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예과-의전원에서 학업성취에 학습스타일과 학업접근법 중 무엇이 더 중요할까? (Teach Learn Med. 2015)

Exam Success at Undergraduate and Graduate-Entry Medical Schools: Is Learning Style or Learning Approach More Important? A Critical Review Exploring Links Between Academic Success,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Approaches Among School-Leaver Entry (“Traditional”) and Graduate- Entry (“Nontraditional”) Medical Students

Anne-Marie Feeley

Education and Development: MB ChB Team, Warwick Medical School, The University of Warwick, Coventry, UK

Deborah L. Biggerstaff

Division of Mental Health and Wellbeing, Warwick Medical School, The University of Warwick, Coventry, UK






INTRODUCTION


앞서서 영국에서의 의과대학생 선발은 고등학교 학업성취도가 얼마나 높은가에 따라서 결정되어왔고, 이는 상대적으로 동질한 학생 그룹으로 이어졌다. 특히, 이러한 방법의 선발은 사교육으로 성공한 학생과 가난한 학생을 차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BMA는 2003년 보고서에서 영국에서 의과대학에 입학한 학생의 39.2%가 최상위 SES에 속하는데, 이 그룹은 근로자 연령층의 11.1%에 불과하다.

Previously, selection for medical school in the United King- dom has been based on high academic attainment at school, resulting in relatively homogeneous student groups.1 In partic- ular, this method of selection has been found to discriminate in favor of privately educated students and against students from poorer backgrounds. For example, a British Medical Association study reported that, in 2003, 39.2% of UK suc- cessful medical school applicants came from the highest socio- economic group (higher professional/managerial), even though this group accounted for just 11.1%of the working age population.2


이제 의과대학 선발은 더 다양한 입학생을 받는 방향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영국 정부는 Widening Access 정책을 펼치며, 비전통적(다양한 인종/문화 그룹으로부터, 취약계층으로부터, 더 성숙한(mature), 그리고 장애가 있는) 학생을 고등교육으로 들어오게끔 했다.

Now, medical selection is changing as the need to encour- age more diverse entrants has become imperative. The UK government has adopted a “Widening Access” policy that aims to encourage “nontraditional” students (i.e., those from different ethnic/cultural groups, those from disadvantaged backgrounds, mature students, and those with disabilities) into higher education.3


영국의 8009명의 medical trainee중 Graduate student는 865명으로 10.8%를 차지하여 유의미한 소수를 구성하고 있다.

Graduate students now make up a significant minority of the 8,009 existing medical trainees in the United Kingdom: 10.8%, or 865 students.3


과거 연구에서는 '전통적' 의과대학생의 학습스타일과 학업접근법에 대해 다룬 바 있으나, '비전통적'학생들은 이들과 다르다는 것을 제기한다.

Past research has explored the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approaches among “traditional” medical students;5 however, some researchers suggest that nontraditional medical students differ in the way they learn from their traditional counterparts.6




주된 학습스타일과 학습접근법은 무엇인가?

WHICH ARE THE MAIN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APPROACHES RELEVANT TO MEDICAL STUDENTS?


학습스타일, 학습접근법 설문은 학생들은 학습에 관련하여 중요해 보이는 다양한 요소에 따라 그룹지으려고 시도한다. 학생에게 학습 동기부여를 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정보가 어떻게 제시되는 것을 선호하는지, 정보가 어떻게 통합되는지 등등이다.

 Learning styles questionnaires and learning approaches questionnaires attempt to sort students into groups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deemed important for learning: They explore factors such as what motivates students to learn,7 preferences for how information is presented (e.g., by visual or experiential - means),8 and the different ways that data may be assimilated.9


VARK 학습스타일

VARK (Visual/Auditory/Read-Write/Kinaesthetic) Model—Learning Styles8


일반 학생 연령 그룹에서, Johnson에 따르자면, "비전통적" 의과대학생들은 A 와 K 가 주를 이룬다. 그러나 학습스타일 설문의 신뢰도와 타당도, 그리고 이것을 교육법 결정에 사용할 때의 유용성 등에 문제를 제기하곤 한다. 현재 다양한 학습스타일이 과연 어떤 식으로든 유의미한 차이를 일으키는가에 대한 논쟁이 있다.
Among general student populations and, according to Johnson,6 “nontraditional” medical students, auditory and kin- aesthetic modes are believed to predominate.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is and other learning styles questionnaires, and their usefulness in deciding on teaching methods, have been challenged: There is currently considerable debate in the literature as to whether different learning styles actually exist in any meaningful way.10–12



 

3부 모델(심화/전략/표면) - 학습접근법

Tripartite Model (Deep/Strategic/Surface)—Learning Approaches7


이 모델에서는 학습자가 학습과제에 접근하는 동기를 바탕으로 학습을 세 가지 카테고리로 나눈다.

This model divides learning into three categories based upon learning approaches, that is, the motivation with which a learner approaches a learning task.

  • “Deep” learning occurs when students approach a learning event with intrinsic motiva- tion and personal interest in the educational material. These students tend to search for meaning and general principles in the learning materials presented and make links with previous knowledge.
  • “Strategic” learning occurs when students are moti- vated to be successful. Students favoring this approach tend to focus on examinable material, and thus their knowledge may be somewhat patchy.
  • “Surface” learning, in contrast, occurs when students are motivated by a fear of failure. This is an approach that tends to result in rote learning and poorer under- standing.


 

이미 알려진 것들

WHAT IS ALREADY KNOWN


10년 전, Ferguson, James, and Madeley 의 review는 2000년도까지의 의과대학생들의 학습접근법에 대한 문헌을 정리한 바 있다(Widening Access 시행 전)

Over a decade ago, a systematic review by Ferguson, James, and Madeley summarized the literature on learning approaches in relation to medical students up to the year 2000 (i.e., prior to the introduction of the Widening Access pro- gram).5




방법

METHODS


Inclusion/Exclusion Criteria


Databases Searched


Search Terms Used


Method of Critical Appraisal


결과

RESULTS



의과대학생의 구성이 바뀐 2000년도 이후에, 학습접근법이 학업성취도와 연관된다는 근거가 나왔는가?

Question 1: Have Changes in Medical Student Populations Since 2000 Altered the Evidence With Regard to Learning Approaches (According to the Tripartite Model) and Academic Success?



전략적 접근법이 시험을 잘 보는 것과 연관되어 있었으며, 심화 접근법은 연구에 따라 달랐다. 모든 연구에서 표면 접근법이 시험을 잘 보는 것과 negative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다양한 나라의 다양한 학생그룹, 다양한 문화권 걸쳐 나타난다.

A strategic approach was identified as being positively correlated with exam success in all five studies that explored this issue,19–23 whereas a deep approach showed positive correlation in two studies21,24 and no effect in two others.23,25 All studies that examined surface learn- ing found that it correlated negatively with exam success.22,23,26 These correlations were found to hold true across different stu- dent groups in different countries and cultures worldwide.



전통적인 고등학교 졸업자 의과대학생의 학습스타일이나 학습접근법이 대학졸업자 의과대학생과 비교하여 다른가?

Question 2: Do Traditional Students With Higher School- Leaving Results Differ in Their Learning Styles or Learning Approaches Compared With Alternate/Graduate Entry Medical Students? If So, What Are the Implications for Educators?



VARK model.


비전통적 학생들이 VARK 스타일에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근거는 일관되지 않지만, 만약 차이가 존재한다고 해도 이러한 차이가 학업성취와 연결된다는 근거가 없다.

There is conflicting evidence as to whether nontraditional students differ in their VARK learning preferen- ces from traditional-entry medical students; however, if differ- ences do exist, no evidence was found that these differences correlate with academic performance. Three studies were Of importance, in the studies that reported on exam results,6,30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VARK learning style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st either traditional or nontraditional students.


Tripartite model (surface, strategic, deep).


학업성취도에 대한 보다 일반적인 연구결과들에 따르면, 비록 GE(graduate entry) 학생이 고등학교 성적은 더 낮지만, 의과대학에서의 최종시험의 수행능력은 UE 학생을 넘어선다. 이에 대한 한 가지 가능한 설명은 이 그룹에서의 심화/전략 학습법과 관련된다. 추가적으로, 이 GE그룹은 더 집요한 특성이 있고, 전문직으로서 더 성공적인 훈련을 받고자 단단히 결심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낮은 유급률retention rate 로 보여진다.

When it comes to academic success more generally, emerging evidence shows that although graduate entry students tend to have lower school-leaving results than traditional students, they can equal6,35 or even exceed36 their traditional counterparts’ per- formance in final medical examinations, despite a shortened pro- gram of study. One possible explanatory factor for this is the preceding tentative evidence regarding a preponderance of deep and strategic learning in this group. In addition, this student group is perhaps more likely to exhibit tenacious qualities and be determined to succeed in training for their profession, as evi- denced by higher retention rates among graduate entrants.37


과목 설계를 통해 모든 학생들의 학습을 더 강화하고 Adaptive Learning 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바뀔 수 있을까?

Question 3: Can Courses Be Designed to Enhance Learning or Promote More Adaptive Learning Approaches Among Medical Students to Increase the Chances of Success for All?


학습스타일: 교육방법을 학생이 선호하는 학습스타일과 일치시키기

Learning styles: Matching teaching methods to students’ preferred learning style.


VARK 스타일 그 자체 뿐 아니라, 교육법을 VARK 스타일에 맞추려는 것도 의과대학생 학업성취를 향상시키진 못했다.

Thus, neither VARK learning styles alone nor matching teaching to preferred VARK learning styles was found to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among medical students.


학습의 '심화' 접근법 강화하기

Enhancing “deep” learning approaches to learning.


의과대학에서 공부해야 할 양이 많고 그 시간은 제한적인 상황이 심화학습을 못하게 하고, 딱히 도움이 되지 않는 표면 학습을 하게 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heer vol- ume of material to be learned at medical school in a limited time frame may militate against deep learning approaches and toward less helpful surface approaches.



앞선 연구들에서 교육방법이나 교육과정 설계를 바꿔서 학생들의 학습을 촉진하고자 했으나, 그 결과는 제한적이거나 성공적이지 못했다. Carol Dweck 등의 연구에 따르면, 교육방법이나 교육과정에 초점을 맞추지 말고, 개개 학생들의 마음가짐mind-set에 더 초점을 맞추는 것이 좋다. 그녀는, Tripartite 모델과 유사하게, 학습자들의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학생들이 더 adaptive approach로 학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학습이 강화된다는 근거를 보여주었다. 학생들은 "성장형 마음가짐growth mindset"을 가질 수 있게 지지받아야 하며, 이를 통해 학업성취를 내재한 지능이나 능력이 아니라 '노력'과 연관된 것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마음가짐은 학습에 있어서 회복탄력성을 촉진시켜주며, 학습 도전과제에 긍정적으로 다가가게 하며, 실패의 두려움을 줄여준다. 이러한 접근법은 의과대학의 성공과 관련되어 있다고 나타난 심화/전략 접근법과 유사한 것이다.

The aforementioned studies seek to find ways to alter teaching methods or curricular design to promote learning among students,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ir efforts have met with limited or no success. The work of Carol Dweck and colleagues,47,48 in contrast, places less focus on teaching or curricula and more focus on the mind-set of each individual student. Her work, similar to the Tripartite model (deep, strategic, and surface learning approaches), focuses on motivation for learning and importantly pro- vides robust evidence that students can learn more adaptive approaches and are able to enhance their learning as a result. Students can be supported to adopt a “growth mind- set” learning to view academic success as an outcome that results more from their own efforts than from intrinsic intelligence or ability. Such a mind-set promotes resilience in learning, a positive approach to learning challenges, and a reduced fear of failure. This approach, where the goal is to develop one’s learning or to achieve a particular learn- ing outcome such as exam success, is akin to the deep/stra- tegic approaches to learning that have been shown to correlate with medical school success.



현재까지의 근거를 보면, 상호작용하는 두 가지 요인이 있다. 하나는 학생 개개인의 학습에 대한 접근법이고(변화 가능한 것), 다른 하나는 주어진 학습과제에서의 도전particular challenges으로서 조정하기 쉽지 않은 것이다. 학습에 대한 명확한 목표가 있는 학생들, 그리고 성장형 마음가짐을 가지고 회복탄력성이 높은 학생은 도전적인 학습환경에서도 학업적으로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 교육과정 설계를 바꾸거나 adaptive learning approach를 촉진하려는 시도가 대체로 실망스러웠음을 고려하면, 우리의 노력을 학생의 성장형 마음가짐을 개발하는 것에 초점을 두는 것이 더 나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더 도전적인 환경에서조차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urrent evidence suggests that two interacting factors may be at play: the student’s individual approach to learning, which is potentially modifiable, and the particular challenges of the learning task at hand, which may or may not be easy to adapt. Those students who have clear goals for learning, and who have the resilience of a growth mind-set in the face of the sometimes challenging learning environment of a medical training, seem to be best placed for academic success. Given the disappointing results of attempts to alter curricular design and delivery to foster adaptive learning approaches, it may be more fruitful to focus our efforts on developing a growth mind-set among our students, which can then help them learn even in challenging environments.


다양한 학습선호 유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관련한 연구도 있다. 따라서 아직 초기 단계지만, 학습 프로세스 그 자체에 대해 흥미를 갖는 것이 학업성취 그 이상에 대한 긍정적 효과가 있을 수 있다.

Some further interesting findings with respect to students’ awareness of different learning preferences emerged. So there is at least preliminary evidence that fostering an interest in the process of learning itself can have positive effects for stu- dents beyond academic performance alone.



고찰, 결론

DISCUSSION AND CONCLUSION


임상교육을 위한 함의

Implications of Findings for Clinical Educational Practice: A Critique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이 새로운 review에서 배울 점은?

What can we take from this new review on the topic of learning approaches and learning styles?



첫째, 학습스타일 차원에서 학습스타일 설문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근거를 찾지 못했으며, 과연 그런 것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지속됨만 확인했다. 따라서 VARK와 시험 성적의 관계가 전통적/비전통적 그룹 모두에서 나타나지 않은 것도 놀랍지 않다. 추가적으로 비록 교육전략과 학습스타일을 맞춰야 한다는 제안을 한 바 있지만, 이를 시도한 연구는 2000 이래로 거의 없었으며, 그러한 매칭이 학업성과에 효과가 있다는 근거도 찾지 못하였다. 게다가 학습자가 명확한 선호도를 가진다고 해도, 매우 다양한 학습자료/매우 다양한 사람들/매우 다양한 세팅에서 학습해야 하는 의과대학생들에게 그들이 선호하는 방식으로만 제시하는 것은 이론적으로나 가능한 것이다.

First, in terms of learning styles, reviewing the literature revealed no evidence for an emergent consensus over the past decade as to the reliability or validity of learning styles ques- tionnaires, whereas ongoing controversy continues as to whether learning styles exist at all. In this context, it is perhaps no surprise that our review found no correlation between VARK learning styles and exam results for either “traditional entry” or graduate entry medical students. In addition, although previous writers have proposed that teachers should match their teaching strategies to their students’ preferred learning styles (e.g., providing primarily visually based teach- ing to visual learners), few researched attempts have been made to do this since 2000, and we found no evidence that matching has any effect on academic outcomes. Even if learn- ers have clear preferences as to how material is presented to them, it is theoretically possible that exposure only to one’s preferred mode of learning could stunt one’s development as much as enhance it, particularly for medical students who need to work in a variety of different settings, with a variety of different people, and with a variety of different learning mate- rials.

 

실험적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우리의 결론은 의과대학 교육과정을 학생의 학업선호에 맞춰서 바꿀 근거가 없다는 것이다. 반대로, 학습스타일로 인해 불이익harm이 발생했다는 근거도 찾지 못하였다. 오히려, 학습스타일에 대해서 배운 경험이 있는 경우에 자기-자신감이 높아지고, 다른 사람들의 학습 선호에 대한 인식도 높아짐을 보여주는 일부 연구가 있다. 학습스타일 설문을 사용하여 의과대학생들이 스스로와 타인의 학습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만드는 방향으로 사용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In the absence of further empirical research, the conclu- sion we propose, therefore, is that no evidence currently exists to support a change in medical school curricula to explicitly address individual students’ learning preferences during teach- ing activities. Conversely, no evidence emerged to suggest that exploring students’ learning styles resulted in harm. Rather, there is tentative evidence that students who learn about learning styles experience increased self-confidence and an enhanced awareness of others’ learning preferences. Pend- ing further research, it may be reasonable to use learning style questionnaires in a formative way at medical schools with the aim of helping students think about their learning and that of others51 rather than promoting them as evidence-based learn- ing tools.




둘째로, Tripartite 모델과 관련한 학습접근법에 있어서, 전략적 접근법이 -심화 접근법보다도- 가장 의과대학 성적과 관련이 있다. 이 연관성에서 눈에 띄는 것은 비의학nonmedical 전공과 차이이다. 비의학전공에서는 심화학습이 더 강력한 상관관계를 보인다. 왜 그럴까? 아마 그 이유의 일부는 의과대학생들이 경험하는 훈련의 강도 때문일 것이다. 심화 학습은 다수의 요인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Second, with respect to learning approaches according to the Tripartite model, the evidence is clear that a strategic approach to learning focused on exam performance is most highly correlated with academic success in medical school— even more so than a deep approach. It is notable that this asso- ciation between medical school success and strategic learning differs from that for nonmedical courses, where deep learning has a more robust correlation with performance.34 Why might this be the case? There has been little exploration of this find- ing in the literature, but the answer may lie, at least partly, in the intensity of the medical training experience for our stu- dents. Deep learning among medical students was found to be related to a number of interacting factors:

    • the way content is presented,
    •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ease of understanding, enjoyment and low anxiety levels.25,52

 

심화학습은 학생들이 특정 주제를 마스터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있고 그 주제를 즐길 때 촉진될 수 있다. 열정, 공감, 실제상황의 묘사 등을 활용한 교육 스타일이 학생들의 deeper engagement를 촉진한다. 그러나 의과대학생들은 학습할 양이 너무 많아서 더 표면접 접근법과 '교수자-주도적' 스타일로 향해가게 된다. 우리가 보는 의과대학생에서 전략적 학습접근법의 성공의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의학지식은 계속 늘어나고 바뀌며, 무수한 fact 중에서 핵심 학습요점을 걸러낼 수 있는 사람만이 학업과 임상의 성공을 이룰 수 있다. 확실한 학습동기, 발전동기와 더불어 성장형 마음가짐을 갖는 것이 학생들이 표면접근법으로 끌리지 않게 해줄 것이다.

Deep learning may be facilitated when students feel they have enough time to master and enjoy the topic at hand. Teaching styles that demonstrate enthusiasm, empathy and give real-life illustrations may also promote deeper engagement among our students.11,53 However, the very high workload that medical students face throughout their training seems to push some students toward a more surface approach and thus toward a more “teacher-directed” style of learning. We propose that the success of a strategic learning approach in medicine can be explained thus: medical knowledge is growing and changing at such a rate that those who can sift the vital learning points from the mass of facts and opinion may be well placed for academic and clinical success. A growth mind-set with a clear motivation to learn and develop may be a factor in helping students resist the pull to adopt more sur- face approaches when faced with challenging learning tasks.



어떻게 교육자들이 의과대학생의 학습접근법을 더 adaptive way로 바꿔줄 수 있을까?

How can educators help medical students approach their learning in more adaptive ways to enhance their academic suc- cess?


우선, 교육과정 설계가 모든 학생들에게 "최고의" 학습 접근법을 촉진할 수 있다는 근거가 없다. 교육과정 변화에 초점을 두는 것보다 학생들이 스스로 의과대학과 의과대학 이후의 성공까지와도 관련된 나름의 학습동기를 찾게 도와줘야 한다. 이를 위해서 학생들은 성장형 마음가짐을 갖추어야 하며, 노력의 가치를 알고 실패를 두려워하기보다 지속적인 발전의 유용성을 인식해야 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학생들로 하여금 전략적(그리고 심화) 접근법을 익히게 해줄 것이다.

First, there is no evidence that curricular design can pro- mote the “best” learning approach for all students. Rather than focusing on curricular change, therefore, the current evidence suggests we can best help our students by encouraging each individual to find his or her own unique learning motivation to succeed at medical school and beyond. To this end, the evi- dence is that helping students adopt a growth mind-set, valuing effort and emphasizing the utility of continuous development rather than fearing failure, is achievable. This approach may help students adopt the strategic (and deep) learning approaches that have been shown to consistently correlate with medical school examsuccess.



마지막으로, GE 의대생들이 (비록 의과대학 재학 기간은 더 짧아도) 졸업시에 UE 학생들만큼 잘한다는 것을 찾았다. 비록 정확한 이유는 알기 힘들고, 연구 수가 제한되어 있지만, 전략적/심화 학습 접근법이 한 요인일 것이다. medical trainer에 있어서 중요한 함의는 우선 선발과 관련된 장벽을 넘어서면 비전통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도 동등한 의과대학 성취를 이룰 수 있다는 점이다. Widening access 강화의 근거가 됨.

Finally, this literature review found that nontraditional medical students perform just as well as their traditional coun- terparts by the end of their training, in spite of shortened time at medical school. Although the research reviewed was unable to pinpoint exactly why this is the case, and was based on a limited number of studies (a combined total of 446 graduate- entry students), we suggest that the preponderance of strate- gic/deep learning approaches among this group may be a fac- tor here. The important implication for medical trainers is that, on current evidence, once the selection process barrier is over- come, students from nontraditional backgrounds can achieve equal medical school success with their traditional counter- parts. This strengthens the case for widening access to medical training and suggests that our graduate entry students may have something to teach our traditional students in terms of learning approaches and determination to succeed.


학습스타일은 영향이 없으나, 학습 접근법은 중요하다.

So, to return to our original question: Which matters more for medical school exam success—learning styles or learning approaches? Our review offers a clear answer. When it comes to medical school exam success, learning styles do not appear to matter, but students’ learning approaches matter a great deal.








 2015;27(3):237-44. doi: 10.1080/10401334.2015.1046734.

Exam Success at Undergraduate and Graduate-Entry Medical Schools: Is Learning Style or Learning ApproachMore Important? A Critical Review Exploring Links Between Academic SuccessLearning Styles, and LearningApproaches Among School-Leaver Entry ("Traditional") and Graduate-Entry ("Nontraditional") Medical Students.

Author information

  • 1a Education and Development: MB ChB Team, Warwick Medical School, The University of Warwick , Coventry , UK.

Abstract

PHENOMENON: The literature on learning styles over many years has been replete with debate and disagreement. Researchers have yet to elucidate exactly which underlying constructs are measured by the many learning styles questionnaires available. Some academics question whether learning styles exist at all. When it comes to establishing the value of learning styles for medical students, a further issue emerges. The demographics of medical students in the United Kingdom have changed in recent years, so past studies may not be applicable to students today. We wanted to answer a very simple, practical question: what can the literature on learning styles tell us that we can use to help today's medicalstudents succeed academically at medical school?

APPROACH: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to synthesise the available evidence on how two different aspects of learning-the way in whichstudents like to receive information in a learning environment (termed learning "styles") and the motivations that drive their learning (termed learning"approaches")-can impact on medical studentsacademic achievement.

FINDINGS:

Our review confirms that although learning "styles" do not correlate with exam performance, learning "approaches" do: those with "strategic" and "deep" approaches to learning (i.e., motivated to do well and motivated to learn deeply respectively) perform consistently better inmedical school examinations. Changes in medical school entrant demographics in the past decade have not altered these correlations. Optimistically, our review reveals that studentslearning approaches can change and more adaptive approaches may be learned. Insights: For educators wishing to help medical students succeed academically, current evidence demonstrates that helping students develop their own positivelearning approach using "growth mind-set" is a more effective (and more feasible) than attempting to alter studentslearning styles. This conclusion holds true for both "traditional" and graduate-entry medical students.

KEYWORDS:

examinations; graduate entrylearninglearning approacheslearning styles; motivation

PMID:
 
26158325
 
[PubMed - in process]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진로선택동기 및 도덕판단력 비교 (KJME, 2007)

Comparison of Career Choice Motivation and Moral Reasoning Ability between Students in Baccalaureate and Graduate-entry Programs

김 민 강․강 진 오1

Min Kang Kim, MA, Jin Oh Kang1, MD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1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1







서 론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전문교육 (professional education) 의 재구조화가 활발히 진행 중인데, 그 대표 적인 실례가 의학․치의학 전문대학원 및 법학전문 대학원의 도입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의학전문대학 원의 도입은 자연과학, 인문․사회학의 다양한 학문 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의학 교육을 받게 됨으로 써 의학 자체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 기대 되고 있다. 또한, 의학전문대학원 제도는 학생들에 게 의료전문직의 성격을 정확히 파악하고 충분한 정보에 근거한 진로선택 (informed career decision) 을 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보다 동기가 높은 학생을 선발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 기대된다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2; Miflin et al., 2003; Finucane et al., 2001). 


호주, 영국 등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와 비슷한 기 대를 가지고 전문대학원 제도를 도입한 의과대학들 이 많이 있다. 이러한 대학들은 전문대학원 학생과 의학과 학생들의 특성을 비교하는 경험적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대체로 그 결과는 학사 후 의학교육 (graduate-entry medical program)의 도입을 지지하는 편이다. 
  • 호주에서 시행한 연구의 경우 학부 졸업 후 의과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이 고교 졸업 후 의학교 육을 시작한 학생들보다 전문직업의식을 갖추고 이 타적인 동기로 의과대학에 진학했으며, 부모의 기대 로 진학하는 경향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Rolfe et al., 2004). 
  • 한편, 영국에서는 의학과 학생에 비해 전문대학원 학생들이 임상실습에 대한 불안을 덜 느 끼고 자신감과 효능감을 가지는 경향이 있었다 (Hayes et al., 2004). 
  • 또한, PBL (문제바탕학습) 교육 과정을 이수한 전문대학원 학생과 의학과 학생을 비 교한 연구에서는 전자가 인턴십 프로그램에서 보다 협동성과 자신감을 보이고, 전인의학 (holistic care) 을 실천한다고 보고하였다 (Dean et al., 2003). 
그러 나, 전문대학원 제도를 통해 입학하는 학생에 대한 기대에 비교하면, 그들에 대한 객관적인 연구는 상 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비록 존재하더라도 대부분은 일화나 관찰내용의 기술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Wilkinson, 2004).


 우리나라의 의학전문대학원 제도는 의학계와 정부의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도입된 제도이지만, 그 것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실제 운영과 정을 계속 모니터링하고 개선의 방안을 찾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Shin, 2006). 이러한 연구 에서 전문대학원을 통해 입학한 학생의 특성과 입 학 후의 수행을 조사하는 것은 전문대학원 제도의 효과를 검증하는 작업의 기본이라 할 수 있다. 이에 2005학년도부터 의학과와 의학전문대학원을 병행하 여 운영하고 있는 경희대학교 의과대학은 두 집단 의 학생들이 갖는 특성과 성취도를 종단적으로 비 교하기로 하였다. 

전문대학원 신입생과 의학과 학생 사이에 존재하 는 차이는 그들의 인지적 특성, 정의적 특성 등 다 양한 차원에서 분석될 수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전문직업의식과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있어 오랫동 안 많은 의학교육학자들이 연구해 온 진로선택동기 및 도덕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 진로선택동기는 의과 대학의 입학을 위한 면접시점부터 관심의 대상이 되는 특성으로서, 의과대학들은 학생이 지위나 소득과 같은 동기보다는 의학이라는 학문자체에 대한 흥미 와 타인에 대한 이타적인 동기로 지원하기를 원한다 (Nieuwhof et al., 2004). 
  • 한편, 도덕성은 의학교육과 정에서 그것이 향상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신입 생을 선발하는 과정에서부터 중요한 기준이 되어야 한다는 제안이 증가하고 있다 (Miles et al., 2005). 
이 에, 본 연구는 의학전문대학원을 통한 신입생 선발 이 의학교육이 가지고 있는 위와 같은 기본 취지에 기여하는지 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의과대학생의 진로선택동기는 국내외의 많은 연 구자들이 관심을 가져왔다. 외국의 경우 최근에는 요인분석을 통하여 진로선택동기의 하위차원들을 탐색하고 타당화하는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Vaglum et al., 1999; Todisco et al., 1995). 우리나 라에서는 동아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에서 전체 전 공 신입생을 대상으로 전공 선택 동기를 조사한 결 과 (1999) 의과대학생의 경우에는 ‘적성과 흥미’가 가장 중요한 선택동기였고, 다음으로 ‘취직가능성’ 이 차지했는데 이는 다른 전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이었다. 이중정 외 (2003)가 대구지역 2개 사립의과대학 의예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2001년 시 행한 연구에 따르면 복수응답이 가능한 상황에서 학생들이 가장 중요한 진로 선택의 동기로 꼽은 것 은 ‘경제적 안정성’이었고, 다음으로 ‘평생 직업’‘봉사’였다. 

한편, 의과대학생의 도덕성은 도덕판단력검사 (DIT)를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외국에서 시행된 다양한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도덕 판단력은 학업성취도와는 구분되는 독립적인 능력 으로 의과대학생 및 수련의의 임상수행능력이나 개원의의 소송률 등과 관련이 있었다 (Moon et al., 2006). 최근 국내에서 실시된 연구를 통해 의과대학 재학기간 동안 학생들의 윤리적 원리중심의 판단능 력 (principled reasoning)은 변하지 않거나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ong, 2000; Kim et al., 2003). 특 히, 예과생에 비해 본과생의 판단력이 낮았고, 연령 이 낮은 학생보다 높은 학생의 판단력이 낮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의학교육경험이 도덕판단력의 발달 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Lee, 2005). 

그러나, 국내 연구에서 학부경험을 변인에 포함시 키거나, 의예과를 통한 진입생과 편입생을 비교하면 서 진로선택동기나 도덕판단력을 조사한 연구는 드 물기 때문에, 이전의 연구를 통해 전문대학원 학생 의 특성에 대한 예측을 내리기는 힘들다. 이에 본 연구는 3~4년간의 학부 과정을 이수한 후 전문대학 원을 통해 입학한 학생들이 학부 과정을 거치지 않 은 채 입학한 의학과 학생에 비해 정의적인 특성에 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조사하여 의학전문대학원 생들의 교육 과정을 설계하는 데 있어 참고가 되고 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가.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05학년도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의학 과 1학년 학생 68명과 의학전문대학원 1학년 학생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118명의 학생을 대상 으로 2005년 3월 도덕판단력검사 (DIT: Defining Issues Test)와 진로선택동기검사를 실시하였다. 의 학과 학생 중 다른 대학 학사과정을 마치고 입학한 학생을 제외하고, 불성실한 응답으로 신뢰할 수 없 는 변인이나 다수의 결측치를 포함한 학생들을 제 외하여 최종적으로 83명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최종 분석대상은 의과대학 학생 45명 (남=30, 여=15)과 의학전문대학원 학생 38명(남=15, 여=23)으로 분석 에서 제외된 학생과 분석대상 학생 사이에는 유의 미한 성별이나 연령 등의 차이는 없었다. 분석대상 자 전체의 평균연령은 24.3세로 (표준편차=3.52), 본 과 1학년은 평균 21.1세 (표준편차=3.31), 전문대학 원 1학년은 평균 26.1세 (표준편차=0.91)였다. 

나. 조사도구 

1) 진로선택동기 검사 

학생들의 진로선택동기를 조사하기 위하여 Kim & Kim (2005)이 번안하고 타당화한 진로선택동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검사는 Todisco et al. (1995) 이 ‘지위 및 안정성 지향’, ‘사람 지향’, ‘과학 지향’ 이라는 세 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구성한 14문항 검 사에 Zadik et al. (1997)이 측정한 ‘타인의 영향’ 및 ‘근무 환경’이라는 요인을 추가하여 20개 문항으로 구성한 것이다. 각 요인은 4개의 문항으로 구성되 고, 각 문항은 진술된 내용이 진로선택에 얼마나 중 요하게 작용했는지를 5점 Likert 척도 (1=전혀 중요 하지 않다, 5=매우 중요하다)로 평정할 수 있다. 각 하위요인별 총점의 범위는 최저 4점에서 최고 20점 이다. 본 검사는 의예과 및 의학과 학생 (221명)과 치과대학생 (88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활용 하여 타당화되었는데, 타인의 영향 (I), 재정 또는 직 업 안정성 (II), 과학적 흥미 (III), 돌봄과 사회봉사 (IV), 근무 환경 (V)의 다섯 요인이 전체 변량의 50.231%를 설명하였다. 또한, 각 요인별 문항의 내 적 신뢰도는 타인의 영향 (.586), 재정적 또는 직업 안정성 (.863), 과학적 흥미 (.695), 돌봄과 사회봉사 (.729), 근무 환경 (.813)이었다 (Kim & Kim, 2005). 본 연구에서 각 하위요인별 신뢰도는 .585에서 .847 이었다.  

2) 도덕판단력 검사 

도덕 판단력 검사인 DIT는 도덕성 발달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Kohlberg에 의해 제작된 인터뷰 방식의 검사를 Rest (1979)가 객관형 검사의 방식으 로 전환시킨 것이며 모두 여섯 가지 딜레마 이야기 로 구성되어 있다. DIT 검사는 여러 나라에서 번안 되어 다양한 표집을 대상으로 연구가 실시되면서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입증 받았고 (Moon et al., 2006), 국내에서는 문용린 (1994)에 의해 한국판 도 덕판단력검사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는 세 가지 딜레마 이야기 (남편의 고민, 탈옥수, 의사와 환자) 와 각각에 따른 12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DIT 간편 형을 사용하였다. 채점결과는 2, 3, 4, 5A, 5B, 6단 계의 점수와 P점수, U점수 등으로 산출된다. 특히, P (%)점수는 인습이후 수준 (5, 6단계)의 도덕판단이 차지하는 비율로서, 응답자의 도덕판단 수준을 나타 내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즉, P (%) 점수가 높 은 사람일수록 도덕적인 문제에 당면했을 때, 개인 의 이득이나 정해진 규범보다 추상적인 윤리적 원 리들을 활용하여 사고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한국 판 도덕판단력 검사의 신뢰도는 .81이며, P점수의 신뢰도는 .61이다 (Moon, 1994). 본 연구에서는 DIT 의 채점결과를 통해 추상적 윤리원칙을 중심으로 하는 인습이후 사고의 비중 (P점수) 점수를 산출하 고 이를 집단비교 및 상관분석에 이용하였다. 


다. 분석방법 

의학과 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 학생이 진로선 택동기에서 보여주는 차이는 각 하위척도 점수별 로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때, 의과대학생 의 진로선택동기에 성차가 존재한다는 선행연구 (Todisco et al., 1995; Wierenga et al., 2003)의 결과 에 따라, 성별이 공변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성별에 따른 독립표본 t 검증도 실시하였다. 한편, DIT에서의 집단 간 차이는 P점수에 대한 독 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두 집단 사이의 차이가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띠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남녀를 구분한 후 두 집단 간 독립표본 t 검 증을 실시하였다. 진로선택동기와 DIT 점수 사이의 관계는 집단별로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수 집된 모든 자료를 SPSS version 12.0으로 통계 처리 되었다. 



결 과 

가. 진로선택동기 

Table I은 진로선택동기의 각 하위척도별로 의학 과 학생과 전문대학원 학생의 평균을 제시한 것이 다. 두 집단의 학생 모두 다섯 가지 동기 중 다른 사 람에 대한 봉사를 가장 중요한 것으로 평정했다. 두 번째로 가장 중요한 동기는 의학과 학생의 경우 직 업의 안정성이었고, 전문대학원 학생의 경우 의학에 대한 과학적 흥미이었다. 그러나, 두 집단 모두 다른 사람의 영향이나 근무 환경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 한 것으로 나타났다. 




t 검증의 결과 의학과와 의학전문대학원 학생의 평균은 직업 안정성, 봉사, 과학적 흥미의 세 가지 요인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직업 안정성은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보다는 의학과 학생에게 더 중 요한 동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사람에 대한 봉사는 의학과 학생에 비해 의학전문대학원 학생에게 더 중요한 동기였다. 의학에 대한 과학적 흥미 역시 의학과 학생보다는 의학전문대학원 학생 이 더 중요하다고 평정했다. 

성별에 따른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한 결과, 다 섯 가지 동기 모두 남녀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남녀의 비율로 인해 의학 과와 전문대학원 학생들 사이에 평균의 차이가 존 재하는 것은 아님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남학생과 여학생을 분리한 후 의학과 학 생과 전문대학원 학생의 진로선택동기를 비교하면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 (Table II). 직업 안정성에 대한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의 학과 여학생이 전문대학원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과학으로서의 의학에 대한 흥미와, 봉사에 대한 지향성은 의학과 남학생보다 전문대학 원 남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 도덕판단력 

DIT에서 얻은 원리적 추론능력 점수 (P점수)에서 는 의학과 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 학생 사이에 통계 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존재하지는 않는다 (Table III). 성별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t 검증을 실시한 결 과 도덕판단력 점수에서의 성차가 나타나지는 않으 므로, 의학과와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 사이의 차이 에 성별이 공변인으로 작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 타났다. 한편, Table IV는 남학생과 여학생을 구분 하여 의학과 학생과 전문대학원 학생을 비교한 것 이다. 그 결과 P점수에서 남녀 모두 의학과 학생과 전문대학원 학생 사이의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다. 진로선택동기와 도덕판단력의 관계 

Table V는 다섯 가지 진로선택동기와 DIT의 P점 수 (원리중심 추론능력)의 상관을 보여준다. Table V 에서 음영 처리된 대각선 윗부분은 전문대학원 학 생들로부터 계산된 상관계수이고, 음영처리가 되지 않은 대각선 아래 부분은 의학과 학생들로부터 계 산된 상관계수이다. 

의학과 학생과 전문대학원 학생 모두 진로선택동 기와 도덕판단력 점수 (P점수) 사이에는 의미 있는 상관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원 신입생의 경우, 안정성과 근무 환경은 의미 있는 양 의 상관관계 (r=.347)를 가짐으로써 의사라는 직업이 가지는 안정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학생은 동시에 근 무 환경도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두 가지 동기를 제외한 나머지 동기 사이 에는 의미 있는 상관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의학과 학생들의 경우 다섯 가지 진로선택 동기 사이에는 다양한 상관이 발견되는데, 먼저 전 문대학원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직업의 안정성과 근 무 환경 사이에 의미 있는 양의 상관이 존재한다 (r=346, p<.05). 또한, 다른 사람에 대한 봉사는 과학 적 흥미 (r=.437, p<.01) 및 근무 환경 (r=.436, p<.01) 과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고 찰 

본 연구는 의과대학 학생들의 특성 중 전문직업 의식(professionalism)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진로선택동기와 도덕판단력을 중심으로 의학전문대 학원 입학생과 의학과 1학년 학생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한 사항을 고찰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학과 학생과 전문대학원 학생 모두 의학 교육을 받기로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하게 작용한 동기는 타인을 돌보고 사람들에게 봉사할 수 있다 는 데 있다. 그 다음으로 의학이 가진 과학적 매력 과 의사라는 직업이 갖는 안정성이 중요한 동기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순위는 동일한 차 원들을 중심으로 영국 및 노르웨이 등에서 조사한 연구 (Vaglum et al., 1999; Crossley & Mubarik, 2002)와도 비슷한 것이어서 의사라는 직업이 갖는 특성에 대하여 학생들이 지각하는 것이나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이 문화에 따라 크게 다르지 않음을 시 사한다. 

그러나, 의학과 학생과 전문대학원 학생이 진로선 택동기에 두는 중요도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이유인 봉사와 과학적 흥미에 대해 의학과 학생보다는 전문대학원 학생이 더 중요한 것으로 생각했는데, 이는 학부졸업 후 의학교육을 시작한 학생이 이타적인 동기를 더 많이 가진다는 외국의 연구와 일치한다 (Rolfe et al., 2004). 반면, 직업의 안정성에 대해서는 의학과 학생이 더 중요 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었다. 비단, 의학뿐만 아니라 최근 국내 치의학교육계에서도 치의학전문대학원 1, 2학년 학생이 치과대학 본과 3, 4학년 학생보다 높은 전문직업의식을 가진다는 연구보고가 있었는데 (Choi & Kim, 2006), 이러한 결과는 전문대학원 제도를 통한 학생선발이 의료전문직업인으로서 내 재적인 동기를 중시하는 학생들을 선발할 수 있는 긍정적 측면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본 결과는 다양한 변인과 관계가 있으므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특히, 의학과 1학년 학생의 경우 이미 예과 2년의 교육경험을 통해 의사라는 직업에 대한 관점이 처음 입학 당시와는 달라졌을 가능성 도 존재한다. 또한, 의과대학생에게서 특수하게 나 타나는 집단동질화나 평균으로의 회귀현상 (Self et al., 1993; Self & Baldwin, 1994)을 감안할 때 앞으 로 두 집단이 가진 동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종단 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의학과 학생에 비해 전문대학원 학생이 자 신의 동기를 뚜렷하게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 섯 가지 진로선택동기 사이의 상관을 집단별로 조사 한 결과 의학과 학생은 대부분의 동기가 어느 정도 의 상관을 가지는 반면, 전문대학원 학생에게서는 직업안정성과 근무조건만이 상관을 가졌다. 이는 의 학과 학생들이 모든 동기를 다 중요하게 여기거나 덜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 전문대학원 학생은 자신 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과 덜 중요하다고 여기는 것을 분명하게 구분하여 평정하였음을 의미한다. 자 신의 동기를 제대로 파악하고 동기들 사이에 존재하 는 중요도를 평가하는 것은 의과대학 졸업 후의 진 로를 결정하는 데에도 중요하므로, 의학과 학생들의 자신이 가진 동기의 우선순위를 지각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도덕판단력의 수준에서 의학과 학생과 전문 대학원 학생들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는 않는다. 단, 미국에서 전문직종별로 DIT 의 P점수를 조사한 결과 의과대학생의 평균이 50.2 임을 감안할 때 (Rest & Narvaez, 1994) 전문대학원 학생의 평균 (49.1점)은 이에 근접한 편이나, 의학과 학생의 평균 (46.8점)은 다소 낮은 편이다. 또한, 가 장 최근 DIT를 사용하여 의과대학생 (45.8점)과 일 반대학생 (46.8점)을 조사한 연구와 비교할 때 (Lee, 2005), 본 연구의 대상인 전문대학원 학생의 평균은 두 집단 모두보다 높은 편이다. 

넷째, 학생들의 도덕판단력 점수와 진로선택동기 사이에는 두 집단 모두 상관이 존재하지 않는다. 특 히, 다른 사람에 대한 봉사라는 동기요인이 도덕판단 력 점수와 상관을 가지지 않는 것은 흥미로운데, 이 는 도덕적인 동기와 도덕적인 추론이 서로 구분되고 독립적으로 발달하는 부분이라는 도덕심리학자들의 주장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Blasi, 1984). 이는 비록 이타적인 동기를 가진 학생이라고 해서 윤 리적인 갈등상황에서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Gilligan (1982)이 말하듯 배려 (care)지 향과 정의 (justice)지향의 두 가지 도덕지향성이 존재 하고, 어느 한 쪽의 지향성이 높다고 해서 다른 하나 의 지향성도 우세한 것은 아니기 때문일 수도 있다. 따라서, 학생선발의 과정에서 학생들의 동기와 도덕 성이 별도의 구인임을 감안할 필요가 있고, 전문직업 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과정에서도 두 가지 모두 를 함께 기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더 많은 연구를 일반화되어야 하겠으나 본 연구 의 결과를 놓고 볼 때, 학부를 졸업하고 의과대학에 입학하는 학생들은 정의적인 측면에서 의학과 학생 보다 우수한 것으로 보인다. 전문대학원 제도가 의 학과 제도의 완벽한 대치물이라는 증거를 제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전문대학원 제도 가 최소한 중요한 대안임을 입증해 준다고 볼 수 있 다 (Elliott, 2005). 전문대학원 학생이 정의적으로 우 수한 데는 기존 연구들이 제시한 것처럼 학생들의 나이와 삶의 경험으로부터 얻은 성숙이 기여했을 것이고 (Wilkinson et al., 2004), 의학과 학생들이 이 른 나이에 의학교육에 몰두하면서 경험할 수 없었 던 대학교육의 다양한 요인이 작용했을 수 있다 (Kim, 2003; Pascarella & Terenzini, 1991). 의학과 학생과 전문대학원 학생들을 비교하여 전문대학원 도입의 효과를 검증하는 노력과 함께 학사졸업 후 입학하는 학생의 질을 예언하는 변인 (예, 학부 및 대학원 경험, 직장경험 등)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 루어진다면 전문대학원제도에 대한 보다 발전적인 논의가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진로선택동기 및 도덕판단력 비교
김민강1, 강진오2
1서울대학교 교육학과
2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Comparison of Career Choice Motivation and Moral Reasoning Ability between Students in Baccalaureate and Graduate-entry Programs
Min Kang Kim1Jin Oh Kang2
1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Jin Oh Kang ,Tel: 2)958-8664, Fax: 02)962-3002, Email: kangjino@khmc.or.kr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areer choice motives and moral reasoning ability between students in baccalaureate and graduate-entry medical programs. METHODS: Forty-five students from a baccalaureate program and thirty-eight students from a graduate-entry program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ents were required to fill out both the Career Choice Motivation Inventory and Defining Issues Test(DIT). The Career Choice Motivation Inventory is a 20-item questionnaire, which investigates five dimensions: effect of others, job security, interest in science, service and working with people, and working condition.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two group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choice motiv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Students in the graduate-entry program were more likely to be motivated by scientific interest and opportunities to care for people. Status and job security were stronger factors in the baccalaureate students. For the students in this program, there were positive associations among their motives- interest in medical science, serving people, and working con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al reasoning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Students in the graduate-entry medical program seem to have more professional and altruistic motivations for entering medicine. Although there is nostatistical significance, graduate students have numerically higher moral reasoning abilities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These results validate that a graduate-entry program provides an important alternative for student selection.
Keywords: Graduate-entry medical programCareer choice motivationMoral reasoning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진로적응성에 따른 직업관, 진로선택, 전공미결정요인 비교

Work Value, Career Choice, and Specialty Indecision Based on Career Adaptability of Medical College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천경희·박영순·이영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Kyung Hee Chun · Young Soon Park · Young Hwan Lee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aegu, Korea




서 론

일반적으로 대학생의 시기는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진입하는과도기적 시기이자 유능하고 건강한 사회인으로의 발달, 그리고 직업세계로의 전환과 적응을 위한 준비시기로 인식된다(장계영, 2010;정미경, 2005). 이 시기의 대학생들은 미래 직업 및 진로를 위한 탐색과 선택, 진로의 전환과 적응의 과정을 겪게 되며, 의과대학 진학생들도 마찬가지로 진로선택과 적응의 과정을 겪게 된다(천경희 외,2011).


Savickas (1984)는 의과대학생과 의사가 진로성숙과정에 있어서타 직업군에 비하여 보다 동질적 성인집단의 특성을 보인다고 한바 있다. 실제로 의과대학생들은 일반 대학생들과 비교하였을 때,상대적으로 더 긴 교육기간 동안 전공교과교육을 받게 되며, 의사직 종사를 전제로 그 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의사국가고시 시험을통과한 후에도 최소 5년 이상의 실무교육에 참여하게 된다(천경희외, 2011). 또한 의과대학생은 직업적 흥미를 견고하게 하여 자신의직업으로서 의사직을 선택하며, 이후 자신의 전문 영역에 대한 흥미를 견고하게 하여 전문 영역을 선택하게 되고, 이에 맞는 지위를획득하고 정착하여 안정화하는 일련의 진로개발과정을 겪는다(Savickas, 1984). 이러한 진로개발과정에서의 성공을 흔히 경력성공(career success)이라 하고, 개인이 직업환경과 조화를 이루어 만족을 느끼는 상태를 의미한다(장계영과 김봉환, 2011).


지금까지의 다양한 선행연구들(김민강과 강진오, 2007; 박정한외, 1999; 양한주와 정철영, 1998; 이지혜 외, 2009; 임기영과 조선미,2002; 한상철과 김영한, 2003; Bhat et al., 2012; Chang et al., 2006;Hauer et al., 2008; Heiligers, 2012; Walkiewicz et al., 2012; Yap etal., 2012)에 따르면, 진로에 있어서의 선택과 적응은 크게 성별, 지역, 가족관계 등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흥미, 적성, 역량, 가치관 및 성격과 같은 개인차 요인, 그리고 수입, 사회적 지위, 의료및 직무환경 등과 같은 사회경제적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150명의 영국 의과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전공선택에대한 Yap et al. (2012)의 연구에 따르면, 전공선택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으로 임상 영역의 멘토, 문제기반학습(problem-based learning)사례에서 다루어진 전공 관련 주제, 개인적인 멘토의 영향이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hater-Menassa &Major (2005)의 연구나 Mwachaka &Mbuhua (2010)의 연구에서도 개인적 역할 모델의영향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개인적 흥미와 높은 수익과같은 특성들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Haueret al. (2008)은 교육경험과 환자진료 특성, 그리고 생활양식(lifestyle)이 전공과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 Chang et al.(2006)이 실시한 대만 의과대학생에 대한 연구와 Heiligers (2012),Weissman et al. (2012)의 연구에서도 생활양식이 주요 선택요인인것으로 밝혀졌다.


국내에서 이루어진 의과대학생의 전공선택에 관한 연구로는 의과대학생의 성격특성과 가치관이 전공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임기영과 조선미(2002)의 연구를 들 수 있다. 이들은 입학 당시와 졸업학년 및 인턴들이 개인의 흥미와 적성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함을 밝힌 바 있으며, 그 다음으로 직업의 안정성과 사회적 지위 등을 고려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대구 지역 의과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이중정 외(2003)의 연구에서는 전공선택의 가장 중요한 동기가 경제적 안정성, 평생직업, 봉사의 순으로 나타났다.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전공선택요소에 관한 김미숙 외(2010)의 연구에서는 이상적 전공선택의 요소가 적성과 소질, 적절수준의 연봉, 전공을 살리는 것, 사회적 지위와 존경, 국가와 사회에의 봉사 순으로 나타났다.


의학전문대학원(의전원) 학생과 의과대학 학생의 진로결정요인의 차이를 살펴본 이지혜 외(2009)의 연구에서는 의과대학생과 의전원생 모두 가족이나 친구들의 사례, 교수님이나 선배들의 사례,학교실습경험, 의과대학에서의 환자와의 접촉경험, 지적인 전문내용 등을 중요한 결정요인이라고 응답하였고, 의전원생들은 보다 학문적이고 교육적인 요인들을 중요한 선택요인으로 여기는 반면, 의과대학생들은 의과대학에서의 경험이 더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김민강과 강진오(2007)의 연구에서는 의전원생이 이타적인 동기를 더 많이 가지는 반면 의과대학생들은 직업의 안정성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진로개발과 전공선택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여 의과대학생과 의전원생 간 비교를 넘어 진로와 전공선택에 있어서 진로적응 수준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직업관과 전공미결정요인들에 있어서도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대해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진로적응성은 변화하는 일과 일하는 조건에 대처하기 위한 준비도(Super &Knasel, 1981)이자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긍정적 대처와 같은 탄력성을 포함하는 미래성공적 생존가능성을 의미한다(장계영과 김봉환, 2011). 따라서 진로적응성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진로나 전공선택, 그리고 경력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특성들에 대하여 탐색하는 것은 단순한 직업선택에 대한 정보가 아니라 학교생활에서 직업생활에 이르는 경력개발과정에서의 적응과 관련된 것이자 이를 지도하고 지원해야 하는 의학교육의 역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과 미래 의사직 종사자의직업 관련 태도를 예측할 수 있게 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다음의 연구문제를 다루고자 하였다.


첫째, 소속 및 진로적응 정도에 따라 의과대학 지원동기, 지원에영향을 미친 사람, 의학에 대한 흥미와 적성에 있어서 어떤 양상을보이는가? 둘째, 소속 및 진로적응 정도에 따라 직업관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소속 및 진로적응 정도에 따라 전공과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소속 및 진로적응 정도에 따라 진로미결정요인들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는가?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자



2. 연구도구


1)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진로 관련 설문


먼저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진로 관련 특성들을알아보기 위하여 권성준(2001)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을 참조하였으며, 성별, 학년, 출신 지역 및 입학 시 희망진로와 지원동기, 현재희망직업과 의학에 대한 흥미와 적성, 전공선택 여부와 그 이유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16개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2) 직업관


직업관이란 개인이 어떤 직업 또는 직업적 활동에 대하여 가지는생각과 관념, 가치를 의미하며, 진로선택 시 어떤 기준을 가지고 무엇을 선호하는지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본 연구에서는 의과대학생의 직업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김경선(2006)에 의해 개발되고 대학생의 직업가치관 유형을 추출하는데 사용되었던 28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이 문항들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스크린검사를 통해 4개 요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별 문항개수와 신뢰도는 표 2와 같다.


    • 성취/개발과 소명요인은 ‘직업을 통한 자아성취와 자기개발이 중요하다’와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이 있어야 한다’와 같은 문항들로구성된다. 
    • 보수와 보상 추구요인은 ‘사회적으로 일의 가치를 높이평가받는 직업이 좋다,’ ‘나는 직업선택에 있어 보수를 중요시한다’와 같은 문항으로 구성된다. 
    • 안정추구는 ‘내 능력에 비해 업무부담이 많은 직업은 싫다,’ ‘육체적으로 힘든 직업은 싫다’ 등의 문항으로 구성된다. 
    • 자율추구는 ‘나에게 평생직장의 개념은 중요하지 않다,’ ‘원하는 직업선택에 있어 자율성과 창의성을 중요시한다’ 등의문항으로 구성된다.


3) 진로적응성


진로적응성은 변화하는 일과 일하는 조건에 대처하기 위한 준비도(Super &Knasel, 1981)로 미래지향적 혹은 미래의 생존가능성예측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장계영과 김봉환, 2011).본 연구에서는 장계영(2010)이 개발한 진로적응성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이 척도는 총 8개 하위요인, 45개 문항으로 구성되며, ‘전혀아니다’부터 ‘매우 그렇다’의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각 요인별 문항개수와 신뢰도는 표 3과 같다.






4) 전공미결정


Savickas et al. (1985)은 의과대학 및 의전원 진학 후 전공과를 선택하지 못하는 학생들의 미결정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18개 문항의척도를 개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 척도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교육학 전문가 2명과 의학 전문가 1인이 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에 참여하였으며, ‘전혀 아니다’부터 ‘매우 그렇다’의 5점척도를 사용하였다.


5) 전공선택 결정요인


본 연구에서는 Lischke (2000)와 이지혜 외(2009)가 사용한 전공선택 결정요인에 대한 25개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전혀 아니다’부터 ‘매우 그렇다’의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결 과


1. 진로선택의 특성


본 연구에서는 소속집단 간 비교를 위하여 의과대학생과 의전원생 집단을 구분하였으며, 진로적응성 척도 전체점수의 평균 3.60을기준으로 진로적응 저·고 집단을 구분하였다. 이에 대한 빈도(%)는 표 4와 같다. 진로적응이 낮은 집단이 69명, 높은 집단이 64명이었다


의과대학과 의전원 지원동기에 대한 소속별, 진로적응 수준별 빈도(%)는 표 5와 같다. 먼저 의과대학생과 의전원생 모두 가장 중요한 의과대학 지원동기로 가치관과 보람(59.39%)을 들었으며, 그 다음으로 경제적인 안정(13.53%), 적성(9.02%), 가족의 바램(6.76%)등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진로적응이 높은 집단의 경우에는 가치관과 보람(65.62%), 적성(14.06%), 경제적인 안정(9.37%)의 순으로보고하였다.


의과대학 진학에 가장 영향을 미친 사람에 대해 질문해본 결과는 표 6과 같으며, 의과대학생의 50.64%가 본인이라고 응답하였으며, 40.25%가 부모의 영향을 받았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의전원생의 69.64%는 본인이라고 응답하였으며, 부모의 영향은 친구의 영향과 동일하게 10.71%의 학생들이 응답하였다. 또한 진로적응이 낮은 학생들의 34.78%와 진로적응이 높은 학생들의 20.31%가 부모님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다고 응답하였으며, 진로적응이높은 학생들의 65.62%가 본인 스스로 결정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의학이 본인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지에 대한 질문결과는 표 7과같으며, 의과대학생에 비하여 의전원생이(t = -4.06, p<0.001), 진로적응이 낮은 학생집단에 비하여 높은 학생집단이(t= -2.79, p<0.01)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의학공부가 본인의 흥미와 적성에 맞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입학 시 희망직업과 비교하여 졸업 후 희망직업에변화가 있는지를 질문해본 결과는 표 8과 같으며 의과대학생의42.85%와 의전원생의 35.71%가 희망직업에 변화가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의과대학생과 의전원생의 구체적인 희망직업 빈도는 표 9와 같다.

  • 입학 전에는 46.21%의 학생들이 임상의학교수를, 29.54%가 병원개원을, 15.15%가 봉직의사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30%(7명)의 학생이 기초의학교수를 희망하고 있었다. 
  • 그러나 3, 4학년현재에는 34.10%의 학생들이 봉직의사를, 30.23%의 학생들이 임상의학교수를, 27.13%가 병원개원을 희망하고 있었다.










2. 직업관에서의 차이


의과대학생과 의전원생, 그리고 진로적응수준 정도에 따라 4가지 직업관에 있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는 표 10과 같다. 의과대학생과 의전원생 모두에서 가장 높게 보고된 것은 ‘성취/개발과 소명’ 요인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보수/보상의 추구,’ ‘안정추구,’ 그리고 ‘자율추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과대학생이의전원생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보수/보상추구’ 지향(t = 2.80, p<0.01)을 보였다. 진로적응 정도에 따른 직업관을 살펴보았을 때, 진로적응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성취/개발과 소명’(t = -6.98, p<0.001), ‘보상/보수추구’(t = -2.84, p<0.01), 그리고 ‘자율추구’(t = -3.93, 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안정추구’ 성향은 두 집단 간 차이가없었다.



3. 전공과 선택 영향요인에서의 차이


전공과 선택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25개 항목에 대한 소속집단간 비교분석결과는 표 11과 같다. 학생들은 ‘학교에서의 실습경험,’‘의과대학에서의 환자접촉경험,’ ‘가족을 위한 시간과 레저활동시간,’ 그리고 ‘교수님이나 전공의 선생님들의 사례’ 등의 순으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 항목에서 소속집단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 진로적응 수준에 따라 유의한차이가 있는 요인들은 ‘전공과에서 다루는 내용들’(t = -2.50, p<0.05), ‘환자의 연령 특성’(t = -2.20, p<0.05), ‘환자와의 접촉기회’(t = -2.20, p<0.05), ‘연구기회’(t = -2.18, p<0.05), ‘선진 첨단의료기술의 사용’(t = 2.33, p<0.05)이었으며, 이들 요인 모두에서 진로적응이 높은 집단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4. 전공미결정요인에서의 차이


소속 및 진로적응 정도에 따른 전공미결정요인들의 차이검증결과는 표 12와 같다. 진로결정과 전공결정에 있어서는 의과대학생과의전원생들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진로적응 수준에 따라서는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 = -2.94, p<0.01; t = -2.16, p<0.05). 또한 전공미결정요인들에 대한 탐색결과, 전반적으로 학생들이 더 많은 정보(4.20±0.74)와 지원(3.92±0.82)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의과대학생들이 의전원생들에 비하여 선택에 대한 만족의 불확실성(t = 2.01, p<0.05)과 본인의 능력에 대한 지각(t =3.27, p<0.01) 정도가 낮았으며, 또한 전공선택을 적극적으로생각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 = 2.12, p<0.05). 반면 의전원생은 의과대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흥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 = -2.53, p<0.05).


진로적응 수준에 따른 전공미결정요인들을 살펴보면, 진로적응이 높은 집단이 더 많은 정보(t = -3.00, p<0.01)와 지원(t = -3.47,p<0.001)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전공미결정원인 중 희망전공과가 다수인 점(t = -2.60, p<0.05), 흥미로운 것이 너무 많은 점(t = -4.04, p<0.001)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진로적응이 낮은 학생들은 본인의 능력(t =3.16, p<0.001)과 흥미(t =3.90,p<0.001)를 잘 파악하지 못하며, 가고 싶은 과가 별로 없고(t =3.54,p<0.001), 자신이 선택한 것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믿음(t =3.36,p<0.01)과 전공선택 자체가 귀찮다(t = 4.56, p<0.001)는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 찰


본 연구는 대구지역 영남대학교 의과대학·의전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 및 전공선택과 관련된 현황을 알아보고, 진로적응 고·저집단 간 직업관, 진로선택요인, 전공미결정요인들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의과대학·의전원에서의 학생적응 및 진로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의과대학생의 48.05%와 의전원생 75.00%가 의과대학 지원동기로 ‘가치관, 보람, 의지’를 들었으며, 이는 다수의 학생들이 내재적 동기에 따라 진학결정을 내렸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의과대학입학생의 18.18%가 ‘경제적인 안정,’ 11.68%가 ‘가족의 바램,’ 9.09%가 ‘성적’을 주된 동기로 응답함으로써 의과대학생들의 약 40%가외재적 동기에 의해 진학결정을 하였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향은 입학동기에 대한 권성준(2001)의 연구결과와 유사한것으로 특히 의전원 제도에서 의과대학 체제로 전환을 희망하는의과대학의 경우, 의과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미래 의사로서의 직업전문성과 환자치료와 의학연구를 위한 내재적 동기를 형성시키고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도록 안내할 공식적 혹은잠재적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지원에 영향을미친 사람으로 의전원생들의 10.71%와 의과대학생들의 40.25%가‘부모’라고 응답했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의과대학 진학생들이 진로결정에 있어 자기 주도적 태도가 부족하며, 이 또한 의과대학 교육과정 및 대학생활에서 획득되어야 할 중요한 역량 중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입학 전과 비교하였을 때 의과대학과 의전원 3, 4학년생들의 진로변화 추이는 매우 흥미롭다. 의과대학생의 경우, 초기 45.45%, 이후35.06%의 학생들이 임상의학교수를 희망하고 있으며, 초기 36.36%,이후 25.97%의 학생들이 병원개원을 희망하고 있다. 반면에 초기11.68%였던 봉직의사 희망자가 이후 31.16%로 증가하였으며, 오히려 시간이 흐르면서 진로결정을 못하겠다고 응답한 학생도 있었다(6.49%). 의전원 학생들의 경우에는 임상의학교수 희망자는 줄었지만 개원의 희망자 수는 8%, 봉직의 희망자 수는 약 18%가량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의사직과 의료사회의 현황을 반영하는 것이자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진로개발이 현실화됨을 의미한다. 이상영(2012)에 따르면, 암과 같은 만성질환의 증가에 따라 국민들의보건의료기관 이용양상 등에 변화가 발생하고 있으며, 시설, 인력,장비 등이 우수한 대형병원을 선호하고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러한 쏠림현상은 과거 안정적인 것으로 인식되던 개업의로의 직업선택보다 봉직의로서의 삶이 더 안정적이라는 인식을 확산시키고있으며, 2012년 7월 중앙일보에서도 개업의에 비해 수입 안정성과업무에서의 수월성이 확보되는 봉직의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기사화하고 있다(장치선, 2012). 이러한 특성은 설문 후 실시한 학생들과의 인터뷰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개업의의 경제적 위험부담과 환자와의 관계형성 및 유지가 어렵다는 점에서 보다 수월하고안정적인 봉직의 선택이 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의과대학생과 의전원생 모두 직업관에 있어서 ‘성취와 자기개발,소명의식,’ ‘보수와 보상추구,’ ‘안정추구,’ ‘자율추구’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그러나 ‘보수와 보상추구’에서 의과대학생이 의전원생보다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민강와 강진오(2007)의 연구에서 일부 지지되는 것으로 의전원 학생이 이타적인 동기를 더 많이 가지며, 의전원 학생들이 정의적인 측면에서 의학과 학생보다 우수하다는 결론을 낸 바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전공선택 영향요인들에 대한 집단차이 분석결과에서도 다소 지지되는데, 전공선택에 있어 ‘타 전공에 비해 수입이 높은 경우’ 의과대학생이 의전원생들에 비하여 높았으며, p=0.0544로 그 유의성을 조심스럽게 해석할 수 있었다. 이 변수는 집단 간 차이를 유발하는 유일한 변수였다. 이러한 결과가 해당 표집집단의 특수성에 기인하는 것인지, 아니면 진학 동기에서부터 차별화되는 개인차 특성인지에 대하여 추후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의과대학 체제 혹은 의전원 체제를 유지하는 대학에서는 정의적 영역의 부족해소와 의사로서의 직업관을 형성시키는 방안 등을 추가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미래 진로 및 직업에서의 성공을 의미하는 진로적응성 수준에따른 비교결과들은 본 연구 전반에 걸쳐 소속집단별 비교에 비해더 많은 영역에서의 집단 차이를 보여주었다.


그 첫 번째로 진로적응 수준에 따른 지원동기를 살펴보면, 진로적응성이 높은 학생집단은 ‘가치관, 보람, 의지,’ ‘적성,’ ‘경제적인 안정’의 순으로 응답하였으며, 진로적응성이 낮은 학생들 또한 ‘가치관, 보람, 의지’를 동기요인으로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나 ‘경제적 안정’과 ‘가족의 바램,’ ‘사회적 명예’ 등의 외적 동기가 상대적으로 높게 보고되었다. 지금까지의 진로와 동기에 대한 다수의 연구(김정원, 1995; 신희경과 김우영, 2005; 이달엽 외, 2002; 이예진과 이기학,2010)를 기초하여 볼 때, 내적 동기나 내적 통제가 학업성취나 직업적 성공에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추후 진로성공을 위해서는 이러한 동기를 높여주는 노력이 요구된다.


진로적응 수준에 따른 직업관을 살펴보면, ‘안정추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성취/자기개발/소명의식,’ ‘보수와 보상추구,’‘자율추구’에 있어서는 진로적응성이 높은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학생들에 비해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uper (1970)의 내재적, 외재적, 병재적 유형 혹은 백영균(1980)의 내재적, 외재적 직업가치관 영역 구분에 기초하여 볼 때, 진로적응성이 높은 학생들은 내적, 외적 영역 모두에서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직업관을보유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안강현과 이용환(1998)이 말한보수지향적, 기여지향적, 자아실현지향적 직업관 모두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특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공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있어서는두 집단 모두에서 ‘학교에서의 실습경험,’ ‘의과대학에서의 환자접촉경험,’ ‘가족을 위한 시간과 레저활동시간,’ ‘교수님이나 전공의선생님들의 사례,’ ‘진료 외 문제가 상대적으로 적음,’ ‘근무시간 예측가능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금까지의 진로선택 및 전공선택에 대한 연구결과들에서 지속적으로 보고된 것으로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생활양식의 중요성이 본연구에서도 관찰되었다. 국외 연구에 따르면, 

  • Chang et al. (2006)은500명의 대만 의과대학생의 전공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대한 연구를 통해 개인적 선호와 업무성과, 전공의 특성, 그리고 전공훈련과정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특히 개인의지적 선호와, 진로개발의 기회, 그리고 교육완수 후의 생활양식이학생들의 전공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발견하였다.
  • Weissman et al. (2012)은 229명의 이스라엘 의과대학생들이 6년제과정 중 5년차부터 전공을 주로 고려한다는 것과 응답자의 2/3 이상이 생활양식을 적절히 통제할 수 있으면서도 봉급과 생활양식간의 합리적인 균형이 맞는 흥미롭고 도전적인 전공을 원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 Hauer et al. (2008)은 1,177명의 의과대학 4학년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 학생들이 내과를 선택하게 되는 3가지 요인으로 내과에서의 교육경험, 내과에서 이루어지는 환자진료, 그리고 생활양식을 들었다.


반면, 동일한 척도를 이용한 이지혜 외(2009)의 연구에서는 다소상이한 결과가 관찰된다. 이들의 연구에서는 ‘가족이나 친구들의사례,’ ‘교수님이나 선배들의 사례,’ ‘학교실습경험,’ ‘의과대학에서의 환자와의 접촉경험’ 등 교육과 환경적 요인들을 주요 영향요인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가 조사대상자 집단 차이에 의한것인지, 응답에 있어서의 바람직성 경향에 의한 것인지 등은 보다많은 표집집단을 포함한 추후 연구를 통해 밝힐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진로적응성이 높은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전공과에서 다루는 내용이나 환자의 연령특성, 환자와의 접촉기회,연구기회, 그리고 첨단기술의 사용 등과 같이 전공과와 관련된 구체적 요인들을 더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적인진로선택 및 진로개발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성공적인 진로개발 및 적응을 위해서는 관련 정보를 적극적으로 수집하고 본인의 흥미나 적성, 능력 등을 객관적으로 비교분석하는 일련의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진로적응 수준에 따라 진로와 전공결정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적응이높은 집단의 진로결정과 전공결정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진로와 전공결정 평균이 모두 3점 미만이었으며, 따라서 전공미결정 요인들에 대한 탐색결과를 주의 깊게 해석할 필요가 있다. 먼저진로적응 고·저 집단 모두가 더 많은 정보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그 외의 미결정요인에서는 질적 차이가 관찰된다.진로적응이 높은 학생들의 경우, 희망하는 과가 다수이거나 흥미로운 것이 너무 많은 것과 같이 동기나 흥미도 수준이 높아서 발생되는 미결정요인들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반면, 진로적응이 낮은 학생들은 본인의 능력이나 흥미를 잘 파악하지 못하고, 가고 싶은 과가 없거나 본인의 기대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믿음, 혹은전공선택 자체를 귀찮아하는 등 동기나 흥미가 낮은 요인들에서 상대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 및 전공선택뿐만 아니라 학교생활 및 적응에 있어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즉 진로적응성이 높은 집단의 경우, 높은 동기와 흥미 수준을 고려하여 본인에게 적합한 진로와 전공선택을 할 수 있는 안내가 요구되는 반면, 진로적응성이 낮은 집단의 경우, 동기나 흥미 자체를 높이는 방안과 적응적인 인지, 행동,태도를 증진시키는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진로적응성이 책임감, 목표의식, 창의성, 개방성, 대인관계, 주도성, 긍정적 태도, 및 직무능력으로 구성되며, 미래 의사로서 갖추어야 할 긍정적 특성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진로적응성 자체를 높여줄 수 있는 구체적인 활동 및 교육 프로그램 또한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진로결정 이유와 동기 그리고 희망전공과 관련한 일련의 정보를 1개 의과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과거회상방법으로 동 시점에 질의하였다. 회상정보가 갖는 신뢰성 문제를고려하여 보다 많은 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종단연구를 통해 의과대학 진학동기와 이후의 변화, 그리고 성취와 진로성공 정도를 장시간에 걸쳐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의과대학·의전원생들에게 요구되는 교수학습의 다양한 성과들은 졸업 후 보다 나은 의료실무와 의사로서의 삶을 위한 것이다. 우리의 교육대상이자 미래의 의사직 종사자인 의과대학·의전원생들의 직업관과 진로개발에 대한 인식, 그리고 끊임없는 자기개발을위한 선택과 준비가 어느 정도 이루어졌는가는 지속적인 관심대상이자 탐색이 필요한 영역이다. 따라서 보다 많은 표집과 변수들을포함한 후속연구를 통해 기술적인 연구를 넘어 처방적인 지원방안의 모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medical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with regard to the factors that shape career choice and specialty indecision. One hundred and

thirty-three students from a medical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ents completed a survey, which

collected information on career choice, specialty indecision, and career adaptabilit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high and low career adaptability groups in factors that affected specialty choice and indecision.

Students with high career adaptability were significantly more affected by ‘intellectual content of specialty,’ ‘ages

and characteristics of patients,’‘patient contact experience during the early years of medical school,’ and ‘greater

opportunity for research.’ Among the specialty indecision factors, students with high career adaptability were affected

by ‘several specialties equally appealing to me’ and ‘many interests,’ while students with low career

adaptability were affected by being ‘unaware of my abilities,’‘unaware of my interests’ and having ‘learned my

choice was not possible for me.’ The factor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specialty indecision was ‘need more

information and support,’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factor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designed for

medical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in terms of career adaptability and specialty indecision.

Keywords: Work value, Career choice, Career adaptability, Specialty indecision

의학전문대학원 제도 추진경과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the Courses of the Introduction of Post-baccalaureate Basic Medi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실

Office of Medical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신 좌 섭

Jwa-Seop Shin, MD, EdD





서 론

1996년 2월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가 의학전문대학원 제도를 제안하면서부터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 1996) 시작된 의학전문대학원 제도 추진을 둘러싼 정책 논쟁은 2006년 1월 교육인적자원부가 ‘「의․치의학 전문대학원」 전환추진 기본원칙’을 발표하고 2006년 3월 현재 27개교가 전면 혹은 부분 전환을 결정함으로써 ‘의사양성체제에 대한 종합평가’가 이루어질 2009년도까지는 당분간표면적 소강상태에 들어간 것처럼 보인다.


의학전문대학원 제도 추진은 우리나라 근현대사에서 의학교육학제의 3번째 대변화 시도라고 할 수있다. 첫 번째 대변화는 경성제국대학 예과가 학생을 모집함으로써 기존의 4년제 의학전문학교 체제에 6년제 의사양성제도가 처음 도입된 1924년으로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의학교육학제는 경성제국대학의 6년제 의학부와 4년제 의학전문학교의 병행체제로 운영되다가 1946년 국립서울대학교가 개교함으로써 의예과 2년, 의학과 4년의 학제가 확립되었다 (이순형 등, 1995). 이로부터 60년 만에 전면적으로 ‘4+4’ 학제 도입이 추진되고 있는 것이다.


2009년 종합평가를 거쳐 최종 정책결정을 할 계획이므로 (변기용, 2006) 의학전문대학원이 아직 제도화된 것은 아니지만 이 새로운 학제를 추진해온일련의 과정에는 우리나라 의학교육에 중장기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복잡한 주제들이 내재해있다.


의사의 질적 향상과 의학의 발전을 목표로 하는의학교육 및 학제의 개선은 일차적으로 의과대학의영역이고 전문 직업성 (Professionalism) 향상을 위한대학 의학 (Academic medicine)의 책무이며, 우리나라 의학교육계도 이를 위해 나름대로 노력을 기울여왔다. 1990년대 무렵부터 의학교육계가 고뇌해온주제들은 의과대학의 인정평가, 부실한 예과제도의개선, 학생 중심의 교육, 급변하는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 실제 진료역량을 갖춘 졸업생의 배출,의사자격시험의 개선, 의학 일반대학원 교육의 내실화, 의생명과학의 선진화 등의 문제였으며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와 한국의학교육학회, 1994; 이순형등, 1995), 실질적으로 의학전문대학원 제도에 준하는 ‘4+4’ 제도인 학사입학 및 복수전공 제도도 ‘다양한 배경의 의사를 양성’한다는 목표 아래 일부 의과대학에서 부분적으로 시행되거나 논의되어 왔다(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와 한국의학교육학회, 1994).


그러나 문민정부의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국민의 정부의 대통령자문 새교육공동체위원회, 참여정부의 교육인적자원부를 거치면서 구체화되고그 배경 논리가 ‘학문내적 논리에서 학문외적 논리로’ 치환되어온 의학전문대학원 제도 도입 정책은논리 변질에 따른 수많은 논쟁을 거쳤지만, 결국 학제 선택에 있어서 다양성과 자율성을 요구하는 의학교육계의 주장을 무릅쓰고 ‘채찍과 당근’을 내세워 강행되는 모양새를 갖춤으로써 정작 이 문제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의학교육계의 반발과 소외감을 초래하였다 (맹광호 등, 1999; 안윤옥 등, 1999;서울대학교 의과대학, 2005a).


반면에 의학교육계는 의학교육발전을 위한 나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2002년 정부가 의학전문대학원 제도를 제안하고 각 대학의 참여를 권장하는 과정에서조차 공식적으로 대응방안을 꾸준히 제시하지 못하고 소극적 태도로 임해온 문제들이 비판되어야 (김용일, 2006) 한다.


더불어 학문외적 (BK 21 연구참여 불허, 법학전문대학원 선발 불허 등) 강제에 밀려 학부-대학원병존의 파행적 구조를 선택하게 된 부분전환 대학은 동일 교육과정 (혹은 크게 다르지 않은 교육과정)에도 불구하고 등록금이 크게 차이가 나거나 졸업후 학위에 차이가 나는 등의 과도기적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김용일, 2006), 전면 전환을 선택한 대학도 현재 추진되고 있는 변화와 지원이 한시적일수 있다는 불안을 떨쳐버릴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4개 의학전문대학원의 첫 졸업생이 배출되는 2009년도의 평가라는 것이 갖는 명백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정책결정을 하기로되어 있으므로 이에 현명하게 대비해야 하는 난제도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간 생산된 문헌들을 중심으로의학전문대학원 제도 도입의 추진 경과와 2009년까지 운영될 과도기의 문제점, 그리고 이후 평가의 기준 및 제도의 향방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본 론


가. 정책추진의 경과와 고찰


1) 정책논쟁의 경과


의학전문대학원 제도 추진을 둘러싼 정책논쟁은아직 현재진행형이지만, 1995년으로부터 최근에 이르는 경과 (Table I)를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1995년 문민정부는 21세기에 대비하고 세계화와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교육개혁방안의 일환으로서 ‘대학 운영의 자율화,연구여건의 세계화, 대학모형의 다양화’를 대학교육의 개혁과제로 설정하였고 ‘높은 수준의 교양과 전문성이 요구되는’ 의사․법조인 등은 대학원 수준의 교육을 통해 양성할 계획을 세웠는데 그 논거는아래와 같다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 1995).





“대학교육이 이미 대중화되어 있는 고학력화 사회에서는 의사, 성직자, 법조인 등 전문인들에게 보다 높은 수준의 교양과 전문성이 요구되며, 경제에관한 한 국경이 무너지고 있는 세계무대에서 이들이 세계의 전문가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면서 경쟁하려면, 이들의 전문성은 한층 더 높아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 의사, 성직자, 법조인 등 전문인을 양성하는 우리의 교육체제는 이러한 필요와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미흡하다. 따라서 사회적으로 높은 수준의교양과 전문성이 요구되는 의학, 신학, 법학 분야 등에 대해서는 다양한 전공을 이수한 4년제 대학 학부졸업생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대학원제」를 도입한다.”


이듬해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는 의학교육학제를 현행 ‘2+4’에서 

  • ① 학사학위 소지자 중에서입학생을 선발하는 ‘4+4’제와 
  • ② 대학교육 2년 이상 (의예과 포함) 이수자 중에서 입학생을 선발하는‘2+4’제로 이원화하여

 대학이 이중 하나를 선택하는 안을 제시하였다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1996).



이에 대해 한국의학교육협의회는 의학교육전 대학교육과정의 최소 기준을 2년으로 하는 ‘2+4’제로단일화해야 한다는 내용의 건의안을 제출하였다 (한국의학교육협의회, 1996). 같은 시기에 최종상 등(1996)은 기존 체제를 바탕으로 학사입학과 복수전공을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조수헌등 (1995)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사입학제도 시행방안에 관한 연구’나 1994년도부터 연세의대가시행해온 복수전공제 모델을 확산하면 정부가 의도하는바 교육개혁의 목표를 성취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제안이었다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와 한국의학교육학회, 1994).


교육부는 교육개혁위원회의 학제 개편안을 구체화하기 위해 의과대학 교수, 학장 등으로 ‘의학전문대학원 제도연구위원회’를 구성하여 의학교육 학제에 대한 비교 연구를 하도록 하였고 동 위원회는 외국의 학제를 두루 조사하여 ‘2+4’를 근간으로 하는‘시안 1’과 ‘4+4’를 근간으로 하는 ‘시안 2’를 제시하고 양자의 장단점과 현실적 수용 가능성을 비교한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한달선 등, 1997).


이에 대해 한국의학교육협의회는 ‘시안 1’이 의학교육계의 합일된 의견이라는 내용의 건의문을 교육부에 전달하였는데 (한국의학교육협의회, 1997), ‘시안 1’은 1996년 한국의학교육협의회가 제출한 건의문과 일맥상통하는 것이었다.


국민의 정부가 들어서고 구성된 제1기 ‘새교육공동체위원회’는 1998년 10월 ‘4+4’를 기본으로 하는의학교육 학제를 정하였고 1999년 6월 그 실행방안으로 학사 후 의학교육 제도 모형을 내놓았다 (이무상 등, 1999). 이 보고서는 ‘21세기 지식기반사회가요구하는 창의적 인간 육성을 위해서는 대학의 국제적 경쟁력을 제고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있는 교육구조 개편이 필수적’이라고 전제하고 의학교육구조 개편의 배경이 되는 고등교육구조의 문제점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 (이무상 등, 1999).


“첫째, 대학입시를 위해 벌이는 무의미하고 소모적인 경쟁과 고교교육이 대학입시 준비기관으로 전락함으로써 나타나는 사회문제이다. 아직은 미숙한17․18세 청소년의 진로선택이 일점․일회에 강요되는 현실과 시험성적 위주의 대학 선발제도는 망국적 입시열과 과잉 사교육비를 비롯한 각종 사회적 병폐를 가져오고 있다. 

둘째, 대학 간 경직화된서열구조와 서울의 일류대학과 법․의학 등 인기학과에 몰두함으로써 나타나는 인재배분의 불균형에의한 21세기 국가경쟁력의 약화이다. 대학의 역할과기능의 미분화 및 일류대학 프리미엄 체제에 따른인재배분의 불균형은 교육기관 및 인재의 수도권집중과 지방대학의 소외 등을 초래하였으며, 궁극적으로 대학의 국제경쟁력 약화를 가져온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 연구는 처음으로 ‘4+4’를 기본으로 하는 안을제시하고 이를 전체 의과대학에 일률적으로 적용할것을 제안하여 의학교육계의 많은 반대를 불러일으켰다. 제1기 새교육공동체 위원회의 안에 대해 한국의학교육협의회는 ‘① 의학교육 전 교육을 최소 2년이상의 교육과정으로 다양화하고, ② 의학교육을 학부수준이 아닌 대학원 수준으로 인정하며, ③ 임상수련과 중복되는 일반대학원 과정을 개선할 것’을요구하는 세 번째 건의문을 제출하였는데 그 내용은 이보다 조금 앞서 한국의학교육협의회가 맹광호등 (1999)에게 위촉하여 수행한 ‘의학교육 학제개선방안 연구’의 방향과 일치한다.


2000년 제2기를 맞이한 대통령자문 새교육공동체위원회는 1999년도의 학사 후 의학교육제도 모형(제1기 새교육공동체 위원회의 안)보다 한층 입장을완화하여 ‘① 소정의 요건을 갖춘 대학에 의학전문대학원 설치를 인가하며, ② 의학전문대학원을 두지않는 대학은 현행대로 2+4를 존치’한다는 안을 제출하였고 (대통령자문 새교육공동체위원회, 2000),뒤이어 2001년 교육인적자원부 의학전문대학원 추진위원회가 내놓은 시행안 (허갑범 등, 2001)도 제2기 새교육공동체 위원회의 정책 기조를 따라 ‘입학자격은 대학 2년 이상으로, 기관 명칭은 대학자율’로 정하도록 제안하였다. 이 안은 의학계의 입장을많이 반영한 합리적인 안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교육인적자원부가 2002년 1월 발표한 ‘의학전문대학원 도입 기본계획’은 다시 강경방침으로돌아서 “① ‘4+4’를 원칙으로 하되, ② 한시적으로의과대학 체제 (2+4, 학사학위 수여)와 전문대학원체제 (학사+4, 석사학위 수여) 중 학교실정에 따라대학이 자율적으로 선택하도록 하며, ③ 동일대학내 복합체제 개설도 2009년까지는 인정할 방침임”을 발표하였다. 이 문건은 의학전문대학원 도입의배경 논리를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 (교육인적자원부, 2002).


  • “① 보편화단계의 고등교육 체제에 부응: 환경적 측면
    • 고학력사회의 전문성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질높은 의료, 법률,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고급 전문인력 양성 체제 구축 필요
    • 사회 지도층으로 인식되는 의사를 「技術醫」로서가 아니라 폭넓은 교양과 높은 도덕성을 갖춘「仁術醫」로 양성하는 데 유효한 교육체제를구축
  • ② 의학교육의 발전도모: 의사양성체제 혁신 측면
    • 의학교육전 교육의 문제점 해소
      • 직업 (의사자격) 보장형 진로시스템으로 인한예과생의 면학열 저하현상을 시정하기 위한 의학교육 체제 변화 기제로 활용
      • 의학전 교육을 자연과학에 편중한 교육에서 사회과학 등 다양하고 폭넓은 교육이 되게 하는방향으로 전환
    • 복합학위 과정 개설 등 선진화된 교육․훈련 시스템 도입
      • 현행 학사단계의 의학교육으로는 도입이 불가능한 의과학자, 의법학자, 의경영학자 양성 과정 등 다양한 석박사 복합학위과정 개설을 위해서 의학교육 단계를 대학원으로 상향할 필요
      • 특히 BT 분야의 핵심 고급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우수 인력이 집중되는 의학교육단계에 MDPhD과정 등 개설, 운영이 시급
      • 의과학자를 양성하는 연구중심대학과 일반 진료인 양성에 치중하는 진료중심대학으로 특성화 촉진 필요
  • ③ 고등교육 체제 변화 촉진: 교육개혁적 측면
    • 과도한 대학입학 경쟁의 왜곡현상 시정
      • 인생관과 직업관이 확립되지 않은 어린 학생들이 고등학교 졸업 시에 수능 성적과 직업의 인기도에 따라 학과를 선택하는 시스템으로 인해의과대학 입학을 위한 과도한 경쟁과 비정상적교육풍토 만연
      • 이와 같은 비정상적인 입학경쟁을 대학원 단계로 상향, 분산 이동시켜 중등교육 및 진로지도의 정상화 유도
    • 기초학문 분야 보호
      • 고등학교 이과 졸업생 중 우수인력이 전문직업분야인 의과대학으로 집중됨으로써 기초학문분야 교수의 위기의식과 학문의 불균형적 성장 우려
      • 학부 단계에서는 기본교양과 기초학문 연구 자질을 폭넓게 함양하고 대학원 단계에서 직업분야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기초학문 보호 육성에 기여”


이 기본계획이 발표되자 허갑범 등 (2001)의 추진위원회 안이 채택되기를 기대하던 의학계는

  •  “(의학교육학제는) 
    • ① 2+4를 근간으로 해야 한다, 
    • ② 동일한 의학기본교육과정을 거친 학생에게 서로 다른학위를 주는 것은 부당하다, 
    • ③ 의사양성기간이 길어진다. 
  • 또한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하더라도 
    • ①의학전문대학원이 기초의학자 양성에 긍정적인 것이 아니며, 기초의학자 양성은 지원으로 해결해야한다, 
    • ② 의학전문대학원 학생선발에는 많은 인적,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 ③ 피교육자의 교육비 부담이 늘어나므로 전공의 수련기간 다양화 등 대책이 필요하다, 
    • ④ 대학입시 과열이 해소되지 않을 것이고 오히려 전문대학원 입시 과열이 초래될 것이다”

는 반대 의견을 제출하고 크게 반발하였다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 2002a).



기본계획이 발표된 2002년 10개교가 전환을 신청하였다. 당시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 기록을 보면 국립의대나 사립의대 모두 의학전문대학원을 도입하도록 대학본부와 재단의 압력을 받았으며, 교육부는의과대학 캠퍼스의 서울 이전, 교수 증원 등 교육외적인 유인책으로 전환을 유도하였음을 알 수 있다(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 2002b). 이에 일부 의과대학들은 정부의 의지를 돌이킬 수 없는 기정사실로받아들이고 전환 시 교육여건 개선을 보장받기위한건의서를 제출하기도 하였다 (지방국립의과대학장,2002).


그러나 도입 기본계획에도 불구하고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가톨릭대 등 주요 의과대학들이 전환신청을 하지 않자 교육인적자원부는 2005년 5월 추가전환대학 지원계획을 수립하고 2단계 BK21 사업등 대학관련 사업과 연계할 방침을 발표함으로써한시적으로 ‘2+4’와 ‘4+4’를 대학이 자율 선택하도록 하겠다는 2002년도의 기본계획을 내용적으로 철회할 뜻을 밝혔다. 이 방침은 의과대학들의 거센 반대를 유발했으나, 이 방침이 발표된 후 7개교가 추가로 전환을 결정하였다.


2005년도 한 해 동안 의학교육계와 팽팽한 줄다리기를 벌인 교육인적자원부는 마침내 2006년 2월“① 현재까지 미전환 대학은 정원의 50% 범위 내에서 보장형 (의예과 포함 2+4) 입학을 대학 자율로2009년까지 시범실시, ② 기전환대학은 2009년까지기존 전문대학원체제 유지, ③ 의․치의학 제도개선위원회를 구성하여 2009년 의사양성체제에 대한 종합평가 실시 후 향후 정책방향 제시”로 요약되는 전환추진 기본원칙을 발표하였다 (변기용, 2006). 전면전환 여부를 2010년으로 유보하고 2009년 종합평가결과에 따라 전환정책을 결정하겠다는 것이었지만,BK 연계 등의 방침이 철회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기본원칙이 발표된 직후 비전환에 따른 불이익을우려한 10개교가 전환을 신청하여 2006년 3월 현재전면 혹은 부분 전환 대학은 총 27개교에 이르게 되었다.



2) 정책추진과정의 고찰


의학전문대학원 제도의 추진은 27개교의 전면․부분 전환, 정책판단을 위한 과도기 (2006~2009)의운영, 2009년도 종합평가로 일단락되고 당분간 표면적 소강상태에 들어갔지만, 정책추진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몇 가지 문제를 도출할 수 있다.



(1) 추진과정에서 정책의 동기 변화: 학문 내적논리에서 학문 외적논리로


의학전문대학원 제도는 그 추진과정에서 정책 동기의 변화를 여실히 보여준다. 의학전문대학원을 처음 거론한 문민정부는 ‘높은 수준의 교양과 전문성을 위해 의학, 신학, 법학 분야에 전문대학원제를 도입하고’, ‘의학전문대학원 제도를 도입할 것인지, 현제도를 유지할 것인지, 양자를 병행할 것인지는 대학 자율로 정한다.’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1996)는 유연한 입장을 취하였고 이는 한달선 등(1997)의 연구에서도 드러난다. 문민정부의 의학전문대학원 제도 도입안은 기본적으로 의학․의료 개선의 내적논리에 입각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민의 정부에 들어서면서 ‘고교교육이대학 입시 준비기관으로 전락하는 사회문제…, 대학간 경직된 서열구조와 서울의 일류대학과 법․의학등 인기학과에 몰두함으로써 나타나는 인재배분의불균형에 의한 21세기 국가경쟁력의 약화’ (이무상등, 1999)라는 문구로 상징되는 ‘입시과열의 폐단과우수인력의 의학계 편중’ 논리와 맞물리면서 전체의과대학이 ‘4+4’를 기본으로 하는 방안으로 변형되었고, 허갑범 등 (2001)의 연구나 교육인적자원부(2002)의 ‘의학전문대학원 도입 기본계획’은 이 연장선상에 있다. 물론 이들 연구와 정책계획안도 문민정부의 ‘의학․의료 개선의 내적 논리’를 승계하고 있으나 그 배경에는 ‘입시경쟁해소’라는 학문 외적논리가 강력하게 작용하고 있어 (이무상, 1998; 맹광호 등, 1999; 안윤옥 등, 1999), 또 다른 단선적 및역차별 학제가 될 우려가 제기되었다 (안윤옥 등,1999).


이는 의학전문대학원 추진 정책안의 많은 부분이의학 전 교육에 집중되고 실제 의학교육과정의 개선에 대해서는 ‘임상교육입문시험, 임상교육종합평가시험, 특성화 선택과정, 서브인턴제 (교육인적자원부, 2002)’ 등 이미 1990년대부터 몇몇 의과대학들이 시행하고 있고 학술대회 등을 통해서 여러 대학에 파급되고 있는 개선책들을 형식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데에서도 드러난다.


그러나 정책영역 간의 전통적 구분이 붕괴되어가는 것은 현대사회의 중요한 특징이라는 점에서볼 때 의학․의료 분야의 학문외적 논리 (입시과열의 해소, 경제적 효과 등)로 의학 학제개편을 추진한다는 것이 놀라운 일만은 아니다. Schön (1971)이이미 70년대에 갈파했듯이 ‘교육, 보건, 고용, 빈곤,환경 영역에서의 문제는 조직차원이 아니라 상위조직 혹은 상위시스템 차원에서 사고되어야 하므로’사실 의과대학을 운영하는 당사자들은 조직 운영의세계관을 내재적 시각에서 외연적 시각으로 확대해야만 기관의 진정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도 지적되어야 할 것이다.



(2) 정책 당사자와의 충분한 합의 없는 정책 추진


문민정부의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 국민의정부의 대통령자문 새교육공동체위원회, 참여정부의 교육인적자원부를 거치면서 변형되고 구체화되어온 의학전문대학원 제도 도입 정책은 결국 학제선택에 있어서 다양성과 자율성을 요구하는 의학교육계의 주장을 무릅쓰고 강행됨으로써 정작 이 문제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의학교육계의 의견을 묵살해온 측면이 있다.


의학교육계도 오래 전부터 현 학제가 안고 있는문제점을 의식하여 개선책을 모색하여 왔다. 의학전문대학원 제도에 준하는 ‘4+4’ 제도인 학사입학 및복수전공 제도는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가진 학생,뒤늦게 동기가 유발된 학생을 받아들인다는 목표아래 90년대를 전후하여 일부 의과대학에서 시행되거나 논의되었다. 

      • 예를 들어 연세의대는 94년도부터정원의 5% 이내에서 연세대 타 단과대학 졸업예정자를 받아들이는 복수전공제를 시행하였고 
      • 서울의대는 1993년도 학제 개편에 관한 교수들의 의견을묻는 조사를 실시하여 34%가 현행유지, 31%가 8년제 전환, 32%가 병행을 원한다는 결과를 보고한 바있다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와 한국의학교육학회,1994). 이로부터 볼 때 의학교육계 스스로가 학제개편에 나서는 일이 애초부터 불가능한 것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러나 ‘두 정부 (김영삼, 김대중 정부)에서의 의과대학 학제개편안은 그 마련하는 과정에서 한 번도 공식적으로 의료계에 전달되거나 의견을 물어온적이 없고 단지 일부 교수들을 통해서 연구, 검토하는 방식을 통해 이를 의료계가 받아들이도록 하는방식으로 진행되어’ 왔음이 비판되었다 (맹광호 등,1999).


또한 정책추진 과정에서 정부가 과시한 부적절한‘당근과 채찍’의 문제점은 2005년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2005a)의 보도문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당시 정부는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하지 않으면후기 BK 사업 대상에서 제외 (문서에는 ‘연계’로 표현), 서울의대 학사편입학 정원 35명 불인정,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승인 불가 등 3가지의 압박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변화를 추진하는 데 있어서 정부 측이 가졌던 관료주의적 사고방식 혹은 의과대학 운영 주체들에 대한 폄하와 적대의 시각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3) 의학교육계의 소극적 대응


2002년 정부가 의학전문대학원 제도를 제안하고각 대학의 참여를 권장하는 과정에서조차 의학교육계가 공식적으로 대응방안을 꾸준히 제시하지 못하고 소극적 태도로 임해온 문제들이 비판되고 있다(김용일, 2006). 실제로 의학교육계의 공식적 연구는의학교육협의회가 맹광호 등 (1999)에 의뢰하여 수행한 1건 외에 없으며, 정부의 정책발표가 있을 때마다 의학교육협의회, 의과대학장협의회 등의 대책회의를 소집하여 의견서로 입장을 전달하는 데 그쳤다. 물론 2005년도 추가전환지원 대책발표 이후당근과 채찍을 앞세우며 강경해진 정부의 입장을의과대학장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일련의 협의과정에서 ‘2010년까지는 각 대학이 자율적으로 제도를운영하되 그 후 제도를 재평가하여 도입여부를 다시 논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2005b)’하는 것으로변화시킨 것은 일각의 성과로 받아들여진다.



나. 과도기 운영의 문제


학문외적 (BK 21 연구참여 불허, 법학전문대학원선발 불허 등) 강제에 밀려 학부-대학원 병존의 파행적 구조를 선택하게 된 일부 의과대학이 일정 기간 직면하지 않을 수 없는 문제로는 ‘① 동일 교육과정에도 불구하고 졸업 후 학위가 전문대학원 졸업생은 석사, 의과대학 졸업생은 학사로 차이가 나는 것, ② 동일 (혹은 크게 차이가 없는) 교육과정에도 불구하고 등록금이 크게 차이가 나는 것, ③ 학생들 사이에 차별화와 갈등이 우려되는 상황’ 등이거론되고 있고 이 같은 문제는 어떤 형태로든 후유증을 남기게 될 가능성이 있다.


전면 전환을 결정한 대학에도 문제가 없는 것은아니다. 이들 대학은 교육의 내용 (목표)과 방법에있어서 ‘뭔가 다른 것을 가르쳐야 하는가?’, ‘뭔가다른 방법을 채택해야 하는가?’ 등의 문제로 고민하고 있다. 교육내용의 경우 ‘입문 프로그램, 인성교육의 강화, 임상수기교육의 강화, 진로지도 및 졸업 후의학교육과의 연계, 서브인턴제, 의과학 연구과정,저널리뷰’ 등이 거론되었으며 (권복규, 2003), 교육방법의 경우 ‘자율학습, 문제중심학습 등의 적극적활용’이 거론되었다 (김헌식, 2003). 뭔가 달라야 한다는 점에서 선진적인 교육과정을 벤치마킹하려는의도가 엿보이지만 기존의 국내 의과대학 중 비교적 앞선 교육과정을 가지고 있는 대학들이 이미 오래 전부터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는 내용들이 단순히 반복 거론되고 있는 데에는 적지 않은 혼란이 느껴진다. 다시 말하자면, 적어도 현재까지는 뚜렷하게 다른 것이 제시된 바가 없다는 것이다.


물론 우리나라 의과대학에 보편적인 대규모․획일 교육을 탈피하기 위해 1~4년에 걸쳐 20~40명수강 규모의 다양하고 수준을 달리하는 교과목을개설하여 학생들이 개성에 맞는 학습 과정을 선택하도록 하고, 성인학습자에 걸맞게 학생 각자의 계획에 따른 학습계약을 체결하는 등의 이상적인 방안도 거론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이 같은 개혁에는 엄청난 재정과 인력, 시간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뚜렷하게 다른 교육내용과 방법이 제시된 바가 없는 것은 사실 교육법상 전문대학원이 ‘전문직업분야 인력양성에 필요한 실천적 이론의 적용과 연구개발을 주된 교육목적으로 하는 대학원’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21조)으로서 사실상 그간 의과대학들이 해온 역할과 다르지 않은 데서 비롯된다.따라서 이 문제는 ‘높은 수준의 교양과 전문성을 위한’, ‘명칭만이 아닌 교육과정에 있어서 대학원 수준의’ 의학전문대학원의 ‘교육목표’가 무엇인가를정립하는 데에서부터 접근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이 점에 있어서는 교육인적자원부도 마찬가지여서 ‘임상교육입문시험, 임상교육종합평가시험, 특성화 선택과정, 서브인턴제 (교육인적자원부, 2002)’등 기존 의과대학 중 앞선 교육과정을 가지고 있는대학을 벤치마킹하는 것 외에 특별한 대안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새로이 개설된 의학전문대학원의 학생선발을 기존의 의과대학 체제와는 다른 방식으로 시행할 것인지, 의학전문대학원의 당초 취지를 살리자면다른 사정기준을 적용해야 하는 것이 아닌지, 의학전문대학원에는 논문작성 등 졸업사정기준을 달리적용해야 하는 것인지도 함께 해결되어야 할 과제이다.


결과적으로 국가정책적 고려에 의해 전환이 이루어지고 교육내적 문제를 해결하는 공은 의과대학에넘어왔다. 지원금, 교수정원 증가 등의 문제를 별도로 하더라도 의학전문대학원 제도의 도입이 의학교육의 내부적 변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면 그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나 의학전문대학원의 의학교육적 역할에 대한 오해로부터 ‘변화를 위한 변화’가이루어진다면 이 같은 변화는 중장기적 관점에서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또한 교육내적 동기에 의해 동력을 뒷받침 받지 못한교육과정 개혁은 외적 동력이 흔들리거나 철회될때 좌절하게 되며, 외부적 지원에 기대어 스스로 감당하기 어려운 과비용 교육과정을 만든다면 외부지원이 끊긴 후에는 이를 유지하기 어려워진다는문제도 지적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2009년까지의 과도기라는 것이 2009년 시점에는 상당수 대학이 새로운 체제를 위해 이미 투여한 노력에 집착할 수밖에 없도록 하여 전면전환의 대세론을 고착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일각의 우려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다. 2009년 평가


4개 의학전문대학원의 첫 졸업생이 배출되는2009년도의 평가라는 것이 갖는 명백한 한계에도불구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학제 정책결정을 하기로 되어 있으므로 정부와 의학교육계 모두 이에 합리적으로 대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단순 논리로본다면, 추진 측의 입장에서는 의학전문대학원을 추진하는 논거를 입증하는 데 평가가 집중되어야 할것이며 반대 측의 입장에서는 반대하는 논거를 입증하는 데 평가가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의학전문대학원 제도 추진의 과정에서 제기된 추진논리와 반대논리 중 정책추진에 본질적인 것들을추출하면 ‘의학 전 교육, 입학생의 능력과 교육적이점, 교육과정, 복합학위과정, 졸업생, 기초의학자배출, 졸업 후 교육, 중등학교 및 입시에 미칠 영향,기초학문분야에 미칠 영향, 의사양성기관과 비용의증가’의 10개 항목 (Table II)으로 요약할 수 있다(최종상 등, 1996; 한달선 등, 1997; 맹광호 등, 1999;안윤옥 등, 1999; 이무상, 1998; 이무상 등, 1999; 이무상, 2001; 허갑범 등, 2001; 교육인적자원부, 2002;서울대학교 의과대학, 2005a; 서울대학교 의과대학,2005b).





교육인적자원부는 2009년 평가에 대하여 ‘①2010년도 최종 정책 방향결정 시 전문대학원 체제도입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는 정책결정의 준거개발 및 이에 필요한 다양한 근거자료 준비, ② 전문대학원 체제정착을 위한 핵심 정책연구 개발, ③전문대학원 질 개선을 위한 평가체제 구축, ④ 평가회, 우수사례 발표회, 학술세미나 등’을 계획하고 있다고 한다. 이중 2009년 평가에 관련된 것은 ‘①’항의 정책결정 준거개발과 근거자료 준비이며, 그 구체적 항목의 예는 ‘이공계 분야로의 인적자원 배분효과가 있는지, 기존 의과대학 체제와 전문대학원체제의 비교 평가 (교육과정, 학습태도, 학업성취도등), 등록금 인상, 고령화/여성화 등에 관한 현황자료 및 문제점 분석, 현행 체제에서 공급하기 어려운전문 인력과 관련한 선진국 현황 (의과학자, 의경영학자, 의공학자 등) 등’으로 제시되었으며, 이를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변기용, 2006).


그러나 의학교육계는 아직까지 2009년 평가와 관련한 체계적 준비에 착수하지 못한 상태이며 이대로 간다면 의학전문대학원 정책논쟁의 과정에서와마찬가지로 ‘이미 만들어놓은 정부안을 일부 의과대학 교수들에게 연구, 검토시키는 방법을 취함으로써 결국은 의료계가 정부의 안을 받아들이도록 하는 수순’을 밟게 될 가능성이 높다 (맹광호 등, 1999)고 하겠다.


2009년 혹은 이후의 평가가 양측의 논거를 입증하는데 집중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다양한 평가영역들이 고려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관련 자료가 수집되어야 할 것이다. 정부 측과 별도로 의학교육계가자료를 수집하여 평가해야 할 영역들을 추진논리와반대논리 (Table II)에 근거하여 몇 가지 추출해본다면 ‘

    • ① 학사 후 입학생의 사회적 수요 조사, 
    • ② 현체제하에서 예과교육의 개선 모델 제시 및 개선효과, 
    • ③ 2+4와 4+4의 학업성취, 연구능력, 창의력 등의 특성 비교 조사, 
    • ④ 2+4와 4+4에서 학생의 학업비용 부담 증가가 학업과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
    • ⑤ 2+4와 4+4에서 기본의학교육의 동질성, 
    • ⑥ 2+4와 4+4에서 학생의 학업만족도, 
    • ⑦ 복합학위과정의사회적 수요조사 및 중장기 예측, 
    • ⑧ 현 체제에서기본의학교육의 방안과 개선 효과, 
    • ⑨ 현 일반대학원 과정의 정상화 방안과 의학연구 개선의 기대효과, 
    • ⑩ 2+4와 4+4 졸업생의 기초의학 선택 비율 비교, 
    • ⑪ 2+4와 4+4 졸업생에 대한 진출기관 만족도,
    • ⑫ 4+4가 중등교육 및 입시열풍에 미칠 효과, 
    • ⑬4+4에서 의학교육희망 증후군의 현상과 타 학부교육에 미치는 영향 혹은 인재배분 효과, 
    • ⑭ 4+4가 의사양성기간․비용 및 국민의료비 상승에 미치는 효과, 
    • ⑮ 의사양성기간 증가에 따른 전공의 수련기간다양화 등의 대비책과 사회적․교육적 효과’ 등을들 수 있겠다.


물론 평가영역들 중에는 ‘창의적 인간’, ‘새로운지식창출 (이무상 등, 1999)’ 등과 같이 중장기적 추적을 통해서만 객관적 평가가 가능한 것들이 많다.경우에 따라 대리지표 (surrogate)를 선정할 수도 있겠지만, 대리지표의 선정은 엄정한 합의를 전제로하지 않으면 동의를 얻을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각 평가영역별 평가지표의 선정, 평가기준의설정, 평가주체의 객관성, 표집의 문제 등이 총체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의학교육계는 이와 같이 2009년의 평가 논거를개발하고 관련 자료를 수집하는 데에 많은 노력을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거시적으로 생각한다면평가 논거의 개발과는 별도로 ‘의학교육의 진정한개선, 의생명과학의 발전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망국적인 입시경쟁의 해소’를 위한 다각적 방안을정부와 의학교육계가 함께 마련하는 과정으로 국면을 전환할 필요도 있다고 생각된다.



결 론


수년에 걸쳐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킨 의학전문대학원 제도의 추진은 추진과정에서 학문내적논리에서 학문외적논리로 변질된 정책동기의 변화, 정책당사자와의 충분한 합의 없는 정책 추진, 의학교육계의 소극적 대응이라는 바람직하지 못한 특징을 보여주었다.


그간의 정책논쟁 과정에서 살펴보았듯이, 정부와의학교육계는 의학전문대학원 제도 추진 과정에서경험한 비생산적이고 무책임한 과정을 더 이상 반복하지 않아야 한다. 그간의 불신과 폄하를 고려할때 현 상태에 특별한 전환점이 마련되지 않는다면,교육인적자원부와 의학교육계의 관계는 ‘서로 상대편의 배신을 전제로 스스로 먼저 배신을 획책하여공멸의 파국으로 치닫는 죄수 딜레마 게임’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의학전문대학원 제도를 둘러싼 논쟁을 생산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해 2009년평가에 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이와는 별도로 의학교육의 진정한 개선, 의생명과학의 발전을통한 국가경쟁력 강화, 망국적인 입시경쟁의 해소를위한 다각적 방안을 정부와 의학교육계가 함께 마련하는 새로운 판으로, 즉 공멸의 게임이나 제로섬게임이 아닌 윈-윈 게임으로 국면을 전환할 필요가있다는 것이다.


의학교육계 내부의 관계도 재정립될 필요가 있다.의학전문대학원 전환을 둘러싸고 국립과 사립, 전환대학과 비전환대학으로 나뉘어 있는 41개 의과대학의 관계가 새로운 전환점을 찾지 못한다면 이후 전개과정에서 ‘서로 각자의 이익에 근거하여 정부와접촉할 것을 전제로 자신의 카드를 내보이지 않는(다소 표현이 부적절하기는 하지만) 1 대 4의 적전분열 게임’을 치르게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점도지적되어야 한다.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 등 의학교육계를 망라한 조직의 정책적 기능과 대정부 역할이 매우 중요한 시점이다.


더불어 의학과 교육을 제대로 운영하기 위해서는한 단계 더 높은 상위 시스템적 관점을 가져야 한다는 점이 지난 일련의 과정에서 도출할 수 있는 중요한 교훈 중의 하나이다. 특히 최근 의학전문대학원제도추진 과정에서 드러난 정부의 시각을 보면2000년 의약분업 사태 당시 의료계 특히 개원가에쏠렸던 의혹의 눈초리가 이제 의학교육계로 옮겨온것으로 보인다. 대학 역시 자정이 필요하며, 외부적강제 이전에 일반대학원 교육의 파행 등과 같은 뿌리 깊은 잔재를 금기의 영역을 두지 말고 스스로 해결해나가야 한다는 위기의식이 절실한 시점이라고하겠다.









Korean J Med Educ > Volume 18(2); 2006 > Article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006;18(2): 121-132. doi: http://dx.doi.org/10.3946/kjme.2006.18.2.121
의학전문대학원 제도 추진경과에 대한 고찰
신좌섭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실
A Review on the Courses of the Introduction of Post-baccalaureate Basic Medi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Jwa-Seop Shin
Office of Medical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Jwa-Seop Shin ,Tel: 02)740-8175, Fax: 02)740-8072, Email: hismed1@snu.ac.kr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신념

Medical Students’ General Beliefs about Their Learning

박재현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교육학교실

Jaehyun Park

Department of Medical Ethics, Kyung He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서 론


교수-학습이론의 변화에 따라 의과대학의 교육과정이 바뀌고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이 적용되는 일은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다.우리나라의 의과대학들도 세계적인 의학교육의 변화 추세에 따라교육과정을 개선하고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을 현장에 적용하는노력을 하고 있다. 이런 변화에 따라서 의과대학의 학습환경 또한빠르게 그리고 끊임없이 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변화에도 불구하고 의학교육자들은 의과대학생들의 학습행태가 수십 년 전과 크게 바뀌지 않고 비슷하게 유지되는 측면을 발견할 수 있다. 물론 의학교육의 많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의학이라는 학문의 고유한 특성 때문에 의과대학생의 학습행태가 수십 년 전과 비슷하게 보일수도 있다. 


학습자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많이 있다.Swanwick (2010)은 자기규제학습(self-regulated learning)의 모델을 계획(planning), 학습(learning), 평가(assessment), 조정(adjustment)의 4단계 순환 고리로 제시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개인의 인식론적 신념(personal epistemology),학습유형(learning style), 학습전략(learning strategy), 원칙과방법의 연결(connecting principles with methods)을 강조하고 있다.우리나라 의학교육 문헌에서도 인식론적 신념(Rhee et al., 2009)과학습전략(신홍임, 2009; 이승희, 2009; Shin et al., 2010)에 관한 연구를 찾아볼 수 있고 학습유형에 관한 연구는 다수를 확인할 수 있다(Chung et al., 2009). 이외에도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측면의 요소들이 더 있겠지만 이 연구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요소는 의학교육의 맥락에서 의과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학습에 대한 일반적인 신념이다.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의 특성이 다를수 있지만 이 글에서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의 학습에 대한 믿음의 차이까지 기술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의과대학은 의학전문대학원을, 의과대학생(또는 의대생)은 의학전문대학원생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 글의 목적은 국내외의 문헌을 고찰하여 ‘수십 년간을 유지하고 있는 의과대학생들의 학습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의과대학생들의 학습신념(learning belief)이 무엇이 있는지, 왜 이런 신념을 갖게 되었는지, 이런 신념들이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해결방안은 무엇인지, 또 미래의 연구방향은 어떠해야 하는지 제시하는 것이다.



학습에 대한 신념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들의 심리적 요소는 다양한데 그 중에 ‘수십 년에 거쳐 지속되는 의과대학생의 학습행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 요소가 두 가지가 있다. 

  • 첫째, 개인적 인식론(personal epistemology)이다. 인식론은 지식(knowledge and knowing)에 대한 개인의 신념을 의미하는데, Perry (1970)는 미국대학생들이 학년이 올라가면서 그들의 지식에 대한 신념이 점차 더복잡하게 발전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Perry (1970)는 이 단계들은 지식을 교수자(knower)로부터 학습자에게로 전달되는고정된 것으로 생각하는 단순한 신념에서 시작하여 지식은 유동적이고 변화하며 맥락적이고 반드시 개인적으로 발견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더 복잡한 신념에 이르는 연속선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 둘째, 의대생의 의학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신념이다. 이는 학습에 대한 믿음(learning beliefs or beliefs on their learning)으로 인식론적 신념(epistemological beliefs)과 구별되는 것으로 이글에서 주로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의학 공부에서암기가 중요하다. 이해하는 것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잘못하면 실패할 수 있다”는 신념이다. 


의과대학생들이 의학교육의 맥락에서갖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학습에 대한 신념들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1) 학습 분량이 많다. 

2) 암기가 중요하다. 이해는 나중이다.

3) 공부는 경쟁이다. 공부는 혼자서 하는 것이다. 

4) 교과서보다는강의록이나 족보 위주로 공부해야 시험에 실패하지 않는다. 

5) 가르쳐줘야 공부할 수 있다. 강의가 가장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다.


의과대학생들의 이런 학습신념들은 의학교육자가 교육현장에서파악할 수 있다. Miller et al. (2002)은 성공적인 해부학 학습을 위해서는 암기보다는 개념과 이해가 더 중요하고, 해부학 학습은 문제해결의 역동적인 기초로서 실제 임상에 적용할 수 있게 이루어져야 하는데, 해부학 교육자의 이런 기대와는 달리 학생들이 해부학을 ‘끊임없는 암기(endless memorization)’로 인식하고 있어 이런오해가 학생들의 학습에 나쁜 영향을 주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신념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관련이 있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도 있다. 이 중의 어떤 부분은 국제적으로 공통적인 것도 있고 어떤 것들은 우리나라 의대생들에게 고유한 것도 있을 것이다.



학습신념의 형성


학습신념의 형성은 개인의 경험의 결과와 의과대학의 문화적 배경, 감춰진 교육과정의 결과일 것이다. Barke et al. (2009)은 화학교육에서 특정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오해를 연구하면서 이 오해는학생 스스로가 만든 오해일 수도 있고 학교가 만든 오해일 수도 있다고 했는데, 학습신념 또한 학생 개인이 환경의 영향을 받아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선후배 관계나 교수의 영향등 의과대학의 영향으로 집단적으로 갖게 된 것일 수도 있다. 특히학습에 대한 선배와 교수의 영향력이 큰 의과대학에서는 더욱 그럴 가능성이 크다. 또한 문화적 차이 또한 교육의 과정과 결과는 물론 학습신념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론문화가 그리 활발하지 않은 동양의 의대생들의 문제바탕학습의 학습효과에 대한 논란이 그렇다. 대화와 토론을 통해 협동학습을 해나가는 문제바탕학습의 근본적인 전제에서 큰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논란이다(Frambach et al., 2012).



학습신념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이런 신념들이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단정적으로 말하기는 힘들다. 왜냐하면 이런 신념들은 오랜 경험의 결과이고 또이 신념들을 토대로 많은 의과대학생들이 학습을 하고, 졸업을 한뒤에 성공적으로 의사생활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의학교육적 관점에서 보면 이런 신념들은 현대 성인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깊이 있는 개념적 이해(deep conceptual understanding),’ 성찰(reflection),메타인지(metacognition),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등 인지과학의 연구결과들과 배치되기도 한다. 신홍임(2009)은 의과대학의 전통적인 교수-학습환경이 심층학습보다는 오히려 표층학습의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의문을제기하였다. 더 나아가 이런 신념들은 평생교육 역량이 어느 분야보다 중요한 의학교육에서 자기주도학습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또 이런 신념들은 의학교육의 새로운 교육적 시도들의가치와 의미를 떨어뜨리고 과학적인 근거 없이 과거를 답습하게 하여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새로운 교육과정과 새로운 교수-학습방법 등의 많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의대생들이 수십 년 전의 의과대학생들의 학습행태를 답습하고 있다면 실질적인 학습의 변화는 생각보다 미미할 수 있다. 학습에 대한 일반적인 신념은 쉽게 바뀌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과학적 근거는 약할지라도 이런 신념들은 의과대학이라는 조직에서 수십 년에 걸쳐 교수로부터 학생에게, 선배로부터 후배에게 전달되어온 직접 경험에 근거를 둔 것이기 때문이다. Bereiger (2002)는 이런신념을 “직접 경험에 근거한 확실성의 아우라가 있어서 그 권위 또한 상당하다. 예를 들어 지동설이 밝혀지기 전에는 ‘해는 동쪽에서떠서 서쪽으로 진다’는 수많은 사람들의 경험에 추측이나 해석의여지는 없다”고 설명하였다. 경험의 차원이 다르기는 하지만 의과대학에서 경험의 권위를 확인할 수 있는 예가 있다. 해부학 교육의변화로 인해 과거와 비교하여 골학(osteology)의 비중이나 교육적효과가 전과 같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골학 오리엔테이션이 여전히많은 의과대학에서 중요한 전통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은 좋은 예로 학생들의 변하지 않는 신념의 산물일 수 있다.


Williams &Klamen (2006)은 의과대학 교수들의 교수에 대한믿음이 교수 행동의 일차적인 결정요소인 것 같은데 교수들이 그들의 핵심적인 교육신념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하였다. 또 이런 신념들을 발견하고 그 장단점을 파악하여 신념과 실제교육활동을 조화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Tayloret al. (2007)은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소아과 임상교육에 대한 의학교육자의 교육신념을 교육신념 일람표(teaching perspectives inventory)작성, 관찰과 심층면접을 활용하여 의학교육자의 교육신념의 복잡한 단면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임상교수들은임상현장의 시간적인 제한, 환자진료 위주의 업무 등으로 인해 내용전달, 학생들 사이의 사고촉진, 학습경험에 대한 질문과 경험 기회의 제공, 학생들을 학습자로 존중하는 것을 강조하였다고 한다.이들은 결론으로 신념이 매우 중요하여 이를 교수자가 인식하고 어떻게 학생들을 잘 교육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고 하였다.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신념도 교수들의 교육 믿음과 동일한 맥락에서파악하고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학습신념의 내용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



1. 학습 분량이 많다


맞는 말이기도 하고 틀린 말이기도 하다. 의과대학의 학습량이많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아무리 많아도 정해진 시간안에 도저히 할 수 없는 것이라면 그것은 학생 탓이 아니다. 학생들이 소화할 수준의 학습 양을 가지고 정해진 졸업 역량에 도달할 수있도록 하는 것이 의학교육자의 할 일이다. 분량이 너무 많아서 학생들이 수박 겉핥기식의 공부를 할 수 밖에 없도록 만든다면 이것은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학교와 교수의 책임이다. 분량이많기 때문에 족보(기출문제집)를 토대로 하여, 단순 암기 위주로공부할 수밖에 없다면 이것은 교육과정의 문제이지 의학 자체의 특성이 아니다. 그러나 의학정보의 방대함을 간과할 수 없다. 다만 이정보의 홍수 속에서 무엇이 핵심이고 어떤 학습 단계에서 무엇이필요한지를 정하고 이대로 가르친다면 수십 년간 지속된, 의대생을지배하고 있는 이 신념은 약해질 수 있다. 또 잊지 말아야 할 것은많은 분량에 노출되면서 자신의 학습능력의 상한선을 끌어올리는면 또한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해보다는 암기를 강조하고 교과서보다는 족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선배들의 조언과 학습에 대한 신념은 의대생의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성찰의 학습습관 형성을 방해할 수도 있다. 또 무엇보다도 임상의사에게 중요한 임상추론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2. 암기가 중요하다. 


이해는 나중이다이 신념 또한 틀린 말은 아니다. 의학교육은 다른 학문 영역에 비해 많은 양의 사실적 자료를 기억해야 한다. 그러나 단순 암기는 학생의 학습에 단기적, 장기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혹시 단순하게 암기를 해서 시험에 성공할 수도 있지만 연속되는 학습에효율적인 토대로 작용하지 못할 것이다. 이 문제는 학습 분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 무엇보다 학생평가와 관련이 깊다. 단순 암기로 풀 수 있는 문제보다 문제해결형 등의 이해와 추론이 요구되는방식으로 평가를 개선한다면 학생들의 암기 위주의 학습습관도바뀔 수 있을 것이다. 오선아 외(2010)에 의하면, 의학교육은 다른학문 영역에 비해 많은 양의 사실적 자료를 기억해야 하고, 복잡한메커니즘을 이해해야 하며 광범위한 영역에 걸친 전문적 기능의 수행능력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학습자료의 설계와 제시방법, 전체적인 교육과정 설계와 실행방법에 있어서 학습자의 인지적 부하를줄여줄 수 있는 고려가 필요하며, 구체적으로는 과도한 외적, 내적인지부하를 제공하지 않으면서 스키마 형성 인지부하를 증진시켜줄 수 있는 세심한 노력을 강조하였다.



3. 공부는 경쟁이다. 


공부는 혼자서 하는 것이다의과대학의 경쟁은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상대평가에 익숙한학생들은 내가 어느 정도 학습목표에 도달하는지 또는 의학교육적 관점에서 말하면 기대하는 역량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보다 내가몇 등을 했는지에 관심이 많다. 환경적인 면에서도 인턴, 레지던트선발 시에 학교성적을 고려할 때 단순하게 적체 학급인원 몇 명 중에 몇 등인지의 방식으로 순위가 큰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는 일정 수준에 도달 했는지, 면허를 부여받을 만한 자격이 있는지를 검증하는 의사면허시험의 결과를 인턴 선발에 활용하는 일은 분명히 난센스다. 또 경쟁적인 문화는 협동학습에도 방해요소가 될 수 있다. 때로는 경쟁심에 비롯된 것이 아니라 협동학습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이 협동학습의 기회를 잘 활용하지 못하는 면도 있다. 의과대학생들이 그룹 스터디를 적절히 활용하기도 하나여전히 아쉬운 면이 있다. 특히 문제바탕학습의 경우 협동학습이중요한 근거 중의 하나인데 모여서 토론을 할 때는 잠시 협동학습의 형태를 취하나 세션 사이의 자기학습시간에는 팀원 간의 협동학습이 거의 이루어지지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이는 공통과제를 보면 알 수 있는데 학생들은 함께 공부하며 서로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며 상승작용을 경험하기보다는 공통과제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자기가 맡은 부분만 공부하는 경향이 있다.



4. 교과서보다는 강의록, 기출문제집(족보) 위주로 공부해야시험에 실패하지 않는다


이 문제 또한 과도한 학습 분량, 암기 위주의 학습과 연관이 있다.교과서를 가지고 공부하지 않고 족보나 강의 프린트물 위주로 공부하는 행동은 과도한 학습 분량의 결과이고 암기 위주의 학습으로이어질 수 있다. 교과서를 활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학습이 되는부분은 교과서를 보고 공부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강의 중간 중간의 퀴즈나 과제 제출 요구 등으로 교과서를 더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또 음성적인 족보문화의 원천적인 차단을 위하여 문제를 공개하고 시험 직후 바로 해답을 공개하는 등의 정책 또한 고려해볼 만하다. Southwick et al. (2010)은 미생물학의 감염질환과정이 지나치게 파워포인트(Power Point) 강의,파워포인트 강의록, 선다형 시험을 일차적인 교육수단으로 삼아서학생들의 단기 기억을 조장하고 이해와 장기 기억을 저해하고 또학생들의 능동적 학습을 방해한다고 비판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다섯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우리 의학나라의 교육현장에도 참고할 만하다. 

  • 1) 강의 몇 시간 전에 2개 정도의 일반적인 질문에 이메일로 답을 보내도록 요구하는 등의 적시교육(just-in-time teaching), 
  • 2) 동료 교수(peer instruction) 또는 이메일로 답을 보낸학생들을 4명 단위로 묶은 대규모 그룹 세션, 
  • 3) 교과서와 인터넷 자료를 활용한 교육, 
  • 4) 병리생태와 감별진단에 초점을 둔 소규모 그룹 토론, 
  • 5) 학생의 이해를 장려하고 확인하기 위한 에세이 시험.



5. 가르쳐 줘야 배울 수 있다. 강의를 들어야 학습을 할 수 있다


이 신념은 다른 신념과 달리 교수와 학생이 공유하는 신념일 수있다. 문제바탕학습의 효과를 의심하며 불안해하는 학생은 물론교수도 있다. ‘이렇게 엉성한 방법으로 어려운 의학공부를 할 수 있을까?,’ ‘체계적인 강의를 해서 가르쳐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을 많이 하는 것 같다. Luian &DiCarlo (2006)는 지나치게 빠듯한 교육과정으로 인해 학생들이 깊이 있는 이해를 하고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 의사소통 등의 의사로서 평생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개발하지 못하는데, 그 원인의 일부를 교수들에게 돌리고 있다. 이들은 교수들이 ‘모든 내용을 강의에서 다루려는 경향(cover the content)’을 보이고 소그룹 토론, 협동적 문제해결, 탐구활동(inquiry based activities) 등으로 인해 ‘가치 있는 강의’를 잃게 되거나 시간을 낭비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을 한다고 설명하였다. 강의가 가장기본적인 형태의 교수학습방법임은 분명하고 교육자원의 활용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임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의학교육의 특성상 문제바탕학습 등의 소그룹 학습, team based learning과 같이소그룹 학습과 강의를 접목한 학습, 시뮬레이션 학습, 도제 방식의교육 등 다양한 방법을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데 이를 더 활용하지 못하게 하는 단점이 있다. 조금 더 다양한 방법의 교수-학습방법에 대해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자기주도학습의 맥락에서 ‘가르침’보다는 ‘서로 배움’으로 학습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김성길(2010)은 이 문제에 대해 지금껏 교육을 교수자 입장에서 바라보면 가르치는 일이고, 학습자 입장에서 이해하면 배우는 일이라고 구분하곤 했으며 가르치기만 하면 배우는 시대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며 열린교육 평생학습 시대에는 배움의 목표에서부터 내용, 방법, 평가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학습자 스스로가 계획하고 실행하고 평가하는 창조적 교육과정이 필수이라고 자기 주도학습의 중요성과 용기를 강조하였다.


학습신념에 대한 대책


먼저, 이런 학습신념이 어느 정도의 강도로 존재하는지, 왜 이런학습신념이 형성되었는지 원인을 탐색하고 이 신념이 학습행동에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세심하게 파악하여야 한다. 개별적인 학습신념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이 필요하겠지만 먼저 일반적인 대책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 1) 합리적인 시간 안에 소화할 수 있는 학습목표를 설정하여 학생들에게 과도한 학습부담을 주지 않고 단순암기보다는 이해와 문제해결능력 습득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 2) 학생들이 암기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실 정보의 총량을 감소시킨다. 
    • 3) 교육과정이 지나치게 여유 없이, 빠듯하게 되지 않도록 하고 학생들에게 충분한 자기학습시간을 제공한다. 
    • 4) 학생평가를 교수-학습 통합과정의 일부로 인식하고 시험을 학생들의 학습을 증진시키는 기회로 활용한다. 
    • 5) 순위 위주의 평가를 개선하는 등의 경쟁을완화하고 협동학습을 장려하는 환경개선을 하여야 한다. 
    • 6) 학생들이 자신만의 공부 전략과 메타인지기술(metacognitive skills)을개발할 수 있도록 공식, 비공식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한다. 
    • 7) 선후배 간에 전수되는 학습과 관련된 오리엔테이션 실태를 파악하는등의 숨겨진 교육과정을 파악하고 대처한다.


개별적인 신념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의 예를 들어 보자. 의과대학생 대상의 근거바탕의학(evidence-based medicine, EBM) 워크숍은 교과서나 의학저널 등의 근거 있는 자료를 학습에 잘 활용하지 않는 학습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Sastre et al. (2011)은 3학년학생들을 대상으로 EBM 워크숍을 시행한 결과 학생들이 효율적으로 EBM 자료를 검색할 뿐 아니라 EBM 자료를 더 잘 활용하고환자기록에 EBM을 더 잘 통합시킨다고 보고하였다.



결 론


학생들이 학습상황 속으로 가지고 들어오는 학습에 대한 관점, 신념, 태도, 메타인지지식은 학습과정과 궁극적인 학습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Bernat & Gvozdenko, 2005). 의과대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신념은 학습 전반에 끼치는 영향이 큰데, 이 신념들의 실체와 원인, 영향을 파악하여 긍정적인 영향은 확대시키고 부정적인 영향은 최소화시키는 교육전략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교수-학습설계, 교수활동, 교과과정설계와 운영에 활용하는 일은 의학교육자의 중요한 임무이다. 의과대학은 다른 대학과 다른 학습문화를 갖고 있다. 의학전문대학원제도가 도입되면서 의학전문대학원은 의과대학과는 다른 학습문화를 보일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차이점도 있겠지만 우리나라에서 역사가 더 긴 의과대학제도의 영향인지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도 기존의 의과대학생과 거의 비슷한 학습신념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이 글에서는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 사이의 학습문화의 차이를 연구하기보다는 기존의 의과대학 위주의 학습문화에서 학생들의 학습신념이 어떤지 의학교육자의 경험을 토대로 국내외의 문헌을 고찰하여 의대생과 의전원생의 학습신념의 내용, 원인, 영향을 기술하였다. 의대생의 이런 학습신념들은 새로운 의학교육의 시도들을 의미 없게 또는 가치가 떨어지게 만들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오해를 바로 잡는 일은 중요하다. 예를 들어 자기주도학습이 전제되지 않은 문제바탕학습은 기대하는 교육적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 또 비판적 사고, 임상추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을 의미 없게 만들 수 있다. 이 논문의 한계는 기술한 학습신념이 과연 존재하는지 또 그 영향은 어떤지를 체계적인 연구방법으로 도출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앞으로 학습신념 측정도구(learning belief inventory) 개발과 활용, Q-sort 방법, 관찰과 심층면접 등의 질적 연구방법으로 실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Taylor et al., 2007; Williams & Klamen, 2006).



Learning in medical school is usually regarded as a very specialized type of learning compared to that of other

academic disciplines. Medical students might have general beliefs about their own learning. Beliefs about learning

have a critical effect on learning behavior. There are several factors that affect medical students’ learning behavior:

epistemological beliefs, learning styles,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beliefs. Several studies have addressed

epistemological beliefs,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strategies in medical education. There are, however,

few studies that have reported on medical students’ beliefs about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at learning beliefs medical students have, what the causes of these beliefs are, and how medical

educators teach students who have such beliefs. In this study, the five learning beliefs are assumed and we

considered how these beliefs can affect students’ learning behaviors. They include: 1) medical students are expected

to learn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n a short time. 2) memorization is more important than understanding

to survive in medical schools. 3) learning is a competition and work is independent, rather than collaborative.

4) reading textbooks is a heavy burden in medical education. 5) the most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s the lecture. These learning beliefs might be the results of various hidden curricula, shared experiences

of the former and the present students as a group, and personal experience. Some learning beliefs may

negatively affect students’ learning.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s of medical students’ learning beliefs are significant

and indicate that students and educators can benefit from opportunities that make students’ beliefs

about learning more conscious.

Keywords: Medical students, Learning, Belief, Behavior, Culture

의학전문대학원 도입: 2010년 의학교육 제도 결정 시점에 대비한 준비

Introduction of Medical School: How Should We Re-design Our Medical Education System in 2010?

왕 규 창 | 서울의대 신경외과 | Kyu-Chang Wang, MD

Department of Neuro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E - mail : kcwang@snu.ac.kr

J Korean Med Assoc 2008; 51(9): 786 - 789



현재의 상태

의학전문대학원 제도는 십여년 전‘연구 중심’을 표방하는 일부 의과대학에 의하여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가진 학생을 선발하여 유능한 의과학자를 양성하고자, 또는 뒤늦게 의학교육을 희망하는 비의학 학부 졸업생들의 의학교육 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즉‘학사 졸업 후 의예과 입학(4+6년)’대신‘학사 졸업 후 본과 입학 또는 편입(4+4년, 이하‘4+4제도’라 함)’제도가 고려되면서 논의가 시작되었다. 이는 국가적으로 전면적인‘4+4제도’적용을 뜻하는 것은 아니고 제한된 범위의 학생 정원을‘4+4제도’로 운영하고자 함이었다.


그러나 교육인적자원부(이하‘교육부’라 함)에서는 이 제도를 대학입시 과열 완화, 사교육비 절감의 수단으로 보고전면적인, 또는 이에 준하는‘4+4제도’를 강제하기에 이르렀다. 즉, 교육부 입장에서는‘4+4 제도도 있는’정도로는 안되고 고등학생이 의학교육에 바로 입문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선진국 의학, 법학, 경영학 교육제도의 변화 경향을 표면적 이유로 들었다. 그러나 필자가 알기에 전 세계에서 의학교육의 연한을 정부가 전면적으로‘4+4제도’로 강제한 나라는 없었다. ‘4+4제도’가 주류를 이루는 나라도 몇 없다. 많은 나라가 다양한 교육 연한의 제도를 수용하고 있다. 세계적으로‘2+4제도’로 졸업한 의사들이 교육기간이 짧다는 이유로‘4+4제도’로 교육받은 의사로부터 낮은 평가를 받는 일도 없었다. 실제로 엄밀한 의미의 의학교육 기간은‘4+4제도’에서 더 길지 않다.


의학교육계는 강력히 반발하였다. 학생들의 교육기간과 교육비 증가, 의사 활동 기간 단축과 의사 수익지향성 증대등 학생 고령화에 따른 문제, 경제적 약자의 의학교육 진입 방해 효과, 이공계 학부 교육의 변질, 의사의 질 향상에 대한 불확실성 등의 이유를 들어 전면적인‘4+4제도’도입에 대하여 반대의견을 표명하였다.


교육부의 추진 방법에 문제가 많았다. 의학교육계의 공식 적인 입장보다는 일부 의학교육 전문가의 의견이 존중되었고 의학교육의 수요자인 학생들과 학부모, 이들이 의사가 된 후 의료서비스를 받게 될 일반 국민, 그리고 의사와 의학자를 받아들일 의료계와 의학계, 그리고 이에 영향을 받을 이공계 대학을 비롯한 사회 각층의 합의가 미흡하였다. 교육부 안에서도 소수의 인사에 의하여 추진된 것으로 알고 있다. 특정인이 다른 부서로 이동한 시기에는 몇 대학이 의학전문대학원 전환을 신청하여도 교육부에서 접수하지도 않았었다.


교육적인 이유만으로는 각 대학의 의학전문대학원 전환 동기가 없다는 것을 안 교육부는 전환을 유도하기 위하여 전환 대학에 대한 비교육적인 행정적, 재정적 특혜를 주었다. 각종 지원금과 교수정원 증원 뿐 아니라 파격적인 등록금 인상을 묵인하였고 대학이 위치하는 지역 제한도 풀었다. 한편 의학전문대학원 강제를 위하여 비전환 대학에 대하여는 비교육적인 압력을 행사하였다. 법학전문대학원 불허, BK사업 제외를 공식적으로 천명하였고, 심지어는 학생 정원강제 축소를 운운하였다. 세계적으로 근거가 없는 제도를 강행하면서 이런 압력을 가하는 것은 과거 군사 독재 때에도 없었던 일이다. 다행히 2005년 후반 교육부 내의 의학전문대학원 신봉자들이 잠시 다른 부서로 이동하자 의학교육계는 교육부와 서로 한 발씩 물러나서 타협을 하였다. 수도권5개 의학전문대학원 반대 대학은 2009년까지 학생 정원 50% 이상 의학전문대학원 시범 사업에 참여하되 2010년 의학교육 제도를 백지 상태로부터 새로이 결정하며, 이 때 이미 전면적 전환을 약속한 대학도 새로이 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결정은 의(치의)료계 위원이 과반수인 의치의학교육 제도개선위원회에서 결정하도록 하였다.


교육부의 당근과 채찍 그리고 타협은 나름대로 효과를 보았다. 의과대학의 삼분의 일은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하였고 삼분의 일은 시범적으로 50% 의학전문대학원 제도를 병행하기로 하였고 나머지 삼분의 일은 그냥 의과대학으로 남았다.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비교육적 경과는 교육부에 일차적 책임이 있지만 교육 철학과 그 실행에 있어 부족함이 많았던 의학교육계에도 책임이 있다.


2010년 의사양성체제 개편을 위한 준비

2007년 5월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이하‘학장협’이라함)에서는 의학교육의 본질이 훼손되지 않고 국가 인적자원 관리와 경쟁력 강화 그리고 대학의 자율을 존중하고자 합의사항을 도출하고 서명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각 대학은 학생, 환자를 포함한 범국민적 공익을 우선하는 결정을 존중하고 각 대학의 자율권을 인정하며 비교육적인 압력과 회유를 배척하고 교육적인 논리에 따라 행동하자는 것이었다. 의학교육계의 분위기는 각 대학이 대학의 철학과 학생들의 선호도를 고려하여‘자율적으로 의학교육 형태를 선택하는’쪽으로 흐르고 있었다(참고: 2007, 한국의과대학학장협의회 합의문).








J Korean Med Assoc. 2008 Sep;51(9):786-789. Korean.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08.  http://dx.doi.org/10.5124/jkma.2008.51.9.786 
Copyright © 2008 Korean Medical Association
Introduction of Medical School: How Should We Re-design Our Medical Education System in 2010?
Kyu-Chang Wang, MD
Department of Neuro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 Email:kcwang@snu.ac.kr 
Abstract

Background and current concepts: Conversion of 'all' medical colleges to medical schools had been tried by governmental force based on political, non-educational reasons and caused so many problems and conflicts. Teaching points and conclusion: Our medical education system should be re-designed in 2010 on the base of agreement among the various stakeholders in our society respecting public interest and autonomy of university.






우리나라에서 의사면허관리제도를 시행할 수 있을까?

Can a medical regulatory system be implemented in Korea?

허 선1*·정 명 현2 | 1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의학교육연구소, 2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Sun Huh, MD1*·Myung-Hyun Chung, MD2

1Department of Parasitology and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Chuncheon, 2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Sun Huh, E-mail: shuh@hallym.ac.kr

Received February 20, 2013·Accepted February 26, 2013



서 론


사례 1: 65세에 정년퇴임으로 병원에서 은퇴하여 진료현장에서 떠난 의사가 집안 사정에 따라 72세가 되어다시 진료를 하기 위하여 지역 보건소에 개원 신고를 하면 보건소는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을까?


사례 2: 류마티스관절염으로 무릎 통증이 있는 환자에게항암제로 사용하는 약제를 과다용량 투약하여 백혈구감소증(leukopenia)이 온 뒤 내과의사를 방문하였다. 이 내과의사는 앞에서 환자를 진료한 의사의 행위에 대하여 의사 사회에 전하여 대책을 세워 더 이상 이런 사례가 나오지 않게 할수 있을까?


앞에 첫 사례의 경우 지금까지는 제한 없이 진료도 할 수있고 개원도 가능하였다. 최근 의료법 개정으로 2012년 4월29일부터 2013년 4월 28일까지 의사면허 신고(report oflicense)하고 이후 3년마다 재신고하도록 의무화하고, 정해진 시간만큼 보수교육을 받아야만 신고가 가능하게 하였다.따라서 일정기간 이상 진료 현장을 떠나서 보수교육을 받지못하였으면 바로 면허신고를 할 수 없어서 진료 현장으로 복귀할 수 없다. 그러나 보수교육을 일정 시간 다시 받으면 복귀 가능하다. 그런데 정해진 연간 최소 보수교육인 8 시간만으로 충분히 현장을 떠난 기간 동안 발전한 의료기술을 익힐수 있을까[1]? 또한 두 번째 사례는 결국 내과 의사는 앞에진료한 의사에게 어떠한 조언도 하지 못하고 의사회에 신고도 하지 못하고 그대로 방치하였다.


이렇듯, 우리는 의사면허시험관리와는 다르게 의사면허관리(medical regulation)에 대한 별도의 기구가 없고, 동아시아 지역 중국, 대만, 일본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외국특히 대부분 영연방 국가에서는 의사면허관리기구(medicalregulation authorities)에서 조금 더 철저한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물론 영국은 의료사회주의 정책을 펴고 있어 영국출신 의사만으로 공공병원을 운영할 수 없으므로 전체 의사인력의 1/3이 이상이 외국 의과대학 출신이다. 그러므로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일 년간 임상훈련을 받으면 별도의 면허시험 없이 진료면허를 부여하는 자국 의과대학 출신 의사와더불어 외국에서 유입하는 의사면허의 질을 철저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의료체계를 유지하기 힘들다는 절박함이 있다.우리나라는 의과대학에 또래 세대에서 가장 뛰어난 인재가유입하고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의사면허의 질관리를 현행 보수 교육제도 수준에서 개인이 스스로 판단하도록 둘 수만은 없다. 또한, 앞으로 국가 간 의료인력 이동에서 이런 면허 질관리에 대한 국제적인 기준을 따라가야 하고또한 국민과 의료인 사이 신뢰와 소통에 의사면허관리제도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면허관리제도를 시행하는 나라에서는 이런 관리기구가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지 살피고 우리나라에 도입 가능성을 검토하려고 한다.


면허관리기구의 목표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고 증진시키며, 의사의 전문직업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국제의사면허관리기구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of Medical Regulatory Authorities)가 제안하는 각국 면허관리기구 기능은 크게 세 가지이다[2]. 

    • 첫째, 자격이 있는 자국민 또는 외국에서 유입된 인력에게 면허와 진료 자격을 부여한다. 
    • 둘째,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 증진, 유지시키기위하여 지속적으로 수준 높은 교육과 훈련 과정을 시행하여의사의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을 확보한다. 
    • 셋째, 국민의 의료인의 진료에 대한 불만과 민원을 해결한다.

이런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은 국가법에 따라 정부의 지원이나 후원을 받지만 독립된 기관으로 자율로 운영한다. 우리나라에서 

    • 첫째 기능을 24개 보건의료 직종 면허시험을 의료법을 포함하여 직종별 관련 법에 따라 정부가 위임한 면허 또는 자격 인정 기관인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국시원)이담당하고 있다[3-5], 국시원은 올해로 창립 21년째를 맞아[6]2009년부터 의사시험에 임상실기시험을 도입하고[7,8], 늦어도 2016년부터 컴퓨터바탕시험을 도입할 예정으로[9] 국제 수준의 면허시험관리를 수행하고 있어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면허시험관리에 손색이 없고 이미 아시아 지역에서는 리더 역할을 하고 있다[10]. 
    • 둘째 기능은 대한의사협회에서 인정하는 연수교육에 연 최소 8시간 이상 참여하여야 면허신고가 가능하고 매 3년마다 갱신하는 제도로 2012년부터시행하고 있다. 
    • 그러나 셋째 기능은 별도의 기구가 없이 정부의 민원 처리기관이나 법률 시장에 남겨둔 상태이다.


직종별 전문직업성이 확립된 국가에서는 의사의 이익을대표하는 의사회의사 전문직업성을 유지하고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 수준 높은 의료를 제공하려는 면허관리기구가 별도로 존재한다[11]. 또한 미국과 같이 면허 관리기구와 다르게 면허시험관리 기구로 National Board of MedicalExaminers가 따로 있는 경우도 있다. 이 면허시험관리기구가 우리나라의 국시원과 같은 역할을 한다. 

    • 영연방 국가들은 영국식 면허등록제를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 등록제 체제에서는 의료인 면허등록을 관할하는 기구가 따로 있다. 예를 들면 영국의 General Medical Council은 면허등록 후자격유지를 위한 전 과정을 관할하고 있다. 영국은 1858년부터 의료법(Medical Act)에서 자격이 있는 의사가 누구인지 국민에게 알릴 수 있도록 면허등록제를 시행하였고,1950년부터는 국민이 의료에 대한 불만을 의사면허관리기구인 Genera Medical Council에 제기할 수 있도록 하고1983년부터 현재와 같은 기능을 다룰 수 있도록 의료법을개정하였다. 즉, 자격 있는 의사가 계속 등록하여 면허를 유지하고, 우수한 진료를 촉진하며, 높은 수준으로 의학교육과훈련을 발전시키고, 의사의 진료 행위에 의문이 있을 때 사안을 공평하게 다루는 등의 역할을 하고 있다[12]. 영국은국제의사면허관리기구협회가 제안하는 기능을 한 군데서 수행하고 있다. 
    • 캐나다의 경우 Medical Council of Canada에서 면허시험을 관할하고 있으며 주 단위 면허관리기구에서면허재등록과 관리를 담당한다.
    • 미국은 National Board ofMedical Examiners에서 면허시험을 관할하고 각 주 단위Medical Board에서 면허재등록과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 호주의 Australian Medical Council은 의학교육의 표준을확보하기 위한 의학교육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의사 전문직업의 평가와 훈련, 더불어 호주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 목적이다[13]. 더불어 2010년 창설한 Australian HealthPractitioner Regulation Agency은 Medical Board ofAustralia 등 각 직종의 National Boards와 함께 56만 명에이르는 다양한 직종 보건의료인의 면허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인구 2,000만 명 국가에서 각 직종별로 기구를 두는 것보다 한 군데서 담당하는 것이 비용과 효율 면에서 유리하기때문에 통합하였다[14].


이러한 면허관리기구는 면허의 자격을 부여하고 유지하기 위한 기준과 조건을 설정하고, 이 기준에 부합하는 지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불만과 민원에 대한 처리, 재교육 기준을 마련한다. 즉 이 기구는 전문가집단이 자율로 의료인 질을 보장하여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얻고 전문직업인으로 권익보호에 기여하고 궁극에는 국민의 건강수준을 유지하고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면허취득 후 질관리가 강화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면허시험을 주관하는 국시원, 면허를발급하는 보건복지부, 연수교육을 시행하고 면허신고를 다루는 대한의사협회가 의사면허 관련 주된 축이다. 즉, 아직면허발급을 의사 전문가단체가 관할하고 있지 않아 전문가단체가 스스로 면허를 발급하는 미국이나 영국, 캐나다 등영연방 국가와는 다르다. 또한 면허를 관리하고 국민의 불만과 민원을 해결하고 의료인의 질관리를 하는 주체는 찾기어렵다. 즉 의사면허를 받은 후 면허관리와 질관리는 아직사각지대이다. 우리나라는 이 부분을 법률시장에 남겨두고있다. 예를 들면 의료법에 명시한 법령이나 대통령령으로정하는 의료 관련 법령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형의 집행이 종료되지 아니하였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되지 아니한 자는 의료인이 될 수 없다. 각 중앙회는 의료법에 따른 자격정지 처분 요구에 관한 사항 등을심의·의결하기 위하여 윤리위원회를 두고 중앙회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의 자질 향상을 위하여필요한 보수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정부는 의료인의 품위를 심하게 손상시키는 행위를 한 때 등에서 자격정지를 할수 있다[1]. 이런 법률 구조에 따라 심각한 의료사고는 법정에서 다루어지지만 의사가 형사처벌을 받기 전에는 의료행위 자체로 의료법에서 면허를 정지시키거나 취소할 근거는없다. 정부는 의료인의 품위를 심하게 손상시키는 행위를한 때 등에서 자격정지를 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야 하는데, 대한의사협회의 윤리위원회 등 전문가집단의 의견이 중요하다. 그동안 전문가집단에서 이런 자체전문가 사이 질관리를 수행하였다고 여기기에는 기능이 극히 제한되어 있다. 또한 대한의사협회가 회원을 위한 이익단체로 의사면허 신고를 대행하고 있고 보수교육을 통하여의료인의 질관리를 하지만 국민을 보호하는 역할은 선언하지 않았다. 따라서 회원의 민원은 다루나 일반인의 민원을다루는 기능은 명시하지 않고 있다. 즉 회원의 이익단체가기본 성격이기 때문이다. 국시원도 면허시험을 관리하지만면허관리나 평가에는 관여하지 않고 있다.


영연방 국가나 미국 등 면허관리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나라에서는 면허관리기구에서 국민이 제시하는 의료인에 대한 민원을 받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의료인의 자격을 검증하고, 문제가 있을 경우 적절히 해결방안을 제시하거나 전문성을 신장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또한 매년 높은 수준의 보수교육 시간을 채우도록 하고 있다. 오랜 기간 경력이 단절된의사가 업무를 재개할 때, 외국인 의료인 인력이 유입될 때,어떤 자격 요건을 충족하여야 하는지를 다룬다. 이렇게 면허관리기구는 의료인이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한 노력을 한다. 우리도 이런 국제 기준에 맞는 기구의 설립이나 기존 기관에 기능부여가 필요하다.


의료인력 이동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우리나라도 2012년 기준 장단기 외국인 체류자가 140만명을 넘었고 2004년 이후 전체 혼인신고 수의 10% 이상이외국인과 혼인이다. 지역의 산업구조에 따라 외국인 비중이매우 높은 곳도 많다. 우리나라는 언어장벽으로 외국인 의사가 국내 의사면허 취득이 쉽지 않다. 그러나 앞으로 이렇게 이주민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이주민의 문화를 이해하는해당 국가 외국인 의사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있다. 앞으로 자유무역협정체결 국가가 늘어나면 WorldTrade Organization 서비스 교역 방식 중 제4유형인 ‘어떤국가의 자연인(개인)이 다른 국가로 이동하여 서비스를 공급하는 자연인의 이동’이 더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 의료인에 대하여 다른 나라와 상호인정협정(Mutual Recognition Agreement)을 체결한 예도 없고 각업종의 이해관계와 맞물려 정치적으로도 민감한 사안이므로 다루지 않고 있다. 대체로 선진국은 인구 고령화에 따른수요나 노동강도가 높은 특수 분야의 인력난 해소 등을 염두에 두고 범위를 좁혀 다루려고 하지만, 개발도상국은 인력수출이나 의료수준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적극적이라는 시각차이가 있어 의료분야 전문가 이동은 극히 제한적이다[15]. 과거 서독에 우리나라에서 간호사를 파견한 예가 있듯이 선진국에서 특수 분야에서 적극 유입을 장려하기도 하는데 우리나라도 이제 경제규모나 국력이 세계 10권이므로 의료 분야노동시장에서 장기적으로 특수 분야의 인력부족 사태가 올수 있다. 그러면 정부나 사회에서 해당 분야 의료인의 배출수를 늘리던지 아니면 외국 의료인 유입을 적극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초고령사회로 전환하면서 늘어나는 노인인구를 돌보는데 더욱더 의료비나 기타 돌봄 비용이 기하급수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을 대비하여서도 우리나라도 면허 질관리 제도를 국제 수준으로 갖추어야 한다. 또 한가지 고려하여야 할 것이 한반도에 남북통일 상황이 올 때 북한 의료인력 중 의사면허를 어느 수준에서인정할 것인가이다. 지금도 북한이탈 의료인은 자격요건을갖추면 국내 의사면허시험을 볼 수 있게 하고 있으며[16], 조금 더 전향적으로 받아들여 10년 이상 북한에서 진료경험이있는 경우 의사국가시험을 치르지 않아도 임시면허를 부여하고 일 년간 임상수련 후 면허를 부여하는 제안이 나왔다[17].지금은 소수 북한이탈주민 의사에 해당하는 경우라 사회적인문제가 되지 못하지만 앞으로 지나치게 최신 의학지식이나 진료 역량에서 차이가 나는 대량의 북한 의사가 남쪽으로 이주할 때 어떻게 면허 질관리를 할 수 있을지 역시 고려하여야 한다면 면허관리와 질관리를 사전에 제도적으로 정착시켜야 한다. 서독은 동독과 통일 과정에서 동독 의사면허를 아무 조건없이 그대로 인정하였으나 그것은 양국의 의학교육이나 진료수준이 국제 수준에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기 때문이다.



새로 기관을 만들 것인가 아니면 기존 기관이 확장하여 맡을 것인가?


현재 면허시험은 국시원, 면허발급은 보건복지부, 의사신고와 보수교육은 대한의사협회가 담당하고 있고 아직 의사면허는 의사 직종 단체에서 발급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가 발급하는 국가면허이므로 영국의 General Medical Council과 같은 기구를 구성하는 것은 쉽지 않다. 발급은 어느 때가되어 전문가 직종의 역량이 강화되면 정부가 민간기구에 면허발급을 이관한다고 하더라도 언제가 될지 알 수 없다. 그이전에는 면허관리기구를 설립하거나 기존 기관에 의뢰할수 있다. 호주는 2010년부터 인구가 2,000만 명 수준이라서보건의료인 수도 많지 않으므로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한기관에서 하도록 전 보건의료 직종 면허관리업무를 통합시켰다[14]. 우리나라는 의사를 비롯한 각 직종별 면허관리를위한 새 기구를 만들 수도 있다. 현재 국시원이 특수법인으로발전하면 여러 직종 보건의료인의 합의에 따라 이런 업무를위임 받아 기능을 확대하여 호주처럼 전 직종을 같이 관리하는 것도 효율적인 한 방안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미 여러직종의 면허 시험에 대한 20년 이상 운영 경험이 있고 조직체계가 갖추어져 있어서, 인력 등 규모를 확장하고 각 직종별 동의가 있다면 면허 질관리를 위한 직종별 전문가와 민원을 다루는 법률전문가 충원으로 충분히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면허관리기구는 의료소비자인 국민과 직업전문성을갖춘 의료인, 또한 국내 의료서비스 공급 시장을 전국민 개보험제도로 통제하는 정부의 합의가 필요하다. 이런 기구를 전문가집단이 솔선하여 추진한다면 국민도 정부도 지원하고 함께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영국의 General Medical Council에서도 board member로 의료인 6명, 일반인 6명으로 의료소비자인 국민도 적극 참여하는 기구이다. 가장 큰 목적이 국민의 건강증진, 유지, 향상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2012년도 10월 캐나다 Ottawa에서 열린 국제의사면허관리기구협회에서 발표 내용을 보면 영국을 비롯한 영연방 국가들에서는 의과대학에서부터 학생들에게 의사면허관리제도의 중요성을 가르치고 기회 있을 때마다 사회활동에 참여시켜 의사가 된 후에도 자연스럽게 협조가 될 수 있도록 교육시키고 있다.


결 론


의사면허관리, 질관리에 대하여 아직 의사를 비롯한 각직종 단체는 관심이 크지 않다. 그러나 이런 업무는 의료인이 국민으로부터 신뢰 받고, 또한 우리나라가 자유무역협정국가 수를 확대 발전시키면서 보건의료 직종의 상호 인정에서 기본이다. 앞으로 우리 의료인이 북미나 서유럽에 진출하는 것뿐 아니라 다른 개발도상국가나 경제협력개발기구국가에서 우리나라에 의료인이 진출하는 것을 대비하여야한다. 더구나 일부 학자의 예상대로 2030년경에 통일이 될지 아직 확실하지 않지만 통일 이후 의료인 면허 인정이 매우 중요한 주제가 될 것이므로 면허관리를 우리나라 보건의료서비스 질관리 차원에서 망설이지 말고 바로 추진하여야한다. 의료인 스스로 질관리하는 전문가집단으로서 존중받으려면 자발적으로 나서야 하며 정부 역시 이런 전문가집단의 질관리 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는 것이지금 우리나라가 국민에게 또는 해외에서 방문하는 고객에게 제공하는 전세계 최고 수준 의료서비스를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계기가 될 것이다. 최고의 의료서비스 못지 않은 것이 최소한의 서비스 질관리이기 때문이다.






J Korean Med Assoc. 2013 Mar;56(3):158-163. Korean.
Published online March 19, 2013.  http://dx.doi.org/10.5124/jkma.2013.56.3.158 
Copyright © 2013 Korean Medical Association
Can a medical regulatory system be implemented in Korea?
Sun Huh, MD,1 and Myung-Hyun Chung, MD2
1Department of Parasitology and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Chuncheon, Korea.
2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Seoul, Korea.
Abstract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edical Regulatory Authorities has suggested three roles for a country's medical regulatory authority: first, it should provide the graduates of medical schools and immigrant physicians licenses to practice in the country; second, it should provide high-quality educational and training programs to promote and maintain the health and safety of the public and ensure professionalism; third, it should resolve public complaints regarding medical practice so as to increase rapport between professionals and the public. In Korea, the first function has been performed by the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The second function has been executed by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as required by medical law since 2012. No authority has been designated to deal with the third function, so this role has been ceded to the legal market. There are three major reasons that the time has come to establish medical regulatory authority in Korea. First, to assure a minimum quality of medical service, more vigorous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must be required for licensure. Second, specific and comprehensive preparation should be made available for medical professionals who immigrate, including physicians from North Korea. Third, the establishment of a regulatory authority is the easiest and most reasonable way to establish and promote a level of professionalism that is respected by the public. To establish a medical regulatory authority in Korea, not only physicians but also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should participate in discussions of this topic. The medical societies should lead the process of discussion, and the societies' agreement with any regulatory outcomes should be obtained.




한국 의학교육 평가인증제도의 한계

The limitation of the current accreditation system for basic medical education in Republic of Korea

안 덕 선*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성형외과학교실

Ducksun Ahn, MD*

Department of Plastic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Ducksun Ahn, E-mail: dsahn@korea.ac.kr




서론: 부실 의대의 출현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발전과 더불어 급증하는 의료 수요를 충당한다는 미명 아래 의학교육을 수행하기 위해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시설도 갖추지 못한 곳에도 의과대학신설을 인가하였다. 의학과 의료가 가지고 있는 복합성과 복잡성의 특성은 의학교육에도 그대로 투영된다. 교무행정에관한 사안도 마찬가지다. 말하자면, 일반대학과 의과대학의교무행정은 그 절차와 과정이 다르다는 것이다. 그러한 이유로, 의과대학의 교무행정 담당자는 항상 소속 대학의 교무행정 보직자나 사무직원에게 의대의 특수성과 차이점을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기에 급급하다. 의학교육은 고비용과 고부담을 지는 특성을 갖고 있다. 달리 말하면, 의학을 교육하기위해서는 다양한 시설과 인력의 충원이 요구되는 특성을 가진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의 교육행정 전반을 관리하고 감독하는 교육부조차도 의학교육에 대한 이러한 특성을 잘 파악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전문성의 결여로 초래된 부실한 신설 의대의 급속한 증가에 따른 후유증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대학의 신설 인가는 대학의 설립자가 공익사업으로서 학교를 잘 운영하여 좋은 학생을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상식이다. 따라서 의과대학 설립 주체가 이와 같은 본질적인 목표에 위배되는 행위를 할 경우, 그것으로부터 초래되는 피해와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달리말하면, 의과대학 설립 주체가 사회와 맺은 본연의 약속을저버리고 파행적인 운용을 한다면 학생과 사회가 그로부터초래되는 피해를 당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것을 미연에방지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제도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하지만 불행히도, 우리나라의 경우 그러한 제도를 마련하고있지 않다. 서양의 경우 이미 중세에 길드를 통해 자율규제문화를 발달시키고 정착시켜 왔지만, 동양의 경우에는 그와같은 역사가 없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서양의 자율규제 문화 발달의 이유를 그들이 가진 종교적 전통에서 찾아볼 수 있다. 말하자면, 원죄를 주장하는 서양의 기독교적 전통은 악행을 범한 경우에 대한 규제를 발전시켜 전문직 조직의 정치적 규범과 윤리로 승화시켰다는 것이다. 윤리가포함하고 있는 실천적 외연은 법의 그것보다 넓다. 법적으로 하자가 없다고 하더라도, 윤리적으로는 허용되지 않는심각한 문제들이 있다는 것이다.


부실 의대와 의학교육 평가인증(프로그램 평가)


현행 평가인증제도는 의학계 내부의 자체적인 열정과 노력으로부터 산출되었다. 의학계 전체가 한 마음 한 뜻이 되어 무분별한 의대 신설로부터 초래되는 파행적인 의학교육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 기존 의과대학의 교육에 대한 질적 향상을 추구하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만들어낸 결과다.하지만 교육부는 대학 설립의 권한이 사회가 아닌 자신들에게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한 까닭에 교육부는 자율적인 규제도 또한 정부의 관료주의 범주 안에서 통제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교육부의 그러한 입장은 평가기구에 대한 심사 권한을 자신들이 갖도록 법제화하는데 이르게 된다. 그런데 교육부는 몇 년 전 의료인 교육기관에 대한 평가인증제도 의무화에 반대하는 의견을 공식적으로 밝힌다. 그리고그들은 평가인증제도가 학생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이유로 제시한다. 하지만 교육부의 이와 같은 입장은 학생 보호가 우선인지 설립 주체의 보호가 먼저인지도 파악하지 못한 본말이 전도된 주장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평가인증 의무화는 의료법을 통해 간접적으로 강제하는 조항이다. 말하자면, 평가인증을 받지 못한 대학의졸업생은 의료인(의, 치, 간, 한)이 되기 위한 면허시험에 응시할 수 없도록 제한한 제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제시한 2017년 시행 연도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상태다. 왜냐하면 2017년의 적용을 신입생 입학 년도를 기준으로 할지아니면 졸업생 배출 년도를 기준으로 할지가 결정되어 있지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도상의 허점을 틈타 부실 대학들은 여전히 자신들이 정상적인 교육을 시키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여러 문제들이 발견되고 있지만, 특히 임상실습병원의 문제가 심각하다. 교육부는 부속 병원이 없는 의과대학의 경우 타 병원과 협력하여 교육하는 것을 허용하는 조항을 만들어 놓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와 같은 임시방편의대응은 국립대학조차도 변변한 병원을 갖고 있지 못했던 시절에 만든 시대를 반영하지 못하는 조항일 뿐이다.


평가인증과 교육부 기관인정


부실 의대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평가인증이 법적 구속력을 갖지 못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러한 이유로 부실 의대는 평가인증을 거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증이 지속적으로 유예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폐쇄조치조차도 무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 심각한 것은 관리감독의 의무를 지고 있는 교육부조차도 부실 교육에 대해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말로 부실 대학의 주장에 맞장구를 치고 있다는 것이다.교육부는 그저 재판부의 판결을 기다려보아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을 뿐이다. 교육부의 그러한 입장은 모순적이라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부실 의대를 폐쇄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는 교육부가 법적 판단에 의존하여 부실 의대가위법 사실이 없다면 제재를 취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는셈이기 때문이다. 자율 규제는 법적 판단에 앞서 윤리와 기준(standard)에 의거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의미한다.반면에 교육부는 모든 것을 법에 의지하여 본질적인 문제를외면한 채 급한 일들을 졸속으로 처리하려는 임시변통의 법안을 발의하여 처리하려고 한다. 이와 같은 근시안적인 방안은 결국 부실 교육에 대한 효과적인 방지 대책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나쁜 결과를 낳고 있다. 교육부는 현재 평가 인증에 대한 전문직 기구로의 권한 이양을 반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법체계가 영국, 미국 등과 다르고 국민의 의식 수준이 그에 미치지 못한다고 것을 그 이유로 제시하고 있다.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왜냐하면 교육부의현재 방침은 이미 학과를 평가하는 프로그램 평가를 10년 넘게 자체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평가인증기구에 대한 기관인정제도를 만들고 있는 현재 체제와도 반하는 정책을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부실 대학에 대한 사태 처리도 매우 초보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부실 대학에 대한 실사나 해결책에 대한 전문직 기구의 권유조차도 방치하고 있는있다. 평가기구나 전문직 단체의 개입에 대해 마지못해 대응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육부의 의학교육 전문성의 결여와 일반대학교육의 시각으로 의학교육을 평가하는 데에서 비롯되는 편견은 현재의 기관 인정 심사에 대한 회의론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설령, 의학교육 평가기구가 교육부의 기관 인정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부실 대학에 대한 적절한 대처 방법은 찾을 수 없는듯이 보인다. 부실 대학이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다고 보고있는 현재 교육부의 해석으로는 산적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앞으로 임상 실습이 부실한 대학은 신입생 모집 정지를 2년 내에 완성하는 새로운법안 발의를 준비하고 있으나, 정작 임상 실습의 부실 여부를 평가할 주체를 명확히 제시하고 있지 않다. 현재 변호사에게 의뢰하여 임상 실습에 대한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는 기막힌 답변을 내놓고 있을 뿐이다. 부실 대학은 그 와중에도편입생을 모집하였고, 이제는 수시 입학생 면접을 실시하고있다. 현재 부실한 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에 대해 교육부와 의학계는 매우 다르게 반응하고 있다. 부실 대학에 입학을원하는 학생들은 곧 좋은 대학으로 전학이 가능할 것이라는희망을 갖고 입학을 진지하게 문의하고 있다. 부실 대학을가교로 삼아 상대적으로 쉽게 의과대학에 입학하고, 이러한사태를 이용하여 좋은 대학으로 전학을 도모한다는 행태에대해서도 교육부는 침묵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럼에도불구하고, 부실 의과교육을 방지할 수 있는 선진 전문직 평가기구의 자율적인 평가인증제도에 대해 매우 애매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결론: 관치와 자율규제의 문화적 충돌


선진국은 의과대학 설립 당시부터 신설 대학에 대한 평가인증을 적용하여 매우 까다로운 절차를 가진 평가인증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의과대학의 설립이 건전하게 이루어질 수있었다. 우리와 같이 의과대학 설립을 이차적인 이득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악용하려는 설립 주체에게 정치적으로 배려하거나 부패에 의한 기전으로 특혜가 주어지는 사례가 없었다. 의과대학 설립자와 설립을 인가한 교육부가 자율규제정신과 평가인증에 대해 진정으로 이해하지 못한다면, 부실대학에 대한 적절한 해결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요원하여 보인다. 의학교육의 복잡성과 복합성은 법적으로 규명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으며, 이러한 약점에 대해 완전히 대응할 수있는 법적 방안은 없어 보인다. 사회의 발전을 공무원 중심의 관치로 해결하려는 현 한국 사회에서 민주화 이후의 민주화는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 시사하는 부분이다.





J Korean Med Assoc. 2013 Dec;56(12):1050-1052. Korean.
Published online December 16, 2013.  http://dx.doi.org/10.5124/jkma.2013.56.12.1050 
Copyright © 2013 Korean Medical Association
The limitation of the current accreditation system for basic medical education in Republic of Korea
Ducksun Ahn, MD
Department of Plastic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Ducksun Ahn, Email: dsahn@korea.ac.kr 
Received September 26, 2013; Accepted October 10, 2013.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Republic of Korea has experienced rapid economic growth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During this period, some medical schools have been founded with inadequate educational resources. Currently, the Korean medical faculties are frustrated due to the sense of inabil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provided by troubled medical schools. In fact, this phenomenon is a consequence of the reckless establishment of new medical schools. Unfortunately,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ch claims to reserve the right to grant permission to establish new medical schools, cannot manage this situation either. The Ministry is very reluctant to endorse disciplinary measures based on the standards set by the accreditation agency; instead, it insists on using the court system. In East Asia, there is no history of self-regulation, and very often, the power of the government far exceeds that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This can create tension between an accreditation agency and the government. Even though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has created a new system recognizing the authority of the accreditation agency, it has not taken into account the specialized aspects of medical education. The government has also stated that only the law can mediate the regulation of low-quality education, so the standards set by the accrediting agency are not legally binding. Despite the good quality-control system that has been put in place for the last 13 years by the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the Ministry wants to have authority over any corrective measures. Republic of Korea may have achieved democracy at the macro-level, but this is a time when democracy should be implemented with regard to a specific constituency and an important issue.




인턴제도 폐지

The end of internship training in South Korea

안 덕 선1.2* | 1한국의학교육평가원, 2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성형외과학교실

Ducksun Ahn, MD1,2*

1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2Department of Plastic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Ducksun Ahn, E-mail: dsahn@korea.ac.kr



우리나라의 인턴제도는 1950년대 전문의제도와 함께 도입되어 현재까지 시행하고 있는 제도이다. 우리에게 의학교육을 물려준 일본은 2차 대전 패망 후 맥아더가 이끄는 미군의 군사정권의 강제조치로 1948년 면허취득 전 무급인턴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당시 구독일의 의학교육제도를 전수받은 일본은 미국식 인턴교육제도를 경험하지 못하였고 인턴의 무면허 의료행위에 대한 책임소재의 문제와인턴교육에 대한 노하우와 관리의 문제로 동경의대가 주동이 된 인턴제도 거부로 결국 1968년에 폐기되고 말았다.


그러나 이후 일본은 매우 좁은 범위의 의료능력을 보유한인정의(우리의 전문의와 유사) 배출로 의사 일반적 역량의 부족이 계속 문제가 되어 1990년대 말부터 ‘졸업 후 임상교육 의무화’ 방안을 추진하여 졸업 후 2년간 임상교육에 대한수련을 의무화하였다. 여기서 임상교육이라는 것은 우리의인턴교육과 같이 일반적인 역량을 갖추기 위한 수련기간으로서, 2년간의 수련기간을 의무화하였으나 명확한 목표설정과 교육방법, 교육관리 주체, 프로그램에 대한 인증 등이 미숙하여 아직도 의무화의 효과성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있다. 그러나 국가가 인턴의 급여를 담당하고 최근 다시 제도를 보완 변경하여 1년의 의무수련과 1년의 선택수련으로 수정하였다.


인턴교육이 목표로 하는 의사양성의 일반적 역량 배양을 위한 교육은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인턴교육에 대한 합의된국가적 목표와 목표 달성을 위한 방법론 그리고 목적이 달성되었는가에 대한 평가나 평가인증이 있어야 하는데 대부분의 교육자는 자신이 소속된 의국의 일에만 관심이 집중되어있어 탈의국적인 졸업 후 교육의 시발점인 인턴교육을 잘 할수는 없었다. 일본 역시 전문적 의사단체에서 수련 교육기관에서 어떤 형태의 졸업 후 교육을 제공하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이나 과정평가 등의 종합적인 데이터나 교육 표준화 또는수련결과에 대한 역량의 점검에 있어 취약성을 안고 있다.


우리나라 인턴제도 역시 취지는 일반적인 역량을 보유한의사를 만드는 것이나 인턴의 역할이 학생과 전공의 과정과의 징검다리로 병원 내에 가장 하급 실무의사로서 비의료적직무와 고등사고 능력이 필요하지 않은 일도 하여 왔다. 이런인턴제도는 북미의 학생 임상실습의 3개월 기간의 교육의 수준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인턴은 여러 과를 돌며 운이 좋은 과는 집에 자주 가고 운이 없는 과는 1주일 줄당직도 보통이다. 과마다 하는 일도 매우 다를 수 있다. 비서직에서부터 주치의 역할까지 다양하다. 인턴교육의 무용론은 결국 인턴 폐지론을 등장시켰다. 즉 이미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6년 이상 또는 8년 이상의 교육을 받은 사람들에게 단순하급노동을 요구하고 수직적이고 폭력적인 의료문화를 전수한다는 것은 전문직 교육과는 부합되지 않는 것이고 단지병원에서 노동법의 적용을 무시하는 저임금의 단순노동을강요하는 형태로서 의사교육에는 적합하지 않아 보인다.


현재 복지부와 인턴제도 폐지에 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나 인턴폐지의 전제조건은 인턴제도를 이미 폐지한 미국과 캐나다 등 전문대학원 교육을 실시한 국가의 임상실습 수준과 직무의 동등성을 확보하는 것인데 현재 학생 임상실습의 동등성은 요원하여 보인다. 학생과 인턴은 수도권 진출후 전공과목 선택과 병원선택의 우위를 확보하려는 노력의일환으로 수도권에서 인턴과정을 유지하기를 원하고 있어현재 이들의 반발과 저항에 부딪혀 있다. 그러므로 인턴제도 폐지를 논하기에 앞서 필요한 것은 짧은 시간 내에 우리나라 의과대학에서의 임상교육의 수준향상과 임상실습 강화를 위한 제도적인 지원이다. 선진국은 의학교육의 대부분을 사회와 국가가 부담하고 있고 임상실습을 위한 비용도 상당액을 정부에서 지급하고 있다. 민간부분의 사립의학이 발달한 미국에서도 학생들의 고품질 임상실습을 위한 지원은우리와는 비교 불가능한 수준에 있다. 인턴교육은 물론 학생 임상실습이라는 것은 이미 의사의 길로 진입한 사람들에대한 직무교육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며 사회는 이들에 대한 교육비용을 투자하여 일반적인 역량을 두루 갖춘 의사를만들도록 하여야 한다.


면허취득 후 각 임상과를 돌며 인류학적 탐사의 시간을가져 보는 것은 추후 어떤 임상과를 지원할 것인가에 영향을미치고 실제로 각 임상과의 의국문화에 대한 자신만의 평가와 경험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한편이런 정도의 경험은 학생실습으로 모두 경험 가능한 것임에도 면허 취득 후 의사로서 직무에 필요한 고등사고 능력의발달은 매우 제한적이라는 측면은 우리의 인턴제도에 대한매우 부정적인 인상을 주고 있다. 현재 인턴이나 이와 유사한 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영국이나 호주에서는 인턴과정 자체에 대한 평가 인증을 실시하여 이들 프로그램이 표준화되어 있고 인턴교육에 대한 사회적으로 합의된 국가단위의 목표와 교육성과를 점검하고 있다.


선진국 의사들의 전문단체에서 보여주는 사회적, 교육적역량은 우리가 급속히 신장하여야 할 부분이다. 의사의 역량은 단순히 의료기술에 관한 담론은 아니다. 의료기술은가족단위의 사고 중심인 의국교육에서도 더 쉽게 쟁취할 수있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의학교육 선진국에서 보여주는가족공동체가 아닌 사회적 공동체의 집합체로서 의사집단의 단체적 역량의 성과가 국가단위의 여러 가지 교육정책이나 제도를 원숙하게 이끌어 나가는 모습은 아직 의국이나 단일병원 단위 인턴교육도 제대로 못하는 우리가 배워야 할 가장 우선순위의 문화자산이다






J Korean Med Assoc. 2013 May;56(5):352-354. Korean.
Published online May 20, 2013.  http://dx.doi.org/10.5124/jkma.2013.56.5.352 
Copyright © 2013 Korean Medical Association
The end of internship training in South Korea
Ducksun Ahn, MD1,2
1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Seoul, Korea.
2Department of Plastic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Ducksun Ahn, Email: dsahn@korea.ac.kr 
Received April 01, 2013; Accepted April 10, 2013.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e abolishment of the internship training program in Korea has become a hot issue in Korea. The internship has traditionally been a general competency build-up process to becoming a practicing doctor. However, despite its relatively long history, there is still no oversight or guidelines for the educational program itself. It is operated individually department-by-department on a rotation basis with no central supervision or clear goals and objectives. Very often, interns are abused as sources of simple cheap labor, performing not only medical duties but also menial administrative tasks as required by each department, without proper educational activity or training. This significant lack of system and structure is a chronic grievance among those who experience it, yet perhaps due to its short duration, is something that is endured and then forgotten. Medical students, however, have largely opposed the abolition, citing the loss of the opportunity for anthropologic exploration of various clinical departments and the chance to build networks to pursue specialty training in the fields of their choice. The key issue at hand is then whether the current problematic student clerkship training can be improved enough to replace the internship program. To do so would require overcoming the fragmented nature of the clinical education culture, which is still quite clannish in nature and based on family values. Whether these cultural barriers can be broken to develop a clerkship training curriculum sufficient to achieve general competency before specialty training is the determining factor for the fate of the internship program.





의료윤리와 의사 자정노력

Medical ethics and self-regulation in Korean medical society

고 윤 석1.2* | 1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2서울아산병원 내과

Younsuck Koh, MD1,2*

1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2Department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Younsuck Koh, E-mail: yskoh@amc.seoul.kr






J Korean Med Assoc. 2013 Apr;56(4):258-260. Korean.
Published online April 18, 2013.  http://dx.doi.org/10.5124/jkma.2013.56.4.258 
Copyright © 2013 Korean Medical Association
Medical ethics and self-regulation in Korean medical society
Younsuck Koh, MD1,2
1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2Department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Younsuck Koh, Email: yskoh@amc.seoul.kr 
Received February 04, 2013; Accepted February 18, 2013.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Consumption of medical services has been expanding since the health insurance system was established in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physicians do not seem to be satisfied with the current state of medical practice.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is dissatisfaction seems to be related to underpayment of costs. The monopolistic insurance agency has kept reimbursements for appropriate medical services below cost. The public also seems to have less trust in doctors than in the past because of repeated scandales in the news media such as doctors' accepting inappropriate rebates from the pharmaceutical industry. Patients are vulnerable to illness and depend on their doctors' decision making and advising. Plus family members and taxpayers must share in caring and the financial burden that patients face. Therefore, society has high ethical standards for physicians. The medical society also has been responding to these practices. To meet society's expectations, doctors should not abandon self-regulation through the medical society. Furthermore, because the identity of a professional healthcare provider is based on the trust and endorsement of society, physicians should attempt to maintain appropriate care for patients' best interests. The public should support physicians' appropriate medical practice via reasonable reimbursement of medical costs. Through self-support and self-regulation to maintain appropriate medical practice for patients, physicians can enhance public trust. In turn, public trust in doctors will address this country's distorted medical services and restore the eroded reputation of physicians as healthcare professionals.





우리나라 의학용어의 정비 방향

The establishment of medical terms in Korea

강 종 명1,2* | 1대한민국 의학한림원 의학용어표준화위원장, 2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병원 신장내과

Chong Myung Kang, MD1,2*

1Chairman of the Medical Termionlogy Commitee, National Academy of Medicine of Korea,

2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n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Chong Myung Kang, E-mail: kangjm@hanyang.ac.kr



서 론


의학용어는 전문용어로서 의사들뿐만 아니라 치과의사,한의사, 수의사 및 의료관계 종사자(간호사, 물리치료사,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의무기록사, 작업치료사 등)와 일반인들도 함께 사용한다는 점에서 다른 분야의 학술용어와는 성격이 다르고 정비에 있어서 고려해야할 점들이 많다.이번 시론에서는 과거의 의학용어집의 편찬역사를 뒤돌아보고 향후 정비 방향에 대해서 제언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의학용어집의 편찬사


우리나라에서는 1977년 11월 5일에 대한의학협회 발행의학용어집(제1집)이 최초로 출간되었다. 1976년 7월 1일에대한의학협회기구에 의학용어제정심의위원회(위원장: 전종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가 설치되어 1년여 만에 용어집이 나오게 되었다. 1983년 5월 30일에 대한의학협회에서 발행한 영한·한영 의학용어집 제2집이 출간되었으며 약4만 표제어를 수록하였다. 대한의학협회는 1983년에 의학용어실무위원회(위원장: 지제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를 구성하여 의학용어집 제3집의 편찬에 들어가 13만여 개의용어를 수록한 용어집을 1992년 5월 25일에 발간하였다[1].이어 1993년에 새로 구성된 대한의학협회 용어실무위원회(위원장: 정인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는 해부학회가발행한 해부학용어를 대폭 수용하였고, 어려운 한자식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옮기는 작업을 대대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당히 많은 한자용어가 용어집에서 사라졌다. 실무위원회는 그동안 써왔던 한자의 병기를 완전히 배제하였고, 용어의 나열방식을 그동안의 용어집 형식에서 사전형식으로변경하였다. 여기에 수록된 용어는 약 50,000개로서 2001년1월에 의학용어 제4집이 발간되었다[2]. 거의 혁명적 개정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기존 한자용어에 익숙해 있던 기성세대 의료인들의 반발과 저항을 유발하였다.


이에 대한의사협회에서는 2006년 5월에 의학용어실무위원회(위원장: 강종명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를 새로 구성하고 의학용어 제5판의 편찬에 착수하였다. 제5판의 중요한 작업 원칙을 다음에 요약하였다. 

    • 첫째, 의학용어집 제4판의 쉬운 한글용어 채택의 정신을 살리되, 생소한 한글용어에불편을 느끼는 사용자를 위해 기존의 한자용어를 병기하였다. 이 경우에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어떤 용어를 사용해도무방하다. 
    • 둘째, 용어의 배열은 한글용어를 앞에 두는 것을원칙으로 하되 순수한 임상용어는 한자용어를 앞에 표기하였다. 한글과 한자용어는 가능한 서로 짝을 짓게 하였다. 
    • 셋째, 복합용어의 배열은 제4판에서의 사전식 배열과 3집에서의 배열 형식(알파벳 순서대로 배열)을 함께 채택하여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였다.


위와 같은 원칙으로 작업을 진행하여 50여 회의를 거치고각 전문의학회 의학용어위원장으로 구성된 전체 의학용어위원회를 3번 소집하여 공청회를 통해 학회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또한 수차례에 걸쳐 각 전문의학회에 작업본을 발송하여학회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도록 노력하였다. 2009년 4월에의학용어집 제5판을 발간하였으며 표제어는 50,000여개였다[3]. 이 용어집은 3집과 4집의 절충형으로서 한글용어와한자용어를 병기하였고 용어의 사용은 사용자의 선택에 맡겼다는 것이 특징이다[4].


제5판이 발간된 후에 각 용어마다 한글과 한자용어가 병기되어 있는 것이 불편하므로 어떤 한 개의 용어를 권장용어로 선정해 주기를 바라는 요청이 많았고, 의학교육, 초중고교과서, 의학논문 및 의학교과서, 의사국가고시, 전문의시험, 질병통계에서의 의학용어의 통일이 절실하게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2009년 5월에 제6판 의학용어 실무위원회(위원장: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강종명 교수)가 구성되어 권장용어 선정작업에 들어가게 되었다.


권장용어 선정 작업은 다음과 같은 원칙에 따라 진행하였다. 

    • 첫째, 개념을 쉽고 명확히 전달하는 용어를 선정한다(marginal keratitis 가장자리각막염, 변연각막염). 
    • 둘째, 간결한 용어를 선택한다(optic nerve 시신경, 시각신경). 
    • 셋째, 의사들 사이에 관용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용어를 선정한다(coronary artery 관상동맥, 심장동맥). 
    • 넷째, 일반인들도광범위하게 사용하는 용어를 선택한다(osteoporosis 골다공증, 뼈엉성증). 
    • 다섯째, 음차는 가능한 피하고 번역하도록한다(exonuclease 핵산말단분해효소, 엑소뉴클레아제). 
    • 여섯째, 장기의 이름은 특별한 예외(들문, 날문, 가로결장 등)를 제외하고 모두 한자용어를 사용한다.


위와 같은 원칙에 따라 권장용어 선정작업을 진행하였고그 결과를 2012년 4월 20일에 각 전문의학회 용어위원장 및간행위원장들을 초빙하여 공청회를 통해 발표하였다. 이 자리에서 실무위원회의 안에 대해 많은 비판이 있었고 전문의학회의 실제 사용현황과 동떨어진 것들이 많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중요한 전문의학회의 의학용어위원장이나 간행위원장을 대한의사협회의 의학용어실무위원회 회의에 초빙하여 서로 간에 의견 조율의 과정을 거쳤다. 이 과정에서 합의가 된 용어가 약 230여개 되었고 현재 복합용어들에 대한 권장용어 선정작업을 진행 중이다. 지난 12월 21일에는 이혜연 의학용어위원장 주재로 전체 의학용어위원회가 소집되어 권장용어안에 대한 보고와 토의를 거친 후에 이안이 통과되었다. 애초에 2012년 말까지 모든 작업을 완료하고 인터넷에 올릴 예정이었으나 작업이 지연되어 2013년2월 말에 인터넷(대한의사협회, 대한의학회, 국립국어원 등)에 올릴 예정이며 모바일 앱을 통해서도 보급할 예정이다.용어집은 한정된 수량을 인쇄하여 ‘의학용어집 제5판 개정판’으로 출판할 예정이다. 이번에 선정되는 권장용어와 앞으로 추가되는 권장용어들은 2015년에 발간되는 InternationalClassification of Disease 11판의 한국어판에 수록될 예정이다.


의학용어 정비의 방향에 대한 제언


이상과 같이 의학용어 정비의 흐름을 보면 제3판은 한자 중심의 용어집이고, 제4판은 한글용어(고유어) 중심의 용어집이며 5판은 둘을 모두 수용한 절충형이다. 이와 같이 한자에서한글로 다시 한자, 한글로 극과 극을 왔다 갔다 하면서 사용자들은 불편과 혼란을 겪어 왔다. 이제는 대한의사협회 용어위원회에서 목표를 정하고 하나의 방향으로 이끌고 가야 한다.


현재 제6판 위원회에서 권장용어 선정작업을 진행해 왔고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권장용어 선정작업은쉽지 않은 작업이다. 의학용어가 의사들만이 사용하는 전유물이 아니고 일반인들도 함께 사용하는 용어이며 의사와 환자 사이에 소통이 이루어져야 하는 점을 고려한다면 뜻을 쉽고 명확히 전달하는 용어가 권장용어로 선정되어야 한다.그러나 ‘쉽다’는 것이 주관적이고 상대적이어서 한자에 익숙한 기성세대는 한자용어가 쉽게 느껴지는 반면에 한자를 모르는 세대는 한자용어가 어려울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토리’나 ‘눈확’ 같은 고유어도 처음 듣는 사람들에게는 어렵게느낄 수밖에 없다. 이외에도 전문용어로서 갖추어야 할 간결성, 다른 용어와의 어울림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권장용어선정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 또 한 가지는 한자용어를 주장하는 사람들과 한글용어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자기 의견만주장하고 첨예하게 대립하기 때문에 타협점을 찾기 어렵다는 것이다. 의학용어에 있어서는 어느 한편만 옳다는 것은받아들일 수 없다. 서로 상대의 의견을 존중하고 타협하여많은 사람들이 동의하는 좋은 용어를 만들어갈 책임이 있다. 가장 좋은 것은 갓 입학한 의과대학생들이 어렵지 않게느껴지는 용어가 좋은 용어가 아닐까 생각된다.


현재까지는 대한의사협회 의학용어위원회와 각 전문의학회가 서로 간에 소통이 없이 독자적으로 용어 정비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해부학회 용어작업이 그러하다. 따라서대한의사협회의 용어집과 각 학회의 용어가 다르게 번역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앞으로는 공통된 원칙을 정하고서로 긴밀히 협조하고 연락하여 작업을 함으로써 통일된 용어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 만들어진 용어는 언론 등을 통해 일반인에게 홍보하고 의사들의 학술논문이나 교과서 발행 시에 의학용어집의 용어를 사용하도록 유도하여 만들어진 용어가 정착하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의학의 발전에 따라 새로이 등장하는 용어들이 많은데, 이것들을 수집하고 우리말로 번역하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해결되어야 할 과제이다.


결 론


우리나라에서는 1977년에 첫 의학용어집이 발간된 이후에 2009년에 제5판이 발간되었다. 이중에 제3판은 한자용어 위주의 용어집이었으나 2001년에 발간된 제4판 용어집은 완전히 바뀌어서 한글 위주의 용어집이 되었다. 2009년에 발간된 제5판은 한글, 한자용어 모두를 수용하는 용어집으로 나왔다. 이러한 의학용어의 극심한 변화 때문에 사용자들은 많은 불편을 겪어야 했다. 제6판 위원회에서는 권장용어 선정작업을 진행하여 거의 마무리 단계에 있다. 의학용어가 의사들만이 사용하는 전유물이 아니고 일반인들도함께 사용하는 용어이며 의사와 환자사이에 소통이 이루어져야 하는 점을 고려한다면 뜻을 쉽고 명확히 전달하는 용어가 권장용어로 선정되어야 한다. 소통에 유리한 용어라면한자든 한글이든 상관이 없으며 굳이 어느 한 쪽을 고집해서는 안된다. 합리적인 용어의 정착을 위해 서로가 한걸음씩양보하는 미덕이 필요하다 하겠다. 앞으로 의협의 용어위원회와 각 전문의학회는 공통의 원칙을 정해 놓고 긴밀히 협조하고 연락하여 작업을 함으로써 통일된 용어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새로이 등장하는 용어들을 수집하고우리말로 번역하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해결되어야 할 과제이다.




J Korean Med Assoc. 2013 Feb;56(2):86-89. Korean.
Published online February 20, 2013.  http://dx.doi.org/10.5124/jkma.2013.56.2.86 
Copyright © 2013 Korean Medical Association
The establishment of medical terms in Korea
Chong Myung Kang, MD1,2
1Chairman of the Medical Termionlogy Commitee, National Academy of Medicine of Korea, Seoul, Korea.
2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n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Chong Myung Kang, Email: kangjm@hanyang.ac.kr 
Received December 24, 2012; Accepted January 10, 2013.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e first Medical Terminology was published by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in 1977 in Korea. Since then 4 more editions of Medical Terminology have been published. The final one, the 5th edition was published in 2009. Among these, in the 3rd edition, almost all of the medical terms were words in Chinese characters. In contrast, the 4th edition had been completely changed. Almost all of the terms were Hangul (Korean language) terms. The 5th edition accepted both terms in Chinese characters and Hangul terms. Owing to this major shift in medical terminology, users of medical terms have been greatly inconvenienced. At present, the Medical Terminology Committee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are carrying out the work of selecting the representative term for each medical term. Medical terms should be easily understandable because medical terms are used by lay people as well as medical doctors. For easy and ef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the doctor and the patient, it is not important whether the term is in Chinese characters or Hangul terms. The work of selecting representative terms should be carried out in rational way. Clos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Medical Terminology Committee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and each academic medical society in the Republic of Korea is necessary for consistency in establishing medical terminology. A system for collection and translation of medical terms newly coined and imported from abroad should be developed.






공공의료 인력 부족, 의사 수급의 문제인가?

Shortage of public healthcare personnel, is it a problem of number of doctors?

황 지 환1,2* | 1대한의사협회 정책이사, 2서울크리스탈피부과의원

Ji-Hwan Hwang, MD1,2*

1Executive Board Member of Health Policy, Korean Medical Association, 2Seoul Crystal Skin Clinic,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Ji-Hwan Hwang, E-mail: hjihwan@naver.com



서 론

2012년 보건복지부와 시민단체 등에서는 공공의료 인력이 부족하여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의과대학 정원을 20%에서 100% 이상 대폭 증원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공공의료와 그 인력구조의 문제가 단순히 의사 수의 부족에서 기인한 것이라고만 주장하는 것과 그 해결책으로 단순히 의과대학 정원을 늘려야 한다는 정책으로 현재의 공공의료 인력구조의 불균형적인 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특단의 정책인지에 대해서는 심사숙고해야 할 것이다. 사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국가 가운데 공공의료 지출이 가장 적은 국가 가운데 하나이다. 한국 공공의료의 문제점은 의사뿐 아니라 간호사 등 의료인력의 지역 간 불균형 문제, 지나치게 낮은 공공의료비 지출, 한국 의료계의 독특한 공공의료 인력인 공중보건의사의 부적절한 배치, 민간의료기관과 공공의료기관의 분업 부재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얽힌 복잡한 함수관계이다. 한국의 공공의료 문제를 해결하려면 이와 같은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대응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공공의료 인력이 이렇게 부족한 이유가 무엇인지를 항목별로 분석하고 그 근본적 대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의사 인력구조의 현실


1. 의사 수: 인구 증가율보다 훨씬 높은 의사 수 증가

의사 수 적정 문제는 현재가 아니라 의과대학 정원 증원 후 전문의 과정까지 마치고 실제 의사가 배출되는 약 11년 후의 상황을 예측해야 한다. 그런데 한국 의사 수 증가율(1985-2009년)은 216.7%로서 같은 기간 OECD 평균 증가율 40.9%보다 5배 이상 높다. 또한 2000년 대비 2010년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 증가율 40% 역시 같은 기간 인구증가율 7.5%보다 5배 이상 높다. 따라서 2030년에는 인구당 의사 수는 OECD 평균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2. 의료접근성 현황: 탁월한 접근성

의료의 공공성 척도 가운데 하나인 의료접근성에 있어서 단위 면적당 의사 수는 2009년 OECD 회원국 가운데 한국이 9.5명으로 2위를 기록, 탁월한 의사접근성을 보이고 있다.


3. 의사 인력구조의 불균형: 공급되는 의료인력의 지역별 과목별 편중 심화

한국병원경영연구원 병원경영 통계에 따르면 2010년 기준 광역시의 100병상당 의사 수는 14.17명인데 비해 농어촌 지역은 6.36명에 불과했고, 간호사 인력도 서울 80.82명, 광역시 60.95명에 비해 농어촌 지역은 26.67명에 불과했다. 즉 농어촌 지역의 의료인력 부족은 절대 수 부족이라기 보다 도시 농어촌 간의 인력분포 편중이 더 큰 문제인 것이다. 또한 최근 전공과목을 포기하고 미용성형 일반의로 변신하는 의사가 급증하고 있으며, 필수 진료과목인 외과계, 산부인과, 비뇨기과 등은 전공의 지원이 급감하는 위기를 겪고 있다. 의사 수에 관계없이 진료과목별 편중이 해가 갈수록 심해질 뿐만 아니라 기존의 필수 진료과목 전문의들조차 제대로 활용을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공공의료 정책의 문제점


1. 지나치게 낮은 공공의료 지출

2010년 기준 한국의 국민 의료비 지출 가운데 공공 부문비율은 58.2%로, OECD 회원국의 공공 부문 평균 지출 비율인 72.2%보다 훨씬 낮아 최하위권 수준이다. 공공의료 부문에서 국고 지원 등이 형편없이 미흡한 것이 한국 공공의료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2. 공공의료 지출을 줄이기 위한 공중보건의 활용실태

공공의료에 지출되는 예산을 줄이는 특단의 방안은 군의관으로 배치되어야 할 의사인력을 활용하는 것이다. 졸업정원제 및 무분별한 의과대학 신설로 군의관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배치될 군관련 기관의 수가 상대적으로 줄어듦에 따라 공중보건의를 적극적으로 공공의료에 활용하게 되었다. 의료취약지역에 배치하여 지역사회의 의료를 담당하게 한다는 초기의 취지는, 대한민국의 경제수준이 상승함에 따라 점점 그 효용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2011년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공중보건의사가 배치된 보건소나 보건지소 반경 5 km 이내에 의원이 존재하는 경우가 79.5%, 병원이 존재하는 경우가 58.4%에 달하고 있어, 결코 의료취약지구라고 볼 수 없는 지역의 보건소와 보건지소에 공중보건의사가 부적절하게 배치되고 있다[1]. 따라서 의료취약지구에 대한 정의를 재정립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더욱이 공중보건의사 중 900여 명은 보건소나 보건지소가 아닌 의료원, 검진기관, 지역응급의료센터 등에 배치되고 있다는 현실은 이러한 제도의 보완이 시급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매년 배출되는 공공의료 인력을 잘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제도적 허점을 단적으로 드러낸다 하겠다.


의사보다 더 시급한 간호사 부족 문제


2010년 기준 한국의 활동 간호사 수는 인구 1,000명당 4.6명으로 OECD 회원국 평균인 9.3명에 비해 절반 이하이다. 또한 2005년 대비 간호사 수 증가도 OECD 회원국 평균0.8명보다 낮은 0.7명을 기록하고 있어 간호사 수가 부족한 상황은 점점 악화될 전망이다.


결 론

한국 공공의료의 지역별 혹은 질적 불균형은 외형적인 전체 의사 수 부족 문제가 결코 아니다. 이와 같은 불균형 시정을 위해서는 필수 진료과목 및 농어촌 지역에 대한 정부 및 공공 부문의 획기적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며, 기존의 노령의사 등을 충분히 활용하는 것과 함께, 현 의과대학 정원 내에서도 지역사회에 근무할 장학의사제도를 도입하여 신설하여 안정적인 공공의료 인력 지원자를 확보하는 것만으로도 의사인력 수급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의료인력의 중요한 부분을 구성하는 간호사 인력의 부족을 충원하는 정책적배려 등으로 현명하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간과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정책만이 불균형을 이루고 있는 공공의료를 해결할 수 있는 특단의 조치이기 때문이다.





J Korean Med Assoc. 2012 Sep;55(9):812-814. Korean.
Published online September 20, 2012.  http://dx.doi.org/10.5124/jkma.2012.55.9.812 
Copyright © 2012 Korean Medical Association
Shortage of public healthcare personnel, is it a problem of number of doctors?
Ji-Hwan Hwang, MD1,2
1Executive Board Member of Health Policy, Korean Medical Association, Seoul, Korea.
2Seoul Crystal Skin Clinic,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Ji-Hwan Hwang, Email: hjihwan@naver.com 
Received August 25, 2012; Accepted September 01, 2012.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In 2012, the Korean government and various civic groups are insisting to increase in the number of Korean medical graduates by 20% to 100% because of the shortage of public healthcare doctors. However, we have to think of the real point of what makes the pulic heathcare system. In fact, Korea is the country with the least public spending on health care within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Moreover, the problem with Korean public healthcare are many and profound; regional disparity of medical personnel including doctors and nurses, out-rageously low spending on the public healthcare sector, wrong allocation of public health doctors in lieu of compulsory military service, and no coordina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health care sector, which thus indicate a very complicated problem with numerous variables. The proper way to solve this problem would be to understand these variables and act accordingly.







임상실습교육의 도전과 발전

Challenges and progress of clinical education in Korea

한 재 진1,2* |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1흉부외과, 2의학교육학교실

Jae Jin Han, MD*

Departments of 1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2Medical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Jae Jin Han, E-mail: jjhan@ewha.ac.kr



서 론

캐나다 의사들은 1990년대 초, 미래 의료 환경에서 나타날 도전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학교육개혁의 필요성을 천명하였다. 환자소비자주의, 정부규제의 강화, 의료재정압박, 인터넷 의료정보 범람, 법적소송증가, 과학기술발달 그리고 의학지식양의 폭발적 증가가 그들이 열거한 도전들이었다. 20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비록 캐나다와는 다른 의료역사와 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그들이 내다봤던 의료 환경의 변화들에 직면하면서 의료계, 학계, 정부, 그리고 사회의 모든 연관부분에서 분투를 하고 있다. 얽힌 실타래 같은 한국 의료현안들은 미래 의료인을 양성하는 의학교육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따라서 의학교육 특히 임상실습교육 분야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심대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임상실습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의료 현안

1980년대 후반부터 국내 의과대학 수는 급격히 증가하여, 일차진료를 가능하게 한다는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포함) 교육과정을 마치고 매년 3,000명 이상의 의사면허 취득자가 배출된 지도 10년이 넘어서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거의 모두 전문의 과정을 밟게 되어 2011년 현재, 일차의료를 담당하는 개원의의 90%가 전문의이며 이 비율은 계속 높아질 것이다. 이러한 가운데 지난 50년 동안 요지부동했던 인턴 제도를 발전적으로 폐지하자는 방안이 가시화되면서 일차진료 역량 교육의 일부를 담당했던 임상수련 부분이 학부의 임상실습교육과정으로 내려와야 할 처지가 되었다.


반면에 교육병원들에서는 환자소비자주의에 따른 경영상의 이유 등으로 학부생의 임상실습환경이 악화되었으며, 저수가·과소모성 진료를 하게끔 몰아가는 한국의 현 의료체계에서 과연 바람직한 일차진료 의사의 역량을 제대로 교수·학습할 수 있을까 심히 우려되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의과대학 졸업생들은 선진 외국과 비교하여 실제적인 일차진료 능력이 부족하지 않아야 하며, 새롭게 창출되는 의학정보와 의료기술을 평생 습득하는 태도를 가져야 하며, 향후 확대될 수밖에 없는 국가보건의료복지체계에서 중추 역할을 감당할 수 있어야 하며, 나아가 의학과 보건의료 분야의 연구와 국제활동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우리의 의학교육은 발전해야 할 것이다.


임상실습교육의 현황과 극복 노력

의약분업사태 이후로 아직도 국가보건의료체계의 획기적인 발전 계기를 찾지 못하고 있는 의학, 의료, 사회, 정부 등 이해 집단들의 어려운 행보 속에서도, 의학교육 관련 노력들과 정책들이 실행되어 왔다. 개별 의과대학들은 국제적인 표준을 따라가기 위해 통합교육, 조기임상교육, 핵심 및 선택 임상실습교육체계 운영, 인성 함양을 위한 프로페셔널리즘교육 등에 많은 힘을 기울였으며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은 인증제도를 통하여 이를 이끌었다. 한국의과대학학장협의회와 한국의학교육학회는 선진화된 성과바탕의 학습목표와 졸업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관련 사업을 계속 진행 중이며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은 4년 전, 의사면허시험에 실기시험을 도입하여 지식뿐 아니라 필수 임상술기 및 태도를 평가하도록 하여 학부과정에서 임상실습교육의 질과 양을 일정 부분 제고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대한의사협회, 대한의학회와 보건복지부 등은 인턴제도 폐지와 연관하여 전공의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와 실행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중이다.


선진 임상실습교육

전통적인 임상실습은 교수중심, 일방향성, 기회위주의 도제식 교육방법에 머물기가 쉬었으나 이제는 실습목적(goals), 필요(needs), 실습목표(objectives), 실습방법(methods), 성과평가(evaluation) 등을 구현하는 성인학습이론을 적용하여 소정의 실습기간에 필수적인 임상역량의 기준 이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시기별, 수준별 실습 및 평가 체계를 중앙에서 수립하고 핵심임상과(내, 외, 산부인, 소아청소년, 정신, 응급의학 등)를 비롯한 순환 실습 중에 이를 모두 교육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고 표준화해야 한다. 또한 입원환자 위주의 병원 실습과 지역 혹은 외래 실습에서의 일차진료 실습이 균형을 맞추도록 하며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등을 활용한 임상수행실습과 평가를 해야 한다. 교수나 전공의가 하게 되는 임상실습교육은 전체 실습과정 중에 배치된 필수 임상표현들에 대한 임상추론, 기본 임상술기 등 미리 구성된 각각의 성과 목표들을 쌍방향 강의, 소그룹 실습, 일대일 지도, 실습 노트나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자기 평가와 성찰, 객관화한 임상수행시험, 진료현장·바탕 다면평가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을 적용해서 달성해야 하며 더 나아가 임상표현들은 반드시 실제 임상 현장의 맥락에서 통합되어 교수·학습이 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병원의 진료 현장에서는 환자나 가족에게 미래의사 양성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사회, 병원 및 당국의 지원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체계화된 감독이나 지도하에 환자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환자친화적인 실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담당 교수나 전공의들은 직업전문성에서의 역할모델로서 실습현장에 임해야 한다. 또한 현대 의료의 많은 부분이 팀 진료에 의해서 행해지므로 의사소통과 협력, 리더십, 관리 능력 등도 실습과정 중에 교육 및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임상실습교육 발전을 위한 제언

    • 첫째, 교육과정을 성과 바탕의 실습교육 및 평가체계로 전 학년에 걸쳐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비록 교육병원 실습 현장이 전문 과목 위주라 하더라도 기본적인 일차진료 역량을 교수·학습하고 평가해야 한다. 
    • 둘째, 학부임상실습교육과정, 졸업후전공의교육과정, 평생교육과정이 함께 연계되어 구축되고 발전되어야 한다. 
    • 셋째, 일차의료와 전문의료의 역할과 범위를 국가적으로 확립하여 미래 초고령인구 사회와 만성복합질환 증가에 대비한 통합적인 임상실습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결 론

급격하게 변화하는 의료환경에서 임상실습교육을 위협하는 요소들은 결국 미래에 사회가 원하는 바람직한 의사를 공급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안전 우선과 양질의 의료제공을 담보하기 위한 의학교육과 임상실습을 제대로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범사회적으로 인식하고 적절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통하여 대한민국 의사가 환자 진료 외에도, 소통과 협력, 프로페셔널리즘, 사회 책무성, 관리, 연구와 교육역량 등 선진 기준의 ‘좋은 의사’ 역할들을 더욱 잘 감당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임상실습교육을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






J Korean Med Assoc. 2012 Oct;55(10):926-928. Korean.
Published online October 17, 2012.  http://dx.doi.org/10.5124/jkma.2012.55.10.926 
Copyright © 2012 Korean Medical Association
Challenges and progress of clinical education in Korea
Jae Jin Han, MD1,2
1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Ewha Woma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2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Jae Jin Han, Email: jjhan@ewha.ac.kr 
Received August 09, 2012; Accepted August 30, 2012.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Patient consumerism, government regulations, health financial imperatives, litigation, the explosion of medical knowledge, and rapid technical advancements are among the challenges threatening the environment of clinical education. Moreover, in Korea, there has been an uncontrolled trend toward every doctor being a specialist, which causes not only the medical service system to be highly consuming but also the effective clinical education for primary care competency to become compromised. The competency-based clinical curriculum of the undergraduate urgently needs refinement and it must be connected to the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The essential competencies should encompass communication, collaboration, management, social accountability, professionalism, and education, as well as patient care. We should apply the adult-learning pedagogy to the clinical teaching and assessment in terms of requiring minimal outcomes for primary care physicians, self-study using mobile information applications, portfolios with reflection, one-on-one preceptors with microteaching skills, inter- and multi- professional education, performance assessment, simulation-based education, workplace-based evaluation, and so on. Coming to a national consensus of supporting and advancing clinical education is critical for the purpose of meeting the medico-health welfare challenges of the super-aged society coming in the near future.









의학전문대학원 교육의 차별화 방안

Differentiation Strategy of Graduate Entry Programme


노혜린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Hye Rin Roh, M.D., Ph.D.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Korea

책임저자 주소: 614-735, 부산시 부산진구 복지로 75번지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Tel: 051-890-8811, Fax: 051-893-9600

E-mail: hyerinr@inje.ac.kr





서론

의학전문대학원 제도가 논의되고 도입되기 시작하면서 당시 많은 전문가들은 의학전문대학원생의 개인적, 학업적 특성이 기존의 의과대학생과는 다를 것으로 예측하였다. 4년의 대학 교육을 마치고 입학하는 학생들이기에 다양하고 폭넓은 학문적 소양과 자질을 갖추었을 것으로 생각하였고, 동기유발이 확실하여 효율적인 의학교육이 될 것으로 기대하였다[1].


본론

1. 의학전문대학원생의 특성

1) 의학전문대학원생의 배경

의학전문대학원생은 의과대학생과 비교하여 2세 이상 연령이 많았으며 그 분포도 넓었다[4-9]. 학사학위를 받은 이후 경과된 시간이 10년 이상인 경우가 5.6%에 이를 정도로 다양하였는데, 27세 이상이 50%에 이르는 의학전문대학원도 있었다[4,5]. 그러나 호주의 예를 보면 의학전문대학원 제도가 정착함에 따라 연령은 단지 대학을 졸업하는 년수만큼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0]. 연령이 증가한 만큼 기혼자의 수도 증가하여, 의전원 내에 기혼자의 비율이 10% 내외로 보고되고 있 다[4,9]. 성별에서도 의학전문대학원생과 의과대학생은 차이를 보였다. 남학생의 비율이 더 높았던 의과대학과는 달리, 의학전문대학원에서는 여학생의 수가 증가하여, 그 비율이 50-60%에 달하였다[5-9].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학부 전공 분야는 다양하였으나, 자연과학, 공학, 의생명 등 대부분 자연계열이었고, 예체능이나 인문사회 계열은 소수였다[6]. 이는 최근 의학전문대학원 과정을 도입하면서 인문학 배경을 가진 학생을 선발하고자 하였으나, 대부분이 생물과학 전공자였다는 호주의 연구와도 일치하는 결과이다[10].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은 상대적으로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는데, 직업을 가졌던 학생들도 있었으며, 학업 중에도 다양한 과외 활동을 하였다[4,8]. 따라서 연령이 높고 다양한 배경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예측은 맞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의학전문대학원을 시행한 영국의 경우, 의학전문대학원을 시행하면서 남학생이 늘었다고 보고하고 있으나[11], 이는 영국이 병역의 의무가 없는 나라이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사회경제적 하위층의 의학전문대학원 진입이 많아졌다는 영국의 보고가 있으나[12], 사회경제적 상태에 대한 우리나라의 연구는 아직 없다.


2)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지원동기

여러 선행연구에서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지원 동기가 의과대학생에 비해 더 성숙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호주의 한 의대에서 첫 16년 간의 졸업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 결과, 학부 졸업생과 고등학교 졸업생 간에 의학을 공부하게 된 동기에 다른 차이는 없었으나, 고등학교 졸업생의 경우 부모의 기대가, 학부 졸업생의 경우 전문직으로서의 독립성과 병을 예방하고자 하는 욕구가 입학 동기에 영향을 미쳤다[13]. 우리나라의 한 사립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병행 대학에서 의학전문대학원생과 의과대학생을 비교한 연구에서도, 의과대학생보다 의학전문대학원생이 사와 과학적 흥미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 또한 의과대학생에 비해 의학전문대학원생이 자신의 동기를 더 뚜렷하게 표현하였고,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과 덜 중요하다고 여기는 것을 분명하게 구분하였다[7].



3)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자질

그러나 의학전문대학원생과 의과대학생의 도덕판단력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7]. 또한 ‘의사는 감염 위험을 무릅쓰고 치명적인 전염병에 걸린 사람을 치료할 도덕적 의무가 있다’는 질문에 대하여 미국 의대생의 94%가 동의한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의과대학생의 68.3%, 의학전문대학원생의 57.8%만이 동의하였다. 따라서 의학전문대학원 제도를 통해 인격적으로 보다 성숙한 학생이 입학하리라는 이전의 예측은 맞지 않았다.


의학전문대학원생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대처를 더 잘 할 것으로 예측되어왔다. 실제로 임상실습 직전에 학생들이 가지는 불안에 대해 설문을 시행한 연구 결과,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이 의과대학생에 비해 불안을 덜 느꼈다[15].


반면 의대 생활에서의 스트레스는 학부 졸업생이 더 컸는데, 그 이유로는 휴식 시간 부족, 경제적 문제, 삶의 균형 문제였다[13]. 즉,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은 그들의 인생 경험에 의해 닥쳐오는 여러 상황에 잘 대처하는 노련성은 갖추었으나, 높은 연령과 그들이 처한 사회적 환경에 따라 심신의 피로를 해결하는 문제나 경제, 가족 문제 등에서 더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10].


4) 진로 선택

의학전문대학원생과 의과대학생 간에 졸업 후 임상과 기초 전공 선택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9]. 또한 도시 또는 시골에서의 진료 선택, 공공 또는 사립기관 근무 등에서도 차이가 없었다[13]. 의학전문대학원생과 의과대학생 모두 대부분 임상의학을 전공하는 의사가 되고자 하였다[9].


단, 세부 전공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의학전문대학원생은 내과, 가정의학, 소아과 순으로 선호하여, 신경과, 정신과 등도 선호하는 의과대학생과 약간 달랐다. 이는 나이가 많은 학생일수록 일차진료 과목을 전공으로 선택한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16]. 또한 의학전문대학원생은 외과, 정형외과와 같은 외과계열에 대한 선호도는 낮았으며, 서비스계열 과목의 선호도가 높았다[9].의학전문대학원생이 이러한 과목들을 선택한 데에는 높은연령으로 인하여 가정의학과 같은 짧은 수련 과정이나, 내과계열처럼 힘들지 않으면서 신체적 순발력이 필요없는 전공, 서비스 계열 과목처럼 예상 가능한 근무시간, 가족과 함께 시간을 활용하는 등의 근무조건 등을 선호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한다[9]. 이는, 의학전문대학원생이 의과대학생에 비해, 근무시간, 보수, 병원시설이나 음식과 같은 근무 환경에 대해 더 민감하였으며 가족이나 사회적, 휴식 활동을 위한 시간을 더 필요로 하였다[17,18]는 선행 연구와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의학전문대학원생 그룹에서 관련 연구직이나 공무원 등 임상진료 이외의 분야, 중소병원, 소외지역 의료, 자선병원 등의 분야를 희망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4].


기존의 연구들에서 제시되었던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입학 동기 중 하나가 봉사와 과학적 흥미였음을 생각할 때 위의 진로선택 결과는 기존 연구 결과와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입학 동기는 과학적 흥미였으나, 대부분의 학생들은 일차 진료가 가능한 임상과목을 선택하였다. 또한 입학 동기가 봉사든 아니든 관계없이 봉사 분야를 진로로 선택한 비율은 의과대학생이나 의학전문대학원생이나 차이가 없었다[13]. 교육 비용에 대한 부담이 의학전문대학원생에게 훨씬 크므로, 경제적인 이유가 그들이 전공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19].



5) 수학능력

의학전문대학원생이나 의과대학생이나 학업 성취 정도나 연구 성과에서 차이가 없었다고 보고하고 있다[13,20].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최종 시험 합격률은 의과대학생과 비슷하나, A학점이 더 적고 중간 성적대에 몰려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1].


교육과정의 초반에는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이 생의학 과목에서 의과대학생에 비해 성적이 좋았다[22]. 의학전문대학원생들 간에도 전공에 따라 초반에는 성적의 차이를 약간 보이나, 시간이 갈수록 그 차이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3].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초기 2년간의 학업성취도를 분석한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으나, 보건의료계열 전공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가장 우수하였고, 공학과 생물학 전공 학생이 그 뒤를 이었으며, 생물이 아닌 자연과학계열과 인문사회계열 전공 학생이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24]. 입학전형요소 중 의학교육입문검사 점수와 학부성적이 의학전문대학원 학생의 1, 2학년 과정에서의 학업성취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23].


국내 한 국립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병행대학에서 3년을 분석한 결과[20], 암기능력이 중요한 단순한 필기시험이나 본과 이전에 학습한 지식이 도움이 되는 과목의 학업성적은 의과대학생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고, 단순한 필기시험이 아닌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하거나 토론, 수업태도 등이 반영되는 과목에서는 의학전문대학원생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즉,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수학능력은 교수학습방법이나 평가방법에 따라 다르게 평가되었다.


6) 학습전략과 방법

서울 소재 일개 대학에서 비교한 연구[25]에서,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은 의과대학생과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학습전략들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의학전문대학원생은 의과대학생들보다 학습내용을 표나 그래프로 만들어 요약하고 재구성하는 조직화, 새롭게 학습한 내용을 기존의 지식과 연결해보는 정교화, 학습내용을 지지하는 증거나 반례를 생각해보는 비판적 검토 등 인지적 학습전략과 내적자원관리 전략인 시간관리 전략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많이 사용하였다. 이 결과로 의학전문대학원생이 대학생활을 통해 보다 성숙한 학습전략을 사용하게 되었다고 평가할 수도 있다[19].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의학전문대학원생이 그들의 높은 연령으로부터 발생하는 학습의 불리한 측면에 대해 전략적으로 대처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의학전문대학원생은 다른 학습전략에 비해 비판적 검토와 스터디그룹 전략을 가장 낮게 활용하였다.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학습양식은 경험을 성찰하며 정보를 처리하고 다양한 정보를 통합하여 간결하고 논리적으로 조직하는 동화자(assimilator)가 61.2%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실습을 통해 정보를 처리하고 한정된 정답이나 해결안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학습을 잘 하는 집중자(converger)가 19.3%였으며, 학년에 따른 학습양식의 분포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8].


나이가 들수록 학습자는 단기 기억이 감소하므로 반복학습이 효과적이며, 혼자서 학습하거나 수동적인 학습을 하는 것보다 학습자들간의 또는 학습자와 교수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 효율이 높아진다[26]. 또한 문제중심적으로 학습하며, 자신의 경험을 학습의 자원으로 활용하므로 토론이나 현장실습 같은 방법이 효과적이다[10,19,27]. 그러나, 비판적 검토와 스터디그룹 전략을 적게 사용하고 집중자가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은,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이 어릴 때 사용하였던 수동적이고 혼자 공부하며, 이론과 주제를 중심으로 학습하는 방법을 고수하는 학생이 상당 수 존재하고 있음을 뜻한다.


2. 의학전문대학원 교육의 차별화 전략

1) 교육과정

(1) 기초의학 교육과정

따라서 생물이나 의생명과학 전공자에게는 이 과목들을 짧게 끝내거나 실력을 갖추었음을 인증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전공분야가 다른 학생들, 특히 생물이 아닌 자연과학 분야나 인문사회, 예체능 계열의 학생들에게는 보다 주의를 기울이고 개념을 이해할 시간을 충분히 주는 등 별도의 과정을 마련하는 것이 전공이 다른 학생들을 위하는 맞춤식 교육과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2) 임상의학 교육과정

다양한 임상 술기나 표준화환자와의 실습 프로그램 등이 교육과정 초반부터 시작되어 임상노출이 조기에 된다면 성인학습자인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이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자신의 진로를 찾아가며 역량을 배양하는 데 더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19].


더 성숙한 학생이 들어옴에 따라 환자를 대하는 전반적인 태도는 더 좋을 수 있겠으나[19], 자연과학이나 공학 계열 전공자는 인문사회계열 전공자에 비해 환자와의 의사소통능력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이들 전공자들을 위해 자신의 대인관계기술이나 의사소통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별도의 선택과정을 두는 것도 좋을 것이며 관심을 가지고 충분히 실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 의료인문학 교육과정

의학전문대학원생의 도덕판단력은 의과대학생과 다르지 않았으며 미국에 비해 낮았다. 또한 이타적인 동기를 가진 학생이라도 윤리적인 갈등상황에서 합리적인 판단을 내리고 행동하는 능력을 갖춘 것은 아니다[7]. 따라서 이들의 도덕판단력을 기르고 윤리적 의사결정과 행동을 습득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은 우선적으로 배정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경험을 성찰하며 학습하는 학생의 비율이 높으므로, 이들에게는 이론적인 내용보다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이면서 활용도가 높은 내용을 제공하면 좋을 것이다.


(4) 진로탐색 과정

의학전문대학원생은 의과대학생에 비해 좀 더 다양한 진로를 모색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이 여러 분야로 진출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4].


2) 교수학습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은 연령 분포가 다르므로, 의과대학생과는 다른 교수전략이 필요하다. 


이들에게는 학습량을 대폭 줄여주고 대신 스스로 학습하여 정리할 시간을 충분히 주는 것이 필요하다. 즉, 필수적으로 알아야할 개념과 내용을 핵심만 간추려 명확하게 제시하고 이것을 스스로의 전략에 따라 학습하도록 충분한 시간을 주는 배려가 필요한 것이다.


의학을 학습하는 것은 과학을 학습하는 것과는 다르다. 의학은 환자를 진료하는 경험을 통해 성찰하고 관찰한 것을 바탕으로 개념을 정리하고 실습해보는 과정을 거쳐 익히게 되는 경험적인 학문이다. 이에 의학전문대학원생은 추상적 개념화가 적합한 과학과는 다른 학습법에 적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신들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학습자로서 어떤 변화를 가지게 되는지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이 충분히 인식한다면 보다 적절한 학습방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의학전문대학원생들에게는 높은 연령 학습자의 특성과 그에 적합한 학습방법에 대해 알려줄 필요가 있다. 시간관리와 인지적 전략 외에도 반복하기와 문제바탕학습과 같은 그룹학습 등 자기주도 학습전략을 인식시켜주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좋을 것이다. 또한 추상적 개념화 과정을 환자 경험을 한 후에 강화시켜주는 교수 전략이 필요하다.


3) 평가

연령이 증가할수록 단기 기억능력이 감퇴할 지는 모르나, 언어 능력이나 문제해결능력과 같은 고차 인지능력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26].


주로 단기 기억을 평가하게 되는 필기시험보다는 실제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는 수행평가 방법들이 도입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의학전문대학원생이 기왕 가지고 있는 성숙한 문제해결능력과 언어능력을 활용하고 강화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암기 위주 필기시험보다는 문제해결형 필기 또는 수행평가를 통해 이들을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4) 생활 지원

의학전문대학원생은 학업적인 스트레스보다는 생활 측면에서의 스트레스가 더 컸다. 나이가 많아 부모님에게 학비 지원을 받기가 의과대학생에 비해 더 어려운 반면 등록금은 2배 이상 올랐다. 더구나 결혼하고 자녀를 가졌을 확률 또한 의과대학생에 비해 높았다.


여학생의 비율이 많아짐에 따라 학교에서 고려해야할 사항도 많다. 여학생의 경우 스트레스나 우울증이 학업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많아지므로[25] 정신건강을 위한 학생상담 시스템 또한 이들을 배려하여 조정되어야 한다. 의학전문대학원생의 경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신체적 기능이 떨어지는 것뿐 아니라, 질병이 생길 가능성도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여학생의 경우 임신과 출산 등으로 학업을 중단하거나 지장을 받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신체 건강 부분에 있어서도 의과대학보다 더 배려하는 정책과 시스템, 그리고 시설이 필요하다.


5) 선발

의학교육입문검사 점수와 학부성적이 1, 2학년 과정에서의 학업성취도와 상관관계가 있었으므로, 학생 선발에 있어 일차 전형 요소로 고려할 수 있겠다. 임상실습과정에서의 학업성취도나 국가고시에서의 성적은 입학전형요소 중 multiple mini interview라는 면접방식을 사용하였을 때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8].


따라서 의학전문대학원생 선발에 있어서는 비인지적 능력을 공정하고 신뢰롭게 평가하는 면접방법이 좀더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18,19,29]. 사회경제적 배경이 낮거나, 지방출신, 다문화 출신의 학생의 경우 소외지역에서의 진료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고 실제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다[18]. 이들은 소외계층들이 어떤 보건의료 수요를 가지고 있는지 가장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의 입학 관문을 낮추는 별도의 전형 제도를 갖춘다면 우리나라의 의료에 있어 소외되는 계층은 줄어들 것이다.

















Differentiation Strategy of Graduate Entry Programme
의학전문대학원 교육의 차별화 방안

노혜린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Hye Rin Roh, M.D., Ph.D.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Korea

Abstract
Graduate medical students have been expected to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s. If it is true, our strategy to educate them should be differentiated. However, basic medical education for graduate entrants in Korea now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for non-graduate entrants. Therefore, I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graduate entry and schoolleaver students. Herein, I reviewed their demographics, academic backgrounds, career choice motivation, moral reasoning ability, learning styles and strategy, academic achievement, quality of school life, and outcome after graduation. Also I tried to suggest the differentiated strategy for effective education according to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assessment, student support system, and admission selection policy. 


Anxiety in medical students: is preparation for full-time clinical attachments more dependent upon differences in maturity or on educational programmes for undergraduate and graduate entry students?

K Hayes, A Feather, A Hall, P Sedgwick, G Wannan, A Wessier-Smith, T Green & P McCrorie



Introduction

의과대학생에게 있어서 불안과 스트레스는 언제나 있어왔으며, 여기에는 임상실습으로 이행하는 과정의 불안감도 포함된다. 최근의 질적 연구 결과를 보면, 이러한 이행 시기가 특히 더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Anxiety and stress have long been identified in medical students,1,2 including anxieties specific to the change to full-time clinical studies.3 A recent qualitative study has again highlighted these transition periods as being particularly stressful for students.4


대부분 교육과정에서 첫 2년(1학년, 2학년)에도 기초의학과목과 임상경험을 통합한 형태의 교육이 이뤄지고 있으나, 전일제(full-time)으로 임상현장에 있는 것은 매우 흥미진진하면서도 걱정이 되게 만드는 상황이다. '학생 중심'에서 '환자 중심'으로 교육의 초점이 이동하게 되고, 그리고 지금까지의 익숙한/구조화된/안전한 교육환경은 덜 조직화되고 가끔은 intimidating한 임상 현장으로 변화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학생들은 임상술기를 익히고 보일(demonstrate)줄 알아야 한다.

Although there is some integration of basic medical sciences and clinical contact in the first 2 years of most courses, the transition to full-time clinical attachments can be both an exciting and a worrying time for students. The focus of the educational process changes from being student- to patient-centred and the previously familiar, structured and safe learning environment changes to that of the less organised and often intimidating clinical arena. In addition, students are challenged by the need to acquire and regularly demonstrate clinical skills, including history taking, examination, giving information and performing practical procedures.


임상술기에 대한 introductory 과정이 스트레스와 불안을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이 시기에 학생이 스스로 얼마나 준비되었다고 느끼는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적다.

Introductory clinical skills courses have been shown to reduce stress and anxiety5 but there is little in the literature about what influences how prepared students feel during this time.


의학전문대학원 프로그램은 영국에서 빠르게 확산되기 시작하였으며, 전통적인 의과대학 과정과는 다르다. GEP는 PBL과 같은 다른 교수법을 사용하는 경향이 많고, 더 기간이 짧으며, 더 임상적으로 관련된 교육과정을 다르고, 임상과 의사소통 기술을 완전히 통합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러한 변화는 학생들이 '임상적으로 준비될 수(clinically prepared)'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는데, 특히 GEP학생들이 3년의 임상실습 경험을 쌓는 의과대학 학생들과 달리 2년간밖에 시간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러한 변화와 동시에 GEP에 참여하는 의과대학에는 인력과 재정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Graduate entry programmes (GEPs) are expanding rapidly in the UK and differ considerably to long-established traditional undergraduate courses; GEPs tend to involve different methods of delivery (e.g. problem-based learning), shorter and more clinically relevant curricula and fully integrated clinical and communication skills programmes. These changes are chiefly designed to make students more clinically prepared at all stages of their training, particularly as GEP students only have 2 full clinical years (versus 3 for undergraduates). Alongside the changing educational culture there have also been considerable staffing and funding implications for participating medical schools.


This paper examines student perspective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s leading up to this transition and compares the levels of anxiety and specific anxieties experienced by 2 sets of students at a London medical school.


Are we simply achieving the same outcome in different ways or do GEP students really feel better prepared for full-time clinical studies than their undergraduate (UG) colleagues? And if so, what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Background

St George's Hospital Medical School (SGHMS) has been running parallel UG and GEP MBBS courses since 2000. The 2 courses have markedly different entry criteria, resulting in different student characteristics. 

    • The UG course is dominated by students entering after their A-levels (or equivalent examinations), but includes a few university graduates (5%), all of whom have completed a science degree or higher qualification. Students on the UG course are expected to graduate in 5 or 6 years. At the time of the study their median entry age was 19 years.
    • The graduate entry programme (among the first in the UK) reflects the UK government's determination to increase the number of UK graduating doctors in keeping with the European Working Time Directive.6 The students are unique in that they may hold any university degree (2 : 2 and above), but are selected primarily on their performance in the GAMSAT (Graduate Australian Medical Schools Admission Test) assessment7 and a structured interview. They are expected to graduate in 4 years. At the time of the study, their median age on entry was 25.5 years. The 2 courses run in parallel and are based on different educational models.


    • The UG course is a relatively traditional systems-based course delivered in the early years predominantly by lectures and illustrative clinical case scenarios
    • The GEP course is delivered using problem-based learning (PBL) cases (New Mexico PBL model) and uses contextualised learning8 wherever possible, integrating clinical skills throughout the first 2 years. Central to the learning process is revisitation of material based on Harden et al.'s spiral curriculum.9 
    • The UG course, whilst introducing some early clinical skills, focuses on a 3-week Introduction to Clinical Practice (ICP) programme at the beginning of Year 3. Despite these differences, both courses will share the same finals assessment with a view to fitness to practise.



Statistical analyse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10. As distributional assumptions could not be made, students on the 2 courses were compared in age using the Mann–Whitney U-test (test statistic approximated to the normal distribution and denoted by z). Distribution of gender was compared between courses using the chi-squared test (test statistic denoted by ÷2). The 2 courses were compared on the 13 statements of anxiety using the Mann–Whitney U-test (test statistic approximated to the normal distribution and denoted by z). All reported P-values are 2-sided and given to 3 significant decimal places. The critical significance level was 0.05. A large number of significance tests were conducted overall but because of type I errors the results of such tests are difficult to interpret. No doubt these multiple statistical tests are correlated and the Bonferroni correction factor is inappropriate as it is conservative and may miss real differences.10,11 Therefore, a subjective approach was applied. More weight was given to comparisons yielding very small P-values than those close to the 5% significance level.


A total anxiety score was derived for each student by summing the student's scores across the 13 anxiety statements, with higher scores reflecting less anxiety. For questions 3, 10, 11 and 12, the scores were reversed because the questions were phrased negatively. An analysis of covariance was undertaken in which total anxiety was regressed on gender, course and age. The type III sum of squares was reported for each main effect and the associated significance test was therefore adjusted for all other main effects. A histogram of the residuals verified the assumption of normality.


Two open questions allowed students to discuss both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that may have influenced them. Two authors (KH and AF) individually reviewed all free text comments and grouped them qualitatively into common recurring themes. We then compared our groupings and agreed on the main common themes. We selected certain individual comments that best reflected student feelings.



Results

    • Demographic data
    • Anxiety statements

    • Analysis of covariance







Discussion

불안과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긍정적 측면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하면 문제가 될 수 있고 여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Learning to deal with anxiety and stress is an everyday part of a doctor's working life. 

      • Indeed, anxiety and stress can have a positive influence, particularly with assessment, as an overly relaxed attitude may lead to complacency and a lack of work.13 
      • However, excessive stress and anxiety may lead to poor assessment performance and clinical skills acquisition.14 

Clearly, factors that may ultimately lead to deficiencies in clinical performance and possibly in patient care need to be prevented wherever possible.


핵심 질문은 불안점수 총합이 나이 때문인가, 아니면 교육과정 때문인가 하는 것이다.

The key question is whether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anxiety scores were simply due to increased GEP maturity (on average 6.5 years older), or to the differences in curricula design (PBL versus non-PBL) and the markedly different clinical skills teaching programmes.


성인학습이론에 따르면 더 나이가 많을 수록 학습에 대한 접근 방법이 달라진다고 본다. 의학전문대학원으로 들어온 학생들이 더 동기부여가 잘 되어있고, 학습 기술이 더 성숙하며, 자기주도성이 강하고, 더 많은 삶의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부정적인 요소도 있는데 고착화된 학습법을 사용할 수 있고, 경제적 문제에 더 신경을 쓸 수도 있고, 과학 배경지식이 약할 수 있다.

Adult learning theory assumes that older students will be mature in their approaches to learning.15 Graduate entry students have potentially higher motivation (career change and self-funding issues), more mature learning skills, increased self-direction and more ‘life experience’.15 However, some negative factors include fixed learning approaches, greater financial concerns16 and a limited scientific background at enrolment.8


나이를 보정하고도 불안 정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성숙도가 두 그룹 사이에 차이를 주는 요인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urses in student anxiety levels persisted after adjusting for age. It would appear, therefore, that maturity is not the main factor contributing to differences between the 2 groups.


이렇게 연관성이 없다는 것이 영국에서 의학전문대학원 체제가 확장되고 있는 것을 지지하는 근거도 반대하는 근거도 아니다. 그러나 최근 Norman이 지지한 성인학습이론에 의문을 던질 수는 있는데, Norman은 주로 차이를 만드는 것은 학습환경이지 학습자의 내재적 차이가 아니라고 하였다.

This lack of association neither supports nor detracts from the growth of graduate entry in the UK. It does, however, cast further doubt on the support for adult learning theory recently championed by Norman,17 who considers it to be the learning environment that makes the main difference rather than any intrinsic differences between learners.


성별 분포는 양쪽에서 비슷하였기 때문에 차이를 설명하지 못한다. 그러나 남성이 여성보다 불안감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전 연구와도 부합하는 결과이다.

Gender distribution was similar on both courses, so this does not explain the differences either. Interestingly, however, men expressed significantly less anxiety compared to women, in keeping with reports in previous literature comparing male and female medical students.18


GEP의 integrated practical and communication skills 

The GEP course provides fully integrated practical and communication skills throughout the first 2 years, compared to mainly the ICP programme on the UG course. The previously well supported acquisition, practice and continuous assessment − arguably the most important factor − of skills may have left the GEP students feeling significantly more confident in this area, as was borne out in their free text responses. The support and enthusiasm of teachers has previously been identified as a major influence on student acquisition of clinical skills.19 Interestingly, staff support was more important for GEP than UG students and the much smaller GEP cohort probably made it easier for students to form closer relationships with teaching staff.


Conversely, peer support was more often identified by UG students as helping to relieve anxiety, in keeping with reports of other undergraduate studies.20


These results suggest that early integration of clinical skills, placed in context, well supported by clinical and communication skills teachers, with appropriate assessment, are essential elements of a modern medical school curriculum.


영국 의대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거의 40%가까운 학생이 건강상이나 개인상 이유로 학교를 떠난다고 했는데, 현재 이러한 문제에 대한 지원은 UG모델을 기반으로 하면서, GEP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라고 가정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두 그룹은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One UK study of medical student wastage reported nearly 40% leaving due to poor health (particularly psychological) and personal problems (many related to course stressors).21 A recent review of the literature concerning stress management in medical education concluded that there was proven benefit for students who used available methods of support.22 Much of the current provision is based on UG models and assumes that graduate entrants need the same resources. As there are major differences between the 2 groups, it may be that a more tailored approach to personal support is required for each of them.



Hill et al.,23 examining whether junior doctors felt prepared for hospital practice, found that non-traditionally (PBL) taught medical students expressed greater confidence around communication and general clinical aspects of care than those who had been taught traditionally. They attributed these differences to different student selection processes, learning processes and curriculum content. We intend to follow these students to see how they feel on starting work as house officers in order to establish whether the differences persist.



Conclusion

Running 2 parallel MBBS courses in 1 institution has allowed us to directly compare the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differently prepared future doctors.


Clearly, universally agreed learning outcomes include the development of clinical skills and a professional approach to real patients.24 In order for students to master and maintain these core attributes they need exposure, practice and assessment, introduced as early as possible, and continued until graduation25 and beyond, fostered by a curriculum that ingrains a desire for lifelong learning. It would appear likely that this is more important than any individual student characteristics.









 2004 Nov;38(11):1154-63.

Anxiety in medical students: is preparation for full-time clinical attachments more dependent upon differences inmaturity or on educational programmes for undergraduate and graduate entry students?

Abstract

INTRODUCTION:

The transition to full-time clinical studies holds anxieties for most medical students. While graduate entry medical education has only recently begun in the UK, the parallel undergraduate and graduate entry MBBS courses taught at our school allowed us to study how 2 differently prepared groups perceived this vital time at a comparable stage in their training.

METHOD:

An anonymous questionnaire collected demographic data and graded anxiety in 13 statements relating to starting full-time clinicalattachments. Two open questions allowed free text comment on the most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s perceived during this time. Both a statistical analysis and a qualitative assessment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2 groups of students.

RESULTS:

The 2 groups were similar with respect to gender but the graduate entry students were significantly older. The graduate entry students were significantly less anxious about most aspects of the transition period compared to the undergraduates. These course differences remained after adjusting for age and sex. When adjusted for course and age, male students expressed less anxiety. The main positive qualitative statements related to continual clinical and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in the graduate entry group. The main qualitative concerns in both groups related to 'fitting in' and perceived lack of factual knowledge.

DISCUSSION:

These data support the early introduction of clinical skills teaching, backed up by a fully integrated clinically relevant curriculum with continued assessment, in preparing students and reducing levels of anxiety before they start full-time clinical attachments. These course designdifferences appear to be more important than any differences in maturity between the 2 groups.

PMID:

 

15507009

 

[PubMed - indexed for MEDLINE]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진로선택동기 및 도덕판단력 비교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1

김 민 강․강 진 오1




서 론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전문교육 (professional education)의 재구조화가 활발히 진행 중인데, 그 대표적인 실례가 의학․치의학 전문대학원 및 법학전문대학원의 도입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의학전문대학원의 도입은...

자연과학, 인문․사회학의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의학 교육을 받게 됨으로써 의학 자체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고 있다. 

또한, 의학전문대학원 제도는 학생들에게 의료전문직의 성격을 정확히 파악하고 충분한 정보에 근거한 진로선택 (informed career decision)을 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보다 동기가 높은 학생을 선발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 기대된다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2; Miflin et al., 2003; Finucane et al., 2001). 


호주, 영국 등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와 비슷한 기대를 가지고 전문대학원 제도를 도입한 의과대학들이 많이 있다. 이러한 대학들은 전문대학원 학생과 의학과 학생들의 특성을 비교하는 경험적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대체로 그 결과는 학사 후 의학교육(graduate-entry medical program)의 도입을 지지하는 편이다

호주에서 시행한 연구의 경우 학부 졸업 후 의과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이 고교 졸업 후 의학교육을 시작한 학생들보다 전문직업의식을 갖추고 타적인 동기로 의과대학에 진학했으며, 부모의 기대로 진학하는 경향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Rolfeet al., 2004). 

한편, 영국에서는 의학과 학생에 비해 전문대학원 학생들이 임상실습에 대한 불안을 덜 느끼고 자신감과 효능감을 가지는 경향이 있었다(Hayes et al., 2004). 또한, PBL (문제바탕학습) 교육과정을 이수한 전문대학원 학생과 의학과 학생을 비교한 연구에서는 전자가 인턴십 프로그램에서 보다 협동성과 자신감을 보이고, 전인의학 (holistic care)을 실천한다고 보고하였다 (Dean et al., 2003). 


그러나, 전문대학원 제도를 통해 입학하는 학생에 대한 기대에 비교하면, 그들에 대한 객관적인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비록 존재하더라도 대부분은 일화나 관찰내용의 기술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Wilkinson, 2004).


우리나라의 의학전문대학원 제도는 의학계와 정부의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도입된 제도이지만, 그것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실제 운영과정을 계속 모니터링하고 개선의 방안을 찾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Shin, 2006). 이러한 연구에서 전문대학원을 통해 입학한 학생의 특성과 입학 후의 수행을 조사하는 것은 전문대학원 제도의 효과를 검증하는 작업의 기본이라 할 수 있다. 이에 2005학년도부터 의학과와 의학전문대학원을 병행하여 운영하고 있는 경희대학교 의과대학은 두 집단의 학생들이 갖는 특성과 성취도를 종단적으로 비교하기로 하였다. 


전문대학원 신입생과 의학과 학생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는 그들의 인지적 특성, 정의적 특성 등 다양한 차원에서 분석될 수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전문직업의식과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있어 오랫동안 많은 의학교육학자들이 연구해 온 진로선택동기 및 도덕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진로선택동기는 의과대학의 입학을 위한 면접시점부터 관심의 대상이 되는 특성으로서, 의과대학들은 학생이 지위나 소득과 같은 동기보다는 의학이라는 학문자체에 대한 흥미와 타인에 대한 이타적인 동기로 지원하기를 원한다(Nieuwhof et al., 2004). 

한편, 도덕성은 의학교육과정에서 그것이 향상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신입생을 선발하는 과정에서부터 중요한 기준이 되어야한다는 제안이 증가하고 있다 (Miles et al., 2005). 이에, 본 연구는 의학전문대학원을 통한 신입생 선발이 의학교육이 가지고 있는 위와 같은 기본 취지에 기여하는지 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의과대학생의 진로선택동기는 국내외의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져왔다. 외국의 경우 최근에는 요인분석을 통하여 진로선택동기의 하위차원들을 탐색하고 타당화하는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Vaglum et al., 1999; Todisco et al., 1995). 

우리나라에서는 동아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에서 전체 전공 신입생을 대상으로 전공 선택 동기를 조사한 결과 (1999) 의과대학생의 경우에는 ‘적성과 흥미’가 가장 중요한 선택동기였고, 다음으로 ‘취직가능성’이 차지했는데 이는 다른 전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이었다. 

이중정 외 (2003)가 대구지역 2개 사립의과대학 의예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2001년 시행한 연구에 따르면 복수응답이 가능한 상황에서 학생들이 가장 중요한 진로 선택의 동기로 꼽은 것은 ‘경제적 안정성’이었고, 다음으로 ‘평생 직업’과‘봉사’였다.


한편, 의과대학생의 도덕성도덕판단력검사(DIT)를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외국에서 시행된 다양한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도덕판단력은 학업성취도와는 구분되는 독립적인 능력으로 의과대학생 및 수련의의 임상수행능력이나 개원의의 소송률 등과 관련이 있었다 (Moon et al.,2006). 최근 국내에서 실시된 연구를 통해 의과대학 재학기간 동안 학생들의 윤리적 원리중심의 판단능력 (principled reasoning)은 변하지 않거나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ong, 2000; Kim et al., 2003). 특히, 예과생에 비해 본과생의 판단력이 낮았고, 연령이 낮은 학생보다 높은 학생의 판단력이 낮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의학교육경험이 도덕판단력의 발달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Lee, 2005). 그러나, 국내 연구에서 학부경험을 변인에 포함시키거나, 의예과를 통한 진입생과 편입생을 비교하면서 진로선택동기나 도덕판단력을 조사한 연구는 드물기 때문에, 이전의 연구를 통해 전문대학원 학생의 특성에 대한 예측을 내리기는 힘들다. 이에 본 연구는 3~4년간의 학부 과정을 이수한 후 전문대학원을 통해 입학한 학생들이 학부 과정을 거치지 않은 채 입학한 의학과 학생에 비해 정의적인 특성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조사하여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교육 과정을 설계하는 데 있어 참고가 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가.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05학년도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1학년 학생 68명과 의학전문대학원 1학년 학생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11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05년 3월 도덕판단력검사 (DIT: Defining Issues Test)와 진로선택동기검사를 실시하였다. 의학과 학생 중 다른 대학 학사과정을 마치고 입학한 학생을 제외하고, 불성실한 응답으로 신뢰할 수 없는 변인이나 다수의 결측치를 포함한 학생들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83명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최종분석대상은 의과대학 학생 45명 (남=30, 여=15)과 의학전문대학원 학생 38명(남=15, 여=23)으로 분석에서 제외된 학생과 분석대상 학생 사이에는 유의미한 성별이나 연령 등의 차이는 없었다. 분석대상자 전체의 평균연령은 24.3세로 (표준편차=3.52), 본과 1학년은 평균 21.1세 (표준편차=3.31), 전문대학원 1학년은 평균 26.1세 (표준편차=0.91)였다.


나. 조사도구

1) 진로선택동기 검사

학생들의 진로선택동기를 조사하기 위하여 Kim & Kim (2005)이 번안하고 타당화한 진로선택동기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검사는 Todisco et al. (1995)이 ‘지위 및 안정성 지향’, ‘사람 지향’, ‘과학 지향’이라는 세 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구성한 14문항 검사에 Zadik et al. (1997)이 측정한 ‘타인의 영향’ 및 ‘근무 환경’이라는 요인을 추가하여 20개 문항으로 구성한 것이다. 각 요인은 4개의 문항으로 구성되고, 각 문항은 진술된 내용이 진로선택에 얼마나 중요하게 작용했는지를 5점 Likert 척도 (1=전혀 중요하지 않다, 5=매우 중요하다)로 평정할 수 있다. 각 하위요인별 총점의 범위는 최저 4점에서 최고 20점이다. 본 검사는 의예과 및 의학과 학생 (221명)과 치과대학생 (88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타당화되었는데, 타인의 영향 (I), 재정 또는 직업 안정성 (II), 과학적 흥미 (III), 돌봄과 사회봉사(IV), 근무 환경 (V)의 다섯 요인이 전체 변량의 50.231%를 설명하였다. 또한, 각 요인별 문항의 내적 신뢰도는 타인의 영향 (.586), 재정적 또는 직업안정성 (.863), 과학적 흥미 (.695), 돌봄과 사회봉사(.729), 근무 환경 (.813)이었다 (Kim & Kim, 2005). 본 연구에서 각 하위요인별 신뢰도는 .585에서 .847이었다.


2) 도덕판단력 검사

도덕 판단력 검사인 DIT는 도덕성 발달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Kohlberg에 의해 제작된 인터뷰 방식의 검사를 Rest (1979)가 객관형 검사의 방식으로 전환시킨 것이며 모두 여섯 가지 딜레마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DIT 검사는 여러 나라에서 번안되어 다양한 표집을 대상으로 연구가 실시되면서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입증 받았고 (Moon et al.,2006), 국내에서는 문용린 (1994)에 의해 한국판 도덕판단력검사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는 세 가지 딜레마 이야기 (남편의 고민, 탈옥수, 의사와 환자)와 각각에 따른 12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DIT 간편형을 사용하였다. 채점결과는 2, 3, 4, 5A, 5B, 6단계의 점수와 P점수, U점수 등으로 산출된다. 특히,P (%)점수는 인습이후 수준 (5, 6단계)의 도덕판단이 차지하는 비율로서, 응답자의 도덕판단 수준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즉, P (%) 점수가 높은 사람일수록 도덕적인 문제에 당면했을 때, 개인의 이득이나 정해진 규범보다 추상적인 윤리적 원리들을 활용하여 사고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한국판 도덕판단력 검사의 신뢰도는 .81이며, P점수의 신뢰도는 .61이다 (Moon, 1994). 본 연구에서는 DIT의 채점결과를 통해 추상적 윤리원칙을 중심으로 하는 인습이후 사고의 비중 (P점수) 점수를 산출하고 이를 집단비교 및 상관분석에 이용하였다.


다. 분석방법

의학과 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 학생이 진로선택동기에서 보여주는 차이는 각 하위척도 점수별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때, 의과대학생의 진로선택동기에 성차가 존재한다는 선행연구(Todisco et al., 1995; Wierenga et al., 2003)의 결과에 따라, 성별이 공변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성별에 따른 독립표본 t 검증도 실시하였다. 한편, DIT에서의 집단 간 차이는 P점수에 대한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두 집단 사이의 차이가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띠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남녀를 구분한 후 두 집단 간 독립표본 t 검을 실시하였다. 진로선택동기와 DIT 점수 사이의 관계는 집단별로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를 SPSS version 12.0으로 통계 처리되었다.




결 과

가. 진로선택동기

Table I은 진로선택동기의 각 하위척도별로 의학과 학생과 전문대학원 학생의 평균을 제시한 것이다. 두 집단의 학생 모두 다섯 가지 동기 중 다른 사람에 대한 봉사를 가장 중요한 것으로 평정했다. 두 번째로 가장 중요한 동기는 의학과 학생의 경우 직업의 안정성이었고, 전문대학원 학생의 경우 의학에 대한 과학적 흥미이었다. 그러나, 두 집단 모두 다른 사람의 영향이나 근무 환경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 도덕판단력

DIT에서 얻은 원리적 추론능력 점수 (P점수)에서는 의학과 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 학생 사이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존재하지는 않는다 (Table III). 성별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t 검증을 실시한 결과 도덕판단력 점수에서의 성차가 나타나지는 않으므로, 의학과와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 사이의 차이에 성별이 공변인으로 작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Table IV는 남학생과 여학생을 구분하여 의학과 학생과 전문대학원 학생을 비교한 것이다. 그 결과 P점수에서 남녀 모두 의학과 학생과 전문대학원 학생 사이의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다. 진로선택동기와 도덕판단력의 관계

Table V는 다섯 가지 진로선택동기DIT의 P점 (원리중심 추론능력)의 상관을 보여준다. Table V 에서 음영 처리된 대각선 윗부분은 전문대학원 학생들로부터 계산된 상관계수이고, 음영처리가 되지 않은 대각선 아래 부분은 의학과 학생들로부터 계

산된 상관계수이다. 


의학과 학생과 전문대학원 학생 모두 진로선택동기와 도덕판단력 점수 (P점수) 사이에는 의미 있는상관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원 신입생의 경우, 안정성근무 환경은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 (r=.347)를 가짐으로써 의사라는 직업이 가지는 안정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학생은 동시에 근무 환경도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두 가지 동기를 제외한 나머지 동기 사이에는 의미 있는 상관이 존재하지 않는다.








고 찰

본 연구는 의과대학 학생들의 특성 중 전문직업의식(professionalism)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진로선택동기와 도덕판단력을 중심으로 의학전문대학원 입학생과 의학과 1학년 학생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한 사항을 고찰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학과 학생과 전문대학원 학생 모두 의학교육을 받기로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하게 작용한 동기는 타인을 돌보고 사람들에게 봉사할 수 있다는 데 있다. 그 다음으로 의학이 가진 과학적 매력과 의사라는 직업이 갖는 안정성이 중요한 동기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순위는 동일한 차원들을 중심으로 영국 및 노르웨이 등에서 조사한 연구 (Vaglum et al., 1999; Crossley & Mubarik,2002)와도 비슷한 것이어서 의사라는 직업이 갖는 특성에 대하여 학생들이 지각하는 것이나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이 문화에 따라 크게 다르지 않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의학과 학생과 전문대학원 학생이 진로선택동기에 두는 중요도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이유인 봉사와 과학적 흥미에 대해 의학과 학생보다는 전문대학원 학생이 더 중요한 것으로 생각했는데, 이는 학부졸업 후 의학교육을 시작한 학생이 이타적인 동기를 더 많이 가진다는 외국의 연구와 일치한다 (Rolfe et al., 2004). 반면, 직업의 안정성에 대해서는 의학과 학생이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었다. 비단, 의학뿐만 아니라 최근 국내 치의학교육계에서도 치의학전문대학원 1, 2학년 학생이 치과대학 본과 3, 4학년 학생보다 높은 전문직업의식을 가진다는 연구보고가 있었는데 (Choi & Kim, 2006), 이러한 결과는 전문대학원제도를 통한 학생선발이 의료전문직업인으로서 내재적인 동기를 중시하는 학생들을 선발할 수 있는 긍정적 측면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본 결과는 다양한 변인과 관계가 있으므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특히, 의학과 1학년 학생의 경우 이미 예과 2년의 교육경험을 통해 의사라는 직업에 대한 관점이 처음 입학 당시와는 달라졌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또한, 의과대학생에게서 특수하게 나타나는 집단동질화나 평균으로의 회귀현상 (Self et al., 1993; Self & Baldwin, 1994)을 감안할 때 앞으로 두 집단이 가진 동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종단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의학과 학생에 비해 전문대학원 학생이 자신의 동기를 뚜렷하게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섯 가지 진로선택동기 사이의 상관을 집단별로 조사한 결과 의학과 학생은 대부분의 동기가 어느 정도의 상관을 가지는 반면, 전문대학원 학생에게서는 직업안정성과 근무조건만이 상관을 가졌다. 이는 의학과 학생들이 모든 동기를 다 중요하게 여기거나 덜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 전문대학원 학생은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과 덜 중요하다고 여기는 것을 분명하게 구분하여 평정하였음을 의미한다. 신의 동기를 제대로 파악하고 동기들 사이에 존재하는 중요도를 평가하는 것은 의과대학 졸업 후의 진로를 결정하는 데에도 중요하므로, 의학과 학생들의 자신이 가진 동기의 우선순위를 지각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도덕판단력의 수준에서 의학과 학생과 전문대학원 학생들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는 않는다. 단, 미국에서 전문직종별로 DIT의 P점수를 조사한 결과 의과대학생의 평균이 50.2임을 감안할 때 (Rest & Narvaez, 1994) 전문대학원학생의 평균 (49.1점)은 이에 근접한 편이나, 의학과 학생의 평균 (46.8점)은 다소 낮은 편이다. 또한, 가장 최근 DIT를 사용하여 의과대학생 (45.8점)과 일반대학생 (46.8점)을 조사한 연구와 비교할 때 (Lee, 2005), 본 연구의 대상인 전문대학원 학생의 평균은 두 집단 모두보다 높은 편이다.


넷째, 학생들의 도덕판단력 점수와 진로선택동기 사이에는 두 집단 모두 상관이 존재하지 않는다. 히, 다른 사람에 대한 봉사라는 동기요인이 도덕판단력 점수와 상관을 가지지 않는 것은 흥미로운데, 는 도덕적인 동기와 도덕적인 추론이 서로 구분되고 독립적으로 발달하는 부분이라는 도덕심리학자들의 주장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Blasi, 1984)이는 비록 이타적인 동기를 가진 학생이라고 해서 윤리적인 갈등상황에서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Gilligan (1982)이 말하듯 배려 (care)지향과 정의 (justice)지향의 두 가지 도덕지향성이 존재하고, 어느 한 쪽의 지향성이 높다고 해서 다른 하나의 지향성도 우세한 것은 아니기 때문일 수도 있다. 따라서, 학생선발의 과정에서 학생들의 동기도덕별도의 구인임을 감안할 필요가 있고, 전문직업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과정에서도 두 가지 모두를 함께 기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007;19(2): 91-99. doi: http://dx.doi.org/10.3946/kjme.2007.19.2.91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진로선택동기 및 도덕판단력 비교
김민강1, 강진오2
1서울대학교 교육학과
2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Comparison of Career Choice Motivation and Moral Reasoning Ability between Students in Baccalaureate and Graduate-entry Programs
Min Kang Kim1Jin Oh Kang2
1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Jin Oh Kang ,Tel: 2)958-8664, Fax: 02)962-3002, Email: kangjino@khmc.or.kr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areer choice motives and moral reasoning ability between students in baccalaureate and graduate-entry medical programs. METHODS: Forty-five students from a baccalaureate program and thirty-eight students from a graduate-entry program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ents were required to fill out both the Career Choice Motivation Inventory and Defining Issues Test(DIT). The Career Choice Motivation Inventory is a 20-item questionnaire, which investigates five dimensions: effect of others, job security, interest in science, service and working with people, and working condition.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two group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choice motiv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Students in the graduate-entry program were more likely to be motivated by scientific interest and opportunities to care for people. Status and job security were stronger factors in the baccalaureate students. For the students in this program, there were positive associations among their motives- interest in medical science, serving people, and working con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al reasoning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Students in the graduate-entry medical program seem to have more professional and altruistic motivations for entering medicine. Although there is nostatistical significance, graduate students have numerically higher moral reasoning abilities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These results validate that a graduate-entry program provides an important alternative for student selection.
Keywords: Graduate-entry medical programCareer choice motivationMoral reasoning


Attitudes towards statistics of graduate entry medical students: the role of prior learning experiences

Ailish Hannigan1,2*, Avril C Hegarty3 and Deirdre McGrath1,2




Background

근거중심의학의 정의 : ‘conscientious, explicit, and judicious use of current best evidence in making decisions about the care of individual patients’ [1]

과학적 데이터를 생산하고 분석하여, 분석의 결과를 근거로 추론을 해내는 통계학의 역할을 감안하면 의과대학생들은 그 교육과정에서 통계학을 배울 필요가 있다. 

임상현장에 있는 의사들도 확률과 통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함.

Evidence based medicine has been defined as the ‘conscientious, explicit, and judicious use of current best evidence in making decisions about the care of individual patients’ [1]. Establishing best evidence involves systematically collecting and analyzing scientific evidence to answer a specific clinical question. Given the central role of statistics in the production and analysis of scientific data and in drawing inferences from that analysis, most medical students are expected to gain some knowledge of statistics as part of their education. A survey of practicing clinicians identified an understanding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as being useful for accessing clinical guidelines and evidence summaries, explaining levels of risk to patients, assessing medical marketing and advertising material, interpreting the results of a screening test, reading research publications for general professional interest, and using research publications to explore non-standard treatment and management options [2]. While statistics is increasingly taught as part of the medical curriculum, it can be an unpopular subject and feedback from students indicates that some find it more difficult than other subjects [3].


통계학을 가르치는 것은 지식 뿐만 아니라, 정량적 기술을 익히도록 동기부여를 하는 의미도 있다.

통계학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자세는 자신의 일과의 관련성, 통계학의 가치에 대한 생각, 난이도 등에 따라 달라짐.

통계학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학생들은 아래와 같이 생각함.

The teaching of statistics is not just about imparting knowledge but also about motivating students to continue to learn the quantitative skills they will need in their professional lives, so the role of attitudes towards statistics requires attention. Attitudes towards statistics are the extent to which learners hold positive or negative feelings towards statistics and their perception of its relevance, value and difficulty [4]. Positive attitudes towards statistics have been described [5] as the need for students to

• believe that they can understand and use statistics,

• think that statistics is useful in their professional lives,

• recognize that statistics can be interesting,

• be willing to invest the effort needed to learn statistical thinking and skills, and,

• realize that statistics is not easy but it also is not too difficult to learn.


통계학에 대한 태도와 통계학 시험 점수의 관계는 명확하지는 않으며, small to moderate relationship만이 밝혀진 상태이다. 그러나 통계학을 교실 바깥에서도 더 해보려고 한다거나, 미래에 통계학 강의를 듣는 것과는 연관성이 있다.

Postgraduate에 대해서 통계학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특히 Graduate entry medical program에서 이러한 연구가 특히 중요한 이유는, 이 학생들은 과거에 quantitative course를 수강한 적이 있고, 이것으로 인하여 선입견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입견은 통계학에 대한 것이라기보다는 수학에 대한 것이고, 이것이 통계학 교육을 더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이들은 통계학을 수와 계산, 공식, 정답을 찾는 것에 초점을 두는 수학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s statistics and achievement in examinations is not clear with most studies only finding a small to moderat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s and performance in statistics [4,6]. Attitudes may, however, have a role in influencing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willingness of students to engage with statistics outside the classroom and attend statistics courses in the future [7]. There has been considerable focus on attitudes towards statistics of secondary school and undergraduate students but little is known about attitudes towards statistics of postgraduates. Zhang et al. [8] explored the attitudes of postgraduate medical students in China and concluded that while the students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s statistics, they perceived it as a difficult subject. Understanding attitudes towards statistics on entry to graduate entry medical programmes is particularly important, given that many students may have been exposed to quantitative courses in their previous degree and bring preconceptions of their ability and interest to their medical education programme. These preconceptions may be about mathematics rather than statistics which makes the teaching of statistics particularly challenging. Ben-Zvi and Garfield [9] refer to the tendency for students to ‘equate statistics with mathematics and expect the focus to be on numbers, computations, formulas, and on right answers’.


연구의 목적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ttitudes towards statistics of graduate entry medical students from a variety of backgrounds and focus on understanding the role of prior learning experiences. Understanding attitudes towards statistics on entry to the programme can inform the teaching of the discipline and addressing any issues at the start can help ensure a more positive experience for th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also help inform those engaged in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medical research on the impact of previous learning experiences on attitudes towards statistics in the future.

Methods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were enrolled in an exclusively graduate entry medical school in Ireland. All first year student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n = 139). The instrument was distributed to the students in the first weeks of semester prior to any exposure to statistics in the programme to capture their attitudes towards statistics on entry to the programme. Participation was voluntary and anonymous. Ethical approval for this study was granted by the University Faculty Research Ethics committee.

Instrument

Estrada et al. [10] list the 3 most widely used instruments to measure attitudes to statistics: Attitude toward statistics scale (ATS[11]; Statistics Attitude Survey (SAS[12]; Survey of Attitudes Toward Statistics (SATS[13]. Because SATS has been used recently in a study of medical postgraduates [8], it was selected for use in this study to facilitate comparison across studies. The SATS-36 scale was used to measure six attitudes components 

Affect (students’ feelings concerning statistics); 

Cognitive Competence (students’ attitudes about their intellectual knowledge and skills when applied to statistics); 

Value (students’ attitudes about the usefulness, relevance, and worth of statistics in personal and professional life); 

Difficulty (students’ attitudes about the difficulty of statistics as a subject); 

Interest (students’ level of individual interest in statistics); and

 Effort (amount of work the student plans to expend to learn statistics). 


SATS-36[14] is a recent extension of an earlier version of the SATS instrument which originally contained four of the components (Affect, Cognitive Competence, Value and Difficulty). A pre- and post-instruction version of the instrument is available. Given the timing of this survey before any formal statistics instruction in the graduate entry medicine programme, the pre- version of the instrument was used.


Responses to each of the 36 statements were on a scale from 1 (strongly disagree) to 7 (strongly agree). Of the 36 statements, 19 were negatively worded e.g. "I am scared by statistics". Statements which were considered to be negatively worded were reverse coded. A mean of the item responses for each component was obtained to give a measure on a scale of 1 to 7. Higher scores indicate more positive attitudes. Some additional information on demographics, primary degree and prior mathematical achievement were also asked in the survey instrument. Students were asked to rate their performance in mathematics in the past (school or college) on a scale of 1 to 7 where 1 represented very poorly and 7 represented very well. They were asked to give the number of quantitative modules (mathematics or statistics) in their primary degree. Students were also asked to rate their response to "If you had a choice how likely is it that you would have taken any course in statistics" on a scale of 1 to 7 where 1 is not at all likely and 7 is very likely.


Statistical analysis

Cronbach’s alpha was used to measur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responses to all 36 items on the SATS instrument and items on the six components. Cronbach’s alpha was calculated using the reverse coded responses where appropriate. 

Multivariable linear regression was used to predict component scores using demographic variables i.e. age (< 25, ≥ 25), sex, nationality (Irish or non-Irish) and variables representing previous educational experiences: number of quantitative modules taken in their primary degree expressed as a binary variable representing none or one or more, perception of previous performance in mathematics (rated on a scale from 1 to 7). Assumptions underlying the model were tested.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measure the strength of the association between rating of previous performance in mathematics, attitude components and the number of quantitative courses taken in their primary degree.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IBM SPSS Statistics for Windows Version 20.


Results

Sample characteristics

Of the 139 students in first year, 121 responded to the survey giving a response rate of 87%. 

Internal reliability

Cronbach’s alpha was calculated using responses to all 36 items on SATS and indicated excellent reliability (alpha = 0.93). The reliability of the six components ranged from alpha = 0.79 for Value and Effort, 0.81 for Difficulty, 0.85 for Affect to 0.88 for Cognitive competence and Interest. All values indicated good reliability of the components and were similar to values of alpha reported in other studies [13,15].

Scores on components by demographics and relationship with prior learning experiences

Table  1 gives the mean score for each component, perception of previous performance in mathematics and likelihood of choosing a course in statistics for all students, by demographic groups (age group, gender and nationality) and whether a student had taken a quantitative module in their primary degree. 



Discussion

학생들이 통계학을 어렵다고 생각하는 경향은 있었지만 Zhang et al의 연구에서 보고된 만큼은 아니었음.

While the students in this study tended to perceive statistics as difficult, the perception of difficulty was not as strong as that reported by Zhang et al. [8] for a sample of Chinese medical postgraduates (a mean of 3.4 in this study compared to 2.9), however feelings towards statistics were less positive in our study compared to Zhang et al.’s (mean of 3.7 compared to 4.5). The majority of students in our study had a primary degree in science or a science related subject and had been exposed to quantitative modules (mathematics or statistics) in their primary degree. If the choice to do a course in statistics was theirs, however, only 24% of them described it as likely that they would take the course with 33% stating that it was not at all likely that they would take the course. There may be many reasons for this including a perception that they had already covered the material but this finding has implications for programmes which offer statistics as an option or elective and also for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medical research of which statistics is a critical component.


가장 확실한 예측인자는 과거에 수학과목을 얼마나 잘 했다고 생각하는지였다. 이러한 연관관계에 대해서 통계 교육자들이 좀 더 설명해줄 필요가 있다. 또한 통계학적 사고가 필요로 하는 것이 다르고, 수학과도 서로 다른 특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것을 강조하여 학생들이 좀 더 부정적인 생각은 줄이고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도록 도와줄 수도 이씅ㄹ 것이다. 


The strongest predictor of most of the attitude components was how well students felt they had performed in mathematics in the past. This association of past experiences in mathematics with attitudes towards statistics needs to be addressed by statistics educators. Increasingly, statistics is viewed as a separate discipline rather than a subfield of mathematics [17]. Cobb and Moore [18] propose that ‘statistics requires a different kind of thinking, because data are not just numbers, they are numbers with a context’. Statistics did not originate in mathematics and the role of context, variability and data production in statistics differentiates statistical thinking from mathematical thinking. Statistical thinking also relies heavily on interpretation and critical judgement.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that a strong background in mathematics does not necessarily translate to performance in statistics. Evans [4] demonstrated that students studying statistics in other disciplines such as sociology had more positive attitudes and correct conceptions of statistical fundamentals than mathematics students. Hannigan et al. [15] demonstrated that despite being very mathematically able and confident, a sample of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did no better in an internationally used assessment of conceptual understanding of statistics than students from mostly non-quantitative disciplines. Highlighting the differences between mathematical thinking and statistical thinking may encourage medical students with negative experiences in mathematics in the past and poor perceptions of their ability in mathematics to ‘start afresh’ with statistics and be open to the idea that they will be able to use and understand statistics. Increasingly, statistics educators are encouraged to ground the teaching of statistics in context. Miles et al. [19] suggest that grounding the teaching of statistics in the context of medical research and typical clinical scenarios may better prepare medical students for their subsequent careers. Freeman et al. [3] demonstrated that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the teaching of medical statistics bringing together a statistician, clinician and educational experts to re-conceptualize the syllabus and placing greater emphasis on applying statistics and interpreting data can bring about better outcomes for students.










 2014 Apr 4;14:70. doi: 10.1186/1472-6920-14-70.

Attitudes towards statistics of graduate entry medical students: the role of prior learning experiences.

Abstract

BACKGROUND:

While statistics is increasingly taught as part of the medical curriculum, it can be an unpopular subject and feedback from studentsindicates that some find it more difficult than other subjects. Understanding attitudes towards statistics on entry to graduate entry medicalprogrammes is particularly important, given that many students may have been exposed to quantitative courses in their previous degree and hence bring preconceptions of their ability and interest to their medical education programme. The aim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explore, for the first time,attitudes towards statistics of graduate entry medical students from a variety of backgrounds and focus on understanding the role of prior learningexperiences.

METHODS:

121 first year graduate entry medical students completed the Survey of Attitudes toward Statistics instrument together with information on demographics and prior learning experiences.

RESULTS:

Students tended to appreciate the relevance of statistics in their professional life and be prepared to put effort into learning statistics. They had neutral to positive attitudes about their interest in statistics and their intellectual knowledge and skills when applied to it. Their feelings towardsstatistics were slightly less positive e.g. feelings of insecurity, stress, fear and frustration and they tended to view statistics as difficult. Even though 85% of students had taken a quantitative course in the past, only 24% of students described it as likely that they would take any course in statisticsif the choice was theirs. How well students felt they had performed in mathematics in the past was a strong predictor of many of the components ofattitudes.

CONCLUSION:

The teaching of statistics to medical students should start with addressing the association between students' past experiences in mathematics and their attitudes towards statistics and encouraging students to recogni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disciplines. Addressing these issues may reduce students' anxiety and perception of difficulty at the start of their learning experience and encourage students to engage withstatistics in their future careers.

PMID:
 
24708762
 
[PubMed - in process] 
Free full text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유급 또는 휴학 경험 정도와 관련 요인

1전남대학교병원 교육연구실, 2전남대학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의학교육학교실, 3광주대학교 교수학습연구원

한의령1, 정은경2, 오선아3, 최기오2, 우영종2



서론


유급과 관련된 요인으로 남학생인 경우[1,2,3], 흡연량과 음주량 등이 많을수록[1], 학습방법의 문제, 그리고 무질서한 생활양식과 시간관리 능력 부족[4,5]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의 학업성취도내적 동기와 관련성이 있는데, 의학공부에 대한 강한 자율적 내적 동기를 갖는 학생은 우수한 학업성적을 보이는 반면 단순히 수능성적에 맞춰서 또는 의사라는 직업의 안정성 때문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한 학생들의 경우 학업성취도가 낮았다[4,6,7]. 또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개인의 성격특성과도 관련성이 있어 성실함이 학업성취도의 가장 중요한 예측인자로 제시되었으며 사회성은 임상수행 능력과 관련성이 높았다[8]. Lievens et al. [9]은 자아실현과 자기훈련을 의미하는 성실함이 강한 학생들이 중도 탈락될 가능성이 낮다고 하였으며 Arulampalam et al. [3]이 보고한 코호트 연구에서는 캠퍼스 내 기숙사에 거주하여 다른 학생들과 잘 어울리는 학생들의 유급률이 낮았다고 보고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특성과 건강행태 및 대학생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학생들의 성격특성중앙적성연구소에서 표준화 제작된 총 350개 문항의 인벤토리형 성격진단검사를 사용하였다[11]. 이 검사는 개개인의 비교적 항상적인 성격특성을 측정하는 9개의 기술척도와 정신 병리적 징후를 개략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5개의 임상척도, 그리고 검사 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파악할 수 있는 1개의 타당성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결과

1.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유급 또는 휴학 경험 정도

유급 또는 휴학을 경험했던 학생들이 유급이나 휴학을 하게 된 가장 큰 이유로는 낮은 학업성취도가 37.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의학공부에 대한 적성상의 문제가 17.2%였다. 유급 또는 휴학 후 가장 힘들었던 점은 심리적인 불안이 32.6%로 가장 많았고 친구들과의 관계가 소원해짐이 17.4%로 그 다음을 차지하였다.


2. 유급 또는 휴학 경험 여부에 따른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 성격 특성 및 건강행태

유급 또는 휴학을 경험한 학생은 유급 또는 휴학을 경험하지 않은 학생에 비하여 남학생이거나(p=0.002), 의과대학 학일 경우가(p<0.001)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많았다


휴학을 경험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안정성, 지배성, 사회성, 책임성, 남향성, 그리고 우월성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우울, 불안, 편집, 내폐, 신경증적 경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able 2). 유급 또는 휴학을 경험했던 학생들에게서 흡연자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p=0.039), 그 외 식습관, 음주, 여가 시간 활용 등 건강생활 행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3).


3. 유급 또는 휴학 경험 여부에 따른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의학과 진학동기

유급 또는 휴학을 경험했던 학생들은 유급 또는 휴학을 경험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의학과 진학을 본인 스스로 결정한 경우가 적고, 부모님이나 주위 사람들의 권유를 받아들여 결정한 경우가 더 많았다(p=0.025).


4. 유급 또는 휴학 경험 여부에 따른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학습방식 및 학교생활 만족도

유급 또는 휴학을 경험한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시험을 앞두고 벼락치기 공부를 한다’가 많았고, 시간관리 방법에서는 ‘시간관리가 잘 안 되고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유의하게 더 많았다(p=0.006)(Table 5). 그리고 유급 또는 휴학을 경험한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의학에 대한 적성, 재학 만족도, 학업성취 결과에 대한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Table 6).


고찰

Sayer et al. [5]은 학업 실패가 학생 개인의 학습 방법이나 경제적인 문제 그리고 사회적, 정서적 문제 등 다양한 원인의 종합적인 결과로 발생되며 유급과 같은 학업에 취약함을 보인 학생은 적절한 지도와 교육적인 지원 없이는 학업 실패를 다시 반복하므로 학생 개인별 실패의 원인을 찾아 그에 맞는 맞춤형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한편 Malik [14]은 학업 성적이 좋지 않아 재시험이 필요했던 학생들 중 50%는 다른 도움을 찾지 않고 스스로 해결하려는 경향을 보였으나 22.8%는 지도교수나 다른 선생님의 도움을 받았음을 보고하여 저자들의 학교 상황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Medical Students' Failure Experiences and Their Related Factors
Eui-Ryoung Han,1 Eun-Kyung Chung,2 Sun-A Oh,3 Kee-Oh Chay,2 and Young-Jong Woo2
1Office of Education and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Gwangju, Korea.
2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Gwangju, Korea.
3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Gwangju University, Gwangju, Korea.

Corresponding Author: Eun-Kyung Chung.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160 Baekseo-ro, Dong-gu, Gwangju 501-746, Korea. Tel: +82.62.220.4178, Fax: +82.62.236.3653, Email: ekcmedu@chonnam.ac.kr 
Received March 27, 2012; Revised May 22, 2012; Accepted May 29, 2012.



Abstract

Purpose

A considerable number of medical students drop out due to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these students have a high probability of repeated failure experienc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sonal and academic problems of these students to help develop student support systems.

Methods

First-year (n=146) and second-year (n=119) medical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personality traits and the students' management of/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Results

Students who had already dropped out accounted for 17.4% of the study subjects. The most common reason for dropping out was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most difficult part of taking a leave of absence from school was psychological anxiety. The group who dropped out ha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emotional stability, sociability, responsibility, dominance, masculinity, and superiority and more vulnerable mental states compared with those who did not drop out. They also expressed less motivation with regard to medical science and les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an did the group that did not drop out. Those who dropped out tended not to prepare for exams, and they managed their time ineffectively. They also tried to resolve their difficulties alone and rarely sought help from teachers.

Conclusion

More intimate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hould be established, and teachers should be encouraged to meet and interact with their students on a regular basis. Additionally, personality inventories should be used to assist in efforts to understand students, especially to identify hidden social and emotional problems.

Keywords: Student dropoutsMedical studentsPersonalityInterpersonal relations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분석 - 개인적 특성 및 입학전형요소를 중심으로 -

가천의과학대학교 의학교육실

박귀화․홍두호․오재환․박이병․신동진․이영돈





서 론

그 동안 의료계, 의학계 및 교육계 등의 지속적인 제안과 검토 과정을 거쳐 2000년 10월 교육인적자원부가 의․법학전문대학원 추진계획안을 내놓았고, 의학입문자격시험 (Medical Education Eligible Test)을 신설한다는 발표를 한 이후 의학전문대학원으로의 전환이 가시화되기 시작했다 (의학전문대학원추진연구단, 2003). 이에 2003년도에 전국 41개 의과대학 중 4개 의과대학을 필두로 의학전문대학원 전환이 이뤄졌으며, 2005학년부터 이들 대학은 4년제 학사학위 자격을 갖춘 자를 자격요건으로 신입생을 선발하였다.


그리고 2005학년도 첫 입시를 치룬 4개 대학은 전형요소에서 그 적용비율은 다르지만, MEET 점수뿐 아니라 국어, 영어, 생물, 화학 등의 선수과목 이수학점, 대학에서의 평균학점 (Grade Point Average),공인영어성적, 구술면접 등을 공통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박귀화, 2004).


대상 및 방법

가. 연구대상

나. 조사방법 및 도구

다. 자료 분석


결 과

가. 개인적 특성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

학생의 개인적 특성인 성별, 연령, 학위수준, 학부 전공계열에 따른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령, 학위수준, 학부 전공계열에 따른 학업성취도는 차이가 나타났다


나. 의학전문대학원 입학전형요소와 입학 후 학업 성취도와의 상호상관

반면, 면접점수와 전공적성은 학업성취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그 관계가 유의하지는 않았으며, 공인영어성적도 학업성취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그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다. 의학전문대학원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분석

학업성취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변인들이 학업성취를 얼마나 설명해주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개인적 특성과 입학전형요소를 독립변인으로 한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개인적 특성 중 범주형 자료는 연속형 자료로 변환한 가변인 (dummy variable) 을 사용하였다 (양병화, 1998).


고 찰

첫째, 의학전문대학원 학업성취도 (1학기, 2학기,전체)는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학위수준, 연령, 전공계열에 따른 차이는 있었다. 학사 졸업자이고, 연령이 낮고, 학부 전공이 생물계열인 경우 학업성취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대체로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여학생이 우수하다는 결과 (김하원 외,2002; 심우엽, 1992; 허명회․전성연, 1996)를 보이는데, Peng et al.(1995)의 연구에서는 의과대학 임상이전 과정의 학업성취도는 성별에 무관하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학위 수준과 연령에 있어서는 학위가 높을수록 연령도 높은 편이어서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고 할 수 있는데, 대체로 연령이 낮을수록 학업에서의 집중도와 피로도에 견딜 수 있는 능력이 높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날 수 있다. Ramsbottom-Lucier et al.(1995), Hesser & Lewis(1992) 등의 연구에서도 연령이 낮을수록 성적이 높았다고 하였으며, Clercq et al.(2001)도 대학원 학위를 소지하고 있다고 해서 학업성취가 높은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 


그러나 연령이 높을수록 성적이 높거나 (James & Chilvers, 2001), 연령에 따른 학업성취도는 처음에는 차이가 있었지만 학년말에는 차이가 없다고 하였으며 (Kay-Lambkin, 2002), 임상의학에서는 오히려 연령이 높은 학생이 더 좋은 성적을받았을 수 있다고 하여 (Weinberg & Rooney, 1973),상반된 결과들을 보고하고 있기 때문에 학년 증가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변화 추이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의학전문대학원 1학년에서의 학업성취도는 학부 전공이 생물계열인 경우 더 높게 나타났지만, Kay-Lambkin et al.(2002)의 연구에서는 과대학 입학 이전의 전공과 1학년의 학업 수행에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심지어 수련의의 수행에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을 수 있고 (Grey et al, 2001), 인문계열을 전공한 학생들이 과학계열을 전공한 학생들보다 학업수행에서 비슷하거나 더 좋은 결과를 보일 수도 있다 (Smith, 1998)는 보고들도 있다.


미국 및 캐나다의 의과대학 진학을 위해 치르는 MCAT (Medical College Admission Test)의 경우에도 이 점수가 의과대학에서의 학업성취도와 정적상관관계가 있음이 여러 연구에서 입증된 바 있다 (Colliver et al, 1989; Jones & Thomae-Forgues, 1984). 그리고 의과대학 입학 전의 고등학교 성적이나 학부에서의 GPA가 의과대학의 학업성취 및 성공과 관계가 있음을 보고한 연구들 (Hall, 1992; Weiss et al, 1988; Montague et al, 1990)이 있어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해 주고 있다.


또한 면접 점수는 생리학을 제외하고는 1학년 성적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는 Rahbar et al. (2001)의 연구나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입학 면접시험 점수가 낮을수록 1학년 2학기와 2학년 2학기에 좋은 성적을 보여주었다는 김하원 외 (2002)의 연구들과도 유사하다. 하지만, 면접은 입학전형의 기본적 구성요소로 좋은 의사가 되는데 필요한 개인의 인성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꼭 필요한 긍정적인 선발 요인으로 여겨져 왔으며 (Collins et al, 1995; Glick, 1994; VenSusteren et al, 1999), 면접 성적은 기초의학 과목보다는 대인 관계, 공감, 동정심 등 학업 성취와는 다른 임상 수행 능력을 훨씬 더 잘 예언해 줄 수 있기 때문에 (Meredith et al, 1982; Rahbar et al, 2001), 입시전형 단계에서 그 평가방법과 활용방안을 잘 모색하여 학생선발에 유용하게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Korean J Med Educ. 2006 Dec;18(3):289-296. English.
Published online 2006 December 20.  http://dx.doi.org/10.3946/kjme.2006.18.3.289 
Copyright © 2006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Education
The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s of Students at Gachon Medical School
Kwi Hwa Park, MA, Du Ho Hong, MD, Jae Hwan Oh, MD, Yi Byoung Park, MD, Dong Jin Shin, MD and Young Don Lee, MD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 Science, Korea.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first year medical students at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i.e. age, gender, and academic degree types (bachelors/masters), field of major (biology/non-biology), and admission variables (i.e. MEET, GPA, attitude, interview, and English test).

Methods

The admission scores and demographic information were obtained from 39 students who had entered the university in 2005. T-test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Correlations between admission variables and academic achievements were examined whil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cipher the influence of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admission variabl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Results

This study showed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degree level, age, and field of study, but not gender. It was also found that both the Nature Science Reasoning (NSR) of MEET subscale score and GPA score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irst year students. Attitude, interview, and English test scores did not correlate significantly.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NSR 1 and 2, field of major, and age accounted for a substantial amount of the variance in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

Students with higher scores in NSR 1 and 2 who majored in biology-related fieldsand who are younger tend to do better academically in their first year of medical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helpful to graduate medical schools in designing effective admissions strategies for recruiting students, as well as, in planning the curriculum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medical students.

Keywords: MEETAcademic achievementAdmissionMedical student.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 신입생의 배경 및 특성 비교 - 일개대학 사례 -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교육실, 예방의학교실1, 이화의학 글로벌 챌린지 사업단2

한재진․이순남․권복규․박혜숙1․임현정2․김태은․안정희2




서 론

학습자 변인은 변화를 실천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학습자가 교육의 주체이며 궁극적인 수혜자이기 때문이다 (Eisner, 1994; Kenneth, 1995). 그러나 제까지 우리나라 의과대학 교육교육의 공급 측면에 치중하여 교수의 효율성을 중심으로, 선별한 내용을 일괄적으로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학습자 변인에 대한 적극적인 고려는 미흡한 것이 사실이었다 (Lee, 2002; Lee et al., 2007). 

어떠한 교육의 형태에서건 그 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학습자 개개인의 배경 및 교육적 욕구, 그들의 출발점 행동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그것에 기초한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이 구안되고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Lee & Shin, 2003; Kim, 2005). 기존의 의과대학 체제로부터 의학전문대학원 체제로의 전환은 의학교육의 대상이 고등학교 졸업자로부터 다양한 대학교육 경험을 이수한 학생들로 바뀜에 따라 학습자 정보수집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었다.


대상 및 방법

가. 연구 대상

이 연구는 2004년도 의예과 신입생 76명과 2007년도 의학전문대학원 신입생 7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에 참여한 학생 수는 각각 60명, 71명으로 응답률은 80.3%, 93.4%이었다.


나. 연구 방법

본 연구에 활용된 설문은 미국의과대학협의회(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에서 사용하고 있는 입학생 대상 조사 설문 (Matriculating Student Questionaire, MSQ)을 우리나라 현실에 맞게 고쳐서 5개 영역 (인구학적 정보, 진학 준

비 및 입학 전 경험, 전공 및 대학선택 관련, 직업설계 및 직업 선호도, 의학․의료에 대한 인식), 총 101개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 문항의 세부 영역 및 문항 수는 Table I과 같다.


결 과

가. 인구학적 정보

나. 진학 준비 및 입학 전 경험

다. 전공 및 대학 선택 관련

라. 직업 설계 및 선호도

앞으로의 전공과 관련하여 신입생 학생들의 계획여부를 묻는 질문에 대한 의예과 신입생과 의전원 신입생의 응답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p<.05), 세부전공에 대한 결정 여부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VII) 의예과 신입생들이 의전원 신입생에 비해 더 많은 학생들이 전공 분야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아울러 장래 희망직종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두 집단 모두 임상의학 교수직을 가장 희망하였으며 (Table VIII), 수련 이후 의료 활동을 희망하는 병원 수준에 대하여 두 집단 모두 ‘전문 환자를 많이 접할 수 있는 대형 전문병원’으로 응답하여 집단 간 응답 결과에 차이가 없었다 (Table VIII). 그러나 낮은 비율이기는 하지만, 의전원 신입생의 경우 자선병원 등의 특별기관이나 소외된 지역에서의 의료활동을 희망하는 비율이 의예과 신입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 의학/의료에 관한 인식


고 찰

미국의과대학협의회 (AAMC)는 신입생 설문조사의 목적을 의학교육의 방향 수립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미래사회가 요청하는 의사양성을 원활히 하는 데 있다고 밝히고 있다 (AAMC, 2006). 공급자 중심의 교육을 오랫동안 지속해 온 우리나라 의학교육 현실을 고려할 때, 전문 직업 교육과정에 입문하는 학습자의 출발점 수준을 진단하는 것은 이를 토대로 개별학습자 변인을 중시하고 효율적인 교육과정을 수립하는 데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실제 설문조사 결과, 의전원 신입생은 의예과 신입생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다양한 배경과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사회적 책무성을 중시하고 의료 외의 분야에도 높은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의전원 지망자는 진로 결정을 할 때 의과대학 지망자에 비하여 보다 신중하고 주체적인 경향을 보였는데 지원학교의 사회적 평판보다는 교육 및 연구 역량, 수련병원의 역량 등과 같이 질적인 부분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기관의 평가 기준이 좀 더 내실화될 필요가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정보가 학교 소개 프로그램 등에 포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2006년 조사 결과의 경우, 크게 세 가지 점에서 특징을 기술하였다. 

첫째, 앞으로의 전공계획과 관련된 질문에서 ‘미정 (undecided)’ 의 응답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고, 

둘째, 장래 희망직무영역에 관련해서는 연구직 교수를 원하는 학생 수가 늘어가고 있으며, 

셋째, 희망 근무지역으로서 대도시 응답비율이 꾸준히 늘어가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AAMC, 2006).


한편 미국 의과대학 신입생의 응답결과와 본 연구 대상 의전원 신입생 응답 자료를 비교․분석 해본 결과, 

장래 희망 복무 분야에서 한국 학생들의 임상의학교수 희망 비율 (44.6%)이 미국 전체 의과대학생의 희망비율 (15.4%)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의 도덕성과 관련하여 ‘의사는 감염 위험을 무릅쓰고 치명적인 전염병에 걸린 사람을 치료할 도덕적 의무가 있다’는 질문에 대하여 미국의 의대생은 94% 정도가 동의 (매우 동의 48.4%,동의 35.5%) 하였으나 (AAMC, 2006), 연구 대상 학생들은 58% 정도가 동의 (매우 동의 8.5%, 동의35.5%)하였다.






Korean J Med Educ. 2008 Mar;20(1):11-21. English.
Published online 2008 March 20.  http://dx.doi.org/10.3946/kjme.2008.20.1.11 
Copyright © 2008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Education
The Comparison of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Medical College and Graduate Medical School: A Case Study of One Medical School
Jae-Jin Han, MD, PhD, Soon Nam Lee, MD, PhD, Ivo Kwon, MD, PhD, Hyesook Park, MD, PhD,1 Hyun-Jung Im, PhD,2 Tae-eun Kim, MA and Jung Hee An, PhD2
Office of Medical Education, School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chool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Ewha Global Challenge-the 2nd BK21, School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Abstract

Purpose

Information about students is important not only in developing curriculum and teaching strategies, but also in providing support to them. We surveyed students in 2004 (Medical collage) and 2007 (Graduate Medical School) to change our educational system to the GMS.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tudents, we expected the new curriculum to be more appropriate for the GMS students.

Methods

Our survey tool was a modified version of the matriculating student questionnaires used b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60 (80.2%) matriculating students in 2004 (MC), and 71 (93.4%) in 2007 (GMS) responded to the survey. A total of 101 items were asked in 5 areas- 1) Demographic Data, 2) Pre-medical school experience, 3) Medical school application, 4) Career plans and interests, and 5) Perceptions of Medicine and Medical Service.

Results

Graduate Medical School matriculates have more diverse backgrounds and experiences before entrance than MC matriculates. GMS students are more sensitive to social issues and accountabilities of medicine and have a higher interest in working with other professionals. Both groups of students were similar in ranking medical professionalism higher than occupational stability or social economic compensation.

Conclusion

We can use this information about students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in particular, the differences seen between MC and GMS students could be helpful in improving medical education. If the survey were collected longitudinally and nation-wide, the results could be valuable for policy making not only in medical education but also in medical care and health of the nation.

Keywords: MatriculateSurveyMedical CollegeGraduate Medical School.


의학전문대학원 제도 시행 전후의 신입생 특성 및 인식 비교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교육실,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1,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2

윤태호․윤소정․윤 식․이선희․정인숙1․박병규2․이상엽․장철훈․김해규․임병용․정해진



연구대상


부산대학교 의예과에서 의대 1학년으로 진입하는 마지막 의대생과 첫 번째 의전원 신입생을 대상으로 동일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신학기 초에 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


가. 인구사회학적 특성

성별 분포에서 의전원 신입생은 남자가 51.3%, 여자가 48.7%로 남녀 분포가 거의 같았으나, 의대 신입생은 남자가 62.6%로 여자의 37.4%보다 더 많았다 (p<.05). 

연령별로는 의전원 신입생의 평균연령이 27.8세로 의대 신입생보다 약 5세 정도 더 많았다(p<.001). 

입학 전 거주 지역별로는 의전원 신입생의 74.3%가 부산외 지역에 거주한 반면, 의대 신입생은 68.7%가 부산에 거주하였다 (p<.001).


나. 의학 및 의과대학에 대한 인식

의학 및 의과대학에 대한 전체적 만족도에서 의전원 신입생은 매우 만족 62.8%, 만족 33.6%임에 비해, 의대 신입생은 매우 만족 18.3%, 만족 61.8%로 큰 차이를 보였다 (p<.001). 

교수진에 대하여 의전원 신입생은 매우 만족이 58.9%인 반면에 의대 신입생은 19.2%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p<.001), 

학교 전통에 대해서도 의전원 신입생은 매우 만족이 52.7%인 반면, 의대 신입생은 17.7%로 유의미하게 낮았다 (p<.001). 

학교의 미래 발전 가능성에 대해서도 의전원 신입생은 매우 만족이 53.1%이었으나 의대 신입생은 6.2%에 불과하였다 (p<.001). 

학교 시설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는 불만족의 비율에서 의전원 신입생은 50.4%로 의대 신입생의 68.7%보다 낮았다 (p<.005).


다. 학교생활에 대한 인식

동아리 활동을 원하는 비율은 의전원 신입생의 경우 97%로서 의대 신입생의 84%보다 높았다 (p<.001). 

학생회 활동에 대해서도 의전원 신입생은 38.4%가 참여를 원하는 반면, 의대 신입생은 25.4%에 불과하였다 (p<.01).


고찰


연령 차이가 의학영역에서 학습태도와 학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는기존의 연구 결과들이 다소 상반되게 나와 (Choi et al., Lee et al., 2007, 1996; Shin, 2006), 일반화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높은 연령의 성인 학습자는 보다 자기주도적인 학습 태도를 가지고 있어 의전원 학생이 더 우수한 학업 성취를 보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있다 (Park et al., 1998). 따라서 향후 실증적 연구를 통해 결론을 유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성별 비율에 대한 결과에서는 의전원 신입생 중 높은 여학생 비율을 고려하여 학교생활, 교육 및 향후 진로 선택에 있어 여학생들을 배려해야 한다는 함의를 얻을 수 있다.








Korean J Med Educ. 2007 Sep;19(3):251-255. English.
Published online 2007 September 20.  http://dx.doi.org/10.3946/kjme.2007.19.3.251 
Copyright © 2007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Education
Comparison of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Before and After Introduction Into Graduate Medical School System
Tae Ho Yoon, MD, PhD, So Jung Yune, PhD, Sik Yoon, MD, PhD, Sun Hee Lee, MS, Ihn Sook Jeong, PhD,1Byung Kyu Park, MD, PhD,2 Sang Yeoup Lee, MD, PhD, Chulhun L. Chang, MD, PhD, Hae Kyu Kim, MD, PhD,Byung Yong Rhim, MD, PhD and Hae Jin Jeong, MD, PhD
Medical Education Unit,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cine, Busan, Korea.
1Pusan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Nursing, Busan, Korea.
2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Korea.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medical school students and professional graduate medical school students.

Methods

Study subjects were 131 medical students from a national university and 113 applicants of a professional graduate medical school. We develop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sking abou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of missions of medical education and career plan and student activities during school.

Results

Students from the professional graduate medical schoo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medical student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y also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education, were more supportive of student union activities and were more anxious about economic and health problems than medical student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perception of missions of medical education and career plan after gradu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professional graduate medical students when developing educational policies for these older student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ncludes a restricted sample, and generalization of results should be done carefully. Thus, more extensive, wide-ranging studies would be useful.

Keywords: Professional graduate medical schoolMedical collegeGraduate entry medical school system.


국내 의학과, 의학전문대학원, 의예과 학생들의 인지․정서․사회적 특성 고찰

1우송대학교 교양교직과, 2연세대학교 의학교육과

류숙희1, 이혜범2






서론

특히 의과대학생의 경우 유급제도, 블럭식 수업, 2주에 한번씩 진행되는 시험, 연간 50일이 채 되지 않은 방학 등 의학교육과정이 갖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타 과 학생들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첫째, 우리나라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 의예과 학생들의 인지․학습적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우리나라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 의예과 학생들의 정서․적응적 특성은 어떠한가?

셋째, 우리나라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 의예과 학생들의 사회적․도덕적 특성은 어떠한가?


이 글에서는 심리학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내용상의 분류인 인지․정서․사회성[4]으로 구분하는 방식을 활용하였다. 

‘인지’란 지적능력, 학업과 관련된 심리적 특성을 의미하여 여기에는 인지․학업적 특성이 포함되었다. 구체적으로 학업성취, 자기효능감, 학습유형, 학습동기, 지식에 대한 태도 등이 포함된다. 

‘정서’는 정의적 특성으로도 불리며, 주로 적응과 관련되는 부분들로, 이에는 성향과 성격, 스트레스원과 대처방식, 자살 등의 위기, 학과 선택의 동기, 삶의 만족도 등이 포함된다. 

‘사회성’ 부분은 대인관계 및 도덕성을 포함하고 있는 개념으로, 이 논문에선 사회․도덕적 특성으로 용어를 정리하였다. 여기에는 도덕 판단력, 가치관 및 직업의식, 진로의식, 성의식 및 성에 대한 태도가 포함된다


결론

1. 인지 학습적 특성

1) 선행지식과 누적학습의 영향

그러나 선행지식의 차원에서, 의학과 학생들이 언어추론 능력이 높을 때에는 의료 인문사회학과 기초임상절차에서 높은 성취를 보였으며 자연과학추론은 기초의학 및 임상의학과 상관을 나타냈다[5]. 또한 의학전문대학원 학생의 경우 대학학업 성적은 기초의학 교육의 학업성취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5].


또한 의학과 학생의 학업성취는 누적적인 경향이 있어서, 국내 2,371명의 의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의예과에서 유급을 한 학생의 경우 의학과에서도 유급을 하는 비율이 매우 높았다[6].


2) 자기효능감의 중요성

자기 효능감은 어떤 일을 행하는 데 있어 자신이 그 일을 잘 해낼 수 있다는 믿음이다. 의예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와 상관을 보였다. 이는 일반 학생들은 자기효능감보다는 다른 부분, 즉 학문에 있어 긍정적 자아개념 혹은 자신감과 높은 학업성취가 관련이 있었던 것과 상이한 결과다[7]. 그런데 의학과 학생이 의예과 학생보다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8].


또한 자기효능감은 의학과 학생들이 한 사람이 가지고 태어난 지적 능력이 생애에 걸쳐 변하지 않는다는 신념을 가질수록 자기효능감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다[11].


3) 감각 ․ 시각 ․ 동화 ․ 논리적 학습 유형

학습 유형과 관련해서는 순차적으로 공부해가는 감각형, 그림, 도표 등의 시각정보를 선호하는 시각형, 정보를 조직화하고 모형을 만드는 동화형, 인과관계를 따져가며 공부하는 논리적 학습 유형이 있는데, 의학과 학생들은 공부를 할 때에 글 보다는 그림과 도표를 선호하고 순차적으로 혼자 생각해가는 학습을 선호한다. 즉, 감각․시각적 성향의 학습자가 70~80%였다[12]. 이는 다른 전공 분야나 다른 나라 의학과 학생에 비해 매우 두드러진 학습양식이다[13].


의학과 학생들의 학습양식을 보면 55% 이상은 동화자, 즉 사물을 추상적으로 개념화하고 관찰을 통해 이해하는 학습형태를 가지고 있고, 사람보다는 사물에 관심을 많이 가지는 논리적인 학습 유형이다. 이에 비해 추상적으로 개념화하고 연역적 추론을 하는 집중자와 문제해결을 위해 풍부한 상상력, 확고한 견해와 통찰력을 통해 학습하는 확산자 형의 학습자는 적었다. 다른 전공 계열에 비해 한 쪽으로 치우친 경향이 많음을 알 수 있다[10].


4) 학업성취에 대한 외재적, 보상적 학습동기 

일반대학생, 의과대학생 모두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습 자체의 즐거움을 얻기보다는 자신의 능력을 타인에게 인정받기 위한 외재적 동기에 의해 강화되는 경향이 있다[8].


그러나 의학과 학생들의 학업성적은 내재적 학업동기와 가장 상관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16]. 특히 수업의 흥미는 새로운 것을 배우려는 내재적 동기와 관련이 많았다.


한편 의예과의 학생들의 경우에는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보다 학습에 전혀 동기를 보이지 않는 ‘무동기’가 많았다[16]. 또한이들의 남녀 차이를 보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내적 동기, 학업성적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6].



2. 정서 적응적 특성

1) ISTJ 성격유형이며 완벽주의적이고 이기적인 성향

의학과 학생들의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성격유형검사 결과를 살펴보면, 의학과 학생들의 성격유형은 ISTJ (introversion, sensing, thinking, judging)에서 많은 분포를 나타냈다[19]. 즉, 내향적이고, 감각형이며 사고형이고 판단형으로서 외향적이지 않고 감정적이지 않고 지각에 의존하지 않았다[20].


또한 의학과 학생들은 완벽주의 성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성취목적, 학문적 효능감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21].


2) 학업스트레스와 문제중심 ‧ 회피형 대처 

의학과 학생들은 대학 입학연령, 평균 자습시간, 취미, 종교에 따라 스트레스 수준이 달랐으며, 학년, 흡연도 스트레스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23]. 특히 의학과 여학생은 주로 의과대학 생활과 분위기 때문에, 남학생은 공부 양의 부담 때문에 스트레스가 많다고 하였다[24].


의학과 학생들은 일반학생들보다도 우울증 비율이 높은데, 그것은 학업 스트레스, 억압적(위계적) 의대 환경 등에 기인한다고 보여진다[26,27].


그런데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심리적 안정성은 의학과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좋았다[28].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이 의학과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연령대가 높고 사회 경험이 많고 ‘의학’이라는 학문을 뒤늦게 선택하여 그 만큼 열정과 애착이 큰 것으로 보인다[28].


3) 자살의 위기

의학과 학생들의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에서도 1980년도에서 1992년도의 학생들을 보면 정상 범위에 있기는 하지만 정신장애를 보이는 경향과 건강염려증 등이 높은 편이었다[30].


4) 적응에 영향을 주는 의과대학 선택 동기와 전과 희망

이와 같은 의대 선택동기는 학업과 관련이 있었는데, 사회경제적 안정성을 이유로 의과대학을 선택한 학생들은 다른 이유로 선택한 학생보다 쉬운 난이도의 공부를 선호했으며, 이는 부모와 주변의 권유로 진학한 학생보다 더 낮았다[7]. 또한 의과대학 지원 동기가 우발적 선택과 사회적 안정 등 목표 혼란형 학생의 반 이상이 적응상의 문제를 나타냈다


의과대학생 중에서 전과를 원하는 학생이 5.8%였으며, 대학진학기회가 다시 주어질 경우 의과대학 입학을 희망하지 않는 경우가 22~27%나 되었다[31].


5) 심리적 삶의 질과 사회적 삶의 질

또한 남자 의학과 학생이 여자 의학과 학생보다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34].


사회적 관계 영역에서는 의과대학생의 삶의 질이 일반대학생보다 유의하게 낮았다[27]. 그러나 의과대학 재학에 대한 긍지, 직업의 향후 전망을 밝게 보는 의학과 학생일수록 대학생활의 만족도가 높았다[35].


3. 사회 도덕적 특성

1) 도덕판단력

의학과 학생들의 도덕적 판단력을 보면 의학과 학생들은 인습수준인 4단계의 법과 규칙위주의 도덕판단을 하는 경향이 가장 많았다. 이는 간호대학생들이 인습수준보다 높은 사회계약수준인 5A 수준의 도덕 판단력을 가장 많이 한 것과 비교된다[36]. 또한 의과대학생의 도덕 판단력은 예과에 비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37].


의사는 감염 위험을 무릅쓰고 치명적인 전염병에 걸린 사람을 치료할 도덕적 의무가 있다는 질문에 대해 미국에서 94%가 동의하는 데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의과대학생의 58% 가 동의하였다[39].


2) 의업에 대한 가치관 및 직업의식

또한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은 의예과 신입생에 비해 사회적 책무성을 더 중시하고 의료 외의 분야에도 높은 관심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39].


의사가 수입이 많고 존경을 받는 직업이라는 생각을 가진 학생일수록 사회와의 관계에서 불만을 가지고 있었고, 전통적인 의사-환자 관계를 지향할수록 배타적인 경향을 보였지만, 개방적인 의사-환자 관계와 직업의식을 가진 학생들은 보다 유연하고 긍정적인 사회의식을 보여주었다[40].


의학과 학생들은 자신의 전문성에 대한 평가에서 졸업반이 된 뒤에도 의학적 지식, 기타 전문지식에 대해 자신이 없다고 반응하였으며, 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전문적 태도영역을 그들의 실제 태도수준과 상관없이 매우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40].


3) 진로의식

장래희망에서 연구직 교수를 원하는 학생의 수가 점차로 늘어가고 있는데, 특히 임상의학교수 희망 비율 44.6%는 미국 15.4%에 비해서 훨씬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것이었다[39].



고찰

또한 학업성취도가 내재적 동기에 의해서 움직일 수 있도록 평가방식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동기가 내재화되면 자기결정성이 커지고[17], 학업에 있어 자기주도성이 향상될 것이다. 최근의 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에 따르면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는 연속선상의 개념으로 파악하여 외재적 동기는 내재적 동기로 발전될 수 있다고 예측한다[42]. 이와 같은 관점에서는 외재적 동기를 내재적 동기로 옮아갈 수 있도록 지도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Korean Medical Students'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Sook Hee Ryue,1 and Hae Bum Lee2
1Department of General Education, Woosong University, Daejeon, Korea.
2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Ye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Hae Bum Lee.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Ye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50 Yonsei-ro, Seodaemun-gu, Seoul 120-752, Korea. Tel: +82.10.8882.4990, Fax: +82.2.2632.7898, Email: speechcom1@hanmail.net 
Received December 07, 2011; Revised February 15, 2012; Accepted March 09, 2012.


Abstract

Purpose

Medical schools and graduate medical schools should understand the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qualities of graduate medical students, medical students, and premedical students and link them with the curriculum.

Methods

In this study, through June 2010 we analyzed medical papers that were published in Korea. The search terms were psychological terminology, including emotion, cognition, intelligence, social ability, stress, motivation, judgment, and learning style.

Results

In the cognitive and learning aspects, preliminary doctors were under the influence of prior knowledge; cumulative learning; self-efficacy; and visual, logical, non-self-led learning types and had external learning motivation. In the emotional adaptive aspects, they appeared to be the ISTJ (introversion, sensing, thinking, judging) personality type with regard to the Myers-Briggs indicators and perfectionists, suffering from severe academic stress. Their motivation on matriculation was associated with their interests and aptitudes, and through community service, they adapted to the learning and living environment of medicine. In the social and moral aspects, they did not have high moral judgment, felt devaluated about their job than before, and tended to have an open and flexible doctor-patient relationship.

Conclusion

Medical graduate students, medical students, and premedical students have greater likelihood to cultivate their character and capacity for adaptation.

Keywords: Doctor's professionalismMedical student's psychologyMedical education coursesDoctor's character education.


기존의 의예과 요건(Premedical Requirements)에 대한 도전 : HuMed Program.

Challenging Traditional Premedical Requirements as Predictors of Success in Medical School: The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Humanities and Medicine Program

David Muller, MD, and Nathan Kase, MD



목적

학생들은 MCAT을 준비하고 (어떠한 교육적 가치가 있는지도 불확실한) 의예과 요건(premedical requirement)을 채우기 위해서 엄청난 경쟁을 한다. 그 과정에서 학생들의 인문학적, 생의학적 교육에 대한 관점은 좁아진다. 이 연구는 유기화학, 물리, 미적분학 등을 수강하지 않고 MCAT 역시 치르지 않은 인문-사회과학 학생들의 의과대학에서의 수행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저자들은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의 2004년~2009년 졸업생 중, 85명의 HuMed 학생들과 606명의 기존 방식으로 의예과를 마친 동료들을 비교하였다. 저자들은 기초의학지식, 임상실습 수행능력, 휴머니즘, 리더십, 지역사회봉사, 연구 장학금, 우등상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정신과학을 제외한 다른 과의 임상실습 우등상(clerkship honors), 졸업시 우등상에 대해서는 HuMed와 Non-HuMed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HuMed학생들이 scholarly-year mentored project를 더 많이 따내긴 했지만, 졸업시에 특별히 연구에 우수성을 보여준 것은 아니었다. HuMed학생은 더 낮은 USMLE Step 1 점수를 받았고, 비학업적 이유의 결석(nonscholarly leave of absence)가 더 많았다. HuMed학생은 일차진료와 관련된 레지던트를 더 많이 했고, 수술 분과나 마취과는 덜 선택하였다. 


결론

HuMed학생은 기존의 방식을 따른 학생들과 거의 동등한 수준의 수행능력을 보여주었다.











The Humanities and Medicine Program at Mount Sinai

The Humanities and Medicine Program(HuMed) was established at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in 1987. It offers qualified sophomores and juniors majoring in humanities or the social sciences guaranteed admission to our medical school on successful completion of a baccalaureate degree. Admission decisions are based on high school and college transcripts, two personal essays, three letters of recommendation, SAT scores (minimum verbal score of 650, or ACT equivalent), and two interviews at Mount Sinai.


Once accepted, students must maintain a minimum GPA of 3.5. They forego organic chemistry, physics, calculus, and the MCAT, but they must achieve a minimum grade of B in biology and general chemistry (two semesters each). 

After completing their junior yearstudents are required to spend an eight-week summer term at Mount Sinai.

The summer experience includes clinical service rotations in all specialties, seminars in medical topics (e.g., bioethics, health policy, palliative care), and an abbreviated course in the “Principles of Organic Chemistry and Physics Related to Medicine” (six credit hours for organic chemistry, two credit hours for physics). 

This course covers basic principles and complies with the requirement that all graduates of medical schools chartered by the University of the State of New York must have passed courses in these subjects before receiving the MD degree. Students complete weekly examinations, which are graded pass/fail.


On completing their undergraduate degree, accepted students are encouraged to take a year off before matriculating

During the summer before they matriculate, students may attend an optional Summer Enrichment Program (SEP) that attempts to acclimate incoming HuMed students to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and environment. 

Approximately 75% of the matriculating HuMed cohort participate each year. The SEP curriculum includes overviews of biochemistry, anatomy, embryology, cell physiology, and histology. Examinations are self-assessments and are reviewed in class. Students do not receive grades.






 2010 Aug;85(8):1378-83. doi: 10.1097/ACM.0b013e3181dbf22a.

Challenging traditional premedical requirements as predictors of success in medical school: the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Humanities and Medicine Program.

Source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of New York University, New York, NY, USA. david.muller@mssm.edu

Abstract

PURPOSE:

Students compete aggressively as they prepare for the MCAT and fulfill traditional premedical requirements that have uncertain educational value for medical and scientific careers and limit the scope of their liberal arts and biomedical education. This study assessed the medical school performanc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majors who omitted organic chemistry, physics, and calculus, and did not take the MCAT.

METHOD:

The authors compared and contrasted the academic outcomes of 85 Humanities and Medicine Program (HuMed) students at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with those of their 606 traditionally prepared classmates for the 2004-2009 graduating classes. The authors analyzed basic science knowledge, clerkship performance, humanism, leadership, community service, research fellowships, distinctions, and honors.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clerkship honors other than psychiatry (HuMed students outperformed their peers, P < .0001) or in commencement distinctions or honors. Although HuMed student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secure a scholarly-year mentored project (P = .001), there was no difference in graduating with distinction in research (P = .281). HuMed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lower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Step 1 scores (221 +/- 20 versus 227 +/- 19, P = .0039) and to take a nonscholarly leave of absence (P = .0001). There was a trend among HuMed students toward residencies in primary care and psychiatry and away from surgical subspecialties and anesthesiology.

CONCLUSIONS:

Students without the traditional premedical preparation performed at a level equivalent to their premedical classmates.







의예과에서의 생존 : 의예과 교육에서 도태과정(culling process)이해하기

Premed Survival: Understanding the Culling Process in Premedical Undergraduate Education

Karen Lovecchio and Lauren Dundes, MHS, ScD



목적

왜 학부학생들이 premedical curriculum을 지속하거나, 또는 중간에서 포기하는지에 대해서는 사람들의 관심이 많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왜 학생들이 의예과 공부를 계속하는지, 또는 포기하고 다른 진로를 찾는지 그 이유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Convenience sampling 방법을 통해서, 2000년 11월부터 2001년 3월까지 작은 인문대학에서 97명의 학생을 설문조사하였다. 그 중 44명은 이전에 의예과 학생이었지만 지금은 의사가 되기를 접은 학생이었고, 53명은 의예과 학생이었다.


결과

의예과 학생들은 지적 자극, 그리고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는 것에 대해 매력을 느끼고 있었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빚이나, 사망할 수 있는 환자를 다루는 것, 가족과의 조화에 대해 걱정하였다.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환자를 사회수준(social level)에서 보지 못한다는 것에 대한 우려를 더 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의사로서의 진로를 포기하기로 하게 된 데에는 레지던트기간의 업무량, 당직, 받아들일 수 없는 낮은 학점, 다른 관심있는 영역 발견 등이 있었다. 그 중 낮은 학점이 요인이라고 한 학생 중에서, 대부분은 유기화학을 가장 영향을 준 과목으로 꼽았다. 유기화학에서 잘 하지 못했다는 것을 인정한 학생들은 계획이 변경된 것에 대해 가장 불만족해 하였다.


결론

비록 표본모집 기법이나 표본 크기가 제한되어있긴 하나, 본 연구는 의과대학에 관심이 있었던 학생이 중간에 포기하는 이유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좋은 시작점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대부분의 의예과 학생이 유기화학이 가장 진로 변경에 영향을 줬다고 응답한 것은 주의깊게 볼 만한데, 이렇게 한 과목이 의사가 될지 말지 결정하는데 크게 영향을 주는 현상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진료를 하고 있는 의사에 대한 관심은 많지만, 어떤 premedical(의예과) 학생들이 궁극적으로 의과대학에 지원하게 되는지 그 과정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다. 지난 5년간 의과대학의 지원자는 지속적으로 감소해왔고, 이제 우리는 왜 일부 학부생들이 의사가 되기를 포기하는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의학은 발전하고 있지만, 그것이 이 분야의 직업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학생들이 이 분야에서 멀어져가는 것이 의사가 해야 하는 기본적 임무와 관련한 이유 때문이 아니라 의료전달체계의 일부분이 되는 것과 관련이 있는것일까? 의과대학 지원자의 풀(pool)을 더 협소하게 만드는 의예과 교과과정에 대한 조사도 필요하다.





 2002 Jul;77(7):719-24.

Premed survivalunderstanding the culling process in premedical undergraduate education.

Source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School of Nursing, USA.

Abstract

PURPOSE:

Why undergraduate students pursue or drop a premedical curriculum has received only scant attention. In this study the authors attempted to uncover reasons why students either persevere in their premedical studies or seek alternative careers.

METHOD:

Using convenience sampling, the authors surveyed 97 undergraduates at a small liberal arts college from November 2000 to March 2001. Of those surveyed, 44 were former premed students who completed a three-page questionnaire about why they had decided not to become physicians; 53 premed students completed a two-page questionnaire about their career aspirations.

RESULTS:

The response rate was 100%. Premed students were attracted to the field by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the power to help others, yet most were also very concerned about being in debt, dealing with patients who might die, and the compatibility of medicine with having a family. Women students were more concerned than the men about having only limited time to become acquainted with patients on a social level (71% of women versus 45% of men: p =.05). The decision of students to forgo a career as a physician was shaped by apprehensions regarding the years of work required in residency, the need to be on call, unacceptably low grades, and the realization that other attractive career options are available. Of those who said low grades were a deciding factor, most (78%) named organic chemistry as the single course that had affected their plans. Students who acknowledged the role of their poor performance in organic chemistry were more likely to be dissatisfied with their change in plans than were those who did not identify this course as influential (44% versus 29%).

CONCLUSIONS:

Although the sampling technique and sample size severely limit the authors' ability to generalize their findings, the data offer a starting point for those interested in the reasons for the drop in medical school applicants. The authors state the fact that most former premedstudents admitted organic chemistry had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change in their career plans deserves attention, and it may be time to consider whether a single course should contribute to eliminating persons who might otherwise excel as physician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