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를 해부하기: 북미 의학교육에서, 품성에서 품성요소로(Adv in Health Sci Educ, 2013)

Dissecting the doctor: from character to characteristics in North American medical education

Cynthia R. Whitehead • Brian D. Hodges • Zubin Austin




도입

Introduction


의료 교육자들은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훌륭한 의사들을 훈련시키는 임무를 맡고 있다. 교육자들이 의대생 선발과 커리큘럼 설계에 대한 결정을 내릴 때, 그들은 좋은 의사로 구성된다고 생각되는 속성이나 자질에 대한 아이디어를 도출한다. 이러한 개념들은 필연적으로 역사적으로 파생된 구조와 현대의 사회적 가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언제라도 의료 교육의 본질에 대한 [특정한 담론]이 우세하다(Hodges 2010). 예를 들어, 현재 21세기 초에는 역할이나 영역 집합에서 역량있는 것이 훌륭한 의사의 담론이 두드러진 반면, 20세기 초에는 좋은 의사가 과학자, 인격있는 사람으로 여겨졌다(Cooke et al. 2010; FMEC 2010; Frank 2005; Whitehead a whitehead a who)단서가 있는

Medical educators are tasked with training good doctors to serve the needs of society. As educators make decisions about medical student selection and curriculum design, they draw upon ideas of attributes or qualities that they deem to comprise a good doctor. These notions are inevitably influenced both by historically derived constructs and contemporary societal values. At any given time, particular discursive formulations of the nature of medical education prevail (Hodges 2010). Currently in the early twenty-first century, for example, the discourse of a good doctor as competent in a set of roles or domains is prominent, wherea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t the time of the Flexner Report (Flexner 1910) a good doctor was considered a scientist and man of character (Cooke et al. 2010; FMEC 2010; Frank 2005; Whitehead accepted).


모든 담론은 누가 좋은 의사가 될 수 있고 좋은 의사가 무엇을 알고 있는지에 대한 다양한 사회적 가정을 형성하고 끌어낸다. 예를 들어, Flexner의 구조는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가진 남성]들을 의업에 이상적인 것이라는 입장이었고, 그가 낸 보고서의 결과,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다양한 소수 집단과 여성들을 위한 의료 훈련 접근성이 훨씬 낮아졌다(Ludmer 1999; StrongBoag 1981).

All such discourses build and draw upon various societal assumptions of who might become a good doctor and what a good doctor knows. Flexner’s construct, for example, positioned men of high social standing as ideal for the medical profession, and as a result of his Report there was much less access to medical training for people of various minority groups, those of lower socioeconomic status and women (Ludmerer 1999; StrongBoag 1981).


배경

Background


아브라함 플렉스너의 1910년 미국과 캐나다의 의학 교육에 관한 보고서 때부터, 교육자들은 학생들을 선발하고 좋은 의사를 훈련시키는 것은 복잡한 과정이라는 것을 인식했다. Flexner 보고서에는 의료 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변경에 대한 많은 처방전이 포함되었으며, 그 중 일부만 채택되었다(Hodges 2010; Ludmerer 1999; Whitehead 2010; Whitehead in press).

From the time of Abraham Flexner’s 1910 Report on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educators have recognized that selecting students and training a good doctor is a complex process. The Flexner Report contained many prescriptions for change to improve medical education, only some of which were adopted (Hodges 2010; Ludmerer 1999; Whitehead 2010; Whitehead in press).


그러나 의학 교육의 연구에 대한 접근에 영향을 준 다양한 사회학적, 역사적 요소들이 잘 설명되어 왔지만, 의학 교육에서 [good doctor의 담론]에 특별히 초점을 맞춘 역사적 연구는 지금까지 없었다.

However, while various sociological and historical factors that influenced the approach to the study of medical education have been well described, there has to date been no historical study focussed specifically on the changing discourses of the good doctor in medical education.


방법

Methods


이 작품은 1910년부터 2010년까지 북미 의학교육의 선량한 의사를 대상으로 한 푸코디안 비판적 담론 분석(Whitehead 2011)의 일환이다. 이 논문은 1950년대 후반에 일어났던 특히 중요한 변화 하나를 보고한다. 작품의 이 부분에 대해서는, 좋은 의사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의 변화를 모색하면서 1920년대부터 1960년대 말까지 북아메리카의 의학 교육 문헌에 푸콜디안 비판 담화 분석(CDA)이 수행되었다.

This work is part of a larger project, a Foucauldia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he good doctor in North American medical education from 1910 to 2010 (Whitehead 2011). This paper reports the findings of one particularly significant discursive shift, which occurred in the late 1950s. For this portion of the work, a Foucauldia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was performed of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in North America from the 1920s to the end of the 1960s, using the Foucauldian concept of serial history (Foucault 1999)in looking for changes in the language used to describe the good doctor.


CDA는 언어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이라는 이해에 기초한다. 여러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다양한 현상의 사회 구성과 관련된 언어의 탐구를 허용한다(Hodge 2009). 의학 교육 연구에서는 비교적 새로운 접근 방식이지만 CDA는 보건 전문직 교육의 복잡한 영역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점차 인식되고 있다(Hodges 2009, 2010; Whitehead et al. 2011). CDA는 여러 형태의 담론분석 중 하나이며 담론이 "사회 세계의 다양한 체계적 버전을 구성"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Rogers et al. 2005, 페이지 371). 푸코디안 CDA는 언어에 내재된 '진리'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검토하며, 무엇이 '자연적natural'으로 나타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변화, 즉 불연속성은 사고방식의 변화를 신호하고 새로운 '진리'의 출현에 영향을 주고 형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탐험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해진다(Davidson 1986).

CDA is based upon the understanding of language as socially constructed. Used widely across many disciplines, it allows exploration of the way language relates to the social construction of various phenomena (Hodges 2009). While a relatively new approach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CDA is increasingly recognized as enabling important insights into complex areas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odges 2009, 2010; Whitehead et al. 2011). CDA is one of several forms of discourse analysis, and focuses on the ways discourse ‘‘systematically constructs versions of the social world’’ (Rogers et al. 2005, p. 371). Foucauldian CDA specifically examines ideas of ‘truth’ embedded in language, questioning what might appear as ‘natural.’ Changes, or discontinuities, become extremely important, as these signal a shift in ways of thinking and allow exploration various factors that influence and shape the emergence of new ‘truths’ (Davidson 1986).


푸콜디안 비판적 담론 방법론에서 텍스트는 사회적 관행, 지식, 권력 관계와 통합적으로 연계된 것으로 이해된다. Hodges(2009)에 의해 해명되었듯이, "Foucault는 사회적 관습과 권력/지식에 대한 그들의 연계가 (말뿐만 아니라) 텍스트의 생산과 사용을 구속한다고 느꼈다. 연설과 텍스트가 담론을 구성하는 동안 담론은 특정한 형태의 텍스트와 연설을 가능(그리고 다른 것을 덜 가능)하게 한다."(48쪽) 푸코의 방법론적 원리를 이용하여 정보원을 식별하고 구분한다. 텍스트는 [진술, 주요 단어, 은유에 주목하여] 담론의 변화 및 불연속성의 관점에서 분석된다.

In Foucauldian critical discourse methodology, texts are understood as integrally linked to social practices, knowledge and power relations. As elucidated by Hodges (2009), ‘‘Foucault felt that social practices and their links to power/knowledge constrain the production and use of text (as well as speech). While speech and text construct discourse, discourse makes certain forms of text and speech possible (and others less possible)’’ (p. 48). Using Foucault’s methodologic principles, information sources are identified and delimited. Texts are analysed in terms of discursive shifts and discontinuities, with attention to statements, key words, and metaphors.


학술 의학의 전임 잡지에 실린 기사들은 이 연구를 위한 자료들을 구성했다. 1926년 미국 의과대학협회 회보(Bulleti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로 시작한 이 학술지는 1989년 Academic Medicine이 되면서 몇 가지 명칭을 바꾸었다. 본 학술지 세트는 편의를 위해 학술지 JAM(Journals of Academic Medicine, JAM)으로 총칭된다. 이 학술지는 여러 해 동안 북미의 유일한 의학 교육 저널이었으며, 1966년까지 국제적으로 "유일한 의학 교육 전담 저널"로 인정받았다(Kuper et al. 2010).

Articles in the predecessor journals of Academic Medicine formed the data set for this research. Beginning in 1926 as the Bulletin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the journal underwent several name changes, becoming Academic Medicine in 1989. This journal set, for convenience, is here referred to in aggregate as the Journals of Academic Medicine (JAM). This journal was, for many years, the sole North American medical education journal and was recognized internationally as the ‘‘lone dedicated medical education journal’’ until 1966 (Kuper et al. 2010).


결과 

Results


아브라함 플렉스너가 훌륭한 의사를 담론적으로 공식화한 것은 [사려 깊은 과학자와 인격자]1(화이트헤드 2011)의 그것이었다. 플렉스너 리포트가 있은 후 몇 년 동안, 성격character은 선한 의사의 지배적인 담론으로 남아 있었다. 예를 들어 1936년에 베반은 다음과 같이 단언하였다.

Abraham Flexner’s discursive formulation of the good doctor was that of a thoughtful scientist and a man of character1 (Whitehead 2011). In the years following the Flexner Report, character remained the dominant discourse of the good doctor. For example, in 1936 Bevan asserted that:


무엇보다 의사는 인품이 있어야 한다. 그는 그의 삶과 직업에 있어서 그의 모든 행동을 통제하는 높은 윤리 규범을 받아들여야 한다. (Bevan 1936, 페이지 379)

Above all, the physician must be a man of character. He must in his life and professional work accept a high code of ethics which controls all of his actions. (Bevan 1936, p. 379)


1 이 시대의 의학 교육 문헌에서 의사 묘사의 교묘한 성격을 감안할 때, 남성 대명사는 이 논의에서 사용된다.

1 Given the gendered nature of depictions of doctors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in this era, the masculine pronoun is used in this discussion.


베반은 [좋은 성격]을 ''가장 상업적인 추구''와 차별화시키는 자질들과 연결시키고, 의학이 때때로 직업에 입문하는 ''부적절한undesirable 학생들을 제거하기 위해 "성격의 기준"을 "드높일"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p. 380). 1935년에 카우프만은 또한 성격 담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말했다.

Bevan linked good character to the qualities that set medicine apart from ‘‘most commercial pursuits’’ and suggested that medicine needed to ‘‘elevate’’ the ‘‘standards of character’’ in order to ‘‘eliminate the undesirable students’’ who sometimes entered the profession (p. 380). Kaufman, in 1935, also drew upon character discourse:


남성은 원형의 한 부분으로서 이러한 자질을 가지고 있든 없든, 너무나 근본적이어서 의식적인 노력에 의해 경작되고 발전되어야 한다.(Kaufman 1935, 페이지 299).

Men possess these qualities or not, as a part of their protoplasm, but they are so fundamental that they must be cultivated and developed by conscious effort. (Kaufman 1935, p. 299)


의학 교육자들은 그들이 [가능한 최고의 의대생을 선발]할 수 있도록 [좋은 인격을 어떻게 식별]해야 하는지에 대해 질문했다. 의대 학장인 데이비슨은 자신의 이상적인 의사 자질 목록을 만들었다.

Medical educators questioned how to identify good character so that they could select the best possible medical students. Davison, a medical school dean, created his own list of ideal physician qualities:


그 우월한 자질은 무엇이며 어떻게 그 자질을 탐지할 수 있는가? 우리들 대부분은 학생이나 의사가 정직, 성격, 지능, 좋은 기억력, 정확성, 응용력, 지적 호기심, 자선, 믿음, 겸손, 희망, 인내심을 가지고 있다면 반드시 '진정한 의사'가 될 것이라는 데 동의한다.(데이비슨 1946 페이지 228)

What are those superior qualities and how can they be detected? Most of us agree that if a student or physician has honesty, character, intelligence, a good memory, accuracy, application, intellectual curiosity, charity, faith, humility, hope and patience, he will surely become the ‘true physician.’ (Davison 1946 p. 228)


교육자들은 의료 훈련medical training 과정 동안 그러한 덕목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고려했다(1934년 월, 페이지 267). 1930년대 이후부터 다양한 시험과 조치가 개발되어 사용되었고(Hale 1946; McGaghie 2002), 1940년대 후반에는 여기에 "관심과 인격의 평가"이 추가되었다(Stuit 1948, 페이지 159). 그러나 JAME의 기사 저자들은 예를 들어 Hale과 함께 "많은 원하는 속성들이 수치와 백분율로 측정되지 않는다"고 강조하면서 그러한 테스트의 한계를 자주 지적했다. 그들의 평가는 상대적인 것으로 남아 있으며, 남자, 그들의 미덕과 약점을 이해하는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Hale 1946, 페이지 147–148). 또 다른 저명한 교육자인 테일러는 다음과 같은 점에 주목했다.

Educators considered ways to enhance such virtues during the process of medical training (Moon 1934, p. 267). Various tests and measures were developed and used from the 1930s onwards (Hale 1946; McGaghie 2002), and in the late 1940s ‘‘appraisals of interest and personality’’ were added to the mix (Stuit 1948, p. 159). However, JAM article authors frequently pointed to the limits of any such testing, with Hale, for example, emphasizing that many desired attributes ‘‘do not lend themselves to measurement in figures and percentages. Their appraisal remains relative and must be made by those who understand men, their virtues and frailties’’ (Hale 1946, pp. 147–148). Taylor, another prominent educator, noted that:


객관적인 시험과 측정에 더 많이 의존하게 되면서, 우리는 인격character을 판단하는 기술을 잃고 있다. 몇 년 전 인생의 성공은 빨리 '크는size up' 개인의 능력에 달려 있었다. 우리의 선구자 선조의 일상은 이 학력에 크게 의존했다. Pony Express rider들은 20분간의 인터뷰를 통해 선발되었다. 나폴레옹은 30분간의 회의(Taylor 1948, 페이지 171)를 마친 후 그의 군대의 장군들을 선택했다.

It has been said that we are losing the art of judging character as we place more reliance on objective tests and measurements. Success in life a few short years ago was dependent on an individual’s ability to quickly ‘size up’ a stranger. Our pioneer forefathers’ daily existence depended to a large extent on this faculty. The Pony Express riders were chosen in a twenty-minute interview. Napoleon chose the generals of his armies after a thirty-minute conference (Taylor 1948, p. 171).


테일러는 또한 [객관적인 측정으로는 쉽게 평가되지 않는 자질들이 심리학적으로 "유행하는 방법"(p. 175)에 억지로 끼워져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성격character은 분명히 20세기 전반기 동안 좋은 의사good doctor의 지배적인 담론으로 남아 있었다.

Taylor further argued that qualities not easily assessed by objective measurement should not be forced to fit into the psychological ‘‘methods in vogue’’ (p. 175). Character clearly remained the dominant discourse of the good doctor for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특성요소 담론의 대두

The rise of characteristics discourse


그러나 1950년대 후반에 갑자기 언어의 변화가 있었다. 의학 교육 문헌에 성격요소characteristics가 나타났고, 1960년대 중반 무렵에는 JAM 의학교육 기사에서 사용된 언어에서 성격character이 사라졌다. 이러한 실종은 성격을 기술한 1957년 JAME 기사(Gottheil and Michael 1957)가 1965년 이후 저자들에 의해 특징에 대한 검토(Kole and Matarazzo 1965)가 될 정도로 일어났다.

In the late 1950s, however, there was a sudden shift in language.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and by the mid-1960s, character had vanished from the language used in JAM medical education articles. This disappearance occurred to such an extent that a 1957 JAM article (Gottheil and Michael 1957), which described character,is subsequently re-framed by later authors in 1965 as having been a review of characteristics (Kole and Matarazzo 1965).


JAM에서 좋은 의사에 대한 논란을 프레임하기 위해 특성characteristics이라는 용어를 가장 일찍 사용한 것은 1957년 AAMC의 1956 의과대학 지원자 평가 연구소(Hurtado 1957)에 대한 논평에서 나타났다. 이듬해 AAMC의 연구 책임자의 보고서도 특성characteristics라는 용어를 사용했다(Gee 1957). 이후 몇 년 동안 점차적으로 JAM 기사에서 특성characteristics 단어가 더욱 두드러졌다. 이러한 초기 기사들 중 다수는 특히 1956년 연구소를 언급했는데, 이는 그 사건이 발생하던 변혁에 어떤 영향을 끼쳤음을 시사한다.

The earliest use of the term characteristics to frame discussions of the good doctor in JAM appeared in a 1957 commentary on the AAMC’s 1956 Institute on the Appraisal of Applicants to Medical School (Hurtado 1957). The following year the report from the AAMC’s director of research also used characteristics terminology (Gee 1957). Gradually over the next few years, characteristics language became more prominent in JAM articles. Many of these early articles specifically referred to the 1956 Institute, suggesting some impact from that event on the discursive change that was occurring.


1956년 AAMC 연구소의 proceedings는 JAM(Gee and Cowles 1957)의 부록으로 출판되었다.

The proceedings of the 1956 AAMC Institute were published as a supplement to the JAM(Gee and Cowles 1957).


이 연구소의 보고서는 의대에 가장 적합한 지원자를 선정하기 위한 새롭고 혁신적인 방법에 대한 흥분된 언어로 채워져 있다. 서문은 "경마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빨리 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빨리 달리고자 하는 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p. v)로 시작한다.

The report on the Institute proceedings is filled language of excitement about new and innovative ways to choose the best possible applicants for medical school. The Preface begins, ‘‘to succeed at horse racing, one must have horses that not only can, but will run fast’’ (p. v).


The Institute proceedings는 학생의 '지적'과 '비지적' 특성으로 나누는 것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논쟁의 여지가 없는 15페이지의 장에서는 주로 MCAT 시험과 대학 성적에 초점을 맞춘 '지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3장 80페이지가 넘는 '비지식적 특성'에 대해 많은 양의 표, 그래픽 및 숫자 데이터를 통합했다.

The Institute proceedings were structured around a division of the student into his ‘intellectual’ and ‘non-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ne fifteen page uncontroversial chapter examined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largely focused on the MCAT test and college grades. Three chapters and over eighty pages then followed on ‘non-intellectual characteristics,’ incorporating large amounts of tabular, graphic and numeric data.


이 섹션의 개요에 따라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As the overview to this section summarized:


[A]dmissions 위원회는 일반적으로 지원자의 [지적 능력]을 먼저 평가한다. 그러나 일단, 지원자가 의학 연구에 필요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면, 위원회는 그들의 학업적 자격을 갖춘 지원자들의 동등하게 중요하지만 더 이해하기 어려운 [비지식적 특성]을 고려한다. (Ceithaml 1957, 페이지 47)

[A]dmissions committees generally evaluate the intellectual capabilities of an applicant first. Once, however,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the applicant possesses the necessary intellect for the study of medicine, committees consider the equally important but more elusive non-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ir scholastically qualified applicants. (Ceithaml 1957, p. 47)


저자들은 '비지식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잠재적 도구를 분석했다. 의대 면접은 특히 정밀검사를 받았으며, 심리검사와는 대조적으로 그다지 성능이 좋지 않았다. 저자들은 [다양한 잠재적 인터뷰 유형]을 설명한 후(정신과 면접 포함) 학생 선발에서 면접의 사용에 대해서 "타당성이 있다는 증거가 놀라울 정도로 없다"고 결론지었다(Kelly 1957a, 페이지 80).

The authors analyzed potential tools for assessing ‘non-intellectual characteristics.’ The medical school interview was subject to particular scrutiny, and fared poorly in contrast to psychological tests. After describing a variety of potential types of interviews of applicants (including a psychiatric interview) the authors concluded that there was ‘‘surprisingly little evidence of validity’’ to support the use of interviews in student selection (Kelly 1957a, p. 80).


반면 심리 테스트는 열렬한 지지를 받았다. 절차서는 '객관적' 성격 검사(미네소타 다중 인격 목록과 강력한 직업적 관심사 공백과 같은)와 '프로젝티브' 검사(Rorschach Ink-Blot Method 등)를 포함한 다수의 공식적인 심리 도구를 설명했다.

Psychological tests, in contrast, received enthusiastic endorsement. The Proceedings described a multitude of formal psychological tools, including both ‘objective’ personality tests (such as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and the Strong Vocational Interest Blank) and ‘projective’ tests (such as the Rorschach Ink-Blot Method).


심리학 교수인 E. 로웰 켈리는 심리학자들은 "아직 '우리가 모든 중요한 차원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생각함"을 인정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좋은 의사'의 매우 중요한 차원에 대해 다른 몇 가지 조치를 취하려고 계획하고 있다'(Kellyb, 페이지 1955). 잘못된 종류의 학생을 인정하는 망령이 널리 퍼지고 있었다. 켈리는 "우리가 의대생들에 대해 수집해 온 데이터는 이 이상에 대한 우리의 믿음을 상당히 흔들어 놓았다"고 경고한 반면, 의학 교육자들은 "젊은 의사의 이상화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 페이지 195). 그는 적나라하게 요약했다(그리고 강조하기 위해 반복된 서문) "집단으로서 의대생들은 인간의 복지에 대한 관심이 현저히 적다"(195쪽)고 말했다.

E. Lowell Kelly, a psychology professor, acknowledged that psychologists did not yet ‘‘think we have all the important dimensions,’’ nevertheless ‘‘we are planning to try to get at some other measures of what may be very important dimensions of ‘the good physician’ (Kelly 1957b, p. 195)’’. The spectre of admitting the wrong sort of student was writ large. Kelly warned that medical educators had an ‘‘idealized image of the young physician’’ whereas ‘‘the data we have been collecting on our own medical students has shaken considerably [our] belief in this ideal’’ (p. 195). He summarized starkly (and the Preface repeated for emphasis) that ‘‘[a]s a group, medical students reveal remarkably little interest in the welfare of human beings’’ (p. 195).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증거에 따르면, 전형적인 젊은 의사들이 그가 살고 있는 사회의 문화적 측면에 거의 관심이 없고, 공동체의 요구에 대해 매우 민감하거나 느끼는 바가 거의 없으며, 그것들이 그의 소득에 기여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는 경향이 없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 (196 페이지)

All of the evidence available to us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typical young physician has little interest in cultural aspects of the society in which he lives, has very little sensitivity to or feeling for the needs of the community, and is generally not inclined to participate in community activities unless these contribute to his income. (p. 196)


성격 검사에서 문제가 드러났고 성격 검사에서 해결책이 나왔다.

Personality tests revealed the problem; personality tests provided the solution.


갑자기 시험 자체가 위기를 초래했다. 그 시험이 문제가 될 수도 있다는 암시는 없었다. 또한 이것이 새로운 현상이라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었다. 그것은 분명히 현생과 최근의 의대 졸업자와 관련된 발견으로 프레이밍되었다. "의사가 될 사람들의 종류에 대한 걱정"은 학회에 모인 학장과 의학 교육자들이 아닌 "오늘날 의과대학에 들어가는 사람들의 종류"에만 관련된 것이다.

Suddenly, the testing itself created a crisis. There was no suggestion that the test might be the issue. Nor was there any doubt that this was a new phenomenon. It was clearly framed as a discovery relevant to current students and recent medical graduates. The ‘‘worry about the kind of people who are becoming physicians’’ related only to the ‘‘kinds of people going into medicine today,’’ not the Deans and medical educators gathered at the Institute (Kelly 1957b, p. 195).


켈리는 새로운 특성characteristics 접근법을 열성적인 지지하며 노골적으로 말했다.

Kelly did not mince words in his enthusiastic advocacy for the new, characteristics approach:


나는 네가 이런 일들을 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만약 네가 하지 않는다면 [당신은 그러한 증거의 이용가능성에 눈을 감거나 직업이 어떻게 되는지는 당신이 상관할 바가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의과대학에서 만드는 product의 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지식]은 당신의 손에 [전체 직업의 본질을 바꿀 힘]을 준다. 그러한 권력은 매우 무섭지만, 그것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책임의 포기일지도 모른다.(켈리 1957b, 페이지 196)

I am not saying you must do these things, but if you don’t you are either shutting your eyes to the availability of such evidence or saying that it is none of your business what the profession becomes. Knowledge which enables you to predi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of your medical schools puts in your hands the power to change the nature of the entire profession. Such power is almost frightening, but refusal to use it may be an abdication of responsibility. (Kelly 1957b, p. 196)


난투극이 의학 교육자들에게 던져졌다. 이 연구소의 요약본에서는 '도전적 지평선'과 이러한 '불안한' 폭로를 더 연구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Gee and Cowles 1957, 페이지 7).

A gauntlet was thrown to medical educators. The Institute summary discussed ‘‘challenging horizons’’ and the need to further study these ‘‘disconcerting’’ revelations (Gee and Cowles 1957, p. vii).



특성요소 담론의 고착화

The entrenchment of characteristics discourse


1956년 연구소에 이어 JAM 기사에서도 점차 특징characteristics라는 언어가 보편화되었다. 1957년 AAMC 연구 책임자인 헬렌 호퍼 기는 '의대 학생들의 특성characteristics 다양성 연구'에 초점을 맞췄다(Gee 1957, 페이지 61–62).

Following the 1956 Institute, the language of characteristics gradually became more common in JAM articles. AAMC Director of Research, Helen Hofer Gee’s research report for 1957 focussed on the ‘‘study of diversity of characteristics of medical school students’’ (Gee 1957, pp. 61–62).


특성characteristics 담론은 분명히 교육에서 더 일반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Characteristics discourses were clearly emerging more generally in education.


1956년 연구소를 통해 심리학자들은 연구 의제를 정의하고 의대생을 이해하는데 발판을 마련했다. 더 나아가서 그들은 선량한 의사의 변화하는 담론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특성characteristics 담론의 발흥은 피할 수 없었다. Medical trainee를 특성characteristics마다 분석하는 심리학적 접근방식이 반드시 기존의 성격character 담론을 대체할 필요는 없다.

Through the 1956 Institute, psychologists gained a foothold in defining the research agenda and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medical student. By extension, they had influence in shaping the changing discourse of the good doctor. However, the rise of characteristics discourse was not inevitable. The psychometric approach to the analysis of the medical trainee characteristic by characteristic need not necessarily supplant the preexisting discourse of character.


심리학자들이 주장하는 주요 논점 중 하나인 [학생 선발의 측면에서 위기가 임박했다는 것]이 지속적인 주요 주제로 자리잡지 못했다. 집중적인 심리 테스트의 배터리에 대한 유의미한 집중도 완전히 자리잡지 못했다. 그러나, 비록 의학교육자들이 심리 테스트의 모든 근거를 수용하지는 않았지만, 그것에 수반되는 특성characteristics의 언어는 고착화되었다.

One of the main arguments made by the psychologists, that of an impending crisis in terms of student selection, did not continue to be a major theme. Even the significant focus on batteries of intensive psychological tests did not completely take hold. However, even while medical educators did not embrace all the rationale for psychological testing, the language of characteristics that accompanied it became entrenched.


1956년 Institute의 심리학자들의 견해와는 달리 의학은 위기에 처해 있지 않았다. 의대생은 임박한 재앙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사실 그 당시 의학은 영광의 시대에 있었다. 미국 의학의 사회변혁(1982년)에서 스타르가 기술한 바와 같이 1950년대 말 의학은 북미 사회에서 그 지위가 최고조에 달했고, 아직 의학적 권위와 자율성의 침식이 시작되지 않았으며, 과학의 약속은 아직 도색되지 않았으며, 의학 연구에 대한 열성적인 투자가 있었다.

Contrary to the view of the psychologists at the 1956 Institute, medicine was not in crisis. The medical student need not be considered an impending disaster. Medicine was, in fact, in its glory days. As described by Starr in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American Medicine (1982), in the late 1950’s medicine was at the height of its status in North American society, the erosion of medical authority and autonomy had not yet begun, the promise of science was still untainted, and there was enthusiastic investment in medical research.


위기는 다른 형태로 나타났다: 스푸트니크와 함께 소련의 성공에 대한 과학적 신뢰의 위기. 1957년 10월과 11월에 소련이 발사한 스푸트니크 1호와 2호는 미국을 놀라게 했고 과학과 기술에 대한 미국의 지배력에 의문을 제기했다.

Crisis appeared in another form: the crisis of scientific confidence with the Soviet success with Sputnik. The Soviet launches of the satellites, Sputnik 1 and 2, in October and November 1957 surprised the United States and called into question American dominance in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지식의 폭발적 담론을 통해 양질의 의학연구를 하기 위해 가능한 최고의 학생들을 유치할 필요성이 부각되었고, 냉전시대 수사로 강화되었다. 1958년 한 사설은 스푸트니크에 대한 대응으로 상위권 학생들이 의학 연구로부터 멀어지고 물리과학과 공학으로 쏠리게 될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The need to attract the best possible students in order to have high quality medical research was highlighted through the ongoing discourse of explosion of scientific knowledge, and enhanced with Cold War rhetoric. An editorial in 1958 expressed concern that the response to Sputnik would draw top students away from the study of medicine to the physical sciences and engineering.


마찬가지로, 당시 AAMC의 회장이었던 코게스홀은 의학적 재능과 연구가 국가의 건강의 핵심이기 때문에 의학이 사회에 미치는 "매우 중요한 책임"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분명히, 우리 국민의 건강은 우리의 국가 안보에 비하면 부차적인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Similarly, Coggeshall, then president of the AAMC, commented on the ‘‘highly important responsibility,’’ medicine has to society, since medical talent and research are at the core of the nation’s health. ‘‘Surely,’’ he argued, ‘‘the well being of our people is secondary only to our national security’’ (Coggeshall 1959).


다른 우선순위가 있는 시기에 의학의 중요성을 홍보할 필요성과 함께, 의대 지원자의 질 저하 가능성에 대한 의학교육 논문에서 표출되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었다. 지원자 연구에서, 1957–1958년 연구는 상위권 학생(Klinger and Gee 1959)의 진로 선택으로 MCAT 점수의 하락을 지적하고 "의학의 상대적 매력"의 감소를 언급했다.

Along with this need to promote the importance of medicine at a time of other priorities, there was growing angst expressed in medical education articles about a possible decline in the quality of medical school applicants. The Study of Applicants, 1957–1958, noted a decline in MCAT scores and suggested a decrease in the ‘‘relative attractiveness of medicine,’’ as a career choice for top students (Klinger and Gee 1959).


교육자들은 문제가 있을 수 있는 지원자들을 선별하기 위해 적절한 측정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원했다. 특성 담론은 그러한 심사가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했다.

Educators wanted a way to ensure that appropriate measurements were available to screen potentially problematic applicants. Characteristics discourse suggested that such screening was possible.


1960년대 초까지, 특성요소는 의학 교육에 관한 연구와 논문에서 훌륭한 의사의 지배적인 틀이었다.

By the early 1960s, characteristics was the dominant framing of the good doctor in research and articles about medical education.


특성요소는 의료 훈련생들을 묘사하는 일반적인 방법이 되었다.

Characteristics had become the accepted way to describe medical trainees.


특성요소 담론이 의학교육에서 차지하는 범위는 1960년대 초반에 기사의 수가 증가하면서 명백해졌다. 그 기사의 특징은 의문의 여지가 없는 접근방식이었다(Johnson 1965; Korman et al. 1964; Price et al. 1964; Schlageter와 Rosental 1962; Schumacher 1964). 예를 들어, Aagard는 몬트리올에서 열린 제72회 AAMC 연차총회에서 대통령 연설을 통해 학생들을 모집할 때 "실습 의사가 필요로 하는 특성요소"를 식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Aagard 1962, 페이지 87).

The extent to which characteristics discourse took hold in medical education was evident by the increasing number of articles in the early 1960’s in which characteristics were the unquestioned approach (Johnson 1965; Korman et al. 1964; Price et al. 1964; Schlageter and Rosenthal 1962; Schumacher 1964). For example, Aagard, in his Presidential Address at the 72nd AAMC Annual meeting in Montreal,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identifying ‘‘those characteristics which are needed by the practicing physician,’’ in recruiting students (Aagaard 1962, p. 87).


Ceithaml은 그 첫 번째 단계는 중등 후 성적과 MCAT를 통해 학생들이 충분한 '지적 특성요소intellectual characteristics'를 갖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입학 위원회를 위한 두 번째 단계는 "동등하게 중요하지만 더 이해하기 어려운 이 지원자의 비지식적 특성요소non-intellectual characteristics"를 고려하는 것이었다. (Ceithaml 1962, 페이지 174). 심리 테스트는 이 평가의 핵심 접근법 중 하나였다.

Ceithaml commented that a first step was to ensure that students possessed sufficient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through postsecondary grades and the MCAT (Medical College Admission Test). The second step for the admissions committee was to consider the ‘‘equally important but more elusive non-intellective characteristics of this scholastically qualified applicant’’ (Ceithaml 1962, p. 174). Psychological tests were one of the key approaches to this evaluation.


비록 어렵고 입증되지 않았음에도, 의학교육자들은 특성요소 경로를 택하도록 장려되었다. 만약 그들이 특성요소를 정의할 수 있다면, 심리학자들은 그것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를 고안할 수 있을 것이다.

Even if difficult and unproven, medical educators were encouraged to take the characteristics path. If they could define a characteristic, the psychologists could devise a test to measure it.


1960년대에 의대생은 성격 점수, 지능 점수, 다양한 적성 검사 점수로 해부되었다dissected. 입학 위원회는 성별, 결혼 여부, 연령 등 모든 식별 가능한 구성요소에 따라 학생을 분석하고 선발하는 것이 의대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지는 특권을 고려했다. 심지어 일부 의과대학은 지원자의 배우자를 인터뷰하기도 했다(존슨 1965). "정서적 안정성"이 가능성으로 여겨진다면, '외과의사 인터뷰'에 대한 추천이 제안되었다(Ceithaml 1962 페이지 175).

During the 1960s, the medical student was dissected into personality scores, intelligence scores and various aptitude test scores. Admissions committees considered it their prerogative to analyse and select students according to any identifiable component, be it gender, marital status, or age as such factors were shown to affect medical school success. Some medical schools even interviewed applicants’ spouses (Johnson 1965). If ‘‘emotional stability’’ were considered a possibility, a referral for an ‘‘extensive psychiatric interview’’ was suggested (Ceithaml 1962 p. 175).


학생에 대한 이러한 특성요소 공식화characteristics formulation는 [구성요소 부분의 분석이 전체에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따라서 이 의대생은 분리된 분리 가능한 부분으로 해부되었고, 이 조각난 검사들이 다시 합쳐져서 한 명의 의대생에 대해 유용한 것을 말할 수 있기를 희망했다. 의과대학의 특성이 연구되기 시작함에 따라 특성 접근법은 전체 의료 훈련 환경에도 적용되었다(Parker 1960).

This characteristics formulation of the student suggested that analysis of component parts could provide important insights into the whole. The medical student was hence dissected into discrete separable parts, with the hope that these fragmented examinations could be pieced back together to say something useful about the medical trainee as a whole. The characteristics approach was also applied to the entire medical training environment as characteristics of medical schools began to be studied (Parker 1960). 


'생태학'과 '학습환경'과 같은 용어가 등장하여 학생 학습에 다소 도움이 되는 특성으로 분리되어 나갔다. 특성요소 담론은 인물과 학습 환경을 해부함으로써 학생의 통제 범위locus of control를 없애고 과정을 비인격화하였다. 수련생이 현미경을 이용해 세상을 살피는 대신, 학생과 의대는 이제 확대 렌즈 아래 있었다.

Terms such as ‘ecology’ and ‘learning environment’ appeared and were teased apart in terms of characteristics that made them more or less conducive to student learning (Miller 1962). Characteristics discourse, with its dissection of the person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hence removed the locus of control from the student and depersonalized the process. Instead of a trainee using a microscope to examine the world, the student and medical school were now under the magnification lens.


고찰 

Discussion


의학 교육에서 두드러진 담론은 어느 한 담론만 '맞'거나 '최고'이기 때문이 아니라, 각각의 담론이 우리에게 의학 교육과 의료행위의 특정한 사회 문화적 구조에 대한 통찰력을 주기 때문이다. 좋은 의사가 어떻게 개념화되느냐에 따라 의대에 합격할 가능성이 높은 사람(개인적·학술적 전제조건)과 의대 및 레지던트 연수(학생 평가 방식 표시)에 누가 잘하느냐가 결정된다. 의료계의 높은 지위, 사회적 만족도 및 경쟁적 진입 요건을 감안할 때, 중요한 교육 구성의 기초가 되는 가정들이 건강 제공자들의 사회적 가치와 기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prominent discourses in medical education are of interest not because any one is ‘right’ or ‘best’ but because each allows us insight into particular societal and cultural constructions of medical education and medical practice. How a good doctor is conceptualized determines who is more likely to be accepted to medical school (personal and academic prerequisites) and who does well in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training (shaping how students are assessed). Given the high status, social desirability and competitive entry requirements of the medical profession, examination of the assumptions that underlie important educational constructs will help to see if they are congruent with societal values and expectations of their health providers.


예를 들어, 플렉스너의 좋은 의사 담론은 일반적으로 백인이고 사회적으로 잘 연결된 '교육받은 사람' (Flexner 1910 페이지 26)을 이상적인 의학적 시작점으로 내세웠다. 성격character 담론이 20세기 전반의 의학 교육에서 좋은 의사를 총체적으로 요약하는 것과 동시에, 그것은 또한 좋은 의사가 되기 위한 가장 적절한 인종과 성별에 대한 가정으로 가득 찬 엘리트주의적 구성elitist construction의 일부였다. 페미니스트 역사가들이 기록했듯이, 20세기 초에는 여성이 지적 과학 연구에 적합하지 않거나 헌법상 의료계의 교육적 또는 실천적 요구에 적합하지 않다고 제안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간주되었다(Hodges 2010).

Flexner’s good doctor discourse, for example, positioned the generally white and socially well connected ‘‘educated man’’ (Flexner 1910 p. 26) as the ideal medical initiate. At the same time as character discourse provided a holistic summation of the good doctor in medical education for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it was also part of an elitist construction of the medical profession imbued with assumptions about the most appropriate race and gender of a good doctor. As feminist historians have documented, in the early 20th Century it was considered reasonable to suggest that women were not intellectually suited to scientific study nor constitutionally suited to the educational or practice demands of the medical profession (Hodges 2010).


담론이 그들의 역사적 맥락을 반영하듯이, 변칙적인 변화들은 기초적인 가정들의 변화를 신호한다. 그러므로 성격character에서 특성characteristics으로의 갑작스러운 변화는 더 넓은 사회적 맥락에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학교육이 심리학과 사회학의 후원으로 연구영역에 들어온 같은 해 동안, 의학교육자의 연구와 토론에 사용되는 언어에 뚜렷한 변혁이 일어났다. 심리학자들은 1956년 AAMC 연구소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심리학자들이 연구소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의학교육이 정신분석과 행동심리학에 대한 가치에 대한 그들의 주장을 받아들이게 되면서 좋은 의사가 프레이밍되는 방식의 변화에 기여했다.

Just as discourses are reflective of their historical context, discursive changes signal changes in underlying assumptions. Hence the sudden shift from character to characteristics is important to consider in broader societal context. During the same years that medical education entered the research arena under the auspices of psychology and sociology, a distinct discursive shift occurred in the language used in studies and discussions of medical trainees. Psychologists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1956 AAMC Institute. Their prominence at the Institute and the acceptance of their arguments about the value of psychometrics and behavioural psychology to medical education contributed to the shift in the way the good doctor was framed.


행동심리학이 1950년대와 1960년대 교육 연구 프레임에 미친 영향은 크론바흐(1975)에 의해 잘 설명되었다. 특성요소 담론은 이러한 심리적 구조에 깔끔하게 들어맞는다. 의료 교육자들이 더 넓은 교육 공동체와 일치하는 접근법을 채택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어떤 담론이든 당대의 다른 두드러진 담론과 사회적 가치에 잘 맞으면 지배적이 될 가능성이 훨씬 높다.

The impact of behavioural psychology on framing education research in the 1950s and 1960s has been well described by Cronbach (1975). Characteristics discourse fits neatly within these psychological constructs. It is not surprising that medical educators would adopt an approach congruent with the broader education community. Any discourse is much more likely to become dominant if it fits well with other prominent discourses and societal values of its time.


character에서 characteristics로의 담론적 전환이 반세기 전에 있었지만, 이 연구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의학 교육자들과 관련이 있다.

While the character to characteristics discursive shift took place half a century ago, this study is still relevant to medical educators today.


현재 의료교육계는 좋은 의사의 역할 기반 역량 모델을 구축한다. 역할로서의 역량의 공식화의 기반이 되는 몇 가지 가정은 그들의 역사적 발전에서 비롯된다. 본 저널에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CanMEDS 역량 프레임워크(Frank 2005)는 의사 파업이 실패한 이후 의료계가 스스로의 이미지를 재창조하려고 했던 시기에, 온타리오를 위한 미래 의사 교육(EFPO) 프로젝트에서 개발되었다.

Currently,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constructs roles-based competency models of the good doctor. Some of the assumptions that underlie the formulation of competency as roles derive fromtheir historical development; as we have written about previously in this journal, the CanMEDS Competency Framework (Frank 2005) developed out of the Educating Future Physicians for Ontario (EFPO) project during a time when the medical profession was re-creating its image following a failed physician strike (Whitehead et al. 2011).


게다가 성과 기반 교육의 언어는 성과와 생산에 대한 담론에 의존하며, 이는 우리가 연습생 역량을 개념화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영향을 준다(Hodges 2009).

The language of outcomes-based education, moreover, draws on discourses of performance and production, which inform and affect the ways we conceptualize trainee competence (Hodges 2009).


국제적으로 광범위하게 채택된 CanMEDS 역량 프레임워크를 포함한, 몇 가지 성과-기반 프레임워크에서 역할role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성과 담론performance discourse에서 유래하며 행동주의와 연결된다(Hodges 2012). 그러므로 행동주의자적 가정은 특성characteristics과 성과performance 담론의 기초가 된다.

The use of the term roles in several outcomes-based frameworks, including the CanMEDS Competency Framework, which has been adopted widely internationally, derives from performance discourse and is linked to behaviourism (Hodges 2012). Behaviourist assumptions, therefore, underlie both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discourses.


성과기반 모델은 생산 언어production language를 추가하며, 이는 공장 제조 공정을 바탕으로 표준화와 최종 제품 보증을 강조한다. 성과기반 언어에서 의대 또는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제품product'은 사회적 책임을 보장하는 특정 역량 기준을 충족한다.

Outcomes-based models add production language, which, drawing on factory manufacturing processes, emphasize standardization and end product guarantees. ‘Products’ of medical school or residency programs, in outcomes-based language, meet particular competency standards, which ensure social accountability.


최근 포트폴리오의 인기(Hodges 2012)에 등장하는 등, '성찰'은 점점 더 강조되고 있다. 실제로, 현재 현재 알려진 결과 기반 접근법에 사용되고 있는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실제로 지식(복수 선택 시험), 수행능력(객관적 구조 임상 시험 및 직접 관찰) 및 성찰(포트폴리오)의 평가가 모두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에 심리측정학(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가변성variability을 감소)에 대한 관심이 더해지면서, 객관성과 책임성을 주장하기 위해 표준화가 사용되었으며, 규정된 영역에서 역량을 갖춘 최종 제품 의사의 '보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하였다. 하지만 정확히 뭘 보장하고 있는가? 과연 우리가 [특정 연습생을 '좋은 의사'로 승인하는 도장을 찍어 brand할 수 있음]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조합이 있는가?

Reflection is gaining strength, appearing, for example in the recent popularity of portfolios (Hodges 2012). In fact, if we look at assessment tools currently being used in our purported outcomes-based approaches of today, we actually see assessments of knowledge (multiple choice tests), performance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 and direct observation) and reflection (portfolios) all being used. These are put together with attention to psychometrics (reducing variability to increase validity) and this standardization used to claim objectivity and accountability, giving ‘assurance’ of an end-product doctor with certainty of competence in prescribed areas. But what exactly are we assuring? Can any combination of assessment tools definitively guarantee that we can brand a particular trainee with the good doctor stamp of approval?


결론

Conclusion


특성요소characteristics 용어는 의사를 선택하고 훈련시키는 방법에 대한 통찰력과 답을 제공하기 위해 정신측정학 시험을 사용할 수 있는 특권을 부여했다. 현 시대에 우리의 지배적인 담론이 역량과 역할의 담론으로 옮겨간 반면, 이러한 '특성요소'에 관한 아이디어들 중 일부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리의 가정에 영향을 미친다. 1950년대 후반에 성격에서 특성으로의 갑작스런 변천에 대한 조사는 푸콜디안 비판적 담화 분석이 의학교육에서 우리가 취한 추정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의대생을 '일군의 비인지적 특성요소로 해부할 수 있는 것'으로 construct하는 것은 학생 선발과 훈련에 시사하는 바가 컸다. 그 학생은 전문적인 발견professional discovery이라는 개인적인 여정에 뛰어든 사람이 아니라, 측정되고, 잘게 쪼개지고, 환경 조작을 통해 주조할 수 있는 무언가가 되었다.

Characteristics terminology privileged the use of psychometric tests to provide insight and answers into how to choose and train doctors. While in the current era our dominant discourse has shifted to that of competence and roles, some of these characteristics ideas still influence our assumptions today. Examination of the sudden discursive shift from character to characteristics in the late 1950s demonstrates how Foucauldia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an help to provide understanding of our taken-for-granted assumptions in medical education. The construction of the medical student as one who is dissectible into a set of component ‘non-intellectual characteristics’ carried implications for student selection and training. The student became something to be measured, chopped apart and moulded through environmental manipulation, rather than someone who embarked on a personal journey of professional discovery.








. 2013 Oct;18(4):687-99.
 doi: 10.1007/s10459-012-9409-5. Epub 2012 Sep 28.

Dissecting the doctor: from character to characteristics in North American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Affiliation

  • 1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500 University Ave., 5th Floor, Toronto, ON, M5G 1V7, Canada, cynthia.whitehead@utoronto.ca.

Abstract

Medical educators develop student selection criteria and design curricula based on underlying assumptions about who is best suited to the profession and how these learners should be taught. Often these assumptions are not made explicit but instead are embedded in the words and phrases used to describe trainees and curricula. They may then be considered inevitable, rather than being seen as particular social constructs. Using Foucauldia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methodology, the authors examined a major shift in language in the late 1950s in North American medical education texts. The discourse of the good doctor as a man of character, which had been present since the 1910 Flexner Report, was replaced by a new discourse of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is sudden discursive shift shows a change in thinking about the medical trainee and learning environment from a personal journey of discovery to a dissectible set of component parts that could be individually measured and manipulated. Understanding the discursive effects of language that we use will allow medical educators greater insight into the implications and consequences of different constructions of important issues in medical education.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