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과 감정에 관한 생각: 기초의학과 임상의학과의 통합하는 의료인문학의 메타인지적 접근(Perm J, 2014)

Thinking about Thinking and Emotion: The Metacognitive Approach to the Medical Humanities that Integrates the Humanities with the Basic and Clinical Sciences

Quentin G Eichbaum, MD, PhD, MPH, MFA, MMHC, FCAP




도입

Introduction


이 글은 메타인지—생각(그리고 감정)에 대해 생각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다.

This article will argue that metacognition—“thinking about thinking (and emotion)”


의학 교육에 있어서 인문학의 난제

The Conundrum of the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인문학이 의과대학에서 흔히 가르쳐지는 이유는 [학생들이 시험을 통과하기 위해 외워야 하는 과학 지식의 부담스러운 무게에 균형을 되찾기 위해] 또는 Bleakley1가 ["과학을 과다복용한 것에 대한 보상"]등이다. 그렇더라도 인문계와 과학은 여전히 의대나 대학교에서 "고립된silo" 학문으로 가르친다. 그러나 과학과 인문학을 "두 개의 문화"로 나누는 것은 지식에 대한 잘못된 이분법이다.

The humanities are frequently taught in medical schools to provide a rehumanizing counterbalance to the burdensome weight of scientific knowledge that students must memorize to pass their examinations, or as Bleakley1 says: “as compensation for an overdose of science.” Be this as it may, the humanities and sciences are usually still taught in medical schools and universities as “silo” disciplines. Separating the sciences and humanities into what Snow2 famously called “the two cultures” has, however, created a false dichotomy in knowledge.


VUSM의 컬리지 콜로키움

The College Colloquium at VUSM


이 콜리키움는 과학과 인문학이 "두 개의 문화"가 아니라 인식과 인간의 뇌를 통해 매개되는 하나의 지적 "문화"라는 전제에 바탕을 두고 있다. 콜로키움의 지적인 틀은 메타인지에 기반을 두고 있다.

The colloquium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re are not “two cultures” but only a single “culture” of knowledge that is mediated through cognition and the human brain. The intellectual framework of the colloquium has its foundations in metacognition,


현대의 신경과학은 지금 뇌와 정신이 별개의 존재인지 아닌지에 대해 논쟁한다. Panksepp와 Biven은 "현대 신경과학... 정신과 뇌를 구분하는 것은 더 이상 유용하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비록 우리가 types of mind과 types of brain을 구분해야 하지만 말입니다."7p8

modern neuroscience now disputes whether the brain and mind are separate entities . Panksepp and Biven, write that “modern neuroscience … has revealed that it is no longer useful to distinguish between the mind and the brain, although we surely must distinguish between types of minds and types of brains.”7p8


의학 교육은 학생들을 민첩한 학습자유연한 사고방식으로 발전시키는 역량 기반 접근방식으로 추진될 것이다. 이 능력을 가진 학생들은 어떻게 마음mind이 작동하는지를 더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8

medical education will be impelled toward a competency-based approach that develops students into agile learners and flexible thinkers. Students possessing this competency will have a deeply enhanced understanding of how the mind works.8



컬리지 콜로키움의 구조와 근거

Structure and Rationale of the College Colloquium


VUSM의 커리큘럼 2.0은 커리큘럼에 더 이상 포괄적으로 수용될 수 없는 의학적 지식과 복잡성의 급격한 성장에 대처하고 대신에 학생들에게 좀더 개인화되고 맞춤화된 교육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VUSM의 커리큘럼 2.0은 전통적인 미국 의학 교과과정의 기본 과학 구성요소를 2년에서 약 15개월로 줄이고 임상실습의 대부분을 커리큘럼의 3학년에서 2학년으로 변경한다. 3학년, 4학년은 학생들이 의학을 선택하는 방향으로 교육을 조정할 수 있는 개인화된 학습 계획으로 고안되었다.

Curriculum 2.0 at VUSM was designed in part to cope with the rapid growth in medical knowledge and complexity that can no longer be comprehensively accommodated in the curriculum, and instead to provide students with a more individualized and customized approach to their education. Curriculum 2.0 at VUSM reduces the basic science component of the traditional US medical curriculum from 2 years to about 15 months in length, and shifts the bulk of the clinical clerkships from third year to the second year of the curriculum. The third and fourth years are devised as an individualized learning plan in which students can tailor their education in the direction of their choice of medical specialty.


이 콜로키움의 목표는 학생들이 더 민첩한 학습자가 되고 유연한 사고를 하도록 개발하는 것이다. 콜로키움은 "학습 공동체"를 구성하는 4개의 "대학"에 위치해 있다

The goal of the colloquium is to develop students to be more agile learners and flexible thinkers. The colloquium is situated in the 4 “colleges” that comprise the “learning communities.”


콜로키움은 매주 두 시간 반 동안 만난다. 첫 30분은 코스 디렉터나 관련 교수들에 의해 강의실에 전달되는 짧은 대화인 "컨텍스트 대화"에 할애됩니다. 이 컨텍스트 대화는 한 주의 담화 주제를 광범위한 학습 및 지적 프레임워크에 배치하고 뒤따르는 대학 내 토론에서 토론에 도전적인 질문을 제기함으로써 필요한 독서에 대한 맥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 학습의 맥락을 암묵적으로 놔두기 보다는, 맥락을 제공하여 과학적, 사회적, 문화적/윤리적 상호관계에서 콜로키움 주제를 다룬다. 전문가의 역할은 학생들에게 해답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도전challenge하는 것이며, 학생들이 참여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대학 환경에서 탐색할 수 있는 길을 여는 것이다.

The College Colloquium meets for two to two-and-a-half hours each week. The first half hour is devoted to a “context talk,” a short talk delivered to the class by the course directors or associated faculty experts. The context talks are designed to provide a context around the required readings by placing the week’s colloquium topic in a broader learning and intellectual framework, and by posing challenging questions for discussion in the ensuing within-college discussions. Rather than leaving the context of learning implicit, the context talks situate the colloquium topics in the setting of their scientific and sociocultural/ethical interrelationships. The role of the expert teacher is not to provide answers, but to be challenging and to open up exploratory avenues for students to navigate in the participatory and trusting setting of their colleges.


강연이 끝난 후 학생들은 각자 다른 컬리지으로 가서 주어진 독서와 상황에 따른 질문에 대해 토론한다. 코스로써 콜로키움은 메타인지와 비판적 사고에 대한 기초 읽기와 토론으로 시작되며, 이후 학기에 전문성, 의학 윤리성, 리더십, 건강 관리 시스템의 주제로 이어진다.

After the talk, students break up into their separate colleges to discuss the assigned readings and possibly questions triggered by the context talk. The colloquium as a course starts with foundational readings and discussions on topics in metacognition and critical thinking, and in subsequent semesters proceeds to topics in professionalism, medical ethics, leadership, and health care systems.


열린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하고 공동체 의식을 조성하기 위해, 콜로키움에서 학생(그리고 멘토) 참여자들의 좌석 배치가 중요하다. 학생들은 열린 공간을 가로질러 서로 마주보는 원 안에 멘토들과 함께 앉는다. (전자 장치나 소셜 미디어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컬리지 멘토들은 토론을 용이하게 한다. 학생들은 각 콜로키움 전에 주어진 각 주의 독서자료에 대해 신중히 고려된 질문을 제출해야 하며, 이를 회람하여 토론을 유도하고 학생들에게 창의적 질문을 만드는 연습을 제공하게 한다.

For promoting open communication and for generating a sense of community, the seating arrangement of the student (and mentor) participants in the colloquium is important. The students sit together with their mentors in a circle facing each other across an open space. (No electronic devices or social media are allowed.) The college mentors facilitate the discussions. Students are required to submit and to disseminate a carefully considered question on each of the week’s readings to the college the evening before each colloquium, to drive discussions and to give the student practice in formulating creative questions.


미국의 대부분의 의료인문학과정은 종합적으로 평가되지 않고 있으며, 대부분은 필수 과목도 아닌 것 같다.

Most medical humanities courses in the US, it appears, are not summatively assessed, and many are not even required courses.


VUSM의 과학 과정처럼, 콜리키움은 필수과목이며, 충분히 평가되고, 과목을 평가한다. 별도의 시험을 치르는 대신, 콜로키움에서 나온 에세이 형식의 질문들이 과학 최종 블록 시험에 통합된다. 그 질문은 학생들이 독서한 내용을 그들 자신의 사고에 통합시키고 흡수했는지, 그리고 그들의 생각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읽기를 흡수하는 것에 대해 말한 윌리엄 오슬러에 따르면, "책을 읽는 것보다 책을 사는 것이 훨씬 더 간단하고, 책을 읽는 것이 그들의 내용을 흡수하는 것보다 더 쉽다."

Like the science courses at VUSM, the colloquium is a required, fully assessed, and evaluated course. Rather than having a separate examination, essay-style questions from the colloquium are integrated into the science end-block examinations. The questions are aimed at assessing whether students have intellectually integrated and assimilated the context (rather than just the content) of the readings into their own thinking and can communicate their thinking clearly. As attributed to William Osler, who spoke of absorbing readings: “It is much simpler to buy books than to read them and easier to read them than to absorb their contents.”


Selected Readings in Meta/Neurocognition Assigned in the College Colloquium at 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ooks

• Schulz K. Being Wrong: Adventures in the Margin of Error. New York, NY: Harper Collins; 2010.

• Quirk ME. Intuition and Metacognition in Medical Education: Keys to Developing Expertise. New York, NY: Springer; 2006.

• Montgomery K. How Doctors Think: Clinical Judgment and the Practice of Medicine.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 Siegel D. The Mindful Brain. New York, NY: WW Norton; 2007.

• Hall S. Wisdom: From Philosophy to Neuroscience. New York, NY: Knopf; 2010.

• Doidge N. The Brain That Changes Itself. New York, NY: Penguin Books; 2007.

• Kahneman D. Thinking Fast and Slow. New York, NY: Farrar, Straus and Giroux; 2011.

• Churchland P. Braintrust: What Neuroscience Tells Us about Morality. New York, NY: Knopf; 2010.

• Taylor JB. My Stroke of Insight: A Brain Scientist’s Personal Journey. New York, NY: Viking; 2006.

• Berns G. Iconoclast: A Neuroscientist Reveals How to Think Differently. Boston, MA: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2010.

• Colvin G. Talent is Overrated: What Really Separates World-Class Performers from Everybody Else. New York, NY: Penguin; 2008.

• Ramachandran VS. The Tell-Tale Brain: A Neuroscientist’s Quest for What Makes Us Human. New York, NY: WW Norton; 2011.

• Spiro H, Peschel E, Curnen MGM, St James D. Empathy and the Practice of Medicine.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1993.

• Damasio A. Self Comes to Mind: Constructing the Conscious Brain. New York, NY: Vintage Books; 2012.


Articles

• Gladwell M. Most likely to succeed: how do we hire when we can’t tell who’s right for the job? [Internet]. New York, NY: The New Yorker; 2008 Dec 15 [cited 2014 Jul 31]:[about 15 p]. Available from: www.newyorker.com/magazine/2008/12/15/most-likely-to-succeed-2.

• Gladwell M. The talent myth: are smart people overrated? [Internet]. New York, NY: The New Yorker; 2002 Jul 22 [cited 2014 Jul 31]:[about 7 p]. Available from: www.newyorker.com/magazine/2002/07/22/the-talent-myth.

• Tierney J. Do you suffer from decision fatigue? [Internet]. New York, NY: The New York Times; 2011 Aug 17 [cited 2014 Jul 31]:[about 10 p]. Available from: www.nytimes.com/2011/08/21/magazine/

do-you-suffer-from-decision-fatigue.html?pagewanted=all.

• Lucey C, Souba W. The problem with the problem of professionalism. Acad Med 2010 Jun;85(6):1018-24. DOI: http://dx.doi.org/10.1097/ACM.0b013e3181dbe51f.

• Charon R. The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Narrative medicine: a model for empathy, reflection, profession, and trust. JAMA 2001 Oct 17;286(15):1897-902. DOI: http://dx.doi.org/10.1001/jama.286.15.1897.

• Epstein RM, Siegel DJ, Silberman J. Self-monitoring in clinical practice: a challenge for medical educators. J Contin Educ Health Prof 2008 Winter;28(1):5-13. DOI: http://dx.doi.org/10.1002/chp.149.



메타인지적 신경인지적 접근

The Meta/Neurocognitive Approach


인문학을 기초, 임상과학과 통합하기

Integration of the Humanities with the Basic and Clinical Sciences


의학 교육에서 사실에 입각한 지식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은 학습과 사고를 틀어막는다. 철학자인 Nussbaum은 교육은 우리에게 사실을 수동적으로 동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전문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이 되도록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한다. "교육은 단순히 사실과 문화적 전통에 대한 수동적 동화가 아니며, 복잡한 세계에서 능동적이고, 능력 있고, 사려깊게 비판적이 되기 위해 마음에 challenging하는 것이다."

The overemphasis on factual knowledge in medical education has a stifling effect on learning and thinking. Philosopher Nussbaum insists that education should teach us not to be just passive assimilators of facts but to be expert thinkers: “[E]ducation is not just about the passive assimilation of facts and cultural traditions, but about challenging the mind to become active, competent, and thoughtfully critical in a complex world.”9p18


의대생과 연수생들은 사실적 지식의 중요성을 과대평가하고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많은 사람들은 사실에 입각한 의학 지식을 뛰어난 의사의 특징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관점에서, 학생들은 인문학을 객관적인 과학에 비해 "주관적"이거나 "soft option"으로 생각할 수 있고, 따라서 인문학을 열등한 것으로 생각하곤 한다.

Medical students and trainees have a tendency to overemphasize and value the importance of factual knowledge. Many seem to consider a sound command of factual medical knowledge as the hallmark of the outstanding physician. From this perspective, students may perceive the humanities as subjective or a soft option compared with the objective sciences and therefore may relegate the humanities to an inferior standing.


인문학이 효과적인 과학 학습을 위한 조건을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과학적 방법의 엄격함이 인류를 계몽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사자들은 의료 영상을 사용하여 뇌가 어떻게 이야기와 문학을 처리하는지 연구했다. 연구에 따르면 거울 뉴런으로 알려진 뇌의 뉴런 그룹이 이야기를 처리하는 데 관여하고 있다. 이 뉴런들은 또한 감정이입에 있어서도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과학과 인문학의 일부가 인간 지식의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본다.

Analogously, just as the humanities can have a vital role in creating the conditions for the effective learning of science, so too can the rigors of the scientific method be brought to enlighten the humanities. For example, investigators have used medical imaging to study how the brain processes stories and literature. Research shows that a group of neurons in the brain known as mirror neurons are involved in the processing of stories. These neurons also play a role in empathy. One therefore sees that the sciences and humanities are part of an integral field of human knowledge.


콜로키움은 교과과정에서의 과학과 인문학의 불균형을 바로잡는 것을 목표로 한다. 메타인지적 접근법은 신경 과학을 통해 점점 더 많이 알려지면서 과학과 인문학을 통합하기 위한 지적 프레임워크와 집중 렌즈를 제공합니다. 콜로키움은 매주 과학 교육과정과 함께 진행되며, 콜로키움과 과학 과목 사이에 주제 문제를 양방향으로 통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방암의 유전학에 관한 강좌 내용은 진단 유방조영술을 읽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지각의 함정을 설명하기 위해 구어체 세션인 "어떻게 우리는 인식하는가"에 포함될 수 있다.

The colloquium aims to redress this curricular imbalance between the sciences and humanities. The metacognitive approach—increasingly informed through neuroscience— provides the intellectual framework and focusing lens for integrating the sciences and humanities. The colloquium runs in parallel each week with the science curriculum allowing for a bidirectional integration of subject matter between the colloquium and science courses. For example, course content on the genetics of breast cancer may be included in a colloquium session, “How We Perceive,” to illustrate pitfalls in perception that can occur in reading a diagnostic mammogram.


콜로키움은 "두 개의 문화"라는 개념에 도전하고 대신 인문학과 과학을 통일된 의학 커리큘럼으로 통합하려고 한다.

The colloquium challenges the notion of the “two cultures” as separate cultures and instead attempts to integrate the humanities and sciences into a unified medical curriculum.


인지와 감정의 상호작용으로서 메타인지

Metacognition as an Interplay of Cognition and Emotion


키르크 교수는 메타인지란 "사람의 생각과 감정에 대해 생각하고 다른 사람들이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지를 예측하는 능력"으로 정의한다. 신경과학과 인지과학의 상당한 문헌은 인식과 감정이 뇌의 서로 다른 비 상호작용 경로를 따라 처리된다는 가정에 이의를 제기하였다. 대신에, 인지와 감정 사이에는 중요한 상호작용이 있으며, 둘 중 어느 것도 단독으로 이해될 수 없다. 신경생물학자 다마시오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감정이 전적으로 이성에서 배제되었을 때... 우리의 결정에 감정이 나쁜 장난을 할 때보다 이성은 훨씬 더 큰 결함을 갖게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지는 감정에 영향을 미치며, 감정은 인지, 기억, 학습 그리고 의사 결정과 같은 인지 과정을 형성한다. 의학에서, 우리는 효과적인 의사 결정에서 인식과 감정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과소평가해왔으며, 의학적 오류의 상당수에는 이러한 상호작용이이 깔려있음을 과소평가했다.


Quirk defines metacognition as “the ability to think about one’s thinking and feelings and to predict what others are thinking.”13p4 A substantial body of literature from the neurosciences and cognitive sciences has challenged the assumption that cognition and emotions are processed along separate noninteracting pathways in the brain.7 Instead, there is a major interplay between cognition and emotions, and neither can be understood in isolation. Neurobiologist Damasio argues that “when emotion is entirely left out of the reasoning picture … reason turns out to be even more flawed than when emotion plays bad tricks on our decisions.”14pxii Cognition affects emotion, and emotions in turn shape cognitive processes such as perception, memory, learning, and decision making. In medicine, we have underestimated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cognition and emotion in effective decision making and how this interplay underlies a sizable component of medical error.7,15-17


그러므로 메타인지적 접근법은 학생들의 사고력과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정서 조절, 대처와 회복력, 공감 등과 같은 학생들의 감정적인 삶에 영향을 미치는 주제를 포함시킴으로써 그들의 직업적 정체성을 발전시킨다.

Thus, the metacognitive approach enhances not only students’ thinking and learning skills but also develops their professional identity by including topics that affect the students’ emotional lives, such as emotional regulation, coping and resilience, and empathy.


메타인지, 신경과학, 인지적 오류

Metacognition, Neuroscience, and Cognitive Fallibility


따라서 콜로키움에서 다루는 많은 주제와 요구되는 독서는 신경인지의 글과 연구로부터 유래한다.

Many of the topics and required readings in the colloquium therefore derive from writings and research in neurocognition.


현대 신경 생물학은 이전에는 서로 구분된다고 여겨져온 지식의 영역을 통합하기 위한 추진력을 제공하고 있다.

Modern neurobiology is providing the impetus for unifying previously disparate fields of knowledge.


신경 생물학은 과학과 인문학을 통합하고 있다. 이전에 주로 지각, 학습, 의사결정과 같은 철학과 심리학의 영역에 있던 조사분야는 이제 우리는 과학의 엄격한 방법을 사용하여 검토할 수 있다.11

Neurobiology is integrating the sciences and humanities. Fields of investigation previously falling mostly in the realm of philosophy and psychology, such as perception, learning, and decision making, we can now examine using the rigorous methods of science.11


신경인지 연구를 통해, 학생들은 뇌가 카메라처럼 현실을 기록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 대신에, 그것은 생존을 위해 충분히 효과적인 세계의 모델을 만든다. 신경과학자 이글맨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Through the study of neurocognition, students become aware that the brain does not record reality like a camera. Instead, it constructs models of the world that are sufficiently effective for survival. As neuroscientist Eagleman states:


가장 널리 퍼진 실수 중 하나는 우리의 시각 시스템이 영화 카메라와 같은 방식으로 "외부에" 있는 것을 충실하게 표현한다고 믿는 것이다.19p24  뇌는 세계로 뻗어나가 필요한 유형의 정보를 활발하게 추출합니다. 

뇌는 세상의 "완전한 모델"이 필요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어디를 볼지, 언제 볼지 정도만 찾아내면 되기 때문이다.

One of the most pervasive mistakes is to believe that our visual system gives a faithful representation of what is “out there” in the same way that a movie camera would.19p24 

… [B]rains reach out into the world and actively extract the type of information they need.19p30 

The brain doesn’t need a full model of the world because it merely needs to figure out, on the fly, where to look, and when.19p27



지각, 학습, 의사 결정, 그리고 의료 오류에 대한 콜로키움 세션은 두뇌의 인지적 부정확성과 오류유발성향에 대해 학생들에게 깊은 인상을 준다. 뇌의 인지적 오류에 대한 인식은 일반적으로 사람을 겸손하게 만든다. 그것은 학습자들에게 그들의 신념, 세계에 대한 그들의 관점, 그리고 그들의 결정에 대해 "틀렸을" 가능성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킨다. 이러한 깨달음을 얻은 많은 학생들은 처음에는 불안해한다. 그들은 임상학년으로 진급하면서 의료적 실수를 할 것에 대해 대해 걱정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깨달음은 또한 그들에게 콜로키움의 메타인지적 접근법에 대한 교육의 목적과 명상, 지속적인 인지적, 감정적 모니터링의 중요성에 대한 인상을 준다.

Colloquium sessions on perception, learning, decision making, and medical error impress on students the brain’s cognitive fallibility and proneness to error. Such an awareness of the brain’s cognitive fallibility is generally humbling. It instills in student learners a mindfulness about their own potential for being “wrong”19 about their beliefs, their perspectives on the world, and their decisions. For many students, this realization is initially unsettling. They begin to worry about their own potential for medical error as they progress to their clinical years. This realization, however, also impresses on them the relevance to their education of the colloquium’s metacognitive approach and the importance of mindfulness and ongoing cognitive and emotional monitoring.


비판적 사고, 인지적 유연성, 학습 민첩성, 마음챙김

Critical Thinking, Cognitive Flexibility, Learning Agility, and Mindfulness


비판적 사고와 생각의 모양새

Critical Thinking and the Shape of Thought


의대생들은 일반적으로 학업 성취도가 높은 사람들이지만, 그들은 일반적으로 비판적 사고를 하도록 훈련되지는 않는다. 비판적 사고는 미국 학교와 대학에서 거의 가르치지 않는다. 21세의 쿤은 자신의 저서 '생각 교육'에서 다음과 같이 쓴다. 

Medical students in general are academic high achievers, Yet they are generally not trained as critical thinkers. Critical thinking as a discipline is seldom taught in US schools and colleges. Kuhn,21 in her book Education for Thinking, writes: 


많은 학생들은 그들이 공부한 과목에 근본적인 개념과 관계에 대한 피상적인 이해 이상의 증거를 제시할 수 없다. Thinker로서 많은 역량을 개발하지 않고도 미국에서 12~13년간의 공립학교 교육을 마칠 수 있다.

Many students are unable to give evidence of more than a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and relationships that are fundamental to the subjects they have studied … [I]t is possible to finish 12 or 13 years of public schoo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without developing much competence as a thinker.


비판적 사고는 폴과 엘더22에 의해 "개선을 위한 관점으로 생각하고 분석하는 기술"으로 정의된다.

Critical thinking is defined by Paul and Elder22 as “the art of analyzing and evaluating thinking with a view to improving it.”


비판적 사고에 대한 세션은 논리의 함정에 대한 주제와 다양한 형태의 인지적 휴리스틱스편견을 포함한다. 학생들은 "straight"과 "crooked" 사고를 구별하는 것, 다양한 형태의 인지적 편견을 인식하는 방법, 그리고 그들의 생각의 질이 어떻게 의료 오류와 의학의 효과적인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구별하는 법을 배운다.

Sessions on critical thinking include topics on the pitfalls of logic and the analysis of various forms of cognitive heuristics and biases. Students learn 

      • to distinguish “straight” from “crooked” thinking, 

      • how to recognize the multifarious forms of cognitive bias, and 

      • how the quality of their thinking has an impact on medical error and the effective practice of medicine.


비판적 사고 외에도, 학생들은 지능 시험의 이용과 남용에 대해서도 배운다.27 콜로키움에서 지능이란 단일한 인간의 특성이 아니며, 가드너가 설명한 "다중 지능"이 있다고 강조한다.

Besides critical thinking, students are also taught about the uses and abuses of intelligence testing.27 The colloquium emphasizes that intelligence is not a monolithic human attribute but that there are “multiple intelligences” as described in Gardner’s25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의대생들은 종종 Gardner가 분석적 지능이라고 부르는, 빠르고 분석적인 형태의 지능에 대한 획일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은 놀라워하며, 종종 가드너가 제시한 다른 동등하게 유효한 형태의 지능에 대해 배우도록 격려를 받는데, 이것은 키네틱, 음악, 언어, 인트라피멘탈, 대인관계 지능 등이 있다.

medical students frequently hold a monolithic view of intelligence—the fast and analytical type that Gardner terms analytical intelligence. They are surprised but often also encouraged to learn about Gardner’s other equally valid forms of intelligence that include kinesthetic, music, linguistic,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s.


콜로키움에서 학생들은 또한 집단 사고의 찬반양론에 대해 토론하고, 소규모 집단에서는 창조적 사고에 대한 연습에 참여한다. 그러한 창의적인 사고 연습 중 하나는 드 보노의 "여섯 개 생각 모자"이다.

Students in the colloquium also discuss the pros and cons of group thinking and, in small groups, engage in exercises in creative thinking. One such creative thinking exercise is de Bono’s26 “six thinking hats,”


특정한 콜로키움은 뇌의 생물학과 특정 신경학이 어떻게 생각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예를 들어, 우리는 뇌졸중으로 어떻게 생각와 개인의 정체성이 왜곡되는지(예: 테일러, 28 My Stroke of Insight), 알츠하이머 질병의 기억과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자폐증과 다른 정신 질환의 생물학적 상관관계에 대한 수치를 제시한다.

specific colloquium sessions focus on the biology of the brain and how specific neuropathologies can shape patterns of thinking. For instance, we assign readings on how brain stroke can distort thinking and personal identity (eg, Taylor,28 My Stroke of Insight); the effects of Alzheimer disease on memory and identity; and the biologic correlates of autism and other mental disorders.


이러한 콜로키움은 학생들이 "생각"이란 것은 당연한 것이 아니며, 실수를 저지르기 쉬운 생물학적 기관의 산물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생각"을 일종의 뇌의 "산출물"으로 바라보는 관점은 제한되며, 우리의 사고 과정은 쉽게 오류에 빠진다. 이것은 더 구체적으로 의학적인 오류에 대해서 탐구한다. 인식에 대한 이러한 생물학적 제약에 비추어 볼 때, 학생들에게 배양해야 할 더 높은 수준의 사고방식이 "인지적 유연성"이라는 것이 명백해졌다.

These colloquia thus serve to make students aware that thinking cannot be taken for granted but is the product of a fallible biologic organ. Thinking as a “product” or emanation of the brain is constrained, and our thought processes are subject to error. In medicine, this translates more specifically into medical error—a topic further explored in dedicated colloquium sessions. In view of these biologic constraints on cognition, it becomes evident to students that a higher order of thinking to cultivate is “cognitive flexibility.”


인지적 유연성과 학습 민첩성

Cognitive Flexibility and Learning Agility


정확한 정의에 대한 합의는 없지만 인지적 유연성의 개념은 잘 연구되어 왔다. Dennis와 Vander Wal30은 "환경적 자극에 적응하기 위해 인지적 세트를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을 제안한다. 저자들은 인지적 유연성라는 세 가지 요소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했다. 

    • 1) 어려운 상황을 통제 가능한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  

    • 2) 생명 발생 및 인간 행동에 대한 복수의 대안적 설명을 인지할 수 있는 능력 

    • 3) 어려운 상황에 대한 여러 가지 대안 솔루션을 생성할 수 있는 능력."

The concept of cognitive flexibility has been well studied, although there is no consensus on a precise definition. Dennis and Vander Wal30 suggest “the ability to switch cognitive sets to adapt  to  changing  environmental  stimuli.”  The  authors  developed  an  instrument,  the  Cognitive  Flexibility  Inventory, which is designed to measure three components of cognitive flexibility: “

    • 1) the tendency to perceive difficult situations as controllable;  

    • 2)  the  ability  to  perceive  multiple  alternative explanations for life occurrences and human behavior; and 

    • 3) the ability to generate multiple alternative solutions to difficult situations.”


콜로키움에서, 우리는 학생들이 그들의 신념과/또는 선입견과 생각을 얼마나 융통성없이 고수하는지, 그리고 그들의 마음을 바꿀 새로운 통찰력과 의지가 있는지 등을 보기 위해 인지적 유연성을 사용합니다.

In the colloquium, we use cognitive flexibility to determine how rigidly students adhere to their beliefs and/or preconceived notions and ideas, as well as their capacity to gain new insights and willingness to change their mind.


유사한 용어로, 학습 민첩성은 롬바르도와 아이친저31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이는 "경험으로부터 배우려는 의지와 능력으로, 그렇게 학습한 것을 이후에 처음 접하거나 새로운 조건에서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An analogous term, learning agility, pertaining to flexibility in learning, was coined by Lombardo and Eichinger31 to connote the “the willingness and ability to learn from experience, and subsequently apply that learning to perform successfully under new or first time conditions.”


콜로키움의 토론 형식은 학생들이 동료와 멘토들의 관점으로부터 배우고, 그것을 자신의 경험에 통합하도록 장려한다.

The discussion format of the colloquium encourages students to learn from the perspectives of their peers and mentors, and to integrate this learning into their own experience.


인지적 유연성은 [세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보는 능력]과 [마음을 바꿀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융통성 있는 능력] 등의 정신적 속성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람의 인지적 편견을 인식하고, 한 사람이 가진 신념의 주관성이 어떻게 명확한 사고를 혼란스럽게 할 수 있는지를 볼 수 있어야 한다.

Cognitive flexibility includes such mental attributes as the capacity to see the worl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nd the capacity to be sufficiently flexible to change one’s mind. It entails the ability to recognize one’s cognitive biases and to see how the subjectiveness of one’s beliefs can obfuscate clear thinking.


의대생들이 치른 테스트의 결과로서, 그들은 사실에 입각한 지식을 미묘한, 조건부, 맥락에 따른 사고 과정에 비해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콜로키움에서 학생들은 "사실"은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의학지식이 뒤바뀌고 변화하며 그것의 진실성이 지속적으로 재평가된다는 것을 알게 됨으로써 동요하곤 한다. 로빈슨32는 의학 지식이 5년마다 두 배씩 증가하며 의료 정보의 약 90%가 출판일로부터 약 10년 이내에 가치가 없어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As a consequence of the battery of tests medical students have taken, they may tend to overvalue factual knowledge over the nuanced, conditional, and contextual processes of thinking. Students in the colloquium may be perturbed to learn that “facts” are not immutable but that medical knowledge churns over and changes, and its veracity is constantly reevaluated. Robinson32 showed that medical knowledge doubles every 5 years and that approximately 90% of medical information becomes worthless and of little value in about 10 years from the date of publication.


마음챙김과 마음챙김학습

Mindfulness and Mindful Learning


시겔은 마음챙김이란, "가장 일반적인 의미에서, 자동적인 삶으로부터 깨어나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새로운 것에 민감해지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Siegel has defined mindfulness “in its most general sense [as being] about waking up from a life on automatic and being sensitive to novelty in our everyday experiences.”34p5


고정적인 사실이나 절대적인 사실의 학습과는 대조적으로, 마음챙김학습은 조건이나 맥락의 관점에서 생각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In contrast to the learning of static facts and absolutes, mindful learning encompasses the ability to think in terms of conditions  and  contexts.  


모바일 마인드

Mobile Mind


버거 박사는 모바일 마인드라는 비슷한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 용어는 키르크1이 "(심지어 자신의 것과 다른 경우에조차) 여러 인간의 가치와 방향을 존중/상대하는 기술"이라고 표현한다.

Berger uses a similar term, mobile mind, which Quirk1 paraphrases as a “skill set that involves respecting/embracing multiple human values and orientations—even those that are different from one’s own.”


버거(Quick1에 인용됨)는 모바일 마인드라는 용어를 "국제주의적 사고 방식—포용적인 마음가짐으로, 우리 주변의 환경에 대한 개방성을 갖고, 다른 사람에 대한 민감하고 존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Berger (quoted in Quirk1) uses the term mobile mind to connote the metacognitive concept that entails “a … cosmopolitan way of thinking—broad-mindedness, or an openness to environment around us, including a sensitivity to differences and respect for others.”


마음챙김과 마음챙김학습은 [사실적 학습이 갖는 결함에 대한 해독제]이며 [호기심과 인지적 유연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조건적학습, 마음챙김학습과 관련된 역동성과 유연성은 의사들이 스스로 모르는 것을 깨닫고, 올바른 질문을 하고, 궁극적으로 더 나은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도록 훈련시킵니다.

Mindfulness and mindful learning are antidotes to the absolutes of factual learning and serve to sustain curios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The dynamism and flexibility associated with conditional, mindful learning trains physicians to know what they do not know, to ask the right questions, and ultimately to make better-informed decisions.



프로페셔널리즘과 전문직 정체성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Identity


의과대학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한 초점은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제거하기 위해,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식별하는 것에 있었다.

the focus on improving professionalism in medical schools has been on identifying undesirable behaviors with the aim of eliminating these behaviors.


의과대학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은 흔히 정적이고 규범적인 방식으로 다뤄진다. 그러나 이보다 필요한 것은 행동의 근본 원인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역동적인 사고방식이다.

Professionalism in medical schools is frequently approached in a manner that is static and prescriptive. What is needed instead is a dynamic mindset that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root causes of behavior


웨어와 카스텔라니37은 프로페셔널리즘을 일련의 고립된 행동이나 성격적 특성으로 보지 않았으며, 대신 "생각, 느낌, 행동에 관한 습관에 대한 지속적인 자기성찰적 과정"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Wear and Castellani37 suggest that professionalism should be viewed not as a series of isolated behaviors or personality character traits but instead as “an ongoing self-reflective process involving habits of thinking, feeling, and acting.”


전문직업성: 존중하는 반대와 관점 받아들이기

Professionalism: Respectful  Disagreement and Perspective Taking


개인으로서, 우리는 각각 다른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 콜로키움의 전제는 학생들과 연수생들이 다른 관점에서 사회적 배경과 의학적 상황을 볼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한다면, 팀 내에서 더 효과적으로 기능할 것이라는 것이다. 다른 관점을 가지고 대조적인 관점을 갖는 이 능력은 메타인지 능력과 기술의 특징이다.

As individuals, we each hold differing perspectives of the world. A premise of the colloquium is that students and trainees will function more effectively in teams if they develop the capacity to view social contexts and medical situation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is ability to hold different and contrasting perspectives is an attribute of metacognitive capacity and skill.c



c Siegel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관점과 메타인지 사이의 연결을 지적한다.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는 것은 메타인지적 스킬이 필요하다. 우리가 어떻게 생각에 대해 생각하는지에 대한 연구에서, 대표적으로representational '다양성'과 '변화'라고 불리는 '습득된 능력'이 있다. 이 능력으로 인해 우리들이 각각 다른 관점을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우리가 한 때 가지고 있는 관점조차도 미래에 바뀔 수 있다. 이 메타인지적 관점에서 우리는 "관점"을 그저 [변화하는 기준 프레임]으로 볼 뿐 아니라, 또한 [상황에 내재된 지식의 의미]를 볼 때 고려해야 할 무언가이다.

c Siegel considers the connection between multiple perspectives and metacognition, as follows: 

“Embracing multiple perspectives has the quality of a metacognitive skill. In the study of how we come to think about thinking, there are acquired capacities called representational ‘diversity’ and ‘change’ that enable individuals to sense that each of us may have a different perspective, and that even the viewpoint we have at one time may change in the future. In this metacognitive view we can then see perspective as not only a changing frame of reference but also one that needs to be considered in viewing the situationally embedded meaning of knowledge.”34p242


콜로키움은 학생들을 멘토와 동료들이 가진 다양한 시각에 노출시킨다. 표현된 생각, 의견, 신념은 그들의 대학 동료들에 의해 더욱 다양한 정도로 검증되거나 반박된다. 학생들은 불가피하게 그들의 관점을 동료들의 그것과 비교하고 그들의 관점을 수정하거나 재조정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The colloquium exposes students to the variegated perspectives of their mentors and peers.d In addition, students receive ongoing explicit or implicit feedback on their own views and behaviors during colloquium sessions. The thoughts, opinions, and beliefs they express are further validated or negated in varying degrees by their college peers. Students will inevitably compare their perspectives with those of their peers and quite likely modulate or recalibrate their perspectives.


Querk는 이 능력을 "집단적 관점수용"이라고 하며 이 능력을 정서적 자기조절와 연관시킨다.

Quirk refers to this capacity as “collective perspective taking” and associates this capacity with emotional self-regulation:


프로페셔널리즘의 필수적인 역량은 [자신의 역할]과 [그 역할과 관련된 그룹 내에서의 행동 조절]을 수용하는 것이다. … [집단적 관점수용 능력] 및 [자기조절 능력]은 대중이 외부에서 high-profile 전문직을 평가하는 방식 중 하나이다.13p85-6

An essential capability of professionalism is acceptance of one’s role and regulation of role-related behaviors within the group. … Collective perspective-taking and self-regulation capabilities are often how high-profile professions are judged “from the outside” by the public.13p85-6


집단적 관점수용은 학생들로 하여금 동료 및 다른 사람의 견해와 의견을 존중하게 만든다(사이드바: Mobile Mind 참조). 우리는 콜로키움에서 학생들이 활발한 토론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며, 상호 존중하는 방식으로 반대하도록 장려한다. 우리가 콜로키움에서 이를 지칭하는 "respectful disagreement"이다. 학생들이 서로의 생각과 신념에 정중하게 동의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비판적이고 창조적인 생각에 필수적이며, 미래의 의료적 사고를 발전시키는데 중요하다. 미래에 이 미래 의사들은 그들 자신이 동료, 직장 동료, 환자들과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학생들은 [전문적이고 공손한 태도로 동의하지 않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동료들의 생각을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calibrate]할 수 있어야 한다.

Collective perspective taking instills in students a respect for the views and opinions of their peers and others (see Sidebar: Mobile Mind). In the colloquium, we encourage students to engage in vigorous debate and to disagree with each other in a respectful manner. The term we use in the colloquium is  respectful  disagreement.  Allowing  students  the  intellectual and emotional space to respectfully disagree with each other’s ideas and beliefs is essential for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and  is  important  in  their  development  as  medical professionals.  In  medical  practice,  these  future  physicians will find themselves disagreeing with colleagues, coworkers, and patients. Students therefore need to develop the skill to disagree in a professional and respectful manner and to calibrate their thinking against the thinking of their colleagues. 



전문직업성: 정체성과 리더십

Professionalism: Identity and Leadership


우리는 어떻게 인식/잘못인식 하는가

session on “How We Perceive/Misperceive”


그룹에게 도전하는 것은 리더십의 핵심 자질인 용기를 필요로 한다. 리더는 언제, 언제, 그리고 언제 그 그룹을 따라야 하는지 아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Challenging a group takes courage, a core quality of leadership. A leader would do best knowing when to conform with, and when to challenge, the group.e40



인지적 다양성, 공감, 마음챙김, 정서 조절

Cognitive Diversity, Empathy, Mindful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인지적 다양성과 공감

Cognitive Diversity and Empathy


이 콜로키움의 주요 목적은 학생들이 인간 인식의 엄청난 다양성을 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한 다양성의 실현은 개인의 [자기 중심성]에서 [타인 중심성]으로의 사고방식의 변화를 촉발하고, 관용과 공감을 심화시킨다.

A major objective of the colloquium is to make students aware of the immense diversity in human cognition (or cognitive “wiring”). The realization of such diversity triggers a mind shift in the individual’s self-centeredness toward an other-centeredness, leading to a deepening in tolerance and empathy.


Nussbaum은 "자신과는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세상을 보는 이 능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암시한다.

Nussbaum suggests how essential to the humanities is this ability to view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a “person different from oneself”:


사실에 입각한 지식과 논리만으로 사람은 그들 주변의 복잡한 세상과 잘 연관될 수 없다. … 네러티브적 상상력이라고 불리는 이것은, 

      • 자신과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능력, 

      • 그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똑똑한 독자가 되는 것, 그리고 

      • 그 자리에 앉은 누군가가 가질 수 있는 감정과 소망을 이해하는 능력 등을 포함한다. 

공감을 함양하는 것은 민주교육의 가장 현대적인 생각의 핵심이었다. 9p95-6

Citizens cannot relate well to the complex world around them by factual knowledge and logic alone. … [W]hat we can call the narrative imagination … means the ability to think what it might be like to be in the shoes of a person different from oneself, to be an intelligent reader of that person’s story, and to understand the emotions and wishes and desires that someone so placed might have. The cultivation of sympathy has been a key part of the best modern ideas of democratic education.9p95-6


그러므로 인문학에 대한 메타인지적 접근법의 중요한 기능은 학생들이 다른 이들의 눈, 감정, 관점을 통해 세상과 연결되도록 돕는 것이다.

A key function of the metacognitive approach to the humanities is therefore to help students relate to the world through the eyes, emotions, and perspectives of others.


마음챙김, 자기모니터, 정서조절

Mindfulness, Self-Monitoring, and Emotional Regulation


콜로키움에서 학생들은 동료와 멘토들로부터 자신이 토론에서 표현한 견해와 의견과 일반적인 행동에 대한 직접적 및 간접적 피드백을 받는다. 다른 사람들의 피드백은 행동 수정을 위한 주요한 자극이 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대개 산발적이고 또한 잘못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자기 모니터링은 효과적인 행동 수정을 위한 필수적인 기술이다.

Students in the colloquium receive from their peers and mentors direct and indirect feedback on the views and opinions they express in discussions, and on their general conduct. Such feedback from others can be a major impetus for behavior modification, but it is nonetheless usually sporadic and can also be misconstrued. For this reason, self-monitoring is an essential skill for effective behavior modification.


엡스타인 외 연구진들은 자기 모니터링을 "우리의 행동에 순간순간 집중하는 능력, 그러한 행동들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호기심, 그리고 미래에 그러한 관찰을 사용하여 행동 패턴과 사고 패턴을 개선하려는 의지"로 정의한다."

Epstein et al define self-monitoring as “an ability to attend, moment to moment, to our actions; curiosity to examine the effects of those actions; and willingness to use those observations to improve behavior patterns and patterns of thinking in the future.”41p5


그러나 자기 모니터링 또한 오판되기 쉽다. 엡스타인 등이 쓴 것과 같이

Self-monitoring is, however, also susceptible to misjudgment. As Epstein et al write in their seminal article,


[자기 평가]는 상상과 투사로부터 고품질 데이터를 구별해낼 수 있어야 합니다. 궁극적으로는 정신mind이 평가의 대상이자 도구이며, 우리의 정신적인 과정은 우리의 자아 인식 안에 바로 이상을 포함하기 때문에 그 일은 어렵다.41p6

[Self-assessment] requires the ability to distinguish high quality data from imagination and projection. The task is difficult because the mind is ultimately both the object and the instrument of assessment, and our mental processes embed idealization directly within our self perceptions.41p6


엡스타인이 묘사한 것처럼, 신중한 연습을 통해, 학생들은 그들의 깊은 가치와 지식을 인식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스스로 조절하는 법을 배운다. 그리고나서 그것들을 새로운 정보와 관점과 통합한다. 자기 모니터링과 정서 조절은 회복탄력성의 필수적인 구성요소이기도 하며, 회복탄력성은 의사들이 의료행위의 불확실성과 감정적 변동을 통해 그들을 지탱하게 해준다.

Through mindful practice, as Epstein42 describes it, students learn to self-regulate their emotions by bringing to consciousness their deeply held values and knowledge, and then integrating these with new information and perspectives.f Self-monitor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re also essential components of the resilience that physicians may need to sustain them through the uncertainties and emotional vicissitudes of medical practice.


Mindful practitioners는..

  • 순간적인 자기 모니터링에 참여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사용한다. 

  • 그들의 암묵적인 개인적 지식과 깊이 내재된 가치를 인지한다.

  • 주변의 시각과 보조적 인식을 이용하여 새로운 정보와 관점을 인식한다. 

  • 평범한 상황과 새로운 상황에서 모두 호기심을 갖는다.

f “Mindful practitioners use a variety of means to enhance their ability to engage in moment-to-moment self-monitoring, bring to consciousness their tacit personal knowledge and deeply held values, use peripheral vision and subsidiary awareness to become aware of new information and perspectives, and adopt curiosity in both ordinary and novel situations.”42p833


데이비드와 콜턴은 정서적 민첩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David and Congleton coined the term emotional agility to describe “the ability to manage one’s thoughts and feelings … in a mindful, value-driven and productive way … in a complex, fast-changing knowledge economy.”43p89


Flavel4도 비슷한 개념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기억력, 이해력 및 기타 인지적 활동에 대한 모니터링"

Flavell4 does not use the terms emotional regulation and emotional agility but suggests a similar notion when he writes about “monitoring of … memory, comprehension and other cognitive enterprises.”



네러티브 의학: 공감을 유도하고 길러주는 메타인지적 도구

Narrative Medicine: A Metacognitive Tool for Eliciting and Nurturing Empathy


네러티브 의학

Narrative Medicine


Charon은 다음과 같이 "비설명적 지식"과 "설명적 지식"을 구분합니다. 

  • 서술적 지식은 특정 범위를 초월하여 보편성을 비추려고 한다. 

  • 술적 지식은, 삶의 조건과 씨름하는 개개인의 인간들을 면밀히 관찰함으로써, "특정한 것을 드러냄으로써" 인간 상태의 보편성을 밝히려는 시도이다.


Charon distinguishes between “nonnarrative knowledge” and “narrative knowledge” as follows: 

  • Nonnarrative knowledge attempts to illuminate the universal by transcending the particular; 

  • narrative knowledge, by looking closely at individual human beings grappling with the conditions of life, attempts to illuminate the universals of the human condition by revealing the particular.

”1p9


우리는 의학이 과학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의학적인 이야기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콜로키움에서 일찍부터 네러티브 의학을 도입했다. 많은 학생들이, 때로는 환자의 "이야기"가 임상 진단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실험 결과보다 더 높은 진단 가치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에 당황하고 있으며, 일부는 짜증을 낸다. 어떻게 주관적인 "이야기"가 생명을 구하는 의학 "사실"에 도전할 수 있는가?

We introduce the topic of narrative medicine early in the colloquium to emphasize that medicine is not just about science but that the medical narrative is also important (and patients’ “stories matter”). Many students are perplexed, and some are irked, to hear that the patient’s “story” can at times have a higher diagnostic value than test results in attaining a clinical diagnosis. How can a subjective “story” pose a challenge to a lifesaving medical “fact”?


이 세션은 효과적인 진단을 위한 중요한 단서를 담고 있는 환자의 "이야기"의 중요성을 학생들에게 알리는 것이다. 목표는 학생의 네러티브 능력을 개발하는 것인데, 샤론은 이 능력을 '다른 사람의 이야기와 곤경plights을 인정하고 흡수하고 해석하고 행동하는 능력'으로 정의한다. 이 구어체에서는 학생들에게 서술적 구조를 제공하고 서술적 능력을 더 발전시키기 위해 광범위한 의학 서술(소설과 논픽션)을 논의합니다.

These sessions apprise students of the importance of the patient’s “story,” which may contain critical clues to effective diagnosis. The goal is to develop the student’s narrative competence, which Charon44 defines as “the ability to acknowledge, absorb, interpret, and act on the stories and plights of others.” In the colloquium, we discuss a wide range of medical narratives (fictional and nonfictional) to give students a sense of narrative structure and to further develop their narrative competence.


네러티브 의학은 또한 학생들의 공감을 이끌어내고 육성하는 수단이다. 의학 인문학과정은 일반적으로 학생들을 인간화하고 공감을 키우는 이런 암묵적인 목적을 위해 문학을 포함한다. 보다 최근에는, 신경과학은 문학, 특히 문학적인 이야기를 읽는 행위가 어떻게 공감을 이끌어내는 데 관련될 수 있는지를 밝혀냈다.

Narrative medicine is also viewed as a vehicle for eliciting and nurturing student empathy. Medical humanities courses generally include literature for this implicit purpose of humanizing students and nurturing empathy. More recently, neuroscience has shed light on how literature, and specifically the act of reading literary narrative, may be implicated in eliciting empathy.


그 등장인물의 삶을 파고들고 개인들 사이의 복잡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묘사하는 문학적인 이야기를 읽는 것은 독자들의 공감적 반응을 자극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45 사이언스에 발표된 연구는 최근에 (논픽션이나 비소설과 달리) 소설을 읽는 것이 측정가능한 공감적 반응을 유발함을 증명했다.

Reading literary narrative that delves into the lives of its characters and describes the complex social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can serve to simulate empathic responses in the reader.45 A rigorous study published in Science recently demonstrated that reading literary fiction (compared with nonfiction and nonliterary fiction) evoked a measurable empathetic response in readers.46



성찰적 글쓰기: 정서 조절과 프로페셔널화를 위한 도구

Reflective Writing: A Tool for Emotional Regul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문학 소설을 읽는 것과 유사하게, 개인적인 성찰 글쓰기를 하는 것이 신경인지적 이점을 가질 수 있다는 증거가 있습니다.47-49 우리는 또한 개인적인 성찰글쓰기가 학생들의 내적 목소리와 타고난 공감을 연결시키는 방법으로 봅니다. Shapiro 등은 개인적 성찰글쓰기가 의사의 웰빙을 증가시킨다고 주장한다. 여기에는 "감정적 균형, 자가 치유, 고립을 줄이고, 공동체적 감각의 복원"이 포함된다(사이드바 참조).

Similar to reading literary fiction ,  evidence  suggests  the act  of  writing  personal  reflections  can  have  neurocognitive benefits.47-49 We view the writing of personal reflections also as a way of connecting students with their inner voice and with their innate empathy. Shapiro et al50 argue that writing personal reflections increases provider well-being, which includes the enhancement of “emotional equilibrium, self-healing and reducing isolation/restoring a sense of community” (see Sidebar: Two Phases of Reflective Writing).


콜로키움에서 성찰적인 글쓰기 과제는 보통 의학과 관련된 개인적인 경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학생 자신의 치료 중이나 가까운 친구나 가족의 의료 실수에 관한 경험이다.

The reflective writing assignments in the colloquium are usually about a personal experience related to medicine, for instance, the experience of a medical error that occurred during the student’s own care or that of a close friend or family member.


우리는 창의적 글쓰기 과정 시동을 거는 요령으로 [분석, 관점, 비평, 학습]이라는 APCL 글쓰기 형식을 개발했습니다. 이 성찰적인 글쓰기 형식의 "관점" 부분은 "perspective take"라는 구어적 개념과 일치한다.

We have developed a specific writing format called APCL (Analysis,  Perspectives,  Critique,  Learning)  that  jump-starts the creative writing process. The “Perspectives” section of this reflective  writing  format  is  in  keeping  with  the  colloquium notion of “perspective taking”


성찰적 글쓰기의 두 단계

Two Phases of Reflective Writing


샤피로 외 연구진들은 글쓰기의 두 가지 단계, 즉 글쓰기 단계와 그룹 읽기 및 토론 단계를 구별한다. 

글쓰기 단계는 "개인적이고 외로운 과정으로, 개인적인 숙고와 창조로 구성된다. … 자기점검과 상상력이 학습자가 확실성의 결여에서 벗어나 자신의 목소리를 되찾도록 유도한다."1

Shapiro et al distinguish two phases of reflective writing: the writing phase and the group reading and discussion phase. The writing phase is “individual and solitary, consisting of personal reflection and creation. … [I]ntrospection and imagination guide learners from loss of certainty to reclaiming a personal voice.”1


대학 콜로키움의 첫 2년 동안, 성찰적인 글쓰기는 오직 글쓰기 단계만을 포함한다. 이러한 성찰들은 학생들과 형성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대학 멘토들 사이에 비밀스럽게 유지된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기밀성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1) 학생들에게 그룹에 성찰를 공개할 잠재적인 걱정 없이 "목소리"를 찾을 수 있는 공간을 주고 

2) 학생과 멘토 간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학습 커뮤니티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In the first two years of the College Colloquium, reflective writing involves only the writing phase. These reflections are held confidentially between students and their college mentors who provide formative feedback. We consider confidentiality essential for the following reasons: 

1) to give the students the space to find their “voice” without the potential anxiety of having to read their reflections to the group and 

2) to nurture trust between students and mentors, which is important for molding the identity of the learning communities.


의과대학 후반기에만, 학생들이 더 많은 환자와 접촉한 후에, 그들은 Shapiro 등이 논의한 읽기 및 토론 단계로 이동한다. "자기가 쓴 글을 공유하는 것은 취약성, 위험 감수, 그리고 자신을 드러내는 것으로 이어집니다. 타인의 글을 듣는 것은 타인의 고통과 혼란을 목격하는 것을 포함하여 주의와 존재에 대한 연습이 된다."1p231

Only in later years of medical school, after students have had more contact with patients, do they move to the reading and discussion phase discussed by Shapiro et al: “where sharing one’s writing results in acknowledging vulnerability, risk-taking, and self-disclosure. Listening to others’ writing becomes an exercise in mindfulness and presence, including witnessing suffering and confusion experienced by others.”1p231


콜로키움 평가

Evaluation of the College Colloquium


학생들은 College Collokeium에 대해 높은 수준의 만족감을 나타낸다.

Students express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College Colloquium.


특히, 학생들은 수업에서 동료들의 견해를 듣는 것을 높이 평가했고 이것이 어떻게 그들 자신의 견해와 믿음을 재평가하게 했는지에 대해 자주 언급했다. 게다가, 그들은 동료와 멘토들의 "스토리"를 듣는 것을 높이 평가했고, 그들은 콜로키움 과정동안 '컬리지'에서 발전된 신뢰에 대해 언급했다. 학생들은 멘토들의 일반적인 임상경험과 의료실무에서의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하려는 멘토들의 의지를 높이 평가했습니다. 따라서 그 콜로키움은 진정한 학습 공동체로서 기능했다.

In particular, students valued hearing the perspectives of their peers in colloquium sessions and frequently commented on how this had caused them to reevaluate their own perspectives and beliefs. In addition, they valued hearing the “stories” of peers and mentors, and they commented on the trust that developed in their college over the course of the colloquium. Students valued the general clinical experience of their mentors and the willingness of their mentors to share their personal experiences from medical practice. The colloquium has therefore functioned as a true learning community.



결론

Conclusion


인문학을 과학과는 분리되고 격리된 것으로 보는 대신에, 이 콜로키움은 이러한 지적 영역("두 문화")을 통일된 의학 커리큘럼에 통합하려고 한다.

Instead of viewing the humanities as separate and isolated from the sciences, the colloquium seeks to integrate these intellectual domains (the “two cultures”) into a unified medical curriculum.


Bleakley와 Bligh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Bleakley and Bligh contend the following:


학습은 (맥락과 관련하여) 상황에 놓여진 지식 및 분산된 지식에 대한 정당한 접근에 관한 메타 프로세스입니다. 따라서 학습은 지식 저장고의 가치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을 어떻게 배우고 어떻게 접근할지를 배우는 더 넓고 더 절박한 맥락에 두는 것이다.51p80

Learning is largely a meta-process concerning legitimate access to situated (context-linked) and distributed knowing. This is not to deny the value of one’s own store of knowledge, but to place this in the wider and more pressing context of learning how to learn or how to access knowledge.51p80



일부 사람들은 1학년 의대생들에게 지각적 접근법이 너무 추상적이고 시기상조라고 제안했다. VUSM에서 구현되는 맞춤형 커리큘럼의 맥락에서 이 접근법은 미래의 의사를 교육하는 데 매우 적합한 것으로 보입니다.

Some have suggested that the metacognitive approach may be too abstract and premature for first-year medical students. In the context of the personalized curriculum being implemented at VUSM, this approach seems to us highly appropriate for educating the physician of the future.



12. Kulasegaram KM, Martimianakis MA, Mylopoulos M, Whitehead CR, Woods NN. Cognition before curriculum: rethinking the integration of basic science and clinical learning. Acad Med 2013 Oct;88(10):1578-85. DOI: http://dx.doi.org/10.1097/ACM.0b013e3182a45def.






 2014 Fall;18(4):64-75. doi: 10.7812/TPP/14-027.

Thinking about thinking and emotion: the metacognitive approach to the medical humanities that integrates the humanities with the basic and clinical sciences.

Author information

1
Associate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Associate Professor of Pathology, Microbiology, and Immunology, a Course Director, and ClinicalFellowship Program Director at 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 Nashville, TN. quentin.eichbaum@vanderbilt.edu.

Abstract

Medical knowledge in recent decades has grown prodigiously and has outstripped the capacity of the human brain to absorb and understand it all. This burgeoning of knowledge has created a dilemma for medical educators. We can no longer expect students to continue memorizing this large body of increasingly complex knowledge. Instead, our efforts should be redirected at developing in students a competency as flexible thinkers and agile learners so they can adeptly deal with new knowledge, complexity, and uncertainty in a rapidly changing world. Such a competency would entail not only cognitive but also emotional skills essential for the holistic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y. This article will argue that metacognition--“thinking about thinking (and emotion)”--offers the most viable path toward developing this competency. The overwhelming volume of medical knowledge has driven some medical schools to reduce the time allocated in their curricula to the “soft-option” humanities as they tend to consider them an expendable “luxury.” 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Nashville, TN, has moved away from the traditional conception of the medical humanities as “the arts,” composed of art, music, and literature, toward an approach that integrates the humanities with the basic and clinical sciences, based on metacognition. This metacognitive approach to the humanities, described in this article, has three goals: 1) to develop students as flexible thinkers and agile learners and to provide them with essential cognitive and emotional skills for navigating medical complexity and uncertainty; 2) to elicit in students empathy and tolerance by making them aware of the immense diversity in human cognition (and emotion); and 3) to integrate the humanities with the basic and clinicalsciences. Through this metacognitive approach, students come to understand their patterns of cognition and emotions, and in the group setting, they learn to mindfully calibrate their thinking and emotions. They gain a humbling appreciation of the fallibility of the human mind/brain and how cognitive biases and misperception can lead to medical error. They come to appreciate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cognition and emotion, and the importance of cognitive monitoring and emotional regulation. In the group setting, students also gain a sense of perspective of their thinking patterns and emotions in relation to those of their peers. Perspective taking and mindfulness engender tolerance and empathy, which ultimately serves as a platform for working collaboratively in teams as medical professionals. Students become aware of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inking and learning occur, and this further shapes their professional identity. Thinking, learning, and interacting in the group setting ultimately induces a shift from self-preoccupation and an individualistic approach to knowledge toward an appreciation of collective cognition and empathy towards others. In this article, I describe the metacognitive approach to the medicalhumanities at 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how it is designed to develop students as agile learners and flexible thinkers with the mindful capacity for cognitive and emotional monitoring and regulation. Thinking and learning in the group setting of the colloquium ultimately also fosters the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PMID:
 
25662528
 
PMCID:
 
PMC4206174
 
DOI:
 
10.7812/TPP/14-0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