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전문직교육에서 사회적책무성 측정(Med Teach, 2013)

Measuring social accountability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pilot testing of an evaluation framework

SARAH L. LARKINS1, ROBYN PRESTON1, MARIE C. MATTE2,3, IRIS C. LINDEMANN4, REX SAMSON5,

FILEDITO D. TANDINCO6, DAVID BUSO7, SIMONE J. ROSS1, BJO¨ RG PA´ LSDO´ TTIR8,

& ANDRE´ -JACQUES NEUSY8 on behalf of the Training for Health Equity Network (THEnet)




도입

Introduction


의사들을 포함한 세계적인 부족과 불균등한 의료 종사자들의 분포는 계속되는 건강 불평등과 밀레니엄 개발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는 데 기여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Chen et al.). 2004; 세계보건기구 2010). 최근 몇 년 동안, 보건전문 교육 기관들이 졸업생들에게 일련의 전문적인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훈련시키는 것 이상을 해야 할 책임이 있다는 인식을 증가시키고 있다. 보건 전문가를 양성하는 학교는 그들이 봉사serve하는 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킬 책임을 져야 한다는 국제적인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A global shortage and uneven distribution of health practitioners, including doctors, is one of the contributing factors to persisting health inequalities and failure to reach the Millenium Development Goals (Chen et al. 200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increasing recognition that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institutions have a responsibility to do more than just train graduates to meet a set of professional standards. There is growing international recognition that schools training health professionals should be held responsible for meeting the needs of the societies they serve.


이러한 그룹은 우선적인 건강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보건 분야, 정책 입안자 및 지역사회와의 파트너십을 개발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데 필요한 역량과 태도를 가진 의료 졸업생들의 필요성을 점점 더 인식하고 있다(Rourke 2006; Sen Gupta et al. 2009; Frenk 등 2010;Sales & Schlaff 2010). 여기에는 리더십 기술을 잘 갖추고 있으며, 보건 시스템 내에서 'enlightened change agent' 역할을 할 수 있는 졸업생들이 포함된다(Frenk et al. 2010).

These groups increasingly recognize a need for medical graduates with the required competencies and attitudes to ensure they are able to develop partnerships with the health sector, policymakers and communities in order to solve priority health needs (Rourke 2006; Sen Gupta et al. 2009; Frenk et al. 2010;Sales & Schlaff 2010). This includes graduates well equipped with leadership skills, and who are able to function as ‘enlightened change agents’ within health systems (Frenk et al. 2010).


THEnet

Training for Health Equity Network


THEnet(The Training for Health Equity Network)은 교육, 연구 및 서비스 자원을 기준 인구의 우선적인 보건 및 보건 시스템 필요를 지향하도록 하기 위해 헌신한 7개 의과대(Palsdottir et al. 2008)에 의해 2008년에 설립되었으며, 이후 11개 학교로 성장하였다(그림 1). 

The Training for Health Equity Network (THEnet) was founded in 2008 by seven schools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committed to direct their educational, research and service resources towards the priority health and health system needs of their reference population (Palsdottir et al. 2008), and has since grown to include 11 schools (Figure 1). 



공동으로, THEnet 파트너 스쿨은 세계보건기구(WHO; Boelen & Heck 1995)의 사회적 책무성에 대한 정의를 채택했다.

Collectively, THEnet partner schools have adopted a defini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SAHPE) based on that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Boelen & Heck 1995).



사회적 책무성이란 교육, 연구, 서비스 활동을 지역사회, 지역 및/또는 국가(학교)가 의무적으로 봉사해야 할 우선적 보건 관심사로 orient해야 할 의무를 말한다. 이 때 우선순위는 정부, 보건 서비스 기관, 공공 및 특히 소외 계층에 의해 공동으로jointly 정의된다.

Social accountability is the obligation to orient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ctivities towards priority health concerns of the local communities,the region and/or nation (schools) have a mandate to serve. These priorities are jointly defined by government, health service organisations, the public and especially the underserved.


THEnet School은 '무조건 지역사회와 의료 시스템의 요구에 대응하고 이에 수반되는 양질의 보건 전문 교육, 서비스 및 조치 중심의 연구를 통해 의료 및 보건 결과의 형평성을 달성하기 위한 핵심 공약'에 합의했다(THEnetDean's Group 2010). 

THEnet schools have agreed to ‘a core commitment to achieving equity in health care and health outcomes through quality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service and action-oriented research responsive to the needs of and embedded in,undeserved communities and health care systems’ (THEnetDean’s Group 2010). 


각 학교의 맥락이 뚜렷하게 다르기 때문에, 용어의 정의에 있어서 명확성을 필요로 한다. 특히, [disadvantaged or underserved 인구집단]의 정의를 세계적으로 통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했다. 이들의 작업을 위해, 블루멘탈과 보엘렌(2001)에 따라 소외되거나 소외된 모집단을 개념화한다. 

The distinctively different contexts of each school necessitated clarity in the definition of terms. In particular, a definition of disadvantaged or underserved populations that applied globally was important. For the purposes of THEnet’s work, disadvantaged or underserved populations are conceptualized following Blumenthal and Boelen (2001) as 


  • (1) 일반적으로 '인구 대다수와 비교하여 건강 악화, 기회 감소 또는 서비스 접근 감소로 고통받는 국가 내의 집단 또는 인구'이다. 

  • (2) 선진국에 대하여: 모든 선진국에는 '전체적으로 봤을 때 불리한'는 그룹이 있다. 예를 들면 인종/민족, 빈곤, 지리 및 특별한 요구를 가진 다른 집단에 기초한다. 

  • (3) 개발도상국에 대하여: '사실상 가난한 나라의 전체 인구는 부유한 나라와 비교하여 불이익을 받는다.'

  • (1) Generally ‘groups or populations within a country who,compared with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suffer from poorer health, fewer opportunities or reduced access to services’. 

  • (2) Relating to developed countries – In every developing country, there are groups that are ‘disadvantaged relative to the whole’. Examples are based on: race/ethnicity, poverty, geography and other groups with special needs. 

  • (3) Relating to developing countries – ‘Virtually the entire population of the poor countries is disadvantaged by comparison to the wealthy countries’. 


목표

Objectives


따라서, THEnet이 선택한 행동의 첫 번째 우선 순위는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우리의 progress를 비판적으로 반성하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고안된 전략의 효과를 평가하고, 전략이 공유됨에 따라 서로의 학습을 용이하게 하는 메커니즘으로서 종합적인 평가 프레임워크(프레임)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Thus, the first priority for action chosen by THEnet was to develop a comprehensive evaluation framework (the framework) as a mechanism to critically reflect on our progress towards social accountability,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trategies designed to meet this goal and to facilitate learning from each other as strategies are shared.



방법

Methods


그 도구는 다른 보건전문직교육의 필요를 염두에 두고 보다 일반적인 것으로 설계되었다.

the tool was designed as more generic keeping in mind the need of other health professional schools.


Boelen과 Woollard(2009)는 인증 과정에 통합될 목적으로 교육 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측정하는 프레임워크를 발표했다. 이 프레임워크는 '사회적 책무성'에 대한 세 가지 발현에 초점을 맞추었다. 

  • (i) 개념화: 어떤 종류의 전문직이 필요한지, 어떤 시스템이 그 스킬을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협력적 설계

  • (ii) 생산: 훈련과 학습의 핵심 요소

  • (iii) 사용가능성: 훈련된 전문가를 최고/최선으로 사용하기 위한 각 기관의 이니셔티브(CPU; Boelen & Woollard 2009, 페이지 890). 

CPU 모델은 사회의 요구를 확인하였고, 바람직한 전문적 규범이 기대되는 성과에 따라 요구를 충족시키기를 희망하였다(Boelen & Woollard 2009).

Boelen and Woollard (2009) published a framework to measure social accountability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 the aim that this be integrated into accreditation processes. This framework focused on three ‘expressions of social accountability’: 

  • (i) conceptualization, or the collaborative design of the kind of professional needed and the system that will utilize his or her skills; 

  • (ii) production, or the main components of training and learning and 

  • (iii) usability, or initiatives taken by the institution to ensure that its trained professionals are put to their highest and best use (CPU; Boelen & Woollard 2009, p. 890). 

The CPU model identified the needs of society, with the desired professional norms meeting those needs as the desired outcome (Boelen & Woollard 2009).




회의 과정

Process of meetings

    • . What are the key elements of socially accountable medical education which THEnet wants to evaluate? These were agreed to as common aspirations and key components.

    • . What are the gaps in current evaluation practice (i.e. what is not being evaluated)?

    • . What is currently being evaluated in a way that is not effective or appropriate?

    • . Of these, which are common for all members of THEnet?

    • THEnet이 평가하고자 하는 사회적 책무를 갖는 의학 교육의 핵심 요소는 무엇인가? 이것들은 공통된 열망과 핵심 요소로 합의되었다.

    • 현재 평가 관행의 차이(즉, 평가되지 않는 것)는 무엇인가?

    • 효과적이지 않거나 적절하지 않은 방식으로 현재 평가되고 있는 것은?

    • 이 중, THEnet의 모든 구성원에게 공통적인 것은 무엇인가?


2단계 이행 계획은 다음 그룹에 의해 합의되었다.

A two-phase implementation plan was agreed upon by the group:


(1) 파트너 학교에서 프레임워크를 시험하기 위해

(2) 문맥 간 사용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더욱 세분화한다.

(1) to pilot test the framework at partner schools and

(2) to further refine the framework for use across contexts.



프레임워크의 파일럿 구현

Pilot implementation of the framework



워크샵. 워크숍을 위해 워크북 가이드가 공동으로 작성되었으며 각 주요 구성 요소에 대해 교수진, 직원 및 지역사회 구성원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했다.

Workshops. A workbook guide was collectively created for the workshop and for each key component asked the following questions to faculty, staff and community members:


인터뷰/포커스 그룹. 각 학교는 다음과 같이 일련의 포커스 그룹 토론이나 인터뷰를 실시했다.

Interviews/focus groups. Each school conducted a series of focus group discussions or interviews with:


문서 분석. 기존 근거 출처의 분석은 평가 프레임워크의 다양한 열망과 지표를 기준으로 진행 상황을 평가하기 위한 중요한 전략이었다. 문서의 이름과 가용성은 학교와 상황에 따라 다양했지만, 다음과 같은 중요한 정보 출처가 포함되었다.

Documentary analysis. Analysis of existing sources of evidence was an important strategy to assess progress against the various aspirations and indicators in the evaluation framework. The name and availability of documents varied across schools and contexts, however important sources of information included:




결과와 고찰

Results and discussion


평가 프레임워크는 학교가 서로 다른 지표에 걸쳐 접근방식이 크게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의 제기에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The evaluation framework is designed to be used in itsentirety, as schools may vary widely in their approach across different indicators.


(표 1). 세 섹션은 다음을 고려한다.

(Table 1). The three sections consider:


(1) 우리 학교는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가? 이 절에서는 [가치, 거버넌스 및 의사결정 프로세스 평가 및 보건 부문, 지역사회 그룹 및 정책 입안자와의 파트너십을 포함하여] 기존 평가 및 인증 프레임워크에서 종종 무시되는 학교의 조직과 계획의 중요한 측면을 다룬다. 또한 여기에는 학교에서 제공하는 reference population에 대한 문서화 및 이해를 포함하며, 여기에는 특별히 소외된 그룹도 포함된다.

(1) How does our school work? This section addresses important aspects of the organization and planning of the school, frequently neglected in existing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frameworks, including an assessment of values, governance and decision-making processes and partnerships with the health sector, community groups and policy makers. It also includes document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reference population that the school serves, with particular note of underserved groups within this.


(2) 우리는 무엇을 하는가? 본 섹션은 학생, 교사, 커리큘럼 및 조각학, 연구, 서비스 및 자원 배분에 대한 고려사항을 포함하며, 일반적인 인증 절차와 보다 밀접하게 대응한다.

(2) What do we do? This section includes consideration of students, teachers, curriculum, andragogy, research, service and resource allocation, and corresponds more closely with usual accreditation processes.


(3) 우리는 실제로 어떤 차이를 만들어내는가? 이 대분류는 졸업성과(위치, 훈련 및 관행), 보건 서비스 및 지역사회 성과에 대한 참여 및 효과, 비용 효과 및 다른 학교와의 영향 평가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 섹션은 대부분의 인증 조치에서 대체로 간과되고 있으며, 보건 전문 교육 기관의 범위 밖에서 고려되는 경우가 많다.

(3) What difference do we make? This section includes an assessment of graduate outcomes (location, discipline and practice), engagement and effect on health services and community outcomes, cost effectiveness and influence with other schools. Again, this section is largely overlooked in most accreditation measures, and is frequently considered outside the scope of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institutions.



패널 1. 우리 학교는 어떻게 운영되니?

Panel 1. How does our school work?


1.1. 우리가 믿는 것은 무엇인가? (가치)

1.1. What do we believe in? (Values)


1.2. 우리가 누구를 위해 봉사하고 그들의 필요성은 무엇인가? (인구 및 보건시스템 참조)

1.2. Who do we serve and what are their needs? (Reference population and health system)


1.3.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어떻게 협력하는가? (파트너십)

1.3. How do we work with others? (Partnerships)


1.4. 우리는 어떻게 결정을 내리는가? (거버넌스)

1.4. How do we make decisions? (Governance).



패널 2. 우리는 무엇을 하는가?

Panel 2. What do we do?


2.1. 우리는 리소스를 어떻게 관리하는가? (현장 운영)

2.1. How do we manage our resources? (Field operations)


2.2. 우리는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나? (교육 프로그램)

2.2. What, where and how do we teach? (Education programme).


2.3. 우리는 누구를 가르칩니까? (학습자)

2.3. Who do we teach? (Learners)


2.4. 누가 가르치고 있는가? (교육자)

2.4. Who does the teaching? (Educators)


2.5. 우리의 연구 프로그램은 우리의 임무와 가치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 (연구).

2.5. How does our research programme relate to our mission and values? (Research).


2.6. 우리는 의료 서비스 제공에 어떤 기여를 하는가?

2.6. What contribution do we make to delivery of health care? (Service).


패널3. 우리는 어떤 차이점을 만드는가?

Panel 3. What difference do we make?.


3.1. 우리 졸업생들은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을까? (인적자원)

3.1. Where are our graduates and what are they doing? (Human resources)


3.2. 기준 인구 및 기준 보건 시스템에 어떤 차이를 만들어냈는가? (파트너십 및 보건 결과에 미치는 영향)

3.2. What difference have we made to our reference population and reference health systems? (Partnerships and effects on health outcomes)


3.3. 우리는 어떻게 아이디어를 공유했으며,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쳤는가? (발언/촉진 및 지속 가능성/변혁 변화)

3.3. How have we shared our ideas and influenced others? (Dissemination/promotion and sustainability/transformational change)


3.4. 우리는 다른 학교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 (피어 지원 및 복제)

3.4. What impact have we made with other schools? (peer support and replication).


local benefits 중 하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새로운 교직원과 지도자들에게 사회적 책임 활동의 명확한 의사소통을 허용하는 것이었다. 

One of the key local benefits was to allow clear communica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activities to new faculty and leaders joining the school over time. 


이 프레임워크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수준에서 사용(그리고 유용하게)하도록 설계된다. 

The framework is designed to be used (and useful) at three levels, as follows: 


(1) 개별 학교 수준: 개별 학교 수준에서 목표는 합의된 기준에 따라 SAHPE, 연구 및 서비스에서 학교 성과를 검증하고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다른 학교에서 배운 교훈을 적용하는 것이다.

(1) At individual school level: At individual school level the goal is to validate and continually assess and improve schools’ performance in SAHPE, research and service according to agreed standards and to apply lessons learned from other schools.

(2) 네트워크 수준: 네트워크 수준에서 목표는 자기성찰과 리뉴얼에 관여하고, 집단 경험을 공유하고, 다른 사람들로부터 배우고, 결과적인 중요한 데이터 덩어리를 지속적이고, 변환적인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2) At network level: At a network level the goal is to engage in self reflection and renewal, share collective experience and learn from others and use the resulting critical mass of data for continuous, transformational improvement.

(3) 더 넓은 수준: 더 넓은 수준에서 목표는 사회적 책임을 지는 보건 전문 학교의 가치/영향력을 입증함으로써 보건 서비스와 결과의 지속 가능한 개선을 촉진하고 옹호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목표는 학교와 정부가 무엇이 효과가 있고 그렇지 않은지를 결정하는 것을 통해 자원 배치를 안내하는 것을 돕고, 지역, 국가 및 국제적 수준에서 다른 단체와 정설에 도전하는 것을 포함한다.

(3) At a wider level: At a wider level the goal is to facilitate, and advocate for, sustainable improvement in health services and outcomes through demonstrating the value/impact of socially accountable health professional schools. Additional goals include helping guide resource deployment by schools and governments through determining what works and what does not, and challenging other bodies and orthodoxies at loc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기대하는 것

An aspirational tool


이 프레임워크는 미리 정해진 합격점을 가진 종합 연습으로 고안된 것이 아니라 학교들이 그들의 성과, 진보, 지식, 기술, 사회적 책임에 대한 능력을 비판적으로 볼 수 있도록 돕고 학교들이 개선을 위한 우선순위 영역을 확립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형식적인 연습으로 설계되었다. 

The framework is not designed as a summative exercise with a pre-determined pass mark, but rather a formative exercise to help schools take a critical look at their performance, progress,knowledge, skills and capacity towards social accountability,and assist schools in establishing priority areas for improvement. 



우리의 프레임워크는 의학 교육 표준을 평가하거나 인가를 위한 '틱 박스'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중요한 개방적이고 정직한 품질 개선과 보건 전문 학교에 대한 상호 학습의 사용을 위한 희망적인 평가 도구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It is important to note, our framework is not designed to assess a medical education standard, or to use as a ‘tick box’ for accreditation, but is an aspirational evaluation tool for the use of critical open and honest quality improvement and mutual learning for health professional schools.




결론

Conclusions


SAHPE의 THEnet 평가 프레임워크는 보건전문학교가 사회적 책임에 대한 진행 상황을 평가하고 개선 영역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협력적인 작업이다.

The THEnet evaluation framework for SAHPE is a collaborative piece of work that allows health professional schools to evaluate their progress towards social accountability and identify areas for improvement.



Strasser R, Neusy A-J. 2010. Context counts: Training health workers in and for rural and remote areas. WHO Bull 88:777–782. 


Global Consensus for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2011. Global consensus for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Accessed 11June 2011] Available from http://www.healthsocialaccountability.org. 









 2013;35(1):32-45. doi: 10.3109/0142159X.2012.731106. Epub 2012 Oct 26.

Measuring social accountability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development and internationalpilot testing of an evaluation framework.

Author information

1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James Cook University, Australia. sarah.larkins@jcu.edu.au

Abstract

BACKGROUND:

Health professional schools are responsible for producing graduates with competencies and attitudes to address healthinequities and respond to priority health needs. Health professional schools striving towards social accountability founded the Training for Health Equity Network (THEnet).

AIM:

This article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THEnet evaluation framework for socially accountable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presents the framework to be used as a tool by other schools and discusses the findings of pilot implementation at five schools.

METHODS:

The framework was designed collaboratively and built on Boelen and Woollard's conceptualization, production and usability model. It includes key components, linked to aspirational statements, indicators and suggested measurement tools. Five schools completed pilot implementation, involving workshops, document/data review and focus group discussions with faculty, students and community members.

RESULTS:

Three sections of the framework consider: How does our school work?; What do we do? and What difference do we make? Pilottesting proved that the evaluation framework was acceptable and feasible across contexts and produced findings useful at school level and to compare schools. The framework is designed as a formative exercise to help schools take a critical look at their performance and progress towards social accountability. Initiatives to implement the framework more widely are underway. The framework effectively aids in identifying strengths, weaknesses and gaps, with a view to schools striving for continuous self-improvement.

CONCLUSION:

THEnet evaluation framework is applicable and useful across contexts. It is possible and desirable to assess progress towards social accountability in health professional schools and this is an important step in producing health professionals with knowledge, attitudes, and skills to meet the challenges of priority health needs of underserved populations.

PMID:
 
23102162
 
DOI:
 
10.3109/0142159X.2012.7311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