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와 사회적 구조: 참을 수 없는 집합적 신화의 필요성 (Med Educ, 2020)
Myths and social structure: The unbearable necessity of mythology in medical education
Maria Athina (Tina) Martimianakis1 | Jon Tilburt2 | Barret Michalec3 | Frederic W. Hafferty4

 

1 | 도입 
1 | INTRODUCTION

의학 교육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학습에 대한 특정한 행동과 태도를 발전시키는지를 포함하여, 어떻게 학습하는지에 대하여 과학에 기반을 둔 이해는 의료 훈련의 조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과학의 정신으로 운영되기에, 의학 교육자들은 그들의 교육 작업이 과학적인 신화 (또는 거짓)에 근거하는 것을 꺼린다. 이러한 지식의 "신화" 및 이와 관련된 잘못된 관행을 밝히는 것은 낭비적이고 위험한 학술활동으로부터 자원과 관심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In medical education, scientifically based understanding of how people learn, including how they develop certain behaviours and attitudes towards their learning, provides necessary information for the organisation of medical training. When operating in the ethos of science, medical educators are reluctant to base their educational work on scientific myths (or falsehoods). The debunking of such knowledge “myths” and associated misguided practices serves to avert resources and attention from wasteful and dangerous scholarship.  

간단히 말해서, 비록 신화가 과학의 진보를 방해하지만, 그것들은 여전히 사회적, 정치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우리가 이러한 신화들의 대체 기능을 연구할 때, 우리는 현대 사회 문화적, 정치적 배열arrangement이 의학 교육을 변화시키는 우리의 역량에 어떻게 방해가 되는지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Put simply, although myths interfere with the progress of science, they still have social and political functions. When we study these alternative functions of myths we can better appreciate how contemporary sociocultural and political arrangements interfere with our capacity to transform medical education. 

지식 분야는 [어떤 지식이 중요하게 여겨지는지에 대한 공유된 가치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통해 [사회적 조직]을 이룹니다. 이런 의미에서 모든 정신은 신화를 내포하고 있다. 즉, 모든 윤리적 시스템은 인간의 본성, 자유, 선과 악, 그리고 우주의 작용에 대한 가정을 밝히는 몇 가지 근본적인 이야기에 의존한다. 
Knowledge fields achieve social organis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hared value system in relation to what counts as knowledge. In this sense, “[e]very ethos implies a mythos. That is, every ethical system depends upon some fundamental story disclosing its assumptions about human nature, freedom, good and evil, and the workings of the universe”.1 

의학, 더 나아가 의학 교육은 "[신화의 규칙]에 따라" 운영되는데, 이 규칙은 "우리의 질서와 안보는 우리 자신에 대한 관심과 과학적인 조사로부터 비롯된다"고 주장한다. 
Medicine and, by extension, medical education operate “under the rules of a myth,” which claims that “our order and our security stem from interest in and scientific investigation of ourselves as matters of great importance”.2 

이것이 [과학의 규범적 차원normative dimension of science]입니다. 신화는 [사고 및 사회 조직]을 생성하기 때문에 사회적 상호작용과 조직을 위한 도관conduit이다. 이처럼 신화는 '끝없이 펼쳐지고' '놀라운 해석과 환생에 열려 있다'는 것이다. 의학 교육에 종사하는 사회 과학자들에게, ["과학"이나 다른 "신화"의 규범적인 기초 위에 전제된] 아이디어와 실천은 많은 중요한 (의학교육) 주제로의 진입점으로서, 예를 들어 그 분야가 무엇을 지식으로 여기는지, 그리고 교육 개혁을 위해 시간과 에너지를 어떻게 어디에 투자해야 하는지 등이 포함된다.

This is the normative dimension of science. Because mythologies create systems of thinking and social organisation (whether they are premised on purported scientific thinking or other accepted value systems), they are conduits for social interaction and organisation. As such, myths are “endlessly unfolding” and “open to amazing interpretation and reincarnation”.3 For social scientists working in medical education, ideas and practices that are premised on the normative underpinnings of “science” or other “mythologies” are entry points to a number of important topics, including how the field comes to appreciate what counts as knowledge, and how and where to invest time and energy for education reform.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비판적인 서술 방식을 채택했다. 이러한 접근법에 따라, 우리는 의학교육 문헌에서 [신화와 신화 깨부수기myth busting]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찾았고, 과학의 사회학과 Merton의 명시적 기능잠재적 기능에 대한 개념으로부터 분석적으로 끌어낸 이 문헌을 검토했다. 

For these reasons, we employed a critical narrative approach.4 Consistent with this approach, we searched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for orientations to myths and myth busting, and reviewed this literature analytically drawing from the sociology of science and Merton's concepts of manifest and latent functions.5 

우리의 접근방식은 신화 및 신화 버스트에 대해 알려진 것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실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체계적인 검토와 다르다. 대신 우리는 "의대 교육의 모든 신화는 자동적으로 무너질 가치가 있다"는 가정에서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탐구했고, 이 입장을 문헌의 대표적인 사례로 뒷받침했다.

Our approach differs from a systematic review in that we did not conduct an exhaustive analysis of what is known about myths and myth busting. Instead, we explored the unintended consequences of assuming that “all myths in medical education automatically deserve to be busted”, and supported this position with representative examples from the literature. 

2 | "신화"의 어원과 신화를 만드는 사회적 기능
2 | THE ETYMOLOGY OF “MYTH” AND THE SOCIAL FUNCTION OF MYTH-MAKING


"신화myth"라는 용어는 그리스 단어인 Mythos와 현대 라틴 신화에서 직접 유래했습니다. 그것은 사회적 또는 자연적 현상에 대한 설명, 원인론, 정당성을 제공하는 전통적인 이야기, 전설, 민속 또는 설화를 담고 있다.7 그것은 또한 [사실이 아니거나 잘못된 믿음, 널리 받아들여지는 오해, 진실의 잘못된 표현 또는 허구의 무언가]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7 두 번째 의미는 첫 번째 의미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19세기에 이르러, [과학의 발흥]은 "신화의 죽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8 그리고 과학적 결과물work of science 안에서, 우리가 현재 신화라고 부르는 이야기들은 [순진한 것 또는 잘못된 설명]이라는 속성을 갖기 시작했고, 따라서 "우리가 관심을 갖는 사실과는 무관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The term “myth” stems directly from the Greek word mythos and from the modern Latin mythus. It connotes a traditional story, legend, piece of folklore or tale that provides an explanation, aetiology or justification for social or natural phenomena.7 It also connotes an untrue or erroneous belief, a widely held misconception, a misrepresentation of the truth, or something fictitious.7 The second meaning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first. By the 19th century, the rise of science was thought to spell “the death of myths”.8 In turn, and within the work of science, the stories we now call myths began to take on the attributes of naïve or erroneous accounts and thus were perceived to have “no relevance where facts [we] re concerned”.9


[(거짓 이야기나 설명으로 취급되는) 신화]는 [(이 세상이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대한 객관적이고 검증 가능한 진리를 찾는) 자연과학자들]에게는 거의 가치가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과학자로서, 의사들은 "질병을 다른 자연 현상과 유사한 방식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훈련받았고, 그 결과 "가장 보편적이거나 가장 일반적인 질병이 가장 중요한" (위계라는 관점에서의) 근거를 지향한다. 다양한 의학 이론, 주장, 관행 또는 치유적 전통을 "신화"라고 부르는 것은 의학 교육의 노화와 진보를 나타내는 지표 역할을 한다. 토마스 쿤의 의미에서, [신화 깨부수기myth busting]은 지식을 창출하는 분야의 자연스러운 운영방식이다. [새로운 과학적 발견]은 [현재의 사고 방식]로부터 충분한 분열disjuncture을 만들내고, 이를 통해 (그 분야의 기능을 유지하고, 기존의 잘못된 설명을 없애기 위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해지게끔 만든다. 이것은 현대 의학의 기원 이야기origin story이자, 의학교육도 이 연장선상에 있다. 

Treated as false stories or explanations, myths are seen as holding little value for natural scientists looking for objective, verifiable truths about how the world functions. As scientists, physicians are trained to “view disease in a similar way to other natural phenomena”10 and as a result are oriented towards evidence in hierarchical terms in which “that which is most universal in its application or most general in its import, is the most significant”.2 The labelling of various medical theories, claims, practices11-14 or healing traditions15,16 as “myths” functions as a marker of senescence and progress in medical education.17-21 In the Kuhnian sense,22 myth busting is a natural operation of knowledge-generating fields, whereby new scientific discoveries produce enough disjuncture in the current way of thinking to necessitate a paradigm shift to maintain the function of the field and to rid it of erroneous former explanations. This is the origin story of modern medicine and by extension of medical education. 

의학과 의학교육을 포함한 많은 문화들이 기원 스토리origin stories를 구성한다. 이러한 기원 스토리가 특정 문화에서 어떻게 기능하는지는 다양합니다. 신화의 내용을 고려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신화의 의미]는 다음과 같은 [언제, 누구에 의해서, 어떤 목적으로 그 신화가 받아들여지는지]와 같은 사회적 기능도 포함한다. 사람들은 신화의 의미를 동시에 그리고 반복적으로 해석하면서 공동 창작을 합니다. [무언가를 신화화하는 것mythologising]은 우리가 세계와의 교류를 체계화하고, 우리가 되어가는becoming 방법을 협상할 수 있게 해준다. 간단히 말해서, 신화는 진공 속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들은 종종 더 큰 사회 문화적, 정치적 지형의 특정한 측면을 반영한다.

Many cultures, including those of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construct origin stories. How these origin stories function in specific cultures varies. It is not enough to consider the content of a myth. The meaning of a myth also includes its social function: when it is taken up, by whom and for what purpose. People co-create while simultaneously and iteratively interpreting the meaning of myths.23 Mythologising allows us to organise our engagement with the world and to negotiate ways of becoming. In short, myths do not exist in a vacuum; they often reflect certain aspects of the larger sociocultural and political landscape.

인간의 추론과 인지가 자신 및  타인의 신체와 분리되어 기능한다는 이론인 데카르트 이분법Cartesian split은 "질병은 그 질병을 가진 사람과 분리되어 고려할 수 있다"는 개념을 가능하게 한다. [환자의 의미 형성과 그들의 건강 경험을 해석하기 위한 몰입]은 (이러한 데카르트 및 생의학적 신화에 의해 강화되어) 의학의 문화에서 여전히 "기타other"로 간주되고 있다.
The Cartesian split, a theory which holds that human reasoning and cognition function separately from the bodies of themselves and others, makes possible the notion that “disease can be considered as separate from the person with it”.23 Reinforced by this Cartesian/ biomedical mythology, immersion in the meaning making of patients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ir health experiences, is still regarded as “other” in the culture of medicine. 

이와는 대조적으로 사회과학 및 인문학(인류학, 심리학, 철학, 종교학, 정치학, 사회학)에서는 신화가 [과학적으로 타당한지 여부]에 관계없이, 사회발전의 이해를 위한 포털을 만드는 것으로 보고 있다.* 유통되는 신화, 특히 "정체가 폭로debunk"된 후에도 지속되는 신화는 사회적 기능을 계속 수행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신화는 [신념을 공유]하게 만들며, 그 과정에서 특정한 실천을 둘러싼 [사회적 안정, 정체성 형성 및 공동체]에 기여합니다. 더크하임은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모든 신화는, 우리가 가장 불합리하다고 생각하는 것조차, 모두 믿어져 왔다. 사람들은 자신의 감각 못지 않게 신화를 굳게 믿어왔다. 사람들은 신화에 기초하여 행동했다."28 

By contrast,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anthropology, psychology, philosophy, religious studies, political science and sociology)24-27 view myths as creating a portal to the understanding of social development regardless of whether the narrative is scientifically valid or not.* Circulating myths, especially myths that persist even after they have been “debunked”, may continue to serve social functions.24,26 Myths enjoin shared belief and, in the process, contribute to social stability, identity formation and community around specific practices.25,26 As Durkheim writes, “… all myths, even those which we find the most unreasonable, have been believed. Men have believed in them no less firmly than in their own sensations; they have based their conduct upon them.”28 

"신화"라는 용어는 단순히 [거짓이 담긴 그릇]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함축한다. "신화"는 "우리가 공유하고 있는 지적 문화의 일부로서 물려받은 아이디어와 신념"을 포함합니다.29 의학과 의학 교육은 그 자신의 origin story가 그러한 신화 중 하나를 대표한다. 즉, 중요한 지식은 오로지 인체와 (인지를 포함한) 인체의 작동에 대한 과학에 기반한 인식scientifically derived appreciation뿐이라는 것이다. 그 결과, 오늘날 의학 교육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비록 사회 과학과 인문학에 대한 지향을 업무에 포함시키고 싶어도, 과학주의scientism의 기대와 맞서 싸워야 한다.  
The term “myth” then entails much more than a container for falsehood. It encompasses “ideas and beliefs that we inherit as part of our shared intellectual culture”.29 For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the origin story of their own fields represent one such myth: that the only knowledge that matters is scientifically derived appreciation of the human body and its operations, including cognition. Those working in medical education today, even if they aspire to include an orientation towards social science and the humanities in their work, must struggle against the expectations of scientism. 

신화는 [의미, 문화, 이념을 전달하는 메커니즘]으로서, 심지어 과학과 의학이라는 enterprise에게까지도 전달한다. 신화는 [집단적 정체성]을 형성하며 ,"권력을 위해" 작동하는 사회적 관행social practice입니다.26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의학 교육에서 신화, 특히 신화 깨부수기myth busting에서 살아남은 신화를 연구하기 위한 공간을 보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신화의 사회정치적 차원을 탐구하는 것은 [문화적 실천(의학)의 정체성]과 [그 실천(의학 교육)에 대한 문화적 적응acculturation의 구조, 과정 및 내용]에 대해 의문을 제기할 수 있게 한다. 우리는 그러한 연구가 교육 개혁에 필요한 뉘앙스를 가져올 수 있는 성찰적 교육의 실천으로 이어질 것을 제안한다. 
Myths, in the sense we are implying, are mechanisms for transmitting meaning, culture and ideology that extend even to the enterprises of science and medicine themselves. They are social practices that shape group identity and operate “in the service of power”.26 It is in this last sense that we argue for preserving space for the study of myths in medical education, particularly myths that survive myth busting. Exploring the sociopolitical dimensions of mythologies allows scholars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identity of a cultural practice (medicine) and the structure, processes and content of the acculturating to that practice (medical education). We propose that such study leads to a reflexive education practice that can bring needed nuance to education reform. 

브라운은 "신화만들기mythmaking(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관행)는 변증법적으로 사회적 형성(생산 방식에 따라 그룹을 조직화하는 관행)과 관련이 있다"고 지적한다. 여기에는 [생산 방식으로서의 과학]도 포함됩니다. 비록 "의학medicine이 '과학'과 '예술'의 결합이라는 것은 널리 인정고 있지만… 의학의 과학science of medicine의 기초가 되는 가정은 거의 설명되거나 논의되지 않는다."

Brown notes that “myth-making—the practice of producing stories—is dialectically related to social formation—the practice of organising in groups based on modes of production”.30 This includes science as a mode of production: although it is “commonly accepted that medicine combines both ‘science’ and ‘art’… the assumptions underlying the science of medicine are rarely explicated or debated”.10

대신, 의학 그 자체의 고유한 기원 스토리origin story는 [두 갈래로 나뉘어진 방식]으로 기능하게끔 이 분야를 만들어왔다. [건강과 질병health and disease은 객관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자연 현상"으로 접근]하는 반면, [돌봄care는 의사소통 또는 프로세스상의 문제conundrum]로 여겨진다. 이 과학의 신화와 너무 밀접하게 동일시된 나머지, 그 내러티브를 충족시킨다는 것은, 우리가 ["의사와 환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질병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더군다나 의학 교육에는 의학의 기본구조fabric에 너무 강하게 엮여진woven나머지, 신화깨부수기의 대상조차 되지 않는 신화도 있다.

Instead, medicin's own origin story has set up the field to function in a bifurcated way. Health and disease are approached and related to as “natural phenomena” that can be studied objectively, whereas care is thought to be a communication or process conundrum. Identifying with this science myth too closely, along with fulfilling its narrative, implies that we would not expect “the interaction between doctor and patient” to have “influence on the outcome of the disease”.10 Furthermore, there are myths in medical education that are not subject to myth busting because they are so strongly woven into the fabric of the field.

분야로서의 의학교육의 유래는 "의학은 과학이며, 따라서 세상에 대한 올바른 과학적 이해에 기초해야 한다"는 가정에 전제를 두고 있다. 하지만 의학은, 의학을 지배하는 지식의 신화에도 불구하고, "과학적인" 근거가 없는 신념을 계속 고집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의학은 문화가 없는 문화'라는 믿음과 '과학의 객관성'과 '문화의 주관성'의 구별이 그것이다.

The origin story of medical education as a field is premised on the assumption that “medicine is a science, and as such should be based in a properly scientific understanding of the world”.29 Medicine, notwithstanding its dominant mythology of knowledge, continues to hold beliefs that have no “scientific” basis. For instance, the belief that “medicine is a culture of no culture”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objectivity of science” and the “subjectivity of culture”,

의학 및 의학 교육에 대한 이러한 오랜 신념 체계를 문제화함problematising에 있어서, 우리는 [의학의 연구와 적용에 있어서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과학적 지향과 실천을 유지할 수 있다]는 개념을 단순히 "깨부수고bust" 싶지는 않다. 
In problematising this longstanding belief system i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we do not want to merely “bust” the notion that we can ever maintain a neutral, objective scientific orientation and practice in the study and application of medicine. 

요컨대, 의학의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현실을 영속시키는 신화들은 어떤 목적에 도움이 되며, 그 신화들을 밝혀내는 과정에서 우리가 잃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객관성과 주관성의 이진법을 대신할 수 있는, 이원론을 초월하는 이 분야의 기원 스토리를 재창조한다면 무엇을 얻을 수 있을 것인가?

In short, what purpose do myths that perpetuate medicine's scientific and objective reality serve and what might we lose in the process of debunking them? What might we gain if, instead of operating within a binary of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we were to transcend this dualism and reinvent the field's origin story?

3 의학교육의 신화만들기 사회학을 향하여
3 | TOWARDS A SOCIOLOGY OF MYTHMAKING IN MEDICAL EDUCATION

이 시점까지, 우리는 신화가 작용하는 기능은 그 공동체 구성원들에 의해 인식되거나 유효한 것으로 인식되지 않을 수 있으며, Merton의 [명시적 기능][잠재적 기능]에 대한 개념을 상기시키는 포인트라고 주장해 왔다.5 

  • [명시적 기능]은 명시되고 인정된 객관적 결과, 즉 [조직과 사회 시스템의 안정]이라는 의도된 목적을 가진 사회 운영의 차원을 나타낸다.
  • 반대로, [잠재적 기능]시스템의 참가자가 명시적으로 의도하거나 인식하지 못하는 관측 가능한 효과이다. [잠재적 기능]은 의도하지 않았더라도, 시스템의 안정성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Until this point, we have argued that the function a myth comes to play may be other than that appreciated or recognised as valid by members of that community, a point that reminds us of Merton's concepts of manifest and latent functions.5

  • Manifest functions represent stated and recognised objective consequences, namely, dimensions of social operations that have an intended purpose in the organisation and stability of a social system.5,6
  • Conversely, latent functions are observable effects that are neither explicitly intended nor recognised by participants in the system. Latent functions, although unintended, may also serve in the stability of a system. 

 

Merton은 [명시적 기능과 잠재적 기능을 휴리스틱하게 구별하는 것]은 사회학자들이 "(명백한 목적이 달성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유지되는) 일견 비합리적으로 보이는 사회적 패턴을 명확히 할 수 있게 해준다"고 주장했다. 머튼은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레인댄스 의식ritual의 예를 제시했다. 그는 비록 우리가 과학적으로 레인댄스 의식의 명백한 기능을 탐구할 수 있고, 그것이 거짓으로 전제된 것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지만, 그러한 의식ritual의 잠재적 기능에 대한 조사를 통해 그들의 "공언된 목적avowed purpose"을 넘어, 미국 원주민 인식론, 문화, 정체성, 의미 형성의 보존에 있어서 이러한 의식이 수행하는 역할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Merton argued that distinguishing between manifest and latent functions heuristically allows sociologists to clarify “seemingly irrational social patterns [italics in original]. … which persist even though their manifest purpose is clearly not achieved”.5 Merton offered the example of Native American rain dance rituals. He noted that although we can scientifically explore the manifest function of the rain dance ceremony and conclude that it is falsely premised, an investigation of the latent functions of such rituals might uncover the roles played by these rituals, beyond their “avowed purpose”, in the preservation of Native American epistemologies, culture, identities and meaning making.5 

즉, 신화는 [명시적 기능]과 [잠재적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을 수 있다.
In other words, myths may have both manifest and latent functions

Latour와 Woolgar가 우리에게 보여주었듯이, 과학적 작업work은 [사실]과 [사실에 대한 규범적인 구조]를 갖춘 사회 활동입니다. 이러한 [사실에 수반되는 사회적 구조, 정체성, 경제성]을 인정하지 않고 [특정 사실의 타당성]에만 문제를 제기challenge한다면, 우리는 '부분적 진실'만을 전파하게 될 것이며, 의료 교육과 실천을 혁신하려는 노력은 오히려 훼손될 것이다. [명시적 기능]과 [잠재적 기능]을 구분하고자 할 때, 연구자는 왜 명백한 근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위 신화가 계속 존재하는 이유를 질문해야 한다

As Latour and Woolgar have shown us, in considerable detail, scientific work is a social activity replete with the normative structures for relating to facts as facts.33 When we challenge only the validity of particular facts without appreciating the social structures, identities and economies that accompany these facts, we run the risk of propagating “partial truths” and undermining our efforts to transform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Making a distinction between manifest and latent functions challenges the researcher to ask why, in the face of evidence (the proposed truth narrative), so-called myths continue to exist.

다음 항목에서는 이러한 접근 방식이 의료 업무 및 의료 교육의 복잡성을 이해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몇 가지 예를 제공합니다.
In the following subsections we offer some examples of how this approach can help us appreciate the complexity of medical practice and medical education.

3.1 | "이상적 후보"의 신화
3.1 | The myth of the “ideal candidate”

의학 교육에서 엄격하고 까다로운 입학 과정(그리고 의과대학 입학과 관련된 다양한 요건)은 의학을 위한 최고의 지원자를 선정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명백한 관문 활동gatekeeping activity으로 운영된다. 입학 과정을 둘러싼 다양한 증거와 신화는 입학 선택과 입학 과정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In medical education, the rigorous and demanding admissions process (and various requirements associated with medical school admissions) is intended to select the best possible candidates for medicine and thus operates as a manifest gatekeeping activity. A variety of evidence and myths that surround the admissions process variably influence matriculate choices and admission processes.

예를 들어, 우리가 입학 전 전공분야의 준비도disciplinary preparation에 근거하여 '이상적 후보'를 선택할 수 있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 이런 이유로 많은 의과대학들이 과정 선수조건course prerequisites을 없앴다. 그러나 입학 과정의 [잠재적 기능]은 ["일부 형태의 준비"를 다른 것보다 더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규범화하는 것]이며, 종종 [의과대학에서 찾고 있는 "이상적인 후보"와 관련된 이야기를 퍼뜨리는 것]입니다. 이처럼 "중요한 것과 중요하지 않은 것"의 구분은 이르면 고등학교 때 학습자 결정에 영향을 미치며 의료 훈련 내내 지속됩니다. 
For example, there is little evidence to suggest that we can select for an “ideal candidate” based on previous disciplinary preparation. For this reason, many medical schools have eliminated course prerequisites. However, a latent function of the admissions process is the normalisation of “some forms of preparation” as being more relevant than others, often propagated on circulating stories related to what schools are looking for in an “ideal candidate”. These distinctions of “relevant and irrelevant” educational preparation influence learner decisions as early as during high school and continue throughout medical training. 

[의과대학에서는 생물학과 다른 생명과학에서 뛰어난 학생을 찾는다]는 개념은 적응장애를 일으키는 행동을 낳는다. 예를 들면, 자신의 커리어에서 위험을 감수하고자 하지 않는 학생들이 [사회과학 및 인문학적 지식(또는 "대체" 지식의 종류)을 버리고 때로는 완전히 평가 절하하는] 것이다.
The notion that medical schools are looking for students who are exceptional in biology and other life sciences results in maladaptive behaviours, including the jettisoning and sometimes outright devaluing of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knowledge (or any kind of “alternative” knowledge) by students who are not willing to risk their career success.34

많은 의과대학 입학 페이지에 명료하게 나와 있는 것과 정반대의 증거에도 불구하고 '생명과학적으로 준비된 이상적인 지원자'라는 신화가 지속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상적 지원자"에 대한 신화는 지속되는데, 이 이야기들은 의과대학 입학 과정의 [명확한 공식 구성 요소 밖]에서 작동하는 지식, 태도, 행동 및 실습의 전달을 통해 학생들에게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Why does the myth of an “ideal candidate, who is biomedically prepared” perpetuate even in the face of evidence to the contrary that is clearly spelled out on many medical school admission pages?35-37 Myths of an “ideal candidate” persist because these stories are part of medical education's hidden curriculum38 and are received by students through the transmission of knowledge, attitudes, behaviours and practices that function outside the articulated formal components of the medical school admissions process. 

단순히 학생들에게 그런 이야기들이 사실이 아니라고 말하는 것만으로 신화가 사라지지는 않았다. 이러한 신화의 [잠재적 기능]은 (조직화된 의학교육에서 아무리 부인하더라도) 의료 분야에서 생체의학적 접근 방식을 영속화하는 것이다. 입학전형은 정교한 지식과 기술의 숙달로 구분되는 엘리트 직종으로 의료계를 대표하는 것에서 도출되는 사회적 자본의 재생산과 강화에 기여한다. 실제로, 현재 입학 과정에 관여하고 있는 대부분의 교수진과 직원들은 기초 과학 경력이 없는 사람들이 "훌륭한 의사"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도록 훈련을 받는다. 입학 전형을 바꾸는 것은 또한 이미 확립된 정체성을 위협할 것이며, 학생들이 "이상적 지원자"가 될 수 있도록 준비시키면서 많은 돈을 버는 교육-관련 경제를 위협한다.

Simply telling students that such stories are untrue has not dispelled the myths. The latent function these myths serve to perpetuate is a biomedical approach in health care even in the face of organised medical education's disclaimers. The admissions process contributes to the reproduction and reinforcement of the social capital to be derived from the representation of the medical profession as an elite profession distinguished by the mastery of a sophisticated body of knowledge and skills. Indeed, most faculty and staff currently involved in admissions processes are trained to think that individuals without a basic science background will not be “good doctors”. Changing admissions processes also threatens established identities and education-associated economies that make a lot of money out of preparing students to be “ideal candidates”.

 

3.2 | "cut-throats"의 신화
3.2 | The myth of “cut-throats”


피터 콘래드는 pre-medical school의 학생 문화를 연구하기 시작했으며 브랜다이스 대학의 pre-medical school의 학생들 사이에서 확인되는 흔한 믿음인 "무자비한cut-throats 행위"를 구체적으로 탐구했다. "무자비한 행위"는 "지나치게 경쟁적이고 이기적이며 성적에 굶주린 학생들로서, 책과 실험 보고서를 훔치고 실험을 사보타지하는" 학생들이다. 그의 연구는 이 신념을 사실상 무너뜨렸다. 실제로 콘래드는 학생들 사이에서 인신공격적인 행동보다 협조적인 행동의 증거를 더 많이 발견했다. 흥미롭게도, 이 과정에서 콘래드는 이 신화가 특정한 [잠재적 기능]을 한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Peter Conrad set out to study pre-medical school student culture and specifically explored the common belief in “cut-throats” amongst pre-medical students at Brandeis University; “cut-throats” are students who are “excessively competitive, selfish, grade hungry who cheat, steal books and lab reports and sabotage lab experiments”.40 His study effectively debunked this belief. Indeed, Conrad found more evidence of cooperative than cut-throat behaviour amongst students.40 Interestingly, in the process, Conrad also discovered that this particular myth served a specific latent function. 

[무자비한 행위]는 학생들의 체면치레face-saving의 일종으로서, [의대에 들어가지 못한 것]에 대한 문화적인 설명을 제공했다. 이 신화는 pre-medical 학생들이 매우 경쟁적이고 심리적으로 소모적인 교육 과정을 경험하는 "집단적 불안"을 대변했다. 그러나 신화를 밝히면서 콘래드는 pre-medical school syndrome과 이와 관련된 cut-throat에 대한 고정관념이 바뀔 것 같지 않다고 결론지었다. 왜냐하면 (학생들의 증상 및 이로 인한 신화를 발생시키는) 근본적인 구조적 요인은 근본적으로 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는 신화 부수기myth busting의 복잡성에 대한 통찰력을 보여주었는데, (이 신화를 바로잡기 위한) 개혁reform은 학습자 행동을 억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의료 훈련을 조직하고 전달하는 방식을 혁신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It provided a cultural explanation for failure to make it into medical school, a type of face-saving for students. The myth represented the “collective anxiety” of pre-medical students experiencing a highly competitive and psychologically draining educational process.40 However, in debunking the myth, Conrad also concluded that the pre-medical school syndrome and related stereotype of the cut-throat were unlikely to change because the underlying structural factors generating both student symptomatology and the consequential myth remained fundamentally untouched. He thus exposed insights into the complexity of myth busting, which suggest that reform needs to focus not only on curbing learner behaviours but on transforming the way we organise and deliver medical training. 

 

3.3 | "사체 이야기"의 신화
3.3 | The myth of “cadaver stories”

프레데릭 해퍼티41은 [해부학 실험실에서 학생들의 극도로 부적절한 행동]에 대한 카데바 이야기 또는 신화의 사회화 기능을 폭로했다. 14년 동안 200여 점의 사체 이야기가 수집되고 분석되었습니다. 억제와 약점 근절을 위한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전체 시체 또는 특정 부분(극단 또는 성 장기)의 물리적 및 상징적 조작physical and symbolic manipulation 에 대한 내러티프 유형이 나타났다. 콘래드와 마찬가지로, 해퍼티도 이러한 이야기와 연관된 중요한 사회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예를 들어서, 1학년 학생들이 pre-medical school 때부터 이어져온 불안과 공포에 대응하기 위한 부적응적 행동과 같은 것이다. 그는 "이 이야기들의 문자 그대로의 정확성은 묘사된 사건들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접근하여 실험실을 경험하기 시작할 때 가지고 있는 실제 두려움과 우려의 상징적 변형에 있다"고 언급했다.
Frederic Hafferty41 exposed the socialising function of cadaver stories, or mythologies about grossly inappropriate behaviours of students in anatomy laboratories. Over the course of 14 years, nearly 200 cadaver storie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A typology of narratives of the physical and symbolic manipulation of whole cadavers or certain parts—extremities or sexual organs—in various scenarios for the express purpose of challenging inhibitions and rooting out weaknesses emerged.41 Hafferty, like Conrad, exposed important socialising mechanisms linked to these stories, including maladaptive practices for dealing with the anxiety and fear of first-year medical students, carried forward from pre-medical school years. He noted that “the literal accuracy of [the] ‘trueness’ of these stories lies not in the events depicted but in the symbolic transformation of the actual fears and concerns held by students as they approach and thus begin to experience lab”.41

Hafferty는 우리가 일반인에서 건강 전문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겪는 불안과 심리적인 딜레마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한 신화와 달갑지 않은 행동 모두 지속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Hafferty concluded that both myths and unwelcome behaviours will persist as long as we ineffectively deal with the anxiety and psychological dilemmas faced by students during this liminal phase in their transition from lay person to health professional.41 

 

3.4 | "학습 스타일"의 신화
3.4 | The myth of “learning styles”

학습 스타일에 대한 이론은 학습 방법이 다르고 학생이 자신의 학습 스타일(청각, 시각, 촉각 또는 수렴)을 이해한다면 공식 및 비공식 환경에서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개념에 전제를 두고 있습니다. 20 학습 스타일이 집중력, 기억력 및 동기를 향상시키며 학습자에게 더 만족스러운 교육 경험을 제공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학습 스타일 이론은 또한 커리큘럼과 커리큘럼의 전달이 학습자의 개별 스타일에 맞춰져야 한다는 개념을 촉진합니다. 교실에서 이 이론을 적용하는 명백한 목적은 학생들의 학습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적 관행, 즉 학습 방식을 교육적 접근법으로 사용하는 것은 30년 이상 과학적으로 도전받아 왔습니다. 실제로, 학습 스타일 기반의 교육설계 접근법은 많은 해로운 영향과 관련된다
The theory of learning styles is premised on the notion that there are di fferent opti mal ways to l earn and that i f a student understands his or her own learning style (ie auditory, visual, tactile or convergent), that student can improve his or her learning effectiveness in formal and informal settings. 20 Claims have been made that learning styles improve concentration, memory and motivation and lead to more satisfying educational experiences for learners. Learning style theory also promotes the notion that the curriculum and its delivery should align with the individual style of the learner. The manifest purpose behind the application of this theory in the classroom is to improve student learning. This social practice, however, that is, the use of learning styles as an instructional approach, has been challenged scientifically for over 30 years.18,42-44 Indeed, a number of harmful effects are associated with the use of a learning stylesbased approach to instructional design. 

그렇다면 왜 신화는 계속되는 것일까?
Why then does the myth persist?

이러한 사회적 관행의 잠재적 기능 중 하나는 [경제적 이득]을 위한 조건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학습 스타일의 개념을 중심으로 전체 산업이 조직된 것은 우연이 아니며 교육용 소프트웨어, 책, 테이프 및 컨설턴트 서비스의 생산을 포함합니다.42 단순히 신화를 디버깅한다고 해서 이러한 제품이 교육자와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one possible latent function of this social practice is that it constructs the conditions for economic gain. It is not coincidental that an entire industry has been organised around the notion of learning styles and includes the production of educational software, books and tapes, and consultant services.42 Simply debunking the myth will not eliminate the influences of these products on educators and learners.

학습 스타일은 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손쉬운 해결책이며, 특히 개입이 검증된 도구에 의존할 때 더욱 그렇습니다. 학습 스타일을 전제로 하는 교육학은 (긍정적인 강의실 심리를 이용하여) 학습자 선호에 맞춰 교육을 조정함으로써, 커리큘럼 문제에 대한 [표면적 해결책]을 제공합니다. 의학교육은 [학습자 만족]을 [학습 또는 교육 효과]의 대용물로 사용하는 것은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강사는 학습자 만족도를 포함하여 학습자의 학습 인식에 따라 평가됩니다. 학습자에게 개인 욕구를 학습자로써 해결하는 것으로 인식되지 않는 교사는 가혹하게 판단됩니다. 교원평가는 그 후 교사의 승진에 사용된다. 이러한 사회정치적 의존은 많은 명백한 잠재된 교실 행동을 조장합니다. 이러한 행동들이 비록 교사들과 학습자들의 더 큰 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이 모든 것이 과학적으로 더 나은 학습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Learning styles are an easy solution for solving educational problems, particularly when the intervention draws on purportedly validated tools.42 Pedagogies premised on learning styles offer a surface fix to curriculum issues that capitalises on the positive classroom psychology afforded by aligning instruction with learner preferences. In medical education, the use of learner satisfaction as a proxy for learning or teaching effectiveness has a long tradition.45,46 For example, instructors are evaluated based on learners’ perceptions of their learning, including learner satisfaction. Teachers who are not perceived by learners as addressing their individual needs as learners are judged harshly. Teacher evaluations are then used in the promotion (or not) of teachers. This sociopolitical dependency encourages a number of manifest and latent classroom behaviours, not all of which are scientifically proven to lead to better learning, although they may lead to greater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learners.

비록 학습 스타일이 신화이긴 하지만, 이 이론은 우리가 소중히 여기는 [교수자 및 학습자 태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debunking의 효과보다 끊임없이 더 큰 효과를 낼 것입니다. 학습 선호의 개념은 학습자 및 교수자에게 직관적이기 때문에, 단순히 이 이론의 과학적 전제를 debunking하는 것만으로는 '어떻게 학습을 우선시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을 바꾸기 어려울 것이다. 또한, 보건 전문가가 자기 주도적 학습과 평생 학습에 참여하기 위한 의무는 학습자가 지속적인 공식 학습에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받는 데 크게 의존합니다. 

Although learning styles are a myth, this theory will continue to have material effects way beyond its debunking because it is intimately linked to instructor and learner attributes we value. For those students and teachers for whom the notion of learning preferences makes intuitive sense, decisions about how to prioritise learning will be hard to change simply by debunking the scientific premise of the theory. Further, imperatives to ensure that health professionals engage in self-directed and lifelong learning rely to a large extent on the learner being motivated to engage with ongoing formal learning. 

 

3.5 | "환자 정보 전단"의 신화
3.5 | The myth of “patient information leaflets”

지난 10년간 암스트롱 외 연구진은 암 실험 환자 모집을 돕기 위해 사용된 동의서들의 명시적 기능과 잠재 기능을 의도적으로 탐색했다. 이들은 환자 의사 결정 개선에 있어 비효과적이라는 증거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자 정보 전단(PIL)의 사용이 지속되는 이유를 조사했다. 암스트롱 등은 [PIL의 의도하지 않은 기능]에 대하여, 의료 기관이 [환자 의사 결정]을 개선해야 한다는 의무를 어떻게 방해했는지interfere with 문서화했다. 의료기관은 [환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그들이 암 실험에 참여하기를 원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하도록 하는 대신, 프로세스에 "환자가 참여해야 한다patients should participate"라는 가정assumption을 주입하였다고 볼 수 있다.

In the past decade, Armstrong et al47 deliberately explored the manifest and latent functions of the informed consent documents used to aid patient recruitment for cancer trials. They examined why the use of patient information leaflets (PI Ls) persists despite growing evidence of their ineffectiveness in improving patient decision making. By attuning to the PIL's unintended functions, Armstrong et al documented how the health care organisation interfered with its espoused mandate to improve patient decision making by infusing the process with assumptions of how “patients should participate” rather than providing patients with information and allowing them to decide whether or not they wanted to participate in cancer trials.47

그들은 (환자 행동에 영향을 줘야 하기 때문에 자주 실패하는 - 하지만 필요한 - ) PIL의 가독성 향상에 초점을 맞추는 대신, 의료기관은 [연구 윤리가 규제되고 실행되는 방법]에 맞춰서 practice를 재구조화하는데 에너지를 더 투자한다. 또한 의료기관은 환자 교육의 가장 취약한 부분인 '지식생성의 정치학'의 프로세스에 노출시킨다. 그러므로, 신화의 명백하고 잠재된 기능을 감상하는 것은 우리가 의료 분야에서 가장 취약한 행위자들을 목표로 하는 개혁을 위한 개입을 개발할 때 문제에 대한 더 미묘한 그림을 개발할 수 있게 해준다.

They concluded that instead of focusing on improving the readability of the PIL, a strategy that often fails because it targets patient behaviours, the health care organisation might invest its energy more productively in restructuring practices related to how research ethics are regulated and practised, exposing in the process the politics of knowledge making that constitute the underbelly of patient education.47 Thus, appreciating the manifest and latent functions of myths allows us to develop a more nuanced picture of issues when developing interventions for reform that target the most vulnerable of the actors in health care. 

4 | 결론
4 | CONCLUSIONS


[신화 깨부수기에 대한 집착]은 의학 교육에 적용되는 과학주의적 인식론의 발현이다.29 우리는 신화에 대한 대안적 접근법, 즉 [교육 관행의 사회정치적, 문화적 차원을 탐구]할 수 있는 접근법을 소개했다. 이러한 신화에 대한 (대안적) 접근방식은 [(교사, 학습자, 의료 제공자 및 환자가) 과학적 신화나 문화적 신화를 광범위하게 채택하는 과정에서 영속화되는 지식의 상징적 표현을 통해 공유된 의미를 도출한다는 점]을 높이 평가합니다.48 신화는 스토리텔링과 의미 형성의 한 형태이며, 우리로 하여금 "추론을 가능하게 하는 복잡한 규범적 구조뿐만 아니라, 세계와 그 안에 있는 우리의 위치에 대한 그림"을 전달하도록 해준다.
The preoccupation with myth busting is a manifestation of the epistemology of scientism as applied to medical education.29 We have introduced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myth, one that allows us to explore the sociopolitical and cultural dimensions of education practice. This approach to myth appreciates that teachers, learners, health care providers and patients derive shared meaning through symbolic representations of knowing perpetuated through the wide adoption of scientific or cultural myths.48 Myths are a form of storytelling and meaning making that allows us to transmit “whole pictures of the world and our place within it, as well as the complex normative structures that make reasoning possible”.29 

우리는 의학교육과 의학에서 영속되는 신화가 [우리의 지적 역사의 필수적인 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그렇기에 [신화를 지워내는 것은 쉽지 않을 수도 있고, 어쩌면 완전히 지워져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We have argued that the myths that perpetuate in medical education and medicine form an integral part of our intellectual history that may not be easily and perhaps ought not to be entirely expunged. 

과학과 의학은 항상 신화를 동반한다.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는 것은 그 자신의 반쪽 진실을 영속시키는 것이다. 과학적으로 진실이 되기 위한 우리의 탐구에 있어서, 우리는 [우리는 무엇이 진실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진실들을 어떻게 돌봄의 전달에 적용시키고자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value-laden questions를 던져야 한다. 현재 우리 분야가 [보다 강력한 인본주의적 치료 모델의 통합]과 함께 [치료에 대한 기술주의적 추구]의 균형을 재조정하기 위해 몰두하고 있는 것은, [가치에 대한 결연한 재협상]과 [질병 경험의 피할 수 없는 주관성에 대한 인식]을 필요로 합니다.
Science (and medicine) as a social practice is always accompanied by mythologising. To insist otherwise is to perpetuate its own half-truth. In our quest to be scientifically true, we must ask important value-laden questions that concern what we are trying to be true to and how we want to put these truths to work in the delivery of care. Our field's current preoccupation with rebalancing technocratic pursuits for cures with a stronger concentration and integration of humanistic models of care49-57 requires the concerted renegotiation of values and an appreciation of the inevitable subjectivity of illness experiences.

이 제안의 핵심은 '과학'은 "현실의 본질에 대해 우리에게 무엇인가를 드러내기"에 [신화는 '과학'과 반대되는 것이 아니]라는 인식입니다. 그리고 그 현실을 우리는 의학medicine이라 부릅니다. 하지만 그것은 결코 인간의 건강 경험의 전모full story가 될 수 없습니다.
At the very heart of this proposal is an appreciation that myth is not antithetical to science and that science “reveals to us something of the nature of [the] reality”29 that we call medicine, but it can never be the full story of the human health experience. 





Med Educ. 2020 Jan;54(1):15-21.

 doi: 10.1111/medu.13828. Epub 2019 Aug 28.

Myths and social structure: The unbearable necessity of mythology in medical education

Maria Athina Tina Martimianakis 1Jon Tilburt 2Barret Michalec 3Frederic W Hafferty 4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Department of Paediatrics, Hospital for Sick Children and Wilson Centr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 2Divisions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and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 and Biomedical Ethics Research Program, Mayo Clinic, Rochester, Minnesota.
  • 3Department of Sociology, Center for Interprofessional Development, Education and Research (CIDER), University of Delaware, Newark, Delaware.
  • 4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Program on Professionalism and Values, Mayo Clinic College of Medicine and Science, Rochester, Minnesota.
  • PMID: 31463956
  • DOI: 10.1111/medu.13828Abstract
  • Context: Myth busting engages scholars in the critical examination of commonly accepted but poorly evidenced claims with the goal of instilling quality and trust in knowledge making. The debunking of such knowledge "myths" and associated misguided practices purportedly serves to avert resources and attention from wasteful and dangerous scholarship. We address the myth that "all myths in medical education deserve to be busted".Results: Our analysis revealed the important function of myths in the social practice of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A deconstruction of five salient examples of the contemporary myth in medical education (the myth of the "ideal candidate", the myth of "cut-throats", the myth of "cadaver stories", the myth of "learning styles", and the myth of "patient information leaflets") demonstrates that myths continue to have material effects even after they have been busted.
  • Conclusions: Our analysis makes evident that myth busting disrupts, renegotiates and reconstitutes socio-epistemic relationships rather than simply correcting falsehoods. We also argue that myths play important and inescapable roles in the social practice of medical education and the negotiation of values, and in constructing the conditions for group change and transformation. Imperatives related to humanism, compassion and patient engagement offer a healthy humanising counter-mythologising that we suggest must survive any contemporary myth-busting endeavour aimed at improving medical education practice.
  • Methods: Using a critical narrative approach, we searched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for orientations to myths and myth busting, and reviewed this literature analytically drawing from the sociology of science and Merton's concepts of manifest and latent function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presented in the form of a narrative that deploys the articles reviewed to explore the utility of myth busting for medical education reform and begins with a brief exploration of the etymology of "myth" and how meaning making is related to symbols, practices and storytellin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