찰과 반성이 오랫동안 '금과옥조'로 여겨져 온 보건 전문직 교육 및 실무 모델을 뒤흔들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젠더 블라인드나 컬러 블라인드로 차이를 지우는 제도적 정책과 관행 또는 연구 관행보다는, 교차성과 이전에는 소외되었던 지역사회 중심의 [교차적 인식론의 도입]

  • 차이를 포용하고,
  • 차이의 지저분함과 얽히는 어려운 작업을 수행하고,
  • 이러한 얽힘이 만들어내는 불편함으로부터 학습을 통해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해줄 수 있습니다.

We argue here that critical reflection and reflexivity within an intersectional frame have the potential to disrupt models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practice that have long been upheld as proverbial ‘gold standards’. Rather than institutional policies and practices or research practices erasing differences by being gender-blind or colour-blind, intersectionality and the introduction of intersectional (Eckstrand et al. 2016), previously marginalized, and community-oriented, epistemologies (Battiste 2013; Brayboy 2005; Collins 2002; Dei 2000; Gordon 1990; Naidu 2020; Rasmus et al. 2020; Smith 1999) would better enable us to

  • embrace difference,
  • do the difficult work of tangling with the messiness of difference, and
  • move us forward through learning from the discomfort these entanglements produce.

기관 스스로가 이러한 작업을 주도하고 지원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장기적이고 심층적인 반인종주의(또는 반성소수자) 교육의 형태로 보건 전문가와 멘토를 위한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 눈에 잘 띄지 않고 때로는 고립되는 회복 작업을 지원하고 피해를 입힌 사람들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구조적 지원(시간 및 급여 포함)을 제공하는 것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Richardson 2020c), 동료 검토 과정 내의 체계적인 편견으로 인해 종종 불이익을 받는 소외된 집단을 대상으로 자금을 제공하거나(Doll and Thomas 2020), 채용, 승진 또는 포상 과정에서 교차성이 백인보다 낮은 교수 평가를 받는 경향이 있는 인종화된 교수진(특히 인종화된 여성)에 이중으로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고려합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장기적이고 심층적인 반인종주의(또는 반성소수자) 교육의 형태로 보건 전문가와 멘토를 위한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
  • 눈에 잘 띄지 않고 때로는 고립된 회복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공간을 만들고 구조적 지원(시간 및 급여 포함)을 제공
  • 해를 끼친 사람들에게 책임을 묻습니다(리처드슨 2020c),
  • 동료 검토 프로세스 내의 체계적인 편견으로 인해 종종 불이익을받는 소외된 그룹을 대상으로 자금을 제공
  • 채용, 승진 또는 포상 과정에서 교차성이 백인보다 낮은 교육 평가를받는 경향이있는 인종화 된 교수진 (특히 인종화 된 여성)에게 이중으로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고려

Institutions themselves can drive and support this work. This might include

  •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health professionals and mentors in the form of longitudinal and deep antiracist (or antisexist) training,
  • creating space and offering structural supports (including time and salary) to aid in the hypervisible and sometimes isolating work of restitution,
  • holding people who cause harm to account (Richardson 2020c),
  • offering funding targeted towards underrepresented groups where systemic biases within peer review processes have often led to disadvantage (Doll and Thomas 2020), or
  • taking into consideration during hiring, promotion, or awards processes how intersectionality doubly affects racialized faculty (and racialized women in particular) who tend to receive lower teaching evaluations than their white counterparts (Chávez and Mitchell 2020; Mohamed and Beagan 2019; Ross and Edwards 2016; Silverberg and Ruzycki 2020).

진정한 구조적 변화를 위한 노력은 토큰주의적이거나 일시적일 수 없으며, 전략적 목표로 나타났다가 곧 사라져서는 안 됩니다. 
Commitment to real structural change can neither be tokenistic nor temporary, it cannot appear as a strategic goal and then disappear soon after.

결론
Conclusion

이 백서에서는 마스터스 하우스와 그 유럽 중심적 기원, 영점 인식론에 대한 의존성, 그리고 이 하우스에 현재 보건 전문직 교육과 사회 정의에 대한 이해와 실천이 얼마나 많이 내재되어 있는지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우리는 퀴자노의 식민지 권력 매트릭스(2000)를 활용하여 식민성, 성, 성별, 인종이 하우스 내에서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설명하고 질문하면서 그 과정에서 인식론적 불공정의 예를 제시했습니다. 우리는 이 글의 두 섹션에서 개인으로서, 그리고 저자로 구성된 팀으로서 우리 자신의 관점에 대해 꽤 긴 글을 썼고, 식민지 권력 매트릭스 내에서 저술에 대한 몇 가지 성찰을 제공했습니다. 후반부에서는 이론에서 실천으로 넘어가 학습 환경과 실천의 맥락에서 식민성, 젠더와 섹슈얼리티, 인종 차별을 탐구했습니다.  
Within this paper, we have described the Master’s House, its Eurocentric origins, its dependence on zero point epistemology, and how many current understandings and practices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social justice are embedded within this House. We utilized Quijano’s Colonial Matrix of Power (2000) to illustrate and interrogate how coloniality, sex and gender and race has been constructed within the house, giving examples of epistemic injustices along the way. We wrote quite at length in two sections of the narrative about our own perspectives as individuals and as a team of authors and provided some reflections on authorship within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In the latter section, we moved away from theory into praxis, exploring coloniality, gender and sexuality, and racism in the context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practice.

우리는 스승의 집의 해체를 주장했습니다. 이는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이 일하고 배우고 수입을 얻는 집의 해체를 의미할 것입니다. 이것이 쉽거나 편안할 것이라고 제안하는 것은 아니지만, 반드시 필요합니다. 개인, 위원회, 기관으로서 취할 수 있는 조치는 많으며, 이 작업에 참여하고자 할 때 다양한 관점과 목소리를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이 저널의 독자들을 위해 몇 가지 추가 단계를 제안합니다.
We have argued for the dismantling of the Master’s House. It would mean the dismantling of the house in which many of us work and learn, and from where we draw our incomes. We are not suggesting this will be easy, or comfortable, but it is needed. There are many steps we can take as individuals, as committees, and as institutions and we encourage you to seek out many perspectives and voices as you seek to engage with this work. For the audience of this journal, we suggest a few additional steps.

[개인으로서] 우리는 우리의 작업을 어떻게 포지셔닝하는지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으며, 청중이 비슷한 입장에 있다고 가정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글을 쓰거나 말할 때 이러한 관점에 대해 더 명확히 밝히고, 우리 자신과 정체성, 그리고 우리가 말하는 입장을 더 많이 공유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권력이나 목소리 또는 위계질서를 유지하는 데 덜 집중하고, 우리 자신과 다른 인식론적 관점을 가진 사람들과 의미 있는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데 더 집중하면서 의미 있는 협업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Richardson 2020a). 강좌의 읽기 목록을 구성할 때 모든 지식이 백인적이고 서구적이라는 믿음을 재현하지 않기 위해 전통적인 정전 밖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HPE의 학생으로서, 때로는 교육의 '소비자'로서 다양한 형태의 지식에 특권을 부여하는 프로그램과 과정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론의 학생 또는 실무자로서 우리는 연구에 적용하는 이론이 종종 인식론적 불공정성이나 폭력의 과정을 통해 개발된다는 것을 알고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선택한 이론적 틀에 대한 신중한 고려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것이 어려운 작업이며 우리 모두가 이 여정의 다른 단계에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친절로 혼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Richardson 2020b). 우리 중 일부는 동맹을 찾아야 할 수도 있고, 일부는 동맹으로 행동해야 할 수도 있으며, 일부는 둘 다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As individuals we could pay attention to how we position our work, being mindful of not assuming our audience is similarly positioned. We can be more explicit about these perspectives as we write or speak, sharing more of ourselves, our identities, and the positions from which we speak. We can establish meaningful collaborations with less focus on retaining power or voice or hierarchy and more focus on building meaningful partnerships with people from epistemic perspectives not our own (Richardson 2020a). When structuring a reading list for a course, we can look outside the traditional canon so as to not reproduce the belief that all knowledge is white and Western. As a student in HPE, and as a sometimes named ‘consumer’ of education, one can seek out programs and courses that privilege multiple forms of knowledge. As a student or practitioner of theory we can demand of ourselves and others a careful consideration of a chosen theoretical framework, knowing that the theories we apply to our research are often developed through processes of epistemic injustice or violence. We can “disrupt with kindness” (Richardson 2020b) knowing that this is difficult work, and we are all on different stages of this journey. Some of us may need to find allies, some of us may need to act as allies, and some of us may need both.

[위원회로서] 커리큘럼을 구축하든, 학습자를 입학시키든, 직원과 교수진을 채용하든, 정책을 만들든, 우리는 식민지 시대의 권력 매트릭스를 인식하고, 이를 해체하려는 언어와 관점을 사용하여 제로 포인트가 아닌 인식론의 관행이나 독서를 제안할 수 있으며, 주변부에 위치한 사람들을 중심에 놓고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을 개발할 때, 우리는 교차성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일부 개인은 시스템과 그 안의 사람들이 내리는 선택에 의해 이중 또는 삼중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우리는 지배적인 '규범'에 속하지 않는 아이디어에 귀를 기울이고, 이를 통해 배우고, 이를 위한 공간을 만들 수 있습니다.  
As committees, whether we are building curriculum, admitting learners, hiring staff and faculty or creating policy, we can suggest practices or readings from non-zero-point epistemologies, using language and perspectives that recognize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and seek to dismantle it, and we can center and empower the people who are positioned on the margins. As we develop our systems, we can take into account intersectionality, realizing that some individuals are doubly or triply affected by the choices that the system (and the people within it) may make. We can listen to, learn from, and create space for ideas that are not part of the dominant ‘norm’.

[기관으로서] 우리는 암묵적인 편견, 관점 및 구조를 보다 투명하게 만드는 정책과 관행을 개발하고,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 또는 행동 변화로 이어지는 기타 관행을 통해 의미 있고 지속적인 변화를 창출하는 데 자원(시간, 자금, 인력)을 투입할 수 있습니다. 다원적 인식론에 기반하고 이를 환영하는 교육 연구 교육 프로그램에 자원을 투입할 수 있습니다 .
As institutions, we can develop policies and practices that make implicit biases, perspectives and structures more transparent, committing resources (time, funding, people) to creating meaningful and lasting change through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or other practices that lead to behaviour change. We can commit to resourcing training programs in education research that are built on and welcome pluralistic epistemologies.

우리는 미세한 공격이나 인종 차별적, 성차별적 관행을 고발하는 사람들을 침묵시키거나 최소화하는 대신, 권력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을 정당화하여 스승의 집 내 공격자들과 맞설 수 있습니다. 기관은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는 사람들의 업무를 더 잘 지원할 수 있으며, 컨설턴트나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는 사람들에게 보호된 시간, 자금, 공간 및 추가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이들의 업무에 대한 공정한 보상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기관은 영점 인식론의 단일한 시연을 고용, 승진 및 보상하는 규범에 뿌리를 둔 기존 관행을 해체하여 보다 공평한 변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리더를 위한 길을 만들어야 합니다. 
We can legitimize those who speak out against power, confronting those who are aggressors within the Master’s House, rather than silencing or minimizing those who call out microaggressions or racist and sexist practices. Institutions can better support the work of the people leading these changes, fairly compensating people for their work as consultants or committee members by providing protected time, funding, space, and/or additional support. Finally, institutions need to dismantle the existing practices, rooted in the norms that hire, promote and reward singular demonstrations of zero point epistemology, making way for new ideas and leaders that can construct a more equitable system for change.

이 논문이 게재된 저널은 그 자체로 우리 분야의 기관입니다. 이 논문은 25년 만에 편집장직에서 물러난 제프리 노먼 박사를 기념하기 위해 특별호로 의뢰된 것입니다(Norman and Ellaway 2020). 그 자신도 인정했듯이, 노먼 박사는 25년 동안 이 저널을 이끌며 우리가 쓰고 읽은 이야기를 형성하고 페이지 사이에 담긴 생각과 관점을 큐레이팅해 왔습니다. AHSE는 항상 새로운 아이디어를 위한 길을 열어주는 저널이었으며, 우리 분야의 발전을 축하하고 고착화된 단일한 단어를 넘어 우리를 움직였습니다. 이에 대해 노먼 박사에게 감사를 표하며 새로운 아이디어와 리더를 AHSE에 환영합니다. 우리는 앞으로 25년 동안 어떤 이야기가 나오든 아직 쓰여지지 않았고, 아직 들리지 않았고, 아직 읽히지 않은 수많은 이야기들도 이 페이지에 포함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The journal in which this paper is published is itself an institution within our field. This paper was commissioned for a special issue in celebration of Dr. Geoffrey Norman who has just stepped down as Editor-in-Chief after 25 years (Norman and Ellaway 2020). As he himself would acknowledge, for a quarter of a century, Dr. Norman has guided this journal, shaped the stories that we have written and read, and curated the thoughts and perspectives bound between its pages. AHSE has always been a journal making way for new ideas; celebrating the advances of our fields, and moving us beyond the staid singular word. And for that, we thank Dr. Norman and also welcome new ideas and leaders to AHSE. We anticipate that whatever comes in the next quarter century will also encompass the plurality of stories that have not yet been written, not yet been heard, and not yet been read within these pages.

우리는 소외되고 억압받고 지워진 수많은 정체성을 어떻게 가장 잘 끌어안고 포용할 수 있을지 잘 안다고 주장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제도와 구조가 그들의 권력에 빚진 역사적 불의를 해결하도록 요구하는 데 항상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지식은 중립적이고 가치관이 없는 것이 아니며,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는 것은 지배 집단의 힘을 강화하는 것일 뿐이라는 사실에 대해 HPE 내부에서도 동의가 이루어졌다고 주장할 수 없습니다. 분명한 것은 우리가 해야 할 일이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 모두가 개인적으로나 집단적으로 근접성, 자유, 안전에 대한 관점이 바뀐 이 새로운 공간에서 숨을 쉬려고 노력할 때, 우리는 우리 주변에 쓰러져가는 동상을 다시 세우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과거의 실패를 되풀이할 뿐이며, 불평등과 소외에 대한 똑같은 이야기를 쓰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마스터의 집을 해체하고 더 공평하고 포용적인 새로운 마스터의 집을 지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 새로운 시작을 위해 헌신해야 합니다. 

We do not claim to know how best to engage and embrace the many identities that are marginalized, oppressed, and erased. We have not always been successful in our demands that institutions and structures address the historical injustices to which they owe their power. We cannot even claim that there is agreement within the field of HPE that knowledge is not neutral and value-free, and that claiming otherwise just reinforces the power of the dominant group. Clearly, we have work to do. As we all,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try to breathe within this new space, where our perspectives of proximity, freedom, or safety may have shifted, we can choose not to re-erect the statues that are falling around us. Doing so will simply resurrect our past failures, writing the same stories of inequity and marginalization. We can dismantle the Master’s House and build a new one, one that is more equitable and inclusive. We must commit to this new beginning.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0 Dec;25(5):1107-1126. doi: 10.1007/s10459-020-10006-x. Epub 2020 Nov 2.

Dismantling the master's house: new ways of knowing for equity and social justic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1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Temerty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500 University Avenue, 6th Floor, Toronto, ON, M5G 1V7, Canada. morag.paton@utoronto.ca.

2Department of Leadership, Higher and Adult Education, Ontario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morag.paton@utoronto.ca.

3Behavioural Medicine, University of KwaZulu-Natal, Durban, South Africa.

4The Medical College of Georgia at Augusta University, Augusta, Georgia.

5MD Program, Temerty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6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7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Toronto Western Hospital - University Health Network, Toronto, Canada.

8The Wilson Centre, University Health Network/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9Department of Medicine, Temerty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10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Sunnybrook Health Sciences Centre, Toronto, Canada.

11Department of Leadership, Higher, and Adult Education, Centre for the Study of Canadian and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Ontario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12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Women's College Hospital, Toronto, Canada.

13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Temerty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PMID: 33136279

PMCID: PMC7605342

DOI: 10.1007/s10459-020-10006-x

Free PMC article

 

Abstract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is built on a structural foundation of modernity based on Eurocentric epistemologies. This foundation privileges certain forms of evidence and ways of knowing and is implicated in how dominant models of HPE curricula and healthcare practice position concepts of knowledge, equity, and social justice. This invited perspectives paper frames this contemporary HPE as the "Master's House", utilizing a term referenced from the writings of Audre Lorde. It examines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the "Master's House" through the frame of Quijano's concept of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employing examples of coloniality, race, and sex/gender). It concludes by exploring possibilities for how these Eurocentric structures may be dismantled, with reflection and discussion on the implications and opportunities of this work in praxis.

Keywords: Coloniality; Critical theory; Curricula; Decolonization; Equity;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edical education; Social justice.

Conflict of interest statemen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competing interests.

의학교육에서 인공지능 훈련 도입하기 (JMIR Med Educ. 2019)
Introducing Artificial Intelligence Training in Medical Education
Ketan Paranjape1*, MS, MBA; Michiel Schinkel2*, MD; Rishi Nannan Panday3, MD; Josip Car4, MD, PhD, FRCP;
Prabath Nanayakkara2, MD, PhD, FRCP

 

전 세계 의료 서비스 지출은 2017년 7조 7,000억 달러에서 2022년 10조 달러로 5.4%의 비율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1]. 이는 선진국의 경우 국내총생산에서 의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평균 9%에 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2,3]. 의료 서비스 접근성 및 경제성 확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미국의 세제 개혁 및 정책 변화(건강보험개혁법)[4], 유럽연합 탈퇴 결정에 따른 영국의 의료 서비스 지출에 대한 영향[5] 등이 주요 글로벌 동향으로 꼽힙니다, 중국과 인도의 인구 증가와 부의 증가[6-8], 러시아의 의료 서비스를 위한 사회경제 정책 개혁 시행[9], 아르헨티나의 보편적 의료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한 시도[10], 아프리카의 전자 의료 및 원격 의료에 대한 대대적인 추진[11], 전 세계적으로 전례 없는 인구 고령화 속도의 영향[12] 등이 있습니다. 
Global health care expenditure has been projected to grow from US $7.7 trillion in 2017 to US $10 trillion in 2022 at a rate of 5.4% [1]. This translates into health care being an average of 9% of gross domestic product among developed countries [2,3]. Some key global trends that have led to this include tax reform and policy changes in the United States that could impact the expansion of health care access and affordability (Affordable Care Act) [4], implications on the United Kingdom’s health care spend based on the decision to leave the European Union [5], population growth and rise in wealth in both China and India [6-8], implementation of socioeconomic policy reform for health care in Russia [9], attempts to make universal health care effective in Argentina [10], massive push for electronic health and telemedicine in Africa [11], and the impact of an unprecedented pace of population aging around the world [12].

임상의의 관점에서 볼 때 의료 정보의 증가는 놀라울 정도로 의료 서비스 제공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트렌드가 많이 있습니다. 1950년에 의료 정보가 두 배로 늘어나는 데 50년이 걸렸습니다. 1980년에는 7년이 걸렸습니다. 2010년에는 3.5년이 걸렸고 2020년에는 73일 만에 두 배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13]. 이러한 성장은 의료 전문가들이 의료 정보를 보유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진료에 활용해야 하는 과제를 안겨주고 있습니다.
From clinicians’ perspective there are many important trends that are affecting the way they deliver care of which the growth in medical information is alarming. It took 50 years for medical information to double in 1950. In 1980, it took 7 years. In 2010, it was 3.5 years and is now projected to double in 73 days by 2020 [13]. This growth is posing a challenge to health care professionals to both retain and use it effectively to practice medicine.

의료 분야에서 인공지능의 부상
Ri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Health Care

의료 분야의 인공 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in Health Care

인공 지능(AI)은 일반적으로 인간의 특성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만드는 데 중점을 둔 과학 분야입니다[14]. AI는 이제 의료 분야에서 탄력을 받고 있습니다. "기계가 생각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제기한 튜링의 중요한 논문인 컴퓨팅 기계와 지능[15]에 뿌리를 둔 AI는 먼 길을 걸어왔습니다. 자연어 처리(NLP)[16], 음성 인식[17], 가상 에이전트[18], 의사 결정 관리[19], 머신 러닝[20], 딥 러닝[21],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22] 등이 AI의 발전 사례로 꼽힙니다.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a scientific discipline that focuses on understanding and creating computer algorithms that can perform tasks that are usually characteristics of humans [14]. AI is now gaining momentum in health care. From its early roots in Turing’s seminal paper, Comp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 [15], where he proposed the question “Can machines think?”, AI has come a long way. Examples of advances in AI includ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16], speech recognition [17], virtual agents [18], decision management [19], machine learning [20], deep learning [21], and robotic process automation [22].

오늘날 AI는 의료 분야에서 더 빠르고 정확한 진단을 위해[23], 영상의학을 보강하고[24], 사람의 피로로 인한 오류를 줄이고, 의료 비용을 절감하고[25], 지루하고 반복적이며 노동 집약적인 작업을 보조 및 대체하고[26], 최소 침습 수술[27],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28] 시범적으로 도입되고 있습니다.
Today, AI is being piloted in health care [23] for faster and accurate diagnosis, to augment radiology [24], reduce errors due to human fatigue, decrease medical costs [25], assist and replace dull, repetitive, and labor-intensive tasks [26], minimally invasive surgery [27], and reduce mortality rates [28].

인공 지능의 도전 과제
Challenge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의료 분야에서 인공지능이 부상하고 일상적인 임상 진료에 통합되는 것은 어려운 과제가 될 것입니다. 의사의 기존 업무 방식 변화와 함께 블랙박스 문제[29]와 책임 문제[30]가 가장 예상되는 과제 중 하나입니다.
The rise of AI in health care and its integration into routine clinical practice is going to be a challenge. Along with changing the conventional ways physician work, the black box problem [29] and liability issues [30] are some of the most anticipated challenges.

블랙박스
Black Box

마운트 사이나이 병원의 연구원들은 70만 명의 환자 데이터로 학습된 딥러닝 알고리즘을 개발했습니다. 이 알고리즘은 정신분열증과 같은 질병의 발병을 높은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었습니다[31]. 이 질환은 전문가도 진단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더욱 인상적입니다. 이 알고리즘의 가장 큰 문제점은 시스템이 어떻게 이러한 예측을 생성했는지, 어떤 요소를 고려했는지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블랙박스 현상이라고 합니다. 의학에서는 전례가 없는 일이지만,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없는 경우 시스템을 신뢰하기는 어렵습니다. 의사는 입력과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AI가 제안한 진단을 해석하여 오류가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표준 치료법에 비해 좋은 결과를 입증할 수 있는 경우에도 블랙박스 의학의 결과 또는 의도하지 않은 부작용이 무엇인지 이해해야 합니다. 
Researchers at Mount Sinai Hospital have created a deep learning algorithm that was trained on the data of 700,000 patients. This algorithm was able to predict onset of a disease such as schizophrenia with high accuracy [31]. This is even more impressive considering the fact that this condition is difficult to diagnose even for experts. The main problem with this algorithm is that there is no way to know how the system created this prediction and what factor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is phenomenon is called the black box phenomenon. It would not be a precedent in medicine, nevertheless it is difficult to trust a system when there is no understanding on how it works. The physician needs to understand the inputs and the algorithm and interpret the AI-proposed diagnosis to ensure no errors are made. We also need to understand what the consequences or unintended side effects are of black box medicine, even when good outcomes can be demonstrated against a standard of care.

마지막으로, 많은 AI 시스템이 인간과 동물의 중추 신경계의 측면을 모방하려고 시도하지만, 이는 여전히 블랙박스에 가깝습니다. 최근 논문에서 자도르[32]는 동물의 뇌에서 이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Finally, many of the AI systems attempt to mimic aspects of human and animal central nervous systems that are, at large, still a black box. In a recent paper, Zador [32] argued that we have much more to learn from animal brains to unravel this phenomenon.

개인정보 보호 및 데이터 제어
Privacy and Control Over Data

AI 알고리즘을 개발하려면 거의 대부분 많은 환자의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Google은 2개 병원에서 11년 동안 총 216,221명의 성인 비식별 데이터에서 수집한 460억 개의 데이터 포인트를 사용하여 입원 환자의 결과를 예측하고 있습니다[33,34]. 이는 환자 개인정보 보호 및 통제와 관련하여 많은 우려를 불러일으킵니다. 환자가 자신의 정보가 알고리즘 개발에 사용되는 연구에 참여하기를 원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요? 유럽연합에서는 잊혀질 권리에 따라 환자가 동의를 철회한 경우 개인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35]. 환자 데이터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알고리즘 개발자는 합성 데이터 또는 가상의 데이터로 모델을 학습시키므로 안전하지 않고 잘못된 치료 권장 사항을 생성할 위험이 있습니다[36]. 마지막으로, AI 시스템은 알고리즘이 의료 정보를 잘못 분류할 수 있는 사이버 보안 공격에도 취약합니다[37].
The development of AI algorithms almost as a rule requires data from a large number of patients. Google, for example, is using 46 billion data points collected from 216,221 adults’ deidentified data over 11 combined years from 2 hospitals to predict the outcomes of hospitalized patients [33,34]. This raises many concerns including relating to patient privacy and control. What happens if a patient does not want to participate in a study where their information is used in algorithm development? In the European Union, the Right to be Forgotten would allow personal data to be erased when the patient has withdrawn their consent [35]. In situations where patient data are limited, algorithm developers train the models on synthetic or hypothetical data, with the risk of generating unsafe and incorrect treatment recommendations [36]. Finally, AI systems are also vulnerable to cybersecurity attacks that could cause the algorithm to misclassify medical information [37].

환자 치료 및 책임에 대한 인공지능 사용 기준의 부재
Lack of Standards for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Patient Care and Liability

의료 분야에서 인공지능의 사용과 관련하여 해결되지 않은 또 다른 문제는 알고리즘의 예측에 대한 책임입니다. 부정확한 예측으로 인해 환자가 심각한 피해를 입었을 때 누가 책임을 져야 하는지 불분명합니다. 의사, 병원,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회사,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사람, 심지어 데이터를 제공한 사람 등 모든 관련 당사자가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의료 분야에서 AI를 사용하기 위한 표준은 여전히 개발 중입니다[38,39]. 임상 치료, 품질, 안전, 의료 과실, 커뮤니케이션 가이드라인에 대한 새로운 표준을 개발하여 AI를 더 많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최근 출시된 당뇨망막병증의 자율 감지를 위한 AI 시스템은 의료 과실 및 책임 보험에 가입되어 있습니다[40,41].
Another unresolved question related to the use of AI in health care is liability for the predictions of an algorithm. It is unclear who is liable when a patient experiences serious harm because of an inaccurate prediction. One could argue for any of the involved parties: the physician, the hospital, the company that developed the software, the person who developed the software, or even the person who delivered the data. Standards for use of AI in health care are still being developed [38,39]. New standards for clinical care, quality, safety, malpractice, and communication guidelines have to be developed to allow for greater use of AI. A recently launched AI system for autonomous detection of diabetic retinopathy carries medical malpractice and liability insurance [40,41].

AI 사용과 챗봇[42]과 같은 도구의 적극적인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의사와 환자는 이러한 기술의 강점과 한계를 인식하고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43,44]. 
As use of AI and proactive use of tools such as chatbots [42] increases, physicians and patients will need to be aware of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such technologies and be trained in how to effectively and safely use them [43,44].

인공지능은 오늘날 의사의 과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How Can Artificial Intelligence Address Today’s Physician Challenges?

의료 정보가 빠른 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의사들은 이를 따라잡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정보 과부하가 발생하고 레지던트 자격을 얻기 위해 미국 의사 면허 시험(USMLE)을 통과하기 위해 이 모든 내용을 암기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오늘날 의사들은 의료 비용이 증가하고 규제로 인해 행정 절차에 추가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복잡한 질환과 동반 질환이 있는 고령화 사회에서 더 긴 시간 동안 일하고 있으며[45,46] 조정된 치료를 제공해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With medical information growing at a breakneck speed, physicians are having trouble keeping up. This is leading to information overload and creates pressure to memorize all this content to pass the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s (USMLE) to qualify for residency positions. Physicians today are working longer hours and are also expected to deliver coordinated care [45,46] in an aging society with complex conditions and comorbidities where health care costs are increasing and regulations are putting an additional burden on administrative processes.

AI는 대량의 데이터를 통합하고 의사 결정 과정을 보완하여 진단을 식별하고 치료법을 추천함으로써 의사를 도울 수 있습니다. 의사는 결과를 해석하고 환자에게 권장 사항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 또한 AI는 일상적인 업무 수행에 대한 의사의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47].
  • 음성 인식은 키보드 사용을 대체하여 정보를 입력하고 검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48].
  • 의사 결정 관리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선별하고 의사가 정보에 입각하여 의미 있는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49,50].
  • 자동화 도구는 의료 접근성 보호법과 같은 규제 요건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의사가 비용 결정을 내리기 전에 적절한 기준을 검토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51].
  • 마지막으로, 의료 전문가의 심각한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상 에이전트는 향후 환자 치료의 일부 측면을 지원하고 환자를 위한 신뢰할 수 있는 정보원이 될 수 있습니다[52]. 

AI could help physicians by amalgamating large amounts of data and complementing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to identify diagnosis and recommend treatments. Physicians in turn need the ability to interpret the results and communicate a recommendation to the patient.

  • In addition, AI could have an impact by alleviating the burden from physicians for performing day-to-day tasks [47].
  • Speech recognition could help with replacing the use of keyboards to enter and retrieve information [48].
  • Decision management can help with sifting enormous amounts of data and enable the physician to make an informed and meaningful decision [49,50].
  • Automation tools can help with managing regulatory requirements such as Protecting Access to Medicare Act and enable physicians to review the appropriate criteria before making a cost decision [51].
  • Finally, to help with the acute shortage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virtual agents could, in the future, help with some aspects of patient care and become a trusted source of information for patients [52].

 

의학교육에서의 인공 지능 교육
Artificial Intelligence Training in Medical Education

오늘날 의학교육의 현황
State of Medical Education Today

의사는 전문의가 되기까지 오랜 기간의 수련 과정을 거칩니다. 의학은 지난 수십 년 동안 큰 변화를 겪었지만, 의학교육은 여전히 전통적인 커리큘럼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53]. 구체적인 교육 기간은 국가마다 다르지만 이러한 커리큘럼의 핵심 역량은 전 세계적으로 유사합니다[54]. 전임상 교육의 핵심 단계 이후 교육은 대부분 실습 기반 학습을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53]. 의학교육은 환자 치료, 의학 지식,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기술, 실습 기반 학습 및 개선, 전문성, 시스템 기반 실습 등 6가지 영역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55]. 이러한 영역은 의학 교육 졸업 인증 위원회(ACGME)에 의해 도입되었습니다. 의료 교육의 대부분은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소비하고 이 지식을 환자 치료에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 과정은 여전히 대부분 암기 위주입니다[56]. 의대생이나 레지던트들이 AI, 모바일 의료 애플리케이션, 원격 의료와 같은 새로운 기술에 익숙해지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적습니다[53,55,56]. 미국에서는 USMLE에서 이러한 주제에 대한 시험을 치르지 않습니다[57]. 그러나 2018년 미국 의학 협회(AMA) 연례 회의에서 증강 지능에 대한 AMA의 첫 번째 정책이 채택되어 의학교육에서 AI를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장려된 이후 변화는 불가피한 것으로 보입니다[58]. 표 1에는 AMA에서 제시한 의학교육에 AI를 통합하기 위한 몇 가지 이니셔티브가 나와 있습니다[58]. 

Physicians go through extensive periods of training before they can eventually register as specialists. Although medicine has seen major changes over the last decades, medical education is still largely based on traditional curricula [53]. The specific length of training differs between countries, but the core competencies of these curricula are globally similar [54]. After a core phase of preclinical didactics, training is mostly centered around practice-based learning [53]. Medical education is often based on 6 domains: patient care, medical knowledge,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practice-based learning and improvement, professionalism, and systems-based practice [55]. These fields were introduced by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ing Medical Education (ACGME). A large part of medical training focuses on consuming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and learning how to apply this knowledge to patient care. This process is still largely memorization based [56]. Less time is spent on familiarizing medical students or residents with new technologies such as AI, mobile health care applications, and telemedicine [53,55,56]. In the United States, USMLE does not test on these subjects [57]. However, change seems inevitable since the 2018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 saw the adoption of AMA’s first policy on augmented intelligence, encouraging research into how AI should be addressed in medical education [58]. In Table 1, several initiatives for incorporating AI in medical education are shown, as presented by the AMA [58].

Table 1. Initiativ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in medical education.
Institution Project
Duke Institute for Health Innovation Medical students work together with data experts to develop care-enhanced technologies made for physicians
University of Florida Radiology residents work with a technology-based company to develop computer-aided detection for mammography
Carle Illinois College of Medicine Offers a course by a scientist, clinical scientist, and engineer to learn about new technologies
Sharon Lund Medical Intelligence and Innovation Institute Organizes a summer course on all new technologies in health care, open to medical students
Stanford University Center for Artificial Intelligence in Medicine and Imaging Involves graduate and postgraduate students in solving heath care problems with the use of machine learning
University of Virginia Center for Engineering in Medicine Involves medical students in the engineering labs to create innovative ideas in health care

AMA는 의사와 수련 중인 의사를 위한 AI 교육 모듈 개발 장려, 환자 치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AI 교육 격차 해소, 의사가 AI 교육 자료 개발 및 실행에 참여하도록 보장하는 등 의학교육에 AI를 통합하기 위한 정책을 채택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정책의 결과로 AMA는 다음과 같이 장려할 것입니다:
The AMA adopted policies on integrating AI into medical education, which include encouraging the development of AI education modules for physicians and physicians-in-training, addressing disparities in AI education that could impact patient care, and ensuring that physicians a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on AI. As a result of these new policies, the AMA will encourage:

  • 인증 및 면허 기관은 인증 및 면허 기준에서 AI를 가장 적절하게 다루는 방법을 연구해야 합니다.
  • 의료 전문 학회 및 이사회는 AI와 관련된 전문 분야별 교육 모듈 제작을 고려합니다.
  • 의학교육에서 AI 교육이 학습 및 임상 결과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교육기관과 프로그램은 AI 보조 기술을 언제 가르쳐야 하는지 결정할 때 신중해야 하며, 여기에는 확립된 근거 기반 치료법을 고려하고 새로운 교육 모듈을 수용하기 위해 제거해야 할 다른 커리큘럼에 대한 고려가 포함됩니다.
  • 이해관계자는 학습자가 AI 시스템에 내재되어 있을 수 있는 편견이 의도치 않게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교육 자료를 제공해야 합니다.
  • AI에 대한 기관별 접근성의 차이가 자원이 적고 AI 기술에 대한 접근성이 낮은 학교의 학생 교육 격차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
  • 환자 치료에서 데이터의 평가, 이해 및 적용에 관한 의학교육 전반에 걸친 교육 강화.
  • AI 교육 자원의 격차가 자원이 부족하고 AI 기술에 대한 접근성이 낮은 지역사회의 환자들의 의료 서비스 격차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
  • 교육 기관의 리더와 학장은 학습자의 AI 이해와 사용을 돕기 위해 데이터 과학자 및 엔지니어와 같은 비임상의를 교수진 명단에 포함시키는 것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합니다.
  • AI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임상의사와 긴밀히 협력하고 감독합니다.
  • Accrediting and licensing bodies to study how AI should be most appropriately addressed in accrediting and licensing standards.
  • Medical specialty societies and boards to consider production of specialty-specific educational modules related to AI.
  • Research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AI instruction in medical education on learning and clinical outcomes.
  • Institutions and programs to be deliberative in the determination of when AI-assisted technologies should be taught, including consideration of established evidence-based treatments, and including consideration regarding what other curricula may need to be eliminated in order to accommodate new training modules.
  • Stakeholders to provide educational materials to help learners guard against inadvertent dissemination of bias that may be inherent in AI systems.
  • The study of how differences in institutional access to AI may impact disparities in education for students at schools with fewer resources and less access to AI technologies.
  • Enhanced training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regarding assessment,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data in the care of patients.
  • The study of how disparities in AI educational resources may impact health care disparities for patients in communities with fewer resources and less access to AI technologies.
  • Institutional leaders and academic deans to proactively accelerate the inclusion of non-clinicians, such as data scientists and engineers, onto their faculty rosters in order to assist learners in their understanding and use of AI.
  • Close collaboration with and oversight by practicing physicians in the development of AI applications.

https://www.ama-assn.org/press-center/press-releases/ama-adopt-policy-integrate-augmented-intelligence-physician-training


의료 교육에서 종종 간과되는 또 다른 중요한 기술 관련 측면은 전자 건강 기록(EHR)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EHR은 환자 안전 개선과 같은 많은 이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의료 서비스에서 AI를 구현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AI 알고리즘은 EHR의 정보를 사용하므로 편향되지 않은 데이터를 EHR에 입력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이 필수적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AI 알고리즘도 편향될 가능성이 높습니다[59]. 현재 의대생과 의사를 대상으로 한 EHR 사용 교육은 의료 커리큘럼에 일반적으로 포함되지 않아[60], 의료 전문가가 이 기술의 진정한 잠재력을 이해하지 못한 채 종이로 정보를 캡처하는 대체 수단으로 EHR을 사용하고 있습니다[61]. EHR 사용에 대한 교육은 일반적으로 병원 시스템을 실제로 사용하기 위한 기본 기술만 가르치는 임시 임시 입문 과정으로 구성됩니다. 데이터의 품질과 컴퓨터가 환자-의사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으며[60], USMLE에서도 이러한 주제에 대해 테스트하지 않습니다[57]. 
Another important technology-related aspect that is often overlooked in medical training is working with electronic health records (EHRs). EHRs have many benefits, such as improved patient safety, but also assist the implementation of AI in health care. AI algorithms use information from the EHR, and therefore, the knowledge on how to input unbiased data into the EHR is essential. Otherwise, the AI algorithm will likely be biased as well [59]. At present, training on use of EHRs for medical students and physicians is not commonly incorporated in the medical curriculum [60], resulting in the medical professional using the EHR as a replacement to capture information on paper without understanding the true potential of this technology [61]. Training on the use of EHRs usually consists of ad hoc brief introductory courses that just teach the basic skills to use the hospital’s system in practice. Quality of data and concerns on the impact of the computer on the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are rarely addressed [60] and the USMLE does not test on these subjects either [57].

임상의료행위의 변화
How Clinical Practice Is Changing

의료 서비스의 급속한 디지털화로 인해 EHR은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귀중한 정보를 획득하고 처리하는 새로운 방법을 촉진합니다[62]. 이러한 발전과 정보화 시대에서 AI 시대로의 전환[56]은 임상 진료와 환자 치료 결과를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킵니다. 미래의 의사들은 데이터 관리, AI 도구 감독, 정보에 입각한 의사 결정을 내리기 위한 AI 애플리케이션 사용 등 다양한 기술과 역량을 갖춰야 할 것입니다.  
With the rapid digitization of health care, EHRs facilitate new ways to acquire and process valuabl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make an informed decision [62]. These advances and transitioning from an information age to the age of AI [56] change clinical practice and patient outcomes for the better. Physicians of the future will have to add to the armory of their skills and competencies, the ability to manage data, supervise AI tools, and use AI applications to make informed decisions.

의사는 이러한 도구 중 어떤 것이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지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이는 결국 의사와 환자의 관계를 변화시킬 가능성이 높습니다[63]. 정보 처리가 주로 컴퓨터에 의해 이루어지면 의사가 환자를 돌보고 소통하는 데 더 집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료 분야에서 AI의 주요 이점 중 하나가 부각됩니다[64]. 마지막으로, AI 시대에는 "의사는 내러티브, 기계론적, 수학적 사고를 훈련에 결합하고, 환자를 중심에 두고 질병의 생체-사회적 모델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컴퓨터는 인간의 강점과 한계, 그리고 정보 과부하가 특징인 환경을 인식하는 자기 성찰적인 의료 전문가를 결코 대체할 수 없습니다."[65,66]. 
Physicians will have a crucial role in deciding which of these tools is best for their patients. In turn, this will likely change the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 [63]. When information processing is done mainly by computers, this highlights one of the major benefits of AI in medicine: it allows the physician to focus more on caring for and communicating with patients [64]. Finally, in the age of AI, “the physician should combine narrative, mechanistic and mathematical thinking in their training and consider the biopsycho-social model of the disease with the patient at its center.” “Computers will never substitute for self-reflective medical expert who is aware of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human beings and of an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information overload” [65,66].

미래에는 의사에게 무엇을 요구할까요?
What Will Be Asked From Physicians in the Future?

미래의 의사들은 임상에서 AI를 적절히 활용하기 위해 광범위한 기술을 필요로 할 것입니다. 의사는 의학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 외에도 수학적 개념, AI 기초, 데이터 과학 및 관련 윤리적, 법적 문제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습득해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기술은 다양한 출처의 데이터를 사용하고, AI 도구를 감독하며, 알고리즘이 예상보다 정확하지 않을 수 있는 경우를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67]. 또한, AI 기반 시스템이 환자의 신체적, 정서적 상태를 모두 고려할 수 없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 및 리더십 기술과 감성 지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질 것입니다[56]. 이러한 특성은 컴퓨터가 습득하기 어렵기 때문에 AI 시대에 훌륭한 의사의 특징이 될 것입니다.  
Future physicians will need a broad range of skills to adequately use AI in clinical practice. Besides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of medicine, physicians will also need to acquire satisfactory knowledge of mathematical concepts, AI fundamentals, data science, and corresponding ethical and legal issues. These skills will help them to use data from a broad array of sources, supervise AI tools, and recognize cases where algorithms might not be as accurate as expected [67]. Furthermore, communication and leadership skills as well as emotional intelligence will be more important than ever as AI-based systems will not be able to consider all the physical and emotional states of the patient [56]. These traits are hard to master for computers and will characterize a great physician in the age of AI.

실용적인 고려 사항
Practical Considerations

의료 정보를 암기하는 데 소요되던 시간 중 일부는 이제 다른 기술에 투자해야 할 것입니다. 이는 학생과 레지던트가 수련을 경험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더 이상 사실적 지식이 아닌 의사소통 능력, 감성 지능, 컴퓨터 사용법에 대한 지식으로 역량을 판단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이 바뀌어야 합니다.
Some of the time that was originally spent on memorizing medical information will now have to be devoted to other skills. This will have a major impact on the way students and residents will experience their training. The system has to change in such a way that competence will no longer be judged based on factual knowledge but rather on communication skills, emotional intelligence, and knowledge on how to use computers.

2016년 AMA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의사의 85%가 새로운 디지털 도구의 이점을 인식하고 있지만[58], 커리큘럼이 지나치게 많기 때문에 새로운 주제를 채택하는 데 관심이 제한되어 있습니다[68]. AI 중심 교육을 의료 커리큘럼에 통합하는 것은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학습을 위한 새로운 인프라를 도입해야 하며 컴퓨터 과학, 수학, 민족지학, 경제학 등의 분야에서 새로운 교육자를 채용해야 합니다. 현재 이러한 과목은 ACGME의 핵심 역량에 포함되지도 않지만 이러한 역량은 "변화하는 지식에 적응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견고합니다"[69]. 
With an overfull curriculum, there is limited interest in adopting new topics [68], although a 2016 survey by AMA shows that 85% of physicians perceive benefits from new digital tools [58]. The integration of AI-oriented education into the medical curriculum will take time as the technology evolves. A new infrastructure for learning has to be introduced, and new educators from disciplines such as computer sciences, mathematics, ethnography, and economics will need to be hired. At the moment, these subjects are not even covered by the core competencies of ACGME, but these competencies “are robust enough to adapt to changing knowledge” [69].

커리큘럼의 변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많은 정치적, 관료적 장애물을 극복해야 합니다. 새로운 학습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교육 시스템, 프로그램 구조, 목표가 바뀌어야 합니다[70]. 변화는 많은 양의 증거가 생성될 때만 실행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아직 인공지능을 위한 변화를 구현할 단계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또한 의학 내 다른 많은 분야에서도 마땅히 받아야 할 관심을 받지 못했다고 주장합니다[71,72]. AI는 그 이점을 증명해야 하며, 현재 적절한 의학 교육이 부족한 다른 중요한 과목보다 의학 커리큘럼의 중요한 주제라는 점을 정당화해야 합니다.
To achieve a change in curriculum, many political and bureaucratic hurdles have to be overcome. Educational systems, program structures, and objectives have to change to create new learning outcomes [70]. A change can only be implemented when large amount of evidence is generated. We have not reached that stage of implementing changes for AI. Furthermore, many other fields within medicine argue that they have not received the attention they deserve [71,72]. AI needs to prove its benefits and also justify that it is an important topic for medical curriculum over other important subjects that lack adequate medical training at present.

그러나 의학교육에서 AI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가장 설득력 있는 주장 중 하나는 이 교육이 기존 교과 과정을 대체하기보다는 기존 교과 과정을 보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학생들이 AI 도구 사용법을 교육받을 때는 도구 사용법에 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하는 것에서 기본 원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로 초점을 옮겨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학생들은 현재 도구가 구식이 되고 새로운 도구가 도입되었을 때 이러한 기본 지식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However, one of the most compelling arguments for the implementation of AI training in medical education is that this training will augment existing curriculum rather than replace existing coursework. When students are trained to use AI tools, focus should shift from acquiring basic knowledge on how to use the tool to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principles. This will enable the students to use this fundamental knowledge when current tools get outdated and new tools are introduced.

또 다른 현실적인 문제는 기존의 의료 교육이 주로 주치의와 레지던트 또는 의대생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입니다. AI가 임상 진료에 점점 더 많이 도입되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많은 시니어 의사들은 AI에 대한 경험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습니다. AI 교육은 평생 의학 교육(CME)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의료계 외부의 교육자에게도 교육을 받아야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I와 임상 진료의 미래에 관한 2학점짜리 CME 과정은 전산 생물학자와 비즈니스 경제학자가 제공합니다[73].
Another practical problem is that traditional medical training revolves mainly around the interactions between an attending physician and the residents or medical students. When AI is increasingly introduced into clinical practice, this could be problematic. Many senior physicians have little to no experience with AI. AI training could be delivered via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CME) programs and might need to be also taught by educators from outside the medical community. For example, a 2-credit CME course on AI and the Future of Clinical Practice is delivered by a computational biologist and business economists [73].

 

권장 사항
Recommendations

프레임워크
Framework

암기 위주의 전통적인 의학 커리큘럼은 정보화 시대에서 AI 시대로의 전환을 따라야 합니다. 미래의 의사들은 점점 더 다양한 출처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통합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배워야 합니다[56]. 이러한 지식을 의학에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교육 초기부터 이러한 개념을 도입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많은 국가에서 의과대학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의과대학 입학시험(MCAT)을 치러야 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미국 MCAT 시험은 생물학, 화학, 물리학, 심리학, 사회학 및 추론에 중점을 둡니다 [78]. 이러한 시험은 선형 대수 및 미적분의 기초와 같은 수학적 개념에 대한 테스트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개념은 AI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에 필수적이며 나머지 커리큘럼의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The traditional medical curriculum, which is mostly memorization based, must follow the transition from the information age to the age of AI. Future physicians have to be taught competence in the effective integration and utilization of information from a growing array of sources [56]. To embed this knowledge into medicine, it is of the essence to start introducing these concepts from the beginning of training. In many countries, a Medical College Admission Test (MCAT) has to be taken to be admitted into medical school. The current US MCAT exam, for example, focuses on biology, chemistry, physics, psychology, sociology, and reasoning [78]. These exams could start testing on mathematical concepts such as basis of linear algebra and calculus. These concepts are vital to the elementary understanding of AI and will set the tone for the rest of the curriculum.

전임상 교육 과정의 핵심 단계에서는 의료 데이터 큐레이션 및 품질[79], 출처[80], 통합[81], 거버넌스, EHR[60], AI 기초, AI의 윤리 및 법적 문제[82,83]를 다루는 데 시간을 할애해야 합니다. AI 및 로봇 기술에 대한 비판적 평가와 통계적 해석에 대한 교과목도 중요합니다[84]. 

  • 첫째, 이러한 과목은 현재 응용 프로그램이 구식이 된 후에도 사용할 수있는 이러한 과목의 기초에 대해 가르치기 위해 독립된 과정으로 가르 칠 수 있습니다 [68]. 이러한 독립적인 과목은 현재 커리큘럼에서 의료 정보학 및 통계학 과목을 대체하고 보완할 수 있습니다. 
  • 둘째, 임상 과정에서도 반복하여 학생들이 AI의 임상 적용에 익숙해지고 다양한 환경에서 EHR과 함께 작업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68]. 

In the core phase of preclinical didactics, time should be devoted to working with health data curation and quality [79], provenance [80], integration [81], and governance, working with EHRs [60], AI fundamentals, and ethics and legal issues with AI [82,83]. Course work in critical appraisal and statistical interpretation of AI and robotic technologies is also important [84].

  • First, these subjects could be taught in self-contained courses to teach about the fundamentals of these subjects that can be used even after current applications become outdated [68]. These self-contained courses could potentially replace and augment courses on medical informatics and statistics in the current curriculum.
  • Second, they should also recur in clinical courses to familiarize students with the clinical applications of AI and work with EHRs in diverse settings [68].

AI를 도입하는 한 가지 접근 방식은 근거 기반 의학[85]과 같은 과목에서 이 기술을 통합하는 것입니다. 학생은 PubMed와 같은 데이터베이스나 진단 테스트 또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증거를 평가하는 방법을 배우게 되는데, 이 과정은 데이터 과학의 개념을 적용하고 NLP와 같은 AI 기술을 적용하고 시나리오를 분석하여 윤리 및 책임 문제에 대해 테스트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86]. 또한, 학생들은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공학의 기초에 대한 교육을 받아 실제 AI 애플리케이션의 의미를 이해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과 사용자 경험 설계의 기초도 유용할 수 있습니다.
An approach to introducing AI could be to incorporate this technology during courses such as Evidence Based Medicine [85]. As the student is taught to appraise evidence through databases such as PubMed or diagnostic tests or systematic reviews, this process could be augmented by applying concepts from data sciences, applying AI technologies such as NLP and analyzing scenarios to test them on questions of ethics and liability [86]. In addition, the students should also be trained in the fundamentals of computer and software engineering to understand the semantics behind real-world AI applications. For example, basics of hardware and software development and user experience design may also be valuable.

임상 로테이션과 레지던트 기간 동안에는 AI를 실제로 적용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디지털 바이오마커[87]와 디지털 치료법[88]이 발전함에 따라 학생들도 AI에 의존하는 이러한 기술에 대한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가까운 미래에 가정 내 환경에서 대규모 진단과 치료를 가능하게 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89]. 교육이 끝나면 USMLE는 최종 시험에 데이터 과학 및 AI 기초에 관한 상당수의 문제를 포함시켜야 합니다. 의료 전문가들이 최신 개발 동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의료 AI 관련 컨퍼런스에 참석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참석하는 의사를 위해 AI 및 데이터 과학에 대한 광범위한 과정이 CME의 일부가 되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표 2를 참조하십시오.

During clinical rotations and residency, focus should shift toward relevant applications of AI in practice. With advancements in digital biomarkers [87] and digital therapeutics [88], students should also be trained in these technologies as they rely on AI. They have the potential to enable large-scale diagnostics and treatments in in-home environments in the near future [89]. At the end of training, the USMLE should include a substantial number of questions on data science and AI fundamentals in their final exams. Attendance of conferences on health care AI could be incentivized, so that health care professionals stay up-to-date with the latest developments. For attending physicians, extensive courses on AI and data science should be part of CME. See Table 2 for more details.

Table 2. List of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programs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health care.
Program Faculty; organization Number of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credit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Future of Clinical Practice [73] Computational biologist, Business economist; Massachusetts Medical Society 2.0
Intro to AI and Machine Learning: Why All the Buzz [74] Medical Informatics, Radiology; The Radiological Society of North America 1.0
Current Applications and Future of Cardiology [75] Healthcare Technologists, Bioinformatics, Cardiology; Mayo Clinic 10.0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Application in the Care of Children [76] Pediatric Medicine; University of Pittsburgh School of Medicine

1.0
Artificial Intelligence in Healthcare: The Hope, The Hype, The Promise, The Peril [77] Medical Informatics, Business Administration;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6.0

보다 균형 잡힌 미래의 의사를 양성하기 위해 AI 기술은 비분석 및 사람 중심의 의료 측면과도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의사 소통, 공감, 공동 의사 결정, 리더십, 팀 구축, 창의성과 같은 다른 기술도 의사에게 계속 중요해질 기술입니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캠퍼스의 Dell 의과 대학에서는 리더십, 창의성, 커뮤니케이션과 같은 소프트 스킬 교육에 집중하기 위해 기초 과학 커리큘럼의 기간을 단축했습니다[63]. 
AI skills must also be balanced with nonanalytics and person-centered aspects of medicine to develop a more rounded doctor of the future. Other skills such as communications, empathy, shared decision making, leadership, team building, and creativity are all skills that will continue to gain importance for physicians. At the Dell Medical School at the University of Texas, Austin, the curriculum in basic sciences has been reduced in duration to accommodate training in soft skills such as leadership,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63].

임상의가 혁신적으로 사고하고 기술 기반 치료 모델을 만들 수 있도록 하려면 구현 과학, 운영 및 임상 정보학에 대한 다학제적 교육이 필요합니다. 스탠포드 의과대학은 대학원 의학교육에 인간 중심의 설계 접근 방식을 도입하여 디지털 미래를 위한 임상의사 혁신가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90]. 보스턴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의 헬스케어 혁신 연구소에서는 레지던트 수련생에게 데이터 과학, 머신러닝, 의료 운영, 서비스, 디자인 사고, 지적 재산권, 기업가 정신 등의 주제를 다루는 의료 혁신 분야의 1년 펠로우십을 제공합니다[91]. 이러한 프로젝트는 새로운 개발이며 의학교육에 AI를 도입하기 위해 취한 첫 번째 단계입니다.
To enable clinicians to think innovatively and create technology-enabled care models, multidisciplinary training is needed in implementation science, operations, and clinical informatics. The Stanford medical school has created such a program to train clinician-innovators for the digital future by introducing a human-centered design approach to graduate medical education [90]. At the Healthcare Transformation Laboratory at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in Boston, a 1-year fellowship is offered in health care innovation exposing resident trainees to topics in data sciences, machine learning, health care operations, services, design thinking, intellectual property, and entrepreneurship [91]. These projects are new developments and are the first steps taken to introduce AI in medical education.

첫 단계
First Steps

이러한 모든 개입을 동시에 도입할 수는 없으므로 향후 몇 년 동안의 토대를 마련할 몇 가지 첫 단계를 제안합니다. 먼저 의학전문대학원입학자격시험의 수학 영역과 유사한 수학적 개념에 관한 문제를 MCAT에 도입하는 것부터 시작할 것을 제안합니다. 의학교육의 핵심 단계에서 데이터 과학 및 AI 기초에 대한 고품질 웹 기반 강좌를 자유롭게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다음 수련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이러한 과목을 응용하는 데 집중할 수 있습니다.
As not all of these interventions can be introduced simultaneously, we suggest a few first steps that will lay the foundation for the upcoming years. We suggest to start off by introducing questions on mathematical concepts into the MCAT similar to the mathematics section in the Graduate Record Examination. High quality Web-based courses on data sciences and AI fundamentals should be freely offered in the core phase of medical education. This might lead to students focusing on applications of these subjects more naturally in following years of training.

이미 이 교육 단계를 마친 레지던트와 의대생에게는 남은 의학교육 기간 동안 기초 과목에 대한 강좌가 제공되고 필수로 이수해야 합니다.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진료 모델을 만드는 데 관심이 있는 학생의 경우, 임상 기간 중 또는 레지던트 졸업 후 갭이어 기간 동안 의료 혁신에 대한 전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장려해야 합니다. 현직 의사를 위한 입문 과정과 재교육 과정도 제공되어야 합니다. 특히 이 그룹은 향후 의대생과 레지던트에게 이러한 주제에 대해 교육하는 임무를 부분적으로 다시 맡을 수 있도록 광범위한 교육이 필요합니다. 표 3에는 의학교육의 다양한 단계에 추가할 수 있는 권장 콘텐츠가 나열되어 있습니다. 표 4에는 의사와 수련의가 이 기술과 의료 분야에서의 적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참석할 수 있는 의료 컨퍼런스에서 빠르게 진화하는 AI의 일부가 나열되어 있습니다.
For residents and medical students who have already finished this phase of training, courses on the fundamental subjects should be available and mandatory throughout the remaining part of their medical education. For students interested in creating new technology-enabled care models, dedicated training in health care innovation during a gap year during the clinical years or after residency should be encouraged. For attending physicians, introductory courses and refresher courses should also be made available. Extensive training is especially necessary for this group so that they can partly take back the task of educating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on these subjects in the future. Table 3 lists suggested content that can be added to the various phases of medical education. Table 4 lists a small subset of rapidly evolving AI in health care conferences that physicians and trainees can attend to learn more about this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s in health care.

 

결론
Conclusions

의사와 기계의 협업은 임상 의사 결정과 환자 건강 결과를 개선할 수 있는 가장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114]. AI는 의료 기록, 유전자 보고서, 약국 기록, 환경 데이터 등 더 많은 데이터를 큐레이션하고 처리하여 더 많은 의료 정보를 보유, 액세스, 분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돌봄의 기술을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AI와 그 응용이 의료 분야에서 주류가 되면서 의대생, 레지던트, 펠로우, 개업의는 AI, 데이터 과학, EHR 기본 사항, AI와 관련된 윤리 및 법적 문제에 대한 지식을 갖춰야 합니다. 의과대학은 이러한 내용을 커리큘럼의 일부로 포함시켜야 합니다. 의대생이 의사가 되기까지 단계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좋습니다. 
Physicians and machines working in combination have the greatest potential to improve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patient health outcomes [114]. AI can curate and process more data such as medical records, genetic reports, pharmacy notes, and environment data and in turn retain, access, and analyze more medical information. However, it cannot replace the art of caring. As AI and its application become mainstream in health care, medical students, residents, fellows, and practicing physicians need to have knowledge of AI, data sciences, EHR fundamentals, and ethics and legal issues concerning AI. Medical schools will need to include them as part of the curriculum. A staged approach to educating the medical student through their journey is recommended.

AI는 더 빠르고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고, 영상의학을 보강하며, 인간의 피로로 인한 오류를 줄이고, 의료 비용을 절감하며, 지루하고 반복적이며 노동 집약적인 작업을 보조 및 대체하고, 최소 침습 수술을 가능하게 하며, 사망률을 감소시킬 것입니다. 
AI will enable faster and accurate diagnosis, augment radiology, reduce errors due to human fatigue, decrease medical costs, assist and replace dull, repetitive, and labor-intensive tasks, minimally invasive surgery, and reduce mortality rates.

2022년까지 전 세계 의료비 지출이 미화 10조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AI는 환자 경험 향상, 인구 건강 개선, 비용 절감, 의료진 경험 개선이라는 의료 분야의 네 가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귀중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115,116]. 
With the global health care expenditure projected to reach US $10 trillion by 2022, AI has the invaluable potential to advance the quadruple aim in health care—enhance the patient experience, improve population health, reduce costs, and improve the provider experience [115,116].

 


JMIR Med Educ. 2019 Dec 3;5(2):e16048. doi: 10.2196/16048.

Introducing Artificial Intelligence Training in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1Amsterdam University Medical Center, Amsterdam, Netherlands.

2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msterdam University Medical Center, Amsterdam, Netherlands.

3Section Acute Medici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Vrije Universiteit University Medical Center, Amsterdam, Netherlands.

4Lee Kong Chian School of Medicine,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Singapore, Singapore.

#Contributed equally.

PMID: 31793895

PMCID: PMC6918207

DOI: 10.2196/16048

Free PMC article

Abstract

Health care is evolving and with it the need to reform medical education. As the practice of medicine enters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e use of data to improve clinical decision making will grow, pushing the need for skillful medicine-machine interaction. As the rate of medical knowledge grows, technologies such as AI are needed to enable health care professionals to effectively use this knowledge to practice medicine. Medical professionals need to be adequately trained in this new technology, its advantages to improve cost, quality, and access to health care, and its shortfalls such as transparency and liability. AI needs to be seamlessly integrated across different aspects of the curriculum. In this paper, we have addressed the state of medical education at present and have recommended a framework on how to evolve the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to include AI.

Keywords: algorithm; artificial intelligence; black box; continuing education; curriculum; data sciences; deep learning; machine learning; medical education.

의과대학 교육에서 보건AI윤리 교육 필요성(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1)
The need for health AI ethics in medical school education
Gali Katznelson1 · Sara Gerke2

소개
Introduction

인공지능(AI)이 의료 서비스를 혁신하고 있습니다. 2018년 4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안과 질환인 당뇨망막병증에 대한 진단 결정을 내리는 최초의 '자율' AI 소프트웨어 시스템인 IDx-DR의 시판을 허가했습니다(Digital Diagnostics, 2020; FDA, 2018a). 2019년 9월, 의료 신경 기술 회사인 BrainScope는 결과와 조치를 제공하여 뇌진탕 및 경미한 외상성 뇌손상 진단에 도움을 주는 AI 기반 의료 기기 BrainScope TBI(모델: Ahead 500)에 대한 FDA 허가를 받았습니다(FDA, 2019a). 이 외에도 심장 환자를 위한 최초의 AI 기반 의료 영상 플랫폼인 Arterys(FDA, 2017), 손목 골절을 감지하도록 설계된 AI 소프트웨어인 OsteoDetect(FDA, 2018b), 뇌졸중과 관련된 지표에 대한 컴퓨터 단층 촬영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AI를 사용하는 임상 의사 결정 지원 소프트웨어인 Viz.AI(FDA, 2018c) 등이 이미 FDA의 허가를 받거나 승인된 건강 AI입니다.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transforming health care. In April 2018,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permitted marketing of the first “autonomous” AI software system, called IDx-DR, to provide a diagnostic decision for the eye disease diabetic retinopathy (Digital Diagnostics, 2020; FDA, 2018a). In September 2019, the medical neurotechnology company BrainScope received FDA clearance for its AI-based medical device BrainScope TBI (model: Ahead 500) that helps in the diagnosis of concussion and mild traumatic brain injury by providing results and measures (FDA, 2019a). Other health AIs that have already been cleared or approved by the FDA include Arterys, the first medical imaging platform powered by AI for cardiac patients (FDA, 2017), OsteoDetect, an AI software designed to detect wrist fractures (FDA, 2018b) and Viz.AI, a clinical decision support software that uses AI to analyze computed tomography results for indicators associated with a stroke (FDA, 2018c).

지금까지 160개 이상의 의료용 AI 기반 기기가 FDA의 허가를 받았거나 승인되었으며(Ross, 2021), 현재 개발 파이프라인에 더 많은 제품이 있습니다. 의료 AI의 미래를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가상 비서, 개인 맞춤형 의료, 자율 로봇 수술은 의료 시스템의 미래 모습에 대한 가능성의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습니다. 의료 AI는 의료를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사전 동의, 편견, 안전, 투명성, 환자 개인정보 보호, 할당에 이르기까지 윤리적 문제도 제기합니다.  
Over 160 health AI-based devices have been cleared or approved by the FDA so far (Ross, 2021), and there are currently many more products in the development pipeline. It is difficult to predict what the future of health AI will bring, but virtual assistants, personalized medicine, and autonomous robotic surgeries are not outside the realm of possibilities of how the health care system could look like in the future. Health AI has tremendous potential to transform medicine for the better, but it also raises ethical issues, ranging from informed consent, bias, safety, transparency, patient privacy to allocation.

의료 AI는 이미 의료 서비스를 변화시키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변화할 것이지만, 의료 AI 윤리는 아직 의과대학 커리큘럼에 표준 과목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러한 격차는 현재의 문헌에도 반영되어 있습니다: AI와 의학교육에 초점을 맞춘 출판물은 거의 없으며, 윤리를 전혀 언급하지 않은 출판물은 더 적습니다(Kolachalama & Garg, 2018; Wartman & Combs, 2018; Wartman & Combs, 2019; Paranjape et al., 2019; AMA, 2019). 
Although health AI is already shaping health care and will continue to do so, health AI ethics is not yet a standard course in medical school curriculums. This gap may also be reflected in the current literature: Only few publications focus on AI and medical education, and even fewer mention ethics at all (Kolachalama & Garg, 2018; Wartman & Combs, 2018; Wartman & Combs, 2019; Paranjape et al., 2019; AMA, 2019).

먼저 의료 인공지능 윤리가 무엇인지 설명한 다음 의과대학에서 이러한 교육이 필요한 이유를 논증할 것입니다. 그런 다음 의대 교육이 필요한 의료 AI가 제기하는 6가지 주요 윤리적 문제인 사전 동의, 편향성, 안전, 투명성, 환자 개인정보 보호, 할당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할 것입니다. 이러한 윤리적 이슈는 임상 의료 윤리와 관련된 AI의 프레임워크를 형성합니다. 실제 사례를 사용하여 응용적인 맥락에서 의료 AI 윤리를 가르치는 것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We will first explain what health AI ethics is and will then argue why this education is needed in medical schools. Our focus will then be devoted to a discussion of six key ethical issues raised by health AI that require medical school education: informed consent, bias, safety, transparency, patient privacy, and allocation. These ethical issues form a framework for AI that is pertinent to clinical medical ethics. We suggest that it may be useful to teach Health AI Ethics in an applied context using real-life examples.

의료 AI 윤리란 무엇인가요?
What is health AI ethics?

우리는 건강 AI 윤리'AI가 관여하는 건강 분야의 맥락에 윤리를 적용하고 분석하는 것'으로 정의합니다. 건강이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정의되어 온 것처럼(Huber 등, 2011), 1955년 McCarthy 등(2006)에 의해 처음 사용된 인공지능(AI)이라는 용어에 대한 단일 정의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의료 분야에서 의료 전문가가 AI와 그 응용 분야를 이해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We define Health AI Ethics as the ‘application and analysis of ethics to contexts in health in which AI is involved’. Just as health has been defined in several ways (Huber et al., 2011), there is also no single definition for the term artificial intelligence (AI), which was first coined in 1955 by McCarthy et al. (2006). In medicine, i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to understand AI and its applications.

예를 들어, 미국의학협회(AMA)는 AI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For example,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 defines AI as:

일반적으로 이성적인 인간과 관련된 방식으로 작업을 완료하는 컴퓨터의 능력, 즉 개체가 환경에서 적절하게 기능하고, 선견지명을 가지고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자질입니다. 진정한 AI는 인공지능이 인간과 구별할 수 없는 지능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어야 한다는 튜링 테스트(2018)를 이길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The ability of a computer to complete tasks in a manner typically associated with a rational human being—a quality that enables an entity to function appropriately and with foresight in its environment. True AI is widely regarded as a program or algorithm that can beat the Turing Test, which states that an artificial intelligence must be able to exhibit intelligent behavior that is indistinguishable from that of a human (2018).

AI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이해는 수년에 걸쳐 발전해 왔습니다. 1970년대에 의료 분야의 AI는 심전도 해석과 같은 규칙 기반 알고리즘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일반적이지만 일반적으로 "진정한 AI"라고 불리는 알고리즘은 아닙니다(Kundu 외., 2000; Yu 외., 2018). 최근 AI의 발전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데이터에서 패턴을 찾는 컴퓨터 과학의 한 분야인 머신 러닝(ML)으로 이루어졌습니다(Murphy, 2012; Yu et al., 2018). ML은 지도형 또는 비지도형일 수 있습니다. 지도 ML은 학습 중에 입출력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출력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반면, 비지도 ML은 레이블이 지정되지 않은 데이터에서 패턴을 식별합니다(Yu et al., 2018). 예를 들어, 지도 머신러닝은 이미지에서 특정 유형의 암 유무를 감지하도록 학습되지만, 비지도 머신러닝은 많은 수의 이미지를 평가하여 패턴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이미지를 그룹화합니다. 특히 대규모 데이터 세트에 다층 인공 신경망을 사용하는 ML의 한 분야인 딥러닝의 발전은 AI 분야를 더욱 발전시켰습니다(Yu et al., 2018). 임상 치료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AI는 아직 인간의 지능을 능가하지 못하며, 여전히 협소하고 특정 업무에 국한되어 있습니다(Hosny 외., 2018). AMA는 "증강 지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의사의 지능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의 지능을 증강하는 현재 AI의 능력을 강조합니다(2018). 
The understanding of what constitutes AI has evolved over the years. In the 1970s, AI in health care consisted of rule-based algorithms, such as electrocardiogram interpretation, which remain commonplace today but are not typically those referred to as “true AI” (Kundu et al., 2000; Yu et al., 2018). Recent developments in AI have consisted of Machine Learning (ML), a branch of computer science that finds patterns in data using algorithms (Murphy, 2012; Yu et al., 2018). ML can be supervised or unsupervised. Supervised ML is used to predict outputs based on correlations of input–output data during training, while unsupervised ML identifies patterns in data that is not labelled (Yu et al., 2018). For example, while supervised ML would be trained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ertain type of cancer on an image, unsupervised ML would evaluate a large number of images to detect patterns and group images accordingly. In particular, developments within Deep Learning, a field within ML that uses multi-layered artificial neural networks on large datasets, has propelled the field of AI forward (Yu et al., 2018). Most AI that is used in clinical care has yet to surpass human intelligence, and remains narrow and task-specific (Hosny et al., 2018). The AMA uses the term “Augmented Intelligence” to highlight current AI’s ability to augment the physician’s intelligence rather than to replace it (2018).

윤리는 간단히 말해서 옳고 그름의 문제를 고려하는 철학의 한 영역입니다. 윤리는 규범적 윤리, 메타윤리, 응용 윤리로 나눌 수 있습니다(Fieser, 1999). 

  • 규범 윤리는 올바른 행동 방식에 대한 질문에 답하려고 합니다. 규범적 윤리 이론에는 의무론, 결과론, 덕 윤리가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습니다.
  • 메타윤리학옳고 그름의 본질에 대한 질문을 다루는 철학의 한 분야입니다.
  • 응용 윤리는 윤리적 이론이나 원칙을 구체적인 실생활 문제에 적용하는 것을 다룹니다. 

많은 의대생들은 보챔프와 차일드레스(2012)가 제시한 자율성, 비악성, 유익성, 정의라는 네 가지 생의학 윤리의 원칙을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원칙주의로 알려진 이 다원주의 이론은 의학의 윤리적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안내합니다. 의료 인공지능 윤리 교육은 사례 기반의 응용적 방법을 통해 윤리에 접근해야 하지만 규범 윤리와 메타 윤리의 요소도 포함해야 합니다. 정보에 입각한 동의, 편견, 안전, 투명성, 환자 프라이버시, 배분 등 6가지 이슈로 구성된 의료 AI 윤리를 학습하는 프레임워크가 의료 학습자에게 가장 적합하다고 제안합니다.
Ethics is the area of philosophy that, in simplest terms, considers questions of right and wrong. Ethics can be divided into normative ethics, metaethics, and applied ethics (Fieser, 1999).

  • Normative ethics tries to answer questions about the right way to act. Normative ethical theories include, but are certainly not limited to deontology, consequentialism, and virtue ethics.
  • Metaethics is the branch of philosophy that addresses questions about the nature of right and wrong.
  • Applied ethics deals with applying ethical theories or principles to specific, real-life issues.

Many medical students will be familiar with Beauchamp and Childress’ (2012) four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autonomy, non-maleficence, beneficence, and justice. This pluralistic theory, known as principlism, is meant to guide a pragmatic approach to resolving ethical dilemmas in medicine. A Health AI Ethics education should approach ethics through an applied, case-based method, but should also include elements from normative ethics and metaethics. We suggest that a framework to study Health AI Ethics consisting of the following six issues is most pertinent for medical learners: informed consent, bias, safety, transparency, patient privacy, and allocation.

의과대학 교육에 의료 AI 윤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Why is health AI ethics needed in medical school education?

의료 AI가 의료 분야에 미칠 영향력이 커질 것이라는 징후가 몇 가지 있습니다. 첫째, 전 세계 의료 시스템 전반에 걸쳐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수집되고 있습니다. 한 추정에 따르면 '글로벌 데이터스피어'는 2025년까지 175제타바이트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Reinsel et al., 2018). 이러한 전례 없는 양의 데이터는 의료 AI와 같이 데이터에 의존하는 분야에서 혁신적인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Several signs point toward the increasing impact that health AI will have in medicine. First, there are gigantic amounts of data being collected across the global health care system. According to one estimate, the “global datasphere” is expected to grow to 175 zettabytes by 2025 (Reinsel et al., 2018). These unprecedented amounts of data may lead to revolutionary developments in fields that rely on data, such as health AI.

둘째, 의료 AI 시장은 2020년 49억 달러에서 2026년 452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Markets & Markets, 2020). 특히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IBM과 같이 전통적으로 의료와 관련이 없었던 거대 기술 기업들도 빠르게 성장하는 이 시장의 경제적 인센티브에 자극을 받아 의료 AI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Second, it is estimated that the market for health AI will increase from 4.9 billion USD in 2020 to 45.2 billion USD in 2026 (Markets & Markets, 2020). In particular, tech giants that are traditionally not health-related, such as Google, Microsoft, and IBM, are key players in the health AI market and are probably motivated by the economic incentives of this rapidly growing market.

셋째, 환자들은 AI를 사용하는 연결된 세상에 살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환자들은 더 이상 의사 진료실에만 국한되지 않고, '닥터 구글'에게 조언을 구하고, 피트니스 트래커, 건강 AI 앱, 디지털 알약 등을 사용하여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합니다(Gerke et al., 2019). 이러한 활동의 대부분은 환자 데이터를 수집하며, 데이터는 경제적 가치로 인해 오늘날 경제에서 "새로운 석유"라고 불리고 있습니다(The Economist, 2017). 한편, 병원은 데이터와 증거를 통해 개선된 환자 치료 개발을 추진하는 '학습형 의료 시스템'으로 거듭나도록 장려되고 있습니다(Olsen et al., 2007). 의료 AI는 새로운 방식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통해 병원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방대한 데이터 생성, 데이터 시장의 성장, 환자 치료 환경의 변화는 의료 AI의 의료 혁신 잠재력에 대한 환영할 만한 징후입니다. 
Third, patients have found themselves to be living in a connected world that uses AI. Health care is no longer confined to the doctor’s office—patients are targeted for health adds, are quick to consult ‘Dr. Google’ for advice, and use fitness trackers, health AI apps, and digital pills (Gerke et al., 2019) to help them monitor and manage their health. Many of these activities collect patient data, and data has been dubbed “the new oil” in today’s economy for its economic value (The Economist, 2017). Meanwhile, clinics have been encouraged to become “learning healthcare systems,” systems in which data and evidence are intended to drive the development of improved patient care (Olsen et al., 2007). Health AI has the potential to help hospitals achieve this goal through its capacity to analyze large quantities of data in novel ways. The massive generation of data, increasing market for data, and changing patient care landscape serve as welcoming indications for health AI’s potential to transform medicine.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는 많은 윤리적 문제가 수반됩니다(아래 참조). 예를 들어, 아니타 호(2019)와 주나이드 나비(2018)는 헤이스팅스 센터 보고서에서 의료 분야에서 AI가 어떻게 윤리적으로 설계되고 구현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글을 썼습니다. Ho는 의료 AI가 현재의 요구에 부응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열린 자세를 유지하는 의료 서비스 품질 개선 문화 속에서 개발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나비는 의료 AI는 생명윤리 원칙을 지침으로 삼아 설계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미래의 중요한 의료 이해당사자인 의대생이 의료 AI 윤리에 대한 적절한 교육 없이는 의료 AI의 설계, 구현 및 사용에 참여하기 어렵다는 것이 우리의 주장입니다. 
Such changes, however, bring with them many ethical issues (see below). For example, both Anita Ho (2019) and Junaid Nabi (2018) have written in the Hastings Center Report about how AI should be designed and implemented ethically in medicine. Ho argues that health AI should be developed within a culture of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that responds to current needs and remains open to issues that arise along the way. Nabi argues that health AI should be designed with bioethical principles as a guidance. We argue that, for medical students, as important future stakeholders in medicine, it will be difficult to participate in the design, implementation, and use of health AI without adequate training in health AI ethics.

일부 학자들은 이미 AI 시대에 의과대학 커리큘럼 개혁을 촉구한 바 있습니다(Kolachalama & Garg, 2018; Wartman & Combs, 2018; Wartman & Combs, 2019; Paranjape et al., 2019). 예를 들어, Kolachalama와 Garg(2018)는 의과대학이 AI의 '이점, 위험 및 윤리적 딜레마'에 중점을 둔 '머신러닝 리터러시'를 위해 노력할 것을 권장합니다. 2019년 6월, AMA는 증강 지능을 의학교육에 통합하는 것에 관한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AMA는 무엇보다도

  • 의과대학 교수진에 데이터 과학자와 엔지니어를 포함시킬 것
  • 증강 지능 애플리케이션의 편견과 불균형을 해소하는 교육 자료를 제공할 것을 권장합니다.
  • 또한 협회는 인증 및 라이선스 기관에 증강 지능을 인증 및 라이선스 표준에 통합하는 방법을 고려할 것을 촉구합니다. 

Some scholars have already called for a medical school curriculum reform in the age of AI (Kolachalama & Garg, 2018; Wartman & Combs, 2018; Wartman & Combs, 2019; Paranjape et al., 2019). For example, Kolachalama and Garg (2018) encourage medical schools to strive for “machine learning literacy,” which includes an emphasis on “the benefits, risks, and the ethical dilemmas” of AI. In June 2019, the AMA released a policy regarding the integration of augmented intelligence into medical education. The AMA recommends, among other things,

  • the inclusion of data scientists and engineers on medical school faculties, as well as
  • educational materials that address bias and disparities of augmented intelligence applications.
  • The Association also calls on accreditation and licensing bodies to consider how augmented intelligence should be integrated into accreditation and licensing standards.

우리는 이러한 요구를 지지하며, 의료 인공지능의 윤리적 차원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의과대학 커리큘럼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의료 전문가가 의료 AI에 적절히 대비할 수 있도록 의대생은 데이터 과학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AI가 제기하는 윤리적 문제에 대한 미묘한 이해와 인식도 키워야 합니다. 오늘날의 의대생은 의료 서비스에 통합된 AI의 개발, 구현 및 평가에 참여하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에 의미 있게 참여하려면 AI 윤리에 대한 탄탄한 기초가 필요합니다.
We support these calls and highlight the need for a medical school curriculum that comprehensively addresses the ethical dimensions of health AI. To ensure that health care professionals are adequately prepared for health AIs, medical school students do not only need to become knowledgeable in data science but also need to develop a nuanced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the ethical issues raised by them. Today’s medical students will b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I that is integrated into health care. They require a solid foundation in AI ethics to engage meaningfully in these processes.

의대 교육에 필요한 윤리적 이슈는 무엇인가요?
What are the ethical issues requiring medical school education?

특히 의과대학 교육이 필요한 6가지 주요 윤리적 이슈는 의료 AI에 의해 제기됩니다:

  • 1. 사전 동의,
  • 2. 편견,
  • 3. 안전,
  • 4. 투명성,
  • 5. 환자 개인정보 보호,
  • 6. 할당.

우리는 모든 의료 전문가가 이러한 이슈가 AI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윤리적 이해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의대생은 이미 공부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접했을 수도 있지만, AI는 이러한 문제를 복잡하게 만들고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고유한 우려를 제시합니다. 각 문제에 대해 사례 기반 방식으로 커리큘럼에 통합할 수 있는 AI의 예를 제공합니다. 
There are, in particular, six key ethical issues raised by health AI that require medical school education:

  • 1. informed consent,
  • 2. bias,
  • 3. safety,
  • 4. transparency,
  • 5. patient privacy, and
  • 6. allocation.

We believe that all health professionals should have an ethical understanding of how these issues interplay with AI. Although medical students may already come across these issues in their studies, AI complicates these issues and presents unique concerns that warrant special attention. For each issue, we provide examples with AI that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curriculum in a case-based method.

정보에 입각한 동의
Informed consent

새로운 의료 AI를 임상 진료에 배치할 때 정보에 입각한 동의에 대한 긴급한 질문이 제기됩니다(Gerke et al., 2020c). 의사가 치료 계획을 결정하기 위해 의료 AI를 사용하는 경우 환자는 의사 결정 과정에 AI가 관여했다는 사실을 알 권리가 있나요? 만약, 그렇다면 환자에게 어떤 구체적인 정보를 알려야 할까요? (Cohen, 2020). 예를 들어, 임상의는 알고리즘을 훈련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가 전자 건강 기록 데이터인지 또는 인위적으로 생성된(합성) 데이터인지와 같은 데이터에 대해 환자에게 알려야 하나요?  
The deployment of new health AIs in clinical practice raises urgent questions about informed consent (Gerke et al., 2020c). If a doctor uses a health AI to determine a treatment plan, does the patient have a right to know that the AI was involved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if so, what specific information should the patient be told? (Cohen, 2020). For example, does the clinician need to inform the patient about the data that is being used to train the algorithm, such as whether it is electronic health record data or artificially created (synthetic) data?

환자의 자율성을 존중하기 위해 의료계는 일반적인 치료 동의서에 서명하는 것 외에 정보에 입각한 동의가 필요한 건강 AI 사용에 대해 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문제에 대한 답은 특정 의료 AI와 그 적용 분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가상의 미래 AI가 환자의 치료 과정을 완전히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사전 동의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저희는 의사가 사전 동의를 둘러싼 윤리와 특정 의료 AI의 개발 방식, 작동 방식, 사용 의도를 이해해야만 이 문제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이해관계자들은 더 많은 의료 AI가 임상 진료에 도입되기 전에 지금부터 사전 동의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논의를 시작해야 합니다. 이 논의를 거친 후 두 번째 단계로, 특정 의료 AI에 맞는 사전 동의에 관한 의사를 위한 가이드라인과 커뮤니케이션 계획이 개발되어 임상에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의대생들은 이 분야를 주시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논의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In an effort to respect patient autonomy, the medical community needs to decide if there is something essential about using health AIs that requires informed consent (in addition to signing the general treatment consent form). The answer to this issue will likely depend on the particular health AI and its application. Perhaps a hypothetical future AI that fully autonomously decides on the treatment course of a patient will warrant a specific informed consent. We believe that only by understanding the ethics surrounding informed consent, as well as how a specific health AI is developed, how it works, and how it is intended to be used, can physicians formulate a critical opinion on this matter. Stakeholders should start the discussion today on the ethical issue of informed consent before even more health AIs enter clinical practice. As a second step (after having this discussion), guidelines and communication plans for physicians on informed consent that are tailored to specific health AIs could then be developed and serve as a useful tool in clinical practice. Medical students need to watch this space and can also play a role in shaping this discussion.

편견
Bias

편견에는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의료 전문가는 의료 AI에 존재하는 편견의 유형을 인식하고 환자를 대할 때와 의료 시스템 수준에서 이러한 편견을 완화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편향된 데이터로 의료 AI를 학습시키면 기존의 건강 격차가 줄어들기는커녕 오히려 확대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의사가 주로 백인 피부를 대상으로 학습된 의료 AI 암 검진 기기를 신뢰하여 흑인 환자의 피부가 어두운 사람에게 가장 흔한 흑색종(Villines, 2019)을 놓치는 시나리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Adamson & Smith, 2018). 지도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하든 비지도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하든, 백인 피부만을 입력 데이터로 학습한 AI는 다른 피부 타입의 암을 진단하는 방법을 학습할 수 없습니다. 
There are different types of biases, and it is important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to be aware of the types of biases that exist with health AI, and to think about how to mitigate such biases both within their patient encounters and on a health care system level. If health AIs are trained on biased data, existing disparities in health may be augmented rather than reduced. For example, the scenario could be that a Black patient’s acral lentiginous melanoma, the most common type of melanoma in individuals with darker skin (Villines, 2019), is missed because a physician trusts a health AI cancer screening device that was primarily trained on white skin (Adamson & Smith, 2018). Whether this AI is based on supervised or unsupervised ML, if it is only trained on white skin as input data, it cannot learn how to diagnose cancer in any other skin type.

다른 경우에는 알고리즘에 편견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최근 대규모 의료 시스템과 보험사가 매년 미국 내 약 2억 명에게 적용되는 의료 결정을 안내하는 데 사용하는 알고리즘에서 흑인 환자에 대한 심각한 인종적 편견이 있음을 보여준 Obermeyer 등(2019)의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이 알고리즘은 데이터 세트의 흑인 환자가 훨씬 더 아팠음에도 불구하고 백인 환자와 동일한 수준의 위험을 흑인 환자에게 잘못 할당했습니다(Obermeyer et al., 2019). 이러한 인종적 편향은 알고리즘이 건강 요구 수준을 대신하여 (질병 대신) 의료 비용을 사용했기 때문에 발생했습니다(Obermeyer 외., 2019). 흑인 환자의 건강에 더 적은 비용이 지출되었기 때문에 알고리즘은 흑인 환자가 더 건강하다고 잘못 결론을 내렸습니다(Obermeyer et al., 2019). 알고리즘 편향은 사용된 라벨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지만(Obermeyer 등, 2019), 편향되지 않은 모델에 대해 학습할 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즘도 필요합니다(Wiens 등, 2020). 
In other cases, the algorithm may exhibit bias. For example, Obermeyer et al., (2019) recently showed a major racial bias against Black patients in an algorithm used by large health systems and payers to guide health decisions applied to about 200 million people in the U.S. every year. The algorithm falsely assigned the same level of risk to Black as to White patients, even though Black patients in the dataset were much sicker (Obermeyer et al., 2019). Such a racial bias arose because the algorithm used health care costs (instead of illness) as a proxy for the level of health needs (Obermeyer et al., 2019). Since less money was spent on Black patients’ health, the algorithm incorrectly concluded that Black patients were healthier (Obermeyer et al., 2019). Algorithmic biases may be mitigated by carefully thinking about the labels used (Obermeyer et al., 2019), but new algorithms are also needed that can be trained on unbiased models (Wiens et al., 2020).

따라서 목표는 "제품이 설계되고 테스트된 후가 아니라 설계 단계에서부터 윤리를 고려하는 것"이어야 합니다(Gerke et al., 2019). 이해관계자, 특히 AI 제조업체는 의료 AI와 함께 존재할 수 있는 편견의 유형을 인식하고 제품 개발 과정에서 가능한 한 빨리 편견을 완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발생할 수 있는 편견의 유형에 대한 인식이 있다면 의대생들이 AI 개발 팀에 합류하여 미래의 의료 AI 설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미래의 직업에 대비하여 환자 치료를 위해 임상에서 사용하기 전에 의료 AI를 비판적으로 면밀히 검토할 준비가 될 것입니다. 
Consequently, the goal should be “ethics by design—rather than after a product has been designed and tested” (Gerke et al., 2019). Stakeholders, particularly AI makers, must be aware of the types of biases that can exist alongside health AI and try as early as possible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ir products to mitigate biases. With an awareness of the types of biases that can arise, medical students may be encouraged to join AI development teams, and contribute to the design of future health AIs. Moreover, they will be prepared for their future profession and will be ready to critically scrutinize a health AI before using it in clinical practice for the treatment of their patients.

안전
Safety

속 쓰림을 호소하는 여성에게 위식도 역류 질환(흔히 위산 역류로 알려져 있음)이 있다고 가정하고 단순히 제산제를 추천하는 온라인 챗봇을 생각해 보세요. 숙련된 의사는 이 환자에게 심장마비를 즉시 배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많은 AI 앱과 챗봇은 불필요한 병원 방문을 제한하도록 설계되었지만, 지속적인 업데이트, 점검 또는 규제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소비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Consider an online chatbot that assumes that a woman with a sensation of heartburn has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commonly known as acid reflux, and simply recommends an antacid. A trained physician should know the importance of immediately ruling out a heart attack for this patient. Many AI apps and chatbots are designed to limit unnecessary doctor visits, but some of them can also cause serious harm to consumers if they are not continuously updated, checked, or regulated.

FDA와 같은 규제 당국은 최근 일부 의료용 AI(의료용 소프트웨어, 즉 SaMD, "하드웨어 의료 기기의 일부가 아니면서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규제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도입하여 성능을 개선하고 안전성과 효과를 보장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IMDRF, 2013).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사전 인증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FDA의 노력(2019b), 소위 "업데이트 문제"와 "적응형" 알고리즘과 "잠금형" 알고리즘의 처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근 토론 보고서(2019c), 최근 실행 계획(2021)이 있습니다. 특히 FDA와 같은 규제 기관은 현재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 학습하고 변화하는 알고리즘의 마케팅을 허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FDA, 2019c; Babic et al., 2019). 이러한 적응형 알고리즘의 마케팅을 허용하기로 결정할 경우, 이러한 AI/ML 기반 SaMD가 지속적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이라는 것을 어떻게 보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후속 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규제 당국은 이러한 새로운 혁신적 규제 모델의 세부 사항을 파악해야 하지만, 이러한 모델의 핵심 구성 요소는 기기 관점이 아닌 시스템 관점뿐만 아니라 AI/ML 시스템 고유의 기능으로 인한 위험에 초점을 맞춘 지속적인 위험 모니터링 접근 방식이 필수적입니다(Babic 외., 2019; Gerke 외., 2020a).  
Regulators like the FDA have recently initiated steps toward new approaches of regulating some health AIs—those that are classified as Software as a Medical Device (i.e., SaMD, “software intended to be used for one or more medical purposes that perform these purposes without being part of a hardware medical device”) (IMDRF, 2013)—to improve their performance and ensure their safety and effectiveness. Examples include the FDA’s effort to develop a Software Precertification Program (2019b), its recent discussion paper (2019c) to address the so-called “update problem” and the treatment of “adaptive” versus “locked” algorithms (Babic et al., 2019), and its recent Action Plan (2021). In particular, regulators like the FDA currently face the problem of whether they should permit the marketing of algorithms that continue to learn and change over time (FDA, 2019c; Babic et al., 2019). If they decide to permit the marketing of such adaptive algorithms, they face the follow-up issue of how they can safeguard that such AI/ML-based SaMD are continuously safe and effective. Regulators still need to figure out the details of such new innovative regulatory models, but it is essential that a key component of such models will be a continuous risk monitoring approach that focuses on risks due to features that are specific to AI/ML systems as well as a system view rather than a device one (Babic et al., 2019; Gerke et al., 2020a).

학생들이 이러한 노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여전히 남아있는 의료 AI 안전에 대한 격차와 장벽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지속적인 규제 이니셔티브에도 불구하고 미래의 의료 전문가는 특정 임상 의사 결정 지원 소프트웨어와 많은 AI 앱 및 챗봇과 같이 현재 많은 의료 AI가 FDA 검토 대상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미국 연방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법, 520(o)(1)). FDA 시판 전 검토를 받아야 하는 의료용 AI의 경우, 안전성과 효과에 대한 합리적인 보증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통제가 필요한 여러 경로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FDA, 2018d). 의대생은 복잡한 규제 환경을 인식하고 해당 분야의 새로운 발전과 프로세스에 계속 참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se effort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gaps and barriers to health AI safety that remain. Even with ongoing regulatory initiatives, future health professionals need to know that many health AIs are currently not subject to FDA review, such as certain clinical decision support software and many AI apps and chatbot (U.S. Federal Food, Drug, and Cosmetic Act, s. 520(o)(1)). Of those health AIs that do need to undergo FDA premarket review, they can be subject to different pathways requiring different controls to provide reasonable assurance of their safety and effectiveness (FDA, 2018d). It is important for medical students to be aware of the complicated regulatory landscape and to remain engaged with such processes and new developments in the field.

환자들이 진료실 밖에서 찾을 수 있는 의료 솔루션을 점점 더 많이 수용함에 따라 의료 전문가는 소비자 건강 AI의 잠재적 위험에 대해 환자에게 교육해야 합니다. 또한 안전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AI 앱과 챗봇을 추천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미 시장에 압도적으로 많은 앱과 챗봇이 출시되어 있고 매일 더 많은 앱과 챗봇이 추가되고 있기 때문에 이는 의료 전문가에게 현실적인 도전이 될 것입니다. 또한 이러한 앱과 챗봇은 자주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여전히 신뢰할 수 있고 추천할 만한지 판단하기가 더욱 어렵습니다. 또한 AI가 환자 치료에 관여할 때 누가 책임을 져야 하는지에 대한 우려도 상당합니다(Price et al., 2019, 2021). 의대생들이 이러한 문제에 대한 인식을 갖게 되면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건강 앱과 챗봇의 안전성과 효과를 평가하는 강력한 윤리 및 법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등 문제 해결에 참여하도록 장려할 수 있습니다. 
As patients embrace health care solutions that can be increasingly found outside of the doctor’s office, health professionals will need to educate patients about the potential risks of consumer health AIs. They will need to be able to recommend AI apps and chatbots that are designed with safety in mind. This will be a practical challenge for health professionals since there is already an overwhelming number of apps and chatbots available on the market, and more are added every day. In addition, these apps and chatbots are frequently updated, which makes it even harder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still trustworthy and recommendable. There are also significant concerns regarding who is liable when AI is involved in patient care (Price et al., 2019, 2021). By gaining an awareness of these problems, medical students might b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solving them, such as by engaging with experts in the field to develop robust ethical and legal frameworks that evaluate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health apps and chatbots.

투명성
Transparency

사전 동의와 안전 문제를 복잡하게 만들기 위해 '블랙박스'인 의료 AI를 사용하면 의사가 본질적으로 완전히 투명하지 않은 시스템으로 작업하면서 환자에게 어떻게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됩니다. '블랙박스'는 일반적으로 의사의 환자 치료를 돕기 위해 설계되었지만 입력 데이터가 어떻게 분석되어 의사 결정에 도달하는지 설명하지 않는 소프트웨어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Daniel et al., 2019). 이러한 설명 불가능성은 의사가 쉽게 이해할 수 없는 복잡한 AI/ML 모델 또는 알고리즘이 독점적인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Daniel et al., 2019). 의사가 특정 환자에 대해 의료 AI/ML이 어떻게 또는 왜 결정을 내렸는지 이해할 수 없는 경우, 환자에게 알려야 할 내용은 물론 해당 소프트웨어에 의존해야 하는지 여부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데이터 과학자들이 AI/ML의 블랙박스를 열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Lipton, 2016), 의사와 환자가 얼마나 많은 정보를 가져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는 설명 가능한 AI와 함께 남아있을 것입니다. 
To complicate the matters of informed consent and safety, the use of health AIs that are ‘black boxes’ raises the question of how physicians can remain transparent with patients while working with systems that are, by nature, not fully transparent. ‘Black boxes’ can be described as software that is usually designed to help physicians with patient care, but that does not explain how the input data is analyzed to reach its decision (Daniel et al., 2019). This inexplicability may result from complicated AI/ML models that cannot be easily understood by physicians or due to the algorithm being considered proprietary (Daniel et al., 2019). If physicians cannot comprehend how or why a health AI/ML has arrived at a decision for a particular patien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whether they should be relying on the software, let alone what they should be informing their patients. Although data scientists are working on opening the black box of AI/ML (Lipton, 2016), the issue of how much information physicians and their patients should have will remain with explainable AI.

새로 배포된 의료 AI/ML이 환자의 사망 날짜를 예측했지만, 의사는 의료 AI/ML이 이 날짜를 어떻게 계산했는지 이해할 방법이 없는 상황을 생각해 보십시오. 사망률을 예측하는 ML 기법은 이미 여러 그룹에서 설명한 바 있습니다(Motwani 외., 2017; Shouval 외., 2017; Weng 외., 2019). 의료 AI/ML이 환자가 몇 시간 더 생존하지 못할 것이라고 계산했다고 상상해 보세요. 한편 의사는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다른 환자에 대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환자의 예후를 훨씬 더 좋게 예측할 수 있습니다.

  • 사는 환자와 가족에게 건강 AI의 계산 결과를 알려야 할까요?
  • 의사가 정확히 뭐라고 말해야 할까요?

이제 대부분의 경우 건강 AI/ML이 올바른 것으로 판명되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이제 의사는 이 AI/ML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할까요?
  • 의사가 임상에서 블랙박스형 의료 AI/ML 모델을 전혀 사용해야 할까요? 

Consider a situation in which a newly deployed health AI/ML predicts the date of a patient’s death, but the physician has no way of understanding how the health AI/ML has calculated this date. ML techniques to predict mortality have already been described by several groups (Motwani et al., 2017; Shouval et al., 2017; Weng et al., 2019). Imagine that the health AI/ML has calculated that the patient will not survive a few more hours. Meanwhile, based on clinical experience, albeit limited, with other patients, the physician would estimate a much better prognosis for the patient.

  • Should the physician inform the patient and their family about the health AI’s calculation?
  • What exactly would the physician say?

Now consider that the health AI/ML turns out to be correct in most such cases.

  • Should a physician now rely on this AI/ML fully?
  • Should physicians use black-box health AI/ML models in clinical practice at all?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은 의사의 법적 책임 위험과 같은 다양한 고려 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AI/ML 제조업체가 무작위 임상시험 등을 통해 해당 기기가 안전하고 효과적이라는 충분한 증거를 제시했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의대생이라면 알겠지만, 의학에서 사용되는 많은 약물은 초기에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임상의들은 약 70년 동안 아스피린이 해열, 진통, 항염증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그 근본적인 메커니즘은 알지 못한 채 아스피린을 처방해 왔습니다(London, 2019). 아스피린이 사이클로옥시게나제와 결합하여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을 억제하여 이러한 효과를 생성하는 경로는 나중에야 밝혀졌습니다(Vane & Botting, 2003). 따라서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하며 장기와 같은 희소 자원을 할당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는 충분한 증거가 있는 한, 의사가 임상에서 일부 블랙박스 건강 AI/ML 모델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Babic et al., 2020). 의대생들이 가까운 미래에 의사로서 블랙박스 의료 AI/ML 모델과 함께 일하게 된다면, 병원이 상당한 비용을 들여 구입하여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블랙박스 의료 AI/ML에 대해 병상에서 반대하는 자신을 발견하기 전에 윤리적으로 그렇게 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어야 합니다. 
The answers to such questions may depend on different considerations, such as the physician’s liability risk. They may also depend on whether the AI/ML maker has shown sufficient proof that the device is safe and effective such as through randomized clinical trials. As medical students might know, many of the drugs used in medicine may not have been fully understood initially. For example, clinicians prescribed Aspirin for about 70 years, knowing that the drug had antipyretic,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but without knowing its underlying mechanism (London, 2019). The pathway by which aspirin binds cyclooxygenase to inhibit prostaglandin production to produce these effects was only later understood (Vane & Botting, 2003). Thus, one might argue that physicians can (and perhaps should) use some black-box health AI/ML models in clinical practice, as long as there is sufficient proof that they are reliable and accurate and are not used for allocating scarce resources such as organs (Babic et al., 2020). If medical students are to be working alongside black-box health AI/ML models as physicians in the near future, the discussions about how to do so ethically should begin before they find themselves at the bedside disagreeing with a black-box health AI/ML that the hospital purchased for a considerable amount of money and thus is likely encouraging them to use.

환자 개인정보 보호
Patient privacy

임상 환경을 넘어 웨어러블과 건강 앱을 통해 일상 생활에서 환자로부터 수집되는 대량의 건강 데이터로 인해 환자 개인정보 보호가 중요한 고려 사항으로 떠올랐습니다. 전례 없는 양의 건강 데이터가 축적되면 환자가 어느 정도인지 인지하지 못한 채 환자의 개인정보가 침해될 수 있습니다. 
With the large amounts of health data collected from patients, beyond clinical settings and in daily life through wearables and health apps, patient privac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consideration. The accumulation of unprecedented amounts of health data may compromise patient privacy, without patients even realizing to what extent.

예를 들어, 최근의 소송인 Dinerstein 대 Google 소송(2019)은 개인의 데이터 보호 및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 소송은 시카고대학교 의료센터의 환자였던 매트 디너스타인이 개인 자격으로, 그리고 비슷한 처지에 있는 다른 모든 환자를 대신하여 Google, 시카고대학교, 시카고대학교 의료센터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입니다. 2017년 시카고대학교 의료센터와 Google은 병원 재입원과 같은 의료 이벤트를 예측하기 위해 새로운 머신러닝 기법을 사용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선언했고(Wood, 2017), 1년 후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Rajkomar 외., 2018). Dinerstein은 2009년부터 2016년 사이에 시카고대학교 의료센터가 환자의 명시적 동의 없이 자유 텍스트 메모와 데이터 스탬프가 포함된 수십만 건의 의료 기록을 Google에 전송했다고 주장했습니다(Dinerstein v. Google; Rajkomar 외., 2018). 그러나 이 소송은 2020년 9월 일리노이주 연방 판사가 Dinerstein이 손해를 입증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기각했습니다. 이 사례는 구글과 같은 거대 기술 기업과 환자 데이터를 공유하는 병원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데 따르는 어려움을 강조하고, 의료 데이터 개인정보 보호가 불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Becker, 2020). 
For example, the recent lawsuit, Dinerstein v. Google, has reflected the emerging concern for individuals’ data protection and privacy (2019). The lawsuit was by Matt Dinerstein, a patient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Medical Center, individually and on behalf of all other patients similarly situated, against Google, the University of Chicago, and the University of Chicago Medical Center. In 2017, the University of Chicago Medical Center and Google proclaimed a partnership to use new ML techniques to predict medical events, such as hospital readmissions (Wood, 2017), and the study results were published a year later (Rajkomar et al., 2018). Dinerstein claimed that between 2009 and 2016, the University of Chicago Medical Center transferred hundreds of thousands of medical records to Google, which included free-text notes and datestamps without obtaining patients’ express consent (Dinerstein v. Google; Rajkomar et al., 2018). However, this lawsuit was dismissed in September 2020 by a federal judge in Illinois on the grounds that Dinerstein failed to demonstrate damages. This case highlights the challenges of pursuing claims against hospitals that share patient data with tech giants such as Google, and shows the insufficient protection of health data privacy (Becker, 2020).

이 사례를 통해 학생들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공유 대상과 같은 데이터 공유 문제환자가 자신의 데이터에 대해 가져야 하는 권리의 유형에 대해 배울 수 있습니다. 이 사례는 다음과 같은 새로운 환자 개인정보 보호 문제에 대한 토론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데이터 삼각 측량을 통한 재식별 문제(Cohen & Mello, 2019; Price & Cohen, 2019; Gerke 외., 2020b),
  • 의료 AI 혁신과 민감한 환자 데이터 간의 상호 작용,
  • 병원 시스템과 타사 의료 AI 개발자 간의 관계 

Through this example, students can learn about data sharing issues such as how data should be handled and with whom it should be shared, as well as the types of rights patients should have regarding their data. This example helps to facilitate a discussion on emerging patient privacy concerns, such as

  • the issue of reidentification through data triangulation (Cohen & Mello, 2019; Price & Cohen, 2019; Gerke et al., 2020b),
  • the interplay between health AI innovation and sensitive patient data, and
  •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systems and third party health AI developers.

환자 개인정보 보호는 의학계에서 오랫동안 지켜온 원칙이며, 모든 의료 AI의 개발과 구현에 있어 핵심적인 고려사항으로 남아 있어야 합니다. 의대생은 의료 분야에서 데이터 프라이버시의 윤리적, 법적 차원에 대한 이해와 함께 새로운 의료 AI 개발을 접하여 환자 프라이버시를 위협하는 새로운 의료 기술의 구현을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합니다.
Patient privacy has been a longstanding principle in medicine, and should remain a key consideration with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ll health AIs. Medical students should be confronted with new health AI developments alongside an understanding of the ethical and legal dimensions of data privacy in health care so they can critically appraise the implementation of new health technologies that threaten patient privacy.

할당
Allocation

마지막으로 할당 문제가 있습니다. 자원의 공정한 배분은 의료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문제이며, 의료 AI의 등장으로 더욱 복잡해졌습니다. 실제 사례 중 하나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간병 자원을 할당하는 것입니다. 2016년에 주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주당 56시간의 간병을 배정받았던 아칸소 주 출신의 뇌성마비 여성 태미 돕스(Tammy Dobbs)는 주정부가 알고리즘에 의존해 간병을 배정하기로 결정한 후 갑자기 32시간만 배정받았습니다(Lecher, 2018). 돕스 씨에 따르면 이 시간은 충분하지 않았고 알고리즘이 어떻게 결정에 도달했는지에 대한 정보도 제공되지 않았습니다(Lecher, 2018). AI는 이러한 결정을 보이지 않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할당 결정을 복잡하게 만듭니다. 의대생들은 태미 돕스처럼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인해 의료 자원에 대한 접근성이 저하될 수 있는 미래의 환자들을 옹호할 수 있도록 AI가 자원 할당과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에 대한 인식을 가져야 합니다. 
Finally, there is the issue of allocation. The just allocation of resources is an ongoing issue in health care, made more complicated by the advent of health AI. One real-life example involves the allocation of caregiving resources based on an algorithm. In 2016, Tammy Dobbs, a woman from Arkansas with cerebral palsy who was initially allocated 56 h of care per week as part of a state program, was suddenly allotted just 32 h after the state decided to rely on an algorithm to allocate its caregiving (Lecher, 2018). According to Ms. Dobbs, these hours were insufficient, and she was not given any information about how the algorithm reached its decision (Lecher, 2018). AI complicates allocation decisions because it can make these decisions invisible. Medical students must gain an awareness of how AI interfaces with resource allocation so they can advocate for future patients, who, like Tammy Dobbs, may find their access to health care resources undermined by automated systems.

임상 환경에서 의료 AI를 사용하는 것은 이러한 도구의 급여화에 달려 있습니다. 미래의 많은 환자들, 아마도 가장 취약한 환자들은 보험이 적용되지 않는다면 의료 AI 진단 또는 의료 AI 치료 도구에 접근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학생들과 함께 논의해야 할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의료 AI의 맥락에서 정의란 무엇인가?
  • 정의를 파괴하지 않고 증진하기 위해 의료 AI를 어떻게 설계하고 사용할 수 있을까요?
  • 의사, 의료 보험 회사, 공중 보건 당국은 어떻게 의료 AI의 공정한 배분을 보장할 수 있을까요? 

The use of health AIs in clinical settings also depends on the reimbursement of such tools. Many future patients—perhaps the most vulnerable ones—may not have access to health AI diagnostic or health AI treatment tools if their insurance does not cover them. Questions that should be discussed with students include:

  • What is justice in the context of health AI?
  • How can health AI be designed and used to promote justice rather than to subvert it?
  • How can physicians, health insurance companies, and public health authorities ensure the just allocation of health AI?

결론
Conclusion

의료 시스템의 중요한 미래 이해당사자인 오늘날의 의대생은 환자와의 일상적인 임상적 상호 작용에서, 그리고 의료에 AI를 통합하는 것에 대한 광범위한 정책 논의에서 의료 AI 사용과 관련된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할 것입니다. 최근의 사건들은 의대생들에게 의료 AI 윤리를 가르쳐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의과대학에서 의료 AI에 대한 윤리적 논의를 시작하여 학생들이 의료 AI의 지속적인 발전에 주의를 기울일 뿐만 아니라, 윤리적 렌즈를 통해 이러한 발전을 이해하고 의료 AI 또는 기타 디지털 의료 기술로 인해 새롭게 제기되는 윤리적 문제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도구를 개발할 수 있도록 장려해야 합니다. 
As important future stakeholders in the health care system, today’s medical students will have to make important decisions related to the use of health AI, both in every day clinical interactions with patients, and in broader policy discussions about the emergent integration of AI into health care. Recent events are highlighting the need to teach health AI ethics to medical students. We must begin the ethical discussion about health AI in medical schools so that students will not only be encouraged to pay attention to the ongoing developments in health AI but also will develop the tools needed to understand these developments through an ethical lens and be able to deal with new emerging ethical issues raised by health AI or other digital health technologies.

이 커리큘럼을 구성하는 윤리적 이슈는 사전 동의, 편견, 안전, 투명성, 환자 개인정보 보호 및 할당입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도전적인 질문을 제기하고 사례 연구의 맥락에서 제시할 수 있는 최신 의료 AI 이벤트가 부족하지 않습니다. 의대생은 이러한 문제를 제기하는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한 사례 연구를 접함으로써 이미 의료 현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의료 AI의 윤리적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The ethical issues that should constitute this curriculum are informed consent, bias, safety, transparency, patient privacy, and allocation. There is no shortage of current health AI events that raise challenging questions about these issues, and that can be presented in the context of case studies. With exposure to case studies based on real-life examples that raise these issues, medical students can gain the skills to appreciate and solve the ethical challenges of health AI that are already affecting the practice of medicine.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1 Oct;26(4):1447-1458. doi: 10.1007/s10459-021-10040-3. Epub 2021 Mar 3.

The need for health AI ethics in medical school education

Affiliations

1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1151 Richmond St, London, ON, N6A 5C1, Canada.

2The Petrie-Flom Center for Health Law Policy, Biotechnology, and Bioethics at Harvard Law School, Harvard University, 23 Everett Street, Cambridge, MA, 02138, USA. sgerke@law.harvard.edu.

PMID: 33655433

DOI: 10.1007/s10459-021-10040-3

Abstract

Health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health care, but at the same time, raises many ethical challenges. Within the field of health AI ethics, the solutions to the questions posed by ethical issues such as informed consent, bias, safety, transparency, patient privacy, and allocation are complex and difficult to navigate. The increasing amount of data, market forces, and changing landscape of health care suggest that medical students may be faced with a workplace in which understanding how to safely and effectively interact with health AIs will be essential. Here we argue that there is a need to teach health AI ethics in medical schools. Real events in health AI already pose ethical challenges to the medical community. We discuss key ethical issues requiring medical school education and suggest that case studies based on recent real-life examples are useful tools to teach the ethical issues raised by health AIs.

Keywords: Artificial intelligence; Curriculum; Ethics; Health; Medical education.

프레임워크 방법을 사용하여 다분야 보건연구에서 질적자료 분석하기(BMC Med Res Methodol. 2013)
Using the framework method for the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in multi-disciplinary health research
Nicola K Gale1*, Gemma Heath2, Elaine Cameron3, Sabina Rashid4 and Sabi Redwood2

 

질적 데이터의 관리 및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 방법은 1980년대부터 사용되어 왔습니다[1]. 이 방법은 대규모 사회 정책 연구에서 시작되었지만 의료 및 보건 연구에서도 점점 더 대중적인 접근법이 되고 있지만, 그 잠재적 적용과 한계에 대해 약간의 혼란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프레임워크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 시기와 다른 질적 분석 방법과 비교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합니다. 특히 다학제 보건 연구팀에서 이 방법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살펴봅니다. 응용 보건 연구에서 다학제 및 혼합 방법 연구가 점점 더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간호학, 심리학, 사회학 등 질적 연구에 익숙한 분야뿐만 아니라 역학자, 보건 경제학자, 경영 과학자 등이 팀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응용 보건 연구에는 종종 임상적 대표성이 있으며, 점점 더 많은 환자와 대중이 참여하고 있습니다[2]. 우리는 경험이 풍부한 질적 방법론자의 리더십이 의심할 여지없이 필요하지만, 더 넓은 팀의 비전문가도 분석 과정에 참여할 수 있고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런 다음 프레임워크 방법의 적용에 대한 단계별 가이드를 제시하며, 프로세스의 주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발표된 연구[3]의 작업 예시(추가 파일 1 참조)를 사용하여 설명합니다. 기술 용어는 용어집(아래)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접근 방식의 강점과 한계에 대해 논의합니다. 
The Framework Method for the management and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has been used since the 1980s [1]. The method originated in large-scale social policy research but is becoming an increasingly popular approach in medical and health research; however, there is some confusion about its potential application and limitations. In this article we discuss when it is appropriate to use the Framework Method and how it compares to other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In particular, we explore how it can be used in multi-disciplinary health research teams. Multi-disciplinary and mixed methods studies are becoming increasingly commonplace in applied health research. As well as disciplines familiar with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nursing, psychology and sociology, teams often include epidemiologists, health economists, management scientists and others. Furthermore, applied health research often has clinical representation and, increasingly, patient and public involvement [2]. We argue that while leadership is undoubtedly required from an experienced qualitative methodologist, non-specialists from the wider team can and should be involved in the analysis process. We then present a step-by-step guide to the application of the Framework Method, illustrated using a worked example (See Additional File 1) from a published study [3] to illustrate the main stages of the process. Technical terms are included in the glossary (below). Finally, we discuss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approach.

프레임워크 방식에 사용되는 주요 용어 용어집
Glossary of key terms used in the Framework Method

  • 분석 프레임워크: 분석에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개발한 카테고리로 구성된 일련의 코드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구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프레임워크는 연구 질문에 답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요약/축소하는 데 도움이 되는 새로운 데이터 구조(참가자가 제공한 전체 원본 설명이 아닌)를 생성합니다.
    Analytical framework: A set of codes organised into categories that have been jointly developed by researchers involved in analysis that can be used to manage and organise the data. The framework creates a new structure for the data (rather than the full original accounts given by participants) that is helpful to summarize/reduce the data in a way that can support answering the research questions.
  • 분석 메모: 특정 개념, 주제 또는 문제에 대한 서면 조사로, 분석 프로세스를 포착하는 데이터의 새로운 이슈를 반영합니다(추가 파일 1, 섹션 7 참조).
    Analytic memo: A written investigation of a particular concept, theme or problem, reflecting on emerging issues in the data that captures the analytic process (see Additional file 1, Section 7).
  • 카테고리: 분석 과정에서 코드는 유사하고 상호 연관된 아이디어 또는 개념을 중심으로 클러스터로 그룹화됩니다. 카테고리와 코드는 일반적으로 분석 프레임워크에서 트리 다이어그램 구조로 배열됩니다. 카테고리는 원시 데이터와 밀접하고 명시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카테고리를 개발하는 것은 데이터를 추상화하는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방법입니다(즉, 특정 또는 일화적인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것을 향해).
    Categories: During the analysis process, codes are grouped into clusters around similar and interrelated ideas or concepts. Categories and codes are usually arranged in a tree diagram structure in the analytical framework. While categories are closely and explicitly linked to the raw data, developing categories is a way to start the process of abstraction of the data (i.e. towards the general rather than the specific or anecdotal).
  • 차트 작성: 요약된 데이터를 프레임워크 메서드 매트릭스에 입력합니다(추가 파일 1, 섹션 6 참조). 
    Charting: Entering summarized data into the Framework Method matrix (see Additional File 1, Section 6).
  • 코드: '코딩'이라는 프로세스에서 원시 데이터의 발췌에 할당되는 설명적 또는 개념적 레이블입니다(추가 파일 1, 섹션 3 참조). 
    Code: A descriptive or conceptual label that is assigned to excerpts of raw data in a process called ‘coding’ (see Additional File 1, Section 3).
  • 데이터: 정성적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분석하기 전에 텍스트 형식이어야 합니다. 이러한 텍스트는 도출 텍스트(음식 일기 등 연구를 위해 특별히 작성된 텍스트) 또는 기존 텍스트(회의록, 정책 문서 또는 웹로그 등 기존 텍스트)일 수도 있고, 인터뷰 또는 포커스 그룹 데이터를 필사하거나 참여자 관찰을 수행하거나 대상 또는 사회적 상황을 관찰하면서 '현장' 노트를 작성하여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Data: Qualitative data usually needs to be in textual form before analysis. These texts can either be elicited texts (written specifically for the research, such as food diaries), or extant texts (pre-existing texts, such as meeting minutes, policy documents or weblogs), or can be produced by transcribing interview or focus group data, or creating ‘field’ notes while conducting participant-observation or observing objects or social situations.
  • 색인화: 합의된 분석 프레임워크의 코드를 전체 데이터 세트에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것입니다(추가 파일 1, 섹션 5 참조).
    Indexing: The systematic application of codes from the agreed analytical framework to the whole dataset (see Additional File 1, Section 5).
  • 매트릭스: 스프레드시트에는 요약된 데이터를 코드(열)와 사례(행)별로 입력하는 수많은 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추가 파일 1, 섹션 6 참조).
    Matrix: A spreadsheet contains numerous cells into which summarized data are entered by codes (columns) and cases (rows) (see Additional File 1, Section 6).
  • 주제: 전체 데이터 집합 분석의 최종 결과물로, 데이터의 측면을 묘사하거나 설명하는 해석적 개념 또는 명제입니다. 테마는 사례 간 및 사례 내 비교를 통해 데이터 범주를 조사하여 명확하게 표현하고 개발합니다. 일반적으로 여러 범주가 각 테마 또는 하위 테마에 속합니다[3].
    Themes: Interpretive concepts or propositions that describe or explain aspects of the data, which are the final output of the analysis of the whole dataset. Themes are articulated and developed by interrogating data categories through comparison between and within cases. Usually a number of categories would fall under each theme or sub-theme [3].
  • 트랜스크립트: 인터뷰나 대화와 같은 구두 상호 작용에 대한 축어적(단어 하나하나) 기록입니다.
    Transcript: A written verbatim (word-for-word) account of a verbal interaction, such as an interview or conversation.
12874_2012_991_MOESM1_ESM.docx
0.16MB

배경
Background

프레임워크 방법은 흔히 주제별 분석 또는 질적 콘텐츠 분석이라고 하는 광범위한 분석 방법군에 속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정성적 데이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한, 다음 데이터의 여러 부분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주제를 중심으로 한 기술적 또는 설명적 결론을 도출하고자 합니다. 프레임워크 방법은 1980년대 후반 영국 국립사회연구센터의 질적 연구 부서의 연구자인 제인 리치와 리즈 스펜서에 의해 대규모 정책 연구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1]. 현재는 건강 연구를 비롯한 다른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3-12]. 요약된 데이터의 행(사례), 열(코드), '셀'로 구성된 매트릭스 아웃풋은 연구자가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축소하여 사례별, 코드별로 분석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합니다[1]. 대부분의 경우 '사례'는 개별 인터뷰 대상자이지만, 미리 정의된 그룹이나 조직과 같은 다른 분석 단위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전체 데이터 세트에서 주요 주제에 대한 심층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각 연구 참여자의 견해는 매트릭스 내에서 해당 account의 다른 측면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개인의 견해에 대한 맥락이 손실되지 않습니다. 데이터를 비교하고 대조하는 것은 질적 분석에 매우 중요하며, 프레임워크 방법의 구조와 프로세스에는 개별 사례 내뿐만 아니라 사례 간 데이터를 쉽게 비교할 수 있는 기능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The Framework Method sits within a broad family of analysis methods often termed thematic analysis or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se approaches identify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qualitative data, before focusing on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parts of the data, thereby seeking to draw descriptive and/or explanatory conclusions clustered around themes. The Framework Method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Jane Ritchie and Liz Spencer, from the Qualitative Research Unit at the National Centre for Social Research in the United Kingdom in the late 1980s for use in large-scale policy research [1]. It is now used widely in other areas, including health research [312]. Its defining feature is the matrix output: rows (cases), columns (codes) and ‘cells’ of summarised data, providing a structure into which the researcher can systematically reduce the data, in order to analyse it by case and by code [1]. Most often a ‘case’ is an individual interviewee, but this can be adapted to other units of analysis, such as predefined groups or organisations. While in-depth analyses of key themes can take place across the whole data set, the views of each research participant remain connected to other aspects of their account within the matrix so that the context of the individual’s views is not lost. Comparing and contrasting data is vital to qualitative analysis and the ability to compare with ease data across cases as well as within individual cases is built into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the Framework Method.

프레임워크 방법은 따라야 할 명확한 단계를 제공하며, 요약된 데이터의 고도로 구조화된 결과물을 생성합니다. 따라서 여러 연구자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경우, 특히 모든 구성원이 질적 데이터 분석 경험이 없는 다학제 연구팀에서 전체 데이터 집합에 대한 총체적이고 설명적인 개요를 얻는 것이 바람직한 대규모 데이터 집합을 관리하는 데 유용합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모든 유형의 정성적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모든 정성적 연구 질문에 답하는 데 적합한 도구가 아니며, 정량적 연구자를 위한 '쉬운' 정성적 연구 버전도 아니므로 이 방법을 선택하기 전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좋습니다. 중요한 점은 프레임워크 방법은 매우 이질적인 데이터를 수용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즉, 데이터는 유사한 주제나 주요 이슈를 다루고 있어야 분류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물론 개별 인터뷰 대상자는 각 주제와 관련하여 매우 다른 견해나 경험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이를 비교하고 대조할 수 있습니다. 프레임워크 방법은 반구조화된 인터뷰 녹취록의 주제별 분석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원칙적으로 회의록이나 일기[12], 관찰 현장 노트[10] 등 다른 유형의 텍스트 데이터[13]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The Framework Method provides clear steps to follow and produces highly structured outputs of summarised data. It is therefore useful where multiple researchers are working on a project, particularly in multi-disciplinary research teams were not all members have experience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and for managing large data sets where obtaining a holistic, descriptive overview of the entire data set is desirable. However, caution is recommended before selecting the method as it is not a suitable tool for analysing all types of qualitative data or for answering all qualitative research questions, nor is it an ‘easy’ version of qualitative research for quantitative researchers. Importantly, the Framework Method cannot accommodate highly heterogeneous data, i.e. data must cover similar topics or key issues so that it is possible to categorize it. Individual interviewees may, of course, have very different views or experiences in relation to each topic, which can then be compared and contrasted. The Framework Method is most commonly used for the thematic analysis of semi-structured interview transcripts, which is what we focus on in this article, although it could, in principle, be adapted for other types of textual data [13], including documents, such as meeting minutes or diaries [12], or field notes from observations [10].

질적 연구자와 함께 일하거나 처음으로 질적 연구를 탐구하는 정량적 연구자에게는 프레임워크 방법의 체계적인 프로세스와 '스프레드시트' 접근 방식이 정량적 패러다임에 더 밀접하게 부합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매력적으로 다가옵니다[14]. 프레임워크 방법은 다루기 어려워 보일 수 있는 정성적 데이터를 분류하고 정리하는 매우 체계적인 방법이지만, (분석 선택을 내리고 해석 전략을 가시화하고 감사할 수 있게 만드는 방법 등) 정성적 데이터 분석과 관련된 일반적인 문제에 대한 만병통치약은 아닙니다. 매트릭스를 적절하게 해석하고 설명, 범주, 설명 및 유형화를 용이하게 생성하기 위해서는 질적 연구 스킬이 필요합니다. 또한 다른 질적 방법에서와 마찬가지로 프레임워크 방법에서도 반성성, 엄격성 및 품질이 요구됩니다. 따라서 분석에 프레임워크 방법을 사용하는 연구는 숙련된 질적 연구자가 감독하는 것이 필수적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질적 연구를 처음 접하는 연구자가 더 넓은 연구팀의 일원으로 분석에 기여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닙니다. 
For quantitative researchers working with qualitative colleagues or when exploring qualitative research for the first time, the nature of the Framework Method is seductive because its methodical processes and ‘spreadsheet’ approach seem more closely aligned to the quantitative paradigm [14]. Although the Framework Method is a highly systematic method of categorizing and organizing what may seem like unwieldy qualitative data, it is not a panacea for problematic issues commonly associated with qualitative data analysis such as how to make analytic choices and make interpretive strategies visible and auditable. Qualitative research skills are required to appropriately interpret the matrix, and facilitate the generation of descriptions, categories, explanations and typologies. Moreover, reflexivity, rigour and quality are issues that are requisite in the Framework Method just as they are in other qualitative methods. It is therefore essential that studies using the Framework Method for analysis are overseen by an experienced qualitative researcher, though this does not preclude those new to qualitative research from contributing to the analysis as part of a wider research team.

질적 데이터 분석에는 담화 분석[15] 및 민족지학[16]과 같이 언어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언어가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주목하는 접근법, 현상학[17, 18] 및 내러티브 방법[19]과 같이 경험, 의미 및 언어에 관심을 갖는 접근법, 근거 이론[20, 21]과 같이 일련의 절차와 상호 연결된 단계를 통해 데이터에서 도출된 이론을 개발하고자 하는 접근법 등 다양한 접근법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접근법 중 다수는 특정 분야와 연관되어 있으며 분석 과정을 형성하는 철학적 아이디어에 의해 뒷받침됩니다[22]. 그러나 프레임워크 방법은 특정 인식론적, 철학적 또는 이론적 접근 방식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테마를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다양한 질적 접근 방식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는 유연한 도구입니다. 
There are a number of approaches to qualitative data analysis, including those that pay close attention to language and how it is being used in social interaction such as discourse analysis [15] and ethnomethodology [16]; those that are concerned with experience, meaning and language such as phenomenology [17, 18] and narrative methods [19]; and those that seek to develop theory derived from data through a set of procedures and interconnected stages such as Grounded Theory [20, 21]. Many of these approaches are associated with specific disciplines and are underpinned by philosophical ideas which shape the process of analysis [22]. The Framework Method, however, is not aligned with a particular epistemological, philosophical, or theoretical approach. Rather it is a flexible tool that can be adapted for use with many qualitative approaches that aim to generate themes.

테마의 개발은 질적 데이터 분석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조사 대상 현상을 밝힐 수 있는 완전한 설명을 생성하기 위해 패턴을 체계적으로 검색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특히, 많은 질적 접근 방식은 근거 이론의 일부로 개발된 '지속적 비교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는 각 주제를 구체화하기 위해 사례 간에 체계적으로 비교하는 것을 포함합니다[21, 23]. 근거 이론과 달리 프레임워크 방법은 사회 이론을 생성하는 데는 관심이 없지만, 매트릭스 전반에 걸친 데이터 검토를 통해 지속적인 비교 기법을 크게 촉진할 수 있습니다. 
The development of themes is a common feature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involving the systematic search for patterns to generate full descriptions capable of shedding light on the phenomenon under investigation. In particular, many qualitative approaches use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 developed as part of Grounded Theory, which involves making systematic comparisons across cases to refine each theme [21, 23]. Unlike Grounded Theory, the Framework Method is not necessarily concerned with generating social theory, but can greatly facilitate constant comparative techniques through the review of data across the matrix.

프레임워크 방법이 매우 체계적이기 때문에, 다른 논평가들이 지적했듯이, 종종 질적 분석에 대한 연역적 접근법과 혼동되기도 합니다[13, 14]. 그러나 이 도구 자체는 귀납적 또는 연역적 주제 분석 중 어느 쪽에도 충실하지 않으며, 연구가 귀납적-연역적 연속체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는 연구 질문에 따라 달라집니다.

  • '환자가 심혈관 질환 발병에 대해 정확한 생의학적 설명을 할 수 있는가'와 같은 질문은 본질적으로 예/아니오 질문이므로(설명의 정도나 적절한 용어 사용에 따라 미묘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데이터 수집과 분석(예: 구조화 또는 반구조화 인터뷰, 지시적 질적 내용 분석[24]) 모두에 연역적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 마찬가지로 행동 변화 이론과 같은 기존 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하는 경우, 예를 들어 '계획된 행동 이론이 GP 처방을 설명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와 같은 연구 질문의 경우 연역적 접근 방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11].
  • 그러나 '사람들은 심혈관 질환 발병에 대한 설명을 어떻게 구성하는가'와 같은 연구 질문은 예상치 못한 것을 허용하고 연구자가 미리 예측할 수 없는 문화적 신념, 음식 준비 습관, '운명'의 개념 또는 슬픔과 같은 삶의 다른 중요한 사건과의 연관성을 포함할 수 있는 인터뷰 대상자의 사회적 위치 응답[25]을 허용하는 보다 귀납적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예: 인터뷰 대상자 주도 개방형 인터뷰 및 근거 이론 [20]).

Perhaps because the Framework Method is so obviously systematic, it has often, as other commentators have noted, been conflated with a deductive approach to qualitative analysis [13, 14]. However, the tool itself has no allegiance to either inductive or deductive thematic analysis; where the research sits along this inductive-deductive continuum depends on the research question.

  • A question such as, ‘Can patients give an accurate biomedical account of the onset of their cardiovascular disease?’ is essentially a yes/no question (although it may be nuanced by the extent of their account or by appropriate use of terminology) and so requires a deductive approach to both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e.g. structured or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direct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24]).
  • Similarly, a deductive approach may be taken if basing analysis on a pre-existing theory, such as behaviour change theori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research question such as ‘How doe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help explain GP prescribing?’ [11].
  • However, a research question such as, ‘How do people construct accounts of the onset of their cardiovascular disease?’ would require a more inductive approach that allows for the unexpected, and permits more socially-located responses [25] from interviewees that may include matters of cultural beliefs, habits of food preparation, concepts of ‘fate’, or links to other important events in their lives, such as grief, which cannot be predicted by the researcher in advance (e.g. an interviewee-led open ended interview and grounded theory [20]).

이러한 모든 경우에 프레임워크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습니다.

  • 연역적 접근법에서는 이전 문헌, 이전 이론 또는 연구 질문의 특성에 따라 주제와 코드가 미리 선택되는 반면,
  • 귀납적 접근법에서는 개방형(제한 없는) 코딩을 통해 데이터에서 주제를 생성한 후 주제를 구체화하는 방식으로 차이가 분명해집니다.

많은 경우, 프로젝트에 탐구해야 할 특정 이슈가 있지만 참가자의 경험이나 현상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에서 예상치 못한 다른 측면을 발견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두려는 목적이 있는 경우 두 가지 접근 방식을 결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요컨대, 프레임워크 방법은 연역적, 귀납적 또는 복합적 유형의 질적 분석에 맞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례와 주제별로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 연구 질문이 있으므로 프레임워크 방법을 피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연구 질문에 따라 생활사 데이터는 내러티브 분석[19]을,
  • 환자와 의료진 간의 상담 기록은 대화 분석[26]을,
  • 임산부를 위한 자료와 같은 다큐멘터리 데이터는 담화 분석[27]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In all these cases, it may be appropriate to use the Framework Method to manage the data. The difference would become apparent in how themes are selected:

  • in the deductive approach, themes and codes are pre-selected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previous theories or the specifics of the research question; whereas
  • in the inductive approach, themes are generated from the data though open (unrestricted) coding, followed by refinement of themes.

In many cases, a combined approach is appropriate when the project has some specific issues to explore, but also aims to leave space to discover other unexpected aspects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 or the way they assign meaning to phenomena. In sum, the Framework Method can be adapted for use with deductive, inductive, or combined types of qualitative analysis. However, there are some research questions where analysing data by case and theme is not appropriate and so the Framework Method should be avoided. For instance,

  • depending on the research question, life history data might be better analysed using narrative analysis [19];
  • recorded consultations between patients and their healthcare practitioners using conversation analysis [26]; and
  • documentary data, such as resources for pregnant women, using discourse analysis [27].

연구 설계나 데이터 수집을 심도 있게 고려하는 것은 이 백서의 범위에 속하지 않지만, 프레임워크 방법 분석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전에 한 걸음 물러나서 분석을 시작하기 전에 어떤 일이 일어나야 하는지 간략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분석 방법의 선택은 연구 제안 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연구 질문과 연구의 전반적인 목표에 부합해야 합니다. 많은 질적 연구, 특히 귀납적 분석을 사용하는 연구는 본질적으로 새로운 것이므로 연구자는 앞으로 일어날 일에 대한 "상상적 리허설"만 제공할 수 있습니다[28]. 혼합 방법 연구에서는 프로젝트의 더 넓은 목표 내에서 질적 구성 요소의 역할도 고려해야 합니다. 데이터 수집 단계에서는 질적 인터뷰가 고도로 숙련된 활동이기 때문에 적절히 훈련된 연구원이 질적 인터뷰를 수행할 수 있도록 리소스를 할당해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 연구팀은 일반인, 환자 또는 동료를 인터뷰에 참여시키기로 결정할 수 있으며[29-32], 이 경우 적절한 훈련과 멘토링을 받아야 하므로 시간과 자원이 필요합니다. 이 초기 단계에서는 데이터 관리 및 분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컴퓨터 지원 질적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CAQDAS)를 사용할지 여부를 고려하는 것도 유용합니다.

It is not within the scope of this paper to consider study design or data collection in any depth, but before moving on to describe the Framework Method analysis process, it is worth taking a step back to consider briefly what needs to happen before analysis begins. The selection of analysis method should have been considered at the proposal stage of the research and should fit with the research questions and overall aims of the study. Many qualitative studies, particularly ones using inductive analysis, are emergent in nature; this can be a challenge and the researchers can only provide an “imaginative rehearsal” of what is to come [28]. In mixed methods studies, the role of the qualitative component within the wider goals of the project must also be considered. In the data collection stage, resources must be allocated for properly trained researchers to conduct the qualitative interviewing because it is a highly skilled activity. In some cases, a research team may decide that they would like to use lay people, patients or peers to do the interviews [2932] and in this case they must be properly trained and mentored which requires time and resources. At this early stage it is also useful to consider whether the team will use 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CAQDAS), which can assist with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모든 형태의 정성적 또는 정량적 분석은 순전히 기술적인 과정이 아니라 연구자의 특성과 학문적 패러다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연구의 설계, 데이터의 구성 또는 수집, 분석 등 연구 과정 전반에 걸친 비판적 성찰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팀의 모든 구성원은 연구 일기를 작성하여 반성적 메모, 데이터에 대한 인상, 분석에 대한 생각 등을 연구 과정 전반에 걸쳐 기록해야 합니다. 숙련된 질적 연구자는 엄격하고 반성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를 선별하고 분석하는 데 더욱 능숙해집니다. 실제 사회생활의 복잡성을 포용하고 설명하며 복잡한 사회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풍부하고 미묘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확실성에 너무 집착하지 않고 연구 전반에 걸쳐 유연성과 적응력을 유지해야 합니다. 프레임워크 방법을 사용할 때는, 데이터 수집과 데이터 분석이 연구 과정의 엄격하게 순차적이고 상호 배타적인 단계인 양적 연구와 달리, 질적 분석에서는 프로젝트에 따라 어느 정도는 데이터 수집, 분석, 이론 개발 사이에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있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참가자의 새로운 아이디어나 인사이트가 잠재적으로 유익한 탐구 방향을 제시하거나, 면밀한 분석을 통해 추가 조사가 필요한 미묘한 불일치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As any form of qualitative or quantitative analysis is not a purely technical process, but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rs and their disciplinary paradigms, critical reflection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ss is paramount, including in the design of the study, the construction or collection of data, and the analysis. All members of the team should keep a research diary, where they record reflexive notes, impressions of the data and thoughts about analysis throughout the process. Experienced qualitative researchers become more skilled at sifting through data and analysing it in a rigorous and reflexive way. They cannot be too attached to certainty, but must remain flexible and adaptive throughout the research in order to generate rich and nuanced findings that embrace and explain the complexity of real social life and can be applied to complex social issues. It is important to remember when using the Framework Method that, unlike quantitative research where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are strictly sequential and mutually exclusive stages of the research process, in qualitative analysis there is, to a greater or lesser extent depending on the project, ongoing interplay between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theory development. For example, new ideas or insights from participants may suggest potentially fruitful lines of enquiry, or close analysis might reveal subtle inconsistencies in an account which require further exploration.

분석 절차
Procedure for analysis

1단계: 전사
Stage 1: Transcription

좋은 품질의 오디오 녹음이 필요하며, 이상적으로는 인터뷰의 축어적(단어 대 단어) 필사본이 필요합니다. 프레임워크 방법 분석의 경우, 내용이 주요 관심사이기 때문에 읽기 어려울 수 있는 대화 필사본의 규칙(예: 일시 정지 또는 두 사람이 동시에 대화하는 경우)을 반드시 포함할 필요는 없습니다. 트랜스크립트에는 나중에 코딩하고 메모할 수 있도록 여백이 넓고 줄 간격이 적절해야 합니다. 필사 과정은 데이터에 몰입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므로 신입 연구자에게 적극 권장할 만합니다. 그러나 일부 프로젝트에서는 이 작업을 전문 전사자에게 아웃소싱하는 것이 더 나은 리소스 활용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A good quality audio recording and, ideally, a verbatim (word for word) transcription of the interview is needed. For Framework Method analysis, it is not necessarily important to include the conventions of dialogue transcriptions which can be difficult to read (e.g. pauses or two people talking simultaneously), because the content is what is of primary interest. Transcripts should have large margins and adequate line spacing for later coding and making notes. The process of transcription is a good opportunity to become immersed in the data and is to be strongly encouraged for new researchers. However, in some projects, the decision may be made that it is a better use of resources to outsource this task to a professional transcriber.

2단계: 인터뷰에 익숙해지기
Stage 2: Familiarisation with the interview

오디오 녹음 및/또는 녹취록과 면접관이 녹음한 상황별 또는 반성적 메모를 사용하여 전체 인터뷰에 익숙해지는 것은 해석에 있어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오디오 녹음의 전체 또는 일부를 다시 듣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학제 또는 대규모 연구 프로젝트의 경우, 데이터 분석에 참여하는 사람과 인터뷰를 진행하거나 필사한 사람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 단계가 특히 중요합니다. 한 칸의 여백을 사용하여 분석 메모, 생각 또는 인상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 

Becoming familiar with the whole interview using the audio recording and/or transcript and any contextual or reflective notes that were recorded by the interviewer is a vital stage in interpretation. It can also be helpful to re-listen to all or parts of the audio recording. In multi-disciplinary or large research projects, those involved in analysing the data may be different from those who conducted or transcribed the interviews, which makes this stage particularly important. One margin can be used to record any analytical notes, thoughts or impressions.

3단계: 코딩
Stage 3: Coding

익숙해지면 연구자는 대본을 한 줄 한 줄 주의 깊게 읽으면서 구절에서 중요하다고 해석한 내용을 설명하는 문구나 라벨('코드')을 붙입니다. 귀납적 연구에서는 이 단계에서 가능한 한 다양한 관점에서 관련성이 있을 수 있는 모든 것을 코딩하는 '오픈 코딩'이 이루어집니다. 코딩은 다음 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실체적인 것(예: 특정 행동, 사건 또는 구조),
  • 가치(예: 근거 기반 의학 또는 환자 선택에 대한 믿음과 같이 특정 진술을 알리거나 뒷받침하는 것),
  • 감정(예: 슬픔, 좌절, 사랑) 및
  • 인상적/방법론적인 요소(예: 인터뷰 대상자가 설명하기 어려운 것을 발견했다, 인터뷰 대상자가 감정적이 되었다, 인터뷰자가 불편함을 느꼈다) [33] 

After familiarization, the researcher carefully reads the transcript line by line, applying a paraphrase or label (a ‘code’) that describes what they have interpreted in the passage as important. In more inductive studies, at this stage ‘open coding’ takes place, i.e. coding anything that might be relevant from as many different perspectives as possible. Codes could refer to

  • substantive things (e.g. particular behaviours, incidents or structures),
  • values (e.g. those that inform or underpin certain statements, such as a belief in evidence-based medicine or in patient choice),
  • emotions (e.g. sorrow, frustration, love) and
  • more impressionistic/methodological elements (e.g. interviewee found something difficult to explain, interviewee became emotional, interviewer felt uncomfortable) [33].

순수 연역적 연구에서는 코드가 미리 정의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예: 기존 이론 또는 프로젝트의 특정 관심 분야) 이 단계가 꼭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며 바로 색인화로 넘어갈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중요한 측면을 놓치지 않으려면, 적어도 몇 개의 트랜스크립트에서 오픈 코딩을 수행하는 것이 광범위한 연역적 접근 방식을 취하는 경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코딩은 모든 데이터를 분류하여 데이터 세트의 다른 부분과 체계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가능하면 최소 두 명의 연구자(또는 다학제 연구팀의 경우 각 분야 또는 전문 분야에서 한 명 이상)가 처음 몇 개의 기록물을 독립적으로 코딩해야 합니다. 환자, 대중 참여 대표 또는 임상의도 이 단계에 생산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데, 이는 대안적인 관점을 제시하여 특정 관점이 지배적이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In purely deductive studies, the codes may have been pre-defined (e.g. by an existing theory, or specific areas of interest to the project) so this stage may not be strictly necessary and you could just move straight onto indexing, although it is generally helpful even if you are taking a broadly deductive approach to do some open coding on at least a few of the transcripts to ensure important aspects of the data are not missed. Coding aims to classify all of the data so that it can be compared systematically with other parts of the data set. At least two researchers (or at least one from each discipline or speciality in a multi-disciplinary research team) should independently code the first few transcripts, if feasible. Patients, public involvement representatives or clinicians can also be productively involved at this stage, because they can offer alternative viewpoints thus ensuring that one particular perspective does not dominate.

귀납적 코딩에서는 문자 그대로의 설명적인 방식으로 코딩하는 것이 아니라, 예상치 못한 것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므로, 다양한 관점을 가진 사람들의 참여가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한 줄 한 줄 코딩을 통해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표현되지 않았거나 나머지 계정과 '맞지 않아서' 보통은 보이지 않는 부분을 고려하도록 연구자에게 경각심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데이터의 이상 징후를 조정하고 설명하면 분석을 더욱 강력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코딩은 새로운 코드를 자동으로 추적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인 CAQDAS를 사용하여 디지털 방식으로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연구자들은 코딩의 초기 단계를 종이와 펜으로 하는 것을 선호하며, 5단계(아래 참조)에 도달한 후에야 CAQDAS를 사용하기 시작합니다.
It is vital in inductive coding to look out for the unexpected and not to just code in a literal, descriptive way so the involvement of people from different perspectives can aid greatly in this. As well as getting a holistic impression of what was said, coding line-by-line can often alert the researcher to consider that which may ordinarily remain invisible because it is not clearly expressed or does not ‘fit’ with the rest of the account. In this way the developing analysis is challenged; to reconcile and explain anomalies in the data can make the analysis stronger. Coding can also be done digitally using CAQDAS, which is a useful way to keep track automatically of new codes. However, some researchers prefer to do the early stages of coding with a paper and pen, and only start to use CAQDAS once they reach Stage 5 (see below).

4단계: 작업용 분석 프레임워크 개발하기
Stage 4: Developing a working analytical framework

처음 몇 개의 트랜스크립트를 코딩한 후에는 관련된 모든 연구자가 모여 각자가 적용한 레이블을 비교하고, 이후의 모든 트랜스크립트에 적용할 코드 세트에 동의해야 합니다. 코드를 카테고리로 그룹화한 다음(도움이 된다면 트리 다이어그램을 사용)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작업용 분석 프레임워크가 형성됩니다. 추가 코드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분석 프레임워크를 여러 번 반복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각 범주 아래에 '기타' 코드를 두어 맞지 않는 데이터를 무시하지 않도록 하고, 마지막 기록이 코딩될 때까지 분석 프레임워크는 결코 '최종'이 아닙니다. 
After coding the first few transcripts, all researchers involved should meet to compare the labels they have applied and agree on a set of codes to apply to all subsequent transcripts. Codes can be grouped together into categories (using a tree diagram if helpful), which are then clearly defined. This forms a working analytical framework. It is likely that several iterations of the analytical framework will be required before no additional codes emerge. It is always worth having an ‘other’ code under each category to avoid ignoring data that does not fit; the analytical framework is never ‘final’ until the last transcript has been coded.

5단계: 분석 프레임워크 적용
Stage 5: Applying the analytical framework

그런 다음 기존 카테고리와 코드를 사용하여 후속 트랜스크립트를 색인화하여 작업용 분석 프레임워크를 적용합니다. 각 코드에는 일반적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번호나 약어가 할당되며(따라서 코드의 전체 이름을 매번 적을 필요가 없음), 트랜스크립트에 직접 기록됩니다. 컴퓨터 지원 정성적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CAQDAS)는 이 단계에서 특히 유용하며, 프로세스 속도를 높이고 이후 단계에서 데이터를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입니다. 정확한 지침에 따라 실제로 계산을 수행하는 통계 분석용 소프트웨어와 달리, 정성적 분석 소프트웨어 패키지에 데이터를 넣는 것은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분석 프로세스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저장하고 구성하는 효과적인 방법일 뿐이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The working analytical framework is then applied by indexing subsequent transcripts using the existing categories and codes. Each code is usually assigned a number or abbreviation for easy identification (and so the full names of the codes do not have to be written out each time) and written directly onto the transcripts. 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CAQDAS) is particularly useful at this stage because it can speed up the process and ensures that, at later stages, data is easily retrievable. It is worth noting that unlike software for statistical analyses, which actually carries out the calculations with the correct instruction, putting the data into a qualitative analysis software package does not analyse the data; it is simply an effective way of storing and organising the data so that they are accessible for the analysis process.

6단계: 프레임워크 매트릭스에 데이터 차트화
Stage 6: Charting data into the framework matrix

정성적 데이터는 방대하며(한 시간의 인터뷰로 15~30페이지의 텍스트가 생성될 수 있음), 데이터를 관리하고 요약(축소)하는 것은 분석 프로세스에서 매우 중요한 측면입니다. 스프레드시트를 사용하여 매트릭스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매트릭스에 '차트화'합니다. 차트 작성에는 각 기록에서 카테고리별로 데이터를 요약하는 작업이 포함됩니다. 좋은 차트를 작성하려면 한편으로는 데이터를 줄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인터뷰 대상자의 말의 원래 의미와 '느낌'을 유지하는 것 사이에서 균형을 맞출 수 있어야 합니다. 차트에는 흥미롭거나 예시적인 인용문에 대한 참조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CAQDAS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관리하는 경우 자동으로 태그를 지정할 수 있으며(N-Vivo 버전 9 이상에는 프레임워크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기능이 있음), 그렇지 않은 경우 대문자 'Q', (익명화된) 트랜스크립트 번호, 페이지 및 줄 참조로 충분합니다. 여러 분야가 참여하는 팀에서는 분석 프로세스의 초기 단계에서 요약 스타일을 비교하고 대조하여 팀 내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약어를 사용할 때는 팀원들이 동의해야 합니다. 팀원들이 분석 프레임워크에 익숙해지고 코딩과 차트 작성에 능숙해지면 평균적으로 1시간 분량의 요약본을 작성하는 데 반나절 정도 걸립니다. 초기 단계에서는 훨씬 더 오래 걸립니다. 
Qualitative data are voluminous (an hour of interview can generate 15–30 pages of text) and being able to manage and summarize (reduce) data is a vital aspect of the analysis process. A spreadsheet is used to generate a matrix and the data are ‘charted’ into the matrix. Charting involves summarizing the data by category from each transcript. Good charting requires an ability to strike a balance between reducing the data on the one hand and retaining the original meanings and ‘feel’ of the interviewees’ words on the other. The chart should include references to interesting or illustrative quotations. These can be tagged automatically if you are using CAQDAS to manage your data (N-Vivo version 9 onwards has the capability to generate framework matrices), or otherwise a capital ‘Q’, an (anonymized) transcript number, page and line reference will suffice. It is helpful in multi-disciplinary teams to compare and contrast styles of summarizing in the early stages of the analysis process to ensure consistency within the team. Any abbreviations used should be agreed by the team. Once members of the team are familiar with the analytical framework and well practised at coding and charting, on average, it will take about half a day per hour-long transcript to reach this stage. In the early stages, it takes much longer.

7단계: 데이터 해석
Stage 7: Interpreting the data

데이터에 대한 인상, 아이디어, 초기 해석을 기록할 수 있는 별도의 노트나 컴퓨터 파일을 준비해 두는 것이 연구 전반에 걸쳐 유용합니다. 흥미로운 아이디어, 개념 또는 잠재적 주제를 탐색하기 위해 어느 단계에서든 분석 메모[20, 21]를 작성하여 일반인 및 임상 구성원을 포함한 다른 연구팀원들과 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점차적으로 데이터의 특징과 데이터 간의 차이점을 파악하여 다음을 할  수 있습니다. 

  • 유형학을 생성하고,
  • 이론적 개념(이전 개념 또는 데이터에서 나온 개념)을 질문하거나,
  • 범주 간의 연결을 매핑하여 관계 및 인과관계를 탐색

데이터가 충분히 풍부하다면 이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특정 사례에 대한 기술을 넘어 설명으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 현상의 출현 이유,
  • 조직이나 기타 사회적 행위자가 상황을 어떻게 선동하거나 대응할지 예측,
  • 조직이나 시스템 내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영역을 식별

이 단계는 예상보다 오래 걸리는 경우가 많으므로 프로젝트 계획에 회의와 연구자 개개인의 연구 결과 해석 및 작성에 충분한 시간을 할당해야 합니다(추가 파일 1, 섹션 7 참조). 
It is useful throughout the research to have a separate note book or computer file to note down impressions, ideas and early interpretations of the data. It may be worth breaking off at any stage to explore an interesting idea, concept or potential theme by writing an analytic memo [20, 21] to then discuss with other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including lay and clinical members. Gradually, characteristics of and differences between the data are identified, perhaps

  • generating typologies,
  • interrogating theoretical concepts (either prior concepts or ones emerging from the data) or
  • mapping connections between categories to explore relationships and/or causality.

If the data are rich enough, the findings generated through this process can go beyond description of particular cases to explanation of, for example,

  • reasons for the emergence of a phenomena,
  • predicting how an organisation or other social actor is likely to instigate or respond to a situation, or
  • identifying areas that are not functioning well within an organisation or system.

It is worth noting that this stage often takes longer than anticipated and that any project plan should ensure that sufficient time is allocated to meetings and individual researcher time to conduct interpretation and writing up of findings (see Additional file 1, Section 7).

토론
Discussion

프레임워크 방법은 25년 이상 개발되어 연구에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질적 보건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는 분석 방법이 되었습니다. 질적 연구에서 품질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문제는 많은 논쟁이 있어 왔지만[20, 34-40], 분석의 엄격성과 투명성을 보장하는 것은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물론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프레임워크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도움이 됩니다: 
The Framework Method has been developed and used successfully in research for over 25 years, and has recently become a popular analysis method in qualitative health research. The issue of how to assess quality in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highly debated [20, 3440], but ensuring rigour and transparency in analysis is a vital component. There are, of course, many ways to do this but in the Framework Method the following are helpful:

  • 차트를 작성하는 동안 데이터를 요약하는 것은 데이터를 줄이는 실용적인 방법일 뿐만 아니라 일반인, 임상 및 (정량적) 학계 구성원을 포함한 다분야 팀의 모든 구성원이 (모든 기록을 읽거나 분석의 보다 기술적인 부분에 관여하지는 않더라도) 분석 과정에서 데이터에 참여하고 각자의 관점을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Summarizing the data during charting, as well as being a practical way to reduce the data, means that all members of a multi-disciplinary team, including lay, clinical and (quantitative) academic members can engage with the data and offer their perspectives during the analysis process without necessarily needing to read all the transcripts or be involved in the more technical parts of analysis.
  • 또한 차트를 작성하면 연구자가 해석으로 넘어가기 전각 참여자의 주관적인 프레임과 표현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설명하는 데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수 있습니다. 
    Charting also ensures that researchers pay close attention to describing the data using each participant’s own subjective frames and expressions in the first instance, before moving onto interpretation.
  • 요약된 데이터는 각 사례의 더 넓은 맥락에서 유지되므로 복잡한 의미와 이해의 층위에 주의를 기울이는 두꺼운 설명을 장려합니다[38].
    The summarized data is kept within the wider context of each case, thereby encouraging thick description that pays attention to complex layers of meaning and understanding [38].
  • 매트릭스 구조는 시각적으로 간단하며 모순되는 데이터, 비정상적인 사례 또는 빈 셀에 주의를 기울이는 등 연구팀의 모든 구성원이 데이터의 패턴을 쉽게 인식할 수 있습니다.
    The matrix structure is visually straightforward and can facilitate recognition of patterns in the data by any member of the research team, including through drawing attention to contradictory data, deviant cases or empty cells.
  • 체계적인 절차(이 문서에 설명되어 있음)를 통해 여러 분야의 팀이나 대규모 데이터 세트가 있는 경우에도 쉽게 따라할 수 있습니다.
    The systematic procedure (described in this article) makes it easy to follow, even for multi-disciplinary teams and/or with large data sets.
  • 인터뷰가 아닌 데이터(예: 인터뷰 중에 작성한 현장 메모 또는 반성적 고려 사항)도 매트릭스에 포함할 수 있을 만큼 유연합니다.
    It is flexible enough that non-interview data (such as field notes taken during the interview or reflexive considerations) can be included in the matrix.
  • 특정 인식론적 관점이나 이론적 접근 방식과 일치하지 않으므로 귀납적 또는 연역적 분석 또는 이 둘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예: 기존의 이론적 구성을 연역적으로 사용한 다음 귀납적 측면으로 이론을 수정하거나 귀납적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에서 주제를 식별한 다음 문헌으로 돌아가 연역적으로 이론을 사용하여 특정 주제를 추가로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됨).
    It is not aligned with a particular epistemological viewpoint or theoretical approach and therefore can be adapted for use in inductive or deductive analysis or a combination of the two (e.g. using pre-existing theoretical constructs deductively, then revising the theory with inductive aspects; or using an inductive approach to identify themes in the data, before returning to the literature and using theories deductively to help further explain certain themes).
  • 주제를 설명하기 위해 관련 데이터 추출을 식별하고 제안된 주제에 대한 충분한 증거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쉽습니다.
    It is easy to identify relevant data extracts to illustrate themes and to check whether there is sufficient evidence for a proposed theme.
  • 마지막으로, 원본 원시 데이터에서 최종 테마까지, 예시 인용문을 포함한 명확한 감사 추적이 있습니다.
    Finally, there is a clear audit trail from original raw data to final themes, including the illustrative quotes.

이 접근 방식에는 여러 가지 잠재적인 함정이 있습니다:
There are also a number of potential pitfalls to this approach:

  • 배경에서 언급했듯이 체계적인 접근 방식과 매트릭스 형식은 정량적으로 훈련된 사람들에게는 직관적으로 매력적이지만, '스프레드시트' 형식은 정성적 연구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없는 사람들이 정성적 데이터를 정량화하려는 유혹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예: "20명의 참가자 중 13명이 X라고 답함"). 정성적 연구의 표본 추출은 더 넓은 집단을 대표하도록 설계된 것이 아니라 현상에 대한 다양성을 포착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진술은 분명히 무의미합니다 [41]. 
    The systematic approach and matrix format, as we noted in the background, is intuitively appealing to those trained quantitatively but the ‘spreadsheet’ look perhaps further increases the temptation for those without an in-depth understanding of qualitative research to attempt to quantify qualitative data (e.g. “13 out of 20 participants said X). This kind of statement is clearly meaningless because the sampling in qualitative research is not designed to be representative of a wider population, but purposive to capture diversity around a phenomenon [41].
  • 모든 질적 분석 방법과 마찬가지로 프레임워크 방법도 시간과 리소스 집약적입니다. 응용 보건 연구의 모범 사례처럼 데이터 분석 및 해석에 여러 이해관계자 및 분야를 참여시킬 경우 필요한 시간이 연장됩니다. 이 시간은 펀딩 전 단계에서 프로젝트 제안서에 반영되어야 합니다. 
    Like all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the Framework Method is time consuming and resource-intensive. When involving multiple stakeholders and disciplines in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data, as is good practice in applied health research, the time needed is extended. This time needs to be factored into the project proposal at the pre-funding stage.
  • 새로운 다분야 팀에서 이 방법을 성공적으로 사용하려면 많은 교육이 필요합니다. 분석에서 각자의 역할에 따라 연구팀 구성원은 데이터를 코딩, 색인화, 차트화하는 방법을 배우고, 자신의 정체성과 경험이 분석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반성적으로 생각해야 하며, 데이터의 의미와 중요성을 정당하게 해석하기 위해 일반화 방법(통계적 일반화가 아닌 분석적 일반화 및 전이 가능성[41])에 대해 배워야 할 수도 있습니다. 
    There is a high training component to successfully using the method in a new multi-disciplinary team. Depending on their role in the analysis,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may have to learn how to code, index, and chart data, to think reflexively about how their identities and experience affect the analysis process, and/or they may have to learn about the methods of generalisation (i.e. analytic generalisation and transferability, rather than statistical generalisation [41]) to help to interpret legitimately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data.

프레임워크 방법은 비전문가도 데이터 분석에 참여할 수 있지만, 대규모 혼합 방법 연구의 전체 책임자가 다른 사람이더라도 숙련된 질적 연구자가 프로젝트를 이끄는 것이 이 방법을 성공적으로 사용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질적 연구 책임자는 최소한 질적 분석에 대한 사전 교육이나 경험이 있는 다른 연구자들과 함께 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질적 연구 책임자의 책임은 연구 설계, 프로젝트 일정 및 리소스 계획에 기여하고, 주니어 질적 연구자를 멘토링하고, 임상, 일반 및 기타 (비질적) 학자들이 분석 과정에 적절히 기여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데이터 및 다른 팀원들과 비판적이고 반성적인 참여를 장려하는 방식으로 분석 회의를 촉진하고, 마지막으로 연구 보고서 작성을 주도하는 것입니다. 
While the Framework Method is amenable to the participation of non-experts in data analysis, it is critical to the successful use of the method that an experienced qualitative researcher leads the project (even if the overall lead for a large mixed methods study is a different person). The qualitative lead would ideally be joined by other researchers with at least some prior training in or experience of qualitative analysis. The responsibilities of the lead qualitative researcher are: to contribute to study design, project timelines and resource planning; to mentor junior qualitative researchers; to train clinical, lay and other (non-qualitative) academics to contribute as appropriate to the analysis process; to facilitate analysis meetings in a way that encourages critical and reflexive engagement with the data and other team members; and finally to lead the write-up of the study.

결론
Conclusion

우리는 프레임워크 방법 연구가 의료 전문가, 심리학자, 사회학자, 경제학자, 일반인/서비스 사용자 등을 포함하는 다학제 연구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다양한 관점을 포함한다는 것은 분석 과정에서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많은 시간과 리소스가 소요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인터뷰 대상자가 표현하고 녹취록에서 확인된 아이디어가 각 분야의 기존 개념 및 이론과 프로젝트가 해결하고자 하는 보건 시스템의 실제 '문제'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해 광범위하고 반성적이며 비판적인 대화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팀 노력은 연구 결과의 신뢰성과 관련성을 높여 '전체가 부분의 합보다 크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임상 및 일반인의 연구 참여뿐만 아니라 학제 간 협업을 촉진하는 훌륭한 포럼입니다.
We have argued that Framework Method studies can be conducted by multi-disciplinary research teams that include, for example, healthcare professionals, psychologists, sociologists, economists, and lay people/service users. The inclusion of so many different perspectives means that decision-making in the analysis process can be very time consuming and resource-intensive. It may require extensive, reflexive and critical dialogue about how the ideas expressed by interviewees and identified in the transcript are related to pre-existing concepts and theories from each discipline, and to the real ‘problems’ in the health system that the project is addressing. This kind of team effort is, however, an excellent forum for driving forward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as well as clinical and lay involvement in research, to ensure that ‘the whole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parts’, by enhancing the credibility and relevance of the findings.

프레임워크 방법은 텍스트 데이터, 특히 인터뷰 녹취록의 주제별 분석에 적합하며, 여러 사례의 데이터를 주제별로 비교하고 대조하는 동시에 각 관점을 각 개인 기록의 다른 측면과의 연관성을 유지하여 맥락에 맞게 배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숙련된 질적 연구자가 분석의 모든 측면을 주도하고 진행해야 하지만, 프레임워크 방법의 체계적인 접근 방식은 다분야 팀의 모든 구성원을 참여시키는 데 적합합니다. 엄격한 질적 분석을 위해서는 모든 팀원의 개방적이고 비판적이며 반성적인 접근 방식이 필수적입니다.
The Framework Method is appropriate for thematic analysis of textual data, particularly interview transcripts, where it is important to be able to compare and contrast data by themes across many cases, while also situating each perspective in context by retaining the connection to other aspects of each individual’s account. Experienced qualitative researchers should lead and facilitate all aspects of the analysis, although the Framework Method’s systematic approach makes it suitable for involving all members of a multi-disciplinary team. An open, critical and reflexive approach from all team members is essential for rigorous qualitative analysis.

고품질의 질적 연구를 위해서는 실제 보건 시스템의 복잡성과 건강 문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질적 연구가 잘 수행되면 중요한 현상에 대한 설명과 예측을 제시하고, 대규모 연구의 정량적 부분과 건설적인 관계를 맺으며, 보건 서비스 개선과 보건 정책 개발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프레임워크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고 실행하면 신뢰할 수 있고 관련성 있는 결과를 도출하여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적합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Acceptance of the complexity of real life health systems and the existence of multiple perspectives on health issues is necessary to produce high quality qualitative research. If done well, qualitative studies can shed explanatory and predictive light on important phenomena, relate constructively to quantitative parts of a larger study,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health services and development of health policy. The Framework Method, when selected and implemented appropriately, can be a suitable tool for achieving these aims through producing credible and relevant findings.

요약
Summary

  • 프레임워크 방법은 데이터를 관리하고 매핑하기 위한 체계적인 모델을 제공하기 때문에 주제별(질적 내용) 분석을 지원하는 데 탁월한 도구입니다.
  • 프레임워크 방법은 사례 내 및 사례 간 비교를 통해 주제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인터뷰 데이터 분석에 가장 적합합니다.
  • 프레임워크 방법은 매트릭스 형태로 요약된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구조화한 개요를 제공하기 때문에 대규모 데이터 세트의 관리가 용이합니다.
  • 프레임워크 방법의 명확한 단계별 프로세스는 학제 간 및 협업 프로젝트에 적합합니다.
  • 이 방법의 사용은 숙련된 질적 연구자가 주도하고 촉진해야 합니다.
  • The Framework Method is an excellent tool for supporting thematic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because it provides a systematic model for managing and mapping the data.
  • The Framework Method is most suitable for analysis of interview data, where it is desirable to generate themes by making comparisons within and between cases.
  • The management of large data sets is facilitated by the Framework Method as its matrix form provides an intuitively structured overview of summarised data.
  • The clear, step-by-step process of the Framework Method makes it is suitable for interdisciplinary and collaborative projects.
  • The use of the method should be led and facilitated by an experienced qualitative researcher.

BMC Med Res Methodol. 2013 Sep 18;13:117. doi: 10.1186/1471-2288-13-117.

Using the framework method for the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in multi-disciplinary health research

Affiliations collapse

1Health Services Management Centre, University of Birmingham, Park House, 40 Edgbaston Park Road, Birmingham B15 2RT, UK. n.gale@bham.ac.uk.

PMID: 24047204

PMCID: PMC3848812

DOI: 10.1186/1471-2288-13-117

Free PMC article

Abstract

Background: The Framework Method is becoming an increasingly popular approach to the management and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in health research. However, there is confusion about its potential application and limitations.

Discussion: The article discusses when it is appropriate to adopt the Framework Method and explains the procedure for using it in multi-disciplinary health research teams, or those that involve clinicians, patients and lay people. The stages of the method are illustrated using examples from a published study.

Summary: Used effectively, with the leadership of an experienced qualitative researcher, the Framework Method is a systematic and flexible approach to analysing qualitative data and is appropriate for use in research teams even where not all members have previous experience of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역량-기반 평가: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하위역량 내용 예측하기 (Acad Med, 2023)
Competency-Based Assessments: Leverag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Predict Subcompetency Content
Gregory J. Booth, MD, Benjamin Ross, MD, William A. Cronin, MD, Angela McElrath, MD, Kyle L. Cyr, MD, John A. Hodgson, MD, Charles Sibley, MD, J. Martin Ismawan, MD, Alyssa Zuehl, MD, James G. Slotto, MD, Maureen Higgs, MD, Matthew Haldeman, MD, Phillip Geiger, MD, and Dink Jardine, MD, MS

 

 

역량 기반 의학교육(CBME)은 의학교육에서 졸업후교육의 기본이 되는 표준 패러다임이 되었습니다.1 미국의 경우, 미국의학전문대학원교육인증위원회(ACGME) 인증 프로그램 중 현재 평가 프레임워크는 6개의 핵심 역량 영역으로 구성되며, 각 영역은 수련의의 궤적을 추적하기 위해 5단계의 점진적 척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CGME는 각 전문과목이 초심자에서 독립 전문의가 되기까지의 특정 경로("마일스톤"이라고 함)를 정의할 수 있도록 합니다.2 기술과 의료 행위가 발전함에 따라 이러한 경로는 주기적으로 재평가되어 지속적인 발전과 진화하는 수련 표준에 발맞출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has become the standard paradigm underlying postgraduate training in medical education.1 In the United States, among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accredited programs, the current evaluation framework consists of 6 core competency domains, each with a progressive 5-level scale to track the trajectory of trainees. ACGME allows each specialty to define the specific pathways of progression from novice to independent (termed “Milestones”).2 As technology and medical practice progress, these pathways are periodically reassessed to ensure that they keep pace with ongoing developments and the evolving standard of training.

담당 의사는 수련의를 위한 성과 피드백을 생성하며, 이 피드백은 개인의 진전도를 평가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합니다.3 CBME 프레임워크에서 이러한 피드백은 정량적 평가에만 국한되어서는 안 됩니다.4 마일스톤을 만든 이유 중 하나는 수치화된 평가 척도에서 벗어나기 위해서였으며,5 의학교육의 일부 리더들은 서술적 피드백이 수치화된 평가를 완전히 대체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6 ACGME에 따르면, 각 프로그램은 "후원 기관의 전반적인 사명, 해당 기관이 봉사하고 졸업생이 봉사하게 될 지역사회의 요구사항, 졸업하고자 하는 의사의 고유한 역량"을 고려해야 합니다.7 내러티브 피드백에서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용어와 문구는 피드백 문화, 기관 관행, 환자 집단 등의 차이로 인해 매우 다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러티브 피드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기법을 포함한 평가 방법은 각 프로그램에 맞게 조정되어야 합니다.
Staff physicians generate performance feedback for trainees that is pivotal in assessing their individual progress.3 In the CBME framework, this feedback should not be limited to quantitative ratings.4 One of the stated reasons for creating Milestones was to move away from numerical rating scales,5 and some leaders in medical education argue that narrative feedback should replace numerical ratings entirely.6 According to the ACGME, each program must consider the “overall mission of its Sponsoring Institution, the needs of the community it serves and that its graduates will serve, and the distinctive capabilities of physicians it intends to graduate.”7 The terms and phrases that programs use in narrative feedback can vary widely due to differences in feedback culture, institution practices, patient populations, and more. Therefore, evaluation methods, including techniques used to analyze narrative feedback, must be tailored to each program.

자연어 처리(NLP) 또는 컴퓨터 언어학은 컴퓨터 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구어 또는 문어를 분석하여 인간의 능력에 근사치를 구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8 CBME 영역 내에서 NLP를 평가한 연구는 거의 없으며, 이러한 연구의 대부분은 연수생의 임상 기록을 검토하거나 특정 임상 경험에 대한 연수생의 노출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9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는 NLP가 ACGME 역량과 관련된 언어를 식별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했습니다. 

  • Neves 등은 NLP를 사용하여 수련의 평가에 대한 서술적 코멘트에 높은 품질과 높은 유용성 등 특정 피드백 특성이 포함되어 있는지 예측하고 전문성 또는 의사소통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지 조사했습니다.10
  • Zhang 등은 NLP를 사용하여 수련의 평가의 정서를 조사하고 코멘트에 반영된 ACGME 핵심 역량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했습니다.11 Zhang 등은 향후 연구에서는 더 큰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하위 역량을 식별하는 이러한 모델의 타당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좋다고 제안했습니다.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or computational linguistics, uses computer processing methods to analyze spoken or written language to perform tasks that seek to approximate human abilities.8 Few published studies have evaluated NLP within the realm of CBME, and most of these studies focused on reviewing trainees’ clinical notes or analyzing trainees’ exposure to certain clinical experiences.9 But a small subset explored whether NLP can identify language related to ACGME competencies.

  • Neves et al used NLP to predict whether narrative comments on trainee evaluations contained specific feedback traits, including high quality and high utility, and explored whether they included content about professionalism or communication.10 
  • Zhang et al used NLP to investigate sentiment of trainee evaluations and developed models to predict ACGME Core Competencies reflected by comments.11 Zhang et al suggested that future work should use larger data sets to focus on feasibility of such models to identify subcompetencies.

NLP를 사용하여 ACGME 전문 분야에 특화된 피드백 언어를 학습하는 모델을 만든 다음,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서술 코멘트의 ACGME 하위 역량 내용을 예측하기 위해 고유한 기관에 맞게 미세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모델은 각 프로그램이 졸업하고자 하는 고유한 역량에 대한 교육생의 진전 궤적을 추적하는 각 프로그램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NLP 기술은 대량의 텍스트를 매우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확장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시스템에 통합하여 교육생 평가의 프로그래밍 관리와 평가 언어에 대한 교수진의 피드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자연어 처리 기술은 수련의 성별과 관련된 암묵적 편견과 같은 평가의 편견을 밝혀내어 의학교육의 특정 격차를 완화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12 
NLP could be used to create models that learn the feedback language specific to ACGME specialties, which then could be fine-tuned to unique institutions to predict ACGME subcompetency content in narrative comments for specific programs. Such models could augment each program’s ability to track the trajectory of trainees’ progress toward the unique capabilities that the program intends to graduate. NLP techniques can scale to process volumes of text very rapidly and could be integrated into a variety of systems to enhance programmatic management of trainee evaluations and feedback to faculty on their evaluation language. NLP also holds promise to reveal biases in evaluation, such as implicit bias related to trainee gender, which could mitigate certain disparities in medical education.12

이 연구의 목적은 마취과 수련의에 대한 평가의 서술적 피드백을 적절한 ACGME 마일스톤 2.0 하위 역량 범주로 자동 분류하는 NLP 모델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것이었습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n NLP model to automatically categorize narrative feedback from evaluations of anesthesiology trainees into the appropriate ACGME Milestone 2.0 subcompetency categories.

방법
Method

투명성 및 개방성 증진
Transparency and openness promotion

이 조사는 개인 예후 또는 진단을 위한 다변량 예측 모델의 투명한 보고13 가이드라인과 생의학 연구에서의 기계 학습 예측 모델 개발 및 보고 가이드라인을 따릅니다.14 NLP 모델 구축을 위한 소스 코드는 공개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최종 모델은 공개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This investigation follows the Transparent Reporting of a Multivariable Prediction Model for Individual Prognosis or Diagnosis13 guidelines and the Guidelines for Developing and Reporting Machine Learning Predictive Models in Biomedical Research.14 Source code for building the NLP model is publicly available (https://github.com/gb563/Milestone_NLP), and the final model is available for public use (http://nb-group.org/milestone/).

연구 설계 및 데이터 출처
Study design and data source

이 프로토콜은 해군 의료센터 포츠머스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이 연구는 2개의 완전한 학년도(2019년 7월 1일 ~ 2021년 6월 30일, 적격 기록 수 = 6,494건) 동안 4개의 군 의학전문대학원(GME) 프로그램에서 마취과 수련의의 임상 성과 평가를 포괄하는 후향적 코호트 연구였습니다. 모든 사이트는 동일한 핵심 프로그램 목표를 공유합니다. 모든 데이터는 전자 평가 시스템에서 추출했습니다. 성과 평가에는 일일 임상 과제에서 직접 관찰한 피드백이 포함되었습니다. 평가 구조와 질문은 사이트마다 다르지만, 모두 서술적 설명을 위한 필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2곳의 사이트에는 전반적인 의견을 위한 일반 항목이, 1곳에는 긍정적인 관찰과 건설적인 관찰 항목이, 1곳에는 전반적인 의견, 긍정적인 관찰, 건설적인 관찰 항목이 포함되었습니다. 코멘트이 없는 평가는 모두 제외했으며, 나머지 평가의 각 분야별 코멘트을 합산했습니다. 총 5,935개의 평가가 연구에 포함되었습니다. 이러한 평가는 25,714개의 개별 문장으로 분리되었으며, 169명의 수련의에 대한 207명의 마취과 전문의의 피드백을 나타냅니다. 문장 분리 및 추가 텍스트 전처리는 자연어 툴킷 3.6.15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습니다. 
This protocol was approved by the Naval Medical Center Portsmouth Institutional Review Board. This wa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encompassing clinical performance evaluations of anesthesiology trainees from 4 military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programs during 2 complete academic years (July 1, 2019, to June 30, 2021, n = 6,494 eligible records). All sites share the same core set of program aims. All data were extracted from electronic evaluation systems. Performance evaluations included direct observation feedback from daily clinical assignments. Evaluation structure and questions are site-specific, but all include fields for narrative comments. Two sites included a generic field for overall comments, 1 site included a field for positive observations and another for constructive observations, and 1 site include fields for overall comments, positive observations, and constructive observations. All evaluations without comments were excluded, and comments from each field in the remaining evaluations were pooled. A total of 5,935 evaluation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se evaluations were separated into 25,714 individual sentences and represented feedback from 207 staff anesthesiologists on 169 trainees. Sentence separation and further textual preprocessing were performed using Natural Language Toolkit 3.6.15

이 조사는 Zhang 등11의 연구를 기반으로 하며 몇 가지 주요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 조사는 단일 기관의 699개 코멘트을 사용하여 ACGME 핵심 역량을 예측하도록 설계된 모델에 대한 내부 검증 메트릭을 보고했으며, 유사한 모델이 하위 역량을 예측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더 큰 데이터 세트를 탐색해야 한다고 가정했습니다. 이 조사에는 여러 기관의 수천 개의 코멘트이 포함되었으며, 사전에 훈련 코호트검증 코호트로 나뉘어 하위 역량 예측을 수행했습니다. 
This investigation builds on the work of Zhang et al11 and has several key differences. Their investigation reported internal validation metrics on models designed to predict ACGME Core Competencies using 699 comments from a single institution and posited that a larger data set should be explored to assess whether similar models can predict subcompetencies. This investigation included several thousand comments from multiple institutions, split a priori into training and validation cohorts, and we performed subcompetency prediction.

본 조사는 의료 분야에서 책임감 있는 인공 지능을 목표로 하는 몇 가지 최신 전략을 사용하여 설계 및 구현되었습니다.16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엄격한 설계 및 보고 기준13,14;
  • 모델 개발에 사용된 코드 공개;
  • 모델을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축하여 공개적으로 탐색, 테스트 및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
  • 모델이 예측하는 방식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석 가능성 그래픽을 포함시켰습니다.

또한, 하위 단어 또는 단어의 작은 부분을 잡아내어 학습 중에 한 번도 접해보지 못한 단어에 대해서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비표준 단어, 약어, 철자 오류가 자주 발생하는 의료 분야에서 특히 중요합니다.
Our investigation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using several contemporary strategies aimed at responsible artificial intelligence in health care,16 including

  • rigorous design and reporting criteria13,14;
  • publishing the code that was used to develop models;
  • an effort to build the model into a web-based application to allow public exploration, testing, and validation; and
  • the inclusion of interpretability graphics to better understand how the model makes predictions.

Additionally, our model captures subwords, or smaller sections of words, so that it can make predictions on words that it never encountered during training. This feature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health care where nonstandard words, abbreviations, and spelling errors are frequently encountered.

결과
Outcomes

이 조사의 1차 평가지표는 마취과 수련의의 성과 평가에 대한 서술적 코멘트를 통해 마일스톤 2.0 하위 역량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의 개발 및 평가였습니다. 2차 결과에는 각 평가 문장에 하위 역량 레이블을 할당하는 전문가들의 평가자 간 합의와 전문가들이 동의하지 않을 때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하위 역량 레이블에 대한 탐색적 분석이 포함되었습니다.
The primary endpoint of this investigation was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algorithm to predict Milestone 2.0 subcompetencies from narrative comments on anesthesiology trainee performance evaluations. Secondary outcomes included inter-rater agreement for experts assigning subcompetency labels to each evaluation sentence and exploratory analysis of the most frequent co-occurring subcompetency labels when experts disagreed.

마일스톤 2.0 하위 역량을 평가에 할당하기
Assigning Milestone 2.0 subcompetencies to evaluations

4개의 군사 대학원 교육 프로그램에서 10명의 마취과 전문의가 모집되었습니다. 이 그룹에는 프로그램 책임자 2명과 현재 또는 과거의 부프로그램 책임자 8명이 포함되었습니다. 편향성을 완화하기 위해 난수 생성기를 사용하여 각 평가에 2명의 검토자를 배정했습니다. 어떤 리뷰어에게도 동일한 평가 세트를 배정하지 않았으며, 각 평가는 정확히 두 번 배정되었습니다. 모든 평가는 비식별화되었습니다. 비식별화를 달성하기 위해 평가 모음에 나타나는 모든 단어의 사전을 수동으로 검토했습니다. 이 사전 내의 모든 교육생 및 교수진 이름을 컴파일한 다음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평가에서 제거했습니다. 각 검토자에게는 개별 문장으로 분할된 평가 목록이 제공되었습니다. 그런 다음 검토자는 할당된 문장에 내용을 가장 잘 파악한 23개의 마취과 마일스톤 2.0 하위 역량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인구통계학적 특성(예: "이것은 당직 근무에 대한 평가입니다.") 또는 유용하지 않은 경우(예: "잘했음.")를 나타내는 D 또는 N으로 레이블을 지정했습니다. 각 문장에는 고유 식별 번호가 부여되어 검토자가 어떤 문장이 같은 평가에서 나온 것인지 알 수 있도록 했습니다. 여러 문장이 있는 평가의 경우, 식별 번호는 검토자가 코멘트의 맥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Ten academic anesthesiologists from 4 military graduate education programs were recruited. This group included 2 program directors and 8 current or past associate program directors. To mitigate bias, a random number generator was used to assign 2 reviewers to each evaluation. No reviewers were assigned the same set of evaluations, and each evaluation was assigned exactly twice. All evaluations were deidentified. To achieve deidentification, a dictionary of all words that appear in the collection of evaluations was manually reviewed. All trainee and faculty names within this dictionary were compiled and then programmatically removed from evaluations. Each reviewer was provided a list of evaluations that were split into individual sentences. The reviewers then labeled their assigned sentences with 1 of the 23 anesthesiology Milestone 2.0 subcompetencies that best captured content, or D for demographics (e.g., “This is an evaluation for a call shift.”), or N for not useful (e.g., “Good job.”). Each sentence was given a unique identifying number so that reviewers knew which sentences came from the same evaluation. For evaluations that had multiple sentences, the identifier helped reviewers understand the context of comments.

연구 책임자(G.J.B.)는 각 검토자를 만나 마일스톤 2.0 하위 역량에 대해 논의하고, 지침을 설명하고, 검토자가 과제를 수행할 능력이 있다고 느낄 때까지 몇 가지 예제를 검토했습니다. 각 검토자에게는 ACGME 마취학 마일스톤 2.0 가이드가 제공되었지만, 결과 평가의 편견을 최소화하기 위해 명시적인 채점 규칙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The principal investigator (G.J.B.) met with each reviewer to discuss the Milestone 2.0 subcompetencies, explain the instructions, and go through several examples until reviewers felt competent performing the task. Each reviewer was given the ACGME Anesthesiology Milestone 2.0 guide, but no explicit scoring rules were provided to minimize bias in outcome assessment.

훈련 및 검증 코호트
Training and validation cohorts

사전 훈련 코호트는 사이트 1, 2, 4의 풀링된 데이터로, 외부 검증 코호트는 사이트 3으로 결정했습니다. 훈련 코호트는 두 리뷰어가 라벨에 동의한 문장으로 제한되었습니다(n = 11,960). 이러한 문장은 각 평가 내에서 동일한 레이블이 할당된 문장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추가 처리되었습니다. 이 단계를 거친 최종 훈련 코호트에는 10,218개의 코멘트이 포함되었습니다(그림 1). 따라서 각 코멘트은 단일 문장 또는 단일 평가에서 나온 동일한 레이블을 가진 문장들의 조합을 나타냅니다. 이 단계는 다양한 구두점 사용을 제어하기 위해 수행되었습니다.

  • 어떤 평가자는 연속된 문장을 작성했고,
  • 어떤 평가자는 세미콜론으로 아이디어를 구분했으며,
  • 어떤 평가자는 대시 또는 아무것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A priori, it was decided that the training cohort was the pooled data from Sites 1, 2, and 4, and the external validation cohort was Site 3. The training cohort was limited to sentences for which both reviewers agreed on the label (n = 11,960). These sentences were further processed by combining sentences within each evaluation that were assigned the same label. After this step, the final training cohort contained 10,218 comments (Figure 1). Therefore, each comment represents either a single sentence or a combination of sentences that come from a single evaluation and have the same label. This step was performed to help control for variable use of punctuation.

  • Some evaluators wrote run-on sentences,
  • others separated ideas with semicolons, and
  • others with dashes or nothing at all.

알고리즘은 평가를 문장으로 분할한 다음 분류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이 처리 단계는 학습 데이터가 단순히 [별개의 문장]이 아닌 평가에서 [별개의 주제]를 포착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검증 코호트의 경우, 연구 책임자가 라벨 할당에 대한 의견 불일치 시 동점자를 결정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최종 검증 코호트에는 2,255개의 문장이 포함되었습니다. 이 접근 방식에는 두 가지 장점이 있었습니다.

  • 첫째, 평가자 간 합의가 완벽한 훈련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숙련된 분류자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 둘째, 검증 사이트의 모든 평가를 포함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모든 피드백을 대표하는 보이지 않는 데이터에 대한 분류기의 일반화 가능성을 평가하여 편향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Since the algorithm was designed to split evaluations into sentences and then classify them, this processing step helped ensure that training data captured distinct topics in evaluations rather than simply distinct sentences. For the validation cohort, the principal investigator served as the tie-breaker for any disagreements in label assignments. The final validation cohort contained 2,255 sentences. This approach had 2 advantages.

  • First, selecting training data with perfect inter-rater agreement helped build a skilled classifier.
  • Second, including all evaluations from the validation site helped reduce bias by assessing the generalizability of the classifier to unseen data representative of all feedback from a program.

 

예측자
Predictors

모델 입력은 내러티브 성능 평가의 원시 텍스트만 사용했습니다. 모든 텍스트는 소문자로 변환되었고 알파벳이 아닌 문자는 제거되었습니다. 텍스트 분류기에 거의 가치를 부여하지 않는 일반적인 단어, 즉 중단어(예: of, to, in)는 제거되었습니다. 하위 역량 레이블은 상당한 클래스 불균형을 보여주었습니다(표 1). 환자 관리(PC)6, PC9, 전문성(P)3, 대인 커뮤니케이션 및 기술(ICS)3, 실습 기반 학습 및 개선(PBLI)1, 시스템 기반 실습(SBP)1은 각각 전체 레이블의 1% 미만으로 포함되었습니다. 따라서 NLP 모델에 각 범주에서 적절한 샘플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 하위 역량을 결합했습니다. PC6(현장 초음파)는 PC2(수술 전후 치료 및 관리)로, PC9(중환자 치료)는 PC7(상황 인식 및 위기 관리)로 재할당되었습니다. P, ICS, PBLI 및 SBP 내의 모든 하위 역량은 통합되었습니다. 따라서 분류 알고리즘이 예측할 수 있는 최종 카테고리는 16개였습니다: PC1, PC2, PC3, PC4, PC5, PC7, PC8, PC10, MK1, MK2, P, ICS, PBLI, SBP, D, N(표 2). 이러한 처리 기법은 훈련 및 검증 코호트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되었습니다.

The only model inputs were raw text from narrative performance evaluations. All text was converted to lowercase, and nonalphabetic characters were removed. Common words that add little value to text classifiers, termed stopwords (e.g., of, to, in), were removed. Subcompetency labels demonstrated substantial class imbalance (Table 1). Patient care (PC)6, PC9, professionalism (P)3,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skills (ICS)3, practice-based learning and improvement (PBLI)1, and systems-based practice (SBP)1 each contained < 1% of total labels. Therefore, to provide the NLP model with adequate samples in each category, certain subcompetencies were combined. PC6 (point of care ultrasound) was reassigned to PC2 (perioperative care and management) and PC9 (critical care) was reassigned to PC7 (situational awareness and crisis management). All subcompetencies within P, ICS, PBLI, and SBP were combined. Therefore, there were 16 final categories for the classification algorithm to predict: PC1, PC2, PC3, PC4, PC5, PC7, PC8, PC10, MK1, MK2, P, ICS, PBLI, SBP, D, N (Table 2). These processing techniques were applied in the same manner for the training and validation cohorts.

 

통계 분석
Statistical analysis

모델 개발.
Model development.

NLP 모델에는 FastText가 사용되었습니다. FastText는 맞춤법 오류와 의학 전문 용어 등 데이터 세트에 내재된 몇 가지 한계를 극복하는 오픈 소스 머신 러닝 알고리즘17입니다. FastText는 하위 단어(예: "intubate"의 하위 단어에는 "int", "ntu", "tub", "uba", "bat", "ate"가 포함될 수 있음)에 집중함으로써 이러한 영역에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며, 표준 영어 사전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철자와 단어 또는 약어에 대한 내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하위 단어 분석을 통해 분류기가 학습 과정에서 한 번도 보지 못한 단어가 포함된 문장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FastText는 불균형한 클래스가 포함된 대규모 데이터 세트를 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FastText was used for the NLP model. FastText is an open-source machine learning algorithm17 that overcomes several limitations inherent to the dataset, including spelling errors and medical jargon. FastText excels in these areas by focusing on subwords (e.g., subwords for “intubate” could include “int,” “ntu,” “tub,” “uba,” “bat,” “ate”), making it resistant to misspellings and words or abbreviations that may not appear in a standard English dictionary. Subword analysis also allows predictions on sentences containing words that the classifier has never seen in the training process. Finally, FastText is facile dealing with large datasets that contain imbalanced classes.

머신러닝에서 하이퍼파라미터는 학습 과정을 안내하는 알고리즘 피쳐입니다. 조사된 구체적인 하이퍼파라미터는 다음이 있다. 

  • 학습 속도(각 훈련 주기 동안 모델이 스스로 업데이트하는 정도),
  • 에포크(훈련 주기 수),
  • 하위 단어의 길이(고려해야 할 연속 글자 수),
  • 단어 n-그램(고려해야 할 연속 단어 수)

매크로 F1 점수를 최적화하는 하이퍼파라미터 세트를 결정하기 위해 5배 교차 검증을 사용하여 그리드 검색을 수행했습니다. F1 점수는 민감도와 양의 예측값의 균형을 추구하며, 매크로 F1은 각 클래스의 관찰 수를 고려하지 않고 각 클래스에 대한 F1 점수의 평균을 산출합니다. 이 접근 방식은 클래스 불균형의 영향을 완화하고 16개 카테고리를 모두 동등하게 중요하게 취급합니다.
In machine learning, hyperparameters are algorithm features that guide the learning process. Specific hyperparameters investigated were

  • learning rate (the extent to which the model updates itself during each training cycle),
  • epochs (number of training cycles),
  • length of subwords (number of consecutive letters to consider), and
  • word n-grams (number of consecutive words to consider).

Grid search was performed using fivefold cross-validation to determine the set of hyperparameters that optimized the macro F1 score. F1 score seeks to balance sensitivity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macro F1 averages F1 scores for each class without considering the number of observations in each class. This approach mitigates the impact of class imbalance and treats all 16 categories as equally important.

교차 검증을 사용하면 전체 훈련 세트가 80%:20% 코호트 또는 폴드로 분할됩니다. 모델은 80% 폴드에서 일련의 하이퍼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훈련되고, 훈련된 모델의 성능은 20% 폴드에서 평가됩니다. 다른 폴드를 사용하여 동일한 하이퍼파라미터로 이 과정을 4회 반복하여 주어진 하이퍼파라미터 조합에 대한 전체 학습 데이터 세트의 평균 매크로 F1 점수를 계산합니다. 이 과정은 가능한 모든 하이퍼파라미터 조합에 대해 반복됩니다. 그런 다음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인 하이퍼파라미터를 전체 훈련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최종 모델을 훈련하는 데 사용했습니다.
With cross-validation, the entire training set is split into 80%:20% cohorts, or folds. The model is trained using a set of hyperparameters on the 80% fold, and performance of that trained model is assessed on the 20% fold. This repeats 4 times with the same hyperparameters using the other folds to calculate average macro F1 score across the entire training dataset for a given combination of hyperparameters. This process is repeated for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hyperparameters. The hyperparameters that yielded the best performance were then used to train the final model using the entire training dataset.

성능 메트릭 및 모델 검증.
Performance metrics and model validation.

최종 모델 파라미터가 결정되면 각 클래스에 대한 민감도, 양의 예측값, F1 및 수신기 작동 특성 곡선 아래 면적(AUC)을 계산하여 내부 검증을 평가했습니다. AUC는 한 클래스와 다른 모든 클래스를 고려하여 계산했습니다. 예를 들어, PC1에 대한 AUC는 코멘트을 PC1에 속하는 것과 다른 카테고리에 속하는 것을 구별하는 알고리즘의 능력을 측정합니다. 외부 검증은 검증 코호트에 대한 AUC를 계산하여 평가했습니다. 성능 지표의 평균 및 95% 신뢰 구간은 500개의 샘플로 계층화된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결정되었습니다. 계층화된 부트스트래핑은 각 훈련 샘플에 동일한 비율의 하위 역량이 포함되도록 하여 클래스 불균형을 고려합니다. 훈련 및 검증 코호트에서 보정 곡선을 통해 예측 신뢰도를 평가했습니다. 각 범주에 대한 관찰 확률과 모델 예측 확률을 비교하여 각 범주에 대한 보정 곡선을 생성했습니다. 잘 보정된 모델은 관찰된 확률과 매우 유사한 예측 확률을 보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모델이 어떤 코멘트을 70%의 확률로 PC1이라고 예측했다면, 리뷰어에 따르면 유사한 코멘트 10개 중 7개가 실제로는 PC1이어야 합니다.
Once the final model parameters were determined, internal validation was assessed by calculating sensitiv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F1, and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UC) for each class. AUC was calculated by considering one class vs all others. For example, AUC for PC1 measures the algorithm’s ability to discriminate a comment as belonging to PC1 vs any other category. External validation was assessed by calculating AUC on the validation cohort. Mean and 95% confidence intervals for performance metrics were determined by stratified bootstrapping with 500 samples. Stratified bootstrapping ensures that each training sample contains the same relative proportions of subcompetencies to account for class imbalance. Prediction reliability was assessed in the training and validation cohorts through calibration curves. Calibration curves were generated for each category by plotting observed probabilities vs model prediction probabilities for each class. A well-calibrated model should demonstrate prediction probabilities that are very similar to observed probabilities. For example, if the model predicts that a comment is PC1 with 70% probability, then 7 out of 10 similar comments should in fact be PC1 according to reviewers.

2차 결과 및 민감도 분석.
Secondary outcomes and sensitivity analyses.

리뷰어의 레이블은 개수와 빈도로 설명했습니다. 레이블은 순위나 순서가 없는 명목 변수로 간주했습니다. 모든 하위 역량 라벨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자 간 일치도는 Fleiss의 카파를 사용하여 평가했습니다. 각 하위 역량에 대해 범주별 일치율을 계산하여 특정 하위 역량에 따라 평가자 간 동의가 달라지는지 조사했습니다. 리뷰어들이 동의하지 않을 때 가장 빈번하게 함께 나타나는 하위 역량 레이블을 조사하여 하위 역량에 구분하기 어려운 주제가 있는지 조사했습니다. 두 가지 민감도 분석이 수행되었습니다.

  • 첫째, 6개의 핵심 역량으로 묶은 후 평가자가 지정한 라벨에 대한 평가자 간 합의도를 조사했습니다.
  • 둘째, 외부 검증 데이터에 대한 성능 지표를 평가자 간 완벽한 합의가 있는 문장 하위 집합에 대해 계산하여 평가자 간 완벽한 합의가 포함된 학습 데이터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동점자 불일치 또는 모델 예측에 편향이 있을 수 있는지 평가했습니다.

분석은 Python 3.8(델라웨어주 윌밍턴) 및 R 4.1(매사추세츠주 보스턴)을 사용하여 수행되었습니다.
Reviewers’ labels were described with counts and frequencies. Labels were considered nominal variables with no ranking or ordering. Overall inter-rater agreement for all subcompetency labels was assessed with Fleiss’ Kappa. Category-specific percent agreement was calculated for each subcompetency to investigate whether specific subcompetencies varied in reviewer agreement. The most frequent co-occurring subcompetency labels when reviewers disagreed were explor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ere themes in subcompetencies that were difficult to differentiate. Two sensitivity analyses were performed.

  • First, inter-rater agreement on reviewer-assigned labels was explored after pooling them into the 6 Core Competencies.
  • Second, performance metrics on external validation data were calculated for the subset of sentences for which there was perfect inter-rater agreement to assess whether there could be bias in the process of tie-breaking disagreements or bias in model predictions since it was developed with training data that contained perfect inter-rater agreement.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Python 3.8 (Wilmington, Delaware) and R 4.1 (Boston, Massachusetts).

모델 해석 가능성.
Model interpretability.

대부분의 머신 러닝 모델과 마찬가지로 NLP 모델은 블랙박스 동작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습니다. 로지스틱 회귀의 확률 비율과 같이 쉽게 해석할 수 있는 계수가 없습니다. 최종 모델이 어떻게 예측을 했는지 이해하기 위해 로컬 해석 가능한 모델-무관용 설명(LIME)18을 사용했습니다. LIME은 다양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에 사용되어 예측을 할 때 어떤 특징이 중요한지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개의 예시 문장에 대해 모델 예측과 LIME 시각화를 수행했으며, 이 기능은 온라인 애플리케이션에 내장되었습니다.
NLP models, like most machine learning models, suffer from black-box behavior. There are no coefficients, such as odds ratios in logistic regression, that are easily interpretable. Local Interpretable Model-Agnostic Explanations (LIME)18 was used to understand how the final model made predictions. LIME can be used for a wide range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help demonstrate what features are important while making predictions. Model predictions and LIME visualizations were performed for 3 example sentences, and this feature was built into the online application.

모델 구현.
Model implementation.

이 모델은 교육생 자가 평가 연습의 일부로 작동되었습니다. 모델을 구현하는 간단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든 다음 모델 출력이 포함된 스프레드시트를 생성했습니다. 18명의 교육생에 대한 모든 평가는 연구 기간 후 6개월 동안 수집되었습니다. 이 모델은 각 교육생의 내러티브 코멘트를 읽고 개별 문장으로 분리한 다음 각각에 해당 카테고리에 레이블을 지정했습니다. 이렇게 분류된 코멘트는 각 교육생이 멘토와 함께 검토할 수 있도록 별도의 스프레드시트에 자동으로 정리되어 스스로 결정한 하위 역량에 대한 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실행 계획을 안내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The model was operationalized as part of a trainee self-assessment exercise. A simple computer program was created which implements the model and then produces spreadsheets containing model outputs. All evaluations on 18 trainees were collected from a 6-month window after the study period. The model read each trainee’s narrative comments, separated them into individual sentences, and labeled each with the corresponding category. These labeled comments were then automatically organized into separate spreadsheets for each trainee for review with their mentors to help guide action plans to improve performance in self-determined subcompetencies.

결과
Results

평가 라벨
Evaluation labels

전체 데이터 세트에 대한 검토자 라벨(두 검토자가 라벨에 동의하지 않은 의견을 제외하기 전)에는 PC 35.2%, MK 8.8%, P 10.1%, ICS 5.9%, PBLI 5.1%, SBP 3.8%, D 10.1%, N 21.0%가 포함되었으며, 훈련 코호트최종 검증 코호트 간에 검토자가 지정한 라벨의 분포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습니다(P < .01). 가장 큰 차이는 P와 N에서 관찰되었습니다(표 1).
Reviewer labels on the complete dataset (before excluding comments where both reviewers did not agree on the labels) included 35.2% PC, 8.8% MK, 10.1% P, 5.9% ICS, 5.1% PBLI, 3.8% SBP, 10.1% D, and 21.0% 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reviewer-assigned labels between the training and final validation cohorts (P < .01). The bigges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P and N (Table 1).

평가자 간 합의
Inter-rater agreement

검토자들은 25,714개 문장 중 13,068개 문장에 대해 25개 레이블(23개 하위 역량, D, N)에 동의했습니다(전체 동의율 50.8%). PC10(말초 및 신경계 마취, 72.0%)이 가장 높은 동의율을 보였고 SBP3(의료 시스템에서의 의사의 역할, 9.9%)가 가장 낮은 동의율을 보였습니다(보충 디지털 부록 1). Fleiss의 카파는 25개 범주에 대해 0.44였습니다. 하위 역량을 핵심 역량으로 합산했을 때 Fleiss의 카파는 0.50이었습니다. 전문가들이 하위 역량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을 때 가장 빈번하게 동반되는 하위 역량 레이블은 PC4(수술 중 관리)였습니다. ICS와 SBP 간, 그리고 P와 N 간에는 빈번하게 공존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보충 디지털 부록 1).
Reviewers agreed on the 25 labels (23 subcompetencies, D, and N) for 13,068 of 25,714 sentences (overall agreement 50.8%). Percent agreement was highest for PC10 (peripheral and neuraxial anesthesia, 72.0%) and lowest for SBP3 (physician role in health care systems, 9.9%)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at https://links.lww.com/ACADMED/B361). Fleiss’ Kappa was 0.44 for the 25 categories. When subcompetencies were aggregated into the core competencies, Fleiss’ Kappa was 0.50. The most frequent co-occurring subcompetency label when experts disagreed on any subcompetency was PC4 (intraoperative care). There tended to be frequent co-occurrence between ICS and SBP and between P and N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at https://links.lww.com/ACADMED/B361).

모델 개발
Model development

432개의 하이퍼파라미터 조합(4개의 개별 학습률과 에포크, 3개의 단어 길이, 9개의 개별 하위 단어 길이)에 대해 그리드 검색을 수행했습니다. 모델 구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종 모델의 하이퍼파라미터에는 2개의 단어 n-그램과 1~4자 길이의 하위 단어가 포함되었습니다. 
Grid search was performed on 432 combinations of hyperparameters (4 separate learning rates and epochs, 3 lengths for word n-grams, and 9 separate subword lengths). Details for building the model are available at https://github.com/gb563/Milestone_NLP. Hyperparameters for the final model included 2 word n-grams and subwords that were 1–4 characters long.

모델 성능
Model performance

내부 검증 결과, PC5, PC10, MK1, D, N은 우수한 판별력(AUC ≥ 0.8)을 보였고, PC1, PC3, PC4, P, ICS, PBLI는 양호한 판별력(AUC ≥ 0.7)을 보였습니다. SBP는 변별력이 가장 낮았습니다(AUC 0.59)(표 2). 양성 예측값은 PC5와 PC10(0.88)이 가장 높았고, SBP(0.31)가 가장 낮았습니다. 민감도는 N(0.89)이 가장 높았고 SBP(0.19)가 가장 낮았습니다. 훈련 및 검증 코호트에 대한 양성 예측값, 민감도, F1에 대한 전체 보고는 보충 디지털 부록 2와 3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정 곡선은 예측 확률 범위에서 신뢰할 수 있는 예측을 보여주었습니다(추가 디지털 부록 4).
On internal validation, excellent discrimination (AUC ≥ 0.8) was observed for PC5, PC10, MK1, D, and N. Good discrimination (AUC ≥ 0.7) was observed for PC1, PC3, PC4, P, ICS, and PBLI. SBP had the worst discrimination (AUC 0.59) (Table 2). Positive predictive value was highest for PC5 and PC10 (0.88), and lowest for SBP (0.31). Sensitivity was highest for N (0.89) and lowest for SBP (0.19). Full reporting of positive predictive value, sensitivity, and F1 for training and validation cohorts can be found in Supplemental Digital Appendices 2 and 3 at https://links.lww.com/ACADMED/B361. Calibration curves demonstrated reliable predictions across the range of predicted probabilities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4 at https://links.lww.com/ACADMED/B361).

모델 평가
Model evaluation

모델 변별력은 검증 데이터에서 매우 일관적이었습니다. 내부 검증 데이터와 비교했을 때 Professionalism을 제외하고는 성능에 차이가 없었습니다(표 2). 검토자의 완전한 동의를 얻은 문장만 검증 데이터에 포함시킨 민감도 분석에서도 내부 검증과 비교했을 때 전문성에 대한 AUC는 더 이상 차이가 없었습니다(보충 디지털 부록 5). 검증 데이터에 대한 모델 보정 결과, 모든 범주에서 예측이 과신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보충 디지털 부록 6).
Model discrimination was very consistent on the validation data.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erformance compared with the internal validation data except professionalism (Table 2). On the sensitivity analysis in which only sentences with complete reviewer agreement were included in the validation data, there was no longer a difference in AUC for professionalism compared with internal validation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5 at https://links.lww.com/ACADMED/B361). Model calibration on validation data demonstrated a tendency toward overconfident predictions for all categories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6 at https://links.lww.com/ACADMED/B361).

모델 사양
Model specification

이 알고리즘은 독립적인 테스트와 검증을 위해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구축되었습니다. 누구나 자유 응답 평가 내러티브를 입력할 수 있으며, 모델은 해당 내러티브에 포함된 (하위) 역량을 예측합니다. 상위 3개 예측을 요약하고 모델이 이러한 예측을 하게 된 단어를 강조하는 LIME 그래픽이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코멘트가 모델에 전달되었습니다:

  • "이 평가는 흉부외과에서의 하루를 다룹니다. 동의하는 동안 환자와 가족을 안심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응급 섬망에 대한 근거 기반 진료 권고사항을 통합했습니다. 중심정맥관 배치는 숙련되었으나 심폐우회술에서 분리하는 동안 인트로프로프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함. 다음 사례에 대비하여 분리 과정을 시각화하여 보다 원활하고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The algorithm was built into a web-based application for independent testing and validation. Anyone can type a free-response evaluation narrative, and the model predicts which (sub)competencies it contains. LIME graphics are displayed that outline the top 3 predictions and highlight which words drove the model to make those predictions. As an example, the following comment was passed to the model:

  • “This evaluation covers a day in the cardiothoracic room. Did a great job putting patient and family member at ease during consent. Incorporated evidence-based practice recommendations on emergence delirium. Skillful central line placement, but poor management of inotropes while separating from cardiopulmonary bypass. Consider visualizing the separation process in preparation for your next case so you can do this more smoothly and safely.”

이 모델은 단락을 개별 문장으로 분할한 다음, 각 문장이 어떤 (하위) 역량을 다룰지 예측합니다. 이 예는 모델이 자유 응답 내러티브를 분석하여 ACGME (하위) 역량 프레임워크로 구성하는 방법을 강조합니다. 모델 예측은 표 3에 나와 있습니다. LIME 해석 가능성 도표로 개선된 세 가지 추가 예는 부록 디지털 부록 7-9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The model splits the paragraph into individual sentences, then predicts which (sub)competencies each sentence addresses. This example highlights how the model can dissect a free-response narrative to organize it into an ACGME (sub)competency framework. Model predictions are presented in Table 3. Three additional examples, enhanced by LIME interpretability plots, are included in Supplemental Digital Appendices 7–9 at https://links.lww.com/ACADMED/B361.

acadmed_2023_01_19_booth_acadmed-d-22-00772_sdc1.pdf
0.51MB

모델 구현
Model implementation

컴퓨터 프로그램은 약 1분 만에 18명의 교육생에 대한 수백 개의 서술적 의견을 읽고, 라벨을 붙이고, 정리하여 교육생과 멘토가 검토할 수 있도록 개별화된 스프레드시트를 생성했습니다. 조직화된 피드백은 교육생이 마일스톤 2.0을 통해 스스로 결정한 하위 역량에 대한 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행 계획을 세우도록 안내했습니다. 이 구현에 대한 영향 지표는 수집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내부 피드백은 이 연습에 대해 매우 긍정적이었으며, "레지던트가 자신의 강점을 활용하고 성장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개별화된 학습 계획을 개발하도록 지원"하는 ACGME 공통 프로그램 요건을 달성했습니다.7
In approximately 1 minute, the computer program read, labeled, and organized several hundred narrative comments on 18 trainees and produced individualized spreadsheets for review by trainees and their mentors. The organized feedback guided trainees to make action plans to enhance their progress through Milestones 2.0 on self-determined subcompetencies. Impact metrics were not collected on this implementation. However, internal feedback was very positive on the exercise, and it achieved the ACGME Common Program Requirement to “assist residents in developing individualized learning plans to capitalize on their strengths and identify areas for growth.”7

토론
Discussion

이 연구는 인공지능이 GME 연수생에 대한 내러티브 피드백을 마일스톤 2.0의 하위 역량과 핵심 역량으로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NLP 모델은 3개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마취과 전문의로부터 10,000개 이상의 코멘트을 사용하여 피드백 언어를 학습했습니다. 이 모델은 외부 평가 사이트에서도 잘 일반화되었습니다. 개념 증명 시험에서 이 모델은 최소한의 노력으로 대량의 내러티브 피드백을 빠르게 정리하고 마일스톤 자가 평가 연습에서 수련의를 성공적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NLP 모델은 기존 전자 평가 시스템에 구축하여 수천 개의 평가를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확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교육생의 진행 상황에 대한 구조화된 피드백과 적시 평가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This study show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 accurately categorize narrative feedback on GME trainees into corresponding Milestone 2.0 sub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An NLP model learned the feedback language from anesthesiologists at 3 residency programs using more than 10,000 comments. The model generalized well to an external evaluation site. A proof-of-concept trial demonstrated that the model rapidly organizes large volumes of narrative feedback with minimal effort, and it successfully guided trainees in a Milestone self-assessment exercise. An NLP model, such as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built into existing electronic evaluation systems and scaled to manage thousands of evaluations with ease, thereby augmenting programs’ ability to provide structured feedback and timely assessments of trainee progress.

NLP 모델은 대부분의 하위 역량과 핵심 역량에 걸쳐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내부 및 외부 검증 모두에서 우수한 변별력을 보여준 여러 범주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습니다. 

  • PC3(훈련 데이터의 1.9%, AUC 0.76) 및 PBLI(훈련 데이터의 3.8%, AUC 0.75)와 같이 거의 사용되지 않는 몇 가지 범주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였습니다.
  • 이 모델은 인구통계학적 정보와 관련된 코멘트(예: "이것은 전기생리학 실험실에서 하루 동안의 평가입니다.", AUC 0.87)과 유용하지 않은 코멘트(예: "잘했어요.", AUC 0.87)을 예측하는 데 특히 우수한 성능을 보였습니다.

The NLP model performed well across most sub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with several categories demonstrating excellent discrimination on both internal and external validation.

  • It performed well even for several of the rarely used categories, such as PC3 (1.9% of training data, AUC 0.76) and PBLI (3.8% of training data, AUC 0.75).
  • The model performed particularly well for predicting comments related to demographic information (e.g., “This is an evaluation for a day in the electrophysiology lab,” AUC 0.87) and comments that were not useful (e.g., “Good job,” AUC 0.87).

SBP(AUC 0.59)의 성능이 최악이었습니다. Zhang 등은 교육생 평가의 피드백 코멘트에 포함된 감정과 관련 핵심 역량을 식별하려는 NLP 기법을 살펴본 결과, 마찬가지로 SBP가 예측하기 가장 어려운 역량이라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11 SBP에 대한 코멘트 분석의 어려움은 평가자 간 일치도 결과에서 잘 드러나는데, SBP 하위 역량 중 하나에 대한 평가자 간 일치도가 9.9%로 낮게 나타났습니다. 이 결과는 SBP와 관련된 의견을 예측하는 데 문제가 있는 것은 GME 커뮤니티가 SBP를 특성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서술적 의견 이외의 평가 기법으로 SBP를 더 잘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Performance was worst for SBP (AUC 0.59). Zhang et al explored NLP techniques that attempt to discern the sentiment and pertinent core competencies contained in feedback comments from trainee evaluations, and they similarly found that SBP was the most difficult competency to predict.11 The challenge of analyzing comments about SBP is underscored by our results for inter-rater agreement; inter-rater agreement was as low as 9.9% for one of the SBP subcompetenci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problem predicting comments related to SBP may be that the GME community has a hard time characterizing SBP or that SBP may be assessed better by evaluation techniques other than narrative comments.

전문가 라벨에 대한 전반적인 동의도는 보통 수준이었으며(Fleiss의 카파 0.44), 하위 역량 간 동의도에는 상당한 편차가 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PC 하위 역량에 대한 동의도가 가장 높았고, P와 SBP에 대한 동의도가 가장 낮았습니다. 하위 역량을 핵심 역량으로 통합했을 때 평가자 간 일치도는 소폭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보통 수준이었습니다(Fleiss의 카파 0.50). 이러한 결과는 지속적인 교수진 개발의 필요성을 뒷받침하며, 이 프로젝트의 다음 반복에서는 트레이너 교육 환경에서 이러한 기회를 모색할 것입니다.
Overall agreement on expert labels was moderate (Fleiss’ Kappa 0.44), and there was substantial variability in agreement between subcompetencies. In general, agreement was highest for PC subcompetencies and lowest for P and SBP. When subcompetencies were pooled into core competencies, inter-rater agreement improved marginally but was still moderate (Fleiss’ Kappa 0.50). These results support the need for ongoing faculty development, and the next iteration of this project will seek to explore this opportunity in a train-the-trainer setting.

이 연구는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수련 과정 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 NLP를 사용하려는 이전의 노력을 기반으로 합니다. 여러 선행 연구에서 평가의 품질 또는 유용성을 예측하기 위해 NLP를 다루고 있지만,10,19,20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수진이 평가서를 작성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평가서에 작성하는 내용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더 신중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유용하지 않거나 인구통계학적 내용에 관한 코멘트이 데이터의 30%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CBME 평가를 목표로 하는 교수진 개발 이니셔티브는 필수적입니다.21 ACGME는 교수진 개발에는 교육기관에 맞는 구조화된 프로그램이 포함된다고 설명하며7 피드백 제공자를 위한 트레이너 양성 프로그램을 권장합니다.22 프로그램은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내장된 NLP 모델을 사용하여 교수진이 교육기관에 맞는 피드백 언어에 대해 구조적이고 신중한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습니다.
This study builds on prior endeavors to use NLP as a tool to assist residency programs in the ongoing evaluation of trainee progress. While several prior studies address NLP to predict the quality or utility of evaluations,10,19,20 our results suggest that it may be as prudent to target what faculty write about in their evaluations, rather than only how they write them. Comments that were not useful or about demographic content made up more than 30% of the data. Faculty development initiatives aimed at CBME assessments are imperative.21 ACGME outlines that faculty development includes structured programming specific to an institution7 and recommends train-the-trainers programs for feedback providers.22 Programs could use NLP models built into web-based applications to facilitate structured, deliberate practice for faculty on feedback language consistent with their institution.

이 연구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습니다. NLP 모델은 훈련에 사용된 데이터에 의해 제한됩니다. SBP와 같은 일부 범주에서는 평가자 간 일치도가 낮게 나타났습니다. 잘 훈련된 인공 지능 모델은 모호한 결과를 예측하는 데 제한적인 유용성을 가집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과 같은 모델은 ACGME 마일스톤에 대한 프로그램의 해석에 대해 직원을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전문성 개발 활동과 병행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또 다른 한계는 이 모델이 품질이나 유용성보다는 하위 역량과 역량을 학습하도록 훈련되었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알고리즘을 통합한 트레이너 교육 프로그램은 교수진이 형성적인 피드백보다는 특정 유행어나 문구를 작성하도록 장려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세트에서 유용하지 않은 코멘트의 비율이 높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현재의 알고리즘은 평가자가 역량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작성하는 방법을 배우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우선적으로 큰 가치를 더할 수 있습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코멘트가 설명하는 역량과 무관하게 )실행 가능한 코멘트와 그렇지 않은 코멘트을 인식하는 별도의 모델을 쉽게 훈련할 수 있으며, 이를 현재 알고리즘과 결합하여 콘텐츠와 품질에 대한 동시 예측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NLP models are limited by the data used to train them. Some categories, such as SBP, demonstrated poor inter-rater agreement. A well-tra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has limited utility in predicting ambiguous outcomes. Models such as the one developed in this study may need to be paired with a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y aimed at educating staff on a program’s interpretation of ACGME Milestones. Another limitation was that the model was trained to learn subcompetencies and competencies rather than quality or utility. Therefore, a train-the-trainer program incorporating the algorithm may encourage faculty to write certain buzzwords or phrases rather than formative feedback. Given the high proportion of comments that were not useful in the dataset, the present algorithm can add a great deal of value first by helping evaluators learn to write more specifically to competencies. A future study could easily train a separate model to recognize actionable comments vs not (independent of the competencies they may or may not describe), which could be paired with the present algorithm to produce simultaneous predictions on content and quality.

향후 작업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은 이러한 모델을 책임감 있고 윤리적으로 배포하는 것입니다. 개념 증명 시험은 교육생이 자가 평가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만약 이 모델이 훈련생의 진도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설계된 방식으로 배포되었다면 알고리즘 개발의 특정 편향23,24 또는 내러티브 피드백 자체에 내재된 편향23-25으로 인해 재앙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A major consideration for future work is responsible and ethical deployment of these models. The proof-of-concept trial was designed to guide trainees in a self-assessment exercise. If the model were deployed instead in a manner designed to make decisions on trainee progress, certain biases in algorithm development,23,24 or biases inherent in the narrative feedback itself,23–25 could have disastrous consequences.

결과 평가에 편향이 있을 가능성이 있었습니다. 라벨링 프로세스는 고유한 지식, 교육 및 GME 경험을 가진 10명의 리뷰어에게 의존했으며, 모델은 완전한 동의가 있는 데이터만을 사용하여 학습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평가 의견의 크기가 제한되고 모호성이 덜한 언어로 모델이 편향되었습니다. 그러나 최종 모델에는 여전히 10,000개가 넘는 개별 코멘트의 언어가 포함되었으며, 외부 검증을 통해 성능이 잘 일반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데이터 분석 수명 주기에서 많은 의료 서비스 관련 프로젝트에 부족한 중요한 단계는 모델 모니터링 및 피드백 루프입니다. 이 연구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알고리즘에 대한 향후 작업에서는 오분류의 영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데이터 세트와 모델 업데이트를 통한 지속적인 검증을 모색해야 합니다. 또한 모델 모니터링을 통해 기관 및/또는 프로그램 간의 일반화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성능 임계값을 정의하여 모델을 미세 조정하기 위한 재교육을 트리거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한계는 문장을 하나의 하위 역량으로만 제한하는 것입니다. 여러 문장이 두 개 이상의 하위 역량에 대해 말하고 있으며, 평가자에게는 레이블을 할당하는 구체적인 규칙이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여러 하위 역량이 적용되는 경우, 전문가가 특정 인지적 편견으로 인해 한 범주를 다른 범주보다 더 많이 선택했을 수 있습니다.
There was potential for bias in outcome assessment. The labeling process relied on 10 reviewers with unique knowledge, training, and GME experiences, and the model was trained only using data for which there was complete agreement. This restricted the size of evaluation comments and biased the model toward language that is less ambiguous. However, the final model still incorporated language from more than 10,000 individual comments, and external validation supports that performance generalizes well. A critical phase of the data analytics lifecycle that many health care–related projects lack is model monitoring and feedback loops. Future work on algorithms, such as described in this work, should explore ongoing validation with various datasets and model updating to help mitigate the impacts of misclassification. Model monitoring would also allow assessment of generalizability between institutions and/or programs, and performance thresholds could be defined to trigger retraining to fine-tune models. Another limitation is restricting sentences to just a single subcompetency. Several sentences speak to more than one subcompetency, and raters were not provided with specific rules to assign labels. Therefore, when multiple subcompetencies applied, certain cognitive biases may have contributed to experts choosing one category over another.

마지막으로, 마일스톤 2.0과 그에 수반되는 하위 역량이 포함 기간 동안 공개되었습니다. 대부분의 의견은 첫 번째 마일스톤 세트를 대상으로 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전문가들은 이를 마일스톤 2.0에 매핑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특정 범주에 편향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지만, 이러한 접근 방식은 추가적인 미래 지향적 검증을 용이하게 합니다.
Finally, Milestones 2.0 with their accompanying subcompetencies were released during the inclusion period. Most comments likely targeted the first set of Milestones, yet experts mapped them to Milestones 2.0. This approach may have introduced bias to certain categories, but this approach facilitates further prospective validation.

결론
Conclusions

이 연구는 4개의 교육 프로그램에 걸쳐 207명의 교수진이 169명의 마취과 수련의에 대한 25,714개의 서술적 코멘트를 검토했습니다. NLP 알고리즘은 3개의 마취과 GME 프로그램의 언어를 학습하도록 훈련되었으며, 대부분의 ACGME 하위 역량에 걸쳐 매우 우수한 성능을 보였습니다. 이 모델은 6개월간의 교육생 피드백을 신속하게 정리하여 자가 평가 연습을 안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구축되었습니다. 효과적인 자동화 프로세스를 개발하는 데 성공하면 마일스톤 2.0을 통해 개별 수련의가 발전함에 따라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추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이러한 시스템이 책임감 있고 윤리적으로 배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작업이 필요합니다. 자연어 처리 방법은 내러티브 데이터를 복잡하게 분류하고 처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을 CBME에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추가 조사가 필요합니다.

This study reviewed 25,714 narrative comments on 169 anesthesiology trainees from 207 faculty across 4 training programs. An NLP algorithm was trained to learn the language of 3 anesthesiology GME programs, and it performed very well across most ACGME subcompetencies. The model was built into a computer program which rapidly organized 6 months of trainee feedback to guide a self-assessment exercise. Success in developing an efficacious automated process could enhance the tracking capabilities of residency programs as individual trainees progress through Milestones 2.0, although substantial work is needed to make sure such systems are deployed responsibly and ethically. NLP methods are capable of complex categorization and processing of narrative data, and further investigation into these applications to CBME is warranted.


Acad Med. 2023 Apr 1;98(4):497-504. doi: 10.1097/ACM.0000000000005115. Epub 2022 Dec 5.

Competency-Based Assessments: Leverag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Predict Subcompetency Content

Affiliations collapse

1G.J. Booth is assistant professor,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and residency program director,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Naval Medical Center Portsmouth, Portsmouth, Virginia.

PMID: 36477379

DOI: 10.1097/ACM.0000000000005115

Abstract

Purpose: Faculty feedback on trainees is critical to guiding trainee progress in a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framework. The authors aimed to develop and evaluate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algorithm that automatically categorizes narrative feedback into corresponding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Milestone 2.0 subcompetencies.

Method: Ten academic anesthesiologists analyzed 5,935 narrative evaluations on anesthesiology trainees at 4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programs between July 1, 2019, and June 30, 2021. Each sentence (n = 25,714) was labeled with the Milestone 2.0 subcompetency that best captured its content or was labeled as demographic or not useful. Inter-rater agreement was assessed by Fleiss' Kappa. The authors trained an NLP model to predict feedback subcompetencies using data from 3 sites and evaluated its performance at a fourth site. Performance metrics included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UC), positive predictive value, sensitivity, F1, and calibration curves. The model was implemented at 1 site in a self-assessment exercise.

Results: Fleiss' Kappa for subcompetency agreement was moderate (0.44). Model performance was good for professionalism,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practice-based learning and improvement (AUC 0.79, 0.79, and 0.75, respectively). Subcompetencies within medical knowledge and patient care ranged from fair to excellent (AUC 0.66-0.84 and 0.63-0.88, respectively). Performance for systems-based practice was poor (AUC 0.59). Performances for demographic and not useful categories were excellent (AUC 0.87 for both). In approximately 1 minute, the model interpreted several hundred evaluations and produced individual trainee reports with organized feedback to guide a self-assessment exercise. The model was built into a web-based application.

Conclusions: The authors developed an NLP model that recognized the feedback language of anesthesiologists across multiple GME programs. The model was operationalized in a self-assessment exercise. It is a powerful tool which rapidly organizes large amounts of narrative feedback.

주관주의자 귀납적 패러다임을 향한 자연어처리의 진화(Med Educ, 2023)
Evolv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owards a subjectivist inductive paradigm
Brian C. Gin

 

 

인공지능(AI)이 데이터 중심 사회에서 점점 더 큰 입지를 차지하면서 언어에 초점을 맞춘 파생 기술인 자연어 처리(NLP)가 보건 전문직 교육 연구(HPER)에 진출했습니다.1 NLP는 텍스트와 문서의 질적 분석을 위한 획기적인 검색 및 자동화 도구를 약속합니다. 그러나 탄탄한 이론적, 철학적 토대가 없다면 NLP를 통한 질적 결과는 불투명하거나 최악의 경우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번 호에서 Cleland 등은 HPER에서 전통적인(즉, NLP가 아닌) 질적 문서 분석(DA)의 실행에서 유사한 이론적 결함을 지적하고 그러한 DA 연구의 신뢰성을 증진하기 위한 표준을 제안합니다.2 이들의 접근 방식은 실제로 NLP를 사용한 연구를 강화하기 위해 확장될 수 있습니다.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akes an ever-increasing foothold in our data-driven society, its language-focused derivativ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has made headway in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HPER).1 NLP promises groundbreaking discovery and automation tools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ext and documents. However, without sound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foundations, qualitative results facilitated by NLP stand to be opaque, or at worst, misleading. In this issue, Cleland et al note a similar deficiency of theory in the practice of traditional (i.e. non-NLP) qualitative document analysis (DA) in HPER and propose standards to promote the trustworthiness of such DA research.2 Their approach could indeed be extended to strengthen studies using NLP.

탄탄한 이론적, 철학적 토대가 없다면 NLP를 통해 얻은 질적 결과는 불투명하거나 최악의 경우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Without sound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foundations, qualitative results facilitated by NLP stand to be opaque, or at worst, misleading.

HPER에서 빠르게 증가하는 연구 모음은 본질적으로 인간 코더의 범위를 대규모 데이터세트로 확장하기 위한 '자동화된 코딩 도우미'로 NLP를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인간 연구자의 '훈련'에 의존하는 NLP '분류기' 알고리즘을 활용했습니다. 예를 들어,

  • 부스(Booth) 등은 NLP를 활용하여 ACGME 마일스톤 하위 역량별로 내러티브 평가를 자동으로 분류하고, 인간 코더가 데이터의 하위 집합(즉, '훈련 데이터 세트')에 붙인 레이블을 모방하도록 NLP 알고리즘을 효과적으로 훈련시켰습니다. 3
  • 내러티브 평가에서 성별 편향 가능성을 찾기 위해 Andrews 등은 인간 연구자가 코드북을 개발하는 데 사용하는 작은 조각으로 내러티브를 표현하여 내러티브의 정서(즉, 긍정적 또는 부정적 정서적 가치)를 결정하는 NLP 알고리즘을 만들었고, 이 알고리즘은 전체 데이터 세트에 자동으로 적용되었습니다.4
  • 비슷한 질문을 탐구하면서 Sarraf 등은 상업적으로 훈련된 NLP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추천서의 정서를 특성화했습니다.5

이러한 사례와 그 밖의 많은 최근 HPER의 NLP 분류 사례는 철학적 입장과 이론적 가정에 대한 추가 검토를 유도하는 'NLP 지원 코딩' 방법론의 새로운 패턴을 가리킵니다. 
A rapidly growing collection of studies in HPER has used NLP, in essence, as an ‘automated coding assistant’ to extend the reach of human coders to large datasets. These studies utilised NLP ‘classifier’ algorithms that rely on some form of ‘training’ by human researchers. For example,

  • Booth et al utilised NLP to automatically classify narrative evaluations by ACGME milestone subcompetency, effectively training their NLP algorithm to mimic the labels placed by human coders on a subset of the data (i.e. a ‘training dataset’).3 
  • Searching for possible gender bias in narrative evaluations, Andrews et al created an NLP algorithm to determine the sentiment (i.e. positive or negative emotional valence) of narratives by representing them in bite-sized pieces that human researchers used to develop a codebook, which the algorithm then automatically applied to the entire dataset.4 
  • Exploring a similar question, Sarraf et al employed commercially trained NLP algorithms to characterise the sentiment of letters of recommendation.5 

These and many other recent examples of NLP classification in HPER point to an emerging pattern of ‘NLP-assisted coding’ methodologies that invite further examination of their philosophical stances and theoretical assumptions.

Cleland의 DA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연구자들이 NLP 지원 코딩을 사용하는 기본 연구 패러다임은 종종 불분명합니다. 성찰적 주제 분석, 근거 이론, 질적 내용 분석과 같은 유비쿼터스 질적 방법론은 모두 데이터 탐색, 코드 개발, 주제 종합 사이에 어떤 형태의 반복에 의존합니다.6, 7 그러나 NLP 지원 코딩을 사용하는 경우, 반복적인 탐구 과정이 아닌 전체 데이터 세트에 고정된 코드북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배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초기 연구자가 수행한 훈련 데이터 세트의 코딩은 반복적인 귀납적 접근 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지만, 더 큰 전체 데이터 세트에 NLP를 일회성으로 적용하면 코드 및 테마 형성에 대한 해당 데이터의 추가 기여를 놓치게 됩니다. 따라서 현재 HPER에서 NLP를 주로 구현하는 방식은 귀납적 접근 방식이 아닌 연역적 접근 방식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며, 데이터를 사용하여 가설이나 이론을 생성하기보다는 정적 학습 데이터 세트에 코드화된 가설을 데이터에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Similar to Cleland's findings in DA, the underlying research paradigms within which researchers employ NLP-assisted coding are often unclear. Ubiquitous qualitative methodologies such as reflexive thematic analysis, grounded theory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ll rely on some form of iteration between exploring data, developing codes and synthesising themes.6, 7 When NLP-assisted coding is used, however, it is often deployed by applying a fixed codebook to the entire dataset, rather than within an iterative process of inquiry. While the initial researcher-performed coding of the training dataset may occur via an iterative inductive approach, the use of NLP as a one-time application to the larger complete dataset will miss additional contributions of those data to the formation of codes and themes. Thus, the predominant implementation of NLP in HPER currently appears to fall under a deductive rather than inductive approach, applying a hypothesis—codified in a static training dataset—to data rather than using the data to generate a hypothesis or theory.

현재 HPER에서 주로 구현되는 NLP는 귀납적 접근 방식이 아닌 연역적 접근 방식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며, 데이터를 사용하여 가설이나 이론을 생성하기보다는 정적 훈련 데이터 세트에 코드화된 가설을 데이터에 적용합니다.
The predominant implementation of NLP in HPER currently appears to fall under a deductive rather than inductive approach, applying a hypothesis—codified in a static training dataset—to data rather than using the data to generate a hypothesis or theory.

그렇다고 NLP가 연역적 탐구에만 사용되거나 (포스트)실증주의 패러다임 내에서만 사용 가능하다는 것은 아닙니다. 귀납적 정성적 접근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NLP의 잠재력은 존재하지만, 현재 기술적으로 까다롭고 HPE 내에서 상대적으로 미개척 분야로 남아 있습니다. 한 가지 접근 방식은 '비지도' 주제 모델링 전략으로, NLP 알고리즘이 코드화되지 않은 데이터 세트 내에서 의미 패턴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새로운 코드를 개발하는 것입니다.8 '연역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완전히 자동화된 비지도 접근 방식은 알고리즘과 인간 연구자 간의 반복적인 협업이 수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보다 유망한 방향은 능동형 머신 러닝과 연구자 지원 주제 모델링과 같이 연구자가 수행하는 코딩과 NLP 자동 코딩을 혼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인간과 기계 간의 미래 협업은 알고리즘이 학습하고 의사 결정을 내리는 방식에 대한 이해, 즉 '설명 가능한 AI'의 진전에 달려 있습니다. 최신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이 텍스트 의미를 표현하는 AI의 능력을 확장함에 따라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의사 결정 과정이 모호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투명성은 소위 '블랙박스' 현상으로, AI 알고리즘이 복잡한 행동을 모방하도록 훈련할 수는 있지만 그렇게 학습하는 방법에 대한 인사이트는 거의 드러나지 않습니다. 인간의 마음도 마찬가지이지만, 효과적인 인간과 기계의 협업은 최종 분류에 대한 지식만 얻는 것이 아니라 NLP 알고리즘이 내부적으로 의미적 의미를 어떻게 표현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달려 있습니다.9 
This is not to say that NLP can only be used for deductive inquiry or only within a (post-)positivist paradigm. The potential for NLP to assist an inductive qualitative approach exists, but it currently appears technically challenging and remains relatively untapped within HPE. One approach involves an ‘unsupervised’ topic modelling strategy whereby an NLP algorithm automatically searches for patterns of meaning within an uncoded dataset to develop de novo codes.8 Although seemingly ‘deductive’, a completely automated unsupervised approach is not ideal unless it also involves iterative collaboration between the algorithm and human researchers. More promising directions appear to involve hybrids between researcher-performed and NLP-automated coding, such as active machine learning and researcher-assisted topic modelling. Future collaboration between human and machine also depends on making progress in ‘explainable AI’—the understanding of how algorithms learn and make decisions. As newer NLP algorithms expand AI's ability to represent textual meaning, their increasing complexity obfuscates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This opacity is the so-called ‘black box’ phenomenon whereby an AI algorithm can be trained to mimic complex behaviour but reveals little insight into how it learned to do so. While the same can be said of the human mind, effective human–machine collaboration will depend on understanding how NLP algorithms represent semantic meaning internally, rather than gaining knowledge only of the final classifications they make.9

효과적인 인간과 기계의 협업은 NLP 알고리즘이 내부적으로 의미적 의미를 표현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 달려 있습니다.
Effective human-machine collaboration will depend on understanding how NLP algorithms represent semantic meaning internally.

마지막으로, NLP를 이용한 정성적 문서 분석의 성찰성reflexivity 문제가 있습니다. 반사적 정성적 접근 방식은 의미를 만드는 데 있어 연구자의 기여를 인정하고 존중하지만, 현재의 NLP 알고리즘은 이러한 자기 인식이 부족합니다. 학습된 NLP 알고리즘은 학습 데이터를 코딩한 연구자의 반사성을 이어받을 수 있지만, 의도하지 않은 잠재적으로 원치 않는 코딩 경향이나 편견을 분석에 도입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NLP 알고리즘은 종종 '전이 지식'(예: 별도의 말뭉치에 대한 학습을 통해 얻은 언어에 대한 기계의 이해)으로 보완되는데, 이는 외부 학습 데이터의 편견을 항상 그대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Sarraf 등이 수행한 것처럼 상업적으로 사전 학습된 NLP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편향(및 관련 반사성)은 연구자 자신의 반사성과는 완전히 외부에 있습니다. 이러한 알고리즘 편향을 식별하고 완화하는 것은 NLP 내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분야입니다. 그러나 '편향되지 않은' NLP 알고리즘의 이상은 필연적으로 객관주의에 귀를 기울일 수밖에 없으며 주관주의적 관점에서는 달성할 수도 없고 원하지도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NLP 알고리즘의 '반사성'은 잘 정의되어 있지 않으며, 알고리즘이 분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 연구에 비판적 노출을 남길 수 있습니다. 질적 연구의 반사성에 대한 NLP의 기여도를 정의, 평가 및 조정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10
Finally, there is the issue of reflexivity in NLP-assisted qualitative document analysis. While reflexive qualitative approaches have both acknowledged and enshrined researchers' contributions to making meaning, current NLP algorithms lack such self-awareness. While a trained NLP algorithm may carry forward the reflexivity of the researchers who coded the training data, it may also introduce unintended and potentially unwelcome coding tendencies or biases into the analysis. Further, NLP algorithms are often supplemented by ‘transfer knowledge’—for example, machine understanding of language afforded by training on a separate corpus—that invariably carries forward biases from that external training data. In the case of using a commercially pre-trained NLP algorithm as was done by Sarraf et al, such bias (and any associated reflexivity) is completely external to the researchers' own reflexivity. Identifying and mitigating such algorithmic biases is an active area of research within NLP. However, the ideal of ‘unbiased’ NLP algorithms inevitably hearkens to objectivism and may neither be achievable nor desired from a subjectivist perspective. As such, the ‘reflexivity’ of an NLP algorithm is not well defined and may leave a study critically exposed if the algorithm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analysis. Understanding how to define, assess and tune the contribution of NLP to a qualitative study's reflexivity needs to be urgently addressed.10

질적 연구의 반사성에 대한 NLP의 기여도를 정의, 평가 및 조정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Understanding how to define, assess and tune the contribution of NLP to a qualitative study's reflexivity needs to be urgently addressed.

특히 임상 학습 환경을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간주할 때, 연역적 (후기) 실증주의 접근법을 지향하는 NLP 지원 DA 연구의 암묵적 경향은 많은 HPER 연구자들이 DA를 통해 답을 구하고자 하는 주관주의적 연구 질문과 상반될 수 있습니다. NLP를 주관주의 귀납적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는 것은 연구자와 AI '어시스턴트' 모두를 협력적이고 투명한 탐구 프로세스로 초대하는 새로운 NLP 전략을 개발하는 데 달려 있습니다. 한편, Cleland 등이 개발한 CARDA 체크리스트를 사용하면 AI 기술의 클라우드가 빠르게 진화하는 동안에도 NLP 지원 DA 연구가 이론적, 철학적 토대 위에 확고하게 자리 잡을 수 있습니다.
The implicit tendency of NLP-assisted DA studies towards a deductive (post-)positivist approach may stand in contrast to subjectivist research questions that many HPER researchers seek to answer via DA, particularly when considering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s socially constructed. Moving NLP towards a subjectivist inductive paradigm will depend upon developing new NLP strategies that invite both researchers and their AI ‘assistants’ into a collaborative and transparent process of inquiry. In the meantime, use of the CARDA checklist by Cleland et al can keep NLP-assisted DA studies firmly situated on their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underpinnings while the clouds of AI technology rapidly evolve.

NLP를 주관주의 귀납적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는 것은 연구자와 AI '어시스턴트' 모두를 협력적이고 투명한 탐구 과정으로 초대하는 새로운 NLP 전략을 개발하는 데 달려 있습니다.
Moving NLP towards a subjectivist inductive paradigm will depend upon developing new NLP strategies that invite both researchers and their AI ‘assistants’ into a collaborative and transparent process of inquiry.


Med Educ. 2023 May;57(5):384-387. doi: 10.1111/medu.15024. Epub 2023 Feb 15.

Evolv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owards a subjectivist inductive paradigm

Affiliations collapse

1Department of Pediatrics,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lifornia, USA.

PMID: 36739578

DOI: 10.1111/medu.15024

사회적 책무성 프레임워크와 그것이 의학교육과 프로그램 평가에 갖는 함의: 내러티브 리뷰(Acad Med, 2020)
Social Accountability Frameworks and Their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and Program Evaluation: A Narrative Review 
Cassandra Barber, MA, Cees van der Vleuten, PhD, Jimmie Leppink, PhD, and Saad Chahine, PhD

 

의과대학이 봉사하고자 하는 인구에 대한 사회적 책무성을 다해야 한다는 국제적인 요구가 계속 제기되어 왔습니다. 사회적 책무성은 많은 교육기관이 추구하는 이상이지만, 이를 측정하는 것은 전 세계적인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투명성과 책임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의과대학은 사회적 책무성에 대한 더 강력한 증거를 제시해야 한다는 압박에 직면해 있습니다.1,2 
There have been repeated international calls for medical schools to be socially accountable to the populations they intend to serve. While social accountability is an ideal that many institutions strive toward, measuring it remains a global challenge. With increasing societal demands for greater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medical schools face growing pressures to produce stronger evidence of their social accountability.1,2

1995년 세계보건기구(WHO)는 사회적 책무성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습니다: 
In 1995,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fined social accountability as:

[의과대학은 교육, 연구 및 봉사 활동을 그들이 봉사해야 하는 지역사회, 지역 및 국가의 우선적인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이끌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우선적 건강 요구는 정부, 의료 기관, 의료 전문가 및 대중이 공동으로 파악해야 합니다.3 
[T]he obligation of medical schools to direct their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ctivities towards addressing the priority health concerns of the community, region, and/or the nation they have a mandate to serve. The priority health needs are to be identified jointly by governments, healthcare organizations, health professionals and the public.3

그 이후로 사회적 책무성에 관한 문헌이 확대되고 이니셔티브의 수가 증가했습니다.4,5 많은 의과대학이 사명 선언문, 프로그램 목표 및 전략 계획에 사회적 책무성 정책을 포함시켰으며 일부 조직은 공식 인증 절차에 포함시켰습니다.5 그러나 증가하는 관심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책무성이 측정 가능한 속성으로 운영되는 방법은 여전히 불분명하여 사회적 책무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어렵습니다.6 
Since then, the literature surrounding social accountability has expanded and the number of initiatives has multiplied.4,5 Many medical schools have embedded social accountability policies in their mission statements, program objectives, and strategic plans, and some organizations have included them in formal accreditation processes.5 Yet despite the growing interest, how social accountability is operationalized into measurable attributes remains elusive, making social accountability difficult to evaluate objectively.6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평가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과 프레임워크가 마련되었지만, 사회적 책무성 원칙, 지표 및 매개변수에 대한 설명은 주로 개념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위의 WHO의 사회적 책무성 정의는 의학교육의 세 가지 영역(교육, 연구, 봉사 활동)을 포괄하며, 이 검토에서는 교육 영역에 대해 다룹니다. 이 검토의 목적은 프로그램 평가 모델을 조직적 프레임워크로 사용하여 대규모 사회적 책무성 프레임워크 전반에서 공통 주제와 지표를 식별하고 문서화하는 것입니다. 이는 의학교육의 사회적 책무성을 평가하는 데 필요한 초기 운영 구조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것입니다.  
Although various policies and frameworks have been established to assist medical schools in the evalua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their descriptions of socially accountable principles, indicators, and parameters remain predominately conceptual in nature. The WHO’s social accountability definition, above, encompasses the 3 domains of medical education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ctivities), and this review addresses the educational domain.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identify and document common themes and indicators across large-scale social accountability frameworks, using a program evaluation model as an organizational framework. It is intended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initial operational constructs needed to evaluate social accountability in medical education.

배경
Background

설명하다(account)라는 동사에서 파생된 책무성은 가장 단순한 형태의 답변성, 즉 자신의 행동에 대해 설명하고 책임을 져야 하는 의무를 의미합니다.7,8 교육에서 책무성은 기관의 효과성(즉, 기관이 목표를 얼마나 잘 달성했는지)을 평가하는 시스템으로 기능하여 기관이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고 교육 개선을 촉진합니다.9-12 이 시스템은 교육 기관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사회에 답변해야 하는 책임감, 투명성 및 공공 신뢰를 의미합니다.13,14 다양한 형태의 책임성은 존재하지만 모두 다음의 근본적인 질문을 다루고 있습니다:

  • 누가, 무엇에 대해, 누구에게, 어떤 수단을 통해 책임을 져야 하는가?7,10,15

Derived from the verb account, accountability in its simplest form means answerability, the obligation to provide an account and be held responsible for one’s actions.7,8 In education, accountability functions as a system to evaluate institutional effectiveness (i.e., how well institutions meet their goals), holding institutions responsible for results and promoting educational improvement.9–12 This system implies a sense of responsibility, transparency, and public trust, whereby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obligated to answer to society for their actions.13,14 While many forms of accountability exist, they all address the following fundamental questions:

  • Who is held to account, for what, to whom, and through what means?7,10,15

모든 의과대학은 이러한 의무를 인정하거나 해결하기로 선택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대중에 대해 책임을 집니다.3 보건의료 전문직 교육 프로그램과 미래의 보건의료 인력을 준비하는 모든 교육기관은 다음에 대해 책임을 집니다. 

  • 의료계,
  • 대중(환자, 가족, 지역사회, 사회),
  • 교육 결과물(졸업생, 봉사 활동, 연구 활동),
  • 미래의 보건의료 수요

책임의 한 형태인 사회적 책무성은 의과대학이 지역사회의 변화하는 공공 의료 수요에 대응할 준비가 된 유능한 졸업생을 배출해야 한다는 점에서 암묵적, 명시적, 예상되는 것입니다.16-20 
All medical schools are accountable to the public, regardless of whether they choose to acknowledge or address this obligation.3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programs and any educational institutions responsible for preparing the future health care workforce are accountable to

  • the medical profession;
  • the public (patients, families, communities, and society);
  • their educational products (graduates, service activities, and research activities); and
  • future health care needs.

As a form of accountability, social accountability is implicit, explicit, and anticipated, in that medical schools must produce competent graduates prepared to respond to the changing public health care needs within their local communities.16–20

의료계는 사회로부터 일정한 책임과 특권을 부여받았습니다. 의과대학은 법률, 규제 및 인가를 통해 사회의 요구를 충족할 준비가 된 유능한 의사를 배출하도록 위임받았습니다.21,22 이러한 사회적 역할은 의사와 사회 간의 본질적인 사회적 계약을 의미하는 큰 책임을 수반합니다.23 이러한 사회적 계약은 특히 의학교육이 정부 자금으로 지원되는 국가에서 더욱 강화됩니다. 그 결과, 의과대학은 긍정적인 사회적 환원에 대한 증거를 제공해야 한다는 사회적 압력에 직면해 있습니다.3,16 사회적 책무성은 의학과 사회 사이에 존재하는 전방위적인 사회적 계약을 나타냅니다.24-31 
The medical profession has been granted certain responsibilities and privileges by society. Through legislation, regulation, and accreditation, medical schools are entrusted to produce competent physicians who are prepared to meet the needs of society.21,22 This social role carries great responsibilities, signifying the intrinsic social contract between physicians and society.23 This social contract is specifically amplified in countries where medical education is government funded. As a result, medical schools face increasing societal pressures to provide evidence of a positive social return.3,16 Social accountability represents an omnipresent social contract that exists between medicine and society.24–31

일반적으로 사회적 책무성이란 기업이 자신의 행동, 행위 및 성과에 대해 봉사하고자 하는 사회에 대한 헌신을 의미합니다.32 WHO의 사회적 책무성에 대한 정의는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2010년에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에 대한 글로벌 컨센서스는 이 정의를 재확인하면서 사회적 책무성이 측정 가능한 활동임을 강조했습니다: 
Broadly, social accountability implies an entity’s commitment to the society it is intended to serve for its actions, conduct, and performance.32 The WHO’s defini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remains the most widely accepted internationally. In 2010, the Global Consensus for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reaffirmed this definition, emphasizing that social accountability is a measurable activity:

주요 이해관계자, 정책 입안자, 의료기관, 의료보험 제공자, 의료 전문가 및 시민사회와 협력하면서 사회의 현재 및 미래 건강 요구와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행동입니다.19 
[A]n action to respond to current and future health needs and challenges in society while working collaboratively with key stakeholders; policy-makers; healthcare organizations; health-insurance providers, health professionals and civil society.19

광범위한 책임성 문헌에서 책임성이라는 용어는 종종 개념적 우산13,33,34 으로 불리며 신뢰, 신뢰성 또는 투명성의 이미지를 묘사하기 위해 책임성, 답변 가능성 또는 효과성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의학교육 문헌에서 책임성, 책임감, 응답성이라는 용어는 동일하지 않습니다. 이들 간의 차이점은 Boelen과 Woollard의 사회적 의무 척도에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습니다.32 이 분류법은 사회적 책무성을 달성하기 위한 선형적 진행을 나타냅니다:

  • 책임성이란 "사회의 요구에 부응해야 할 의무를 인식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 반응성은 "사회의 요구에 반응하는 행동 과정"을 의미합니다. 
  • 책무성은 프로그램이 공중 보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 주요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면서 사회의 우선적인 보건의료 요구선제적으로 충족한다는 증거를 제공하는 "측정 가능한 활동"을 의미합니다.32  

Within the broader accountability literature, the term accountability is often referred to as a conceptual umbrella13,33,34 and used interchangeably with responsibility, answerability, or effectiveness to portray an image of trust, trustworthiness, or transparency. However,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the terms accountable, responsible, and responsive are not equivalent. Differences between them are clearly defined within Boelen and Woollard’s social obligation scale.32 Their taxonomy represents a linear progression toward achieving social accountability: 

  • responsibility refers to a “state of awareness of duties to respond to society’s needs”; 
  • responsiveness refers to “a course of action addressing society’s needs”; and 
  • accountability represents a “measurable activity” to provide evidence that programs proactively meet the priority health care needs of society while working alongside key stakeholders to positively impact public health.32 

방법
Method

프로그램 평가 모델은 사회 정책, 프로그램 및 개입에 대한 포괄적인 평가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35-39 우리는 프로그램 평가 모델을 조직적 프레임워크와 체계화된 프로세스로 사용하여 대규모 사회적 책무성 프레임워크와 저널 논문 및 의학교육 문헌의 기타 문서를 검토하는 내러티브 검토40를 수행했습니다. 그런 다음 질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핵심 개념을 종합했습니다.  
Program evaluation models are widely used in multiple fields to provide comprehensive evaluations of social policies, programs, and interventions.35–39 We conducted a narrative review40 using a program evaluation model as an organizational framework and a systematized process to review large-scale social accountability frameworks as well as journal articles and other documents from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We then synthesized key concepts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조직 프레임워크
Organizational framework

우리는 사회적 책무성의 복잡한 요구, 지표, 결과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평가 도구로 스터플빔의 맥락-입력-과정-산출물(CIPP) 모델을 선택했습니다.35 교육의 책무성을 높이기 위해 1960년대에 처음 개념화된 이 프로그램 평가 모델은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책무성 모델이며 의학 교육에서 널리 수용되고 있습니다.35-37 그림 1에 표시된 대로 CIPP 모델은 프로그램 개선 및 책무성을 위한 방법으로 평가를 사용합니다. 이 모델은 상호 관련된 4개의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가 모델 전체에서 사용되는 지속적인 질 개선 피드백 루프를 통합합니다.35,36,38 
We selected Stufflebeam’s context–input–process–product (CIPP) model as the assessment tool to systematically identify social accountability complex needs, indicators, and outcomes.35 First conceptualized in the 1960s to provide greater accountability in education, this program evaluation model is an internationally used accountability model and widely accepted in medical education.35–37 As depicted in Figure 1, the CIPP model uses evaluation as a method for program improvement and accountability. It consists of 4 interrelated components and incorporates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feedback loops to be used throughout the evaluation model.35,36,38

CIPP 모델에서35-37 

  • 맥락배경을 의미하며, 교육 기관의 요구, 목표 및 기회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요구 평가이다
  • 투입은 교육기관이 효과적으로 기능하는 데 필요한 물적 및 인적 자원을 의미합니다. 투입은 프로그램 목표와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적절한 행동 방침을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 프로세스는 프로그램 실행을 가이드하는 데 사용됩니다. 
  • 산출은 학생 학습의 질과 개인 및 사회에 대한 유용성을 나타냅니다. 산출은 결과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후 CIPP 모델에서는 프로그램의 영향력, 효과성, 지속가능성, 전달성을 평가하기 위해 산출 구성요소를 4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나누었습니다.36,38

CIPP 모델은 역동적이며 교육을 생산 기능으로 간주하여 교육 투입물이 교육 산출물로 전환되는 방식으로 접근합니다. 각 구성 요소는 독립적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어떤 지표도 프로그램 성과를 절대적으로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36,38
In the CIPP model,35–37

  • Context refers to background—a needs assessment used to help identify needs, objectives, and/or opportunities of an educational institution. 
  • Inputs refer to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needed for effective functioning of an educational institution. Inputs are use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course of action(s) required to achieve program goals and objectives. 
  • Processes are used to guide the implementation of a program. 
  • Products refer to the quality of student learning and its usefulness for the individual and for society. Products are used to measure outcomes. In later iterations of the CIPP model, the product component was divided into 4 subcomponents to assess a program’s impact, effectiveness, sustainability, and transportability.36,38 

The CIPP model is dynamic and views education as a production function, whereby educational inputs are transformed to educational outputs. While each component can be evaluated independently, no indicator independently represents an absolute measure of program performance.36,38

선택 및 검색 기준
Selection and search criteria

반복적인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5개의 전자 서지 데이터베이스 및 플랫폼(PubMed, Embase, ERIC, Web of Science, Google Scholar)과 광범위한 월드 와이드 웹(Google 사용)에서 의학교육에 적용 가능한 사회적 책무성 프레임워크와 동료 평가 저널 논문 및 문서를 검색했습니다. 이러한 검색은 영어 문서로 제한되었습니다. 검색은 2018년 10월에 처음 수행된 후 2019년 3월 31일에 최신 문서를 포함하기 위해 반복되었습니다. 검색 전략에 사용된 키워드에는 사회적 책무성 또는 책임, 사회적 책무성 또는 책임, 사회 정책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이러한 단어는 의학교육, 의과대학, 의료 수련 프로그램, 보건 전문직 교육 주제 제목 용어와 함께 검색되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검색 전략 샘플은 부록 디지털 부록 1에 제공됩니다.  
Using an iterative process, we searched 5 electronic bibliographic databases and platforms (PubMed, Embase, ERIC, Web of Science, and Google Scholar) as well as the broader World Wide Web (using Google) for social accountability frameworks and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and documents applicable to medical education. These searches were limited to English-language documents. The searches were first conducted in October 2018 and then repeated on March 31, 2019, to include any more recent documents. Keywords used in the search strategies included social accountability OR responsibility, socially accountable OR responsible, and social policies. These words were searched in combination with medical education, medical schools, medical training programs, and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ubject heading terms. A sample database search strategy is provided in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at https://links.lww.com/ACADMED/B24.

포함 및 제외 기준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저희는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1990년(사회적 책무성이라는 용어가 의학교육 문헌에 명시적으로 등장한 시기)부터 2019년 3월까지 출판된 주요 영어 정책 프레임워크와 동료 검토 문서가 포함 대상에 포함되었습니다. 사회적 책무성 프레임워크에 대해 논의하지 않은 문서는 제외되었습니다. 검색에서 확인된 모든 문서는 연구팀의 포함 여부 검토 과정을 거쳤습니다. 저자 중 두 명(C.B., S.C.)이 검색에서 확인된 모든 문서를 선별했습니다. 전체 연구팀은 수시로 만나 문서를 검토하고 자격 요건에 관한 합의를 도출했습니다. 의과대학이 사회적 책무를 다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는 기본 가치, 원칙 및/또는 매개변수를 나타내고 사회적 책무를 개념화하기 위해 후속 논문에서 사용된 주요 출처의 사회적 책무 프레임워크가 검토에 포함되었습니다. 하위 프레임워크 및/또는 프로그램 또는 기관별 문서는 이전에 확립된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구축되어 일반화 가능성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제외되었습니다. 
Our focus was social accountability in medical schools. Key English-language policy frameworks and peer-reviewed documents published from 1990 (when the term social accountability explicitly emerged with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through March 2019 were eligible for inclusion. Documents that did not discuss social accountability frameworks were excluded. All documents identified in the searches underwent an inclusion review process by the research team. Two of the authors (C.B. and S.C.) screened all documents identified in the searches. The full research team met frequently to review the documents and come to consensus regarding eligibility requirements. Primary source social accountability frameworks which represented the foundational values, principles, and/or parameters of the attributes medical schools can strive toward to fulfill their social mandate and which were used in subsequent papers to conceptualize social accountability were included in the review. Subframeworks and/or program- or institution-specific documents were excluded as these built upon previously established frameworks and could lack generalizability.

분석
Analysis

주제별 종합41-44은 포함된 사회적 책무성 프레임워크 전반에 걸쳐 공통 요소와 고유 요소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주제 종합은 귀납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텍스트를 체계적으로 코딩하여 주제를 생성하는 것입니다.43,44 3단계 분석 프로세스는

  • 텍스트의 줄별 코딩으로 시작하여,
  • CIPP 모델의 4가지 차원을 조직적 프레임워크로 사용하여 특성화한 설명적 주제를 개발한 다음
  • 분석적 주제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어집니다.

저자 중 두 명(C.B. 및 S.C.)이 포함된 문서를 독립적으로 코딩했습니다. 결과물은 두 명의 코더가 검토하고 코딩의 정확성과 포괄성을 보장하기 위해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연구팀 내에서 논의했습니다. 
Thematic synthesis41–44 was used to describe common and unique elements across the included social accountability frameworks. Thematic synthesis involves the systematic coding of text using an inductive approach to generate themes.43,44 The 3-stage analytical process starts with

  • line-by-line coding of text;
  •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descriptive themes, which we characterized using the 4 dimensions of the CIPP model as an organizational framework; and
  • then the generation of analytical themes.

Two of the authors (C.B. and S.C.) coded the included documents independently. Resulting themes were reviewed by the 2 coders and discussed within the research team until consensus was reached to ensure coding accuracy and inclusivity.

결과
Results

33개의 초기 샘플 문서3,16,18-20,23,44-70에서 4개의 주요 대규모 사회적 책무성 정책 프레임워크3,16,18,19를 선정하여 검토에 포함시켰습니다(선정된 프레임워크의 개요는 표 1 참조). 이 4개의 주요 출처 문서는 의학교육에서 사회적 책무성의 기본 가치, 원칙 또는 매개변수를 나타냅니다. 또한 이 문서들은 모두 사회적 책무성을 개념화하기 위한 후속 논문에서 많이 인용되고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건강 형평성을 위한 교육 네트워크 평가 프레임워크47 및 다양한 기관별 교육, 연구, 서비스 활동의 정보로도 사용되었습니다. 
From the initial sample of 33 documents,3,16,18–20,23,44–70 we selected 4 key large-scale social accountability policy frameworks3,16,18,19 for inclusion in the review (see Table 1 for an overview of the selected frameworks). These 4 primary source documents represent the foundational values, principles, and/or parameters of social accountability in medical education. Additionally, these documents have all been highly cited and used in subsequent papers to conceptualize social accountability. They were also used to inform the Training for Health Equity Network evaluation framework47 as well as various institution-specific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ctivities.


이러한 프레임워크에는 지역, 국가 및 국제 수준에서 사회적 책무성에 대한 정책, 정의, 적용 및 평가가 포함됩니다.71 이러한 프레임워크는 조금씩 다르지만 모두 [사회적 책무성을 입증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특성]을 설명합니다. 공통점으로는

  • 지역 공중보건 수요에 대응하고,
  • 주요 이해관계자와 협력하여 기존 및 향후 사회적 공중보건 수요를 파악하고,
  • 주변 지역사회에 봉사하고,
  • 의사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 지역 인구통계와 지리를 반영하여 입학 과정 내 다양성을 높이고,
  • 유능한 의료 전문가를 배출하고,
  • 교육과정에 우선적 보건 수요를 반영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3,16,18,19 

These frameworks include policy, definition,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at the loc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71 Although these frameworks differ slightly, they all describ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used toward demonstrating social accountability. Commonalities include

  • responding to local public health needs;
  • working alongside key stakeholders in identifying existing and forthcoming societal public health needs;
  • servicing surrounding communities;
  • addressing physician shortages;
  • increasing diversity within the admissions process to reflect local demographics and geography;
  • producing competent medical professionals; and
  • ensuring the curriculum reflects priority health needs.3,16,18,19

주제별 종합에서는 공유 가치를 포함한 6가지 주제와 CIPP 평가 모델과 관련된 5가지 지표를 확인했습니다.

  • 맥락(프로그램 목표),
  • 투입물(활동),
  • 과정(활동),
  • 결과물(기관의 산출물/결과),
  • 사회 보건에 미치는 영향

영향 평가는 CIPP 모델에서 제품 평가의 하위 구성 요소이지만, 의학교육의 사회적 책무성이 실무에 미치는 영향과 공중 보건 개선에 중점을 두는 점을 고려하여 분석에서 영향 평가를 별도의 주제로 다루었습니다. 또한 아래 설명과 그림 2에 표시된 것처럼 각 테마 내에서 하위 주제를 식별했습니다. 주제와 하위 주제를 설명하기 위한 인용문은 표 2에 나와 있습니다. 
Our thematic synthesis identified 6 themes, including shared values and 5 indicators as they relate to the CIPP evaluation model:

  • context (program objectives),
  • inputs (actions),
  • processes (activities),
  • products (institutional outputs/outcomes), and
  • impacts on societal health.

While impact evaluation is a subcomponent of product evaluation in the CIPP model, given the emphasis of social accountability in medical education on impact in practice and improvement in public health, we treated impacts as a separate theme in our analysis. Additionally, we identified subthemes within each theme, as described below and depicted in Figure 2. A selection of quotes to illustrate the themes and subthemes is provided in Table 2.

 

공유 가치
Shared values

4개의 프레임워크는 모두 4가지 핵심 사회적 가치(관련성, 품질, 효과성, 형평성)를 강조합니다.3,16,18,19 이러한 광범위한 가치는 CIPP 모델의 모든 구성 요소에 걸쳐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핵심 사회적 가치는 맥락(프로그램 목표), 투입물(행동), 프로세스(활동), 결과물(기관의 산출물/결과)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회적 책무성의 개념적 이상과 잘 의도된 속성을 나타냅니다. 이는 행동 지향적이며 사회적 요구의 파악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이는 교육, 연구 및 서비스 전반에 걸쳐 의학교육 프로그램 활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입니다.18 
All 4 frameworks emphasized the 4 core social values (relevance, quality, effectiveness, and equity).3,16,18,19 These far-reaching values extend across all components of the CIPP model. Generally, the core social values refer to the conceptual ideals and well-intended attributes of social accountability intended to inform context (program objectives), inputs (actions), processes (activities), and products (institutional outputs/outcomes). They are action oriented and grounded in the identification of societal needs. They are intended to guide medical education program activities in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cross the training continuum.18

핵심 사회적 가치는 의과대학이 사회적 책무성에 대한 진전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1995년 WHO3 에 의해 처음 개념화되었으며, 이후 후속 프레임워크에서 적용되었습니다.16,18-20,23,44-70

  • 관련성은 의학교육 프로그램이 교육, 연구 및 봉사 활동에서 체계적인 접근법을 사용하여 인구, 지역사회 또는 국가의 우선적인 건강 요구 또는 우려를 해결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3,16,18,19
  • 근거에 기반하고 포괄적이며 문화적으로 민감최상의 진료를 개인에게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3,16,18,19
  • 효과성은 보건의료 자원(비용)을 활용하고,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공중보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합니다.3,16,18,19
  • 형평성보편적 접근성을 의미하며 모든 개인이 양질의 보건의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을 말합니다.3,16,18,19 

The core social values were originally conceptualized in 1995 by the WHO3 as a means to help medical schools evaluate their progress in addressing social accountability and have since been adapted by subsequent frameworks.16,18–20,23,44–70

  • Relevance implies that a medical education program addresses priority health needs or concerns of the population, community, or nation using a systematic approach in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ctivities.3,16,18,19
  • Quality refers to providing individuals with the best possible care that is evidence based, comprehensive, and culturally sensitive.3,16,18,19
  • Effectiveness refers to the utilization of health care resources (costs) and ensuring that the greatest impact on public health is achieved while making the best use of resources.3,16,18,19
  • Equity refers to universal access and striving to ensure that all individuals have access to quality health care.3,16,18,19

이러한 핵심 사회적 가치들 간의 상호관계는 "지역사회 또는 국가의 필요와 관련이 있고, 비용 효율적이며, 공평한 양질의 진료를 제공하는 의료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보편적인 사회적 약속을 나타냅니다.3 교육, 연구, 봉사 및 보건 정책에서 의과대학 활동은 이러한 필요를 반영해야 하며, 인구의 우선적인 건강 요구와 관련되고, 이에 대응하며, 예측해야 합니다.3,16,18,19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se core social values represents a universal social commitment to “building a health care system that is relevant to the needs of the community or nation and provides high-quality care that is cost-effective and equitable.”3 Medical school activities in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s well as health policies must be reflective of these needs—they must relate to, respond to, and anticipate priority health needs of the population.3,16,18,19

핵심 사회적 가치에 더하여, 포함된 3개의 프레임워크16,18,19 는 전문직업성의 가치와 윤리, 팀워크, 문화적 역량, 리더십, 의사소통, 평생 학습, 근거 기반 실천 등의 역량을 강조했습니다. 캐나다의 맥락에서는 학문적 자유와 임상 자율성의 가치도 강조되었습니다.16 
In addition to the core social values, 3 of the included frameworks16,18,19 emphasized the value of professionalism as well as the following competencies: ethics, teamwork, cultural competence, leadership, communication, lifelong learning, and evidence-based practice. In the Canadian context, the values of academic freedom and clinical autonomy were also highlighted.16

CIPP 모델
CIPP model

맥락.
Context.

맥락은 CIPP 모델의 첫 번째 구성 요소입니다. 프레임워크 전반에 걸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하위 주제에는 사명 선언문, 지역사회 파트너십, 보건의료 정책에 대한 적극적인 기여가 포함됩니다. 
Context is the first component in the CIPP model. Recurring subthemes that emerged across the frameworks included mission statements, community partnerships, and active contributions to health care policy.

[기관 또는 프로그램 사명 선언문, 의무, 정책, 목적 및 목표]는 사회적 책무성의 핵심 사회적 가치와 사회적 건강 요구 충족에 대한 명시적 약속을 반영해야 합니다.3,16,18,19 이러한 선언문은 공개적으로 게시하고 일반 대중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16 또한 의과대학의 사명 선언문과 교육, 연구, 봉사 활동의 내용과 맥락의 특수성은 해당 기관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사회 및 국가의 현재 및 예상되는 우선적 건강 요구 또는 관심사에 영감을 받고 이에 부합해야 합니다.3,19 이러한 사명 선언문은 요구 평가의 역할을 하며 기관의 교육, 연구, 봉사 활동이 사회에 대한 사회적 의무와 헌신을 입증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입니다.3 
Institutional or program mission statements, mandates, policies, objectives, and/or goals must reflect the core social values of social accountability and the explicit commitment to meeting societal health needs.3,16,18,19 These statements should be posted publicly and made easily accessible to the general population.16 Additionally, the content and context specificity of a medical school’s mission statement and activities in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should be inspired by and aligned with the current and anticipated priority health needs or concerns of the community and/or nation the institution serves.3,19 These mission statements serve as needs assessments and are intended to guide institutions’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ctivities to demonstrate their social obligation and commitment to society.3

지역 보건 시스템 및 기타 이해관계자들과 효과적인 지역사회 파트너십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합니다.3,16,18,19 의과대학은 다른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현재 및 미래의 보건 요구를 파악하면 그 효과를 개선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18 지역사회는 모든 의과대학의 주요 이해관계자 역할을 합니다.19 따라서 학교는 보건의료 정책, 계획, 재정을 담당하는 지역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여 우선순위 건강 요구와 최적의 환자 치료에 필요한 서비스 및 자원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3,16,18,19 관련 보건의료 기관, 전문가 그룹, 정부, 소비자, 시민사회와의 파트너십은 보건 계획, 정책 개발, 보건의료 전달 및 평가에 대한 공동 작업을 촉진하고 장려할 수 있습니다.16 
Developing effective community partnerships with local health systems as well as other stakeholders is also important.3,16,18,19 Medical schools are more likely to improve their effectiveness if they work collaboratively with other stakeholders to establish priorities and identify current and future health needs.18 The local community serves as the primary stakeholder of all medical schools.19 Therefore, it is imperative that schools work in partnership with local stakeholders responsible for health care policy, planning, and finance to identify priority health needs as well as services and resources required for optimal patient care.3,16,18,19 Partnerships with affiliated health care organizations, professional groups, governments, consumers, and civil society could facilitate and encourage shared work on health planning, policy development, health care delivery, and evaluation.16

의료 교육 프로그램도 보건의료 시스템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역사회 파트너십은 의과대학이 보건의료 정책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수단이 될 것입니다.3,16,18,19 의과대학은 변화의 촉매제 역할을 하고 보건의료 계획 및 전달, 정책 개발의 지속 가능성과 평가에 적극적으로 기여해야 합니다.16 
Medical education programs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the health care system. Community partnerships would serve as a means for medical schools to actively contribute to health care policy.3,16,18,19 Medical schools should act as catalysts of change and actively contribute to the sustainability and evaluation of health care planning and delivery, and policy development.16

입력.
Inputs.

인풋은 목표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프로그램에서 취하는 조치입니다. 이러한 행동은 기관/프로그램의 의무와 사명 선언문에 의해 동기가 부여되며, 사회적 책무성의 핵심 사회적 가치를 반영합니다. 프레임워크 전반의 하위 주제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모집 및 선발(학생, 교수진, 교직원)의 다양성 및 형평성,
  • 지역사회 인구 건강 프로필

Inputs are actions taken by programs to meet targeted goals. These actions are motivated by institution/program mandates and mission statements, and they reflect the core social values of social accountability. Subthemes across frameworks included

  • diversity and equity in recruitment and selection (students, faculty, and staff) and
  • community population health profiles.

두 가지 프레임워크는 학생 모집 및 선발에서 다양성과 형평성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18,19 핵심 사회적 가치와 사명 선언문에 포함된 사회적 약속을 이행하기 위해 의과대학은 모집 및 선발 정책을 조정하여 지원자의 다양성을 높여 소외된 인구와 취약 계층을 포함해야 합니다.18 학생들은 인종 및 민족, 가시적 소수 또는 원주민 신분, 사회경제적 지위, 성별 및 성적 지향, 종교를 포함한 일반 인구의 인구통계를 반영하고 농촌 및 소외된 지역사회 등 기타 취약 계층의 특성을 반영해야 합니다.19 또한 학교는 사회적 약자 지원자에게 동등한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지원 메커니즘(예: 재정 지원, 상담 서비스)뿐만 아니라 소외 계층을 위한 전략적 파이프라인 또는 할당제를 시행해야 합니다.19 의과대학은 또한 의학, 의료 서비스 전달 및 사회과학 부서의 교수진이 커리큘럼과 프로그램 의사 결정에 대표성을 갖고 참여하도록 해야 합니다.18 마지막으로 의과대학은 WHO 보고서에서 권고한 대로 일반의로서 진료할 가능성이 더 높은 학생을 입학시켜야 합니다.3 
Two framework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iversity and equity in the recruitment and selection of students.18,19 To meet the social commitments embedded within the core social values and mission statements, medical schools must adapt their recruitment and selection policies to increase the diversity of accepted applicants to include individuals from underrepresented populations and disadvantaged groups.18 Students should reflect the demographics of the general population—including race and ethnicity, visible minority or indigenous status, socioeconomic status, gender and sexual orientation, and religious affiliation—and reflect other disadvantaged groups, such as rural and underserved communities.19 Additionally, schools should implement strategic pipelines and/or quotas for underrepresented groups as well as support mechanisms (e.g., financial aid, counseling services) to ensure equal opportunities for socially disadvantaged applicants.19 Medical schools should also ensure that faculty from medicine, health service delivery, and social science divisions are represented and involved in the curriculum and in programmatic decision making.18 Lastly, medical schools should matriculate students who are more likely to practice as generalists, as recommended by the WHO report.3

세 가지 프레임워크의 또 다른 핵심 주제는 의과대학이 대상 지역사회 또는 국가의 서비스 격차뿐만 아니라 인구 요구를 파악해야 한다는 것입니다.3,18,19 학교는 잘 정의된 인구 건강 연구와 포괄적인 지역사회 인구 건강 프로필 개발을 통해 이러한 요구를 파악하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3,18 이러한 프로필에는 지역사회의 사회 인구학적 및 지정학적 구성과 인구 건강 위험,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 서비스 접근 장벽이 반영되어야 합니다. 
Another central theme in 3 frameworks was the need for medical schools to identify population needs as well as service gaps of a targeted community and/or nation.3,18,19 Schools can begin to identify these needs through well-defined population health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community population health profile.3,18 These profiles must reflect the community’s sociodemographic and geopolitical composition as well as population health risks,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nd barriers to accessing services.

프로세스.
Processes.

과정에는 교육 활동의 전체 스펙트럼이 포함됩니다.

  • 커리큘럼 내용 및 구조,
  • 교수법,
  • 지역사회 기반 임상 교육 기회 및 지역 인구와 의료 서비스 소외 지역에 대한 학습 노출,
  • 학습 평가,
  •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
  • 평가 시스템 등 

Processes include the entire spectrum of educational activities:

  • curricular content and structure;
  • teaching methods;
  • community-based clinical training opportunities and learning exposures to local populations and underserviced areas;
  • learning assessments;
  •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 evaluation systems.

프레임워크 전반에 걸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하위 주제에는 다음이 포함되었습니다. 

  • 커리큘럼 활동
  • 지역사회 기반 임상 교육 기회 및 학습 노출

Recurring subthemes that emerged across frameworks included

  • curricular activities as well as
  • community-based clinical training opportunities and learning exposures.

의과대학은 우선순위 공중보건 요구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교과과정 활동을 진행해야 합니다.3,16,18,19 교과과정 내용과 구조는 학생 중심 패러다임으로 접근해야 하며,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공중보건 위험, 인구, 지역사회, 국가의 지정학적, 사회인구학적, 역학적 특수성을 포함해야 합니다.3,19 또한 학교의 교과과정 활동은 강력한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결함 학생, 졸업생, 직원에게 평생 학습 기회를 지원해야 합니다.16,18 
Medical schools must direct their curricular activities toward addressing priority public health needs.3,16,18,19 Curricular content and structure should be approached using a student-centered paradigm and must include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public health risks; and the geopolitical, sociodemographic, and epidemiological specificities of a population, community, and/or nation.3,19 Additionally, schools’ curricular activities should support lifelong learning opportunities for faulty, graduates, and staff through the availability of robust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16,18

지역사회 기반 임상 교육 기회와 학습 노출인구 접근법을 사용하여 설계되어야 합니다.3,19 의과대학은 일차 진료를 장려하고 일차 진료 실습에 대한 학습 기회와 노출을 제공해야 합니다.3,16,19 또한 학교는 지역사회의 건강 요구와 관련된 종단적 지역사회 기반 학습 경험을 제공해야 합니다.3,19 마지막으로 학교는 농촌 의료 환경에서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불우하고 소외된 그룹에 노출되도록 해야 합니다.3,19 
Community-based clinical training opportunities and learning exposures should be designed using a population approach.3,19 Medical schools should promote primary care and provide learning opportunities and exposure to primary care practices.3,16,19 Additionally, schools should provide longitudinal community-based learning experiences that are relevant to the community’s health needs.3,19 Lastly, schools should provide learning opportunities in rural health care settings as well as exposure to disadvantaged and underserved groups.3,19

제품.
Products.

제품 평가는 프로그램 졸업생들의 유용성을 의미합니다. 프레임워크 전반에 걸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하위 주제에는 다음이 포함되었습니다. 

  • 의사 자원 계획,
  • 품질 보증,
  • 프로그램 평가 및 인증

Product evaluation refers to the usability of a program’s graduates. Recurring subthemes that emerged across frameworks included

  • physician resource planning,
  • quality assurance, and
  • program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4개의 프레임워크 모두 의사 자원 계획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의과대학은 학생의 적절한 구성을 결정하고 교육하며, 사회적 요구를 충족하는 데 필요한 졸업생의 분포, 배치 및 유지를 결정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합니다.3,16,18,19 또한 학교는 일차 진료 의사를 위한 지역 취업 기회를 보장해야 합니다.18,19 
All 4 framework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hysician resource planning. Medical schools should be actively involved in determining and educating the right composition of students and in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deployment, and retention of graduates necessary to meet social needs.3,16,18,19 Additionally, schools must ensure local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primary care physicians.18,19

또 다른 핵심 주제는 프로그램 평가 및 인증의 중요성이었습니다.3,16,18,19 인증 기준 및 프로세스는 사회적 책무성 원칙을 통합해야 합니다.3,16,18,19 평가 및 인증은 정기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3,19 결과는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하고 제도 개선에 사용되어야 합니다.19 또한 평가 및 인증 팀은 정책 입안자, 보건 전문가, 지역사회 구성원을 포함한 이해관계자를 폭넓게 대표할 수 있어야 합니다.3,16,18,19 
Another central theme was the importance of program evaluation and accreditation.3,16,18,19 Accreditation standards and processes should incorporate social accountability principles.3,16,18,19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must be conducted at regular intervals,3,19 and the results should be made publicly available and used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19 Additionally,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teams should be widely representative of stakeholders, including policymakers, health professionals, and community members.19

마지막으로, 교육, 연구 및 서비스 제공에서 지속적인 품질 보증 프로세스를 수용하는 것의 중요성은 모든 프레임워크에서 강조되었습니다.3,16,18,19 이 프로세스는 투명해야 하며, 교육 개선을 촉진하기 위해 잘 정의된 표준을 사용하여 안내해야 합니다.3,19 또한 졸업생 역량을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잘 정의된 교육 기준을 반영하여 치료의 질을 보장하고, 졸업생이 변화하는 공중 보건 요구를 충족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갖추고 실무에 투입되도록 해야 합니다.3,16,18,19 
Lastly, the importance of embracing a continuous quality assurance process in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delivery was emphasized across all frameworks.3,16,18,19 This process should be transparent and guided using well-defined standards to promote educational improvements.3,19 Additionally, graduate competencies must be assessed regularly and reflect well-defined educational standards to ensure quality of care and that graduates enter practice equipped with the skills required to meet changing public health needs.3,16,18,19

영향.
Impacts.

사회적 책무성의 전제는 의학교육 프로그램의 목적과 실천이 사회적 필요를 파악하는 데서 시작하여 그러한 필요를 충족하는 것으로 마무리될 것을 요구합니다.18 영향 평가는 제품 평가의 일부입니다.

  • 프레임워크 전반에서 강조되는 공통 주제는 지역사회 건강 결과의 전반적인 개선입니다.3,16,18,19
  • 또 다른 공통 주제는 지역사회 건강 위험과 지역사회 질병의 이환율 및 사망률의 감소 및 예방입니다.16,19 

The premise of social accountability requires that the purpose and practices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commence in the identification of societal needs and conclude in meeting those needs.18 Impact evaluation is part of product evaluation.

  • A common theme highlighted across frameworks was overall improvement in community health outcomes.3,16,18,19 
  • Another common theme was reduction and prevention of community health risks and morbidity and mortality of community diseases.16,19

사회적 영향을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의과대학은 교육 연속체를 포괄하고 졸업생이 실제로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춘 표준을 개발해야 합니다.19 졸업생이 질병 부담을 줄이고 그들이 봉사하는 지역 사회의 건강을 개선하는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를 개발해야 합니다.16 의과대학은 활동 결과가 지역 사회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어야 합니다.3,16,18,19 졸업생이 지역사회 건강 위험과 지역사회 질병의 이환율 및 사망률을 줄여 공중 보건에 긍정적인 사회적 투자 수익을 얻도록 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16,19 
To evaluate societal impacts effectively, medical schools must develop standards that span the educational continuum and focus on impacts of graduates in practice.19 They must develop metrics to assess the extent to which their graduates reduce the burden of illness and improve the health of the communities they serve.16 Medical schools must be able to demonstrate that the outcomes of their activities have positive impacts on community health.3,16,18,19 They have an obligation to ensure their graduates have a positive social return on investment to public health by reducing community health risks and the morbidity and mortality of community diseases.16,19

토론
Discussion

이 검토에서는 CIPP 평가 모델을 사용하여 4개의 대규모 사회적 책무성 정책 프레임워크3,16,18,19 에서 주요 주제와 지표를 확인했습니다.35 의학교육 문헌에서 정책 문서 전반에 걸쳐 사회적 책무성 지표를 식별하는 데 CIPP 모델이 사용된 적은 없지만, 이 검토는 의학교육의 사회적 책무성 평가를 위한 초기 운영 구성 개발에서 그 유용성을 입증합니다. 포함된 프레임워크에서 탐구된 주제는 의학교육의 광범위한 사회적 책무성 문헌과 일치합니다. 그러나 CIPP 모델은 책무성 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한 의학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35-38 또한, 이 검토에서는 책임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도 의도치 않게 다루고 있습니다: 누가, 무엇에 대해, 누구에게, 어떤 수단을 통해 책임을 져야 하는가.7,10,15 이러한 질문은 책무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며,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을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사회적 책무성 프레임워크를 운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This review identified major themes and indicators across 4 large-scale social accountability policy frameworks3,16,18,19 using the CIPP evaluation model.35 The CIPP model has not been used previously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to identify social accountability indicators across policy documents, but this review provides evidence of its utility in the development of initial operational constructs to evaluate social accountability in medical education. The themes explored in the included frameworks are consistent with the broader social accountability literature in medical education. However, the CIPP model provides an evaluation framework for medical education programs to strengthen their accountability systems.35–38 Additionally, this review also inadvertently addresses the fundamental questions of accountability: Who is held to account, for what, to whom, and through what means?7,10,15 These questions are critical to understanding accountability and can be used to help operationalize social accountability frameworks to better evaluate how and in which ways medical schools are socially accountable.

이 검토는 주로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사회적 책무성은 역동적인 과정이라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시민, 정부, 수련기관, 의료 교육자/공급자 간의 협력 관계를 통해 사회적 건강 요구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우선순위를 정하여 해결하는 과정입니다.3,72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을 측정하고 체계적으로 평가하려면 개념적, 운영적 복잡성을 포착할 수 있는 강력한 평가 모델을 사용해야 합니다. 인증은 이러한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의과대학이 직장에서 일할 수 있는 유능한 졸업생을 배출하도록 하는 다른 목적도 있습니다. 이 경우 학교는 인증기관에 책임을 집니다. 캐나다와 호주는 인구의 우선적인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과대학의 노력을 평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식적인 사회적 책무성 기준을 인증 절차에 통합했습니다.19,72,73 이는 긍정적인 발전이지만, 사회적 책무성 결과에 대해 더 폭넓게 생각하고 교육 투입물, 산출물, 영향 간의 의미 있는 관계를 확립해야 합니다.19,73 
While this review focused primarily on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it is important to acknowledge that social accountability is a dynamic process. It represents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 government, training institutions, and health care educators/providers to systematically identify, prioritize, and address societal health needs.3,72 The measurement and systematic evalua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in medical schools requires the use of a robust evaluation model to capture its conceptual and operational complexities. While accreditation may address many of these issues, it often serves a different purpose—ensuring medical schools produce competent graduates for the workplace. In this instance, schools are accountable to the accreditors. Canada and Australia have incorporated formal social accountability standards into their accreditation processes as a means to evaluate a medical school’s commitment to addressing the priority health concerns of the population.19,72,73 While this is a positive advancement, we need to continue to think about social accountability outcomes more broadly and establish meaningful 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al inputs, outputs, and impacts.19,73

그러나 의과대학이 사회적 필요를 충족시킨다는 가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합니다. Boelen에 따르면,72 사회적 책무성을 다하는 의과대학은 1%에 불과한 반면, 사회적 대응을 하는 의과대학은 9%, 사회적 책무성을 다하는 의과대학은 90%에 달한다고 합니다. 투명성 및 책임성 이니셔티브가 공공 서비스 개선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부상했지만, 이러한 이니셔티브와 공중 보건에 미치는 영향 사이의 관계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74 이 문제는 의학교육에만 국한된 것이 아닙니다.75 졸업생들이 실제로 지역사회에 미치는 사회적 영향을 평가 및 입증하고, 이론과 실무 사이의 연결 고리를 구축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입증은 사회적 책무성에 대한 선한 의도와 헌신을 공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개념 증명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75 개별 의과대학이 사회적 책무성을 다하기 위한 진전을 확인하고자 하는 문헌이 증가하고 있습니다(체계적인 검토는 Reeve 외76 참조). 의과대학의 노력의 예로는 입학 절차를 통한 접근성 확대,77-82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을 반영한 커리큘럼 개혁,83-86 지역사회 기반 임상 교육 기회 및 학습 노출,87-90 학습자의 위치 등이 있습니다.91-97 
There is, however, an understudied assumption that medical schools meet societal needs. According to Boelen,72 only 1% of medical schools are socially accountable, whereas 9% of medical schools are socially responsive and 90% are socially responsible. While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initiatives have emerged as a key strategy for improving public servic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initiatives and their impacts on public health remains largely unknown.74 This issue is not specific to medical education.75 There is a need to evaluate and demonstrate the social impacts graduates have in practice on communities and establish a link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is demonstration becomes less about providing public displays of good intentions and commitment to social accountability and more about proof of concept.75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seeks to affirm the progress of individual medical schools toward becoming socially accountable (see Reeve et al76 for a systematic review). Some examples of medical schools’ efforts include widening access through admissions processes,77–82 curricular reforms reflecting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83–86 community-based clinical training opportunities and learning exposures,87–90 and location of learners.91–97

일부 의학교육 환경에서 사회적 책무성 평가의 진전이 계속 확대되고 있지만,98 사회적 책무성 이니셔티브가 사회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99,100 그러나 소수의 경험적 논문에서 환자 건강 결과를 의사 교육 및 성과와 연관시키고 있으며101,102 일부 논평103-105에서는 의학교육 프로그램이 공중 보건 요구에 미치는 영향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국가 임상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졸업생 결과를 환자 영향과 연결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While progress in evaluating social accountability continues to expand in select medical education settings,98 the extent to which social accountability initiatives impact societal health remains largely unknown.99,100 However, a small number of empirical papers associate patient health outcomes with physician training and performance101,102 and some commentaries103–105 emphasize the need to link graduate outcomes with patient impacts using national clinical datasets to better understand the effects medical education programs have on public health needs.

한계점
Limitations

이 검토는 이전 연구를 확장한 것입니다.3,16,18-20,23,44-70 가능한 모든 사회적 책무성 지표의 포괄적인 목록을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여기에 제시된 주제와 지표는 주요 출처의 사회적 책무성 정책 프레임워크에 국한되어 있으며, 품질 평가에 사용되는 지표를 반드시 포함하지는 않습니다. 이 검토에서는 글로벌 건강 격차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등 최근의 글로벌 건강 운동은 다루지 않았습니다. 또한 CIPP 모델은 교육에 대한 하향식 시스템 접근 방식을 가정하여 교육 투입물이 제품으로 전환된다고 가정합니다. 또한 이 검토는 주로 의학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사회적 책무성의 다른 상호 연관되고 상호 의존적인 프로그램 활동(예: 연구 및 서비스)은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관계를 더 자세히 조사하고 의과대학이 지역 보건 요구를 해결하고 이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This review extends earlier work.3,16,18–20,23,44–70 It does not provide a comprehensive list of all possible social accountability indicators. The themes and indicators presented here are limited to primary source social accountability policy frameworks and are not necessarily inclusive of metrics used to assess quality. This review does not address more recent global health movements, for instance, the growing concerns regarding global health disparities. Additionally, the CIPP model assumes a top-down systems approach to education, whereby educational inputs are turned into products. This review is also primarily on medical education, not other interrelated and interdependent program activities of social accountability (i.e., research and servic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these relationships in more detail and determine whether medical schools address and respond to local health needs.

결론
Conclusion

이 검토는 확립된 프로그램 평가 모델과 4가지 대규모 사회적 책무성 정책 프레임워크의 증거를 연결하여 의학교육 연속체 전반에 걸쳐 지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프로그램 평가 모델은 교육기관이 원하는 목표와 목적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실용적인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의과대학이 사회적 의무를 다하려고 노력하더라도 이러한 행동이 공중 보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보장은 없습니다.3 
This review links an established program evaluation model and evidence from 4 large-scale social accountability policy frameworks, which may lead to the creation of indicators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Program evaluation models provide a systematic and easily understood practical guide for monitoring the progress of an institution toward desired goals and objectives. However, even when medical schools attempt to fulfill their social obligations, there is no guarantee that these actions will positively impact public health.3

사회적 책무성을 평가하는 일은 복잡합니다.65 의학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는 대부분의 이전 문헌은 주로 투입물과 과정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72 사회적 책무성이 더욱 강조됨에 따라, 우리 커뮤니티는 [교육 투입물과 과정]에서 [산출물과 영향]에 초점을 전환해야 합니다. 다음의 것들 사이에 의미 있는 관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습니다.32,74

  • 투입물(누가, 어디서, 어떤 교육을 받았는지),
  • 산출물(졸업생이 실제 진료 현장에서, 어떤 의료 전문 분야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 영향(졸업생의 활동이 인구 건강을 어떻게 개선하는지) 

이러한 관계를 설정하기 시작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 CIPP 프로그램 평가 모델을 사용할 것을 제안합니다. 
The task of evaluating social accountability is complex.65 Most of the previous literature assessing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has focused predominantly on inputs and processes.72 As more emphasis is placed on social accountability, it is imperative that we as a community shift our focus from educational inputs and processes to products and impacts.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meaningful relationships between program

  • inputs (who is trained and from where),
  • products (what graduates do in practice, in what medical specialty, and where), and
  • impacts (how graduates’ activities improve population health).32,74 

We suggest a way to begin to establish these links is through the use of the CIPP program evaluation model.


Acad Med. 2020 Dec;95(12):1945-1954. doi: 10.1097/ACM.0000000000003731.

Social Accountability Frameworks and Their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and Program Evaluation: A Narrative Review

Affiliations collapse

1C. Barber is a PhD candidate,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HE),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ORCID: https://orcid.org/0000-0003-3605-8485.

2C. van der Vleuten is professor, Department of Educational Development and Research,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3J. Leppink is senior lecturer in medical education, Hull York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York, York, United Kingdom.

4S. Chahine is associate professor, Faculty of Education, Queen's University, Kingston, Ontario, Canada; ORCID: https://orcid.org/0000-0003-0488-773X.

PMID: 32910000

DOI: 10.1097/ACM.0000000000003731

Free article

Abstract

Purpose: Medical schools face growing pressures to produce stronger evidence of their social accountability, but measuring social accountability remains a global challenge. This narrative review aimed to identify and document common themes and indicators across large-scale social accountability frameworks to facilitate development of initial operational constructs to evaluate social accountability in medical education.

Method: The authors searched 5 electronic databases and platforms and the World Wide Web to identify social accountability frameworks applicable to medical education, with a focus on medical schools. English-language, peer-reviewed documents published between 1990 and March 2019 were eligible for inclusion. Primary source social accountability frameworks that represented foundational values, principles, and parameters and were cited in subsequent papers to conceptualize social accountability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matic synthesis was used to describe common elements across included frameworks. Descriptive themes were characterized using the context-input-process-product (CIPP) evaluation model as an organizational framework.

Results: From the initial sample of 33 documents, 4 key social accountability framewor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Six themes (with subthemes) emerged across frameworks, including shared values (core social values of relevance, quality, effectiveness, and equity; professionalism; academic freedom and clinical autonomy) and 5 indicators related to the CIPP model: context (mission statements, community partnerships, active contributions to health care policy); inputs (diversity/equity in recruitment/selection, community population health profiles); processes (curricular activities, community-based clinical training opportunities/learning exposures); products (physician resource planning, quality assurance, program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and impacts (overall improvement in community health outcomes, reduction/prevention of health risks, morbidity/mortality of community diseases).

Conclusions: As more emphasis is placed on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it is imperative to shift focus from educational inputs and processes to educational products and impacts. A way to begin to establish links between inputs, products, and impacts is by using the CIPP evaluation model.

 

인지과학의 인사이트를 임상 술기 교육에 사용하기: AMEE Guide No. 155 (Med Teach, 2023)
Using insights from cognitive science for the teaching of clinical skills: AMEE Guide No. 155
Dario Cecilio-Fernandes, Rakesh Patel & John Sandars

 

 

소개
Introduction

학생들이 임상 술기를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보건 전문직 교육(HPE) 교육자들에게 점점 더 어려운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졸업 시점에 습득해야 하는 임상 술기의 수가 증가하고 시뮬레이션 및 임상 업무 환경에서 임상 술기를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점점 더 제한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도전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특정 학부 강의 계획서에 따라 학생들이 습득해야 하는 임상 술기는 다양하며, 이러한 술기는 캐뉼레이션과 같은 간단한 절차적 술기부터 고급 생명유지술의 경우 보다 복잡한 진단 및 관리 추론 술기까지 다양합니다(Faustinella and Jacobs 2018). 또한 교육자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임상 술기 감퇴의 중요성에 대해 점점 더 인식하고 있습니다(세실리오-페르난데스 외. 2018; 살 외. 2021). 
Supporting students in the effective acquisition of their clinical skills is becoming more of a challenge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educators. The challenge is a growing one because of the increasing number of clinical skills required to be learned at the point of graduation, and also because of the increasingly limited opportunities for learning clinical skills in simulation and clinical workplace settings. There are many clinical skills that students need to acquire depending on the specific undergraduate syllabus, and these skills range from simple procedural skills, such as cannulation, through to more complex diagnostic and management reasoning skills in the case of advanced life support (Faustinella and Jacobs 2018). In addition, educators are becoming increasing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clinical skill decay over time (Cecilio-Fernandes et al. 2018; Sall et al. 2021).

이 가이드의 목적은 학부, 대학원 및 평생 의학 교육에서 임상 술기 교육에 대한 인지과학적 관점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관점은 임상 술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습득하고 술기 쇠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교육 방법에 대한 유용한 증거 기반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는 두 섹션으로 나뉩니다. 

  • 첫째, 이 가이드에서는 전문성 및 숙련도 개발의 본질과 임상 술기 개발의 인지과학적 근거를 포함한 이론적 토대를 논의하여 술기 감퇴를 줄이면서 임상 술기를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합니다.
  • 둘째, 실제적인 시사점을 논의하고 이론적 토대를 현재 실무에 어떻게 통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제적인 예시를 제시합니다.

The aim of this Guide is to provide a cognitive science perspective on teaching clinical skills in undergraduate, postgraduate,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This perspective can provide useful evidence-based insights into how teaching can ensure the more effective acquisition of clinical skills and also minimize skill decay. The guide is divided in two sections.

  • First, the guide discusse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including the nature of expertise and mastery development and the cognitive science basis of clinical skills development to ensure the effective acquisition of clinical skills, with reduced skill decay.
  • Second, we discuss the practical implications and present a practical illustration of how the theoretical foundations can be integrated into current practices.

이론적 토대
Theoretical foundations

임상 술기 습득의 인지 과학적 기반
The cognitive science basis of clinical skills acquisition

HPE 교육자가 직면한 첫 번째 과제 중 하나는 '임상 술기'의 정의에 포함되는 기술이 매우 다양하다는 것입니다.

  • 신체 검사 기술실습 기술부터
  • 의사소통 기술, 치료 기술, 임상적 추론 또는 진단적 의사 결정 기술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다양합니다.

이러한 기술 중 일부는 기술적 또는 절차적 성격이 강한 반면 일부는 지적 또는 인지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업무 유형에 따라 그 차이가 큽니다. 또한 임상 술기에 어떤 영역을 포함할지에 대한 합의나 합의가 거의 없기 때문에 임상 술기 개발을 위한 최적의 교수 학습 전략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존재합니다(Michels Evans 및 Blok 2012). 그러나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볼 때 모든 임상 술기의 기본 과정은 유사하며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의 효과적인 통합이 필요합니다.
One of the first challenges facing HPE educators is the wide variety of skills than come under the definition of ‘clinical skill’. The range is

  • from physical examination skills and practical skills through
  • to communication skills, treatment skills, and clinical reasoning or diagnostic decision-making skills.

The difference between all these skills in the type of task is significant since some are more technical or procedural in nature whereas some are more intellectual or cognitive in nature. There is also little consensus or agreement around which domains to include within clinical skills, therefore there are a number of different perspectives around the optimal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developing clinical skills (Michels Evans and Blok 2012). However, from a cognitive science perspective, the underlying process of all clinical skills is similar and requires the effective integration of declarative and procedural knowledge.

선언적 지식은 사실이나 사건('무엇을 아는 것')을 말합니다(Anderson 1982). 임상 술기의 경우 선언적 지식에는 생의학 분야의 관련 사실 또는 개념적 지식과 실제 술기 수행 방법에 대한 기술적 측면이 포함됩니다. 

  • 예를 들어, 혈압 측정에 대한 선언적 지식은 '수축기'와 '이완기'라는 용어의 사실적 차이점과 혈액이 몸속으로 펌프질되는 여러 단계에 대한 '수축기'와 '이완기'의 개념적 차이점을 알아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혈압을 측정할 때 환자와 기계의 위치를 가장 잘 잡는 방법과 관련된 개념적 지식과 함께 사용할 장비에 대한 사실적 지식도 필요합니다.

Declarative knowledge refers to facts or events (‘knowing what’) (Anderson 1982). In the case of clinical skills, declarative knowledge includes relevant factual or conceptual knowledge in the biomedical sciences and technical aspects about how to undertake the skill in practice. For example, declarative knowledge about measuring blood pressure requires knowing the factual differences between the terms ‘systolic’ and ‘diastolic’ and the conceptual difference between ‘systolic’ and ‘diastolic’ in terms of the different phases when blood is pumped around the body. Likewise, factual knowledge about the equipment to be used is also necessary, alongside conceptual knowledge related to how best to position the patient and the machine when taking blood pressure.

절차적 지식('방법 알기')은 선언적 지식으로 행동을 자동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반복적인 기술 연습을 통해 발전합니다(Anderson 1982). 

  • 예를 들어, 절차적 지식은 환자의 혈압을 측정하고 그 절차를 수행하면서 환자에게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식과 기술 모두에 의해 술기가 자동화되면 실제로는 더 빠른 수행으로 이어집니다. 

이 개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술이 쇠퇴하는 것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절차적 지식은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나도 유지되는 반면, 선언적 지식은 시간이 지나면 쇠퇴할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면 잊어버릴 수 있습니다(Anderson 1982; Anderson 외. 2004). 기술을 숙달했더라도 일정 기간 사용하지 않으면 전문가가 최적의 성과를 발휘하는 데 여전히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이는 선언적 지식의 쇠퇴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cedural knowledge (‘knowing how’) refers to the automatizing of our actions with declarative knowledge and develops with repeated practice of the skill (Anderson 1982).

  • For example, procedural knowledge refers to taking a patient’s blood pressure and being able to explain the procedure to them whilst undertaking it. The automatization of the skill over time, due to both knowledge and skill, leads to faster performance in practice.

This concept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skill decay over time. Whereas procedural knowledge is usually maintained over time, declarative knowledge can decay and may be forgotten without repeated use of the skill (Anderson 1982; Anderson et al. 2004). Even though a skill has been mastered, after a period of disuse, professionals may also still face some difficulties to demonstrate optimal performance, and again is more likely related to the decay of declarative knowledge.

임상 술기를 포함한 효과적인 술기 습득은 교사가 주도하는 특정 교육을 통해 선언적 지식을 구성하고 유지하는 것으로 시작해야 하며, 여기에는 학습자가 처음에 술기를 시연하는 교사를 관찰하는 것이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연습하면 절차화라는 과정을 통해 선언적 지식을 절차적 지식으로 변환하여 기술 습득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Taatgen and Lee 2003). 절차화는 개인이 기술 수행을 자동화함에 따라 학습자의 정신적 노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고, 그 과정에서 경험하는 인지적 요구와 오류의 양이 감소하기 때문에 효과적입니다(Anderson 1982). 
Effective skill acquisition, including clinical skills, should begin with constructing and maintaining declarative knowledge through specific teacher-led instruction, which may or may not include observation by learners of the teacher demonstrating the skill in the beginning. Practice over time will increase skill acquisition by transforming declarative knowledge into procedural knowledge through a process known as proceduralization (Taatgen and Lee 2003). The proceduralization is effective because the mental effort for learners reduces over time as individuals automatize the performance of the skill, thereby also reducing the cognitive demand experienced and the amount of errors in the process (Anderson 1982).

인지 과학을 숙달 학습과 의도적 연습에 적용하기
Applying cognitive science to mastery learning and deliberate practice

숙달 학습의도적 연습은 현재 임상 술기 교육에서 절차화를 통한 자동화를 개발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법의 교육 활동 설계에 인지 과학 증거 기반 교육 전략을 통합하면 숙련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숙련도 습득 및 숙련도 유지에 대한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 중 다수는 전통적으로 지식의 개발 또는 구성과 관련이 있지만, 술기 개발에는 다양한 유형의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임상 술기 교육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Mastery learning and deliberate practice are currently widely used to develop automatization through proceduralization in clinical skills teaching. However, the effectiveness for skill acquisition and skill retention over time to avoid skill decay can be greatly enhanced by also integrating cognitive science evidence-based teaching strategies into the design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se approaches. Although many of these strategies have been traditional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r construction of knowledge, we consider that these can also be applied to the teaching of clinical skills because different types of knowledge are required for skills development.

숙달 학습
Mastery learning

숙달 학습은 구조화되거나 비계화된 교육에 의존하는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개별화된 접근 방식입니다(McGaghie 2015). 보다 구체적으로, 숙달 학습은 개인이 다음 교육 목표를 진행하기 전에 정의된 수준의 숙련도를 달성해야 합니다.

  • 이 접근 방식은 일반적으로 개인에 대한 기준선 또는 진단 테스트와 명확하게 정의된 학습 목표 설정으로 시작됩니다.
  • 그 다음에는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난이도가 점점 높아지는 일련의 활동 단위가 이어집니다. 학습 목표가 구성되는 방식이나 활동 단위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방식에는 공식적인 과정이나 절차가 없습니다.
  • 활동 단위는 학습자의 참여가 필요하며 미리 지정된 학습 목표에 도달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활동 단위에는 개인이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달성해야 하는 최소 통과 기준이 있습니다.
  • 마찬가지로, 각 단원에는 개인이 숙달을 위한 최소 합격 기준을 어느 정도 달성했는지 측정하기 위한 평가 요소가 있습니다. 
  • 개인이 해당 활동 단위에서 성공했음을 입증하면 다음 활동 단위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 개인은 숙달 표준에 도달할 때까지 단원을 진행하며 이동합니다.
  • 따라서 숙달 학습에서 역량 또는 성취도는 전적으로 지정된 기준 테스트에서 개인이 달성한 성과에 의해 평가됩니다. 

Mastery learning is an individualized approach for acquiring a skill that is dependent on structured or scaffolded instruction (McGaghie 2015). More specifically, mastery learning requires individuals to achieve a defined level of proficiency before proceeding onto the next instructional objective.

  • This approach usually commences with baseline or diagnostic testing of the individual and the setting of clearly defined learning objectives.
  • This is followed by a sequence of units of activity, which have increasing difficulty, to meet the learning objectives. In terms of the way in which learning objectives are constructed or units of activity are designed and developed, there is no formal process or procedure to follow.
  • Each unit of activities requires engagement by the learner and a focus on reaching the pre-specified learning objective.
  • There is a minimum passing standard for each unit of activity which individuals need to achieve before moving on.
  • Likewise, there is an assessment component to each unit to gauge the extent to which the individual has achieved a minimum passing standard for mastery.
  • Once individuals demonstrate their success in the unit of activity, they can advance to the next unit of activity.
  • Individuals progress to move through units until the mastery standard is reached.
  • Therefore in mastery learning, competence or achievement is evaluated entirely by the individual’s attained performance on a specified criterion test.

교육 방법으로서의 효과성에 대한 증거 측면에서, 기술 강화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의료 전문가를 대상으로 숙달 학습을 조사한 체계적인 검토 및 메타 분석에 따르면 이 접근 방식이 비숙달 교육보다 우수하지만 시간이 더 걸리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Cook et al. 2013).
In terms of evidence for effectiveness as a training metho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vestigating mastery learning for health professionals using technology-enhanced simulation confirmed the approach was superior to non-mastery instruction but takes more time (Cook et al. 2013).

그러나 학습자가 숙달할 때까지 연습해도 임상 술기가 쇠퇴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Higgins 외. 2021a, 2021b). 예를 들어, 중심정맥카테터 술기를 수행한 학습자는 6개월 및 12개월 후에 술기가 쇠퇴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Barsuk 등. 2010), 6개월 후 기본 생명유지술기에서도 유사한 관찰 결과가 나타났습니다(Wik 등. 2002; Srivilaithon 등. 2020).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임상 추론과 같은 개념적 임상 술기]뿐만 아니라 [캐뉼레이션 및 혈압 측정과 같은 기술적 술기]에 대한 지식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또한, 이 연구 결과는 강의실 가용성 및 스케줄링보다는 이론과 근거에 기반하여 교육 시간과 시간표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론과 증거의 관점에서 볼 때, 관찰된 차이는 학습자가 과제 수행 능력을 입증했음에도 불구하고 절차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간과 교육이 부족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However, research has identified decay of clinical skills even when learners practice until mastery (Higgins et al. 2021a, 2021b). For example, learners that performed central venous catheter performance were observed to demonstrate skills decay after six and 12 months (Barsuk et al. 2010), and similar observations have been noted with basic life support skills after 6 months as well (Wik et al. 2002; Srivilaithon et al. 2020).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knowledge not just for conceptual clinical skills such as clinical reasoning but also technical ones such as cannulation and blood pressure measurement. Furthermore, the findings also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ensuring decisions around teaching time and timetabling are based on theory and evidence, rather than room availability and scheduling. From a theory and evidence perspective, the differences observed are likely due to a lack of time and training for supporting learners achieve proceduralization even though they were observed to have demonstrated competence on performing the task.

인지 과학적 관점에서 숙달은 개인이 필요한 모든 지식을 선언적 형태가 아닌 절차적 형태로 보유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절차적 형태의 지식은 선언적 지식과 운동 행동 사이의 연결로 존재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기술 쇠퇴는 기억에 저장된 선언적 지식이 잊혀지고 그 결과 절차적 지식도 상실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숙달을 달성하려면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 사이의 연결을 강화하여 기술 붕괴를 방지하거나 기술 붕괴가 일어나기 어렵게 만들어야 합니다.
From a cognitive science perspective, mastery is understood as when individuals possess all the necessary knowledge in the procedural form (as opposed to the declarative form), and that knowledge in procedural form exists as a connection between declarative knowledge and motor actions. Viewed through this perspective, skills decay is a phenomenon whereby declarative knowledge stored in memory is forgotten, and as a consequence, there is a loss of procedural knowledge as well. Therefore achieving mastery also involves preventing skills decay or certainly making it more difficult for skills decay to occur, through strengthening the connections between declarative and procedural knowledge.

언뜻 보기에는 단순 술기(예: 혈압 측정)부터 복합적 술기(예: 중심정맥관 삽관)복잡한 술기(예: 고급 생명유지술)까지 모든 임상 술기가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이 복잡하거나 불필요한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선언적 지식의 개발 및 통합에 대한 관심은 술기의 복잡성에 따라 비례하여 달라져야 합니다.

  • 혈압 측정과 같은 간단한 술기는 완료해야 할 작업이 적고 각 작업은 일반적으로 임상 실습 중 개인이 처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과 환경에 걸쳐 상당히 일관성이 있기 때문에 고급 생명 유지와 같은 복잡한 술기에 비해 선언적 및 절차적 지식이 덜 필요합니다.
  • 고급 생명 유지술의 경우 여러 술기와 관련된 여러 작업이 있으며, 각 작업은 임상 실습의 여러 상황과 환경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임상 술기로서 고급 생명유지술은 혈압 측정에 비해 개인이 업무에서 보여줘야 하는 술기의 질과 양이 훨씬 더 많기 때문에 훨씬 더 많은 선언적 및 절차적 지식이 필요합니다.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의 양은 임상 술기마다, 그리고 전문성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안전한 술기 개발은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을 기억 속에 효과적으로 통합하는 데 달려 있습니다.
At first glance, this may appear complicated or unnecessary since not all clinical skills are the same, with simple ones (e.g. blood pressure measurement) through to complicated (e.g. central line cannulation) and complex ones (e.g. advanced life support). It follows that the amount of attention given to developing and consolidating declarative knowledge should be proportionate and vary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the skill.

  • A simple skill, such as measuring blood pressure, requires less declarative and procedural knowledge compared to a more complex skill, such as advanced life support, since there are less tasks to complete and each task is generally fairly consistent across different situations and circumstances individuals may find themselves in during clinical practice.
  • In the case of advanced life support, there are multiple tasks involving multiple skills, and each task varies significantly across different situations and circumstances in clinical practice. A lot more declarative and procedural knowledge is necessary for advanced life support as a clinical skill compared to blood pressure measurement due to the quality and quantity of skill necessary for individuals to demonstrate on task.

Although the amount of declarative and procedural knowledge may differ across clinical skills, and across different levels of expertise, secure skills development is dependent on effective integration between declarative and procedural knowledge in memory.

의도적인 연습
Deliberate practice

에릭슨이 설명하는 또 다른 개별화된 교육 방법을 전문성 수행 접근법이라고 합니다(에릭슨과 차네스 1994). 에릭슨은 먼저 '좋은 캐뉼레이션이 어떻게 생겼는지' 또는 '좋은 리서스가 어떻게 생겼는지'와 같이 전문가 또는 기술을 숙달한 사람이 수행한 실제 세계에서 재현 가능한 우수한 수행을 식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했으며, 이는 종종 인지 과제 분석을 사용하여 수행됩니다(Clark et al. 2008). 그 후 교육자의 과제는 시뮬레이션 실험실과 같이 통제된 조건에서 검사할 수 있는 표준화된 과제를 통해 이러한 성과를 캡처하고 재현하는 것입니다. 이 프로세스의 목적은 작업에서 더 나은 결과를 이끌어내는 주요 행동과 그렇지 않은 행동을 식별하여 개인에게 다시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 정보를 통해 개인은 이러한 행동의 생성 또는 선택을 매개하는 인지 프로세스에 대한 작업를 시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향후에는 더 우수한 행동을 선택하고 과제에 대한 전반적인 성과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을 교사의 감독과 지도를 받는 훈련 접근법으로 적용하는 경우 이를 '의도적 연습'이라고 합니다.
An alternative individualized method of instruction described by Ericsson is called the expertise performance approach (Ericsson and Charness 1994). Ericsson proposed that it is first necessary to identify reproducibly superior performance in the real world, for example, ‘what good cannulation looks like’ or ‘what good resus looks like’ as undertaken by an expert or someone who has mastered the skill, which is often done using cognitive task analysis (Clark et al. 2008). Thereafter, the challenge for educators is to then capture and reproduce this performance, ideally with standardized tasks that can be examined in controlled conditions such as a simulation laboratory. The purpose of this process is to identify key actions that lead to better outcomes on tasks, as well as those which do not, allowing these to be reflected back to individuals. With this information, individuals can begin to work on cognitive processes that mediated the generation or selection of those actions, so that in the future, they can select superior actions and improve their overall performance on the task. When this method is applied as a training approach, supervised and guided by a teacher, it is called ‘deliberate practice’.

의도적 연습은 반복과 연속적인 개선을 통해 개인의 수행 능력의 특정 측면을 향상시키기 위해 코치나 교사가 특별히 고안한 개별화된 훈련 활동을 말합니다(Ericsson and Lehmann 1996). 

  • 그러나 교사의 지도와 피드백을 최대한 활용하려면 개인이 집중력을 발휘하여 훈련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 또한, 완전한 집중력을 가지고 연습하는 것은 힘든 일이기 때문에 개인별 훈련 시간은 주어진 세션 길이에 따라 신중하게 관리되어야 합니다. 
  • 또한 의도적인 연습 접근 방식은 개인이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거나 스스로 생성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 외부 피드백은 오류나 실수를 식별하고 개선 방법에 대한 후속 조언을 제공하는 데 중요합니다. 
    • 마찬가지로, 자체적으로 생성된 피드백은 전문가로서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데 중요한 내부 표현 개발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 중요합니다. 
  • 신중한 연습의 마지막 구성 요소는 개인이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연습을 시도할 때마다 점진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연습을 구조화하는 훈련 과제의 가용성입니다.

이러한 모든 측면은 접근 방식이 전문성 수행 원칙에 기반한 유형인 '의도적 연습'으로 간주되기 전에 반드시 필요합니다.
Deliberate practice refers to individualized training activities specially designed by a coach or teacher to improve specific aspects of an individual’s performance through repetition and successive refinement (Ericsson and Lehmann 1996).

  • However, to receive maximal benefit from teacher instruction and feedback, individuals have to monitor their training with full concentration.
  • Furthermore, practicing with full concentration is effortful so the duration of training for individuals needs to be carefully managed in any given session length.
  • In addition, deliberate practice approaches are characterized by individuals receiving or self-generating immediate feedback.
    • External feedback is important for identifying errors or mistakes, with follow-up advice about ways to make improvements.
    • Likewise, self-generated feedback is important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developing internal representations, which are critical for performing independently as experts.
  • The final component of deliberate practice is the availability of training tasks the offer individuals opportunities to engage in repetitions and structure practice in such a way that individuals make gradual improvements with each attempt.

All these aspects are necessary before the approach can be considered ‘deliberate practice’, certainly the type based on the principles of expertise performance.

지난 20년간의 연구에 따르면 최적의 기술 습득을 위해 교사 주도의 코칭 및 가이드 연습과 결합된 반복 연습의 중요성이 입증되었습니다(Ericsson 외. 1993; Ericsson 2004; McGaghie 외. 2011). 의도적인 연습이 기술 습득과 유지를 향상시킨다는 사실은 여러 연구에서 확인되었지만, 최근의 검토에서는 (1) 비교 그룹의 부재와 (2) 2주 후부터 90일 후 점점 더 감소한다는 두 가지 중요한 문제가 강조되었습니다(Higgins 외. 2021a, 2021b).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연구 설계가 개발되는 방식과 실제로 교육이 제공되는 방식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요인이 있습니다.
Research over the past two decades has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repeated practice that is combined with teacher-led coaching and guided practice for optimal skill acquisition (Ericsson et al. 1993; Ericsson 2004; McGaghie et al. 2011). Although studies have identified that deliberate practice improved skill acquisition and retention, recent reviews have highlighted two important issues: (1) the lack of a comparison group and (2) a decay after 2 weeks and more increasingly after 90 days (Higgins et al. 2021a, 2021b). The reason for these issues are multi-factorial, including the specific to way in which the study design was developed, and the way in which the training was delivered in practice.

숙달 학습과 의도적 연습과 같은 현재의 교육 기법은 인지 과학의 증거 기반 전략을 통해 기술 유지를 극대화하고 기술 감퇴를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숙달 학습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멘탈 모델 개발에 더 중점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마찬가지로, 의도적 연습은 교육과 교사-학습자 관계를 강조하기 때문에 교육자들 사이에서 특히 인기가 있지만, 지식과 기술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효과적인 지식 구성에도 더 중점을 두면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권장합니다.
We consider that current instructional techniques, such as mastery learning and deliberate practice, can be informed by cognitive science evidence-based strategies to maximize skill retention and reduce skill decay. Mastery learning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however, we recommend greater emphasis on the development of mental models. Likewise, deliberate practice is particular popular among educators due to the emphasis on instruction and teacher-learner relationships, but we recommend that it could be more effective if the greater emphasis was also given to effective knowledge construction, with the aim to prevent the decay of knowledge and skills.

인지 과학 증거 기반 전략
Cognitive science evidence-based strategies

간격 연습
Spaced practice

임상 술기를 가르치는 데 자주 사용되는 접근 방식은 교육자가 세션 시작 시 술기를 설명하고 시범을 보인 후 학습자에게 세션이 끝날 때쯤 연습하고 질문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Bullock 외. 2015). 대량 실습이라고 하는 이 접근 방식은 한 번에 모든 교육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고급 생명 유지 술기는 일반적으로 단일 교육 과정의 일부로 2일 또는 3일에 걸쳐 연속적인 대량 실습 교육 세션으로 진행됩니다. 고급 생명 유지 술기 교육에 대량 실습을 사용하는 이유는 교육 과정의 교육 설계를 위한 근거 기반 또는 이론 중심이라기보다는 한 번에 세션을 모두 진행할 수 있다는 편의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마찬가지로, 전부는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임상 술기 교육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은 제한된 교수진으로 학습자 집단에게 교육을 제공하는 물류 문제입니다.

A frequently used approach for teaching a clinical skill is for educators to describe and demonstrate the skill at the start of a session, before offering learners the opportunity to practice and ask questions towards the end of it (Bullock et al. 2015). This approach, called massed practice, provides teaching all at only one time. For example, advanced life support skills are generally taught as part of a single training course with consecutive teaching sessions of massed practice over a duration of 2 or 3 days. The reason for using a massed practice for advanced life support skills training appears to be as much to do with the convenience of timetabling sessions all in one go, rather than any evidence-based or theory-driven basis for the instructional design of courses. Likewise, the challenge with most, if not all, clinical skills training in HPE invariably includes the logistics of delivering teaching to cohorts of learners with a limited teaching faculty.

그러나 인지 과학의 증거에 따르면 교육 간격을 두거나 여러 세션에 걸쳐 교육 시간을 분산하는 것이 학습 유지에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입증되었습니다(Bjork and Allen 1970; Dempster 1989; Cepeda 외. 2006). 예를 들어, Cepeda 등(2006)은 184개의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한 세션(대규모)의 실습과 간격을 두는 실습을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간격을 두고 학습한 그룹의 학습자가 한꺼번에 학습한 그룹보다 학습 내용을 더 잘 유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간격 효과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선언적 지식에 크게 의존하는 과제와 관련된 연구에서 나온 것일 수 있지만(검토는 Cepeda 외. 2006, Carpenter 외. 2012 참조), 임상 술기에 대한 간격 연습의 이점을 입증하는 증거도 있습니다(검토는 Cecilio-Fernandes 외. 2018 참조). 교육 세션 사이의 최적 간격은 특정 임상 술기에 필요한 지식의 유형에 따라 다릅니다. 고급 생명유지술과 같이 선언적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술기의 경우, 최적의 세션 간 간격은 [유지 간격의 10%에서 15% ] 사이입니다(Carpenter 외. 2012). 유지 간격은 마지막 교육 세션과 최종 테스트 사이의 시간입니다. 그러나 학습자가 필요한 사고가 필요할 때 행동할 수 있어야 하는 실제 상황에서는 유지 간격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교육자는 개별 교육 세션이 끝난 후에도 학습자가 기술을 지속적으로 유지한다고 가정하기보다는 학습자가 기술을 유지하는 시간을 인식하고 감사하는 태도를 가져야 합니다. 
However, evidence from cognitive science demonstrates that spacing the teaching or spreading training time over multiple sessions is more effective for retention (Bjork and Allen 1970; Dempster 1989; Cepeda et al. 2006). For example, Cepeda et al. (2006) conducted a meta-analysis with 184 articles comparing the practice in one session (massed) to space. They found that learners in the spaced group retained better than those in the massed group. Whilst much of the research into the spacing effect may come from studies involving tasks that heavily relies on declarative knowledge (for a review see Cepeda et al. 2006; Carpenter et al. 2012), there is also evidence demonstrating the benefit of spaced practice for clinical skills (for a review see Cecilio-Fernandes et al. 2018). The optimal interval between training sessions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knowledge required for the specific clinical skill. For skills that are heavily based on declarative knowledge such as advanced life support, the optimal interval between sessions range from 10% to 15% of the retention interval (Carpenter et al. 2012). The retention interval is the time between the last training session and the final test. However, in real-life situations in which learners need to be able to act when required thinking in a retention interval may not be feasible. However, educators need to have awareness and appreciation of the time length over which skills are retained by learners, rather than assume they are constantly maintained after individual training sessions.

 

검색 연습
Retrieval practice

임상 술기를 가르치는 또 다른 자주 사용되는 방법은 한 번 가르친 다음, 그 직후 또는 어느 시점에 요약 또는 고난도 평가의 일부로 학습자가 술기를 어느 정도 개발했는지 평가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인지 심리학의 증거에 따르면 임상 술기를 테스트하지 않거나 한 번만 테스트하는 것보다 반복적으로 테스트하는 것이 장기적인 술기 유지에 더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Another frequently used way of teaching a clinical skill is to teach it once, and then assess the extent to which learners have developed the skill either immediately afterward or at some point as part of a summative or high-stakes assessment. However, evidence from cognitive psychology suggests repeated testing of clinical skills, rather than no or single event testing, is more effective for long-term skills retention.

테스트 효과(Roediger and Karpicke 2006a, 2006b; Karpicke and Roediger 2008)는 기본 생명유지술(Li 외 2011), 고급 생명유지술(Kromann 외 2009), 방사선 사진 판독(Boutis 외 2019), 임상 추론(Raupach 외 2016) 등 여러 임상 술기를 습득하는 데 효과적인 전략입니다. 또한 선언적 지식에 더 많이 의존하는 술기의 유지를 향상시킨다는 증거도 있습니다(Larsen 외. 2009; Larsen, Butler, Lawson 외. 2013; Larsen, Butler, Roediger 2013). 
The testing effect (Roediger and Karpicke 2006a, 2006b; Karpicke and Roediger 2008) is an effective strategy for acquiring several clinical skills, including basic life support (Li et al. 2011), advanced life support (Kromann et al. 2009), radiograph interpretation (Boutis et al. 2019), and clinical reasoning (Raupach et al. 2016). There is also evidence for improving the retention of skills that relies more on declarative knowledge (Larsen et al. 2009; Larsen, Butler, Lawson, et al. 2013; Larsen, Butler, Roediger 2013).

시험 효과가 중요한 이유는 '시험'이 전통적인 의미의 형식적인 수행 평가나 '형성 평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 쇠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안된 실제 교수 전략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의도적인 교육 전략으로서의 테스트 효과는 학습자에게 주어진 임상 술기를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하는 것과는 구별됩니다. 특히 임상 술기 맥락에서 테스트 효과는 직접 관찰 중인 학습자가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을 통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수행 결과 또는 이후 개선 전략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The testing effect is important because ‘testing’ does not refer to the formal assessment of performance or ‘formative assessment’ in a traditional sense, but an actual teaching strategy designed to minimize skills decay. Furthermore, the testing effect as a deliberate teaching strategy is distinct from just providing more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practice a given clinical skill. Specifically, the testing effect in a clinical skills context refers to learners under direct observation being watched undertaking a task, with the opportunity to integrate their declarative and procedural knowledge, and given feedback in terms of performance outcome on it, or strategies for improvement afterward.

교육자는 다양한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학습자를 테스트할 수 있으며, 학습자가 기술 습득을 진행하는 즉시 테스트를 교수 전략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그러나 커리큘럼 전반에 걸쳐 구현하려면 테스트피드백 제공을 위한 시간과 공간, 리소스가 필요합니다. 또한 테스트는 교육자가 시간을 두고 관찰하고 피드백을 기반으로 구축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교수 전략에 단일 테스트가 포함되거나 너무 빨리 테스트를 실시하는 경우, 학습자는 당장의 성과가 시간이 지남에 따른 학습을 제대로 예측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식에 대한 환상을 갖게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험'은 단지 단기 기억력의 유창함을 평가하는 것이지, 시간이 지나면서 지식과 기술을 기억하는 장기적인 능력, 맥락에 따라 이를 전이하는 능력, 잊어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능력은 평가하지 않습니다.
Educators can test learners using a variety of approaches and testing should be used as a teaching strategy as soon as learners progress with skill acquisition. However, for implementation across a curriculum, time and space as well as resources are necessary for testing, as well as for giving feedback. Testing also needs to be organized in such a way that educators make observations over time and can build on feedback. Where teaching strategies involve single tests or testing too soon, learners may develop the illusion of knowledge since performance in the moment is a poor predictor of learning over time. In these situations, the ‘test’ is merely assessing the fluency of short-term retention, and not their long-term ability to recall knowledge and skills over time, with transfer these across contexts, as well as their ability to prevent forgetting.

테스트 효과의 또 다른 특징은 피드백의 역할과 피드백의 구성 방식과 관련이 있습니다. 시험 후 피드백은 종종 교사가 과거 수행과 함께 관찰한 내용을 삼각 측량하지 않고 제공하지만, 복습 연습에서 교육자는 이전에 시도한 과제에 적극적으로 주의를 기울이고 피드백에 과제에 대한 [연속적인 시도에 대한 보다 전체적인 평가]가 포함되도록 해야 합니다. 동료 간 테스트전략의 필수 구성 요소가 수행 자체(결과)가 아닌 연습 중 테스트 기회(과정)이므로 교육자 주도 활동의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시험은 종종 기술 훈련의 작은 부분인 단원의 마지막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의도적인 연습 및 숙달 학습과 같은 교육 설계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Another feature of the testing effect involves the role of feedback and the way it is constructed. Feedback after a test is often given by teachers without triangulating observations with past performance, but in retrieval practice educators are required to proactively give attention to previous attempts on a task and ensure feedback includes a more holistic evaluation of progress made over successive attempts on the task. Peer-to-peer testing may be an alternative to educator–led activities since the essential component of the strategy is the opportunity for testing during practice (the process) and not the performance in and of itself (the outcome). This may compromise instructional designs such as deliberate practice and mastery learning because test often happens at the end of a unit, which is a smaller part of the skill training.

과잉 학습
Overlearning

과잉학습숙련도competence를 달성한 후에도 반복적이고 추가적인 연습에 참여하는 개인을 말하며, 절차적 지식의 통합을 통해 기술 쇠퇴를 줄이는 등의 이점이 있습니다(Shibata 외. 2017).

  • 과잉학습에 참여하는 개인은 잘못된 접근 방식을 계속해서 반복할 수 있으므로 의도적인 학습 전략으로서의 과잉 학습을 '연습, 연습, 연습'에 참여하는 개인과 혼동해서는 안 됩니다.
  • 마찬가지로, 과잉학습은 종종 훈련의 마지막 단계에서 절차화를 위해 적용되기 때문에 교육적 접근 방식으로서의 의도적 연습과도 구별됩니다

Overlearning refers to individuals engaging in repeated and further practice after competence is achieved, and the benefits include less skill decay through increased consolidation of procedural knowledge (Shibata et al. 2017).

  • Overlearning as a deliberate learning strategy should not be confused with individuals engaged in ‘practice, practice, practice’ since individuals engaged in repeated practice may be repeating the wrong approach over and over again.
  • Likewise, overlearning is also distinct from deliberate practice as an instructional approach since overlearning is often applied for proceduralization in the final part of the training.

전략으로서 과잉학습의 전반적인 효과는 기술의 유형과 학습자가 반복 연습의 질과 양 모두에 참여하는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Driskell 외. 1992).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유능한competent 수준의 성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기간의 두 배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반복 학습을 지속해야 합니다(Driskell 외. 1992; Krueger 1929; Rohrer 외. 2005). 개인에 따라 유능한 수준의 성과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임상 술기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 HPE의 과제입니다. 마찬가지로, 역량에 대한 판단은 평가자마다 신뢰할 수 없으며, Ericsson(2004)에 따르면 다양한 임상 영역에서 전문가 성과를 측정하는 기준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학습자는 이 전략에 충분히 참여하기 위해 자기 평가 및 자기 조절 학습과 관련된 다른 기술도 개발해야 합니다. 일부 학습자는 어느 정도 자율적으로 과잉 학습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지만, 임상 기술에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는 과잉 학습을 덜 할 가능성이 높으며 교육자가 과잉 학습의 목적을 설명해 주는 지원이 필요합니다. 
The overall effect of overlearning as a strategy depends on the type of skill and the extent to which learners engage in both the quality and quantity of repeated practice (Driskell et al. 1992). To maximize effect, overlearning should continue for twice the period of time necessary to achieve a competent level of performance (Driskell et al. 1992; Krueger 1929; Rohrer et al. 2005). The challenge in HPE is the time taken for some individuals to achieve a competent level of performance varies across and within different clinical skills. Likewise, judgments about competence are unreliable across raters and as Ericsson (2004) states, the yardstick to measure expert performance across the different clinical domains is yet to be invented. Therefore, learners need also have developed other skills around self-assessment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order to engage fully with this strategy. Whilst some learners likely engage in overlearning independently to some degree, learners who struggle with clinical skills are likely to do so less and require support from educators to explain the purpose of it.

과잉 학습은 교육자가 실습을 관찰할 때 개인이 자신의 수행 수준에 대해 더 많은 피드백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과제 수행에 방해가 되기 전에 수행 능력의 격차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과잉 학습은 자동화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고, 개인이 수행의 기술적 측면에 투자해야 하는 집중적인 노력의 양을 줄임으로써 수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전반적인 인지 능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Driskell 외. 1992). 이는 특히 단순하고 복잡한 임상 술기 과제에서 초심자 간 수행 차이를 파악할 때 특히 유용합니다. 고성과자는 평가 시 다른 사람들 앞에서 임상 술기를 수행해야 하는 어려움을 관리할 수 있지만, 저성과자는 여러 가지 이유로 어려움을 겪는데, 그 중 하나는 자동성을 달성하지 못했고 추가적인 인지 과부하로 인해 수행이 저하된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인지 과학적 관점에서 볼 때, 과잉 학습은 역량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이 아니라 절차적 지식을 공고화consolidate하기 위한 전략으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또한, 역량을 갖추기 전에 사용하는 과잉 학습은 이해가 아닌 모방을 통해 숙달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개인이 지식에 대한 환상을 갖는 것과 관련된 또 다른 징후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특정 임상 술기에 대한 역량을 보이는 개인에게 기대되는 행동을 구체적으로 모방하고 접근 방식을 반복함으로써, 특히 저성과자는 임상 술기 자체에 대한 지식이나 이해 부족에 대한 우려 없이 평가에서 발전하기 위해 모방에 참여하게 됩니다. 
Overlearning generates opportunities for the individual to obtain more feedback about their level of performance when the practice is observed by an educator, as well as address any developing gaps in performance before they inhibit performance on a task. Overlearning also enhances the time to automaticity and reduces the amount of concentrated effort that individuals have to invest into the technical aspects of their performance, thereby freeing up overall cognitive capacity for monitoring their performance (Driskell et al. 1992). This is particularly relevant when making sense of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novices at summative assessments, especially on simple and complex clinical skills tasks. Whilst high-performing individuals are able to manage the challenge of performing clinical skills in front of others at assessment, low performers struggle for many reasons, once of which is the fact they have not achieved automaticity and their performance suffers as a consequence of the additional cognitive overload. Therefore, from a cognitive science perspective, overlearning should be used as a strategy to consolidate procedural knowledge, rather than a strategy to achieve competence. Furthermore, overlearning employed before competence is achieved, may lead mastery, not through comprehension, but through mimicry which is another manifestation related to individuals having an illusion of knowledge. In this context, by repeating the approach over and over again, and specifically mimicking the behaviors expected of individuals demonstrating competence on a given clinical skill, low performers in particular engage in mimicry in order to progress at assessment, with little concern about their lack of knowledge or understanding about the clinical skill itself.

인터리빙
Interleaving

HPE에서 지지하는 전문 지식의 대부분은 다양한 상황적 맥락에서 임상 술기를 시연하는 데서 비롯되지만, 기존 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실습 기회 유형에는 변동성이 거의 없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캐뉼레이션을 학습할 때 일반적인 실습 기회는 플라스틱 마네킹과 같은 제한된 범위의 실습 재료를 사용하여 이 술기의 운동 측면을 개선할 수 있는 기회로만 구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봉합 및 정맥천자부터 기본 및 고급 생명 유지 술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임상 술기에 대해 일반적으로 유사한 접근 방식이 제공됩니다.

언뜻 보기에는 한 번에 하나의 술기에 집중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논리적으로 보이지만, 인지 과학 문헌의 증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식과 술기 개발을 늘리기 위한 전략으로서 교차 학습의 이점을 일관되게 입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체 스킬의 다양한 구성 요소 또는 서로 '얼마나 관련성이 있든 없든' 서로 다른 스킬을 같은 세션에서 연습하는 스킬 연습의 가변성variability은 가변성이 제한적이거나 전혀 없는 연습과 비교할 때 스킬 감퇴를 최소화합니다. 또한, 전통적인 기술 연습에 참여하는 개인은 기술 개발 전략으로 인터리빙을 사용하는 개인에 비해 기술 감퇴율이 더 높습니다(Spruit 외. 2014).

Although much of the expertise espoused in HPE comes from demonstrating clinical skills across a range of different situational contexts, there can often be little variability in the types of practice opportunities afforded to learners in traditional training programs. For example,

  • when learning cannulation, the usual practice opportunities involve chances to refine the motor aspects of this skill alone, often with a limited range of practice materials such as a plastic manikin.
  • A similar approach is usually provided for a range of clinical skills, from suturing and venepuncture through to basic and advanced life support skills.

At first sight, this focus on a single skill at a time would seem rational and logical but evidence from the cognitive science literature consistently demonstrates the benefits of interleaving as a strategy for increasing knowledge and skills development over time. Specifically, variability of skills practice – either different components of the overall skill or different skills (no matter ‘how related or unrelated’ to each other) practiced in the same session minimizes skill decay when compared with a practice that offers limited or no variability. Furthermore, individuals who engage in traditional skills practice have greater rates of decay when compared with individuals who engage with interleaving as a skills development strategy (Spruit et al. 2014).

실습 기회에서 가변성을 설계하는 방식도 중요합니다. 최소 침습 수술 술기의 습득 및 유지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단일 또는 정적인 교육 이미지보다는 무작위로 번갈아 가며 이미지를 사용하여 연습하는 것이 학습 과정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Jordan 외. 2000). 훈련 세션에서 이미지의 가변성을 높여 술기 개발을 연습한 개인은 제한된 수의 이미지로 훈련한 사람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기본적인 수술 및 정신 운동 술기를 습득했습니다. 이러한 정도의 가변성은 실제 환경에서도 발견되지만 시뮬레이션에서도 이러한 유형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가변성의 중요성은 운동 기술 문헌(Kerr and Booth 1978, Savion-Lemieux와 Penhune 2005, Corrêa 외. 2014), 화가와 그림 스타일 간의 관계 학습(Kornell과 Bjork 2008), 문제 해결(Rohrer와 Taylor 2007)에서도 강조되고 있습니다. 
The way in which variability is also designed in the practice opportunities is important. Research into the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minimally invasive surgery skills demonstrates practice with randomly alternating images rather than a single or static teaching image enhances the learning process (Jordan et al. 2000). Individuals who practiced skills development with greater variability of the image in training sessions acquired basic surgical and psychomotor skills at a much faster rate than those trained with a limited number of images used as part of their training. This degree of variability is found in real-life settings but simulation can also provide this type of experience. The importance of variability is also highlighted in the motor skills literature (Kerr and Booth 1978; Savion-Lemieux and Penhune 2005, Corrêa et al. 2014), learning the relation between painters and painting styles (Kornell and Bjork 2008) and problem-solving (Rohrer and Taylor 2007).

정교화 및 생성
Elaboration and generation

정교화란 새로운 지식을 이전에 기억에 저장된 지식과 연결하는 것을 말합니다(Bartsch 외. 2018; Holland 외. 2011). 예를 들어

  • 정맥 천자 또는 캐뉼레이션과 같은 간단한 임상 술기의 경우, 교육자는 혈액 샘플을 채취하거나 실제 플라스틱 기구를 환자의 손에 넣는 기술적 측면을 시연하기 전에 학습자가 팔 혈관의 해부학적 구조를 떠올리도록 지원할 수 있습니다.
  • 고급 생명 유지와 같은 복잡한 임상 기술의 경우, 심장 제세동과 관련된 리듬 인식에 대해 가르치기 전에 교사가 학습자가 심장 파형에 대한 지식을 기억하도록 지원할 수 있습니다.

Elaboration refers to the connection of new knowledge with previously stored knowledge in memory (Bartsch et al. 2018; Holland et al. 2011).

  • In the case of a simple clinical skill such as venepuncture or cannulation for example, this could involve educators supporting learners to recall the anatomy of the arm vessels prior to demonstrating the technical aspects of obtaining a blood sample or placing the actual plastic apparatus in the hand of a patient.
  • In the case of a complex clinical skill such as advanced life support, this could involve teachers supporting learners to recall knowledge about the cardiac waveform, prior to teaching them about rhythm recognition in the context of cardiac defibrillation.

정교화는 이전에 저장된 지식을 활성화하기 위한 의식적인 노력이며, 주로 검색 가능한 지식인 선언적 지식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임상 술기에는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이 모두 필요하므로, 정교화는 저장된 관련 선언적 지식을 활성화하고 새로운 지식을 활성화된 지식과 연결함으로써 임상 술기 습득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피드백 및 성찰은 학습자가 알고 있는 것을 새로운 콘텐츠와 연결해야 하므로 정교화를 지원하는 방법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학습자가 새로운 자료와 이전 지식을 연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 학습자의 기억력이 더욱 향상됩니다(Bartsch 외. 2018; Stark 외. 2002). Bartsch 등(2018)은 6개의 명사를 연속된 순서로 기억할 때 정교화와 비 정교화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정교화 그룹의 학습자가 비 정교화 학습자보다 유지력 테스트에서 더 우수한 성적을 보였다고 합니다.
Elaboration is a conscious effort to activate previously stored knowledge and it occurs mainly through declarative knowledge, which is the knowledge that is possible to retrieve. Since clinical skills require both declarative and procedural knowledge, elaboration may also benefit the acquisition of clinical skills by activating related declarative knowledge that is stored and connecting the new knowledge with the activated knowledge. Feedback and reflection may also be used as a way to support elaboration since both require to connect what learners know with the new content. Supporting learners to make a connection between the new material with their previous knowledge will further improve their retention (Bartsch et al. 2018; Stark et al. 2002). Bartsch et al. (2018) compared the effect of elaboration with non-elaboration on remembering six nouns in serial order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learners from the elaboration group had a better performance in the retention test than the non-elaboration learners.

생성이란 교육자가 구체적인 지시나 정보를 제공하기 전에 학습자가 주어진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스스로 찾아내는 것을 말하며, 여기서는 임상 기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Jacoby 1978; Slamecka와 Graf 1978; Richland 외. 2009). 교육자는 이 전략을 단순히 학습자가 '먼저 해보도록' 촉진하는 것과 연관시킬 수 있지만, 생성에는 학습자에게 지시나 새로운 정보가 제공되기 전에 의도적으로 어떤 형태의 사전 지식(선언적 및 절차적 지식 모두)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것도 포함됩니다. 이러한 활성화가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새로운 지식과 이전 지식을 더 쉽게 연결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Generation refers to the specific enabling of learners to identify their own solutions to a given problem, in this context, undertaking a clinical skill, before specific instruction or information is given by the educator (Jacoby 1978; Slamecka and Graf 1978; Richland et al. 2009). Whilst educators may associate this strategy simply as facilitating learners to ‘have a go first’, generation also involves deliberately enabling learners to activate some form of prior knowledge – both declarative and procedural – before either instruction or new information is given to them. The impact of this activation for the learner is the easier association between new and previous knowledge.

임상 술기 교육의 맥락에서 교육적 접근 방식으로서의 생성은 광범위한 문헌에서 근거가 제한적이지만, HPE에서 사용되는 기존 교육학의 대부분은 이 개념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발견 학습 또는 발견 연습의 핵심 원칙은 학습자가 주어진 문제에 대한 답을 스스로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개념입니다. 사실일 수도 있지만, 이 접근법에 대한 많은 리뷰에서는 초기 발견 단계가 끝난 후 학습자가 [직접 지도를 받는 역할]이 중요하다고 제안합니다. 초기 발견 단계는 이론적으로 관련 선언적 지식을 활성화하여 새로운 지식을 이전에 저장된 지식과 연결함으로써 해당 지식의 유지 및 검색에 도움이 되어야 합니다. 이 단계는 학습자가 먼저 임상 술기를 시도해 보도록 유도하여 모든 임상 교육을 시작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급 생명유지술 교육에서는 학습자가 소생술이 필요한 환자를 돌봐야 하는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교육 첫 부분에 포함시켜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학습자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관련 지식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Although generation as an instructional approach in the context of clinical skills training has a limited evidence base in the wider literature, much of the existing pedagogy used in HPE draws roots from this concept. The central tenet of discovery learning or discovery practice is the notion that learners should be supported to find the answer to a given problem by themselves. Whilst this may be the case, many of the reviews in this approach suggest there is a strong role for learners to receive direct instruction after the initial discovery phase has expired. The initial discovery phase should in theory activate relevant declarative knowledge, benefiting the retention and retrieval of that knowledge by connecting the new knowledge with the previous stored knowledge. This could be used at the beginning of every clinical training by encouraging learners to first try the clinical skill. For example, in advanced life support training, the first part of the training should be a simulated scenario in which learners need to attend to a patient requiring resus. In that way, learners would activate all the related knowledge they possessed.

바람직한 어려움
Desirable difficulties

학습자가 학습 프로그램을 마칠 때까지 습득해야 하는 임상 술기에 대한 지식의 양은 상당하며, 학습자가 평가를 '통과하기 위해' 대량 실습에 참여할 위험은 상당합니다. 일부 상황에서는 과잉 학습이 유용한 전략이 될 수 있지만, 임상 술기를 습득하지 않고 평가에 합격하기 위한 목적으로 과잉 학습을 하면 학습자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식과 술기를 잊어버릴 위험이 있습니다. 검색과 간격을 두고 연습하면 망각의 영향을 일부 완화할 수 있지만(Bjork and Bjork 2019; Soderstrom and Bjork 2015), 바람직한 난이도를 전략으로 사용하는 것은 학습자에게 기억과 앎 또는 이해를 혼동하는 문제를 상기시키는 데도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지식의 착각학습자가 다른 사람이 눈앞에서 기술을 시연하는 것을 보는 것만으로, 또는 학습자가 시간이 지나거나 다른 상황에서 다시 시연할 필요 없이 면밀한 관찰 하에 기술을 연습하는 것만으로도, 자신이 기술을 알고 있거나 가지고 있다고 믿는 현상입니다.
The amount of knowledge for clinical skills required for learners to acquire by the end of a program of study is significant, and the risk of learners engaging in massed practice ‘just to get through’ assessments is significant. Whilst overlearning is a helpful strategy in some circumstances, overlearning for the purpose of passing the assessment and not mastering the clinical skill risks learners forgetting knowledge and skills decaying over time. Although, interleaving retrieval and spaced practice mitigate some of the effects of forgetting (Bjork and Bjork 2019; Soderstrom and Bjork 2015), the use of desirable difficulties as a strategy can be effective also for reminding learners about the problem of confusing remembering, with knowing or understanding. The illusion of knowledge is the phenomenon whereby learners believe they know or have skills, by simply watching others demonstrate skills in front of them, or learners practicing skills under close observation without necessarily demonstrating them again over time, or in other contexts.

바람직한 어려움은 학습자의 주의를 끌기 위해 교사가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전략이며, 간단한 질문을 사용하여 기억하기, 알기, 이해하기 간의 차이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자전거를 그릴 수 있느냐'와 같이 일반인에게 간단한 지시를 내리는 것은 지식의 착각 현상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후 교사는 학습자에게 구체적인 과제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주의를 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는 어려움을 겪는 경험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중에 성공하는 경험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려움'은 교사의 지원, 발판 또는 성공 없이 '고군분투'라는 결과만 유발하는 것이 아니라 "고군분투와 성공"이라는 두 가지 결과를 모두 불러일으키는 경우에만 바람직합니다(Bjork and Bjork 2011).
Desirable difficulties is another strategy that teachers can employ for both getting the attention of learners but also use simple questions to reinforce the difference between remember, knowing, and understanding. Simple instructions to a general population such as ‘can you draw a bicycle’ have been shown to illustrate the illusion of knowledge phenomenon. Thereafter, teachers can build on the gaining of learner attention by providing individuals with specific tasks that induce the experience of struggling, but also enables them to also experience success afterward. Therefore difficulty is only desirable if it evokes both outcomes – struggling and success (Bjork and Bjork 2011) – rather than just the former without any form of support, scaffold, or success provided by the teacher.

또한 현재의 증거에 따르면 과제를 수행할 때 실수를 하거나 선언적 및 절차적 지식을 검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은 시간이 지나도 지식과 기술을 장기적으로 잘 유지하도록 하는 데 필요합니다(Bjork and Bjork 2011; Steenhof Woods와 Mylopoulos 2020). 바람직한 어려움 사용에 대한 증거는, '교사의 존재로 인해 오류가 근절될 때 연습이 가장 좋다'는 다른 증거를 배경으로 존재합니다. 이러한 문헌은 더 나아가 실수를 통한 학습은 비생산적이며, 실수가 발생하더라도 이는 단순히 부적절한 교육 때문이라는 것을 암시합니다(Skinner 1958). 또한, 실수 없이 학습하는 것(오류 없는 학습errorless learnging이라고도 함)은 학습자가 실수 없이 발전하는 자신을 보기 때문에 '기분이 좋다'고 느낄 수 있으며, 이는 단순히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는 환상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Glenberg 외. 1982). 오류 없는 학습을 지지하는 접근 방식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는 학습자(및 교수자)가 개인이 감독 없이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고 편안하게 여기는 것인데, 이는 단기적으로는 증거가 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실제로 그렇지 않을 수 있습니다(검토는 Higgins 외. 2021a, 2021b 참조).
Current evidence also suggests that both making errors and difficulty retrieving declarative and procedural knowledge when undertaking a task are necessary for facilitating good long-term retention of knowledge and skills over time (Bjork and Bjork 2011; Steenhof Woods and Mylopoulos 2020). The evidence for using desirable difficulties exists against a backdrop of other evidence proposing that practice is best when errors are eradicated by the presence of a teacher. That body of literature goes further and implies that learning through making errors is counterproductive and in the event, mistakes happen, they are simply due to inadequate instruction (Skinner 1958). Furthermore, learning without making errors – also known as errorless learning – can ‘feel good’ for learners since they see themselves progressing without making mistakes, simply fueling the illusion of knowing even more (Glenberg et al. 1982). The unintended consequences of approaches that espouse errorless learning are learners (and instructors) comfortable that individuals can adequately perform without supervision, which may be evidence in the short-term but may not actually be the case over time (for a review see, Higgins et al. 2021a, 2021b).

피드백
Feedback

피드백은 가장 많이 연구된 교육적 개입 중 하나이며, 심리학 및 교육 문헌에서 학습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피드백의 역할에 대한 많은 증거가 있습니다(Wisniewski Zierer 및 Hattie 2019). 피드백 제공에 대한 많은 리뷰와 가이드가 있지만(예: Veloski 외. 2006, Wulf Shea와 Lewthwaite 2010, Tavakol 외. 2022 참조), 인지 과학적 관점에서 임상 기술 개발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때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Feedback is one of the most studied educational interventions, and there is much evidence for the role of feedback in enhance learning within the psychology and education literature (Wisniewski Zierer and Hattie 2019). A number of reviews and guides on giving feedback are available (for example, see Veloski et al. 2006; Wulf Shea and Lewthwaite 2010; Tavakol et al. 2022), however, there are specific considerations when giving feedback about the development of clinical skills from a cognitive science perspective.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술기 습득 기간 동안 필수적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습 중 피드백의 양을 줄여야 한다는 데 인지과학계에서 합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드백의 양이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학습 성과는 실제로 증가한다는 증거가 있습니다(Kovacs and Shea 2011; Sulzenbruck and Heuer 2011).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드백의 양을 조절하는 이유는, 학습자의 학습 단계에 관계없이 무제한으로 피드백을 제공할 경우, 학습자가 상당한 양의 피드백을 받는 데 익숙해질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입니다. 학습자는 발달 단계를 거치면서 더 큰 독립성과 자기 인식을 달성하기보다는(Schmidt 1991; Salmoni 외. 1984), 스스로를 확장하거나 독립적으로 발달을 진행하기 전에 승인이나 허가를 구하는 형태로 피드백을 받는 것에 지나치게 의존하게 됩니다. 
Although giving feedback to learners is essential during the period of skill acquisition, there is a consensus within cognitive science that the amount of feedback during practise should reduce over time. Evidence suggests that learning outcomes actually increase despite the amount of feedback decreasing over time (Kovacs and Shea 2011; Sulzenbruck and Heuer 2011). The rationale for modifying the volume of the feedback given over time is to minimize the risk that learners become conditioned to receiving a significant amount of feedback if unrestrained feedback irrespective of their stage of learning. Rather than moving through development stages and achieving both greater independence and self-awareness, (Schmidt 1991; Salmoni et al. 1984), learners become over-reliant on getting feedback as a form of seeking approval or permission before extending themselves or moving on with their development independently.

스캐폴딩의 한 형태인 피드백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면 학습자가 경험과 전문성을 모두 얻으면서 실수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 학습에 있어 오류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키는 동시에 실제 임상 실습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게 됩니다. 

  • 예를 들어, 고급 생명유지술 교육에서는 학습자가 새로운 지식과 다양한 기술을 동시에 배우게 되므로 교육 초반에는 피드백이 풍부하고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새로운 학습 및 실무 상황에서도 피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그러나 교육 과정이 끝날 무렵에는 실제 임상 실습과 유사하게 면밀한 감독 없이도 지식과 기술을 시연할 수 있어야 하므로 피드백을 거의 받지 않아야 합니다.

A progressive decrease in feedback as a form of scaffolding also creates the opportunity for learners to experience making mistakes, as they gain both experience and expertise, again reminding individuals about the importance of errors for learning, but also being mindful for the occurrence of errors in actual clinical practice.

  • For example, during advanced life support training, feedback should be plentiful and constant at the beginning of the course, since learners are introduced to new knowledge and multiple skills at the same time; arguably both also received in a new learning and working context as well.
  • However, at the end of the training course, students should receive very little feedback, since they should be able to demonstrate knowledge and skills without the need for close supervision; similar to actual clinical practice.

임상 술기를 자주 연습하는 경우 피드백은 술기 습득을 지원해야 하며, 드물게 연습하는 경우 피드백은 술기 유지를 지원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세실리오-페르난데스 등(2020)은 경흉부 심초음파 술기의 습득과 유지에 대해 전문가 피드백, 증강 피드백, 이 두 가지를 결합한 피드백의 세 가지 유형을 비교했습니다. 획득하는 동안 모든 그룹의 학습자는 두 번 연속 실수하지 않고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을 때까지 연습했습니다. 전문가 그룹의 학습자가 다른 그룹에 비해 기술 습득 속도가 더 빨랐습니다. 그러나 유지력 테스트에서는 겨합 교육을 받은 학습자가 다른 두 그룹보다 더 좋은 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습득에는 한 가지 유형의 피드백이 최적일 수 있지만, 유지에는 다른 유형의 피드백이 최적일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When a clinical skill is practiced frequently, the feedback should support its acquisition, whereas when practiced infrequently, the feedback should support retention. For example, Cecilio-Fernandes et al. (2020) compared three different types of feedback, expert, augmented, and a combination of both, on the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transthoracic echocardiogram skill. During the acquisition, learners from all groups practiced until they were able to acquire images without making any mistakes twice in a row. Learners in the expert group were faster in acquiring the skill than the other groups. However, at the retention test, learners from the combined instruction obtained better-quality of images than the other two group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or acquisition one type feedback may be optimal, while for retention another type of feedback is optimal.

실무적 시사점
Practical implication

교육자에게 현지 자원의 가용성과 기존 기술 교육 시스템을 고려하는 등 주요 인지 과학 전략을 현지 상황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을 권장합니다(Cecilio-Fernandes와 Sandars 2021). 임상 술기 교육에 인지 과학의 인사이트를 적용하여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완전히 실현하려면 교수진 개발이 필요합니다. 
We recommend that educators ar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adapt the main cognitive science strategies to their own local context, including consideration of the availability of local resources and existing systems of skills training (Cecilio-Fernandes and Sandars 2021). This requires faculty development if the benefit of applying insights from cognitive science for clinical skills training is to be fully realized.

이 가이드는 임상 술기 습득과 술기 쇠퇴 감소를 위한 선언적 및 절차적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임상 술기 교육 시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을 가장 적절하게 조합하여 제공하기 위해서는 임상 술기 교육을 시작할 때 학습자의 술기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권장합니다. 우리의 경험에 따르면 이 필수 단계는 임상 술기 교육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학습자가 술기를 수행하는 동안 습득해야 하는 지식의 유형을 파악하면 교육자는 개별 학습자에게 교육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선언적 지식이 충분하지 않은 학습자는 이러한 지식 격차를 미리 해결하지 않으면 가장 기본적인 술기조차도 개발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직접 또는 사전 교육용 객관식 퀴즈를 통해 구체적인 질문을 하면 선언적 지식의 결핍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절차적 지식의 결핍은 개인이 기술을 수행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반대로 선언적 지식이 있는 학습자는 훈련을 계속 진행하면서 더 정교한 절차적 지식과 더 큰 도전 과제를 개발하도록 지원할 수 있습니다.
  • 일부 학습자는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이 모두 적절한 수준이지만 다양한 상황의 다양한 과제에서 두 가지 요소를 통합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혈압 측정을 시도하는 일부 학습자는 사지 기형이나 동정맥 누공이 있는 환자 등 신체적 특성이 다른 환자에 대해 이 기술을 올바르게 수행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The Guide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declarative and procedural knowledge for clinical skill acquisition and reduction in skill decay. In order to provide the most appropriate mix of declarative and procedural knowledge during clinical skills teaching, we recommend that identifying the skill level of the learner is essential at the start of any clinical skills teaching. Our experience is that this essential step is often not included in clinical skills teaching. Identifying what type of knowledge the learner needs to acquire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skill allows the educator to provide training to the individual learner.

  • For example, learners without sufficient declarative knowledge may struggle with developing even the most basic skills without addressing those knowledge gaps beforehand. Asking specific questions, either direct or by a pre-training multiple-choice quiz, can identify deficits in declarative knowledge.
  • Deficits in procedural knowledge can be identified by watching individuals perform the skill.
  • In contrast, learners with declarative knowledge could be supported to move on with their training and develop more sophisticated procedural knowledge and greater challenge on tasks.
  • Some learners may have appropriate levels of both declarative and procedural knowledge but struggle to integrate both components across a range of tasks in different situations. For example, some learners attempting to measure blood pressure may be unable to correctly undertake the skill across patients with different physical attributes such as individuals with limb deformities or arteriovenous fistulae in situ.

많은 의료 교육자들이 흔히 하는 질문은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가입니다. 각 상황에 따라 다르므로 간단한 답은 없지만, 의학교육자는 가장 많은 근거가 있는 전략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A common question of many medical educators is how to start. Although there is no simple answer as it will depend on each context, we recommend that medical educators start with the strategy with the most evidence.

피드백, 간격 및 검색 연습은 의학교육을 포함하여 가장 높은 수준의 근거를 가진 전략입니다. 더 중요한 것은 선언적 및 절차적 지식을 포함한 임상 술기 교육의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가 있다는 것입니다. 선언적 지식에 크게 의존하는 술기에서는 반복 학습과 인터리빙이 더 많은 증거를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 인지 심리학에서 나온 것입니다. 정교화와 생성은 임상 술기 교육에 대한 근거가 가장 적은 두 가지 개념입니다. 또한 이 두 개념은 검색 연습 및 피드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두 개념 모두 독립적인 개념이 아니라 검색 연습 및 피드백의 일부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수 있습니다.
Feedback, spaced and retrieval practice are strategies with the highest level of evidence, including in medical education. More importantly, there are studies demonstrating the effect of clinical skills training, including declarative and procedural knowledge. Overlearning and interleaving have more evidence in skills that are heavily dependent on declarative knowledge and most of them are from cognitive psychology. Elaboration and generation are two concepts with the least amount of evidence for clinical skills training. Those concepts are also closely related to retrieval practice and feedback, thus both concepts may be optimal as part of retrieval practice and feedback, instead of standalone concepts.

이 글에서는 임상 술기 교육에서 근거 기반 인지 과학 전략을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예시를 제공합니다:
We provide an illustrative example of how evidence-based cognitive science strategies can be implemented in clinical skills training:

임상 술기 교육의 예시입니다: 고급 생명 유지 교육
Illustrative example of clinical skills training: Advanced life support training

고급 생명 유지(ALS)에는 청진, 심전도 해석, 다양한 약물 처방 등 여러 임상 기술이 필요합니다. 학습자가 직면한 과제는 방대한 양의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을 통합하는 것입니다. 표 1에서는 루게릭병 교육에 증거 기반 인지 과학 전략을 실제로 구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개요를 제공합니다(표 1). 표 1은 가장 많은 근거를 가진 전략과 그 전략이 중요한 이유, 수행 방법에 대한 설명이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Advanced Life Support (ALS) requires multiple clinical skills, including auscultation, interpretation of electrocardiograms, and prescribing a variety of medications. The challenge for learners is the integration of a large volume of declarative and procedural knowledge. In Table 1, we provide an overview of how evidence-based cognitive science strategies can be practically implemented into ALS training (Table 1). Table 1 is ordered by the strategy with the most evidence, and a description of what to do, why it is important, and how to do.

 

그림 1은 왼쪽에 근거 기반 인지 과학 전략을 사용한 루게릭병 입문 과정의 교육 설계를 보여줍니다. 오른쪽은 동일한 과정의 전통적인 설계입니다. 이 과정은 4개의 스킬 로테이션과 워크샵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습니다:

  1. 관련 리저스 스킬
  2. 평가에 대한 ABCDE 접근 방식 IIO
  3. 리듬 인식
  4. 고품질 CPR 및 제세동

Figure 1 shows on the left side a training design of an introduction to ALS course using evidence-based cognitive science strategies. On the right side is the traditional design of the same course. This course was divided into four skill rotations and workshops:

  1. Associated Resus Skills
  2. The ABCDE Approach to assessment inc IIO
  3. Rhythm Recognition
  4. High-quality CPR and Defibrillation

또한 이 코스에는 6개의 심장마비 시나리오(CAS)가 있어 학생들은 시뮬레이션된 임상 시나리오를 연습할 수 있습니다.
Also, in the course there are 6 Cardiac Arrest Scenarios (CAS) in which students have the opportunity to practice simulated clinical scenarios.

 

추가 개발 및 평가
Further development and evaluation

인지 과학은 인지 모델링의 복잡성을 발전시키고 신경 과학과 명시적으로 연결되는 흥미진진하고 진화하는 분야입니다. 인지 모델은 이제 활성화될 뇌 영역을 예측하여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이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복잡한 기술을 습득하는 방식에 대한 시사점과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Borst and Anderson 2013, Taatgen 2013). 수학 교육에 사용되는 지능형 튜터의 성공적인 개발(Anderson 외. 1995)에 이어, 이제 인지 과학 원리를 임상 술기 교육에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 고려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인지 과학은 임상 추론과 같은 과제를 위한 이론 중심의 지능형 튜터를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전문가가 항상 참석하여 성과를 관찰하고 피드백을 제공할 필요를 없애줍니다. 요즘에는 다양한 피드백 시스템이 포함된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임상 술기에도 이러한 작업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복강경 시뮬레이터에는 인지 과학의 증거를 사용하여 개선할 수 있는 햅틱 피드백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시뮬레이터는 수행 수준을 측정하고 다른 훈련 세션이 필요한 시기를 알려줄 수도 있습니다. 인지 과학은 또한 학습자가 과제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인지 처리량이 개인적으로 투자해야 하는 양을 초과할 때 더 높은 수준의 어려움을 경험할 때 주어진 과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Korbach 외. 2017). 예를 들어, 학습자가 초음파의 모든 구성 요소를 숙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비만 환자에 대한 초음파 검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면 초음파 검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고 환자 치료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Cognitive science is an exciting and evolving field that has advanced in the complexity of cognitive modeling as well as making an explicit connection with neuroscience. Cognitive models can also now predict the areas of the brain that will be activated, providing information on how declarative and procedural knowledge interact, with implications and insights for how complex skills are acquired (Borst and Anderson 2013; Taatgen 2013). Following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intelligent tutors used for teaching mathematics (Anderson et al. 1995), there is now an opportunity to consider how cognitive science principles can be implement to clinical skills training in HPE. Cognitive science may help in the design of theory-driven intelligent tutors for tasks such as clinical reasoning, removing the need for an expert to always be present for observing and giving feedback on performance. This may also be feasible for clinical skills with the use of simulators, which nowadays include many feedback systems. For example, laparoscopic simulators have included a haptic feedback system, which can be improved by using evidence from cognitive science. The simulators could also measure the level of performance and indicate when another training session is necessary. Cognitive science may also help increase understanding around given learners experience greater levels of difficulty when the amount of cognitive processing necessary to execute a task exceeds what they have to personally invest into it (Korbach et al. 2017). For example, requiring learners to perform an ultrasound exam on an obese patient without mastering all the components of the ultrasound will lead to an unsuccessful performance of the ultrasound while compromising patient care.

결론
Conclusion

임상 술기를 가르치고 배우는 것은 HPE의 필수적인 측면입니다. 그러나 현재의 접근 방식으로는 여전히 숙련도 저하를 방지할 수 없습니다. HPE 교육자들은 임상 술기 습득을 최적화하고 술기 감퇴를 방지하기 위해 현재 접근 방식에 다양한 근거 기반 인지 과학 전략을 구현할 것을 권장합니다.
Teaching and learning clinical skills is an essential aspect of HPE. However, current approaches still do not prevent skill decay. We encourage HPE educators to implement a variety of evidence-based cognitive science strategies with their current approaches for the optimization of clinical skill acquisition and to prevent skill decay.

 


 

Med Teach. 2023 Jan 23;1-10. doi: 10.1080/0142159X.2023.2168528. Online ahead of print.

Using insights from cognitive science for the teaching of clinical skills: AMEE Guide No. 155

Affiliations collapse

1Department of Medical Psychology and Psychiatry, School of Medical Sciences, University of Campinas, Campinas, Brazil.

2Nottingham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Nottingham, Nottingham, UK.

3Health Research Institute, Edge Hill University, Ormskirk, UK.

PMID: 36688914

DOI: 10.1080/0142159X.2023.2168528

Abstract

Students have to develop a wide variety of clinical skills, from cannulation to advanced life support, prior to entering clinical practice. An important challenge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is the implementation of strategies for effectively supporting students in their acquisition of different types of clinical skills and also to minimize skill decay over time. Cognitive science provides a unified approach that can inform how to maximize clinical skill acquisition and also minimize skill decay. The Guide discusses the nature of expertise and mastery development, the key insights from cognitive science for clinical skill development and skill retention, how these insights can be practically applied and integrated with current approaches used in clinical skills teaching.

Keywords: Clinical skill; cognitive science; skill acquisition; skill retention.

 

보건의료전문직 교육에서 학생참여: AMEE Guide No. 152 (Med Teach, 2022)
Student engagement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MEE Guide No. 152
Salah Eldin Kassaba,b , David Taylorc and Hossam Hamdyc

 

소개
Introduction

학생 참여는 보건 전문직 교육(HPE)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이러한 이유로 학교 운영 및 교육 활동에 대한 학생의 참여는 세계의학교육연맹의 기본 인증 기준 중 하나입니다(WFME 2020 개정판).
  • 또한, 유럽의학교육협회(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의 ASPIRE 이니셔티브에서는 학생 참여를 보건 전문직 교육 학교의 기관 우수성 지표 중 하나로 선정했습니다(Harden and Roberts 2015).
  • 또한, 파트너십을 통한 학생 참여는 영국의 QAA(Quality Assurance Authority) 및 고등 교육의 우수성 증진을 위한 전문 기관인 Advance HE와 같은 여러 조직에서 지원하고 있습니다.

학생 참여의 중요성에 대한 보편적인 합의에도 불구하고, 이 새로운 구성 요소를 개념화하고 운영하는 데 있어 통일성이 부족합니다. 
Student engagement has a direct repercussion on the quality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 For that reason, engagement of students in school management and educational activities is one of the basic accreditation standards of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WFME 2020 revision).
  • In addition, the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s ASPIRE initiative identified student engagement as one of the indicators of institutional excellenc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chools (Harden and Roberts 2015).
  • Furthermore, student engagement through partnerships is supported by several organizations such as the Quality Assurance Authority (QAA) in the UK and Advance HE which is a professional organization for promoting excellence in higher education (https://www.advance-he.ac.uk/).

Despite the universal agreement about the significance of student engagement, there is lack of uniformity in conceptualizing and operationalizing this emerging construct.

HPE에서 학생 참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각도에서 이 주제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는 여러 연구 간행물이 발간되었습니다.

  • ASPIRE 수상 기관의 저자들은 모범 사례를 바탕으로 기관이 파트너십을 통해 학생을 참여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조언을 제공했습니다(Peters 외. 2019).
  • 또 다른 호주 저자 그룹은 웨스턴 시드니 대학교 의과 대학에서 경험한 사례를 바탕으로 학생들을 지역사회 파트너십에 참여시키기 위한 12가지 팁을 제공했습니다(Marjadi 외. 2021).
  • 최근 AMEE 가이드에서는 교육 및 학습의 공동 창작에 대한 학생 참여에 중점을 둔 학생 참여를 소개했습니다(Konings 외. 2021).
  • 또한, 학부 의학교육에서의 학생 참여는 최근 범위 검토에서 다루어졌습니다(Kassab 외. 2022).

The evolving interest in student engagement in HPE culminated in several research publications providing an overview of the topic from different angles.

  • Authors from the ASPIRE award-winning institutions built on their best practices and provided pieces of advice on how institutions can engage their students through partnerships (Peters et al. 2019).
  • Another group of Australian authors used examples from their experience at Western Sydney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provided twelve tips for engaging students in community partnerships (Marjadi et al. 2021).
  • Recently, an AMEE guide introduced student engagement with a focus on student involvement in co-cre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Konings et al. 2021).
  • Furthermore, student engagement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has been recently covered in a scoping review (Kassab et al. 2022).

그러나 HPE 문헌에는 파트너로서의 학생 참여를 통합하는 학생 참여에 대한 포괄적인 이론적 프레임워크가 부족합니다. 따라서 고등 교육 및 HPE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학생 참여의 정의와 기본 이론적 관점을 설명하겠습니다. 이에 따라 참여의 [선행 요소, 매개자, 차원, 영역, 결과]를 포함한 다양한 구성 요소와 함께 통합된 중요한 프레임워크를 소개합니다. 그런 다음 이 가이드는 보건 전문직 교육에서 학생 참여를 개선하기 위한 실질적인 전략을 제공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며 마무리합니다. 
However, HPE literature is lacking a comprehensive theoretical framework of student engagement that incorporates engagement of students as partners. Therefore, drawing from literature in higher education and HPE, we will describe the definitions and underlying theoretical perspectives of student engagement. Accordingly, we will introduce an integrated overarching framework with its different components including the antecedents, mediators, dimensions, spheres, and outcomes of engagement. The guide will then provide practical strategies for improving student engagement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end by future research directions.

학생 참여란 무엇인가요?
What is student engagement?

교육 문헌에서 학생 참여의 의미에 대한 공통된 합의에 도달하는 것은 난제였습니다. 언어학적으로 참여는 '어떤 일에 관여하는 사실'(캠브리지 사전) 또는 '누군가 또는 무언가를 이해하기 위해 그/그것에 관여하는 것'(옥스퍼드 영어 사전)으로 정의됩니다. 학생 참여의 정의에 대한 합의가 부족하지만 다음은 몇 가지 선구적인 시도입니다:
Reaching a common agreement about the meaning of student engagement in the education literature has been a conundrum. Linguistically, engagement is defined as ‘the fact of being involved with something’ (Cambridge Dictionary, nd), or ‘being involved with someone or something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m/it’ (Oxford English Dictionary, nd). Although there is lack of consensus about defining student engagement, the following are some pioneering attempts:

  • 학생이 학업 경험에 쏟는 신체적, 심리적 에너지의 양(Astin 1999).
  • 학생이 교실 안팎에서 교육적으로 건전한 행동과 행동에 바치는 시간과 활력, 그리고 교육기관이 학생이 이러한 활동에 참여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적용하는 지침 및 관행. (Kuh 2009).
  • 학습 활동 중에 활성화되고, 노력하고, 몰입 할 수있는 학생의 심리적 활동 상태와 학교 공동체와의 학생의 연결 상태 (Wong and Liem 2021).
  • 동료, 교수진 및 대학 커뮤니티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지적, 행동적, 정서적 수준에서 학습, 교수 및 연구 분야에서 학생들의 학업적 경험을 의미합니다(Groccia 2018).
  • amount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energy that the student devotes to the academic experience (Astin 1999).
  • time and vigor students dedicate to educationally sound actions and deeds internally and beyond the classroom and the guidelines and practices that institutions apply to persuad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se activities. (Kuh 2009).
  • students’ psychological state of activity that affords them to feel activated, exert effort, and be absorbed during learning activities and students’ state of connection with the school community (Wong and Liem 2021).
  • academic experiences of students in learning, teaching, and research, at the cognitive, behavioral, and emotional levels through interactions with peers, faculty, and college community (Groccia 2018).

이 가이드의 개념적 프레임워크에 따르면 학생 참여는 학습, 교수, 연구, 거버넌스 및 커뮤니티 활동을 포함하는 학업 및 비학업적 경험에 대한 학생의 시간과 에너지 투자로 정의됩니다. 학생은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주체적,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이러한 측면에 참여합니다.
According to our conceptual framework in this guide, we define student engagement as the student investment of time and energy in academic and non-academic experiences that include learning, teaching, research, governance, and community activities. Students are involved in these aspects at the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agentic, and socio-cultural dimensions.

학생 참여에 대한 이론적 관점
Theoretical perspectives of student engagement

학생 참여의 개념화에 대한 문헌의 불일치에도 불구하고 학생 참여가 복잡한 메타 구조라는 데는 대체로 동의하고 있습니다. 학생 참여를 설명하는 세 가지 주요 관점은

  • (1) 참여도를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학생의 내적 심리 상태로 설명하는 심리적 관점(프레드릭스 외. 2004),
  • (2) 교육기관의 효과적인 교육 활동과 학생 행동을 연결하는 행동적 관점(쿠 2009),
  • (3) 보다 광범위한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맥락에서 학생 경험을 검토하는 사회문화적 관점입니다.

Despite the inconsistencies in the literature about the conceptualization of student engagement, there is a general agreement that student engagement is a complex meta-construct. There are three main perspectives that explain student engagement:

  • (1) psychological perspective, which explains engagement as an internal psychological state of the students that undergo changes over time (Fredricks et al. 2004),
  • (2) behavioral perspective, which connects the effective instructional activities of the institution with the student behavior (Kuh 2009),
  • (3) sociocultural perspective, which examines the student experience from a broader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context.

학생 참여의 심리적 관점
Psychological perspective of student engagement

심리적 관점은 대학 전 교육 상황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관점이며(프레드릭스 외. 2004), HPE를 비롯한 대학 수준에서 무비판적으로 대규모로 채택되고 있습니다.

  • 이 관점의 주요 장점은 참여의 지표, 동인, 결과를 구분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참여의 정서적, 행동적, 인지적 차원을 통합하여 학생들의 경험에 대한 풍부한 이미지를 묘사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이 관점의 단점은 학생 참여도를 형성하는 데 있어 맥락의 역할을 사소화한다는 점(Furlong 외. 2003)과 차원 수 및 각 차원 아래의 지표를 포함한 명확한 개념화가 부족하다는 점입니다.
  • 심리적 관점에서 학생 참여도를 설명할 수 있는 다섯 가지 이론적 모델은 다음과 같습니다. a) 참여-식별 모델, b) 자기 결정 이론, c) 흐름 이론, d) 학업 참여도 모델, e) 메타 구성으로서의 참여도 모델입니다.

The psychological perspective is the most prevailing in precollege education contexts (Fredricks et al. 2004), and has been uncritically adopted on a large scale at university levels including HPE.

  • The main advantage of this perspective is making the distinction between indicators, drivers, and outcomes of engagement. In addition, it portrays a rich image of students experience by incorporating the affective, behavioral, and cognitive dimensions of engagement.
  • However, disadvantages of this perspective are trivializing the role of context in shaping up student engagement (Furlong et al. 2003) and lack of clear conceptualization including the number of dimensions and the indicators under each dimension.
  • The following five theoretical models can explain student engagement from the psychological perspective: a) participation-identification models, b) self-determination theory, c) flow theory, d) schoolwork engagement model, and e) model of engagement as a meta-construct.

참여 - 식별 모델
Participation – identification models

학생 참여를 개념화하기 위해 등장한 첫 번째 모델은 참여 모델입니다(Natriello 1984). 이 모델에 따르면 참여는 단순히 학생이 학교에서 제공하는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정의됩니다(Natriello 1984). 5년 후 Finn(1989)은 이 모델을 기반으로 학생의 학교 참여가 행동적 차원정서적 차원으로 구성된다는 가설을 세웠습니다(Finn 1989).

  • 행동적 차원은 학교 활동에 대한 학생의 참여를 나타내고,
  • 정서적 차원은 학교에 대한 소속감과 가치관을 나타냅니다(Finn 1989).

이 모델은 학생들의 참여가 학업 성취도 향상으로 이어지고, 이는 학생들이 학교 공동체의 중요한 구성원이라는 느낌(소속감)과 학교를 자기 계발의 장으로 인식(소중함)함으로써 학교와 동일시하게 되는 연속적인 순환을 나타냅니다. 대체로 HPE 학생들의 행동 참여를 측정한 연구들은 참여 관점에 기반하여 이를 운영했습니다(O'Malley 외. 2003; Giddens 외. 2012; Yu 외. 2018; Riddle and Gier 2019; Nguyen 외. 2020; Smeby 외. 2020; Siqueira 외. 2021).
The first model that emerged to conceptualize student engagement was the participation model (Natriello 1984). According to this model, engagement is simply defined as the student participation in activities offered by the school (Natriello 1984). Five years later, Finn (1989) built on that model and posited that student engagement in schools consists of behavioral and emotional dimensions (Finn 1989).

  • The behavioral dimension represents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school activities, while
  • the emotional dimension represents the sense of belonging and valuing the school (Finn 1989).

The model represented a continuous cycle where participation of students leads to enhanced academic performance, which drives the students to identify with the school by feeling of being a significant member of the school community (belongingness) and recognition of the school as a place for personal development (valuing). By and large, studies which measured behavioural engagement of HPE students operationalized it based on the participation perspective (O'Malley et al. 2003; Giddens et al. 2012; Yu et al. 2018; Riddle and Gier 2019; Nguyen et al. 2020; Smeby et al. 2020; Siqueira et al. 2021).

자기 결정 이론(SDT)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SDT는 학생의 내재적 동기를 위해서는 자율성, 역량, 타인과의 관계라는 기본적인 심리적 욕구가 충족되어야 한다고 가정합니다(Ryan and Deci 2000).

  • 자율성의 욕구는 학생의 특정 행동 선택이 자기 자신으로부터 비롯되며, 학생은 자신에게 적합한 행동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유능감의 욕구는 어떤 행동을 하든 자신감과 효과에 대한 인식을 의미합니다.
  • 관계성의 욕구는 다른 개인 및 주변 커뮤니티와의 연결 및 소속감을 나타냅니다.

The SDT posits that intrinsic motivation of students requires the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to others (Ryan and Deci 2000).

  • The need for autonomy indicates that students’ choices of certain behaviors are emanating from self, and they are free to decide the appropriate action for them.
  • The need for competence refers to the perception of confidence and effectiveness in whatever actions they do.
  • The need for relatedness indicates the feeling of connection and belongingness with other individuals and the surrounding community.

SDT를 기반으로 한 동기 개발의 자기 체계 모델(SSMMD)은 사회적 맥락 요인이 자기 체계 과정과 그에 따른 학생 참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했습니다(Connell and Wellborn 1991). SSMMD에 따르면 학생이 기본적인 심리적 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를 충족하면 참여가 일어나고, 이러한 욕구가 좌절되면 불만족으로 이어집니다(Connell and Wellborn 1991; Babenko 외. 2018; Yu 외. 2018).
Building on SDT, the self-system model of motivational development (SSMMD) provided an understanding on how social contextual factors influence the self-system process and subsequently student engagement (Connell and Wellborn 1991). According to SSMMD, when students fulfill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engagement will occur, while thwarting these needs leads to disaffection (Connell and Wellborn 1991; Babenko et al. 2018; Yu et al. 2018).

흐름 이론
Flow theory

플로우는 '인지적으로 효율적이고 동기 부여가 되며 행복감을 동시에 느끼는 심리적 상태'로 정의되었습니다. 플로우 상태는 다음으로 나타납니다(Csikszentmihalyi 1990; Nakamura와 Csikszentmihalyi 2014). 

  • 활동에 대한 강렬한 집중과 몰입,
  • 통제하고 있다는 인식,
  • 자의식의 상실,
  • 시간 인식의 왜곡(즉 시간이 날아가는 것 같은 느낌),
  • 강렬한 즐거움

학생들이 플로우에 몰입(최적의 경험이라고도 함)하려면 달성 가능한 목표가 명확하고, 활동의 과제와 학생의 기술 간에 균형이 잡혀 있어야 하며, 진행 상황에 대한 건설적인 피드백이 제공되어야 합니다(Nakamura와 Csikszentmihalyi 2014). 플로우에서는 학생의 참여도가 높고 역동적이며 짧은 시간 동안 존재하지만 목표가 달성되면 본질적으로 보람 있는 경험으로 이어집니다. 플로우 이론은 가상 환자 시뮬레이션 중 의대생의 참여도 측정(McCoy 외. 2016)과 360° 비디오를 사용한 임상 해부학 교육(Chan 외. 2021)에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The flow has been defined as ‘psychological state in which the person feels simultaneously cognitively efficient, motivated, and happy’. The state of flow is manifested by

  • intense concentration and absorption in the activity,
  • perception of being in control,
  • loss of self-consciousness,
  • distortion of time awareness i.e. time appears to fly, and
  • intense enjoyment (Csikszentmihalyi 1990; Nakamura and Csikszentmihalyi 2014).

To achieve students’ engagement in flow (also called optimal experience), there should be clear attainable goals, balance between the challenges of the activity and the skills of the student, and constructive feedback on their progress (Nakamura and Csikszentmihalyi 2014). During flow, students’ engagement is high, dynamic, exists for a short period of time, but leads to an intrinsically rewarding experience if the goals are achieved. There is a limited application of flow theory in measuring engagement of medical students during virtual patient simulations (McCoy et al. 2016) and teaching clinical Anatomy using 360° videos (Chan et al. 2021).

학업 참여 모델
Schoolwork engagement model

업무 몰입은 직업 심리학에서 번아웃과 개념적으로 연결된 긍정적인 구성 요소로 등장했습니다(Schaufeli 외. 2002). 이 주제는 학계 및 보건 전문가의 업무 참여와 관련하여 이전 AMEE 가이드에서 잘 다루고 있습니다(van den Berg 외. 2017). 학생의 관점에서 학업 몰입 헌신, 활기, 몰입을 특징으로 하는 학업 관련 성취감의 긍정적인 상태로 정의되며, 이는 오랫동안 유지됩니다(Salmela-Aro와 Upadaya 2012).

  • 헌신은 학생이 학교 관련 활동을 하는 동안 느끼는 자부심, 영감, 열정을 말합니다.
  • 활력은 학교 관련 활동 중 높은 수준의 에너지와,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회복력과 끈기를 보여주려는 의지를 의미합니다.
  • 몰입은 학생이 학교 활동에서 분리되기 어려울 정도로 완전히 집중하고 행복감에 깊이 몰입하는 것을 말합니다(Schaufeli 외. 2006; Schaufeli 2017).

Work engagement emerged in occupational psychology as a positive construct that is conceptually linked to burnout (Schaufeli et al. 2002). The topic is well-covered in a previous AMEE Guide in relation to work engagement in academics and health professionals (van den Berg et al. 2017). From the student perspective, schoolwork engagement is defined as a positive state of study-related fulfillment characterized by dedication, vigor, and absorption which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Salmela-Aro and Upadaya 2012). 

  • Dedication refers to the student feeling of pride, inspiration, and enthusiasm while doing school-related activities. 
  • Vigor refers to the high level of energy during school-related activities and willingness to show resilience and persistence when confronted with difficulties. 
  • Absorption refers to the full concentration and deep engrossment with happiness so that it is difficult to get the student detached from his school activities (Schaufeli et al. 2006; Schaufeli 2017).

이 모델은 학부 의대생(Wouters 외. 2017; Liu 외. 2018; Agarwal 외. 2020; Kakoschke 외. 2021; Puranitee 외. 2022) 및 보건과학 학생(Casuso-Holgado 외. 2013; Skodova 외. 2017)의 장기 몰입을 측정하는 데 적용되었습니다.
This model has been applied for measuring long-term engagement in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Wouters et al. 2017; Liu et al. 2018; Agarwal et al. 2020; Kakoschke et al. 2021; Puranitee et al. 2022) and health sciences students (Casuso-Holgado et al. 2013; Skodova et al. 2017).

메타 구조로서의 학생 참여 모델
Model of student engagement as a meta construct

이 모델은 학생 참여를 인지적, 행동적, 정서적이라는 서로 다른 세 가지 차원으로 구성된 메타 구조로 설명합니다(프레드릭스 외. 2004). 학생 참여 구성에 네 번째 차원이 추가되었으며, 각 차원 아래의 지표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 사회적 참여 차원에는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구축 및 공유하고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다른 사람을 돕는 것과 같은 지표가 포함되었습니다(Fredricks 외. 2016).
  • 다른 연구자들은 학습 구성에 있어 학생의 능동적인 역할을 입증하기 위해 네 번째 차원으로 주체적 참여를 포함시켰습니다(Reeve and Tseng 2011; Bhat and Gupta 2019).
  • 또한 Appleton 등(2006)은 학업 참여도를 네 번째 차원으로 추가하여 학생의 과제 수행 시간 및 졸업까지 이수한 학점과 같은 지표를 포함했습니다(Appleton 등, 2006). 

This model describes student engagement as meta construct which consists of three distinct but interrelated dimensions: cognitive, behavioral, and emotional (Fredricks et al. 2004). A fourth dimension was added to the student engagement construct, with some differences in the indicators under each dimension.

  • The social engagement dimension included indicators such as building and sharing others’ ideas and helping others who are struggling in learning (Fredricks et al. 2016).
  • Other researchers included agentic engagement as a fourth dimension to demonstrate the active role of students in construction of their learning (Reeve and Tseng 2011; Bhat and Gupta 2019).
  • In addition, Appleton et al. (2006) added academic engagement as a fourth dimension with indicators such as students’ time on task and credit hours towards graduation (Appleton et al. 2006).

HPE 연구에 포함된 참여도 차원은 다양하여 구성의 다차원성을 반영하지 못했습니다. 세 가지 차원을 측정한 연구에서도 개념화와 구성의 운영 사이에 일관성이 없었습니다(Kassab 외. 2022).
The number of engagement dimensions included in HPE studies has been diverse and did not reflect the multidimensionality of the construct. Even with studies which measured the three dimensions, there was no consistency between conceptualization and operationalization of the construct (Kassab et al.
 2022).

학생 참여의 행동적 관점
Behavioral perspective of student engagement

이 관점은 학생 만족도 및 성취도와 관련된 학생 행동 및 교육기관 관행의 지표로서 참여를 강조합니다(Kahu 2013). 따라서 이 관점에서의 학생 참여는 학생이 교육적으로 목적이 있는 활동에 투자하는 시간과 노력으로 정의됩니다(Kuh G 2009). 그러나 이 관점은 개인의 심리적 상태로서의 참여보다는 제도적 관행을 더 강조합니다. 따라서 이 접근법의 단점은 참여 구조와 이를 주도하는 제도적 요인을 구분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Kahu 2013). 또한 참여의 행동적 측면을 강조하기 때문에 학생 참여의 다른 차원을 설명하는 데 있어 이 관점의 유용성은 제한적입니다. 

  • 행동적 관점에서 학생 참여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방법으로는 전국 학생 참여도 설문조사(NSSE)호주 학생 참여도 설문조사(AUSSE)가 있습니다. NSSE와 AUSSE는 모두 고등 교육 기관의 질과 벤치마킹의 지표로 대규모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 HPE 연구 맥락에서는 NSSE의 일부(Hopper 2016, Hopper and Brake 2018, Hopper and Kaiser 2018) 또는 전체 설문지를 사용한 연구도 있습니다(Popkess and McDaniel 2011, Shoepe 외. 2020, Clynes 외. 2020a, 2020b).

This perspective emphasizes engagement as an indicator of student behaviors and institutional practices that related to student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Kahu 2013). Therefore, student engagement in this perspective is defined as the time and effort students devote to educationally purposeful activities (Kuh G 2009). However, this perspective emphasizes on institutional practices more than engagement as an individual psychological state. Accordingly, the disadvantage of this approach is the lack of distinction between the engagement construct and institutional factors driving it (Kahu 2013). Furthermore, because of the emphasis on the behavioral aspect of engagement, the utility of this perspective in explaining the other dimensions of student engagement is limited.

  • The main methods used for measuring student engagement from the behavioral perspective are the National Survey for Student Engagement (NSSE) and the Australian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AUSSE). Both NSSE and AUSSE have been used on a large scale as a proxy of institutional quality and benchmarking in higher education.
  • In the HPE research context, studies have used portions of NSSE (Hopper 2016; Hopper and Brake 2018; Hopper and Kaiser 2018) or the full-fledged questionnaire (Popkess and McDaniel 2011; Shoepe et al. 2020; Clynes et al. 2020a2020b).

학생 참여에 대한 사회 문화적 관점
Socio-cultural perspective of student engagement

사회 문화적 관점은 사회, 문화 및 정치적 측면이 학생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다룹니다. 학생이 학교 커뮤니티에 참여하려면 자신의 정체성을 개발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내에서 자신을 확립해야 합니다. 학생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개발하면서 학교 커뮤니티에 대한 소속감을 형성합니다(Trowler 2019). 이러한 소속감은 [학생의 기존 규범 및 가치]와 [학교 공동체의 가치] 사이의 일치 정도와 관련이 있습니다(Kahu와 Nelson 2018). 사회경제적 계층이 낮거나 통학생, 소수 민족 또는 장애를 가진 학생과 같은 '비전통적' 학생의 경우 이러한 정체성 간의 일치성을 개발하는 것이 더 어렵습니다(Kahu 2013).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addresses the impact of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aspects on student engagement. For students to be engaged in the school community, they need to establish themselves within a social network where they can develop their identity. As the students develop their identity, they construct a sense of belonging to the school community (Trowler 2019). This belonging relates to the degree of congruence between the existing norms and values of the student with that of the school community (Kahu and Nelson 2018). Developing this congruence between identities is more challenging for ‘non-traditional’ students such as those with low socio-economic class, commuters, ethnic minorities, or with disabilities (Kahu 2013).

[사회 문화적 관점]은 파트너십을 통한 학생 참여를 이해하기 위한 포괄적인 관점을 제공합니다. 결과적으로 다음 세 가지 이론이 파트너로서 학생의 참여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실천 공동체, 자기 결정 이론, 포지셔닝 이론

  • 실천 공동체동일한 관심 영역을 공유하고, 정기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공동 활동이나 토론에 참여하며, 반복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유된 실천 모음을 개발하는 개인들의 그룹입니다.
  • '실천공동체(CoP)' 이론에 따르면, 참여 파트너는 다음을 공유하게 됩니다(Wenger 1998, 2010).
    • 공동체감 (소속감으로서의 학습),
    • 실천 (행함으로써 학습),
    • 의미 (경험함으로써 학습),
    • 정체성 (공동체의 일원이 됨으로써 학습)
  • SDT 이론은 참여에 대한 내재적 동기는 파트너가 학생에게 제공하는 자율성, 역량 및 관련성의 충족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고 가정합니다(Konings 외. 2021).
  • 마지막으로, 포지셔닝 이론교사와 학생이 자신의 세계 내에서 자신과 상대방을 위치시키기 위해 자신의 위치를 구성하는 관행과 상호 작용을 말합니다(Andreouli 2010). 학생과 교사 간의 관계의 권력 역학은 각 정체성 위치와 관련된 권리와 의무와 관련이 있습니다(Andreouli 2010). 학생과 교사의 정체성을 파트너로 받아들이려면 각각의 '새로운' 위치를 공동으로 재생산하기 위한 협력공유된 이해가 필요합니다(Konings 외. 2021).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offers an umbrella for understanding student engagement through partnerships. Consequently, the following three theories could explain engagement of students as partners: communities of practice,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positioning theory.

  • A community of practice is a group of individuals who share the same domain of interest, engage in joint activities or discussions through regular interactions, and develop a shared collection of practice to address recurring problems. According to ‘Communities of Practice (CoP)’ theory, engaged partners share the feeling of
    • community (learning as belonging),
    • practice (learning by doing),
    • meaning (learning by experiencing), and
    • identity (learning by becoming a member of a community) (Wenger 1998, 2010).
  • The SDT theory posits that intrinsic motivation for engagement in determined by the degree of fulfillment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provided to students by their partners (Konings et al. 2021).
  • Finally, positioning theory refers to the practices and interactions by which teachers and students construct their positions to situate themselves and the other within their world (Andreouli 2010). The power dynamic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s associated with rights and duties related to each identity position (Andreouli 2010). Accepting the identities of the students and teachers as partners requires collaboration and shared understanding to jointly reproduce the ‘new’ positions for each (Konings et al. 2021).

학생 참여의 통합 프레임워크
Integrated frameworks of student engagement

현재 통합 프레임워크
Current integrated frameworks

학생 참여에 대한 세 가지 이론적 관점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후 Kahu(2013)는 통합 프레임워크를 제안했습니다(Kahu 2013). 이 프레임워크는 학생 참여를 제도적 요인학생 요인의 영향을 받고 더 넓은 사회문화적 맥락에 내재된 내적 심리 상태로 인정합니다.

  • 제도적 요인에는 구조적(문화, 정책, 커리큘럼, 평가) 및 심리사회적(교수, 교직원, 지원, 업무량) 요인이 포함됩니다.
  • 학생 요인에는 구조적(배경, 성별, 업무량) 및 심리사회적(성격, 기술, 정체성) 요인이 포함됩니다.
  • 또한 이 프레임워크는 단기적(학업 성취도, 웰빙, 만족도, 대인관계 및 팀워크 기술) 및 장기적(유지, 업무 성공, 개인 개발, 평생 학습) 결과를 포함한 참여의 결과를 식별합니다.

Following critical analysis of the three theoretical perspectives of student engagement, Kahu (2013) proposed her integrated framework (Kahu 2013). The framework acknowledges student engagement as an internal psychological state which is affected by institutional and student factors and embedded within a wider sociocultural context.

  • The institutional factors include structural (culture, policies, curriculum, assessment) and psychosocial (teaching, staff, support, workload) factors.
  • Student factors include structural (background, gender, workload) and psychosocial (personality, skills, identity) factors.
  • The framework also identifies the outcomes of engagement including
    • short-term (academic achievement, well-being, satisfaction, interpersonal and teamwork skills) and
    • long-term (retention, work success, personal development, lifelong learning) outcomes.

그런 다음 Kahu와 Nelson은 개선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학생의 참여와 성공을 중재하기 위해 기관과 학생 요인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심리사회적 공간으로서 '교육 인터페이스'라는 개념을 포함시켰습니다(Kahu와 Nelson 2018).

  • 이 모델에서 그들은 이러한 상호작용을 위한 네 가지 매개 구성 요소, 즉 자기 효능감, 감정, 소속감, 웰빙을 제안했습니다(Kahu and Nelson 2018).
  • 4년 후, Trowler 등은 참여의 세 가지 차원(정치적, 사회문화적, 비판적)을 추가하고
  • 참여의 매개 요인으로 동기부여, 회복탄력성, 성찰성의 세 가지 심리사회적 구성을 추가하여 Kahu와 Nelson 모델을 더욱 정교화할 것을 제안했습니다(Trowler 외. 2022).

Then, Kahu and Nelson developed a refined framework and included the concept of educational interface as a psychosocial space for interactions between institutional and student factors to mediate student engagement and success (Kahu and Nelson 2018).

  • In their model, they proposed four mediating constructs for these interactions: self-efficacy, emotions, belonging, and well-being (Kahu and Nelson 2018).
  • Four years later, Trowler et al suggested more refinement of Kahu and Nelson model by including
    • three additional dimensions of engagement: political, sociocultural, and critical, and
    • added three psychosocial constructs as mediators of engagement: motivation, resilience, and reflectivity (Trowler et al. 2022).

기존 통합 프레임워크의 문제점
Problems with the existing integrated frameworks

기존 문헌의 통합 프레임워크는 학생 참여에 대한 이해에 크게 기여했습니다(Kahu 2013; Kahu와 Nelson 2018; Trowler 외. 2022).

  • 그러나 이러한 프레임워크는 대학교육의 시장화와 맞물려 있으며 '고객' 또는 외부 이해관계자로서의 학생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Kahu 2013; Milburn-Shaw와 Walker 2017; Kahu와 Nelson 2018; Trowler 외. 2022).
  • 따라서 교육의 파트너로서 학생의 역할이 명시적으로 누락되어 있고 학생의 참여가 학교의 역할로 간주됩니다.
  • 또한, 우리는 감정과 회복탄력성과 같은 이러한 모델에서 참여의 매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각각 정서적 및 인지적 참여의 지표로 간주된다고 주장합니다 (구성 내에서). 또한, 학생의 웰빙은 참여의 중재자이자 결과로서 제안됩니다(Kahu와 Nelson 2018). 이처럼 참여의 [지표, 매개변수, 결과]를 구분하지 않는 것은 이미 존재하는 참여 구성의 모호함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The integrated frameworks in the extant literatur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understanding of student engagement (Kahu 2013; Kahu and Nelson 2018; Trowler et al. 2022).

  • However, these frameworks go in line with the marketiz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and focus on the role of the student as a ‘customer’ or an external stakeholder (Kahu 2013; Milburn-Shaw and Walker 2017; Kahu and Nelson 2018; Trowler et al. 2022).
  • Therefore, the role of students as partners in education is explicitly missing and engagement of students is considered as the role of schools.
  • In addition, we argue that some of the proposed mediating constructs of engagement in these models such as emotions and resilience are considered indicators (within the construct) of emotional and cognitive engagement, respectively.
  • Furthermore, student wellbeing is proposed both as a mediator and an outcome of engagement (Kahu and Nelson 2018). This lack of distinction between indicators, mediators, and outcomes of engagement could contribute to the already existing fuzziness of the engagement construct.

HPE에서 제안하는 학생 참여의 통합 프레임워크
A proposed integrated framework of student engagement in HPE

이 가이드에서는 이전에 발표된 프레임워크에 추가 구성 요소로 학생 참여의 영역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프레임워크를 제안합니다(그림 1). 이전 모델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학생 참여학생 내부에 위치하며, 교육기관과 학생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촉진되고, 심리사회적 메커니즘에 의해 매개되며, 더 넓은 사회문화적 맥락에 내재된, 학생 내부의 심리사회적 상태로 간주합니다. 또한 참여 구조는 행동, 정서, 인지, 대리인, 사회문화의 다섯 가지 차원으로 구성될 것을 제안합니다. 
We propose in this guide a comprehensive framework that includes the spheres of student engagement as an additional component to previously published frameworks (Figure 1). In agreement with previous models, we consider student engagement as an internal psychosocial state which is situated within the student, facilitated by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institution and the student, mediated by psychosocial mechanisms, and embedded within a broader sociocultural context. We propose also that the engagement construct consists of five dimensions: behavioral, emotional, cognitive, agentic, and sociocultural.

그러나 제안된 프레임워크의 독창성은 학생의, 학생과 함께, 학생에 의한 참여를 강조하기 위해 학생의 '파트너십을 통한 참여'라는 개념을 도입한 것입니다. 이에 따라 참여의 영역을 크게 다음으로 분류합니다.

  • (1) 교실, 실험실, 임상 현장, 숙제 또는 자율 학습 등 개별 학습 활동에 대한 참여를 포함하는 자기 학습 참여
  • (2) 교육 제공, 학술 연구, 학교 거버넌스 및 품질 보증, 지역사회 활동에서의 파트너십을 포함하는 파트너십을 통한 참여

However, the uniqueness of the proposed framework is introducing the concept of student ‘engagement through partnerships’ to emphasize engagement ofwith, and by, students. Accordingly, we classify the spheres of engagement into two main categories:

  • (1) engagement in own learning, which includes engagement in individual learning activities in the classroom, laboratory, clinical sites, homework, or self-study, and
  • (2) engagement through partnerships, which include partnerships in provision of education, scholarly research, school governance & quality assurance, and community activities.

파트너십을 통한 학생 참여의 분류는 이 분야에 대한 최신 문헌(Healey와 해링턴 2014)과 학생 참여에 대한 기관의 우수성 기준(ASPIRE 2020)에 따라 개념적으로 안내됩니다. 이 프레임워크가 학생 참여에 대한 향후 발전과 이해를 촉진할 수 있는 토론을 촉발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The classification of student engagement through partnerships is conceptually guided by the current literature on this field (Healey and Harrington 2014), and by the AMEE-ASPIRE criteria for institutional excellence in student engagement (ASPIRE 2020). We hope that this framework triggers a debate which can stimulate future developments and understanding of student engagement in HPE.




박스 1 통합 이론 모델을 HPE 실무에 적용한 예시.
Box 1 Example of applying the integrative theoretical model in HPE practice.

한 교수진이 한 학기 동안 의대생들을 위한 PBL 튜토리얼에서 퍼실리테이터 역할을 맡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학생들의 참여도가 낮다는 것을 알게 된 그녀는 소그룹 PBL 튜토리얼에서 학생들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계획을 세웠습니다. 학생 참여의 통합 프레임워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녀는 다음과 같은 전략을 적용할 계획이었습니다:
A faculty member is assigned the role of a facilitator in PBL tutorials for medical students for one semester. However, she noticed that the level of engagement of students is low and planned to improve the engagement of students in small group PBL tutorials. From her understanding of the integrated framework of student engagement, she planned to apply the following strategies:

  1. 참여 선행 조건 수정: PBL 수업 내에서 
    1. 서로를 지지하고 위협하지 않는 문화를 조성하고,
    2. 학생들과의 협업과 소통을 촉진하기 위해 그룹 규칙을 정하고,
    3. 사전 지식을 자극하는 질문을 하고,
    4. 커리큘럼 내용과 평가 방법에 대해 학생들과 토론하고,
    5. 건설적인 피드백을 제공했습니다.
    6. 또한 학생들은 각 세션이 끝날 때 그룹 기능에 대해 반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동기 부여, 소속감, 자기 효능감 및 성찰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학생의 참여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Modify engagement antecedents
    : by
    1. creating a supportive, non-threatening culture inside the PBL class,
    2. establishing group rules to facilitate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students,
    3. asking questions that stimulate prior knowledge,
    4. discussing with students the curriculum content and assessment methods, and
    5. providing constructive feedback.
    6. Students can also reflect on the group function at the end of each session.
      These strategies are expected to mediate engagement of students through enhancing their motivation, sense of belonging, self-efficacy, and reflectivity.
  2. 다양한 참여 차원을 목표로 함:
    1. 학생 상호 작용을 자극하고 (행동적),
    2. 사례 이해와 관련된 탐색적 질문을 하고 (인지적),
    3. 학생에게 환자 사례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성찰하도록 요청하고 (정서적),
    4. 학생에게 그룹 역학 및 학습의 질과 개선 방법에 대해 성찰하도록 요청하고 (주체적),
    5. 튜토리얼 시간 이후 학생들이 서로 다시 연결될 수 있도록 계획하는 등 (사회문화적).

    Target the multiple engagement dimensions: by
    1. stimulating student interactions (behavioral),
    2. asking probing questions related to understanding of the case (cognitive),
    3. asking the students to reflect on their feelings about the patient case (emotional),
    4. asking students to reflect on the quality of group dynamics and learning and how to improve it (agentic), and
    5. plan for students to reconnect with each other beyond the time of the tutorial (socio-cultural).
  3. 파트너로서 학생의 참여 장려: 학생에게 PBL 튜토리얼의 진행자로서 동료 튜터링을 번갈아 가며 하도록 요청합니다. 학생은 자가 평가 및 동료 평가를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
    Encourage students’ engagement as partners: by asking students to take turns in peer tutoring as facilitators of PBL tutorials. Students can also undertake self-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

다음 섹션에서는 학생 참여를 위해 제안된 통합 프레임워크의 다섯 가지 구성 요소(선행 요소, 매개자, 차원, 영역 및 결과)에 대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In the following section, we provide an overview of the five components of the proposed integrated framework for student engagement (antecedents, mediators, dimensions, spheres, and outcomes).

학생 참여의 선행 조건
Antecedents of student engagement

조직 문화와 학생 참여
Organizational culture and student engagement

이전 연구에서는 학교 문화와 고등 교육에서의 학생 참여 사이의 관계를 입증했습니다(van der Velden 2012; Borhan 2020). 학생 참여에 도움이 되는 학교 문화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a) 팀 빌더로 인식되는 친근한 리더,
  • (b) 학교 구성원이 신뢰하는 대인 관계로 가족 같은 느낌을 공유(Cameron and Quinn 2011),
  • (c) 학생이 커뮤니티의 파트너로 간주(Borhan 2020),
  • (d) 유연성과 적응력을 갖춘 창의성, 혁신 및 성장에 집중(Borhan 2020) 등이 있습니다. 그

러나 안정성과 규정 준수에 중점을 두는 위계질서나 관료주의 문화에서는 학생 참여가 감소합니다(van der Velden 2012; Borhan 2020).
Previous studies demonst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ulture and student engagement in higher education (van der Velden 2012; Borhan 2020). School cultures that are conducive for student engagement are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 (a) friendly leaders who are perceived as teambuilders,
  • (b) members of the school share the feeling of a family with trus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ameron and Quinn 2011),
  • (c) students are considered as partners in the community (Borhan 2020), and
  • (d) focus on creativity, innovation, and growth with flexibility and adaptability (Borhan 2020).

However, student engagement is decreased in hierarchy or bureaucratic cultures, which focus on stability and enforcing compliance (van der Velden 2012; Borhan 2020).

학생 요인
Student factors

학생 참여에서 성별의 역할을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더 높은 수준의 학습 참여를 보이는 반면(Presoto 외. 2021), 남학생은 연구 및 과외 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Salgueira 외. 2012). 또한 대학 입학 전 학업 수준은 학생의 대학 참여에 대한 중요한 예측 변수입니다(Salgueira 외. 2012). 그러나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의 특성 또는 소수 집단 소속을 포함한 학생의 배경은 학생들의 대학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Pike and Kuh 2005; Trowler and Trowler 2010; Karabchuk and Roshchina 2022). 반면에 시간제 취업 학생의 참여도는 비취업 학생과 비교했을 때 비슷하거나(Clynes 외. 2020a), 낮거나(Walpole 2003), 높거나(Kuh 2009)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습니다.
Studies examining the role of gender in student engagement demonstrated that female students exhibit higher level of learning engagement more than male students (Presoto et al. 2021), while mal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research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algueira et al. 2012). In addition, pre-college entry academic level i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student engagement in university (Salgueira et al. 2012). However, the student background including socioeconomic status, parental characteristics, or belonging to minority groups, does not appear to play a role in the level of engagement of students in colleges (Pike and Kuh 2005; Trowler and Trowler 2010; Karabchuk and Roshchina 2022). On the other hand, engagement of part-time employed students has yielded inconsistent results with similar (Clynes et al. 2020a), lower (Walpole 2003), or higher (Kuh 2009) engagement compared with non-employed students.

관계
Relationships

긍정적인 학생-학생 및 학생-교수 관계는 학생 참여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Leiken 2017; Banos 외. 2019; Geraghty 외. 2020; Shoepe 외. 2020). 이는 교사가 친절하고 접근하기 쉬우며 도전적인 학습 활동을 제공할 때 분명해집니다(Bryson and Hand 2007). 학생과 교직원 또는 또래 간에 신뢰 관계를 발전시키면 학생들은 타인의 판단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교육 활동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어 심리적 안전이 증진됩니다(Tsuei et al. 2019).

  • 학생에게 심리적으로 안전한 관계의 결과에는 위험 감수, 권위 있는 사람에게 말할 수 있는 자유, 창의성 등이 있습니다(Edmondson and Lei 2014). 또한 심리적 안전은 팀 성과를 향상시키고 구성원의 지속 가능한 다양성을 보장합니다.

이러한 관계의 근간이 되는 메커니즘은 업무량에 대한 인식을 낮추고(Kember 2004; Xerri 외. 2018), 학생들의 학교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을 높이는 것입니다(Milburn-Shaw and Walker 2017).
Positive student-student and student-faculty relationships appear to enhance student engagement (Leiken 2017; Banos et al. 2019; Geraghty et al. 2020; Shoepe et al. 2020). This becomes evident when teachers are friendly, approachable, and provide challenging learning activities (Bryson and Hand 2007). Developing trusting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nd staff or with their peers promote psychological safety of students by feeling free from judgment by others while fully concentrating on engagement with educational activities (Tsuei et al. 2019).

  • The outcomes of psychologically safe relationships for students include risk-taking, freedom to speak-up with higher authority persons, and creativity (Edmondson and Lei 2014). In addition, psychological safety enhances team performance and ensures sustainable diversity of the members.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se relationships could be lowering the perception of workload (Kember 2004; Xerri et al. 2018) and enhancing students’ sense of belonging to the school community (Milburn-Shaw and Walker 2017).

학생 참여의 중재자
Mediators of student engagement

동기 부여
Motivation

동기는 참여의 원동력으로 간주되며 활동 전에 발생하는 반면, 참여는 활동 자체에서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를 나타냅니다(그림 2). 내재적 동기는 의대생의 학습 참여를 향상시키고(Berman and Artino 2018; Wu 외. 2020), 간호대생의 학습 참여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습니다(Bayoumy and Alsayed 2021).

  • 특히, 학생 동기인지적 참여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며(Walker 외. 2006), 행동적 참여의 매개 메커니즘으로 제안되고 있습니다(Trowler 외. 2022).

동기는 과제 가치를 높이고 숙달 목표를 촉진함으로써 학생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Trowler 외. 2022). 예를 들어, 새로운 수술 기술을 배우면서 [숙달 목표]를 설정한 의대생은 [성과 목표]를 설정한 학생에 비해 과제에 더 잘 몰입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Gardner 외. 2016).
Motivation is considered as the fuel for engagement and occurs before an activity while engagement represents students’ active involvement during the activity itself (Figure 2). Intrinsic motivation enhances learning engagement of medical students (Berman and Artino 2018; Wu et al. 2020) and positively correlates with learning engagement of nursing students (Bayoumy and Alsayed 2021).

  • Specifically, student motivation significantly predicts cognitive engagement (Walker et al. 2006), and is proposed as a mediating mechanism for behavioral engagement (Trowler et al. 2022).

Motivation could increase student engagement through enhancing task value and promoting mastery goals (Trowler et al. 2022). For example, medical students prepared with mastery goals while learning new surgical skills exhibited better engagement in the tasks compared with those provided with performance goals (Gardner et al. 2016).

자기 효능감
Self-efficacy

자기효능감은 제도적 요인과 학생 참여 간의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메커니즘 중 하나로 제안되었습니다(Kahu and Nelson 2018; Trowler 외. 2022). 이전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과 학생 참여도 간에 긍정적인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이 입증되었습니다(Walker 외. 2006; Koob 외. 2021). 또한 학생의 동기 부여와 자기 효능감은 모두 학습 참여도를 높여 의대생의 학업 성취도를 높입니다(Wu 외. 2020). 자기효능감의 증가는 과제 자원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학생의 주체성을 장려함으로써 학생의 참여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Trowler 외. 2022). 
Self-efficacy has been proposed as one of the mediating mechanisms of interactions between institutional factors and student engagement (Kahu and Nelson 2018; Trowler et al. 2022). Previous studies demonstrated a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tudent engagement (Walker et al. 2006; Koob et al. 2021). In addition, both stud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increase academic performance of medical students through enhancing learning engagement (Wu et al. 2020). The increase in self-efficacy could enhance student engagement by increasing awareness of task resources and encouraging student agency (Trowler et al. 2022).

소속감
Sense of belonging

소속감교직원과 동료들로부터 가치 있고, 받아들여지고, 포용되고, 격려받는다는 느낌입니다. 이 느낌은 학생이 학교에 대한 심리적 소속감 또는 학교 및 학교 내 개인과의 관계를 나타냅니다(Burkhardt 외. 2015). 소속감은 학생 참여, 특히 사회-문화적 참여(Trowler 외. 2022)를 매개하는 메커니즘으로 제안되었습니다(Kahu and Nelson 2018). 또한, 또래에 비해 높은 소속감을 경험하는 학생은 정서적 및 행동적 참여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Gillen-O'Neel 2021). 소속감은 더 높은 수준의 학생 동기 부여를 유지함으로써 참여도 증가에 기여할 수 있으며(Ryan and Deci 2000), 학생 참여는 소속감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Finn 1989).
Sense of belonging is the feeling of being valued, accepted, included, and encouraged by staff and peers. This feeling represents a psychological membership of the students with their school or connection with the school and individuals within the school (Burkhardt et al. 2015). Belonging has been proposed as a mediating mechanism of student engagement (Kahu and Nelson 2018), especially the socio-cultural engagement (Trowler et al. 2022). In addition, students who experience higher sense of belonging compared with their peers tend to have increased emotional and behavioral engagement (Gillen-O’Neel 2021). The sense of belonging can contribute to increased engagement by maintaining a higher level of student motivation (Ryan and Deci 2000), while student engagement can also increase the sense of belonging (Finn 1989).

반성
Reflectivity

성찰은 학생 참여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교육 전략으로 간주됩니다(Sandars 2009). 임상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의도적인 성찰은 의대생의 학습 활동 참여를 촉진하고 학습 성과를 증가시켰습니다(Ribeiro et al. 2019). 이러한 의도적인 성찰은 학생들이 문제에 대해 더 많이 알 수 있도록 상황적 흥미를 유발하여 참여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Linnenbrink-Garcia 외. 2013; Ribeiro 외. 2018).
Reflection is considered an important educational strategy because of its potential enhancement of student engagement (Sandars 2009). Deliberate reflection while solving clinical problems promoted engagement of medical students in a learning activity and increased learning outcomes (Ribeiro et al. 2019). This deliberate reflection may increase engagement by triggering situational interest for students to know more about the problem (Linnenbrink-Garcia et al. 2013; Ribeiro et al. 2018).

학생 참여의 차원
Dimensions of student engagement

  • 인지적 참여는 학생의 학습에 대한 심리적 투자를 의미합니다(Fredricks 외. 2004). 
    • 요구 사항을 넘어서고, 도전을 선호하며, 콘텐츠를 이해하고 숙달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학습에 메타인지 및 심층 전략을 사용하는 등 
  • 행동적 참여긍정적인 행동, 끈기, 과제 완수를 위한 노력, 참여, 질문, 집중, 주의 집중, 학교 기반 활동 참여를 말합니다.
  • 정서적 참여는 (즐거움, 흥미, 지루함, 불안, 행복, 슬픔과 같은) 교실, 학교 또는 교사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말합니다(Fredricks 외. 2004). 
  • 사회문화적 참여는 관점을 확장하고 다양한 배경과 관점에 대한 인식과 인정을 의미합니다(프레임워크 2022). 이 차원은 지역사회 서비스, 파트너십, 동료 교육, 기관 거버넌스와 같은 활동에서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사회문화적 참여의 지표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a)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과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얻는 것, 
    • (b) 다양한 관점을 가진 타인으로부터 배우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
    • (c) 다양한 사회 및 문화 집단에서 개인의 행동과 그 함의를 예측하는 것(프레임워크 2022). 
  • 주체적 참여는 학생의 교육 경로, 미래의 삶, 기존 및 더 넓은 사회적 환경에 대한 학생의 영향력을 의미합니다(Klemenčič 2017). 
    • 교실 내 주체적 참여의 지표는 학습에 대한 학생의 기여도와 학생이 받는 교육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Reeve and Tseng 2011). 
    • 교실 밖에서의 주체적 참여에는 커뮤니티 활동, 동료 교수/멘토링, 교육기관 거버넌스 및 품질 보증에 대한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 Cognitive engagement refers to the psychological investment in learning, where the student
    • goes beyond requirements, prefers challenges, directs the effort towards understanding and mastering content, and uses metacognitive and deep strategies in learning (Fredricks et al. 2004). 
  • Behavioral engagement refers to positive conduct, persistence, directing the effort towards completing learning tasks, participating, asking questions, concentrating, paying attention, and participation in school-based activities. 
  • Emotional engagement refers to emotional reactions to classroom, school, or teachers such as enjoyment, interest, boredom, anxiety, happiness, and sadness (Fredricks et al. 2004). 
  • Sociocultural engagement refers to expanding viewpoints and providing awareness of, and appreciation for, diverse backgrounds and perspectives (Framework 2022). This dimension is evident in activities such as community services, partnerships, peer teaching, and institutional governance. Indicators of sociocultural engagement include the following:
    • (a) quality of social interactions and gaining new perspectives on identity based on interactions with others,
    • (b) accepting to learn from others with diverse perspectives, and
    • (c) predicting individual actions and their implications in different social and cultural groups (Framework 2022). 
  • Agentic engagement refers to the students’ influence on their educational pathways, their future lives, and their existing and broader social surroundings (Klemenčič 2017).
    • Indicators of agentic engagement inside the classroom could be through students’ contributions to their learning and the instruction they receive (Reeve and Tseng 2011).
    • Agentic engagement outside the classroom could include students’ active involvement in community activities, peer teaching/mentoring, and membership in institutional governance and quality assurance.

위의 참여도 차원을 측정하는 방법은 참여도를 개념화하는 이론적 관점, 참여도 차원의 수, 각 차원 내의 지표, 측정의 입자 크기(활동 대 학교 수준, 단기 대 장기)에 따라 다릅니다. 학생 참여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이 가이드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지만, 이 주제에 대한 좋은 리뷰가 HE 문헌에 나와 있습니다(Henrie 외. 2015; Fredricks 외. 2019; Hofkens and Ruzek 2019). 학생의 HPE 참여도를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심리적 관점에서 개념화하며 행동적 관점을 사용한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반면에 에이전트 및 사회 문화적 관점에서 학생 참여를 측정하는 연구는 드뭅니다. 

The methods of measuring the above dimensions of engagement differ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conceptualizing engagement, number of engagement dimensions, indicators within each dimension, and grain size of measurement (activity vs school level, short-term vs long-term). The methods of measuring student engagement are not part of the scope for this guide, but there are good reviews on the topic in HE literature (Henrie et al. 2015; Fredricks et al. 2019; Hofkens and Ruzek 2019). The most prevailing methods for measuring student engagement in HPE conceptualize it from the psychological perspective with few studies using the behavioral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studies which measure student engagement from the agentic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 are sparse.

HPE에서 학생 참여도를 측정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자가 보고 설문지, 직접 관찰, 실시간 측정, 인터뷰/포커스 그룹 등이 있습니다(표 1). 

  • 의학교육에서 학생 참여도를 측정하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자가 보고 설문지는 여러 가지가 출판되어 있습니다(Kassab 외. 2022). 자기보고의 특별한 짧은 변형은 시간 경과에 따른 학생의 '흐름' 상태를 측정하는 경험 샘플링 방법입니다(Chan 외. 2021). 
  • 직접 관찰은 개인 수준에서의 행동 참여 또는 학생 그룹의 참여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 HPE에서 참여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관찰 도구 중 하나는 STROBE (O'Malley 외. 2003; Kelly 외. 2005) 또는 수업 내 참여도 측정(IEM)이라고 하는 수정된 버전의 STROBE입니다(Alimoglu 외. 2014; 2017). STROBE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와 같은 학생 행동에 중점을 두고 학습자 간 참여도, 학습자 대 교수자 참여도 및 자기 참여도를 측정합니다(O'Malley 외. 2003; Kelly 외. 2005). 실시간 측정은 특정 학습 활동에서 진화하는 학생 참여의 역동성을 감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 학생 참여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주요 방법으로는 로그 파일, 얼굴 표정 분석, 시선 추적 및 생리적 측정이 있습니다. 
    • 로그 파일에서 수집한 참여도 지표의 예로는 학습 과제에 소요된 시간(Ribeiro 외. 2019), 학생이 임상 사례에 대해 작성한 게시물의 수 또는 특정 게시물의 방문 빈도(Kay and Pasarica 2019), 관련 소셜 미디어 페이지의 클릭 수(Quesnelle and Montemayor 2020), 게시된 문서의 질문 또는 수정 횟수(Saperstein 외. 2015; Caton 외. 2021) 등을 들 수 있습니다. 
    • 시선 추적 기술과 자동화된 얼굴 표정 인식은 실시간 시스템에서 학생의 참여를 감지하는 데 사용됩니다(Miller 2015). 
    • 심박수의 변화도 인지적 참여의 지표로 사용되었습니다(Darnell and Krieg 2019). 
    • 또한, 갈바닉 피부 반응은 정서적 참여의 지표로서 뇌 각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Poh et al. 2010). 
  • 마지막으로, 인터뷰/포커스 그룹은 일반적으로 구조적 또는 반구조적 방식으로 설계된 개방형 질문에 응답하도록 학생들에게 요청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 인터뷰에서 나오는 주제에는 참여의 다른 차원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Janssen 외. 2015; Wang and Ji 2021). 학생들은 맥락적 요인의 역할을 포함하여 참여/참여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할 수도 있습니다.

Commonly used methods for measuring student engagement in HPE ar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irect observation, real-time measures, and interview/focus groups (Table 1).

  • There are several publish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hich are the most used measures of student engagement in medical education (Kassab et al. 2022). A special short variant of the self-reports is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 to measure students’ state of ‘flow’ over time (Chan et al. 2021). 
  • Direct observations can measure behavioral engagement at the individual level or engagement of a group of students.
    • One of the main observational instruments used for measuring engagement in HPE is the STROBE (O'Malley et al. 2003; Kelly et al. 2005) or a modified version of STROBE called in-class engagement measure (IEM) (Alimoglu et al. 2014; 2017). The STROBE measures learner to learner engagement, learner to instructor engagement, and self-engagement with a focus on student behaviours such as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O'Malley et al. 2003; Kelly et al. 2005). 
  • Real-time measures are used for detecting the dynamicity of student engagement as it evolves in specific learning activities. The main real-time measures of student engagement are log files, analysis of facial expressions, eye-tracking, and physiological measures.
    • Examples of engagement indicators gathered from log files are
      • time spent on a learning task (Ribeiro et al. 2019),
      • number of posts written by the students on a clinical case or frequency of visits to a specific post (Kay and Pasarica 2019),
      • number of clicks on relevant social media pages (Quesnelle and Montemayor 2020), and
      • number of questions asked, or edits on a posted document (Saperstein et al. 2015; Caton et al. 2021).
      • Eye-tracking techniques and automated recognition of facial expressions are used by real-time systems for detecting student engagement (Miller 2015).
    • Changes in heart rate have been also used as an indicator of cognitive engagement (Darnell and Krieg 2019).
    • In addition, galvanic skin response can be used to measure brain arousal as an indicator of emotional engagement (Poh et al. 2010).
  • Finally, interviews/focus groups are usually conducted by asking students to respond to open-ended questions which are designed in a structured or semi-structured way.
    • Themes emerging from interviews may include other dimensions of engagement (Janssen et al. 2015; Wang and Ji 2021). Students can also describe the reasons for their engagement/disengagement including the role of contextual factors.

 

학생 참여의 영역
Spheres of student engagement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 참여
Student engagement in own learning

학생이 스스로 학습에 참여하는 것은 학생 행동의 중요한 측면이자 학업 성공의 매개체입니다. 학습 상황은 대규모 수업, 소그룹 학습, 과제 또는 자가 학습 등 다양할 수 있습니다. 각 맥락에서 학생 참여의 차원은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그룹 PBL 튜토리얼에 참여하는 학생은 참여의 인지적 및 행동적 차원 외에 사회적-정서적 차원에 더 중점을 둘 수 있습니다. 
Student engagement in own learning represents an important aspect of student behavior and a mediator for academic success. The learning context could vary from large classroom, small group learning, assignments, or self-learning. The dimensions of student engagement in each context could be different. For example, student engagement in small group PBL tutorials may focus more on the social-emotional dimensions in addition to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dimensions of engagement.

학생 참여의 개념적 명확성을 확보하려면 인지적 참여자기조절 학습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부 연구자들은 자기조절 학습 전략이 학생의 인지적 참여도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제안했습니다(Horner and Shwery 2002; Furlong and Christenson 2008). 그러나 최근의 한 모델에서는 이러한 구성 요소가 상호 연관되어 있지만 별개의 실체라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Li and Lajoie 2022). 이 모델에서 SRL은 사전 사고, 수행 및 자기 성찰의 세 가지 연속적인 단계를 기반으로 개념화됩니다(Zimmerman 2000).

  • 사전 생각 단계에서 학생은 학습 과정과 학습에 필요한 정신적 노력의 양을 계획합니다.
  • 수행 단계에서 학생은 학습 활동 중에 사용할 인지 전략과 정신적 노력의 수준을 스스로 통제하고 모니터링합니다.
  • 자기 성찰 단계에서 학생은 계획된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인지적 참여 수준의 효과를 평가하고 그에 따라 해당 수준을 조정합니다(그림 2).

이 모델은 활동의 유형과 계획된 학습 목표 달성에 대한 이러한 요소의 효과에 따라 정신적 노력의 양과 사용되는 학습 전략의 유형을 조정할 수 있는 인지적 참여의 역동적인 특성을 보여줍니다(Li and Lajoie 2022). 
To ensure the conceptual clarity of student engagement, it is important to deline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ngagement and self-regulated learning. Some researchers proposed that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re indicators of student cognitive engagement (Horner and Shwery 2002; Furlong and Christenson 2008). However, a recent model demonstrated that these constructs are interrelated, but distinct, entities (Li and Lajoie 2022). In that model, SRL is conceptualized based on three consecutive phases: forethought, performance, and self-reflection (Zimmerman 2000).

  • In the forethought phase, students plan their learning process and the amount of mental effort in learning.
  • In the performance phase, students perform self-control and monitoring of the cognitive strategies and the level of mental effort to be used during the learning activity.
  • During the self-reflection phase, students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level of cognitive engagement in achieving the planned learning goals and adjust that level accordingly (Figure 2).

This model demonstrates the dynamic nature of cognitive engagement where the amount of mental effort and the types of learning strategies use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activit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se factors on achieving the planned learning goals (Li and Lajoie 2022).

파트너십을 통한 학생 참여
Student engagement through partnerships

"파트너로서의 학생"(SaP)의 참여는 고등 교육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적인 방법으로 제안되었습니다(Healey 외. 2016). 파트너십에 대한 가장 널리 인용되는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모든 참여자가 커리큘럼 또는 교육학적 개념화, 의사 결정, 실행, 조사 또는 분석에 반드시 동일한 방식은 아니지만 동등하게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협력적이고 호혜적인 과정'(Cook-Sather 외. 2014)입니다. 이러한 파트너십은 주로 학생과 학자 간에 이루어지며, 학생-학생 파트너십은 파트너십 구조의 두 번째로 일반적인 범주에 속합니다(Mercer-Mapstone 외. 2017). 파트너십은 기본적으로 결과보다는 참여의 과정이며, 다른 형태의 학생 참여를 보완합니다(Healey 및 Harrington 2014). 파트너십의 주요 기본 원칙은 상호 존중, 정직, 투명성, 파트너 간의 정기적인 연결, 공유된 가치와 목표입니다(Bretts 외. 2018). 파트너십을 뒷받침하는 공유 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a) 모든 파트너가 자신의 경험, 관점 또는 재능을 공유할 권리가 있는 포용성,
  • (b) 각 파트너가 프로세스를 통해 이익을 얻거나 배울 목표가 있는 상호성,
  • (c) 모든 파트너가 파트너십을 통해 일할 때 동등한 권한을 갖는 권한 부여,
  • (d) 파트너가 상호 존중을 기대하며 정직하고 개방적으로 소통하는 신뢰,
  • (e) 소속감과 자신이 기여한 것에 대한 감사함,
  • (f) 그룹으로서 하는 일과 개별적으로 기여한 것에 대한 책임감 (Healey and Harrington 2014). 

Engagement of “students as partners” (SaP) has been proposed as a potential method for transforming higher education (Healey et al. 2016). The most widely quoted definition of partnership is: ‘a collaborative, reciprocal process through which all participants have the opportunity to contribute equally, although not necessarily in the same ways, to curricular or pedagogical conceptualization, decision making, implementation, investigation, or analysis’ (Cook-Sather et al. 2014). This partnership is mainly between students and academics, with the student-student partnership coming as the second most common category of partnership structure (Mercer-Mapstone et al. 2017). Partnership is basically a process of engagement rather than an outcome and complements other forms of student engagement (Healey and Harrington 2014). The main underlying principles of partnerships are mutual respect, honesty, transparency, regular connections between partners, and shared values and goals (Bretts et al. 2018). The shared values underpinning the partnerships include the following:

  • (a) inclusivity, where every partner has the right to share his or her experience, perspectives, or talents; (b) reciprocity, where each partner has a goal to benefit or learn for the process;
  • (c) empowerment, where every partner has an equal power in working through partnerships;
  • (d) trust, where partners communicate with honesty and openness with an expected mutual respect;
  • (e) sense of belonging and feeling of appreciation of what they contribute; and
  • (f) responsibility for what they do as a group and for what they contribute individually (Healey and Harrington 2014).

파트너십을 통해 학생이 얻을 수 있는 혜택으로는 지속적인 참여에 대한 동기 부여 증가(Border 외. 2021), 자기 효능감 증가(Henderson 외. 2018), 자신감 및 의사소통 기술 향상(Qazi 외. 2019; Reeves 외. 2019), 학업 경험에 대한 이해도 향상 등이 있습니다. 2019), 학업 경험에 대한 이해도 향상, 학생-교직원 및 학생-학생 관계 개선, 메타인지 능력 향상(Geraghty 외. 2020; Gheihman 외. 2021), 소속감 증가(Bovill 외. 2021), 규율 학습 개선, 학생 복지 증진(Cook-Sather 외. 2014; Mercer-Mapstone 외. 2017)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 그러나 파트너십의 내용이나 과정에 대한 전문성 부족, 학생과 교수진 간의 권력 관계, 음성 피로로 인한 파트너십 지속 꺼려하기 등 학생에게는 어려움이 있습니다(Konings 외. 2021). 
  • 교사의 어려움에는 학생에게 권한을 양보하는 데 따른 보안 부족, 변화에 대한 저항, 파트너십 참여 방법 이해, 시간 제약 등이 있습니다(Bovill 외. 2015; Gheihman 외. 2021; Konings 외. 2021).

The student benefits from partnerships include increased motivation for continuous engagement (Border et al. 2021), increased self-efficacy (Henderson et al. 2018), improved self-confidence and communication skills (Qazi et al. 2019; Reeves et al. 2019), improved understanding of academic experiences, enhanced student-staff and student-student relationships, enhanced metacognitive skills (Geraghty et al. 2020; Gheihman et al. 2021), increased sense of belonging (Bovill et al. 2021), improved discipline learning, and increased student well-being (Cook-Sather et al. 2014; Mercer-Mapstone et al. 2017).

  • However, there are challenges for students that include lack of expertise in the content or process of partnerships, power relations between students and faculty, and reluctance to continue in partnerships because of voice fatigue (Konings et al. 2021).
  • Challenges for teachers include lack of security because of conceding authority to students, resistance to change, understanding how to engage in partnerships, and time constraints (Bovill et al. 2015; Gheihman et al. 2021; Konings et al. 2021).

파트너십에 대한 학생의 참여는 저강도, 저호혜성, 단기 참여에서 고강도, 고호혜성, 장기 참여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Gheihman 외. 2021). 다섯 가지 영역 각각에서 학생 참여의 단계는 연속체를 따라 질적으로 다른 네 가지 형태의 참여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Dunne and Zandstra 2011). 

  • 1단계(협의)는 학생이 자신의 의견, 견해 및 관점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
  • 2단계(참여)는 학생에게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제공하는 단계,
  • 3단계(파트너)는 학생과 교수진/직원/다른 학생 간의 공동 협력 과정,
  • 4단계(변화 주도자)는 학생이 전적으로 통제권을 갖는 단계를 의미합니다.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partnerships can range from low-intensity, low-reciprocity, short-term involvement to high-intensity, high reciprocity, long-term involvement (Gheihman et al. 2021). The stages of student engagement in each of the five spheres can represent four qualitatively different forms of participation along a continuum (Dunne and Zandstra 2011).

  • Stage 1 (consult) means provision of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xpress their opinions, views, and perspectives;
  • stage 2 (participate) is providing more active role for students;
  • stage 3 (partner) is a shared collaborative process between students and faculty/staff/other students; and
  • stage 4 (change agent) where students are in full control.

다음 섹션에서는 파트너십을 통한 학생 참여의 네 가지 영역인 (1) 교육 프로그램 제공, (2) 학술 연구, (3) 기관 거버넌스 및 질 향상, (4) 커뮤니티 활동에 대해 설명합니다.
In the following section, we describe the four areas of student engagement through partnerships: (1) provision of the education programme, (2) scholarly research, (3) institutional governance and quality enhancement, and (4) community activities.

교육 프로그램 제공에 대한 학생 참여
Student engagement in provision of the education programme

강력한 파트너십 유형은 학생들을 교육, 학습 및 평가에 참여시키는 것입니다. 교육 프로그램 제공의 파트너로서 학생의 참여에는 프로그램의 공동 제작자, 교사 및 평가자로서의 역할이 포함됩니다.
A powerful type of partnerships is engaging students in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Involvement of students as partners in provision of the education programme include their role as co-creators, teachers, and assessors in the programme.

공동 제작자로서의 학생
Students as co-creators

교육과정 중심의 교육적 파트너십 활동에는

  • (1) 교육 과정 또는 프로그램을 가르치기 전에 공동 설계하는 것을 의미하는 교육과정의 공동 창작,
  • (2) 교육 과정 또는 프로그램이 전개되는 동안 공동 설계하는 것을 의미하는 교육과정의 공동 창작,
  • (3) 교육 과정 제공 후 재설계에 참여하는 것,
  • (4) 숨겨진 교육과정 발견의 네 가지가 있습니다(Bovill 외. 2015; Cook-Sather 외. 2014).

코스의 공동 생성은 이전에 해당 코스를 학습한 학생 또는 현재 해당 코스에 등록한 학생이 수행할 수 있습니다. 공동 창작 과정에서는 교수진과 학생 모두 학교에서의 기존 입장을 생각하고 수정해야 합니다(Cook-Sather 외. 2014). 공동 창작 과정에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참여시키면 설계된 커리큘럼 또는 코스의 품질이 향상됩니다(Konings 외. 2021). 또한 공동 창작의 파트너십은 교수진의 교육 품질과 전문성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Cook-Sather 외. 2014).
There are four curriculum-focused pedagogical partnership activities:

  • (1) co-creation of the curriculum, which refers to co-design of a course or a program before it is taught,
  • (2) co-creation in the curriculum, which refers to co-design of a course or program as it unfolds,
  • (3) engagement in re-designing a course after it is delivered, and
  • (4) uncovering the hidden curriculum (Bovill et al. 2015; Cook-Sather et al. 2014).

The co-creation of a course can be conducted by students who previously studied the course or the current enrolled students in the course. The process of co-creation necessitates both faculty and students to think and revise their conventional positions in the school (Cook-Sather et al. 2014). Involving different stakeholders in the process of co-creation improves the quality of the designed curriculum or course (Konings et al. 2021). In addition, partnerships in co-creation positively affects the teaching qualit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faculty (Cook-Sather et al. 2014).

또래 멘토/교사로서의 학생
Students as peer-mentors/tutors

교사로서의 학생의 역할에는 동료 멘토링과 동료 지원 학습(PAL)이 포함됩니다. 또래 멘토링을 실행하려면 멘토가 자신만의 멘토링 전략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멘토와 멘티 간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유연성을 허용해야 합니다(Reeves 외. 2019). 멘티와의 관계를 촉진하기 위해 또래 멘토는 자신의 역할을 '전문가'가 아닌 '지원'으로 인식해야 하며, 두 번째 역할은 일부 멘티가 또래 멘토를 강사의 연장선으로 느낄 때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Reeves 외. 2019). PAL 튜터에게는 더 나은 교수 기술 개발과 선행 학습의 통합이라는 이점이 있습니다(이와타 외. 2014; GMC 2018). 또한 PAL 튜터링은 튜터와 튜티 모두의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킵니다(Iwata 외. 2014; GMC 2018). 교수진에게는 학생의 경험을 더 잘 이해하고, 학생의 관심사, 두려움, 문화, 포부를 더 잘 이해하며, 학생의 역량을 더 존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Reeves 등. 2019). 
The role of students as teachers includes peer mentoring and peer-assisted learning (PAL). Implementing peer mentoring requires supporting mentors in the freedom to use their own strategies of mentoring and allowing flexibility in the mode of communication between mentors and mentees (Reeves et al. 2019). For facilitating the rapport with their mentees, peer mentors need to identify their role as ‘supporting’ students and not as ‘expert’ students as the second role can create discomfort for some mentees when they feel the peer mentors as an extension of their lecturer (Reeves et al. 2019). The benefits for PAL tutors include development of better teaching skills and consolidation of prior learning (Iwata et al. 2014; GMC 2018). PAL tutoring also improves academic performance of both tutors (Iwata et al. 2014; GMC 2018) and tutees (Brierley et al. 2022). The advantages for faculty are more understanding about students’ experience, more appreciation of the students concerns, fears, culture, aspirations, and more respect for their capabilities (Reeves et al. 2019).

평가자로서의 학생
Students as assessors

자가 및 동료 평가, 평가 방법 및 평가 기준의 공동 설계, 공동 채점, 피드백의 유형 및 형식 결정 등 평가의 파트너로서 학생을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됩니다(Ní Bheoláin 및 O'Riordan 2020). 학생이 자신의 평가에 참여하면 참여도(Juan 2021), 학업 성취도, 평가에 대한 관심 및 동기가 향상되고(Cook-Sather 외. 2014), 과목 학습 결과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촉진합니다(Bergmark and Westman 2016). 권력과 위계의 역학 관계는 평가에서 학생 파트너십에서 다시 표면화되며, 이러한 문제를 관리하는 것이 이러한 파트너십의 성공을 위한 핵심 요소입니다. 
Several methods are used for students as partners in assessment such as self- and peer assessment, co-design of assessment methods and assessment criteria, collaborative grading and determining the type and format of feedback (Ní Bheoláin and O’Riordan 2020). Student participation in their own assessment enhances their engagement (Juan 2021), academic performance, their interest and motivation for this assessment (Cook-Sather et al. 2014), and promotes deeper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learning outcomes (Bergmark and Westman 2016). The dynamics of power and hierarchy come back on the surface in student partnership in assessment, and managing these challenges is a key factor for the success of these partnerships.

학술 연구에 대한 학생 참여
Student engagement in scholarly research

학부 연구에 참여하는 학생은 졸업 후 더 많은 연구 논문을 발표하고(Reinders 외. 2005), 연구 수행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며(Pearson 외. 2017), 학계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교수직을 얻을 확률이 높아지는 등 많은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Solomon 외. 2003). 또한 학생의 연구 참여는 특히 의학 지식과 전문성(Zhang 외. 2022), 의학 문헌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비판적 평가(Laskowitz 외. 2010) 영역에서 학습 성과를 향상시킵니다. 학생 참여의 주요 원동력은 연구와 경력 발전에 대한 본질적인 관심입니다(Remes 외. 2000; Alamri 2019). 그러나 학생들의 연구 참여에 장애가 되는 요인으로는

  • 지도교수 찾기 어려움(Remes 외. 2000; Alexander 외. 2019),
  • 시간 제약(Remes 외. 2000; Pearson 외. 2017; Trethewey 외. 2018; Alamri 2019; Alexander 외. 2019),
  • 자금 부족(Pearson 외. 2017),
  • 연구 교육 부족(Hamdan and Kakarla 2013; Alexander 외. 2019),
  • 잠재적 연구 프로젝트에 대한 인식 부족(Hamdan and Kakarla 2013; Trethewey 외. 2018) 등이 있습니다.

Student engagement in undergraduate research has many advantages including publishing more research articles after graduation (Reinders et al. 2005), increased confidence in conducting research (Pearson et al. 2017), increased interest in academic career, and higher probability of getting an academic position (Solomon et al. 2003). In addition, engaging students in research improves their learning outcomes especially in the domains of medical knowledge and professionalism (Zhang et al. 2022), as well as in critical thinking and critical appraisal of medical literature (Laskowitz et al. 2010). The main driving factors for student engagement are intrinsic interest in research and career progression (Remes et al. 2000; Alamri 2019). However, the barriers to engagement of students in research include

  • difficulty in finding supervisors (Remes et al. 2000; Alexander et al. 2019),
  • time constraints (Remes et al. 2000; Pearson et al. 2017; Trethewey et al. 2018; Alamri 2019; Alexander et al. 2019),
  • lack of funding (Pearson et al. 2017),
  • lack of training in research (Hamdan and Kakarla 2013; Alexander et al. 2019), and
  • lack of awareness about potential research projects (Hamdan and Kakarla 2013; Trethewey et al. 2018).

거버넌스 및 품질 보증에 대한 학생 참여
Student engagement in governance and quality assurance

기관 거버넌스 및 품질 보증에 대한 학생 참여는 성숙한 형태의 참여를 나타냅니다(Naylor 외. 2021). 그러나 경제적, 문화적 요인으로 인해 교육기관 거버넌스에서 학생의 참여는 교육기관마다 큰 편차를 보이며 아직 미발달 상태입니다(Green 2019).

  • 기관 거버넌스에 학생을 참여시키는 근거는 민주적 가치에 대한 헌신, 학생의 목소리를 개선의 촉진 요인으로 인정하는 것, 또는 인증 시스템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것 등 다양할 수 있습니다(Naylor 외. 2021).
  • 거버넌스 및 품질 보증에 대한 학생 참여의 이점은 직원 및 동료와의 커뮤니케이션 개선, 개인 및 전문성 개발, 리더십 기술 및 전문성 향상입니다(Meeuwissen 외. 2019). 또한 학생들은 메타인지적 사고, 주장하기, 토론, 로비 및 네트워킹 기술을 습득합니다(Meeuwissen 외. 2019).
  • 학교 거버넌스 및 품질 보증의 파트너로서 HPE 학생의 역할에 대한 연구 문헌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습니다.
    • 의과대학에서 보고된 학생-교수 파트너십에 대한 성공 사례의 예로는 실시간 피드백을 통해 학생의 커리큘럼 평가를 촉진하기 위한 Ed Reps 프로그램(Scott 외 2019), 모듈 공동 감독으로서의 학생(Milles 외 2019), 커리큘럼에 대한 직접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학생 커리큘럼 위원회(SCB) 프로그램(Geraghty 외 2020)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학생과 교수진 간의 협업을 강화하고(Geraghty 외. 2020), 커리큘럼과 학교 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Scott 외. 2019), 학생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Student participation in institutional governance and quality assurance represents a mature form of engagement (Naylor et al. 2021). However, due to economic and cultural factors, student agency in institutional governance is still underdeveloped with large variations between institutions (Green 2019).

  • The rationale for involving students in institutional governance could vary from commitment to democratic values, to acknowledging the student voice as a promoting factor for improvement, or just meeting the requirements of accreditation systems (Naylor et al. 2021).
  • The benefits of student engagement in governance and quality assurance are improved communication with staff and peers,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adership skills, and professionalism (Meeuwissen et al. 2019). Students also acquire skills of metacognitive thinking, making an argument, debating, lobbying, and networking (Meeuwissen et al. 2019).
  • The research literature on the role of HPE students as partners in school governance and quality assurance is still in infancy.
    • Examples of the reported success stories from medical schools about student-faculty partnerships include the Ed Reps program that aimed to promote curriculum evaluation by students through real-time feedback (Scott et al. 2019), students as module co-directors (Milles et al. 2019), and Student Curricular Board (SCB) program for providing direct feedback about curriculum (Geraghty et al. 2020). These programs were well-perceived as enhancing collaborations between students and faculty (Geraghty et al. 2020), having positive impact on the curriculum and school culture (Scott et al. 2019), and empowering students.

커뮤니티 활동에 대한 학생 참여
Student engagement in community activities

학생이 지역사회에 참여하는 것은 학생들이 지역사회로부터 배우고 지역사회에 봉사하는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경험입니다(Talib 외. 2017). 지역사회 활동에 대한 학생 참여의 예로는

  • a) 지역사회 봉사 선택 과목 수강,
  • b) 학생이 운영하는 보건소에서의 자원봉사,
  • c) 기본 생활 지원 및 지역사회 기반 재난 지원 교육 제공 등 지역사회를 위한 교육 활동 조직(Shannon 2019),
  • d) 워크숍 및 공개 프레젠테이션과 같은 아웃리치 활동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파트너십은 학교 기반 프로젝트를 통해 시작하거나 학생들이 독립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시작할 수 있습니다. 학생 주도의 자원봉사 이니셔티브의 대상 지역사회는 일반적으로 노숙자(Batra 외. 2009), 이주 노동자(Sin 외. 2019)와 같이 의료적으로 소외되거나 불우한 지역사회입니다. 지역사회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의사소통 기술, 팀워크, 전문성(Nauhria 외. 2021), 대인관계 기술(Haidar 외. 2020), 공감, 의사결정, 리더십 기술(Loh 외. 2016)과 같은 역량을 습득합니다. 또한 봉사활동은 학생들의 이타심을 증진하고(Batra 외. 2009),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며(Blue 외. 2006), 사회적 결정요인과 건강 간의 관계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높이고(Talib 외. 2017), 졸업 후 지역사회 봉사에 대한 헌신을 높입니다(Jones 외. 2014). 또한 종단적 봉사 학습은 취약하고 소외된 불우 환자에 대한 의대생들의 태도를 개선합니다(Arebalos 외. 2021). 

Student engagement with the community is a synergistic experience where students learn from, and provide service to, the community (Talib et al. 2017). Examples of student engagement in community activities include the following:

  • a) taking a community service elective,
  • b) volunteering at student-run health clinics,
  • c) organizing educational activities for the community such as providing training in basic life support and community-based disaster support (Shannon 2019), and
  • d) outreach activities such as workshops and public presentations.

These partnerships can be initiated through school-based projects or through independent partnerships by the students. Target communities for student-led volunteering initiatives are usually medically underserved or disadvantaged communities such as homeless population (Batra et al. 2009), and migrant workers (Sin et al. 2019). Students who engage in community activities acquire competencies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teamwork, professionalism (Nauhria et al. 2021), interpersonal skills, (Haidar et al. 2020), empathy, decision-making, and leadership skills (Loh et al. 2016). In addition, volunteering services promote altruism of students (Batra et al. 2009),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Blue et al. 2006), improve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eterminants and health (Talib et al. 2017), and increase the commitment to community volunteering after graduation (Jones et al. 2014). Furthermore, longitudinal service learning improves the attitudes of medical students towards the vulnerable and marginalized underserved patients (Arebalos et al. 2021).

학생 참여의 결과
Outcomes of student engagement

단기적 성과
Short-term outcomes

HPE 학생의 참여도와 학업 성취도 간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에서는 일관되지 않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예를 들어, 지식 기반 시험에서의 성과와 인지적 참여(Wong 외. 2015, Rotgans 외. 2018, Bhat and Gupta 2019, Reinke 2019, Hadie 외. 2021)와 행동적 참여(수업 활동 참여로 측정)간에 긍정적인 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Dewar 외. 2021, Grant 외. 2021). 그러나 여러 차원을 사용한 학생 참여도와 학업 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는 긍정적이거나(Bayoumy and Alsayed 2021)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Hopper and Brake 2018, Hopper and Kaiser 2018, Pickering and Swinnerton 2019). 학생 참여는 정신 건강 및 심리적 웰빙을 개선하고(Steele and Fullagar 2009)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Lewis 외. 2011). 또한 학생 참여는 교사의 동기 부여를 향상시켜 교육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Frenzel 외. 2009).
Studies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ngagement of HPE students and academic performance have yielded inconsistent findings. For example, studies demonstrat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in knowledge-based examinations and cognitive engagement (Wong et al. 2015; Rotgans et al. 2018; Bhat and Gupta 2019; Reinke 2019; Hadie et al. 2021) as well as behavioral engagement (measured by participation in class activities (Dewar et al. 2021; Grant et al. 2021). However, the correlations between student engagement using multiple dimensions and academic performance yielded positive (Bayoumy and Alsayed 2021) or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Hopper and Brake 2018; Hopper and Kaiser 2018; Pickering and Swinnerton 2019). Student engagement can improve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teele and Fullagar 2009) and improves overall life satisfaction (Lewis et al. 2011). In addition, student engagement enhances teacher motivation which positively affects the teaching process (Frenzel et al. 2009).

장기적인 결과
Long-term outcomes

학생 참여는 학생 유지율을 높이고, 소진이 학생 유지율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며(Abreu Alves 외. 2022), 개인 개발과 평생 학습을 향상시킵니다(Fredricks 외. 2004; Trowler 2010). 또한 교실 참여와 자기 주도적 학습 사이에는 긍정적인 관계가 있습니다(Rossi 외. 2021).
Student engagement increases student retention, reduces impact of burnout on student retention (Abreu Alves et al. 2022), and enhances personal development and lifelong learning (Fredricks et al. 2004; Trowler 2010). There is also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lassroom engag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Rossi et al. 2021).

HPE에서 학생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실용적인 전략
Practical strategies for enhancing student engagement in HPE

학교 커뮤니티 문화 조성
Promote a culture of a school community

교육기관은 학생들이 커뮤니티의 일원이라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환영하는 문화를 제공해야 합니다. 학생들은 학교에 입학한 첫날부터 이러한 느낌을 발전시켜야 합니다. 공동체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전략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a) 학생마다 '학생이 되는 방식'이 다르다는 개념을 받아들이고 포용적인 방식으로 수용(Bryson 2014; Ashwin and McVitty 2015),
  • b) 학생 그룹 및 기관 차원의 그룹에 가입하여 신입생을 학교 커뮤니티에 통합하여 역량과 소속감을 개발하도록 지원(Milburn-Shaw and Walker 2017),
  • c) 소속감을 높이기 위해 오리엔테이션 및 동료 지원 프로그램을 처음에 실시,
  • d) 저소득층 및 소수 민족 학생 등 취약 계층 학생에게 재정 지원 제공(Hu 2010) 등이 있습니다.

Institutions need to provide a welcoming culture to students to make them feel part of a community. Students should develop this feeling starting from the first day of admission to the school. Strategies for promoting a culture of community could include the following:

  • a) adopt the concept that students are different in their ‘ways of being a student’ and accommodate them in an inclusive way (Bryson 2014; Ashwin and McVitty 2015),
  • b) support integrating newcomers into the school community by joining student groups and institutional level groups (Milburn-Shaw and Walker 2017) to develop the sense of competence and belongingness,
  • c) implement orientation and peer support programs at the beginning to enhance the sense of belonging, and
  • d) provide financial assistance to students from disadvantaged populations such as low-income and minority students (Hu 2010).

심리적 안전 문화 조성
Foster a culture of psychological safety

학생들이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면 타인에게 유능한 이미지를 투영하기보다 학습 과제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Tsuei 외. 2019). 심리적 안전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학교는 다음과 같은 전략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a) 의견을 말하는 학생에게 보상하고 학생과 교직원 간, 학생과 또래 간 쉬운 소통 채널을 구축(Tsuei et al. 2019),
  • b) 교사는 다가가고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며 학생의 말을 주의 깊게 듣고 존중과 신뢰로 학생을 대해야 합니다(Konings et al. 2021),
  • c) 학생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증진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학생의 발달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 d) 학생 평가는 채점보다는 건설적인 피드백을 통해 학생의 개인 개발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Tsuei et al. 2019).

Students’ feeling of psychological safety makes them focus on engagement on the learning tasks rather than projecting an image of competence for others (Tsuei et al. 2019). To create a culture of psychological safety, schools could apply the following strategies:

  • a) reward students who speak-up and establish easy channels of communications between students and staff and between students and their peers (Tsuei et al. 2019),
  • b) teachers should be approachable, admit their own mistakes, listen attentively to their students, and treat them with respect and trust (Konings et al. 2021),
  • c) promote student autonomy and creativity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ir development and growth in a safe environment, and
  • d) student assessment should focus on personal development of students through constructive feedback rather than on grading (Tsuei et al. 2019).

파트너로서의 학생 참여 문화 확립
Establish a culture of student engagement as partners

파트너로서 학생의 참여를 지원하는 문화를 구축하는 것은 학교 리더, 교수진, 학생의 헌신과 공동의 노력이 필요한 복잡한 과정입니다.
Establishing a culture that supports engagement of students as partners is a complex process that requires commitment and collective effort from the school leaders, faculty, and students.

텍스트 상자 2는 HPE에서 파트너십을 통해 학생 참여를 개발하고 확립하기 위한 실용적인 팁을 제공합니다.Text Box 2 provides practical tips for developing and establishing student engagement through partnerships in HPE.

상자 2 학생 참여를 위한 파트너십을 개발하고 구축하기 위한 팁
Box 2 Tips for developing and establishing partnerships for student engagement in HPE.


1. 모든 관련 파트너가 공동으로 참여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합니다.
2. 파트너십 프레임워크를 학교의 전략 계획과 연계합니다.
3. 파트너십 프로세스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학생과 교직원 모두에게 역량 강화를 제공합니다.
4. 가능한 한 빨리 학생들을 파트너십 프로세스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킵니다(Peters 외. 2019).
5. 파트너십의 목적, 기대 결과, 범위, 일정, 기본 가치, 관계의 경계, 잠재적 과제에 대해 학생과 교직원 간에 상호 공개적으로 논의하여 파트너십을 시작하세요.
6. 교사가 접근하기 쉽고, 학생의 말을 주의 깊게 경청하고, 학생에 대한 기대치를 설정하고, 학생의 발언을 장려하고, 존중과 신7. 뢰로 학생을 대하는 파트너십에서 심리적 안전의 분위기를 보장합니다(Konings 외. 2021).
8. 파트너십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제도적 계획을 수립합니다.
9. 관리 리더의 참여를 촉진하고 관련 파트너의 역할을 명확히 하는 정책을 개발합니다.
파트너로서 교직원과 학생 모두 가치 있고 학습 과정을 보완하는 다양한 유형의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인정합니다(Englander 외., 2020).
10. 학생이 환자, 동료, 교사와 함께 관련 종단적 경험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최적화합니다(예: 종단적 통합 사무직)(Englander et al., 2020).
11. 학생의 기여를 기반으로 프로세스의 변화를 승인하여 학생 기관을 장려합니다.
12. 파트너십에 대한 학생의 참여를 인정하고 소중히 여깁니다.
13. 파트너십 실행 후 모든 관련 이해관계자로부터 피드백을 수집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 루프를 닫습니다.
14. 학생과 교직원이 파트너십 경험을 되돌아볼 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 합니다.
  1. Develop a framework for engagement collaboratively by all concerned partners.
  2. Align the partnership framework with the strategic plan of the school.
  3. Provide capacity building for both students and staff to prepare them for the partnership process.
  4. Involve students proactively in the partnership process as early as possible (Peters et al. 2019).
  5. Start the partnerships by mutual and open discussion between students and staff about the purpose, expected outcomes, scope, timeline, underlying values, boundaries for the relationship, and potential challenges.
  6. Ensure a climate of psychological safety in partnerships where teachers are approachable, listen attentively to their students, set expectations for students, encourage them to speak-up, and treat them with respect and trust (Konings et al. 2021).
  7. Establish an institutional plan for sustainability of the partnerships.
  8. Develop policies to facilitate engagement of management leaders and have clear roles of involved partners.
  9. Acknowledge that both staff and students as partners possess a different type of expertise that is valuable and complement the learning process (Englander et al., 2020).
  10. Optimiz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develop relevant longitudinal experiences with patients, peers, and teachers e.g.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Englander et al., 2020).
  11. Promote the student agency by endorsing the change in the process based on contributions from students.
  12. Acknowledge and value student participation in partnerships.
  13. Collect feedback from all relevant stakeholders following implementation of the partnership and take necessary actions to close the loop.
  14. Allow a dedicated time for students and staff to reflect on the partnership experience.

교육 프로그램 제공에 학생 참여 유도
Engagement in provision of the education programme

커리큘럼 공동 제작에 학생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을 권장합니다(Konings et al. 2021) 

  • 가) 학생의 관심사에 맞는 영역에 참여하도록 권유하여 공동창작 과정에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점진적으로 유도,
  • 나) 교사와 학생 간의 권력 차이를 줄이고 참여 중 학생의 심리적 안전 보장,
  • 다) 공동창작 역량을 강화하는 영역에서 학생을 훈련,
  • 라) 학생에게 권한을 부여하고 공동창작 과정을 가치 있는 경험으로 인식하도록 자극하여 공동창작 과정에 계속 참여하도록 동기를 보장한다.

To promote engagement of students in the co-creation of the curriculum, the following strategies are recommended (Konings et al. 2021):

  • a) motivate students to get involved in co-creation process by inviting them to participate in areas that fit with their interest and gradually induct them into the process,
  • b) reduce the power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ensure psychological safety of students during participation,
  • c) train students in areas that enhance their skills in co-creation, and
  • d) ensure motivation of students to continue in the co-creation process by empowering them and stimulating them to see the co-creation process as a valuable experience.

학생들의 또래 튜터링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권장되는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 a) 학업적 전제 조건이 없는 학생의 자발적인 경험으로 또래 튜터링을 고려하고,
  • b) 또래 튜터링이 의무적으로 요구되는 경우 참여 동기를 높이기 위해 학생들에게 주제 목록에서 선택할 수 있는 선택권을 부여하고(Ross and Cameron 2007; Blanco 외. 2014), 또래 튜터링에 참여하는 학생의 동기를 강화하는 방법을 고려합니다. 2014),
  • c) 성인 학습의 기본 개념, 인지 과학 원리, 소그룹 교수법, 교실 상호작용 촉진과 같은 주제에 중점을 두고 동료 튜터에게 교수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을 제공하고,
  • d) 교수진이 동료 튜터에게 교수 기술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교수를 향상시킵니다(Freret et al. 2017).

The following strategies are recommended to stimulate student engagement in peer tutoring:

  • a) consider having the peer tutoring as a voluntary experience for students with no academic pre-requisites,
  • b) in case of mandatory requirement for peer tutoring, consider giving students the choice to select from a list of topics to enhance their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Ross and Cameron 2007; Blanco et al. 2014),
  • c) train peer tutors to enhance their teaching skills with a focus on topics such as fundamental concepts of adult learning, cognitive science principles, small group teaching, and promoting classroom interactions (Freret et al. 2017) and,
  • d) provide feedback by faculty to peer tutors about their teaching skills to enhance their teaching (Freret et al. 2017).

평가에서 학생 파트너십을 촉진하기 위해 학교는 다음과 같은 전략을 고려해야 합니다.

  • (a) 평가 및 피드백에서 파트너십 원칙이 포함된 새로운 코스를 도입하고,
  • (b) 평가 정책 문서에 학생 파트너십을 포함하며(Bovill 외. 2021),
  • (c) 평가에서 학생 파트너십의 실행 및 주기적 검토를 지지하는 실천 커뮤니티를 구축합니다.

For promoting student partnership in assessment, schools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strategies:

  • (a) introduce new courses with the principles of partnership in assessment and feedback,
  • (b) embed student partnership in the assessment policy documents (Bovill et al. 2021), and
  • (c) establish a community of practice which will champion the implementation and periodic review of the student partnership in assessment.

학술 연구 파트너십 참여
Engagement in scholarly research partnerships

학생들은 연구 문화가 잘 확립된 학교에서 학술 연구 경험에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받고, 연구 참여의 관련성과 가치를 인식하도록 동기를 부여받습니다(Cornett 외. 2021). 학교는 다음과 같은 전략을 적용하여 학생의 학술 연구 참여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 첫째, 연구 기회에 대한 인식을 높입니다. 연구 계획의 가용성에 대한 광고는 연구 참여에 대한 학생의 동기를 높일 수 있습니다(Trethewey 2019). 관심 있는 학생은 교수진 또는 동료와의 연구 협력을 모색하거나 STARSurge 이니셔티브와 같은 국제 협력, 학생 주도 감사 및 연구 그룹에 참여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그룹을 통해 학생들은 종합적인 연구 프로젝트에서 공동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연구 기술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Trethewey 2019).
  • 둘째, 학생과 감독자를 위한 전용 시간을 할당합니다. 이렇게 하면 지도 교수의 질이 향상되고 연구 수행에 대한 학생의 자신감(자기 효능감)이 높아질 것입니다(Cornett 외. 2021).
  • 셋째, 학생의 연구 자율성을 장려합니다. 이는 연구 기회를 선택 또는 연구 기반 모듈로 제공하고, 학생들이 관심 있는 연구 프로젝트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연구 참여 동기를 높일 수 있습니다(Trethewey 외. 2018; Cornett 외. 2021).

Students are motivated for engagement in scholarly research experiences in schools with well-established research culture, and motivates the students to see the relevance and value of engagement in research (Cornett et al. 2021). Schools can promote student engagement in scholarly research by applying the following strategies: 

  • First, increase awareness for research opportunities. Advertisement for the availability of research plans could increase the student motivation to join the research (Trethewey 2019). Interested students can also explore research collaborations with faculty or colleagues or join international collaborative, student-led audit, and research groups such as STARSurge initiative (www.starsurg.org). Through these research groups, students can acquire research skills by collaborating in comprehensive research projects (Trethewey 2019). 
  • Second, allocate dedicated times for students and supervisors. This will improve the quality of supervision and increase students’ confidence (self-efficacy) in conducting research (Cornett et al. 2021). 
  • Third, promote student autonomy in research. This can be fulfilled by providing research opportunities as optional or elective research-based modules and giving students the opportunity to choose the research projects of their interest which can increase the student motivation for engagement in research (Trethewey et al. 2018; Cornett et al. 2021).

거버넌스 및 품질 보증에 대한 참여
Engagement in governance and quality assurance

교육기관은 다음과 같은 전략을 사용하여 거버넌스 및 품질 보증에 대한 학생의 참여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a) 학생의 거버넌스 참여를 환영하는 학교 문화를 장려하고,
  • b) 모든 학생의 목소리를 담을 수 있는 대표성의 다양성과 충분한 수의 참여 학생을 확보하고(Naylor et al. 2021),
  • c) 학생들이 거버넌스에서 후임자를 선택할 수 있는 자율성을 제공하고,
  • d) 학생 대표의 참여, 인수인계, 코칭 및 교육을 위한 잘 설계된 계획을 수립하고,
  • e) 학생 대표 간의 정보를 조정하고 공유하며,
  • f) 모든 학생에게 조치와 결정을 전달하여 학생의 목소리가 잘 반영되도록 합니다(Meeuwissen 외. 2019).

Institutions can enhance the engagement of students in governance and quality assurance by using the following strategies:

  • a) promote a school culture that welcomes students’ participation in governance,
  • b) ensure diversity in representation and enough numbers of engaged students that capture the voices of all students (Naylor et al. 2021),
  • c) provide autonomy for students to select their successors in governance,
  • d) establish a well-designed plan for participation, handover, coaching, and training of student representatives,
  • e) coordinate and share information between student representatives, and f) communicate actions and decisions to all the students to ensure that student voice is well-represented (Meeuwissen et al. 2019).

지역사회 파트너십 참여
Engagement in community partnerships

지역사회 파트너십에 대한 학생 참여는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할 때 효과적입니다(Talib 외. 2017). 학생과 지역사회 구성원 간의 비공식적인 의사소통은 학생들이 봉사하는 지역사회를 이해하고 지역사회의 필요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Talib 외. 2017). 지역사회의 요구사항 해결은 지역사회, 학생, 교수진 대표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통해 촉진될 수 있습니다(Marjadi 외. 2021). 지역 보건 시스템의 참여와 지원은 학생들의 지역사회 참여를 촉진할 것입니다. 또한, 지역사회 파트너십 경험이 HPE 학생들의 미래 진로와 관련되면 참여 동기가 강화될 것입니다(Mann 2011). 또한 커뮤니티 파트너십 경험은 전문가 간 학습을 제공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합니다(Fatima 외. 2018).
Student engagement with community partnerships is effective when they respond to the needs of the community (Talib et al. 2017). Informal communications between students and community members help them to understand the communities they serve and identify the community needs (Talib et al. 2017). Addressing the needs of the community can be promoted through an advisory committee with representatives from the community, students, and faculty (Marjadi et al. 2021). Involvement and support of the local health system will facilitate the engagement of students in the community. Furthermore, relevance of the community partnership experience to the future career of HPE students will enhance their motivation for engagement (Mann 2011). The community partnership experience is also a great opportunity for providing interprofessional learning (Fatima et al. 2018).

상자 3에는 HPE에 대한 학생 참여를 향상시키는 교육 방법의 목록이 나와 있습니다.
Box 3 provides a list of the instructional methods that enhance student engagement in HPE.


상자 3 HPE에서 학생 참여를 높이는 교육 방법.
Box 3 
Instructional methods that enhance student engagement in HPE.


- 능동적이고 협력적인 학습:

 - 문제 기반 학습
 - 팀 기반 학습
 - 사례 기반 교육
 - 플립형 강의실
 - 전문가 간 학습
 - 반성적 연습
•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 Problem based learning
 – Team-based learning
 – Case based teaching
 – Flipped classroom
 – Interprofessional learning
 – Reflective practice
- 기술 강화 학습
 - 가상 환자 시뮬레이션
 - 마이크로 블로그
 - 소셜 미디어
 - 적응형 튜토리얼
 - 화상 회의 세션
 - 디지털 게임
 - 3차원 인쇄 모델
 - 360도 비디오를 사용한 가상 현실
 - 학습 대시보드
 - 청중 응답 시스템

• Technology-enhanced learning:
 – Virtual patient simulations
 – Microblogs
 – Social media
 – Adaptive tutorials
 – Videoconference sessions
 – Digital games
 – Three-dimensional printed models
 – Virtual reality using 360o videos
 – Learning dashboards
 – Audience response systems

능동적이고 협력적인 학습 사용 촉진
Promote the use of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관련 임상 문제를 기반으로 한 능동적 학습 방법과 탐구 자극을 통해 학생들의 동기를 강화합니다. 또한 협업 학습은 학생들 간의 사회적 연결과 소속감을 구축합니다. 학생들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HPE 학교는 문제 기반 학습(O'Malley 외. 2003, Kelly 외. 2005, Alimoglu 외. 2014), 팀 기반 학습(Kelly 외. 2005, Cheng 외. 2014, Alimoglu 외. 2017, Hopper and Brake 2018, Smeby 외. 2020) 등의 교육적 방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2020; Ulfa 외. 2021), 사례 기반 학습(Alimoglu 외. 2014), 거꾸로 교실(Riddle and Gier 2019; Burkhart 외. 2020), 전문가 간 교육(IPE)(Lee 외. 2018; Wang and Ji 2021), 성찰적 실습(Lee 외. 2018; Wang and Ji 2021) 등이 있습니다. 
The use of active learning methods which are based on relevant clinical problems and stimulation of inquiry enhance the motivation of students. In addition, collaborative learning builds social connections between students and the feeling of belongingness. To enhance students engagement, HPE schools can apply pedagogical methods such as problem-based learning (O'Malley et al. 2003; Kelly et al. 2005; Alimoglu et al. 2014), team-based learning (Kelly et al. 2005; Cheng et al. 2014; Alimoglu et al. 2017; Hopper and Brake 2018; Smeby et al. 2020; Ulfa et al. 2021), case-based learning (Alimoglu et al. 2014), flipped classroom (Riddle and Gier 2019; Burkhart et al. 2020),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Lee et al. 2018; Wang and Ji 2021), and reflective practice (Lee et al. 2018; Wang and Ji 2021).

기술 강화 학습 사용 촉진
Promote the use technology-enhanced learning

학교는 기술 강화 학습 방법을 최대한 활용하여 학생 참여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방법에는 가상 환자 시뮬레이션(McCoy 외. 2016, Berman and Artino 2018, Stokes-Parish 외. 2020, Wang and Ji 2021), 마이크로 블로그(Saperstein 외. 2015), 소셜 미디어(Hartnup 외. 2018, Bhat and Gupta 2019, Quesnelle and Montemayor 2020, Siqueira 외. 2021), 적응형 자습서(Wong et al. 2015), 화상 회의 세션(Kay and Pasarica 2019; Caton 외. 2021), 디지털 게임(Janssen 외. 2015), 3차원 인쇄 모델(Tripodi 외. 2020), 360° 비디오를 사용한 가상 현실(Harrington 외. 2018; Torda 2020; Chan 외. 2021), 학습 대시보드(de Leng and Pawelka 2020), 청중 반응 시스템(Funnell 2017)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Schools can make best use of technology-enhanced learning methods to promote student engagement. Methods can include virtual patient simulations (McCoy et al. 2016; Berman and Artino 2018; Stokes-Parish et al. 2020; Wang and Ji 2021), microblogs (Saperstein et al. 2015), social media (Hartnup et al. 2018; Bhat and Gupta 2019; Quesnelle and Montemayor 2020; Siqueira et al. 2021), adaptive tutorials (Wong et al. 2015), videoconference sessions (Kay and Pasarica 2019; Caton et al. 2021), digital games (Janssen et al. 2015), three-dimensional printed models (Tripodi et al. 2020), virtual reality using 360° videos (Harrington et al. 2018; Torda 2020; Chan et al. 2021), learning dashboards (de Leng and Pawelka 2020), and audience response systems (Funnell 2017).

향후 연구 방향
Future research directions

학생 참여와 관련된 다양한 영역을 다루는 연구 출판물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헌에서 다루어야 할 몇 가지 공백이 있습니다. 학생 참여 구조의 포괄적인 특성으로 인해 다차원성을 측정할 수 있는 심리측정 특성을 갖춘 도구를 개발하는 데 여전히 어려움이 있습니다. 파트너십에 대한 학생 참여는 많은 출판물에서 인정되었지만, 파트너십에서 학생 참여의 차원을 측정하는 것은 현재 불분명합니다. 최근 중국에서 수행된 대규모 연구에서는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빈도로 학생의 연구 참여를 측정했습니다(Zhang 외. 2022). 특히 파트너십에서 참여 수준과 참여 차원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연구 의제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또한, 참여 이탈을 개념화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적절한 도구를 개발하여 참여 이탈의 동인과 결과를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학생 참여에 관한 문헌의 연구 설계는 대부분 횡단적 연구이며, 상황별 개입 후 참여도 또는 참여 이탈을 측정하기 위한 종단적 연구는 부족합니다. 마지막으로, 학생 참여 개입의 결과를 측정하는 것은 현재 인지적 차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정신 운동 기술, 정서적 영역 및 일반 역량과 같은 역량의 다른 측면을 측정하는 연구는 부족합니다.

Despite the fast pace in research publications addressing different areas related to student engagement, there are several gaps in literature that need to be covered. With the comprehensive nature of the student engagement construct, the challenge is still existing about developing instruments with good psychometric properties to measure its multidimensionality. Although student engagement in partnerships have been recognized in many publications, measuring the dimensions of student engagement in these partnerships is currently unclear. A recent large-scale study conducted in China measured student engagement in research by the frequency of their involvement in research projects (Zhang et al. 2022). Specifically, developing tools for measuring the level of involvement and engagement dimensions in partnerships should be on the research agenda. Furthermore, there is a need for conceptualizing disengagement and therefore developing proper instruments for its measurement and identifying drivers and outcomes of disengagement . Most of the study designs in the current student engagement literature in HPE are cross-sectional and there is lack of longitudinal studies for measur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after contextual interventions. Finally, measuring the outcomes of student engagement interventions is currently focusing on the cognitive dimension and there is lack of studies measuring the other aspects of competence such as psychomotor skills, affective domain, and generic competencies.


 

Med Teach. 2022 Oct 28;1-17. doi: 10.1080/0142159X.2022.2137018. Online ahead of print.

 

Student engagement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MEE Guide No. 152

Affiliations collapse

1Department of Physiology, Faculty of Medicine, Suez Canal University, Ismailia, Egypt.

2Department of Basic Medical Sciences, College of Medicine, Gulf Medical University, Ajman, United Arab Emirates.

3Gulf Medical University, Ajman, United Arab Emirates.

PMID: 36306374

DOI: 10.1080/0142159X.2022.2137018

Abstract

This guide aims to support our colleagues to hav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tudent engagement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Despite the universal agreement about the significance of student engagement, there is lack of uniformity in conceptualizing and operationalizing this emerging construct. We review the theoretical basis explaining student engagement from three main perspectives: behavioral,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In addition, we propose a contemporary and comprehensive framework for the student engagement in higher education, which is applicable 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ntexts. Drawing from this framework, we explain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construct and its preceding factors, mediators, dimensions, spheres, and outcomes of student engagement. The proposed framework introduces student 'engagement through partnerships' as a novel component compared with the existing models of student engagement in higher education. This way, we are proposing a mixed model that not only considers the student as a 'customer' but also as a 'partner' in education. Engagement of students through partnerships include four areas: (1) provision of the education program, (2) scholarly research, (3) governance and quality assurance, and (4) community activities. This guide will provide practical applications on how to improve student engagement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inally, we highlight the current gaps in areas of research in the student engagement literature and suggested plans for future directions.[Box: see text].

Keywords: Collaborative/peer-to-peer; student engagement; students as partners.

 

보건의료전문직 교육에 투자에 대해 기관 리더가 가지고 있는 가치요인 (JAMA Netw Open. 2023)
Identifying Value Factors in Institutional Leaders’ Perspectives on Invest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Ann Poncelet, MD; Sally Collins, MA, MSc; Darren Fiore, MD; Glenn Rosenbluth, MD; Helen Loeser,MD, MSc; George F. Sawaya, MD; Arianne Teherani, PhD; Anna Chang, MD

소개
Introduction

교육자, 교육 혁신 및 학술활동에 대한 투자는 모든 의과대학과 의료계의 핵심 사명인 우수 의학교육을 위해 필수적입니다.1,2 연구에 따르면 교내 보조금과 기부 석좌 프로그램이 교육 혁신 및 교육자 성장과 같은 성과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3,4 그러나 학부 및 대학원 의학교육 비용의 증가와 함께 임상 및 연구 사업에서 발생하는 수익 감소에 직면한 학부 의료 센터(AMC)가 혁신과 교육자 자체를 포함한 의학교육에 대한 자금은 여전히 상당한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2,5 등록금으로 의학교육 비용을 충당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2 우리는 기관 리더들이 지원을 옹호하도록 참여시켜야 합니다.6 
Investing in educators, educational innovation, and scholarship is essential for excellence in medical education, a core mission of all medical schools and health care.1,2 Studies demonstrate the benefit of intramural grants and endowed chair programs to outcomes like education innovation and educator growth.3,4 Yet, funding for medical education, including for innovation and the educators themselves, remains at significant risk as academic medical centers (AMCs) face declining revenue from the clinical and research enterprises along with increasing costs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2,5 Because tuition rarely covers the costs of medical education,2 we must engage institutional leaders to advocate for support.6

교내 보조금이나 기부형 석좌와 같은 교육자 투자 프로그램(EIP)을 위한 기금은 임상 행정이나 생의학 연구 경력을 가진 리더가 할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재 임상 수익이 AMC의 교육 및 연구 임무에 보조금을 지급하기 때문에 이들은 경제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당연합니다.2,7 그러나 투자 수익률(ROI)과 같은 경제적 지표만으로는 EIP의 가치를 판단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습니다.7 AMC 리더와 교육자는 향후 대화와 자원 배분을 위한 더 광범위한 프레임워크가 필요합니다. 현재까지 기관 리더의 관점, 특히 재무적 ROI 이상의 가치를 지닌 요소에 대한 관점은 누락되어 있습니다. 
Funds for educator investment programs (EIPs) like intramural grants or endowed chairs are often allocated by leaders with backgrounds in clinical administration or biomedical research. They hold an understandable economic focus since clinical revenue currently subsidizes the AMC’s education and research missions.2,7 However, economic metrics, such as return on investment (ROI), are insufficient to determine the value of EIPs.7 AMC leaders and educators need a broader framework to inform future dialogue and resource allocation. To date, the perspective of institutional leaders is missing, especially regarding the factors that have value beyond financial ROI.

전통적인 재무 지표를 넘어서는 가치 요소를 탐색하기 위한 한 가지 프레임워크는 연방 최고정보위원회에서 개발한 가치 측정 방법론(VMM)입니다.8 미국 연방 정부에서 사용하는 VMM은 5가지 영역에서 가치 요소를 제시합니다.8 

  • 개인(수혜자 개인에게 혜택),
  • 재무(비용, 수익 포함),
  • 운영(시스템 운영 개선),
  • 사회적 또는 사회적(집단 또는 사회에 혜택),
  • 전략적 또는 정치적(기관의 사명, 전략적 목표, 우선순위 및 의무 발전)

한 임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서는 운영(재원 기간 감소) 및 전략적(환자 안전 문화) 등의 추가 영역에서 가치 요소를 식별하는 데 VMM을 사용했습니다.9 이 프레임워크는 잠재력이 있지만 아직 학술 EIP에 적용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 글에서는 VMM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교육자 성장과 교육 혁신에 투자하는 교내 프로그램에 관한 의료 전문 교육기관 및 관련 의료 시스템 리더의 가치 요인을 탐색합니다. 
One framework for exploring value factors beyond traditional financial metrics is the value measurement methodology (VMM) developed by the Federal Chief Information Council.8 Used by the US federal government, VMM presents value factors in 5 domains:

  • individual (benefits individual recipient),
  • financial (including costs, revenues),
  • operational (improves system operations),
  • social or societal (benefits group or society), and
  • strategic or political (advances institution’s mission, strategic goals, priorities, and mandates).8 

One clinical simulation program used VMM to identify value factors in additional domains, such as operational (decreased length of stay) and strategic (patient safety culture).9 This framework has potential and has yet to be applied to academic EIPs. Using the VMM framework, we present an exploration of value factors of leaders at a health professions institution and affiliated health systems regarding intramural programs that invest in educator growth and education innovation.

연구 방법
Methods

이 질적 연구는 주제 분석10,11을 사용하여 기관 리더의 관점을 명확히 하기 위해 구성주의적 지향으로 인터뷰 데이터에서 주제를 식별했습니다.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기관윤리심의위원회는 이 연구가 일반원칙에 따라 면제되는 것으로 간주했습니다. 구두와 이메일을 통해 사전 동의를 얻었습니다. 이 연구는 질적 연구 보고 표준(SRQR) 보고 가이드라인을 따랐습니다.
This qualitative study used thematic analysis10,11 to identify themes in interview data, with a constructivist orientation, to elucidate the perspectives of institutional leaders.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deemed this study exempt via the Common Rule.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orally and via email. This study followed the Standards for Reporting Qualitative Research (SRQR) reporting guideline.

환경 및 참여자
Setting and Participants

본 연구는 치과, 의학, 간호학, 약학 등 4개 학과와 물리치료학과가 있는 캘리포니아대학교 샌프란시스코 캠퍼스(UCSF)에서 수행되었습니다. UCSF와 3개의 부속 의료 시스템에서 55명의 리더를 이메일을 통해 초대했습니다. 충분한 이해의 깊이를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직급, UCSF 및 EIP 프로그램, 다양한 전문 분야와 규모의 부서에서 다양한 역할 경험을 가진 리더를 선정했습니다.12 처음에 응답하지 않은 응답자 31명을 대상으로 리더 역할을 충분히 대표할 수 있을 때까지 후속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이 중 2명은 파일럿 인터뷰 대상자로 참여했습니다. 
Our study was conducted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UCSF), an academic health professions institution with 4 schools—dentistry, medicine, nursing, and pharmacy—and a physical therapy department. We invited 55 leaders via email from across UCSF and 3 affiliated health systems. We chose leaders at multiple levels of leadership with a range of experience in their roles, with UCSF and the EIP programs, and from departments of different specialties and sizes to reach a sufficient depth of understanding.12 We followed up with those who did not initially respond until we had sufficient representation of leader roles at 31 respondents, 2 of whom served as pilot interviewees.

도구
Instrument

5가지 VMM 영역(재무, 개인, 운영, 사회적 또는 사회적, 전략적 또는 정치적)8에 기반한 반구조화된 인터뷰 가이드(부록 1의 전자 부록)를 개발하여 교육에 맞게 조정했습니다. UCSF 하일레 데바스 의학교육자 아카데미(AME)3,4,13에서 개발한 두 가지 EIP, 즉 혁신 교육 기금 프로그램(IF)과 연간 15,000달러에서 30,000달러의 기부 의자 프로그램(EC)을 모범 사례로 강조했습니다. IF는 경쟁력 있는 교내 보조금을 통해 UCSF 보건 전문직 교육자들이 커리큘럼 혁신을 개발, 시범 운영 및 연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3 EC는 AME 회원의 경력 개발을 지원하여 기관 안팎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4 우리는 각 리더에게 해당 부서 또는 단위의 IF 수혜자 및 EC 보유자 명단을 제공하여 이러한 프로그램을 설명하고 자극을 주도록 했습니다. 또한 리더들에게 가장 중요한 요소를 설명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We developed a semistructured interview guide (eAppendix in Supplement 1) based on 5 VMM domains (financial, individual, operational, social or societal, and strategic or political),8 adapted for education. We highlighted as exemplars 2 EIPs developed by the UCSF Haile T. Debas Academy of Medical Educators (AME)3,4,13: the Innovations Funding for Education program (IF), and the Endowed Chair program (EC) at $15 000 to $30 000 per year. The IF supports UCSF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to develop, pilot, and study curricular innovations with competitive intramural grants.3 The EC supports the career development of AME members, with the aim of expanding their impact within and beyond the institution.4 We gave each leader a list of IF recipients and EC holders from their department or unit to illustrate these programs and serve as a prompt. We also asked leaders to articulate the most important factor.

zoi221604supp1_prod_1675800338.73239.pdf
0.24MB

 

두 명의 고위 리더가 파일럿 인터뷰 대상자로 참여하여 인터뷰 가이드를 다듬고, 3명의 저자 인터뷰 담당자(A.C., D.F., G.R.)를 교육하고, 일관성을 확보했습니다. 이 데이터는 분석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나머지 29건의 인터뷰는 2019년 6월부터 9월 사이에 진행되었으며, 직접 보고하는 리더를 인터뷰한 사람은 없었습니다. 인터뷰는 12~59분(평균[SD], 35.7[8.8]분) 동안 진행되었으며, 휴대폰 음성 녹음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직접 대면하거나 Zoom 화상 회의를 사용하여 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모든 인터뷰 오디오 녹음은 필사되었습니다. 
Two senior leaders served as pilot interviewees to refine the interview guide, train 3 author-interviewers (A.C., D.F., G.R.), and ensure consistency. These data are not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remaining 29 interviews were conducted between June and September 2019; no one interviewed a leader to whom they reported directly. Interviews lasted 12 to 59 minutes (mean [SD], 35.7 [8.8] minutes) and were conducted in-person using a mobile phone voice recording application or virtually using Zoom videoconferencing. All interview audio recordings were transcribed.

반사성
Reflexivity

이 연구는 우리의 주관과 맥락이 연구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자의식적으로 비판, 평가, 평가하는 일련의 지속적이고 협력적이며 다각적인 관행을 사용했습니다. 저자 중 6명은 임상 교육자(A.P., A.C., G.R., D.F., G.S., H.L.)이고, 1명은 교육 연구자(A.T.), 1명은 교육 연구 동료(S.C.)입니다. 5명의 저자는 연구 이전 또는 연구 시점에 석좌교수를 역임했으며(A.C., D.F., G.R., G.S., A.P.), 3명(A.C., G.R., A.T.)은 이전에 IF 프로그램의 감독 또는 공동 감독을 맡은 적이 있습니다. 저자 중 한 명은 현재 AME의 디렉터(A.P.)이고 다른 한 명은 전 디렉터(H.L.)입니다. 세 명의 저자는 이 프로그램의 수혜자였던 적이 없습니다(S.C., A.T., H.L.). 우리는 정기적이고 성찰적인 토론에 참여하여 연구 결과를 해석할 때 서로의 가정을 고려하거나 이의를 제기할 수 있었습니다.
This study used a set of continuous, collaborative, and multifaceted practices through which we self-consciously critique, appraise, and evaluate how our subjectivity and context influence the research processes. Six authors are clinician educators (A.P., A.C., G.R., D.F., G.S., H.L.), 1 is a is an education researcher (A.T.), and 1 is 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e (S.C.). Five authors held endowed chairs prior to or at the time of the study (A.C., D.F., G.R., G.S., A.P.), and 3 (A.C., G.R., A.T.) had previously directed or codirected the IF program. One author is the current director of the AME (A.P.), and another a former director (H.L.). Three authors have never been a recipient of these programs (S.C., A.T., H.L.). We engaged in regular, reflective discussion, which enabled us to consider or challenge each other’s assumptions when interpreting findings.

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

귀납적 접근법에 따른 주제분석10,11을 사용하여 모든 인터뷰를 필사한 후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 4명의 저자(A.P., S.C., A.T., G.S.)는 인터뷰 질문을 바탕으로 예비 추론 코드(비판단적인 방식으로 표현된 관찰 가능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코드북을 개발했으며, 이 코드북은 3개의 인터뷰 녹취록을 사용하여 반복적인 합의 형성 접근법을 통해 데이터에서 생성된 코드로 더욱 구체화되었습니다.
  • 그런 다음 4명의 저자가 나머지 트랜스크립트를 코딩했습니다. 각 녹취록은 팀원 중 2명이 코딩하고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토론을 통해 조정했습니다.
  • 5명의 저자(A.C., A.P., G.R., D.F., S.C.)가 분석된 데이터를 검토하여 중요한 주제를 종합했습니다. 분석 전반에 걸쳐 모든 팀원의 관점을 반영하여 데이터에 대한 이해를 돕고 연구팀의 관점이 아닌 리더의 목소리를 주제에 반영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코딩된 녹취록은 Dedoose 분석 소프트웨어 버전 9.0.62(사회문화 연구 컨설턴트)를 사용하여 정리했습니다.

We used thematic analysis,10,11 following an inductive approach, to analyze data once all interviews had been transcribed.

  • Four authors (A.P., S.C., A.T., G.S.) developed a codebook from preliminary, low-inference codes (observable data expressed in a nonjudgmental way) based on the interview questions, which was further refined with codes generated from the data through an iterative consensus-building approach using 3 interview transcripts.
  • These 4 authors then coded the rest of the transcripts. Each transcript was coded and reconciled by 2 of these team members through discussion to achieve consensus.
  • Five authors (A.C., A.P., G.R., D.F., S.C.) reviewed the analyzed data to synthesize overarching themes. We drew on the perspectives of all team members throughout the analysis to facilitate a shared understanding of the data and ensure that the themes represented the voices of the leaders, not the perspectives of the study team.
  • We organized coded transcripts with Dedoose analytic software version 9.0.62 (SocioCultural Research Consultants).
결과
Results

분석을 위해 29명의 리더를 인터뷰했습니다(캠퍼스 또는 대학 리더 5명[17%], 의료 시스템 리더 3명[10%], 보건 전문학교 리더 6명[21%], 부서 리더 15명[52%])(표 1). 개인, 재무, 운영, 사회적 또는 사회적, 전략적 또는 정치적 등 VMM 프레임워크 영역을 사용하여 나타난 주제를 제시합니다(표 2). EIP의 개별 수혜자에게 미치는 영향부터 시작하여 리더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치 요소로 결론을 내립니다. 

We interviewed 29 leaders for analysis (5 [17%] campus or university leaders; 3 [10%] health systems leaders; 6 [21%] health professions school leaders; 15 [52%] department leaders) (Table 1). We present the themes that emerged using VMM framework domains: individual, financial, operational, social or societal, and strategic or political (Table 2). We begin with the impact on the individual beneficiary of EIPs and conclude with the value factors leaders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개인의 가치
Individual Value

조직 리더들은 수혜자 개인의 발전, 경력, 위상 강화에 따른 혜택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교수진은 교육자 및 리더로서 기술과 전문성을 개발합니다. 이러한 이니셔티브는 의학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발판 역할을 하며, 특히 초기에 지원을 받으면 승진 및 리더십 역할을 포함하여 오랫동안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을 수 있는 주니어 교수진에게 도움이 됩니다. 리더들은 교육자 투자가 개인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 강조했습니다. 기부형 의자나 교육 보조금을 받는다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며, 교육자들이 열정을 갖고 있는 일을 할 수 있도록 신뢰를 줍니다. 교수진에게 이러한 기금을 맡기면 아이디어를 실험하고, 자신감과 성공에 대한 열망을 얻고, 기금 기간 이후에도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는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리더들은 인재를 믿고 투자하면 개인을 넘어 운영, 전략 또는 정치, 사회적 또는 사회적 차원의 영향력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보상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Organizational leaders viewed the benefits to the individual recipients as enhancing their development, career, and stature. Faculty develop skills and expertise as educators and leaders. Such initiatives serve as a launch pad for involvement in medical education, especially junior faculty who, if supported early on, can be engaged to have long successful careers, including accelerated promotion and leadership roles. Leaders underscored the affirmational impact that educator investments have on individuals. The honor of receiving an endowed chair or education grant is meaningful and gives educators credibility to do work about which they are passionate. Entrusting faculty with these funds gives them the flexibility to experiment with ideas, gain confidence and a desire to succeed, and do more beyond the duration of the funding. Leaders repeatedly highlighted that entrusting and investing in people also reaps rewards in domains beyond the individual to the operational, strategic or political, and social or societal levels of impact.

재무적 가치
Financial Value

리더들은 EIP가 실용적, 철학적 이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는 점을 인정했습니다. 실용적인 측면에서, 자금 지원은 교수진에게 새로운 교육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권한과 책임을 부여합니다. 또한 교수진의 시간을 보호하고 여러 부서 또는 프로그램에 걸친 프로젝트에 실질적인 리소스를 제공합니다. 리더들은 이러한 프로그램을 매칭 기부를 통해 부서, 임상 현장 또는 기관의 추가 자원을 장려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인식했습니다. 또한 리더들은 교육 기금의 더 깊은 철학적 이점을 강조하며, 수익 창출로 이어지지 않더라도 교육에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Leaders acknowledged that EIPs have both practical and philosophical benefits. On a practical level, funding gives faculty permission and accountability to accomplish new educational projects. It protects faculty time and provides tangible resources for projects that cross departments or programs. Leaders saw these programs as a means to encourage additional resources from departments, clinical sites or the institution through matching contributions. Leaders also highlighted a deeper philosophical benefit of educational funding,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investing in education even though the result is not revenue generation.

운영 가치
Operational Value

리더들은 교육 프로그램, 효율성, 채용 및 유지라는 세 가지 영역에서 운영상의 가치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리더들은 EIP가 교육 방법을 형성하고, 변화시키고, 개선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들은 학습자가 최첨단 과학에 참여하고 성공적인 커리어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활동에 직접적으로 기여합니다. 혁신적인 프로그램과 교육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는 최고의 학습자를 끌어들이고 전통적으로 의학교육에서 가시성이 부족했던 분야에 대한 노출 기회를 제공합니다. 일부 리더들은 의학 커리큘럼에 다양한 학문과 사회 문제를 도입하는 전문직 간 교육자들의 협업이 가져다주는 이점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리더들은 이러한 프로그램이 인증 기준을 충족하는 데 기여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제한된 리소스로 인해 달성할 수 없었던 교육 제공 방식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합니다.
  • 또한 리더들은 효율성 향상을 중요한 가치로 여겼습니다. 여기에는 보다 비용 효율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임상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고 낭비를 줄이기 위한 학습자 교육이 포함되었습니다.
  • 리더들은 교수진과 학습자의 채용 및 유지를 중요한 운영 가치로 강조했습니다. EIP는 최고의 교수진을 유치 및 채용하고 이들이 교육기관에 계속 머물도록 장려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EIP는 우수한 학습자를 교육기관으로 끌어들여 향후 교수진 임용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Leaders described 3 areas of operational impact that were of value: educational programs, efficiency, and recruitment and retention.

  • Leaders viewed EIPs as important contributors to shaping, transforming, and improving teaching methods. They feed directly into activities that engage learners in cutting-edge science and prepare them for successful careers. Innovative programs and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education projects attract the best learners and offer exposure for disciplines traditionally lacking visibility within medical education. Some leaders described the benefit of a collaboration of interprofessional educators who bring a broader spectrum of disciplines and social issues into the medical curriculum. Leaders noted that these programs contribute to meeting accreditation standards. They create opportunities for changes in the way that education is delivered, which might not otherwise be achieved because of limited resources.
  • Leaders also saw improved efficiency as an important value. This included having more cost-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and educating learners to enhance efficiency and decrease waste in clinical systems.
  • Leaders highlighted recruitment and retention of faculty and learners as a critical operational value. EIPs help attract and recruit the best faculty and encourage them to stay at the institution. EIPs draw high-quality learners to the institution, often enabling future faculty appointments.

사회 및 사회적 가치
Social and Societal Value

리더들은 조직을 넘어선 사회적 가치와 교수진, 학습자, 환자 등 조직 내부 커뮤니티에 대한 사회적 가치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 중요한 가치는 발표와 출판을 통해 일반화할 수 있고 기관 외부로 전파할 수 있는 교육 내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들은 교수진이 환자와 사회에 도움이 되고 기관을 넘어 교육 프로그램을 향상시키는 교육 장학의 리더 또는 전문가가 되기를 원했습니다. 리더들은 기관 외부의 커뮤니티와의 관계를 구축하고 더 큰 사회적 이익에 도움이 되는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들은 지역, 국가, 글로벌 수준에서 영향력을 발휘하는 교육자 및 프로그램의 예를 들었습니다. 리더들은 긴급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의료 격차를 줄이며, 다양한 환자 집단의 치료 접근성을 개선하는 EIP의 중요성을 인식했습니다. 이들은 최상의 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의료 서비스 제공자를 교육해야 하는 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습니다.

Leaders described societal value beyond the organization and social value to the organization’s internal community, including faculty, learners, and patients.

  • An important value was enabling work within education that is generalizable and disseminated beyond the institution through presentations and publications. They wanted faculty to be leaders or experts in education scholarship that benefits patients and society and enhances education programs beyond the institution. Leader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investments that build connections to the community outside the institution and benefit the greater societal good. They gave examples of educators and programs with impact ranging from local to national and global levels. Lead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IPs that address pressing societal issues, reduce health care disparities, and improve access to care for diverse patient populations. They highlighted the institution’s social responsibility to train health care providers to deliver the best care.

리더들은 이러한 이니셔티브를 통해 구축된 네트워크와 협력이 여러 부서와 학교에서 서로 배우는 교육자에게 도움이 된다는 점을 인식했습니다. 

  • 이러한 전문적인 관계는 교육자 및 학자 커뮤니티를 통해 혁신과 아이디어의 융합을 지원합니다. 이러한 커뮤니티는 후배 교육자를 멘토링하고, 학습자를 유치하며, 모범 사례를 모델링할 수 있는 포럼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연결은 개인이 교육기관 내 교육자 커뮤니티의 일원으로서 소속감을 느낄 수 있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리더들은 EIP가 환자 치료를 개선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하기를 희망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들은 교육자를 지원하면 참여도와 열정이 높아져 환자 치료로 이어진다고 느꼈습니다.

Leaders recognized that networks and collaborations created through these initiatives benefit educators who learn from each other across departments and schools.

  • These professional relationships support innovation and the confluence of ideas through a community of educators and scholars. They provide a forum to mentor junior educators, attract learners, and model best practices. These connections are important ways for individuals to experience a sense of belonging as part of a community of educators within the institution. Leaders described a desire for EIP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hat improve patient care. They felt that supporting educators lead to increased engagement and enthusiasm, which transferred to their patient care.

전략적 및 정치적 가치
Strategic and Political Value

리더들은 교육에 대한 투자가 조직 문화, 혁신, 성공에 도움이 되는 전략적, 정치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교육에 대한 투자는 개인, 조직, 그 너머에 상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리더들은 이러한 프로그램에 헌신하는 것이 교육과 교육적 학술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교육자의 우수성과 업적에 대한 보상은 교육자의 기관 내 가시성을 보장합니다.
  • 교육자의 업무가 중요하고 다른 임무와 동등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 포상은 수상자의 부서와 리더에게 명성을 부여하고, 부서의 교육 가시성을 높이며, 기관의 평판에 기여합니다.
  • 리더들은 교육적 기여를 저평가하는 문화에서 교육 교직원이 환영받고, 참여하고, 권한을 부여받는 문화로 변화시킬 수 있는 힘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Leaders deemed investing in education as strategically and politically important, which benefits organizational culture, innovation, and success. Investing in education has a symbolic impact for individuals, the organization, and beyond.

  • Leaders expressed how committing to these programs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education scholarship.
  • Rewarding educators’ excellence and achievements ensure their visibility within the institution.
  • It sends a message that educators’ work is crucial and equal to other missions.
  • Awards bring prestige to recipients’ departments and leaders, raise departments’ education visibility, and contribute to the institution’s reputation.
  • Leaders described the power to transform culture from one that undervalues educational contributions to one where education faculty feel welcomed, engaged, and empowered.

혁신은 리더들이 교육 기관을 우수성의 최전선에 두기 위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전략적 가치 요소입니다. 

  • 그들은 이러한 리소스를 통해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위험을 감수하고, 실험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 그들은 교육자들이 생각하고, 읽고, 더 깊이 파고들 수 있는 보호된 공간을 갖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 리더들은 학술 의료 기관은 교육 프로그램 때문에 훌륭한 것이지 그 반대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 교육 혁신, 창의성, 프로젝트, 협업은 개인과 기관 전체의 성공을 가능하게 합니다. 업무가 기관의 더 넓은 사명과 일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Innovation is an important strategic value factor expressed by leaders to keep the institution at the forefront of excellence.

  • They felt these resources allowed for thinking creatively, taking risks, experimenting, and generating new knowledge.
  • They prized having a protected space for educators to think, read, and dive deeper.
  • Leaders expressed that an academic medical institution is great because of its educational programs, not the reverse.
  • Education innovation, creativity, projects, and collaborations enable the success of both individuals and the entire institution. It is important that the work be aligned with the institution’s wider mission.
가장 중요한 가치 요소
Most Important Value Factors

많은 리더들이 교육자 개인의 경력 및 전문성 개발과 교육 프로그램 향상과 관련된 가치 요소를 가장 중요한 것으로 꼽았습니다. 한 참가자는 "인적 요소가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직원에게 투자하는 것은 옳은 일이며 훌륭한 결과를 가져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Many leaders identified value factors that relate to enhancing both individual educator career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e education programs as most important. One participant stated that “the human facto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investing in your people is the right thing to do, and it has wonderful outcomes.”

토론
Discussion

VMM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교육 기관 리더들이 교육자 및 교육 혁신에 투자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를 파악했습니다. 리더들은 EIP의 가치를 인식하고 모든 영역에서 재무적 ROI 이상의 이점을 강조했으며, 적은 재정 자원으로도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그림). 이번 조사 결과는 보건 전문직 교육 교내 시드 보조금 프로그램3,14-21 및 기부 석좌 프로그램에 관한 문헌과 일치하며 리더의 관점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독특합니다.4,22,23 문헌에 기술된 긍정적 영향에는 경력 성장, 개인 및 전문성 개발, 채용 및 유지(특히 교수진의 다양성 증가와 관련하여), 교육 프로그램, 협업, 교육 장학금 및 보급, 혁신 및 문화가 포함됩니다.3,4,14-23
Using the VMM framework, we identified factors that academic institutional leaders value for investing in educators and education innovation. Leaders saw value in EIPs and emphasized benefits beyond financial ROI across all domains and illustrated that small financial resources can have substantial reach (Figure). Our findings are congruent with literature about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ntramural seed grant programs3,14-21 and endowed chair programs and are unique in that they represent the leader perspective.4,22,23 The positive impact described in the literature includes career growth,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recruitment and retention (particularly with regards to increasing the diversity of faculty), education programs, collaboration, education scholarship and dissemination, innovation, and culture.3,4,14-23

트위터의 리더들은 EIP가 개별 지원자의 경력 성장과 전문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그들은 채용 및 유지의 운영적 가치를 강조했습니다. 이는 "헌신적이고 재능 있는 직원으로 구성된 간부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자원을 투자한다."24는 볼먼과 딜의 인적 자원 조직 원칙과 일치합니다. 교육자 경력을 지원하기 위해 EIP를 설계하면 직무 만족도 및 참여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웰빙과도 연결됩니다.25-30 연구에 따르면 번아웃을 경험한 의사는 이직할 가능성이 2배 이상 높으며,30 의사를 교체하는 데 드는 비용은 의사 연봉의 2~3배로 추정됩니다.28 의료 서비스 제공자의 개발과 참여에 투자하는 것이 교체하는 것보다 비용이 적게 듭니다.28,30,31 EIP가 교수진 경력, 채용 및 유지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알리면 리더들이 EIP를 위한 신규 또는 지속적인 리소스를 제공하도록 장려할 수 있습니다.
Our leaders strongly value the impact of EIPs on individual recipients’ career growth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ey highlighted the operational value of recruitment and retention. This aligns with Bolman and Deal’s human resource organizational principle of “investing the time and resources necessary to develop a cadre of committed, talented employees.”24 Designing EIPs to support educator careers can have considerabl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engagement, which is linked to well-being.25-30 Studies show that physicians who experience burnout are more than twice as likely to leave,30 and estimate the cost for replacing a physician at 2 to 3 times the physician’s annual salary.28 It is less expensive to invest in the development and engagement of health care providers than to replace them.28,30,31 Communicating the positive impact of EIPs on faculty careers, recruitment, and retention may encourage leaders to provide new or ongoing resources for EIPs.

개인의 경력과 개발에 실질적인 자원을 투자하는 것은 기관 차원에서 조직의 성공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3,4 많은 리더들이 교육 프로그램 개선과 혁신에 대한 EIP의 긍정적인 효과를 가장 중요한 가치 요소로 꼽았습니다. 이러한 운영 결과는 EIP 프로그램 평가 및 영향력 문서화에 적합합니다. 리더들은 EIP가 조직 문화에 미치는 상징적인 영향력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그들은 학습자, 교수진, 환자 커뮤니티를 위한 교육의 가치에 대한 성명을 발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상징이 기관의 문화와 가치를 반영하고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는 볼먼과 딜의 상징적 프레임과 일치합니다.24
Investing tangible resources in the career and development of individuals can have further impact at the institutional level on the success of the organization.3,4 Many of our leaders described as a most important value factor the positive effect of EIPs on educational program improvement and innovation. This operational outcome lends itself well to EIP program evaluation and documenting impact. Leaders appreciated the symbolic influence of EIPs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ey described the importance of making a statement about the value of education for the community of learners, faculty, and patients. This aligns with Bolman and Deal symbolic frame, which argues that symbols reflect and influence institutional culture and values.24

순수한 경제적 모델은 학술 교육 미션의 가치 있는 결과를 측정하기에는 너무 협소한 도구입니다.7 보다 광범위한 프레임워크는 기관 리더와 교육자 간의 보다 효과적인 대화를 위한 토대를 형성합니다. 교육 기관에 VMM 도메인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재무적 투자 수익률을 넘어 기관 리더의 가치 변수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Jabbar 외7는 경제 제국주의를 "교육을 포함한 사회생활과 정책의 많은 측면에 대한 [경제의] 힘"의 근간이 되는 개념으로 제안하며, 우리가 자원 배분을 안내하는 데 사용하는 메트릭을 주도합니다. 이러한 헤게모니를 이해하고 인정함으로써 정책 입안자들은 "대안적인 프레임워크와 모델을 통해 의사 결정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7 Jabbar 외7 의 관점은 임상 수익에 의해 주도되는 현재 학술 의료 센터의 자금 조달 모델 내에서 전통적인 ROI 모델을 넘어 보다 총체적인 모델로 나아가기 위해 이와 같은 연구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표를 재무적 측면을 넘어선 프레임워크에서 정의하면 리소스 배치를 촉진하고 문화와 더 넓은 사회적 요인의 맥락에 맞는 언어로 옹호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A pure economic model is too narrow a tool to measure valued outcomes from the academic education mission.7 A broader framework forms the basis for more effective dialogue between institutional leaders and educators. Applying VMM domains to an academic institution allowed us to better understand institutional leaders’ value parameters beyond traditional financial return on investment. Jabbar et al7 proposes economic imperialism as a concept that underlies the “power [of economics] over so many facets of social life and policy—including education” and drives the metrics we use to guide resource allocation. Understanding and acknowledging this hegemony allows policymakers to “approach decision-making through alternate frameworks and models.”7 The perspective in Jabbar et al7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a study such as this to move beyond a traditional ROI model to a more holistic one within the current funding models for academic medical centers, which is driven by clinical revenue. Defining these metrics in a framework beyond financial can drive resource deployment and guide advocacy with language that speaks to the culture and a wider context of social factors.

이 연구의 강점은 기관의 다양한 계층에 있는 리더들의 의견을 폭넓게 반영했다는 점입니다. 리더들이 밝혀낸 많은 가치 요소, 특히 개인의 경력, 채용 및 유지, 교육 프로그램, 장학금에 대한 혜택은 여러 기관에 걸쳐 일반화할 수 있습니다. VMM 프레임워크는 다른 기관에서도 적용하여 현지 이해관계자의 상황별 가치 요소를 탐색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혁신은 기관의 핵심 사명이며, 리더들은 혁신을 조직의 성공과 연결시켰습니다. 다른 학교에서는 최적의 환자 참여 또는 공중 보건 발전이라는 핵심 사명을 명시할 수 있습니다. EIP를 각 학교의 고유한 미션에 맞춰 조정하면 이러한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리소스에 대한 리더십의 지원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가치 요소는 같은 기관의 리더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가치 요소를 정의하면 EIP를 설계 및 평가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의 가치와 영향에 대해 리더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고, 신규 또는 지속적인 자금 지원을 옹호하는 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그림). 
Our study’s strengths include a broad representation of leaders’ opinions at various echelons of our institution. Many value factors elucidated by our leaders are generalizable across institutions, particularly the benefit to individual careers, recruitment and retention, educational programs, and scholarship. The VMM framework can be adapted and used in other institutions to explore context-specific value factors from local stakeholders. For example, innovation is a core mission at this institution, and our leaders connected it to the organization’s success. Other schools may articulate core missions of optimal patient engagement or advancing public health. Aligning EIPs with each school’s unique mission can engage leadership support for resources to initiate and sustain such programs. Value factors can differ between leaders at the same institution. Defining these value factors can inform how we design and evaluate EIPs, provide feedback to leaders about the value and impact of these programs and advocate for new or sustained funding (Figure).

제한 사항
Limitations

이 연구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인터뷰 이후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과 사회 정의 운동으로 인한 역동적인 변화로 인해 연구 결과가 제한되었습니다. 오늘날 인터뷰를 진행한다면 리더들이 추가로 적절한 가치를 포함할지 알아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입니다. 연구자로서 우리는 연구팀의 많은 사람들이 과거에 연구비나 연구자금을 받은 적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참가자들의 진솔한 목소리를 보고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습니다. 연구자와 참여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동 구축된 연구 결과를 보고할 때 이러한 관점은 데이터 해석을 향상시켰습니다. 본 연구 결과는 교육 미션을 지원하는 단일 기관을 대표하며, 많은 주제가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지만 가치의 정의는 현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경쟁적인 우선순위의 맥락에서 리더의 투자 결정을 탐구할 수 있습니다.
This study had limitations. Our findings are limited by the dynamic shifts due to the coronavirus pandemic and social justice movements that occurred since our interviews. It would be of interest to know if leaders would include additional pertinent values if interviewed today. As researchers, we made every effort to report the true voices of the participants, acknowledging that many on the research team have been past grant or chair recipients. In reporting findings co-construct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these perspectives also enhanced our data interpretation. Our findings represent a single institution supportive of the education mission; while many themes may be broadly applicable, the definition of value could vary based on local contexts. Future studies might explore leaders’ investment decisions in the context of competing priorities.

결론
Conclusions

이러한 조사 결과는 보건 과학 및 의료 시스템 리더들이 직접적인 재정적 투자 수익을 넘어 다양한 영역(개인, 재정, 운영, 사회적 또는 사회적, 전략적 또는 정치적)에서 교육자 투자 프로그램에 자금을 지원하는 것의 가치를 발견했음을 시사합니다. 이들은 개별 교육자의 성장과 전문성 개발을 지원하는 유형적 자원이 조직과 커뮤니티에 강력한 이점을 창출한다고 인식했습니다. 이러한 가치는 프로그램 설계 및 평가, 리더에 대한 효과적인 피드백, 학계에서 경쟁하는 우선 순위의 맥락에서 향후 투자에 대한 옹호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 접근 방식은 다른 기관에서도 리더의 상황 및 리더별 가치 요소를 파악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ealth sciences and health system leaders found value in funding educator investment programs in multiple domains (individual, financial, operational, social or societal, and strategic or political) beyond direct financial return on investment. They perceived that tangible resources to support the growth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dividual educators generate potent benefits to the organization and community. These values can inform program design and evaluation, effective feedback to leaders, and advocacy for future investments in the context of competing priorities in academic medicine. This approach can be used by other institutions to identify context and leader-specific value factors from their leaders.


JAMA Netw Open. 2023 Feb 1;6(2):e2256193. doi: 10.1001/jamanetworkopen.2022.56193.

Identifying Value Factors in Institutional Leaders' Perspectives on Invest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Affiliations collapse

1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lifornia.

2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PMID: 36795413

PMCID: PMC9936339

DOI: 10.1001/jamanetworkopen.2022.56193

Free PMC article

Abstract

Importance: Investing in educators, educational innovation, and scholarship is essential for excellenc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health care. Funds for education innovations and educator development remain at significant risk because they virtually never generate offsetting revenue. A broader shared framework is needed to determine the value of such investments.

Objective: To explore the value factors using the value measurement methodology domains (individual, financial, operational, social or societal, strategic or political) that health professions leaders placed on educator investment programs, including intramural grants and endowed chairs.

Design, setting, and participants: This qualitative study us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from an urban academic health professions institution and its affiliated systems that were conducted between June and September 2019 and were audio recorded and transcribed. Thematic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mes with a constructivist orientation. Participants included 31 leaders at multiple levels of the organization (eg, deans, department chairs, and health system leaders) and with a range of experience. Individuals who did not respond initially were followed up with until a sufficient representation of leader roles was achieved.

Main outcomes and measures: Outcomes include value factors defined by the leaders for educator investment programs across the 5 value measurement methodology domains: individual, financial, operational, social or societal, and strategic or political.

Results: This study included 29 leaders (5 [17%] campus or university leaders; 3 [10%] health systems leaders; 6 [21%] health professions school leaders; 15 [52%] department leaders). They identified value factors across the 5 value measurement methods domains. Individual factors emphasized the impact on faculty career, stature, and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Financial factors included tangible support, the ability to attract additional resources, and the importance of these investments as a monetary input rather than output. Operational factors identified educational programs and faculty recruitment or retention. Social and societal factors showcased scholarship and dissemination benefits to the external community beyond the organization and to the internal community of faculty, learners, and patients. Strategic and political factors highlighted impact on culture and symbolism,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success.

Conclusions and relev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ealth sciences and health system leaders find value in funding educator investment programs in multiple domains beyond direct financial return on investment. These value factors can inform program design and evaluation, effective feedback to leaders, and advocacy for future investments. This approach can be used by other institutions to identify context-specific value factors.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과 관련한 환자돌봄의 관찰가능한 프로세스 정의 (Med Educ, 2022)
Defining the observable processes of patient care related to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Junki Mizumoto | Toshichika Mitsuyama | Satoshi Kondo | Masashi Izumiya | Shoko Horita | Masato Eto 

 

 

1 소개
1 INTRODUCTION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SDH)'사람들이 태어나고, 성장하고, 생활하고, 일하고, 노화하는 조건으로... 글로벌, 국가 및 지역 수준에서 돈, 권력 및 자원의 분배에 의해 형성된다'으로 정의됩니다.1 SDH는 인구 건강 결과에 상당한 기여를 합니다. 의료 전문가는 건강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구조를 인식하는 능력(구조적 역량이라고 함)을 훈련하고2 환자에게 개별화된 치료를 제공하고 공중 보건을 개선해야 하지만3 환자의 사회적 요구에 항상 부응하는 것은 아닙니다.4, 5 일부 연구에 따르면 의사는 사회적 어려움을 가진 환자를 돌보는 데 장벽을 경험한다고 보고했습니다.6-11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SDHs) are defined as ‘the conditions in which people are born, grow, live, work and age … shaped by the distribution of money, power and resources at global, national and local levels’.1 SDH makes a substantial contribution to population health outcomes. Although health care professionals are expected to train the ability to recognise social structure to influence health outcomes (as is called structural competency)2 and to deliver individualised care to patients and improve public health, 3 they do not always respond to patients' social needs.4, 5 Some studies have reported that physicians experience barriers in caring for patients with social difficulties.6-11

[사회적 불평등이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은 임상 수련 전문가들에 의해 종종 무시되어 왔습니다.12 예를 들어, 의학전문대학원 교육인증위원회는 레지던트 및 펠로우십 프로그램에서 수련의가 사회적 결정 요인을 식별 및 해결하고 환자의 건강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최적화하도록 준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은 거의 없다고 보고했습니다.13 그럼에도 불구하고, SDH의 대학원 교육은 독특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레지던트는 환자의 건강 요구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지역사회에 보다 생산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자기 효능감과 만족감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3 환자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결정 요인에 대해 학습하면 레지던트가 환자의 상황에 집중하고 환자-의사 관계를 강화하며 의료 팀 기반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13 이러한 학습은 어려운 상황에 있는 환자를 치료할 때 특히 중요합니다.3, 14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를 고려할 때 건강과 건강 관리를 개선하려면 SDH에 대한 의학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보다 효과적인 교육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해야 합니다.15 
The effects of social inequity on health conditions have often been ignored by clinical training experts.12 For example,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reported that few residency and fellowship programmes can prepare trainees to identify and address social determinants and optimise their effects on patients' health outcomes.13 Nevertheless, postgraduate education in SDH would provide unique benefits. Residents would experience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by developing skills to effectively address patients' health needs and engaging more productively with their communities.3 Learning about social determinants that affect patient health could help residents focus on patients' contexts, strengthen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s and build health care team-based partnerships.13 Such learning is particularly important when residents deliver care for patients in difficult situations.3, 14 Considering these positive outcomes, emphasising the importance of medical education about SDH and developing a more effective educational strategy should be important to improve health and health care.15

SDH는 의학교육과 수련의 중요한 부분이지만, 전통적인 접근 방식으로는 SDH 역량을 문서화하기 어렵습니다.16 교육과정에서 비의료 교육 주제를 제시하는 것은 종종 모호한 목표와 불명확한 평가 기준을 특징으로 합니다.17 모호한 교육과정은 수련의에게 이러한 주제가 저평가되고 임상 학습과 단절되어 있다는 인상을 주고 환자 치료와 수련의의 전문적인 성장 모두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17 또한 SDH와 관련된 커리큘럼 기준이 부족하면 레지던트가 사회적 어려움을 가진 환자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조장할 수 있습니다.18 또한 대부분의 지도전문의는 자연스럽게 생물의학적 및 기술적 기술의 습득에 높은 가치를 두고 수련의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의식 함양에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19 
Although SDH is an important part of medical education and training, SDH competence is difficult to document using traditional approaches.16 Presentation of non-medical educational topics in the curriculum is often characterised by vague objectives and unclear assessment criteria.17 An ambiguous curriculum gives trainees the impression that these topics are undervalued and disconnected from clinical learning and may harm both patient care and the professional growth of trainees.17 Lack of curriculum criteria related to SDH may also foster residents' prejudices and misconceptions about patients with social difficulties.18 Additionally, most supervisors naturally place a high value on the acquisition of biomedical and technical skills and tend to neglect the development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ethics in trainees.19

전공의가 SDH 교육을 통해 무엇을 성취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시적인 문서화가 중요합니다. 소외 계층에 대한 의료 서비스 제공과 같은 일부 역량은 자체적으로 위탁 가능한 전문 활동(EPA)을 수행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20 예를 들어, 미국의과대학협회는 병력 청취와 관련된 EPA 하위 항목 중 하나는 SDH에 주의를 기울이는 환자 중심 면담을 수행하는 기술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21 관찰 가능한 실습 활동(OPA)의 위탁 및 매핑은 레지던트 커리큘럼 및 평가 시스템에서 레지던트를 평가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22, 23 OPA'위탁 결정을 내리기 위해 일상적인 실습에서 관찰해야 하는 학습 목표/활동의 모음'으로 정의됩니다.22 OPA는 두 가지 범주로 나뉩니다.

  • 내용 OPA는 '호중구감소성 발열에 대한 항생제 치료 선택'과 같이 각 로테이션마다 다른 특정 활동입니다.
  • 과정 OPA는 '정확하고 관련성 있는 병력 획득'과 같이 로테이션에 걸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활동입니다.22 과정 OPA의 개념은 모호한 역량 용어나 광범위한 EPA 대신 공동 의사 결정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 의료 전문가가 따라야 하는 정확한 과정과 의료 절차를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24

Explicit documentation about what residents should achieve from SDH education is important. Some competencies, such as providing medical care for underserved populations, are considered worthy of their own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20 For example,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states that one of the EPA sub-items related to history taking is to demonstrate the skills to conduct patient-centred interviews that are attentive to SDH.21 Entrustment and mapping of observable practice activities (OPAs) can be used in residency curriculum and assessment systems to assess residents.22, 23 OPA is defined as ‘a collection of learning objectives/activities that must be observed in daily practice to form entrustment decisions’.22 There are two categories of OPA.

  • Content OPAs are specific activities that differ for each rotation, such as ‘choose antibiotic therapy for neutropenic fever’.
  • Process OPAs are activities that are conserved across rotations, such as ‘acquire accurate and relevant history’.22 The concept of process OPA is used to describe the precise process and medical procedures that medical professionals are expected to follow in specific situations, such as shared decision making,24 instead of using ambiguous competency terms or broad EPA.22

일차 의료 또는 포괄적인 일상 건강 관리에서 사회적 결정 요인에 대한 개입을 설명하는 여러 임상 프레임워크가 보고되었습니다. 이러한 개입은 세 가지 수준으로 나뉩니다.15, 25-28 

  • 일반적으로 개별 환자를 위한 미시적 수준
  • 의료 기관 및 지역사회를 위한 중시적 수준
  • 의료 시스템 및 행정 부서를 포함한 광범위한 인구를 위한 거시적 수준 

이러한 프레임워크는 SDH를 의료 시스템에 통합하기 위한 청사진을 제공하지만, 의사가 [실제로 환자 치료를 제공하는 과정]은 자세히 설명되어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러한 프레임워크의 대부분은 체계적인 합의 그룹 방법을 사용하여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임상 환경에서 의사가 하는 일을 자세히 설명하지 못하면 SDH 교육의 가치가 떨어집니다. 따라서 환자의 사회적 맥락과 필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환자를 돌보는 [과정 OPA]를 설명해야 합니다. 본 연구는 합의 집단 방법을 사용하여 일차 진료 환경에서 SDH와 관련된 환자 진료 [과정 OPA]를 체계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Several clinical frameworks have been reported that describe interventions for social determinants in primary health care or comprehensive day-to-day health care. These interventions are usually divided into three levels:

  • microlevel for individual patients,
  • mesolevel for medical institutions and communities and
  • macrolevel for broader populations, including health care systems and administrative divisions.1525-28 

Although such frameworks provide a blueprint for integrating SDH into health care systems, the processes by which physicians actually deliver patient care have not been described in detail. In addition, most of these frameworks have not been developed using systematic consensus group methods. Failure to describe in detail what physicians do in clinical settings reduces the value of SDH education. The process OPA for caring for patient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patients' social contexts and needs should therefore be explicated. This study aimed to codify the process OPA for patient care related to SDH in a primary care setting, using consensus group methods.

2 연구 방법
2 METHOD

연구 설계
Study design

일본에서 2022년 1월부터 2022년 2월까지 일차 진료 환경에서 SDH와 관련된 진료 프로세스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수정된 델파이 기법29 을 시행했습니다. 수정 델파이 연구에서는 연구자들이

  • (i) 문헌 검토를 수행하거나 다른 학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작성한 초기 목록을 배포하고,
  • (ii) 전문가들로부터 의견을 추출하여 익명으로 반복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며,
  • (iii) 구조화된 방식으로 합의에 도달합니다.30

수정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 합의를 도출하는 데 널리 사용되며,31-33 특히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있고 익명으로 독립적인 의견 제공이 필요할 때 유용합니다.34, 35 본 연구는 델파이 연구 수행 및 보고 지침(CREDES)을 따랐습니다.36 모든 라운드에서 설문지는 웹 기반 설문조사 시스템(SurveyMonkey: Survey Monkey, Inc., San Mateo, CA, USA)을 통해 제공되었습니다. 이 연구에 대한 윤리적 승인은 도쿄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및 의학부 연구윤리위원회로부터 받았습니다(제2020250NI호).
A modified Delphi technique29 was implemented from January 2022 to February 2022 in Japan to reach a consensus on the processes of medical care related to SDH in a primary care setting. In a modified Delphi study, researchers

  • (i) distribute an initial list that is prepared by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or using other academic methods,
  • (ii) extract opinions from the experts and give them anonymous feedback iteratively and
  • (iii) reach a consensus in a structured way.30 

The modified Delphi technique is widely used to create expert consensus,31-33 especially when there are diverse stakeholders and when anonymous and independent provision of their opinions is needed.34, 35 This study followed the Guidance on Conducting and Reporting Delphi Studies (CREDES.)36 In all rounds, questionnaires were provided via a web-based survey system (SurveyMonkey: Survey Monkey, Inc., San Mateo, CA, USA). Ethical approval for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the research ethics committee of the University of Tokyo Graduate School of Medicine and Faculty of Medicine (No. 2020250NI).

잠재적으로 중요한 요인 목록 작성
Compilation of a list of potentially important factors

잠재적으로 중요한 단계의 예비 목록을 작성하기 위해 2021년 9월에 제1저자가 세 개의 전자 데이터베이스(MEDLINE, CINAHL, PsycINFO)에서 문헌 검색을 수행했습니다. 검색 결과 중복을 제거한 후 447개의 논문이 확인되었습니다. 논문 제목과 초록을 기준으로 선별한 결과 110편의 논문이 선정되었습니다. 전체 텍스트 심사 후 27편의 논문이 선정되었습니다.2, 3, 12, 14, 20, 37-58 이 문헌 검색의 세부 사항은 표 S1에 나와 있습니다. 이 문헌 검색을 통해 연구자들은 '구조적 역량'이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된다는 것을 재발견하고 검색 공식을 수정했습니다. 의견, 리뷰, 사설, 사례 보고서, 활동 보고서 등 다양한 종류의 논문이 포함되었습니다. SDH와 관련된 환자 치료 과정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논문은 거의 없었습니다. 첫 번째 저자는 논문을 종합하여 잠정적인 목록을 작성했습니다. 두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저자는 이 목록을 비판적으로 검토 및 분석하고 반복적인 토론을 거쳐 일부 수정을 가했습니다. 목록은 커뮤니케이션, 실천, 자기 관리, 옹호라는 네 가지 구성 요소로 나뉜 13개 항목으로 구성되었습니다(표 S2 참조). 
To develop a preliminary list of potentially important steps, a literature search of three electronic databases (MEDLINE, CINAHL and PsycINFO) was conducted by the first author in September 2021. The search identified 447 articles after the removal of duplicates. The articles were screened by article titles and abstracts, and 110 articles were selected. After full-text screening, 27 articles were selected.2, 3, 12, 14, 20, 37-58 Details of this literature search are shown in Table S1. Through this literature search, researchers rediscovered that the term ‘structural competency’ was often used, and the search formula was modified. A wide range of articles was included (e.g. opinions, reviews, editorials, case reports and activity reports). Few articles directly referred to the processes of patient care related to SDH. The first author synthesised the articles and constructed a tentative list. The second, fourth, fifth and sixth authors critically reviewed and analysed the list, held iterative discussions and made some modifications. The list consisted of 13 items, which were divided into four components: communication, practice, self-management and advocacy (see Table S2).

참가자 모집
Participant recruitment

성별, 연령, 직업, 진료 환경 등 구성원의 다양성을 보장하기 위해 의도적인 샘플링 전략을 사용했습니다. 패널은 임상 전문가(의사, 간호사, 공중보건의, 사회복지사, 약사, 의료 사무원), 레지던트, 의대생, 연구자, 소외 계층 및 환자를 위한 지원 위원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모집 대상을 결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첫째, SDoH와 관련된 일차 진료에는 의료 사무원을 포함한 여러 직종이 관여하고 있으며,59, 60 의사가 수행하는 과정을 다루는 연구에서도 다양한 의료 직종의 의견이 존중되어야 합니다.
  • 둘째, 의학교육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과정에 대한 명시적인 설명이 필요하며, 의학교육의 이해당사자인 전공의, 학생, 환자의 의견을 수렴해야 합니다.
  • 셋째, SDoH와 관련된 환자 진료의 범위는 전 국민이었지만, 사회적 소외계층도 주요 이해관계자로서 본 연구에서 중요한 잠재적 의사결정권자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소외 계층을 모집하고 참여시키는 데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어61, 62 연구자들은 이 연구에서 이들을 모집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공중보건간호사, 소외계층 지원위원, 사회복지사, 사회학 전문 연구자 등 소외계층의 옹호자로 간주될 수 있는 사람들에게 본 연구에 참여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63 연구자들은 소외계층의 의견을 물어볼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해야 합니다.

A purposive sampling strategy was used to ensure member diversity, including gender, age, profession and practice setting. The panel consisted of clinical professionals (physicians, nurses, public health nurses, social workers, pharmacists and medical clerks), residents, medical students, researchers, support members for marginalised people and patients. The reasons for determining recruitment targets were as follows. First, multiple professions, including medical clerks, are involved in the primary care practice related to SDoH,59, 60 and, even in research dealing with processes undertaken by physicians, the opinions of various medical professions should be respected. Second, an explicit description of the processes was to meet the demands of medical education, and the opinions of residents, students and patients, all of whom were stakeholders in medical education, should be solicited. Third, although the scope of patient care related to SDoH was the entire population, the socially marginalised population should be considered a key stakeholder and thus an important potential decision maker in this study. However, due to practical difficulties in recruiting the marginalised population and their participation,61, 62 researchers could not recruit them in this study. Researchers thus asked public health nurses, support members for marginalised people, social workers and expert researchers in sociology, who could be considered advocators, to participate in this study.63 It should be emphasised that researchers do not believe that the opinions of marginalised people need not be asked.

우리는 SDH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상당한 실무 경험이 있는 임상 전문가, SDH에 대한 관심과 지식이 있는 레지던트 및 의대생, 만성 질환을 앓고 있고 제1저자가 근무하는 병원에 정기적으로 다니는 환자를 모집했습니다. 환자 모집 과정에서 환자의 사회적 배경과 상황은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일반 의학(일반 내과, 호스피탈리스트, 가정의학과), 소아과, 정신과, 응급의학과 의사와 간호사를 모집했는데, 이러한 전문 분야는 일반적으로 미분화 문제를 가진 환자를 진료하고 이전 연구에서 SDH를 다룰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입니다.20, 39, 50, 64-67 보건의료 및 의학 교육 분야 연구자뿐만 아니라 소외된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사회학자도 모집했습니다. 소외된 사람들을 위한 지원 멤버는 비의대생 2명과 의사 및 정치인 1명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 세 명은 노숙자 및 기타 소외된 사람들을 위해 자발적으로 지원을 제공했습니다. 모든 참가자는 이 연구에 참여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서면 동의를 제공했습니다. 참가자에게는 2000엔(약 15달러) 상당의 상품권으로 구성된 인센티브가 제공되었습니다. 
We recruited clinical professionals who had a deep understanding and considerable practice of SDH, residents and medical students who had an interest in and some knowledge of SDH and patients who had chronic conditions and regularly attended the hospital in which the first author worked. The social backgrounds and contexts of the patients were not considered in the recruitment process. We recruited physicians and nurses in general medicine (general internal medicine, hospitalist and family medicine), paediatrics, psychiatry and emergency medicine because these specialties usually care for patients with undifferentiated problems and have been identified as needing to address SDH in previous studies.20, 39, 50, 64-67 We recruited not only researchers in health care and medical education but also sociologists working with marginalised populations. Support members for marginalised people consisted of two non-medical students and one physician and statesperson. These three members voluntarily provided support for people experiencing homelessness and other marginalised people. All participants voluntarily provided their written consent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 incentive comprising a gift certificate worth JPY 2000 (approximately US$ 15) was offered to participants.

데이터 수집 및 분석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각 라운드에서 참가자들은 5점 리커트 척도(1점: 전혀 중요하지 않다 ~ 5점: 매우 중요하다)로 각 항목을 평가하도록 요청받았습니다. 또한 참가자들은 각 항목에 대한 수정 사항을 제안하고 SDH와 관련된 의료 측면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다른 단계를 추가하도록 요청받았습니다. 참가자들의 응답은 이전 검토33 및 기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사전 정의된 기준에 따라 분석 및 선정되었습니다.68, 69 구체적으로 (i) 평균 점수가 4점 이상, (ii) 표준편차가 1 미만, (iii) 패널의 75% 이상이 4점 또는 5점을 준 항목은 모두 통과했습니다. 참가자들은 각 설문지를 작성하는 데 2주의 시간이 주어졌습니다. 각 마감일 며칠 전에 리마인더 이메일이 발송되었습니다. 모든 저자는 모든 라운드에서 모든 서면 의견을 읽었습니다.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저자는 내용 분석을 사용하여 의견을 분석했습니다.70 코딩 데이터는 다른 연구자들과의 논의를 통해 축소되고 수정되었습니다. 다음 라운드가 시작될 때 이전 라운드의 익명 결과 요약본이 전문가들에게 제공되었습니다. 우리는 모든 진술이 가능한 한 높은 수준에서 합의에 도달할 수 있는 동등한 기회를 갖도록 하기 위해 일부 진술이 이미 합의에 도달했더라도 후속 라운드에서 모든 진술을 다시 포함시키기로 결정했습니다.71 각 델파이 단계는 일본어로 진행되었습니다. 결과는 연구원과 전문 번역가가 영어로 번역했습니다. 

In each round, participants were asked to evaluate each item on a 5-point Likert scale (1: absolutely unimportant to 5: absolutely important). The participants were also asked to propose revisions for each item and add any other steps considered suitable for aspects of medical care related to SDH. Their responses were analysed and selected using a predefined standard based on a previous review33 and other previous studies.68, 69 Specifically, items that met all the following standards were passed: (i) a mean score of 4 or higher, (ii) a standard deviation of less than 1 and (iii) scores of 4 or 5 from 75% or more of the panellists. Participants were given 2 weeks to fill out each questionnaire. Reminder e-mails were sent a few days before each deadline. All authors read all written comments in every rou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authors analysed the comments using content analysis.70 Coding data were collapsed and then modified through discussion with the other researchers. At the start of the subsequent round, a summary of anonymous results from the previous round was provided to the experts. We chose to include all statements again in the subsequent round (even though some had already reached consensus) to ensure that every statement had an equal chance of achieving consensus at the highest possible level.71 Each Delphi step was conducted in Japanese. The results were translated into English by the researchers and professional translators.

3 결과
3 RESULTS

델파이 패널에는 총 63명이 모집되었으며, 이 중 61명이 참여했습니다. 2명은 업무 부담으로 인해 참여를 거부했습니다. 인구통계학적 데이터는 표 1에 나와 있습니다. 모든 참가자가 델파이 라운드를 완료했습니다.

A total of 63 people were recruited to the Delphi panel, of which 61 participated. Two declined participation because of work pressure. The demographic data are shown in Table 1.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Delphi rounds.

1라운드에서는 초기 목록에서 탈락한 항목이 없었습니다. 동의 수준, 평균 및 표준편차는 표 S3에 나와 있습니다. 참가자들의 의견에 대한 내용 분석을 바탕으로 12개 항목이 수정되었습니다. 분석 결과에 따라 전문가 간 팀 기반 성찰에 대한 단계가 하나 추가되었고, 이에 따라 세 번째 구성 요소인 '자기 관리'를 '유지 관리'로 변경했습니다. 또한 모든 단계가 지속적인 환자-의사 관계 내에서 다른 전문가 및 이해관계자와 협력하여 수행되어야 한다는 서문을 추가했습니다(표 S4 참조). 
In Round 1, no items were eliminated from the initial lists. The agreement level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are shown in Table S3. Twelve items were modified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comm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we drafted one new step about interprofessional team-based reflection and accordingly changed the third component ‘self-management’ to ‘maintenance’. We also developed a preface that stated that all steps should be conducted within an ongoing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and in collaboration with other professionals and stakeholders (see Table S4).

2라운드 이후, 수정된 모든 항목이 긍정적인 합의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표 S5 참조). 일부 사소한 수정이 이루어졌으며 모든 참가자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3라운드는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최종 버전의 목록은 14개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4개의 구성 요소로 나뉩니다(표 2).
After Round 2, all modified items were confirmed to meet the positive consensus standard (see Table S5). Some minor revisions were made and were approved by all participants. Round 3 was not performed. The final version of the list consisted of 14 items, which were divided into four components (Table 2).

4 토론
4 DISCUSSION

이 연구에서는 SDH와 관련된 환자 치료의 OPA 프로세스를 확인했습니다. 프로세스는 커뮤니케이션, 진료, 유지 관리, 옹호라는 네 가지 구성 요소로 분류되었습니다. 각 구성 요소는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커뮤니케이션은 좋은 진료에 기여합니다. 의사 자신과 팀원을 위한 유지 관리는 좋은 의사 소통과 진료의 기본입니다. 커뮤니케이션, 진료, 유지보수에 대한 경험은 옹호에 동기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이 커뮤니케이션-실무-유지-옹호(CPMA) 프레임워크(그림 1 참조)는 이전에 보고된 접근 방식과 몇 가지 요소를 공유합니다. 예를 들어, 빈곤 아동 간호와 관련된 역량은 환자 간호,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기술, 전문성, 시스템 기반 실무 영역과 관련이 있습니다.39, 72 또한 간호 교육 전문가들은 환자의 기저질환을 변화시키고 건강 형평성을 증진하기 위해 비판적 돌봄 접근법과 세심한 권한 부여 간호 제공을 제안해 왔습니다.55, 73 
This study identified the process OPA for patient care related to SDH. The processes were classified into four components: communication, practice, maintenance and advocacy. Each component is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Communication contributes to good practice. Maintenance for physicians themselves and team members is the base of good communication and practice. Experience about communication, practice and maintenance may motivate advocacy. This Communication–Practice–Maintenance–Advocacy (CPMA) framework (see Figure 1) shares some elements with previously reported approaches. For example, the competency relevant to the care of children in poverty is related to the domains of patient care,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professionalism and system-based practice.39, 72 In addition, professionals in nursing education have proposed a critical caring approach and provision of sensitive empowering care to change patients' underlying conditions and promote health equity.55, 73

 

CPMA 프레임워크에는 몇 가지 독특한 장점이 있습니다. 

  • 첫째, 전문가 패널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로 구성됩니다. 환자, 사회학자, 소외된 사람들을 위한 지원 단체의 참여로 패널의 다양성이 증가했습니다. 
  • 둘째, 프레임워크는 환자 치료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여 의학교육에 대한 활용도를 높였습니다. 

[생물 의학 및 기술 중심의 지배적인 커리큘럼 패러다임]은 정답을 얻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 패러다임에서 학습자는 SDH와 같이 확실성이 낮은 문제에 직면할 때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74, 75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명시하면 이러한 불편함을 줄일 수 있습니다.17, 20 이 프레임워크는 잠재적으로 학습자에게 명확한 지표를 제공하고 임상 실습 및 현장 기반 평가에 반영하는 데 적용될 수 있습니다.
The CPMA framework has some unique advantages.

  • First, the expert panel consisted of various stakeholders. The participation of patients, sociologists and support members for marginalised people increased panel diversity.
  • Second, the framework clearly described in detail the patient care processes to increase its availability for medical education.

The dominant curriculum paradigm, which is centred on biomedicine and technology, focuses on obtaining correct answers and solving problems. In this paradigm, learners may feel uncomfortable when facing challenges with low levels of certainty, such as SDH.74, 75 Making explicit the process of tackling challenges could potentially reduce this discomfort.17, 20 This framework potentially provides learners with a clear indication and could be applied to reflection on their clinical practice and workplace-based assessment.

의사소통
Communication

이 구성 요소에는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다른 전문가 및 이해관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모두 포함됩니다. 델파이 라운드에서는 환자에 대한 의사의 편견과 태도에 대한 의견이 나왔습니다. 예를 들어, 패널리스트들은 첫 번째 목록의 일부 항목('의사는 공동 의사 결정을 수행한다', '의사는 환자가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처할 수 있도록 적절한 설명과 지원을 제공한다')에 가부장적인 측면이 포함되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일부 패널리스트는 의사 자신의 편견과 편견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언급되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이러한 편견과 태도는 항상 관찰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환자 중심주의,49 다른 전문가와의 협력76 및 환자 결과를 저해할 수 있으므로76-78 의사소통 관련 교육 및 실습에서 심각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이 구성 요소는 의사소통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설명하며 효과적인 교육 및 평가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This component includes both communications with patients and communications with other professionals and stakeholders. The Delphi rounds revealed opinions about physicians' biases and attitudes towards patients. For example, panellists pointed out that some of the items in the first list (‘The physician performs shared decision making’ and ‘The physician provides adequate explanation and support to help the patient deal with their health condition’) included some paternalistic aspects. Some panellists suggested that physicians' awareness of their own prejudice and biases should be mentioned. Although these biases and attitudes are not always observable, they may impair patient-centredness,49 collaboration with other professionals76 and patient outcomes76-78 and should thus be seriously considered in communication-related education and practice. This component illustrates detailed content about communication and may contribute to effective education and assessment.

실습
Practice

이 구성 요소는 의사가 환자 진료를 위해 진료실에서 실제로 하는 일을 설명합니다. 목록의 각 단계는 의사가 수행하는 활동의 관점에서 설명되었습니다. 이는 의사가 특권적인 위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델파이 라운드에서 두 가지 관련 의견이 발견되었습니다. 

  • 첫째, 사회적 요구가 충족되지 않은 환자를 진료할 때 환자 중심 진료를 고려하는 것이 특히 중요합니다. 의사는 지시적이고 억압적인 방식으로 말함으로써 그러한 환자의 권한을 박탈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 점을 강조해야 합니다.79-81
  • 둘째, 의사가 환자의 사회적 상황에 혼자 대처할 수 없으므로 다학제 간 협업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합니다. 이러한 의견은 의료 시스템에서 일어나는 일은 환자에게 일어나는 일의 일부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강조합니다.54 이러한 전문가들의 견해에 따라 이 구성 요소는 종단적이고 포괄적이며 팀 기반의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사회적 어려움을 포함한 복잡한 문제는 단기간에 해결되는 경우가 드물고 안정화가 더 적절한 목표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문제 해결을 요구하지 않습니다.82

This component illustrates what physicians actually do in the office for patient care. Each step on the list was described in terms of the activities performed by physicians. This does not imply that physicians are in a privileged position. The Delphi rounds uncovered two related opinions.

  • First,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consider patient-centred care when seeing patients with unmet social needs. This should be emphasised because physicians tend to disempower such patients by speaking in a directive and oppressive manner.79-81 
  • Second, a physician cannot cope alone with patients' social circumstances, and the importance of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should be emphasised. These opinions underlined the fact that what happens in the health care system is only part of what happens to the patient.54 Under these expert views, this component insists that a longitudinal, comprehensive and team-based approach is needed. It does not ask for problem solving because complex problems, including social difficulties, are rarely resolved over a short period, and stabilisation is often a more appropriate goal.82

유지 관리
Maintenance

이 구성 요소는 전문가의 소진을 완화하고 환자 치료의 질을 유지 및 개선하기 위해 의사가 진료실 밖에서 하는 일을 보여줍니다. 환자의 사회적 요구 해결과 관련된 소진83-85은 자가 모니터링38 및 팀 빌딩을 통해 줄일 수 있습니다.86, 87 이 구성 요소는 다른 공개된 프레임워크와 비교하여 독특하며 수련의와 임상 감독자에게 새롭고 필수적인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This component illustrates what physicians do outside their office to mitigate professionals' burnout and then maintain and improve the quality of patient care. Burnout associated with addressing patients' social needs83-85 can be reduced by self-monitoring38 and team building.86, 87 This component is unique compared with other published frameworks and may give novel and essential insights to trainees and clinical supervisors.

옹호
Advocacy

의료 전문가들 사이에서 윤리적 가치와 인권에 대한 존중 부족은 건강 형평성에 대한 도전이며,88 건강 옹호는 의사에게 중요한 역량으로 간주되어야 합니다.89 그러나 건강 옹호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하여 이 영역을 가르치고 평가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90 [미시적 수준과 거시적 수준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강조가 증가하고 있지만,91 일부 의사들은 옹호를 [사회 시스템의 개선이 아닌 개별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생각했습니다.92,93 델파이 라운드에서는 개별 의사가 실행하는 옹호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몇 가지 의문이 제기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사회 및 지역사회 구조의 변화는 개별 의사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일부 수련의, 특히 초심자들이 시스템 차원의 문제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나타낼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의대생을 대상으로 한 이전 연구에서도 비슷한 질문이 제기되었습니다: 학생들은 의사가 개별 환자를 옹호해야 한다는 데는 반대하지 않았지만, 옹호와 관련된 어려움을 예상했습니다.94 본 연구는 의사가 임상 환경에서 실천할 수 있고 실천해야 하는 옹호의 구체적인 측면에 대한 합의를 보여주었습니다. 예를 들어, 의료 시스템 내에서 접근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일차 진료에 종사하는 모든 의사가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

A lack of respect for ethical values and human rights among health professionals is a challenge for health equity,88 and health advocacy should be considered an important competency for physicians.89 However, definitions of health advocacy are sometimes unclear, which makes it difficult to teach and assess this domain.90 Although an increasing emphasis on mesolevels and macrolevels of social accountabilities has been put,91 some physicians thought of advocacy as the delivery of appropriate care for individual patients rather than an improvement in social systems.92, 93 The Delphi rounds generated some questions about the feasibility of advocacy as practised by individual physicians. For example, changing social and community structures was judged to be beyond the scope of individual physicians. Some experts insisted that some trainees, especially novices, may express a refusal of excessive emphasis on system-level challenges. A previous study of medical students raised similar questions: Although students did not disagree that physicians should advocate for individual patients, they anticipated challenges related to advocacy.94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a consensus on the specific aspects of advocacy that physicians can and should practise in clinical settings. For example, identifying factors that impede access within their health care system was judged to be acceptable for all physicians in primary care.

이 연구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었습니다. 

  • 첫째, 모든 저자와 참여자가 일본에 거주하고 일하고 있습니다. 일본 상황과 관련된 환자 치료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 결과를 다른 국가에 일반화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합니다. 일본은 보편적 의료 서비스와 잘 발달된 사회 보장 시스템으로 유명하지만, 사회 및 건강 불평등이 여전히 존재합니다.95 예를 들어, 일본의 상대적 빈곤층 비율은 2016년에 16%로 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인 11%보다 높았습니다.95 한부모 가구의 비율은 2013년에 50.8%로 가장 높았습니다.96 이러한 사회 경제적 불평등은 건강 결과를 손상시킵니다.98-101 본 연구 결과는 고소득 국가에서도 SDH 해결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또한 일본에는 다양한 인종과 민족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이 살고 있지만 대다수는 같은 인종과 민족입니다. 연구자들은 패널리스트의 인종 및 민족 정체성에 대해 묻지 않았지만, 아마도 거의 모든 패널리스트가 아시아인이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결과를 다른 문화와 국가에 적용할 때는 이러한 사실에 유의해야 합니다.
  • 둘째, 각 라운드의 찬성률이 일관되게 높았다는 점입니다. 이는 임상에서 SDoH를 다루는 것이 정치적으로나 윤리적으로 옳은 것처럼 보이기 때문일 수 있으며, 참가자들은 제안된 항목을 거부하거나 거부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패널들의 의견에 대한 질적 분석은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여 연구자들이 참가자들의 중요한 아이디어를 연구 결과에 반영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 셋째, 돌봄의 과정을 항목화하는 데에는 불가피한 한계가 있습니다. 일련의 과정이 미리 정해져 있고 불변하며 엄격하게 따라야 한다는 것은 오해입니다. 모든 환자는 고유한 사회적 맥락을 가지고 있으며, 의사와 이해관계자는 복잡한 사회적 결정 요인을 시급히 해결하기 위해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합니다.
  • 40 넷째, 이 연구는 치료 과정에서 관찰 가능한 단계만을 조사했습니다. SDH를 충분히 다루기 위해서는 전문가가 자신의 편견을 인식하는 능력과 같이 관찰할 수 없는 진료의 측면을 조사할 필요가 있습니다.40, 42, 45, 50, 77
  • 다섯째, 이 연구에 참여한 환자 수가 적었습니다. 다른 전문가와 동등한 수준의 연구 참여에 대한 부담감이 환자 참여에 장애가 될 수 있습니다. 환자의 참여와 파트너십이 촉진되어야 하며,102, 103 새로 개발된 프레임워크는 보다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방식으로 환자의 의견을 수렴하는 추가 연구를 통해 개선되어야 합니다.104 특히 소외된 환자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잘 설계된 연구가 필요합니다.105, 106

This study had several limitations.

  • First, all authors and participants live and work in Japan. Although we did not focus only on aspects of patient care specific to the Japanese situation, it is uncertain whether these findings can be generalised to other countries. Although Japan is known for its universal health care and well-developed social security systems, social and health inequities still exist.95 For example, the proportion of people with relative poverty in Japan was 16% in 2016, higher than that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average of 11%.95 This proportion among single-parent households was 50.8% in 2013,96 which was the highest.97 These socio-economic inequities impair health outcomes.98-101 The present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SDH even in high-income countries. In addition, although people with various racial and ethnic identities live in Japan, the majority are of the same race and ethnicity. Researchers did not ask about panellists' racial and ethnic identities, but, presumably, almost all of the panellists were Asian. These facts should be noted when adapting the result to other cultures and countries.
  • Second, the approval rates of each round were consistently high. It may be that addressing SDoH in clinical practice sounds politically and ethically correct, and participants tended to avoid denying and refusing proposed items.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anellists' comments functioned complementarily, and it helped researchers to reflect participants' important ideas to the result.
  • Third, there are inevitable limitations in itemising the process of care. It is a misapprehension that a series of processes is predetermined and immutable and should be strictly followed. Every patient has a unique social context, and physicians and stakeholders must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to urgently address complex social determinants.40 
  • Fourth, this study examined only observable steps in the processes of care. To fully address SDH,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unobservable aspects of care, such as professionals' ability to recognise their own biases.4042455077 
  • Fifth, the number of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as a few. The burden of participating in research, which was equivalent to other professionals, might be a barrier to patient participation. Patient involvement and partnerships should be promoted,102103 and this newly developed framework should be refined by further research that gathers patient feedback in a more realistic and practical manner.104 In particular, well-designed research to reflect the opinions of marginalised patients is needed.105106

저희는 OPA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 SDH에 대한 대학원 교육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단계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몇 가지 임상적 함의를 가지고 있습니다. 

  • 첫째, 건강 상태 불평등의 근원은 부와 권력의 불평등한 분배에 있지만, 많은 개입이 불평등 문제를 개인화하여 개인의 행동을 주요 해결책으로 삼고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판타지적 패러다임'이라는 비판을 받아야 합니다.107 이 연구는 의사가 개별 환자와 관련된 SDH를 해결하는 방법에 중점을 두었지만, 우리는 이러한 문제의 상위 원인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SDH의 상류 측면을 고려하는 것은 맥락화된 진료에 필수적입니다.3
  • 둘째, CPMA 프레임워크는 일차 진료에 종사하는 모든 의사의 기본 요구 사항을 설명합니다. 전문 진료를 위해서는 보다 전문화된 역량이 필요합니다.108-111 의사는 특히 소외된 인구에게 진료를 제공할 때 이 목록 이상의 것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112-114

We believe that describing process OPA is an important step towards improving postgraduate education about SDH. These findings have several clinical implications.

  • First, although the root of health status inequity is in the unequal distribution of wealth and power, many interventions personalise the problem of inequality and target individual behaviour as the main solution. This approach should be criticised as a ‘fantasy paradigm’.107 Although this study focused on how physicians address SDH related to individual patients, we recognise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upstream causes of these problems. A consideration of the upstream aspects of SDH is essential to contextualised care.3 
  • Second, the CPMA framework describes basic requirements for all physicians in primary care. More specialised competency is needed for expert practice.108-111 Physicians should aim beyond the list, especially when delivering care to marginalised populations.112-114

OPA는 수련의 평가 계획에 적절하게 매핑되어 있다면 평가할 수 있습니다.22 따라서 CPMA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평가 방법은 다른 맥락에서 개발 및 검증되어야 합니다. 이 프레임워크 실행의 교육 효과는 환자가 보고한 결과를 사용하여 평가해야 합니다. 또한, 이 프레임워크가 공유된 의사결정 및 환자 중심주의를 포함한 다른 환자 치료 영역과의 연관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OPA can be assessed if they are appropriately mapped in a trainee assessment plan.22 Thus, assessment methods using the CPMA framework should be developed and validated in other contexts.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implementing this framework should be evaluated using patient-reported outcomes. Additionally, the association of this framework with other realms of patient care, including shared decision making and patient-centredness, should be confirmed.

5 결론 5 CONCLUSION

수정된 델파이 기법을 사용하여 SDH와 관련된 환자 치료를 위한 프로세스 OPA를 설명했습니다. CPMA 프레임워크는 SDH 관련 의료 교육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른 맥락에서 추가 검증, 구현 및 탐색을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Using the modified Delphi technique, the process OPA for patient care related to SDH was described. The CPMA framework could help to improve medical education in SDH. Further research is needed for further validation, implementation and exploration in other contexts.

 


Med Educ. 2023 Jan;57(1):57-65. doi: 10.1111/medu.14915. Epub 2022 Aug 23.

Defining the observable processes of patient care related to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ffiliations collapse

1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Studies, International Research Center for Med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Medicine, The University of Tokyo, Tokyo, Japan.

PMID: 35953461

DOI: 10.1111/medu.14915

Abstract

Introduction: An understanding of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SDH) and patients' social circumstances is recommended to deliver contextualised care. However, the processes of patient care related to SDH in clinical settings have not been described in detail. Observable practice activities (OPAs) are a collection of learning objectives and activities that must be observed in daily practice and can be used to describe the precise processes for professionals to follow in specific situations (process OPA.) METHODS: We used a modified Delphi technique to generate expert consensus about the process OPA for patient care related to SDH in primary care settings. To reflect the opinions of various stakeholders, the expert panel comprised clinical professionals (physicians, nurses, public health nurses, social workers, pharmacists and medical clerks), residents, medical students, researchers (medical education, health care, sociology of marginalised people), support members for marginalised people and patients. The Delphi rounds were conducted online. In Round 1, a list of potentially important steps in the processes of care was distributed to panellists. The list was modified, and one new step was added. In Round 2, all steps were acknowledged with few modifications.

Results: Of 63 experts recruited, 61 participated, and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Delphi rounds. A total of 14 observable steps were identified, which were divided into four components: communication, practice, maintenance and advocacy. The importance of ongoing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s and collaboration with professionals and stakeholders was emphasised for the whole process of care.

Discussion: This study presents the consensus of a variety of experts on the process OPA for patient care related to SDHs. Further research is warranted to investigate how this Communication-Practice-Maintenance-Advocacy framework could affect medical education, quality of patient care, and patient outcomes.

의학교육이 인공지능을 만나는 곳: 테크놀로지가 돌봄을 할 수 있을까? (Med Educ, 2020)
Where medical education meets artificial intelligence: ‘Does technology care?’
Anneke G. van der Niet1,2 | Alan Bleakley3

핵심 메시지
key message

인공지능은 의학의 모습을 바꿀 것이지만 '해결책주의'의 증상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인공 지능이 돌봄의 관계가 치료의 일부가 될 수 있는 '수작업' 의학을 대체해서는 안 됩니다.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change the face of medicine, but may suffer from symptoms of ‘solutionism.’ Artifical intelligence must not displace 'hands on' medicine, where caring relationship can be part of the cure.

기계는 공감과 연민과 같은 인간의 자질이 부족하기 때문에 환자는 인간 의사가 상담을 주도하고 있다는 인식을 가져야 합니다. 또한 불신에 가려진 기술인 AI를 환자들이 즉각적으로 신뢰하는 것은 기대할 수 없습니다.1
Machines lack human qualities such as empathy and compassion, and therefore, patients must perceive that consultations are being led by human doctors. Furthermore, patients cannot be expected to immediately trust AI; a technology shrouded by mistrust.1

1 소개
1 INTRODUCTION

16세기 베살리우스의 해부학 텍스트 이후 '기계로서의 신체'는 의학의 중심적이고 환원적인 은유가 되었으며, 특히 환자를 객관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2 기술화된 의학의 시대에 접어들면서 인공지능(AI)은 진단과 치료를 통해 구체화되는 의학을 쉽게 강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도구적 접근 방식은 신자유주의적 효율성의 가치에 기반한 '관리형' 의료와 일맥상통합니다. 점점 더 환원적이고 기술화되고 알고리즘적 사고의 지배를 받는 의학 교육은 특히 기계적 시뮬레이션을 통한 학습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한편, 교육학은 인격 형성과 같은 커리큘럼의 더 넓은 가치를 무시한 채 겉으로 드러난 역량과 그 평가에 집중함으로써 '축소 포장'되고 있습니다. 
Since Vesalius’ 16th century anatomy texts, ‘the body as machine’ has become a central, reductive metaphor in medicine, serving in particular to objectify patients.2 As we enter the age of technologised medicine, artificial intelligence (AI) readily reinforces a medicine that disembodies through both diagnosis and treatment. Such an instrumental approach chimes with a ‘managed’ medicine grounded in values of neoliberal efficiency. There is a knock-on effect for a medical education that has become increasingly reductive, technologised and subject to algorithmic thinking, particularly evident in learning through mechanical simulation. Pedagogy, meanwhile, is ‘shrink-wrapped’ through focus on bare competencies and their assessment, ignoring wider value in the curriculum such as character formation.

최근(2019년 10월) 런던에서 열린 한 컨퍼런스에서는 글로벌 '업계 리더'들이 모여 최근 AI의 혁신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모범 사례' 중에는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의 AI 활용 사례도 있었습니다.3 이 사례는 'AI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더 많은 시간을 확보하고 생산성 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 문제 해결의 틀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 문장의 후반부는 환자 치료라는 '느린' 의학의 가치보다 생산성, 도구성, 효율성을 우선시하는 신자유주의 윤리를 반영합니다.4 후자는 '차가운' 기술 중심 의료보다 '따뜻한' 감각 기반 임상을 우선시하는 '체화된' 의학에 대한 관심 증가로 대표됩니다.5 이 글에서는 비감각적 AI 문제 해결의 순간과 '느린' 체화된 의학 사이에 생산적인 대화를 생성하는 방법을 질문함으로써 의학에서 AI를 문제화합니다. 도구주의와 수동적이고 포괄적인 승인을 넘어서는 AI의 잠재적 영향력을 탐구함으로써 의학교육의 '솔루션주의'에 관한 논의에 기여합니다. 
A recent (October 2019) conference in London brought together global ‘industry leaders’ to discuss recent innovations in AI. Amongst the ‘Best Practice Examples’ was AI use in the UK National Health Service (NHS).3 This was framed as a problem-solving exercise, where ‘AI has the potential to solve complex problems and in doing so, freeing up more time and increasing levels of productivity.’ The second half of the sentence reflects a neoliberal ethic, where output, instrumentality and efficiency are prioritised above the values of the ‘slow’ medicine of patient care.4 The latter is exemplified by a growth of interest in ‘embodied’ medicine that places a ‘warm’ sense-based clinical practice before a ‘cold’ technology-driven health care.5 In this article, we problematise AI in medicine by asking how we can generate productive dialogue between the instants of non-sensory AI problem-solving and ‘slow’ embodied medicine. By exploring the potential impact of AI beyond instrumentalism and passive, all-encompassing approval, we contribute to discussions concerning ‘solutionism’ in medical education.

1960년대 후반, 존 매카시는 '생각할 수 있는 기계'를 설명하기 위해 '인공 지능'이라는 용어를 만들었습니다.6 1980년대 중반에 AI는 의학 담론에 들어왔지만,7,8 비교적 최근에야 의학교육에 관여하기 시작했습니다.9 21세기 AI 시대는 컴퓨터 사용을 통해 증가하는 정보의 양을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두었던 20세기 중후반의 정보화 시대를 넘어섰습니다. 이제 우리는 정보의 지능적 활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10 AI가 의학에 광범위하게 도입됨에 따라 '대규모 데이터 세트, 머신러닝 및 로봇과 관련된 지능 도구'11를, 인간 능력의 확장뿐만 아니라, 잠재적 자율 에이전트로서 배우기 위한 의학교육의 심각한 '리부팅'이 필요합니다. 이는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NT)12과 같은 객체 지향 교육법과 '객체 지향 온톨로지'13와 같은 철학적 프레임워크에 기반하여 기술 자체를 객관화하지 않고 개념적으로 정교한 미래의 의료 교육을 형성할 것을 제안합니다. 이러한 새로운 지평은 이미 과부하로 인한 잠재적 소진에 시달리고 있는 수련의들에게 더 큰 부담을 주는 부담이 아니라 기회로 받아들여져야 합니다.14 우리는 AI의 포스트휴먼 요구와 체화된 반성적 의학 및 의학교육의 기초가 되는 시대를 초월한 민감한 인간적 지원을 결합해야 합니다.15 그러면 의학 교육은 두 가지 과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 (a) 체화된 의학을 새로운 기술과 대화하게 하고
  • (b) ANT와 같은 객체 의도성을 수용하는 개념적 모델에 익숙해지는 

In the late 1960s, John McCarthy coined the term ‘artificial intelligence’ to describe ‘machines that can think.’6 By the mid-1980s, AI had entered medical discourse,7, 8 but only relatively recently has it engaged medical education, albeit mainly descriptively rather than critically.9 The AI age of the 21st century has eclipsed the previous age of information of the mid- to late 20th century that focused on management of increasing quantities of information through the use of computers. Now we are focused upon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as intelligent use.10 The widespread introduction of AI into medicine requires a serious ‘reboot’ of medical education to learn about ‘intelligence tools involving large datasets, and machine learning and robots,’11 not just as extensions of human capacities but as potentially autonomous agents. This suggests drawing on object-oriented pedagogies such as actor-network theory (ANT)12 and on philosophical frameworks such as ‘object-oriented ontology13 to shape a conceptually sophisticated medical education for the future, where technologies themselves are not objectified. Such a new horizon must be framed as an opportunity, rather than a burden placing increasing pressure on trainee doctors already suffering from potential burnout through overload.14 We must blend the post-human demands of AI with timeless sensitive human support that is the basis of an embodied, reflexive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15 Medical pedagogies then face a twin challenge:

  • (a) bringing embodied medicine into dialogue with new technologies, and
  • (b) gaining familiarity with conceptual models that embrace object intentionality such as ANT.

2 의료 분야의 AI
2 AI IN MEDICINE

의학적 의사 결정에서 인간의 사고를 모방하는 컴퓨터 기반 시스템은 1970년대 초 내과 진단 도구로 설계된 INTERNIST-I와 스탠포드 대학에서 개발한 감염을 일으키는 박테리아를 식별하고 체중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 치료법을 추천할 수 있는 AI 시스템인 MYCIN이 등장한 이래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환자가 증상을 컴퓨터에 설명하면 컴퓨터가 진단을 내립니다. 1970년대 중반부터 피츠버그 대학의 해리 피플은 진단 능력이 뛰어나기로 유명한 내과 의사 잭 마이어스 박사를 인터뷰하고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피플은 혈액 매개 감염성 박테리아에 국한된 마이신의 범위를 확장하여 1000가지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의료 전문가 시스템' 또는 AI의 한 형태인 캐듀서스(CADUCEUS)를 개발했습니다. 현재 암 치료에는 최소 800여 가지의 약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치료법에 대한 연구 증거의 양은 방대합니다. 
Computer-based systems that emulate human thinking in medical decision-making have been around since the early 1970s, when INTERNIST-I was designed as a diagnostic tool in internal medicine, paralleled by MYCIN (developed at Stanford University) as an AI system that could both identify bacteria causing infections and recommend suitable antibiotic treatment with dosage keyed to body weight. The patient describes symptoms to the computer, which in turn offers a diagnosis. Starting in the mid-1970s, Harry Pople at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interviewed and gathered data from Dr Jack Meyers, an experienced internal medicine doctor renowned for his diagnostic acumen. Over a period of more than 10 years, Pople expanded on the narrow focus of MYCIN on blood-borne infectious bacteria, to develop CADUCEUS, a ‘medical expert system’ or form of AI that could diagnose 1000 diseases. As a current example, the spectrum of current cancer treatments involves at least 800 different drugs and the volume of research evidence behind such treatments is enormous.

AI는 망원경과 현미경을 동시에 적용하여 대규모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스마트하고 개인화된 정밀 치료를 가능하게 하며, Microsoft가 진행 중인 '프로젝트 하노버'가 그 예입니다.16 이러한 전문가 시스템은 저장된 지식(사실과 규칙 모두)을 기반으로 작동하여 추론을 실현하고, 알려진 사실에 규칙을 적용하여 새로운 사실과 설명까지 추론합니다. 대량의 데이터를 개인의 편견과 편견의 오염 없이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17 그러나 여기에는 인공지능의 내부 모순이 있습니다. 

  • '폐쇄적' 연산이기 때문에 '객관적'으로만 작동할 수 있으며, 입력에서 출력까지 경로를 오염시키는 역설적인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러한 선형 시스템은 인간의 피드백과 재설계를 통해 조정할 수 있습니다. 반면 인간은 여러 개의 경쟁적인 피드백 루프가 있는 '개방형' 시스템(복잡하고 역동적이며 적응적)이며, 많은 인지적 편향과 정서적 오염을 보입니다. 그러나 불확실성에서 비롯된 이러한 색채가 바로 의료 상담에 의미를 부여하거나 진심을 다할 수 있는 이유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환자들은 의사가 세심하고 공감적으로 경청할 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접촉하는 '따뜻한' 의술을 원합니다.5 또한 은유의 광범위한 사용은 이러한 의료적 만남에 언어적 '신체'를 더하는 반면,2 아직까지 AI는 은유를 잠재적 오염으로 간주합니다.18 이는 우리가 AI 시대로 더 깊이 들어가면서 의학 교육도 감각을 교육하고 임상 업무에서 은유를 능숙하게 사용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AI allows simultaneous application of a telescope and microscope, harnessing large databases for smart, personalised precision treatments, exemplified in Microsoft's ongoing ‘Project Hanover.’16 Such expert systems work on the basis of stored knowledge (both facts and rules) realising inferences, where rules are applied to known facts to deduce new facts and even explanations. Large quantities of data can be dealt with rapidly without contamination from personal bias and prejudice.17 Here, however, is AI’s internal contradiction:

  • it can only function ‘objectively’ because it is a ‘closed’ operation; there are no paradoxical elements contaminating the route from input to output.

Such a linear system can of course be adapted through human feedback and redesign. Humans, by contrast, are ‘open’ systems (complex, dynamic and adaptive) with multiple, competing feedback loops, and show many cognitive biases and emotional contaminations. But it is precisely in such colourations arising from uncertainty that medical consultations may gain meaning, or are given heart. Research shows that patients want an embodied ‘warm’ medicine where doctors not only listen attentively and empathically, but also touch appropriately.5 Further, the widespread use of metaphor adds linguistic ‘body’ to such medical encounters,2 whereas AI, as yet, spurns metaphor as potential contamination.18 This suggests that as we move deeper into the AI age, medical education must also focus on educating the senses and on fluency in use of metaphor in clinical work.

우리는 AI의 사용 증가가 '해결책주의'의 형태로 의학과 의학교육에 가져올 수 있는 오만함을 인식해야 하며, 이는 교육적, 윤리적 함의를 모두 가져올 수 있습니다. 최근 파이낸셜 타임즈에서 유전자 편집 기술인 크리스퍼 유전자가위(CRISPR)의 공동 발견자인 제니퍼 두드나와의 인터뷰는 똑똑한 AI '해결책주의'가 어떻게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를 가릴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19

  • 첫째, 과학적 오만: 크리스퍼 유전자 편집 기술은 복잡성과 잠재적 위험을 가리는 은유를 통해 설명됩니다. 이 기술은 '유전자를 자르거나' '가위처럼 자를 수 있는' '강력한 기술'입니다.
  • 둘째, 교육적 도구주의: 위 크리스퍼의 은유에 담긴 공학적 사고방식을 반영하듯, 의학교육은 복잡한 학습을 평가 목적으로 관찰 가능한 도구적 결과로 축소하는 경향이 있는 '역량' 운동의 게으른 언어와 관행에 제대로 도전하지 못했습니다. 이는 '가능성 학습'과 혁신이 '안정을 위한 학습'이라는 안전지대로의 후퇴로 대체되는, 의도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한 역량 교육학을 잠재적으로 속일 수 있습니다.

We should be aware of the creeping hubris that increasing use of AI may bring to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in the form of ‘solutionism,’ introducing both pedagogical and ethical implications. A recent interview in the Financial Times with Jennifer Doudna, the co-discoverer of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CRISPR), the gene-editing technology, shows how smart AI ‘solutionism’ can mask a range of complex issues.19 

  • First, scientific hubris: Crispr gene-editing technology is described through metaphors that mask complexity and potential dangers. It is a ‘powerful technology’ that can ‘snip out genes’ or ‘cut like scissors.’
  • Second, pedagogical instrumentalism: mirroring the engineering mentality of Crispr's metaphors above, medical education has simply failed to properly challenge the lazy language and practices of the ‘competence’ movement that tend to reduce complex learning to instrumental, observable outcomes for assessment purposes. This potentially cheats a purposeful and imaginative pedagogy of capabilities, where ‘possibility learning and innovation are replaced by a retreat to the safe ground of ‘learning for stability.’

 

  • 셋째, 매우 중요한 것은 인공지능이 중심이 되는 의학 및 관련 의학교육의 미래에 대한 윤리적 함의가 복잡하고 긴급하며, 종종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중국 과학자 허젠쿠이는 크리스퍼 편집 쌍둥이의 탄생을 발표했을 때 이 위험한 행동으로 인해 3년의 징역형과 거액의 벌금을 선고받고 과학자 경력을 끝내야 했습니다. 물론 이것은 수사학적으로 사용된 극단적인 예입니다. 하지만 예를 들어 의학교육 시뮬레이션에서 SimMan과 같은 복잡한 마네킹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가정하면, 이러한 시뮬레이션 작업이 남성 성별 모델에 국한된다는 윤리적 수수께끼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 Third, and extremely important, the ethical implications of an AI-heavy medicine and associated medical education future are complex and emergent, often context-specific. For example, when the Chinese scientist He Jiankui announced the birth of Crispr-edited twins, this rogue action led to a jail sentence of 3 years, a hefty fine and the end of a scientific career. This of course is an extreme example used rhetorically. Yet, if we tone this down to, for example, the widespread use of complex manikins such as SimMan in medical education simulations, what do we make of the ethical conundrum that such simulation work is limited to a male-gendered model?

3 인간이 컴퓨터가 되는 순간
3 WHERE THE HUMAN BECOMES COMPUTER

일반적으로 우리는 컴퓨터를 인간처럼 만들기 위해 노력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인간이 컴퓨터처럼 되기를 원합니다. 에드워드 프렌켈의 사랑과 수학: 숨겨진 현실의 핵심은 1980년대에 수학 가정교사이자 멘토였던 야코프 이사에비치가 모스크바 병원의 선임 비뇨기과 의사들과 함께 일하면서 그들이 진단 및 의사 결정 전문 지식을 합리화하도록 도왔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20 컴퓨터의 도움 없이 이사에비치는 의사들이 구두로 사고 전략을 연습하면 이사에비치가 이를 간소화하여 의사들에게 다시 반영하여 고려하도록 하는 'thinking aloud' 연구를 사용했습니다. Isaevich는 의사들의 진단 의사 결정 과정 중 85%~90%가 중복적이며, 나머지 핵심적인 10%~15%는 의사 결정 트리로 명확하게(명료화 및 매핑) 만들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인간의 직관, 순수한 알고리즘 논리, 발명이 겹치는 영역에서 일하면서 Isaevich는 AI를 임상 업무에 적용하기 위한 템플릿을 공식화했지만, 기계가 개입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면 말이죠. 오히려 논리학자 자신이 기계가 되었습니다. 
Where we generally strive to make computers more like humans, some would like humans to be more like computers. Edward Frenkel's Love and Math: The Heart of Hidden Reality tells the story of how his mathematics tutor and mentor Yakov Isaevich had been working in the 1980s with senior urologists in a Moscow hospital, helping them to rationalise their diagnostic and wider decision-making expertise.20 Without the help of computers, Isaevich employed ‘thinking aloud’ research, where doctors would verbally rehearse thinking strategies and Isaevich would streamline these, mirroring them back to the doctors for consideration. Isaevich concluded that 85%-90% of the doctors’ diagnostic decision-making processes were redundant, and the remaining key 10%-15% could be made plain (articulated and mapped) as decision trees. Working in the territory of overlap between human intuition, pure algorithmic logic and invention, Isaevich formulated a template for the application of AI to clinical work, except that, again, no machine was involved. Rather, the logician was himself becoming the machine.

이사예비치는 학부 마지막 학기였던 프렌켈에게 이사예비치의 의료 추론 프로젝트에 함께 일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그는 프렌켈을 신장 이식 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박사 학위 논문을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던 젊은 비뇨기과 의사 세르게이 아루티유니안과 짝을 이루게 했습니다. 환자의 면역 체계가 이식된 신장을 거부하는 경우, 의사와 외과의는 그 자리에서 신장을 제거할지 아니면 사투를 벌일지 결정해야 합니다. 신장을 유지하면 환자가 사망할 수도 있지만, 제거하면 환자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 또 다른 기증을 받아야 합니다. 아루투니안은 초음파 판독을 통해 수집한 환자 집단의 정량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40가지의 다양한 매개변수(의사의 의사 결정은 보조 기술에 의해 보강되기도 하고 압도되기도 함)를 바탕으로 이 딜레마에 대한 직관적이지 않고 논리적인 해답을 찾고자 했습니다. 우아하고 최소한의 의사 결정을 위한 객관적인 기준이 마련될 수 있을까요? 
Isaevich invited Frenkel, now in his final undergraduate year, to work with Isaevich's medical reasoning project. He paired Frenkel with a young urologist, Sergei Arutyunyan, who was collecting data for a PhD thesis on problems encountered in transplanting kidneys. Where patients’ immune systems reject transplanted kidneys, doctors and surgeons must make on-the-spot decisions about removing the kidney or fighting for it. Keeping the kidney could lead to the patient's death, but removal puts the patient back to square one, needing another donation. Arutyunyan wanted a logical, and not intuitive, answer to this dilemma based on quantitative data from patient populations gathered through ultrasound readings yielding a wieldy 40 different parameters (the doctor's decision making then both augmented and overwhelmed by the supplemental technology). Could a set of objective criteria be established for elegant, minimalist decision making?

흥미롭게도 프렌켈이 이룬 의료 AI의 도약은 성과가 있었습니다. 순수하게 수학자로 교육을 받은 프렌켈은 의사 아루투니안과 역할을 바꿔, 구현된 기계로서 이 좁은 전문 영역에서 의사의 의사 결정 전문성을 모방하고 심지어 향상시킬 수 있는지 확인했습니다. 프렌켈은 아루투니안이 복잡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270명의 환자 각각이 고유한 사례를 제시했지만, 환자들에게도 주요 공통 속성과 문제가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그는 30명의 환자 데이터를 무작위로 선택하고 패턴을 찾아 이식 신장이 거부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의사 결정을 내릴 때 일반화할 수 있는 일련의 규칙을 조합하려고 했습니다. 
Interestingly, the medicine AI leap that Frenkel made was performative. Although educated purely as a mathematician, he reversed roles with the doctor Arutyunyan to see if, as an embodied machine, he could imitate, even enhance, the doctor's decision-making expertise in this narrowly defined area of expertise. Although each of 270 patients for whom Arutyunyan had complex data presented a unique case, Frenkel saw that patients also displayed key common attributes and issues. He tried to piece together a generalisable set of rules for decision making in the case of potential rejection of transplanted kidneys by randomly choosing data for 30 patients and looking for patterns.

이를 통해 그는 아루티유니안이 모델링한 진단 추론 프로세스에 들어가 일반적인 규칙을 이해했습니다. 프렌켈은 의사 의자에 앉았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기록을 참조할 때도 아루티유니안이 환자에 대한 질문을 하면 프렌켈이 파일을 참조하여 대답하는 방식으로 환자의 마음속으로 들어갔습니다. 이런 식으로 프렌켈은 퍼즐을 완성하는 것이 아니라 풀어나가는 것처럼 질문하는 패턴을 고안해냈습니다. 그는 실제로 서너 가지의 핵심적인 임상 해부학적 질문만으로 진단에 도달할 수 있으며, 이를 의사 결정 트리로 쉽게 매핑할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습니다. 프로세스 규칙을 학습한 프렌켈 역시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었고, 말콤 글래드웰이 제안한 집중적인 연습을 통해 전문 지식을 습득하는 '1만 시간'의 법칙에 도전할 수 있었습니다.21 프렌켈은 지능형 기계처럼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는 실시간 의료 상담이나 주요 의료-수술 팀 기반 의사 결정의 '뜨거운' 실제 상황과는 완전히 분리된 작동 규칙을 '차갑게' 학습한 상태였습니다. 프렌켈은 이전에는 초음파 진단에서 확인되지 않았던 '간단한 알고리즘'을 발견했는데, 이 알고리즘은 소수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 적합했습니다. 
Thus, he got inside the diagnostic reasoning process that Arutyunyan modelled and made sense of its generic rules. Frenkel not only sat in the doctor's chair but also in his mind, when consulting patients’ records as Arutyunyan asked him questions about these patients that Frenkel would then answer by consulting their files. In this way, as he describes it himself, Frenkel conceived a pattern of questioning as if he were undoing, rather than completing, a jigsaw. He noted that Arutyunyan could in fact arrive at a diagnosis after only three or four key clinical-anatomical questions and that these could be readily mapped as a decision tree. Having learned the process rules, Frenkel too could make a correct diagnosis, challenging the ‘10 000 hours’ rule of acquiring expertise through focused practice as suggested by Malcolm Gladwell.21 Frenkel had, as intelligent machines do, learned ‘cold’ the rules of operation, completely divorced from the ‘hot’ flesh-and-blood contexts of live medical consultations, or key medico-surgical team-based decisions, that must embrace uncertainty. Frenkel had discovered a ‘simple algorithm’ at play (that fitted all but a small number of cases) that, he claimed, had previously not been identified in ultrasound diagnostics.

컴퓨터의 도움 없이 의사의 역할을 수행한 프렌켈은 '하루 동안의 의사'이자 '기계 지능'이 되었으며, AI형 인지가 의사의 업무를 보완하는 것이 아니라 대체하는 것이라는 프레임을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기술 프레임워크에 의해 실제 의술이 강화되는 것이 아니라 대체되는 것을 환영해야 할까요? 체화된 의학과 체화되지 않은 인공지능 사이의 모순된 공간에서 점점 더 많은 일을 하게 될 미래 의사들의 정체성은 어떤 식으로 형성될까요? 다시 말하지만, 

  • 인간의 전문성은 모호성을 용인하도록 설계된 개방적이고 역동적이며 복잡한 시스템의 산물이지만,
  • 전문가 시스템은 폐쇄적이고 피드백을 통해 반복되며 모호성을 용납하지 않는 선형적입니다. 

전문가 시스템은 선형적이고 계층적인 명령과 통제 프로세스를 따르기 때문에 권위적일 수밖에 없으며, 동적인 문제에 대해 안정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기도 합니다.
Acting in the role of the computer but without the help of a computer, Frenkel became ‘doctor for a day’ and ‘machine intelligent,’ framing AI-type cognition as not just supplementing but supplanting the doctor's work. But do we welcome this displacement, rather than enhancement, of hands-on medicine by a technological framework? In what sense might this shape doctors’ identities in the future as they increasingly work in a contradictory space between embodied medicine and disembodied AI? Again,

  • although human expertise is the product of an open, dynamic, complex system designed to tolerate ambiguity,
  • expert systems are linear: closed; looped through feedback, and intolerant of ambiguity.

They are inevitably authoritarian as they conform to linear, hierarchical processes of command and control, also suggesting stable solutions to problems that are dynamic.

4 계산의 지배력 증가: 의료 도구에서 디지털 도구까지
4 THE INCREASING DOMINANCE OF CALCULATION: FROM MEDICAL TOOLS TO DIGITAL TOOLS

육체가 있고 구체화된 실습 의학과 육체가 없고 구체화되지 않은 기계가 주도하는 의학을 분리하는 것은 기술의 가치를 깎아내리기 위한 수사학적 장치(거짓 반대)로 볼 수 있습니다. 결국 기술은 인간의 감각, 존재론적 대상13, 인간의 '기계적 집합체'의 연장이 아닐까요?"22, 23 우리가 우려하는 것은 기계 시뮬레이션과 같은 기술이 인간 행위자로부터 분리되어 거품 속에서 작동하고, 실습이 실습 검사를 대체하기 시작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과연 기술에 대한 매혹과 그에 따른 과잉 검사는 의학계에서 치료해야 할 증상일까요?"24 이 분야에 대해 간략히 살펴봅시다.
Our separation of a fleshly, embodied hands-on medicine and a fleshless, disembodied machine-led medicine could be seen as a rhetorical device (a false opposition) to discount the value of technologies. After all, are technologies not extensions of the human senses, ontological objects13 and humans’ ‘machinic assemblages?’22, 23 Our fear is that technologies, like mechanical simulations, can become disengaged from human actors to operate in a bubble, where hands-off testing begins to be a substitute for hands-on examinations. Indeed, is fascination with technology and consequent over-testing a symptom in medicine that should be treated?24 Let us briefly review the field.

로봇 수술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하드' 의료 기술25과 앞서 논의한 유전자 편집에 사용되는 크리스퍼 염기서열과 같은 '소프트' 의료 기술19, 26은 계속해서 빠른 속도로 의료 행위를 재편하고 있습니다.27 컴퓨터화된 기기는 의료 서비스 제공에서 인간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습니다. 마취는 이제 의사가 마취를 유도할 때를 제외하고는 환자의 육체를 거의 보지 않을 정도로 기계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때 인간 기술자가 수행하던 다양한 실험실 테스트가 컴퓨터화된 기계에 의해 일상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며,28 일부 수술 절차에서는 로봇과 같은 자동화 기술이 외과의의 모습을 보완했다가 대체하기도 합니다. 
New forms of ‘hard’ medical technologies such as robotic surgery25 and ‘soft’ ones such as Crispr sequences used to edit genes, discussed earlier,19, 26 continue to reshape medical practice at an accelerating pace.27 Computerised devices are rapidly replacing human beings in the delivery of medical services. Anaesthesia is now so machine dependent that practitioners rarely look at the patient in the flesh, other than at induction. In addition, a wide variety of laboratory tests that were once conducted by human technicians have long been routinely performed by computerised machines,28 and forms of automation such as robotics have in some surgical procedures come to augment and then displace the figure of the surgeon.

실제로 최근 출시된 'GP at Hand' 앱과 같은 자가 진단 AI가 성공을 거두면 의사들은 일자리를 잃게 될 것입니다.29 이 기술은 챗봇 형태의 AI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질문 메시지에 따라 증상을 입력하면 확률을 통해 감별 진단을 내리고 다음 단계를 제안합니다. 신약 개발과 같은 임상시험에 준하는 규제와 절차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윤리적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습니다. 또한 데이터 보호, 제3자 개입, 잘못된 코딩(백인 인종에 대한 알고리즘 편향성 포함)도 이러한 개발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진단을 지원하기 위해 기계와 컴퓨터를 사용한다는 것은 행동, 감각 및 상호 작용을 모두 숫자 또는 픽셀 단위의 기술 형식에 맞게 계산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결과적으로 건강과 신원 모두 점점 더 계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게 될 것이며, 20년 전 굿맨의 예측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의료 전문직의 미래는 계산적이다."28 이러한 도구주의와 효율성은 건강을 '관리'하는 앞서 설명한 신자유주의적 가치 체계로 우리를 되돌려 놓습니다. 또한 계산적 프레임워크는 의료 교육학을 형성할 것이며, 이러한 교육학은 말 그대로 도구적 교육이 될 것이며, 인도적이고 윤리적 치료를 배양하는 전통적인 병상 참여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감각적 능력보다는 주로 학생들의 시각적 기반 '판독'에 대한 피드백을 요구하게 될 것입니다. 
Indeed, doctors themselves will be threatened with redundancy should self-diagnosing AI such as the recent app ‘GP at Hand’ prove successful!29 This technology uses AI in the form of a chatbot, where users write their symptoms according to question prompts, resulting in a differential diagnosis with probabilities and suggested next steps. Without regulation and the equivalent of clinical trials (as you would expect for, say, a new pharmaceutical) this leaves ethical questions unanswered for this kind of application. Further, data protection, third party intervention and poor coding (including algorithmic bias towards white ethnic groups) are all problems arising from such developments. Employing machines and computers to assist in diagnosing means that actions, sensations and interactions all have to be calculated in order to fit the technological form, which is in digits or pixels. Consequently, both health and identities are increasingly framed in computational terms, realising Goodman's prediction from two decades ago that: ‘the future of the health professions is computational.’28 Such instrumentalism and efficiency returns us to the neoliberal values framework described earlier, where health is ‘managed.’ Further, calculative frameworks will shape medical pedagogy, such pedagogy in turn becoming literally instrumental, requiring mostly feedback on students’ optically based ‘readouts’ rather than a range of sensory capabilities such as those required in traditional bedside engagement that cultivates humane, ethical care.

5 중재 및 의미 만들기
5 MEDIATION AND MEANING MAKING

의료에 새로운 기술이 도입될 때마다 의사는 고유한 맥락에서 이를 어떻게 이해할지 고민해야 합니다.30 의료 기술을 매개하는 것은 '확장된 인지'를 가진 '확장된 인간'으로 초점을 이동시키고 있습니다.31 매개체는 변형하고 번역할 뿐만 아니라 전달해야 할 요소의 의미를 잠재적으로 왜곡하고 수정합니다.32 기술 혁신이 의사의 감각을 확장하고 조절하는 의학에서 감각 비율, 지각 유형 또는 지각 패턴을 변경하는 등의 효과는 광범위하게 조사되지 않았습니다. 의료 정보 기술이 의료 과실을 줄여 환자 안전을 향상시킬 것이라는 약속은 아직 완전히 실현되지 않았습니다.33, 34
Whenever new technologies are introduced into health care, doctors have to figure out how to make sense of them in unique contexts,30 where mediating medical technologies are shifting the focus to the ‘extended human’ with ‘extended cognition.’31 Mediators transform and translate, but also potentially distort and modify the meaning of the elements they are supposed to carry.32 In medicine, where technological innovations extend and modulate the doctor's senses, the effects, such as altering sense ratios, type of perception or patterns of perception, have not been extensively investigated. The promise that health information technologies will increase patient safety by decreasing medical error has yet to be fully realised.33, 34

AI는 또한 자아의 기술을 구성하여 이를 사용하는 의사의 정체성과 성격을 적극적으로 형성하며,35 여기서 정체성은 수행 능력, 즉 자신이 하는 것입니다.36 로봇 수술이 대표적인 예로, 최악의 시나리오는 개복 수술을 수행할 줄 아는 외과의가 감소하는 것입니다.36 기술 사용의 변화로 인해 혈관 방사선 전문의가 혈관 외과 전문의의 내부자가 되는 등 새로운 기술의 도입에는 다양한 내부자 및 외부자 역학 관계가 수반됩니다.37 [새로운 기술의 도입]은 [새로운 언어의 채택]과 누가 (하위) 전문 분야에 포함되거나 제외되는지에 대한 [새로운 관할권 주장]으로 이어져 정체성에 혼란을 야기합니다. 
AI also constitutes technologies of the self, actively shaping the identities and characters of the doctors that make use of them,35 where identity is performance, something that one does.36 A key example is robotic surgery, where a worst-case scenario is a decline in surgeons knowing how to perform an open surgery.36 A variety of insider and outsider dynamics come with the uptake of new technologies, such as vascular radiologists becoming insiders to the vascular surgeons due to a change in use of technology.37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leads to the adoption of new languages and new jurisdictional claims about who is included in or excluded from the (sub)specialty, confounding identities.

그러나 기술은 사용 방식에 따라 그 의미와 궁극적인 기능이 달라지는 [관계적인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38 의료 서비스에서 컴퓨팅 시스템의 효과는 정확성과 성능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수용도, 사용 맥락, 임상적 만남을 포함한 사회적 및 직업적 상호 작용에 대한 결과도 분석해야 합니다.39 기술이 종종 의사와 환자 간의 거리를 넓히기 때문입니다. 환자 침대 옆에 있는 컴퓨터 주위에 모여 있는 의사나 환자의 증상보다는 검사 결과 등 환자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컴퓨터 화면을 바라보는 가정의의 많은 예처럼,40 기술은 임상의의 시선을 환자의 신체에서 기기로 향하게 할 수 있습니다. 아브라함 베르게스와 동료들은 '차트 선반 주변과 방사선실에서 모든 전문의가 모여 환자에 대해 논의하던 중요한 사회적 의식의 상실'을 통해 EMR 구축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지적합니다.41 
However, technologies can be seen as relational: only getting their meanings and ultimate functions in the ways that they are put to use.38 The effects of computing systems in health care are subject to analysis not only of accuracy and performance but also of acceptance by users, of the context of use, and of consequences for social and professional interaction, including the clinical encounter, as technologies often distance doctors from their patients.39 Technologies can direct the clinician's gaze away from the patient's body towards the device,40 like the many examples of doctors gathering around a computer next to the bed of the patient, or the family practitioner who looks at the computer screen for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such as test results, rather than at the patient's presenting symptoms. Abraham Verghese and colleagues point to the unintended consequences of establish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through ‘loss of important social rituals … around the chart rack and in the radiology suite, where all specialties converged to discuss patients.41

6 선물 상자를 열었지만 블랙박스만 발견하다
6 OPENING THE GIFT BOX ONLY TO FIND A BLACK BOX

인공지능은 우리에게 거절할 수 없는 선물을 선사할까요? 대부분의 기술 혁신은 의사와 환자 사이를 매개하지만, AI는 그 이상의 역할을 합니다. 존 매카시의 '생각할 수 있는 기계'에서처럼 예측을 합니다.6 대부분의 AI 시스템에서는 입력과 출력이 모두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제공됩니다. 전문가가 AI 프로그램이 올바른 연결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훈련 기간 동안 AI가 입력과 출력 사이의 패턴을 인식한 후에는 입력만으로 소프트웨어가 개발된 알고리즘에 따라 출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피부과에서 피부암을 인식하는 연구에서 다양한 디지털 사진과 해당 질병 라벨을 각각 입력과 출력으로 제공했습니다.42 훈련 기간이 지나자 AI 소프트웨어는 새로운 피부암 이미지를 기반으로 특정 질병을 진단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 AI는 질병을 인식하는 방법을 '학습'하여 숙련된 안과 의사의 망막 이미지 진단이 AI보다 정확도가 떨어지는 등 숙련된 의사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수준까지 매우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43 이러한 형태의 AI인 머신러닝은 영상의학, 병리학 및 종양학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됩니다.44 임상적으로 관련된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려면 AI는 정의된 샘플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이전 학습 기록의 맥락에서 처리된 많은 환자의 입력 데이터가 필요합니다.45 이러한 유형의 AI는 의사 결정을 내리는 것으로 가정된 특정 신경 아키텍처를 수학적으로 표현한 것이므로 인공 신경망(ANN)을 생성한다고도 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AI는 중환자실과 정신과에서 환자의 특정 위험이나 약물 부작용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Surely AI offers a gift we cannot refuse? Although most technical innovations mediate between the doctor and patient, AI does something more than that: it predicts, as in John McCarthy's ‘machines that can think.’6 In most AI systems, both input and output are provided to a software program. After AI has recognised a pattern between input and output during a training period in which the expert assists the AI program in making the right connection, only the input will be sufficient for the software to provide an output based on its developed algorithm. For example, in a study on recognising skin cancer in dermatology, many different digital pictures and their corresponding disease labels were provided as input and output, respectively.42 After a training period, the AI software was able to diagnose the specific disease based on a new image of skin cancer. AI has now ‘learned’ to recognise diseases, and is able to do so very fast and accurately, up to the same, or an even higher, level as an experienced doctor, such as experienced ophthalmologists’ diagnoses of retinal images being less accurate than those of their AI counterpart.43 This form of AI, machine learning, is applied widely in radiology, pathology and oncology.44 To produce clinically relevant output data, AI needs input data from many patients, processed in the context of previous training history on a defined sample database.45 As this type of AI is a mathematical representation of the particular neural architecture assumed to make decisions, it is often said to produce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This type of AI has been used to predict certain risks or adverse reactions to drugs for patients in both intensive care and psychiatry.

이 모든 것은 문제가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몇 가지 한계가 있습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AI가 사용하는 데이터 세트의 기본 입력은 지금까지 숫자 또는 디지털 픽셀 단위인 AI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언어에 맞아야 합니다. 즉, 의사는 이 언어를 준수하는 입력으로 기억상실증의 측면만 제공할 수 있으므로 AI의 일부가 될 수 있는 항목에 제한이 있습니다. 다른 측면은 무시되거나(예: 터치) 컴퓨터의 '생각' 형태에 맞게 조작(예: 텍스트)됩니다. 의사가 물리적으로 경험하는 행동과 감각은 이제 계산되어야 합니다. 
This all seems to be non-problematic. However,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as mentioned earlier, the basic input for the datasets that AI uses should fit the language of the AI software program, which is so far in digits or digital pixels. This means that a doctor can only provide those aspects of the anamnesis as input that complies with this language, thus placing a limitation on what can become part of AI. Other aspects are either ignored (eg, touch) or manipulated (eg, text) in such a way that they fit to the form of ‘thought’ of a computer. Actions and sensations that are experienced physically by a doctor now have to be calculated.

결국 의료 교육도 계산화될 것입니다. 이에 대한 글은 이미 벽에 써져 있습니다. 혁신적인 사회물질적, 사회문화적 모델이 의학교육에 도입된 후 초기의 흥분 이후, 역량 운동과 '위탁 가능한 전문 활동'(EPA)은 의학교육에 대한 새로운 믿음을 대표하며, [비판적 학습은 예측 가능한 결과의 '고지'가 아니라 불확실성, 독특성, 가치 갈등(과정으로서의)의 '늪지대'에서 발생한다]는 도널드 쇤의 주요 통찰을 버린 것처럼 보입니다.46 
In turn, perhaps medical pedagogies too will become calculated. The writing is on the wall for this. After an initial flush of excitement after innovative sociomaterial and sociocultural models were introduced to medical education, the competence movement and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represent the new faith in medical education, seemingly abandoning the major insight of Donald Schön, that critical learning occurs in the ‘swampy lowland’ of uncertainty, uniqueness and value conflict (as process), rather than the ‘high ground’ of predictable outcomes.46

이런 식으로 전문가와 환자의 신체, 다른 의료진, 도구와의 임상적 관계는 파편화되고 기술적인 형태로 재구성됩니다. 이는 질병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지만, 의사의 전문성을 제약하는 측면이 더 큽니다. 이러한 전문성은 상당 부분 암묵적이거나 암묵적(예: '눈 깜빡임' 패턴 인식 또는 유형 1 추론 사용)이며, 구현된 많은 기술은 모델링에 접근하기 어렵습니다.47 이는 비뇨기과 의사들이 '소리 내어 생각하기'를 통해 대부분 은밀한 의사 결정 과정을 언어화(따라서 합리화)하도록 도왔던 프렌켈의 도전이기도 했습니다. 또한 AI가 의학의 모호성을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여겨질 수 있지만, 전문성을 통해 발달한 직관이나 '인지 무의식'48의 중요성을 거부함으로써 불확실성을 증가시키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이러한 중재는 환자의 생생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파악'인 구체화된 실천의 잠재적 손실을 수반합니다.15 입력 경계와 관련된 또 다른 한계는 '가치 정렬'로, 이는 AI가 인간의 목표와 가치에 따라 행동하도록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다룹니다. 옳고 그름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일련의 가치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숙련된 의사는 특정 환자의 목표에 따라 어떤 치료법을 다른 치료법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때를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목표는 아직까지 AI에서 설정할 수 없지만, 설령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시스템이 어떻게 이해하고 도덕화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습니다. 
In this way, the clinical relation of the expert to patients’ bodies, to other practitioners and to tools becomes fragmented and reconstructed in technological forms. This might reduce the complexity of a disease, but more, it constrains the expertise of a doctor. Such expertise is to a great extent implicit or tacit (eg, in employing ‘blink-of-an-eye’ pattern recognition or Type 1 reasoning) and many embodied techniques are inaccessible to modelling.47 This was also the challenge of Frenkel, who helped the urologists to verbalise (and hence rationalise) their mostly covert decision-making process by making them ‘think aloud,’ a contested way of trying to get inside doctors’ minds. In addition, where AI might be seen as a means to reduce ambiguity in medicine, it can have unintended consequences of increasing uncertainty by refusing the importance of intuition or the ‘cognitive unconscious48 developed through expertise. Again, the mediation thus comes with a potential loss of embodied practice, the phenomenological ‘grasp’ of the patient's lived experience.15 Another limitation related to the input boundary is ‘value alignment’; this deals with how AI can be taught to act in accordance with human goals and values. Often, a set of values is necessary to tell right from wrong. An experienced doctor knows when to value one treatment over another, given the goal for this particular patient. These types of goals cannot be set in AI so far, but even when this will be possible, it is unknown how (and how we know that) the system understands and can moralise.

AI의 출력이 뉘앙스의 여지가 없는 참/거짓 유형의 목표로 제한되는 경우, 이는 제어와 관련된 또 다른 한계에 직면하게 됩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지금까지 AI에는 피드백이 불가능했습니다.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면 목표를 변경할 수 없습니다. 루프가 닫힙니다. 또한 어떤 경로가 사용되어 특정 결과가 나왔는지, 신경망의 특정 계층 사이에 왜 특정 가중치가 있었는지 역추적하기가 어렵습니다. 의료 현장에서 의사들은 환자에 대한 진단을 확인하기 위해 서로에게 자주 물어보며 일반적인 규칙에 맞지 않을 수 있는 특이한 사례의 구체적인 세부 사항을 추론할 여지를 제공하지만, 컴퓨터에게 특정 진단에 도달한 방법과 이유를 설명해 달라고 요청하기는 어렵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와의 의도적인 상호 작용이 없으며, 정보로 축소된다는 점입니다. 성능의 정확성과 효율성(선물 상자)에도 불구하고 AI는 종종 블랙박스와 같습니다. 
Where the output of AI is limited to a true/false type of goal, with no room for nuance, this brings us to another limitation, which deals with control. As noted earlier, there is until now no feedback possible in AI. Once the software is running, goals cannot be changed. The loop is closed. Moreover, it is difficult to trace back what pathways have been used that led to a certain outcome, or why there was a particular weight between certain layers of the neural network. In medical practice, doctors frequently ask each other to verify a diagnosis for a patient, giving room for reasoning on the specific details of the idiosyncratic case that might not fit the general rules, but it is difficult to ask a computer to explain how and why it came to a particular diagnosis. Most importantly, there is no intentional interaction with the patient, who is also reduced to information. Despite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the performance (a gift box), AI is often a black box.

이 블랙박스를 열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AI는 의사가 이해하지 못하거나 동의하지 않거나 잘못된 '솔루션'을 제공하여 의사를 온갖 종류의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책임과 대행에 관한 윤리적 문제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이미 크리스퍼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 치료제에 대해 언급했으며, 최근 간세포에 개입하면 '나쁜' 콜레스테롤 생성 수준을 바꿀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하지만 심장마비 가능성을 제어할 수 있다는 이 약속이 구조적 불평등을 통한 사회적 불공평이라는 더 큰 건강 문제에 의해 가로채질 수 있을까요? 새로운 기술의 혜택은 누구에게 돌아갈까요? 인공지능에 대한 입력은 병원에 내원하는 환자에 국한되기 때문에 인공지능의 결과물은 같은 사람으로 제한되어 잠재적으로 불평등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최악의 경우, 미디어에 의해 심하게 악용되는 AI는 '폭주하는 대상'49이 되어 치료법이 증상으로 바뀔 수도 있습니다. 
This black box needs to be opened. If not, AI can place doctors in all kinds of difficult situations, providing ‘solutions’ that they do not understand or agree with, or that are erroneous, again raising ethical questions concerning responsibility and agency. We have already mentioned gene therapeutics using Crispr technologies, and recent developments show that intervention in liver cells can alter levels of production of ‘bad’ cholesterol. However, could this promise to control the potential for heart attacks be hijacked by the greater health problem of social injustice through structural inequality? Who will benefit from the new technologies? The input for AI goes as far as the patients who present themselves at the clinic, thus limiting the output of AI to those same people, potentially reinforcing inequality. In a worst-case scenario, heavily exploited by the media, AI may become a ‘runaway object,’49 rogue or autonomous, turning a cure into a symptom.

7 치료를 위한 교육인가, 관리를 위한 교육인가?
7 EDUCATING TO CURE OR TO CARE?

AI는 의사의 업무를 변화시키고 직업적 정체성을 재구성함으로써 의료 서비스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그러나 컴퓨터가 진단과 치료 측면에서 무엇을 할 수 있더라도 임상적 직관, 비언어적 지각, 공감과 같은 임상 치료의 복잡한 측면을 모두 충족시킬 수는 없으며, 이는 좋은 임상 치료와 전문직업성의 핵심입니다.50 따라서 '학습자가 환자와의 연결 능력을 희생하지 않고 이러한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도록 돕는 것이 차세대 의사 교육의 큰 과제 중 하나가 될 것입니다'40. 
AI will impact health care by changing doctors’ tasks and reshaping professional identities. However, no matter what a computer can do in terms of diagnosing and treating, it cannot fulfil the full range of complex aspects of clinical care, such as clinical intuition, ineffable perceptions and empathy, that are key to good clinical care and professionalism.50 Therefore, ‘helping our learners to master these new technologies without sacrificing their ability to connect with their patients will undoubtedly be one of the great challenges of educating the next generation of physicians.’40

의학교육은 의료 분야에서 [AI 시스템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커리큘럼 과정과 강의 계획서 내용에 어떻게 가장 잘 통합할 것인가라는 교육학적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커리큘럼 자체가 알고리즘화되는 도구주의의 함정에 빠질 위험이 있습니다. 학습자는 이러한 기술이 의료 문제에 대한 인식을 중재하고 틀을 짜는 데 사용될 것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합니다. [AI의 원리에 대한 교육 측면]에서 공식화는 학습자가 [자신의 감각적 경험과 관련하여], 그리고 [일상적인 의료 행위의 복잡하고 불확실한 현실에서 추론과 관련하여] AI 결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는 또한 전문가적 통제력을 회복하는 방법이기도 한데, AI를 사용한 작업을 규제함으로써 전문가적 정체성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38

Medical education faces a pedagogical challenge: how best to incorporate the critical examination of AI systems in health care as curriculum process and syllabus content. The danger is falling into the trap of instrumentalism, where the curriculum itself becomes algorithmic. Learners have to understand that these technologies will come to mediate and frame their perceptions of medical problems. Formalisation in terms of education on the principles of AI will help learners to make sense of AI output in relation to their own sensory experiences and in relation to reasoning in the complex and uncertain reality of everyday medical practice. It is also a way of regaining professional control, where regulating work with AI sets out to inoculate against the distortion of professional identity.38 

대부분의 AI 세부 사항은 의사의 전문적 한계를 넘어서는 것이지만, 테크놀로지는 [계산적 사고 방식을 넘어서는 의료 전문가로서의 부분]에 주의를 다시 집중할 기회를 제공하여 학습자가 독특한 환자와의 관계를 맺도록 요구합니다.

  • 의대생은 의료 행위가 배타적이고 명확하게 과학적, 통계적 또는 절차적이지 않으며, 따라서 지금까지는 계산으로 추적할 수 없다는 것을 배워야 합니다.
  • 마찬가지로 많은 임상적 의사 결정에는 사회적, 개인적, 윤리적, 심리적, 재정적, 가족적, 법적 및 기타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 전적으로 의학적인 것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 의학에는 본질적으로 예술성과 인간성이 내재되어 있으며, 이는 정의상 AI가 복제할 수 없는 가소성입니다. 의대생을 위한 AI 교육 개발은 '신체 교육학'을 배우는 것과 함께 진행되어야 합니다.15 
Although most AI detail will be beyond doctors’ professional limits, technologies offer an opportunity to refocus attention on the part of being a health care professional that is beyond calculative modes of thought, requiring learners to make a connection with a unique patient.

  • Medical students should be taught that the practice of medicine is not exclusively and clearly scientific, statistical or procedural, and hence is not, so far, computationally tractable.
  • Likewise, many clinical decisions are not exclusively medical, where they have social, personal, ethical, psychological, financial, familial, legal and other components.

In other words, medicine has an intrinsic artistry and humanity that by definition is plastic and cannot be replicated by AI. Developments in AI education for medical students must walk hand-in-hand with learning ‘body pedagogics.’15

8 결론
8 CONCLUSIONS

우리는 체화된 의학을 질문자로 삼아 의학 분야에서 AI의 성장을 단순히 나열하고 축하하기보다는 문제를 제기하여 비관론보다는 주의caution의 분위기를 조성했습니다. 우리는 또한 무비판적이고 반성적이지 않은 '해결책주의'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우리는 의학교육이 학부 과정에서 AI에 대한 조기 학습에 대한 요구에 느리게 대응해 왔으며, 특히 윤리적 의학을 실천하는 데 있어 AI와의 교류가 미래 의사의 정체성 구성에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합니다. 미래의 의사는 AI가 알지 못하는 것을 알아야 하며, 의사는 진단의 정확성을 넘어 환자에게 무엇을 계속 제공할 수 있을까요?"51 AI의 뼈대에 살을 붙여 봅시다.

Using embodied medicine as interrogator, we have problematised, rather than simply catalogued and celebrated, the growth of AI in medicine to set a tone of caution rather than pessimism. We have also problematised uncritical and unreflexive ‘solutionism.’ We note that medical education has been slow to respond to the demands of early learning about AI in undergraduate medicine, and that engaging with AI will become a key factor in the identity constructions of doctors of the future, particularly in the exercise of an ethical medicine. What will the physician of the future need to know that AI does not, and what will doctors continue to offer patients beyond diagnostic precision?51 Let us put flesh on the bones of AI.

 


 

Med Educ. 2021 Jan;55(1):30-36. doi: 10.1111/medu.14131. Epub 2020 Mar 30.

Where medical education meets artificial intelligence: 'Does technology care?'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2Julius Center for Health Sciences and Primary Care,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Utrecht, the Netherlands.

3Plymouth University Peninsula School of Medicine, Plymouth, UK.

PMID: 32078175

DOI: 10.1111/medu.14131

Abstract

'COLD' TECHNOLOGIES AND 'WARM' HANDS-ON MEDICINE NEED TO WALK HAND-IN-HAND: Technologies, such as deep lea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promise benign solutions to thorny, complex problems; but this view is misguided. Though AI has revolutionised aspects of technical medicine, it has brought in its wake practical, conceptual, pedagogical and ethical conundrums. For example, widespread adoption of technologies threatens to shift emphasis from 'hands-on' embodied clinical work to disembodied 'technology enhanced' fuzzy scenarios muddying ethical responsibilities. Where AI can offer a powerful sharpening of diagnostic accuracy and treatment options, 'cold' technologies and 'warm' hands-on medicine need to walk hand-in-hand. This presents a pedagogical challenge grounded in historical precedent: in the wake of Vesalian anatomy introducing the dominant metaphor of 'body as machine,' a medicine of qualities was devalued through the rise of instrumental scientific medicine. The AI age in medicine promises to redouble the machine metaphor, reducing complex patient experiences to linear problem-solving interventions promising 'solutionism.' As an instrumental intervention, AI can objectify patients, frustrating the benefits of dialogue, as patients' complex and often unpredictable fleshly experiences of illness are recalculated in solution-focused computational terms. SUSPICIONS ABOUT SOLUTIONS: The rate of change in numbers and sophistication of new technologies is daunting; they include surgical robotics, implants, computer programming and genetic interventions such as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CRISPR). Contributing to the focus of this issue on 'solutionism,' we explore how AI is often promoted as an all-encompassing answer to complex problems, including the pedagogical, where learning 'hands-on' bedside medicine has proven benefits beyond the technical. Where AI and embodied medicine have differing epistemological, ontological and axiological roots, we must not imagine that they will readily walk hand-in-hand down the aisle towards a happy marriage. Their union will be fractious, requiring lifelong guidance provided by a perceptive medical education suspicious of 'smart' solutions to complex problem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