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날카로운 도구: UME에서 인문학을 지켜내기 위하여(Acad Med, 2010)

Commentary: Sharper Instruments: On Defending the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Catherine Belling, PhD




객관적 지식은 과학적으로 가치가 있다고 간주되는 반면, 주관적 정보는 "soft"한 것이자 부차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환자의 고통을 덜어주려는 목적이라면, 이러한 이 두가지 사이의 갈등은 틀린 것일 뿐만 아니라 장애요인이다. —Eric J. Cassel. 고통을 진단하는 것: 관점. 내과학 연보.199;131:531–534

Objective knowledge is considered scientific and valuable, whereas subjective information is thought to be “soft” and second-rate. For the relief of suffering, that conflict is not only false but an impediment. —Eric J. Cassell. Diagnosing suffering: A perspective. Annals of Internal Medicine.1999;131:531–534


Ousager와 Johannessen1의 기사는 나를 불편하고 심지어 방어적으로 만든다. 그들은 단지 그들이 사용하는 방법론이 인문학의 marginalization을 피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가정하는 것처럼 보이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하지만 기다려."라고 저는 말하고 싶습니다. "정말 성과를 측정하려는 노력이 학부 의과대학(UME)의 인문학의 자리를 더 안전하게 해줄 것인가?"

The article by Ousager and Johannessen1 makes me uncomfortable, even defensive. they just provide data, appearing to assume that the methodology they use, is the only way for the humanities to avoid marginalization. “But wait,” I want to say. “Will outcomes measurement efforts really make the place of the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more secure?”


오우사거와 요한슨이 인문학의 가치가 자명하다고 가정하지 말라고 경고한 것은 옳은 일이다. 그들은 우리에게 현재 대부분의 의과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상당한 인문학 수업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노력의 가치는 지배적인 패러다임의 parameter로는 증명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Ousager and Johannessen are right to warn us not to assume that the value of the humanities is self-evident. They remind us that despite the substantial humanities teaching presently being carried out in most medical schools— the value of this work is not proven within the parameters of the dominant paradigm.


나는 환원주의에 저항할 것이다. 그러나 저항이 거절을 의미하진 않는다.

I will resist  the reductionism. Resistance need not mean rejection. 


불편함의 교육학적 가치는 오우사거와 요한슨에 의해 "판단 보류"로 분류되었던 한 논문 때문이다. 내 생각에, 저자들은 논문을 잘 못 읽었다.

The pedagogical value of discomfort is central to one of the articles classified by Ousager and Johannessen as “holding the horses,” or indicative of reservations about the humanities in UME: Delese Wear and Julie Aultman’s2 analysis of student resistance in a medical humanities course that they taught.  Wear and Aultman’s work is, I think, misread.


그 논문은 사실 UME 커리큘럼에서 인문학의 필요성에 대해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그 논문은 네러티브의 유익한 효과를 당연하게 여기는 것에 대해 경고하는 대신, 인문학 자료가 학생들에게 불편함, 저항, 방어적 태도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더 튼튼한 교육방식을 제안한다. 그리고 그 분열을 바탕으로, 환자와 네러티브가 존재하는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 맥락의 함의에 대해서 생각하도록 학생의 사고를 확장시킬 수 있다.

it in fact constitutes a powerful demonstration of the need for humanities in the UME curriculum. The article warns of the danger of taking the salutary effects of narrative for granted, proposing instead a sturdier pedagogy that acknowledges the discomfort—and resistance, and defensiveness—that humanities material can provoke in students, building on that disruption to expand students’ thinking about the implications of cultural and sociopolitical contexts in which narratives and patients (and medical students) are embedded.


"Wears and Aultman"은 인문학을 단지 "hard" 학습으로부터의 [구미에 맞는 회피]로 비춰지는 것의 한계를 분명히 보여준다. 대신, 그들은 만약 인문학의 가르침을 통해 중립적인 숙고와 비판적 사고를 촉진하려면, 우리는 그러한 학생의 저항에 더 관심을 갖고, 심지어는 그러한 저항을 자극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웨어와 Aultman은 엄격한 인문학 교육은 최고의 의사를 특징짓는 불확실성, 지식, 행동에 대한 지향을 개발할 수 있다는 강력한 주장을 펼친다.

Wear and Aultman articulate the limitations of treating humanities merely as a palatable reprieve from“hard” work. They argue instead that we must attend to resistance, even provoke it, if humanities teaching is to promote critical inquiry as well as neutral reflection. Wear and Aultman make a powerful argument that rigorous humanities teaching can develop an orientation toward uncertainty, knowledge, and action that characterizes the best physicians.


이러한 Wear와 Aultman의 논문과 함께, 의료인문학에 대한 우려를 표하는 논문의 카테고리에 의학적인 인문학의 영향에 대해 의구심을 표명한 Ousager와 Johannessen은 "Jabs and Jibes"의 유머 부분을 포함시키고 있다.

Juxtaposed with Wear and Aultman’s article in the category said to express reservations about the effects of the medical humanities, Ousager and Johannessen include a piece from“Jabs and Jibes,” the humor section at the back of the Lancet,


아이러니는 환원주의적 분류법에 치명적인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다.

Irony poses a lethal challenge to the literalism of reductionist taxonomies.


그는 "illiterature"라는 의학 인문 과정을 제안한다.

He proposes a medical humanities course in “illiterature” (punningly and patronizingly, the culture of an “illiterate” class: patients).


Ousager와 Johannessen은 행간을 읽고 [의료인문학을 반대하는 주장에 대응할 수 있는] 설득력 있는 주장을 발견했는가? 아니면 그들은 겉으로만 글을 읽고 그 아이러니를 놓쳤을까?

did Ousager and Johannessen read between the lines and find a persuasive, albeit satirical, argument against the medical humanities? Or did they reduce it to its overt thesis and miss the irony altogether?


성과 연구의 부족보다 UME에서 인문학의 통합에 더 큰 장애물은 그 분야에 대한 명확한 설명의 결여와 그것의 핵심 용어의 정확한 정의이다. Ousager와 Johannessen이 선택한 것은 UME에 신뢰할 수 있는 인문학의 정의가 없다는 것을 분명히 한다.

A greater barrier to the integration of humanities in UME than a shortage of outcomes studies is the lack of a clear account of the field and precise definitions of its key terms. The selections made by Ousager and Johannessen make it clear that there is no reliably accepted definition of humanities in UME.


현재, 의료인문학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대부분의 사례들은, [저자들이 선택한 정의]에 의존하며, 그러한 정의는 저자들 자신의 논문에 편협하게 적용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가 방대한 두 번째 범주인 "과목 기술 및 평가"이다. 대부분의 경우 [저자가 자신의 논문을 방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n 값]은 1입니다. 하지만 fuzzy holistics이 아니라 blunt reductionism에 대한 대안이 있기 때문에, 우리가 올바른 도구를 사용한다면, 그 n값은 1이 될 수도 있다.

At present, most cases made in support of medical humanities rely on the authors’ chosen definition of the field and tend to apply narrowly to the authors’ own work. This explains the large second category, “Course descriptions and evaluations”; in most cases, the n value for these defenses is 1. It may well be a generalizable “1,” though, if we used the right tools, for there are alternatives to blunt reductionism other than fuzzy holistics.


(의학인문학을 가르치는 사람과 의학 교육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두 번째 도전은 읽은 것을 당연하게 여기지 않는 것이다.

A second challenge, both to those who teach medical humanities and to those who study medical education, is not to take reading for granted.


우리는 n의 값을 1로 디폴트할 위험이 있더라도, 미세한 구별fine distinction을 중요시한다. medicine의 단위는 특정 환자이며, 이는 언제나 더 이상 환원불가능하다없다. 만약 우리가 개개인을 [구체적 의미를 단순화하는 도구]만 사용하여 검사한다면 의학은 문제에 봉착할 것이다.

We value fine distinctions, even at the risk of defaulting to an n value of 1. The unit of medicine is the particular patient, always irreducible. We know that medicine runs into trouble when individual persons are examined only with instruments that reduce specific meanings to simplistic data.


마지막으로, 의료 교육 기관은 측정불가능한 성과에 계속 투자해야 한다.

Finally, the medical education establishment should be challenged to continue investing in immeasurable outcomes.


장기적인 결과에 대한 분명한 증거를 내놓지 못하는 분야로 인문학만 있는 것은 아니다. 어떤 커리큘럼 개입과 환자 건강 증진 사이에 있는 방법론적 지뢰밭은 대단히 방대하며, 그것은 의학교육을 전통에 두는 강력한 신뢰를 설명한다.5

The humanities are not the only aspect of medical education to resist clear evidence of long-term outcomes. The methodological minefield that stretches between any curricular intervention and the improvement of patient health is immense, and it explains the powerful trust that medical education places in tradition.5


인문학은 무딘 환원주의와 흐린 전체주의 모두에서 모두 빠진 것을 정확하게 제공한다: 특이성에 대한 날카로운 집중

The humanities offer precisely what is missing in both blunt reductionism and fuzzy holism: incisive attention to specificity.




 2010 Jun;85(6):938-40. doi: 10.1097/ACM.0b013e3181dc1820.

Commentarysharper instruments: on defending the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education.

Abstract

The study by Ousager and Johannessen in this issue finds a lack of research attempting to measure the long-term effects of incorporating humanities into the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curriculum, and warns that more such studies are needed if the humanities are to become integrated into UME. This commentary points to limitations in the study's methodology, suggesting that the value of the humanitiesin educating new physicians can be defended by demonstrating the need for more complex approaches to knowledge than complete dependence on empirical evidence, and invites those who support inclusion of the humanities in UME to take up three challenges: work together to define the terms and scope of the medical humanities as a coherent (though heterogenous) field, teach reading skills (promote, that is, a nonreductive approach to the interpretation of human objects), and work to establish effective and persuasive alternatives to the blunt tools of outcomes measurement.

PMID:
 
20505388
 
DOI:
 
10.1097/ACM.0b013e3181dc18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