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ba Shiv: Sometimes it's good to give up the driver's seat


우리는 소위 '운전석에 앉아 있으면', 즉 모든 결정에 대한 주도권을 가지고 스스로 결정을 내려야 한다면,
일부 사람들에게 이런 것은 대단히 고민스럽고 힘든 경험일 것입니다.
저는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에서는 스스로 결정권을 가지는 것이 좋다' 라는 옛 말이 정말 맞는 것일까요?
아니면, 상황에 따라서 '조수석에 앉아 있는' 상태가 더 나은 경우도 있지 않을까요?
예를 들어, 믿을 만한 자산관리사가 있으면, 믿을 만한 주치의가 있으면 말입니다.
그래서 연구를 해 보기로 했습니다. 

And we were certainly in the driver's seat, making all these decisions, and let me tell you, if some of you had been there, it was a most agonizing and harrowing experience. Which got me thinking. I said, is there any validity to this whole adage that when you're making decisions, it's best to take the driver's seat, be in charge, be in control? Or are there contexts where we're far better off taking the passenger's seat and have someone else drive? For example, a trusted financial advisor, could be a trusted doctor, etc. And since I study human decision making, I said, I'm going to run some studies to find some answers.



단어 문제 풀이를 이용한 연구를 했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사람들은 두 그룹(A, B)으로 나누어집니다.
그리고 연구에 참여한 사람들에게
[1]마음이 안정되서 문제를 잘 풀수 있는 캐모마일차와
[2]집중력을 올려줘서 문제를 잘 풀 수 있게 해주는 커피

이 둘 중에서 하나의 차를 마시게 해줍니다. 


다만 차이는, 


(A) 한 그룹은 두 가지 종류의 차 중에서 스스로 마시고 싶은 차를 골라서 마시게 했고 

(B) 다른 그룹은 두 가지 종류의 차 중에서 연구자가 마실 차를 골라서 정해주었습니다.


30분간 단어 문제를 풀라고 했을 때, 이 두 그룹 사이에 차이가 있었을까요? 

여러분같으면 운전석에 앉으시겠습니까(A) 아니면 조수석에 앉으시겠습니까(B)

어디 집단이 문제를 더 잘 풀었을까요? 

저희가 연구한 결과, 마실 차를 임의로 정해준 그룹이 문제를 더 잘 풀었습니다.

Okay, so you have 30 minutes now to solve these 15 puzzles. Now, the question we're asking here is in terms of the outcome, in terms of the number of puzzles solved, will you in the driver's seat end up solving more puzzles, because you are in control, you could decide which tea you will choose, or would you be better off, in terms of the number of puzzles solved? And systemically what we will show, across a series of studies, is that you, the passengers, even though the tea was picked for you at random, will end up solving more puzzles than you, the drivers.


여기에 한 가지 눈에 띄는 사실이 더 있었는데, (A)그룹(운전자, 선택권 있음)은
문제를 덜 풀었을 뿐만 아니라, 문제를 풀기 위한 노력도 덜 했다는 것입니다.
문제 푸는데 시간을 덜 썼고, 30분이라는 제한시간이 지나기 전에 포기한 사람도 더 많았습니다.


왜 그럴까요?  

We also observe another thing, and that is, you folks not only are solving fewer puzzles,you're also putting less juice into the task. Less effort, you're less persistent, and so on.How do you know that? Well we have two objective measures. One is, what is the time, on average, you're taking in attempting to solve these puzzles? You will spend less time compared to you. Second, you have 30 minutes to solve these, are you taking the entire 30 minutes, or are you giving up before the 30 minutes elapse? You will be more likely to give up before the 30 minutes elapse compared to you. So, you're putting in less juice, and therefore the outcome: fewer puzzles solved.







아내가 유방암에 걸린 후 '선택권'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된다.





차(tea)를 이용한 실험





피험자는 하나를 골라서 마십니다.





한 그룹은 차를 선택해서 마시고

다른 그룹은 마시라고 정해준 차를 마십니다.




이제 문제를 풉니다.









골라준 차를 마신 그룹이 더 문제를 많이 풀었습니다.





왜 그럴까요?

'INCA' 라는 특성을 지니는 상황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옵니다.





피드백이...

즉각적이고

부정적이며

분명하고

Agency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