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와 의학 전문직업성: 논쟁과 나아갈 길(Acad Med, 2014)

Social Media and Medical Professionalism: Rethinking the Debate and the Way Forward

Tara Fenwick, MEd, PhD




의료 협회, 의료 교육자, 연구자 사이에 blog 및 마이크로블로그(트위터), 소셜 네트워크 작업 사이트(Facebook, Myspace), 콘텐츠 공유 사이트(YouTube, Flickr) 등 소셜 네트워킹 미디어의 사용에 대한 토론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1 의료 서비스 향상을 위한 소셜 미디어의 이점을 제시하는 새로운 연구에도 불구하고 실천, 출판된 문학은 여전히 그것의 인식된 남용에 대한 강한 우려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이러한 소셜 미디어의 위험은 일반적으로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우려로 프레임되며, 소셜 미디어 사용은 직업 윤리의 문제로 논의되고 있다.

A surge of interest in debating the uses of social networking media—blogs and microblogs (Twitter), social net­ working sites (Facebook, Myspace), and content sharing sites (YouTube, Flickr)—is occurring among medical associations, medical educators, and researchers.1 Despite emerging studies that suggest benefits of social media to enhance medical practice, the published literature remains dominated by strong concerns about its perceived abuses. These social media risks are typically framed in worries about medical pro­fessionalism, and social media use is discussed as a matter of professional ethics.


위험 회피에 대한 이러한 강조는 중요하지만, 소셜 미디어에 의해 제공되는 실험과 새로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온라인 행동을 규제하는 가이드라인에 걸려 있는 역학관계를 재고하고 온라인 전문성을 재고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This emphasis on risk avoidance, although important, can foreclose experimentation and the new possibilities afforded by social media. What may be helpful is to reconsider the dynamics at stake in the guidelines that regulate online behavior and to rethink online professionalism.


증거 검사: 소셜 미디어 사용 검토

Examining the Evidence: Reviewing the Use of Social Media


의료행위에 소셜미디어를 사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성이 널리 설명되어 있다.4–6 가장 윗부분은 불경스럽고 차별적인 언어 및/또는 술취하거나 성적으로 노골적인 행동을 묘사하는 내용을 게시함으로써 환자의 기밀성을 훼손하고 의료계에서 공공적 confidence를 침식하는 것에 대한 우려사항이다.7 일부 저자들은 전문가들이 전자 매체를 통해 친구들에게 보내는 개인적인 메시지는 프로페셔널리즘 코드에 따라 면밀히 조사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비전문성 혐의는 블로그와 연관되어 있으며, 고용주를 비난하는 트윗이 유포되었다.6 온라인 환경에 대한 불감증과 익명성이 언론의 넓은 범위에 의해 즉시 증폭된 부적절한 게시물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일반적인 우려가 있다.4

The potential risks of using social media in medical practice are widely described.4–6 Uppermost are concerns about compromising patient confidentiality and eroding public con­fidence in the medical profession through posting content that contains profanity, discriminatory language, and/or depictions of intoxication or sexually explicit behavior.7 Some authors have warned that professionals’ personal messages to friends via electronic media can be scrutinized according to codes of profes­sionalism. Charges of unprofessionalism are also linked to blogs and tweets per­ceived to criticize employers.6 There is general concern that a sense of dis inhibition and anonymity in online environments may produce inappropriate postings, amplified immediately by the wide reach of the media.4


이러한 우려에 대응하여, 일부 사람들은 특정한 훈련과 연습을 필요로 하는 뚜렷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e­professionalism" 3,8을 주장해왔다. 이러한 최근의 추세에 따라, 새로운 정책들은 소셜 미디어 사용을 규제하고 줄이기 위한 자발적인 행동에 대한 처방을 명시적으로 제시하고 있다.9 예를 들어 영국 종합의사회는 2013년 4월 금지 사항을 강조하는 국가 소셜 미디어 정책을 발표했는데, 이 정책은 어디서나 환자에 대한 식별 가능한 정보를 공유하지 말며, 사회와 직업 관계를 혼용하지 말며, 자신을 의사라고 밝힌다면 어떤 사이트에도 익명의 자료를 올리지 말라는 것이다.

Responding to such concerns, some have argued for “e­professionalism”3,8 as a distinct new paradigm requiring particular training and practice. Following this recent trend, new policies have explicitly set forth prescriptions for nor­mative behavior to regulate and reduce social media use.9 The General Medical Council of the United Kingdom, for example, released a national social media policy in April 201310 that emphasizes the prohibitive: Do not share identifiable information about patients anywhere, do not mix social and professional relations, and do not post anonymous material on any site if you identify yourself as a doctor.


한편, 소셜 미디어가 어떻게 의료 관행을 강화할 수 있는지, 그리고 온라인 프리젠테이션이 어떻게 연대를 촉진하고 전문적 발전과 국가/국제적 연계를 확장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연구들이 지금 나타나고 있다.11–13

Meanwhile, studies are now appearing that show how social media can enhance medical practice and how an online pre­sence can foster collegiality and exte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national/ international linkages.11–13


함과 동료 11은 이 문헌에 대한 범위 지정 검토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보고되는 경향이 있지만, 아직 유의미한 효과성을 보이는 평가는 많지 않다고 결론짓는다. 이러한 증거의 부족은 소셜 미디어의 위험요소가 그것의 이익보다 훨씬 더 큰 관심을 끄는 한 가지 이유일 수 있다.

In their scoping review of this literature, Hamm and colleagues11 conclude that while positive results tend to be reported, there is not yet much evaluation showing significant effective­ness. This lack of evidence may be one reason why social media hazards attract far greater attention than do its benefits.


분명히 소셜 미디어와 의료 직업에 대한 연구 확산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Clearly, despite the proliferating studies of social media and medical profession­alism, more research is needed


그리슨과 동료 17은 여전히 문제가 있는 내용의 의사 게시물이 전체 프로파간다 위반 건수의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에 불과하며, 이러한 게시물은 온라인 상에서 심각한 오프라인 위반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고 결론짓는다. 즉, 공동체로서 우리는 문제가 되는 행동이 소셜 미디어의 결과인지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 활동을 감시하고 의대생들에게 온라인 전문성에 대해 가르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인지 살펴봐야 한다) 혹은, 어쩌면 온라인 환경은 (이미 존재하는) 의료 전문직업성의 더 싶은 문제를 그저 좀 더 가시적이고 더 공개적인 문제로 만드는 것일지도 모른다.

Greysen and colleagues17 conclude that physician postings of problematic content still constitute only a relatively small percentage of the total number of profes­sional violations, and that these postings may be online manifestations of serious offline violations. That is, as a community, we might look more closely at whether problematic behaviors are a consequence of social media (and therefore best addressed through policing online activity and teaching medical students about online professionalism) or if, perhaps, the online environment simply makes more visible—and more public—some deeper problems in conceptualizing and actualizing medical professionalism.


프로페셔널리즘 재고

Reconsidering Professionalism(s)


의학적 "온라인 전문성"으로 이해되는 것은? 소셜미디어 문학에서 강조되는 것은 부적절한 개별 게시물에 해당된다. 여기서 우리는 전문직업성을 윤리적인 결정을 내리는 개인의 문제로 본다. 이러한 결정은 교육을 통해 발전하고 윤리 규범을 통해 규율할 수 있는 특정한 직업적 가치에서 도출된 합리적이라고 가정한다.

What is understood to be medical “online professionalism”? The emphasis in the social media literature falls on inappropriate individual postings. Here we see a view of professionalism as a matter of individuals making ethical decisions. The decisions are assumed to be rational, drawn from particular professional values that can be developed through education and disciplined through ethical codes.


점점 더, 오랫동안 지속되어온 이 논쟁은 비판적으로 재고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은 신뢰, 전문 지식, 공직에서의 위험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재량권과 관련된 규범적 가치 체계로 표현되어 왔다.18 그러나 비평가들은 프로페셔널리즘은 존재의 방식이 아니라, 오히려 [직업적 봉쇄와 통제를 보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념적 담론]이라고 주장한다.19

Increasingly, this long­standing assump­tion is being critically reconsidered. Traditionally, professionalism has been represented as a normative value system, associated with trust, specialized knowl­edge, and the discretion needed to manage risk in public service.18 However, critics argue that professionalism is not a way of being; rather, it is an ideological discourse used to ensure occupational containment and control.19


예를 들어, Lewis20은 제도화된 의학("전문직")과 "프로페셔널리즘"의 담론 (프로페셔널리즘은 아직도 개별 임상의들의 가치와 행동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사이의 근본적인 모순을 강조한다. 의료전문직은 전문가 중심, 첨단 기술, 고비용 개입을 강조한다. 때로는 인문학적 환자 치료, 사회 정의 및 민주적 조사를 희생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프로페셔널리즘은 개개인이 이타적 치료와 여러 기관에 대한 의무를 모두 책임지게 한다. 전문성 담론은 개인의 실무자들을 통제하고 이 개인들이 상충되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시스템을 탐색하는 데 일차적으로 책임을 지도록 함으로써 심오한 시스템 갈등을 억제하는 수사학처럼 잘 작동한다.

For example, Lewis20 highlights the fundamental con­flict between the discourses of institution­alized medicine (the “profession”) and of “professionalism” (which still tends to focus on the values and behaviors of individual clinicians). The profession emphasizes expert­driven, high­tech, high­cost interventions—sometimes at the expense of humanistic patient care, social justice, and democratic inquiry. However, professionalism makes the indi­vidual responsible for both altruistic care and duty to multiple authorities. The professionalism discourse works well as rhetoric to contain deep systemic conflicts by controlling individual practitioners and making these individuals primarily accountable for navigating the system to meet conflicting demands.


게다가, 의학 전문성에 대한 최근의 논쟁은 전문직업성의 단일한 프레임의 부적절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전통적인 프레임워크는 단순히 여러 규제기관, 빠르게 변화하는 증거, 그리고 새로운 형태의 실천요강에 대응할 수 없다.21 증가하는 연구는 의료전문가의 책임의 다원화를 의미한다.22 전문직들은 [제도적 규칙과 효율성, 환자와 가족, 광범위한 사회적 요구, 의학, 전문 표준과 규제 코드, 그리고 그들 자신의 개인적 가치에 대한 의무]를 잘 저글링해야 한다.

Furthermore, recent debates in medical professionalism have shown the inade­quacy of singular frames of profession­alism. These traditional frameworks simply cannot respond to multiple regulators, fast­changing evidence, and new forms of practice.21 Growing research points to the pluralism of medical professionals’ responsibilities.22 Professionals must juggle obligations to institutional rules and efficiencies, to patients and families, to broad social needs, to medical science, to professional standards and regulatory codes, and to their own personal values.


이러한 "약속 거미줄"은 종종 메이23이 "합법적인 타협"이라고 부르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의사들은 [여러 이해당사자들의 우려] 사이의 균형을 맞추되, 그 중 한쪽의 기대만 완전히 충족시키지는 않을 수 있는 행동 경로를 탐색한다.

This “web of commitments” often necessitates what May23 has called “legitimate compromises.” Doctors navigate a path of action that simultaneously balances concerns for different stakeholders with­out necessarily meeting the full expecta­tions of any one.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에서, 주니어 의사는 학생들과 교육자들의 공통적인 딜레마를 설명하기 위해 그의 마취 실습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해 정기적으로 블로그를 할 수 있다. 게시물은 효과적인 전략을 다룰 수 있지만, 고정된 일상, 상충되는 프로토콜, 조직과 자원의 비효과적인 병원 과정, 의심스러운 직원 역량, 가족 문제 등 문제를 드러낼 수도 있다. 비록 모든 자료가 익명으로 되어 있고 동료들과 대중들의 반응이 압도적으로 긍정적이라고 할지라도, 그러한 블로그는 쉽게 "비전문직업적" 행동으로 치부될 수 있다. 블로그 독자는 어쩌면 환자, 제공자, 직원 또는 다른 사람의 신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의사는 잠재적으로 고용주의 계약을 위반할 수 있다; 블로그 게시물은 동료에 대한 전문적인 윤리 규정을 어길 수 있다; 그리고 블로그 내용은 일부 환자의 기밀을 해칠 수 있다.

For example, in social media, a junior doctor may regularly blog about incidents from his anesthesia practice to illustrate common dilemmas for students and educators. The postings may cover effective strategies but may also reveal problems: entrenched routines, conflicting protocols, ineffectual hospital processes of organizing and resourcing, questionable staff competence, family issues. Even if all the material is anonymized and responses from colleagues and the public are overwhelmingly positive , such a blog can easily be dismissed as “unprofessional.” Blog readers may be able to discover the identities of patients, providers, staff, or others; the physician may potentially contravene an employer’s contract; blog postings may flout professional codes of ethics  respecting colleagues; and blog content may compromise some patients’ confidentiality.


일부 전문가들은 이러한 갈등에 의해 전문성에 대한 완전히 새로운 이해가 요구된다고 주장해왔다. 예를 들어 비판적 연구24는 [전문직업적 미덕의 보편적 목록]이 현대적 관행의 모순된 요구에 맞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직업사회학자인 이베츠는 병원과 같은 공공기관에 시장을 침투시킴으로써 프로페셔널리즘의 새로운 현실에 주목한다. 즉 그녀는 [프로페셔널리즘 커뮤니티("직업적" 프로페셔널리즘")를 정의하는 기존의 자율규제 및 이타적 약속]이 어떻게 [고용주의 요구와 생산 조치("조직적" 전문성")]에 의해 대체되고 재정의되는지를 보여준다.

Some experts have argued that entirely new understandings of professionalism are called for by these conflicts. For example, critical studies24 show that universal lists of professional virtues are not fit for the contradictory demands of contemporary practice. Evetts,25 a sociologist of professions, draws attention to new realities of professionalism being produced through the infiltration of markets into public institutions such as hospitals; that is, she shows how the conventional self-­regulation and altruistic commitments defining a pro­fessional community (“occupational” professionalism) are being displaced and overridden by employers’ demands and output measures (“organizational” professionalism).


점점 더 많은 연구자들이 복잡한 시스템에 내재된 공동의 노력으로서 전문성을 연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마르티미니아키스와 동료 26은 응급실 감독관의 간단한 지시로 바쁜 복도에서 임산부 환자의 빠른 질 검사를 한다는 것이 어떻게 전문직업성의 다중적 갈등을 통합하는지를 보여준다: 환자 중심의 진료, 자원 제약, 역사적 제도적 갈등과 실천, 위계, 성별, 인종, 그리고 의사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역할(해결사, 휴머니스트, 교사, 동료, 옹호자, 협력사원)

Increasingly, researchers are studying professionalism as a collec­tive endeavor embedded within complex systems. For example, Martimianakis and colleagues26 show how a simple direction to a clinical clerk from her emergency department supervisor that she conduct a quick internal vaginal examination of a pregnant patient in a busy hallway integrates multiple conflicts of professionalism: patient­centered care, resource constraints, historic institutional conflicts and practice, hierarchies, gender and race, and the different roles demanded of doctors (problem solver, humanist, teacher, colleague, advocate, cooperative employee).


이 모든 문제들은 전문직업성을 이해하는 데 있어 보다 시스템적이고, 관계적이며, 심지어 다원주의적 접근방식에 대해 말한다.

All of these issues speak to a more sys­temic, relational, and even pluralist approach to understanding professionalism.


소셜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생각

Thinking More Critically About Social Media


기술은 디지털 작업 전문가인 Orlikowski에 따르면, 테크놀로지는 사람들이 실제로 그것을 실천할 때에만 가치가 있고, 의미 있고, 그 결과물이 된다. 새로운 소셜 미디어와 같은 테크노로지의 운영과 결과는 고정되거나 결정되지 않는다. 그것들은 실제로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항상 출현한다. Orlikowksi27은 가상 공간의 우발적 상호작용을 말한다. 건강 관리에서 소셜 미디어를 통해 상호작용하는 다양한 온라인 사용자들은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Technology becomes valuable, meaning­ful, and consequential only when people actually engage with it in practice, accord­ing to digital work specialist Orlikowski.27 The operation and outcomes of techno­logies such as new social media are not fixed or determining. They are always emergent through interaction with humans in practice: what Orlikowksi27 calls the contingent intermingling of virtual spaces. In health care, the various online users interacting through social media— are not easily separated.


더욱이 소프트웨어 자체에 내장된 알고리즘과 기술적 여유와 같이 비판적으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역학관계가 있다. 이것들은 일상 생활을 지배하는 디지털 인프라를 만든다: 키친과 닷지28이 말하는 "코드스페이스"이다. 소셜 미디어의 기존 역사는 이미 특정 형태의 참여를 형성하고 있다. 페이스북 알고리즘과 루틴은 [무엇을 지식으로 취할 것인지]뿐만 아니라, [지식 교환의 내용과 스타일]을 형성한다. 반다이크의 소셜미디어 이용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친구맺기," "좋아요 누르기," 연결하기, 유행하기, 팔로잉 등의 패턴이 어떻게 관계에 대한 더 넓은 문화적 기대를 형성하게 되었는지를 보여준다. 프라이버시 개념 자체가 온라인 규범을 통해 재구성되고 있다. 관계, 프라이버시, 그리고 지식에 대한 이러한 변화된 생각은 환자와 전문가들이 온라인 상에서 어떻게 관여하는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Furthermore, there are important dynamics to consider critically, such as the algorithms and technological affordances built into the software itself. These create digital infrastructures that govern everyday practice: what Kitchin and Dodge28 call “codespace.” Existing histories of social media are already shaping particular forms of participation. Facebook algorithms and routines shape the content and style of exchange, as well as what is taken for knowledge. Van Dijk’s29 in­depth study of social media use shows how patterns of “friending,” “favoriting,” linking, trending, and following have come to shape broader cultural expectations for relationships. Notions of privacy itself are being recon­figured through online norms. These changing ideas of relationship, privacy, and knowledge are bound to affect how patients and professionals engage online.


의료계에 종사하는 우리들도 '개방성', 모호한 경계, 연결성이 본질적으로 좋은 것이라는 가정에 더 비판적일 필요가 있다. 사용자는 디지털 법인의 상업적 이익을 창출하는 콘텐츠를 창출하기 위해 무료 노동력을 기부하고, 사용자 연결은 기업 데이터 마이닝에 공급한다.30 이러한 관점에서 소셜 미디어 참여자는 [권한을 부여받은 행위자]이자 동시에 [착취당하는 대상]으로 볼 수 있다. 게다가, "정보격차"는 노령화, 저소득, 또는 시골지역 인구의 진정한 온라인 활동을 계속해서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Those of us in the medical community also need to be more critical of assumptions that “openness,” blurred boundaries, and connectivity are inherently good things. Users donate free labor to generate content that creates commercial profits for digital corporations, and user connectivity feeds corporate data mining.30 From this perspective, social media participants can simultaneously be viewed as empowered agents and targets for exploitation. Further, the “digital divide” continues to complicate genuine online outreach to aging, low­income, or rural populations.


이러한 매우 현실적이고 종종 드러나지 않는 문제에도 불구하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생성된 가상 환경은 의사소통을 위한 고유한 이점을 제공한다. 컨텐츠 반복 및 리믹스(다른 미디어 유형의 컨텐츠와 심지어 기법까지 결합)의 일반적인 관행은 새로운 하이브리드 형태의 지식을 생산하면서 참가자들을 독특한 방식으로 연결시킨다.

Despite these very real, often­ unexamined issues, the virtual environment generated through social media affords unique benefits for communication. Common practices of content reiteration and remixing (combining content and even techniques of different media types) connect participants in unique ways while producing new hybrid forms of knowledge.


가상 환경(사진, 웹 페이지, 게시물, 클릭과 선택 패턴 등)에서 우리의 "경로"나 디지털 발자국이 차지하는 현상은 유용한 방법으로 수확될 수 있는 자원을 만들어낸다.

The phenomenon of our “traces” or digital footprints in virtual environments (photos, Web pages, posts, even our patterns of clicks and selections, etc.) creates resources that can be harvested in useful ways.


추가 연구를 위한 문제

Issues for Further Research


우리는 다른 임상 상황에 있는 의사와 학생들이 실제로 일상 생활에서 소셜 미디어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견실한 비교 설명이 필요하다.

We need robust, comparative accounts of how physicians and students in different clinical contexts actually use social media in their everyday practice.


소셜 미디어를 통해 어떻게 전문적 정체성이 변화하고 적응할 것인가? 

온라인에서 구성되는 ID는 무엇인가? 

어떤 형태의 전문가-환자 간 의사소통이 온라인으로 진화하고 있는가?

How do professional identities shift and adapt through social media? 

What identities are constructed online? 

What forms of professional–patient communication are evolving online?


우리는 또한 대중을 참여시키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용한 정보를 퍼뜨리기 위해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것의 효과성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We also need studies providing evidence about the effectiveness of using social media to engage the public, provide service, and disseminate useful infor­mation.


이러한 종류의 연구는 소셜 미디어의 전문성에 관한 새로운 지침과 이슈를 식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소셜 미디어의 전문성에 대한 이념적 폐쇄나 단순한 전문성 제한을 회피한다.

This sort of research could help identify new guidelines for and issues regarding professionalism in social media that avoid the ideological closure or simple restricting of e­professionalism.


결론 

In Sum


온라인 행동의 규제와 교육은 몇몇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디지털 세계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키지는 못할 수도 있다. 또한 전문성에 대한 그러한 제재적이고 지시적 접근은 학생들이 그들의 연습에 있어 중요한 문제, 즉 [전문직과 전문직업성 사이의 중심적 갈등]과 [이해당사자들 사이의 모순된 요구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없다. 사용자들이 하는 일에 반응하여 새로운 소셜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사회 규범과 전문성의 의미 모두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는 상호작용, 관계 구조, 프라이버시의 의미, 그리고 지식의 특정 유형과 신체의 가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해 교육자뿐만 아니라 학생들에 의한 광범위한 비판적 검토가 필요하다.

Regulations and in­struction in online behavior can help address some immediate issues but may not develop students’ capacity to think critically about their engagements in digital worlds. Nor can such restrictive, didactic approaches to professionalism help students to navigate the larger issues at stake in their practice: central conflicts between profession and professionalism, and contradictory demands among stakeholders. New social media are continually appearing, often in response to what users do, with profound effects on both social norms and the meaning of professionalism. These media need broad critical examination by educators as well as students to appreciate how they influence interactions, relationship structures, the meaning of privacy, and the value of certain types and bodies of knowledge.


내가 옹호하는 접근방식은 "나쁜" 소셜 미디어 관행을 서둘러 통치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하고 이중적인 선/악의 프레임을 넘어, 소셜미디어 practice가 갖는 현재와 미래의 함의를 보다 면밀하게 그리고 더 비판적으로 보는 것이다.

The approach I advocate does not rush to govern “bad” social media practices but, rather, looks more closely—and more critically—at its current and future implications for practice beyond the simplistic, dualistic good/evil framing.


전문직업성을 단일한 덕목이나 존재상태보다는, 다원적 실천의 범위로 취급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다양한 온라인 실험을 통해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문성을 추적하는 데 주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Given the widespread shift to treat professionalism as a pluralistic range of practices rather than as a singular set of virtues or state of being, we might focus on tracing the new forms of professionalism that are emerging through various online experiments.






. 2014 Oct;89(10):1331-4.
 doi: 10.1097/ACM.0000000000000436.

Social media and medical professionalism: rethinking the debate and the way forward

Affiliations 

Affiliation

  • 1Dr. Fenwick is professor of professional education and director, ProPEL (international network for research in professional practice, education and learning),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Stirling, Stirling, United Kingdom.
Free article

Abstract

This Perspective addresses the growing literature about online medical professionalism. Whereas some studies point to the positive potential of social media to enhance and extend medical practice, the dominant emphasis is on the risks and abuses of social media. Overall evidence regarding online medical professionalism is (as with any new area of practice) limited; however, simply accumulating more evidence, without critically checking the assumptions that frame the debate, risks reinforcing negativity toward social media. In this Perspective, the author argues that the medical community should step back and reconsider its assumptions regarding both professionalism and the digital world of social media. Toward this aim, she outlines three areas for critical rethinking by educators and students, administrators, professional associations, and researchers. First she raises some cautions regarding the current literature on using social media in medical practice, which sometimes leaps too quickly from description to prescription. Second, she discusses professionalism. Current debates about the changing nature and contexts of professionalism generally might be helpful in reconsidering notions of online medical professionalism specifically. Third, the author argues that the virtual world itself and its built-in codes deserve more critical scrutiny. She briefly summarizes new research from digital studies both to situate the wider trends more critically and to appreciate the evolving implications for medical practice. Next, the author revisits the potential benefits of social media, including their possibilities to signal new forms of professionalism. Finally, the Perspective ends with specific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that may help move the debate forward.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