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s (Medical Education)

Learning to Heal : Chapter 11. 의학의 학문적 성숙(The Maturation of Academic Medicine)

Meded. 2013. 6. 24. 17:16



The Subordination of the Private Practitioner

  • Full-time system 논쟁을 촉발시켰을 이것은 practitioner 사이에서도 어떠한 경고 신호와 같았다. Full-time department 같은 시스템하에서 private practitioner 없어지기 일보 직전과 같은 위기 상황 놓여있었다.
  • Private practitioner들이 걱정할 만한 이유가 있었는데우선 clinical scientist들이 임상분과의 권한을 가지려는 의도를 보였던 것이다.
    • 의학교육자들에게 clinical teaching preclinical teaching만큼이나 전문적인 academic activity였다
    • 아마추어가 있는 그러한 것이 아니었으며, Academic medicine 다른 분야들처럼 professionalization 길을 걷고 있었다.
  • 근대 Medical School에서 Practitioner 지위는 그렇게 항상 절망적이었던 것은 아니다. Personalized instruction 시대에서는 clinical teacher 정말 많이 필요했다.
  • 그러나 문제는, private practitioner 역할이 있느냐 없느냐가 아니라누가 임상교육의 주도권을 쥐느냐의 문제였다.
    • “routine” teaching private practitioner 있는 것이었고 그럼으로써 full-time faculty 정말 중요한 곳에 시간을 있었다점차 practitioner 부차적인 일들에서나 필요하게 되었다. Professor practitioner 전통적으로 가지고 있던 의학교육에의 control power 가져왔다.
  • Full time professor 임상교육의 운영을 위하여 임명되었을 잔혹한 인사이동이 있었다수년수십년간 임상 교육을 담당하던 대부분의 private practitioner 모두 faculty에서 잘리거나좌천당했다.
    • 의학교육에서 Private practitioner 전통은 길고명예롭고 자랑스러운 것이었으나 full-time 늘어날수록 그들은 점차 스스로를 무용하게 느꼈다.
    • 그러면서 Professor practitioner 갈등이 다시 시작된 것이다
  • Town—Gown  긴장은 대부분의 full time instructor들이 멀리 다른 기관에서 import됨에 따라 심해졌다. Private practitioner 새로 들어온 임상 faculty 교만함(arrogance) 대해 불만을 늘어놓기 시작했다.
  • New Haven보다 Town-Gown 논쟁이 심한 곳은 없었다.
    • New Haven 의사는 MS 지역사회의 professional fraternity(협회) 너무 무신경하다고 불평했다새로운 plan하에서 practitioner 자신의 환자를 제대로 없었고 환자들은 주치의가 자신에 대해서 그렇게 모르는지를 의아해했다.
  • Town-gown 논쟁에서 생겨난 불편한 감정은 사라지지 않았다실제로이러한 감정은 지금도 남아 있다그렇지만 1930 최악의 적은 사라졌다항상 서로를 경계하던 Professor practitioner 상호 이익을 존중하고 차이를 인정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 또한 언제나처럼 시간이 약이었다나이든 practitioner들이 은퇴하기 시작했다.
    • 그리고 무엇보다 clinical science 쓸모가 있었다(worked). 대중들이 이러한 사실을 인정했고 practitioner 의학교육의 주도권을 잃음으로서 상실한 부분은 사회적인 지명도나 영향력으로 보상받았다.

 

The Enthronement of Research

  • 의학교육자들의 full-time activity 대한 주장은 옳은 것이었을까? 
    • 그들의 근거 하나는 full-time profession 나은 교육을 있다는 것이었다
    • 하지만 이런 주장은 전혀 옳은 것이 아니었다그런 근거도 없었을 뿐더러 private practitioner 좋은 교육을 –  당시부터 지금까지도 – 하고 있다.
  • 그러나 Clinical scholarship 목적이 연구였다면그들의 주장은 일리가 있다. Professor practitioner 모두 임상연구는 고된 과정이며 대충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정했다. Full time position 아닌데 lab 제대로 운영할 있는 의사는 거의 없었다.
    • 이것이 좋은 선생님에 practitioner 포함되더라도좋은 연구자에는 포함되지 않는 이유이다.
  • 1920년대에 연구는 미국 Medical school 이미 퍼져있었다일부 학교는 다른 학교보다 연구를 강조했다하지만 이전과 같은 학교간 심각한 차이가 있지는 않았다.
  • 연구가 중요성을 인정받을수록, academic medicine 처음으로 ‘상승장’을 즐길 있었다. Full time position 전례없이 수가 많아졌다.
    • 세대 이전만 해도 academic medicine 물질적인(자리기구) 것들이 academic medicine 저해하는 요인이었는데이제는 오히려 능렸있는 manpower 부족한 상황이 되었다.
  • Academic medicine 성장과 함께, medical scientist들의 오래된 소망이 이뤄졌다의학 교육과 연구를 하는 직업을 가질 있게 이다
    • 그러나 한편으로는 미국 MS에서 교육은 연구에 의해 뒷전으로 밀렸다궁극적으로는 Pure university value 추구하기 위한 길을 택하게 것이다.