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직업성: 옳은 문제를 풀기 위한 잘못된 도구? (Acad Med, 2020)
Professionalism: The Wrong Tool to Solve the Right Problem?
Victoria Frye, DrPH, MPH, Marlene Camacho-Rivera, ScD, MPH, MS, Kaliris Salas-Ramirez, PhD, Tashuna Albritton, PhD, MSW, Darwin Deen, MD, Nancy Sohler, PhD, MPH, Samantha Barrick, MS, and Joäo Nunes, MD

 

 

미국 전역의 의과대학과 다른 고등교육기관들은 캠퍼스 안팎에서 인종차별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해 고심하고 있다. 인종 차별과 인종 차별은 이러한 기관들로 하여금 그들의 정책과 관행, 임무, 커리큘럼, 그리고 교수진, 직원, 학생들 사이의 인종과 소수 민족 집단의 대표성을 조사하도록 강요했다. 의학에서는 [화이트 코츠 포 블랙 라이프]와 같은 학생들이 주도하는 단체들이 등장해 의대 커리큘럼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변화를 옹호하고 있다. '인종차별에 대항하는 국가 캠페인을 위한 도구'의 창시자인 카마라 존스 박사와 같은 의학과 인종 정의의 지도자들 또한 의료와 의료 교육에서 인종차별에 대한 공식적인 대응을 조직하기 위해 나섰다. 예를 들어, 일부 의과대학은 입학 과정을 평가하고, 그들이 어떻게 전임상 및 임상 연도에 인종 구성을 제시하는지 분석하고, 교실, 과외 및 병동에서의 암묵적이고 명시적인 편견의 역할을 탐구함으로써, 자습으로 대응했다.
Medical schools and other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across the United States are grappling with how to respond to racism on and off campus.1–5 Racist incidents and acts of race- or ethnicity-based discrimination have forced these institutions to examine their policies and practices, missions, curricula, and the representation of racial and ethnic minority groups among faculty, staff, and students. In medicine, student-led groups, such as White Coats for Black Lives,6,7 have emerged to critically evaluate medical school curricula and advocate for change. Leaders in medicine and racial justice, such as Dr. Camara Jones, the creator of Tools for a National Campaign Against Racism,8 have also stepped forward to organize formal responses to racism in health care and medical education. Some medical schools have responded with self-study, for example, by assessing their admissions process; analyzing how they present the construct of race in the preclinical and clinical years; and exploring the roles of implicit and explicit bias in the classroom,9 extracurriculars,2 and on the wards.10

의학교육에서 인종차별을 다루는 또 다른 보완적 접근은 가치, 특성, 행동, 도덕, 휴머니즘, 역할, 정체성, 심지어 사회적 계약으로 다양하게 정의되는 [전문직업성]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이 글에서, 우리는 의료 교육에서 인종차별에 대응하는 전문직업성의 개념과 잠재적인 역할을 경쟁적 정의contested definition의 맥락에서 고려한다. 우리는 인종차별에 대한 해결책으로 전문성 연장의 핵심인 3가지 관심사를 식별하고 설명한다.

  • 첫 번째 우려는 전문직업성이 해결책으로 적용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혼란이다.
  • 두 번째 우려는 전문직업성이, 인종 차별이나 심지어 인종 차별 사건에 대한 잠재적 해결책으로서, 진정한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개념이다. 왜냐하면 현실에서 전문직업성은, 의학을 지배하는 사회 집단이 (자율 규제뿐만 아니라) 이 분야에서 수용되는 행동에 대한 권력과 사회적 경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사회적 통제의 도구]이기 때문이다.
  • 세 번째 우려는 만약 전문직업성이 인종차별의 해결책으로 잘못 적용된다면, 훈련생들이 연극적performative 전문직업성에 관여하기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노골적으로 인종차별적인 행동은 피하고, 관용 지향적인 행동은 표면적으로 제정되며, 위험한 상황(전문적 행동을 제정하는 능력에 대한)은 피할 수 있다. 이러한 행동은 주로 백인적인 공간에서 학생과 유색인종 의사를 배제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Another sometimes complementary approach to addressing racism in medical education has been a focus on the role of professionalism, variously defined as values, traits, behaviors, morality, humanism, a role, an identity, or even a social contract.11–13 In this article, we consider the notion and potential role of professionalism, in the context of its contested definition,14,15 in responding to racism in medical education. We identify and describe 3 concerns central to the extension of professionalism as a solution to racism.

  • The first concern is confusion around the problem to which professionalism, as a solution, might be applied.
  • The second concern is the notion that professionalism, as a potential solution to racism or even to racist incidents, may not be a true solution because it is—in practice—a tool of social control that is used by the social groups that dominate medicine to self-regulate as well as to gatekeep and maintain power over the discipline’s accepted behaviors and social boundaries.16 
  • The third concern is that, if professionalism is misapplied as a solution to racism, trainees may begin to engage in performative professionalism, whereby overtly racist behaviors are studiously avoided, tolerance-oriented behaviors are superficially enacted, and risky (to one’s ability to enact professional behaviors) situations are avoided. These actions may hav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xclusion of students and physicians of color from predominantly white spaces.

인종차별적 행동이나 제도적 인종차별?
Racist Acts or Institutional Racism?

그렇게 많은 의과대학과 다른 고등교육기관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그것은 일반적으로 평등주의적이고 비인종주의적인 학교에서 (상대적으로 고립된) 인종차별적인 사건들인가? 아니면 제도적 인종차별, 즉 백인들의 이익을 체계적이고 포괄적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과 다른 인종과 소수 민족 집단에 손해를 입히도록 발전시키는 억압의 사회역사적 시스템의 발현인가? 미국 전역의 뉴스 보도를 보면, 한 가지 일반적인 시나리오는 종종 학생들에 대한 학생들에 대한 분노와 보상을 요구하는, 촉매적이고, 명백한 인종차별적 사건에서 시작한다. 학생들은 그 기관이 그 사건의 원인을 분석하도록 요구하거나 그들이 직접 그 일을 할 수도 있다. 종종 이러한 검사inspection는 취약한 다양성 정책, 느린 판단 과정, 교수진과 리더십의 인종 및 민족 동질성, 다양성과 형평성과 반인종주의의 차이에 대한 개념적 혼란, 문화적 및 구조적 무능과 같은 시스템 전체의 결함을 드러낸다. 이러한 결함은 미국의 억압에 대한 사회역사적 제도, 반인종주의/성차별주의/계급주의에 대한 진정한 약속의 부족 또는 부재, 자원의 부족, 또는 비판적으로 검토되지 않았거나 불충분한 커리큘럼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런 다음 학생들은 동료, 교수진, 교직원 및/또는 학교 지도자에 의해 저질러진 미시적이고 거시적인 공격들로 가득 찬 세상에 존재해왔다는 것을 조직하고 소통한다. 
What is the problem facing so many medical schools and other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s it (relatively isolated) racist incidents in a generally egalitarian, nonracist school? Or is it institutional racism, a manifestation of the sociohistorical system of oppression that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advances the interests of white people to the detriment of African American people and other racial and ethnic minority groups? Looking at news reports from across the country, one common scenario starts with a catalyzing and clearly racist incident, often student on student, that incites student outrage and demands for redress.17–20 Students may call for the institution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incident or they may do the work themselves. Often these inspections reveal system-wide deficiencies, such as weak diversity policies, slow adjudication processes, racial and ethnic homogeneity in faculty and leadership, conceptual confusion around the difference between diversity and equity and antiracism, and cultural and structural incompetence. These deficiencies may be rooted in the institution’s underdeveloped grounding in the sociohistorical systems of oppression in the United States, a lack or absence of an authentic commitment to antiracism/sexism/classism, a lack of resources, or critically un- or underexamined curricula. Students then organize and communicate that they have existed in a world filled with micro- and macroaggressions perpetrated by fellow classmates, faculty, staff, and/or school leaders; demands to address the problem become more heated and public.21


이에 대해, 행정부와 일부 교직원들은 학생들의 요구를 촉발시킨 급박한 사건에 초점을 맞추고, 학생들이 그 대응에 만족하고 나아가기를 바라는 것 같다. 그러나 [학생들과 그들의 동맹국들이 문제라고 인식하는 것](즉, 체계적이고 제도적인 인종차별)과 [행정부가 문제라고 인식하는 것](불운한 사건이나 심지어 단지 관리되어야 할 홍보 상황으로 인해 발생하는 난처한 상황) 사이에는 불일치가 있다. 많은 학생 지도자들과 교수진, 교직원, 그리고 행정 동맹들에게, 문제는 목록화된, 개인의 나쁜 행동들뿐만 아니라, 그 기관이 미국 사회에 스며든 패턴화되고 목적 있는 인종차별을 어떻게 반영하고, 표현하고, 재생산하는가, 그리고 그 인종차별을 정직하고, 성심성의껏, 그리고 포괄적으로 다루려는 정치적 의지의 결여이다. 간단히 말해서, 그들의 관점에서, 문제는 백인 우월주의이며, 법률학자 프랜시스 리 앤슬리는 이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In response, the administration and some faculty and staff focus on the acute incidents that precipitated the students’ demands, seemingly hoping that the students will be satisfied with that response and move on. Yet, there is a mismatch between what students and their allies perceive to be the problem—systemic and institutional racism—and what the administration perceives to be the problem—a rough patch generated by unfortunate incidents or even merely a public relations situation to be managed. For many student leaders and faculty, staff, and administrator allies, the problem is not only individual acts of bad behavior, which have been catalogued,22 but also how the institution reflects, manifests, and reproduces the patterned and purposive racism that permeates U.S. society and the lack of political will to address that racism honestly, earnestly, and comprehensively. In short, from their perspective, the problem is white supremacy, defined by legal scholar Frances Lee Ansley as:

백인들이 압도적으로 권력과 물질적 자원을 지배하고, 백인들의 우월성과 권리에 대한 의식적이고 무의식적인 생각이 널리 퍼지며, 백인들의 지배와 비백인들의 종속 관계가 광범위한 제도와 사회 환경에 걸쳐 매일 재연되는 정치, 경제, 문화 시스템이다. 
a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system in which whites overwhelmingly control power and material resources, conscious and unconscious ideas of white superiority and entitlement are widespread, and relations of white dominance and non-white subordination are daily reenacted across a broad array of institutions and social settings.23

 

백인우월주의가 의료교육, 의료 등 사회 전반에 짜여진 인종차별적 억압체제를 견인하고 있다.
White supremacy is driving a racist system of oppression that is woven into every aspect of society, including medical education and health care.

사회통제의 도구로서의 전문직업성
Professionalism as a Tool of Social Control

문제의 해결 방법은 문제가 어떻게 정의되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고립된 행동 또는 일련의 행동이 문제인 경우, 몇 가지 기본적인 행동 수정이나 점검표가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행동 지향적인 체크리스트 형식을 갖춘 전문직업성이 잠재적인 해결책이다. 학생들은 그저 편협한 태도로 행동하거나, 무분별한 행동을 하거나, 차이점을 존중하지 않을 수도 있다. 대신, 그들은 사회화에서 백인 우월주의로 기대되고, 강화되고, 견뎌내는 행동을 제정할 수도 있다. 전자의 상황에서는 관용, 존중, 예의, 그리고 전문적으로 행동하는 방법에 대한 지도가 문제가 있는 행동을 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학생들의 행동이 고립된 것이 아니며, 오히려 사회화에서 백인우월주의 이데올로기로 이어지고 그 이데올로기가 유지하기 위해 행동하는 권력체계를 강화한다면, [생각, 믿음, 행동, 존재에 대한 혁명]이 아니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The solution to any problem depends on how the problem is defined. If an isolated behavior—or even a set of behaviors—is the problem, then some basic behavioral modifications or a checklist could be the solution. In this situation, professionalism with its behavior-orientated, checklist format is a potential solution. Students may be merely acting in an intolerant manner, engaging in thoughtless behaviors or not respecting differences. Alternately, they may be enacting behaviors expected from, reinforcing, and borne of socialization to white supremacy. In the former situation, instruction in tolerance, respect, civility, and how to behave professionally might act to arrest the problematic behavior. However, if the students’ behaviors are not isolated and instead stem from their socialization to the ideology of white supremacy and reinforce the system of power that that ideology acts to maintain,24 then nothing short of a revolution in thinking, believing, acting, and being will solve the problem.

수십 년 동안 미국에서 의학을 지배해 온 단체들에 의해 통제 도구로 사용된다면, 후자의 상황에서는 전문직업성이 올바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여기에 작가이자 활동가인 오드레 로드의 말이 공명한다.
Professionalism cannot be the right solution in the latter situation, if it is used as a tool of control by the groups that have dominated medicine in the United States for decades. Here, writer and activist Audre Lorde’s words resonate:

주인의 도구로는 주인의 집을 절대 해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들은 우리가 일시적으로 그의 게임에서 그를 이기는 것을 허락할지 모르지만, 
그들은 결코 우리가 진정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지 않을 것이다. 

For the master’s tools will never dismantle the master’s house. They may allow us temporarily to beat him at his own game, but they will never enable us to bring about genuine change.25

 

행동과 복장의 지배적인 기준을 유지하기 위해 전문직업성이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한 문헌이 증가하고 있다. 저자들은 어떻게 백인의 규범이 전문직업적이라고 여겨지는 것에 대한 참조 기준이 되었는지를 특징짓는다. 그들은 또한 그러한 기준이 전문직업성의 기능에 대한 사회학적 해석에 기초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수많은 관찰자들은 자연스러운 머리카락을 착용하는 것과 같은 비백인 사회 집단과 관련된 옷차림이나 외모가 (징계displinary action를 포함한) 미시적이고 거시적인 공격aggression의 초점이 되어왔다고 언급했다. 게다가, 흰색이 아닌 스타일의 옷이나 외모와 관련된 몇 가지 고용 차별 사례가 있었다. 이러한 행동들이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 특히 저항의 행위일 수도 있는 흑인의 문화적 표현으로 지목될 때, 백인 우월주의가 발전한다.

The literature around how professionalism is used to maintain dominant standards of behavior and dress is growing. Authors have characterized how white norms have become the standard of reference for what is considered professional.24,26 They also have described how those standards are based on a soci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function of professionalism.27,28 Numerous observers have noted that dress or appearance associated with nonwhite social groups, like wearing natural hair, has been the focus of micro- and macroaggressions,29 including disciplinary actions; further, several related employment discrimination cases related to nonwhite styles of dress or appearance have been waged.30 When these behaviors are singled out as unprofessional, especially cultural representations of blackness that may also be acts of resistance,31 white supremacy is advanced.

연극적 전문성
Performative Professionalism

[체크리스트를 통해 제정되고 평가될 수 있는 일련의 행동]으로서 전문직업성을 조작화하는 것에 대한 최종적인 잠재적인 문제는, 학생들이 그러한 행동이 [사소한 지각lateness 위반]에서 [인종에 기초한 차별 행위]에 이르기까지 심각도에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배울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학생들은 전문적인 행동이 특정한 청중들을 염두에 두고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배울 수 있고, 따라서 그러한 행동을 수행하는 동기는 외부적이다.

A final potential problem with operationalizing professionalism as a set of behaviors that can be enacted and assessed via a checklist is that students may learn that such behaviors can range in severity from minor lateness infractions to acts of race-based discrimination. In addition, they may learn that professional behaviors are to be performed with specific audiences in mind and thus the motivation to perform those behaviors is external. 

반대로, 의료 교육과 환자 치료에서 인종차별을 교정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서 전문직업성이 [사회 및 인종 정의에 대한 진정한 헌신]에 기초한다면, 전문직업적 행동은 사회적 지위나 사회적 지위에 관계 없이 모든 사람들에게 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의무만을 반영하는 [내부 가치 집합]에서 비롯될 것이다. 또한 의사들은 미국 사회를 특징짓는 인종에 기초한 위계질서를 발생시킨 힘의 체계를 이해하고 해체한다. 그렇다면 사회적, 인종적 정의에 기초한 전문직업적 가치와 행동이 환자, 사무직 교사, 교수들 앞에서만 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의료교육과 환자진료 환경 안팎에서 실천해야 하며 "외부적으로 압박받거나 행동을 강요당하는 것"이 아닌, "의지, 지지, 선택을 충분히 갖고 행동한다'고 정의되는 학생들의 [자율적 동기부여]에서 흘러나와야 한다. 

In contrast, if professionalism—as one way to remedy racism in medical education and patient care—is grounded in an authentic commitment to social and racial justice, professional behaviors will flow from an internal set of values that reflect not only the imperative that medical care be offered to all people regardless of their social position or background32 but also that physicians understand and dismantle the systems of power that gave rise to the race-based hierarchy that characterizes U.S. society. Social and racial justice-based professionalism values and behaviors then should not be enacted only in front of patients, clerkship preceptors, and professors. They should be practiced within and outside medical education and patient care settings and flow from students’ autonomous motivation, which is defined as “acting with a full sense of volition, endorsement and choice” and not from feeling “externally pressured or compelled to behave.”33

"새 천년의 의학 전문성: "의사 헌장"의 핵심 원칙은 [환자 복지, 환자 자율성 및 사회 정의]를 우선하는 것을 전문직업성의 기초로 확인한다. 그리고 학문의학에서 일부 사람들이 [사회 정의]를 전문성의 핵심 원칙으로 옹호하지만, 우리는 오늘날 의학이 반인종주의적인 현대적 도덕적 서사를 가지고 있는지 확신할 수 없다. 게다가, 과거에, 의학은 권력의 체계에서 나타난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직업성을 사용하려고 노력해왔다. 예를 들면, 미국 내과 이사회가 오늘날 우리가 [신자유주의에 기반한 의료의 변화](예를 들면 [관리 의료, 영리 의료, 그리고 환자 치료와 의료 교육에서 제약 산업의 영향력  증가])를 다루기 위해 만든 1990년대의 Professional Project입니다. 시장의 힘에 기반한 의료 서비스 제공 변화가 환자가 사람이 아닌 상품으로 취급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는 전문직업성의 개념에 초점을 맞춘 대응에 동기를 부여했다. 그러나 2020년에, 우리는 이 노력이 건강, 의료, 그리고 관련된 사람들의 상품화를 막는 데 성공했는지를 판단할 수 없다.
In the article “Medical Professionalism in the New Millennium: A Physician Charter,” 3 core principles are identified as foundational to professionalism—the primacy of patient welfare, patient autonomy, and social justice.34 And whereas some in academic medicine advocate for social justice as a core principle of professionalism,35 we are not certain whether medicine today possesses a modern moral narrative36 that is antiracist. Further, in the past, medicine has tried to use professionalism to address social problems that emerged from systems of power. An example is the Professionalism Project from the 1990s that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created to address what we today would identify as neoliberalism-based changes to health care, such as managed care, for-profit medicine, and the increased influence of the pharmaceutical industry in patient care and medical education.37 Fear that market force-based health care delivery changes would result in patients being treated as commodities rather than people motivated a response focused on the notion of professionalism. Yet, in 2020, we cannot determine if this effort was successful in staving off the commodification of health, health care, and the humans involved.

추가 고려 사항
Additional Considerations

우리는 여기서 전문직업성이 의학교육의 인종차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불충분한 독립적인 도구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우리는 전문성이 명시적으로 반인종주의적 접근 방식을 적용하고 교육, 훈련 및 환자 치료에서 구조적 역량의 우선순위를 정함으로써 인종차별을 되돌리기 위한 더 광범위한 [제도적인 노력의 한 부분]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관련 사람들과 기관의 반인종주의에 대한 이해와 헌신을 반영하는 내용 지식, 태도, 분석, 정책, 관행, 비폭력적 커뮤니케이션, 옹호 및 행동주의, 그리고 일상적인 행동을 산출한다. 이 작업은 사회적, 인종적 정의를 학교의 사회적 사명의 핵심에 두고, 의사 간 옹호 역할을 강조하며, 구조적 역량을 높이기 위해 커리큘럼 내용과 기술개발로 뒷받침되는 교육 프로그램 목표를 통합하는 [의학교육 모델]로 통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인종차별에 대항하기 위한 포괄적인 접근은 인종차별 사건에 대한 기관들의 신속한 대응, 강력한 반인종 정책, 그리고 의료 교육에서의 기관 인종차별을 다루는 것을 요구한다.
We assert here that professionalism is an inadequate stand-alone tool to address the problem of racism in medical education.38 However, we believe that professionalism may be one part of a larger, institutional effort to undo racism39 by applying explicitly antiracist approaches8 and prioritizing structural competence40 in education, training, and patient care. Such approaches ideally will yield the content knowledge, attitudes, analyses, policies, practices, nonviolent communications, advocacy and activism, and day-to-day behaviors that reflect an understanding of and commitment to antiracism on the part of the people and institutions involved.24 This work may be integrated into a model of medical education that puts social and racial justice at the core of a school’s social mission,41 emphasizes the role of advocacy among physicians,42,43 and integrates educational program objectives that are supported by curricular content and skill development to enhance structural competence.10 Finally, a comprehensive approach to countering racism requires swift responses from institutions to racist incidents, strong antiracist policies, and addressing institutional racism in medical education.

여러 [의과대학]이 인종차별과 백인우월주의를 명시적으로 문제로 지목하고 해결책을 개발하고 테스트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예를 들어, 미네소타 의과대학의 연구원들은 교육과정 설계 중에 인종 기반 동력 역학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관찰하고 기록하기 위해 공중 보건에 중요한 인종 연습 방법론을 사용했다. 그들의 연구는 의과대학 1학년 학생들의 개입을 초래했다. 이 밖에도, 인종이 [생물학적 구조]가 아닌 [사회적 구조]임을 가르치고, 교육 자료와 교육에 소수인종을 공평하게 표현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학 교육을 요구한다. 이 접근 방식은 각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 강의, 텍스트, 학습 활동 및 평가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해 서로 다른 그룹이 과하게 또는 과소하게 표현되고 인종 구성이 학생들에게 어떻게 제시되는지 판단해야 한다.

Several medical schools are leading the way in explicitly naming racism and white supremacy as problems and developing and testing solutions. For example, researchers at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edical School used a public health critical race praxis methodology to observe and document how race-based power dynamics unfolded during curriculum design.9 Their work resulted in an intervention for first-year medical students. Other approaches call for medical education that teaches that race is a social, rather than a biological, construct44,45 and that includes equitable representation5,46 of minority populations in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aching. This approach requires a critical analysis of each presentation slide, lecture, text, learning activity, and assessment to determine where different groups are over- or underrepresented and how the construct of race is presented to students.

반인종주의 의학교육 노력을 기술하고 의학에서 인종차별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유망한 접근방식을 식별하는 [문헌 검토literature reviews]도 늘어나고 있다. 여기에는 사회 집단을 초월한 대화, 권력과 특권의 해체, 비판적 의식과 실천의 고양, 학생들 간의 경험적 변신이 포함된다. 또한 Wear와 동료들은 구조적 역량을 달성하기 위한 반인종주의적 교육 전략과 방법들을 찾아냈고, 이러한 목표들을 진전시킬 수 있는 많은 교육적 접근들을 기술했다. 
There is also a growing number of literature reviews that describe antiracist medical education efforts and identify a number of promising approaches to addressing racism in medicine. They include dialogue across social groups, deconstructing power and privilege, raising critical consciousness and practice, and experiential transformation among students.47 In addition, Wear and colleagues identified antiracist pedagogical strategies and methods to achieve structural competence, describing a number of instructional approaches that would advance these goals.48

결론적으로, 우리는 인종차별 행위를 전문직업적이지 않은 것으로 식별하고, 이 관점을 사용하여 다루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학술 의학에서 제도적 인종차별을 되돌리려면 [비판적 분석, 대립, 옹호 및 집단적 사회적 행동]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인종차별을 경험하고 반인종적 의료행위를 개발하고자 하는 학생 둘 다 지원이 필요한 학생들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변화를 요구해 왔다. 오늘날 미국에서는, 캠퍼스와 의과대학에서 인종차별적인 사건들이 계속 전개되면서, 미국이 원주민들로부터 빼앗긴 땅에 노예 아프리카인들의 노동력으로 건설된 백인, 남성 우월주의라는 이념 위에 세워졌다는 대중적 인식의 맥락에서 그렇게 한다. 의과대학과 교육자들은 이러한 사회역사적 사실을 훈련의 모든 측면에 통합해야 하며, 의료교육에서 인종차별을 해소하기 위한 포괄적인 접근법의 필요성을 인정해야 한다. 사회정치 이념으로서 백인 우월주의가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그것이 어떻게 불평등한 사회를 지지하는지 이해함으로써, 의과대학은 미국의 건강 불평등과 인종과 사회 정의를 위한 현대 투쟁의 핵심 장소가 될 수 있다.

In conclusion, we argue that it is not enough to identify racist acts as unprofessional and address them using this lens; we in academic medicine need to use critical analysis, confrontation, advocacy, and collective social action to undo institutional racism. Students, who need support as they both experience racism and seek to develop antiracist medical practices, have been calling for changes to achieve these goals.49,50 Today, in the United States, as racist events on campuses and medical schools continue to unfold, they do so in the context of increasing popular recognition that the United States was founded on the ideology of white, male supremacy, built with the labor of enslaved Africans, on land taken from indigenous peoples. Medical schools and educators must incorporate these sociohistorical facts in all aspects of training and acknowledge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approach to undoing racism in medical education. By recognizing that white supremacy, as a sociopolitical ideology, exists and understanding how it supports an inequitable society, medical schools can become key sites of the modern struggle against health inequity and for racial and social justice in the United States.


Acad Med. 2020 Jun;95(6):860-863. doi: 10.1097/ACM.0000000000003266.

Professionalism: The Wrong Tool to Solve the Right Problem?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V. Frye is associate medical professor, 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and Social Medicine, CUNY School of Medicine/Sophie Davis Program in Biomedical Education, New York, New York; ORCID: http://orcid.org/0000-0003-3239-7201. M. Camacho-Rivera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Sciences, SUNY Downstate School of Public Health, Brooklyn, New York. K. Salas-Ramirez is assistant medical professor, Department of Molecular, Cellular and Biomedical Sciences, CUNY School of Medicine/Sophie Davis Program in Biomedical Education, New York, New York. T. Albritton is assistant medical professor, 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and Social Medicine, CUNY School of Medicine/Sophie Davis Program in Biomedical Education, New York, New York; ORCID: http://orcid.org/0000-0002-7592-4318. D. Deen is distinguished lecturer, CUNY School of Medicine/Sophie Davis Program in Biomedical Education, New York, New York. N. Sohler is associate medical professor, 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and Social Medicine, CUNY School of Medicine/Sophie Davis Program in Biomedical Education, New York, New York. S. Barrick is lecturer and director, Humanities in Medicine Program, CUNY School of Medicine/Sophie Davis Program in Biomedical Education, New York, New York. J. Nunes is medical professor, Department of Molecular, Cellular and Biomedical Sciences, CUNY School of Medicine/Sophie Davis Program in Biomedical Education, New York, New York.

PMID: 32134778

DOI: 10.1097/ACM.0000000000003266

Abstract

Medical schools and othe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cross the United States are grappling with how to respond to racism on and off campus. Institutions and their faculty, administrators, and staff have examined their policies and practices, missions, curricula, and the representation of racial and ethnic minority groups among faculty, staff, and students. In addition, student-led groups, such as White Coats for Black Lives, have emerged to critically evaluate medical school curricula and advocate for change. Another approach to addressing racism has been a focus on the role of professionalism, which has been variably defined as values, traits, behaviors, morality, humanism, a role, an identity, and even a social contract.In this article, the authors consider the potential role that professionalism might play in responding to racism in medical education and at medical schools. They identify 3 concerns central to this idea. The first concern is differing definitions of what the problem being addressed really is. Is it isolated racist acts or institutional racism that is a reflection of white supremacy? The second concern is the notion that professionalism may be used as a tool of social control to maintain the interests of the social groups that dominate medicine. The third concern is that an overly simplistic application of professionalism, regardless of how the problem of racism is defined, may result in trainees practicing professionalism that is performative rather than internally motivated. The authors conclude that professionalism may complement a more systematic and holistic approach to addressing racism and white supremacy in medical education, but it is an insufficient stand-alone tool to address this core proble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