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과 군도: 프로그램적 연구와 기회주의적 연구의 조화(Perspect Med Educ, 2020)
Islands and archipelagos: Reconciling programmatic vs. opportunistic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Glenn Regehr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해 볼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프로그램적"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정하느냐는, 당신의 직업에서 [기회주의적 연구]의 위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 실제로 보건직 교육 분야에서는 특정 주제 분야를 선택하고 대부분의 연구 시간을 해당 분야에서 보내는 연구자들이 있습니다. 이들 중 일부는 임상 진단 및 관리에 대한 전문지식의 성격과 같은 보다 개념적인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 다른 이들은 특정 교육 혁신 또는 평가 도구의 개발 및 개선과 같은 보다 구체적인 문제에 초점을 맞춥니다.
  • 또한 다른 이들은 위탁 결정의 성격과 기록 방법(개념적 질문과 실제적 질문을 모두 포함하는)과 같은 중간의 공간을 찾는다.  

There are several ways to think about what it means to engage in a program of research. How you choose to frame the notion of “programmatic” will affect how you think about the place of opportunistic research in your career.

  • There are indeed some researcher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who pick a specific topic area and spend the majority of their research time in that area. Some of these individuals focus on a more conceptual issue, such as the nature of expertise in clinical diagnosis and management.
  • Others focus on more concrete problems, such as the development and refinement of a particular educational innovation or assessment tool.
  • Still others find a space that is somewhere in between, such as exploring the nature of entrustment decisions and how to record them (which encompasses both conceptual and practical questions).

그러나 이러한 고도로 집중된 개인들도 어떤 이유로든 종종 다른 연구 분야로 이탈할stray 가능성이 높습니다. 연구자의 핵심 주제 분야가 아니더라도 연구를 희망하는 타인에 대한 일정 수준의 지원이 직무기술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일 수 있다. 또는 연구자가 포기할 수 없는 기회에서 비롯될 수도 있다(내 동료 중 한 명은 특정 주제와 상관없이 연구팀과 함께 일하는 것이 흥분되어 가끔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을 묘사한다). 일부 핵심 연구 분야에 대한 그들의 깊은 헌신 때문에, 이러한 한 분야에 집중하는 연구자들은 [(그들이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프로그램적 연구]와 그들이 [기회주의적으로 참여하는 "기타" 연구] 활동을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그들은 적극적으로 그들이 참여하는 기회주의적 연구의 양을 제한하고 그들의 연구 프로그램에 최대한 초점을 맞추려고 노력할 수 있습니다.

Yet even these highly focused individuals are likely to stray into other areas of research occasionally, for any number of reasons. Their side forays may be because their job description includes a certain amount of support for others who are hoping to conduct research, even if it is not directly in the researcher’s core topic area. Or it may result from chance opportunities a researcher feels cannot be passed up (one colleague of mine describes occasionally joining research projects because she is excited to work with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regardless of the particular topic). Because of their deep commitment to some core research area, these focused researchers may drawthe distinction between “their” programmatic research(which they actively pursue) and the “other” research activities they engage in opportunistically. Thus, they may try to actively limit the amount of opportunistic research they engage in and keep as much focus as possible on their own research program(an approach that your supervisor seems to be recommending). 

저 자신의 연구 접근법은 프로그램적 연구와 기회주의적 연구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내 여러 연구결과물에서 이어지는 주제도 있지만, 그 주제들은 각각 다른 사람들과의 작업 때문에 기회주의적으로 생겨났다. 그리고 각각은 새로운 개인이 그 분야에 대한 관심과 새로운 관점을 가지고 나에게 다가오기 때문에 앞으로 나아갑니다. 예를 들어, "나의" 자기 평가 관련 연구작업은 수년 전 정신과 레지던트와의 가벼운 산책에서 시작되었는데, 그는 어떤 학문적인 분야에 관심이 있느냐고 물었더니 학생들의 자기 평가를 개선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진 대화로 우리는 과연 자기 평가가 무엇이고, 무엇을 위한 것인지에 대해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이것은 그가 새로운 자기 평가 모델(상대 순위 모델이라고 부르는 것)을 개발했기 때문에 그의 석사 논문의 주제가 되었습니다. 

My own approach to research has tended to blur the boundaries between programmatic and opportunistic research. There are certain themes that run through my work, but each of those themes arose opportunistically because of my work with others. And each moves forward because a new individual comes to me with an interest in the area and a new perspective on the issue. As an example, “my” self-assessment work began many years ago during a casual walk with a psychiatry resident who, when I asked him what scholarly area he was interested in, said that he wanted to improve students’ self-assessment. The ensuing conversation led us to start to wonder what self-assessment really was, and what it was for. This became the topic for his Master’s thesis, as he developed a new model of self-assessment (something he called the relative ranking model).

그 연구 프로그램을 뒷받침해준 몇 가지 연구 후에, 그는 다른 방향으로 나아갔다. 그래서 그 "내" 연구의 영역은 몇 년 동안 그 분야의 연구를 더 진행했고, 몇 년 후 그 분야를 연구하기 시작한 한 주니어 동료가 나에게 접근하였다. 이 새로운 공동작업자는 임상의가 실무에서 안전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보다 합리적인 개념화로서 자가 모니터링 개념을 발전시킨 여러 연구를 주도했습니다. 그 기간 동안, 또 다른 어떤 외과 동료는 수술에서 안전한 실습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는 데 관심을 보였고, 이로 인해 저는 일상적인 실습에서 자가 모니터링을 탐구하는 그녀의 박사 논문을 돕게 되었습니다. 

After a few studies supporting that research program, he mov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area of “my” research lay fallow for a few years until a junior colleague started working inthe area and approached me to collaborate with him. This new collaborator led several studies that developed the idea of self-monitoring as a more sensible conceptualization of how clinicians stay safe in practice. During that time, a surgeon colleague was showing interest in understanding the notion of safe practice in surgery, which led to my supporting her PhD thesis exploring self-monitoring in everyday practice (what she called “slowing down when you should”).

나에게 있어, 그 연구 분야는 다른 학생 및 동료연구자들의 관심 때문에, [피드백에서 "자기"의 역할에 대한 탐구]로 바뀌었습니다. OSCE 측정, 직장 기반 평가, 전문 정체성 구축 또는 임상 추론에 대한 전문 지식과 관련된 내 연구 주제에 대해 비슷한 이야기를 할 수 있습니다. 이 중 어느 분야도 '내 연구'로 적극적으로 추진하지는 않았지만 기회가 생기면 그 사람의 관심사와 내가 생각해 온 것을 함께 연구하게 되어 기뻤다. 그리고 저는 그 특정 분야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했습니다. 왜냐하면 어떤 사람이 처음에 저에게 흥미로운 문제를 가지고 다가왔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아마도 나의 연구 스타일에 대한 가장 좋은 설명은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기회주의적으로 발생하는 교육의 실질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프로그램적 접근방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For me, that area of research has now morphed into explorations of the role of the “self” in feedback because of the interests of other students and collaborators. I could tell similar stories about my research themes around OSCE measures, workplace-based assessment, professional identity construction, or expertise in clinical reasoning. I did not actively pursue any of these areas as “my research”, but when opportunities arose, I was happy to marry the person’s interests with something I had been thinking about. And I only started thinking about that particular area because someone had initially approached me with an interesting problem they wanted to explore. So perhaps the best description of my own research style is that I have a programmatic approach to addressing the practical problems of education that arise opportunistically through my interactions with others. 

그러나 내가 해온 모든 연구 연구활동의 보다 심층에는 "프로그램적" 일관성이 있습니다. 즉, 제가 작업 중인 모든 분야에 일관된 [개념 렌즈 세트]입니다. 저는 우리들(또는 적어도 우리들 대부분은)이 특정 학문분야의 훈련을 통해 자신만의 렌즈 세트를 개발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부분적으로는 멘토와 감독자로부터, 부분적으로는 우리가 선택하여 읽고 따르기로 한 문헌으로부터 '렌즈의 세트set of lenses'를 물려받습니다. 이 렌즈들은 우리가 세계를(그리고 그 세계의 문제를) 프레이밍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그것은 상황을 해석하는 방법, 우리가 자연스럽게 던지는 질문의 종류, 그래서 우리가 찾을 수 있는 해답을 형성합니다.
However, there is also a deeper level of “programmatic” coherence across all my research enterprises: the consistent set of conceptual lenses that I bring to whatever I am working on. I think each of us (or at least most of us) develop our own set of lenses through our disciplinary training. We inherit them, in part, from our mentors and supervisors and, in part, from those we choose to read and follow in the literature. These lenses define the ways in which we tend to frame the world (and its problems). It shapes our ways of interpreting situations, the sorts of questions we naturally ask and, therefore, the sorts of answers we can find.

따라서, 우리의 개념적 렌즈는 해당 분야의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 우리를 위치시킵니다. 제 뿌리는 인지심리학에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개발한 모든 연구 질문들은 인지주의 틀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주제와 상관없이 저는 항상 [개인]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즉, 사람들이 주변의 세상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이해가 그들의 결정과 행동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말입니다. 물론, 다른 사람들은 그들만의 렌즈를 가지고 옵니다: 사회학, 수사학, 정신분석학, 인구과학, 시행과학, 또는 비판 이론. 

 Thus, our conceptual lenses position us relative to others in the field. My own roots are in cognitive psychology, and all the research questions that I develop have this cognitivist framing. So regardless of topic, my focus is always on the individual—how people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world around them and how that understanding affects their decisions and ways of acting in the world. Others, of course, bring their own lenses: sociology, rhetoric, psychometrics, population sciences, implementation sciences, or critical theory (to name just afew). 


위의 개념적 렌즈는 여러분의 "프로그램" 연구에 대한 또 다른 사고방식을 제공합니다. 여러분이 다루는 [특정한 문제]들은 상당히 정기적으로 바뀔 수 있지만, 여러분이 그 문제들에 [적용하는 렌즈]들은 더 일정할 것입니다. 비유하자면, 저는 저의 연구 접근법과 그 결과로 생긴 공동 출판 기록을 [바다의 섬]에 비유합니다. 저와 함께 일하는 각 공동작업자는 우리가 건설하고 있는 섬의 소유권을 합법적으로 주장할 수 있습니다(특정 주제 또는 질문). 하지만 1만 미터 상공에서 이 모든 섬들을 보면, 하나의 군도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 명백해집니다. 내가 이 일에 기여한 것은 [단순히 섬의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섬이 구축된 수면아래에 자리잡고 있는 개념적이고 방법론적인 땅덩어리]이다. 한 사람의 작업이 군도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면, 섬 자체(연구)가 형성되기 전에 훨씬 더 많은 기초 작업(대양 바닥에 재료를 붓는 일)이 필요하다. 하지만 만약 내가 내 땅 가까이에 있는 사람을 협상할 수 있다면, 그것은 그 사람의 섬의 발전을 더 쉽게 지지해주고 내 군도를 확장시켜준다. 

These conceptual lenses offer another way of thinking about your “program” of research. The specific problems you address may change fairly regularly (because of the various opportunities that arise) but the lenses you apply to them (the way you frame them and explore them), will be more constant (although these too might evolve with time). By way of analogy, I liken my research approach and my resulting collaborative publication record to islands in an ocean. Each collaborator I work with can legitimately claim ownership of the island we are co-constructing (the particular topic or question). But if one looks at all these islands from10,000 metres up, it becomes clear that they forman archipelago. My contribution to the work is not just the building of the island, but the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landmass that sits under the water on which each of the islands are built. If a person’s work is too far away from the archipelago, then it takes a much greater amount of foundational work (pouring material onto the ocean floor) before the island itself (the study) can take shape. But if I can negotiate the person close to my landmass, then it more easily supports the development of the person’s island and it extends my archipelago. 

특정 학문을 기반으로 한 박사과정 프로그램을 통해 보건 직업 교육 분야에 진입한 많은 사람들에게, 우리는 그 땅덩어리의 모양을 명시적으로 정의할 필요도 없었고, 따라서 어떻게 그것이 HPE 유형의 섬들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지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도 없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나는 종종 [이 분야에 입문하는 사람들]에게 그들만의 선언문manifesto을 쓰는 데 시간을 할애할 것을 추천한다. 그렇게 한다면, 자기자신과 다른사람 모두가 [자신이 어떤 관점을 이 분야로 가지고 왔고, 그 관점이 어떤 독특한 시각을 제공하며, 그리고 그 새로운 통찰이 어떻게 다루고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알게 될 것이다.

For many of us who come to the field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rom a discipline-based PhD training program, we have never had to explicitly define the shape of that landmass, nor think about how it might effectively support HPE types of islands. It is for this reason that I often recommend to those entering the field that they spend some time writing their own manifesto in order to help them develop a clear understanding for themselves and others

  • what perspective they bring to the field,
  • what their perspective allows them to uniquely see, and
  • how that new insight might help others in the field address the problems they are grappling with. 

 

이것은 다른 사람들이 당신의 군도의 10,000미터 경치를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현장에서 무작위로 주제를 수집한 것처럼 보일지라도 CV의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또한 협업 대상을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만약 대상을 선택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협업을 의미 있게 만들게끔 도와준다). 이 선언서는 일반적으로 쓰기가 쉽지 않고 때로는 1-2년 정도 걸릴 수 있다. 왜냐하면 그것은 단지 여러분이 누구인지 말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배경, 목표, 그리고 렌즈를 가진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관련 있는 청중들에게 이치에 맞는 방식으로 shaping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This helps others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10,000 metre view of your archipelago (the coherence of your CV, even if it might look like a random collection of topics on the ground). And it helps you make rational choices about what to collaborate on (or how to make a collaboration meaningful if choice is not an option). This manifesto is generally not easy to write and can sometimes take up to a year or two, because it is not just a matter of stating who you are but shaping it in a way that makes sense (and sounds relevant) to an eclectic audience of disciplinarians and practitioners with differing backgrounds, goals and lenses of their own. 

중요한 것은 [다른 사람들에게 당신의 관점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그 관점이 드러낼 수 있는 것의 힘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하지만 잘만 한다면, 그러한 문서는 당신의 땅덩어리의 쓰여진 표현과 당신이 프로그램적으로 일련의 섬을 공동 건설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습니다.

The point is not to teach others your perspective, but to show them the power of what that perspective can reveal. But if done well, such a document can become the written manifestation of your landmass, and the foundation on which you can co-construct a set of islands programmatically. 



Perspect Med Educ. 2020 Dec;9(6):367-369.

 doi: 10.1007/s40037-020-00628-7. Epub 2020 Nov 19.

Islands and archipelagos: Reconciling programmatic vs. opportunistic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Glenn Regehr 1

Affiliations expand

Free PMC article

No abstract availabl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