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apter 5. Teaching Hospitals
    • Modern hospital 성장하면서, 모든 종류의 교육이 거의 모든 기관에서 이뤄졌다. 심지어는 가장 작은 병원에서도 컨퍼런스, 회진, staff meeting 등등이 이뤄졌다. 많은 작은 병원들도 internship 제공하였지만, "부속병원(teaching hospital)이라는 명칭은 일부 선택된 기관에만 주어지는 것이었다.
    • 부속 병원이 균일하진 않았다. 다수는 private(voluntary)였고, 일부는 publicly owned였다. 일부 MS(주로 state school) 그들이 따로 부속병원을 소유하고 있었다. 일부 leading medical educator들은 medical school 각각 하나의 병원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 WWI이후, 부속병원은 그들의 의과대학과 동일한 학문적 이상을 공유했으며, 기관이 교육, 연구, 진료에서 협동적으로 일했다. MS에서 병원의 ward 반드시 필요한 것이었고, 부속병원은 그들이 21세기에 이룬 진료의 성과는 의학교육에의 참여로부터 나온 것이라는 것을 이해했다.
    • 시기의 부속병원은 거의 이상적인 laboratory 갖추고 있었지만, 이에 따르는 비용도 있었다. 부속병원이 nonteaching hospital만큼 효율적이지 않다는 것이 드러났고, 가난한 환자들이 주로 교육에 활용된다는 사실은 의학교육이 나은 진료에 다다르게 한다는 일반적인 믿음에 반하는 것이었다. 사회적 필요는 가장 경험 많은 의사에게 진료받고자 하는 개개 환자의 필요와 상반되었다.

 

  • Joining the University
    • 전쟁 사이의 기간에 미국 의학교육을 구성하고 있던 여러 힘들이 합해지고 있었다. MS medical care delivery system 속으로 들어간 것처럼, 부속병원은 대학 속으로 들어오고 있었다.
    • WWI이후, 부속병원은 전쟁 전에는 강력히 거부했던 교육과 연구를 오히려 강력히 받아들이고 있었다. 부속병원이 되면 학생과 house staff 교육에 많은 기회를 얻을 있었던 것이다. 말뿐이 아니라 실제로 부속병원은 그들의 학문적 역할을 진지하게 수용했다.
    • 교육과 연구의 이러한 노력을 통해 부속병원은 이득을 보았다. 우선 인턴과 레지던트 모집이 수월했다.
    • WWI동안 부속병원과 의과대학간의 연합을 지원해준 많은 세력들이 있었는데, WWI이후에는 임상연구의 특징 - patient-centered nature - 가장 강력한 힘이었다.
    • 대학의 확장된 부분으로서 부속병원은 affiliated medical school 모습에도 영향을 주었다. 가장 중요한 역할은 faculty recruitment retention이었다.
    • 부속병원은 MS 포함한 대학의 다른 부분에서는 경험하지 못했던 문제에 마주쳣다. 부속병원은 medical professor student이외에도 무수한 다른 구성원들이 있었다. Patient, private physician, nurses, administrators, trustees…
    • 이러한 도전에도 불구하고 부속병원의 운영은 상대적으로 간단했다. 부속병원은 19세기보다는 크고 복잡한 조직이었지만 여전히 소수의 행정직원과 관료로 운영가능했다.
      • 후원자에게 얼마나 모금할 있느냐에 따라 부속병원의 확장 여부가 결정되었다.
    • 시기동안 많은 부속병원과 의대는 사실상 하나의 몸으로 운영되었다.
      • 1938 병원이 상당한 빚을 지게 되었을 MS 병원의 일부 비용을 지불했으며, 반대로 병원도 학교의 교육 연구 비용을 지원했다.
    • MS 부속병원이 동일한 교육, 연구, 진료의 목적으로 움직이면서 점차 지리적으로 가까이 위치하도록 설립되었고 하나의 통합된 조직이 되어갔다.
    • 그러나 의과대학과 부속병원의 완벽한 통합은 결코 이뤄지지 않았다. 조직 사이의 긴장은 지속되었다. 의과대학은 환자 관리보다는 교육이나 연구를 지향했다.
    • 그렇지만 시기의 부속병원이 교육 했던 헌신을 과소평가할 수는 없다.
      • Prebyterian Hospital "진료는 academic activity 같이 가야 하며, 결코 단독으로서 목적일 없다" 라고 하였다.
    • 그럼에도 부속병원이 과연 학문적 가치를 추구한 것인가에 대한 의구심이 여전히 남는다면, 그들이 '성공' 어떻게 정의했는가를 보면 의심을 씻을 있을 것이다. 그들이 말하는 성공은 많은 환자를 보는 것도 아니고, 많은 돈을 버는 것은 더더욱 아니고 clinical service 질을 높이고 연구와 교육에 크게 기여하는 것이었다.
  • The Presence of Time
    • 일견 임상 교육이 병동에서 이뤄지는 것은 당연해 보인다. 의학교육은 환자를 따라야 하고, 병원은 acute care 중심이었다.
    • 입원환자에 대한 교육은 부속병원이 제공할 있는 '규모의 효율성' 기인한 면도 있다. 중요한 임상 소견을 가진 환자가 있을 많은 학생과 house officer들이 있었다.
    • 입원 환자만이 의학교육이 추구하는 목적에 맞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할 있다는 역시 가장 중요한 사실이다.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나 불확실성 속에서 사려깊게 사고하는 능력은 환자를 자세히 있는 충분한 시간이 있을 때만 가능한 것이었다.
    • 의학교육자들은 teaching ward 교육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노력했다. 일부 병원은 입원환자의 수를 제한하여 학생, house officer, faculty 환자를 있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고자 했다.
    • 재원 기간이 길었던 것은 입원 병동에서 교육적 환경의 풍요로움(richness) 뜻했고, WWI에서 WWII 가면서 평균 재원기간이 감소하긴 하였지만 여전히 충분히 시간이었다.
    • 입원한 환자들의 상태는 종종 무척 심각했고, 일부는 거의 생명의 위태로울 정도였지만 의학교육자들은 오히려 이것을 좋은 교육적 이점으로 보았다.
      • 예컨대 ketoacidosis 보지 못했다면 사람은 diabetes 제대로 배운 것이 아니라고 여겼다.
    • 입원은 대개 무계획적으로 이뤄졌기 때문에, 학생이나 house officer 어떤 환자를 보게 것인지는 순전히 운에 맡겨진 것이었다.
    • 학생과 house officer 상당히 바쁘긴 했지만, 보통 생각하는 것처럼 정도로 바쁘진 않았다. 실제로, 후와 비교했을 당시의 생활은 상당히 여유롭다고 수도 있었다.
      • 8시에 일어나 9시에 밥을 먹는다거나, 수술이 830~9 정도에 잡힌다거나. 일부 house officer들은 6 하면 집에 가기 바쁘다거나.
    • 부속병원의 입원 병동이 훌륭한 educational laboratory임은 분명했지만, 의학교육의 모든 목적을 여기서 달성할 수는 없었다. 입원 환자는 office practice 대부분을 차지하는 외래 환자와는 달랐다.
    • 입원 환자를 이용한 교육은 하나의 제한점이 있었는데, 환자의 모든 측면에 대한 관리를 배우기에 부족했던 것이다. 병원에서 환자는 집이나 가족, 친구와 떨어져서 상당히 무기력한 상태였고 이는 매우 특이한 상태라고 수도 있다.
      • 환자를 어떠한 사물(object) 봄으로서 'depersonalizing' 대한 우려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 교육적 한계점을 깨달으면서 의학교육자들은 다른 임상 상황에서의 교육을 시도했다.
      • Preceptorship program, Ambulatory clinics of the teaching hospital..
    • 외래환자 기반 교육의 가능성은 많이 인정되었지만, 실제로 행해진 경우는 거의 없었다. 외래에는 너무 환자가 많았고, facility 너무 붐볐다.
      • "thoroughly unsatisfactory"
    • 하지만 당시 의과대학들은 inpatient service 확고한 ambulatory work 부실하다고 해서 그다지 걱정하지 않았다.
      • 외래는 입원 환자가 지속적으로 채워질 있도록 공급해주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다.
    • 외래 진료 상황에서 교육이 불만을 없애는 것이 불가능한 만은 아니었다. 일부 실험적 연구에서 clinic teaching 잘만 이뤄지면 상당한 가치를 가질 있음이 밝혀졌다.
      • 예를 들면 appointment system 갖춰서 학생이나 house officer 환자에 대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있게 만든다든가.
    • 이와 같은 실험이 성공할 있었던 것은 '충분한 시간' 제공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대부분의 외래 상황에 맞지 않는 것이었다. 항상 북새통이었던 외래는 관리감독이 거의 불가능했고, 교육도 거의 불가능했다.
    • 따라서 좋은 교육을 위해서는 외래 환자 뿐만 아니라 입원 환자의 수도 줄여야 했다.
    • 성공의 기준이 ''보다 ''이었던 당시에는 적은 숫자의 환자를 보는 것은 병원이나 의과대학에게 감당할 만한 tradeoff 였다. 의학교육은 특성상 병원이 최다 환자를 최소 시간에 보는 식의 효율성을 갖출 것을 기대하지 않았다.
  • The Ward Service
    • Clinical learning 있어서 충분한 시간이 필수적인 만큼, 다양한 환자를 보는 것도 중요했다. 그러나 모든 환자가 교육에 활용되었던 것은 아니다.
    • WWI이후 부속병원은 가난하지 않은 환자, private(스스로 비용을 지불하는) 환자, semiprivate(보험에 가입된, insured) 환자들도 치료하게 되었다. Private pt private physician 전적으로 보는(belonging) 것으로 간주되었고, 학생이나 house officer 끼어들 없엇다.
    • 의학교육을 위해서는 병동이 필수적이었다.
      • "The MGH's soul lies in its teaching wards"
    •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활용되는 것은 병동 환자에 대한 관리 측면에 있어서도 도움이 되는 일이었다.
    • 그렇지만 선택권을 가진 private pt 부속병원의 교육 목적으로 활용되기를 거부하였다. 환자 개인의 이익과 사회적 이익이 충돌한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